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6966A - 촬상 광학계 - Google Patents

촬상 광학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6966A
KR20240036966A KR1020220115665A KR20220115665A KR20240036966A KR 20240036966 A KR20240036966 A KR 20240036966A KR 1020220115665 A KR1020220115665 A KR 1020220115665A KR 20220115665 A KR20220115665 A KR 20220115665A KR 20240036966 A KR20240036966 A KR 202400369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optical system
imaging optical
order coefficient
im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5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현
김종필
허재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15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6966A/ko
Priority to US18/099,539 priority patent/US20240085672A1/en
Priority to TW112200868U priority patent/TWM642445U/zh
Priority to TW112103377A priority patent/TWI849714B/zh
Priority to CN202320808845.8U priority patent/CN219302748U/zh
Priority to CN202310397955.4A priority patent/CN116165776A/zh
Priority to CN202310383587.8A priority patent/CN117706727A/zh
Publication of KR20240036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69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4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five or mor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18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with lenses having one or more non-spherical faces, e.g. for reducing geometrical aberr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4Pris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6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five components onl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es (AREA)
  • Cameras In General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 Optical Radar Systems And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배치된,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1 렌즈;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2 렌즈; 굴절력을 갖는 제3 렌즈; 굴절력을 갖는 제4 렌즈; 및 굴절력을 갖는 제5 렌즈;를 포함하고, 2.0 < f/(2×IMG HT) < 3.0 및 0.16 < D2/|f2| < 0.3을 만족할 수 있다. 여기서, f는 상기 제1 렌즈 내지 상기 제5 렌즈의 전체 초점거리이고, IMG HT는 촬상면의 대각길이의 절반이고, D2는 상기 제2 렌즈의 상측 면으로부터 상기 제3 렌즈의 물체측 면까지의 광축 상 거리이고, f2는 상기 제2 렌즈의 초점거리이다.

Description

촬상 광학계{Optical imaging system}
본 발명은 촬상 광학계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에 카메라가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 휴대용 전자기기의 소형화 요구에 따라 휴대용 전자기기에 장착되는 카메라도 소형화가 요구되고 있다.
아울러, 휴대용 전자기기에서 카메라가 차지하는 기능이 점차 커지면서, 고해상도를 갖는 휴대 단말기용 카메라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
또한, 전체 초점거리를 길게 형성하여 고배율로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는 망원 카메라에 대한 요구도 커지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상대적으로 긴 전체 초점거리를 갖고 고해상도의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는 촬상 광학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배치된,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1 렌즈;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2 렌즈; 굴절력을 갖는 제3 렌즈; 굴절력을 갖는 제4 렌즈; 및 굴절력을 갖는 제5 렌즈;를 포함하고, 2.0 < f/(2×IMG HT) < 3.0 및 0.16 < D2/|f2| < 0.3을 만족할 수 있다. 여기서, f는 상기 제1 렌즈 내지 상기 제5 렌즈의 전체 초점거리이고, IMG HT는 촬상면의 대각길이의 절반이고, D2는 상기 제2 렌즈의 상측 면으로부터 상기 제3 렌즈의 물체측 면까지의 광축 상 거리이고, f2는 상기 제2 렌즈의 초점거리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에 의하면, 전체 초점거리를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할 수 있고, 고해상도의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수차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수차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수차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구성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수차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구성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수차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구성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수차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구성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수차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구성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수차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도 1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에 반사부재가 포함된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비원형 렌즈의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또는 삭제 등을 통하여,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아울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의 렌즈 구성도에서 렌즈의 두께, 크기 및 형상은 설명을 위해 다소 과장되게 도시되었으며, 특히 렌즈 구성도에서 제시된 구면 또는 비구면의 형상은 일 예로 제시되었을 뿐 이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광축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는 각각 광축을 따라 기설정된 거리만큼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촬상 광학계는 5매의 렌즈를 포함한다.
촬상 광학계를 구성하는 렌즈 중에서, 최전방 렌즈는 물체측(또는 반사부재)에 가장 가까운 렌즈를 의미하고, 최후방 렌즈는 촬상면(또는 이미지 센서)에 가장 가까운 렌즈를 의미한다.
일 예로, 제1 렌즈는 물체측(또는 반사부재)에 가장 가까운 렌즈를 의미하고, 제5 렌즈는 촬상면(또는 이미지 센서)에 가장 가까운 렌즈를 의미한다.
또한, 각각의 렌즈에서 제1 면은 물체측에 가까운 면(또는, 물체측 면)을 의미하고, 제2 면은 상측에 가까운 면(또는, 상측 면)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렌즈의 곡률 반지름(Radius), 두께(Thickness), 거리(Distance), 초점 거리(focal length) 등에 대한 수치는 모두 ㎜ 단위이고, 화각(FOV)의 단위는 degree이다.
아울러, 각 렌즈의 형상에 대한 설명에서 일면이 볼록한 형상이라는 의미는 해당 면의 근축 영역 부분이 볼록하다는 의미이고, 일면이 오목한 형상이라는 의미는 해당 면의 근축 영역 부분이 오목하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렌즈의 일면이 볼록한 형상이라고 설명되어도, 렌즈의 가장자리 부분은 오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렌즈의 일면이 오목한 형상이라고 설명되어도, 렌즈의 가장자리 부분은 볼록할 수 있다.
한편, 근축 영역(Paraxial Region)이라 함은 광축 근처의 매우 좁은 영역을 의미한다.
촬상면은 촬상 광학계에 의해 초점이 형성되는 가상면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촬상면은 광이 수광되는 이미지 센서의 일면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5매의 렌즈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배치되는 제1 렌즈, 제2 렌즈, 제3 렌즈, 제4 렌즈 및 제5 렌즈를 포함한다. 제1 렌즈 내지 제5 렌즈는 각각 광축을 따라 기설정된 거리만큼 서로 이격 배치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가 5매의 렌즈로만 구성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7을 참조하면, 촬상 광학계는 광 경로를 변화시키는 반사면을 갖는 반사부재(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반사부재(R)는 광 경로를 90° 변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반사부재(R)는 미러 또는 프리즘일 수 있다.
반사부재(R)는 복수의 렌즈의 전방에 배치된다. 일 예로, 반사부재(R)는 제1 렌즈의 전방(즉, 제1 렌즈보다 물체 측에 가깝게)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물체측에 가장 가깝게 배치된 렌즈는 반사부재에 가장 가깝게 배치된 렌즈일 수 있다.
또한, 촬상 광학계는 입사된 피사체의 상을 전기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이미지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촬상 광학계는 적외선을 차단하기 위한 적외선 필터(이하, '필터'라 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터는 촬상면에 가장 가깝게 배치된 렌즈(예컨대, 제5 렌즈)와 촬상면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촬상 광학계는 광량을 조절하기 위한 조리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를 구성하는 모든 렌즈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각 렌즈는 이웃하게 배치된 렌즈와 상이한 광학적 특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각 렌즈는 이웃하게 배치된 렌즈와 상이한 굴절률 및 아베수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8을 참조하면, 촬상 광학계의 적어도 일부의 렌즈는 비원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다. 예를 들어, 제1 렌즈와 제2 렌즈 중 적어도 하나는 비원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다. 나머지 렌즈들(예컨대, 제3 렌즈, 제4 렌즈 및 제5 렌즈)은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비원형인 렌즈는 4개의 측면을 갖고, 2개의 측면끼리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다. 또한, 서로 마주보는 측면은 대응되는 형상이다.
예컨대, 제1 렌즈는 제1 측면, 제2 측면, 제3 측면 및 제4 측면을 포함한다. 제1 측면과 제2 측면은 광축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고, 제3 측면과 제4 측면은 광축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측에 위치한다. 제3 측면과 제4 측면은 각각 제1 측면과 제2 측면을 연결한다.
광축 방향에서 바라볼 때, 제1 렌즈의 제1 측면과 제2 측면은 원호(arc) 형상이고, 제3 측면과 제4 측면은 대체로 직선 형상이다.
제3 측면과 제4 측면은 각각 제1 측면과 제2 측면을 연결한다. 또한, 제3 측면과 제4 측면은 광축을 중심으로 대칭이며, 서로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비원형인 렌즈는 광축과 교차하는 제1 축과 제2 축을 갖는다. 예컨대, 제1 축은 광축을 지나면서 제1 측면과 제2 측면을 연결하는 축일 수 있고, 제2 축은 광축을 지나면서 제3 측면과 제4 측면을 연결하는 축일 수 있다. 제1 축과 제2 축은 서로 수직하며, 제1 축의 길이는 제2 축의 길이보다 길다.
예컨대, 제1 렌즈는 광축과 교차하고 서로 수직한 두 개의 축 중 어느 한 축의 길이가 다른 한 축의 길이보다 길다.
촬상 광학계의 모든 렌즈는 광학부(10)와 플랜지부(30)를 포함한다.
