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8423A - 촬상 광학계 - Google Patents
촬상 광학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68423A KR20220168423A KR1020210078142A KR20210078142A KR20220168423A KR 20220168423 A KR20220168423 A KR 20220168423A KR 1020210078142 A KR1020210078142 A KR 1020210078142A KR 20210078142 A KR20210078142 A KR 20210078142A KR 20220168423 A KR20220168423 A KR 2022016842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ns
- image sensor
- optical system
- optical axis
- imaging optical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2634 optical imaging Methods 0.000 title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5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5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4
- 230000004075 alt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02B27/646—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compensating for small deviations, e.g. due to vibration or shake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3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three lens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4—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four lens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4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five or more lens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5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employing a special optical element
- G02B13/006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employing a special optical element having a beam-folding prism or mirror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18—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with lenses having one or more non-spherical faces, e.g. for reducing geometrical aberration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5/00—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 G02B15/14—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 G02B15/144—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having four groups only
- G02B15/1441—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having four groups only the first group being positive
- G02B15/144113—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having four groups only the first group being positive arranged +-++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5/00—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 G02B15/14—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 G02B15/145—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having five groups only
- G02B15/1451—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having five groups only the first group being positive
- G02B15/145121—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having five groups only the first group being positive arranged +-+-+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12—Optical design, e.g. procedures, algorithms, optimisation routin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87—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index gradient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12—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three components only
- G02B9/14—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three components only arranged + - +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12—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three components only
- G02B9/14—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three components only arranged + - +
- G02B9/16—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three components only arranged + - + all the components being simple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7—Bodies with reflectors arranged in beam forming the photographic image, e.g. for reducing dimensions of camera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2003/0093—Simple or compound lens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34—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four components only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6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five components onl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es (AREA)
- Cameras In General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 Optical Radar Systems And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적어도 3개의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부; 상기 렌즈부를 통과한 광이 수광되는 이미지 센서; 및 상기 렌즈부의 전방에 배치되며, 광 경로를 변화시키는 반사면을 갖는 반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이미지 센서는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0 < (SAS/f)/OD < 0.15 을 만족하며, SAS는 상기 이미지 센서의 상기 광축 방향으로의 이동거리이고, f는 상기 렌즈부의 전체 초점거리이며, OD는 물체거리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촬상 광학계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에 카메라가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 휴대용 전자기기의 소형화 요구에 따라 휴대용 전자기기에 장착되는 카메라도 소형화가 요구되고 있다.
나아가, 최근에는 좁은 화각으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줌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휴대용 전자기기에서 망원 카메라가 채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와 같이 휴대용 전자기기의 두께 방향으로 복수의 렌즈가 배치되는 경우 렌즈의 매수가 증가할수록 휴대용 전자기기의 두께가 증가하게 되므로, 휴대용 전자기기를 소형화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특히, 망원 카메라의 경우 상대적으로 긴 초점거리를 갖기 때문에, 두께가 얇은 휴대용 전자기기에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초점 조정 및 흔들림 보정 기능을 갖는 카메라의 경우 일반적으로 복수의 렌즈를 포함한 렌즈모듈을 이동시키게 되는데, 이 경우 렌즈모듈의 무게에 의해 소모 전력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두께가 얇은 휴대용 전자기기에 탑재할 수 있고, 저전력으로 구동이 가능한 촬상 광학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적어도 3개의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부; 상기 렌즈부를 통과한 광이 수광되는 이미지 센서; 및 상기 렌즈부의 전방에 배치되며, 광 경로를 변화시키는 반사면을 갖는 반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이미지 센서는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0 < (SAS/f)/OD < 0.15 을 만족하며, SAS는 상기 이미지 센서의 상기 광축 방향으로의 이동거리이고, f는 상기 렌즈부의 전체 초점거리이며, OD는 물체거리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두께가 얇은 휴대용 전자기기에 탑재할 수 있고, 저전력으로 구동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수차 특성을 나타낸 곡선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수차 특성을 나타낸 곡선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수차 특성을 나타낸 곡선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구성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수차 특성을 나타낸 곡선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구성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수차 특성을 나타낸 곡선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수차 특성을 나타낸 곡선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수차 특성을 나타낸 곡선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수차 특성을 나타낸 곡선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구성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수차 특성을 나타낸 곡선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구성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수차 특성을 나타낸 곡선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또는 삭제 등을 통하여,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아울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의 렌즈 구성도에서 렌즈의 두께, 크기 및 형상은 설명을 위해 다소 과장되게 도시되었으며, 특히 렌즈 구성도에서 제시된 구면 또는 비구면의 형상은 일 예로 제시되었을 뿐 이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렌즈부를 포함하고, 렌즈부는 광축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렌즈를 포함한다. 복수의 렌즈는 각각 광축을 따라 기설정된 거리만큼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는 적어도 3매의 렌즈를 포함한다.
일 예로, 촬상 광학계는 3매 이상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3매, 4매 또는 5매의 렌즈를 갖는 촬상 광학계를 개시하나, 렌즈의 개수에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촬상 광학계는 6매 이상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최전방 렌즈는 물체측(또는 반사부재)에 가장 가까운 렌즈를 의미하고, 최후방 렌즈는 이미지 센서에 가장 가까운 렌즈를 의미한다.
또한, 각각의 렌즈에서 제1 면은 물체측에 가까운 면(또는, 물체측 면)을 의미하고, 제2 면은 상측에 가까운 면(또는, 상측 면)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렌즈의 곡률 반지름(Radius of curvature), 두께(Thickness) 등에 대한 수치는 모두 ㎜ 단위이고, 각도의 단위는 Degree 이다.
아울러, 각 렌즈의 형상에 대한 설명에서 일면이 볼록한 형상이라는 의미는 해당 면의 근축 영역 부분이 볼록하다는 의미이고, 일면이 오목한 형상이라는 의미는 해당 면의 근축 영역 부분이 오목하다는 의미이다.
한편, 근축 영역(Paraxial Region)이라 함은 광축 근처의 매우 좁은 영역을 의미한다.
촬상면은 촬상 광학계에 의해 초점이 형성되는 가상면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촬상면은 광이 수광되는 이미지 센서의 일면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적어도 3매의 렌즈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촬상 광학계는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배치되는 제1 렌즈, 제2 렌즈 및 제3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렌즈는 최전방 렌즈이고, 제3 렌즈는 최후방 렌즈이다.
또는, 촬상 광학계는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배치되는 제1 렌즈, 제2 렌즈, 제3 렌즈 및 제4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렌즈는 최전방 렌즈이고, 제4 렌즈는 최후방 렌즈이다.
또는, 촬상 광학계는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배치되는 제1 렌즈, 제2 렌즈, 제3 렌즈, 제4 렌즈 및 제5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렌즈는 최전방 렌즈이고, 제5 렌즈는 최후방 렌즈이다.
