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4057B1 - 촬상 광학계 - Google Patents
촬상 광학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34057B1 KR102534057B1 KR1020200164928A KR20200164928A KR102534057B1 KR 102534057 B1 KR102534057 B1 KR 102534057B1 KR 1020200164928 A KR1020200164928 A KR 1020200164928A KR 20200164928 A KR20200164928 A KR 20200164928A KR 102534057 B1 KR102534057 B1 KR 10253405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ns group
- lens
- reflective member
- distance
- optical system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2634 optical imaging Methods 0.000 title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6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0
- 230000004075 alt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5/00—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 G02B15/14—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 G02B15/142—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having two groups only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5/00—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 G02B15/14—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 G01B17/08—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for measuring roughness or irregularity of surfac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4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five or more lens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5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employing a special optical element
- G02B13/006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employing a special optical element having a beam-folding prism or mirror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9—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having zoom function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18—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with lenses having one or more non-spherical faces, e.g. for reducing geometrical aberration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5/00—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 G02B15/14—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 G02B15/142—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having two groups only
- G02B15/1425—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having two groups only the first group being negative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5/00—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 G02B15/14—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 G02B15/16—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with interdependent non-linearly related movements between one lens or lens group, and another lens or lens group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5/00—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 G02B15/14—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 G02B15/22—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with movable lens means specially adapted for focusing at close distanc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7/00—Systems with reflecting surfaces, with or without refracting elements
- G02B17/08—Catadioptric system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87—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index gradient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1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 G02B7/18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for mirror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04—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two components only
- G02B9/1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two components only one + and one - compon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Lenses (AREA)
- Cameras In General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 Optical Radar Systems And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는 제1 렌즈군;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는 제2 렌즈군; 상기 제1 렌즈군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1 반사부재; 및 상기 제2 렌즈군과 이미지 센서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반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렌즈군 및 상기 제2 렌즈군 중 적어도 하나는 광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렌즈군과 상기 제2 렌즈군 사이의 간격은 제1 간격과 제2 간격 사이에서 가변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간격은 상기 제1 간격보다 좁고, 상기 제1 렌즈군 및 상기 제2 렌즈군 중 적어도 하나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복수의 반사부재 중 적어도 일부의 반사부재가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촬상 광학계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을 비롯한 휴대용 전자기기에 카메라 모듈이 기본적으로 채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광학 줌 효과를 간접적으로 구현하기 위하여, 휴대용 전자기기에 초점거리가 상이한 복수의 카메라 모듈을 탑재하는 방식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광학 줌 효과를 위해 복수의 카메라 모듈이 필요하므로, 구조가 복잡해진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초점거리를 가변시켜 줌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촬상 광학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는 제1 렌즈군;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는 제2 렌즈군; 상기 제1 렌즈군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1 반사부재; 및 상기 제2 렌즈군과 이미지 센서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반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렌즈군 및 상기 제2 렌즈군 중 적어도 하나는 광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렌즈군과 상기 제2 렌즈군 사이의 간격은 제1 간격과 제2 간격 사이에서 가변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간격은 상기 제1 간격보다 좁고, 상기 제1 렌즈군 및 상기 제2 렌즈군 중 적어도 하나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복수의 반사부재 중 적어도 일부의 반사부재가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초점거리를 가변시켜 줌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에서 제1 렌즈군과 제2 렌즈군이 제1 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수차 특성을 나타낸 곡선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에서 제1 렌즈군과 제2 렌즈군이 제2 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수차 특성을 나타낸 곡선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에서 제1 렌즈군과 제2 렌즈군이 제1 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수차 특성을 나타낸 곡선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에서 제1 렌즈군과 제2 렌즈군이 제2 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수차 특성을 나타낸 곡선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에서 제1 렌즈군과 제2 렌즈군이 제1 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수차 특성을 나타낸 곡선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에서 제1 렌즈군과 제2 렌즈군이 제2 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수차 특성을 나타낸 곡선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수차 특성을 나타낸 곡선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에서 제1 렌즈군과 제2 렌즈군이 제2 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수차 특성을 나타낸 곡선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에서 제1 렌즈군과 제2 렌즈군이 제1 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수차 특성을 나타낸 곡선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에서 제1 렌즈군과 제2 렌즈군이 제2 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수차 특성을 나타낸 곡선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에서 제1 렌즈군과 제2 렌즈군이 제1 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수차 특성을 나타낸 곡선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에서 제1 렌즈군과 제2 렌즈군이 제2 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수차 특성을 나타낸 곡선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또는 삭제 등을 통하여,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아울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의 렌즈 구성도에서 렌즈의 두께, 크기 및 형상은 설명을 위해 다소 과장되게 도시되었으며, 특히 렌즈 구성도에서 제시된 구면 또는 비구면의 형상은 일 예로 제시되었을 뿐 이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휴대용 전자기기에 장착될 수 있다. 예컨대, 촬상 광학계는 휴대용 전자기기에 장착되는 카메라 모듈의 일 구성일 수 있다. 휴대용 전자기기는 이동 통신 단말기,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휴대가능한 전자기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한다. 복수의 렌즈는 각각 기설정된 거리만큼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촬상 광학계는 적어도 5매의 렌즈를 포함한다.
첫 번째 렌즈(또는 최전방 렌즈)는 물체측(또는 제1 반사부재)에 가장 가까운 렌즈를 의미하고, 마지막 렌즈(또는 최후방 렌즈)는 이미지 센서에 가장 가까운 렌즈를 의미한다.
또한, 각각의 렌즈에서 제1 면은 물체측에 가까운 면(또는, 물체측 면)을 의미하고, 제2 면은 상측에 가까운 면(또는, 상측 면)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렌즈의 곡률 반지름(Radius of curvature), 두께(Thickness), 거리(Distance), 초점 거리(focal length) 등에 대한 수치는 모두 ㎜ 단위이고, 화각(FOV)의 단위는 degree이다.
아울러, 각 렌즈의 형상에 대한 설명에서 일면이 볼록한 형상이라는 의미는 해당 면의 근축 영역 부분이 볼록하다는 의미이고, 일면이 오목한 형상이라는 의미는 해당 면의 근축 영역 부분이 오목하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렌즈의 일면이 볼록한 형상이라고 설명되어도, 렌즈의 가장자리 부분은 오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렌즈의 일면이 오목한 형상이라고 설명되어도, 렌즈의 가장자리 부분은 볼록할 수 있다.
한편, 근축 영역(Paraxial Region)이라 함은 광축 근처의 매우 좁은 영역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적어도 5매의 렌즈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물체측(또는 제1 반사부재)으로부터 순서대로 배치되는 제1 렌즈, 제2 렌즈, 제3 렌즈, 제4 렌즈 및 제5 렌즈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필요에 따라 6매 이상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촬상 광학계는 입사된 피사체의 상을 전기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이미지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광 경로를 변화시키는 반사면을 갖는 복수의 반사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반사부재는 각각 미러 또는 프리즘일 수 있다.
복수의 반사부재 중 어느 하나는 복수의 렌즈의 전방에 배치된다. 일 예로, 제1 반사부재는 제1 렌즈의 전방(즉, 제1 렌즈보다 물체 측에 가깝게)에 배치될 수 있다. 나머지 반사부재는 복수의 렌즈의 후방에 배치된다. 일 예로, 나머지 반사부재는 제5 렌즈와 이미지 센서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렌즈와 이미지 센서 사이에 복수의 반사부재를 배치하여 광 경로를 여러번 굴곡시킴으로써 상대적으로 좁은 공간에서 광 경로를 길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촬상 광학계를 소형화하면서 촬상 광학계가 긴 초점거리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촬상 광학계는 적외선을 차단하기 위한 적외선 차단필터(이하, 필터라 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터는 복수의 반사부재 중에서 이미지 센서에 가장 가깝게 배치된 반사부재와 이미지 센서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를 구성하는 모든 렌즈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모든 렌즈들은 비구면을 가진다. 예컨대, 제1 렌즈 내지 제5 렌즈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비구면을 가질 수 있다.