광학부(10)는 렌즈의 광학 성능이 발휘되는 부분일 수 있다. 일 예로, 피사체로부터 반사된 빛이 광학부(10)를 통과하며 굴절될 수 있다.
광학부(10)는 굴절력을 가질 수 있고, 비구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광학부(10)는 물체측 면(물체측을 향하는 면)과 상측 면(상측을 향하는 면)을 포함한다(도 18에는 물체측 면이 도시됨).
플랜지부(30)는 렌즈를 다른 구성, 일 예로, 렌즈 배럴 또는 다른 렌즈에 고정하는 부분일 수 있다.
플랜지부(30)는 광학부(10)의 적어도 일부의 둘레에서 연장되며, 광학부(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비원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 렌즈는 광학부(10)와 플랜지부(30)가 비원형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광학부(10)와 플랜지부(30)는 광축 방향에서 바라볼 때 비원형이다(도 18 참조). 이와는 달리 광학부(10)는 원형이고 플랜지부(30)가 비원형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광학부(10)는 제1 가장자리(11), 제2 가장자리(12), 제3 가장자리(13) 및 제4 가장자리(14)를 포함하고, 제1 가장자리(11)와 제2 가장자리(12)는 서로 마주보게 위치하며, 제3 가장자리(13)와 제4 가장자리(14)는 서로 마주보게 위치한다.
제3 가장자리(13)와 제4 가장자리(14)는 각각 제1 가장자리(11)와 제2 가장자리(12)를 연결한다.
제1 가장자리(11)와 제2 가장자리(12)는 광축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고, 제3 가장자리(13)와 제4 가장자리(14)는 광축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측에 위치한다.
광축 방향에서 바라볼 때, 제1 가장자리(11)와 제2 가장자리(12)는 원호(arc) 형상을 갖고, 제3 가장자리(13)와 제4 가장자리(14)는 대체로 직선 형상을 갖는다. 제3 가장자리(13)와 제4 가장자리(14)는 광축(Z축)을 중심으로 대칭이며, 서로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장자리(11)와 제2 가장자리(12) 사이의 최단거리는 제3 가장자리(13)와 제4 가장자리(14) 사이의 최단거리보다 길다.
광학부(10)는 장축(a, Major axis)과 단축(b, Minor axis)을 갖는다. 일 예로, 광축 방향에서 바라볼 때, 광축을 지나면서 제3 가장자리(13)와 제4 가장자리(14)를 최단거리로 연결하는 선분이 단축(b)이고, 광축을 지나면서 제1 가장자리(11)와 제2 가장자리(12)를 연결하며 단축(b)에 수직한 선분이 장축(a)이다.
여기서, 장축(a)의 절반이 최대 유효 반경이고, 단축(b)의 절반이 최소 유효 반경이다.
도 18에 도시된 렌즈가 최전방 렌즈(예컨대, 제1 렌즈)라고 가정하면, 최전방 렌즈의 물체측 면의 최대 유효 반경은 도 18의 식별부호 L1S1el이고, 최전방 렌즈의 물체측 면의 최소 유효 반경은 도 18의 식별부호 L1S1es이다.
플랜지부(30)는 제1 플랜지부(31) 및 제2 플랜지부(32)를 포함하고, 제1 플랜지부(31)는 광학부(10)의 제1 가장자리(11)에서 연장되며, 제2 플랜지부(32)는 광학부(10)의 제2 가장자리(12)에서 연장된다.
광학부(10)의 제1 가장자리(11)는 제1 플랜지부(31)와 인접한 부분을 의미할 수 있고, 광학부(10)의 제2 가장자리(12)는 제2 플랜지부(32)와 인접한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광학부(10)의 제3 가장자리(13)는 플랜지부(30)가 형성되지 않은 광학부(10)의 일 측면을 의미할 수 있고, 광학부(10)의 제4 가장자리(14)는 플랜지부(30)가 형성되지 않은 광학부(10)의 타 측면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렌즈와 제2 렌즈의 유효 반경은 다른 렌즈들의 유효 반경보다 클 수 있다.
유효 반경(Effective radius)이란 광이 실제로 통과하는 각 렌즈의 일면(물체측 면 및 상측 면)의 반지름을 의미한다. 즉, 유효 반경은 각 렌즈의 광학부의 반경을 의미할 수 있다.
비원형인 렌즈는 최대 유효 반경(광축을 지나면서 제1 가장자리(11)와 제2 가장자리(12)를 연결하는 직선의 절반)과 최소 유효 반경(광축을 지나면서 제3 가장자리(13)와 제4 가장자리(14)를 연결하는 직선의 절반)을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유효 반경'은 특별한 설명이 없는 한 최대 유효 반경을 지칭하는 것일 수 있다.
복수의 렌즈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비구면을 가진다.
즉, 각 렌즈의 제1 면 및 제2 면 중 적어도 하나는 비구면일 수 있다. 여기서, 각 렌즈의 비구면은 수학식 1로 표현된다.
Figure pat00001
수학식 1에서 c는 렌즈의 곡률(곡률 반지름의 역수)이고, K는 코닉 상수이고, Y는 렌즈의 비구면 상의 임의의 점으로부터 광축까지의 거리를 나타낸다. 아울러, 상수 A ~ P는 비구면 계수를 의미한다. 그리고 Z는 렌즈의 비구면 상의 임의의 점으로부터 해당 비구면의 정점까지의 광축 방향으로의 거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아래의 조건식들 중 적어도 하나를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1] 2.0 < f/(2×L1S1el) < 2.7
[조건식 2] 1.7 mm < D2 < 3.5 mm
[조건식 3] 2.0 < f/(2×IMG HT) < 3.0
[조건식 4] L1S1el/L1S1es < 1.0
[조건식 5] 4.5 < n2+n3+n4 < 5.0
[조건식 6] 0.8 < TTL/f < 1.2
[조건식 7] 0.9 < f1/(2×L1S1el) < 2.0
[조건식 8] 0.9 < f12/f < 2.5
[조건식 9] 7.0 < f12/D2 < 17.0
[조건식 10] 0.16 < D2/|f2| < 0.3
[조건식 11] 0.6 < |f1|/|f2| < 1.0
[조건식 12] 0.7 < BFL/(2×IMG HT) < 1.5
[조건식 13] 0.3 < BFL/TTL < 0.6
[조건식 14] 0.4 < TD/TTL < 0.7
[조건식 15] 1.0 < L1S1el/L2S1el < 1.2
[조건식 16] 1.5 < L1S1el/Min_el < 0.7
조건식들에서 f는 촬상 광학계의 전체 초점거리이고, f1은 제1 렌즈의 초점거리이고, f2는 제2 렌즈의 초점거리이고, f12는 제1 렌즈와 제2 렌즈의 합성 초점거리이다.
n2는 제2 렌즈의 굴절률이고, n3은 제3 렌즈의 굴절률이고, n4는 제4 렌즈의 굴절률이다.
TTL은 제1 렌즈의 물체측 면으로부터 촬상면까지의 광축 상 거리이고, BFL은 제5 렌즈의 상측 면으로부터 촬상면까지의 광축 상 거리이고, TD는 제1 렌즈의 물체측 면으로부터 제5 렌즈의 상측 면까지의 광축 상 거리이다.
D2는 제2 렌즈의 상측 면과 제3 렌즈의 물체측 면 사이의 광축 상 거리이고, IMG HT는 촬상면의 대각길이의 절반이다.
L1S1el은 제1 렌즈의 물체측 면의 최대 유효 반경이고, L1S1es은 제1 렌즈의 물체측 면의 최소 유효 반경이고, L2S1el은 제2 렌즈의 물체측 면의 최대 유효 반경이고, Min_el은 제3 렌즈 내지 제5 렌즈들의 물체측 면의 유효 반경 중에서 가장 작은 값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상대적으로 좁은 화각과 긴 초점거리를 갖는 망원 렌즈의 특징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촬상면의 대각길이가 상대적으로 크게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이미지 센서의 유효촬영영역이 넓을 수 있다(즉, 고화소 이미지 센서).
따라서, 촬영된 이미지를 크롭(Crop)할 경우, 여러 배율에 따른 이미지를 화질 저하없이 촬영할 수 있다.
