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6342A - 이미다조피리딘의 방향족 아민류 화합물 및 그 응용 - Google Patents

이미다조피리딘의 방향족 아민류 화합물 및 그 응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6342A
KR20220066342A KR1020227013151A KR20227013151A KR20220066342A KR 20220066342 A KR20220066342 A KR 20220066342A KR 1020227013151 A KR1020227013151 A KR 1020227013151A KR 20227013151 A KR20227013151 A KR 20227013151A KR 20220066342 A KR20220066342 A KR 202200663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ituted
unsubstituted
alkyl
heteroaryl
ar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3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샤오푸 천
리앙리앙 옌
레이 다이
리페이 차이
Original Assignee
광동 어글레이어 압토일렉트라닉 머티어리얼즈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어글레이어 압토일렉트라닉 머티어리얼즈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어글레이어 압토일렉트라닉 머티어리얼즈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66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6342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 C07D403/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51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system of two or more relevant hetero rings condensed among themselves or condensed with a common carbocyclic ring system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7D453/00 or C07D455/00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405/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09/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 C07D47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71/04Ortho-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6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H01L51/0052
    • H01L51/0061
    • H01L51/0067
    • H01L51/0072
    • H01L51/0073
    • H01L51/0074
    • H01L51/5262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8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ractive means, e.g. lens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15Polycyclic condensed aromatic hydrocarbons, e.g. anthracen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31Amine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aryl rest on at least one amine-nitrogen atom, e.g. triphenylamin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31Amine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aryl rest on at least one amine-nitrogen atom, e.g. triphenylamine
    • H10K85/633Amine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aryl rest on at least one amine-nitrogen atom, e.g. triphenylamine comprising polycyclic condensed aromatic hydrocarbons as substituents on the nitrogen ato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31Amine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aryl rest on at least one amine-nitrogen atom, e.g. triphenylamine
    • H10K85/636Amine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aryl rest on at least one amine-nitrogen atom, e.g. triphenylamine comprising heteroaromatic hydrocarbons as substituents on the nitrogen ato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49Aromatic compounds comprising a hetero atom
    • H10K85/654Aromatic compounds comprising a hetero atom comprising only nitrogen as heteroato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49Aromatic compounds comprising a hetero atom
    • H10K85/657Polycyclic condensed heteroaromatic hydrocarbons
    • H10K85/6572Polycyclic condensed heteroaromatic hydrocarbons comprising only nitrogen in the heteroaromatic polycondensed ring system, e.g. phenanthroline or carbazol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49Aromatic compounds comprising a hetero atom
    • H10K85/657Polycyclic condensed heteroaromatic hydrocarbons