본 발명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렌즈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상 광학계는 광 경로를 변화시키는 반사면을 갖는 반사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반사부재는 미러 또는 프리즘일 수 있다.
반사부재는 복수의 렌즈보다 물체측에 가깝게 배치된다. 일 예로, 반사부재는 제1 렌즈의 전방(즉, 제1 렌즈보다 물체 측에 가깝게)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물체측에 가장 가깝게 배치된 렌즈는 반사부재에 가장 가깝게 배치된 렌즈일 수 있다.
또한, 촬상 광학계는 입사된 피사체의 상을 전기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이미지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촬상 광학계는 적외선을 차단하기 위한 적외선 차단필터(이하, 필터라 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터는 이미지 센서에 가장 가깝게 배치된 렌즈(최후방 렌즈)와 이미지 센서 사이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를 구성하는 모든 렌즈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제2 렌즈의 굴절률이 제1 렌즈의 굴절률보다 크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렌즈를 제외한 나머지 렌즈들의 굴절률 평균값이 제1 렌즈의 굴절률보다 크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초점을 조정하거나 이미지의 흔들림을 보정하기 위하여 이미지 센서가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이미지 센서는 광축 방향 및/또는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이미지 센서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피사체에 초점을 맞출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손떨림 등에 의해 촬영 시 흔들림이 발생할 때, 흔들림에 대응하는 상대변위를 이미지 센서에 부여함으로써 흔들림을 보정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이미지 센서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구동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구동부는 마그네트 및 코일을 이용한 VCM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상대적으로 좁은 화각과 긴 초점거리를 갖는 망원 렌즈의 특징을 가진다.
복수의 렌즈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비구면을 가질 수 있다.
즉, 각 렌즈의 제1 면 및 제2 면 중 적어도 하나는 비구면일 수 있다. 여기서, 각 렌즈의 비구면은 수학식 1로 표현된다.
수학식 1에서 c는 렌즈의 곡률(곡률 반지름의 역수)이고, K는 코닉 상수이고, Y는 렌즈의 비구면 상의 임의의 점으로부터 광축까지의 거리를 나타낸다. 아울러, 상수 A ~ J는 비구면 계수를 의미한다. 그리고 Z는 렌즈의 비구면 상의 임의의 점으로부터 해당 비구면의 정점까지의 거리(SAG)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아래의 조건식 1을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1] 0 < (SAS/f)/OD < 0.15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아래의 조건식 중 적어도 하나를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2] 0 < L1S1/f < 0.3
[조건식 3] -2 < (L1S1+L1S2)/(L1S1-L1S2) < 0
[조건식 4] 0 < L2S2/f < 0.3
[조건식 5] 0.5 < (L2S1+L2S2)/(L2S1-L2S2) < 2
[조건식 6] 2 < f/f1 < 3.5
[조건식 7] -4.5 < f/f2 < -2
[조건식 8] 0.5 < BFL/TTL < 0.8
[조건식 9] 2.2 < TTL/(2*IMG HT) < 5
[조건식 10] 0.8 < TTL/f < 1
[조건식 11] 0.4 < f1/|f_rest| < 1
[조건식 12] 1.6 < n_avg < 1.7
SAS는 이미지 센서의 광축 방향 이동거리이고, f는 촬상 광학계의 전체 초점거리이며, OD는 물체거리이다.
L1S1은 제1 렌즈의 물체측 면의 곡률반경이고, L1S2는 제1 렌즈의 상측 면의 곡률반경이고, L2S1은 제2 렌즈의 물체측 면의 곡률반경이고, L2S2는 제2 렌즈의 상측 면의 곡률반경이다.
f1은 제1 렌즈의 초점거리이고, f2는 제2 렌즈의 초점거리이며, f_rest는 제1 렌즈를 제외한 나머지 렌즈들의 합성 초점거리이다.
BFL은 최후방 렌즈의 상측 면으로부터 촬상면까지의 광축 상 거리이고, TTL은 최전방 렌즈의 물체측 면으로부터 촬상면까지의 광축 상 거리이며, IMG HT는 촬상면의 대각길이의 절반이다.
n_avg는 제1 렌즈를 제외한 나머지 렌즈들의 굴절률 평균값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제1 렌즈(110), 제2 렌즈(120) 및 제3 렌즈(130)를 구비하는 광학계를 포함하고, 필터(160) 및 이미지 센서(IS)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렌즈(110)의 전방에 배치되고, 광 경로를 변화시키는 반사면을 갖는 반사부재(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반사부재(R)는 프리즘일 수 있으나, 미러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촬상면(170)에 초점을 형성할 수 있다. 촬상면(170)은 촬상 광학계에 의해 초점이 형성되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 촬상면(170)은 광이 수광되는 이미지 센서(IS)의 일면을 의미할 수 있다.
각 렌즈의 렌즈 특성(곡률 반지름(Radius of curvature), 렌즈의 두께(Thickness) 또는 렌즈들 간의 거리(Distance), 굴절률(Index), 아베수(Abbe수), 초점거리(Focal length))은 표 1과 같다.
면 번호 | 비고 | 곡률반경 | 두께 또는 거리 | 굴절률 | 아베수 | 초점거리 |
S1 | 반사부재 | Infinity | 2.500 | 1.717 | 29.5 | |
S2 | Infinity | 2.500 | 1.717 | 29.5 | ||
S3 | Infinity | 2.000 | ||||
S4 | 제1 렌즈 | 4.978 | 2.308 | 1.535 | 56 | 9.449 |
S5 | 115.305 | 0.150 | ||||
S6 | 제2 렌즈 | 23.763 | 0.674 | 1.615 | 25.9 | -7.558 |
S7 | 3.875 | 1.341 | ||||
S8 | 제3 렌즈 | 9.270 | 1.121 | 1.671 | 19.2 | 22.388 |
S9 | 22.569 | 16.469 | ||||
S10 | 필터 | Infinity | 0.300 | 1.516 | 64.1 | |
S11 | Infinity | 2.095 | ||||
S12 | 촬상면 | Infinity |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전체 초점거리(f)는 26 mm이고, 촬상 광학계의 F 넘버(F-number, 이하 'Fno'라 함)는 4.3이며, 촬상면(170)의 대각길이의 절반은 2.49 mm 이고, 제2 렌즈(120)와 제3 렌즈(130)의 합성 초점거리는 -12.143 mm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제1 렌즈(11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1 렌즈(110)의 제1 면은 볼록한 형상이고, 제1 렌즈(110)의 제2 면은 오목한 형상이다.
제2 렌즈(12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2 렌즈(120)의 제1 면은 볼록한 형상이고, 제2 렌즈(120)의 제2 면은 오목한 형상이다.
제3 렌즈(13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3 렌즈(130)의 제1 면은 볼록한 형상이고, 제3 렌즈(130)의 제2 면은 오목한 형상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초점 조정을 위하여 이미지 센서(IS)가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이미지 센서(IS)는 광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표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에서, 물체거리(OD)에 따른 이미지 센서(IS)의 광축 방향 이동 거리(AFS)를 나타낸다.
