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5537A - 촬상 광학계 - Google Patents

촬상 광학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5537A
KR20220065537A KR1020200152160A KR20200152160A KR20220065537A KR 20220065537 A KR20220065537 A KR 20220065537A KR 1020200152160 A KR1020200152160 A KR 1020200152160A KR 20200152160 A KR20200152160 A KR 20200152160A KR 20220065537 A KR20220065537 A KR 202200655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optical system
imaging optical
effective radius
im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2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7511B1 (ko
Inventor
조용주
허재혁
강영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52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7511B1/ko
Priority to US17/239,793 priority patent/US20220155563A1/en
Priority to TW110115552A priority patent/TWI775415B/zh
Priority to TW112120561A priority patent/TW202338420A/zh
Priority to TW111127957A priority patent/TWI807937B/zh
Priority to CN202210423743.4A priority patent/CN114624862B/zh
Priority to CN202121771422.0U priority patent/CN215340518U/zh
Priority to CN202311105214.0A priority patent/CN116990940A/zh
Priority to CN202110869321.5A priority patent/CN114488471A/zh
Publication of KR20220065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5537A/ko
Priority to KR1020230066409A priority patent/KR202300793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7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75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05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having F-Theta characteristic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4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five or mor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5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employing a special optical element
    • G02B13/006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employing a special optical element having a beam-folding prism or mirro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2Telephoto objectives, i.e. systems of the type + - in which the distance from the front vertex to the image plane is less than the equivalent focal length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18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with lenses having one or more non-spherical faces, e.g. for reducing geometrical aberr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87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index gradi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6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five components onl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es (AREA)
  • Optical Radar Systems And Details Thereof (AREA)
  • Cameras In General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배치된 제1 렌즈, 제2 렌즈, 제3 렌즈, 제4 렌즈 및 제5 렌즈;를 포함하고, LfS2el/L1S1el ≤ 0.65; 및 0.05 < T1/TTL < 0.1 을 만족하며, LfS2el은 상기 제5 렌즈의 상측 면의 최대 유효 반경, L1S1el은 상기 제1 렌즈의 물체측 면의 최대 유효 반경, T1은 상기 제1 렌즈의 광축 상 두께, TTL은 상기 제1 렌즈의 물체측 면으로부터 이미지 센서의 촬상면까지의 광축 상 거리이다.

Description

촬상 광학계{Optical imaging system}
본 발명은 촬상 광학계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에 카메라가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 휴대용 전자기기의 소형화 요구에 따라 휴대용 전자기기에 장착되는 카메라도 소형화가 요구되고 있다.
나아가, 최근에는 좁은 화각으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줌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휴대용 전자기기에서 망원 카메라가 채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와 같이 휴대용 전자기기의 두께방향으로 복수의 렌즈가 배치되는 경우 렌즈의 매수가 증가할수록 휴대용 전자기기의 두께가 증가하게 되므로, 휴대용 전자기기의 소형화 추세에 맞지않는 문제가 있다.
특히, 망원 카메라의 경우 상대적으로 긴 초점거리를 갖기 때문에, 두께가 얇은 휴대용 전자기기에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두께가 얇은 휴대용 전자기기에 탑재할 수 있고, 긴 초점거리를 갖는 촬상 광학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배치된 제1 렌즈, 제2 렌즈, 제3 렌즈, 제4 렌즈 및 제5 렌즈;를 포함하고, LfS2el/L1S1el ≤ 0.65; 및 0.05 < T1/TTL < 0.1 을 만족하며, LfS2el은 상기 제5 렌즈의 상측 면의 최대 유효 반경, L1S1el은 상기 제1 렌즈의 물체측 면의 최대 유효 반경, T1은 상기 제1 렌즈의 광축 상 두께, TTL은 상기 제1 렌즈의 물체측 면으로부터 이미지 센서의 촬상면까지의 광축 상 거리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배치된 제1 렌즈, 제2 렌즈, 제3 렌즈 및 제4 렌즈;를 포함하고, L3S1el/L1S1el ≤ 0.85; 및 0.05 < T1/TTL < 0.1 을 만족하며, L3S1el은 상기 제3 렌즈의 물체측 면의 최대 유효 반경, L1S1el은 상기 제1 렌즈의 물체측 면의 최대 유효 반경, T1은 상기 제1 렌즈의 광축 상 두께, TTL은 상기 제1 렌즈의 물체측 면으로부터 이미지 센서의 촬상면까지의 광축 상 거리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두께가 얇은 휴대용 전자기기에 탑재할 수 있고, 긴 초점거리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수차 특성을 나타낸 곡선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수차 특성을 나타낸 곡선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수차 특성을 나타낸 곡선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구성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수차 특성을 나타낸 곡선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구성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수차 특성을 나타낸 곡선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구성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수차 특성을 나타낸 곡선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구성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수차 특성을 나타낸 곡선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구성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수차 특성을 나타낸 곡선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비원형 렌즈의 평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가 장착된 휴대용 전자기기의 측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또는 삭제 등을 통하여,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아울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의 렌즈 구성도에서 렌즈의 두께, 크기 및 형상은 설명을 위해 다소 과장되게 도시되었으며, 특히 렌즈 구성도에서 제시된 구면 또는 비구면의 형상은 일 예로 제시되었을 뿐 이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광축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는 각각 광축을 따라 기설정된 거리만큼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는 적어도 4매의 렌즈를 포함한다.
일 예로, 촬상 광학계는 4매 이상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4매 또는 5매의 렌즈를 갖는 촬상 광학계를 개시하나, 렌즈의 개수에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촬상 광학계는 6매 이상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최전방 렌즈는 물체측(또는 반사부재)에 가장 가까운 렌즈를 의미하고, 최후방 렌즈는 이미지 센서에 가장 가까운 렌즈를 의미한다.
또한, 각각의 렌즈에서 제1 면은 물체측에 가까운 면(또는, 물체측 면)을 의미하고, 제2 면은 상측에 가까운 면(또는, 상측 면)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렌즈의 곡률 반지름(Radius of curvature), 두께(Thickness) 등에 대한 수치는 모두 ㎜ 단위이고, 각도의 단위는 Degree 이다.
아울러, 각 렌즈의 형상에 대한 설명에서 일면이 볼록한 형상이라는 의미는 해당 면의 근축 영역 부분이 볼록하다는 의미이고, 일면이 오목한 형상이라는 의미는 해당 면의 근축 영역 부분이 오목하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렌즈의 일면이 볼록한 형상이라고 설명되어도, 렌즈의 가장자리 부분은 오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렌즈의 일면이 오목한 형상이라고 설명되어도, 렌즈의 가장자리 부분은 볼록할 수 있다.
한편, 근축 영역(Paraxial Region)이라 함은 광축 근처의 매우 좁은 영역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적어도 4매의 렌즈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배치되는 제1 렌즈, 제2 렌즈, 제3 렌즈 및 제4 렌즈를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촬상 광학계가 4매의 렌즈로만 구성되는 것은 아니며 제5 렌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촬상 광학계는 광 경로를 변화시키는 반사면을 갖는 반사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반사부재는 미러 또는 프리즘일 수 있다.
반사부재는 복수의 렌즈보다 물체측에 가깝게 배치된다. 일 예로, 반사부재는 제1 렌즈의 전방(즉, 제1 렌즈보다 물체 측에 가깝게)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물체측에 가장 가깝게 배치된 렌즈는 반사부재에 가장 가깝게 배치된 렌즈일 수 있다.
또한, 촬상 광학계는 입사된 피사체의 상을 전기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이미지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촬상 광학계는 적외선을 차단하기 위한 적외선 차단필터(이하, 필터라 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터는 이미지 센서에 가장 가깝게 배치된 렌즈와 이미지 센서 사이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를 구성하는 모든 렌즈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17을 참조하면, 촬상 광학계의 적어도 일부의 렌즈는 비원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다. 예를 들어, 최전방 렌즈와 최후방 렌즈는 비원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다. 나머지 렌즈들은 비원형의 평면 형상을 갖거나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비원형인 렌즈는 4개의 측면을 갖고, 2개의 측면끼리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다. 또한, 서로 마주보는 측면은 대응되는 형상이다.
예컨대, 제1 렌즈는 제1 측면, 제2 측면, 제3 측면 및 제4 측면을 포함한다. 제1 측면과 제2 측면은 광축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고, 제3 측면과 제4 측면은 광축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측에 위치한다. 제3 측면과 제4 측면은 각각 제1 측면과 제2 측면을 연결한다.
광축 방향에서 바라볼 때, 제1 렌즈의 제1 측면과 제2 측면은 원호(arc) 형상이고, 제3 측면과 제4 측면은 대체로 직선 형상이다. 수지재의 이동통로인 게이트는 제1 측면 및 제2 측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측면과 제4 측면은 각각 제1 측면과 제2 측면을 연결한다. 또한, 제3 측면과 제4 측면은 광축을 중심으로 대칭이며, 서로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비원형인 렌즈는 광축과 교차하는 제1 축과 제2 축을 갖는다. 예컨대, 제1 축은 광축을 지나면서 제1 측면과 제2 측면을 연결하는 축일 수 있고, 제2 축은 광축을 지나면서 제3 측면과 제4 측면을 연결하는 축일 수 있다. 제1 축과 제2 축은 서로 수직하며, 제1 축의 길이는 제2 축의 길이보다 길다.
