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1538B1 - 줌 렌즈 시스템 - Google Patents

줌 렌즈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1538B1
KR101431538B1 KR1020070136590A KR20070136590A KR101431538B1 KR 101431538 B1 KR101431538 B1 KR 101431538B1 KR 1020070136590 A KR1020070136590 A KR 1020070136590A KR 20070136590 A KR20070136590 A KR 20070136590A KR 101431538 B1 KR101431538 B1 KR 101431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lens group
refractive power
object side
positive refra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6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8820A (ko
Inventor
이기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6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1538B1/ko
Priority to US12/316,642 priority patent/US7791818B2/en
Priority to CN2008101844435A priority patent/CN101482646B/zh
Publication of KR20090068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88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1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1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5/00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 G02B15/14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 G02B15/144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having four groups only
    • G02B15/1441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having four groups only the first group being positive
    • G02B15/144113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having four groups only the first group being positive arranged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5/00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 G02B15/14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 G02B15/16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with interdependent non-linearly related movements between one lens or lens group, and another lens or lens group
    • G02B15/163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with interdependent non-linearly related movements between one lens or lens group, and another lens or lens group having a first movable lens or lens group and a second movable lens or lens group, both in front of a fixed lens or lens group
    • G02B15/167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with interdependent non-linearly related movements between one lens or lens group, and another lens or lens group having a first movable lens or lens group and a second movable lens or lens group, both in front of a fixed lens or lens group having an additional fixed front lens or group of lenses
    • G02B15/173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with interdependent non-linearly related movements between one lens or lens group, and another lens or lens group having a first movable lens or lens group and a second movable lens or lens group, both in front of a fixed lens or lens group having an additional fixed front lens or group of lenses arranged +-+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Lenses (AREA)

Abstract

줌 렌즈 시스템이 개시된다.
개시된 줌 렌즈 시스템은 물체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열된 것으로, 입사광을 굴절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반사 광학 부재를 포함하고,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 렌즈군과,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 렌즈군과,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3 렌즈군과,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4렌즈군을 포함하고, 광각단에서 망원단으로 변배 시에 상기 제1 렌즈군과 제3 렌즈군은 고정되어 있으며 제2 렌즈군은 물체측에서 상면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4렌즈군은 상면측에서 물체측 방향으로 선형적으로 이동한다.

Description

줌 렌즈 시스템{Zoom lens system}
본 발명은 손 떨림을 보정한 굴절식 줌 렌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CCD나 CMOS등의 촬상 소자의 소형화에 수반하여, 그것을 이용한 전자 기기에도 소형화 및 경량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소형화, 박형화에 대한 시도는 촬영 시에 카메라 밖으로 렌즈가 돌출하고 비사용시는 카메라 몸체 내에 렌즈가 수납되는 소위 침통식이라 불리는 방식과 프리즘 등의 반사부재를 사용하여 렌즈계의 두께를 줄이는 굴절식의 이너줌 방식으로 가능하였다.
그러나 일반 침통식의 경우 전원 오프시에 경통 전체의 길이가 짧아지는 방법으로 소형화를 실현하고 있어, 고배율 줌렌즈 및 동일한 배율의 줌렌즈에서는 선행기종 대비 극히 얇은 두께로 소형화 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또한 일반 침통타입에서는 렌즈의 수납상태로부터 전원이 온 된 후 준비하는 시간이 오래 걸리며, 가장 물체 측의 렌즈군이 돌출되어 외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충격 및 방수기능이 저하된다. 따라서, 반사부재를 이용하여 광로를 구부리는 이너줌 타입이 필요하게 되었다. 굴절식으로서 프리즘을 포함하는 광학계의 경우 프리즘을 사용하여 광로를 광학계 중간에서 90°굽힘으로써 광학계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카메라가 소형화될수록 손떨림 보정에 대한 요구가 더욱 크게 요구된다.