물체거리 | 이미지 센서의 광축 방향 이동거리 |
2.0 M | 0.3431 mm |
1.5 M | 0.4599 mm |
1.0 M | 0.6969 mm |
0.5 M | 1.438 mm |
여기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아래의 조건식을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13] 0.6 mm < AFS_1.0 < 0.8 mm
AFS_1.0은 물체거리(OD) 1.0 미터에 대한 이미지 센서(IS)의 광축 방향 이동거리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흔들림 보정을 위하여 이미지 센서(IS)가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이미지 센서(IS)는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표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에서, 흔들림 량에 따른 이미지 센서(IS)의 광축에 수직한 방향 이동거리를 나타낸다. 흔들림 량은 흔들림 검출부(일 예로, 자이로 센서)에서 측정될 수 있다.
흔들림 량 | 이미지 센서의 광축에 수직한 방향 이동거리 |
0.5 deg | 0.226mm |
1.0 deg | 0.453mm |
1.5 deg | 0.680mm |
2.0 deg | 0.907mm |
여기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아래의 조건식을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14] 0.4 mm < OISC_1.0 < 0.5 mm
OISC_1.0은 1.0°의 흔들림 량에 대한 이미지 센서(IS)의 광축에 수직한 방향 이동거리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이미지 센서(IS)를 이동시켜 초점 조정 및 흔들림 보정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소모 전력을 줄일 수 있다.
한편, 제1 렌즈(110) 내지 제3 렌즈(130)의 각 면은 표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비구면 계수를 가진다. 예를 들어, 제1 렌즈(110) 내지 제3 렌즈(130)의 물체측 면 및 상측 면은 모두 비구면이다.
S4 | S5 | S6 | S7 | S8 | S9 | |
코닉상수(K) | 0.108586173 | -99 | 44.28062425 | 0.325078127 | -0.35515807 | 19.64907497 |
4차계수(A) | -1.751E-04 | -5.496E-03 | -1.286E-02 | -1.084E-02 | -9.784E-04 | -2.156E-04 |
6차계수(B) | 1.202E-04 | 1.107E-02 | 1.377E-02 | 4.395E-03 | 1.784E-05 | -1.174E-05 |
8차계수(C) | -4.339E-05 | -8.674E-03 | -1.028E-02 | -2.562E-03 | 8.828E-05 | -7.900E-06 |
10차계수(D) | 5.345E-07 | 3.930E-03 | 4.838E-03 | 1.336E-03 | -8.287E-06 | 3.946E-05 |
12차계수(E) | 3.222E-06 | -1.100E-03 | -1.421E-03 | -4.407E-04 | 4.238E-06 | -1.553E-05 |
14차계수(F) | -9.608E-07 | 1.914E-04 | 2.599E-04 | 9.066E-05 | 3.061E-07 | 5.783E-06 |
16차계수(G) | 1.293E-07 | -2.005E-05 | -2.867E-05 | -1.157E-05 | -7.951E-07 | -1.820E-06 |
18차계수(H) | -8.500E-09 | 1.153E-06 | 1.741E-06 | 8.345E-07 | 1.633E-07 | 2.877E-07 |
20차계수(J) | 2.207E-10 | -2.790E-08 | -4.461E-08 | -2.545E-08 | -9.826E-09 | -1.677E-08 |
또한, 이와 같이 구성된 촬상 광학계는 도 2에 도시된 수차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제1 렌즈(210), 제2 렌즈(220) 및 제3 렌즈(230)를 구비하는 광학계를 포함하고, 필터(260) 및 이미지 센서(IS)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렌즈(210)의 전방에 배치되고, 광 경로를 변화시키는 반사면을 갖는 반사부재(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반사부재(R)는 프리즘일 수 있으나, 미러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촬상면(270)에 초점을 형성할 수 있다. 촬상면(270)은 촬상 광학계에 의해 초점이 형성되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 촬상면(270)은 광이 수광되는 이미지 센서(IS)의 일면을 의미할 수 있다.
각 렌즈의 렌즈 특성(곡률 반지름(Radius of curvature), 렌즈의 두께(Thickness) 또는 렌즈들 간의 거리(Distance), 굴절률(Index), 아베수(Abbe수), 초점거리(Focal length))은 표 5와 같다.
면 번호 | 비고 | 곡률반경 | 두께 또는 거리 | 굴절률 | 아베수 | 초점거리 |
S1 | 반사부재 | Infinity | 2.500 | 1.717 | 29.5 | |
S2 | Infinity | 2.500 | 1.717 | 29.5 | ||
S3 | Infinity | 2.000 | ||||
S4 | 제1 렌즈 | 5.055 | 2.550 | 1.583 | 59.4 | 9.517 |
S5 | 44.279 | 0.096 | ||||
S6 | 제2 렌즈 | 19.256 | 0.620 | 1.615 | 25.9 | -7.330 |
S7 | 3.635 | 1.408 | ||||
S8 | 제3 렌즈 | 5.762 | 0.799 | 1.671 | 19.2 | 20.798 |
S9 | 9.182 | 16.088 | ||||
S10 | 필터 | Infinity | 0.300 | 1.516 | 64.1 | |
S11 | Infinity | 2.089 | ||||
S12 | 촬상면 | Infinity |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전체 초점거리(f)는 26 mm이고, Fno는 4.1 이며, 촬상면(270)의 대각길이의 절반은 2.49 mm 이고, 제2 렌즈(220)와 제3 렌즈(230)의 합성 초점거리는 -11.902 mm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제1 렌즈(21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1 렌즈(210)의 제1 면은 볼록한 형상이고, 제1 렌즈(210)의 제2 면은 오목한 형상이다.
제2 렌즈(22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2 렌즈(220)의 제1 면은 볼록한 형상이고, 제2 렌즈(220)의 제2 면은 오목한 형상이다.
제3 렌즈(23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3 렌즈(230)의 제1 면은 볼록한 형상이고, 제3 렌즈(230)의 제2 면은 오목한 형상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초점 조정을 위하여 이미지 센서(IS)가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이미지 센서(IS)는 광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표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에서, 물체거리(OD)에 따른 이미지 센서(IS)의 광축 방향 이동 거리(AFS)를 나타낸다.
물체거리 | 이미지 센서의 광축 방향 이동거리 |
2.0 M | 0.3431 mm |
1.5 M | 0.4599 mm |
1.0 M | 0.6969 mm |
0.5 M | 1.438 mm |
여기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아래의 조건식을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13] 0.6 mm < AFS_1.0 < 0.8 mm
AFS_1.0은 물체거리(OD) 1.0 미터에 대한 이미지 센서(IS)의 광축 방향 이동거리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흔들림 보정을 위하여 이미지 센서(IS)가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이미지 센서(IS)는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표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에서, 흔들림 량에 따른 이미지 센서(IS)의 광축에 수직한 방향 이동거리를 나타낸다. 흔들림 량은 흔들림 검출부(일 예로, 자이로 센서)에서 측정될 수 있다.