예컨대, 제1 렌즈는 광축과 교차하고 서로 수직한 두 개의 축 중 어느 한 축의 길이가 다른 한 축의 길이보다 길다.
촬상 광학계의 모든 렌즈는 광학부(10)와 플랜지부(30)를 포함한다.
광학부(10)는 렌즈의 광학 성능이 발휘되는 부분일 수 있다. 일 예로, 피사체로부터 반사된 빛이 광학부(10)를 통과하며 굴절될 수 있다.
광학부(10)는 굴절력을 가질 수 있고, 비구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광학부(10)는 물체측 면(물체측을 향하는 면)과 상측 면(상측을 향하는 면)을 포함한다(도 17에는 물체측 면이 도시됨).
플랜지부(30)는 렌즈를 다른 구성, 일 예로, 렌즈 배럴 또는 다른 렌즈에 고정하는 부분일 수 있다.
플랜지부(30)는 광학부(10)의 적어도 일부의 둘레에서 연장되며, 광학부(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비원형인 렌즈는 광학부(10)와 플랜지부(30)가 비원형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광학부(10)와 플랜지부(30)는 광축 방향에서 바라볼 때 비원형이다(도 17 참조). 이와는 달리 광학부(10)는 원형이고 플랜지부(30)가 비원형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광학부(10)는 제1 가장자리(11), 제2 가장자리(12), 제3 가장자리(13) 및 제4 가장자리(14)를 포함하고, 제1 가장자리(11)와 제2 가장자리(12)는 서로 마주보게 위치하며, 제3 가장자리(13)와 제4 가장자리(14)는 서로 마주보게 위치한다.
제3 가장자리(13)와 제4 가장자리(14)는 각각 제1 가장자리(11)와 제2 가장자리(12)를 연결한다.
제1 가장자리(11)와 제2 가장자리(12)는 광축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고, 제3 가장자리(13)와 제4 가장자리(14)는 광축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측에 위치한다.
광축 방향에서 바라볼 때, 제1 가장자리(11)와 제2 가장자리(12)는 원호(arc) 형상을 갖고, 제3 가장자리(13)와 제4 가장자리(14)는 대체로 직선 형상을 갖는다. 제3 가장자리(13)와 제4 가장자리(14)는 광축(Z축)을 중심으로 대칭이며, 서로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장자리(11)와 제2 가장자리(12) 사이의 최단거리는 제3 가장자리(13)와 제4 가장자리(14) 사이의 최단거리보다 길다.
광학부(10)는 장축(a, Major axis)과 단축(b, Minor axis)을 갖는다. 일 예로, 광축 방향에서 바라볼 때, 광축을 지나면서 제3 가장자리(13)와 제4 가장자리(14)를 최단거리로 연결하는 선분이 단축(b)이고, 광축을 지나면서 제1 가장자리(11)와 제2 가장자리(12)를 연결하며 단축(b)에 수직한 선분이 장축(a)이다.
여기서, 장축(a)의 절반이 최대 유효 반경이고, 단축(b)의 절반이 최소 유효 반경이다.
도 17에 도시된 렌즈가 최전방 렌즈(예컨대, 제1 렌즈)라고 가정하면, 최전방 렌즈의 물체측 면의 최대 유효 반경은 도 17의 식별부호 L1S1el이고, 최전방 렌즈의 물체측 면의 최소 유효 반경은 도 17의 식별부호 L1S1es이다.
플랜지부(30)는 제1 플랜지부(31) 및 제2 플랜지부(32)를 포함하고, 제1 플랜지부(31)는 광학부(10)의 제1 가장자리(11)에서 연장되며, 제2 플랜지부(32)는 광학부(10)의 제2 가장자리(12)에서 연장된다.
광학부(10)의 제1 가장자리(11)는 제1 플랜지부(31)와 인접한 부분을 의미할 수 있고, 광학부(10)의 제2 가장자리(12)는 제2 플랜지부(32)와 인접한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광학부(10)의 제3 가장자리(13)는 플랜지부(30)가 형성되지 않은 광학부(10)의 일 측면을 의미할 수 있고, 광학부(10)의 제4 가장자리(14)는 플랜지부(30)가 형성되지 않은 광학부(10)의 타 측면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렌즈와 제2 렌즈의 유효 반경은 다른 렌즈들의 유효 반경보다 클 수 있다.
유효 반경(Effective radius)이란 광이 실제로 통과하는 각 렌즈의 일면(물체측 면 및 상측 면)의 반지름을 의미한다. 즉, 유효 반경은 각 렌즈의 광학부의 반경을 의미할 수 있다.
비원형인 렌즈는 최대 유효 반경(광축을 지나면서 제1 가장자리(11)와 제2 가장자리(12)를 연결하는 직선의 절반)과 최소 유효 반경(광축을 지나면서 제3 가장자리(13)와 제4 가장자리(14)를 연결하는 직선의 절반)을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유효 반경'은 특별한 설명이 없는 한 최대 유효 반경을 지칭하는 것일 수 있다.
복수의 렌즈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비구면을 가질 수 있다.
즉, 각 렌즈의 제1 면 및 제2 면 중 적어도 하나는 비구면일 수 있다. 여기서, 각 렌즈의 비구면은 수학식 1로 표현된다.
Figure pat00001
수학식 1에서 c는 렌즈의 곡률(곡률 반지름의 역수)이고, K는 코닉 상수이고, Y는 렌즈의 비구면 상의 임의의 점으로부터 광축까지의 거리를 나타낸다. 아울러, 상수 A ~ J는 비구면 계수를 의미한다. 그리고 Z는 렌즈의 비구면 상의 임의의 점으로부터 해당 비구면의 정점까지의 거리를 나타낸다.
제1 렌즈 내지 제5 렌즈를 포함하는 촬상 광학계는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정/부/정/부/정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제1 렌즈 내지 제4 렌즈를 포함하는 촬상 광학계는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정/부/정/부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아래의 조건식들 중 적어도 하나를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1] n2+n3 > 3.2
[조건식 2] |f/f1+f/f2| < 1.2
[조건식 3] 0 ≤ d12/f ≤ 0.05
[조건식 4] L3S1el/L1S1el ≤ 0.85
[조건식 5] LfS2el/L1S1el ≤ 0.65
[조건식 6] R1/f ≤ 0.3
[조건식 7] L1_Lf > 4.9
[조건식 8] 0.8 ≤ TTL/f ≤ 0.95
[조건식 9] 0.05 < T1/TTL < 0.1
[조건식 10] FOV < 12°
[조건식 11] 4 < TTL/(2*IMG HT) < 4.9
[조건식 12] 0.4 < BFL/f < 0.7
[조건식 13] Fno ≥ 4.0
Fno는 촬상 광학계의 F 넘버(F-number)이다. n2는 제2 렌즈의 굴절률이고, n3은 제3 렌즈의 굴절률이다.
f1은 제1 렌즈의 초점거리이고, f2는 제2 렌즈의 초점거리이며, f는 촬상 광학계의 전체 초점거리이다.
d12는 제1 렌즈의 상측 면으로부터 제2 렌즈의 물체측 면까지의 광축 상 거리이고, R1은 제1 렌즈의 물체측 면의 곡률 반경이며, T1은 제1 렌즈의 광축 상 두께이다.
L1S1el은 제1 렌즈의 물체측 면의 최대 유효 반경이고, L3S1el은 제3 렌즈의 물체측 면의 최대 유효 반경이고, LfS2el은 최후방 렌즈의 상측 면의 최대 유효 반경이다.
TTL은 제1 렌즈의 물체측 면으로부터 이미지 센서의 촬상면까지의 광축 상 거리이고, BFL은 최후방 렌즈의 상측 면으로부터 이미지 센서의 촬상면까지의 광축 상 거리이다.
L1_Lf는 제1 렌즈의 상측 면으로부터 최후방 렌즈의 물체측 면까지의 광축 상 거리이다.
IMG HT는 이미지 센서의 촬상면의 대각 길이의 절반이고, FOV는 촬상 광학계의 화각이다.
한편, 조건식 1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촬상 광학계의 전체 초점거리를 길게 구현하기 어렵다. 조건식 2의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촬상 광학계의 전체 초점거리를 길게 형성하면서 색수차를 경감시킬 수 있다. 조건식 3의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색수차를 경감시킬 수 있다. 조건식 4와 조건식 5 중 적어도 하나의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촬상 광학계를 소형화시킬 수 있다. 조건식 6의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촬상 광학계의 전체 초점거리를 길게 구현할 수 있다. 조건식 7의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최후방 렌즈의 사이즈를 소형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상대적으로 좁은 화각과 긴 초점거리를 갖는 망원 렌즈의 특징을 가진다.
한편,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가 장착된 휴대용 전자기기는 두께를 줄일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가 장착된 휴대용 전자기기의 측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휴대용 전자기기(1)에는 카메라 모듈이 장착되며, 카메라 모듈은 반사부재(R), 렌즈조립체(2) 및 이미지센서(S)를 포함한다.
렌즈조립체는 렌즈배럴 및 복수의 렌즈(L)를 포함한다. 복수의 렌즈(L)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에 구비되는 복수의 렌즈이다.
