KR20220066646A - 자동변속기용 솔레노이드밸브 - Google Patents

자동변속기용 솔레노이드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6646A
KR20220066646A KR1020200152906A KR20200152906A KR20220066646A KR 20220066646 A KR20220066646 A KR 20220066646A KR 1020200152906 A KR1020200152906 A KR 1020200152906A KR 20200152906 A KR20200152906 A KR 20200152906A KR 20220066646 A KR20220066646 A KR 202200666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discharge hole
flange
rotation
solenoid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2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2382B1 (ko
Inventor
이민수
손솔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to KR1020200152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2382B1/ko
Publication of KR20220066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6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2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23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 F16H61/026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hydraulic
    • F16H61/0276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ydraulic control units, e.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2Guidance of lubricant
    • F16H57/0421Guidance of lubricant on or within the casing, e.g. shields or baffles for collecting lubricant, tubes, pipes, grooves, channels or the like
    • F16H57/0424Lubricant guiding means in the wall of or integrated with the casing, e.g. grooves, channels, ho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3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relating to lubrication supply, e.g. pumps ; Pressure control
    • F16H57/0446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relating to lubrication supply, e.g. pumps ; Pressure control the supply forming part of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e.g. for automatic transmiss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003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ments of the control apparatus, e.g. valve assemblies or snapfittings of valves; Arrangements of the control unit on or in the transmission gearbox
    • F16H61/0009Hydraulic control units for transmission control, e.g. assembly of valve plates or valve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2061/0046Details of fluid supply channels, e.g. within shafts, for supplying friction devices or transmission actuators with control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 F16H61/026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hydraulic
    • F16H61/0276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ydraulic control units, e.g. valves
    • F16H2061/0279Details of hydraulic valves, e.g. lands, ports, spools or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변속기용 솔레노이드밸브에 관한 것으로, 유로부(200)를 구성하는 플랜지(210)의 회전방지를 위한 회전방지홈(216)과 유로부(200)의 잔압 제거를 위한 오일배출공(217)이 플랜지(210)의 원판부(215)에서 서로 분리되게 형성되고, 회전방지홈(216)과 오일배출공(217)사이에 자로부(100)의 코어(110)와 접촉하는 차단부(218)가 구비되고, 차단부(218)를 기준으로 스풀(220)이 설치된 파이프부(214)와 오일배출홀(217)은 플랜지(210)의 바닥면유로(219)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차단부(218)에 의해 회전방지홈(216)쪽으로는 오일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변속기용 솔레노이드밸브{SOLENOID VALVE FOR AUTOMATIC TRANSMISSION}
본 발명은 자동변속기용 솔레노이드밸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로부를 구성하는 플랜지의 회전방지를 위한 회전방지홈과 유로부의 잔압 제거를 위한 오일배출홀이 별도로 분리되게 구성된 자동변속기용 솔레노이드밸브에 관한 기술이다.
차량의 변속기는 엔진의 회전속도와 회전력을 다양한 주행환경에 적합하도록 변환하여 전달하는 장치로서, 변속과정이 운전자에 의해 수동적으로 이루어지는 수동변속기, 및 설정된 패턴에 따라 자동으로 변속이 이루어지는 자동변속기가 있다.
자동변속기는 토크 컨버터, 작동기구, 유성기어장치, 유압제어기구, 전자제어장치를 포함해서 구성되며, 유압제어기구에는 자동변속기로 공급되는 유압을 제어하기 위한 압력조절용 밸브기구 즉 솔레노이드밸브가 마련된다.
통상적인 자동변속기의 솔레노이드밸브는 전원을 인가받아 작동하는 자로부, 자로부의 작동시 자동변속기로 오일을 공급하는 유로부를 포함한다.
자로부는 코어, 코일, 아마추어, 스핀들, 및 이들을 감싸는 하우징을 포함해서 구성된다.
유로부는 자로부와 결합되고 오일이 이동하는 다수의 포트가 형성된 플랜지, 및 플랜지의 내부에 설치되고 플랜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스풀을 포함한다.
