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3054A - 운송장비용 쏠림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운송장비용 쏠림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3054A
KR20220063054A KR1020200148949A KR20200148949A KR20220063054A KR 20220063054 A KR20220063054 A KR 20220063054A KR 1020200148949 A KR1020200148949 A KR 1020200148949A KR 20200148949 A KR20200148949 A KR 20200148949A KR 20220063054 A KR20220063054 A KR 202200630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unit
tilting
geared motor
lea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8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수
Original Assignee
현대강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강전(주) filed Critical 현대강전(주)
Priority to KR1020200148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63054A/ko
Priority to JP2020188968A priority patent/JP2022076426A/ja
Priority to PCT/KR2020/015984 priority patent/WO2022097807A1/ko
Priority to US17/097,414 priority patent/US20220144034A1/en
Publication of KR20220063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30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6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responsiveness, when the vehicle is travelling, to specific motion, a specific condition, or driver inp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52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action on a particular type of suspension unit
    • B60G17/0157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action on a particular type of suspension unit non-fluid unit, e.g. electric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9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or the arrangement thereof
    • B60G17/01933Velocity, e.g. relative velocity-displacement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1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a rectangular shape, involving sidewalls or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06Bumpers;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02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friction br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6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responsiveness, when the vehicle is travelling, to specific motion, a specific condition, or driver input
    • B60G17/0161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responsiveness, when the vehicle is travelling, to specific motion, a specific condition, or driver input mainly during straight-line mo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9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or the arrangement thereof
    • B60G17/01908Acceleration or inclination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10Type of spring
    • B60G2202/12Wound sp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9Ge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23Rails, tubes, or the like, for guiding the movement of suspens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24Mechanisms for force adjustment, e.g. constant force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05Attitu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05Attitude
    • B60G2400/051Angle
    • B60G2400/0511Roll ang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05Attitude
    • B60G2400/051Angle
    • B60G2400/0512Pitch ang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10Acceleration; Decel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25Stroke; Height; Displac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25Stroke; Height; Displacement
    • B60G2400/252Stroke; Height; Displacement vert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80Exterior conditions
    • B60G2400/82Ground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G2401/28Gyrosco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20Spring action or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8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movement or to the condition of the vehicle and to the end result to be achieved by the control action
    • B60G2800/01Attitude or posture control
    • B60G2800/019Inclination due to load distribution or road gradi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8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movement or to the condition of the vehicle and to the end result to be achieved by the control action
    • B60G2800/90System Controller type
    • B60G2800/94Electronic Stability Program (ESP, i.e. ABS+ASC+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6/00Adjustable or convertible 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 B62B2206/06Adjustable or convertible 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adjustable in h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301/00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 B62B2301/20Resilient wheel suspension using spr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andcart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송장비용 쏠림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운송장비의 동력 기관과 화물을 적재하거나 사람을 태울 수 있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가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이송부와, 상기 본체부의 높이, 기울기 및 운동관성에 의한 쏠림과 장애물을 감지하여 신호를 송출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의 신호를 수신하는 컴퓨터가 내장된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본체부의 쏠림과 충격을 감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쏠림감쇄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쏠림감쇄부는, 상기 센서부에 의해 상기 본체부의 쏠림과 장애물이 감지되는 경우, 높이가 가변되어 상기 본체부의 쏠림과 충격이 감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운송장비의 급격한 가속이나 정지 및 급회전 시의 운동관성에 의한 쏠림을 감쇄시켜 운송장비의 무게가 증가함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전복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운송장비용 쏠림방지장치{Pulling compensation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운송장비용 쏠림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운송장비의 주행 중, 관성에 의한 쏠림현상과, 기울기에 의한 차체의 기울어짐과, 지면의 고저차이에 의한 불편 등으로 인한 운송장비의 쏠림현상이 감쇄되고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운송장비용 쏠림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육지의 대부분이 산간지역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경사진 도로가 많이 형성되어 있어 경사에 대응할 수 있는 운송장비나 장치가 필요하다. 또한, 평탄화가 완료된 도로의 경우에도 운송장비의 급회전 및 급정지로 인해 발생되는 쏠림현상에 의하여 전복사고가 일어날 수 있다는 위험이 완전히 해결된 것은 아니다.