    • H10K85/6574Polycyclic condensed heteroaromatic hydrocarbons comprising only oxygen in the heteroaromatic polycondensed ring system, e.g. cumarine dy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49Aromatic compounds comprising a hetero atom
    • H10K85/657Polycyclic condensed heteroaromatic hydrocarbons
    • H10K85/6576Polycyclic condensed heteroaromatic hydrocarbons comprising only sulfur in the heteroaromatic polycondensed ring system, e.g. benzothiop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BGENERAL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APPARATUS THEREFOR
    • C07B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ecific properties of organic compounds
    • C07B2200/05Isotopically modified compounds, e.g. labelle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03Carbocyclic compounds
    • C09K2211/1007Non-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03Carbocyclic compounds
    • C09K2211/1011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03Carbocyclic compounds
    • C09K2211/1014Carbocyclic compounds bridged by heteroatoms, e.g. N, P, Si or B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18Heterocyclic compounds
    • C09K2211/1025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 C09K2211/1029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containing one nitrogen atom as the hetero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18Heterocyclic compounds
    • C09K2211/1025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 C09K2211/1044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containing two nitrogen atoms as hetero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18Heterocyclic compounds
    • C09K2211/1025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 C09K2211/1059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containing three nitrogen atoms as hetero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18Heterocyclic compounds
    • C09K2211/1025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 C09K2211/1088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containing oxygen as the only hetero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18Heterocyclic compounds
    • C09K2211/1025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 C09K2211/1092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containing sulfur as the only heteroato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Condensed Heterocyclic R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미다조피리딘의 방향족 아민류 화합물 및 그 응용에 관한 것이다. 상기 화합물은 식 (I)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낮은 승화온도, 우수한 열 안정성, 높은 굴절률, 가시광선 영역의 작은 굴절률 차이 등의 장점이 있어 광 추출층 재료로 유기 발광 소자에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이미다조피리딘의 방향족 아민류 화합물 및 그 응용
본 발명은 유기 전계 발광 재료 분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미다조피리딘의 방향족 아민류 화합물 및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서의 그 응용에 관한 것이다.
현재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로서 유기 전계 발광 소자(OLED)는 디스플레이 및 조명 기술 측면에서 점점 더 많은 주목을 받고 있으며 응용 전망이 매우 밝다. 그러나 시장의 응용 수요를 감안하면 OLED 소자의 발광 효율, 구동 전압, 사용 수명 등 성능이 계속 강화되고 개선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OLED 소자의 기본 구조는 금속 전극 중간에 각종 상이한 기능의 유기 기능 재료 박막이 끼워져 있는 샌드위치와 같은 구조이다. 전류의 구동 하에서 양극과 음극의 양극으로부터 각각 정공과 전자를 주입하고, 정공과 전자는 한 구간의 거리를 이동한 후 발광층에서 복합되어 빛 또는 열의 형태로 방출됨으로써 OLED가 발광하게 된다. 그러나 유기 기능 재료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핵심 구성 부분이며, 재료의 열 안정성, 광화학적 안정성, 전기화학적 안정성, 양자 수율, 박막 형성 안정성, 결정성, 색포화도 등은 소자 성능 구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이다.
일 양상에 있어서, OLED 소자의 내부 양자 효율과 외부 양자 효율 사이의 큰 격차를 줄이는 방법, 소자에서 전체 방출 효과를 줄이는 방법, 광 결합 추출율을 높이는 방법이 사람들로부터 광범위한 주목을 받고 있다. 현재 광 추출층 재료의 굴절률은 모두 비교적 낮다. 특히 적색광 파장 대역에서 통상적으로 굴절률은 1.85 미만이고 극소수는 1.90보다 크며 더 적은 소수는 2.0보다 크다. 또한 종래의 광 추출 재료는 적색광, 녹색광, 청색광 파장 영역에서 굴절률의 차이가 커서 3색광의 가장 바람직한 두께에 큰 차이가 발생하여 빛 추출 재료의 성능을 충분히 구현할 수 없었다. 꼭대기 발광 소자의 경우, 광 추출층 재료의 굴절률이 클수록 상응하는 외부 양자 효율이 높아지고 소자의 발광 효율이 높아진다. 따라서 굴절률이 높은 광 추출층 재료의 개발이 특히 중요하다. CN103828485 및 TW201506128은 폴리비페닐디아민(polybiphenyldiamine)을 코어로 하는 광 추출층 재료를 공개하였으나 굴절률은 여전히 약간 낮다. 특히 적색광의 경우 더욱 개선되어야 한다.