종래의 기술 중에는 촬영시 발생하는 손떨림에 의한 상면 이동을 보정하기 위하여 제5 렌즈군을 이용하여 상면 보정을 실시하는 경우가 있으나 제5 렌즈군은 촬영 결상 배율이 낮기 때문에 손 떨림에 의한 보정을 하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이동을 해야 한다. 이로 인해 해상력 저하가 발생하고, 해상력 저하를 보완하면서 광학계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렌즈 군의 구성이 복잡해지고 필요한 렌즈 매수도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은 소형이고 간단한 굴절식 줌렌즈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물체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열된 것으로, 입사광을 굴절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반사 광학 부재를 포함하고,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 렌즈군과,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 렌즈군과,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3 렌즈군과,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4렌즈군을 포함하고,
광각단에서 망원단으로 변배 시에 상기 제1 렌즈군과 제3 렌즈군은 고정되어 있으며 제2 렌즈군은 물체측에서 상면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4렌즈군은 상면측에서 물체측 방향으로 선형적으로 이동하는 줌 렌즈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제3 렌즈군은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촬영시 발생하는 손 떨림으로 인한 상면의 흔들림 현상을 보정할 수 있다.
상기 제4 렌즈군이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렌즈와 첫 번째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렌즈 그리고 두 번째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렌즈군에서 상기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렌즈와 첫 번째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렌즈가 접합렌즈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 시스템에 대해 첨부된 도 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줌렌즈는 도 1을 참조하면,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 렌즈군(G1),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 렌즈군(G2),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3 렌즈군(G3) 및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4 렌즈군(G4)을 포함한다. 제1 렌즈군(G1)은 입사광의 광경로를 변환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반사 광학 부재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1 렌즈군(G1)은 제1 반사 광학 부재(1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반사 광학 부재(12)는 입사광을 광축을 기준으로 90도 굴절시키도록 설계될 수 있다. 상기 반사 광학 부재는 프리즘 또는 반사 미러를 포함할 수 있다.
광각단에서 망원단으로 변배시 제1 렌즈군(G1)과 제3 렌즈군(G3)은 고정되고, 제2 렌즈군(G2)은 물체측(O)에서 상면측(I)으로 이동하고, 제4 렌즈군(G4)은 상면측(I)에서 물체측(O)으로 이동한다. 물체 거리 변화에 따른 포커싱은 제4 렌즈군을 이용하여 실행한다. 촬영시 발생하는 손떨림에 의한 상면 흔들림 현상을 보정하기 위해 제3 렌즈군(G3)을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본 발명은 정,부,정,정의 4개의 렌즈군을 포함하여 렌즈 군의 구성과 렌즈 매수를 줄이고 주밍시에는 제2 렌즈군과 제4 렌즈군을 이동하고 물체거리 변화에 따른 상면의 이동을 보완하는 포커싱 군을 제4 렌즈군으로 하여 렌즈군의 이동에 필요한 모터를 2개만 사용하여도 구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줌렌즈 시스템의 소형화를 도모하였다.
상기 제1 렌즈군(G1)은 예를 들어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 렌즈(11), 반사 광학 부재(12),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 렌즈(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렌즈군(G2)은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3 렌즈(21),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4 렌즈(22) 및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5 렌즈(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렌즈(21)와 제4 렌즈(22)는 접합 렌즈로 구성될 수 있다.
제3 렌즈군(G3)은 조리개(ST),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6 렌즈(31),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7 렌즈(32) 및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8 렌즈(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7 렌즈(32)와 제8 렌즈(33)는 접합 렌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4 렌즈군(G4)은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8렌즈(41)와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9 렌즈(42) 그리고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0 렌즈(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8 렌즈(41)와 제9 렌즈(42)는 접합 렌즈로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줌렌즈 시스템의 전장을 짧게 하기 위하여 광각단에서 망원단으로 변배시 제4 렌즈군의 이동 궤적은 초기이동은 물체 측으로 이동하다가 중간단 이후 상면 방향으로 이동하는 포물선 운동을 하여 광학 전장을 줄이는 방법을 사용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광학전장을 축소하면서도 제4 렌즈군의 이동 궤적을 선형적 운동으로 하여 렌즈군의 이동제어에 필요한 복잡성을 줄이고자 하였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 제3렌즈군(G3)과 제4렌즈군(G4)의 배율을 높여 구성한다. 제3 렌즈군은
Figure 112007092695103-pat00001
의 범위의 촬영 배율(m3)을 가질 수 있다.
줌렌즈에서는 촬영시 발생하는 미세한 카메라의 흔들림으로 상의 흔들림이 발생하고 화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는 줌렌즈의 광학계의 일부를 카메라의 흔들림을 검출하는 검출계에 의하여 출력되는 값에 따라 광축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손 떨림으로 인한 상면의 흔들림을 보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상 흔들림에 대한 보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고체 촬상 소자 등을 이용한 소형의 광학 장치에 적합한 초소형으로 손 떨림 보정기능을 가지는 줌렌즈이다.