일례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413045호(2014.06.23.)에 개시된 내용을 살펴보면, 뒷바퀴가 장착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의자와 상기 고정의자의 상부에 배치되며, 좌판을 구비하는 유동의자와 지면의 경사도가 변화하더라도 상기 좌판이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고정의자로부터 상기 좌판을 유동시키는 수평조절부와 상기 유동의자를 상기 고정의자에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수평조절이 가능한 휠체어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의 경우, 급격한 커브길을 주행함에 따라 발생하는 관성에 의한 쏠림현상이나 경사길을 주행하는 중에도 평형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운송장비의 무게가 증가함에 따라 관성에 의한 전복사고 등과 같은 위험을 방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지면에 형성된 높은 요철, 곡각지점, 다소 깊은 물 웅덩이 및 강한 바람 등(이하 ‘난관’으로 표기함)을 통과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413045호 (2014.06.23.)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자이로센서, 가속도센서 및 높이감지센서를 통해 운송장비의 기울기, 쏠림 및 차체 높이를 감지하고, 상기 자이로센서, 가속도센서 및 높이감지센서의 신호에 따라 운송장비의 차체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운송장비가 전복되지 않고 난관을 지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운송장비용 쏠림방지장치에 있어서, 운송장비의 동력 기관과 화물을 적재하거나 사람을 태울 수 있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가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이송부와, 상기 본체부의 높이, 기울기 및 운동관성에 의한 쏠림과 장애물을 감지하여 신호를 송출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의 신호를 수신하는 컴퓨터가 내장된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본체부의 쏠림과 충격을 감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쏠림감쇄부를 포함하고, 상기 쏠림감쇄부는, 상기 센서부에 의해 상기 본체부의 쏠림과 장애물이 감지되는 경우, 높이가 가변되어 상기 본체부의 쏠림과 충격이 감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운송장비의 동력 기관과 화물을 적재하거나 사람을 태울 수 있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가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이송부와, 상기 본체부의 높이, 기울기 및 운동관성에 의한 쏠림과 장애물을 감지하여 신호를 송출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의 신호를 수신하는 컴퓨터가 내장된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본체부의 쏠림과 충격을 감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쏠림감쇄부를 포함하고, 상기 쏠림감쇄부는,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마련되는 복수개의 기어드모터와, 상기 본체부를 지지하며 완충작용을 하는 완충스프링과, 상기 기어드모터와 연결되며 상기 본체부의 좌우방향으로 마련되어 상기 본체부의 전후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는 부분회전축과, 상기 부분회전축과 연결되는 연결암과, 상기 기어드모터와 부분회전축의 사이에 마련되는 꼬임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쏠림감쇄부는, 상기 센서부에 의해 상기 본체부의 쏠림 및 충격이 감지되는 경우, 높이가 가변되어 상기 본체부의 쏠림이 감쇄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꼬임스프링은, 상기 기어드모터에 의한 동력을 상기 부분회전축으로 전달하며, 상기 기어드모터에 가해지는 갑작스러운 하중이 감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쏠림감쇄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마련되는 복수개의 기어드모터와, 상기 본체부의 타측에 연결되며 상기 기어드모터에 의해 회동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복수개의 연결암과, 상기 본체부와 이송부의 사이에 마련되는 완충스프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스프링부는, 상기 본체부를 지지하고 상기 본체부에 가해지는 충격이 완충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연결암은, 상기 본체부를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기어드모터에 의해 회동되어, 상기 쏠림감쇄부의 높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어드모터는, 상기 기어드모터의 일측에 마련되는 꼬임스프링 및 상기 꼬임스프링과 연결암을 연결하는 부분회전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꼬임스프링은, 상기 부분회전축에 동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부분회전축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감쇄시킴과 동시에 상기 본체부가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운송장비의 동력 기관과 화물을 적재하거나 사람을 태울 수 있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가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이송부와, 상기 본체부의 높이, 기울기 및 운동관성에 의한 쏠림과 장애물을 감지하여 신호를 송출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의 신호를 수신하는 컴퓨터가 내장된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본체부의 쏠림과 충격을 감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쏠림감쇄부를 포함하고, 상기 쏠림감쇄부는, 상기 본체부의 하측에 설치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외측필러와, 상기 외측필러의 내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마련되며 래크;를 구비하는 내측필러와, 상기 외측필러와 내측필러 내측에 마련되는 완충스프링과, 상기 완충스프링과 함께 상기 본체부를 지지하며 완충작용을 위해 마련되는 쇽업쇼바와, 상기 외측필러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래크와 맞물려 상기 내측필러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 피니언기어를 구비하는 기어드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쏠림감쇄부는, 상기 센서부에 의해 상기 본체부의 쏠림 및 장애물이 감지되는 경우, 높이가 가변되어 상기 본체부의 쏠림 및 충격이 감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마련되는 신호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호입력부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어부로 신호를 송출하여 상기 쏠림감쇄부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본체부의 높이를 감지하는 복수개의 높이감지센서와, 상기 본체부의 기울어짐을 감지하는 자이로센서와, 상기 본체부의 운동관성에 의한 쏠림을 감지하는 가속도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어드모터는,
상기 기어드모터의 일측에 마련되는 꼬임스프링 및, 상기 꼬임스프링과 피니언기어를 연결하는 부분회전축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꼬임스프링은, 상기 피니언기어에 동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운송장비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감쇄시킴과 동시에 상기 본체부가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어드모터는, 상기 기어드모터의 후단부에 마련되는 전자브레이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자브레이크는, 상기 기어드모터가 상기 본체부와 이송부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운송장비의 정지 및 급회전 시의 운동관성에 의한 쏠림을 감쇄시켜 불편함과 전복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운송장비가 난관을 지날 때, 상기 운송장비의 본체부 또는 쏠림감쇄부 자체의 높이를 높이거나 낮추어 상기 난관지역을 용이하게 지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수평 상태의 도로를 달리는 운송장비와 화물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운송장비가 급정지하여 화물이 한 쪽으로 쏠리게 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쏠림방지장치가 설치된 운송장비가 수평 상태의 도로를 달리는 모습을 나타낸 후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기어드모터의 모습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운송장비용 쏠림방지장치가 설치된 운송장비가 우측으로 급회전 하는 모습을 나타낸 후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운송장비용 쏠림방지장치가 설치된 운송장비가 좌측으로 급회전 하는 모습을 나타낸 후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운송장비용 쏠림방지장치가 설치된 운송장비가 수평 상태의 도로를 달리는 모습을 나타낸 후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운송장비용 쏠림방지장치가 설치된 운송장비가 좌측으로 기울어진 도로를 달리는 모습을 나타낸 후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운송장비용 쏠림방지장치가 설치된 운송장비가 우측으로 기울어진 도로를 달리는 모습을 나타낸 후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운송장비용 쏠림방지장치가 설치된 운송장비가 수평상태의 도로를 달리는 모습을 나타낸 후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운송장비용 쏠림방지장치가 설치된 운송장비가 좌측으로 급회전 하는 모습을 나타낸 후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운송장비용 쏠림방지장치가 설치된 운송장비가 우측으로 급회전 하는 모습을 나타낸 후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운송장비용 쏠림방지장치가 설치된 운송장비가 수평상태의 도로를 달리는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운송장비용 쏠림방지장치가 설치된 운송장비가 전방으로 기울어진 도로를 달리는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운송장비용 쏠림방지장치가 설치된 운송장비가 후방으로 기울어진 도로를 달리는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운송장비용 쏠림방지장치가 설치된 운송장비가 차체를 들어올리며 급제동되는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운송장비용 쏠림방지장치가 설치된 운송장비의 측면 모습을 나타낸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운송장비용 쏠림방지장치가 설치된 운송장비가 수평상태의 도로를 달리는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운송장비용 쏠림방지장치가 설치된 운송장비의 전방이 들어올려지는 모습을 나타낸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 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운송장비용 쏠림방지장치는 자동차, 전동카트, 스쿠터, 휠체어 등으로 경사길에서 높낮이를 보정시켜야 하며, 운동 관성의 발생으로 인한 쏠림과 전복사고와 노면으로 부터의 충격 등을 방지해야 하는 모든 운송장비를 대상으로 한다. 또한, 경사길에서의 기울어짐으로 발생하는 무게 중심의 이동과 운송장비의 정지 또는 커브 운동으로 발생되는 관성력에 의한 쏠림이나 전복 등 모든 현상을 편의상 쏠림으로 표기한다. 또한, 노면의 요철이나 경사 또는 장애물에 의한 하중변화에 의해 가해지는 충격 등을 편의상 충격으로 표기한다.
도 1과 같이 화물(51)을 싣고 가던 운송장비(50)가 급정지를 하게되면, 도 2와 같이 상기 화물(51)을 포함한 상기 운송장비(50) 자체의 하중이 한쪽으로 쏠리게 되며, 심한 경우 전복될 우려가 있다. 여기서, 상기 화물(51)은 상기 운송장비(50)에 의해 운송되는 대상을 의미하며, 예를 들면, 탑승자나 짐 등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상기 운송장비(50)가 급정지하거나 급한 커브길을 도는 경우, 도 2와 같이 상기 운송장비(50)와 화물(51)이 운동관성에 의해 쏠리게 되면서 상기 화물(51)을 포함한 운송장비(50)의 전체 하중이 한쪽 방향으로 쏠리게 된다. 또한, 상기 운송장비(50)가 기울어진 도로를 주행하는 경우에도 상기 운송장비(50)와 화물(51)이 상기 도로가 기울어진 방향으로 쏠리게 되는 것은 당연하다.