상기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미다조피리딘의 방향족 아민류 화합물을 제공한다. 상기 화합물은 낮은 승화온도, 우수한 열 안정성, 높은 굴절률, 가시광선 영역의 작은 굴절률 차이 등의 장점이 있어 유기 발광 소자에 사용될 수 있다.
이미다조피리딘의 방향족 아민류 화합물에 있어서, 그 구조식은 식 (I)로 표시된다.
Figure pct00001
(I)
여기에서 n은 1 또는 2이다.
X1, X2, X3, X4는 독립적으로 CR0 또는 N으로 나타내고, R0는 독립적으로 수소, 듀테륨, 할로겐, C1-C8 알킬, C1-C8 헤테로알킬, 아르알킬, 아미노, 실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60의 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60의 헤테로아릴, 니트릴, 이소니트릴로부터 선택되고, 인접한 R0은 결합하여 축합 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R1은 단일 결합, C1-C30 알킬렌, C1-C30 헤테로알킬렌, C3-C30 시클로알킬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30의 아릴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28의 헤테로아릴렌이다.
여기에서 R2는 독립적으로 수소, 듀테륨, 할로겐, C1-C30 알킬, C1-C30 헤테로알킬, C3-C30 시클로알킬, C1-C30 알콕시, C6-C60 아릴옥시, 아미노, 실릴, 니트릴, 이소니트릴, 포스피노,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60 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60의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된다.
여기에서 Ar1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60 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60의 헤테로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C60 시클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60의 아릴아민이다.
여기에서 B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60 아릴 또는 아릴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60의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아릴렌, 치환 또는 비치환된된 C3-C60 시클로알킬 또는 시클로알킬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60의 아릴아민 또는 아릴렌아민이다.
여기에서 헤테로알킬 또는 헤테로아릴 중 하나 이상의 탄소 원자는 O, S, N, Se, Si, Ge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헤테로원자로 치환되고, 상기 치환은 듀테륨, 할로겐, C1-C30 알킬, 페닐, 나프틸 또는 비페닐에 의한 치환이다.
바람직하게는, 그 구조식은 식 (II)로 표시된다.
Figure pct00002
(II)
여기에서 R1은 단일 결합, C1-C10 알킬렌, C1-C10 헤테로알킬렌, C3-C10 시클로알킬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30의 아릴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28의 헤테로아릴렌이다.
여기에서 R2는 독립적으로 수소, 듀테륨, 할로겐, C1-C10 알킬, C1-C10 헤테로알킬, C1-C10 알콕시, C3-C30 시클로알킬, C6-C30 아릴옥시, 아미노, 실릴, 니트릴, 이소니트릴, 포스피노,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30 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30의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된다.
여기에서 Ar1, Ar2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30의 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30의 헤테로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단일 고리 또는 다중 고리 C3-C30 지방족 고리 또는 방향족 고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30의 아릴아민이다.
여기에서 헤테로알킬 또는 헤테로아릴 중 하나 이상의 탄소 원자는 O, S, N, Si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헤테로원자로 치환되고, 상기 치환은 듀테륨, 할로겐, C1-C8 알킬, 페닐, 나프틸 또는 비페닐에 의한 치환이다.
바람직하게는, 여기에서 R1은 C1-C8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20의 아릴렌, C1-C8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8의 헤테로아릴렌이고, R2는 C1-C8 알킬, C1-C8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20의 아릴, C1-C8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20의 헤테로아릴이고, Ar1, Ar2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20의 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20의 헤테로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단일 고리 또는 다중 고리의 C3-C20 지방족 고리 또는 방향족 고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20의 아릴아민이고, 헤테로알킬 또는 헤테로아릴 중 하나 이상의 탄소 원자는 O, S, N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헤테로원자로 치환되고, 상기 치환은 듀테륨, C1-C8 알킬, 페닐, 나프틸 또는 비페닐에 의한 치환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여기에서 R1은 C1-C4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10의 아릴렌, C1-C4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8의 