즉, 제1 렌즈 내지 제5 렌즈의 제1 면 및 제2 면 중 적어도 하나는 비구면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렌즈 내지 제5 렌즈의 비구면은 수학식 1로 표현된다.
수학식 1에서 c는 렌즈의 곡률(곡률 반지름의 역수)이고, K는 코닉 상수이고, Y는 렌즈의 비구면 상의 임의의 점으로부터 광축까지의 거리를 나타낸다. 아울러, 상수 A ~ E는 비구면 계수를 의미한다. 그리고 Z는 렌즈의 비구면 상의 임의의 점으로부터 해당 비구면의 정점까지의 거리(SAG)를 나타낸다.
제1 렌즈 내지 제5 렌즈는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정/부/정/부/정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아래의 조건식들 중 적어도 하나를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1] fl/fh < 0.7
[조건식 2] BFL_h > 30 mm
[조건식 3] D1_2/D1_1 < 0.3
[조건식 4] FOVl/FOVh > 1.6
[조건식 5] fG1/fG2 < -0.5
fl은 제1 위치에서 촬상 광학계의 전체 초점거리이고, fh는 제2 위치에서 촬상 광학계의 전체 초점거리이다. 제1 위치는 제1 렌즈군과 제2 렌즈군이 제1 간격만큼 떨어져 있는 경우를 의미하고, 제2 위치는 제1 렌즈군과 제2 렌즈군이 제2 간격만큼 떨어져 있는 경우를 의미한다. 제2 간격은 제1 간격보다 좁다. 촬상 광학계는 제1 위치보다 제2 위치에서 더 긴 전체 초점거리를 갖는다.
BFL_h는 제2 위치에서 마지막 렌즈(예컨대, 제5 렌즈)의 상측 면으로부터 이미지 센서의 촬상면까지의 광축 상 거리이다.
D1_1은 제1 위치에서 제1 렌즈군과 제2 렌즈군 사이의 광축 상 거리이고, D1_2는 제2 위치에서 제1 렌즈군과 제2 렌즈군 사이의 광축 상 거리이다.
FOVl는 제1 위치에서 촬상 광학계의 화각이고, FOVh는 제2 위치에서 촬상 광학계의 화각이다. 촬상 광학계는 제1 위치보다 제2 위치에서 더 좁은 화각을 갖는다.
fG1은 촬상 광학계의 복수의 렌즈 중에서 제1 렌즈군의 초점거리이고, fG2는 촬상 광학계의 복수의 렌즈 중에서 제2 렌즈군의 초점거리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복수의 렌즈군을 포함한다. 일 예로, 촬상 광학계는 제1 렌즈군 및 제2 렌즈군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렌즈군과 제2 렌즈군은 각각 복수의 렌즈를 포함한다. 제1 렌즈군은 제2 렌즈군의 전방에 배치된다.
제1 렌즈군은 제1 렌즈 및 제2 렌즈를 포함한다. 제1 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갖고, 제1 면과 제2 면이 볼록한 형상이다. 제2 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갖고, 제1 면과 제2 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또는, 제2 렌즈는 제1 면이 오목한 형상이고, 제2 면이 볼록한 형상일 수 있다.
제1 렌즈군은 전체적으로 부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2 렌즈군은 제3 렌즈, 제4 렌즈 및 제5 렌즈를 포함한다. 제3 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갖고, 제1 면과 제2 면이 볼록한 형상이다. 제4 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갖고, 제1 면과 제2 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5 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갖고, 제1 면과 제2 면이 볼록한 형상이다.
제2 렌즈군은 전체적으로 정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1 렌즈군 및 제2 렌즈군 중 적어도 하나는 촬상 광학계의 전체 초점거리를 변경하기 위해 이동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렌즈군과 제2 렌즈군 사이의 간격은 가변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렌즈군은 고정 배치되고, 제2 렌즈군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렌즈군과 이미지 센서 사이의 간격도 가변될 수 있다.
제2 렌즈군과 이미지 센서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반사부재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될 수 있다. 복수의 반사부재 중 적어도 일부를 이동시킴으로써 제2 렌즈군과 이미지 센서 사이의 간격을 가변시킬 수 있으므로, 제2 렌즈군의 이동에 의해 촬상 광학계의 초점거리가 변화하더라도 이미지 센서에 초점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광학 줌 기능 및/또는 초점 조정 기능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상대적으로 좁은 화각과 긴 초점거리를 갖는 망원 렌즈의 특징을 가진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를 설명한다.
도 1은 제1 렌즈군과 제2 렌즈군이 제1 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제1 렌즈군과 제2 렌즈군이 제2 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제1 렌즈군(G1) 및 제2 렌즈군(G2)을 포함한다.
제1 렌즈군(G1)은 제1 렌즈(110) 및 제2 렌즈(120)를 포함하고, 제2 렌즈군(G2)은 제3 렌즈(130), 제4 렌즈(140) 및 제5 렌즈(150)를 포함한다. 또한, 촬상 광학계는 필터 및 이미지 센서(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렌즈군(G1)과 제2 렌즈군(G2) 사이에 조리개가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조리개는 제2 렌즈(120)와 제3 렌즈(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촬상 광학계는 제1 렌즈(110)의 전방에 배치되고, 광 경로를 변화시키는 반사면을 갖는 제1 반사부재(R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제1 반사부재(R1)는 프리즘일 수 있으나, 미러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 및 도 3에서는 프리즘의 형상이 평판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제 프리즘은 삼각 기둥 형상일 수 있다.
제1 반사부재(R1)에 입사된 광은 제1 반사부재(R1)에 의해 굴곡되어 제1 렌즈군(G1) 및 제2 렌즈군(G2)을 통과한다. 예컨대, 제1 광축을 따라 제1 반사부재(R1)에 입사된 광은 제1 광축에 수직한 제2 광축을 향하도록 굴곡된다.
또한, 촬상 광학계는 제5 렌즈(150)의 후방에 배치되고, 광 경로를 변화시키는 반사면을 갖는 제2 반사부재(R2), 제3 반사부재(R3), 제4 반사부재(R4) 및 제5 반사부재(R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반사부재(R2), 제3 반사부재(R3), 제4 반사부재(R4) 및 제5 반사부재(R5)는 제5 렌즈(150)와 이미지 센서(160) 사이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제2 반사부재(R2), 제3 반사부재(R3), 제4 반사부재(R4) 및 제5 반사부재(R5)는 미러일 수 있으나, 프리즘으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렌즈군(G1) 및 제2 렌즈군(G2)을 통과한 광은 제2 반사부재(R2)에 의해 굴곡된다. 예컨대, 제1 렌즈군(G1) 및 제2 렌즈군(G2)을 통과한 광은, 제2 반사부재(R2)에 의해 제2 광축에 수직한 제3 광축을 향하도록 굴곡된다.
제2 반사부재(R2)에 의해 굴곡된 광은 제3 반사부재(R3)에 의해 재차 굴곡된다. 예컨대, 제2 반사부재(R2)에 의해 제3 광축을 향하도록 굴곡된 광은, 제3 반사부재(R3)에 의해 제3 광축에 수직한 제4 광축을 향하도록 굴곡된다.