흔들림 량 | 이미지 센서의 광축에 수직한 방향 이동거리 |
0.5 deg | 0.226mm |
1.0 deg | 0.453mm |
1.5 deg | 0.680mm |
2.0 deg | 0.907mm |
여기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아래의 조건식을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14] 0.4 mm < OISC_1.0 < 0.5mm
OISC_1.0은 1.0°의 흔들림 량에 대한 이미지 센서(IS)의 광축에 수직한 방향 이동거리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이미지 센서(IS)를 이동시켜 초점 조정 및 흔들림 보정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소모 전력을 줄일 수 있다.
한편, 제1 렌즈(210) 내지 제3 렌즈(230)의 각 면은 표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비구면 계수를 가진다. 예를 들어, 제1 렌즈(210) 내지 제3 렌즈(230)의 물체측 면 및 상측 면은 모두 비구면이다.
S4 | S5 | S6 | S7 | S8 | S9 | |
코닉상수(K) | 0.092974225 | -99 | 38.62148519 | 0.210473924 | -0.67684378 | 8.914952795 |
4차계수(A) | -1.992E-04 | -5.690E-03 | -1.439E-02 | -1.244E-02 | -7.820E-04 | -1.043E-03 |
6차계수(B) | 1.659E-04 | 1.543E-02 | 1.856E-02 | 5.013E-03 | -2.748E-05 | 9.001E-05 |
8차계수(C) | -1.095E-04 | -1.478E-02 | -1.674E-02 | -3.713E-03 | 2.999E-05 | -2.919E-04 |
10차계수(D) | 3.505E-05 | 7.971E-03 | 9.267E-03 | 2.672E-03 | 8.982E-05 | 2.462E-04 |
12차계수(E) | -6.606E-06 | -2.601E-03 | -3.133E-03 | -1.199E-03 | -5.785E-05 | -1.125E-04 |
14차계수(F) | 6.742E-07 | 5.199E-04 | 6.490E-04 | 3.305E-04 | 2.742E-05 | 4.540E-05 |
16차계수(G) | -2.810E-08 | -6.199E-05 | -8.025E-05 | -5.548E-05 | -7.851E-06 | -1.289E-05 |
18차계수(H) | -3.753E-10 | 4.038E-06 | 5.429E-06 | 5.187E-06 | 1.098E-06 | 1.913E-06 |
20차계수(J) | 4.625E-11 | -1.104E-07 | -1.544E-07 | -2.058E-07 | -5.807E-08 | -1.101E-07 |
또한, 이와 같이 구성된 촬상 광학계는 도 4에 도시된 수차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제1 렌즈(310), 제2 렌즈(320), 제3 렌즈(330) 및 제4 렌즈(340)를 구비하는 광학계를 포함하고, 필터(360) 및 이미지 센서(IS)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렌즈(310)의 전방에 배치되고, 광 경로를 변화시키는 반사면을 갖는 반사부재(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반사부재(R)는 프리즘일 수 있으나, 미러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촬상면(370)에 초점을 형성할 수 있다. 촬상면(370)은 촬상 광학계에 의해 초점이 형성되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 촬상면(370)은 광이 수광되는 이미지 센서(IS)의 일면을 의미할 수 있다.
각 렌즈의 렌즈 특성(곡률 반지름(Radius of curvature), 렌즈의 두께(Thickness) 또는 렌즈들 간의 거리(Distance), 굴절률(Index), 아베수(Abbe수), 초점거리(Focal length))은 표 9와 같다.
면 번호 | 비고 | 곡률반경 | 두께 또는 거리 | 굴절률 | 아베수 | 초점거리 |
S1 | 반사부재 | Infinity | 2.500 | 1.717 | 29.5 | |
S2 | Infinity | 2.500 | 1.717 | 29.5 | ||
S3 | Infinity | 2.000 | ||||
S4 | 제1 렌즈 | 3.400 | 1.557 | 1.535 | 56 | 5.097 |
S5 | -11.836 | 0.089 | ||||
S6 | 제2 렌즈 | -25.187 | 0.827 | 1.615 | 25.9 | -3.349 |
S7 | 2.294 | 0.497 | ||||
S8 | 제3 렌즈 | 6.06265 | 0.811 | 1.671 | 19.2 | 14.048 |
S9 | 15.73953 | 0.097 | ||||
S10 | 제4 렌즈 | 2.43661 | 0.630 | 1.615 | 25.9 | 19.674 |
S11 | 2.74271 | 7.586 | ||||
S12 | 필터 | Infinity | 0.300 | 1.516 | 64.1 | |
S13 | Infinity | 1.332 | ||||
S14 | 촬상면 | Infinity |
한편,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전체 초점거리(f)는 14.5 mm이고, Fno는 3.9 이며, 촬상면(370)의 대각길이의 절반은 2.72 mm 이고, 제2 렌즈(320) 내지 제4 렌즈(340)의 합성 초점거리는 -5.672 mm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제1 렌즈(31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1 렌즈(310)의 제1 면과 제2 면은 볼록한 형상이다.
제2 렌즈(32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2 렌즈(320)의 제1 면과 제2 면은 오목한 형상이다.
제3 렌즈(33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3 렌즈(330)의 제1 면은 볼록한 형상이고, 제3 렌즈(330)의 제2 면은 오목한 형상이다.
제4 렌즈(34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4 렌즈(340)의 제1 면은 볼록한 형상이고, 제4 렌즈(340)의 제2 면은 오목한 형상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초점 조정을 위하여 이미지 센서(IS)가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이미지 센서(IS)는 광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표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에서, 물체거리(OD)에 따른 이미지 센서(IS)의 광축 방향 이동 거리(AFS)를 나타낸다.
물체거리 | 이미지 센서의 광축 방향 이동거리 |
2.0 M | 0.1059 mm |
1.5 M | 0.1415 mm |
1.0 M | 0.2133 mm |
0.5 M | 1.4328 mm |
여기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아래의 조건식을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15] 0.15 mm < AFS_1.0 < 0.25 mm
AFS_1.0은 물체거리(OD) 1.0 미터에 대한 이미지 센서(IS)의 광축 방향 이동거리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흔들림 보정을 위하여 이미지 센서(IS)가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이미지 센서(IS)는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표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에서, 흔들림 량에 따른 이미지 센서(IS)의 광축에 수직한 방향 이동거리를 나타낸다. 흔들림 량은 흔들림 검출부(일 예로, 자이로 센서)에서 측정될 수 있다.