한편, 유로부를 구성하는 플랜지는 자로부를 구성하는 하우징과 결합되고, 하우징과 결합된 플랜지는 안정된 상태유지를 위해 회전하는 것이 방지되어야 하며, 플랜지의 회전방지를 위해 플랜지에 회전방지홈이 형성되고, 하우징의 일단을 플랜지의 회전방지홈으로 구부려서 하우징과 플랜지를 코킹(coking)결합하게 된다.
또한, 솔레노이드밸브가 작동하지 않을 때에는 유로부내에 존재하는 잔압을 제거해주어야만 솔레노이드밸브의 고장을 없앨 수가 있는 바, 종래에는 플랜지의 회전방지홈을 통해 유로부의 오일을 외부로 배출해서 잔압을 제거하였다.
그런데, 유로부의 잔압 제거를 위해 유로부의 오일이 회전방지홈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자로부를 구성하는 코어와 하우징사이의 틈을 통해 오일의 일부가 자로부로 유입되는 현상이 발생하고, 이때 오일에 포함된 이물질도 함께 자로부로 유입됨에 따라 이물질로 인해 자로부의 고장발생의 원인이 되는 단점이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26620호
본 발명은, 유로부를 구성하는 플랜지의 회전방지를 위한 회전방지홈과 유로부의 잔압 제거를 위한 오일배출홀이 별도로 분리되게 구성된 자동변속기용 솔레노이드밸브로서, 유로부내의 오일이 오일배출홀을 통해 플랜지의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회전방지홈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오일배출홀을 통해 배출되는 오일이 자로부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오일에 포함된 이물질에 의한 자로부의 고장발생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자동변속기용 솔레노이드밸브는, 유로부를 구성하는 플랜지는 스풀이 직선 이동하는 파이프부, 및 파이프부의 일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원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원판부에는 자로부를 구성하는 하우징과의 결합을 통해 플랜지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홈, 및 유로부의 잔압 제거를 위해 유로부의 오일이 배출되는 오일배출홀이 서로 분리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방지홈과 오일배출홀사이에 오일의 흐름을 차단하는 격벽구조가 있어서 유로부의 오일이 오일배출홀을 통해 플랜지의 외부로 배출될 때에 회전방지홈으로 오일 유입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방지홈은 원판부의 외곽 둘레에서 중심을 향해 오목하게 파여진 홈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방지홈은 원판부의 외곽 둘레를 따라 1개 이상 또는 2개 이상이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자로부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일단이 회전방지홈쪽으로 구부려져서 결합됨에 따라 플랜지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자로부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일배출홀은 원판부의 중심과 회전방지홈사이에서 파이프부의 길이방향이나 또는 사선방향으로 원판부를 관통해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일배출홀은 1개 이상 또는 2개 이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방지홈과 오일배출홀사이의 격벽구조는 원판부의 일면에서 자로부를 구성하는 코어와 접촉하는 차단부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차단부를 기준으로 스풀이 설치된 파이프부와 오일배출홀은 플랜지의 바닥면유로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차단부가 오일의 흐름을 막아서 회전방지홈쪽으로 오일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방지홈과 오일배출홀은 원판부의 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이 동일한 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방지홈과 오일배출홀은 원판부의 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이 서로 다른 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기용 솔레노이드밸브는, 유로부를 구성하는 플랜지의 회전방지를 위한 회전방지홈과 유로부의 잔압 제거를 위한 오일배출공이 플랜지의 원판부에서 서로 분리되게 형성되고, 회전방지홈과 오일배출공사이에 자로부의 코어와 접촉하는 차단부가 구비되고, 차단부를 기준으로 스풀이 설치된 파이프부와 오일배출홀은 플랜지의 바닥면유로를 통해 서로 연결된 구성으로, 유로부내의 오일은 플랜지의 파이프부 및 바닥면유로를 통과한 다음 오일배출홀을 통해 플랜지의 외부로 배출되어서 유로부의 잔압을 제거할 수 있게 되고, 오일배출홀을 통해 오일이 배출되는 과정에서 차단부에 의해 회전방지홈쪽으로는 오일의 흐름이 차단되며, 이를 통해 회전방지홈쪽으로 오일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자로부로 이물질이 포함된 오일이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회전방지홈과 오일배출홀이 반경방향이 동일한 선상에 위치한 상태일 때 솔레노이드밸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1은 솔레노이드밸브의 유로부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2는 도 1의 Ⅰ-Ⅰ선 단면도,