이렇게 운송장비(50)의 주행 노면이 일방향으로 경사지는 상황은 오르막, 내리막 뿐만 아니라, 운송장비(50)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좌, 우 양측으로 경사지는 경우도 포함한다. 즉, 운송장비(5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경사진 노면을 주행하게 되면, 상술한 내용과 마찬가지로 운송장비(50)가 양측 방향 중 낮은 쪽으로 기울어짐에 따라 전체적인 하중이 낮은 쪽으로 쏠릴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현상은 운송장비(50)가 기울어지지 않은 평평한 길을 주행하더라도 커브 길에 들어서게 되면, 운송장비(50)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으로 관성력이 작용함에 따라 동일하게 일어날 수 있다. 즉, 운송장비(50)가 좌회전 커브를 주행하게 되면 우측으로 관성력이 작용하여 화물(51)을 포함한 운송장비(50)의 전체 하중이 우측으로 쏠리게 된다. 반대로, 운송장비(50)가 우회전 커브를 주행하게 되면 좌측으로 관성력이 작용하여 화물(51)을 포함한 운송장비(50)의 전체 하중이 좌측으로 쏠리게 된다. 이에 따라, 탑승자의 승차감이 나빠지거나, 운송장비의 전복 위험이 발생할 수 있어 보다 빠르고 쾌적한 주행을 하는데 문제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운송장비용 쏠림방지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운송장비용 쏠림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운송장비(50)의 동력 기관과 화물(51)을 적재하거나 사람을 태울 수 있는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가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이송부(500)와, 상기 본체부(100)의 기울기와 운동관성에 의한 쏠림 및 높이를 감지하여 신호를 송출하는 센서부(200)와, 상기 센서부(200)의 신호를 수신하는 컴퓨터가 내장된 제어부(300)와, 상기 제어부(300)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본체부(100)의 쏠림과 충격을 감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쏠림감쇄부(40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쏠림감쇄부(400)는, 상기 센서부(200)에 의해 상기 본체부(100)의 쏠림 및 장애물이 감지되는 경우, 높이가 가변되어 상기 본체부(100)의 쏠림 및 충격이 감쇄될 수 있도록 한다.
보다 상세히,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운송장비(50)의 수용공간을 의미하며, 운전자를 포함하는 탑승자 및 화물(51)이 실리는 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100)의 내측에는 상기 운송장비(50)의 동력 기관과 센서부(200)와 제어부(300)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100)를 지지하며, 상기 본체부(100)가 이송될 수 있도록 지면에 접촉되는 상기 이송부(500)가 마련된다.
상기 이송부(500)는 바퀴(520)와, 상기 바퀴(520)를 연결하는 샤프트(510)와, 상기 이송부(500)와 본체부(100)의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본체부(100)에 가해지는 충격이 완충될 수 있도록 하는 완충스프링부(530)를 포함한다. 상기 완충스프링부(530)는 판스프링, 코일스프링, 유체스프링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센서부(200)는, 상기 본체부(100)의 내측과 외측에 마련되어 상기 본체부(100)의 운동관성에 의한 쏠림과 기울기와 높이를 감지하여 신호를 송출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상세히, 상기 센서부(200)는, 상기 본체부(100)의 기울어짐을 감지하는 자이로센서(211)와, 상기 본체부(100)의 운동관성에 의한 쏠림을 감지하는 가속도센서(212)와, 상기 본체부(100)의 높이를 감지하는 높이감지센서(213)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자이로센서(211)는 상기 본체부(100)의 내측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자이로센서(211)는 상기 운송장비(50)가 급정지 또는 급커브길을 주행하는 경우, 상기 본체부(100)와 화물(51)의 운동관성에 의한 쏠림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본체부(100)의 쏠림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송장비(50)가 경사길에 놓여져 상기 본체부(100)가 기울어지는 경우, 상기 자이로센서(211)는 상기 본체부(100)의 기울어짐을 감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가속도센서(212)는, 상기 본체부(100)의 내측에 상기 자이로센서(211)와 함께 마련된다. 또한, 상기 가속도센서(212)는 상기 본체부(100)의 운동에 의한 가속도를 측정하여 상기 본체부(100)의 쏠림이 감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높이감지센서(213)는 상기 쏠림감쇄부(400)에 복수개로 설치되어, 상기 본체부(100)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본체부(100)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센서부(200)로부터 송출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본체부(100)의 쏠림과 기울어짐이 감쇄될 수 있도록 상기 쏠림감쇄부(400)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상세히, 상기 본체부(100)가 운동관성에 의해 쏠리게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쏠림감쇄부(400)를 제어하여, 상기 본체부(100)의 일측이 들어올려지고 상기 본체부(100)의 타측은 내려가도록 함으로써, 상기 본체부(100)의 쏠림과 기울어짐이 감쇄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높이감지센서(213)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쏠림감쇄부(400)를 제어하여 상기 본체부(100)를 들어올리거나 내림으로써, 상기 본체부(100)의 높이가 적정 높이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가파른 경사로 인하여 상기 쏠림감쇄부(400)를 통한 상기 본체부(100)의 높이 조절이 어려운 경우,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높이감지센서(213)를 통해 적정범위 이상의 높이를 감지하여 상기 본체부(100)의 평형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쏠림감쇄부(400)를 작동시키는 것을 정지한다. 이로 인해, 상기 쏠림감쇄부(400)에 과도한 부하가 가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송장비(50)가 가파른 경사에 놓인 경우, 상기 본체부(100)에 화물이 적재되어 있다면,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본체부(100)가 가파른 경사에 의해 전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본체부(100)의 높이를 낮춰줌으로써, 상기 운송장비(50)의 무게중심이 낮아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운송장비(50)에 적재되는 상기 화물(51) 및 탑승자의 수가 적어 상기 본체부(100)의 무게가 낮아지게 되는 경우, 상기 쏠림감쇄부(400)의 높이가 높아져 주행 시에 공기 저항을 많이 받게 되어 승차감이 떨어진다. 또한 상기 운송장비(50)에 적재되는 상기 화물(51) 및 탑승자의 수가 많아 상기 본체부(100)의 무게가 높아지게 되는 경우, 상기 쏠림감쇄부(400)의 높이가 낮아져 승차감이 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높이감지센서(213)을 통해 상기 본체부(100) 및 쏠림감쇄부(400)의 높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높이 신호에 따라 상기 쏠림감쇄부(400)를 제어하여 상기 본체부(100) 및 쏠림감쇄부(400)의 높이가 적정 높이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쏠림감쇄부(400)는, 상기 본체부(100)의 일측에 마련되는 복수개의 기어드모터(420)와, 상기 본체부(100)에 연결되며 상기 기어드모터(420)에 의해 회동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복수개의 연결암(410)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연결암(410)은, 상기 본체부(100)를 지지하며, 상기 기어드모터(420)에 의해 회동되어, 상기 본체부(100)의 높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한다. 보다 상세히, 상기 연결암(410)은, 상기 본체부의 하측에 연결되는 메인연결암(411)과, 상기 메인연결암(411)의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이송부(500)와 연결되는 보조연결암(41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연결암(411)은, 상기 본체부(100)의 저면에 마련되는 부분회전축(413)과 연결된다. 상기 부분회전축(413)은 상기 메인연결암(411)이 상기 본체부(100)의 저면에서 상방 또는 하방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부분회전축(413)은 상기 메인연결암(411)의 회동각을 제한하여, 상기 메인연결암(411)의 회동각이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부분회전축(413)은 상기 기어드모터(420)와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는다. 따라서, 상기 기어드모터(420)에 의해 상기 메인연결암(411)이 회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연결암(411)은 상기 본체부(100)의 좌측에 구비되는 제1메인연결암(411-1)과, 상기 본체부(100)의 우측에 구비되는 제2메인연결암(411-2)으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보조연결암(412)은 상기 메인연결암(411)의 단부와 이송부(500)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연결암(411)이 회동하는 경우, 상기 본체부(100)의 높이가 자연스럽게 가변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보조연결암(412)과 메인연결암(411)의 각 단부에는 연결암조인트(414)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메인연결암(411)이 상방으로 회동되는 경우, 상기 보조연결암(412)과 메인연결암(411)의 연결각이 작아지며 상기 본체부(100)의 높이가 낮아질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상기 메인연결암(411)이 하방으로 회동되는 경우, 상기 보조연결암(412)과 메인연결암(411)의 연결각이 커지며 상기 본체부(100)의 높이가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조연결암(412)은 상기 메인연결암(411)이 상기 이송부(500)에 직접 연결되는 것보다 용이하게 상기 본체부(100)의 높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보조연결암(412)은, 상기 제1메인연결암(411-1)에 연결되는 제1보조연결암(412-1)과, 상기 제2메인연결암(411-2)에 연결되는 제2보조연결암(412-2)으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기어드모터(420)는 상기 부분회전축(413)과 연결되어, 상기 메인연결암(411)을 회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보다 상세히, 상기 기어드모터(420)는 정역회전을 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DC모터(421)와, 상기 기어드모터(420)의 내측에 마련되어 상기 DC모터(421)에 연결되는 감속기(422)와, 상기 기어드모터(420)의 일측에 마련되는 꼬임스프링(424)과, 상기 꼬임스프링(424)과 메인연결암(411)을 연결하는 부분회전축(413)과, 상기 DC모터(421)의 후단부에 마련되는 전자브레이크(423)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DC모터(421)는 상기 제어부(300)에 의해 정회전 또는 역회전을 할 수 있도록 제어되며, 상기 감속기(422)에 동력을 전달한다.