제3 반사부재(R3)에 의해 굴곡된 광은 제4 반사부재(R4)에 의해 재차 굴곡된다. 예컨대, 제3 반사부재(R3)에 의해 제4 광축을 향하도록 굴곡된 광은, 제4 반사부재(R4)에 의해 제4 광축에 수직한 제5 광축을 향하도록 굴곡된다.
제4 반사부재(R4)에 의해 굴곡된 광은 제5 반사부재(R5)에 의해 재차 굴곡된다. 예컨대, 제4 반사부재(R4)에 의해 제5 광축을 향하도록 굴곡된 광은, 제5 반사부재(R5)에 의해 제5 광축에 수직한 제6 광축을 향하도록 굴곡되어 이미지 센서(160)에 수광된다.
제5 반사부재(R5)와 이미지 센서(160) 사이에는 필터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렌즈군(G1) 및 제2 렌즈군(G2) 중 적어도 하나는 촬상 광학계의 전체 초점거리를 변경하기 위해 이동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렌즈군(G2)이 광축을 따라 이동됨으로써, 제1 렌즈군(G1)과 제2 렌즈군(G2) 사이의 간격이 가변될 수 있고, 제2 렌즈군(G2)과 제2 반사부재(R2) 사이의 간격이 가변될 수 있다. 또한, 제2 렌즈군(G2)과 이미지 센서(160) 사이의 간격이 가변될 수 있다.
여기서, '간격'은 두 부재 간의 광축 상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제2 반사부재(R2), 제3 반사부재(R3), 제4 반사부재(R4) 및 제5 반사부재(R5) 중 적어도 2개의 반사부재는 이동될 수 있다. 예컨대, 제3 반사부재(R3)가 이동되어 제2 반사부재(R2)와 제3 반사부재(R3) 사이의 간격이 가변될 수 있다. 또한, 제4 반사부재(R4)가 이동되어 제4 반사부재(R4)와 제5 반사부재(R5) 사이의 간격이 가변될 수 있다. 제3 반사부재(R3)와 제4 반사부재(R4)는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제3 반사부재(R3)와 제4 반사부재(R4)에 의해 광 경로의 길이가 변경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반사부재(R1), 제2 반사부재(R2) 및 제5 반사부재(R5)는 위치가 고정된 고정부재일 수 있고, 제3 반사부재(R3)와 제4 반사부재(R4)는 위치가 가변되는 가동부재일 수 있다.
각 렌즈의 특성(곡률 반지름(Radius of curvature), 렌즈의 두께(Thickness) 또는 렌즈들 간의 거리(Distance), 굴절률(Index), 아베수(Abbe수), 초점거리(Focal length))은 표 1과 같다.
면 번호 | 비고 | 곡률반경 | 두께 또는 거리 | 굴절률 | 아베수 | 초점거리 |
S1 | 제1 반사부재 | Infinity | 2.212 | 1.717 | 29.5 | |
S2 | Infinity | 2.212 | 1.717 | 29.5 | ||
S3 | Infinity | 1.942 | ||||
S4 | 제1 렌즈 | 800.250 | 1.902 | 1.671 | 19.2 | 25.916 |
S5 | -17.991 | 0.850 | ||||
S6 | 제2 렌즈 | -5.276 | 1.950 | 1.544 | 56 | -7.268 |
S7 | 18.158 | D1 | ||||
S8 | 제3 렌즈 | 800.000 | 3.000 | 1.544 | 56 | 22.393 |
S9 | -12.410 | 0.350 | ||||
S10 | 제4 렌즈 | -13.506 | 1.443 | 1.595 | 31.1 | -9.176 |
S11 | 9.648 | 0.320 | ||||
S12 | 제5 렌즈 | 8.586 | 2.571 | 1.544 | 56 | 7.851 |
S13 | -7.667 | D2 | ||||
S14 | 제2 반사부재 | Infinity | 0.000 | |||
S15 | Infinity | D3 | ||||
S16 | 제3 반사부재 | Infinity | 0.000 | |||
S17 | Infinity | 7.500 | ||||
S18 | 제4 반사부재 | Infinity | 0.000 | |||
S19 | Infinity | D4 | ||||
S20 | 제5 반사부재 | Infinity | 0.000 | |||
S21 | Infinity | 5.000 | ||||
S22 | 촬상면 | Infinity |
제1 위치 | 제2 위치 | |
D1 | 6 | 1.5 |
D2 | 4.5 | 9 |
D3 | 8.125 | 15.821 |
D4 | 8.125 | 15.821 |
D1은 제2 렌즈(120)와 제3 렌즈(130) 사이의 광축 상 거리이고, D2는 제5 렌즈(150)와 제2 반사부재(R2) 사이의 광축 상 거리이며, D3은 제2 반사부재(R2)와 제3 반사부재(R3) 사이의 광축 상 거리이고, D4는 제4 반사부재(R4)와 제5 반사부재(R5) 사이의 광축 상 거리이다.
제1 위치에서의 제1 렌즈군(G1)과 제2 렌즈군(G2) 사이의 간격과, 제2 위치에서의 제1 렌즈군(G1)과 제2 렌즈군(G2) 사이의 간격은 다르다. 예컨대, 제1 위치에서 제1 렌즈군(G1)과 제2 렌즈군(G2)은 상대적으로 멀리 위치할 수 있고, 제2 위치에서 제1 렌즈군(G1)과 제2 렌즈군(G2)은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제1 렌즈군(G1)과 제2 렌즈군(G2) 사이의 간격을 가변시킴으로써, 촬상 광학계의 전체 초점거리를 변경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2 렌즈군(G2)과 이미지 센서(160)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반사부재 중에서 일부의 반사부재를 이동시킴으로써 제2 렌즈군(G2)과 이미지 센서(160) 사이의 광 경로의 길이를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위치에서의 제3 반사부재(R3)와 제4 반사부재(R4)의 위치와, 제2 위치에서의 제3 반사부재(R3)와 제4 반사부재(R4)의 위치는 다르다.
제1 위치에서 촬상 광학계의 전체 초점거리(fl)는 16 mm이고, Fno_l는 5.16이고, FOVl은 10.1°이고, BFL_l은 33.250 mm이고, TTL_l은 51.636 mm이고, PTTL_l은 58.003 mm이다.
제2 위치에서 촬상 광학계의 전체 초점거리(fh)는 32 mm이고, Fno_h는 8.17이고, FOVh는 5°이고, BFL_h는 53.142 mm이고, TTL_h는 67.028 mm이고, PTTL_h는 73.395 mm이다.
Fno_l은 제1 위치에서 촬상 광학계의 F 넘버(F-number)이고, Fno_h는 제2 위치에서 촬상 광학계의 F 넘버(F-number)이다.
FOVl은 제1 위치에서 촬상 광학계의 화각이고, FOVh는 제2 위치에서 촬상 광학계의 화각이다.
BFL_l은 제1 위치에서 제5 렌즈의 상측 면으로부터 이미지 센서의 촬상면까지의 광축 상 거리이고, BFL_h는 제2 위치에서 제5 렌즈의 상측 면으로부터 이미지 센서의 촬상면까지의 광축 상 거리이다.
TTL_l은 제1 위치에서 제1 렌즈의 물체측 면으로부터 이미지 센서의 촬상면까지의 광축 상 거리이고, TTL_h는 제2 위치에서 제1 렌즈의 물체측 면으로부터 이미지 센서의 촬상면까지의 광축 상 거리이다.