헤테로아릴렌이고, Ar1, R2는 C1-C4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10의 아릴, C1-C4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8의 헤테로아릴이고, Ar2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20의 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20의 헤테로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단일 고리 또는 다중 고리의 C3-C20 지방족 고리 또는 방향족 고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20의 아릴아민이고, 헤테로알킬 또는 헤테로아릴 중 하나 이상의 탄소 원자는 O, S, N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헤테로원자로 치환되고, 상기 치환은 듀테륨, C1-C4 알킬, 페닐, 나프틸 또는 비페닐에 의한 치환이다.
바람직한 화합물로서, Ar1 또는 Ar2 중 적어도 하나는 하기 구조식 (III)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R1은 단일 결합, C1-C8 알킬렌, C1-C8 헤테로알킬렌, C3-C8 시클로알킬렌, C1-C8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30 아릴렌, C1-C8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28의 헤테로아릴렌이고, 여기에서 R2는 수소, 듀테륨, 할로겐, C1-C8 알킬, C1-C8 헤테로알킬, C3-C8 시클로알킬, C1-C8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30의 아릴, C1-C8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30의 헤테로아릴이다.
Figure pct00003
(III)
바람직한 화합물로서, 하기 식 (IV) 구조일 수 있다. 여기에서 R1은 단일 결합, C1-C8 알킬렌, C1-C8 헤테로알킬렌, C3-C8 시클로알킬렌, C1-C8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30의 아릴렌, C1-C8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28의 헤테로아릴렌이고, R2는 수소, 듀테륨, 할로겐, C1-C8 알킬, C1-C8 헤테로알킬, C3-C8 시클로알킬, C1-C8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30의 아릴, C1-C8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30의 헤테로아릴이고, Ar1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된 C6-C30의 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30의 헤테로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단일 고리 또는 다중 고리 C3-C30 지방족 고리 또는 방향족 고리이고, A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30의 아릴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30의 헤테로아릴렌이고, 헤테로알킬 또는 헤테로아릴 중 하나 이상의 탄소 원자는 O, S, N, Si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헤테로 원자로 치환되고, 상기 치환은 듀테륨, 할로겐, C1-C8 알킬, 페닐, 나프틸 또는 비페닐에 의한 치환이다.
Figure pct00004
(IV)
바람직하게는, 여기에서 R1은 C1-C8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20의 아릴렌, C1-C8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8의 헤테로아릴렌이고, R2는 C1-C8 알킬, C1-C8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20의 아릴, C1-C8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20의 헤테로아릴이고, Ar1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20의 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20의 헤테로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단일 고리 또는 다중 고리의 C3-C20 지방족 고리 또는 방향족 고리이고 A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20의 아릴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20의 헤테로아릴렌이고, 헤테로알킬 또는 헤테로아릴 중 하나 이상의 탄소 원자는 O, S, N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헤테로원자로 치환되고, 상기 치환은 듀테륨, C1-C8 알킬, 페닐, 나프틸 또는 비페닐에 의한 치환이다.
바람직하게는, X1, X2, X3 및 X4는 독립적으로 CR0으로 표시되고, R0은 독립적으로 수소, C1-C8 알킬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한 화합물로서 하기 화합물이다.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8
Figure pct00009
바람직한 화합물로서 하기 화합물이다.
Figure pct00010
Figure pct00011
Figure pct00012
Figure pct00013
Figure pct00014
Figure pct00015
Figure pct00016
Figure pct00017
Figure pct00018
Figure pct00019
Figure pct00020
상기 응용은 상기 화합물을 OLED 소자의 광 추출층 재료로 사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미다조피리딘의 방향족 아민류 화합물 재료는 낮은 승화온도, 우수한 열 안정성, 높은 발광효율, 높은 굴절률, 작은 가시광선 영역의 굴절률 차이 등의 장점을 가지며, 유기 발광 소자에 사용될 수 있다. 광 추출층 재료로서 상기 소자는 발광효율이 높고 장기간 열안정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어 AMOLED 산업에 적용할 가능성이 있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없다.
본 발명의 화합물 합성에 언급된 원료와 용매 등은 모두 Alfa, Acros 등 당업자에게 공지된 공급 업체로부터 구매한다.
실시예 1:
(1) 화합물 A1의 합성:
Figure pct00021