한편, 제2 렌즈 내지 제4 렌즈의 각 굴절률은, 제1 렌즈의 굴절률 및 제5 렌즈의 굴절률보다 크게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렌즈 내지 제4 렌즈의 굴절률 중에서 가장 작은 값은, 제1 렌즈 및 제5 렌즈의 굴절률 중 가장 큰 값보다 더 클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렌즈와 제4 렌즈는 각각 굴절률이 1.64 이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렌즈 내지 제5 렌즈 중에서 제3 렌즈의 굴절률이 가장 크게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3 렌즈의 굴절률은 1.66 이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렌즈 내지 제5 렌즈 중에서 제4 렌즈의 굴절률이 가장 크게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4 렌즈의 굴절률은 1.66 이상일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100)는 제1 렌즈(110), 제2 렌즈(120), 제3 렌즈(130), 제4 렌즈(140) 및 제5 렌즈(150)를 포함하고, 필터(160) 및 이미지 센서(IS)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촬상면(170)에 초점을 형성할 수 있다. 촬상면(170)은 촬상 광학계에 의해 초점이 형성되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 촬상면(170)은 광이 수광되는 이미지 센서(IS)의 일면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촬상 광학계는 제1 렌즈(110)의 전방에 배치되고, 광 경로를 변화시키는 반사면을 갖는 반사부재(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반사부재(R)는 프리즘일 수 있으나, 미러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각 렌즈의 렌즈 특성(곡률 반지름(Radius), 렌즈의 두께(Thickness) 또는 렌즈들 간의 거리(Distance), 굴절률(Index), 아베수(Abbe수), 초점거리(Focal length) 등)은 표 1과 같다.
면 번호 비고 곡률 반경 두께 또는 거리 굴절률 아베수 초점거리 장축유효반경 단축유효반경
S1 제1 렌즈 6.388 2.200 1.537 55.7 8.5052 3.75 2.7
S2 -14.063 0.153 3.598 2.7
S3 제2 렌즈 -16.443 1.000 1.644 23.5 -10.962 3.513 2.7
S4 12.666 2.377 3.174 2.7
S5 제3 렌즈 5.324 0.994 1.677 19.2 8.97152 2.632
S6 39.910 0.158 2.474
S7 제4 렌즈 12.132 0.911 1.644 23.5 -5.7495 2.375
S8 2.754 2.000 1.909
S9 제5 렌즈 4.797 0.800 1.546 56.0 23.3403 1.75
S10 7.241 3.000 1.799
S11 필터 Infinity 0.110 1.518 64.2 2.534
S12 Infinity 4.894 2.553
S13 촬상면 Infinity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전체 초점거리(f)는 19 mm이고, 2×IMG HT는 7.06 mm이고, f12는 23.476 mm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제1 렌즈(11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1 렌즈(110)의 제1 면과 제2 면은 볼록한 형상이다.
제2 렌즈(12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2 렌즈(120)의 제1 면과 제2 면은 오목한 형상이다.
제3 렌즈(13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3 렌즈(130)의 제1 면은 볼록한 형상이고, 제3 렌즈(130)의 제2 면은 오목한 형상이다.
제4 렌즈(14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4 렌즈(140)의 제1 면은 볼록한 형상이고, 제4 렌즈(140)의 제2 면은 오목한 형상이다.
제5 렌즈(15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5 렌즈(150)의 제1 면은 볼록한 형상이고, 제5 렌즈(150)의 제2 면은 오목한 형상이다.
한편, 제1 렌즈(110) 내지 제5 렌즈(150)의 각 면은 표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비구면 계수를 가진다. 예를 들어, 제1 렌즈(110) 내지 제5 렌즈(150)의 물체측 면 및 상측 면은 모두 비구면이다.
S1 S2 S3 S4 S5
코닉상수(K) -0.565 -22.284 -44.910 -3.385 -0.936
4차계수(A) 1.2837E-04 7.2972E-05 -7.7249E-04 -7.5043E-04 -2.8228E-04
6차계수(B) 1.1775E-05 1.1858E-05 5.5166E-05 3.3038E-05 9.8550E-05
8차계수(C) -1.6360E-07 -3.8990E-07 -1.2326E-06 1.8677E-06 5.9798E-06
10차계수(D) 2.1922E-08 -1.3903E-08 2.6904E-08 2.2761E-08 -1.7111E-07
12차계수(E) -1.9394E-09 2.0204E-12 -1.7658E-09 -1.1622E-08 3.0591E-08
14차계수(F) 1.9942E-12 -1.5264E-12 -2.0530E-12 4.3719E-12 2.1797E-08
16차계수(G) 1.7783E-13 -7.6957E-13 -2.3398E-10
18차계수(H)
20차계수(J)
22차계수(L)
24차계수(M)
26차계수(N)
28차계수(O)
30차계수(P)
S6 S7 S8 S9 S10
코닉상수(K) 99.000 -59.926 -0.337 -0.852 -2.477
4차계수(A) 5.0314E-04 -4.3354E-04 -8.3265E-03 -1.8580E-03 -9.1676E-04
6차계수(B) 4.4107E-06 2.5943E-05 -1.0745E-02 3.7205E-04 1.1513E-04
8차계수(C) 2.5859E-06 7.7176E-06 5.8006E-02 4.3679E-06 6.5597E-05
10차계수(D) 1.1422E-06 -4.2431E-07 -1.5586E-01 6.0206E-06 -9.2559E-06
12차계수(E) 1.3583E-07 -1.2106E-07 2.6406E-01 -1.3084E-07 1.7086E-06
14차계수(F) 4.5809E-09 -1.4328E-08 -3.0218E-01 4.1174E-17 6.5639E-17
16차계수(G) -9.3871E-10 -8.6388E-10 2.4257E-01
18차계수(H) 2.8885E-10 -1.3929E-01
20차계수(J) 5.7553E-02
22차계수(L) -1.6980E-02
24차계수(M) 3.4909E-03
26차계수(N) -4.7513E-04
28차계수(O) 3.8479E-05
30차계수(P) -1.4039E-06
또한, 이와 같이 구성된 촬상 광학계는 도 2에 도시된 수차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200)는 제1 렌즈(210), 제2 렌즈(220), 제3 렌즈(230), 제4 렌즈(240) 및 제5 렌즈(250) 포함하고, 필터(260) 및 이미지 센서(IS)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촬상면(270)에 초점을 형성할 수 있다. 촬상면(270)은 촬상 광학계에 의해 초점이 형성되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 촬상면(270)은 광이 수광되는 이미지 센서(IS)의 일면을 의미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촬상 광학계는 제1 렌즈(210)의 전방에 배치되고, 광 경로를 변화시키는 반사면을 갖는 반사부재(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반사부재(R)는 프리즘일 수 있으나, 미러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각 렌즈의 렌즈 특성(곡률 반지름(Radius), 렌즈의 두께(Thickness) 또는 렌즈들 간의 거리(Distance), 굴절률(Index), 아베수(Abbe수), 초점거리(Focal length) 등)은 표 3과 같다.
면 번호 비고 곡률반경 두께 또는 거리 굴절률 아베수 초점거리 장축유효반경 단축유효반경
S1 제1 렌즈 6.202 2.195 1.537 55.7 9.3552 3.75 2.7
S2 -23.088 0.100 3.582 2.7
S3 제2 렌즈 -52.207 1.000 1.644 23.5 -11.378 3.503 2.7
S4 8.588 3.206 3.139 2.7
S5 제3 렌즈 5.839 1.000 1.677 19.2 6.7556 2.593
S6 -19.642 0.150 2.497
S7 제4 렌즈 95.919 0.724 1.644 23.5 -4.2693 2.372
S8 2.665 0.367 1.964
S9 제5 렌즈 3.161 0.800 1.546 56.0 13.0411 1.95
S10 5.177 3.000 1.953
S11 필터 Infinity 0.110 1.518 64.2 2.524
S12 Infinity 6.107 2.540
S13 촬상면 Infinity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전체 초점거리(f)는 19 mm이고, 2×IMG HT는 7.06 mm이고, f12는 28.027 mm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제1 렌즈(21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1 렌즈(210)의 제1 면과 제2 면은 볼록한 형상이다.
제2 렌즈(22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2 렌즈(220)의 제1 면과 제2 면은 오목한 형상이다.
제3 렌즈(23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3 렌즈(230)의 제1 면과 제2 면은 볼록한 형상이다.
제4 렌즈(24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4 렌즈(240)의 제1 면은 볼록한 형상이고, 제4 렌즈(240)의 제2 면은 오목한 형상이다.
제5 렌즈(25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5 렌즈(250)의 제1 면은 볼록한 형상이고, 제5 렌즈(250)의 제2 면은 오목한 형상이다.
한편, 제1 렌즈(210) 내지 제5 렌즈(250)의 각 면은 표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비구면 계수를 가진다. 예를 들어, 제1 렌즈(210) 내지 제5 렌즈(250)의 물체측 면 및 상측 면은 모두 비구면이다.