PTTL_l은 제1 위치에서 제1 반사부재의 물체측 면(또는 입사면)으로부터 이미지 센서의 촬상면까지의 광축 상 거리이고, PTTL_h는 제2 위치에서 제1 반사부재의 물체측 면(또는 입사면)으로부터 이미지 센서의 촬상면까지의 광축 상 거리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제1 렌즈군(G1)은 전체적으로 부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1 렌즈군(G1)의 초점거리는 -10.766 mm이다.
제2 렌즈군(G2)은 전체적으로 정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2 렌즈군(G2)의 초점거리는 13.393 mm이다.
제1 렌즈(11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1 렌즈(110)의 제1 면과 제2 면은 볼록한 형상이다.
제2 렌즈(12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2 렌즈(120)의 제1 면과 제2 면은 오목한 형상이다.
제3 렌즈(13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3 렌즈(130)의 제1 면과 제2 면은 볼록한 형상이다.
제4 렌즈(14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4 렌즈(140)의 제1 면과 제2 면은 오목한 형상이다.
제5 렌즈(15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5 렌즈(150)의 제1 면과 제2 면은 볼록한 형상이다.
한편, 제1 렌즈(110) 내지 제5 렌즈(150)의 각 면은 표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비구면 계수를 가진다. 예를 들어, 제1 렌즈(110) 내지 제5 렌즈(150)의 물체측 면 및 상측 면은 모두 비구면이다.
코닉상수(K) | 4차계수(A) | 6차계수(B) | 8차계수(C) | 10차계수(D) | 12차계수(E) | |
S4 | 0 | 7.223E-04 | 1.151E-05 | 4.670E-06 | -6.291E-07 | 2.750E-08 |
S5 | 0 | 4.744E-04 | 4.096E-05 | -1.174E-06 | 1.261E-07 | -7.009E-08 |
S6 | 0 | 6.629E-04 | 2.838E-05 | 2.732E-07 | -3.917E-07 | -4.631E-08 |
S7 | 0 | 2.159E-05 | -2.146E-05 | 4.083E-06 | -3.519E-07 | 1.032E-08 |
S8 | 0 | -4.440E-04 | -9.538E-06 | -2.692E-06 | 3.367E-07 | -2.851E-08 |
S9 | 0 | 1.363E-04 | -1.509E-05 | 1.587E-06 | -4.646E-07 | -7.799E-09 |
S10 | 0 | -1.060E-04 | -5.914E-06 | -2.221E-06 | -3.493E-07 | -2.486E-09 |
S11 | 0 | -4.393E-05 | -1.687E-05 | -4.610E-06 | 5.883E-08 | 1.951E-09 |
S12 | 0 | 4.939E-06 | -3.569E-06 | -8.002E-07 | 1.115E-07 | -1.376E-09 |
S13 | 0 | 1.438E-04 | 2.262E-05 | -7.418E-07 | 2.228E-07 | -2.247E-09 |
또한, 이와 같이 구성된 촬상 광학계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수차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를 설명한다.
도 5는 제1 렌즈군과 제2 렌즈군이 제1 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제1 렌즈군과 제2 렌즈군이 제2 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제1 렌즈군(G1) 및 제2 렌즈군(G2)을 포함한다.
제1 렌즈군(G1)은 제1 렌즈(210) 및 제2 렌즈(220)를 포함하고, 제2 렌즈군(G2)은 제3 렌즈(230), 제4 렌즈(240) 및 제5 렌즈(250)를 포함한다. 또한, 촬상 광학계는 필터 및 이미지 센서(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렌즈군(G1)과 제2 렌즈군(G2) 사이에 조리개가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조리개는 제2 렌즈(220)와 제3 렌즈(2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촬상 광학계는 제1 렌즈(210)의 전방에 배치되고, 광 경로를 변화시키는 반사면을 갖는 제1 반사부재(R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제1 반사부재(R1)는 프리즘일 수 있으나, 미러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 및 도 7에서는 프리즘의 형상이 평판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제 프리즘은 삼각 기둥 형상일 수 있다.
제1 반사부재(R1)에 입사된 광은 제1 반사부재(R1)에 의해 굴곡되어 제1 렌즈군(G1) 및 제2 렌즈군(G2)을 통과한다. 예컨대, 제1 광축을 따라 제1 반사부재(R1)에 입사된 광은 제1 광축에 수직한 제2 광축을 향하도록 굴곡된다.
또한, 촬상 광학계는 제5 렌즈(250)의 후방에 배치되고, 광 경로를 변화시키는 반사면을 갖는 제2 반사부재(R2) 및 제3 반사부재(R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반사부재(R2) 및 제3 반사부재(R3)는 제5 렌즈(250)와 이미지 센서(260) 사이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제2 반사부재(R2) 및 제3 반사부재(R3)는 미러일 수 있으나, 프리즘으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렌즈군(G1) 및 제2 렌즈군(G2)을 통과한 광은 제2 반사부재(R2)에 의해 굴곡된다. 예컨대, 제1 렌즈군(G1) 및 제2 렌즈군(G2)을 통과한 광은, 제2 반사부재(R2)에 의해 제2 광축에 수직한 제3 광축을 향하도록 굴곡된다.
제2 반사부재(R2)에 의해 굴곡된 광은 제3 반사부재(R3)에 의해 재차 굴곡된다. 예컨대, 제2 반사부재(R2)에 의해 제3 광축을 향햐도록 굴곡된 광은, 제3 반사부재(R3)에 의해 제3 광축에 수직한 제4 광축을 향하도록 굴곡되어 이미지 센서(260)에 수광된다.
제3 반사부재(R3)와 이미지 센서(260) 사이에는 필터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렌즈군(G1) 및 제2 렌즈군(G2) 중 적어도 하나는 촬상 광학계의 전체 초점거리를 변경하기 위해 이동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렌즈군(G2)이 광축을 따라 이동됨으로써, 제1 렌즈군(G1)과 제2 렌즈군(G2) 사이의 간격이 가변될 수 있고, 제2 렌즈군(G2)과 제2 반사부재(R2) 사이의 간격이 가변될 수 있다. 또한, 제2 렌즈군(G2)과 이미지 센서(260) 사이의 간격이 가변될 수 있다.
여기서, '간격'은 두 부재 간의 광축 상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제2 반사부재(R2)와 제3 반사부재(R3)는 이동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반사부재(R2)와 제3 반사부재(R3)가 함께 이동되어 제2 렌즈군(G2)과 제2 반사부재(R2) 사이의 간격 및 제3 반사부재(R3)와 이미지 센서(260) 사이의 간격이 가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반사부재(R1)는 위치가 고정된 고정부재일 수 있고, 제2 반사부재(R2)와 제3 반사부재(R3)는 위치가 가변되는 가동부재일 수 있다.
각 렌즈의 특성(곡률 반지름(Radius of curvature), 렌즈의 두께(Thickness) 또는 렌즈들 간의 거리(Distance), 굴절률(Index), 아베수(Abbe수), 초점거리(Focal length))은 표 4와 같다.
