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5260A - 광학계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광학계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5260A
KR20230105260A KR1020220000577A KR20220000577A KR20230105260A KR 20230105260 A KR20230105260 A KR 20230105260A KR 1020220000577 A KR1020220000577 A KR 1020220000577A KR 20220000577 A KR20220000577 A KR 20220000577A KR 20230105260 A KR20230105260 A KR 202301052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optical axis
point
sensor
equ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0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두식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00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5260A/ko
Publication of KR20230105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52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4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five or mor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18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with lenses having one or more non-spherical faces, e.g. for reducing geometrical aberr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64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more than six compon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는 물체 측으로부터 센서 측 방향으로 광축을 따라 배치되는 제1 내지 제9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렌즈는 상기 광축에서 양(+)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기 제3 렌즈는 상기 광축에서 음(+)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기 제9 렌즈는 상기 광축에서 음(-)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기 광축을 시작점으로 하고 상기 제7 렌즈의 센서 측 면의 유효 영역 끝단을 끝점으로 할 때, 상기 제7 및 제8 렌즈 사이의 상기 광축 방향 간격은 상기 광축에서 상기 제7 렌즈의 센서 측 면 상에 위치한 제9 지점으로 갈수록 커지고, 상기 제9 지점에서 상기 제7 렌즈의 센서 측 면 상에 위치한 제10 지점으로 갈수록 작아지고, 상기 제10 지점은 상기 제7 렌즈의 센서 측 면의 유효 영역 끝단일 수 있다.

Description

광학계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OPTICAL SYSTEM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실시예는 향상된 광학 성능을 위한 광학계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에 대한 것이다.
카메라 모듈은 객체를 촬영하여 이미지 또는 동영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 장착되고 있다. 특히 카메라 모듈은 초소형으로 제작되어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등의 휴대용 디바이스뿐만 아니라 드론, 차량 등에 적용되어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의 광학계는 상(image)를 결상하는 촬상 렌즈, 결상된 상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카메라 모듈은 이미지 센서와 촬상 렌즈 사이의 간격을 자동 조절하여 렌즈의 초점거리를 정렬하는 오토포커스(autofocus, AF)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줌 렌즈(zoom lens)를 통해 원거리의 객체의 배율을 증가 또는 감소시켜 촬영하는 줌 업(zoom up) 또는 줌 아웃(zoom out)의 주밍(zooming)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은 영상 흔들림 방지(image stabilization, IS)기술을 채용하여 불안정한 고정장치 혹은 사용자의 움직임에 기인한 카메라의 움직임으로 인한 영상의 흔들림을 보정하거나 방지하는 기술이 채용되고 있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이 상(image)을 얻기 위해 가장 중요한 요소는 상(image)을 결상하는 촬상 렌즈이다. 최근 고해상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를 구현하기 위해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는 광학계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고해상도 구현을 위해 양(+)의 굴절력 또는 음(-)의 굴절력을 가지는 복수의 촬상 렌즈를 이용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경우 우수한 광학적 특성, 수차 특성을 도출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경우, 상기 복수의 렌즈의 두께, 간격, 크기 등에 의해 전체 길이, 높이 등이 증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는 모듈의 전체 크기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고해상도, 고화질 구현을 위해 이미지 센서의 크기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미지 센서의 크기가 증가할 경우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는 광학계의 TTL(Total track length) 또한 증가하며, 이로 인해 상기 광학계를 포함하는 카메라, 이동 단말기 등의 두께 역시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광학계가 요구된다.
실시예는 광학 특성이 향상된 광학계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실시예는 화각의 중심부와 주변부에서 우수한 광학 성능을 가지는 광학계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실시예는 슬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는 광학계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는 물체 측으로부터 센서 측 방향으로 광축을 따라 배치되는 제1 내지 제9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렌즈는 상기 광축에서 양(+)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기 제3 렌즈는 상기 광축에서 음(+)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기 제9 렌즈는 상기 광축에서 음(-)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기 광축을 시작점으로 하고 상기 제7 렌즈의 센서 측 면의 유효 영역 끝단을 끝점으로 할 때, 상기 제7 및 제8 렌즈 사이의 상기 광축 방향 간격은 상기 광축에서 상기 제7 렌즈의 센서 측 면 상에 위치한 제9 지점으로 갈수록 커지고, 상기 제9 지점에서 상기 제7 렌즈의 센서 측 면 상에 위치한 제10 지점으로 갈수록 작아지고, 상기 제10 지점은 상기 제7 렌즈의 센서 측 면의 유효 영역 끝단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7 및 제8 렌즈 사이의 상기 광축 방향 간격은 상기 제9 지점에서 최대값을 가지고, 상기 광축 또는 상기 제10 지점에서 최소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9 지점은 상기 광축을 시작점으로 하고 상기 제7 렌즈의 센서 측 면의 유효 영역 끝단을 끝점으로 할 때, 상기 광축의 수직인 방향을 기준으로 60% 내지 85%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축을 시작점으로 하고 상기 제8 렌즈의 센서 측 면의 유효 영역 끝단을 끝점으로 할 때, 상기 제8 및 제9 렌즈 사이의 상기 광축 방향 간격은 상기 광축에서 상기 제8 렌즈의 센서 측 면 상에 위치한 제11 지점으로 갈수록 커지고, 상기 제11 지점에서 상기 제8 렌즈의 센서 측 면 상에 위치한 제12 지점으로 갈수록 작아지고, 상기 제12 지점에서 상기 제8 렌즈의 센서 측 면 상에 위치한 제13 지점으로 갈수록 커지고, 상기 제13 지점은 상기 제8 렌즈의 센서 측 면의 유효 영역 끝단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8 및 제9 렌즈 사이의 상기 광축 방향 간격은 상기 제13 지점에서 최대값을 가지고, 상기 제12 지점에서 최소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1 지점은 상기 광축을 시작점으로 하고 상기 제8 렌즈의 센서 측 면의 유효 영역 끝단을 끝점으로 할 때, 상기 광축의 수직인 방향을 기준으로 10% 내지 30%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2 지점은 상기 광축을 시작점으로 하고 상기 제8 렌즈의 센서 측 면의 유효 영역 끝단을 끝점으로 할 때, 상기 광축의 수직인 방향을 기준으로 55% 내지 80%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는 물체 측으로부터 센서 측 방향으로 광축을 따라 배치되는 제1 내지 제9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렌즈는 상기 광축에서 양(+)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기 제3 렌즈는 상기 광축에서 음(+)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기 제9 렌즈는 상기 광축에서 음(-)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기 제8 렌즈의 센서 측 면은 상기 광축에서 볼록한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8 렌즈의 물체 측 면 및 센서 측 면은 임계점을 포함하지 않고, 상기 임계점은 렌즈면 상에서 상기 임계점의 법선과 상기 광축의 기울기가 0인 지점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8 렌즈는 물체 측 면은 상기 광축에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렌즈의 굴절률은 1.6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렌즈는 상기 광축에서 양면이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3 렌즈는 하기 수학식을 만족할 수 있다.
2 < L1_CT / L3_CT < 5
(L1_CT는 상기 광축에서 상기 제1 렌즈의 두께이고, L3_CT는 상기 광축에서 상기 제3 렌즈의 두께이다.)
또한, 상기 제7 렌즈는 하기 수학식을 만족할 수 있다.
1 < L7_CT / L7_ET < 5
(L7_CT는 상기 광축에서 상기 제7 렌즈의 두께이고, L7_ET는 상기 제7 렌즈의 물체 측 면의 유효 영역 끝단과 상기 제7 렌즈의 센서 측 면의 유효 영역 끝단 사이의 상기 광축 방향 거리이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상기 광학계를 포함하고, 하기 수학식을 만족할 수 있다.
3 < F / BFL < 8
(F는 상기 광학계의 전체 초점 거리(mm)이고, BFL(Back focal length)은 상기 센서와 최인접한 렌즈의 센서 측 면에서 상기 센서의 상면까지의 상기 광축에서의 거리(mm)이다.)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 및 카메라 모듈은 향상된 광학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광학계는 복수의 렌즈들이 설정된 형상, 굴절력, 두께, 간격 등을 가짐에 따라 향상된 해상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 및 카메라 모듈은 향상된 왜곡(distortion) 및 수차 제어 특성을 가질 수 있고, 화각(FOV)의 중심부 뿐만 아니라 주변부에서도 양호한 광학 성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는 향상된 광학 특성을 가지며 작은 TTL(Total track length)을 가질 수 있어, 상기 광학계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은 슬림하고 컴팩트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에서 각 렌즈면의 비구면 계수에 대한 데이터이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에서 렌즈의 중심 두께(Center thickness), 엣지 영역 두께(Edge thickness), 렌즈 사이의 간격 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에서 인접한 두 렌즈 사이의 간격에 대한 데이터이다.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의 회절 MTF(Diffraction MTF)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 6은 제1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의 수차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7은 제2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의 구성도이다.
도 8은 제2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에서 각 렌즈면의 비구면 계수에 대한 데이터이다.
도 9는 제2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에서 인접한 두 렌즈 사이의 간격에 대한 데이터이다.
도 10은 제2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의 회절 MTF(Diffraction MTF)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 11은 제2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의 수차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2는 제3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의 구성도이다.
도 13은 제3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에서 각 렌즈면의 비구면 계수에 대한 데이터이다.
도 14는 제3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에서 인접한 두 렌즈 사이의 간격에 대한 데이터이다.
도 15는 제3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의 회절 MTF(Diffraction MTF)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 16은 제3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의 수차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7은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이 이동 단말기에 적용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각 구성 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 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 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물체 측 면"은 광축을 기준으로 물체 측을 향하는 렌즈의 면을 의미할 수 있고, "센서 측 면"은 광축을 기준으로 촬상면(이미지 센서)을 향하는 렌즈의 면을 의미할 수 있다. 렌즈의 면이 볼록하다는 것은 광축에서의 렌즈 면이 볼록한 형상을 가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고, 렌즈의 면이 오목하다는 것은 광축에서의 렌즈 면이 오목한 형상을 가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렌즈 데이터에 대한 표에 기재된 곡률 반경, 중심 두께, 렌즈 사이의 간격은 광축에서의 값을 의미할 수 있다. 수직 방향은 광축과 수직인 방향을 의미할 수 있고, 렌즈 또는 렌즈면의 끝단은 입사된 광이 통과하는 렌즈의 유효 영역의 끝단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렌즈면의 유효경의 크기는 측정 방법 등에 따라 최대 ±0.4mm 정도의 측정 오차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는 복수의 렌즈들(10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광학계(1000)는 5매 이상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광학계(1000)는 8매 이상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학계(1000)는 9매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학계(1000)는 물체 측으로부터 이미지 센서(300) 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 렌즈(110), 제2 렌즈(120), 제3 렌즈(130), 제4 렌즈(140), 제5 렌즈(150), 제6 렌즈(160), 제7 렌즈(170), 제8 렌즈(180), 제9 렌즈(19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9 렌즈들(110, 120, 130, 140, 150, 160, 170, 180, 190)은 상기 광학계(1000)의 광축(OA)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물체의 정보에 해당하는 광은 상기 제1 렌즈(110), 상기 제2 렌즈(120), 상기 제3 렌즈(130), 상기 제4 렌즈(140), 상기 제5 렌즈(150), 상기 제6 렌즈(160), 상기 제7 렌즈(170), 상기 제8 렌즈(180) 및 상기 제9 렌즈(190)를 통과하여 상기 이미지 센서(300)에 입사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렌즈들(100) 각각은 유효 영역 및 비유효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효 영역은 상기 제1 내지 제9 렌즈들(110, 120, 130, 140, 150, 160, 170, 180, 190) 각각에 입사된 광이 통과하는 영역일 수 있다. 즉, 상기 유효 영역은 입사된 광이 굴절되어 광학 특성을 구현하는 영역일 수 있다.
상기 비유효 영역은 상기 유효 영역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비유효 영역은 상기 복수의 렌즈들(100)에서 광이 입사되지 않는 영역일 수 있다. 즉, 상기 비유효 영역은 상기 광학 특성과 무관한 영역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유효 영역은 상기 렌즈를 수용하는 배럴(미도시) 등에 고정되는 영역일 수 있다.
상기 광학계(1000)는 이미지 센서(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센서(300)는 광을 감지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이미지 센서(300)는 상기 복수의 렌즈들(100), 자세하게 상기 복수의 렌즈들(100)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광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센서(300)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등 입사되는 광을 감지할 수 있는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는 필터(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500)는 상기 복수의 렌즈들(100)과 상기 이미지 센서(300) 사이에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500)는 상기 복수의 렌즈들(100) 중 상기 이미지 센서(300)와 가장 인접하게 배치된 마지막 렌즈와 상기 이미지 센서(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광학계(100)가 9매 렌즈를 포함할 경우, 상기 필터(500)는 상기 제9 렌즈(190)와 상기 이미지 센서(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500)는 적외선 필터, 커버 글래스 등의 광학적 필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500)는 설정된 파장 대역의 광을 통과시키고, 이와 다른 파장 대역의 광을 필터링할 수 있다. 상기 필터(500)가 적외선 필터를 포함할 경우 외부 광으로부터 방출되는 복사열이 상기 이미지 센서(300)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500)는 가시광선을 투과할 수 있고 적외선을 반사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는 조리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리개는 상기 광학계(1000)에 입사되는 광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조리개는 설정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리개는 상기 제1 렌즈(110) 전방에 위치하거나, 상기 제1 렌즈(110)보다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리개는 상기 복수의 렌즈들(100) 중 선택되는 두 렌즈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리개는 상기 제1 렌즈(110) 및 상기 제2 렌즈(1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복수의 렌즈들(100)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는 조리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1 내지 제9 렌즈들(110, 120, 130, 140, 150, 160, 170, 180, 190) 중 선택되는 하나의 렌즈의 물체 측 면 또는 센서 측 면은 광량을 조절하는 조리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렌즈(110)의 물체 측 면(제1 면(S1))은 조리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렌즈들(100)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제1 렌즈(110)는 광축(OA)에서 양(+)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렌즈(110)는 플라스틱 또는 글라스(glass)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렌즈(110)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렌즈(110)는 물체 측 면으로 정의되는 제1 면(S1) 및 센서 측 면으로 정의되는 제2 면(S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면(S1)은 광축(OA)에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2 면(S2)은 광축(OA)에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1 렌즈(110)는 광축(OA)에서 물체 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제1 면(S1)은 광축(OA)에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2 면(S2)은 광축(OA)에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1 렌즈(110)는 광축(OA)에서 양면이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면(S1) 및 상기 제2 면(S2) 중 적어도 하나의 면은 비구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면(S1) 및 상기 제2 면(S2)은 모두 비구면일 수 있다.
상기 제2 렌즈(120)는 광축(OA)에서 양(+) 또는 음(-)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렌즈(120)는 플라스틱 또는 글라스(glass)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렌즈(120)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렌즈(120)는 물체 측 면으로 정의되는 제3 면(S3) 및 센서 측 면으로 정의되는 제4 면(S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면(S3)은 광축(OA)에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4 면(S4)은 광축(OA)에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2 렌즈(120)는 광축(OA)에서 물체 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제3 면(S3)은 광축(OA)에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4 면(S4)은 광축(OA)에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2 렌즈(120)는 광축(OA)에서 양면이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제3 면(S3)은 광축(OA)에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4 면(S4)은 광축(OA)에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2 렌즈(120)는 광축(OA)에서 이미지 센서(300) 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제3 면(S3)은 광축(OA)에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4 면(S4)은 광축(OA)에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2 렌즈(120)는 광축(OA)에서 양면이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3 면(S3) 및 상기 제4 면(S4) 중 적어도 하나의 면은 비구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면(S3) 및 상기 제4 면(S4)은 모두 비구면일 수 있다.
상기 제3 렌즈(130)는 광축(OA)에서 음(-)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3 렌즈(130)는 플라스틱 또는 글라스(glass)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렌즈(130)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3 렌즈(130)는 물체 측 면으로 정의되는 제5 면(S5) 및 센서 측 면으로 정의되는 제6 면(S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5 면(S5)은 광축(OA)에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6 면(S6)은 광축(OA)에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3 렌즈(130)는 광축(OA)에서 물체 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제5 면(S5)은 광축(OA)에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6 면(S6)은 광축(OA)에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3 렌즈(130)는 광축(OA)에서 양면이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제5 면(S5)은 광축(OA)에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6 면(S6)은 광축(OA)에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3 렌즈(130)는 이미지 센서(300) 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제5 면(S5)은 광축(OA)에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6 면(S6)은 광축(OA)에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3 렌즈(130)는 광축(OA)에서 양면이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5 면(S5) 및 상기 제6 면(S6) 중 적어도 하나의 면은 비구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5 면(S5) 및 상기 제6 면(S6)은 모두 비구면일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렌즈(110, 120, 130) 중에서 상기 제3 렌즈(130)의 굴절률은 상기 제1 및 제2 렌즈(110, 120)의 굴절률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3 렌즈(110, 120, 130)의 초점 거리(focal length)의 절대값은 상기 제3 렌즈(130)가 상기 제1 렌즈(110)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렌즈(120)의 초점 거리 절대값은 상기 제1 및 제3 렌즈(110, 130)의 초점 거리 절대값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4 렌즈(140)는 광축(OA)에서 양(+) 또는 음(-)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4 렌즈(140)는 플라스틱 또는 글라스(glass)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4 렌즈(140)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4 렌즈(140)는 물체 측 면으로 정의되는 제7 면(S7) 및 센서 측 면으로 정의되는 제8 면(S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7 면(S7)은 광축(OA)에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8 면(S8)은 광축(OA)에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4 렌즈(140)는 광축(OA)에서 물체 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제7 면(S7)은 광축(OA)에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8 면(S8)은 광축(OA)에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4 렌즈(140)는 광축(OA)에서 양면이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제7 면(S7)은 광축(OA)에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8 면(S8)은 광축(OA)에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4 렌즈(140)는 광축(OA)에서 이미지 센서(300) 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제7 면(S7)은 광축(OA)에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8 면(S8)은 광축(OA)에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4 렌즈(140)는 광축(OA)에서 양면이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7 면(S7) 및 상기 제8 면(S8) 중 적어도 하나의 면은 비구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7 면(S7) 및 상기 제8 면(S8)은 모두 비구면일 수 있다.
상기 제5 렌즈(150)는 광축(OA)에서 양(+) 또는 음(-)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5 렌즈(150)는 플라스틱 또는 글라스(glass)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5 렌즈(150)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5 렌즈(150)는 물체 측 면으로 정의되는 제9 면(S9) 및 센서 측 면으로 정의되는 제10 면(S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9 면(S9)은 광축(OA)에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10 면(S10)은 광축(OA)에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5 렌즈(150)는 광축(OA)에서 물체 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제9 면(S9)은 광축(OA)에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10 면(S10)은 광축(OA)에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5 렌즈(150)는 광축(OA)에서 양면이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제9 면(S9)은 광축(OA)에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10 면(S10)은 광축(OA)에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5 렌즈(150)는 광축(OA)에서 이미지 센서(300) 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제9 면(S9)은 광축(OA)에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10 면(S10)은 광축(OA)에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5 렌즈(150)는 광축(OA)에서 양면이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9 면(S9) 및 상기 제10 면(S10) 중 적어도 하나의 면은 비구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9 면(S9) 및 상기 제10 면(S10)은 모두 비구면일 수 있다.
상기 제6 렌즈(160)는 광축(OA)에서 양(+) 또는 음(-)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6 렌즈(160)는 플라스틱 또는 글라스(glass)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6 렌즈(160)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6 렌즈(160)는 물체 측 면으로 정의되는 제11 면(S11) 및 센서 측 면으로 정의되는 제12 면(S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1 면(S11)은 광축(OA)에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12 면(S12)은 광축(OA)에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6 렌즈(160)은 광축(OA)에서 물체 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제11 면(S11)은 광축(OA)에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12 면(S12)은 광축(OA)에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6 렌즈(160)는 광축(OA)에서 양면이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제11 면(S11)은 광축(OA)에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12 면(S12)은 광축(OA)에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6 렌즈(160)는 광축(OA)에서 이미지 센서(300) 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제11 면(S11)은 광축(OA)에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12 면(S12)은 광축(OA)에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6 렌즈(160)는 광축(OA)에서 양면이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1 면(S11) 및 상기 제12 면(S12) 중 적어도 하나의 면은 비구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1 면(S11) 및 상기 제12 면(S12)은 모두 비구면일 수 있다.
상기 제7 렌즈(170)는 광축(OA)에서 양(+) 또는 음(-)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7 렌즈(170)는 플라스틱 또는 글라스(glass)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7 렌즈(170)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7 렌즈(170)는 물체 측 면으로 정의되는 제13 면(S13) 및 센서 측 면으로 정의되는 제14 면(S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3 면(S13)은 광축(OA)에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14 면(S14)은 광축(OA)에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7 렌즈(170)는 광축(OA)에서 물체 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제13 면(S13)은 광축(OA)에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14 면(S14)은 광축(OA)에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7 렌즈(170)는 광축(OA)에서 양면이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제13 면(S13)은 광축(OA)에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14 면(S14)은 광축(OA)에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7 렌즈(170)는 광축(OA)에서 이미지 센서(300) 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제13 면(S13)은 광축(OA)에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14 면(S14)은 광축(OA)에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7 렌즈(170)는 광축(OA)에서 양면이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3 면(S13) 및 상기 제14 면(S14) 중 적어도 하나의 면은 비구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3 면(S13) 및 상기 제14 면(S14)은 모두 비구면일 수 있다.