렌즈배럴은 일 부분의 두께가 다른 부분의 두께보다 더 얇은 형상을 갖는다. 두께 차이가 나는 부분은 제2 렌즈와 제5 렌즈 사이 중 임의의 위치일 수 있다.
최근 카메라 모듈의 성능이 향상됨에 따라, 카메라 모듈의 일부가 휴대용 전자기기(1)의 외부로 돌출되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가 장착된 휴대용 전자기기(1)는 일 부분의 두께를 얇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휴대용 전자기기(1)의 외부로 돌출되는 카메라 모듈의 면적을 줄일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제1 렌즈(110), 제2 렌즈(120), 제3 렌즈(130), 제4 렌즈(140) 및 제5 렌즈(150)를 구비하는 광학계를 포함하고, 필터(160) 및 이미지 센서(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렌즈(110)의 전방에 배치되고, 광 경로를 변화시키는 반사면을 갖는 반사부재(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반사부재(R)는 프리즘일 수 있으나, 미러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각 렌즈의 렌즈 특성(곡률 반지름(Radius of curvature), 렌즈의 두께(Thickness) 또는 렌즈들 간의 거리(Distance), 굴절률(Index), 아베수(Abbe수), 초점거리(Focal length))은 표 1과 같다. 표 1에서 비원형인 형상을 갖는 렌즈의 유효 반경은 최대 유효 반경을 의미한다. 최소 유효 반경은 최대 유효 반경보다는 작고 최대 유효 반경의 70%와 같거나 70%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면 번호 비고 곡률반경 두께 또는 거리 굴절률 아베수 유효반경 초점거리
S1 프리즘 Infinity 5.500 1.723 29.5 6.000
S2 Infinity 5.500 1.723 29.5 8.485
S3 Infinity 3.000 6.000
S4 제1 렌즈 8.74 1.548 1.534 55.7 3.450 12.886
S5 -31.09 0.213 3.361
S6 제2 렌즈 140.84 0.800 1.615 26.0 3.248 -19.749
S7 11.25 9.350 3.049
S8 제3 렌즈 7.26 1.098 1.671 19.2 1.958 16.283
S9 19.87 0.300 1.850
S10 제4 렌즈 32.05 1.181 1.615 26.0 1.817 -8.336
S11 4.39 0.249 1.688
S12 제5 렌즈 7.27 0.869 1.546 56.1 1.700 28.302
S13 13.12 11.763 1.736
S14 필터 Infinity 0.110 1.519 64.2 3.104
S15 Infinity 0.719 3.113
S16 촬상면 Infinity 3.201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전체 초점거리(f)는 30.9 mm이고, Fno는 4.35이고, IMG HT는 3.201 mm이고, FOV는 11.65°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제1 렌즈(11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1 렌즈(110)의 제1 면과 제2 면은 볼록한 형상이다.
제2 렌즈(12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2 렌즈(120)의 제1 면은 볼록한 형상이고, 제2 렌즈(120)의 제2 면은 오목한 형상이다.
제3 렌즈(13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3 렌즈(130)의 제1 면은 볼록한 형상이고, 제3 렌즈(130)의 제2 면은 오목한 형상이다.
제4 렌즈(14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4 렌즈(140)의 제1 면은 볼록한 형상이고, 제2 면은 오목한 형상이다.
제5 렌즈(15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5 렌즈(150)의 제1 면은 볼록한 형상이고, 제5 렌즈(150)의 제2 면은 오목한 형상이다.
한편, 제1 렌즈(110) 내지 제5 렌즈(150)의 각 면은 표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비구면 계수를 가진다. 예를 들어, 제1 렌즈(110) 내지 제5 렌즈(150)의 물체측 면 및 상측 면은 모두 비구면이다.
S4 S5 S6 S7 S8
K -7.3713E-01 -3.2661E+00 -8.5696E+01 3.7327E-01 4.1164E-01
A 3.7293E-05 1.4393E-04 -2.4483E-04 -4.4303E-04 -3.8384E-04
B -1.3205E-07 -1.4905E-06 8.9417E-06 5.7595E-06 6.4450E-06
C -7.7546E-08 -1.1906E-07 3.3652E-08 -4.7682E-08 -2.2400E-07
D -6.5428E-09 -1.0727E-08 -3.4680E-10 3.0540E-08 1.8331E-07
E -4.9707E-10 -1.0273E-09 -3.0278E-11 2.0416E-09 2.7228E-08
F -3.1330E-11 -8.8556E-11 1.1227E-11 1.6373E-10 4.7133E-09
G -2.2801E-12 -6.2404E-12 5.6861E-13 -7.6874E-13 6.7809E-10
H -2.1100E-13 -3.1669E-13 -5.7758E-14 -6.5107E-13 -2.1905E-11
J -2.0935E-14 6.5628E-15 -5.5717E-14 -1.8042E-13 -3.7065E-14
S9 S10 S11 S12 S13
K 1.6691E+01 8.5470E+01 1.9797E-01 -1.1343E+00 -3.3050E+01
A -5.3971E-04 -4.3757E-04 -7.3405E-04 -1.4005E-03 -3.1549E-04
B 3.3824E-05 -1.8003E-05 3.2494E-06 2.9837E-06 -8.3033E-05
C -4.9844E-07 -3.2489E-06 -1.6481E-05 -5.6275E-06 -3.4249E-05
D -6.5114E-07 -1.0682E-06 -6.0520E-06 -7.4176E-06 1.8621E-06
E -7.7660E-08 -4.4061E-07 4.7899E-08 -3.8499E-08 -6.5323E-08
F 1.0802E-09 1.1319E-09 1.1422E-09 -3.2227E-10 -2.5094E-09
G 1.1701E-09 2.7078E-10 1.4173E-10 3.0022E-11 -2.1357E-10
H 1.3155E-11 1.9693E-12 -1.8858E-12 7.0949E-12 8.8699E-12
J 4.0034E-13 2.8994E-13 -6.3273E-12 1.5073E-12 5.0403E-12
또한, 이와 같이 구성된 촬상 광학계는 도 2에 도시된 수차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제1 렌즈(210), 제2 렌즈(220), 제3 렌즈(230), 제4 렌즈(240) 및 제5 렌즈(250)를 구비하는 광학계를 포함하고, 필터(260) 및 이미지 센서(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렌즈(210)의 전방에 배치되고, 광 경로를 변화시키는 반사면을 갖는 반사부재(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반사부재(R)는 프리즘일 수 있으나, 미러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각 렌즈의 렌즈 특성(곡률 반지름(Radius of curvature), 렌즈의 두께(Thickness) 또는 렌즈들 간의 거리(Distance), 굴절률(Index), 아베수(Abbe수), 초점거리(Focal length))은 표 3과 같다. 표 3에서 비원형인 형상을 갖는 렌즈의 유효 반경은 최대 유효 반경을 의미한다. 최소 유효 반경은 최대 유효 반경보다는 작고 최대 유효 반경의 70%와 같거나 70%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면 번호 비고 곡률반경 두께 또는 거리 굴절률 아베수 유효반경 초점거리
S1 프리즘 Infinity 5.500 1.723 29.5 6.000
S2 Infinity 5.500 1.723 29.5 8.485
S3 Infinity 3.000 6.000
S4 제1 렌즈 7.02 1.800 1.534 55.7 3.500 11.117
S5 -36.25 0.093 3.376
S6 제2 렌즈 78.04 1.321 1.641 23.9 3.274 -13.009
S7 7.49 3.100 2.895
S8 제3 렌즈 8.17 1.444 1.679 19.2 2.588 11.542
S9 -176.02 0.150 2.399
S10 제4 렌즈 198.60 1.147 1.641 23.9 2.336 -9.341
S11 5.80 0.542 2.032
S12 제5 렌즈 10.70 0.850 1.546 56.1 2.000 166.430
S13 11.79 15.391 2.001
S14 필터 Infinity 0.110 1.519 64.2 3.103
S15 Infinity 1.207 3.109
S16 촬상면 Infinity 3.201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전체 초점거리(f)는 30.9 mm이고, Fno는 4.41이고, IMG HT는 3.201 mm이고, FOV는 11.72°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제1 렌즈(21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1 렌즈(210)의 제1 면과 제2 면은 볼록한 형상이다.
제2 렌즈(22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2 렌즈(220)의 제1 면은 볼록한 형상이고, 제2 렌즈(220)의 제2 면은 오목한 형상이다.
제3 렌즈(23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3 렌즈(230)의 제1 면과 제2 면은 볼록한 형상이다.
제4 렌즈(24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4 렌즈(240)의 제1 면은 볼록한 형상이고, 제4 렌즈(240)의 제2 면은 오목한 형상이다.
제5 렌즈(25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5 렌즈(250)의 제1 면은 볼록한 형상이고, 제5 렌즈(250)의 제2 면은 오목한 형상이다.
한편, 제1 렌즈(210) 내지 제5 렌즈(250)의 각 면은 표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비구면 계수를 가진다. 예를 들어, 제1 렌즈(210) 내지 제5 렌즈(250)의 물체측 면 및 상측 면은 모두 비구면이다.