S1 S2 S3 S4 S5
코닉상수(K) -0.583 -14.493 -17.589 -2.108 -1.145
4차계수(A) 2.0301E-04 1.3029E-04 -7.5074E-04 -6.7687E-04 -3.6155E-04
6차계수(B) 2.7951E-06 1.6309E-05 5.8466E-05 2.9980E-05 1.2388E-04
8차계수(C) 1.0812E-07 -4.1264E-07 -1.1118E-06 1.0152E-06 9.2546E-07
10차계수(D) 1.8839E-08 -4.1192E-08 1.0494E-08 1.6242E-08 -2.7561E-07
12차계수(E) -2.9976E-09 -1.8970E-09 -1.1437E-08 3.8515E-08
14차계수(F) 1.8933E-08
16차계수(G) -7.4731E-10
18차계수(H)
20차계수(J)
22차계수(L)
24차계수(M)
26차계수(N)
28차계수(O)
30차계수(P)
S6 S7 S8 S9 S10
코닉상수(K) -79.626 -53.239 -0.398 -0.772 4.202
4차계수(A) 1.2688E-03 -5.8130E-06 -6.4395E-03 -2.2797E-03 -5.5483E-03
6차계수(B) -6.5968E-06 -3.2146E-06 -4.4962E-03 -1.3553E-03 1.5155E-03
8차계수(C) 2.7910E-06 -1.0300E-06 1.6660E-02 -1.7887E-03 -1.2545E-02
10차계수(D) 6.6337E-07 -2.4469E-07 -4.1238E-02 8.2683E-03 3.3706E-02
12차계수(E) -2.3681E-09 -2.5055E-08 7.0713E-02 -1.1334E-02 -5.7117E-02
14차계수(F) -3.6719E-09 -8.4605E-02 6.1491E-03 6.5800E-02
16차계수(G) -4.0976E-10 7.1632E-02 2.0007E-03 -5.3301E-02
18차계수(H) -6.8742E-23 -4.3346E-02 -5.5646E-03 3.0799E-02
20차계수(J) 2.2059E-24 1.8769E-02 4.1875E-03 -1.2733E-02
22차계수(L) -5.7581E-03 -1.7844E-03 3.7338E-03
24차계수(M) 1.2200E-03 4.7373E-04 -7.5795E-04
26차계수(N) -1.6956E-04 -7.7785E-05 1.0124E-04
28차계수(O) 1.3896E-05 7.2550E-06 -8.0024E-06
30차계수(P) -5.0867E-07 -2.9463E-07 2.8355E-07
또한, 이와 같이 구성된 촬상 광학계는 도 4에 도시된 수차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300)는 제1 렌즈(310), 제2 렌즈(320), 제3 렌즈(330), 제4 렌즈(340) 및 제5 렌즈(350)를 포함하고, 필터(360) 및 이미지 센서(IS)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촬상면(370)에 초점을 형성할 수 있다. 촬상면(370)은 촬상 광학계에 의해 초점이 형성되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 촬상면(370)은 광이 수광되는 이미지 센서(IS)의 일면을 의미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촬상 광학계는 제1 렌즈(310)의 전방에 배치되고, 광 경로를 변화시키는 반사면을 갖는 반사부재(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반사부재(R)는 프리즘일 수 있으나, 미러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각 렌즈의 렌즈 특성(곡률 반지름(Radius), 렌즈의 두께(Thickness) 또는 렌즈들 간의 거리(Distance), 굴절률(Index), 아베수(Abbe수), 초점거리(Focal length) 등)은 표 5와 같다.
면 번호 비고 곡률반경 두께 또는 거리 굴절률 아베수 초점거리 장축유효반경 단축유효반경
S1 제1 렌즈 6.221 2.000 1.537 55.7 9.3057 3.8 2.7
S2 -22.584 0.272 3.692 2.7
S3 제2 렌즈 51.739 1.108 1.646 23.5 -10.471 3.485 2.7
S4 5.928 2.500 3.086 2.7
S5 제3 렌즈 5.169 1.626 1.668 20.4 6.2416 2.776
S6 -18.893 0.115 2.556
S7 제4 렌즈 -11.431 0.518 1.646 23.5 -4.3086 2.555
S8 3.741 1.911 2.222
S9 제5 렌즈 5.723 0.800 1.546 56.0 15.7952 2.2
S10 16.154 3.000 2.295
S11 필터 Infinity 0.110 1.518 64.2 2.842
S12 Infinity 5.422 2.855
S13 촬상면 Infinity
한편,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전체 초점거리(f)는 19 mm이고, 2×IMG HT는 7.06 mm이고, f12는 29.97 mm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제1 렌즈(31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1 렌즈(310)의 제1 면과 제2 면은 볼록한 형상이다.
제2 렌즈(32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2 렌즈(320)의 제1 면은 볼록한 형상이고, 제2 렌즈(320)의 제2 면은 오목한 형상이다.
제3 렌즈(33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3 렌즈(330)의 제1 면과 제2 면은 볼록한 형상이다.
제4 렌즈(34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4 렌즈(340)의 제1 면과 제2 면은 오목한 형상이다.
제5 렌즈(35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5 렌즈(350)의 제1 면은 볼록한 형상이고, 제5 렌즈(350)의 제2 면은 오목한 형상이다.
한편, 제1 렌즈(310) 내지 제5 렌즈(350)의 각 면은 표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비구면 계수를 가진다. 예를 들어, 제1 렌즈(310) 내지 제5 렌즈(350)의 물체측 면 및 상측 면은 모두 비구면이다.
S1 S2 S3 S4 S5
코닉상수(K) -0.781 -55.384 89.093 0.035 0.134
4차계수(A) 1.6007E-04 6.4000E-05 -1.0648E-03 -2.6005E-03 -1.9859E-03
6차계수(B) -3.8737E-07 2.2961E-07 7.3000E-05 9.6000E-05 7.0000E-05
8차계수(C) 4.9375E-08 1.1731E-07 -1.0000E-06 -3.0000E-06 -1.0000E-05
10차계수(D) -1.9560E-08 1.2231E-08 2.6311E-10 4.9934E-07 3.0000E-06
12차계수(E) -2.9549E-09 3.7294E-11 -5.1067E-09 -5.9284E-08 1.0815E-07
14차계수(F) 2.5129E-10 -4.8113E-11 1.4487E-10 -9.0134E-09 -1.3629E-08
16차계수(G) 5.5139E-12 -4.7541E-12 1.6260E-11 1.5813E-09 -2.1511E-09
18차계수(H) -3.1887E-13 -2.9947E-13 -4.1767E-12 -8.8132E-11 -8.6230E-10
20차계수(J) -2.5505E-14 1.8928E-14 2.3953E-13 2.5032E-12 1.1011E-10
S6 S7 S8 S9 S10
코닉상수(K) -49.033 -2.889 -0.071 -0.258 39.477
4차계수(A) -1.5122E-03 2.1355E-04 -4.4021E-03 -5.0551E-03 -4.3883E-03
6차계수(B) 3.0970E-04 3.3000E-05 2.0541E-04 -4.0297E-04 -4.5389E-04
8차계수(C) -1.7000E-05 6.0000E-06 -6.2000E-05 8.8000E-05 -2.3640E-05
10차계수(D) 4.0000E-06 1.0000E-06 1.3000E-05 -2.7000E-05 5.6783E-06
12차계수(E) 1.6556E-07 3.4980E-08 -1.0000E-06 1.0000E-06 -9.5464E-07
14차계수(F) -5.9170E-08 -6.5170E-09 3.9381E-07 1.0000E-06 -4.1635E-07
16차계수(G) -1.1099E-08 -1.1190E-09 -4.3922E-08 -5.3364E-08 6.8765E-08
18차계수(H) -2.6547E-10 -7.1429E-09 -1.1038E-08 9.4030E-09
20차계수(J) 2.2903E-10 1.1927E-09 1.2553E-09 -1.8879E-09
또한, 이와 같이 구성된 촬상 광학계는 도 6에 도시된 수차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400)는 제1 렌즈(410), 제2 렌즈(420), 제3 렌즈(430), 제4 렌즈(440) 및 제5 렌즈(450)를 포함하고, 필터(460) 및 이미지 센서(IS)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촬상면(470)에 초점을 형성할 수 있다. 촬상면(470)은 촬상 광학계에 의해 초점이 형성되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 촬상면(470)은 광이 수광되는 이미지 센서(IS)의 일면을 의미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촬상 광학계는 제1 렌즈(410)의 전방에 배치되고, 광 경로를 변화시키는 반사면을 갖는 반사부재(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서 반사부재(R)는 프리즘일 수 있으나, 미러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각 렌즈의 렌즈 특성(곡률 반지름(Radius), 렌즈의 두께(Thickness) 또는 렌즈들 간의 거리(Distance), 굴절률(Index), 아베수(Abbe수), 초점거리(Focal length) 등)은 표 7과 같다.
면 번호 비고 곡률반경 두께 또는 거리 굴절률 아베수 초점거리 장축유효반경 단축유효반경
S1 제1 렌즈 6.205 2.300 1.537 55.7 11.623 3.8 2.7
S2 1048.652 0.100 3.692 2.7
S3 제2 렌즈 137.578 0.960 1.644 23.5 -12.524 3.485 2.7
S4 7.598 3.177 3.086 2.7
S5 제3 렌즈 7.108 1.256 1.667 20.4 8.182 2.776
S6 -21.779 0.100 2.556
S7 제4 렌즈 12.557 1.000 1.644 23.5 -5.258 2.555
S8 2.584 0.480 2.222
S9 제5 렌즈 3.445 0.769 1.546 56.0 11.468 2.2
S10 7.058 3.000 2.295
S11 필터 Infinity 0.110 1.518 64.2 2.842
S12 Infinity 6.909 2.855
S13 촬상면 Infinity
한편,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전체 초점거리(f)는 19 mm이고, 2×IMG HT는 7.06 mm이고, f12는 46.582 mm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서, 제1 렌즈(41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1 렌즈(410)의 제1 면은 볼록한 형상이고, 제1 렌즈(410)의 제2 면은 오목한 형상이다.