면 번호 | 비고 | 곡률반경 | 두께 또는 거리 | 굴절률 | 아베수 | 초점거리 |
S1 | 제1 반사부재 | Infinity | 2.212 | 1.717 | 29.5 | |
S2 | Infinity | 2.212 | 1.717 | 29.5 | ||
S3 | Infinity | 1.942 | ||||
S4 | 제1 렌즈 | 34.849 | 2.750 | 1.671 | 19.2 | 20.781 |
S5 | -22.988 | 0.522 | ||||
S6 | 제2 렌즈 | -4.680 | 1.950 | 1.573 | 37 | -9.289 |
S7 | -42.664 | D1 | ||||
S8 | 제3 렌즈 | 13.422 | 0.955 | 1.544 | 56 | 13.838 |
S9 | -16.880 | 0.256 | ||||
S10 | 제4 렌즈 | -7.908 | 1.129 | 1.586 | 32.6 | -7.742 |
S11 | 11.378 | 0.420 | ||||
S12 | 제5 렌즈 | 11.995 | 2.445 | 1.544 | 56 | 8.283 |
S13 | -6.746 | D2 | ||||
S14 | 제2 반사부재 | Infinity | 0.000 | |||
S15 | Infinity | 7.455 | ||||
S16 | 제3 반사부재 | Infinity | 0.000 | |||
S17 | Infinity | D3 | ||||
S18 | 촬상면 | Infinity |
제1 위치 | 제2 위치 | |
D1 | 8.339 | 0.689 |
D2 | 4 | 11.65 |
D3 | 11.544 | 11.562 |
D1은 제2 렌즈(220)와 제3 렌즈(230) 사이의 광축 상 거리이고, D2는 제5 렌즈(250)와 제2 반사부재(R2) 사이의 광축 상 거리이며, D3은 제3 반사부재(R3)와 이미지 센서(260) 사이의 광축 상 거리이다.
제1 위치에서의 제1 렌즈군(G1)과 제2 렌즈군(G2) 사이의 간격과, 제2 위치에서의 제1 렌즈군(G1)과 제2 렌즈군(G2) 사이의 간격은 다르다. 예컨대, 제1 위치에서 제1 렌즈군(G1)과 제2 렌즈군(G2)은 상대적으로 멀리 위치할 수 있고, 제2 위치에서 제1 렌즈군(G1)과 제2 렌즈군(G2)은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제1 렌즈군(G1)과 제2 렌즈군(G2) 사이의 간격을 가변시킴으로써, 촬상 광학계의 전체 초점거리를 변경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2 렌즈군(G2)과 이미지 센서(260)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반사부재 중를 이동시킴으로써 제2 렌즈군(G2)과 이미지 센서(260) 사이의 광 경로의 길이를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위치에서의 제2 반사부재(R2) 및 제3 반사부재(R3)의 위치와, 제2 위치에서의 제2 반사부재(R2) 및 제3 반사부재(R3)의 위치는 다르다.
제1 위치에서 촬상 광학계의 전체 초점거리(fl)는 13.9 mm이고, Fno_l는 3.88이고, FOVl은 11.5°이고, BFL_l은 23.000 mm이고, TTL_l은 41.767 mm이고, PTTL_l은 48.134 mm이다.
제2 위치에서 촬상 광학계의 전체 초점거리(fh)는 24.6 mm이고, Fno_h는 4.97이고, FOVh는 6.5°이고, BFL_h는 30.667 mm이고, TTL_h는 41.784 mm이고, PTTL_h는 48.151 mm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제1 렌즈군(G1)은 전체적으로 부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1 렌즈군(G1)의 초점거리는 -18.451 mm이다.
제2 렌즈군(G2)은 전체적으로 정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2 렌즈군(G2)의 초점거리는 13.252 mm이다.
제1 렌즈(21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1 렌즈(210)의 제1 면과 제2 면은 볼록한 형상이다.
제2 렌즈(22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2 렌즈(220)의 제1 면은 오목한 형상이고, 제2 렌즈(220)의 제2 면은 볼록한 형상이다.
제3 렌즈(23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3 렌즈(230)의 제1 면과 제2 면은 볼록한 형상이다.
제4 렌즈(24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4 렌즈(240)의 제1 면과 제2 면은 오목한 형상이다.
제5 렌즈(25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5 렌즈(250)의 제1 면과 제2 면은 볼록한 형상이다.
한편, 제1 렌즈(210) 내지 제5 렌즈(250)의 각 면은 표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비구면 계수를 가진다. 예를 들어, 제1 렌즈(210) 내지 제5 렌즈(250)의 물체측 면 및 상측 면은 모두 비구면이다.
코닉상수(K) | 4차계수(A) | 6차계수(B) | 8차계수(C) | 10차계수(D) | 12차계수(E) | |
S4 | 0 | 1.014E-03 | 3.675E-05 | 1.181E-06 | 1.307E-08 | -1.065E-09 |
S5 | 0 | 3.881E-04 | 1.019E-04 | 6.765E-06 | 3.148E-08 | 3.894E-08 |
S6 | 0 | 9.742E-04 | 9.341E-05 | 6.824E-06 | -6.105E-07 | -7.356E-19 |
S7 | 0 | 6.175E-04 | -1.853E-05 | 1.236E-06 | -2.471E-07 | 4.069E-19 |
S8 | 0 | -4.097E-04 | -2.042E-05 | -5.888E-06 | 6.223E-08 | -3.780E-09 |
S9 | 0 | 7.849E-05 | -5.173E-06 | 8.819E-07 | -5.267E-07 | -1.913E-18 |
S10 | 0 | 1.386E-04 | 1.333E-05 | 3.180E-07 | -3.562E-07 | 4.974E-19 |
S11 | 0 | -1.606E-04 | -2.622E-05 | -5.040E-06 | 7.900E-08 | -2.235E-18 |
S12 | 0 | -2.973E-05 | -5.570E-06 | -1.102E-06 | 8.573E-08 | -3.864E-09 |
S13 | 0 | 2.770E-04 | 1.974E-05 | -1.139E-06 | 2.339E-07 | -5.720E-09 |
또한, 이와 같이 구성된 촬상 광학계는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수차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를 설명한다.
도 9는 제1 렌즈군과 제2 렌즈군이 제1 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제1 렌즈군과 제2 렌즈군이 제2 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제1 렌즈군(G1) 및 제2 렌즈군(G2)을 포함한다.
제1 렌즈군(G1)은 제1 렌즈(310) 및 제2 렌즈(320)를 포함하고, 제2 렌즈군(G2)은 제3 렌즈(330), 제4 렌즈(340) 및 제5 렌즈(350)를 포함한다. 또한, 촬상 광학계는 필터 및 이미지 센서(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렌즈군(G1)과 제2 렌즈군(G2) 사이에 조리개가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조리개는 제2 렌즈(320)와 제3 렌즈(3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촬상 광학계는 제1 렌즈(310)의 전방에 배치되고, 광 경로를 변화시키는 반사면을 갖는 제1 반사부재(R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제1 반사부재(R1)는 프리즘일 수 있으나, 미러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 및 도 11에서는 프리즘의 형상이 평판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제 프리즘은 삼각 기둥 형상일 수 있다.
제1 반사부재(R1)에 입사된 광은 제1 반사부재(R1)에 의해 굴곡되어 제1 렌즈군(G1) 및 제2 렌즈군(G2)을 통과한다. 예컨대, 제1 광축을 따라 제1 반사부재(R1)에 입사된 광은 제1 광축에 수직한 제2 광축을 향하도록 굴곡된다.
또한, 촬상 광학계는 제5 렌즈(350)의 후방에 배치되고, 광 경로를 변화시키는 반사면을 갖는 제2 반사부재(R2), 제3 반사부재(R3) 및 제4 반사부재(R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반사부재(R2), 제3 반사부재(R3) 및 제4 반사부재(R4)는 제5 렌즈(350)와 이미지 센서(360) 사이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제2 반사부재(R2), 제3 반사부재(R3) 및 제4 반사부재(R4)는 미러일 수 있으나, 프리즘으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렌즈군(G1) 및 제2 렌즈군(G2)을 통과한 광은 제2 반사부재(R2)에 의해 굴곡된다. 예컨대, 제1 렌즈군(G1) 및 제2 렌즈군(G2)을 통과한 광은, 제2 반사부재(R2)에 의해 제2 광축에 수직한 제3 광축을 향하도록 굴곡된다.