본 발명은 촬영 배율이 높은 제3 렌즈군을 이용하여 광학식 손떨림 보정을 구현하고, 제3렌즈군이 광축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배율 색수차는 고굴절 저분산 소재와 접합렌즈를 적용하여 보완한다. 제3렌즈군의 물체측의 정렌즈에 고굴절을 사용하여 비구면 형상의 복잡성을 감소시키고 코마수차 발생을 억제한 후, 정, 부의 접합 렌즈를 사용하여 배율 색수차를 감소시킨다.
상기 제4 렌즈군(G4)은 물체측(O)으로부터 순서대로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렌즈(41)와 첫 번째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렌즈(42) 그리고 두 번째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렌즈(43)를 포함한다. 상기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렌즈(41)와 첫 번째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렌즈(42)는 접합 렌즈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4 렌즈군에서 상측(I)으로부터 첫 번째 렌즈가 플라스틱 비구면 렌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두 번째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렌즈(43)가 플라스틱 비구면 렌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 렌즈군(G1)(G2)(G3)(G4)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비구면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내지 제4 렌즈군(G2)(G3)(G4)은 각각 접합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 시스템은 하기의 조건식을 만족 한다.
1.34 < R1/R2 < 1.44
여기서, R1은 상기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렌즈의 물체측 첫 번째 면의 곡률 반경을, R2는 물체측 두 번째 면의 곡률 반경을 나타낸다. R1/R2 값이 수학식 1의 하한치 이하의 값을 가지면 R1의 파워가 증가하여 소형화에 이롭지만 렌즈의 가공이 불가능하고 R1, R2 면의 편심에 대한 성능 민감도가 증가하여 제조가 어려우며 상한치 이상이면 파워가 약해져서 4군의 주밍시 이동량이 커져 소형화가 어렵다.
또한, 제 4렌즈군은 다음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1.88 < f10/f1011 < -1.04
여기서, f10는 제4 렌즈군 내의 접합렌즈의 물체측 첫 번째 렌즈의 초점거리를, f1011은 제4 렌즈군 내의 접합렌즈의 초점거리를 각각 나타낸다. 하한치 미만이 되면 물체측 첫 번째 렌즈의 초점 거리가 접합 렌즈 전체 초점 거리 대비 길어지게 되고, vd 값이 작은 렌즈의 파워가 약해져서 배율 색수차가 크게 발생하여 본 발명과 같은 고해상력을 달성하기 어려우며 상한치를 초과하면 전체 접합 렌즈 대비 초점 거리가 짧아져 파워가 상승하여 구면 수차가 증가하고 렌즈 가공이 어렵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오는 비구면의 정의를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줌 렌즈의 비구면 형상은 광축 방향을 X축으로 하고, 광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을 Y축으로 할 때, 광선의 진행 방향을 정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x는 렌즈의 정점으로부터 광축 방향으로의 거리를, h는 광축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의 거리를, K는 코닉 상수(conic constant)를, A, B, C, D는 비구면 계수를, c는 렌즈의 정점에 있어서의 곡률 반경의 역수(1/R)를 각각 나타낸다.
Figure 112007092695103-pat00002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다양한 설계에 따른 실시예를 통해 줌 렌즈의 소형화를 구현하기 위한 최적화 조건들에 따른 렌즈들을 포함한다.
이하, f는 전체 렌즈 계의 합성초점거리를, Fno는 F 넘버를, 2w는 화각을, R은 곡률 반경을, Dn은 렌즈의 중심 두께 또는 렌즈와 렌즈 사이의 간격을, nd는 렌즈 소재의 굴절률을, vd는 아베수를 각각 나타낸다. 또한, ST는 조리개를 나타내며, D1, D2, D3, D4는 가변 거리를 나타내며, OBJ는 물체면을, IMG는 이미지면을, 면부호에 표시된 *는 비구면을 나타낸다. 그리고, 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에서 각 렌즈군의 도면 부호에 실시예의 번호를 부기하여 나타내었으며, 각 렌즈군을 구성하는 렌즈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부기하여 나타내었다.