S4 S5 S6 S7 S8
K -6.5361E-01 2.5719E+00 9.0706E+01 1.9234E-01 3.8565E-01
A 5.6184E-05 1.2182E-04 -2.1828E-04 -4.9959E-04 -3.9885E-04
B -6.4904E-07 -2.0029E-06 9.1446E-06 3.2697E-06 9.9641E-06
C -1.5984E-07 -1.2733E-07 1.5294E-08 -2.3790E-07 -4.7610E-07
D -1.2118E-08 -1.1081E-08 -4.7368E-10 7.1778E-09 -3.4450E-08
E -7.4300E-10 -9.6064E-10 -5.7487E-11 -3.3683E-10 4.0720E-10
F -3.9015E-11 -7.5297E-11 6.7037E-12 -7.9109E-11 2.7519E-10
G -2.1592E-12 -4.7804E-12 4.5483E-13 -8.1132E-12 4.9427E-11
H -1.5153E-13 -2.1722E-13 -1.0423E-13 -4.2388E-13 4.2570E-12
J -1.4387E-14 -4.5743E-17 -2.9431E-14 4.7546E-14 4.5791E-14
S9 S10 S11 S12 S13
K -9.9000E+01 6.2043E+01 4.2011E-01 -3.0227E+00 -1.8374E+01
A -5.2825E-04 -3.9623E-04 -6.4492E-04 -1.4402E-03 -1.3156E-04
B 2.7769E-05 6.2703E-06 2.9076E-05 4.2906E-05 1.5880E-05
C 7.9321E-07 1.2443E-06 -3.1610E-07 6.0292E-06 -4.8548E-06
D 8.1817E-08 -4.3633E-08 -1.8954E-07 -1.1750E-07 -2.4647E-07
E 1.3933E-09 -6.4548E-09 -2.7157E-08 -7.3975E-08 -6.1644E-08
F -3.4575E-10 -2.6596E-10 4.7351E-09 -1.2970E-08 -3.4931E-09
G -5.0797E-11 -1.0423E-12 3.8157E-11 -3.0685E-10 -7.3604E-11
H -1.2369E-12 -5.7055E-12 -3.8758E-12 -2.7900E-11 -9.2153E-12
J 5.2035E-13 -2.9999E-13 -2.0707E-12 -1.6919E-12 -2.6592E-12
또한, 이와 같이 구성된 촬상 광학계는 도 4에 도시된 수차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제1 렌즈(310), 제2 렌즈(320), 제3 렌즈(330), 제4 렌즈(340) 및 제5 렌즈(350)를 구비하는 광학계를 포함하고, 필터(360) 및 이미지 센서(3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렌즈(310)의 전방에 배치되고, 광 경로를 변화시키는 반사면을 갖는 반사부재(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반사부재(R)는 프리즘일 수 있으나, 미러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각 렌즈의 렌즈 특성(곡률 반지름(Radius of curvature), 렌즈의 두께(Thickness) 또는 렌즈들 간의 거리(Distance), 굴절률(Index), 아베수(Abbe수), 초점거리(Focal length))은 표 5와 같다. 표 5에서 비원형인 형상을 갖는 렌즈의 유효 반경은 최대 유효 반경을 의미한다. 최소 유효 반경은 최대 유효 반경보다는 작고 최대 유효 반경의 70%와 같거나 70%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면 번호 비고 곡률반경 두께 또는 거리 굴절률 아베수 유효반경 초점거리
S1 프리즘 Infinity 5.500 1.723 29.5 6.000
S2 Infinity 5.500 1.723 29.5 8.485
S3 Infinity 3.000 6.000
S4 제1 렌즈 7.32 1.800 1.534 55.7 3.650 11.586
S5 -37.84 0.096 3.543
S6 제2 렌즈 70.08 1.490 1.641 23.9 3.430 -14.174
S7 7.98 3.508 3.010
S8 제3 렌즈 8.19 1.743 1.689 18.1 2.605 14.782
S9 38.25 0.077 2.330
S10 제4 렌즈 29.36 0.944 1.641 23.9 2.299 -10.604
S11 5.45 0.354 2.038
S12 제5 렌즈 9.08 0.961 1.546 56.1 2.025 79.631
S13 11.04 15.391 2.025
S14 필터 Infinity 0.110 1.519 64.2 3.137
S15 Infinity 0.726 3.142
S16 촬상면 Infinity 3.201
한편,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전체 초점거리(f)는 30.8999 mm이고, Fno는 4.23이고, IMG HT는 3.201 mm이고, FOV는 11.71°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제1 렌즈(31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1 렌즈(310)의 제1 면과 제2 면은 볼록한 형상이다.
제2 렌즈(32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2 렌즈(320)의 제1 면은 볼록한 형상이고, 제2 렌즈(320)의 제2 면은 오목한 형상이다.
제3 렌즈(33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3 렌즈(330)의 제1 면은 볼록한 형상이고, 제3 렌즈(330)의 제2 면은 오목한 형상이다.
제4 렌즈(34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4 렌즈(340)의 제1 면은 볼록한 형상이고, 제4 렌즈(340)의 제2 면은 오목한 형상이다.
제5 렌즈(35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5 렌즈(350)의 제1 면은 볼록한 형상이고, 제5 렌즈(350)의 제2 면은 오목한 형상이다.
한편, 제1 렌즈(310) 내지 제5 렌즈(350)의 각 면은 도 표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비구면 계수를 가진다. 예를 들어, 제1 렌즈(310) 내지 제5 렌즈(350)의 물체측 면 및 상측 면은 모두 비구면이다.
S4 S5 S6 S7 S8
K -6.6666E-01 3.0842E+00 9.0306E+01 1.8409E-01 3.7119E-01
A 5.1676E-05 1.2070E-04 -2.1780E-04 -5.0377E-04 -4.0134E-04
B -1.2033E-06 -2.0753E-06 9.0014E-06 3.8520E-06 8.3849E-06
C -1.8324E-07 -1.4824E-07 1.9946E-08 -1.7182E-07 -6.9363E-07
D -1.2739E-08 -1.3137E-08 8.2929E-10 1.4156E-08 -6.3337E-08
E -7.5705E-10 -1.1001E-09 8.7538E-11 3.7905E-10 -3.1371E-09
F -3.9300E-11 -8.2388E-11 1.9326E-11 -1.4520E-11 -1.0750E-10
G -2.2745E-12 -4.9213E-12 1.4886E-12 -4.0433E-12 2.2533E-11
H -1.7483E-13 -1.9949E-13 -2.9539E-14 -3.4534E-13 3.9981E-12
J -1.7399E-14 3.7210E-15 -2.4108E-14 1.4245E-14 3.2822E-13
S9 S10 S11 S12 S13
K -8.9279E+01 -1.0626E+01 4.2034E-01 -3.0095E+00 -1.7399E+01
A -5.1849E-04 -4.0040E-04 -6.3967E-04 -1.4329E-03 -1.0286E-04
B 2.9499E-05 4.9437E-06 2.5863E-05 4.7813E-05 8.4141E-06
C 9.5107E-07 1.0595E-06 -1.7595E-06 7.0860E-06 -7.6707E-06
D 1.0003E-07 -8.6072E-08 -4.3498E-07 -9.6807E-08 -6.8793E-07
E 3.0212E-09 -1.5035E-08 -6.1944E-08 -1.0469E-07 -6.9569E-08
F -4.8693E-10 -1.4101E-09 -2.7883E-09 -2.3404E-08 2.1739E-08
G -1.8628E-10 -1.4667E-10 3.8157E-11 -3.0685E-10 -7.3604E-11
H -4.1188E-11 1.7131E-12 -3.8758E-12 -2.7900E-11 -9.2153E-12
J -7.5594E-12 -2.9999E-13 -2.0707E-12 -1.6919E-12 -2.6592E-12
또한, 이와 같이 구성된 촬상 광학계는 도 6에 도시된 수차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제1 렌즈(410), 제2 렌즈(420), 제3 렌즈(430), 제4 렌즈(440) 및 제5 렌즈(450)를 구비하는 광학계를 포함하고, 필터(460) 및 이미지 센서(4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렌즈(410)의 전방에 배치되고, 광 경로를 변화시키는 반사면을 갖는 반사부재(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서 반사부재(R)는 프리즘일 수 있으나, 미러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각 렌즈의 렌즈 특성(곡률 반지름(Radius of curvature), 렌즈의 두께(Thickness) 또는 렌즈들 간의 거리(Distance), 굴절률(Index), 아베수(Abbe수), 초점거리(Focal length))은 표 7과 같다. 표 7에서 비원형인 형상을 갖는 렌즈의 유효 반경은 최대 유효 반경을 의미한다. 최소 유효 반경은 최대 유효 반경보다는 작고 최대 유효 반경의 70%와 같거나 70%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면 번호 비고 곡률반경 두께 또는 거리 굴절률 아베수 유효반경 초점거리
S1 프리즘 Infinity 5.500 1.723 29.5 6.000
S2 Infinity 5.500 1.723 29.5 8.485
S3 Infinity 3.000 6.000
S4 제1 렌즈 7.09 1.700 1.534 55.7 3.360 10.596
S5 -26.40 0.030 3.253
S6 제2 렌즈 -345.38 1.468 1.641 23.9 3.183 -12.028
S7 7.90 2.184 2.805
S8 제3 렌즈 7.75 1.600 1.689 18.1 2.603 13.525
S9 42.24 0.052 2.375
S10 제4 렌즈 24.36 1.166 1.641 23.9 2.345 -10.814
S11 5.30 0.399 2.040
S12 제5 렌즈 9.98 0.800 1.546 56.1 2.025 130.784
S13 11.28 15.391 2.022
S14 필터 Infinity 0.110 1.519 64.2 3.050
S15 Infinity 2.095 3.054
S16 촬상면 Infinity 3.002
한편,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전체 초점거리(f)는 30.9 mm이고, Fno는 4.59이고, IMG HT는 3.002 mm이고, FOV는 11°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서, 제1 렌즈(41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1 렌즈(410)의 제1 면과 제2 면은 볼록한 형상이다.