상기 제8 렌즈(180)는 광축(OA)에서 양(+) 또는 음(-)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8 렌즈(180)는 플라스틱 또는 글라스(glass)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8 렌즈(180)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8 렌즈(180)는 물체 측 면으로 정의되는 제15 면(S15) 및 센서 측 면으로 정의되는 제16 면(S1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5 면(S15)은 광축(OA)에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16 면(S16)은 광축(OA)에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8 렌즈(180)는 광축(OA)에서 양면이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제15 면(S15)은 광축(OA)에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16 면(S16)은 광축(OA)에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8 렌즈(180)는 광축(OA)에서 이미지 센서(300) 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5 면(S15) 및 상기 제16 면(S16) 중 적어도 하나의 면은 비구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5 면(S15) 및 상기 제16 면(S16)은 모두 비구면일 수 있다.
상기 제8 렌즈(180)는 임계점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8 렌즈(180)의 제15 면(S15) 및 제16 면(S16) 중 적어도 하나의 렌즈면은 임계점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15 면(S15) 및 제16 면(S16)은 임계점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렌즈면의 임의의 점을 통과하는 법선(L2)은 광축(OA)과 소정의 각도(θ)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임계점은 렌즈면 상에서 법선(L2)과 광축(OA)의 기울기가 0인 지점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임계점은 렌즈면 상에서 접선(L1)과 광축(OA)의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하는 가상의 선과 기울기가 0도인 지점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임계점은 광축(OA) 및 상기 광축(OA)의 수직인 방향에 대한 기울기 값의 부호가 양(+)에서 음(-)으로 또는 음(-)에서 양(+)으로 변하는 지점으로 기울기 값이 0인 지점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9 렌즈(190)는 광축(OA)에서 음(-)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9 렌즈(190)는 플라스틱 또는 글라스(glass)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9 렌즈(190)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9 렌즈(190)는 물체 측 면으로 정의되는 제17 면(S17) 및 센서 측 면으로 정의되는 제18 면(S1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7 면(S17)은 광축(OA)에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18 면(S18)은 광축(OA)에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9 렌즈(190)는 광축(OA)에서 물체 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제17 면(S17)은 광축(OA)에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18 면(S18)은 광축(OA)에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9 렌즈(190)는 광축(OA)에서 양면이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7 면(S17) 및 상기 제18 면(S18) 중 적어도 하나의 면은 비구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7 면(S17) 및 상기 제18 면(S18)은 모두 비구면일 수 있다.
상기 제9 렌즈(190)는 적어도 하나의 임계점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17 면(S17) 및 상기 제18 면(S18) 중 적어도 하나의 면은 임계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임계점은 도 3과 같이 렌즈면 상에서 법선(L2)과 광축(OA)의 기울기가 0인 지점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임계점은 렌즈면 상에서 접선(L1)과 광축(OA)의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하는 가상의 선과 기울기가 0도인 지점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임계점은 광축(OA) 및 상기 광축(OA)의 수직인 방향에 대한 기울기 값의 부호가 양(+)에서 음(-)으로 또는 음(-)에서 양(+)으로 변하는 지점으로 기울기 값이 0인 지점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8 면(S18)은 임계점으로 정의되는 제1 임계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임계점은 광축(OA)을 시작점으로 하고 상기 제9 렌즈(190)의 제18 면(S18)의 유효 영역 끝단을 끝점으로 할 때, 약 60% 이하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1 임계점은 광축(OA)을 시작점으로 하고 상기 제9 렌즈(190)의 제18 면(S18)의 유효 영역 끝단을 끝점으로 할 때, 약 30% 내지 약 60%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1 임계점은 광축(OA)을 시작점으로 하고 상기 제9 렌즈(190)의 제18 면(S18)의 유효 영역 끝단을 끝점으로 할 때, 약 35% 내지 약 55%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임계점의 위치는 광축(OA)의 수직인 방향을 기준으로 설정된 위치로, 광축(OA)에서 상기 제1 임계점까지의 직선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1 임계점은 상기 제18 면(S18)의 최대 Sag 지점으로, 광축(OA)에서 상기 제1 지점까지의 거리는 도 3의 L_Sag_L9S2일 수 있다.
상기 광학계(1000)의 광학 특성을 고려하여 상기 제1 임계점의 위치는 상술한 범위를 만족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세하게, 상기 제1 임계점의 위치는 상기 광학계(1000)의 수차 특성, 해상력 등의 광학 특성 제어를 위해 상술한 범위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제9 렌즈(190)는 상기 제9 렌즈(190)를 통해 상기 이미지 센서(300)로 방출되는 광의 경로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는 화각(FOV)의 중심부뿐만 아니라 주변부에서도 향상된 광학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4 내지 제9 렌즈(140, 150, 160, 170, 180, 190) 중에서 상기 제4 렌즈(140), 상기 제6 렌즈(160) 및 상기 제8 렌즈(180) 중 적어도 하나의 렌즈의 굴절률이 가장 클 수 있고, 상기 제5 렌즈(150)의 굴절률이 가장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내지 제9 렌즈(140, 150, 160, 170, 180, 190)의 초점 거리의 절대값은 상기 제6 렌즈(160) 또는 상기 제8 렌즈(180)가 가장 클 수 있고, 상기 제9 렌즈(190) 렌즈의 초점 거리의 절대값이 가장 작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수학식 중 적어도 하나를 만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는 향상된 해상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학계(1000)는 왜곡, 수차 특성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고, 화각(FOV)의 중심부뿐만 아니라 주변부에서도 양호한 광학 성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학계(1000)는 보다 슬림하고 컴팩트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수학식들에 기재된 렌즈의 광축(OA)에서의 두께, 인접한 렌즈들의 광축(OA)에서의 간격이 의미하는 것은 도 3과 같을 수 있다.
[수학식 1]
2 < L1_CT / L3_CT < 5
수학식 1에서 L1_CT는 상기 제1 렌즈(110)의 광축(OA)에서의 두께(mm)를 의미하고, L3_CT는 상기 제3 렌즈(130)의 광축(OA)에서의 두께(mm)를 의미한다.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가 수학식 1을 만족할 경우, 상기 광학계(1000)는 수차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수학식 2]
1 < L1_CT / L1_ET < 5
수학식 2에서 L1_CT는 상기 제1 렌즈(110)의 광축(OA)에서의 두께(mm)를 의미하고, L1_ET는 상기 제1 렌즈(110)의 유효 영역 끝단에서의 광축(OA) 방향 두께(mm)를 의미한다. 자세하게, L1_ET는 상기 제1 렌즈(110)의 물체 측 면(제1 면(S1))의 유효 영역 끝단과 상기 제1 렌즈(110)의 센서 측 면(제2 면(S2))의 유효 영역 끝단 사이의 광축(OA) 방향 거리를 의미한다.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가 수학식 2를 만족할 경우, 상기 광학계(1000)는 입사되는 광을 제어할 수 있고, 향상된 해상력을 가질 수 있다.
[수학식 3]
1 < L7_CT / L7_ET < 5
수학식 3에서 L7_CT는 상기 제7 렌즈(170)의 광축(OA)에서의 두께(mm)를 의미하고, L7_ET는 상기 제7 렌즈(170)의 유효 영역 끝단에서의 광축(OA) 방향 두께(mm)를 의미한다. 자세하게, L7_ET는 상기 제7 렌즈(170)의 물체 측 면(제13 면(S13))의 유효 영역 끝단과 상기 제7 렌즈(170)의 센서 측 면(제14 면(S14))의 유효 영역 끝단 사이의 광축(OA) 방향 거리를 의미한다.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가 수학식 3을 만족할 경우, 상기 광학계(1000)는 왜곡이 발생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어 향상된 광학 성능을 가질 수 있다.
[수학식 4]
1 < L9_ET / L9_CT < 4
수학식 4에서 L9_CT는 상기 제9 렌즈(190)의 광축(OA)에서의 두께(mm)를 의미하고, L9_ET는 상기 제9 렌즈(190)의 유효 영역 끝단에서의 광축(OA) 방향 두께(mm)를 의미한다. 자세하게, L9_ET는 상기 제9 렌즈(190)의 물체 측 면(제17 면(S17))의 유효 영역 끝단과 상기 제9 렌즈(190)의 센서 측 면(제18 면(S18))의 유효 영역 끝단 사이의 광축(OA) 방향 거리를 의미한다.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가 수학식 4를 만족할 경우, 상기 광학계(1000)는 왜곡이 발생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어 향상된 광학 성능을 가질 수 있다.
[수학식 5]
1.6 < n3
수학식 5에서 n3는 상기 제3 렌즈(130)의 d-line에서의 굴절률(refractive index)을 의미한다.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가 수학식 4를 만족할 경우, 상기 광학계(1000)는 색수차가 발생하는 것을 감소할 수 있다.
[수학식 6]
1 < CA_L1S1 / CA_L3S1 < 2
수학식 6에서 CA_L1S1은 상기 제1 렌즈(110)의 물체 측 면(제1 면(S1))의 유효경(Clear aperture, CA) 크기(mm)를 의미하고, CA_L3S1은 상기 제3 렌즈(130)의 물체 측 면(제5 면(S5))의 유효경(CA) 크기(mm)를 의미한다.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가 수학식 6을 만족할 경우, 상기 광학계(1000)는 수차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수학식 7]
1 < CA_L9S2 / CA_L3S2 < 5
수학식 7에서 CA_L3S2는 상기 제3 렌즈(130)의 센서 측 면(제6 면(S6))의 유효경(CA) 크기(mm)를 의미하고, CA_L9S2는 상기 제9 렌즈(190)의 센서 측 면(제18 면(S18))의 유효경(CA) 크기(mm)를 의미한다.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가 수학식 7을 만족할 경우, 상기 광학계(1000)는 수차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수학식 9]
0.3 < L9 S2 Inflection Point < 0.6
수학식 9에서 L9S2 Inflection Point는 상기 제9 렌즈(190)의 센서 측 면(제18 면(S18)) 상에 위치하는 임계점의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자세하게, L9S2 Inflection Point는 광축(OA)을 시작점으로 하고 상기 제9 렌즈(190)의 제18 면(S18)의 유효 영역 끝단을 끝점으로 하고, 광축(OA)에서 상기 제18 면(S18)의 유효 영역 끝단까지의 광축(OA)의 수직 방향 길이를 1이라고 할 때, 상기 제18 면(S18) 상에 위치한 임계점(제1 임계점)의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가 수학식 9를 만족할 경우, 상기 광학계(1000)는 왜곡 수차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수학식 10]
0.15 < d12_CT / d89_CT < 1
수학식 10에서 d12_CT는 광축(OA)에서 상기 제1 렌즈(110)와 상기 제2 렌즈(120) 사이의 간격(mm)을 의미한다. 자세하게, d23_CT는 상기 제1 렌즈(110)의 센서 측 면(제2 면(S2)) 및 상기 제2 렌즈(120)의 물체 측 면(제3 면(S3))의 광축(OA)에서의 거리(mm)를 의미한다.
또한, d89_CT는 광축(OA)에서 상기 제8 렌즈(180)와 상기 제9 렌즈(190) 사이의 간격(mm)을 의미한다. 자세하게, d89_CT는 상기 제8 렌즈(180)의 센서 측 면(제16 면(S16)) 및 상기 제9 렌즈(190)의 물체 측 면(제17 면(S17))의 광축(OA)에서의 거리(mm)를 의미한다.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가 수학식 10을 만족할 경우, 상기 광학계(1000)는 수차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수학식 11]
1.5 < CA_max / CA_min < 5
수학식 11에서 CA_max는 상기 복수의 렌즈들(100)의 물체 측 면 및 센서 측 면 중 가장 큰 유효경(CA) 크기를 가지는 렌즈면의 유효경(CA) 크기(mm)를 의미한다. 또한, CA_min은 상기 복수의 렌즈들(100) 각각의 물체 측 면 및 센서 측 면 중 가장 작은 유효경(CA) 크기를 가지는 렌즈면의 유효경(CA) 크기(mm)를 의미한다.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가 수학식 11을 만족할 경우, 상기 광학계(1000)는 광학 성능을 유지하면서 슬림 및 컴팩트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수학식 12]
2 < L1_CT / L9_CT < 5
수학식 12에서 L1_CT는 상기 제1 렌즈(110)의 광축(OA)에서의 두께(mm)를 의미하고, L9_CT는 상기 제9 렌즈(190)의 광축(OA)에서의 두께(mm)를 의미한다.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가 수학식 12를 만족할 경우, 상기 광학계(1000)는 수차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수학식 13]
0.1 < L6_CT / L7_CT < 1
수학식 13에서 L6_CT는 상기 제6 렌즈(160)의 광축(OA)에서의 두께(mm)를 의미하고, L7_CT는 상기 제7 렌즈(170)의 광축(OA)에서의 두께(mm)를 의미한다.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가 수학식 13을 만족할 경우, 상기 광학계(1000)는 양호한 광학 성능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7 렌즈(170)의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수학식 14]
1 < L7_CT / d78_CT < 3
수학식 14에서 L7_CT는 상기 제7 렌즈(170)의 광축(OA)에서의 두께(mm)를 의미하고, d78_CT는 광축(OA)에서 상기 제7 렌즈(170)와 상기 제8 렌즈(180) 사이의 간격(mm)을 의미한다. 자세하게, d78_CT는 상기 제7 렌즈(170)의 센서 측 면(제14 면(S14)) 및 상기 제8 렌즈(180)의 물체 측 면(제15 면(S15))의 광축(OA)에서의 거리(mm)를 의미한다.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가 수학식 14를 만족할 경우, 상기 광학계(1000)는 왜곡이 발생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어 향상된 광학 성능을 가질 수 있다.
[수학식 15]
1 < d78_CT / d78_ET < 5
수학식 15에서 d78_CT는 광축(OA)에서 상기 제7 렌즈(170)와 상기 제8 렌즈(180) 사이의 간격(mm)을 의미한다. 자세하게, d78_CT는 상기 제7 렌즈(170)의 센서 측 면(제14 면(S14)) 및 상기 제8 렌즈(180)의 물체 측 면(제15 면(S15))의 광축(OA)에서의 거리(mm)를 의미한다.
또한, d78_ET는 상기 제7 렌즈(170)의 센서 측 면(제14 면(S14))의 유효 영역 끝단과 상기 제8 렌즈(180)의 물체 측 면(제15 면(S15))의 유효 영역 끝단 사이의 광축(OA) 방향 거리(mm)를 의미한다.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가 수학식 15를 만족할 경우, 상기 광학계(1000)는 화각(FOV)의 주변부의 수차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수학식 16]
0.1 < L8_CT / L7_CT < 1
수학식 16에서 L7_CT는 상기 제7 렌즈(170)의 광축(OA)에서의 두께(mm)를 의미하고, L8_CT는 상기 제8 렌즈(180)의 광축(OA)에서의 두께(mm)를 의미한다.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가 수학식 16을 만족할 경우, 상기 광학계(1000)는 화각(FOV)의 주변부의 광학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수학식 17]
0.5 < L8_ET / L8_CT < 3
수학식 17에서 L8_CT는 상기 제8 렌즈(180)의 광축(OA)에서의 두께(mm)를 의미하고, L8_ET는 상기 제8 렌즈(180)의 유효 영역 끝단에서의 광축(OA) 방향 두께(mm)를 의미한다. 자세하게, L8_ET는 상기 제8 렌즈(180)의 물체 측 면(제15 면(S15))의 유효 영역 끝단과 상기 제8 렌즈(180)의 센서 측 면(제16 면(S16))의 유효 영역 끝단 사이의 광축(OA) 방향 거리를 의미한다.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가 수학식 17을 만족할 경우, 상기 광학계(1000)는 왜곡이 발생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어 향상된 광학 성능을 가질 수 있다.
[수학식 18]
1 < L8_CT / d78_CT < 2.8
수학식 18에서 L8_CT는 상기 제8 렌즈(180)의 광축(OA)에서의 두께(mm)를 의미하고, d78_CT는 광축(OA)에서 상기 제7 렌즈(170)와 상기 제8 렌즈(180) 사이의 간격(mm)을 의미한다. 자세하게, d78_CT는 상기 제7 렌즈(170)의 센서 측 면(제14 면(S14)) 및 상기 제8 렌즈(180)의 물체 측 면(제15 면(S15))의 광축(OA)에서의 거리(mm)를 의미한다.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가 수학식 18을 만족할 경우, 상기 광학계(1000)는 광학 성능을 유지하며 상기 제8 렌즈(180)의 구경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
[수학식 19]
1.5 < L8_CT / d89_CT < 6
수학식 19에서 L8_CT는 상기 제8 렌즈(180)의 광축(OA)에서의 두께(mm)를 의미하고, d89_CT는 광축(OA)에서 상기 제8 렌즈(180)와 상기 제9 렌즈(190) 사이의 간격(mm)을 의미한다. 자세하게, d89_CT는 상기 제8 렌즈(180)의 센서 측 면(제16 면(S16)) 및 상기 제9 렌즈(190)의 물체 측 면(제17 면(S17))의 광축(OA)에서의 거리(mm)를 의미한다.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가 수학식 19를 만족할 경우, 상기 광학계(1000)는 상기 제8 렌즈(180)의 구경을 감소시킬 수 있고, 화각(FOV)의 중심부의 광학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수학식 20]
1 < L8_CT / L9_CT < 2.5
수학식 20에서 L8_CT는 상기 제8 렌즈(180)의 광축(OA)에서의 두께(mm)를 의미하고, L9_CT는 상기 제9 렌즈(190)의 광축(OA)에서의 두께(mm)를 의미한다.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가 수학식 20을 만족할 경우, 상기 광학계(1000)는 상기 제8 렌즈(180)와 상기 제9 렌즈(190)의 제조 정밀도를 완화할 수 있다.
[수학식 21]
1 < d89_CT / d89_ET < 5
수학식 21에서 d89_CT는 광축(OA)에서 상기 제8 렌즈(180)와 상기 제9 렌즈(190) 사이의 간격(mm)을 의미한다. 자세하게, d89_CT는 상기 제8 렌즈(180)의 센서 측 면(제16 면(S16)) 및 상기 제9 렌즈(190)의 물체 측 면(제17 면(S17))의 광축(OA)에서의 거리(mm)를 의미한다.
또한, d89_ET는 상기 제8 렌즈(180)의 센서 측 면(제16 면(S16))의 유효 영역 끝단과 상기 제9 렌즈(190)의 물체 측 면(제17 면(S17))의 유효 영역 끝단 사이의 광축(OA) 방향 거리(mm)를 의미한다.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가 수학식 21을 만족할 경우, 상기 광학계(1000)는 화각(FOV)의 주변부의 왜곡, 색수차 특성을 개선할 수 있고, 향상된 해상력을 가질 수 있다.
[수학식 22]
0.4 < L9_CT / d89_CT < 4
수학식 22에서 L9_CT는 상기 제9 렌즈(190)의 광축(OA)에서의 두께(mm)를 의미하고, d89_CT는 광축(OA)에서 상기 제8 렌즈(180)와 상기 제9 렌즈(190) 사이의 간격(mm)을 의미한다. 자세하게, d89_CT는 상기 제8 렌즈(180)의 센서 측 면(제16 면(S16)) 및 상기 제9 렌즈(190)의 물체 측 면(제17 면(S17))의 광축(OA)에서의 거리(mm)를 의미한다.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가 수학식 22를 만족할 경우, 상기 광학계(1000)는 광축(OA)에서 상기 제8 렌즈(180) 및 상기 제9 렌즈(190) 사이 간격을 감소시킬 수 있고, 화각(FOV)의 중심부에서 양호한 광학 성능을 가질 수 있다.
[수학식 23]
0.3 < L1R1 / L9R2 < 1
수학식 23에서 L1R1은 상기 제1 렌즈(110)의 물체 측 면(제1 면(S1))의 곡률 반경(mm)을 의미하고, L9R2는 상기 제9 렌즈(190)의 센서 측 면(제18 면(S18))의 곡률 반경(mm)을 의미한다.
[수학식 24]
-3 < L3R1 / L3R2 < 0
수학식 24에서 L3R1은 상기 제3 렌즈(130)의 물체 측 면(제5 면(S5))의 곡률 반경(mm)을 의미하고, L3R2는 상기 제3 렌즈(130)의 센서 측 면(제6 면(S6))의 곡률 반경(mm)을 의미한다.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가 수학식 24를 만족할 경우, 상기 광학계(1000)는 입사되는 광을 제어할 수 있고, 광학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수학식 25]
-5 < L8R2 / L9R2 < 0
수학식 25에서 L8R2는 상기 제8 렌즈(180)의 센서 측 면(제16 면(S16))의 곡률 반경(mm)을 의미하고, L9R2는 상기 제9 렌즈(190)의 센서 측 면(제18 면(S18))의 곡률 반경(mm)을 의미한다.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가 수학식 25를 만족할 경우, 상기 광학계(1000)의 제8 렌즈(180), 제9 렌즈(190)는 굴절력을 적절하게 제어하며 양호한 광학 성능을 가질 수 있다.