화합물 03의 합성: 하나의 2L 3구 플라스크에 화합물 01(80g, 256.4mmol, 1.0eq), 화합물 02(71.64g, 769.2mmol, 3.0eq), t-BuONa(49.2g, 512.8mmol, 2.0eq), Pd2(dba)3(2.35g, 2.56mmol, 0.01eq), X-phos(2.44g, 5.13mmol, 0.02eq), 분자체 건조 톨루엔(800ml)을 순차적으로 플라스크에 넣고, 진공으로 질소를 3회 치환하고, 오일 배스를 약 108도까지 가열하며, 보온하여 2시간 동안 교반 및 환류하고, 샘플링하여 포인트 플레이트 01 원료 반응을 완료한다. 반응액을 80℃로 냉각하고 메탄올(800ml)을 점적하여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상온으로 냉각한 후 흡인 여과하여 고체를 획득하고 THF(900ml)와 n-헥산(600ml)을 첨가하여 2시간 동안 가열하여 슬러리화하며, 흡인 여과 및 건조하여 회백색 고체 71.5g을 82.8% 수율로 획득하였다. 질량 스펙트럼: 337.4(M+H)
화합물 06의 합성: 2L의 1구 플라스크에 화합물 04(76g, 214.6mmol, 1.0eq), 화합물 05(50.5g, 536.6mmol, 2.5eq), NaHCO3(27.05g, 322mmol, 1.5eq), 이소프로판올(700ml)을 차례로 플라스크에 투입한다. 오일 배스를 약 80도까지 가열하고 보온하여 7시간 동안 교반 및 환류하고, 샘플링하여 포인트 플레이트 원료 반응을 완료한다. 온도를 강하시키고 탈이온수를 점적하며 약 2시간 동안 교반하고 흡인 여과한다. 고체는 에틸아세테이트로 슬러리화하며, 흡인 여과 및 건조한다. 백색 고체 화합물 06 54.5g을 수율 72.7%로 획득하였다. 질량 스펙트럼: 349.2(M+H)
화합물 A1의 합성: 하나의 2L 3구 플라스크에 화합물 06(45.7, 130.8mmol, 2.2eq), 화합물 03(20g, 59.4mmol, 1eq), t-BuONa(17.1g, 178.3mmol, 3.0eq), Pd2(dba)3(1.09g, 1.19mmol, 0.02eq), X-phos(1.13g, 2.38mmol, 0.04eq), 분자체 건조 톨루엔(600ml)을 플라스크에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진공으로 질소를 3회 치환하고, 오일 배스를 약 108도까지 가열하며, 보온하여 16시간 동안 교반 및 환류하고, 샘플링하여 포인트 플레이트 06 원료 반응을 완료한다. 반응액을 80℃로 냉각하고, n-헥산(800ml)을 점적하여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상온으로 냉각시킨 후 흡인 여과하여 고체를 수득하고 디클로로메탄(1.6L)을 첨가하여 완전히 용해시키고, 탈이온수로 4회 세척하며(500ml*4), 액체를 분리한 후 유기상은 실리카겔로 여과하며, 소량의 디클로로메탄으로 실리카겔을 헹구고 유기상을 농축하여 고체를 획득하며, 테트라히드로푸란/메탄올(250ml/300ml)을 채택해 2회 재결정화하며 건조시켜 담황색 고체 32g을 61.6%의 수율로 획득하였다. 수득한 합성품을 승화 정제하여 담황색 고체 화합물 A1 21.2g을 66.2%의 수율로 얻었다. 질량 스펙트럼: 874.1(M+H)
1H NMR (400MHz, CDCl3) δ 8.01 (d, J = 6.8 Hz, 2H), 7.72 (d, J = 8.0Hz, 3H), 7.64 (d, J = 9.0Hz, 2H), 7.51 (d, J = 8.3 Hz, 4H), 7.40-7.13 (m, 23H), 7.10 (d, J = 7.2 Hz, 2H), 6.74 (d, J = 6.8Hz, 2H).
(2) 화합물 A16의 합성:
Figure pct00022
화합물 08의 합성: 대응하는 재료를 선택하여, 화합물 03의 합성 방식과 처리 방법을 참조하며, 대응하는 원료만 변경하면 된다. 질량 스펙트럼: 412.5(M+H)
화합물 A16의 합성: 대응하는 재료를 선택하고 화합물 A1의 합성, 승화에 따라 황색 고체 화합물 A16을 얻었다. 질량 스펙트럼: 949.1(M+H). 1H NMR (400MHz, CDCl3) δ 8.48 (d, 2H), 7.73 (dd, 4H), 7.58 - 7.44 (m, 12H), 7.37 (m, 8H), 7.33 - 7.17 (m, 14H), 7.08 (d, 4H), 7.00 (d, 2H), 6.86 (d, 2H).
(3) 화합물 A17의 합성:
Figure pct00023
화합물 10의 합성: 대응하는 재료를 선택하여, 화합물 03의 합성 방식과 처리 방법을 참조하며, 대응하는 원료만 변경하면 된다. 질량 스펙트럼: 377.5(M+H)
화합물 A17의 합성: 대응하는 재료를 선택하고 화합물 A1의 합성, 승화에 따라 황색 고체 화합물 A17을 얻었다. 질량 스펙트럼: 913.1(M+H). 1H NMR (400MHz, CDCl3) δ 8.48 (d, 2H), 7.86 (d, 2H), 7.73 (dd, 4H), 7.49 (dd, J = 14.4, 9.4 Hz, 10H), 7.37 (m, 4H), 7.25 (dd, J = 28.1, 8.1Hz, 12H), 7.08 (m, 4H), 7.00 (d, 2H), 6.86 (d, 2H), 1.69 (s, 6H).
(4) 화합물 A22의 합성:
Figure pct00024
화합물 12의 합성: 대응하는 재료를 선택하여, 화합물 06의 합성 방식과 처리 방법을 참조하며, 대응하는 원료만 변경하면 된다. 질량 스펙트럼: 349.03(M+H)
화합물 A22의 합성: 대응하는 재료를 선택하고 화합물 A1의 합성, 승화에 따라 황색 고체 화합물 A22를 얻었다. 질량 스펙트럼: 873.1(M+H). 1H NMR (400MHz, CDCl3) δ 8.48 (d, 2H), 7.73 (dd, 4H), 7.60 - 7.42 (m, 12H), 7.37 (m, 8H), 7.33-7.16 (m, 10H), 7.04 (d, J = 40.0Hz, 6H), 6.86 (d, 2H).
(5) 화합물 B86의 합성:
Figure pct00025
화합물 14의 합성: 대응하는 재료를 선택하여, 화합물 06의 합성 방식 및 처리 방법을 참조하며, 대응하는 원료만 변경하면 된다. 질량 스펙트럼: 397.30(M+H)
화합물 15의 합성: 대응하는 재료를 선택하여, 화합물 03의 합성 방식 및 처리 방법을 참조하며, 대응하는 원료만 변경하면 된다. 질량 스펙트럼: 361.4(M+H)
화합물 17의 합성: 하나의 2L 3구 플라스크에 화합물 15(45g, 124.5mmol, 1.0eq), 화합물 16(36.98g, 130.7mmol, 1.05eq), CuI(2.37g, 12.45mmol, 12eq), 1, 10-페난트롤린(4.49g, 24.9mmol, 0.2eq), K2CO3(34.41g, 2.49mmol, 0.04eq), DMF(450ml)를 플라스크에 넣고 진공에서 질소로 3회 치환하고 오일 배스에서 약 120도까지 가열하며, 보온하여 8시간 동안 교반하고, 샘플링하여 포인트 플레이트 15 원료 반응을 완료한다. 반응액을 40℃로 냉각하고, 탈이온수(800ml)를 점적하여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실온으로 냉각하고 여과하여 고체를 수득하며 톨루엔(400ml)을 첨가하여 완전히 용해시키고, 탈이온수로 세척하며(100ml*3), 액체를 분리한 후 유기상을 실리카겔로 여과하고, 소량의 톨루엔으로 실리카겔을 헹구며, 250ml이 남을 때까지 유기상을 농축한 후, 메탄올(300ml)을 점적하여 결정화하고, 여과 및 건조하여 회백색 고체 화합물 17 50.34g을 78.3%의 수율로 얻었다. 질량 스펙트럼: 516.4(M+H)