제2 렌즈(42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2 렌즈(420)의 제1 면과 제2 면은 오목한 형상이다.
제3 렌즈(43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3 렌즈(430)의 제1 면은 볼록한 형상이고, 제3 렌즈(230)의 제2 면은 오목한 형상이다.
제4 렌즈(44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4 렌즈(440)의 제1 면은 볼록한 형상이고, 제4 렌즈(440)의 제2 면은 오목한 형상이다.
제5 렌즈(45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5 렌즈(450)의 제1 면은 볼록한 형상이고, 제5 렌즈(450)의 제2 면은 오목한 형상이다.
한편, 제1 렌즈(410) 내지 제5 렌즈(450)의 각 면은 표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비구면 계수를 가진다. 예를 들어, 제1 렌즈(410) 내지 제5 렌즈(450)의 물체측 면 및 상측 면은 모두 비구면이다.
S4 S5 S6 S7 S8
K -6.4514E-01 4.9409E+00 9.2651E+01 1.6729E-01 3.7644E-01
A 5.9932E-05 1.1347E-04 -2.1891E-04 -5.0954E-04 -3.9956E-04
B -1.0771E-06 -2.2466E-06 8.3291E-06 4.1615E-06 7.1574E-06
C -1.9296E-07 -1.7171E-07 -3.4417E-08 -2.4262E-07 -7.4946E-07
D -1.4371E-08 -1.5643E-08 -2.0727E-09 -6.1454E-09 -4.3888E-08
E -9.5804E-10 -1.2824E-09 -9.6968E-11 -2.4456E-09 1.4195E-09
F -6.1079E-11 -9.1140E-11 5.1145E-12 -2.8131E-10 4.6031E-10
G -4.0850E-12 -6.2657E-12 3.5166E-13 -1.4895E-11 1.0284E-10
H -3.0893E-13 -3.2326E-13 -1.0695E-13 1.0570E-12 5.8761E-12
J -2.6629E-14 -8.6701E-15 -2.4300E-14 4.2535E-13 -8.6118E-13
S9 S10 S11 S12 S13
K -8.7877E+01 -9.2153E+00 4.1601E-01 -3.0371E+00 -1.6151E+01
A -5.1704E-04 -3.9390E-04 -6.4095E-04 -1.4317E-03 -5.6338E-05
B 3.0357E-05 5.9969E-06 2.1375E-05 5.7248E-05 1.0776E-06
C 9.7261E-07 1.2907E-06 -2.3382E-06 7.7176E-06 -7.5630E-06
D 9.1014E-08 -5.5508E-08 -4.0431E-07 -5.9569E-07 2.3592E-07
E 2.7232E-09 -1.4863E-08 -6.9652E-08 -3.0524E-07 6.7629E-08
F -1.4709E-09 -2.9439E-09 -2.4444E-08 -5.0584E-08 -6.0711E-08
G -2.8663E-10 -1.3591E-10 3.8157E-11 -3.0685E-10 -7.3604E-11
H -2.9285E-11 -2.1436E-11 -3.8758E-12 -2.7900E-11 -9.2153E-12
J -1.9695E-12 -2.9999E-13 -2.0707E-12 -1.6919E-12 -2.6592E-12
또한, 이와 같이 구성된 촬상 광학계는 도 8에 도시된 수차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제1 렌즈(510), 제2 렌즈(520), 제3 렌즈(530), 제4 렌즈(540) 및 제5 렌즈(550)를 구비하는 광학계를 포함하고, 필터(560) 및 이미지 센서(5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렌즈(510)의 전방에 배치되고, 광 경로를 변화시키는 반사면을 갖는 반사부재(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서 반사부재(R)는 프리즘일 수 있으나, 미러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각 렌즈의 렌즈 특성(곡률 반지름(Radius of curvature), 렌즈의 두께(Thickness) 또는 렌즈들 간의 거리(Distance), 굴절률(Index), 아베수(Abbe수), 초점거리(Focal length))은 표 9와 같다. 표 9에서 비원형인 형상을 갖는 렌즈의 유효 반경은 최대 유효 반경을 의미한다. 최소 유효 반경은 최대 유효 반경보다는 작고 최대 유효 반경의 70%와 같거나 70%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면 번호 비고 곡률반경 두께 또는 거리 굴절률 아베수 유효반경 초점거리
S1 프리즘 Infinity 5.500 1.723 29.5 6.000
S2 Infinity 5.500 1.723 29.5 8.485
S3 Infinity 3.000 6.000
S4 제1 렌즈 6.96 1.723 1.534 55.7 3.157 10.316
S5 -24.79 0.030 2.982
S6 제2 렌즈 -88.03 1.211 1.646 23.5 2.914 -8.914
S7 6.19 0.961 2.596
S8 제3 렌즈 5.73 1.600 1.668 20.4 2.585 8.086
S9 -83.62 0.061 2.399
S10 제4 렌즈 343.53 0.887 1.641 23.9 2.362 -9.009
S11 5.67 2.062 2.096
S12 제5 렌즈 11.55 0.866 1.546 56.1 1.900 779.386
S13 11.56 15.391 1.892
S14 필터 Infinity 0.110 1.519 64.2 2.836
S15 Infinity 2.593 2.841
S16 촬상면 Infinity 3.001
한편,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전체 초점거리(f)는 30.9005 mm이고, Fno는 5.00이고, IMG HT는 3.001 mm이고, FOV는 11.02°이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서, 제1 렌즈(51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1 렌즈(510)의 제1 면과 제2 면은 볼록한 형상이다.
제2 렌즈(52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2 렌즈(520)의 제1 면과 제2 면은 오목한 형상이다.
제3 렌즈(53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3 렌즈(530)의 제1 면과 제2 면은 볼록한 형상이다.
제4 렌즈(54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4 렌즈(540)의 제1 면은 볼록한 형상이고, 제4 렌즈(540)의 제2 면은 오목한 형상이다.
제5 렌즈(55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5 렌즈(550)의 제1 면은 볼록한 형상이고, 제5 렌즈(550)의 제2 면은 오목한 형상이다.
한편, 제1 렌즈(510) 내지 제5 렌즈(550)의 각 면은 표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비구면 계수를 가진다. 예를 들어, 제1 렌즈(510) 내지 제5 렌즈(550)의 물체측 면 및 상측 면은 모두 비구면이다.
S4 S5 S6 S7 S8
K -5.8618E-01 8.7158E+00 9.1941E+01 2.3579E-01 2.9423E-01
A 8.1196E-05 9.2738E-05 -2.3517E-04 -4.8086E-04 -4.6025E-04
B -1.9255E-07 -3.5518E-06 8.4447E-06 3.9823E-06 5.4949E-06
C -2.2298E-07 -1.9922E-07 2.5572E-08 -2.6231E-07 -9.3083E-07
D -2.0896E-08 -1.5570E-08 6.8922E-09 -9.1091E-09 -7.9611E-08
E -1.5485E-09 -1.3754E-09 1.1253E-09 -3.0662E-09 -2.9612E-09
F -1.0826E-10 -7.6006E-11 1.4809E-10 -4.3528E-10 3.2813E-11
G -8.1894E-12 -3.4294E-12 1.2952E-11 -3.3915E-11 6.2003E-11
H -6.7451E-13 1.0288E-14 9.2687E-13 -2.0589E-14 4.4028E-12
J -5.2770E-14 4.7227E-14 7.0043E-14 6.9990E-13 -6.2760E-13
S9 S10 S11 S12 S13
K 9.8796E+01 -8.8633E-01 4.4640E-01 -2.1239E+00 -1.4399E+01
A -4.7208E-04 -4.3774E-04 -5.7998E-04 -1.3732E-03 6.4066E-05
B 2.9454E-05 5.9945E-06 1.5250E-05 5.9784E-05 4.5862E-05
C 8.7758E-07 1.0697E-06 -3.8150E-06 4.7158E-06 8.0183E-07
D 1.0133E-07 -1.3568E-07 -9.2744E-07 -1.6715E-06 -1.3426E-07
E 2.0857E-11 -2.2162E-08 -2.1649E-07 -4.7349E-07 -7.4765E-07
F -8.7905E-10 -3.0056E-09 -4.6230E-08 -5.3197E-08 -8.3052E-09
G -1.6688E-10 -6.3930E-10 1.9087E-09 -6.8002E-10 -7.3604E-11
H -4.5853E-11 -1.0614E-10 -3.7435E-11 -2.7900E-11 -9.2153E-12
J -3.1094E-12 1.2151E-12 -2.0707E-12 -1.6919E-12 -2.6592E-12
또한, 이와 같이 구성된 촬상 광학계는 도 10에 도시된 수차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제1 렌즈(610), 제2 렌즈(620), 제3 렌즈(630), 제4 렌즈(640) 및 제5 렌즈(650)를 구비하는 광학계를 포함하고, 필터(660) 및 이미지 센서(6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렌즈(610)의 전방에 배치되고, 광 경로를 변화시키는 반사면을 갖는 반사부재(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서 반사부재(R)는 프리즘일 수 있으나, 미러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각 렌즈의 렌즈 특성(곡률 반지름(Radius of curvature), 렌즈의 두께(Thickness) 또는 렌즈들 간의 거리(Distance), 굴절률(Index), 아베수(Abbe수), 초점거리(Focal length))은 표 11과 같다. 표 11에서 비원형인 형상을 갖는 렌즈의 유효 반경은 최대 유효 반경을 의미한다. 최소 유효 반경은 최대 유효 반경보다는 작고 최대 유효 반경의 70%와 같거나 70%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면 번호 비고 곡률반경 두께 또는 거리 굴절률 아베수 유효반경 초점거리
S1 프리즘 Infinity 5.500 1.723 29.5 6.000
S2 Infinity 5.500 1.723 29.5 8.485
S3 Infinity 3.000 6.000
S4 제1 렌즈 5.83 1.993 1.534 55.7 3.300 10.112
S5 -70.76 0.035 3.095
S6 제2 렌즈 249.32 1.106 1.646 23.5 3.058 -7.875
S7 4.97 0.948 2.649
S8 제3 렌즈 5.36 1.599 1.668 20.4 2.659 7.159
S9 -39.09 0.074 2.480
S10 제4 렌즈 -100.72 0.682 1.641 23.9 2.438 -8.397
S11 5.74 1.561 2.189
S12 제5 렌즈 15.82 1.000 1.546 56.1 2.031 328.588
S13 16.96 15.391 1.940
S14 필터 Infinity 0.110 1.519 64.2 3.024
S15 Infinity 2.499 3.029
S16 촬상면 Infinity 3.206
한편,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전체 초점거리(f)는 30.6 mm이고, Fno는 4.64이고, IMG HT는 3.206 mm이고, FOV는 11.87°이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서, 제1 렌즈(61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1 렌즈(610)의 제1 면과 제2 면은 볼록한 형상이다.