[수학식 26]
2 < L_CT_max / L_CT_min < 5
수학식 26에서 L_CT_max는 상기 복수의 렌즈들(100) 중 광축(OA)에서의 두께가 가장 두꺼운 렌즈의 광축(OA)에서의 두께(mm)를 의미하고, L_CT_min은 광축(OA)에서의 두께가 가장 얇은 렌즈의 광축(OA)에서의 두께(mm)를 의미한다.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가 수학식 26을 만족할 경우, 상기 광학계(1000)는 적절한 화각(FOV)을 가지며 슬림 및 컴팩트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수학식 27]
-1 < f1 / f3 < -0.1
수학식 27에서 f1은 상기 제1 렌즈(110)의 초점 거리(mm)를 의미하고, f3은 상기 제3 렌즈(130)의 초점 거리(mm)를 의미한다.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가 수학식 27을 만족할 경우, 상기 광학계(1000)는 향상된 해상력을 가질 수 있다.
[수학식 28]
1 < f1-3 / F < 2
수학식 28에서 f1-3는 상기 제1 내지 제3 렌즈(110, 120, 130)의 복합 초점 거리(mm)를 의미하고, F는 상기 광학계(1000)의 전체 초점 거리(mm)를 의미한다.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가 수학식 28을 만족할 경우, 상기 광학계(1000)는 상기 광학계(1000)의 TTL(total track length)를 제어할 수 있다.
[수학식 29]
0 < |f1-3| / |f4-9| < 1
수학식 29에서 f1-3은 상기 제1 내지 제3 렌즈(110, 120, 130)의 복합 초점 거리(mm)를 의미하고, f4-9는 상기 제4 내지 제9 렌즈(140, 150, 160, 170, 180, 190)의 복합 초점 거리(mm)를 의미한다.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가 수학식 29을 만족할 경우, 상기 광학계(1000)는 수차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수학식 30]
1 < CA_max / CA_Aver < 2
수학식 30에서 CA_max는 상기 복수의 렌즈들(100)의 물체 측 면 및 센서 측 면 중 가장 큰 유효경(CA) 크기를 가지는 렌즈면의 유효경(CA) 크기(mm)를 의미한다. 또한, CA_Aver은 상기 복수의 렌즈들(100)의 물체 측 면 및 센서 측 면의 유효경(CA) 크기(mm)의 평균을 의미한다.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가 수학식 30을 만족할 경우, 상기 광학계(1000)는 슬림하고 컴팩트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고, 광학 성능 구현을 위한 적절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수학식 31]
0.1 < CA_min / CA_Aver < 1
수학식 31에서 CA_min은 상기 복수의 렌즈들(100)의 물체 측 면 및 센서 측 면 중 가장 작은 유효경(CA) 크기를 가지는 렌즈면의 유효경(CA) 크기(mm)를 의미한다. 또한, CA_Aver은 상기 복수의 렌즈들(100)의 물체 측 면 및 센서 측 면의 유효경(CA) 크기(mm)의 평균을 의미한다.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가 수학식 31을 만족할 경우, 상기 광학계(1000)는 슬림하고 컴팩트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고, 광학 성능 구현을 위한 적절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수학식 32]
0.5 < CA_max / (2*ImgH) < 1
수학식 32에서 CA_max는 상기 복수의 렌즈들(100)의 물체 측 면 및 센서 측 면 중 가장 큰 유효경(CA) 크기를 가지는 렌즈면의 유효경(CA) 크기(mm)를 의미한다.
또한, ImgH는 광축(OA)과 중첩되는 상기 이미지 센서(300)의 상면 중심 0 필드(filed) 영역에서 상기 이미지 센서(300)의 1.0 필드(field) 영역까지의 상기 광축(OA)의 수직 방향 거리(mm)를 의미한다. 즉, 상기 ImgH는 상기 이미지 센서(300)의 유효 영역의 최대 대각 방향 길이(mm)의 1/2을 의미한다.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가 수학식 32를 만족할 경우 상기 광학계(1000)는 슬림하고 컴팩트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수학식 33]
0 < L_CT_Max / Air_Max < 2
수학식 33에서 L_CT_max는 상기 복수의 렌즈들(100) 각각의 광축(OA)에서의 두께 중 가장 두꺼운 렌즈의 광축(OA)에서의 두께(mm)를 의미하고, Air_max는 상기 복수의 렌즈들(100) 중 광축(OA)에서 인접한 두 렌즈 사이의 간격(mm)의 최대값을 의미한다.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가 수학식 33을 만족할 경우, 상기 광학계(1000)는 설정된 화각 및 초점 거리에서 양호한 광학 성능을 가지며, 상기 광학계(1000)를 크기, 예를 들어 TTL(total track length) 축소를 제어할 수 있다.
[수학식 34]
1 < ∑L_CT/ ∑Air_CT < 5
수학식 34에서 ∑L_CT는 상기 복수의 렌즈들(100) 각각의 광축(OA)에서의 두께(mm)의 합을 의미하고, ∑Air_CT는 상기 복수의 렌즈들(100)에서 인접한 두 렌즈 사이의 광축(OA)에서의 간격(mm)의 합을 의미한다.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가 수학식 34를 만족할 경우, 상기 광학계(1000)는 설정된 화각 및 초점 거리에서 양호한 광학 성능을 가지며, 상기 광학계(1000)를 크기, 예를 들어 TTL(total track length) 축소를 제어할 수 있다.
[수학식 35]
10 < ∑Index < 30
수학식 35에서 ²는 제1 내지 제9 렌즈(110, 120, 130, 140, 150, 160, 170, 180, 190) 각각의 d-line에서의 굴절률 합을 의미한다.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가 수학식 35를 만족할 경우, 상기 광학계(1000)의 TTL을 제어할 수 있고, 향상된 색수차, 해상력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수학식 36]
10 < ∑Abbe/∑Index < 50
수학식 36에서 ∑Index는 상기 제1 내지 제9 렌즈(110, 120, 130, 140, 150, 160, 170, 180, 190) 각각의 d-line에서의 굴절률 합을 의미한다. 또한, ∑Abbe는 제1 내지 제9 렌즈(110, 120, 130, 140, 150, 160, 170, 180, 190) 각각의 아베수(Abbe's number)의 합을 의미한다.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가 수학식 36을 만족할 경우, 상기 광학계(1000)는 향상된 수차 특성 및 해상력을 가질 수 있다.
[수학식 37]
0 < Air_Edge_Max / L_CT_Max < 2
수학식 37에서 L_CT_max는 상기 복수의 렌즈들(100) 각각의 광축(OA)에서의 두께 중 가장 두꺼운 렌즈의 광축(OA)에서의 두께(mm)를 의미한다.
또한, Air_Edge는 도 3과 같이 서로 마주하는 제(n-1) 렌즈의 센서 측 면의 유효 영역 끝단과 제n 렌즈의 물체 측 면의 유효 영역 끝단 사이의 광축(OA) 방향 거리로, Air_Edge_max는 상기 제1 내지 제9 렌즈(110, 120, 130, 140, 150, 160, 170, 180, 190) 중, 서로 마주하는 제(n-1) 렌즈의 센서 측 면의 유효 영역 끝단과 제n 렌즈의 물체 측 면의 유효 영역 끝단 사이의 광축(OA) 방향 거리 중 최대 값을 의미한다. 즉, 후술할 렌즈 데이터에서 d(n-1,n)_ET값 중 가장 큰 값을 의미한다. (여기서 n은 1보다 크고 9 이하의 자연수)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가 수학식 37을 만족할 경우, 상기 광학계(1000)는 설정된 화각 및 초점 거리를 가지며, 화각(FOV)의 주변부에서 양호한 광학 성능을 가질 수 있다.
[수학식 38]
1 < EPD / L9R2 < 10
수학식 32에서 EPD는 상기 광학계(1000)의 입사동의 크기(Entrance Pupil Diameter)(mm)를 의미하고, L9R2는 상기 제9 렌즈(190)의 센서 측 면(제18 면(S18))의 곡률 반경(mm)을 의미한다.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가 수학식 38을 만족할 경우, 상기 광학계(1000)는 전체 밝기를 제어할 수 있고, 화각(FOV)의 중심부 및 주변부에서 양호한 광학 성능을 가질 수 있다.
[수학식 39]
0.5 < L9S2_max_sag to Sensor < 2
수학식 39에서 L9S2_max_sag to Sensor은 상기 제9 렌즈(190)의 센서 측 면(제18 면(S18))의 최대 Sag값에서 이미지 센서(300)까지의 광축(OA) 방향 거리(mm)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L9S2_max_sag to Sensor은 상기 제1 임계점에서 상기 이미지 센서(300)까지의 광축(OA) 방향 거리(mm)를 의미한다.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가 수학식 39를 만족할 경우, 상기 광학계(1000)는 복수의 렌즈들(100)과 이미지 센서(300) 사이에 필터(500)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향상된 조립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학계(1000)가 수학식 39를 만족할 경우 상기 광학계(1000)는 모듈 제작을 위한 간격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할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대한 렌즈 데이터에서, 상기 필터의 위치, 자세하게 마지막 렌즈(제9 렌즈(190))와 필터(500) 사이 간격, 이미지 센서(300)와 필터(500) 사이 간격은 광학계(1000)의 설계의 편의상 설정된 위치로, 상기 필터(500)는 상기 두 구성(190, 300)과 각각 접촉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렌즈 데이터에서 상기 L9S2_max_sag to Sensor의 값이 상기 필터(500)의 물체 측 면과 이미지 센서(300) 상면 사이의 광축(OA)에서의 거리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광학계(1000)의 BFL 및 L9S2_max_sag to Sensor는 변화하지 않고 일정하며, 상기 필터(500)의 위치는 두 구성(190, 300)과 각각 접촉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동하여 양호한 광학 성능을 가질 수 있다.
[수학식 40]
1 < BFL / L9S2_max_sag to Sensor < 2
수학식 40에서 BFL(Back focal length)은 이미지 센서(300)와 최인접한 렌즈의 센서 측 면의 정점으로부터 상기 이미지 센서(300)의 상면까지의 광축(OA)에서의 거리(mm)를 의미한다.
또한, L9S2_max_sag to Sensor은 상기 제9 렌즈(190)의 센서 측 면(제18 면(S18))의 최대 Sag값에서 이미지 센서(300)까지의 광축(OA) 방향 거리(mm)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L9S2_max_sag to Sensor은 상기 제1 임계점에서 상기 이미지 센서(300)까지의 광축(OA) 방향 거리(mm)를 의미한다.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가 수학식 40을 만족할 경우, 상기 광학계(1000)는 왜곡 수차 특성을 개선할 수 있고, 화각(FOV)의 주변부에서 양호한 광학 성능을 가질 수 있다.
[수학식 41]
2 < TTL < 20
수학식 41에서 TTL(Total track length)은 상기 제1 렌즈(110)의 물체 측 면(제1 면(S1))의 정점에서 상기 이미지 센서(300)의 상면까지의 광축(OA)에서의 거리(mm)를 의미한다.
[수학식 42]
2 < ImgH
수학식 42에서 ImgH는 광축(OA)과 중첩되는 상기 이미지 센서(300)의 상면 중심 0 필드(filed) 영역에서 상기 이미지 센서(300)의 1.0 필드(field) 영역까지의 상기 광축(OA)의 수직 방향 거리(mm)를 의미한다. 즉, 상기 ImgH는 상기 이미지 센서(300)의 유효 영역의 최대 대각 방향 길이(mm)의 1/2을 의미한다.
[수학식 43]
BFL < 2.5
수학식 32에서 BFL(Back focal length)은 이미지 센서(300)와 최인접한 렌즈의 센서 측 면의 정점으로부터 상기 이미지 센서(300)의 상면까지의 광축(OA)에서의 거리(mm)를 의미한다.
[수학식 44]
FOV < 120
수학식 44에서 FOV(Field of view)는 상기 광학계(1000)의 화각(도, °)을 의미한다.
[수학식 45]
0.5 < TTL / ImgH < 2
수학식 45에서 TTL(Total track length)은 상기 제1 렌즈(110)의 물체 측 면(제1 면(S1))의 정점으로부터 상기 이미지 센서(300)의 상면까지의 광축(OA)에서의 거리(mm)를 의미한다.
또한, ImgH는 광축(OA)과 중첩되는 상기 이미지 센서(300)의 상면 중심 0 필드(filed) 영역에서 상기 이미지 센서(300)의 1.0 필드(field) 영역까지의 상기 광축(OA)의 수직 방향 거리(mm)를 의미한다. 즉, 상기 ImgH는 상기 이미지 센서(300)의 유효 영역의 최대 대각 방향 길이(mm)의 1/2을 의미한다.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가 수학식 45를 만족할 경우, 상기 광학계(1000)는 1인치 전후의 큰 크기의 이미지 센서(300) 적용을 위한 BFL(Back focal length)을 확보하며 보다 작은 TTL을 가질 수 있어, 고화질 구현 및 슬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수학식 46]
0.1 < BFL / ImgH < 0.5
수학식 46에서 BFL(Back focal length)은 이미지 센서(300)와 최인접한 렌즈의 센서 측 면의 정점으로부터 상기 이미지 센서(300)의 상면까지의 광축(OA)에서의 거리(mm)를 의미한다.
또한, ImgH는 광축(OA)과 중첩되는 상기 이미지 센서(300)의 상면 중심 0 필드(filed) 영역에서 상기 이미지 센서(300)의 1.0 필드(field) 영역까지의 상기 광축(OA)의 수직 방향 거리(mm)를 의미한다. 즉, 상기 ImgH는 상기 이미지 센서(300)의 유효 영역의 최대 대각 방향 길이(mm)의 1/2을 의미한다.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가 수학식 46을 만족할 경우, 상기 광학계(1000)는 1인치 전후의 큰 크기의 이미지 센서(300)를 적용하기 위한 BFL(Back focal length)을 확보할 수 있고, 마지막 렌즈와 이미지 센서(300)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할 수 있어 화각(FOV)의 중심부 및 주변부에서 양호한 광학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수학식 47]
3 < TTL / BFL < 10
수학식 47에서 TTL(Total track length)은 상기 제1 렌즈(110)의 물체 측 면(제1 면(S1))의 정점으로부터 상기 이미지 센서(300)의 상면까지의 광축(OA)에서의 거리(mm)를 의미한다.
또한, BFL(Back focal length)은 이미지 센서(300)와 최인접한 렌즈의 센서 측 면의 정점으로부터 상기 이미지 센서(300)의 상면까지의 광축(OA)에서의 거리(mm)를 의미한다.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가 수학식 47을 만족할 경우, 상기 광학계(1000)는 BFL을 확보하며 슬림하고 컴팩트하게 제공될 수 있다.
[수학식 48]
0.1 < F / TTL < 1
수학식 48에서 F는 상기 광학계(1000)의 전체 초점 거리(mm)를 의미하고, TTL(Total track length)은 상기 제1 렌즈(110)의 물체 측 면(제1 면(S1))의 정점으로부터 상기 이미지 센서(300)의 상면까지의 광축(OA)에서의 거리(mm)를 의미한다.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가 수학식 48을 만족할 경우, 상기 광학계(1000)는 슬림하고 컴팩트하게 제공될 수 있다.
[수학식 49]
3 < F / BFL < 8
수학식 49에서 F는 상기 광학계(1000)의 전체 초점 거리(mm)를 의미하고, BFL(Back focal length)은 이미지 센서(300)와 최인접한 렌즈의 센서 측 면의 정점으로부터 상기 이미지 센서(300)의 상면까지의 광축(OA)에서의 거리(mm)를 의미한다.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가 수학식 49를 만족할 경우, 상기 광학계(1000)는 설정된 화각을 가지며 적절한 초점 거리를 가질 수 있고, 슬림하고 컴팩트하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학계(1000)는 마지막 렌즈와 이미지 센서(300)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할 수 있어 화각(FOV)의 주변부에서 양호한 광학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수학식 50]
1 < F / ImgH < 3
수학식 50에서 F는 상기 광학계(1000)의 전체 초점 거리(mm)를 의미하고, ImgH는 광축(OA)과 중첩되는 상기 이미지 센서(300)의 상면 중심 0 필드(filed) 영역에서 상기 이미지 센서(300)의 1.0 필드(field) 영역까지의 상기 광축(OA)의 수직 방향 거리(mm)를 의미한다. 즉, 상기 ImgH는 상기 이미지 센서(300)의 유효 영역의 최대 대각 방향 길이(mm)의 1/2을 의미한다.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가 수학식 50을 만족할 경우, 1인치 전후의 큰 이미지 센서(300)를 적용하며 향상된 수차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수학식 51]
Figure pat00001
수학식 51에서 각 항목이 의미하는 바는 아래와 같다.
Z: The sag of the surface parallel to the Z-axis (in lens units)
c: The vertex curvature (CUY)
k: The conic constrant
r: The radial distance
rn: The normalization radius (NRADIUS)
u: r/rn
am: The mthQcon coefficient, which correlates to surface sag departure
Qm con: The mthQcon polynomial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는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50 중 적어도 하나의 수학식을 만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광학계(1000)는 향상된 광학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광학계(1000)가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50 중 적어도 하나를 만족할 경우 상기 광학계(1000)는 향상된 해상력을 가지며, 수차 및 왜곡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학계(1000)는 큰 크기의 이미지 센서(300)를 적용하기 위한 BFL(Back focal length)을 확보할 수 있고, 마지막 렌즈와 이미지 센서(300)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할 수 있어 화각(FOV)의 중심부 및 주변부에서 양호한 광학 성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학계(1000)가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50 중 적어도 하나의 수학식을 만족할 경우,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이미지 센서(300)를 포함하며 상대적으로 작은 TTL 값을 가질 수 있고, 상기 광학계(1000)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은 보다 슬림하게 컴팩트(compact)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에서 복수의 렌즈들(100) 사이 간격은 영역에 따라 설정된 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렌즈(110)는 상기 제2 렌즈(120)와 제1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1 간격은 상기 제1 렌즈(110)와 상기 제2 렌즈(120) 사이의 광축(OA) 방향 간격일 수 있다.
상기 제1 간격은 상기 제1 렌즈(110)와 상기 제2 렌즈(120) 사이에서 위치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1 간격은 광축(OA)을 시작점으로 하고 상기 제2 렌즈(120)의 물체 측 면(제3 면(S3))의 유효 영역 끝단을 끝점으로 할 때, 광축(OA)에서 광축(OA)의 수직인 방향으로 갈수록 변화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간격은 광축(OA)에서 상기 제3 면(S3)의 유효경의 끝단으로 갈수록 변화할 수 있다.
상기 제1 간격은 광축(OA)에서 상기 제3 면(S3) 상에 위치한 제1 지점(P1)으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다. 상기 제1 지점(P1)은 광축(OA)을 시작점으로 하고 상기 제3 면(S3)의 유효 영역의 끝단을 끝점으로 할 때, 광축(OA)의 수직인 방향을 기준으로 약 70% 내지 약 95%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간격은 상기 제1 지점(P1)에서 광축(OA)의 수직인 방향으로 갈수록 커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간격은 상기 제1 지점(P1)에서 상기 제3 면(S3) 상에 위치한 제2 지점(P2)으로 갈수록 커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지점(P2)은 상기 제3 면(S3)의 유효 영역 끝단일 수 있다.
상기 제1 간격은 광축(OA)에서 최대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간격은 상기 제1 지점(P1)에서 최소값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간격의 최대값은 최소값의 약 1.2배 이상일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1 간격의 최대값은 최소값의 약 1.2배 내지 약 3배를 만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광학계(1000)는 입사되는 광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1 렌즈(110) 및 상기 제2 렌즈(120)가 상기 제1 간격으로 이격됨에 따라 상기 제1 렌즈(110) 및 상기 제2 렌즈(120)를 통해 입사된 광은 설정된 경로로 이동하여 양호한 광학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렌즈(120)와 상기 제3 렌즈(130)는 제2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2 간격은 상기 제2 렌즈(120)와 상기 제3 렌즈(130) 사이의 광축(OA) 방향 간격일 수 있다.
상기 제2 간격은 상기 제2 렌즈(120)와 상기 제3 렌즈(130) 사이에서 위치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2 간격은 광축(OA)을 시작점으로 하고 상기 제3 렌즈(130)의 물체 측 면(제5 면(S5))의 유효 영역 끝단을 끝점으로 할 때, 광축(OA)에서 광축(OA)의 수직인 방향으로 갈수록 변화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 간격은 광축(OA)에서 상기 제5 면(S5)의 유효경의 끝단으로 갈수록 변화할 수 있다.
상기 제2 간격은 광축(OA)에서 상기 제5 면(S5) 상에 위치한 제3 지점(P3)으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다. 상기 제3 지점(P3)은 광축(OA)을 시작점으로 하고 상기 제5 면(S5)의 유효 영역 끝단을 끝점으로 할 때, 광축(OA)의 수직인 방향을 기준으로 약 60% 내지 약 90%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간격은 상기 제3 지점(P3)에서 광축(OA)의 수직인 방향으로 갈수록 커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간격은 상기 제3 지점(P3)에서 상기 제5 면(S5) 상에 위치한 제4 지점(P4)으로 갈수록 커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4 지점(P4)은 상기 제5 면(S5)의 유효 영역 끝단일 수 있다.
상기 제2 간격은 광축(OA) 또는 상기 제4 지점(P4)에서 최대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간격은 상기 제3 지점(P3)에서 최소값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간격의 최대값은 최소값의 약 1.1배 이상일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2 간격의 최대값은 최소값의 약 1.1배 내지 약 3배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광학계(1000)는 입사되는 광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2 렌즈(120) 및 상기 제3 렌즈(130)가 상기 제2 간격으로 이격됨에 따라 상기 제2 렌즈(120) 및 제3 렌즈(130)를 통해 입사된 광은 설정된 경로로 이동하여 양호한 광학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4 렌즈(140)와 상기 제5 렌즈(150)는 제3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3 간격은 상기 제4 렌즈(140)와 상기 제5 렌즈(150) 사이의 광축(OA) 방향 간격일 수 있다.