제2 반사부재(R2)에 의해 굴곡된 광은 제3 반사부재(R3)에 의해 재차 굴곡된다. 예컨대, 제2 반사부재(R2)에 의해 제3 광축을 향하도록 굴곡된 광은, 제3 반사부재(R3)에 의해 제3 광축에 수직한 제4 광축을 향하도록 굴곡된다.
제3 반사부재(R3)에 의해 굴곡된 광은 제4 반사부재(R4)에 의해 재차 굴곡된다. 예컨대, 제3 반사부재(R3)에 의해 제4 광축을 향하도록 굴곡된 광은, 제4 반사부재(R4)에 의해 제4 광축에 수직한 제5 광축을 향하도록 굴곡되어 이미지 센서(360)에 수광된다.
제4 반사부재(R4)와 이미지 센서(360) 사이에는 필터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렌즈군(G1) 및 제2 렌즈군(G2) 중 적어도 하나는 촬상 광학계의 전체 초점거리를 변경하기 위해 이동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렌즈군(G2)이 광축을 따라 이동됨으로써, 제1 렌즈군(G1)과 제2 렌즈군(G2) 사이의 간격이 가변될 수 있고, 제2 렌즈군(G2)과 제2 반사부재(R2) 사이의 간격이 가변될 수 있다. 또한, 제2 렌즈군(G2)과 이미지 센서(360) 사이의 간격이 가변될 수 있다.
여기서, '간격'은 두 부재 간의 광축 상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제2 반사부재(R2), 제3 반사부재(R3) 및 제4 반사부재(R4) 중 적어도 2개의 반사부재는 이동될 수 있다. 예컨대, 제3 반사부재(R3)가 이동되어 제2 반사부재(R2)와 제3 반사부재(R3) 사이의 간격이 가변될 수 있다. 또한, 제4 반사부재(R4)가 이동되어 제4 반사부재(R4)와 이미지 센서(360) 사이의 간격이 가변될 수 있다. 제3 반사부재(R3)와 제4 반사부재(R4)는 함께 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반사부재(R1) 및 제2 반사부재(R2)는 위치가 고정된 고정부재일 수 있고, 제3 반사부재(R3) 및 제4 반사부재(R4)는 위치가 가변되는 가동부재일 수 있다.
각 렌즈의 특성(곡률 반지름(Radius of curvature), 렌즈의 두께(Thickness) 또는 렌즈들 간의 거리(Distance), 굴절률(Index), 아베수(Abbe수), 초점거리(Focal length))은 표 7과 같다.
면 번호 | 비고 | 곡률반경 | 두께 또는 거리 | 굴절률 | 아베수 | 초점거리 |
S1 | 제1 반사부재 | Infinity | 2.212 | 1.717 | 29.5 | |
S2 | Infinity | 2.212 | 1.717 | 29.5 | ||
S3 | Infinity | 1.942 | ||||
S4 | 제1 렌즈 | 53.925 | 2.750 | 1.671 | 19.2 | 24.611 |
S5 | -23.745 | 0.662 | ||||
S6 | 제2 렌즈 | -4.822 | 1.871 | 1.562 | 42.4 | -9.584 |
S7 | -50.14916 | D1 | ||||
S8 | 제3 렌즈 | 12.161 | 0.967 | 1.544 | 56 | 17.207 |
S9 | -40.279 | 0.275 | ||||
S10 | 제4 렌즈 | -10.348 | 1.288 | 1.593 | 31.7 | -8.185 |
S11 | 9.691 | 0.330 | ||||
S12 | 제5 렌즈 | 9.863 | 2.556 | 1.544 | 56 | 7.730 |
S13 | -6.711 | D2 | ||||
S14 | 제2 반사부재 | Infinity | 0.000 | |||
S15 | Infinity | D3 | ||||
S16 | 제3 반사부재 | Infinity | 0.000 | |||
S17 | Infinity | 7.15 | ||||
S18 | 제4 반사부재 | Infinity | 0.000 | |||
S19 | Infinity | D4 | ||||
S20 | 촬상면 | Infinity |
제1 위치 | 제2 위치 | |
D1 | 9.520 | 0.7424 |
D2 | 4 | 12.777 |
D3 | 7.448 | 7.691 |
D4 | 11.484 | 11.726 |
D1은 제2 렌즈(320)와 제3 렌즈(330) 사이의 광축 상 거리이고, D2는 제5 렌즈(350)와 제2 반사부재(R2) 사이의 광축 상 거리이고, D3은 제2 반사부재(R2)와 제3 반사부재(R3) 사이의 광축 상 거리이며, D4는 제4 반사부재(R4)와 이미지 센서(360) 사이의 광축 상 거리이다.
제1 위치에서의 제1 렌즈군(G1)과 제2 렌즈군(G2) 사이의 간격과, 제2 위치에서의 제1 렌즈군(G1)과 제2 렌즈군(G2) 사이의 간격은 다르다. 예컨대, 제1 위치에서 제1 렌즈군(G1)과 제2 렌즈군(G2)은 상대적으로 멀리 위치할 수 있고, 제2 위치에서 제1 렌즈군(G1)과 제2 렌즈군(G2)은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제1 렌즈군(G1)과 제2 렌즈군(G2) 사이의 간격을 가변시킴으로써, 촬상 광학계의 전체 초점거리를 변경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2 렌즈군(G2)과 이미지 센서(360)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반사부재 중에서 일부의 반사부재를 이동시킴으로써 제2 렌즈군(G2)과 이미지 센서(160) 사이의 광 경로의 길이를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위치에서의 제3 반사부재(R3)와 제4 반사부재(R4)의 위치와, 제2 위치에서의 제3 반사부재(R3)와 제4 반사부재(R4)의 위치는 다르다.
제1 위치에서 촬상 광학계의 전체 초점거리(fl)는 12.3 mm이고, Fno_l는 3.72이고, FOVl은 13°이고, BFL_l은 30.082 mm이고, TTL_l은 50.3 mm이고, PTTL_l은 56.666 mm이다.
제2 위치에서 촬상 광학계의 전체 초점거리(fh)는 24.4 mm이고, Fno_h는 4.98이고, FOVh는 6.5°이고, BFL_h는 39.344 mm이고, TTL_h는 50.784 mm이고, PTTL_h는 57.151 mm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제1 렌즈군(G1)은 전체적으로 부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1 렌즈군(G1)의 초점거리는 -16.864 mm이다.
제2 렌즈군(G2)은 전체적으로 정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2 렌즈군(G2)의 초점거리는 12.909 mm이다.
제1 렌즈(31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1 렌즈(310)의 제1 면과 제2 면은 볼록한 형상이다.
제2 렌즈(32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2 렌즈(320)의 제1 면은 오목한 형상이고, 제2 렌즈(320)의 제2 면은 볼록한 형상이다.
제3 렌즈(33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3 렌즈(330)의 제1 면과 제2 면은 볼록한 형상이다.
제4 렌즈(34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4 렌즈(340)의 제1 면과 제2 면은 오목한 형상이다.
제5 렌즈(35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5 렌즈(350)의 제1 면과 제2 면은 볼록한 형상이다.
한편, 제1 렌즈(310) 내지 제5 렌즈(350)의 각 면은 표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비구면 계수를 가진다. 예를 들어, 제1 렌즈(310) 내지 제5 렌즈(350)의 물체측 면 및 상측 면은 모두 비구면이다.