화합물 18의 합성: 하나의 1L 1구 플라스크에 화합물 17(32.5g, 62.9mmol, 1.0eq), 비스(피나콜라토)디보론(19.18g, 75.52mmol, 1.2eq), Pd(dppf)Cl2(0.92g, 1.26mmol, 0.02eq), 아세트산칼륨(12.35g, 125.8mmol, 2eq), 디옥산(350ml)를 순차적으로 플라스크에 넣고, 오일 배스에서 약 100도까지 가열하며, 보온하여 6시간 동안 교반하고, 샘플링하여 포인트 플레이트 17 원료 반응을 완료한다. 반응액을 40℃로 냉각하고, 반응액을 200ml로 감압 농축하고 메탄올(400ml)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고, 여과하여 고체를 획득하며 n-헥산(400ml)을 첨가하고 50℃에서 2시간 동안 슬러리화하고, 여과 및 건조하여 회백색 고체 화합물 18 30.35g을 86.1%의 수율로 얻었다. 질량 스펙트럼: 563.5(M+H)
화합물 B86의 합성: 하나의 1L 3구 플라스크에 화합물 18(28.0g, 49.69mmol, 1.0eq), 화합물 19(23.67g, 49.69mmol, 1.0eq), K2CO3(13.73g, 99.38mmol, 2.0eq), Pd132(0.35g, 0.49mmol, 0.01eq), 톨루엔(280ml), 에탄올(56ml), 탈이온수(56ml)를 순차적으로 플라스크에 넣고, 진공에서 질소로 3회 치환하며, 오일 배스에서 약 75도까지 가열하며, 보온하여 16시간 동안 교반 및 환류하고, 샘플링하여 포인트 플레이트 18 원료 반응을 완료한다. 반응액을 60℃로 냉각하고 톨루엔(200ml), 탈이온수(100ml)를 첨가하며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액체를 분리한 다음 유기층을 실리카겔로 여과하고 소량 톨루엔으로 실리카겔을 헹구며, 유기상을 농축하여 고체를 획득하고, 톨루엔/메탄올(220ml/250ml)을 채택해 3회 재결정하고 건조하여 담황색 고체 29.47g을 71.2%의 수율로 획득하였다. 수득한 합성품을 승화 정제하여 담황색 고체 화합물 B86 22.3g을 75.6%의 수율로 얻었다. 질량 스펙트럼: 833.1(M+H). 1H NMR (400MHz, CDCl3) δ 8.48 (d, 1H), 7.75 (dd, 4H), 7.62 - 7.42 (m, 19H), 7.39 (m, J = 20.0Hz, 9H), 7.33 - 7.14 (m, 7H), 7.08 (d, 2H), 7.00 (d, 1H), 6.86 (d, 1H).
(6) 화합물 B111의 합성:
Figure pct00026
화합물 B111의 합성: 대응하는 재료를 선택하여, 화합물 B86의 합성 방식 및 처리 방법을 참조하며, 대응하는 원료만 변경하면 된다. 질량 스펙트럼: 897.1(M+H). 1H NMR (400MHz, CDCl3) δ8.48 (d, 1H), 7.96 (m, 6H), 7.75 (m, 4H), 7.60 - 7.34 (m, 16H), 7.33 - 7.15 (m, 13H), 7.08 (d, 2H), 7.00 (d, 1H), 6.86 (d, 1H).
(7) 화합물 B130의 합성:
Figure pct00027
화합물 B130의 합성: 대응하는 재료를 선택하여, 화합물 B86의 합성 방식 및 처리 방법을 참조하며, 대응하는 원료만 변경하면 된다. 질량 스펙트럼: 913.2(M+H). 1H NMR (400MHz, CDCl3) δ 8.48 (d, 1H), 7.95-7.79 (m, 6H), 7.60-7.44 (m, 14H), 7.36 (m, J = 13.6Hz, 7H), 7.30-7.15 (m, 8H), 7.08 (d, 2H), 7.00 (d, 1H), 6.86 (d, 1H), 1.69 (s, 12H).
(8) 화합물 B137의 합성:
Figure pct00028
화합물 B137의 합성: 대응하는 재료를 선택하여, 화합물 B86의 합성 방식 및 처리 방법을 참조하며, 대응하는 원료만 변경하면 된다. 질량 스펙트럼: 679.8(M+H). 1H NMR (400MHz, CDCl3) 8.48(d, 1H), 8.13 - 7.94(m, 3H), 7.84 (d, 2H), 7.63 - 7.46 (m, 9H), 7.45 - 7.29 (m, 5H), 7.29 - 7.13 (m, 9H), 7.04 (d, J = 40.0Hz, 3H), 6.86 (d, 1H).
응용예:
(1) 화합물 성능 비교: 본 발명의 화합물은 OLED 소자에서 광 추출층 재료로 사용될 수 있으며, 유리 전이 온도가 비교적 높고 굴절률이 높으며 가시광 영역에서 굴절률 차이가 작다. 그 성능은 표 1에 나열하였다.
표 1: 굴절률 비교
Figure pct00029
(2)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제작
50mm*50mm*1.0mm이고 ITO(100nm) 투명 전극을 가진 유리 기판을 에탄올에서 10분 동안 초음파 세척한 다음 150도에서 건조한 후 30분 동안 N2 플라즈마 처리를 수행한다. 세척한 유리 기판을 진공 증착 장치의 기판 홀더 상에 장착한다. 먼저 투명 전극선 일측이 있는 면 상에 투명 전극 코팅 방식에 따라 화합물 HATCN을 증착하여, 막 두께가 5nm인 박막을 형성하고, 이어서 한 층의 HTM1를 증착하여 60nm 두께의 박막을 형성한 후, HTM1 박막 상에 한 층의 HTM2를 증착하여 두께가 10nm인 박막을 형성한다. 그 다음 HTM2 막층 상에 다시 공증착의 모드를 채택하여 호스트 재료 CBP와 도핑 재료를 증착하며, 막 두께는 30nm이고, 호스트 재료와 도핑 재료 비율은 90%:10%이다. 발광층 상에서 다시 순차적으로 하기 표의 정공 차단층 재료로 BCP(5nm), 전자 수송 재료로 Alq3(30nm)를 증착하고, 이어서 전자 수송 재료층 상에 LiF(1nm)를 전자 주입 재료로 증착한다. 이어서 공증착의 모드를 채택하여 Mg/Ag(18nm, 1:9)를 음극 재료로 사용하여 증착하며, 마지막으로 음극 재료의 하기 표에 따라 광 추출층 재료로 CPL(50nm)를 증착한다.
Figure pct00030
소자 성능 평가
상기 소자에 대해 소자 성능 테스트를 수행하였으며, 각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정전류 전원(Keithley 2400)을 사용하고 고정된 전류 밀도가 발광 소자를 흐르도록 하며 분광 복사계(CS 2000)를 사용하여 발광 파장 스펙트럼을 테스트하였고, 동시에 소자의 발광효율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표 2와 같다.
표 2
Figure pct00031
상기 표 2의 데이터 비교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화합물을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광 추출층 재료에 적용하면, 비교 화합물의 발광 효율보다 더욱 우수한 성능을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구조의 이미다조피리딘의 방향족 아민류 화합물은 낮은 승화온도, 우수한 열 안정성, 높은 굴절률, 작은 가시광선 영역 굴절률 차이 등의 장점이 있어, 광추출 효율, 필름 상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일련의 화합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OLED 소자는 더 높은 효율을 얻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내용을 요약하면, 이러한 화합물은 AMOLED 산업에서 광 추출층 재료로 적용될 가능성이 있다.