다음으로, 상기 감속기(422)는 상기 DC모터(421)의 회전수가 변경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감속기(422)는 상기 DC모터(421)로부터 전달받은 동력이 보다 큰 힘을 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감속기(422)는 상기 꼬임스프링(424)에 의해 상기 부분회전축(413)과 연결되어, 상기 메인연결암(411)에 동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전자브레이크(423)는 상기 DC모터(421) 후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300)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DC모터(421)의 샤프트(미도시)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제동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전자브레이크(423)는 상기 본체부(100)에 가해지는 갑작스러운 하중에 의해 상기 메인연결암(411)이 의도치 않은 방향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상기 꼬임스프링(424)과 부분회전축(413)을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본체부(100)가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300)에 의해 상기 DC모터(421)가 작동된다면, 상기 전자브레이크(423)의 제동이 해제되어 상기 DC모터(421)가 용이하게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꼬임스프링(424)은 상기 감속기(422)와 부분회전축(413)을 연결시키는 코일의 형태로 마련된다. 이로 인해, 상기 부분회전축(413)에 갑작스러운 부하가 가해지는 경우, 상기 꼬임스프링(424)은 보다 꼬이게 되며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상기 기어드모터(420)에 가해지는 부하가 감쇄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감속기(422)로부터 발생되는 동력은 상기 꼬임스프링(424)을 거쳐서 상기 부분회전축(413)으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브레이크(423)가 상기 DC모터(421)와 감속기(422)의 사이에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감속기(422)와 꼬임스프링(424)를 거쳐서 상기 부분회전축(413)으로 전달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신호입력부(60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어부(300)로 신호를 송출하여 상기 쏠림감쇄부(400)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보다 상세히, 상기 운송장비(50)가 난관을 지날 때, 사용자는 상기 신호입력부(600)를 통해 상기 제어부(300)에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를 수신한 제어부(300)는, 상기 한 쌍의 메인연결암(411)이 모두 하방 또는 상방으로 회동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본체부(100)를 낮추거나 높임으로써, 상기 난관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쏠림감쇄부(400)를 이용하여, 상기 본체부(100)의 쏠림이 감쇄되는 모습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운송장비(50)가 우측 급커브길을 주행함에 따라 상기 본체부(100)와 화물(51)이 좌측으로 쏠리게 되는 경우, 상기 센서부(200)는 운동관성에 의한 상기 본체부(100)의 좌측쏠림을 감지하여 신호를 송출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센서부(2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기어드모터(420)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1메인연결암(411-1)을 하방으로 회동시키고, 상기 제2메인연결암(411-2)를 상방으로 회동시킨다. 즉, 상기 제1메인연결암(411-1)이 하방으로 회동되면 상기 제1메인연결암(411-1)과 제1보조연결암(412-1)간의 연결각이 커지며, 상기 본체부(100)의 좌측이 높아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제2메인연결암(411-2)이 상방으로 회동되면 상기 제2메인연결암(411-2)과 제2보조연결암(412-2)간의 연결각이 작아지며, 상기 본체부(100)의 우측이 낮아지게 된다. 이를 통해, 상기 본체부(100)에 좌측쏠림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쏠림감쇄부(400)는 상기 본체부(100)의 좌측을 들어올리고 우측을 낮춤으로써, 쏠림이 감쇄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7를 참조하면, 상기 운송장비(50)가 좌측 급커브길을 주행함에 따라 상기 본체부(100)와 화물(51)이 우측으로 쏠리게 되는 경우, 상기 센서부(200)는 운동관성에 의한 상기 본체부(100)의 우측쏠림을 감지하여 신호를 송출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센서부(2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기어드모터(420)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1메인연결암(411-1)을 상방으로 회동시키고, 상기 제2메인연결암(411-2)를 하방으로 회동시킨다. 즉, 상기 제1메인연결암(411-1)이 상방으로 회동되면 상기 제1메인연결암(411-1)과 제1보조연결암(412-1)간의 연결각이 좁아지며, 상기 본체부(100)의 좌측이 낮아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제2메인연결암(411-2)이 하방으로 회동되면 상기 제2메인연결암(411-2)과 제2보조연결암(412-2)간의 연결각이 커지며, 상기 본체부(100)의 우측이 높아지게 된다. 이를 통해, 상기 본체부(100)에 우측쏠림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쏠림감쇄부(400)는 상기 본체부(100)의 우측을 들어올리고 좌측을 낮춤으로써, 쏠림이 효과적으로 감쇄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쏠림감쇄부(400)는 상기 본체부(100)의 운동관성에 의한 쏠림이 멈출 때까지 상기 본체부(100)의 우측을 높여주고 좌측을 낮춰준다. 이때, 상기 센서부(200)는 상기 본체부(100)의 내측에 고정되어, 상기 본체부(100)의 내측에서 상기 자이로센서(211) 및 가속도센서(212)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쏠림감쇄부(400)는, 상기 운송장비(50)가 기울어진 노면을 주행하는 경우에도 상기 본체부(100)가 기울어진 방향이 보다 높아질 수 있도록 높이를 가변시킴으로써, 상기 본체부(100)가 쏠림이 감쇄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운송장비(50)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쏠리는 경우에도 상기 본체부(100)의 높이가 가변되어 쏠림이 감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운송장비용 쏠림방지장치의 제2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본체부, 센서부, 제어부, 및 쏠림감쇄부 등에 대한 구성은 중첩되며, 상기 이송부의 바퀴가 샤프트로 서로 연결되지 않고 분리되어 상기 샤프트의 분리된 일측이 상기 부분회전축에 연결되어 메인연결암과 보조연결암의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일부 차이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제1실시예와 중첩되는 구성은 제1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한다.