상기 제3 간격은 상기 제4 렌즈(140)와 상기 제5 렌즈(150) 사이에서 위치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3 간격은 광축(OA)을 시작점으로 하고 상기 제4 렌즈(140)의 센서 측 면(제8 면(S8))의 유효 영역 끝단을 끝점으로 할 때, 광축(OA)에서 광축(OA)의 수직인 방향으로 갈수록 변화할 수 있다. 즉, 상기 제3 간격은 광축(OA)에서 제8 면(S8)의 유효경의 끝단으로 갈수록 변화할 수 있다.
상기 제3 간격은 광축(OA)에서 제8 면(S8) 상에 위치한 제5 지점(P5)으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다. 상기 제5 지점(P5)은 광축(OA)을 시작점으로 하고 상기 제8 면(S8)의 유효 영역 끝단을 끝점으로 할 때, 광축(OA)의 수직인 방향을 기준으로 약 40% 내지 약 70%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간격은 상기 제5 지점(P5)에서 광축(OA)의 수직인 방향으로 갈수록 커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간격은 상기 제5 지점(P5)에서 상기 제8 면(S8) 상에 위치한 제6 지점(P6)으로 갈수록 커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5 지점(P5)은 상기 제8 면(S8)의 유효 영역 끝단일 수 있다.
상기 제3 간격은 상기 제6 지점(P6)에서 최대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간격은 상기 제5 지점(P5)에서 최소값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 간격의 최대값은 최소값의 약 1.3배 이상일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3 간격의 최대값은 최소값의 약 1.3배 내지 약 3배를 만족할 수 있다.
상기 제6 렌즈(160)와 상기 제7 렌즈(170)는 제4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4 간격은 상기 제6 렌즈(160)와 상기 제7 렌즈(170) 사이의 광축(OA) 방향 간격일 수 있다.
상기 제4 간격은 상기 제6 렌즈(160)와 상기 제7 렌즈(170) 사이에서 위치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4 간격은 광축(OA)을 시작점으로 하고 상기 제6 렌즈(160)의 센서 측 면(제12 면(S12))의 유효 영역 끝단을 끝점으로 할 때, 광축(OA)에서 광축(OA)의 수직인 방향으로 갈수록 변화할 수 있다. 즉, 상기 제4 간격은 상기 제12 면(S12)의 유효경의 끝단으로 갈수록 변화할 수 있다.
상기 제4 간격은 광축(OA)에서 상기 제12 면(S12) 상에 위치한 제7 지점(P7)으로 갈수록 커질 수 있다. 상기 제7 지점(P7)은 광축(OA)을 시작점으로 하고 상기 제12 면(S12)의 유효 영역 끝단을 끝점으로 할 때, 광축(OA)의 수직인 방향을 기준으로 약 60% 내지 약 80%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간격은 상기 제7 지점(P7)에서 광축(OA)의 수직인 방향으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4 간격은 상기 제7 지점(P7)에서 상기 제12 면(S12) 상에 위치한 제8 지점(P8)으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8 지점(P8)은 상기 제12 면(S12)의 유효 영역 끝단일 수 있다.
상기 제4 간격은 상기 제7 지점(P7)에서 최대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간격은 광축(OA)에서 최소값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4 간격의 최대값은 최소값의 약 1.5배 이상일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4 간격의 최대값은 최소값의 약 1.5배 내지 약 3.5배를 만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광학계(1000)는 향상된 수차 제어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6 렌즈(160)와 상기 제7 렌즈(170)가 상기 제4 간격으로 이격됨에 따라 상기 광학계(1000)는 화각(FOV)의 중심부 뿐만 아니라 주변부에서도 양호한 광학 성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7 렌즈(170)와 상기 제8 렌즈(180)는 제5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5 간격은 상기 제7 렌즈(170)와 상기 제8 렌즈(180) 사이의 광축(OA) 방향 간격일 수 있다.
상기 제5 간격은 상기 제7 렌즈(170)와 상기 제8 렌즈(180) 사이에서 위치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5 간격은 광축(OA)을 시작점으로 하고 상기 제7 렌즈(170)의 센서 측 면(제14 면(S14))의 유효 영역 끝단을 끝점으로 할 때, 광축(OA)에서 광축(OA)의 수직인 방향으로 갈수록 변화할 수 있다. 즉, 상기 제5 간격은 광축(OA)에서 상기 제14 면(S14)의 유효경의 끝단으로 갈수록 변화할 수 있다.
상기 제5 간격은 광축(OA)에서 상기 제14 면(S14) 상에 위치한 제9 지점(P9)으로 갈수록 커질 수 있다. 상기 제9 지점(P9)은 광축(OA)을 시작점으로 하고 상기 제14 면(S14)의 유효 영역 끝단을 끝점으로 할 때, 광축(OA)의 수직인 방향을 기준으로 약 60% 내지 약 85%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5 간격은 상기 제9 지점(P9)에서 광축(OA)의 수직인 방향으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5 간격은 상기 제9 지점(P9)에서 상기 제14 면(S14) 상에 위치한 제10 지점(P10)으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0 지점(P10)은 상기 제14 면(S14)의 유효 영역 끝단일 수 있다.
상기 제5 간격은 상기 제9 지점(P9)에서 최대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5 간격은 광축(OA) 또는 상기 제10 지점(P10)에서 최소값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5 간격의 최대값은 최소값의 약 1.15배 이상일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5 간격의 최대값은 최소값의 약 1.15배 내지 약 8배를 만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광학계(1000)는 화각(FOV)의 중심부뿐만 아니라 주변부에서도 향상된 광학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학계(1000)는 향상된 왜곡, 수차 제어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8 렌즈(180)와 상기 제9 렌즈(190)는 제6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6 간격은 상기 제8 렌즈(180)와 상기 제9 렌즈(190) 사이의 광축(OA) 방향 간격일 수 있다.
상기 제6 간격은 상기 제8 렌즈(180)와 상기 제9 렌즈(190) 사이에서 위치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6 간격은 광축(OA)을 시작점으로 하고 상기 제8 렌즈(180)의 센서 측 면(제16 면(S16))의 유효 영역 끝단을 끝점으로 할 때, 광축(OA)에서 광축(OA)의 수직인 방향으로 갈수록 변화할 수 있다. 즉, 상기 제6 간격은 광축(OA)에서 상기 제16 면(S16)의 유효경의 끝단으로 갈수록 변화할 수 있다.
상기 제6 간격은 광축(OA)에서 상기 제16 면(S16) 상에 위치한 제11 지점(P11)으로 갈수록 커질 수 있다. 상기 제11 지점(P11)은 광축(OA)을 시작점으로 하고 상기 제16 면(S16)의 유효 영역 끝단을 끝점으로 할 때, 광축(OA)의 수직인 방향을 기준으로 약 10% 내지 약 30%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6 간격은 상기 제11 지점(P11)에서 광축(OA)의 수직인 방향으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6 간격은 상기 제11 지점(P11)에서 상기 제16 면(S16) 상에 위치한 제12 지점(P12)으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다. 상기 제12 지점(P12)은 광축(OA)을 시작점으로 하고 상기 제16 면(S16)의 유효 영역 끝단을 끝점으로 할 때, 광축(OA)의 수직인 방향을 기준으로 약 55% 내지 약 80%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6 간격은 상기 제12 지점(P12)에서 광축(OA)의 수직인 방향으로 갈수록 커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6 간격은 상기 제12 지점(P12)에서 상기 제16 면(S16) 상에 위치한 제13 지점(P13)으로 갈수록 커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3 지점(P13)은 상기 제16 면(S16)의 유효 영역 끝단일 수 있다.
상기 제6 간격은 상기 제13 지점(P13)에서 최대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6 간격은 상기 제12 지점(P12)에서 최소값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6 간격의 최대값은 최소값의 약 1.5배 이상일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6 간격의 최대값은 최소값의 약 1.5배 내지 3배를 만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광학계(1000)는 향상된 색수차, 왜곡 수차 제어 특성을 가질 수 있고, 화각(FOV)의 중심부와 주변부에서 양호한 광학 성능을 가질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제6 간격은 광축(OA)에서 상기 제16 면(S16) 상에 위치한 제11 지점(P11)으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다. 상기 제11 지점(P11)은 광축(OA)을 시작점으로 하고 상기 제16 면(S16)의 유효 영역 끝단을 끝점으로 할 때, 광축(OA)의 수직인 방향을 기준으로 약 65% 내지 약 85%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6 간격은 상기 제11 지점(P11)에서 광축(OA)의 수직인 방향으로 갈수록 커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6 간격은 상기 제11 지점(P11)에서 상기 제16 면(S16) 상에 위치한 제12 지점(P12)으로 갈수록 커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2 지점(P12)은 상기 제16 면(S16)의 유효 영역 끝단일 수 있다.
상기 제6 간격은 상기 광축(OA)에서 최대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6 간격은 상기 제11 지점(P11)에서 최소값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6 간격의 최대값은 최소값의 약 10배 이상일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6 간격의 최대값은 최소값의 약 10배 내지 약 30배를 만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광학계(1000)는 향상된 색수차, 왜곡 수차 제어 특성을 가질 수 있고, 화각(FOV)의 중심부와 주변부에서 양호한 광학 성능을 가질 수 있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제1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의 구성도이고,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에서 각 렌즈면의 비구면 계수에 대한 데이터이다. 또한,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에서 렌즈의 중심 두께(Center thickness), 엣지 영역 두께(Edge thickness), 렌즈 사이의 간격 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에서 인접한 두 렌즈 사이의 간격에 대한 데이터이다. 또한,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의 회절 MTF(Diffraction MTF)에 대한 그래프이고, 도 6은 제1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의 수차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는 제1 렌즈(110), 제2 렌즈(120), 제3 렌즈(130), 제4 렌즈(140), 제5 렌즈(150), 제6 렌즈(160), 제7 렌즈(170), 제8 렌즈(180), 제9 렌즈(190) 및 이미지 센서(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9 렌즈들(110, 120, 130, 140, 150, 160, 170, 180, 190)은 상기 광학계(1000)의 광축(OA)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에서 상기 제1 렌즈(110)의 물체 측 면(제1 면(S1))은 조리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렌즈들(100) 및 상기 이미지 센서(300) 사이에는 필터(500)가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필터(500)는 상기 제9 렌즈(190) 및 상기 이미지 센서(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렌즈 곡률 반경(mm) 두께 또는 간격(mm) 굴절률 아베수 유효경의 크기(mm)
제1 렌즈 제1 면 2.189 0.903 1.5400 55.9987 3.138
제2 면 12.463 0.130 3.040
제2 렌즈 제3 면 1,000.000 0.254 1.5400 56.0000 2.979
제4 면 93.425 0.102 2.870
제3 렌즈 제5 면 -15.785 0.273 1.6710 19.2000 2.799
제6 면 19.576 0.384 2.575
제4 렌즈 제7 면 8.959 0.284 1.6637 19.8602 2.641
제8 면 6.534 0.104 3.000
제5 렌즈 제9 면 32.403 0.569 1.5713 36.4663 3.168
제10 면 -21.224 0.375 3.489
제6 렌즈 제11 면 -6.668 0.282 1.6710 19.2000 3.842
제12 면 -6.923 0.098 4.125
제7 렌즈 제13 면 -33.967 0.756 1.5804 33.5091 4.273
제14 면 -2.375 0.400 4.567
제8 렌즈 제15 면 -3.714 0.438 1.6582 20.1739 4.768
제16 면 -4.403 0.135 5.352
제9 렌즈 제17 면 -7.039 0.348 1.5870 33.0517 5.553
제18 면 2.677 0.176 6.688
필터 Infinity 0.210 7.065
Infinity 0.830 7.189
이미지 센서 Infinity 0.002 8.003
표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내지 제9 렌즈들(110, 120, 130, 140, 150, 160, 170, 180, 190)의 광축(OA)에서의 곡률 반경(Radius of Curvature), 렌즈의 두께(Thickness), 렌즈 사이의 간격(distance), d-line에서의 굴절률(Refractive index), 아베수(Abbe's Number) 및 유효반경(Clear aperture; CA)의 크기에 대한 것이다.
제1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의 제1 렌즈(110)는 광축(OA)에서 양(+)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렌즈(110)의 제1 면(S1)은 광축(OA)에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2 면(S2)은 광축(OA)에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렌즈(110)는 광축(OA)에서 물체 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면(S1) 및 상기 제2 면(S2)은 하기 도 2와 같은 비구면 계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렌즈(120)는 광축(OA)에서 음(-)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렌즈(120)의 제3 면(S3)은 광축(OA)에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4 면(S4)은 광축(OA)에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렌즈(120)는 광축(OA)에서 물체 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3 면(S3)은 비구면일 수 있고, 상기 제4 면(S4)은 비구면일 수 있다. 상기 제3 면(S3) 및 상기 제4 면(S4)은 하기 도 2와 같은 비구면 계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3 렌즈(130)는 광축(OA)에서 음(-)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3 렌즈(130)의 제5 면(S5)은 광축(OA)에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6 면(S6)은 광축(OA)에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3 렌즈(130)는 광축(OA)에서 양면이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5 면(S5)은 비구면일 수 있고, 상기 제6 면(S6)은 비구면일 수 있다. 상기 제5 면(S5) 및 상기 제6 면(S6)은 하기 도 2와 같은 비구면 계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4 렌즈(140)는 광축(OA)에서 음(-)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4 렌즈(140)의 제7 면(S7)은 광축(OA)에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8 면(S8)은 광축(OA)에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4 렌즈(140)는 광축(OA)에서 물체 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7 면(S7)은 비구면일 수 있고, 상기 제8 면(S8)은 비구면일 수 있다. 상기 제7 면(S7) 및 상기 제8 면(S8)은 하기 도 2와 같은 비구면 계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5 렌즈(150)는 광축(OA)에서 양(+)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5 렌즈(150)의 제9 면(S9)은 광축(OA)에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10 면(S10)은 광축(OA)에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5 렌즈(150)는 광축(OA)에서 양면이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9 면(S9)은 비구면일 수 있고, 상기 제10 면(S10)은 비구면일 수 있다. 상기 제9 면(S9) 및 상기 제10 면(S10)은 하기 도 2와 같은 비구면 계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6 렌즈(160)는 광축(OA)에서 음(-)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6 렌즈(160)의 제11 면(S11)은 광축(OA)에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12 면(S12)은 광축(OA)에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6 렌즈(160)는 광축(OA)에서 이미지 센서(300) 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1 면(S11)은 비구면일 수 있고, 상기 제12 면(S12)은 비구면일 수 있다. 상기 제11 면(S11) 및 상기 제12 면(S12)은 하기 도 2와 같은 비구면 계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7 렌즈(170)는 광축(OA)에서 양(+)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7 렌즈(170)의 제13 면(S13)은 광축(OA)에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14 면(S14)은 광축(OA)에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7 렌즈(170)는 광축(OA)에서 이미지 센서(300) 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3 면(S13)은 비구면일 수 있고, 상기 제14 면(S14)은 비구면일 수 있다. 상기 제13 면(S13) 및 상기 제14 면(S14)은 하기 도 2와 같은 비구면 계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8 렌즈(180)는 광축(OA)에서 음(-)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8 렌즈(180)의 제15 면(S15)은 광축(OA)에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16 면(S16)은 광축(OA)에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8 렌즈(180)는 광축(OA)에서 이미지 센서(300) 측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5 면(S15)은 비구면일 수 있고, 상기 제16 면(S16)은 비구면일 수 있다. 상기 제15 면(S15) 및 상기 제16 면(S16)은 하기 도 2와 같은 비구면 계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9 렌즈(190)는 광축(OA)에서 음(-)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9 렌즈(190)의 제17 면(S17)은 광축(OA)에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18 면(S18)은 광축(OA)에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9 렌즈(190)는 광축(OA)에서 양면이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7 면(S17)은 비구면일 수 있고, 상기 제18 면(S18)은 비구면일 수 있다. 상기 제17 면(S17) 및 상기 제18 면(S18)은 하기 도 2와 같은 비구면 계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9 렌즈(190)는 임계점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9 렌즈(190)의 제18 면(S18) 상에는 상술한 제1 임계점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임계점은 광축(OA)을 시작점으로 하고 상기 제9 렌즈(190)의 제18 면(S18)의 유효 영역 끝단을 끝점으로 할 때 약 35% 내지 약 55%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1 임계점은 광축(OA)을 시작점으로 하고 상기 제9 렌즈(190)의 제18 면(S18)의 유효 영역 끝단을 끝점으로 할 때 약 50%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복수의 렌즈들(100) 중 적어도 하나의 렌즈면은 30차 비구면 계수를 가진 비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내지 제9 렌즈(190)는 30차 비구면 계수를 가지는 렌즈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30차 비구면 계수를 가진 비구면은(“0”이 아닌 수치) 주변부의 비구면 형상을 특히 크게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화각(FOV)의 주변부의 광학 성능을 양호하게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에서 서로 인접한 두 렌즈 사이의 간격은 도 4와 같을 수 있다.
도 4는 서로 마주하는 n-1번째 렌즈의 센서 측 면과 n번째 렌즈의 물체 측 면 사이의 광축(OA) 방향 간격을 의미할 수 있다. 자세하게, 도 4는 광축(OA)에서 광축(OA)의 수직 방향으로 0.1mm 간격의 높이 지점에서 측정한 두 렌즈 사이의 광축(OA) 방향 간격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인접한 두 렌즈의 최대 높이(Y) 지점이 의미하는 것은, 마주하는 n-1번째 렌즈의 센서 측 면과 n번째 렌즈의 물체 측 면 중 유효경 크기가 작은 렌즈면의 유효 반경 값(렌즈 데이터에 기재된 유효경 크기의 1/2)으로, 설명의 편의상 0.1mm 간격으로 표시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최대 높이(Y) 지점에서의 간격이 의미하는 것은, 마주하는 n-1번째 렌즈의 센서 측 면과 n번째 렌즈의 물체 측 면 중 유효경 크기가 작은 렌즈면의 유효 반경 높이에서의 광축(OA) 방향 간격을 의미할 수 있다.
자세하게, 제1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에서 상기 제1 렌즈(110)와 상기 제2 렌즈(120) 사이의 간격(제1 간격)은 하기 표 2와 같을 수 있다.
제1 렌즈의 센서 측 면에서 광축으로부터의 광축의 수직 방향 높이(mm) 에어갭(d12)의 광축 방향 간격(mm)(제1 간격) 제2 렌즈의 물체 측 면에서 광축으로부터의 광축의 수직 방향 높이(mm)
0 0.1296 0
0.1 0.1292 0.1
0.2 0.1280 0.2
0.3 0.1260 0.3
0.4 0.1233 0.4
0.5 0.1199 0.5
0.6 0.1159 0.6
0.7 0.1113 0.7
0.8 0.1064 0.8
0.9 0.1011 0.9
1 0.0958 1
1.1 0.0907 1.1
1.2 0.0867 1.2
1.3(P1) 0.0849 1.3
(P1)
1.4 0.0871 1.4
1.49(P2) 0.0962 1.49
(P2)
표 2를 참조하면, 상기 제1 간격은 광축(OA)에서 상기 제3 면(S3) 상에 위치한 제1 지점(P1)으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다. 상기 제1 지점(P1)은 광축(OA)을 시작점으로 하고 상기 제3 면(S3)의 유효 영역 끝단을 끝점으로 할 때, 광축(OA)의 수직인 방향을 기준으로 약 70% 내지 약 95%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점(P1)은 약 87.25%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간격은 상기 제1 지점(P1)에서 상기 제3 면(S3)의 유효경의 끝단인 상기 제2 지점(P2)으로 갈수록 커질 수 있다.
상기 제1 간격은 광축(OA)에서 최대값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1 지점(P1)에서 최소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간격의 최대값은 최소값의 약 1.2배 내지 약 3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간격의 최대값은 최소값의 약 1.52배일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에서 상기 제1 렌즈(110) 및 상기 제2 렌즈(120)는 영역에 따라 상기와 같은 범위를 만족하는 제1 간격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광학계(1000)는 입사되는 광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에서 상기 제2 렌즈(120)와 상기 제3 렌즈(130) 사이의 간격(제2 간격)은 하기 표 3과 같을 수 있다.
제2 렌즈의 센서 측 면에서 광축으로부터의 광축의 수직 방향 높이(mm) 에어갭(d23)의 광축 방향 간격(mm)(제2 간격) 제3 렌즈의 물체 측 면에서 광축으로부터의 광축의 수직 방향 높이(mm)
0 0.1017 0
0.1 0.1013 0.1
0.2 0.1002 0.2
0.3 0.0985 0.3
0.4 0.0960 0.4
0.5 0.0929 0.5
0.6 0.0893 0.6
0.7 0.0854 0.7
0.8 0.0815 0.8
0.9 0.0780 0.9
1 0.0757 1
1.1(P3) 0.0752 1.1
(P3)
1.2 0.0777 1.2
1.3 0.0860 1.3
1.4(P4) 0.1062 1.4
(P4)
표 3을 참조하면, 상기 제2 간격은 광축(OA)에서 상기 제5 면(S5) 상에 위치한 제3 지점(P3)으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다. 상기 제3 지점(P3)은 광축(OA)을 시작점으로 하고 상기 제5 면(S5)의 유효 영역 끝단을 끝점으로 할 때, 광축(OA)의 수직인 방향을 기준으로 약 60% 내지 약 90%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실시예에서 상기 제3 지점(P3)은 약 78.5%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간격은 상기 제3 지점(P3)에서 상기 제5 면(S5)의 유효경의 끝단인 상기 제4 지점(P4)으로 갈수록 커질 수 있다.