제2 렌즈(42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2 렌즈(420)의 제1 면은 볼록한 형상이고, 제2 렌즈(420)의 제2 면은 오목한 형상이다.
제3 렌즈(43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3 렌즈(430)의 제1 면과 제2 면은 볼록한 형상이다.
제4 렌즈(44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4 렌즈(440)의 제1 면은 볼록한 형상이고, 제4 렌즈(440)의 제2 면은 오목한 형상이다.
제5 렌즈(45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5 렌즈(450)의 제1 면은 볼록한 형상이고, 제5 렌즈(450)의 제2 면은 오목한 형상이다.
한편, 제1 렌즈(410) 내지 제5 렌즈(450)의 각 면은 표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비구면 계수를 가진다. 예를 들어, 제1 렌즈(410) 내지 제5 렌즈(450)의 물체측 면 및 상측 면은 모두 비구면이다.
S1 S2 S3 S4 S5
코닉상수(K) -0.608 -99.000 -17.650 -1.620 -1.109
4차계수(A) 2.0560E-04 1.0000E-05 -8.9824E-04 -7.2021E-04 -4.3234E-04
6차계수(B) -1.0000E-06 8.0000E-06 5.7000E-05 2.9000E-05 1.3765E-04
8차계수(C) 2.9688E-08 -1.0000E-06 -1.0000E-06 1.0000E-06 2.0000E-06
10차계수(D) 1.5127E-08 -4.5158E-08 3.5899E-09 -9.6431E-08 -3.6858E-07
12차계수(E) -3.2768E-09 -1.4913E-09 -1.2025E-09 -1.7510E-08 -1.7722E-08
14차계수(F) 5.4992E-11 6.9746E-10 5.9832E-09
16차계수(G) -4.4108E-10
18차계수(H)
20차계수(J)
S6 S7 S8 S9 S10
코닉상수(K) 0.000 -14.735 -0.574 -1.086 6.456
4차계수(A) 1.2040E-03 -1.7781E-03 -8.9175E-03 -5.7312E-03 -7.3192E-03
6차계수(B) -2.1000E-05 -6.6000E-05 5.9996E-04 -1.3809E-04 -1.5482E-03
8차계수(C) -1.0000E-06 -1.2000E-05 -4.5000E-05 2.9555E-04 1.2452E-03
10차계수(D) 3.4911E-07 1.7623E-07 4.0000E-06 3.5000E-05 -6.5252E-04
12차계수(E) -6.7380E-08 3.1284E-08 -2.0000E-06 -1.1261E-04 1.8872E-04
14차계수(F) 1.5971E-09 -5.1144E-09 2.1033E-07 5.7000E-05 -2.5544E-05
16차계수(G) 9.1872E-10 -4.2323E-08 -1.4000E-05 -5.0111E-07
18차계수(H) 1.8532E-11 -2.6924E-09 2.0000E-06 5.0487E-07
20차계수(J) -4.5634E-12 9.5778E-10 -8.3872E-08 -3.8791E-08
또한, 이와 같이 구성된 촬상 광학계는 도 8에 도시된 수차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500)는 제1 렌즈(510), 제2 렌즈(520), 제3 렌즈(530), 제4 렌즈(540) 및 제5 렌즈(550)를 포함하고, 필터(560) 및 이미지 센서(IS)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촬상면(570)에 초점을 형성할 수 있다. 촬상면(570)은 촬상 광학계에 의해 초점이 형성되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 촬상면(570)은 광이 수광되는 이미지 센서(IS)의 일면을 의미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촬상 광학계는 제1 렌즈(510)의 전방에 배치되고, 광 경로를 변화시키는 반사면을 갖는 반사부재(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서 반사부재(R)는 프리즘일 수 있으나, 미러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각 렌즈의 렌즈 특성(곡률 반지름(Radius), 렌즈의 두께(Thickness) 또는 렌즈들 간의 거리(Distance), 굴절률(Index), 아베수(Abbe수), 초점거리(Focal length) 등)은 표 9와 같다.
면 번호 비고 곡률반경 두께 또는 거리 굴절률 아베수 초점거리 장축유효반경 단축유효반경
S1 제1 렌즈 4.889 2.000 1.546 56.0 7.8886 3.2 2.5
S2 -30.844 0.100 3.045 2.5
S3 제2 렌즈 55.102 1.117 1.644 23.5 -11.659 2.913 2.5
S4 6.556 2.104 2.449 2.5
S5 제3 렌즈 11.411 0.929 1.570 37.4 244.494 2.235
S6 12.062 0.497 2.097
S7 제4 렌즈 -7.126 0.715 1.677 19.2 47.1996 2.097
S8 -6.062 1.550 2.210
S9 제5 렌즈 19.884 0.989 1.537 55.7 -20.068 2.652
S10 6.864 0.733 2.481
S11 필터 Infinity 0.110 1.518 64.2 2.609
S12 Infinity 5.131 2.623
S13 촬상면 Infinity
한편,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전체 초점거리(f)는 17 mm이고, 2×IMG HT는 7.06 mm이고, f12는 15.891 mm이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서, 제1 렌즈(51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1 렌즈(510)의 제1 면과 제2 면은 볼록한 형상이다.
제2 렌즈(52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2 렌즈(520)의 제1 면은 볼록한 형상이고, 제2 렌즈(520)의 제2 면은 오목한 형상이다.
제3 렌즈(53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3 렌즈(530)의 제1 면은 볼록한 형상이고, 제3 렌즈(530)의 제2 면은 오목한 형상이다.
제4 렌즈(54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4 렌즈(540)의 제1 면은 오목한 형상이고, 제4 렌즈(540)의 제2 면은 볼록한 형상이다.
제5 렌즈(55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5 렌즈(550)의 제1 면은 볼록한 형상이고, 제5 렌즈(550)의 제2 면은 오목한 형상이다.
한편, 제1 렌즈(510) 내지 제5 렌즈(550)의 각 면은 표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비구면 계수를 가진다. 예를 들어, 제1 렌즈(510) 내지 제5 렌즈(550)의 물체측 면 및 상측 면은 모두 비구면이다.
S1 S2 S3 S4 S5
코닉상수(K) -1.128 5.262 -87.373 0.125 -18.142
4차계수(A) 7.8362E-04 -3.7559E-03 -3.1766E-03 -3.1573E-04 -1.8491E-03
6차계수(B) -1.3616E-04 5.1917E-03 3.7810E-03 -1.4224E-06 -3.4988E-05
8차계수(C) 2.9111E-04 -3.8609E-03 -2.4429E-03 -4.1557E-06 2.4689E-05
10차계수(D) -2.4944E-04 1.9265E-03 8.8834E-04 -1.9509E-07 2.4367E-06
12차계수(E) 1.2963E-04 -6.8015E-04 -1.2612E-04 2.2367E-08 2.2573E-07
14차계수(F) -4.5221E-05 1.7321E-04 -4.1514E-05 -1.0640E-08 -1.3787E-08
16차계수(G) 1.1058E-05 -3.2061E-05 2.8502E-05 -3.8336E-10 -1.0665E-08
18차계수(H) -1.9352E-06 4.3140E-06 -8.1332E-06 2.0586E-10 3.0933E-11
20차계수(J) 2.4380E-07 -4.1835E-07 1.4380E-06 4.3010E-12 5.0819E-10
22차계수(L) -2.1938E-08 2.8637E-08 -1.6965E-07
24차계수(M) 1.3755E-09 -1.3294E-09 1.3429E-08
26차계수(N) -5.7082E-11 3.8810E-11 -6.8724E-10
28차계수(O) 1.4087E-12 -6.0975E-13 2.0596E-11
30차계수(P) -1.5644E-14 3.3802E-15 -2.7490E-13
S6 S7 S8 S9 S10
코닉상수(K) -2.034 -0.085 -0.702 56.709 -10.540
4차계수(A) -1.4821E-03 3.9357E-03 5.4656E-04 -2.0639E-02 -1.4630E-02
6차계수(B) -1.1320E-02 -9.4654E-03 1.3061E-05 3.3183E-03 4.0414E-03
8차계수(C) 2.9244E-02 2.3992E-02 -1.7180E-05 -2.1900E-03 -3.6592E-03
10차계수(D) -4.7592E-02 -4.1223E-02 -5.1951E-06 1.1988E-03 3.1884E-03
12차계수(E) 5.0560E-02 4.7368E-02 -7.3549E-07 -4.2966E-04 -2.0462E-03
14차계수(F) -3.5905E-02 -3.7452E-02 -5.1680E-08 9.6077E-05 9.5264E-04
16차계수(G) 1.7110E-02 2.0752E-02 -1.7297E-09 -1.3011E-05 -3.2264E-04
18차계수(H) -5.2979E-03 -8.1115E-03 1.0170E-09 9.8065E-07 7.9442E-05
20차계수(J) 9.3377E-04 2.2199E-03 3.9230E-10 -3.1686E-08 -1.4131E-05
22차계수(L) -3.0979E-05 -4.1433E-04 1.7896E-06
24차계수(M) -2.5822E-05 4.9719E-05 -1.5684E-07
26차계수(N) 6.1766E-06 -3.3462E-06 9.0183E-09
28차계수(O) -6.1923E-07 7.8088E-08 -3.0548E-10
30차계수(P) 2.4521E-08 1.9251E-09 4.6134E-12
또한, 이와 같이 구성된 촬상 광학계는 도 10에 도시된 수차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600)는 제1 렌즈(610), 제2 렌즈(620), 제3 렌즈(630), 제4 렌즈(640) 및 제5 렌즈(650)를 포함하고, 필터(660) 및 이미지 센서(IS)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촬상면(670)에 초점을 형성할 수 있다. 촬상면(670)은 촬상 광학계에 의해 초점이 형성되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 촬상면(670)은 광이 수광되는 이미지 센서(IS)의 일면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촬상 광학계는 제1 렌즈(610)의 전방에 배치되고, 광 경로를 변화시키는 반사면을 갖는 반사부재(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서 반사부재(R)는 프리즘일 수 있으나, 미러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각 렌즈의 렌즈 특성(곡률 반지름(Radius), 렌즈의 두께(Thickness) 또는 렌즈들 간의 거리(Distance), 굴절률(Index), 아베수(Abbe수), 초점거리(Focal length) 등)은 표 11과 같다.