흔들림 량 | 이미지 센서의 광축에 수직한 방향 이동거리 |
0.5 deg | 0.130mm |
1.0 deg | 0.261mm |
1.5 deg | 0.392mm |
2.0 deg | 0.523mm |
여기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아래의 조건식을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16] 0.2 < OISC_1.0 < 0.3
OISC_1.0은 1.0°의 흔들림 량에 대한 이미지 센서(IS)의 광축에 수직한 방향 이동거리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이미지 센서(IS)를 이동시켜 초점 조정 및 흔들림 보정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소모 전력을 줄일 수 있다.
한편, 제1 렌즈(310) 내지 제4 렌즈(340)의 각 면은 표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비구면 계수를 가진다. 예를 들어, 제1 렌즈(310) 내지 제4 렌즈(340)의 물체측 면 및 상측 면은 모두 비구면이다.
S4 | S5 | S6 | S7 | |
코닉상수(K) | -0.19462401 | 39.47526272 | -53.7247539 | 0.228528713 |
4차계수(A) | 5.636E-04 | 7.482E-03 | -1.844E-02 | -4.081E-02 |
6차계수(B) | -6.645E-04 | -2.307E-03 | 8.223E-03 | 1.549E-02 |
8차계수(C) | 5.055E-04 | 8.451E-04 | -8.890E-04 | -3.313E-03 |
10차계수(D) | -4.856E-04 | 1.913E-04 | -1.097E-05 | 3.697E-04 |
12차계수(E) | 2.142E-04 | 3.612E-06 | 5.894E-05 | -4.566E-04 |
14차계수(F) | -4.734E-05 | -5.055E-05 | -2.163E-05 | 3.394E-04 |
16차계수(G) | 3.361E-06 | 5.926E-06 | -6.124E-06 | -1.334E-04 |
18차계수(H) | 3.973E-07 | -1.418E-06 | -7.985E-07 | 2.498E-05 |
20차계수(J) | -6.813E-08 | 6.644E-07 | 7.948E-07 | 1.914E-15 |
S8 | S9 | S10 | S11 | |
코닉상수(K) | 12.22551644 | 80.81051093 | -3.41152165 | 0.932324387 |
4차계수(A) | 2.074E-02 | 1.003E-02 | -1.797E-02 | -3.891E-02 |
6차계수(B) | -1.020E-02 | -1.585E-04 | 1.689E-03 | -8.794E-04 |
8차계수(C) | 5.536E-03 | -7.715E-04 | -2.708E-04 | 2.598E-03 |
10차계수(D) | -2.028E-03 | 2.679E-03 | 1.127E-03 | -2.858E-03 |
12차계수(E) | 2.629E-04 | -9.033E-04 | -1.892E-04 | 1.676E-03 |
14차계수(F) | 0.000E+00 | -2.320E-04 | -1.074E-04 | -3.796E-04 |
16차계수(G) | 0.000E+00 | 1.495E-04 | 3.941E-05 | 1.087E-13 |
18차계수(H) | 0.000E+00 | 9.833E-17 | 0.000E+00 | -4.769E-19 |
20차계수(J) | 0.000E+00 | 4.385E-17 | 0.000E+00 | -1.184E-17 |
또한, 이와 같이 구성된 촬상 광학계는 도 6에 도시된 수차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제1 렌즈(410), 제2 렌즈(420), 제3 렌즈(430) 및 제4 렌즈(440)를 구비하는 광학계를 포함하고, 필터(460) 및 이미지 센서(IS)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렌즈(410)의 전방에 배치되고, 광 경로를 변화시키는 반사면을 갖는 반사부재(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서 반사부재(R)는 프리즘일 수 있으나, 미러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촬상면(470)에 초점을 형성할 수 있다. 촬상면(470)은 촬상 광학계에 의해 초점이 형성되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 촬상면(470)은 광이 수광되는 이미지 센서(IS)의 일면을 의미할 수 있다.
각 렌즈의 렌즈 특성(곡률 반지름(Radius of curvature), 렌즈의 두께(Thickness) 또는 렌즈들 간의 거리(Distance), 굴절률(Index), 아베수(Abbe수), 초점거리(Focal length))은 표 13과 같다.
면 번호 | 비고 | 곡률반경 | 두께 또는 거리 | 굴절률 | 아베수 | 초점거리 |
S1 | 반사부재 | Infinity | 2.500 | 1.717 | 29.5 | |
S2 | Infinity | 2.500 | 1.717 | 29.5 | ||
S3 | Infinity | 2.000 | ||||
S4 | 제1 렌즈 | 3.356 | 1.790 | 1.535 | 56 | 5.322 |
S5 | -15.746 | 0.125 | ||||
S6 | 제2 렌즈 | 78.094 | 0.951 | 1.615 | 25.9 | -4.114 |
S7 | 2.461 | 0.609 | ||||
S8 | 제3 렌즈 | 894.88000 | 0.951 | 1.671 | 19.2 | 25.344 |
S9 | -17.53559 | 0.168 | ||||
S10 | 제4 렌즈 | 2.90836 | 0.742 | 1.615 | 25.9 | 29.008 |
S11 | 3.13005 | 6.262 | ||||
S12 | 필터 | Infinity | 0.336 | 1.516 | 64.1 | |
S13 | Infinity | 0.844 | ||||
S14 | 촬상면 | Infinity |
한편,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전체 초점거리(f)는 13.2 mm이고, Fno는 3.7 이며, 촬상면(470)의 대각길이의 절반은 2.48 mm 이고, 제2 렌즈(420) 내지 제4 렌즈(440)의 합성 초점거리는 -6.109 mm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서, 제1 렌즈(41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1 렌즈(410)의 제1 면과 제2 면은 볼록한 형상이다.
제2 렌즈(42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2 렌즈(420)의 제1 면은 볼록한 형상이고, 제2 렌즈(420)의 제2 면은 오목한 형상이다.
제3 렌즈(43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3 렌즈(430)의 제1 면과 제2 면은 볼록한 형상이다.
제4 렌즈(44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4 렌즈(440)의 제1 면은 볼록한 형상이고, 제4 렌즈(440)의 제2 면은 오목한 형상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초점 조정을 위하여 이미지 센서(IS)가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이미지 센서(IS)는 광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표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에서, 물체거리(OD)에 따른 이미지 센서(IS)의 광축 방향 이동 거리(AFS)를 나타낸다.
물체거리 | 이미지 센서의 광축 방향 이동거리 |
2.0 M | 0.0876 mm |
1.5 M | 0.1171 mm |
1.0 M | 0.1763 mm |
0.5 M | 0.3572 mm |
여기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아래의 조건식을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15] 0.15 mm < AFS_1.0 < 0.25 mm
AFS_1.0은 물체거리(OD) 1.0 미터에 대한 이미지 센서(IS)의 광축 방향 이동거리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흔들림 보정을 위하여 이미지 센서(IS)가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이미지 센서(IS)는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표 1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에서, 흔들림 량에 따른 이미지 센서(IS)의 광축에 수직한 방향 이동거리를 나타낸다. 흔들림 량은 흔들림 검출부(일 예로, 자이로 센서)에서 측정될 수 있다.