코닉상수(K) | 4차계수(A) | 6차계수(B) | 8차계수(C) | 10차계수(D) | 12차계수(E) | |
S4 | 0 | 9.403E-04 | 2.958E-05 | 1.625E-06 | -1.181E-07 | 5.501E-09 |
S5 | 0 | 3.924E-04 | 9.121E-05 | 5.065E-06 | 6.780E-08 | 2.807E-09 |
S6 | 0 | 7.774E-04 | 8.386E-05 | 8.411E-06 | -8.203E-07 | -7.356E-19 |
S7 | 0 | 4.910E-04 | -1.777E-05 | 1.937E-06 | -2.417E-07 | 4.069E-19 |
S8 | 0 | -4.630E-04 | -1.869E-05 | -6.138E-06 | -4.524E-08 | -5.063E-09 |
S9 | 0 | 1.072E-04 | -4.783E-06 | 1.065E-06 | -4.224E-07 | -1.913E-18 |
S10 | 0 | 2.648E-05 | 9.064E-06 | 1.089E-06 | -1.731E-07 | 4.974E-19 |
S11 | 0 | -9.940E-05 | -2.410E-05 | -5.241E-06 | 6.956E-08 | -2.247E-18 |
S12 | 0 | -2.812E-05 | -5.747E-06 | -9.381E-07 | 1.066E-07 | -3.215E-09 |
S13 | 0 | 2.403E-04 | 2.001E-05 | -1.057E-06 | 2.630E-07 | -3.767E-09 |
또한, 이와 같이 구성된 촬상 광학계는 도 10 및 도 12에 도시된 수차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R: 반사부재
110, 210, 310: 제1 렌즈
120, 220, 320: 제2 렌즈
130, 230, 330: 제3 렌즈
140, 240, 340: 제4 렌즈
150, 250, 350: 제5 렌즈
160, 260, 360: 이미지 센서
110, 210, 310: 제1 렌즈
120, 220, 320: 제2 렌즈
130, 230, 330: 제3 렌즈
140, 240, 340: 제4 렌즈
150, 250, 350: 제5 렌즈
160, 260, 360: 이미지 센서
Claims (17)
-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는 제1 렌즈군;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는 제2 렌즈군;
상기 제1 렌즈군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1 반사부재; 및
상기 제2 렌즈군과 이미지 센서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반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렌즈군 및 상기 제2 렌즈군 중 적어도 하나는 광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렌즈군과 상기 제2 렌즈군 사이의 간격은 제1 간격과 제2 간격 사이에서 가변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간격은 상기 제1 간격보다 좁고,
상기 제1 렌즈군 및 상기 제2 렌즈군 중 적어도 하나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복수의 반사부재 중 적어도 일부의 반사부재가 이동되도록 구성되며,
fl/fh < 0.7 을 만족하며, fl은 상기 제1 렌즈군과 상기 제2 렌즈군 사이의 간격이 상기 제1 간격일 때의 상기 제1 렌즈군과 상기 제2 렌즈군의 전체 초점거리이고, fh는 상기 제1 렌즈군과 상기 제2 렌즈군 사이의 간격이 상기 제2 간격일 때의 상기 제1 렌즈군과 상기 제2 렌즈군의 전체 초점거리인 촬상 광학계.
된 촬상 광학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군은 부의 굴절력을 갖고, 상기 제2 렌즈군은 정의 굴절력을 갖는 촬상 광학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군은 제1 렌즈 및 제2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렌즈군은 제3 렌즈, 제4 렌즈 및 제5 렌즈를 포함하는 촬상 광학계.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갖고, 상기 제2 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갖는 촬상 광학계.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갖고, 상기 제4 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갖고, 상기 제5 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갖는 촬상 광학계.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BFL_h > 30 mm 을 만족하며, BFL_h는 상기 제1 렌즈군과 상기 제2 렌즈군 사이의 간격이 상기 제2 간격일 때 상기 제2 렌즈군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렌즈 중 최후방 렌즈의 상측 면으로부터 상기 이미지 센서의 촬상면까지의 광축 상 거리인 촬상 광학계.
- 제1항에 있어서,
D1_2/D1_1 < 0.3 을 만족하며, D1_1는 상기 제1 간격이고, D1_2는 상기 제2 간격인 촬상 광학계.
- 제1항에 있어서,
FOVl/FOVh > 1.6 을 만족하며, FOVl는 상기 제1 렌즈군과 상기 제2 렌즈군 사이의 간격이 상기 제1 간격일 때 상기 촬상 광학계의 화각이고, FOVh는 상기 제1 렌즈군과 상기 제2 렌즈군 사이의 간격이 상기 제2 간격일 때 상기 촬상 광학계의 화각인 촬상 광학계.
- 제1항에 있어서,
fG1/fG2 < -0.5 을 만족하며, fG1은 상기 제1 렌즈군의 초점거리이고, fG2는 상기 제2 렌즈군의 초점거리인 촬상 광학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렌즈군이 상기 광축을 따라 이동되며, 상기 제2 렌즈군과 상기 복수의 반사부재 사이의 상기 광축 상 거리는 가변되도록 구성되는 촬상 광학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반사부재는, 상기 제2 렌즈군으로부터 상기 이미지 센서를 향하여 순서대로 배치된, 제2 반사부재, 제3 반사부재, 제4 반사부재 및 제5 반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3 반사부재가 이동되어 상기 제2 반사부재와 상기 제3 반사부재 사이의 간격이 가변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4 반사부재가 이동되어 상기 제4 반사부재와 상기 제5 반사부재 사이의 간격이 가변되도록 구성된 촬상 광학계.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반사부재와 상기 제4 반사부재는 함께 이동되도록 구성된 촬상 광학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반사부재는, 상기 제2 렌즈군으로부터 상기 이미지 센서를 향하여 순서대로 배치된, 제2 반사부재 및 제3 반사부재를 포함하는 촬상 광학계.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반사부재와 상기 제3 반사부재는 함께 이동되도록 구성된 촬상 광학계.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반사부재는, 상기 제3 반사부재와 이미지 센서 사이에 배치된 제4 반사부재를 더 포함하는 촬상 광학계.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반사부재와 상기 제4 반사부재는 함께 이동되도록 구성된 촬상 광학계.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64928A KR102534057B1 (ko) | 2020-11-30 | 2020-11-30 | 촬상 광학계 |
US17/215,699 US11921266B2 (en) | 2020-11-30 | 2021-03-29 | Optical imaging system |
TW112116101A TW202338474A (zh) | 2020-11-30 | 2021-04-06 | 光學成像系統 |
TW110112277A TWI803849B (zh) | 2020-11-30 | 2021-04-06 | 光學成像系統 |
CN202110824151.9A CN114578511B (zh) | 2020-11-30 | 2021-07-21 | 光学成像系统 |
CN202121667136.XU CN215340513U (zh) | 2020-11-30 | 2021-07-21 | 光学成像系统 |
CN202310983680.2A CN116893498A (zh) | 2020-11-30 | 2021-07-21 | 光学成像系统 |
CN202210426335.4A CN114578522A (zh) | 2020-11-30 | 2021-07-21 | 光学成像系统 |
KR1020230062301A KR20230071110A (ko) | 2020-11-30 | 2023-05-15 | 촬상 광학계 |
US18/428,799 US20240168267A1 (en) | 2020-11-30 | 2024-01-31 | Optical imaging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64928A KR102534057B1 (ko) | 2020-11-30 | 2020-11-30 | 촬상 광학계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62301A Division KR20230071110A (ko) | 2020-11-30 | 2023-05-15 | 촬상 광학계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76109A KR20220076109A (ko) | 2022-06-08 |
KR102534057B1 true KR102534057B1 (ko) | 2023-05-18 |
Family
ID=7956911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64928A KR102534057B1 (ko) | 2020-11-30 | 2020-11-30 | 촬상 광학계 |
KR1020230062301A KR20230071110A (ko) | 2020-11-30 | 2023-05-15 | 촬상 광학계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62301A KR20230071110A (ko) | 2020-11-30 | 2023-05-15 | 촬상 광학계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2) | US11921266B2 (ko) |