<제1 실시예>
도 1은 제1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의 광각단, 중간단, 망원단을 각각 도시한 것이며 도면 부호 51 및 52는 필터를 나타낸다.
f ; 6.8mm ~ 11.58mm ~ 30.64mm 2ω ; 60.6˚ ~ 36.0˚ ~ 21.5˚
R Dn nd vd
OBJ: INFINITY INFINITY
S1: 15.43400 0.60 1.92286 20.88
S2: 8.07700 2.16
S3: INFINITY 7.60 1.83400 37.34
S4: INFINITY 0.30
*S5: 19.66020 2.29 1.74330 49.33
*S6: -17.70944 D1
S7: -27.60400 0.60 1.80610 40.73
*S8: 10.60800 0.77
S9: -14.51900 0.50 1.62299 58.12
S10: 7.52400 1.50 1.84666 23.78
S11: 78.61400 D2
S12(ST): INFINITY 0.30
*S13: 6.40757 1.52 1.80610 40.73
S14: -34.59600 0.29
S15: 9.51600 1.43 1.65844 50.84
S16: -8.28100 0.51 1.90366 31.32
S17: 4.96900 D3
S18: 7.17100 1.00 1.92286 20.88
S19: 5.01800 2.47 1.51680 64.20
S20: 56.07400 2.98
*S21: 7.95411 1.65 1.51680 64.20
S22: 13.75700 D4
S23: INFINITY 0.50 1.51680 64.20
S24: INFINITY 0.50
S25: INFINITY 0.50 1.51680 64.20
S26: INFINITY
다음은 제1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에서의 가변 거리(D1)(D2)(D3)(D4)를 광각단, 중간단 및 망원단에 대해 나타낸 것이다.
가변거리 광각단 중간단 망원단
D1 1.000 5.418 9.287
D2 9.887 5.469 1.600
D3 6.488 4.256 3.000
D4 3.697 5.924 7.180
다음 표 2는 비구면 계수를 나타낸 것이다.
 비구면계수 S5 S6 S8 S13 S21
K -1.09566E+00 3.47440E-01 1.36125E+00 2.27190E-02 1.65867E+00
A -2.93634E-05 -2.97683E-05 -1.00000E-04 -3.20000E-04 -7.23540E-04
B 3.20271E-06 2.83659E-06 4.11173E-06 -3.62978E-06 -2.42202E-05
C -1.26625E-07 -1.23919E-07 4.43307E-08 7.21246E-08 9.82881E-07
D 1.58436E-09 1.64601E-09 -1.94248E-09 -1.32415E-08 -7.08877E-08
도 2 내지 도 4는 각각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의 광각단, 중간단 및 망원단에서의 구면수차, 상면만곡, 왜곡수차를 나타낸 것이다. 상면만곡으로는 자오상면 만곡(T: tangential field curvature)과 구결상면 만곡(S: sagittal field curvature)을 보여준다.
<제 2실시예>
도 5는 제2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를 도시한 것으로, 제1, 제2, 제3 및 제4 렌즈군(G1)(G2)(G3)(G4)을 포함한다.
f ; 6.8mm ~ 11.58mm ~ 30.64mm 2ω ; 60.6˚ ~ 36.0˚ ~ 21.5˚
R Dn nd vd
OBJ: INFINITY INFINITY
S1: 17.98000 0.600 1.92286 20.88
S2: 8.49100 2.179
S3: INFINITY 7.600 1.83400 37.34
S4: INFINITY 0.300
*S5: 17.93169 2.300 1.73968 49.00
*S6: -19.28619 D1
S7: -81.10900 0.600 1.76802 49.24
*S8: 9.39800 1.034
S9: -10.38200 0.500 1.62299 58.12
S10: 9.22400 1.500 1.84666 23.78
S11: 362.69100 D2
S12(ST) INFINITY 0.300
*S13: 6.65307 1.500 1.80470 40.90
S14: -32.68848 0.458
S15: 8.49400 1.440 1.62299 58.12
S16: -8.49400 0.500 1.90366 31.32
S17: 5.10500 D3
S18: 6.80200 1.000 1.92286 20.88
S19: 5.04400 2.480 1.48749 70.44
S20: 289.72200 0.359
*S21: 16.94758 1.650 1.51680 64.20
S22: 26.78800 D4
S23: INFINITY 0.500 1.51680 64.20
S24: INFINITY 0.500
S25: INFINITY 0.500 1.51680 64.20
S26: INFINITY
다음은 제2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에서의 가변 거리(D1)(D2)(D3)(D4)를 광각단, 중간단 및 망원단에 대해 나타낸 것이다.