면 번호 비고 곡률반경 두께 또는 거리 굴절률 아베수 초점거리 장축유효반경 단축유효반경
S1 제1 렌즈 4.880 2.000 1.537 55.7 8.8964 3.269 2.5
S2 -188.019 0.100 3.077 2.5
S3 제2 렌즈 90.059 0.800 1.646 23.5 -9.5088 2.978 2.5
S4 5.727 1.991 2.594 2.5
S5 제3 렌즈 4.453 0.800 1.668 20.4 8.0435 2.335
S6 24.092 0.168 2.244
S7 제4 렌즈 22.429 0.326 1.646 23.5 -6.5567 2.183
S8 3.540 0.820 1.974
S9 제5 렌즈 3.294 0.800 1.547 56.1 19.7697 1.85
S10 4.333 5.000 1.846
S11 필터 Infinity 0.110 1.518 64.2 2.850
S12 Infinity 3.898 2.865
S13 촬상면 Infinity
한편,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전체 초점거리(f)는 17 mm이고, 2×IMG HT는 7.06 mm이고, f12는 33.747 mm이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서, 제1 렌즈(61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1 렌즈(610)의 제1 면과 제2 면은 볼록한 형상이다.
제2 렌즈(62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2 렌즈(620)의 제1 면은 볼록한 형상이고, 제3 렌즈(620)의 제2 면은 오목한 형상이다.
제3 렌즈(63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3 렌즈(630)의 제1 면은 볼록한 형상이고, 제3 렌즈(630)의 제2 면은 오목한 형상이다.
제4 렌즈(64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4 렌즈(640)의 제1 면은 볼록한 형상이고, 제4 렌즈(640)의 제2 면은 오목한 형상이다.
제5 렌즈(65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5 렌즈(650)의 제1 면은 볼록한 형상이고, 제5 렌즈(650)의 제2 면은 오목한 형상이다.
한편, 제1 렌즈(610) 내지 제5 렌즈(650)의 각 면은 표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비구면 계수를 가진다. 예를 들어, 제2 렌즈(620)를 제외한 나머지 렌즈들의 물체측 면 및 상측 면은 모두 비구면이다. 그리고, 제2 렌즈(620)의 물체측 면은 비구면이다.
S1 S2 S3 S4 S5
코닉상수(K) -0.609 -46.486 6.679 0.000 0.225
4차계수(A) 3.7620E-04 -8.0000E-05 1.3012E-04 -3.3806E-03
6차계수(B) -7.0000E-06 -2.0000E-06 -1.0000E-06 2.9845E-04
8차계수(C) 4.1307E-07 -1.0000E-06 1.0000E-06 9.0000E-06
10차계수(D) -5.8734E-09 -5.3165E-08 2.5066E-09 3.0000E-06
12차계수(E) -1.3689E-08 -5.3335E-09 -1.0599E-09 1.0000E-06
14차계수(F) -1.5377E-10 -4.3799E-10 -2.8124E-10 -3.0990E-08
16차계수(G) 0.0000E+00 -3.0303E-11 -3.9855E-11 -8.2117E-09
18차계수(H) 0.0000E+00 -1.0194E-12 -1.4372E-12 -2.3064E-09
20차계수(J) 0.0000E+00 2.9293E-13 2.2182E-13 2.6919E-10
코닉상수(K) S6 S7 S8 S9 S10
4차계수(A) 90.471 44.674 -0.225 -2.435 -1.620
6차계수(B) -2.9914E-03 -2.1818E-03 -8.0376E-03 8.5000E-05 1.5284E-03
8차계수(C) 4.3784E-04 2.0000E-05 4.8393E-04 -1.3666E-04 -3.6429E-04
10차계수(D) 5.0000E-06 6.8000E-05 8.0000E-05 -2.4000E-05 -4.0685E-05
12차계수(E) 9.0000E-06 -4.0000E-06 4.0000E-06 4.5000E-05 5.2889E-05
14차계수(F) 1.0000E-06 2.3790E-07 -1.0000E-05 -1.0000E-05 -1.1274E-05
16차계수(G) -2.9173E-07 -3.5690E-07 2.0000E-06 -1.3069E-15 -4.2608E-16
18차계수(H) -8.1206E-08 -5.2376E-08 -1.6641E-07 -4.6191E-17 -4.1562E-17
20차계수(J) -6.8270E-09 -8.6691E-09 1.6599E-09 -2.0003E-18 -2.4078E-18
22차계수(L) 2.3064E-09 3.3013E-09 1.0462E-09 -1.3966E-19 -1.4770E-19
또한, 이와 같이 구성된 촬상 광학계는 도 12에 도시된 수차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700)는 제1 렌즈(710), 제2 렌즈(720), 제3 렌즈(730), 제4 렌즈(740) 및 제5 렌즈(750)를 포함하고, 필터(760) 및 이미지 센서(IS)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촬상면(770)에 초점을 형성할 수 있다. 촬상면(770)은 촬상 광학계에 의해 초점이 형성되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 촬상면(770)은 광이 수광되는 이미지 센서(IS)의 일면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촬상 광학계는 제1 렌즈(710)의 전방에 배치되고, 광 경로를 변화시키는 반사면을 갖는 반사부재(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서 반사부재(R)는 프리즘일 수 있으나, 미러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각 렌즈의 렌즈 특성(곡률 반지름(Radius), 렌즈의 두께(Thickness) 또는 렌즈들 간의 거리(Distance), 굴절률(Index), 아베수(Abbe수), 초점거리(Focal length) 등)은 표 13과 같다.
면 번호 비고 곡률반경 두께 또는 거리 굴절률 아베수 초점거리 장축유효반경 단축유효반경
S1 제1 렌즈 4.983 2.212 1.546 56.0 7.9371 3.5 2.5
S2 -27.962 0.111 3.286 2.5
S3 제2 렌즈 91.623 0.887 1.644 23.5 -11.262 3.071 2.5
S4 6.696 2.056 2.600 2.5
S5 제3 렌즈 10.971 0.519 1.570 37.4 -179.63 2.194
S6 9.738 2.098 2.097
S7 제4 렌즈 4.939 0.672 1.677 19.2 40.9355 2.1
S8 5.680 1.225 2.028
S9 제5 렌즈 17.705 0.800 1.537 55.7 -23.393 2.128
S10 7.229 0.733 2.329
S11 필터 Infinity 0.110 1.518 64.2 2.493
S12 Infinity 4.443 2.510
S13 촬상면 Infinity
한편,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전체 초점거리(f)는 17 mm이고, 2×IMG HT는 7.06 mm이고, f12는 16.98 mm이다.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서, 제1 렌즈(71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1 렌즈(710)의 제1 면과 제2 면은 볼록한 형상이다.
제2 렌즈(72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2 렌즈(720)의 제1 면은 볼록한 형상이고, 제2 렌즈(720)의 제2 면은 오목한 형상이다.
제3 렌즈(73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3 렌즈(730)의 제1 면은 볼록한 형상이고, 제3 렌즈(730)의 제2 면은 오목한 형상이다.
제4 렌즈(74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4 렌즈(740)의 제1 면은 볼록한 형상이고, 제4 렌즈(740)의 제2 면은 오목한 형상이다.