상기 제2 간격은 상기 제4 지점(P4)에서 최대값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3 지점(P3)에서 최소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간격의 최대값은 최소값의 약 1.1배 내지 약 3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실시예에서 상기 제2 간격의 최대값은 최소값의 약 1.41배일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에서 상기 제2 렌즈(120) 및 상기 제3 렌즈(130)는 영역에 따라 상기와 같은 범위를 만족하는 제2 간격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광학계(1000)는 입사되는 광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에서 상기 제4 렌즈(140)와 상기 제5 렌즈(150) 사이의 간격(제3 간격)은 하기 표 4와 같을 수 있다.
제4 렌즈의 센서 측 면에서 광축으로부터의 광축의 수직 방향 높이(mm) 에어갭(d45)의 광축 방향 간격(mm)(제3 간격) 제5 렌즈의 물체 측 면에서 광축으로부터의 광축의 수직 방향 높이(mm)
0 0.1036 0
0.1 0.1030 0.1
0.2 0.1012 0.2
0.3 0.0983 0.3
0.4 0.0944 0.4
0.5 0.0897 0.5
0.6 0.0847 0.6
0.7 0.0796 0.7
0.8 0.0754 0.8
0.9(P5) 0.0729 0.9
(P5)
1 0.0734 1
1.1 0.0780 1.1
1.2 0.0870 1.2
1.3 0.0991 1.3
1.4 0.1098 1.4
1.5(P6) 0.1119 1.5
(P6)
표 4를 참조하면, 상기 제3 간격은 광축(OA)에서 상기 제8 면(S8) 상에 위치한 제5 지점(P5)으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다. 상기 제5 지점(P5)은 광축(OA)을 시작점으로 하고 상기 제8 면(S8)의 유효 영역 끝단을 끝점으로 할 때, 광축(OA)의 수직인 방향을 기준으로 약 40% 내지 약 70%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실시예에서 상기 제5 지점(P5)은 약 60%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간격은 상기 제5 지점(P5)에서 상기 제8 면(S8)의 유효경의 끝단인 상기 제6 지점(P6)으로 갈수록 커질 수 있다.
상기 제3 간격은 상기 제6 지점(P6)에서 최대값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5 지점(P5)에서 최소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3 간격의 최대값은 최소값의 약 1.3배 내지 약 3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실시예에서 상기 제3 간격의 최대값은 최소값의 약 1.87배일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에서 상기 제6 렌즈(160)와 상기 제7 렌즈(170) 사이의 간격(제4 간격)은 하기 표 5와 같을 수 있다.
제6 렌즈의 센서 측 면에서 광축으로부터의 광축의 수직 방향 높이(mm) 에어갭(d67)의 광축 방향 간격(mm)(제4 간격) 제7 렌즈의 물체 측 면에서 광축으로부터의 광축의 수직 방향 높이(mm)
0 0.0983 0
0.1 0.0988 0.1
0.2 0.1006 0.2
0.3 0.1036 0.3
0.4 0.1080 0.4
0.5 0.1137 0.5
0.6 0.1208 0.6
0.7 0.1292 0.7
0.8 0.1386 0.8
0.9 0.1488 0.9
1 0.1592 1
1.1 0.1691 1.1
1.2 0.1774 1.2
1.3 0.1829 1.3
1.4(P7) 0.1843 1.4
(P7)
1.5 0.1810 1.5
1.6 0.1726 1.6
1.7 0.1602 1.7
1.8 0.1466 1.8
1.9 0.1370 1.9
2.067(P8) 0.1370 2.067
(P8)
표 5를 참조하면, 상기 제4 간격은 광축(OA)에서 상기 제12 면(S12) 상에 위치한 제7 지점(P7)으로 갈수록 커질 수 있다. 상기 제7 지점(P7)은 광축(OA)을 시작점으로 하고 상기 제12 면(S12)의 유효 영역 끝단을 끝점으로 할 때, 광축(OA)의 수직인 방향을 기준으로 약 60% 내지 약 80%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실시예에서 상기 제7 지점(P7)은 약 67.8%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간격은 상기 제7 지점(P7)에서 상기 제12 면(S12)의 유효경의 끝단인 상기 제8 지점(P8)으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다.
상기 제4 간격은 상기 제7 지점(P7)에서 최대값을 가질 수 있고, 광축(OA)에서 최소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4 간격의 최대값은 최소값의 약 1.5배 내지 약 3.5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실시예에서 상기 제4 간격의 최대값은 최소값의 약 1.87배일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에서 상기 제6 렌즈(160) 및 상기 제7 렌즈(170)는 영역에 따라 상기와 같은 범위를 만족하는 제4 간격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광학계(1000)는 향상된 수차 제어 특성을 가질 수 있고, 화각(FOV)의 중심부 뿐만 아니라 주변부에서도 양호한 광학 성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에서 상기 제7 렌즈(170)와 상기 제8 렌즈(180) 사이의 간격(제5 간격)은 하기 표 6과 같을 수 있다.
제7 렌즈의 센서 측 면에서 광축으로부터의 광축의 수직 방향 높이(mm) 에어갭(d78)의 광축 방향 간격(mm)(제5 간격) 제8 렌즈의 물체 측 면에서 광축으로부터의 광축의 수직 방향 높이(mm)
0 0.3998 0
0.1 0.4006 0.1
0.2 0.4028 0.2
0.3 0.4064 0.3
0.4 0.4113 0.4
0.5 0.4173 0.5
0.6 0.4242 0.6
0.7 0.4318 0.7
0.8 0.4398 0.8
0.9 0.4480 0.9
1 0.4560 1
1.1 0.4634 1.1
1.2 0.4697 1.2
1.3 0.4745 1.3
1.4 0.4773 1.4
1.5(P9) 0.4775 1.5
(P9)
1.6 0.4744 1.6
1.7 0.4672 1.7
1.8 0.4554 1.8
1.9 0.4382 1.9
2 0.4152 2
2.1 0.3875 2.1
2.2 0.3587 2.2
2.284(P10) 0.3339 2.284
(P10)
표 6을 참조하면, 상기 제5 간격은 광축(OA)에서 상기 제14 면(S14) 상에 위치한 제9 지점(P9)으로 갈수록 커질 수 있다. 상기 제9 지점(P9)은 광축(OA)을 시작점으로 하고 상기 제14 면(S14)의 유효 영역 끝단을 끝점으로 할 때, 광축(OA)의 수직인 방향을 기준으로 약 60% 내지 약 85%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실시예에서 상기 제9 지점(P9)은 약 65.6%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5 간격은 상기 제9 지점(P9)에서 상기 제14 면(S14)의 유효경의 끝단인 상기 제10 지점(P10)으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다.
상기 제5 간격은 상기 제9 지점(P9)에서 최대값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10 지점(P10)에서 최소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5 간격의 최대값은 최소값의 약 1.15배 내지 약 8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실시예에서 상기 제5 간격의 최대값은 최소값의 약 1.43배일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에서 상기 제7 렌즈(170) 및 상기 제8 렌즈(180)는 영역에 따라 상기와 같은 범위를 만족하는 제5 간격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광학계(1000)는 향상된 왜곡, 수차 제어 특성을 가질 수 있고, 화각(FOV)의 중심부 뿐만 아니라 주변부에서도 양호한 광학 성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에서 상기 제8 렌즈(180)와 상기 제9 렌즈(190) 사이의 간격(제6 간격)은 하기 표 7과 같을 수 있다.
제8 렌즈의 센서 측 면에서 광축으로부터의 광축의 수직 방향 높이(mm) 에어갭(d89)의 광축 방향 간격(mm)
(제6 간격)
제9 렌즈의 물체 측 면에서 광축으로부터의 광축의 수직 방향 높이(mm)
0 0.1352 0
0.1 0.1356 0.1
0.2 0.1368 0.2
0.3 0.1385 0.3
0.4 0.1405 0.4
0.5 0.1422 0.5
0.6(P11) 0.1429 0.6
(P11)
0.7 0.1421 0.7
0.8 0.1393 0.8
0.9 0.1341 0.9
1 0.1267 1
1.1 0.1173 1.1
1.2 0.1068 1.2
1.3 0.0962 1.3
1.4 0.0863 1.4
1.5 0.0783 1.5
1.6 0.0731 1.6
1.7(P12) 0.0717 1.7
(P12)
1.8 0.0745 1.8
1.9 0.0819 1.9
2 0.0937 2
2.1 0.1091 2.1
2.2 0.1273 2.2
2.3 0.1468 2.3
2.4 0.1660 2.4
2.5 0.1830 2.5
2.6 0.1962 2.6
2.7(P13) 0.2048 2.7
(P13)
표 7을 참조하면, 상기 제6 간격은 광축(OA)에서 상기 제16 면(S16) 상에 위치한 제11 지점(P11)으로 갈수록 커질 수 있다. 상기 제11 지점(P11)은 광축(OA)을 시작점으로 하고 상기 제16 면(S16)의 유효 영역 끝단을 끝점으로 할 때, 광축(OA)의 수직인 방향을 기준으로 약 10% 내지 약 30%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실시예에서 상기 제11 지점(P11)은 약 22.4%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6 간격은 상기 제11 지점(P11)에서 상기 제16 면(S16) 상에 위치한 제12 지점(P12)으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다. 상기 제12 지점(P12)은 광축(OA)을 시작점으로 하고 상기 제16 면(S16)의 유효 영역 끝단을 끝점으로 할 때, 광축(OA)의 수직인 방향을 기준으로 약 55% 내지 약 80%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실시예에서 상기 제12 지점(P12)은 약 63.4%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6 간격은 상기 제12 지점(P12)에서 상기 제16 면(S16)의 유효경의 끝단인 상기 제13 지점(P13)으로 갈수록 커질 수 있다.
상기 제6 간격은 상기 제13 지점(P13)에서 최대값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12 지점(P12)에서 최소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6 간격의 최대값은 최소값의 약 1.5배 내지 약 3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실시예에서 상기 제6 간격의 최대값은 최소값의 약 2.85배일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에서 상기 제8 렌즈(180) 및 상기 제9 렌즈(190)는 영역에 따라 상기와 같은 범위를 만족하는 제6 간격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광학계(1000)는 향상된 색수차, 왜곡 수차 제어 특성을 가질 수 있고, 화각(FOV)의 중심부와 주변부에서 양호한 광학 성능을 가질 수 있다.
제1 실시예
F 5.845 mm
f1 4.750 mm
f2 -190.047 mm
f3 -12.826 mm
f4 -37.707 mm
f5 22.388 mm
f6 -484.471 mm
f7 4.330 mm
f8 -47.806 mm
f9 -3.237 mm
f1-3 6.79 mm
f4-9 -27.37 mm
L1_ET 0.302 mm
L2_ET 0.260 mm
L3_ET 0.357 mm
L4_ET 0.370 mm
L5_ET 0.318 mm
L6_ET 0.251 mm
L7_ET 0.302 mm
L8_ET 0.502 mm
L9_ET 1.052 mm
d12_ET 0.097 mm
d23_ET 0.107 mm
d34_ET 0.100 mm
d45_ET 0.101 mm
d56_ET 0.339 mm
d67_ET 0.117 mm
d78_ET 0.249 mm
d89_ET 0.160 mm
Air_Edge_max 0.339 mm
∑L_CT 4.107 mm
∑Air_CT 1.726 mm
∑Index 14.483
∑Abb 293.460
L9S2_max_sag to Sensor 1.046 mm
L9 S2 Inflection Point 0.5
CA_max 6.688 mm
CA_min 2.575 mm
CA_Aver 3.826 mm
L_CT_max 0.903 mm
L_CT_min 0.254 mm
TTL 7.051 mm
BFL 1.218 mm
ImgH 4.001 mm
F-number 1.798
FOV 68.0196°
EPD 3.25 mm
수학식 제1 실시예
수학식 1 2 < L1_CT / L3_CT < 5 3.307
수학식 2 1 < L1_CT / L1_ET < 5 2.991
수학식 3 1 < L7_CT / L7_ET < 5 2.500
수학식 4 1 < L9_ET / L9_CT < 4 3.021
수학식 5 1.6 < n3 1.671
수학식 6 1 < CA_L1S1 / CA_L3S1 < 2 1.121
수학식 7 1 < CA_L9S2 / CA_L4S2 < 5 2.229
수학식 8 1 < d34_CT / d34_ET 3.855
수학식 9 0.3 < L9 S2 Inflection Point < 0.6 0.500
수학식 10 0.15 < d12_CT / d89_CT < 1 0.959
수학식 11 1.5 < CA_max / CA_min < 5 2.597
수학식 12 2 < L1_CT / L9_CT < 5 2.593
수학식 13 0.1 < L6_CT / L7_CT < 1 0.372
수학식 14 1 < L7_CT / d78_CT < 3 1.892
수학식 15 1 < d78_CT / d78_ET < 5 3.043
수학식 16 0.1 < L8_CT / L7_CT < 1 0.579
수학식 17 0.5 < L8_ET / L8_CT < 3 1.146
수학식 18 1 < L8_CT / d78_CT < 2.8 1.095
수학식 19 1.5 < L8_CT / d89_CT < 6 3.237
수학식 20 1 < L8_CT / L9_CT < 2.5 1.256
수학식 21 1 < d89_CT / d89_ET < 5 2.734
수학식 22 0.4 < L9_CT / d89_CT < 4 2.576
수학식 23 0.3 < L1R1 / L9R2 < 1 0.818
수학식 24 -3 < L3R1 / L3R2 < 0 -0.806
수학식 25 -5 < L8R2 / L9R2 < 0 -1.645
수학식 26 2 < L_CT_max / L_CT_min < 5 3.550
수학식 27 -1 < f1 / f3 < -0.1 -0.370
수학식 28 1 < f1-3 / F < 2 1.161
수학식 29 0 < |f1-3| / |f4-9| < 1 0.248
수학식 30 1 < CA_max / CA_Aver < 2 1.748
수학식 31 0.5 < CA_min / CA_Aver < 1 0.673
수학식 32 0.5 < CA_max / (2*ImgH) < 1 0.836
수학식 33 0 < L_CT_Max / Air_Max < 2 2.259
수학식 34 1 < ∑L_CT / ∑Air_CT < 5 2.379
수학식 35 10 < ∑Index <30 14.483
수학식 36 10 < ∑Abb / ∑Index < 50 20.263
수학식 37 0 < Air_Edge_Max / L_CT_Max < 2 0.375
수학식 38 1 < EPD / L9R2 < 10 1.214
수학식 39 0.5 < L9S2_max_sag to Sensor < 2 1.046
수학식 40 1 < BFL / L9S2_max_sag to Sensor < 2 1.165
수학식 41 2 < TTL < 20 7.051
수학식 42 2 < ImgH 4.001
수학식 43 BFL < 2.5 1.218
수학식 44 FOV < 120 68.020
수학식 45 0.5 < TTL / ImgH < 2 1.762
수학식 46 0.1 < BFL / ImgH < 0.5 0.304
수학식 47 4 < TTL / BFL < 10 5.789
수학식 48 0.1 < F / TTL < 1 0.829
수학식 49 3 < F / BFL < 8 4.798
수학식 50 1 < F / ImgH < 3 1.461
표 8은 제1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에서 상술한 수학식들의 항목에 대한 것으로, 상기 광학계(1000)의 TTL(Total track length), BFL(Back focal length), F값, ImgH, 상기 제1 내지 제9 렌즈들(110, 120, 130, 140, 150, 160, 170, 180, 190) 각각의 초점 거리(f1, f2, f3, f4, f5, f6, f7, f8, f9), 엣지 두께(ET, Edge Thickness) 등에 대한 것이다. 여기서 렌즈의 엣지 두께는 렌즈의 유효 영역 끝단에서의 광축(OA) 방향 두께를 의미한다. 자세하게, 렌즈의 엣지 두께는 렌즈의 물체 측 면의 유효 영역의 끝단에서 센서 측 면의 유효 영역 끝단까지의 광축(OA) 방향 거리를 의미한다. 또한, d(n-1, n)_ET는 서로 마주하는 제(n-1) 렌즈의 센서 측 면의 유효 영역 끝단과 제n 렌즈의 물체 측 면의 유효 영역 끝단 사이의 광축(OA) 방향 거리를 의미하고, Air_Edge_max는 상기 d(n-1, n)_ET 값들 중 가장 큰 값을 의미한다.
또한, 표 9는 제1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에서 상술한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50에 대한 결과 값에 대한 것이다.
표 9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는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50 중 적어도 하나를 만족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자세하게, 제1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는 상기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50을 모두 만족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는 화각(FOV)의 중심부와 주변부에서 양호한 광학 성능을 가질 수 있고 도 5 및 도 6과 같은 우수한 광학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자세하게,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의 회절(Diffraction) MTF 특성에 대한 그래프이고, 또한, 도 6은 수차 특성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 6의 수차 그래프에서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구면 수차(Longitudinal Spherical Aberration), 비점 수차(Astigmatic Field Curves), 왜곡 수차(Distortion)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6에서 X축은 초점 거리(mm) 및 왜곡도(%)를 나타낼 수 있고, Y축은 이미지의 높이(height)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구면 수차에 대한 그래프는 약 435nm, 약 486nm, 약 546nm, 약 587nm, 약 656nm 파장 대역의 광에 대한 그래프이며, 비점 수차 및 왜곡 수차에 대한 그래프는 546nm 파장 대역의 광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 6의 수차도에서는 각 곡선들이 Y축에 근접할 수록 수차 보정 기능이 좋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는데, 도 6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는 거의 대부분의 영역에서 측정 값들이 Y축에 인접한 것을 알 수 있다. 즉, 제1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는 향상된 해상력을 가지며 화각(FOV)의 중심부뿐만 아니라 주변부에서도 양호한 광학 성능을 가질 수 있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제2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제2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의 구성도이고, 도 8은 제2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에서 각 렌즈면의 비구면 계수에 대한 데이터이고, 도 9는 제2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에서 인접한 두 렌즈 사이의 간격에 대한 데이터이다. 또한, 도 10은 제2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의 회절 MTF(Diffraction MTF)에 대한 그래프이고, 도 11은 제2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의 수차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는 제1 렌즈(110), 제2 렌즈(120), 제3 렌즈(130), 제4 렌즈(140), 제5 렌즈(150), 제6 렌즈(160), 제7 렌즈(170), 제8 렌즈(180), 제9 렌즈(190) 및 이미지 센서(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9 렌즈들(110, 120, 130, 140, 150, 160, 170, 180, 190)은 상기 광학계(1000)의 광축(OA)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에서 상기 제1 렌즈(110)의 물체 측 면(제1 면(S1))은 조리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렌즈들(100) 및 상기 이미지 센서(300) 사이에는 필터(500)가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필터(500)는 상기 제9 렌즈(190) 및 상기 이미지 센서(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렌즈 곡률 반경(mm) 두께 또는 간격(mm) 굴절률 아베수 유효경의 크기(mm)
제1 렌즈 제1 면 2.189 0.901 1.5400 55.9987 3.224
제2 면 12.606 0.140 3.117
제2 렌즈 제3 면 1,178.870 0.220 1.5400 56.0000 3.047
제4 면 87.358 0.106 2.928
제3 렌즈 제5 면 -16.086 0.251 1.6710 19.2000 2.823
제6 면 21.178 0.400 2.575
제4 렌즈 제7 면 9.323 0.271 1.6512 20.7764 2.645
제8 면 6.625 0.085 3.007
제5 렌즈 제9 면 21.336 0.566 1.5400 56.0000 3.175
제10 면 -29.637 0.394 3.502
제6 렌즈 제11 면 -6.686 0.272 1.6710 19.2000 3.882
제12 면 -7.029 0.101 4.192
제7 렌즈 제13 면 -41.910 0.740 1.5755 36.4907 4.387
제14 면 -2.429 0.400 4.666
제8 렌즈 제15 면 -3.791 0.491 1.6710 19.2000 4.943
제16 면 -3.955 0.200 5.335
제9 렌즈 제17 면 -5.594 0.328 1.5870 33.3971 5.514
제18 면 2.695 0.192 6.935
필터 Infinity 0.210 7.309
Infinity 0.655 7.417
이미지 센서 Infinity 0.005 8.006
표 10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내지 제9 렌즈들(110, 120, 130, 140, 150, 160, 170, 180, 190)의 광축(OA)에서의 곡률 반경(Radius of Curvature), 렌즈의 두께(Thickness), 렌즈 사이의 간격(distance), d-line에서의 굴절률(Refractive index), 아베수(Abbe's Number) 및 유효경(Clear aperture; CA)의 크기에 대한 것이다.