KR (2) | KR102534057B1 (ko) |
CN (4) | CN114578511B (ko) |
TW (2) | TWI803849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34057B1 (ko) * | 2020-11-30 | 2023-05-18 | 삼성전기주식회사 | 촬상 광학계 |
CN114942514B (zh) * | 2022-06-17 | 2024-05-24 | 辽宁中蓝光电科技有限公司 | 一种小型变焦镜头 |
TWI847212B (zh) * | 2022-08-09 | 2024-07-01 |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 折疊光學系統、取像裝置及電子裝置 |
US20240176115A1 (en) * | 2022-11-24 | 2024-05-30 |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 Imaging lens system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50061976A1 (en) * | 2013-09-05 | 2015-03-05 |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 Multi-focus heads-up display using single picture generator unit |
WO2016194612A1 (ja) * | 2015-06-01 | 2016-12-08 | オリンパス株式会社 | 撮像ユニット |
JP2019061131A (ja) * | 2017-09-27 | 2019-04-18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画像投写装置 |
JP2019204115A (ja) * | 2019-07-29 | 2019-11-28 | キヤノン株式会社 | 光学系及び撮像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1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21898B2 (ja) * | 1984-11-09 | 1994-03-23 | キヤノン株式会社 | 撮影光学系 |
US5319405A (en) * | 1989-07-27 | 1994-06-07 | Canon Kabushiki Kaisha | Camera system |
JP2006154702A (ja) * | 2004-10-29 | 2006-06-15 | Konica Minolta Opto Inc | 変倍光学系、撮像レンズ装置及びデジタル機器 |
JP2006171449A (ja) | 2004-12-16 | 2006-06-29 | Casio Comput Co Ltd | 撮像装置及び電子カメラ |
KR101278239B1 (ko) | 2006-10-17 | 2013-06-24 | 삼성전자주식회사 | 듀얼 렌즈 광학계 및 이를 구비하는 듀얼 렌즈 카메라 |
JP2013178493A (ja) | 2012-02-07 | 2013-09-09 | Olympus Imaging Corp | ズームレンズ及びそれを備えた撮像装置 |
US9557627B2 (en) | 2014-03-07 | 2017-01-31 | Apple Inc. | Folded camera lens systems |
KR102422126B1 (ko) | 2015-06-09 | 2022-07-18 |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 줌 렌즈계 |
KR101740815B1 (ko) | 2015-10-14 | 2017-05-26 | 삼성전기주식회사 | 촬상 광학계 |
TWI616675B (zh) | 2016-07-14 | 2018-03-01 |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 光學攝像系統組、取像裝置及電子裝置 |
KR101956705B1 (ko) | 2017-08-21 | 2019-03-11 | 삼성전기주식회사 | 촬상 광학계 |
US20200096745A1 (en) | 2018-09-20 | 2020-03-26 | Sintai Optical (Shenzhen) Co., Ltd. | Lens Apparatus |
TWI659239B (zh) | 2018-11-14 | 2019-05-11 |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 成像光學透鏡組、取像裝置及電子裝置 |
KR20200072256A (ko) | 2018-12-12 | 2020-06-22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렌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CN111638588B (zh) | 2019-03-01 | 2023-02-24 | 杭州海康威视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 一种光学变焦系统、镜头和摄像机 |
KR102090625B1 (ko) | 2019-11-11 | 2020-03-18 | 자화전자(주) | 자동초점 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CN110737077A (zh) | 2019-11-29 | 2020-01-31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光学镜头和电子装置 |
CN110879454A (zh) | 2019-12-25 | 2020-03-13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摄像头模组、潜望式摄像头模组、摄像头组件及电子装置 |
KR102534057B1 (ko) * | 2020-11-30 | 2023-05-18 | 삼성전기주식회사 | 촬상 광학계 |
-
2020
- 2020-11-30 KR KR1020200164928A patent/KR10253405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1
- 2021-03-29 US US17/215,699 patent/US11921266B2/en active Active
- 2021-04-06 TW TW110112277A patent/TWI803849B/zh active
- 2021-04-06 TW TW112116101A patent/TW202338474A/zh unknown
- 2021-07-21 CN CN202110824151.9A patent/CN114578511B/zh active Active
- 2021-07-21 CN CN202310983680.2A patent/CN116893498A/zh active Pending
- 2021-07-21 CN CN202210426335.4A patent/CN114578522A/zh active Pending
- 2021-07-21 CN CN202121667136.XU patent/CN215340513U/zh active Active
-
2023
- 2023-05-15 KR KR1020230062301A patent/KR20230071110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
2024
- 2024-01-31 US US18/428,799 patent/US20240168267A1/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50061976A1 (en) * | 2013-09-05 | 2015-03-05 |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 Multi-focus heads-up display using single picture generator unit |
WO2016194612A1 (ja) * | 2015-06-01 | 2016-12-08 | オリンパス株式会社 | 撮像ユニット |
JP2019061131A (ja) * | 2017-09-27 | 2019-04-18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画像投写装置 |
JP2019204115A (ja) * | 2019-07-29 | 2019-11-28 | キヤノン株式会社 | 光学系及び撮像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76109A (ko) | 2022-06-08 |
CN114578511A (zh) | 2022-06-03 |
CN114578522A (zh) | 2022-06-03 |
US11921266B2 (en) | 2024-03-05 |
KR20230071110A (ko) | 2023-05-23 |
CN114578511B (zh) | 2023-08-25 |
CN215340513U (zh) | 2021-12-28 |
TW202338474A (zh) | 2023-10-01 |
TW202223524A (zh) | 2022-06-16 |
US20240168267A1 (en) | 2024-05-23 |
TWI803849B (zh) | 2023-06-01 |
US20220171168A1 (en) | 2022-06-02 |
CN116893498A (zh) | 2023-10-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34016B1 (ko) | 촬상 광학계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 |
KR102534057B1 (ko) | 촬상 광학계 | |
KR20220103673A (ko) | 촬상 광학계 | |
KR102597158B1 (ko) | 촬상 광학계 | |
KR102437800B1 (ko) | 카메라 모듈 | |
KR102544194B1 (ko) | 촬상 광학계 | |
KR102402675B1 (ko) | 촬상 광학계 | |
KR102409108B1 (ko) | 촬상 광학계 | |
KR102491440B1 (ko) | 촬상 광학계 | |
KR20220029636A (ko) | 촬상 광학계 | |
KR20220168423A (ko) | 촬상 광학계 | |
KR20220019487A (ko) | 광학계 | |
KR20230079325A (ko) | 촬상 광학계 | |
KR20230049403A (ko) | 촬상 광학계 | |
KR102712642B1 (ko) | 촬상 광학계 | |
KR20230094643A (ko) | 촬상 광학계 | |
KR20230100342A (ko) | 촬상 광학계 | |
KR20240086323A (ko) | 촬상 광학계 | |
KR20230079954A (ko) | 촬상 광학계 | |
KR20240149343A (ko) | 촬상 광학계 | |
KR20240057215A (ko) | 촬상 광학계 | |
KR20230173397A (ko) | 촬상 광학계 | |
KR20230032046A (ko) | 촬상 광학계 | |
KR20240135229A (ko) | 촬상 광학계 | |
KR20230009727A (ko) | 광학계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