도 8 내지 도 10를 참조하면, 상기 이송부(800)에 마련되는 복수개의 바퀴(810)는 각각 개별적으로 상기 본체부(100)의 좌우로 운동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또한, 복수개의 상기 연결암(710)은 상기 바퀴(810)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부(100)를 지지한다. 즉, 상기 쏠림감쇄부(700)는 상기 이송부(800)와 본체부(100)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본체부(100)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암(710)은 상기 바퀴(810)에 연결됨으로써, 제1실시예의 샤프트(510)와 같이 상기 연결암(710)의 회동에 간섭되는 부재가 없으므로, 상기 보조연결암(412)이 구비되지 않아도 상기 연결암(710)은 용이하게 회동될 수 있다. 따라서, 도 9와 같이 상기 본체부(100)에 좌측쏠림이 가해지거나 상기 본체부(100)가 좌측으로 기울어지는 경우, 상기 기어드모터(420)에 의해 상기 본체부(100)의 좌측부에 마련되는 상기 제1연결암(710-1)이 하방으로 회동되어 상기 본체부(100)의 좌측을 들어올리고, 상기 본체부(100)의 우측부에 마련되는 상기 제2연결암(710-2)이 상방으로 회동되어 상기 본체부(100)의 우측을 내린다. 이로써, 상기 본체부(100)의 좌측쏠림이 효과적으로 감쇄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10와 같이 상기 본체부(100)에 우측쏠림이 가해지거나 상기 본체부(100)가 우측으로 기울어지는 경우, 상기 기어드모터(420)에 의해 상기 본체부(100)의 좌측부에 마련되는 상기 제1연결암(710-1)이 상방으로 회동되어 상기 본체부(100)의 좌측을 내리고, 상기 본체부(100)의 우측부에 마련되는 상기 제2연결암(710-2)이 하방으로 회동되어 상기 본체부(100)의 우측을 들어올린다. 이로써, 상기 본체부(100)의 우측쏠림이 효과적으로 감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퀴(810)가 개별적으로 운동될 수 있도록 구비됨에 따라 상기 완충스프링부(820)는 상기 바퀴(810)에 각각 설치되며, 코일스프링이나 판스프링, 유체스프링 등 여러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분회전축(711)은 상기 본체부(100)의 전후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연결암(710)이 상기 본체부(100)의 좌우방향으로 회동된다. 이로 인해, 상기 본체부(100)의 뒤틀림 현상이 방지될 수 있으나 상기 이송부(800)의 바퀴는 지면과 안정적으로 닿지 못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운송장비용 쏠림방지장치의 제3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본체부, 센서부, 제어부 등에 대한 구성은 중첩되며, 제2실시예의 쏠림감쇄부에 비해 상기 이송부의 바퀴와 상기 부분회전축을 회동시키는 기어드모터와의 간극을 축소시킬 수 있어 상기 기어드모터가 보다 작은 힘으로 본체부를 높이거나 낮출 수 있다는 점에서 점에서 일부 차이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제1실시예와 중첩되는 구성은 제1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한다.
도 11 내지 도 13를 참조하면, 상기 쏠림감쇄부(900)는, 상기 이송부(800)의 바퀴(810)와 본체부(100)의 하측에 연결되는 가이드암(920)과, 상기 가이드암의 일측에 연결되는 연결암(910)과, 상기 완충스프링부(82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상기 가이드암(920)은, 상기 본체부(100)의 좌측에 마련되는 제1가이드암(920-1)과, 상기 본체부(100)의 우측에 마련되는 제2가이드암(920-2)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암(920)은, 상기 본체부(100)의 하측에 힌지 또는 상기 부분회전축(711)으로 연결되어 상기 본체부(100)가 전후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충스프링부(820)가 상기 가이드암(920)의 하단부와 본체부(100)의 하측에 연결되어 상기 이송부(800)와 본체부(100)를 지지하며 충격이 완충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연결암(910)은, 상기 제1가이드암(920-1)에 연결되는 제1연결암(910-1)과, 상기 제2가이드암(920-2)에 연결되는 제2연결암(910-2)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암(910)은, 상기 가이드암(920)의 하단부와 상기 본체부(100)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완충스프링부(820)와 인접하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암(920)은 좌우측으로 회동을 하여 상기 운송장비(50)의 완충작용을 하므로, 상기 가이드암(920)의 길이가 짧게 형성되면 회전반경이 작으므로 완충효과가 떨어지며, 상기 바퀴(810)의 안정적인 접지가 곤란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암(910)이 상기 본체부(100)를 보다 용이하게 들어올리거나 내리기 위하여, 상기 연결암(910)은 상기 이송부(800)와 가이드암(920)의 하단부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연결암(910)은 상기 본체부(100)에 마련되는, 기어드모터(420)와 연결된 부분회전축(911)과 연결되어, 상방 또는 하방으로 쉽게 회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암(910)이 회동됨으로써, 상기 본체부(100)의 높이가 가변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운송장비(50)의 주행에 의해 본체부(100)가 우측 또는 좌측으로 쏠리게 되거나 기울어지는 경우, 도 12 및 도 13와 같이 상기 본체부(100)가 쏠리게 되는 방향이 들어올려지고 반대측이 내려짐으로써, 상기 본체부(100)의 쏠림이 감쇄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운송장비용 쏠림방지장치의 제4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본체부, 센서부, 제어부 등에 대한 구성은 중첩되며, 상기 제2실시예와 같이 연결암에 관절이 마련되지 않고 바퀴에 직접연결되는 상기 연결암이 상하운동을 할 수 있는 부분회전축이 상기 본체부의 좌우 방향으로 마련되어 상기 연결암이 전후방향으로 회동되며, 상기 본체부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스프링이 꼬임을 통해 충격이 흡수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점에서 일부 차이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제1실시예와 중첩되는 구성은 제1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한다.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쏠림감쇄부(1000)는, 상기 바퀴(1110)에 연결되는 연결암(1010)과, 상기 연결암(1010)의 상단부에 마련되는 꼬임완충스프링(102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꼬임완충스프링(1020)은, 상기 부분회전축(1011)의 양단부 중, 상기 기어드모터(420)와 연결되는 부분의 반대측에 해당되는 부분에 마련되어 상기 본체부(100)의 하중을 지지한다. 또한, 상기 꼬임완충스프링(1020)은 제1실시예의 상기 기어드모터(420)와 연결된 상기 꼬임스프링(424)과 같이 상기 본체부(100)를 지지하며 꼬임으로써, 상기 본체부(100)에 가해지는 충격이 흡수될 수 있도록 한다.