도 3은 도 2에서 회전방지홈과 오일배출홀이 형성된 부위의 확대도,
도 4는 도 3부위의 사시도,
도 5는 도 1에 적용된 플랜지의 사시도,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회전방지홈과 오일배출홀이 반경방향이 상이한 선상에 위치한 상태일 때 솔레노이드밸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6은 솔레노이드밸브의 유로부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7은 도 6의 Ⅱ-Ⅱ선 단면도,
도 8은 도 6에서 회전방지홈과 오일배출홀이 형성된 부위의 확대도,
도 9는 도 6에 적용된 플랜지의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 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제어기)는 차량의 다양한 구성 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알고리즘 또는 상기 알고리즘을 재생하는 소프트웨어 명령어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비휘발성 메모리(도시되지 않음) 및 해당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이하에 설명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 및 프로세서는 개별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는 서로 통합된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변속기용 솔레노이드밸브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용 솔레노이드밸브에 대해 도 1 내지 도 5를 참고로 설명한다.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솔레노이드밸브는 플랜지에 형성된 회전방지홈과 오일배출홀이 반경방향이 동일한 선상에 위치한 구성이 특징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밸브는 전원을 인가받아 작동하는 자로부(100), 자로부(100)의 작동시 자동변속기로 오일을 공급하는 유로부(200)를 포함한다.
자로부(100)는 전자기력을 이용하여 유로부(200)를 구성하는 스풀(220)을 직선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자로부(100)는 코어(110), 코일(120), 아마추어(130), 스핀들(140) 및 이들을 감싸는 하우징(150)을 포함한다.
코어(110)는 유로부(200)를 구성하는 플랜지(210)와 결합되고,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통로(111)가 형성된다.
코일(120)은 중공형상으로 형성되어 코어(110)의 외주면에 결합된다.
아마추어(130)는 코일(120)의 안쪽에서 코어(110)의 이동통로(111)에 배치되고, 스핀들(140)은 이동통로(111)를 관통해서 스풀(220)의 일단과 접하며, 코일(120)의 전류인가시 전자기력에 의해 이동통로(111)에서 직선 이동한다.
아마추어(130)와 스핀들(140)은 1개의 몸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본 실시예와 같이 분리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코일(120)에 전류가 인가되면 전자기력에 의해 아마추어(130)와 스핀들(140)은 좌우로 이동하고, 스핀들(140)은 스풀(220)을 이동시킨다.
자로부(100)와 결합된 유로부(200)는 플랜지(210) 및 스풀(220)을 포함한다.
플랜지(210)는 중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외주면에 내부와 연통되는 다수개의 포트가 형성된다.
포트는 오일이 공급되는 공급포트(211), 자동변속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포트(212), 공급된 오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포트(213)를 포함한다.
스풀(220)은 플랜지(210) 내부에 직선 왕복운동하면서 플랜지(210)의 포트들을 개폐시킨다.
유로부(200)는 스풀(220)의 위치를 조정하는 어저스트스크루(230) 및 스프링(240)을 더 포함한다.
한편, 유로부(200)를 구성하는 플랜지(210)는 스풀(220)이 직선 이동하는 파이프부(214), 및 파이프부(214)의 일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원판부(215)를 포함한다.