제2 렌즈(62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2 렌즈(620)의 제1 면은 볼록한 형상이고, 제2 렌즈(620)의 제2 면은 오목한 형상이다.
제3 렌즈(63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3 렌즈(630)의 제1 면과 제2 면은 볼록한 형상이다.
제4 렌즈(64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4 렌즈(640)의 제1 면과 제2 면은 오목한 형상이다.
제5 렌즈(65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5 렌즈(650)의 제1 면은 볼록한 형상이고, 제5 렌즈(650)의 제2 면은 오목한 형상이다.
한편, 제1 렌즈(610) 내지 제5 렌즈(650)의 각 면은 표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비구면 계수를 가진다.
S4 S5 S6 S7 S8
K -4.4733E-01 -7.8389E+00 9.9000E+01 1.5108E-01 3.7211E-01
A 1.5397E-04 1.0797E-04 -1.9296E-04 -5.4020E-04 -4.0178E-04
B 5.3814E-06 1.5024E-07 1.1757E-05 -2.9744E-06 1.3631E-05
C 1.3136E-07 2.8275E-07 1.8509E-07 -5.7508E-07 -3.3591E-07
D 9.4562E-10 2.7428E-08 1.1105E-08 3.4314E-08 -9.0677E-08
E 8.3128E-11 1.4676E-09 1.2581E-09 5.2191E-09 -7.5636E-09
F 2.1504E-11 5.3050E-11 1.3962E-10 4.6523E-10 -6.0163E-10
G 2.2129E-12 -6.2149E-12 1.5276E-11 4.2533E-12 2.2294E-11
H -7.0435E-14 -1.1921E-12 9.7723E-13 -4.5167E-12 5.8538E-12
J -8.0225E-14 1.0117E-13 1.0704E-14 -3.8053E-13 -1.3481E-13
S9 S10 S11 S12 S13
K -6.2207E+01 0.0000E+00 4.2974E-01 -7.3973E+00 -2.4785E+01
A 8.7551E-06 0.0000E+00 -5.9912E-04 -1.5743E-03 -4.4688E-04
B 6.8135E-05 0.0000E+00 1.5161E-05 -2.4746E-05 -6.6957E-05
C -1.7282E-06 0.0000E+00 -3.5285E-06 -9.7312E-06 -2.1472E-05
D -4.6886E-07 0.0000E+00 -7.2565E-07 -3.2992E-06 3.3558E-06
E 1.5444E-08 0.0000E+00 -2.0232E-07 -3.9745E-07 -7.0986E-07
F 1.2137E-08 0.0000E+00 -4.7674E-08 3.9234E-08 6.0399E-08
G -1.5052E-09 0.0000E+00 6.1783E-10 -6.7656E-11 -7.3599E-11
H 1.6873E-10 0.0000E+00 3.0882E-10 -2.7900E-11 -9.2151E-12
J -5.4027E-12 0.0000E+00 1.2450E-12 -1.6919E-12 -2.6592E-12
또한, 이와 같이 구성된 촬상 광학계는 도 12에 도시된 수차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제1 렌즈(710), 제2 렌즈(720), 제3 렌즈(730), 제4 렌즈(740) 및 제5 렌즈(750)를 구비하는 광학계를 포함하고, 필터(760) 및 이미지 센서(7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렌즈(710)의 전방에 배치되고, 광 경로를 변화시키는 반사면을 갖는 반사부재(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서 반사부재(R)는 프리즘일 수 있으나, 미러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각 렌즈의 렌즈 특성(곡률 반지름(Radius of curvature), 렌즈의 두께(Thickness) 또는 렌즈들 간의 거리(Distance), 굴절률(Index), 아베수(Abbe수), 초점거리(Focal length))은 표 13과 같다. 표 13에서 비원형인 형상을 갖는 렌즈의 유효 반경은 최대 유효 반경을 의미한다. 최소 유효 반경은 최대 유효 반경보다는 작고 최대 유효 반경의 70%와 같거나 70%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면 번호 비고 곡률반경 두께 또는 거리 굴절률 아베수 유효반경 초점거리
S1 프리즘 Infinity 5.500 1.723 29.5 6.000
S2 Infinity 5.500 1.723 29.5 8.485
S3 Infinity 3.000 6.000
S4 제1 렌즈 5.87 1.974 1.546 56.0 3.300 9.974
S5 -66.56 0.100 3.098
S6 제2 렌즈 872.52 1.112 1.646 23.5 3.020 -7.690
S7 4.93 1.427 2.601
S8 제3 렌즈 5.32 1.606 1.668 20.4 2.621 7.105
S9 -39.07 0.100 2.439
S10 제4 렌즈 -100.24 0.572 1.641 23.9 2.387 -8.393
S11 5.74 1.560 2.166
S12 제5 렌즈 15.92 1.016 1.546 56.1 2.010 273.055
S13 17.42 15.391 1.940
S14 필터 Infinity 0.110 1.519 64.2 3.029
S15 Infinity 2.284 3.034
S16 촬상면 Infinity 3.200
한편,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전체 초점거리(f)는 30.2572 mm이고, Fno는 4.64이고, IMG HT는 3.200 mm이고, FOV는 11.87°이다.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서, 제1 렌즈(71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1 렌즈(710)의 제1 면과 제2 면은 볼록한 형상이다.
제2 렌즈(72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2 렌즈(720)의 제1 면은 볼록한 형상이고, 제2 렌즈(720)의 제2 면은 오목한 형상이다.
제3 렌즈(73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3 렌즈(730)의 제1 면과 제2 면은 볼록한 형상이다.
제4 렌즈(74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4 렌즈(740)의 제1 면과 제2 면은 오목한 형상이다.
제5 렌즈(75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5 렌즈(750)의 제1 면은 볼록한 형상이고, 제5 렌즈(750)의 제2 면은 오목한 형상이다.
한편, 제1 렌즈(710) 내지 제5 렌즈(750)의 각 면은 표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비구면 계수를 가진다.