흔들림 량 | 이미지 센서의 광축에 수직한 방향 이동거리 |
0.5 deg | 0.113mm |
1.0 deg | 0.226mm |
1.5 deg | 0.340mm |
2.0 deg | 0.453mm |
여기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아래의 조건식을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17] 0.15 mm < OISC_1.0 < 0.25 mm
OISC_1.0은 1.0°의 흔들림 량에 대한 이미지 센서(IS)의 광축에 수직한 방향 이동거리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이미지 센서(IS)를 이동시켜 초점 조정 및 흔들림 보정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소모 전력을 줄일 수 있다.
한편, 제1 렌즈(410) 내지 제4 렌즈(440)의 각 면은 표 1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비구면 계수를 가진다. 예를 들어, 제1 렌즈(410) 내지 제4 렌즈(440)의 물체측 면 및 상측 면은 모두 비구면이다.
S4 | S5 | S6 | S7 | |
코닉상수(K) | -0.25205408 | 32.33789095 | 99 | 0.431592462 |
4차계수(A) | -3.804E-04 | -3.110E-03 | -1.254E-02 | -1.936E-02 |
6차계수(B) | 7.648E-04 | 8.608E-03 | 1.314E-02 | 1.665E-02 |
8차계수(C) | -1.298E-03 | -6.190E-03 | -6.053E-03 | -8.434E-03 |
10차계수(D) | 1.130E-03 | 1.973E-03 | -6.441E-04 | 4.942E-03 |
12차계수(E) | -6.248E-04 | -2.323E-04 | 2.424E-03 | 1.717E-03 |
14차계수(F) | 2.135E-04 | 0.000E+00 | -1.300E-03 | -1.522E-03 |
16차계수(G) | -4.505E-05 | 0.000E+00 | 3.343E-04 | -9.735E-04 |
18차계수(H) | 5.514E-06 | 0.000E+00 | -4.310E-05 | 4.406E-04 |
20차계수(J) | -3.032E-07 | 0.000E+00 | 2.095E-06 | 0.000E+00 |
S8 | S9 | S10 | S11 | |
코닉상수(K) | 99 | 40.92235276 | 0.287993248 | 1.622687571 |
4차계수(A) | 4.265E-03 | 2.070E-02 | 1.463E-02 | -4.169E-03 |
6차계수(B) | 3.253E-03 | -2.065E-02 | -2.192E-02 | -5.907E-04 |
8차계수(C) | 2.853E-03 | 1.841E-02 | 1.653E-02 | -4.705E-03 |
10차계수(D) | 2.408E-03 | -4.592E-03 | -7.013E-03 | 3.651E-03 |
12차계수(E) | -2.308E-03 | -2.528E-03 | 1.020E-03 | -1.059E-03 |
14차계수(F) | 0.000E+00 | 1.045E-03 | 0.000E+00 | 0.000E+00 |
16차계수(G) | 0.000E+00 | -6.991E-05 | 0.000E+00 | 0.000E+00 |
18차계수(H) | 0.000E+00 | 0.000E+00 | 0.000E+00 | 0.000E+00 |
20차계수(J) | 0.000E+00 | 0.000E+00 | 0.000E+00 | 0.000E+00 |
또한, 이와 같이 구성된 촬상 광학계는 도 8에 도시된 수차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제1 렌즈(510), 제2 렌즈(520), 제3 렌즈(530), 제4 렌즈(540) 및 제5 렌즈(550)를 구비하는 광학계를 포함하고, 필터(560) 및 이미지 센서(IS)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렌즈(510)의 전방에 배치되고, 광 경로를 변화시키는 반사면을 갖는 반사부재(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서 반사부재(R)는 프리즘일 수 있으나, 미러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촬상면(570)에 초점을 형성할 수 있다. 촬상면(570)은 촬상 광학계에 의해 초점이 형성되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 촬상면(570)은 광이 수광되는 이미지 센서(IS)의 일면을 의미할 수 있다.
각 렌즈의 렌즈 특성(곡률 반지름(Radius of curvature), 렌즈의 두께(Thickness) 또는 렌즈들 간의 거리(Distance), 굴절률(Index), 아베수(Abbe수), 초점거리(Focal length))은 표 17과 같다.
면 번호 | 비고 | 곡률반경 | 두께 또는 거리 | 굴절률 | 아베수 | 초점거리 |
S1 | 반사부재 | Infinity | 2.500 | 1.717 | 29.5 | |
S2 | Infinity | 2.500 | 1.717 | 29.5 | ||
S3 | Infinity | 2.000 | ||||
S4 | 제1 렌즈 | 5.189 | 2.200 | 1.535 | 56 | 8.214 |
S5 | -24.946 | 0.248 | ||||
S6 | 제2 렌즈 | -333.325 | 1.000 | 1.615 | 25.9 | -6.523 |
S7 | 4.103 | 1.506 | ||||
S8 | 제3 렌즈 | 5.07583 | 1.000 | 1.671 | 19.2 | 13.320 |
S9 | 10.64859 | 0.162 | ||||
S10 | 제4 렌즈 | 7.74817 | 0.867 | 1.615 | 25.9 | -13.630 |
S11 | 3.87074 | 1.563 | ||||
S12 | 제5 렌즈 | 6.69216 | 1.000 | 1.535 | 56 | 22.345 |
S13 | 14.02434 | 7.981 | ||||
S14 | 필터 | Infinity | 0.300 | 1.516 | 64.1 | |
S15 | Infinity | 3.454 | ||||
S16 | 촬상면 | Infinity |
한편,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전체 초점거리(f)는 22 mm이고, Fno는 3.8 이며, 촬상면(570)의 대각길이의 절반은 4.2 mm 이고, 제2 렌즈(520) 내지 제5 렌즈(550)의 합성 초점거리는 -9.85 mm이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서, 제1 렌즈(51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1 렌즈(510)의 제1 면과 제2 면은 볼록한 형상이다.
제2 렌즈(52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2 렌즈(520)의 제1 면과 제2 면은 오목한 형상이다.
제3 렌즈(53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3 렌즈(530)의 제1 면은 볼록한 형상이고, 제3 렌즈(530)의 제2 면은 오목한 형상이다.
제4 렌즈(54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4 렌즈(540)의 제1 면은 볼록한 형상이고, 제4 렌즈(540)의 제2 면은 오목한 형상이다.
제5 렌즈(55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5 렌즈(550)의 제1 면은 볼록한 형상이고, 제5 렌즈(550)의 제2 면은 오목한 형상이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초점 조정을 위하여 이미지 센서(IS)가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이미지 센서(IS)는 광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표 1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에서, 물체거리(OD)에 따른 이미지 센서(IS)의 광축 방향 이동 거리(AFS)를 나타낸다.