보다 상세히, 상기 연결암(1010)은 상기 본체부(100)의 전방에 마련되는 제1연결암(1010-1)과, 상기 본체부(100)의 후방에 마련되는 제2연결암(1010-2)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암(1010)은 상기 본체부(100)의 하측에 마련되는 상기 부분회전축(1011)과 연결되어, 상기 기어드모터(420)에 의해 상방 또는 하방으로 회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연결암(1010-1)이 하방으로 회동되고 상기 제2연결암(1010-2)이 상방으로 회동되면, 상기 본체부(100)의 전방이 들어올려지고 상기 본체부(100)의 후방이 내려질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상기 제1연결암(1010-1)이 상방으로 회동되고 상기 제2연결암(1010-2)이 하방으로 회동되면, 상기 본체부(100)의 전방이 내려지고 상기 본체부(100)의 후방이 들어올려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본체부(100)의 전방 또는 후방이 들어 올려지거나 내려지는 것은 상기 본체부(100)와 이송부(1100)를 지지하는 상기 꼬임완충스프링(1020)과 꼬임스프링(424)과 연결암(1010)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연결암(1010)의 상단부에 마련된 상기 부분회전축(1011)과 상기 기어드모터(420)의 사이에는 상기 꼬임스프링(424)이 마련되며. 상기 부분회전축(1011)과 상기 꼬임스프링(424)이 연결된 반대측에 해당되는 상기 부분회전축(1011)의 단부에는 상기 꼬임완충스프링(1020)이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꼬임스프링(424)과 꼬임완충스프링(1020)은, 상기 연결암(1010)에 부하가 발생될 경우, 꼬이면서 상기 연결암(1010)에 가해지는 충격이 완충되도록 하여, 상기 기어드모터(420)에 가해지는 부하가 감쇄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이송부(1100)의 바퀴(1110)와 지지되는 연결암(1010)의 내측에는 각각 바퀴구동모터(1111)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퀴구동모터(1111)는 상기 바퀴구동모터(1111)에 전력이 공급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배터리와 전선 등을 구비하며, 상기 바퀴(1110)에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바퀴(1110)가 개별적으로 구동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운송장비(50) 전방에 덤프트럭과 같은 대형 차량이 급정지하여 상기 운송장비(50)가 급제동되는 경우, 도 17과 같이 상기 제1연결암(1010-1)이 하방으로 회동되고 상기 제2연결암(1010-2)은 상방으로 회동되어, 상기 본체부(100)의 전방은 들어올려지고 상기 본체부(100)의 후방은 내려지도록 한다. 이로 인해, 상기 운송장비(50)가 상기 대형 차량과 충돌하는 경우, 상기 대형 차량의 하측으로 상기 본체부(100)가 인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본체부(100)의 전방에 마련될 수 있는 범퍼수단이 제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운송장비(50)의 운전자가 보다 안전해질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운송장비용 쏠림방지장치의 제5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본체부, 센서부, 제어부 등에 대한 구성은 중첩되며, 상기 제4실시예의 구성에서 상기 부분회전축과 본체부 사이의 완충역할을 하던 상기 꼬임스프링이 코일스프링 또는 유체스프링 형태로 바뀌며, 상기 완충스프링이 결합되는 위치가 변경되는 점에서 일부 차이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제1실시예와 중첩되는 구성은 제1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쏠림감쇄부(1200)는, 상기 본체부(100)의 하측에 상기 부분회전축(1211)을 통해 연결되는 연결암(1210)과, 상기 연결암(1210)과 부분회전축(1211)을 회동시키기 위해 마련되는 꼬임스프링(1220)과, 상기 연결암(1210)의 하단부와 상기 본체부(100)의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본체부(100)를 지지하고 완충작용을 하는 완충스프링(1230)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상기 연결암(1210)은 상기 부분회전축(1211)과 상기 꼬임스프링(1220)을 통해 상기 기어드모터(420)와 연결되어 상방 또는 하방으로 회동됨으로써, 상기 본체부(100)의 높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연결암(1210)은, 상기 본체부(100)의 전방에 마련되는 제1연결암(1210-1)과, 상기 본체부(100)의 후방에 마련되는 제2연결암(1210-2)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꼬임스프링(1220)은 상기 연결암(1210)을 회동시키는 기어드모터(420)에 가해지는 충격이 감쇄될 수 있도록 꼬이면서 충격에 대한 완충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완충스프링(1230)은, 상기 연결암(1210)의 하단부와 본체부(100)의 사이에 지면과 수직되게 배치되어, 상기 본체부(100)에 가해지는 충격이 감쇄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연결암(1210)이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상하운동을 하는 경우, 상기 완충스프링(1230)은 상기 본체부(100) 하부에 좌우로 설치되어 있는 상기 부분회전축(1211)의 양측에 가해지는 응력이 감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운송장비(50)의 하부 틀림현상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완충스프링(1230)은 상기 연결암(1210)의 하단부 중 상기 이송부(1300)와 인접한 부분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부(100)의 하부에 가해지는 틀림현상이 보다 용이하게 방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운송장비용 쏠림방지장치의 제6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본체부, 센서부, 제어부 등에 대한 구성은 중첩되며, 상기 쏠림감쇄부에 래크와 피니언기어가 마련되어, 상기 기어드모터의 보다 적은 동력으로 상기 본체부의 높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하는 점에서 일부 차이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제1실시예와 중첩되는 구성은 제1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한다.
도 19과 도 20를 참조하면, 상기 쏠림감쇄부(1400)는, 상기 본체부(100)의 하측에 설치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외측필러(1410)와, 상기 외측필러(1410)의 내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마련되며 래크(1422)를 구비하는 내측필러(1420)와, 상기 외측필러(1410)와 내측필러(1420) 내측에 마련되는 코일형 또는 유체형의 완충스프링(1412)과, 상기 완충스프링(1412)과 함께 상기 본체부(100)를 지지하며 완충작용을 위해 마련되는 쇽업쇼바(1411,1421)와, 상기 외측필러(1410)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래크(1422)와 맞물려 상기 내측필러(1420)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 피니언기어(1431)를 구비하는 기어드모터(14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쏠림감쇄부는(1400)는 상기 센서부(200)에 의해 상기 본체부(100)의 쏠림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본체부(100)의 높이가 가변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본체부(100)의 쏠림이 감쇄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쇽업쇼바(1411,1421)와 완충스프링(1412)은, 상기 본체부(100)와 이송부(1300)의 사이에서 상기 본체부(100)에 가해지는 충격이 완충될 수 있도록 한다.