 가변거리 광각단 중간단 망원단
D1 1.000 5.158 9.124
D2 9.724 5.567 1.600
D3 7.504 5.065 3.000
D4 4.965 7.405 9.470
다음 표 4는 비구면 계수를 나타낸 것이다.
비구면계수  S5 S6 S8 S13 S21
K -1.57321E+00 6.40397E-01 9.51831E-01 2.07307E-01 1.56799E+00
A -2.90644E-05 -3.99596E-05 -1.02319E-04 -3.55737E-04 -4.73378E-04
B 3.08338E-06 3.12028E-06 4.37818E-06 -5.71541E-06 2.20418E-06
C -1.11897E-07 -1.19171E-07 1.19927E-07 1.15206E-07 -3.17810E-07
D 1.12166E-09 1.31711E-09 0.00000E+00 -8.86327E-09 2.58779E-09
도 6 내지 도 8은 각각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의 광각단, 중간단 및 망원단에서의 구면수차, 상면만곡, 왜곡수차를 나타낸 것이다.
<제 3실시예>
도 9는 제3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를 도시한 것이다.
f ; 6.9mm ~ 10.35mm ~ 19.67mm 2ω ; 60.6˚ ~ 36.0˚ ~ 21.5˚
R Dn nd vd
OBJ: INFINITY INFINITY
S1: 16.74487 0.620 1.92286 20.88
S2: 8.32722 2.220
S3: INFINITY 7.500 1.83400 37.34
S4: INFINITY 0.300
*S5: 18.69281 2.280 1.74330 49.33
*S6: -19.16466 D1
S7: -30.87977 0.600 1.76802 49.24
*S8: 10.00673 0.895
S9: -14.83817 0.500 1.62280 56.91
S10: 7.46253 1.500 1.84666 23.78
S11: 55.41687 D2
S12(ST): INFINITY 0.300
*S13: 6.54046 1.500 1.80610 40.73
S14: -35.60971 0.540
S15: 8.17934 1.480 1.64000 60.20
S16: -6.62501 0.500 1.90366 31.32
S17: 5.07519 D3
S18: 7.19606 0.690 1.84666 23.78
S19: 5.29454 2.697 1.51680 64.20
S20: -54.50314 0.150
*S21: 20.74980 2.034 1.53113 55.70 (Plastic ASP Lens)
S22: 22.56161 D4
S23: INFINITY 0.500 1.51680 64.20
S24: INFINITY 0.500
S25: INFINITY 0.500 1.51680 64.20
S26: INFINITY
다음은 제3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에서의 가변 거리(D1)(D2)(D3)(D4)를 광각단, 중간단 및 망원단에 대해 나타낸 것이다.
 가변거리 광각단 중간단 망원단
D1 1.000 4.596 9.045
D2 9.145 5.550 1.100
D3 7.834 5.690 3.000
D4 3.283 5.428 8.117
다음 표 6은 비구면 계수를 나타낸 것이다.
 비구면계수 S5 S6 S8 S13 S21
K -1.06856E+00 2.30176E-01 1.00000E+00 4.93082E-02 1.07734E+00
A -1.70170E-05 -3.99223E-05 -6.11718E-05 -2.46754E-04 -4.09098E-04
B 1.93998E-06 2.96082E-06 -9.04138E-07 1.96009E-06 4.01964E-06
C -6.88104E-08 -1.15986E-07 3.72587E-07 -2.92973E-07 -6.34594E-07
D 1.52978E-09 2.22699E-09 0.00000E+00 1.51983E-08 1.93029E-08
도 10 내지 도 12는 각각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의 광각단, 중간단 및 망원단에서의 구면수차, 상면만곡, 왜곡수차를 나타낸 것이다.
다음은, 상기 제1 내지 제3 실시예가 각각 상기 수학식 1과 2의 조건을 만족시킴을 보여준 것이다.
수학식 1 수학식 2
실시예 1 1.43 -1.045
실시예 2 1.349 -1.557
실시예 3 1.359 -1.878
상기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를 광각단, 중간단, 망원단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의 광각단, 중간단 및 망원단에서의 수차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를 광각단, 중간단, 망원단별로 나타낸 것이다.