파이프부(214)의 일단에 원판부(215)가 일체로 형성되고, 원판부(215)는 자로부(100)를 구성하는 코어(110)와 결합되며, 파이프부(214)의 내부에 설치된 스풀(220)의 일단은 원판부(215)를 관통해서 자로부(100)의 스핀들(140)과 접촉하도록 설치된다.
플랜지(210)의 원판부(215)에는 자로부(100)를 구성하는 하우징(150)과의 결합을 통해 플랜지(210)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홈(216), 및 유로부(200)의 잔압 제거를 위해 유로부(200)의 오일이 배출되는 오일배출홀(217)이 서로 분리되게 형성된다.
또한, 회전방지홈(216)과 오일배출홀(217)사이에는 오일의 흐름을 차단하는 격벽구조가 있어서 유로부(200)의 오일이 오일배출홀(217)을 통해 플랜지(210)의 외부로 배출될 때에 회전방지홈(216)으로 오일이 유입되는 것이 차단된다.
이와 같이, 유로부(200)내의 오일이 오일배출홀(217)을 통해 플랜지(210)의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회전방지홈(216)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되면, 오일이 자로부(100)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오일에 포함된 이물질에 의한 자로부(100)의 고장발생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종래에는, 플랜지의 회전방지홈이 오일배출홀의 역할도 함께 수행하는 구성으로, 유로부내의 오일이 회전방지홈을 통해 플랜지의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자로부를 구성하는 코어와 하우징과의 틈새를 통해 자로부로 유입되었고, 이로 인해 오일에 포함된 이물질에 의해 자로부의 고장발생의 원인이 되는 단점이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플랜지(210)의 원판부(215)에 회전방지홈(216)과 오일배출홀(217)을 서로 분리되게 구성하고, 회전방지홈(216)과 오일배출홀(217)사이에 오일을 흐름을 막을 수 있는 격벽구조를 채택한 구성으로, 이를 통해 유로부(200)내의 오일이 오일배출홀(217)을 통해서 플랜지(210)의 외부로 배출될 때에 격벽구조를 통해 회전방지홈(216)쪽으로 오일이 이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서 오일이 자로부(100)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이 결과 오일에 포함된 이물질에 의한 자로부(100)의 고장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방지홈(216)은 원판부(215)의 외곽 둘레에서 중심을 향해 오목하게 파여진 홈으로 형성되고, 회전방지홈(216)은 원판부(215)의 외곽 둘레를 따라 1개 이상 또는 2개 이상이 이격되게 형성되며, 자로부(100)를 구성하는 하우징(150)의 일단이 회전방지홈(216)쪽으로 구부려져서 코킹(coking) 결합됨에 따라 플랜지(210)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자로부(100)와 결합된 구조가 된다.
도면부호 151은 하우징(150)의 코킹부(151)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오일배출홀(217)은 원판부(215)의 중심과 회전방지홈(216)사이에 형성되며, 파이프부(214)의 길이방향이나 또는 사선방향으로 원판부(215)를 관통해서 형성되고, 오일의 원활한 배출을 위해 1개 이상 또는 2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회전방지홈(216)과 오일배출홀(217)사이의 격벽구조는 원판부(215)의 일면에서 자로부(100)를 구성하는 코어(110)와 접촉하는 차단부(218)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단부(218)를 기준으로 스풀(220)이 설치된 파이프부(214)와 오일배출홀(217)은 플랜지(210)의 바닥면유로(219)를 통해 서로 연결되며, 이로 인해 유로부(200)내의 오일은 플랜지(210)의 파이프부(214) 및 바닥면유로(219)를 통과한 다음 오일배출홀(217)을 통해서 플랜지(210)의 외부로 배출된다.
하지만, 상기 차단부(218)에 의해 회전방지홈(216)쪽으로는 오일의 흐름이 차단되며, 이로 인해 회전방지홈(216)쪽으로 오일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어서, 최종적으로 자로부(100)로 이물질이 포함된 오일이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회전방지홈(216)과 오일배출홀(217)은 플랜지(210)의 원판부(215)의 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이 동일한 선(L1)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럴 경우 차단부(219)는 단면두께가 얇아서 구조적 강성이 취약할 수 있고, 또한 자로부(100)를 구성하는 코어(110)와의 접촉면적이 작어서 유체의 실링면적이 부족할 수 있다.