제2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의 제1 렌즈(110)는 광축(OA)에서 양(+)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렌즈(110)의 제1 면(S1)은 광축(OA)에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2 면(S2)은 광축(OA)에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렌즈(110)는 광축(OA)에서 물체 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면(S1) 및 상기 제2 면(S2)은 하기 도 8과 같은 비구면 계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렌즈(120)는 광축(OA)에서 음(-)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렌즈(120)의 제3 면(S3)은 광축(OA)에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4 면(S4)은 광축(OA)에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렌즈(120)는 광축(OA)에서 물체 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3 면(S3)은 비구면일 수 있고, 상기 제4 면(S4)은 비구면일 수 있다. 상기 제3 면(S3) 및 상기 제4 면(S4)은 하기 도 8과 같은 비구면 계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3 렌즈(130)는 광축(OA)에서 음(-)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3 렌즈(130)의 제5 면(S5)은 광축(OA)에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6 면(S6)은 광축(OA)에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3 렌즈(130)는 광축(OA)에서 양면이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5 면(S5)은 비구면일 수 있고, 상기 제6 면(S6)은 비구면일 수 있다. 상기 제5 면(S5) 및 상기 제6 면(S6)은 하기 도 8과 같은 비구면 계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4 렌즈(140)는 광축(OA)에서 음(-)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4 렌즈(140)의 제7 면(S7)은 광축(OA)에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8 면(S8)은 광축(OA)에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4 렌즈(140)는 광축(OA)에서 물체 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7 면(S7)은 비구면일 수 있고, 상기 제8 면(S8)은 비구면일 수 있다. 상기 제7 면(S7) 및 상기 제8 면(S8)은 하기 도 8과 같은 비구면 계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5 렌즈(150)는 광축(OA)에서 양(+)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5 렌즈(150)의 제9 면(S9)은 광축(OA)에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10 면(S10)은 광축(OA)에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5 렌즈(150)는 광축(OA)에서 양면이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9 면(S9)은 비구면일 수 있고, 상기 제10 면(S10)은 비구면일 수 있다. 상기 제9 면(S9) 및 상기 제10 면(S10)은 하기 도 8과 같은 비구면 계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6 렌즈(160)는 광축(OA)에서 음(-)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6 렌즈(160)의 제11 면(S11)은 광축(OA)에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12 면(S12)은 광축(OA)에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6 렌즈(160)는 광축(OA)에서 이미지 센서(300) 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1 면(S11)은 비구면일 수 있고, 상기 제12 면(S12)은 비구면일 수 있다. 상기 제11 면(S11) 및 상기 제12 면(S12)은 하기 도 8과 같은 비구면 계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7 렌즈(170)는 광축(OA)에서 양(+)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7 렌즈(170)의 제13 면(S13)은 광축(OA)에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14 면(S14)은 광축(OA)에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7 렌즈(170)는 광축(OA)에서 이미지 센서(300) 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3 면(S13)은 비구면일 수 있고, 상기 제14 면(S14)은 비구면일 수 있다. 상기 제13 면(S13) 및 상기 제14 면(S14)은 하기 도 8과 같은 비구면 계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8 렌즈(180)는 광축(OA)에서 양(+)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8 렌즈(180)의 제15 면(S15)은 광축(OA)에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16 면(S16)은 광축(OA)에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8 렌즈(180)는 광축(OA)에서 이미지 센서(300) 측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5 면(S15)은 비구면일 수 있고, 상기 제16 면(S16)은 비구면일 수 있다. 상기 제15 면(S15) 및 상기 제16 면(S16)은 하기 도 8과 같은 비구면 계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9 렌즈(190)는 광축(OA)에서 음(-)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9 렌즈(190)의 제17 면(S17)은 광축(OA)에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18 면(S18)은 광축(OA)에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9 렌즈(190)는 광축(OA)에서 양면이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7 면(S17)은 비구면일 수 있고, 상기 제18 면(S18)은 비구면일 수 있다. 상기 제17 면(S17) 및 상기 제18 면(S18)은 하기 도 8과 같은 비구면 계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9 렌즈(190)는 임계점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9 렌즈(190)의 제18 면(S18) 상에는 상술한 제1 임계점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임계점은 광축(OA)을 시작점으로 하고 상기 제9 렌즈(190)의 제18 면(S18)의 유효 영역 끝단을 끝점으로 할 때 약 35% 내지 약 55%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1 임계점은 광축(OA)을 시작점으로 하고 상기 제9 렌즈(190)의 제18 면(S18)의 유효 영역 끝단을 끝점으로 할 때 약 50%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복수의 렌즈들(100) 중 적어도 하나의 렌즈면은 30차 비구면 계수를 가진 비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내지 제9 렌즈(190)는 30차 비구면 계수를 가지는 렌즈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30차 비구면 계수를 가진 비구면은(“0”이 아닌 수치) 주변부의 비구면 형상을 특히 크게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화각(FOV)의 주변부의 광학 성능을 양호하게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에서 서로 인접한 두 렌즈 사이의 간격은 도 9와 같을 수 있다.
도 9는 서로 마주하는 n-1번째 렌즈의 센서 측 면과 n번째 렌즈의 물체 측 면 사이의 광축(OA) 방향 간격을 의미할 수 있다. 자세하게, 도 9는 광축(OA)에서 광축(OA)의 수직 방향으로 0.1mm 간격의 높이 지점에서 측정한 두 렌즈 사이의 광축(OA) 방향 간격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인접한 두 렌즈의 최대 높이(Y) 지점이 의미하는 것은, 마주하는 n-1번째 렌즈의 센서 측 면과 n번째 렌즈의 물체 측 면 중 유효경 크기가 작은 렌즈면의 유효 반경 값(렌즈 데이터에 기재된 유효경 크기의 1/2)으로, 설명의 편의상 0.1mm 간격으로 표시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최대 높이(Y) 지점에서의 간격이 의미하는 것은, 마주하는 n-1번째 렌즈의 센서 측 면과 n번째 렌즈의 물체 측 면 중 유효경 크기가 작은 렌즈면의 유효 반경 높이에서의 광축(OA) 방향 간격을 의미할 수 있다.
자세하게, 제2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에서 상기 제1 렌즈(110)와 상기 제2 렌즈(120) 사이의 간격(제1 간격)은 하기 표 11과 같을 수 있다.
제1 렌즈의 센서 측 면에서 광축으로부터의 광축의 수직 방향 높이(mm) 에어갭(d12)의 광축 방향 간격(mm)(제1 간격) 제2 렌즈의 물체 측 면에서 광축으로부터의 광축의 수직 방향 높이(mm)
0 0.1403 0
0.1 0.1399 0.1
0.2 0.1387 0.2
0.3 0.1368 0.3
0.4 0.1341 0.4
0.5 0.1307 0.5
0.6 0.1267 0.6
0.7 0.1221 0.7
0.8 0.1169 0.8
0.9 0.1113 0.9
1 0.1055 1
1.1 0.1002 1.1
1.2 0.0960 1.2
1.3(P1) 0.0942 1.3
(P1)
1.4 0.0962 1.4
1.52(P2) 0.1038 1.52
(P2)
표 11을 참조하면, 상기 제1 간격은 광축(OA)에서 상기 제3 면(S3) 상에 위치한 제1 지점(P1)으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다. 상기 제1 지점(P1)은 광축(OA)을 시작점으로 하고 상기 제3 면(S3)의 유효 영역 끝단을 끝점으로 할 때, 광축(OA)의 수직인 방향을 기준으로 약 70% 내지 약 95%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점(P1)은 약 85.36%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간격은 상기 제1 지점(P1)에서 상기 제3 면(S3)의 유효경의 끝단인 상기 제2 지점(P2)으로 갈수록 커질 수 있다.
상기 제1 간격은 광축(OA)에서 최대값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1 지점(P1)에서 최소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간격의 최대값은 최소값의 약 1.2배 내지 약 3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간격의 최대값은 최소값의 약 1.49배일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에서 상기 제1 렌즈(110) 및 상기 제2 렌즈(120)는 영역에 따라 상기와 같은 범위를 만족하는 제1 간격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광학계(1000)는 입사되는 광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에서 상기 제2 렌즈(120)와 상기 제3 렌즈(130) 사이의 간격(제2 간격)은 하기 표 12와 같을 수 있다.
제2 렌즈의 센서 측 면에서 광축으로부터의 광축의 수직 방향 높이(mm) 에어갭(d23)의 광축 방향 간격(mm)(제2 간격) 제3 렌즈의 물체 측 면에서 광축으로부터의 광축의 수직 방향 높이(mm)
0 0.1056 0
0.1 0.1052 0.1
0.2 0.1041 0.2
0.3 0.1024 0.3
0.4 0.0999 0.4
0.5 0.0969 0.5
0.6 0.0934 0.6
0.7 0.0896 0.7
0.8 0.0860 0.8
0.9 0.0829 0.9
1 0.0809 1
1.1(P3) 0.0804 1.1
(P3)
1.2 0.0828 1.2
1.3 0.0909 1.3
1.412(P4) 0.1120 1.412
(P4)
표 12를 참조하면, 상기 제2 간격은 광축(OA)에서 상기 제5 면(S5) 상에 위치한 제3 지점(P3)으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다. 상기 제3 지점(P3)은 광축(OA)을 시작점으로 하고 상기 제5 면(S5)의 유효 영역 끝단을 끝점으로 할 때, 광축(OA)의 수직인 방향을 기준으로 약 60% 내지 약 90%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실시예에서 상기 제3 지점(P3)은 약 77.9%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간격은 상기 제3 지점(P3)에서 상기 제5 면(S5)의 유효경의 끝단인 상기 제4 지점(P4)으로 갈수록 커질 수 있다.
상기 제2 간격은 상기 제4 지점(P4)에서 최대값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3 지점(P3)에서 최소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간격의 최대값은 최소값의 약 1.1배 내지 약 3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실시예에서 상기 제2 간격의 최대값은 최소값의 약 1.39배일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에서 상기 제2 렌즈(120) 및 상기 제3 렌즈(130)는 영역에 따라 상기와 같은 범위를 만족하는 제2 간격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광학계(1000)는 입사되는 광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에서 상기 제4 렌즈(140)와 상기 제5 렌즈(150) 사이의 간격(제3 간격)은 하기 표 13과 같을 수 있다.
제4 렌즈의 센서 측 면에서 광축으로부터의 광축의 수직 방향 높이(mm) 에어갭(d45)의 광축 방향 간격(mm)(제3 간격) 제5 렌즈의 물체 측 면에서 광축으로부터의 광축의 수직 방향 높이(mm)
0 0.0854 0
0.1 0.0848 0.1
0.2 0.0833 0.2
0.3 0.0808 0.3
0.4 0.0774 0.4
0.5 0.0733 0.5
0.6 0.0689 0.6
0.7 0.0648 0.7
0.8 0.0617 0.8
0.9(P5) 0.0607 0.9
(P5)
1 0.0631 1
1.1 0.0698 1.1
1.2 0.0811 1.2
1.3 0.0952 1.3
1.4 0.1067 1.4
1.504(P6) 0.1091 1.504
(P6)
표 13을 참조하면, 상기 제3 간격은 광축(OA)에서 상기 제8 면(S8) 상에 위치한 제5 지점(P5)으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다. 상기 제5 지점(P5)은 광축(OA)을 시작점으로 하고 상기 제8 면(S8)의 유효 영역 끝단을 끝점으로 할 때, 광축(OA)의 수직인 방향을 기준으로 약 40% 내지 약 70%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실시예에서 상기 제5 지점(P5)은 약 59.8%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간격은 상기 제5 지점(P5)에서 상기 제8 면(S8)의 유효경의 끝단인 상기 제6 지점(P6)으로 갈수록 커질 수 있다.
상기 제3 간격은 상기 제6 지점(P6)에서 최대값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5 지점(P5)에서 최소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3 간격의 최대값은 최소값의 약 1.3배 내지 약 3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실시예에서 상기 제3 간격의 최대값은 최소값의 약 1.79배일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에서 상기 제6 렌즈(160)와 상기 제7 렌즈(170) 사이의 간격(제4 간격)은 하기 표 14와 같을 수 있다.
제6 렌즈의 센서 측 면에서 광축으로부터의 광축의 수직 방향 높이(mm) 에어갭(d67)의 광축 방향 간격(mm)(제4 간격) 제7 렌즈의 물체 측 면에서 광축으로부터의 광축의 수직 방향 높이(mm)
0 0.1013 0
0.1 0.1018 0.1
0.2 0.1036 0.2
0.3 0.1066 0.3
0.4 0.1109 0.4
0.5 0.1166 0.5
0.6 0.1237 0.6
0.7 0.1323 0.7
0.8 0.1420 0.8
0.9 0.1526 0.9
1 0.1632 1
1.1 0.1731 1.1
1.2 0.1813 1.2
1.3 0.1867 1.3
1.4(P7) 0.1879 1.4
(P7)
1.5 0.1841 1.5
1.6 0.1753 1.6
1.7 0.1624 1.7
1.8 0.1479 1.8
1.9 0.1373 1.9
2.096(P8) 0.1359 2.096
(P8)
표 14를 참조하면, 상기 제4 간격은 광축(OA)에서 상기 제12 면(S12) 상에 위치한 제7 지점(P7)으로 갈수록 커질 수 있다. 상기 제7 지점(P7)은 광축(OA)을 시작점으로 하고 상기 제12 면(S12)의 유효 영역 끝단을 끝점으로 할 때, 광축(OA)의 수직인 방향을 기준으로 약 60% 내지 약 80%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실시예에서 상기 제7 지점(P7)은 약 66.79%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간격은 상기 제7 지점(P7)에서 상기 제12 면(S12)의 유효경의 끝단인 상기 제8 지점(P8)으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다.
상기 제4 간격은 상기 제7 지점(P7)에서 최대값을 가질 수 있고, 광축(OA)에서 최소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4 간격의 최대값은 최소값의 약 1.5배 내지 약 3.5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실시예에서 상기 제4 간격의 최대값은 최소값의 약 1.85배일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에서 상기 제6 렌즈(160) 및 상기 제7 렌즈(170)는 영역에 따라 상기와 같은 범위를 만족하는 제4 간격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광학계(1000)는 향상된 수차 제어 특성을 가질 수 있고, 화각(FOV)의 중심부 뿐만 아니라 주변부에서도 양호한 광학 성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에서 상기 제7 렌즈(170)와 상기 제8 렌즈(180) 사이의 간격(제5 간격)은 하기 표 15와 같을 수 있다.
제7 렌즈의 센서 측 면에서 광축으로부터의 광축의 수직 방향 높이(mm) 에어갭(d78)의 광축 방향 간격(mm)(제5 간격) 제8 렌즈의 물체 측 면에서 광축으로부터의 광축의 수직 방향 높이(mm)
0 0.4000 0
0.1 0.4007 0.1
0.2 0.4029 0.2
0.3 0.4065 0.3
0.4 0.4115 0.4
0.5 0.4178 0.5
0.6 0.4253 0.6
0.7 0.4340 0.7
0.8 0.4437 0.8
0.9 0.4541 0.9
1 0.4647 1
1.1 0.4751 1.1
1.2 0.4848 1.2
1.3 0.4937 1.3
1.4 0.5015 1.4
1.5 0.5080 1.5
1.6 0.5128 1.6
1.7(P9) 0.5149 1.7
(P9)
1.8 0.5126 1.8
1.9 0.5040 1.9
2 0.4884 2
2.1 0.4669 2.1
2.2 0.4421 2.2
2.3 0.4208 2.3
2.333(P10) 0.4035 2.333
(P10)
표 15를 참조하면, 상기 제5 간격은 광축(OA)에서 상기 제14 면(S14) 상에 위치한 제9 지점(P9)으로 갈수록 커질 수 있다. 상기 제9 지점(P9)은 광축(OA)을 시작점으로 하고 상기 제14 면(S14)의 유효 영역 끝단을 끝점으로 할 때, 광축(OA)의 수직인 방향을 기준으로 약 60% 내지 약 85%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실시예에서 상기 제9 지점(P9)은 약 72.8%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5 간격은 상기 제9 지점(P9)에서 상기 제14 면(S14)의 유효경의 끝단인 상기 제10 지점(P10)으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다.
상기 제5 간격은 상기 제9 지점(P9)에서 최대값을 가질 수 있고, 광축(OA)에서 최소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5 간격의 최대값은 최소값의 약 1.15배 내지 약 8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실시예에서 상기 제5 간격의 최대값은 최소값의 약 1.28배일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에서 상기 제7 렌즈(170) 및 상기 제8 렌즈(180)는 영역에 따라 상기와 같은 범위를 만족하는 제5 간격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광학계(1000)는 향상된 왜곡, 수차 제어 특성을 가질 수 있고, 화각(FOV)의 중심부 뿐만 아니라 주변부에서도 양호한 광학 성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에서 상기 제8 렌즈(180)와 상기 제9 렌즈(190) 사이의 간격(제6 간격)은 하기 표 16과 같을 수 있다.
제8 렌즈의 센서 측 면에서 광축으로부터의 광축의 수직 방향 높이(mm) 에어갭(d89)의 광축 방향 간격(mm)(제6 간격) 제9 렌즈의 물체 측 면에서 광축으로부터의 광축의 수직 방향 높이(mm)
0 0.2002 0
0.1 0.2006 0.1
0.2 0.2016 0.2
0.3 0.2030 0.3
0.4 0.2044 0.4
0.5(P11) 0.2051 0.5
(P11)
0.6 0.2043 0.6
0.7 0.2013 0.7
0.8 0.1954 0.8
0.9 0.1865 0.9
1 0.1748 1
1.1 0.1613 1.1
1.2 0.1471 1.2
1.3 0.1333 1.3
1.4 0.1210 1.4
1.5 0.1107 1.5
1.6 0.1030 1.6
1.7 0.0983 1.7
1.8(P12) 0.0973 1.8
(P12)
1.9 0.1007 1.9
2 0.1092 2
2.1 0.1230 2.1
2.2 0.1415 2.2
2.3 0.1628 2.3
2.4 0.1834 2.4
2.5 0.1994 2.5
2.6 0.2085 2.6
2.67(P13) 0.2123 2.7
(P13)
표 16을 참조하면, 상기 제6 간격은 광축(OA)에서 상기 제16 면(S16) 상에 위치한 제11 지점(P11)으로 갈수록 커질 수 있다. 상기 제11 지점(P11)은 광축(OA)을 시작점으로 하고 상기 제16 면(S16)의 유효 영역 끝단을 끝점으로 할 때, 광축(OA)의 수직인 방향을 기준으로 약 10% 내지 약 30%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실시예에서 상기 제11 지점(P11)은 약 18.7%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6 간격은 상기 제11 지점(P11)에서 상기 제16 면(S16) 상에 위치한 제12 지점(P12)으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다. 상기 제12 지점(P12)은 광축(OA)을 시작점으로 하고 상기 제16 면(S16)의 유효 영역 끝단을 끝점으로 할 때, 광축(OA)의 수직인 방향을 기준으로 약 55% 내지 약 80%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실시예에서 상기 제12 지점(P12)은 약 67.4%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6 간격은 상기 제12 지점(P12)에서 상기 제16 면(S16)의 유효경의 끝단인 상기 제13 지점(P13)으로 갈수록 커질 수 있다.
상기 제6 간격은 상기 제13 지점(P13)에서 최대값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12 지점(P12)에서 최소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6 간격의 최대값은 최소값의 약 1.5배 내지 약 3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실시예에서 상기 제6 간격의 최대값은 최소값의 약 2.18배일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에서 상기 제8 렌즈(180) 및 상기 제9 렌즈(190)는 영역에 따라 상기와 같은 범위를 만족하는 제6 간격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광학계(1000)는 향상된 색수차, 왜곡 수차 제어 특성을 가질 수 있고, 화각(FOV)의 중심부와 주변부에서 양호한 광학 성능을 가질 수 있다.