물체거리 | 이미지 센서의 광축 방향 이동거리 |
2.0 M | 0.2029 mm |
1.5 M | 0.3456 mm |
1.0 M | 0.5126 mm |
0.5 M | 1.0283 mm |
여기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아래의 조건식을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18] 0.4 mm < AFS_1.0 < 0.6 mm
AFS_1.0은 물체거리(OD) 1.0 미터에 대한 이미지 센서(IS)의 광축 방향 이동거리이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흔들림 보정을 위하여 이미지 센서(IS)가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이미지 센서(IS)는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표 1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에서, 흔들림 량에 따른 이미지 센서(IS)의 광축에 수직한 방향 이동거리를 나타낸다. 흔들림 량은 흔들림 검출부(일 예로, 자이로 센서)에서 측정될 수 있다.
흔들림 량 | 이미지 센서의 광축에 수직한 방향 이동거리 |
0.5 deg | 0.191mm |
1.0 deg | 0.384mm |
1.5 deg | 0.576mm |
2.0 deg | 0.768mm |
여기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아래의 조건식을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19] 0.3 mm < OISC_1.0 < 0.4 mm
OISC_1.0은 1.0°의 흔들림 량에 대한 이미지 센서(IS)의 광축에 수직한 방향 이동거리이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이미지 센서(IS)를 이동시켜 초점 조정 및 흔들림 보정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소모 전력을 줄일 수 있다.
한편, 제1 렌즈(510) 내지 제5 렌즈(550)의 각 면은 표 20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비구면 계수를 가진다. 예를 들어, 제1 렌즈(510) 내지 제5 렌즈(550)의 물체측 면 및 상측 면은 모두 비구면이다.
S4 | S5 | S6 | S7 | S8 | |
코닉상수 | -0.63588104 | -16.6933114 | -99 | 0.042706966 | 0.765523528 |
4차계수 | 3.896E-04 | 1.258E-03 | -1.045E-03 | -3.775E-03 | -1.852E-03 |
6차계수 | 1.963E-05 | -6.687E-04 | -8.082E-04 | -4.386E-04 | 9.111E-04 |
8차계수 | -7.647E-06 | 3.543E-04 | 5.863E-04 | 2.777E-04 | -9.617E-04 |
10차계수(D) | 3.335E-06 | -1.063E-04 | -1.917E-04 | -4.573E-05 | 5.469E-04 |
12차계수(E) | -7.910E-07 | 2.001E-05 | 3.873E-05 | -7.721E-06 | -1.667E-04 |
14차계수(F) | 1.108E-07 | -2.377E-06 | -4.952E-06 | 4.833E-06 | 2.620E-05 |
16차계수(G) | -9.087E-09 | 1.714E-07 | 3.866E-07 | -8.920E-07 | -1.665E-06 |
18차계수(H) | 3.973E-10 | -6.826E-09 | -1.675E-08 | 7.581E-08 | -3.191E-08 |
20차계수(J) | -7.152E-12 | 1.149E-10 | 3.080E-10 | -2.513E-09 | 6.183E-09 |
S9 | S10 | S11 | S12 | S13 | |
코닉상수 | 4.170484928 | -2.39760089 | 0.082090575 | 5.359714379 | 24.17237688 |
4차계수 | -4.327E-03 | -5.626E-03 | -5.280E-03 | -6.300E-03 | -3.964E-03 |
6차계수 | 7.426E-03 | 7.960E-03 | 1.669E-03 | -4.794E-04 | -2.560E-04 |
8차계수 | -9.056E-03 | -1.068E-02 | -3.363E-03 | 2.425E-04 | 2.881E-05 |
10차계수(D) | 6.129E-03 | 7.556E-03 | 3.004E-03 | -3.599E-04 | -1.276E-04 |
12차계수(E) | -2.378E-03 | -3.046E-03 | -1.451E-03 | 2.958E-04 | 1.428E-04 |
14차계수(F) | 5.377E-04 | 7.207E-04 | 4.148E-04 | -1.275E-04 | -6.832E-05 |
16차계수(G) | -6.904E-05 | -9.805E-05 | -6.956E-05 | 3.020E-05 | 1.695E-05 |
18차계수(H) | 4.557E-06 | 6.992E-06 | 6.290E-06 | -3.744E-06 | -2.145E-06 |
20차계수(J) | -1.149E-07 | -1.977E-07 | -2.357E-07 | 1.899E-07 | 1.096E-07 |
또한, 이와 같이 구성된 촬상 광학계는 도 10에 도시된 수차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R: 반사부재
110, 210, 310, 410, 510: 제1 렌즈
120, 220, 320, 420, 520: 제2 렌즈
130, 230, 330, 430, 530: 제3 렌즈
340, 440, 540: 제4 렌즈
550: 제5 렌즈
160, 260, 360, 460, 560: 필터
170, 270, 370, 470, 570: 촬상면
110, 210, 310, 410, 510: 제1 렌즈
120, 220, 320, 420, 520: 제2 렌즈
130, 230, 330, 430, 530: 제3 렌즈
340, 440, 540: 제4 렌즈
550: 제5 렌즈
160, 260, 360, 460, 560: 필터
170, 270, 370, 470, 570: 촬상면
Claims (17)
- 적어도 3개의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부;
상기 렌즈부를 통과한 광이 수광되는 이미지 센서; 및
상기 렌즈부의 전방에 배치되며, 광 경로를 변화시키는 반사면을 갖는 반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이미지 센서는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0 < (SAS/f)/OD < 0.15 을 만족하며, SAS는 상기 이미지 센서의 상기 광축 방향으로의 이동거리이고, f는 상기 렌즈부의 전체 초점거리이며, OD는 물체거리인 촬상 광학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제1 렌즈, 제2 렌즈 및 제3 렌즈를 포함하고,
0.6 mm < AFS_1.0 < 0.8 mm 를 만족하며, AFS_1.0은 물체거리 1 미터에 대한 상기 이미지 센서의 상기 광축 방향으로의 이동거리인 촬상 광학계.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는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0.4 mm < OISC_1.0 < 0.5 mm 를 만족하며, OISC_1.0은 1.0°의 흔들림 량에 대한 상기 이미지 센서의 상기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이동거리인 촬상 광학계.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갖고, 상기 제2 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상기 제3 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갖는 촬상 광학계.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 상기 제2 렌즈 및 상기 제3 렌즈는 각각 물체측 면이 볼록하고, 상측 면이 오목한 촬상 광학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제1 렌즈, 제2 렌즈, 제3 렌즈 및 제4 렌즈를 포함하고,
0.15 mm < AFS_1.0 < 0.25 mm 를 만족하며, AFS_1.0은 물체거리 1 미터에 대한 상기 이미지 센서의 상기 광축 방향으로의 이동거리인 촬상 광학계.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는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0.2 mm < OISC_1.0 < 0.3 mm 를 만족하며, OISC_1.0은 1.0°의 흔들림 량에 대한 상기 이미지 센서의 상기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이동거리인 촬상 광학계.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는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0.15 mm < OISC_1.0 < 0.25 mm 를 만족하며, OISC_1.0은 1.0°의 흔들림 량에 대한 상기 이미지 센서의 상기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이동거리인 촬상 광학계.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갖고, 상기 제2 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상기 제3 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갖고, 상기 제4 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갖는 촬상 광학계.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는 물체측 면과 상측 면이 볼록하고, 상기 제4 렌즈는 물체측 면이 볼록하며 상측 면이 오목한 촬상 광학계.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렌즈는 물체측 면과 상측 면이 오목하고, 상기 제3 렌즈는 물체측 면이 볼록하며 상측 면이 오목한 촬상 광학계.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렌즈는 물체측 면이 볼록하고 상측 면이 오목하며, 상기 제3 렌즈는 물체측 면과 상측 면이 볼록한 촬상 광학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제1 렌즈, 제2 렌즈, 제3 렌즈, 제4 렌즈 및 제5 렌즈를 포함하고,
0.4 mm < AFS_1.0 < 0.6 mm 를 만족하며, AFS_1.0은 물체거리 1 미터에 대한 상기 이미지 센서의 상기 광축 방향으로의 이동거리인 촬상 광학계.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는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0.3 mm < OISC_1.0 < 0.4 mm 를 만족하며, OISC_1.0은 1.0°의 흔들림 량에 대한 상기 이미지 센서의 상기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이동거리인 촬상 광학계.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갖고, 상기 제2 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상기 제3 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갖고, 상기 제4 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상기 제5 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갖는 촬상 광학계.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는 물체측 면과 상측 면이 볼록하고, 상기 제2 렌즈는 물체측 면과 상측 면이 오목하며, 상기 제3 렌즈 내지 상기 제5 렌즈는 각각 물체측 면이 볼록하고 상측 면이 오목한 촬상 광학계.