제5 렌즈(75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5 렌즈(750)의 제1 면은 볼록한 형상이고, 제5 렌즈(750)의 제2 면은 오목한 형상이다.
한편, 제1 렌즈(710) 내지 제5 렌즈(750)의 각 면은 표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비구면 계수를 가진다. 예를 들어, 제1 렌즈(710) 내지 제5 렌즈(750)의 물체측 면 및 상측 면은 모두 비구면이다.
S1 S2 S3 S4 S5
코닉상수(K) -1.142 -1.075 99.000 0.205 -15.050
4차계수(A) 8.5020E-04 -3.2474E-03 -3.3525E-03 -2.8010E-04 -1.8126E-03
6차계수(B) -8.2781E-05 3.5520E-03 3.2501E-03 2.2461E-06 -6.0792E-05
8차계수(C) 8.4235E-05 -1.2645E-03 -1.0855E-03 -3.7972E-06 1.8008E-05
10차계수(D) -3.8283E-05 -5.2655E-04 -7.0859E-04 -1.9754E-07 1.3674E-06
12차계수(E) 8.8381E-06 7.9920E-04 9.7805E-04 1.4772E-08 8.7465E-08
14차계수(F) -5.2354E-07 -4.2346E-04 -5.3218E-04 -1.2311E-08 -3.1404E-08
16차계수(G) -2.8317E-07 1.3449E-04 1.7619E-04 -6.3601E-10 -1.3545E-08
18차계수(H) 9.3413E-08 -2.8546E-05 -3.9154E-05 1.7583E-10 -6.3923E-10
20차계수(J) -1.4575E-08 4.2014E-06 6.0432E-06 1.7069E-12 3.2342E-10
22차계수(L) 1.3778E-09 -4.3156E-07 -6.5142E-07
24차계수(M) -8.1852E-11 3.0420E-08 4.8198E-08
26차계수(N) 2.9484E-12 -1.4042E-09 -2.3357E-09
28차계수(O) -5.7271E-14 3.8262E-11 6.6812E-11
30차계수(P) 4.3254E-16 -4.6677E-13 -8.5568E-13
S6 S7 S8 S9 S10
코닉상수(K) -3.013 -0.484 0.085 42.335 -14.390
4차계수(A) -3.0024E-03 -5.7610E-04 -2.2379E-03 -2.0977E-02 -1.3897E-02
6차계수(B) -7.1550E-03 -8.5291E-06 3.4551E-03 3.2932E-03 4.3088E-03
8차계수(C) 2.4619E-02 2.6626E-05 -1.0208E-02 -2.2110E-03 -4.6580E-03
10차계수(D) -4.6979E-02 7.1139E-06 2.0694E-02 1.2116E-03 4.3947E-03
12차계수(E) 5.6747E-02 9.1986E-07 -2.7827E-02 -4.2492E-04 -2.9932E-03
14차계수(F) -4.6233E-02 4.6771E-08 2.5601E-02 9.6126E-05 1.4753E-03
16차계수(G) 2.6377E-02 -3.9421E-09 -1.6496E-02 -1.3183E-05 -5.2769E-04
18차계수(H) -1.0748E-02 -1.8591E-09 7.5583E-03 9.5323E-07 1.3690E-04
20차계수(J) 3.1469E-03 -2.2488E-10 -2.4731E-03 -2.5186E-08 -2.5600E-05
22차계수(L) -6.5700E-04 5.7334E-04 3.3971E-06
24차계수(M) 9.5450E-05 -9.1917E-05 -3.1061E-07
26차계수(N) -9.1681E-06 9.6872E-06 1.8536E-08
28차계수(O) 5.2328E-07 -6.0357E-07 -6.4802E-10
30차계수(P) -1.3435E-08 1.6842E-08 1.0044E-11
또한, 이와 같이 구성된 촬상 광학계는 도 14에 도시된 수차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800)는 제1 렌즈(810), 제2 렌즈(820), 제3 렌즈(830), 제4 렌즈(840) 및 제5 렌즈(850) 포함하고, 필터(860) 및 이미지 센서(IS)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촬상면(870)에 초점을 형성할 수 있다. 촬상면(870)은 촬상 광학계에 의해 초점이 형성되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 촬상면(870)은 광이 수광되는 이미지 센서(IS)의 일면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촬상 광학계는 제1 렌즈(810)의 전방에 배치되고, 광 경로를 변화시키는 반사면을 갖는 반사부재(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서 반사부재(R)는 프리즘일 수 있으나, 미러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각 렌즈의 렌즈 특성(곡률 반지름(Radius), 렌즈의 두께(Thickness) 또는 렌즈들 간의 거리(Distance), 굴절률(Index), 아베수(Abbe수), 초점거리(Focal length) 등)은 표 15와 같다.
면 번호 비고 곡률반경 두께 또는 거리 굴절률 아베수 초점거리 장축유효반경 단축유효반경
S1 제1 렌즈 5.089 2.154 1.546 56.0 7.3786 3.35 2.7
S2 -15.200 0.106 3.201 2.7
S3 제2 렌즈 -53.380 0.946 1.639 23.5 -8.0567 3.056 2.7
S4 5.787 1.795 2.612 2.7
S5 제3 렌즈 5.332 1.230 1.671 19.2 6.20891 2.341
S6 -18.004 0.112 2.184
S7 제4 렌즈 -16.719 0.782 1.639 23.5 -4.625 2.114
S8 3.691 1.658 1.74
S9 제5 렌즈 4.508 0.529 1.544 56.0 26.9261 1.96
S10 6.233 6.328 1.995
S11 필터 Infinity 0.110 1.518 64.2 4
S12 Infinity 1.300 4
S13 촬상면 Infinity
한편,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전체 초점거리(f)는 18 mm이고, 2×IMG HT는 7.056 mm이고, f12는 22.919 mm이다.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서, 제1 렌즈(81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1 렌즈(810)의 제1 면과 제2 면은 볼록한 형상이다.
제2 렌즈(82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2 렌즈(820)의 제1 면과 제2 면은 오목한 형상이다.
제3 렌즈(83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3 렌즈(830)의 제1 면과 제2 면은 볼록한 형상이다.
제4 렌즈(84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4 렌즈(840)의 제1 면과 제2 면은 오목한 형상이다.
제5 렌즈(85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5 렌즈(850)의 제1 면은 볼록한 형상이고, 제5 렌즈(850)의 제2 면은 오목한 형상이다.
한편, 제1 렌즈(810) 내지 제5 렌즈(850)의 각 면은 표 1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비구면 계수를 가진다. 예를 들어, 제1 렌즈(810) 내지 제5 렌즈(850)의 물체측 면 및 상측 면은 모두 비구면이다.