제2 실시예
F 5.6423 mm
f1 4.7409 mm
f2 -173.9916 mm
f3 -13.4232 mm
f4 -36.2131 mm
f5 22.9647 mm
f6 -296.4744 mm
f7 4.4200 mm
f8 639.6107 mm
f9 -3.0635 mm
f1-3 6.68 mm
f4-9 -27.05 mm
L1_ET 0.2673 mm
L2_ET 0.2245 mm
L3_ET 0.3220 mm
L4_ET 0.3626 mm
L5_ET 0.3140 mm
L6_ET 0.2654 mm
L7_ET 0.2836 mm
L8_ET 0.3223 mm
L9_ET 1.2378 mm
d12_ET 0.1090 mm
d23_ET 0.1180 mm
d34_ET 0.1166 mm
d45_ET 0.0994 mm
d56_ET 0.3240 mm
d67_ET 0.1190 mm
d78_ET 0.2990 mm
d89_ET 0.1567 mm
Air_Edge_max 0.3240 mm
∑L_CT 4.040 mm
∑Air_CT 1.827 mm
∑Index 14.441
∑Abb 316.263
L9S2_max_sag to Sensor 0.872 mm
L9 S2 Inflection Point 0.5
CA_max 6.935 mm
CA_min 2.575 mm
CA_Aver 3.883 mm
L_CT_max 0.901 mm
L_CT_min 0.220 mm
TTL 6.9297 mm
BFL 1.0622 mm
ImgH 4.0031 mm
F-number 1.75
FOV 70.0362°
EPD 3.2242 mm
수학식 제2 실시예
수학식 1 2 < L1_CT / L3_CT < 5 3.585
수학식 2 1 < L1_CT / L1_ET < 5 3.370
수학식 3 1 < L7_CT / L7_ET < 5 2.610
수학식 4 1 < L9_ET / L9_CT < 4 3.773
수학식 5 1.6 < n3 1.671
수학식 6 1 < CA_L1S1 / CA_L3S1 < 2 1.142
수학식 7 1 < CA_L9S2 / CA_L4S2 < 5 2.306
수학식 8 1 < d34_CT / d34_ET 3.434
수학식 9 0.3 < L9 S2 Inflection Point < 0.6 0.500
수학식 10 0.15 < d12_CT / d89_CT < 1 0.701
수학식 11 1.5 < CA_max / CA_min < 5 2.693
수학식 12 2 < L1_CT / L9_CT < 5 2.745
수학식 13 0.1 < L6_CT / L7_CT < 1 0.368
수학식 14 1 < L7_CT / d78_CT < 3 1.850
수학식 15 1 < d78_CT / d78_ET < 5 2.475
수학식 16 0.1 < L8_CT / L7_CT < 1 0.664
수학식 17 0.5 < L8_ET / L8_CT < 3 0.656
수학식 18 1 < L8_CT / d78_CT < 2.8 1.228
수학식 19 1.5 < L8_CT / d89_CT < 6 2.454
수학식 20 1 < L8_CT / L9_CT < 2.5 1.497
수학식 21 1 < d89_CT / d89_ET < 5 3.136
수학식 22 0.4 < L9_CT / d89_CT < 4 1.639
수학식 23 0.3 < L1R1 / L9R2 < 1 0.812
수학식 24 -3 < L3R1 / L3R2 < 0 -0.760
수학식 25 -5 < L8R2 / L9R2 < 0 -1.468
수학식 26 2 < L_CT_max / L_CT_min < 5 4.095
수학식 27 -1 < f1 / f3 < -0.1 -0.353
수학식 28 1 < f1-3 / F < 2 1.184
수학식 29 0 < |f1-3| / |f4-9| < 1 0.247
수학식 30 1 < CA_max / CA_Aver < 2 1.786
수학식 31 0.5 < CA_min / CA_Aver < 1 0.663
수학식 32 0.5 < CA_max / (2*ImgH) < 1 0.866
수학식 33 0 < L_CT_Max / Air_Max < 2 2.250
수학식 34 1 < ∑L_CT / ∑Air_CT < 5 2.211
수학식 35 10 < ∑Index <30 14.441
수학식 36 10 < ∑Abb / ∑Index < 50 21.901
수학식 37 0 < Air_Edge_Max / L_CT_Max < 2 0.360
수학식 38 1 < EPD / L9R2 < 10 1.196
수학식 39 0.5 < L9S2_max_sag to Sensor < 2 0.872
수학식 40 1 < BFL / L9S2_max_sag to Sensor < 2 1.219
수학식 41 2 < TTL < 20 6.930
수학식 42 2 < ImgH 4.003
수학식 43 BFL < 2.5 1.062
수학식 44 FOV < 120 70.036
수학식 45 0.5 < TTL / ImgH < 2 1.731
수학식 46 0.1 < BFL / ImgH < 0.5 0.265
수학식 47 4 < TTL / BFL < 10 6.524
수학식 48 0.1 < F / TTL < 1 0.814
수학식 49 3 < F / BFL < 8 5.312
수학식 50 1 < F / ImgH < 3 1.409
표 17은 제2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에서 상술한 수학식들의 항목에 대한 것으로, 상기 광학계(1000)의 TTL(Total track length), BFL(Back focal length), F값, ImgH, 상기 제1 내지 제9 렌즈들(110, 120, 130, 140, 150, 160, 170, 180, 190) 각각의 초점 거리(f1, f2, f3, f4, f5, f6, f7, f8, f9), 엣지 두께(ET, Edge Thickness) 등에 대한 것이다. 여기서 렌즈의 엣지 두께는 렌즈의 유효 영역 끝단에서의 광축(OA) 방향 두께를 의미한다. 자세하게, 렌즈의 엣지 두께는 렌즈의 물체 측 면의 유효 영역의 끝단에서 센서 측 면의 유효 영역 끝단까지의 광축(OA) 방향 거리를 의미한다. 또한, d(n-1, n)_ET는 서로 마주하는 제(n-1) 렌즈의 센서 측 면의 유효 영역 끝단과 제n 렌즈의 물체 측 면의 유효 영역 끝단 사이의 광축(OA) 방향 거리를 의미하고, Air_Edge_max는 상기 d(n-1, n)_ET 값들 중 가장 큰 값을 의미한다.
또한, 표 18은 제2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에서 상술한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50에 대한 결과 값에 대한 것이다.
표 18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는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50 중 적어도 하나를 만족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자세하게, 제2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는 상기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50을 모두 만족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는 화각(FOV)의 중심부와 주변부에서 양호한 광학 성능을 가질 수 있고 도 10 및 도 11과 같은 우수한 광학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자세하게, 도 10은 제2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의 회절(Diffraction) MTF 특성에 대한 그래프이고, 또한, 도 11은 수차 특성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 11의 수차 그래프에서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구면 수차(Longitudinal Spherical Aberration), 비점 수차(Astigmatic Field Curves), 왜곡 수차(Distortion)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11에서 X축은 초점 거리(mm) 및 왜곡도(%)를 나타낼 수 있고, Y축은 이미지의 높이(height)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구면 수차에 대한 그래프는 약 435nm, 약 486nm, 약 546nm, 약 587nm, 약 656nm 파장 대역의 광에 대한 그래프이며, 비점 수차 및 왜곡 수차에 대한 그래프는 546nm 파장 대역의 광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 11의 수차도에서는 각 곡선들이 Y축에 근접할 수록 수차 보정 기능이 좋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는데, 도 1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는 거의 대부분의 영역에서 측정 값들이 Y축에 인접한 것을 알 수 있다. 즉, 제2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는 향상된 해상력을 가지며 화각(FOV)의 중심부뿐만 아니라 주변부에서도 양호한 광학 성능을 가질 수 있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제3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2는 제3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의 구성도이고, 도 13는 제3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에서 각 렌즈면의 비구면 계수에 대한 데이터이고, 도 14는 제3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에서 인접한 두 렌즈 사이의 간격에 대한 데이터이다. 또한, 도 15는 제3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의 회절 MTF(Diffraction MTF)에 대한 그래프이고, 도 16은 제3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의 수차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2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는 제1 렌즈(110), 제2 렌즈(120), 제3 렌즈(130), 제4 렌즈(140), 제5 렌즈(150), 제6 렌즈(160), 제7 렌즈(170), 제8 렌즈(180), 제9 렌즈(190) 및 이미지 센서(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9 렌즈들(110, 120, 130, 140, 150, 160, 170, 180, 190)은 상기 광학계(1000)의 광축(OA)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3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에서 상기 제1 렌즈(110)의 물체 측 면(제1 면(S1))은 조리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렌즈들(100) 및 상기 이미지 센서(300) 사이에는 필터(500)가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필터(500)는 상기 제9 렌즈(190) 및 상기 이미지 센서(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렌즈 곡률 반경(mm) 두께 또는 간격(mm) 굴절률 아베수 유효경의 크기(mm)
제1 렌즈 제1 면 2.173 0.721 1.5400 55.9987 2.744
제2 면 17.454 0.109 2.616
제2 렌즈 제3 면 -59.135 0.220 1.5400 56.0000 2.561
제4 면 84.290 0.098 2.450
제3 렌즈 제5 면 -17.178 0.220 1.6710 19.2000 2.387
제6 면 14.644 0.327 2.240
제4 렌즈 제7 면 8.002 0.269 1.6710 19.2000 2.419
제8 면 6.254 0.084 2.774
제5 렌즈 제9 면 7.781 0.476 1.5400 55.0946 3.080
제10 면 35.856 0.365 3.284
제6 렌즈 제11 면 -8.337 0.220 1.6710 19.2000 3.678
제12 면 -8.343 0.076 3.945
제7 렌즈 제13 면 23.202 0.538 1.5753 36.5452 4.148
제14 면 -2.941 0.381 4.520
제8 렌즈 제15 면 -6.553 0.248 1.5698 34.3608 4.669
제16 면 -5.323 0.467 5.177
제9 렌즈 제17 면 -4.380 0.220 1.5728 33.7884 5.504
제18 면 2.578 0.092 6.331
필터 Infinity 0.210 7.168
Infinity 0.659 7.302
이미지 센서 Infinity 0.001 8.002
표 19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내지 제9 렌즈들(110, 120, 130, 140, 150, 160, 170, 180, 190)의 광축(OA)에서의 곡률 반경(Radius of Curvature), 렌즈의 두께(Thickness), 렌즈 사이의 간격(distance), d-line에서의 굴절률(Refractive index), 아베수(Abbe's Number) 및 유효경(Clear aperture; CA)의 크기에 대한 것이다.
제3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의 제1 렌즈(110)는 광축(OA)에서 양(+)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렌즈(110)의 제1 면(S1)은 광축(OA)에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2 면(S2)은 광축(OA)에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렌즈(110)는 광축(OA)에서 물체 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면(S1) 및 상기 제2 면(S2)은 하기 도 13과 같은 비구면 계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렌즈(120)는 광축(OA)에서 음(-)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렌즈(120)의 제3 면(S3)은 광축(OA)에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4 면(S4)은 광축(OA)에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렌즈(120)는 광축(OA)에서 양면이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3 면(S3)은 비구면일 수 있고, 상기 제4 면(S4)은 비구면일 수 있다. 상기 제3 면(S3) 및 상기 제4 면(S4)은 하기 도 13과 같은 비구면 계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3 렌즈(130)는 광축(OA)에서 음(-)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3 렌즈(130)의 제5 면(S5)은 광축(OA)에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6 면(S6)은 광축(OA)에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3 렌즈(130)는 광축(OA)에서 양면이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5 면(S5)은 비구면일 수 있고, 상기 제6 면(S6)은 비구면일 수 있다. 상기 제5 면(S5) 및 상기 제6 면(S6)은 하기 도 13과 같은 비구면 계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4 렌즈(140)는 광축(OA)에서 음(-)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4 렌즈(140)의 제7 면(S7)은 광축(OA)에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8 면(S8)은 광축(OA)에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4 렌즈(140)는 광축(OA)에서 물체 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7 면(S7)은 비구면일 수 있고, 상기 제8 면(S8)은 비구면일 수 있다. 상기 제7 면(S7) 및 상기 제8 면(S8)은 하기 도 13과 같은 비구면 계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5 렌즈(150)는 광축(OA)에서 양(+)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5 렌즈(150)의 제9 면(S9)은 광축(OA)에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10 면(S10)은 광축(OA)에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5 렌즈(150)는 광축(OA)에서 물체 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9 면(S9)은 비구면일 수 있고, 상기 제10 면(S10)은 비구면일 수 있다. 상기 제9 면(S9) 및 상기 제10 면(S10)은 하기 도 13과 같은 비구면 계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6 렌즈(160)는 광축(OA)에서 양(+)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6 렌즈(160)의 제11 면(S11)은 광축(OA)에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12 면(S12)은 광축(OA)에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6 렌즈(160)는 광축(OA)에서 이미지 센서(300) 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1 면(S11)은 비구면일 수 있고, 상기 제12 면(S12)은 비구면일 수 있다. 상기 제11 면(S11) 및 상기 제12 면(S12)은 하기 도 13과 같은 비구면 계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7 렌즈(170)는 광축(OA)에서 양(+)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7 렌즈(170)의 제13 면(S13)은 광축(OA)에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14 면(S14)은 광축(OA)에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7 렌즈(170)는 광축(OA)에서 양면이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3 면(S13)은 비구면일 수 있고, 상기 제14 면(S14)은 비구면일 수 있다. 상기 제13 면(S13) 및 상기 제14 면(S14)은 하기 도 13과 같은 비구면 계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8 렌즈(180)는 광축(OA)에서 양(+)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8 렌즈(180)의 제15 면(S15)은 광축(OA)에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16 면(S16)은 광축(OA)에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8 렌즈(180)는 광축(OA)에서 이미지 센서(300) 측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5 면(S15)은 비구면일 수 있고, 상기 제16 면(S16)은 비구면일 수 있다. 상기 제15 면(S15) 및 상기 제16 면(S16)은 하기 도 13과 같은 비구면 계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9 렌즈(190)는 광축(OA)에서 음(-)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9 렌즈(190)의 제17 면(S17)은 광축(OA)에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18 면(S18)은 광축(OA)에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9 렌즈(190)는 광축(OA)에서 양면이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7 면(S17)은 비구면일 수 있고, 상기 제18 면(S18)은 비구면일 수 있다. 상기 제17 면(S17) 및 상기 제18 면(S18)은 하기 도 13과 같은 비구면 계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9 렌즈(190)는 임계점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9 렌즈(190)의 제18 면(S18) 상에는 상술한 제1 임계점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임계점은 광축(OA)을 시작점으로 하고 상기 제9 렌즈(190)의 제18 면(S18)의 유효 영역 끝단을 끝점으로 할 때 약 35% 내지 약 55%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1 임계점은 광축(OA)을 시작점으로 하고 상기 제9 렌즈(190)의 제18 면(S18)의 유효 영역 끝단을 끝점으로 할 때 약 38%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3 실시예에 복수의 렌즈들(100) 중 적어도 하나의 렌즈면은 30차 비구면 계수를 가진 비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내지 제9 렌즈(190)는 30차 비구면 계수를 가지는 렌즈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30차 비구면 계수를 가진 비구면은(“0”이 아닌 수치) 주변부의 비구면 형상을 특히 크게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화각(FOV)의 주변부의 광학 성능을 양호하게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제3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에서 서로 인접한 두 렌즈 사이의 간격은 도 14와 같을 수 있다.
도 14는 서로 마주하는 n-1번째 렌즈의 센서 측 면과 n번째 렌즈의 물체 측 면 사이의 광축(OA) 방향 간격을 의미할 수 있다. 자세하게, 도 14는 광축(OA)에서 광축(OA)의 수직 방향으로 0.1mm 간격의 높이 지점에서 측정한 두 렌즈 사이의 광축(OA) 방향 간격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인접한 두 렌즈의 최대 높이(Y) 지점이 의미하는 것은, 마주하는 n-1번째 렌즈의 센서 측 면과 n번째 렌즈의 물체 측 면 중 유효경 크기가 작은 렌즈면의 유효 반경 값(렌즈 데이터에 기재된 유효경 크기의 1/2)으로, 설명의 편의상 0.1mm 간격으로 표시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최대 높이(Y) 지점에서의 간격이 의미하는 것은, 마주하는 n-1번째 렌즈의 센서 측 면과 n번째 렌즈의 물체 측 면 중 유효경 크기가 작은 렌즈면의 유효 반경 높이에서의 광축(OA) 방향 간격을 의미할 수 있다.
자세하게, 제3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에서 상기 제1 렌즈(110)와 상기 제2 렌즈(120) 사이의 간격(제1 간격)은 하기 표 20과 같을 수 있다.
제1 렌즈의 센서 측 면에서 광축으로부터의 광축의 수직 방향 높이(mm) 에어갭(d12)의 광축 방향 간격(mm)
(제1 간격)
제2 렌즈의 물체 측 면에서 광축으로부터의 광축의 수직 방향 높이(mm)
0 0.1092 0
0.1 0.1088 0.1
0.2 0.1077 0.2
0.3 0.1058 0.3
0.4 0.1033 0.4
0.5 0.1001 0.5
0.6 0.0962 0.6
0.7 0.0918 0.7
0.8 0.0869 0.8
0.9 0.0815 0.9
1 0.0758 1
1.1 0.0704 1.1
1.2 0.0664 1.2
1.28(P1) 0.0613 1.28
(P1)
표 20을 참조하면, 상기 제1 간격은 광축(OA)에서 상기 제3 면(S3) 상에 위치한 제1 지점(P1)으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다. 상기 제1 지점(P1)은 상기 제3 면(S3)의 유효경의 끝단일 수 있다.
상기 제1 간격은 광축(OA)에서 최대값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1 지점(P1)에서 최소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간격의 최대값은 최소값의 약 1.2배 내지 약 3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간격의 최대값은 최소값의 약 1.78배일 수 있다.
제3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에서 상기 제1 렌즈(110) 및 상기 제2 렌즈(120)는 영역에 따라 상기와 같은 범위를 만족하는 제1 간격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광학계(1000)는 입사되는 광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3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에서 상기 제2 렌즈(120)와 상기 제3 렌즈(130) 사이의 간격(제2 간격)은 하기 표 21과 같을 수 있다.
제2 렌즈의 센서 측 면에서 광축으로부터의 광축의 수직 방향 높이(mm) 에어갭(d23)의 광축 방향 간격(mm)
(제2 간격)
제3 렌즈의 물체 측 면에서 광축으로부터의 광축의 수직 방향 높이(mm)
0 0.0977 0
0.1 0.0974 0.1
0.2 0.0963 0.2
0.3 0.0946 0.3
0.4 0.0921 0.4
0.5 0.0892 0.5
0.6 0.0859 0.6
0.7 0.0825 0.7
0.8 0.0795 0.8
0.9 0.0772 0.9
1(P3) 0.0765 1
(P3)
1.1 0.0780 1.1
1.193(P4) 0.0831 1.193
(P4)
표 21을 참조하면, 상기 제2 간격은 광축(OA)에서 상기 제5 면(S5) 상에 위치한 제3 지점(P3)으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다. 상기 제3 지점(P3)은 광축(OA)을 시작점으로 하고 상기 제5 면(S5)의 유효 영역 끝단을 끝점으로 할 때, 광축(OA)의 수직인 방향을 기준으로 약 60% 내지 약 90%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실시예에서 상기 제3 지점(P3)은 약 83.8%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간격은 상기 제3 지점(P3)에서 상기 제5 면(S5)의 유효경의 끝단인 상기 제4 지점(P4)으로 갈수록 커질 수 있다.
상기 제2 간격은 광축(OA)에서 최대값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3 지점(P3)에서 최소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간격의 최대값은 최소값의 약 1.1배 내지 약 3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실시예에서 상기 제2 간격의 최대값은 최소값의 약 1.27배일 수 있다.
제3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에서 상기 제2 렌즈(120) 및 상기 제3 렌즈(130)는 영역에 따라 상기와 같은 범위를 만족하는 제2 간격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광학계(1000)는 입사되는 광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3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에서 상기 제4 렌즈(140)와 상기 제5 렌즈(150) 사이의 간격(제3 간격)은 하기 표 22와 같을 수 있다.
제4 렌즈의 센서 측 면에서 광축으로부터의 광축의 수직 방향 높이(mm) 에어갭(d45)의 광축 방향 간격(mm)
(제3 간격)
제5 렌즈의 물체 측 면에서 광축으로부터의 광축의 수직 방향 높이(mm)
0 0.0838 0
0.1 0.0837 0.1
0.2 0.0832 0.2
0.3 0.0824 0.3
0.4 0.0814 0.4
0.5 0.0802 0.5
0.6 0.0793 0.6
0.7(P5) 0.0793 0.7
(P5)
0.8 0.0813 0.8
0.9 0.0867 0.9
1 0.0969 1
1.1 0.1133 1.1
1.2 0.1358 1.2
1.3 0.1626 1.3
1.387(P6) 0.1872 1.387
(P6)
표 22를 참조하면, 상기 제3 간격은 광축(OA)에서 상기 제8 면(S8) 상에 위치한 제5 지점(P5)으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다. 상기 제5 지점(P5)은 광축(OA)을 시작점으로 하고 상기 제8 면(S8)의 유효 영역 끝단을 끝점으로 할 때, 광축(OA)의 수직인 방향을 기준으로 약 40% 내지 약 70%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실시예에서 상기 제5 지점(P5)은 약 50.4%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간격은 상기 제5 지점(P5)에서 상기 제8 면(S8)의 유효경의 끝단인 상기 제6 지점(P6)으로 갈수록 커질 수 있다.
상기 제3 간격은 상기 제6 지점(P6)에서 최대값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5 지점(P5)에서 최소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3 간격의 최대값은 최소값의 약 1.3배 내지 약 3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실시예에서 상기 제3 간격의 최대값은 최소값의 약 2.36배일 수 있다.
또한, 제3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에서 상기 제6 렌즈(160)와 상기 제7 렌즈(170) 사이의 간격(제4 간격)은 하기 표 23과 같을 수 있다.
제6 렌즈의 센서 측 면에서 광축으로부터의 광축의 수직 방향 높이(mm) 에어갭(d67)의 광축 방향 간격(mm)
(제4 간격)
제7 렌즈의 물체 측 면에서 광축으로부터의 광축의 수직 방향 높이(mm)
0 0.0764 0
0.1 0.0772 0.1
0.2 0.0797 0.2
0.3 0.0838 0.3
0.4 0.0897 0.4
0.5 0.0976 0.5
0.6 0.1076 0.6
0.7 0.1198 0.7
0.8 0.1340 0.8
0.9 0.1496 0.9
1 0.1658 1
1.1 0.1817 1.1
1.2 0.1962 1.2
1.3 0.2076 1.3
1.4 0.2144 1.4
1.5(P7) 0.2150 1.5
(P7)
1.6 0.2083 1.6
1.7 0.1942 1.7
1.8 0.1755 1.8
1.9 0.1552 1.9
1.972(P8) 0.1425 1.972
(P8)
표 23을 참조하면, 상기 제4 간격은 광축(OA)에서 상기 제12 면(S12) 상에 위치한 제7 지점(P7)으로 갈수록 커질 수 있다. 상기 제7 지점(P7)은 광축(OA)을 시작점으로 하고 상기 제12 면(S12)의 유효 영역 끝단을 끝점으로 할 때, 광축(OA)의 수직인 방향을 기준으로 약 60% 내지 약 80%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실시예에서 상기 제7 지점(P7)은 약 76.06%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간격은 상기 제7 지점(P7)에서 상기 제12 면(S12)의 유효경의 끝단인 상기 제8 지점(P8)으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다.