보다 상세히, 상기 외측필러(1410)와 내측필러(1420)는, 상기 외측필러(1410)와 내측필러(1420)의 내측에 마련되는 외측쇽업쇼바(1411) 및 내측쇽업쇼바(1421)는 상기 완충스프링(1412)이 코일형인 경우에는 상기 완충스프링(1412)의 내측에 마련되며, 상기 완충스프링(1412)이 유체형인 경우에는 상기 완충스프링(1412)의 외측에 마련된다, 이때, 상기 내측필러(1420)의 내측은 상기 외측쇽업쇼바(1411)와 같은 형태로 마련되거나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완충스프링(1412)의 상부는 상기 내측쇽업쇼바(1421)와 같은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외측쇽업쇼바(1411) 및 내측쇽업쇼바(1421)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마련되는 완충스프링(141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내측필러(1420)는, 상기 내측필러(1420)의 내측에 마련되는 내측쇽업쇼바(1421)와, 상기 내측필러(1422)의 외주면의 일측에 마련되는 래크(142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내측필러(1420)는 상기 이송부(1500)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기어드모터(1430)는, 기어드모터(1430)에 의해 구동되는 상기 꼬임스프링(424)과 피니언기어(1431)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피니언기어(1431)는, 상기 래크(1422)와 맞물리도록 배치되어, 상기 기어드모터(1430)에 의해 상기 래크(1422)가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기어드모터(1430)는 상기 내측필러(1420)가 상기 외측필러(1410)의 내측으로 인입되거나 상기 외측필러(1410)로부터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일례로, 상기 운송장비(50)가 급정지하거나 전방으로 기울어지는 경우, 상기 기어드모터(1430)에 의해 상기 본체부(100)의 전방에 마련되는 내측필러(1420)가 하방으로 인출되고, 상기 본체부(100)의 후방에 마련되는 내측필러(1420)가 상방으로 인입됨으로써, 상기 본체부(100)의 전방 쏠림이 감쇄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반대로, 상기 운송장비(50)가 급가속 또는 후방으로 기울어지는 경우, 상기 기어드모터(1430)에 의해 상기 본체부(100)의 전방에 마련되는 내측필러(1420)가 상방으로 인입되고, 상기 본체부(100)의 후방에 마련되는 내측필러(1420)가 하방으로 인출됨으로써, 상기 본체부(100)의 후방 쏠림이 감쇄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기어드모터(1430)는, 상기 외측필러(1410)의 양측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니언기어(1431)는 상기 꼬임스프링(424)과 부분회전축(413)과 연결되어, 상기 운송장비(50)로부터 전해지는 충격을 감쇄시킴과 동시에 상기 본체부(100)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필러(1410)와 내측필러(1420)의 내측에 마련되는 상기 외측쇽업쇼바(1411)와 내측쇽업쇼바(1421)는 서로 연결되어, 상기 본체부(100)와 이송부(1500)의 사이에서 상기 본체부(100)에 가해지는 충격이 완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완충스프링(1412) 또한 상기 내측필러(1420)의 하단부와 본체부(100)의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본체부(100)에 가해지는 충격이 완충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기어드모터(1430)의 보다 적은 동력으로 상기 본체부(100)의 높이가 가변될 수 있고, 상기 쏠림감쇄부(1400)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므로 보다 설치가 간편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6가지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에 대해 기술하였으나, 기존의 운송장비에서 새로이 변경되는 구조물에 대한 예를 들었으므로, 당연히 설치되는 조향장치, 쇽업쇼바, 너클조인트 등 기존의 장치가 마련되는 것은 당연하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운송장비의 정지 및 급회전 시의 운동관성에 의한 쏠림을 감쇄시켜 전복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울어진 노면, 곡각도로, 물에 잠긴 도로 등의 난관을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50 : 운송장비
51 : 화물
100 : 본체부
200 : 센서부
201 : 자이로센서
202 : 가속도센서
203 : 높이감지센서
300 : 제어부
400 : 쏠림감쇄부
410 : 연결암
411 : 메인연결암
411-1 : 제1메인연결암
411-2 : 제2메인연결암
412 : 보조연결암
412-1 : 제1보조연결암
412-2 : 제2보조연결암
413 : 부분회전축
414 : 연결암조인트
420 : 기어드모터
421 : DC모터
422 : 감속기
423 : 전자브레이크
424 : 꼬임스프링
500 : 이송부
510 : 샤프트
520 : 바퀴
530 : 완충스프링부
600 : 신호입력부
700 : 쏠림감쇄부
710 : 연결암
710-1 : 제1연결암
710-2 : 제2연결암
711 : 부분회전축
712 : 연결암조인트
800 : 이송부
810 : 바퀴
820 : 완충스프링부
900 : 쏠림감쇄부
910 : 연결암
910-1 : 제1연결암
910-2 : 제2연결암
911 : 부분회전축
920 : 가이드암
920-1 : 제1가이드암
920-2 : 제2가이드암
1000 : 쏠림감쇄부
1010 : 연결암
1010-1 : 제1연결암
1010-2 : 제2연결암
1011 : 부분회전축
1020 : 꼬임스프링
1100 : 이송부
1110 : 바퀴
1111 : 바퀴구동모터
1200 : 쏠림감쇄부
1210 : 연결암
1210-1 : 제1연결암
1210-2 : 제2연결암
1211 : 부분회전축
1220 : 꼬임스프링
1230 : 완충스프링
1300 : 이송부
1400 : 쏠림감쇄부
1410 : 외측필러
1411 : 외측쇽업쇼바
1412 : 완충스프링
1420 : 내측필러
1421 : 내측쇽업쇼바
1422 : 래크
1430 : 기어드모터
1431 : 피니언기어
1500 : 이송부

Claims (9)

  1. 운송장비의 동력 기관과 화물을 적재하거나 사람을 태울 수 있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가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이송부;
    상기 본체부의 높이, 기울기 및 운동관성에 의한 쏠림과 장애물을 감지하여 신호를 송출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의 신호를 수신하는 컴퓨터가 내장된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본체부의 쏠림과 충격을 감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쏠림감쇄부;를 포함하고,
    상기 쏠림감쇄부는, 상기 센서부에 의해 상기 본체부의 쏠림과 장애물이 감지되는 경우, 높이가 가변되어 상기 본체부의 쏠림과 충격이 감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장비용 쏠림방지장치.
  2. 운송장비의 동력 기관과 화물을 적재하거나 사람을 태울 수 있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가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이송부;
    상기 본체부의 높이, 기울기 및 운동관성에 의한 쏠림과 장애물을 감지하여 신호를 송출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의 신호를 수신하는 컴퓨터가 내장된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본체부의 쏠림과 충격을 감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쏠림감쇄부;를 포함하고,
    상기 쏠림감쇄부는,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마련되는 복수개의 기어드모터;
    상기 본체부를 지지하며 완충작용을 하는 완충스프링;
    상기 기어드모터와 연결되며 상기 본체부의 좌우방향으로 마련되어 상기 본체부의 전후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는 부분회전축;
    상기 부분회전축과 연결되는 연결암; 및
    상기 기어드모터와 부분회전축의 사이에 마련되는 꼬임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쏠림감쇄부는, 상기 센서부에 의해 상기 본체부의 쏠림 및 충격이 감지되는 경우, 높이가 가변되어 상기 본체부의 쏠림이 감쇄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꼬임스프링은, 상기 기어드모터에 의한 동력을 상기 부분회전축으로 전달하며, 상기 기어드모터에 가해지는 갑작스러운 하중이 감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장비용 쏠림방지장치.
  3. 제1항 내지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쏠림감쇄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마련되는 복수개의 기어드모터;
    상기 본체부의 타측에 연결되며 상기 기어드모터에 의해 회동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복수개의 연결암; 및
    상기 본체부와 이송부의 사이에 마련되는 완충스프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스프링부는, 상기 본체부를 지지하고 상기 본체부에 가해지는 충격이 완충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연결암은, 상기 본체부를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기어드모터에 의해 회동되어, 상기 쏠림감쇄부의 높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장비용 쏠림방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드모터는,
    상기 기어드모터의 일측에 마련되는 꼬임스프링; 및
    상기 꼬임스프링과 연결암을 연결하는 부분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꼬임스프링은, 상기 부분회전축에 동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부분회전축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감쇄시킴과 동시에 상기 본체부가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장비용 쏠림방지장치.