Claims (10)

  1. 이미다조피리딘의 방향족 아민류 화합물에 있어서,
    그 구조식은 식 (I)로 표시되고,
    Figure pct00032
    (I)
    여기에서 n은 1 또는 2이고,
    여기에서 X1, X2, X3, X4는 독립적으로 CR0 또는 N으로 나타내되고, R0은 독립적으로 수소, 듀테륨, 할로겐, C1-C8 알킬, C1-C8 헤테로알킬, 아르알킬, 아미노, 실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60의 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60의 헤테로아릴, 니트릴, 이소니트릴로부터 선택되고, 인접한 R0은 결합하여 축합 고리를 형성할 수 있고,
    여기에서 R1은 단일 결합, C1-C30 알킬렌, C1-C30 헤테로알킬렌, C3-C30 시클로알킬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30의 아릴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28의 헤테로아릴렌이고,
    여기에서 R2는 독립적으로 수소, 듀테륨, 할로겐, C1-C30 알킬, C1-C30 헤테로알킬, C3-C30 시클로알킬, C1-C30 알콕시, C6-C60 아릴옥시, 아미노, 실릴, 니트릴, 이소니트릴, 포스피노,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60 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60의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에서 Ar1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60 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60의 헤테로아릴, C3-C60 시클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60의 아릴아민이고,
    여기에서 B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60 아릴 또는 아릴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60의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아릴렌, C3-C60 시클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60의 아릴아민 또는 아릴렌아민이고,
    여기에서 헤테로알킬 또는 헤테로아릴 중 하나 이상의 탄소 원자는 O, S, N, Se, Si, Ge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헤테로원자로 치환되고, 상기 치환은 듀테륨, 할로겐, C1-C30 알킬, 페닐, 나프틸 또는 비페닐에 의한 치환인 화합물.
  2. 제1항에 있어서,
    그 구조식은 식 (II)로 표시되고,
    Figure pct00033
    (II)
    여기에서 R1은 단일 결합, C1-C10 알킬렌, C1-C10 헤테로알킬렌, C3-C10 시클로알킬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30의 아릴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28의 헤테로아릴렌이고,
    여기에서 R2는 독립적으로 수소, 듀테륨, 할로겐, C1-C10 알킬, C1-C10 헤테로알킬, C1-C10 알콕시, C3-C30 시클로알킬, C6-C30 아릴옥시, 아미노, 실릴, 니트릴, 이소니트릴, 포스피노,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30 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30의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에서 Ar1, Ar2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30의 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30의 헤테로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단일 고리 또는 다중 고리 C3-C30 지방족 고리 또는 방향족 고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30의 아릴아민이고,
    여기에서 헤테로알킬 또는 헤테로아릴 중 하나 이상의 탄소 원자는 O, S, N, Si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헤테로원자로 치환되고, 상기 치환은 듀테륨, 할로겐, C1-C8 알킬, 페닐, 나프틸 또는 비페닐에 의한 치환인 화합물.
  3. 제2항에 있어서,
    R1은 C1-C8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20의 아릴렌, C1-C8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8의 헤테로아릴렌이고, R2는 C1-C8알킬, C1-C8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20의 아릴, C1-C8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20의 헤테로아릴이고, Ar1, Ar2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20의 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20의 헤테로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단일 고리 또는 다중 고리의 C3-C20 지방족 고리 또는 방향족 고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20의 아릴아민이고, 헤테로알킬 또는 헤테로아릴 중 하나 이상의 탄소 원자는 O, S, N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헤테로원자로 치환되고, 상기 치환은 듀테륨, C1-C8 알킬, 페닐, 나프틸 또는 비페닐에 의한 치환인 화합물.
  4. 제3항에 있어서,
    R1은 C1-C4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10의 아릴렌, C1-C4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8의 헤테로아릴렌이고, Ar1, R2는 C1-C4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10의 아릴, C1-C4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8의 헤테로아릴이고, Ar2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20의 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20의 헤테로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단일 고리 또는 다중 고리의 C3-C20 지방족 고리 또는 방향족 고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20의 아릴아민이고, 헤테로알킬 또는 헤테로아릴 중 하나 이상의 탄소 원자는 O, S, N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헤테로원자로 치환되고, 상기 치환은 듀테륨, C1-C4 알킬, 페닐, 나프틸 또는 비페닐에 의한 치환인 화합물.
  5. 제2항에 있어서,
    Ar1 또는 Ar2 중 적어도 하나는 하기 구조식 (III)을 포함하고,
    Figure pct00034
    (III),
    여기에서 R1은 단일 결합, C1-C8 알킬렌, C1-C8 헤테로알킬렌, C3-C8 시클로알킬렌, C1-C8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30 아릴렌, C1-C8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28의 헤테로아릴렌이고, 여기에서 R2는 수소, 듀테륨, 할로겐, C1-C8 알킬, C1-C8 헤테로알킬, C3-C8 시클로알킬, C1-C8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 C6-C30의 아릴, C1-C8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30의 헤테로아릴인 화합물.
  6. 제1항에 있어서,
    그 구조식은 식 (IV)로 표시되고,
    Figure pct00035
    (IV)
    여기에서 R1은 단일 결합, C1-C8 알킬렌, C1-C8 헤테로알킬렌, C3-C8 시클로알킬렌, C1-C8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30의 아릴렌, C1-C8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28의 헤테로아릴렌이고, R2는 수소, 듀테륨, 할로겐, C1-C8 알킬, C1-C8 헤테로알킬, C3-C8 시클로알킬, C1-C8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30의 아릴, C1-C8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30의 헤테로아릴이고, Ar1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된 C6-C30의 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30의 헤테로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단일 고리 또는 다중 고리 C3-C30 지방족 고리 또는 방향족 고리이고, A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30의 아릴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30의 헤테로아릴렌이고, 헤테로알킬 또는 헤테로아릴 중 하나 이상의 탄소 원자는 O, S, N, Si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헤테로 원자로 치환되고, 상기 치환은 듀테륨, 할로겐, C1-C8 알킬, 페닐, 나프틸 또는 비페닐에 의한 치환인 화합물.
  7. 제6항에 있어서,
    R1은 C1-C8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20의 아릴렌, C1-C8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8의 헤테로아릴렌이고, R2는 C1-C8알킬, C1-C8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20의 아릴, C1-C8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20의 헤테로아릴이고, Ar1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20의 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20의 헤테로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단일 고리 또는 다중 고리의 C3-C20 지방족 고리 또는 방향족 고리이고 A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20의 아릴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20의 헤테로아릴렌이고, 헤테로알킬 또는 헤테로아릴 중 하나 이상의 탄소 원자는 O, S, N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헤테로원자로 치환되고, 상기 치환은 듀테륨, C1-C8 알킬, 페닐, 나프틸 또는 비페닐에 의한 치환인 화합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X1, X2, X3 및 X4는 독립적으로 CR0으로 표시되고, R0은 독립적으로 수소, C1-C8 알킬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9. 제1항에 있어서,
    그 구조식은 하기 식 중 하나로 표시되는 화합물.
    Figure pct00036