반면에,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회전방지홈(216)과 오일배출홀(217)이 플랜지(210)의 원판부(215)의 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이 서로 다른 선(L1,L2)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것이 특징이며, 나머지 구성들은 도 1 내지 도 5를 참고로 설명한 일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기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회전방지홈(216)과 오일배출홀(217)이 플랜지(210)의 원판부(215)의 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이 서로 다른 선(L1,L2)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면, 유로부(100)의 코어(110)와 접촉하는 차단부(219)는 전술한 일 실시예의 구조보다 단면두께를 더 두껍게 할 수 있어서 상대적으로 구조적 강성을 보강할 수 있고, 또한 자로부(100)를 구성하는 코어(110)와의 접촉면적이 넓어져서 충분한 유체의 실링면적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기용 솔레노이드밸브는, 유로부(200)를 구성하는 플랜지(210)의 회전방지를 위한 회전방지홈(216)과 유로부(200)의 잔압 제거를 위한 오일배출공(217)이 플랜지(210)의 원판부(215)에서 서로 분리되게 형성되고, 회전방지홈(216)과 오일배출공(217)사이에 자로부(100)의 코어(110)와 접촉하는 차단부(218)가 구비되고, 차단부(218)를 기준으로 스풀(220)이 설치된 파이프부(214)와 오일배출홀(217)은 플랜지(210)의 바닥면유로(219)를 통해 서로 연결된 구성으로, 유로부(200)내의 오일은 플랜지(210)의 파이프부(214) 및 바닥면유로(219)를 통과한 다음 오일배출홀(217)을 통해 플랜지(210)의 외부로 배출되어서 유로부(200)의 잔압을 제거할 수 있게 되고, 오일배출홀(217)을 통해 오일이 배출되는 과정에서 차단부(218)에 의해 회전방지홈(216)쪽으로는 오일의 흐름이 차단되며, 이를 통해 회전방지홈(216)쪽으로 오일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자로부(100)로 이물질이 포함된 오일이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자로부 110 - 코어
111 - 이동통로 120 - 코일
130 - 아마추어 140 - 스핀들
150 - 하우징 151 - 코킹부
200 - 유로부 210 - 플랜지
211 - 공급포트 212 - 제어포트
213 - 배출포트 214 - 파이프부
215 - 원판부 216 - 회전방지홈
217 - 오일배출홀 218 - 차단부
219 - 바닥면유로 220 -스풀
230 - 어저스트스크루 240 - 스프링

Claims (9)

  1. 유로부를 구성하는 플랜지는 스풀이 직선 이동하는 파이프부, 및 파이프부의 일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원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원판부에는 자로부를 구성하는 하우징과의 결합을 통해 플랜지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홈, 및 유로부의 잔압 제거를 위해 유로부의 오일이 배출되는 오일배출홀이 서로 분리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솔레노이드밸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홈과 오일배출홀사이에 오일의 흐름을 차단하는 격벽구조가 있어서 유로부의 오일이 오일배출홀을 통해 플랜지의 외부로 배출될 때에 회전방지홈으로 오일 유입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솔레노이드밸브.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홈은 원판부의 외곽 둘레에서 중심을 향해 오목하게 파여진 홈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솔레노이드밸브.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홈은 원판부의 외곽 둘레를 따라 1개 이상 또는 2개 이상이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자로부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일단이 회전방지홈쪽으로 구부려져서 결합됨에 따라 플랜지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자로부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솔레노이드밸브.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오일배출홀은 원판부의 중심과 회전방지홈사이에서 파이프부의 길이방향이나 또는 사선방향으로 원판부를 관통해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솔레노이드밸브.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오일배출홀은 1개 이상 또는 2개 이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솔레노이드밸브.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홈과 오일배출홀사이의 격벽구조는 원판부의 일면에서 자로부를 구성하는 코어와 접촉하는 차단부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차단부를 기준으로 스풀이 설치된 파이프부와 오일배출홀은 플랜지의 바닥면유로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차단부가 오일의 흐름을 막아서 회전방지홈쪽으로 오일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솔레노이드밸브.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홈과 오일배출홀은 원판부의 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이 동일한 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솔레노이드밸브.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홈과 오일배출홀은 원판부의 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이 서로 다른 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솔레노이드밸브.