도 6 내지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의 광각단, 중간단 및 망원단에서의 수차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를 광각단, 중간단, 망원단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0 내지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의 광각단, 중간단 및 망원단에서의 수차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G1...제1렌즈군, G2...제2렌즈군,
G3...제3렌즈군, G4...제4렌즈군
D1,D2,D3,D4...가변 거리

Claims (9)

  1. 물체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열된 것으로,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 렌즈군과,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 렌즈군과,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3 렌즈군과,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4렌즈군을 포함하고,
    상기 제1렌즈군은 입사광을 굴절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반사 광학 부재를 포함하고,
    광각단에서 망원단으로 변배 시에 상기 제1 렌즈군과 제3 렌즈군은 고정되어 있으며 제2 렌즈군은 물체측에서 상면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4렌즈군은 상면측에서 물체측 방향으로 선형적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4 렌즈군이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렌즈와 첫 번째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렌즈 그리고 두 번째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제4 렌즈군에서 상기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렌즈와 첫 번째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렌즈가 접합된 접합렌즈로 구성되고,
    하기의 조건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 렌즈 시스템.
    <조건식>
    -1.88 < f10/f1011 < -1.04
    여기서, f10는 제4 렌즈군 내의 접합렌즈의 물체측 첫 번째 렌즈의 초점거리를, f1011은 제4 렌즈군 내의 접합렌즈의 초점거리를 각각 나타낸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렌즈군은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촬영시 발생하는 손 떨림으로 인한 상면의 흔들림 현상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 렌즈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줌 렌즈 시스템은 하기의 조건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 렌즈 시스템.
    <조건식>
    1.34 < R1/R2 < 1.44
    여기서, R1은 상기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렌즈의 물체측 첫 번째 면의 곡률 반경을, R2는 두 번째 면의 곡률 반경을 나타낸다.
  6. 삭제
  7. 제 1항, 제2항, 또는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렌즈군이 물체 거리 변화에 따른 포커싱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 렌즈 시스템.
  8. 제 1항, 제2항, 또는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렌즈군에서 상측으로부터 첫 번째 렌즈가 플라스틱 비구면 렌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 렌즈 시스템.
  9. 제 1항, 제2항, 또는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렌즈군은 가장 물체측에 조리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 렌즈 시스템.
KR1020070136590A 2007-12-24 2007-12-24 줌 렌즈 시스템 KR101431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6590A KR101431538B1 (ko) 2007-12-24 2007-12-24 줌 렌즈 시스템
US12/316,642 US7791818B2 (en) 2007-12-24 2008-12-15 Zoom lens system
CN2008101844435A CN101482646B (zh) 2007-12-24 2008-12-24 缩放透镜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6590A KR101431538B1 (ko) 2007-12-24 2007-12-24 줌 렌즈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8820A KR20090068820A (ko) 2009-06-29
KR101431538B1 true KR101431538B1 (ko) 2014-09-19

Family

ID=40788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6590A KR101431538B1 (ko) 2007-12-24 2007-12-24 줌 렌즈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791818B2 (ko)
KR (1) KR101431538B1 (ko)
CN (1) CN10148264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6265B1 (ko) * 2009-12-04 2017-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줌 렌즈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
KR101673594B1 (ko) * 2010-02-01 2016-11-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줌 광학계
KR101204095B1 (ko) 2011-01-06 2012-11-27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줌 렌즈계 및 이를 구비한 촬영 장치