상기 제4 간격은 상기 제7 지점(P7)에서 최대값을 가질 수 있고, 광축(OA)에서 최소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4 간격의 최대값은 최소값의 약 1.5배 내지 약 3.5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실시예에서 상기 제4 간격의 최대값은 최소값의 약 2.81배일 수 있다.
제3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에서 상기 제6 렌즈(160) 및 상기 제7 렌즈(170)는 영역에 따라 상기와 같은 범위를 만족하는 제4 간격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광학계(1000)는 향상된 수차 제어 특성을 가질 수 있고, 화각(FOV)의 중심부 뿐만 아니라 주변부에서도 양호한 광학 성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3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에서 상기 제7 렌즈(170)와 상기 제8 렌즈(180) 사이의 간격(제5 간격)은 하기 표 24와 같을 수 있다.
제7 렌즈의 센서 측 면에서 광축으로부터의 광축의 수직 방향 높이(mm) 에어갭(d78)의 광축 방향 간격(mm)
(제5 간격)
제8 렌즈의 물체 측 면에서 광축으로부터의 광축의 수직 방향 높이(mm)
0 0.3809 0
0.1 0.3818 0.1
0.2 0.3848 0.2
0.3 0.3898 0.3
0.4 0.3973 0.4
0.5 0.4070 0.5
0.6 0.4190 0.6
0.7 0.4326 0.7
0.8 0.4474 0.8
0.9 0.4627 0.9
1 0.4777 1
1.1 0.4915 1.1
1.2 0.5030 1.2
1.3 0.5107 1.3
1.4(P9) 0.5127 1.4
(P9)
1.5 0.5068 1.5
1.6 0.4914 1.6
1.7 0.4649 1.7
1.8 0.4256 1.8
1.9 0.3719 1.9
2 0.3052 2
2.1 0.2318 2.1
2.2 0.1584 2.2
2.260(P10) 0.0869 2.260
(P10)
표 24를 참조하면, 상기 제5 간격은 광축(OA)에서 상기 제14 면(S14) 상에 위치한 제9 지점(P9)으로 갈수록 커질 수 있다. 상기 제9 지점(P9)은 광축(OA)을 시작점으로 하고 상기 제14 면(S14)의 유효 영역 끝단을 끝점으로 할 때, 광축(OA)의 수직인 방향을 기준으로 약 60% 내지 약 85%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실시예에서 상기 제9 지점(P9)은 약 61.9%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5 간격은 상기 제9 지점(P9)에서 상기 제14 면(S14)의 유효경의 끝단인 상기 제10 지점(P10)으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다.
상기 제5 간격은 상기 제9 지점(P9)에서 최대값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10 지점(P10)에서 최소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5 간격의 최대값은 최소값의 약 1.15배 내지 약 8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실시예에서 상기 제5 간격의 최대값은 최소값의 약 5.89배일 수 있다.
제3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에서 상기 제7 렌즈(170) 및 상기 제8 렌즈(180)는 영역에 따라 상기와 같은 범위를 만족하는 제5 간격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광학계(1000)는 향상된 왜곡, 수차 제어 특성을 가질 수 있고, 화각(FOV)의 중심부 뿐만 아니라 주변부에서도 양호한 광학 성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3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에서 상기 제8 렌즈(180)와 상기 제9 렌즈(190) 사이의 간격(제6 간격)은 하기 표 25와 같을 수 있다.
제8 렌즈의 센서 측 면에서 광축으로부터의 광축의 수직 방향 높이(mm) 에어갭(d89)의 광축 방향 간격(mm)(제6 간격) 제9 렌즈의 물체 측 면에서 광축으로부터의 광축의 수직 방향 높이(mm)
0 0.4673 0
0.1 0.4670 0.1
0.2 0.4660 0.2
0.3 0.4634 0.3
0.4 0.4579 0.4
0.5 0.4483 0.5
0.6 0.4335 0.6
0.7 0.4129 0.7
0.8 0.3863 0.8
0.9 0.3543 0.9
1 0.3177 1
1.1 0.2779 1.1
1.2 0.2363 1.2
1.3 0.1945 1.3
1.4 0.1542 1.4
1.5 0.1172 1.5
1.6 0.0852 1.6
1.7 0.0596 1.7
1.8 0.0413 1.8
1.9 0.0304 1.9
2(P11) 0.0267 2
(P11)
2.1 0.0300 2.1
2.2 0.0406 2.2
2.3 0.0594 2.3
2.4 0.0869 2.4
2.5 0.1229 2.5
2.59(P12) 0.1658 2.59
(P12)
표 25를 참조하면, 상기 제6 간격은 광축(OA)에서 상기 제16 면(S16) 상에 위치한 제11 지점(P11)으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다. 상기 제11 지점(P11)은 광축(OA)을 시작점으로 하고 상기 제16 면(S16)의 유효 영역 끝단을 끝점으로 할 때, 광축(OA)의 수직인 방향을 기준으로 약 65% 내지 약 85%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실시예에서 상기 제11 지점(P11)은 약 77.2%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6 간격은 상기 제11 지점(P11)에서 상기 제16 면(S16)의 유효경의 끝단인 상기 제12 지점(P12)으로 갈수록 커질 수 있다. 상에 위치한 제12 지점(P12)으로 갈수록 커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2 지점(P12)은 상기 제16 면(S16)의 유효 영역 끝단일 수 있다.
상기 제6 간격은 광축(OA)에서 최대값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11 지점(P11)에서 최소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6 간격의 최대값은 최소값의 약 10배 내지 약 30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실시예에서 상기 제6 간격의 최대값은 최소값의 약 17.48배일 수 있다.
제3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에서 상기 제8 렌즈(180) 및 상기 제9 렌즈(190)는 영역에 따라 상기와 같은 범위를 만족하는 제6 간격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광학계(1000)는 향상된 색수차, 왜곡 수차 제어 특성을 가질 수 있고, 화각(FOV)의 중심부와 주변부에서 양호한 광학 성능을 가질 수 있다.
제3 실시예
F 4.7991 mm
f1 4.5021 mm
f2 -64.0500 mm
f3 -11.6058 mm
f4 -44.9519 mm
f5 18.1812 mm
f6 1221.5592 mm
f7 4.5414 mm
f8 46.0327 mm
f9 -2.7811 mm
f1-3 7.12 mm
f4-9 90.11 mm
L1_ET 0.2662 mm
L2_ET 0.2435 mm
L3_ET 0.2918 mm
L4_ET 0.3038 mm
L5_ET 0.2199 mm
L6_ET 0.2285 mm
L7_ET 0.3117 mm
L8_ET 0.2518 mm
L9_ET 0.6339 mm
d12_ET 0.0644 mm
d23_ET 0.0830 mm
d34_ET 0.1535 mm
d45_ET 0.1794 mm
d56_ET 0.3159 mm
d67_ET 0.1139 mm
d78_ET 0.0604 mm
d89_ET 0.1314 mm
Air_Edge_max 0.3159 mm
∑L_CT 3.131 mm
∑Air_CT 1.908 mm
∑Index 14.352
∑Abb 329.388
L9S2_max_sag to Sensor 0.872 mm
L9 S2 Inflection Point 0.38
CA_max 6.331 mm
CA_min 2.240 mm
CA_Aver 3.585 mm
L_CT_max 0.721 mm
L_CT_min 0.220 mm
TTL 6.0 mm
BFL 0.9615 mm
ImgH 4.001 mm
F-number 1.7488
FOV 79.052°
EPD 2.7443 mm
수학식 제3 실시예
수학식 1 2 < L1_CT / L3_CT < 5 3.275
수학식 2 1 < L1_CT / L1_ET < 5 2.706
수학식 3 1 < L7_CT / L7_ET < 5 1.726
수학식 4 1 < L9_ET / L9_CT < 4 2.881
수학식 5 1.6 < n3 1.671
수학식 6 1 < CA_L1S1 / CA_L3S1 < 2 1.150
수학식 7 1 < CA_L9S2 / CA_L4S2 < 5 2.282
수학식 8 1 < d34_CT / d34_ET 2.128
수학식 9 0.3 < L9 S2 Inflection Point < 0.6 0.375
수학식 10 0.15 < d12_CT / d89_CT < 1 0.234
수학식 11 1.5 < CA_max / CA_min < 5 2.826
수학식 12 2 < L1_CT / L9_CT < 5 3.275
수학식 13 0.1 < L6_CT / L7_CT < 1 0.409
수학식 14 1 < L7_CT / d78_CT < 3 1.413
수학식 15 1 < d78_CT / d78_ET < 5 8.909
수학식 16 0.1 < L8_CT / L7_CT < 1 0.460
수학식 17 0.5 < L8_ET / L8_CT < 3 1.017
수학식 18 1 < L8_CT / d78_CT < 2.8 0.650
수학식 19 1.5 < L8_CT / d89_CT < 6 0.530
수학식 20 1 < L8_CT / L9_CT < 2.5 1.126
수학식 21 1 < d89_CT / d89_ET < 5 1.885
수학식 22 0.4 < L9_CT / d89_CT < 4 0.471
수학식 23 0.3 < L1R1 / L9R2 < 1 0.843
수학식 24 -3 < L3R1 / L3R2 < 0 -1.173
수학식 25 -5 < L8R2 / L9R2 < 0 -2.065
수학식 26 2 < L_CT_max / L_CT_min < 5 3.275
수학식 27 -1 < f1 / f3 < -0.1 -0.388
수학식 28 1 < f1-3 / F < 2 1.483
수학식 29 0 < |f1-3| / |f4-9| < 1 0.079
수학식 30 1 < CA_max / CA_Aver < 2 1.766
수학식 31 0.5 < CA_min / CA_Aver < 1 0.625
수학식 32 0.5 < CA_max / (2*ImgH) < 1 0.791
수학식 33 0 < L_CT_Max / Air_Max < 2 1.542
수학식 34 1 < ∑L_CT / ∑Air_CT < 5 1.641
수학식 35 10 < ∑Index <30 14.352
수학식 36 10 < ∑Abb / ∑Index < 50 22.951
수학식 37 0 < Air_Edge_Max / L_CT_Max < 2 0.438
수학식 38 1 < EPD / L9R2 < 10 1.065
수학식 39 0.5 < L9S2_max_sag to Sensor < 2 0.872
수학식 40 1 < BFL / L9S2_max_sag to Sensor < 2 1.102
수학식 41 2 < TTL < 20 6.000
수학식 42 2 < ImgH 4.001
수학식 43 BFL < 2.5 0.962
수학식 44 FOV < 120 79.052
수학식 45 0.5 < TTL / ImgH < 2 1.500
수학식 46 0.1 < BFL / ImgH < 0.5 0.240
수학식 47 4 < TTL / BFL < 10 6.240
수학식 48 0.1 < F / TTL < 1 0.800
수학식 49 3 < F / BFL < 8 4.991
수학식 50 1 < F / ImgH < 3 1.199
표 26은 제3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에서 상술한 수학식들의 항목에 대한 것으로, 상기 광학계(1000)의 TTL(Total track length), BFL(Back focal length), F값, ImgH, 상기 제1 내지 제9 렌즈들(110, 120, 130, 140, 150, 160, 170, 180, 190) 각각의 초점 거리(f1, f2, f3, f4, f5, f6, f7, f8, f9), 엣지 두께(ET, Edge Thickness) 등에 대한 것이다. 여기서 렌즈의 엣지 두께는 렌즈의 유효 영역 끝단에서의 광축(OA) 방향 두께를 의미한다. 자세하게, 렌즈의 엣지 두께는 렌즈의 물체 측 면의 유효 영역의 끝단에서 센서 측 면의 유효 영역 끝단까지의 광축(OA) 방향 거리를 의미한다. 또한, d(n-1, n)_ET는 서로 마주하는 제(n-1) 렌즈의 센서 측 면의 유효 영역 끝단과 제n 렌즈의 물체 측 면의 유효 영역 끝단 사이의 광축(OA) 방향 거리를 의미하고, Air_Edge_max는 상기 d(n-1, n)_ET 값들 중 가장 큰 값을 의미한다.
또한, 표 27은 제3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에서 상술한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50에 대한 결과 값에 대한 것이다.
표 27을 참조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는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50 중 적어도 하나를 만족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자세하게, 제3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는 상기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50을 모두 만족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는 화각(FOV)의 중심부와 주변부에서 양호한 광학 성능을 가질 수 있고 도 15 및 도 16과 같은 우수한 광학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자세하게, 도 15는 제3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의 회절(Diffraction) MTF 특성에 대한 그래프이고, 또한, 도 16은 수차 특성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 16의 수차 그래프에서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구면 수차(Longitudinal Spherical Aberration), 비점 수차(Astigmatic Field Curves), 왜곡 수차(Distortion)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9에서 X축은 초점 거리(mm) 및 왜곡도(%)를 나타낼 수 있고, Y축은 이미지의 높이(height)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구면 수차에 대한 그래프는 약 435nm, 약 486nm, 약 546nm, 약 587nm, 약 656nm 파장 대역의 광에 대한 그래프이며, 비점 수차 및 왜곡 수차에 대한 그래프는 546nm 파장 대역의 광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 16의 수차도에서는 각 곡선들이 Y축에 근접할 수록 수차 보정 기능이 좋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는데, 도 16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는 거의 대부분의 영역에서 측정 값들이 Y축에 인접한 것을 알 수 있다. 즉, 제3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1000)는 향상된 해상력을 가지며 화각(FOV)의 중심부뿐만 아니라 주변부에서도 양호한 광학 성능을 가질 수 있다.
도 17은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이 이동 단말기에 적용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1)는 후면에 제공되는 카메라 모듈(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10)은 이미지 촬영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모듈(10)은 자동 초점(Auto focus), 줌(zoom) 기능 및 OIS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10)은 촬영 모드 또는 화상 통화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300)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 영상 이미지 또는 동영상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할 수 있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상기 이동 단말기(1)의 디스플레이부(미도시)에 표시될 수 있으며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이동 단말기(1)의 전면에도 상기 카메라 모듈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카메라 모듈(10)은 제1 카메라 모듈(10A) 및 제2 카메라 모듈(10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카메라 모듈(10A) 및 상기 제2 카메라 모듈(10B) 중 적어도 하나는 상술한 광학계(10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10)은 슬림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향상된 왜곡(distortion) 및 수차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모듈(10)은 화각(FOV)의 중심부 뿐만 아니라 주변부에서도 양호한 광학 성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1)는 자동 초점 장치(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동 초점 장치(31)는 레이저를 이용한 자동 초점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동 초점 장치(31)는 상기 카메라 모듈(10)의 이미지를 이용한 자동 초점 기능이 저하되는 조건, 예컨대 10m 이하의 근접 또는 어두운 환경에서 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자동 초점 장치(31)는 수직 캐비티 표면 방출 레이저(VCSEL) 반도체 소자를 포함하는 발광부와, 포토 다이오드와 같은 빛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수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1)는 플래쉬 모듈(3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래쉬 모듈(33)은 내부에 광을 발광하는 발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래쉬 모듈(33)은 이동 단말기의 카메라 작동 또는 사용자의 제어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광학계: 1000
제1 렌즈: 110 제2 렌즈: 120
제3 렌즈: 130 제4 렌즈: 140
제5 렌즈: 150 제6 렌즈: 160
제7 렌즈: 170 제8 렌즈: 180
제9 렌즈: 190 이미지 센서: 300
필터: 500

Claims (14)

  1. 물체 측으로부터 센서 측 방향으로 광축을 따라 배치되는 제1 내지 제9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렌즈는 상기 광축에서 양(+)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기 제3 렌즈는 상기 광축에서 음(+)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기 제9 렌즈는 상기 광축에서 음(-)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기 광축을 시작점으로 하고 상기 제7 렌즈의 센서 측 면의 유효 영역 끝단을 끝점으로 할 때, 상기 제7 및 제8 렌즈 사이의 상기 광축 방향 간격은 상기 광축에서 상기 제7 렌즈의 센서 측 면 상에 위치한 제9 지점으로 갈수록 커지고, 상기 제9 지점에서 상기 제7 렌즈의 센서 측 면 상에 위치한 제10 지점으로 갈수록 작아지고,
    상기 제10 지점은 상기 제7 렌즈의 센서 측 면의 유효 영역 끝단인 광학계.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7 및 제8 렌즈 사이의 상기 광축 방향 간격은 상기 제9 지점에서 최대값을 가지고, 상기 광축 또는 상기 제10 지점에서 최소값을 가지는 광학계.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9 지점은 상기 광축을 시작점으로 하고 상기 제7 렌즈의 센서 측 면의 유효 영역 끝단을 끝점으로 할 때, 상기 광축의 수직인 방향을 기준으로 60% 내지 85%인 위치에 배치되는 광학계.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축을 시작점으로 하고 상기 제8 렌즈의 센서 측 면의 유효 영역 끝단을 끝점으로 할 때, 상기 제8 및 제9 렌즈 사이의 상기 광축 방향 간격은 상기 광축에서 상기 제8 렌즈의 센서 측 면 상에 위치한 제11 지점으로 갈수록 커지고, 상기 제11 지점에서 상기 제8 렌즈의 센서 측 면 상에 위치한 제12 지점으로 갈수록 작아지고, 상기 제12 지점에서 상기 제8 렌즈의 센서 측 면 상에 위치한 제13 지점으로 갈수록 커지고,
    상기 제13 지점은 상기 제8 렌즈의 센서 측 면의 유효 영역 끝단인 광학계.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8 및 제9 렌즈 사이의 상기 광축 방향 간격은 상기 제13 지점에서 최대값을 가지고, 상기 제12 지점에서 최소값을 가지는 광학계.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1 지점은 상기 광축을 시작점으로 하고 상기 제8 렌즈의 센서 측 면의 유효 영역 끝단을 끝점으로 할 때, 상기 광축의 수직인 방향을 기준으로 10% 내지 30%인 위치에 배치되는 광학계.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지점은 상기 광축을 시작점으로 하고 상기 제8 렌즈의 센서 측 면의 유효 영역 끝단을 끝점으로 할 때, 상기 광축의 수직인 방향을 기준으로 55% 내지 80%인 위치에 배치되는 광학계.
  8. 물체 측으로부터 센서 측 방향으로 광축을 따라 배치되는 제1 내지 제9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렌즈는 상기 광축에서 양(+)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기 제3 렌즈는 상기 광축에서 음(+)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기 제9 렌즈는 상기 광축에서 음(-)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기 제8 렌즈의 센서 측 면은 상기 광축에서 볼록한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8 렌즈의 물체 측 면 및 센서 측 면은 임계점을 포함하지 않고,
    상기 임계점은 렌즈면 상에서 상기 임계점의 법선과 상기 광축의 기울기가 0인 지점을 의미하는 광학계.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8 렌즈는 물체 측 면은 상기 광축에서 오목한 형상을 가지는 광학계.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렌즈의 굴절률은 1.6보다 큰 광학계.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렌즈는 상기 광축에서 양면이 오목한 형상을 가지는 광학계.
  12.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3 렌즈는 하기 수학식을 만족하는 광학계.
    2 < L1_CT / L3_CT < 5
    (L1_CT는 상기 광축에서 상기 제1 렌즈의 두께이고, L3_CT는 상기 광축에서 상기 제3 렌즈의 두께이다.)
  13.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7 렌즈는 하기 수학식을 만족하는 광학계.
    1 < L7_CT / L7_ET < 5
    (L7_CT는 상기 광축에서 상기 제7 렌즈의 두께이고, L7_ET는 상기 제7 렌즈의 물체 측 면의 유효 영역 끝단과 상기 제7 렌즈의 센서 측 면의 유효 영역 끝단 사이의 상기 광축 방향 거리이다.)
  14. 제1 항 내지 제1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광학계를 포함하고,
    하기 수학식을 만족하는 카메라 모듈.
    3 < F / BFL < 8
    (F는 상기 광학계의 전체 초점 거리(mm)이고, BFL(Back focal length)은 상기 센서와 최인접한 렌즈의 센서 측 면에서 상기 센서의 상면까지의 상기 광축에서의 거리(mm)이다.)
KR1020220000577A 2022-01-03 2022-01-03 광학계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301052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0577A KR20230105260A (ko) 2022-01-03 2022-01-03 광학계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0577A KR20230105260A (ko) 2022-01-03 2022-01-03 광학계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5260A true KR20230105260A (ko) 2023-07-11

Family

ID=87159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0577A KR20230105260A (ko) 2022-01-03 2022-01-03 광학계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526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82537A (ko) 광학계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20019487A (ko) 광학계
KR20230105260A (ko) 광학계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10085724A (ko) 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
KR20230105256A (ko) 광학계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30105259A (ko) 광학계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30059650A (ko) 광학계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30105262A (ko) 광학계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30037401A (ko) 광학계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30068906A (ko) 광학계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30105263A (ko) 광학계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30009727A (ko) 광학계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30068887A (ko) 광학계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30059654A (ko) 광학계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30120938A (ko) 광학계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30068899A (ko) 광학계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30068904A (ko) 광학계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30091508A (ko) 광학계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30087307A (ko) 광학계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30062245A (ko) 광학계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30172309A (ko) 광학계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30158177A (ko) 광학계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EP4270079A1 (en) Optical system
KR20220169216A (ko) 광학계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20169224A (ko) 광학계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