KR1020200152906A 2020-11-16 2020-11-16 자동변속기용 솔레노이드밸브 KR1024523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2906A KR102452382B1 (ko) 2020-11-16 2020-11-16 자동변속기용 솔레노이드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2906A KR102452382B1 (ko) 2020-11-16 2020-11-16 자동변속기용 솔레노이드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6646A true KR20220066646A (ko) 2022-05-24
KR102452382B1 KR102452382B1 (ko) 2022-10-07

Family

ID=81806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2906A KR102452382B1 (ko) 2020-11-16 2020-11-16 자동변속기용 솔레노이드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23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9960B1 (ko) * 2022-10-20 2024-03-22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솔레노이드 밸브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0762A (ja) * 1998-11-25 2000-08-08 Toyota Motor Corp 電磁弁
KR200251134Y1 (ko) * 2001-07-10 2001-11-17 주식회사 유니크 차량의 자동변속기용 유압 솔레노이드 밸브
JP2004108500A (ja) * 2002-09-18 2004-04-08 Toyoda Mach Works Ltd 電磁バルブ
KR20090126620A (ko) 2008-06-04 2009-12-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변속기의 솔레노이드 밸브
KR20150031772A (ko) * 2013-09-16 2015-03-25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솔레노이드 밸브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0762A (ja) * 1998-11-25 2000-08-08 Toyota Motor Corp 電磁弁
KR200251134Y1 (ko) * 2001-07-10 2001-11-17 주식회사 유니크 차량의 자동변속기용 유압 솔레노이드 밸브
JP2004108500A (ja) * 2002-09-18 2004-04-08 Toyoda Mach Works Ltd 電磁バルブ
KR20090126620A (ko) 2008-06-04 2009-12-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변속기의 솔레노이드 밸브
KR20150031772A (ko) * 2013-09-16 2015-03-25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솔레노이드 밸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9960B1 (ko) * 2022-10-20 2024-03-22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솔레노이드 밸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2382B1 (ko) 2022-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26513B2 (en) Spool valve
US5895209A (en) Variable capacity pump having a variable metering orifice for biasing pressure
KR100325764B1 (ko) 가변용량형펌프
JP6079901B2 (ja) パーキング装置
EP1890065B1 (en) Ball valve element for a rotary ball valve assembly
KR102452382B1 (ko) 자동변속기용 솔레노이드밸브
JP3690236B2 (ja) Absアクチュエータ
JP5076666B2 (ja) スプール装置、リニアソレノイドバルブ
JP2004263856A (ja) 電磁弁
JP2013515218A (ja) 電磁弁
JP2004144230A (ja) ソレノイドバルブ
EP0916566B1 (en) Flow rate regulating valve of hydraulic pump
JP5175135B2 (ja) 流量制御弁
JP3336181B2 (ja) アキュムレータ付きリリーフ弁
JP2005133880A (ja) 電磁弁
KR100512423B1 (ko) 유압제어용 스풀밸브
JP2006526745A (ja) 流体圧制御装置
JPS5937308A (ja) 液圧方向制御弁
JP2017067095A (ja) リリーフ弁
US5332055A (en) Power steering apparatus having hydraulic reaction mechanism
JPH083799Y2 (ja) スプール弁
JPH0371586B2 (ko)
JP4079850B2 (ja) 流量制御弁
JP7419699B2 (ja) 電磁弁
JP2014152882A (ja) 電磁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