S4 S5 S6 S7 S8
K -4.4411E-01 -7.8389E+00 9.9000E+01 1.5108E-01 3.7211E-01
A 1.7818E-04 1.0797E-04 -1.9296E-04 -5.4020E-04 -4.0178E-04
B -1.4556E-05 1.5024E-07 1.1757E-05 -2.9744E-06 1.3631E-05
C 9.3807E-06 2.8275E-07 1.8509E-07 -5.7508E-07 -3.3591E-07
D -2.5674E-06 2.7428E-08 1.1105E-08 3.4314E-08 -9.0677E-08
E 4.4697E-07 1.4676E-09 1.2581E-09 5.2191E-09 -7.5636E-09
F -4.8911E-08 5.3050E-11 1.3962E-10 4.6523E-10 -6.0163E-10
G 3.2755E-09 -6.2149E-12 1.5276E-11 4.2533E-12 2.2294E-11
H -1.2241E-10 -1.1921E-12 9.7723E-13 -4.5167E-12 5.8538E-12
J 1.8899E-12 1.0117E-13 1.0704E-14 -3.8053E-13 -1.3481E-13
S9 S10 S11 S12 S13
K -6.2207E+01 0.0000E+00 4.2974E-01 -7.3973E+00 -2.4785E+01
A 8.7551E-06 0.0000E+00 -5.9912E-04 -1.5743E-03 -4.4688E-04
B 6.8135E-05 0.0000E+00 1.5161E-05 -2.4746E-05 -6.6957E-05
C -1.7282E-06 0.0000E+00 -3.5285E-06 -9.7312E-06 -2.1472E-05
D -4.6886E-07 0.0000E+00 -7.2565E-07 -3.2992E-06 3.3558E-06
E 1.5444E-08 0.0000E+00 -2.0232E-07 -3.9745E-07 -7.0986E-07
F 1.2137E-08 0.0000E+00 -4.7674E-08 3.9234E-08 6.0399E-08
G -1.5052E-09 0.0000E+00 6.1783E-10 -6.7656E-11 -7.3599E-11
H 1.6873E-10 0.0000E+00 3.0882E-10 -2.7900E-11 -9.2151E-12
J -5.4027E-12 0.0000E+00 1.2450E-12 -1.6919E-12 -2.6592E-12
또한, 이와 같이 구성된 촬상 광학계는 도 14에 도시된 수차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제1 렌즈(810), 제2 렌즈(820), 제3 렌즈(830) 및 제4 렌즈(840)를 구비하는 광학계를 포함하고, 필터(860) 및 이미지 센서(8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렌즈(810)의 전방에 배치되고, 광 경로를 변화시키는 반사면을 갖는 반사부재(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서 반사부재(R)는 프리즘일 수 있으나, 미러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각 렌즈의 렌즈 특성(곡률 반지름(Radius of curvature), 렌즈의 두께(Thickness) 또는 렌즈들 간의 거리(Distance), 굴절률(Index), 아베수(Abbe수), 초점거리(Focal length))은 표 15와 같다. 표 15에서 비원형인 형상을 갖는 렌즈의 유효 반경은 최대 유효 반경을 의미한다. 최소 유효 반경은 최대 유효 반경보다는 작고 최대 유효 반경의 70%와 같거나 70%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면 번호 비고 곡률반경 두께 또는 거리 굴절률 아베수 유효반경 초점거리
S1 프리즘 Infinity 5.500 1.723 29.5 6.000
S2 Infinity 5.500 1.723 29.5 8.485
S3 Infinity 3.000 6.000
S4 제1 렌즈 5.99 2.018 1.546 56.0 3.300 9.560
S5 -35.82 0.100 3.055
S6 제2 렌즈 -73.80 1.205 1.646 23.5 2.984 -7.096
S7 4.92 1.725 2.490
S8 제3 렌즈 5.44 1.797 1.668 20.4 2.388 6.806
S9 -24.16 0.120 2.125
S10 제4 렌즈 86.70 0.509 1.641 23.9 1.900 -8.410
S11 5.10 1.560 1.864
S12 필터 Infinity 0.110 1.519 64.2 1.945
S13 Infinity 18.668 1.950
S14 촬상면 Infinity 3.202
한편,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전체 초점거리(f)는 30.54 mm이고, Fno는 5.37이고, IMG HT는 3.202 mm이고, FOV는 11.90°이다.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서, 제1 렌즈(81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1 렌즈(810)의 제1 면과 제2 면은 볼록한 형상이다.
제2 렌즈(82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2 렌즈(820)의 제1 면과 제2 면은 오목한 형상이다.
제3 렌즈(83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3 렌즈(830)의 제1 면과 제2 면은 볼록한 형상이다.
제4 렌즈(84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4 렌즈(840)의 제1 면은 볼록한 형상이고, 제4 렌즈(840)의 제2 면은 오목한 형상이다.
한편, 제1 렌즈(810) 내지 제4 렌즈(840)의 각 면은 표 1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비구면 계수를 가진다. 예를 들어, 제1 렌즈(810) 내지 제4 렌즈(840)의 물체측 면 및 상측 면은 모두 비구면이다.
S4 S5 S6 S7
K -4.5851E-01 -7.2969E+00 9.5275E+01 1.5026E-01
A 1.6197E-04 1.0675E-04 -1.9204E-04 -5.4117E-04
B -1.3302E-05 1.7175E-08 1.1886E-05 -3.3702E-06
C 9.3018E-06 2.8333E-07 1.8576E-07 -5.5843E-07
D -2.5759E-06 2.7246E-08 1.1572E-08 3.7729E-08
E 4.4664E-07 1.3522E-09 1.4384E-09 4.9881E-09
F -4.8902E-08 3.4755E-11 1.7096E-10 2.9567E-10
G 3.2784E-09 -7.2615E-12 1.8615E-11 -3.6637E-11
H -1.2214E-10 -8.8110E-13 1.0129E-12 -1.1475E-11
J 1.9039E-12 2.4131E-13 -8.8327E-14 -1.1920E-12
S8 S9 S10 S11
K 3.7259E-01 -6.2261E+01 -1.4428E-01 4.2961E-01
A -4.0155E-04 8.0371E-06 3.1219E-07 -5.9891E-04
B 1.3906E-05 6.7874E-05 2.7201E-07 1.4246E-05
C -3.5388E-07 -1.6802E-06 -1.2504E-07 -3.1392E-06
D -9.3184E-08 -4.5978E-07 -3.3656E-08 -5.6450E-07
E -7.1301E-09 1.5795E-08 -6.1921E-09 -1.5658E-07
F -3.7241E-10 1.1918E-08 -1.1300E-09 -3.6195E-08
G 8.4723E-11 -1.5972E-09 -1.6761E-10 3.9954E-09
H 2.0133E-11 1.3615E-10 -3.7593E-11 1.3527E-09
J 2.9317E-12 -1.4094E-11 -9.1302E-12 3.3116E-10
또한, 이와 같이 구성된 촬상 광학계는 도 18에 도시된 수차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R: 반사부재
110, 210, 310, 410, 510, 610, 710, 810: 제1 렌즈
120, 220, 320, 420, 520, 620, 720, 820: 제2 렌즈
130, 230, 330, 430, 530, 630, 730, 830: 제3 렌즈
140, 240, 340, 440, 540, 640, 740, 840: 제4 렌즈
150, 250, 350, 450, 550, 650, 750: 제5 렌즈
160, 260, 360, 460, 560, 660, 760, 860: 필터
170, 270, 370, 470, 570, 670, 770, 870: 이미지 센서

Claims (16)

  1.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배치된 제1 렌즈, 제2 렌즈, 제3 렌즈, 제4 렌즈 및 제5 렌즈;를 포함하고,
    LfS2el/L1S1el ≤ 0.65; 및
    0.05 < T1/TTL < 0.1 을 만족하며,
    LfS2el은 상기 제5 렌즈의 상측 면의 최대 유효 반경, L1S1el은 상기 제1 렌즈의 물체측 면의 최대 유효 반경, T1은 상기 제1 렌즈의 광축 상 두께, TTL은 상기 제1 렌즈의 물체측 면으로부터 이미지 센서의 촬상면까지의 광축 상 거리인 촬상 광학계.
  2. 제1항에 있어서,
    L3S1el/L1S1el ≤ 0.85 를 만족하며,
    L3S1el은 상기 제3 렌즈의 물체측 면의 최대 유효 반경인 촬상 광학계.
  3. 제1항에 있어서,
    L1_Lf > 4.9 를 만족하며,
    L1_Lf는 상기 제1 렌즈의 상측 면으로부터 상기 제5 렌즈의 물체측 면까지의 광축 상 거리인 촬상 광학계.
  4. 제1항에 있어서,
    n2+n3 > 3.2 를 만족하며,
    n2는 상기 제2 렌즈의 굴절률이고, n3은 제3 렌즈의 굴절률인 촬상 광학계.
  5. 제1항에 있어서,
    |f/f1+f/f2| < 1.2 를 만족하며,
    f1은 상기 제1 렌즈의 초점거리이고, f2는 상기 제2 렌즈의 초점거리이며, f는 촬상 광학계의 전체 초점거리인 촬상 광학계.
  6. 제1항에 있어서,
    0 ≤ d12/f ≤ 0.05 를 만족하며,
    d12는 상기 제1 렌즈의 상측 면으로부터 상기 제2 렌즈의 물체측 면까지의 광축 상 거리이고, f는 촬상 광학계의 전체 초점거리인 촬상 광학계.
  7. 제1항에 있어서,
    R1/f ≤ 0.3 를 만족하며,
    R1은 상기 제1 렌즈의 물체측 면의 곡률 반경이고, f는 촬상 광학계의 전체 초점거리인 촬상 광학계.
  8. 제1항에 있어서,
    0.8 ≤ TTL/f ≤ 0.95 를 만족하며,
    f는 촬상 광학계의 전체 초점거리인 촬상 광학계.
  9. 제1항에 있어서,
    FOV < 12°를 만족하며,
    FOV는 촬상 광학계의 화각인 촬상 광학계.
  10. 제1항에 있어서,
    4 < TTL/(2*IMG HT) < 4.9 를 만족하며,
    IMG HT는 상기 이미지 센서의 촬상면의 대각길이의 절반인 촬상 광학계.