    Figure pct00037

    Figure pct00038

    Figure pct00039

    Figure pct00040

    Figure pct00041

    Figure pct00042

    Figure pct00043

    Figure pct00044

    Figure pct00045

    Figure pct00046

    Figure pct00047

    Figure pct00048

    Figure pct00049
  10. OLED 소자에서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의 응용에 있어서,
    상기 응용은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을 OLED 소자의 광 추출층 재료로 사용하는 것인 응용.
KR1020227013151A 2019-12-11 2020-09-19 이미다조피리딘의 방향족 아민류 화합물 및 그 응용 KR2022006634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1268938.0A CN112940013B (zh) 2019-12-11 2019-12-11 一种咪唑并吡啶的芳胺类化合物及其应用
CN201911268938.0 2019-12-11
PCT/CN2020/116333 WO2021114801A1 (zh) 2019-12-11 2020-09-19 一种咪唑并吡啶的芳胺类化合物及其应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6342A true KR20220066342A (ko) 2022-05-24

Family

ID=76234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3151A KR20220066342A (ko) 2019-12-11 2020-09-19 이미다조피리딘의 방향족 아민류 화합물 및 그 응용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063748A1 (ko)
JP (1) JP2023503114A (ko)
KR (1) KR20220066342A (ko)
CN (1) CN112940013B (ko)
DE (1) DE112020004795T5 (ko)
TW (1) TWI752665B (ko)
WO (1) WO20211148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48842B (zh) * 2022-08-29 2024-04-19 江苏南大光电材料股份有限公司 联苯二胺型芳胺化合物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2004A (ko) * 2003-02-07 2004-08-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소자용 발광 화합물 및 그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 소자
EP2067778B1 (en) * 2007-12-03 2016-08-1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Quinoxaline derivative, and light emitting element, light emitting device and electronic appliance using the same
US8329917B2 (en) * 2009-03-31 2012-12-1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Heterocyclic compound and light-emitting element, light-emitting device, light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101270505B1 (ko) * 2009-05-20 2013-06-03 덕산하이메탈(주) 3개의 카바졸을 가지는 아민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기소자, 그 단말
CN102070632B (zh) * 2009-11-20 2013-09-11 中国科学院理化技术研究所 吡啶并咪唑衍生物及其在有机电致发光器件中的应用
US20140225100A1 (en) * 2011-09-12 2014-08-14 Hodogaya Chemical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KR102086548B1 (ko) * 2012-12-17 2020-03-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파이렌계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한 유기 발광 소자
JP5749870B1 (ja) * 2013-07-03 2015-07-15 保土谷化学工業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KR20160001508A (ko) * 2014-06-27 2016-01-06 희성소재 (주) 헤테로고리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발광소자
KR101694492B1 (ko) * 2014-11-12 2017-01-11 (주)위델소재 아민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 발광소자
TWI543982B (zh) * 2014-12-10 2016-08-01 Univ Nat Chi Nan A compound containing an imidazol [1,2-a] pyrimidine structure, and a preparation thereof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containing them
KR102649051B1 (ko) * 2016-11-30 2024-03-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화합물과 이를 이용한 발광다이오드 및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CN108358932A (zh) * 2018-02-07 2018-08-03 上海道亦化工科技有限公司 一种氮杂环化合物及其用途和有机电致发光器件
CN111211235B (zh) * 2018-11-22 2023-08-08 固安鼎材科技有限公司 有机电致发光器件
CN110845501B (zh) * 2018-12-10 2021-03-19 广州华睿光电材料有限公司 一种芳胺化合物及其在有机电子器件上的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122398A (zh) 2021-06-16
WO2021114801A1 (zh) 2021-06-17
DE112020004795T5 (de) 2022-06-23
TWI752665B (zh) 2022-01-11
JP2023503114A (ja) 2023-01-26
US20230063748A1 (en) 2023-03-02
CN112940013B (zh) 2024-03-26
CN112940013A (zh) 2021-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2328B1 (ko) 신규한 안트라센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유기 전기 발광 소자
KR101812581B1 (ko) 유기광전자소자용 유기합화물, 유기 광전자 소자 및 표시 장치
KR100963378B1 (ko) 유기 금속 착물 유도체 및 이를 이용하는 유기발광소자
KR101012578B1 (ko) 신규한 디아민 유도체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자 소자
JP2017008061A (ja) 新規有機電界発光化合物およびこれを使用する有機電界発光素子
KR20090073925A (ko) 신규한 유기 발광 화합물 및 이를 발광재료로서 채용하고있는 유기 발광 소자
KR101837565B1 (ko) 유기 화합물, 유기 광전자 소자 및 표시 장치
KR20170092129A (ko) 축합고리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소자
KR20080010186A (ko) 안트라센 유도체, 이를 이용한 유기 전자 소자 및 이 유기전자 소자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10057008A (ko) 신규한 디아민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자 소자
KR102615337B1 (ko) 이미다조 질소 헤테로고리 화합물 및 그 응용
KR20220066342A (ko) 이미다조피리딘의 방향족 아민류 화합물 및 그 응용
KR102061246B1 (ko) 유기 광전자 소자용 화합물, 유기 광전자 소자용 조성물, 유기 광전자 소자 및 표시 장치
KR20160036162A (ko) 유기발광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KR102657636B1 (ko) 안트라센계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코팅조성물 및 유기 발광 소자
JP2023503108A (ja) 化合物及び当該化合物を含有する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KR101926022B1 (ko) 유기 화합물, 유기 광전자 소자 및 표시 장치
KR20140128891A (ko) 방향족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자 소자
KR102671242B1 (ko) 유기 금속 화합물 및 이의 응용
KR102643077B1 (ko) 헤테로고리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KR20100045311A (ko) 신규한 디티에노피롤 유도체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기소자
KR20170134050A (ko) 유기 화합물, 유기 광전자 소자 및 표시 장치
KR20150102760A (ko) 신규한 유기 발광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20150102759A (ko) 신규한 유기 발광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20210133043A (ko) 유기 광전자 소자용 화합물, 유기 광전자 소자 및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