S1 S2 S3 S4 S5
코닉상수(K) -0.503 -25.513 35.056 -2.273 -0.793
4차계수(A) 2.5184E-04 1.4614E-04 -8.5466E-04 -5.0397E-04 -2.2790E-04
6차계수(B) 9.7340E-06 1.3326E-05 8.2573E-05 7.7641E-05 5.8281E-05
8차계수(C) 1.1499E-07 -1.1989E-06 -1.0511E-06 2.0087E-06 4.9486E-06
10차계수(D) -1.3579E-08 -7.8332E-08 7.3577E-08 2.3508E-07 -2.2206E-06
12차계수(E) -9.5188E-09 -6.4189E-09 -4.2648E-09 7.2646E-08 1.0428E-07
14차계수(F) -2.8729E-11 -4.2560E-10 3.1548E-10 2.6812E-09 4.0367E-08
16차계수(G) 1.5403E-11 2.0914E-11 1.4603E-11 -6.9689E-10 -8.5377E-10
18차계수(H) -4.2213E-13 -1.9370E-12 1.6117E-12 -6.3728E-11 -1.3107E-09
20차계수(J) -5.3462E-13 1.9862E-14 4.9327E-14 6.5871E-12 2.0463E-10
22차계수(L) 1.3778E-09 -4.3156E-07 -6.5142E-07
24차계수(M) -8.1852E-11 3.0420E-08 4.8198E-08
26차계수(N) 2.9484E-12 -1.4042E-09 -2.3357E-09
28차계수(O) -5.7271E-14 3.8262E-11 6.6812E-11
30차계수(P) 4.3254E-16 -4.6677E-13 -8.5568E-13
S6 S7 S8 S9 S10
코닉상수(K) -39.191 -60.322 0.476 -7.436 -9.259
4차계수(A) 1.3381E-04 4.6690E-04 -2.3283E-03 -1.1434E-03 -4.9976E-03
6차계수(B) -7.9887E-06 2.8513E-05 -7.1264E-04 -7.2830E-04 -2.3047E-04
8차계수(C) -2.1787E-06 1.0078E-06 2.2908E-03 1.7912E-04 1.6093E-04
10차계수(D) -4.1734E-07 3.2010E-08 -2.2196E-03 -1.7907E-06 -5.1564E-05
12차계수(E) 1.4948E-07 2.6330E-07 1.3424E-03 9.9832E-07 1.2463E-05
14차계수(F) 3.2988E-08 4.8723E-08 -5.0845E-04 1.5078E-06 7.7354E-07
16차계수(G) 3.8295E-09 -9.3002E-09 1.1807E-04 -3.1364E-07 -1.1341E-07
18차계수(H) -1.5348E-05 2.3409E-08 -7.8189E-08
20차계수(J) 8.5147E-07 -2.5995E-09 1.0152E-08
22차계수(L) -6.5700E-04 5.7334E-04 3.3971E-06
24차계수(M) 9.5450E-05 -9.1917E-05 -3.1061E-07
26차계수(N) -9.1681E-06 9.6872E-06 1.8536E-08
28차계수(O) 5.2328E-07 -6.0357E-07 -6.4802E-10
30차계수(P) -1.3435E-08 1.6842E-08 1.0044E-11
또한, 이와 같이 구성된 촬상 광학계는 도 16에 도시된 수차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10, 210, 310, 410, 510, 610, 710, 810: 제1 렌즈
120, 220, 320, 420, 520, 620, 720, 820: 제2 렌즈
130, 230, 330, 430, 530, 630, 730, 830: 제3 렌즈
140, 240, 340, 440, 540, 640, 740, 840: 제4 렌즈
150, 250, 350, 450, 550, 650, 750, 850: 제5 렌즈
160, 260, 360, 460, 560, 660, 760, 860: 필터
170, 270, 370, 470, 570, 670, 770, 870: 촬상면

Claims (16)

  1.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배치된,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1 렌즈;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2 렌즈;
    굴절력을 갖는 제3 렌즈;
    굴절력을 갖는 제4 렌즈; 및
    굴절력을 갖는 제5 렌즈;를 포함하고,
    2.0 < f/(2×IMG HT) < 3.0 및 0.16 < D2/|f2| < 0.3을 만족하고, f는 상기 제1 렌즈 내지 상기 제5 렌즈의 전체 초점거리이고, IMG HT는 촬상면의 대각길이의 절반이고, D2는 상기 제2 렌즈의 상측 면으로부터 상기 제3 렌즈의 물체측 면까지의 광축 상 거리이고, f2는 상기 제2 렌즈의 초점거리인 촬상 광학계.
  2. 제1항에 있어서,
    1.7 mm < D2 < 3.5 mm 을 만족하는 촬상 광학계.
  3. 제1항에 있어서,
    0.9 < f12/f < 2.5 를 만족하고, f12는 상기 제1 렌즈와 상기 제2 렌즈의 합성 초점거리인 촬상 광학계.
  4. 제3항에 있어서,
    7.0 < f12/D2 < 17.0 을 만족하는 촬상 광학계.
  5. 제1항에 있어서,
    0.6 < |f1|/|f2| < 1.0 을 만족하고, f1은 상기 제1 렌즈의 초점거리인 촬상 광학계.
  6. 제1항에 있어서,
    0.8 < TTL/f < 1.2 을 만족하고, TTL은 상기 제1 렌즈의 물체측 면으로부터 상기 촬상면까지의 광축 상 거리인 촬상 광학계.
  7. 제6항에 있어서,
    0.7 < BFL/(2×IMG HT) < 1.5 을 만족하고, BFL은 상기 제5 렌즈의 상측 면으로부터 상기 촬상면까지의 광축 상 거리인 촬상 광학계.
  8. 제6항에 있어서,
    0.3 < BFL/TTL < 0.6 및 0.4 < TD/TTL < 0.7 중 적어도 하나를 만족하고, BFL은 상기 제5 렌즈의 상측 면으로부터 상기 촬상면까지의 광축 상 거리이고, TD는 상기 제1 렌즈의 물체측 면으로부터 상기 제5 렌즈의 상기 상측 면까지의 광축 상 거리인 촬상 광학계.
  9. 제1항에 있어서,
    4.5 < n2+n3+n4 < 5.0 을 만족하고, n2는 상기 제2 렌즈의 굴절률이고, n3은 상기 제3 렌즈의 굴절률이고, n4는 상기 제4 렌즈의 굴절률인 촬상 광학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렌즈 내지 상기 제4 렌즈의 각 굴절률은, 상기 제1 렌즈의 굴절률 및 상기 제5 렌즈의 굴절률보다 큰 촬상 광학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렌즈 및 상기 제4 렌즈는 각각 굴절률이 1.64 이상인 촬상 광학계.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는 광축에 수직한 제1 축 방향으로의 길이가, 상기 광축과 상기 제1 축 방향에 모두 수직한 제2 축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긴 형상을 갖고,
    2.0 < f/(2×L1S1el) < 2.7 을 만족하며, L1S1el은 상기 제1 렌즈의 물체측 면의 최대 유효 반경인 촬상 광학계.
  13. 제12항에 있어서,
    L1S1el/L1S1es < 1.0 을 만족하고, L1S1es는 상기 제1 렌즈의 상기 물체측 면의 최소 유효 반경인 촬상 광학계.
  14. 제12항에 있어서,
    0.9 < f1/(2×L1S1el) < 2.0 을 만족하고, f1은 상기 제1 렌즈의 초점거리인 촬상 광학계.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렌즈는 상기 제1 축 방향으로의 길이가, 상기 제2 축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긴 형상을 갖고,
    1.0 < L1S1el/L2S1el < 1.2 을 만족하며, L2S1el은 상기 제2 렌즈의 물체측 면의 최대 유효 반경인 촬상 광학계.
  16. 제12항에 있어서,
    1.5 < L1S1el/Min_el < 0.7 을 만족하고, Min_el은 상기 제3 렌즈 내지 상기 제5 렌즈들의 물체측 면의 유효 반경 중에서 가장 작은 값인 촬상 광학계.
KR1020220115665A 2022-09-14 2022-09-14 촬상 광학계 KR20240036966A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5665A KR20240036966A (ko) 2022-09-14 2022-09-14 촬상 광학계
US18/099,539 US20240085672A1 (en) 2022-09-14 2023-01-20 Optical imaging system
TW112200868U TWM642445U (zh) 2022-09-14 2023-02-01 光學成像系統
TW112103377A TWI849714B (zh) 2022-09-14 2023-02-01 光學成像系統
CN202320808845.8U CN219302748U (zh) 2022-09-14 2023-04-11 光学成像系统
CN202310397955.4A CN116165776A (zh) 2022-09-14 2023-04-11 光学成像系统
CN202310383587.8A CN117706727A (zh) 2022-09-14 2023-04-11 光学成像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5665A KR20240036966A (ko) 2022-09-14 2022-09-14 촬상 광학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6966A true KR20240036966A (ko) 2024-03-21

Family

ID=86949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5665A KR20240036966A (ko) 2022-09-14 2022-09-14 촬상 광학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40085672A1 (ko)
KR (1) KR20240036966A (ko)
CN (2) CN117706727A (ko)
TW (2) TWI84971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98872A (zh) * 2018-04-25 2019-11-0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镜头模组及照相机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45365B (zh) * 2015-02-17 2016-08-1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取像鏡頭組、取像裝置及電子裝置
US11852896B2 (en) * 2019-08-30 2023-12-26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Optical imaging system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TWI710794B (zh) * 2020-03-30 2020-11-2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成像用光學透鏡組、取像裝置及電子裝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849714B (zh) 2024-07-21
CN219302748U (zh) 2023-07-04
CN117706727A (zh) 2024-03-15
TW202411714A (zh) 2024-03-16
TWM642445U (zh) 2023-06-11
US20240085672A1 (en) 2024-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7125B1 (ko) 촬상 광학계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KR101956705B1 (ko) 촬상 광학계
KR20230004415A (ko) 촬상 광학계
KR102632379B1 (ko) 촬상 광학계
KR102041700B1 (ko) 촬상 광학계
KR102409108B1 (ko) 촬상 광학계
KR102597158B1 (ko) 촬상 광학계
KR102586084B1 (ko) 촬상 광학계
KR102483092B1 (ko) 촬상 광학계
KR20220076109A (ko) 촬상 광학계
KR102597164B1 (ko) 촬상 광학계
KR20220137604A (ko) 촬상 광학계
KR20240036966A (ko) 촬상 광학계
KR20220168423A (ko) 촬상 광학계
KR20230079325A (ko) 촬상 광학계
KR102425751B1 (ko) 촬상 광학계
KR20230049403A (ko) 촬상 광학계
KR102662866B1 (ko) 촬상 광학계
KR102620529B1 (ko) 촬상 광학계
KR102410847B1 (ko) 촬상 광학계
KR102314438B1 (ko) 촬상 광학계
KR102388910B1 (ko) 촬상 광학계
KR102348000B1 (ko) 촬상 광학계
KR20240086323A (ko) 촬상 광학계
KR20240086523A (ko) 촬상 광학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