  11. 제1항에 있어서,
    Fno ≥ 4.0 를 만족하며,
    Fno는 촬상 광학계의 F 넘버(F-number)인 촬상 광학계.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갖고, 상기 제2 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갖는 촬상 광학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갖고, 상기 제4 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상기 제5 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갖는 촬상 광학계.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의 전방에 배치되는 반사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반사부재는 상기 반사부재에 입사된 광의 경로를 상기 제1 렌즈를 향하도록 변화시키는 반사면을 갖는 촬상 광학계.
  15.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배치된 제1 렌즈, 제2 렌즈, 제3 렌즈 및 제4 렌즈;를 포함하고,
    L3S1el/L1S1el ≤ 0.85; 및
    0.05 < T1/TTL < 0.1 을 만족하며,
    L3S1el은 상기 제3 렌즈의 물체측 면의 최대 유효 반경, L1S1el은 상기 제1 렌즈의 물체측 면의 최대 유효 반경, T1은 상기 제1 렌즈의 광축 상 두께, TTL은 상기 제1 렌즈의 물체측 면으로부터 이미지 센서의 촬상면까지의 광축 상 거리인 촬상 광학계.
  16. 제15항에 있어서,
    LfS2el/L1S1el ≤ 0.65 를 만족하며,
    LfS2el은 상기 제4 렌즈의 상측 면의 최대 유효 반경인 촬상 광학계.
KR1020200152160A 2020-11-13 2020-11-13 촬상 광학계 KR1025375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2160A KR102537511B1 (ko) 2020-11-13 2020-11-13 촬상 광학계
US17/239,793 US20220155563A1 (en) 2020-11-13 2021-04-26 Optical imaging system
TW112120561A TW202338420A (zh) 2020-11-13 2021-04-29 光學成像系統
TW111127957A TWI807937B (zh) 2020-11-13 2021-04-29 光學成像系統
TW110115552A TWI775415B (zh) 2020-11-13 2021-04-29 光學成像系統
CN202210423743.4A CN114624862B (zh) 2020-11-13 2021-07-30 光学成像系统
CN202121771422.0U CN215340518U (zh) 2020-11-13 2021-07-30 光学成像系统
CN202311105214.0A CN116990940A (zh) 2020-11-13 2021-07-30 光学成像系统
CN202110869321.5A CN114488471A (zh) 2020-11-13 2021-07-30 光学成像系统
KR1020230066409A KR20230079325A (ko) 2020-11-13 2023-05-23 촬상 광학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2160A KR102537511B1 (ko) 2020-11-13 2020-11-13 촬상 광학계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6409A Division KR20230079325A (ko) 2020-11-13 2023-05-23 촬상 광학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5537A true KR20220065537A (ko) 2022-05-20
KR102537511B1 KR102537511B1 (ko) 2023-05-26

Family

ID=7957449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2160A KR102537511B1 (ko) 2020-11-13 2020-11-13 촬상 광학계
KR1020230066409A KR20230079325A (ko) 2020-11-13 2023-05-23 촬상 광학계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6409A KR20230079325A (ko) 2020-11-13 2023-05-23 촬상 광학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155563A1 (ko)
KR (2) KR102537511B1 (ko)
CN (4) CN215340518U (ko)
TW (3) TWI77541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7511B1 (ko) * 2020-11-13 2023-05-26 삼성전기주식회사 촬상 광학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271832A1 (en) * 2018-03-02 2019-09-05 Largan Precision Co., Ltd. Electronic device
US20190285842A1 (en) * 2018-03-14 2019-09-19 Ability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Ltd.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
US20200049948A1 (en) * 2018-08-10 2020-02-13 Largan Precision Co.,Ltd. Imaging optical lens assembly, image capturing unit and electronic device
US20200249441A1 (en) * 2018-06-05 2020-08-06 Zhejiang Sunny Optical Co., Ltd. Camera lens group
JP2020154045A (ja) * 2019-03-18 2020-09-24 株式会社デンソー 結像光学系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2847B2 (ja) * 1977-01-20 1985-07-30 キヤノン株式会社 望遠レンズ
DE102014214281A1 (de) * 2014-07-22 2016-01-28 Airbus Operations Gmbh Befestigungsvorrichtung zum Befestigen eines Elementes
TWI592682B (zh) * 2015-07-02 2017-07-21 先進光電科技股份有限公司 光學成像系統
JP2017068164A (ja) * 2015-10-01 2017-04-06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広角光学系及びそれを備えた撮像装置
CN108351494B (zh) * 2015-11-20 2021-03-09 索尼公司 成像镜头
KR101862451B1 (ko) * 2016-01-27 2018-05-29 삼성전기주식회사 컨버터 광학계
WO2017170283A1 (ja) * 2016-03-28 2017-10-05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広角光学系、レンズユニット及び撮像装置
TWI742038B (zh) * 2016-04-20 2021-10-11 佳能企業股份有限公司 光學鏡頭
CN105974561B (zh) * 2016-07-08 2018-08-24 浙江舜宇光学有限公司 广角摄像镜头
TWI612328B (zh) * 2016-07-28 2018-01-2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光學取像系統鏡組、取像裝置及電子裝置
TWI613482B (zh) * 2017-01-25 2018-02-0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光學影像鏡片系統組、取像裝置及電子裝置
JP6544811B2 (ja) * 2017-04-03 2019-07-17 カンタツ株式会社 5枚の光学素子構成の撮像レンズ
TWI629503B (zh) * 2017-06-14 2018-07-1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影像擷取鏡片系統組、取像裝置及電子裝置
JP2019028201A (ja) * 2017-07-28 2019-02-21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広角レンズ
TW201819978A (zh) * 2017-11-07 2018-06-01 玉晶光電股份有限公司 光學成像鏡頭
TWI633361B (zh) * 2017-11-15 2018-08-2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光學取像鏡組、取像裝置及電子裝置
TWI647508B (zh) * 2018-01-15 2019-01-11 玉晶光電股份有限公司 光學成像鏡頭
TWI650592B (zh) * 2018-04-18 2019-02-1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攝像光學鏡組、取像裝置及電子裝置
TWI670516B (zh) * 2018-06-13 2019-09-0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攝影光學鏡頭、取像裝置及電子裝置
US11415776B2 (en) * 2018-09-14 2022-08-16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Optical imaging system
KR20200031512A (ko) * 2018-09-14 2020-03-24 삼성전기주식회사 촬상 광학계
TWI736228B (zh) * 2018-10-25 2021-08-11 玉晶光電股份有限公司 光學成像鏡頭
JP6521556B1 (ja) * 2019-01-29 2019-05-29 エーエーシーアコースティックテクノロジーズ(シンセン)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AAC Acoustic Technologies(Shenzhen)Co.,Ltd 撮像レンズ
KR20200127484A (ko) * 2019-05-02 2020-11-11 삼성전기주식회사 촬상 광학계
CN113820833B (zh) * 2019-06-25 2022-08-02 浙江舜宇光学有限公司 光学成像镜头及电子设备
CN110262016B (zh) * 2019-07-30 2024-05-28 浙江舜宇光学有限公司 光学成像系统
TWI685675B (zh) * 2019-08-16 2020-02-2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成像鏡頭組、取像裝置及電子裝置
KR102537511B1 (ko) * 2020-11-13 2023-05-26 삼성전기주식회사 촬상 광학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271832A1 (en) * 2018-03-02 2019-09-05 Largan Precision Co., Ltd. Electronic device
US20190285842A1 (en) * 2018-03-14 2019-09-19 Ability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Ltd.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
US20200249441A1 (en) * 2018-06-05 2020-08-06 Zhejiang Sunny Optical Co., Ltd. Camera lens group
US20200049948A1 (en) * 2018-08-10 2020-02-13 Largan Precision Co.,Ltd. Imaging optical lens assembly, image capturing unit and electronic device
JP2020154045A (ja) * 2019-03-18 2020-09-24 株式会社デンソー 結像光学系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775415B (zh) 2022-08-21
CN114624862B (zh) 2023-09-19
KR20230079325A (ko) 2023-06-07
TWI807937B (zh) 2023-07-01
KR102537511B1 (ko) 2023-05-26
CN114624862A (zh) 2022-06-14
CN215340518U (zh) 2021-12-28
TW202219583A (zh) 2022-05-16
US20220155563A1 (en) 2022-05-19
TW202338420A (zh) 2023-10-01
CN116990940A (zh) 2023-11-03
TW202248705A (zh) 2022-12-16
CN114488471A (zh) 2022-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4016B1 (ko) 촬상 광학계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KR102416100B1 (ko) 촬상 광학계
KR20200031512A (ko) 촬상 광학계
KR102435997B1 (ko) 촬상 광학계,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KR102402675B1 (ko) 촬상 광학계
KR102534057B1 (ko) 촬상 광학계
KR20220161241A (ko) 촬상 광학계
KR102363536B1 (ko) 촬상 광학계
KR20230079325A (ko) 촬상 광학계
KR20220168423A (ko) 촬상 광학계
KR20230071109A (ko) 촬상 광학계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KR102537107B1 (ko) 촬상 광학계
KR20240036966A (ko) 촬상 광학계
KR20230049403A (ko) 촬상 광학계
KR102662866B1 (ko) 촬상 광학계
KR20240086323A (ko) 촬상 광학계
KR20240086523A (ko) 촬상 광학계
KR20230087307A (ko) 광학계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20098708A (ko) 촬상 광학계
KR20220017139A (ko) 광학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