  5. 운송장비의 동력 기관과 화물을 적재하거나 사람을 태울 수 있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가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이송부;
    상기 본체부의 높이, 기울기 및 운동관성에 의한 쏠림과 장애물을 감지하여 신호를 송출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의 신호를 수신하는 컴퓨터가 내장된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본체부의 쏠림과 충격을 감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쏠림감쇄부;를 포함하고,
    상기 쏠림감쇄부는,
    상기 본체부의 하측에 설치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외측필러;
    상기 외측필러의 내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마련되며 래크;를 구비하는 내측필러;
    상기 외측필러와 내측필러 내측에 마련되는 완충스프링;
    상기 완충스프링과 함께 상기 본체부를 지지하며 완충작용을 위해 마련되는 쇽업쇼바; 및
    상기 외측필러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래크와 맞물려 상기 내측필러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 피니언기어;를 구비하는 기어드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쏠림감쇄부는, 상기 센서부에 의해 상기 본체부의 쏠림 및 장애물이 감지되는 경우, 높이가 가변되어 상기 본체부의 쏠림 및 충격이 감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장비용 쏠림방지장치.
  6. 제1항, 2항,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마련되는 신호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호입력부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어부로 신호를 송출하여 상기 쏠림감쇄부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장비용 쏠림방지장치.
  7. 제1항, 2항,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본체부의 높이를 감지하는 복수개의 높이감지센서;
    상기 본체부의 기울어짐을 감지하는 자이로센서;
    상기 본체부의 운동관성에 의한 쏠림을 감지하는 가속도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장비용 쏠림방지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드모터는,
    상기 기어드모터의 일측에 마련되는 꼬임스프링; 및
    상기 꼬임스프링과 피니언기어를 연결하는 부분회전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꼬임스프링은, 상기 피니언기어에 동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운송장비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감쇄시킴과 동시에 상기 본체부가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장비용 쏠림방지장치.
  9. 제1항, 2항,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드모터는,
    상기 기어드모터의 후단부에 마련되는 전자브레이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자브레이크는, 상기 기어드모터가 상기 본체부와 이송부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장비용 쏠림방지장치.
KR1020200148949A 2020-11-09 2020-11-09 운송장비용 쏠림방지장치 KR20220063054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8949A KR20220063054A (ko) 2020-11-09 2020-11-09 운송장비용 쏠림방지장치
JP2020188968A JP2022076426A (ja) 2020-11-09 2020-11-12 運送装備用偏向防止装置
PCT/KR2020/015984 WO2022097807A1 (ko) 2020-11-09 2020-11-13 운송장비용 쏠림방지장치
US17/097,414 US20220144034A1 (en) 2020-11-09 2020-11-13 Pulling compensation apparatus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8949A KR20220063054A (ko) 2020-11-09 2020-11-09 운송장비용 쏠림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3054A true KR20220063054A (ko) 2022-05-17

Family

ID=81455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8949A KR20220063054A (ko) 2020-11-09 2020-11-09 운송장비용 쏠림방지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144034A1 (ko)
JP (1) JP2022076426A (ko)
KR (1) KR20220063054A (ko)
WO (1) WO202209780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3306B1 (ko) * 2022-07-12 2022-11-07 (주)모스텍 자동화된 수평 유지 시스템을 갖는 무인 반송 차량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3045B1 (ko) 2013-01-17 2014-07-02 한국과학기술원 수평조절이 가능한 휠체어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63924A (ja) * 1986-09-05 1988-03-22 Tokico Ltd 積載重量計量装置を備えた自動車
JPH0995116A (ja) * 1995-10-02 1997-04-08 Nittetsu Semiconductor Kk 物品搬送車
EP2277725B1 (en) * 2000-03-27 2015-04-08 Bose Corporation Surface vehicle vertical trajectory planning
JP4689950B2 (ja) * 2003-09-09 2011-06-01 株式会社レーベン販売 電動車椅子又は1人乗り小型電動車。
JP2010030416A (ja) * 2008-07-29 2010-02-12 Mitsubishi Heavy Ind Ltd 走行安定装置及び該装置を備えた産業車両
KR20100054918A (ko) * 2008-11-17 2010-05-26 두산디에스티주식회사 특수 차량의 선형 능동 현가 장치
US9193243B2 (en) * 2011-04-27 2015-11-24 Hitachi, Ltd. Vehicle suspension system
JP2013086703A (ja) * 2011-10-20 2013-05-13 Jtekt Corp 電動車
KR101877717B1 (ko) * 2016-12-30 2018-07-12 농업회사법인 희망농업기계 주식회사 수평조절장치가 구비된 차량
KR20180086001A (ko) * 2017-01-20 2018-07-30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율적으로 수평을 유지하는 이동 플랫폼
CN108394479B (zh) * 2017-02-07 2020-04-24 大行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自平衡车辆装置及其相应控制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3045B1 (ko) 2013-01-17 2014-07-02 한국과학기술원 수평조절이 가능한 휠체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3306B1 (ko) * 2022-07-12 2022-11-07 (주)모스텍 자동화된 수평 유지 시스템을 갖는 무인 반송 차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144034A1 (en) 2022-05-12
JP2022076426A (ja) 2022-05-19
WO2022097807A1 (ko) 2022-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66001B1 (en) Three-wheeled tilting bicycle
JP5129565B2 (ja) 傾斜制限型原動機付車両
US9994277B2 (en) Three-wheeled tilting vehicle
EP1651507B1 (en) Three-wheeled vehicle
US5310200A (en) Vehicle suspension system
US20070193803A1 (en) Multitrack curve-tilting vehicle, and method for tilting a vehicle
JPS60219107A (ja) 車輌の懸架機構
KR20220063054A (ko) 운송장비용 쏠림방지장치
US6398480B1 (en) Fork lift truck
KR100920758B1 (ko) 삼륜 주행장치
JP5622497B2 (ja) 搬送台車
JP2001278111A (ja) 衝撃時の防護システムを備えた車両
CN108501790A (zh) 自卸车重心调节系统
JP6432060B2 (ja) 二輪ビークルならびにその制御方法および操作制御方法
EP1199195A2 (en) Axle linkage for industrial vehicle
KR20170116355A (ko) 자이로스코프를 이용한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WO2002010004A1 (en) Transporter
CN106241600A (zh) 轨道行走机构及使用该机构的随车起重机、货车
CN213831865U (zh) 车辆的防倾斜平衡结构
JP6515297B1 (ja) 台部安定化装置
JP5800343B1 (ja) フォークリフトの懸架装置
CN111688835B (zh) 运载机器人
CN212098325U (zh) 驱动系统及自动导引运输车
JP2019010939A (ja) 三輪車両
EP1527912B1 (en) Rigid axle suspension for a vehicle, in particular utility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