TWI456286B (zh) * 2011-04-19 2014-10-11 Ability Entpr Co Ltd 變焦鏡頭
TWI443404B (zh) * 2011-05-27 2014-07-01 Asia Optical Co Inc Fixed focus projection lens
CN102879888B (zh) * 2011-07-15 2014-12-17 亚洲光学股份有限公司 定焦投影镜头
JP6149359B2 (ja) * 2012-08-09 2017-06-21 株式会社ニコン 変倍光学系、光学装置
KR101994713B1 (ko) 2013-04-22 2019-07-01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및 그 실장 기판
CN104142569B (zh) * 2014-08-19 2017-04-26 中山联合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较小体积、高分辨率、大像面的变焦光学系统
JP6436184B2 (ja) * 2017-05-23 2018-12-12 株式会社ニコン 変倍光学系、光学装置
US20220066126A1 (en) * 2020-08-28 2022-03-03 Zebra Technologies Corporation Autofocus optical arrangements and assemblies including voice coil motors
WO2022200965A1 (en) * 2021-03-22 2022-09-29 Corephotonics Ltd. Folded cameras with continuously adaptive zoom factor
US20230067508A1 (en) * 2021-08-31 2023-03-02 Zebra Technologies Corporation Telephoto Lens for Compact Long Range Barcode Read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48056A (ja) * 2005-11-29 2007-06-14 Canon Inc ズーム光学系
JP2007271692A (ja) * 2006-03-30 2007-10-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高倍率ズームレンズ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1572A (ja) * 1998-09-04 2000-03-21 Fuji Photo Optical Co Ltd ズームレンズ
JP2006113363A (ja) 2004-10-15 2006-04-27 Konica Minolta Opto Inc ズームレンズ及び撮像装置
JP4650676B2 (ja) * 2005-03-03 2011-03-16 ソニー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及び撮像装置
JP4717480B2 (ja) 2005-03-25 2011-07-0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
JP2006317478A (ja) * 2005-05-10 2006-11-24 Konica Minolta Photo Imaging Inc 変倍光学系
JP4766929B2 (ja) 2005-06-10 2011-09-07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光路折り曲げ式ズームレンズを備えた撮像装置
JP2007003776A (ja) * 2005-06-23 2007-01-11 Sony Corp ズームレンズ及び撮像装置
JP2007033879A (ja) * 2005-07-27 2007-02-08 Sony Corp 撮像レンズ装置及び撮像装置
JP4903418B2 (ja) 2005-11-18 2012-03-28 イーストマン コダック カンパニー ズームレンズ
JP2007219316A (ja) 2006-02-17 2007-08-30 Nikon Corp ズームレンズとこれを具備する光学装置
JP4631872B2 (ja) * 2006-05-01 2011-02-16 株式会社ニコン ズームレンズとこれを具備する光学装置
EP2015122A4 (en) * 2006-05-01 2010-11-03 Nikon Corp ZOOMOBJEKTIV AND OPTICAL DEVICE THEREF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48056A (ja) * 2005-11-29 2007-06-14 Canon Inc ズーム光学系
JP2007271692A (ja) * 2006-03-30 2007-10-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高倍率ズームレン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161228A1 (en) 2009-06-25
US7791818B2 (en) 2010-09-07
KR20090068820A (ko) 2009-06-29
CN101482646A (zh) 2009-07-15
CN101482646B (zh) 2012-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1538B1 (ko) 줌 렌즈 시스템
CN108490592B (zh) 变焦光学系统
JP4817699B2 (ja) ズームレンズ及びそれを有する撮像装置
JP4378188B2 (ja) ズームレンズ及びそれを有する撮像装置
KR101932722B1 (ko) 줌 렌즈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
JP2005128186A (ja) ズームレンズ、並びにそれを用いたビデオカメラ及びデジタルスチルカメラ
WO2012077338A1 (ja) ズームレンズおよび撮像装置
CN113741017B (zh) 变焦镜头以及光学设备
JP4593971B2 (ja) ズームレンズ及びそれを有する撮像装置
KR101431539B1 (ko) 줌 렌즈 시스템
JP2011059494A (ja) ズームレンズおよび撮像装置
JP5213727B2 (ja) ズームレンズ及びそれを有する撮像装置
CN113820841B (zh) 变倍光学系统、光学设备以及摄像设备
US20210255423A1 (en) Zoom lens, optical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zoom lens
CN110832376A (zh) 变倍光学系统、光学装置以及变倍光学系统的制造方法
JP4972900B2 (ja) ズームレンズ
CN108369329B (zh) 变焦镜头以及光学设备
JP2011059497A (ja) ズームレンズおよび撮像装置
KR101880633B1 (ko) 줌 렌즈 및 이를 구비한 촬영 장치
KR20220168423A (ko) 촬상 광학계
CN108604003B (zh) 变焦镜头以及光学设备
JP7373331B2 (ja) ズームレンズ及び撮像装置
JP4951915B2 (ja) ズームレンズ
KR20060113256A (ko) 소형 줌렌즈
KR101204095B1 (ko) 줌 렌즈계 및 이를 구비한 촬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