- 제1항에 있어서,
0.4 < f1/|f_rest| < 1 을 만족하며, f1은 상기 렌즈부에서 물체측에 가장 가깝게 배치된 렌즈의 초점거리이고, f_rest는 나머지 렌즈들의 합성 초점거리인 촬상 광학계.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78142A KR20220168423A (ko) | 2021-06-16 | 2021-06-16 | 촬상 광학계 |
US17/482,702 US20220404634A1 (en) | 2021-06-16 | 2021-09-23 | Optical imaging system |
TW110136367A TWI797758B (zh) | 2021-06-16 | 2021-09-30 | 光學成像系統 |
TW112106713A TW202323896A (zh) | 2021-06-16 | 2021-09-30 | 光學成像系統 |
CN202210423478.XA CN114563862A (zh) | 2021-06-16 | 2021-12-07 | 光学成像系统 |
CN202123058078.3U CN216310394U (zh) | 2021-06-16 | 2021-12-07 | 光学成像系统 |
CN202111529975.XA CN115480362A (zh) | 2021-06-16 | 2021-12-07 | 光学成像系统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78142A KR20220168423A (ko) | 2021-06-16 | 2021-06-16 | 촬상 광학계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68423A true KR20220168423A (ko) | 2022-12-23 |
Family
ID=81085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78142A KR20220168423A (ko) | 2021-06-16 | 2021-06-16 | 촬상 광학계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20220404634A1 (ko) |
KR (1) | KR20220168423A (ko) |
CN (2) | CN216310394U (ko) |
TW (2) | TW202323896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563862A (zh) * | 2021-06-16 | 2022-05-31 | 三星电机株式会社 | 光学成像系统 |
TWI812226B (zh) * | 2022-05-18 | 2023-08-11 |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 取像系統鏡頭組、取像裝置及電子裝置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316810B2 (en) * | 2014-03-07 | 2016-04-19 | Apple Inc. | Folded telephoto camera lens system |
US9557627B2 (en) * | 2014-03-07 | 2017-01-31 | Apple Inc. | Folded camera lens systems |
CN107462968B (zh) * | 2016-06-02 | 2020-05-01 | 玉晶光电(厦门)有限公司 | 光学成像镜头 |
JP7354690B2 (ja) * | 2019-08-29 | 2023-10-03 |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 撮像光学系、撮像装置及び携帯端末 |
-
2021
- 2021-06-16 KR KR1020210078142A patent/KR20220168423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 2021-09-23 US US17/482,702 patent/US20220404634A1/en active Pending
- 2021-09-30 TW TW112106713A patent/TW202323896A/zh unknown
- 2021-09-30 TW TW110136367A patent/TWI797758B/zh active
- 2021-12-07 CN CN202123058078.3U patent/CN216310394U/zh active Active
- 2021-12-07 CN CN202111529975.XA patent/CN115480362A/zh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216310394U (zh) | 2022-04-15 |
TWI797758B (zh) | 2023-04-01 |
TW202300994A (zh) | 2023-01-01 |
US20220404634A1 (en) | 2022-12-22 |
CN115480362A (zh) | 2022-12-16 |
TW202323896A (zh) | 2023-06-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341779B1 (en) | Tele-lens and imaging device | |
US7609446B2 (en) | Zoom lens and image pickup apparatus including the lens | |
KR101431538B1 (ko) | 줌 렌즈 시스템 | |
JP4758134B2 (ja) | 小型のズーム撮影光学系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撮像装置 | |
KR102402675B1 (ko) | 촬상 광학계 | |
KR102534057B1 (ko) | 촬상 광학계 | |
JP2011059498A (ja) | ズームレンズおよび撮像装置 | |
KR102597158B1 (ko) | 촬상 광학계 | |
KR20220168423A (ko) | 촬상 광학계 | |
JP2011059497A (ja) | ズームレンズおよび撮像装置 | |
JP5339783B2 (ja) | ズームレンズ及びそれを有する撮像装置 | |
KR20230079325A (ko) | 촬상 광학계 | |
KR101204095B1 (ko) | 줌 렌즈계 및 이를 구비한 촬영 장치 | |
KR101708895B1 (ko) | 텔레포토 단초점 렌즈계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 | |
KR20240036966A (ko) | 촬상 광학계 | |
KR20230049403A (ko) | 촬상 광학계 | |
KR20230059654A (ko) | 광학계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
KR20080105728A (ko) | 줌 렌즈 | |
KR102712642B1 (ko) | 촬상 광학계 | |
KR102662866B1 (ko) | 촬상 광학계 | |
KR20240086323A (ko) | 촬상 광학계 | |
KR20230094643A (ko) | 촬상 광학계 | |
KR20230100342A (ko) | 촬상 광학계 | |
JP6555976B2 (ja) | ズームレンズ及びそれを用いた撮像装置 | |
KR20230105260A (ko) | 광학계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