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1711A - 절첩식 그늘막 유닛 및 그늘막 장치 - Google Patents

절첩식 그늘막 유닛 및 그늘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1711A
KR20220061711A KR1020200147998A KR20200147998A KR20220061711A KR 20220061711 A KR20220061711 A KR 20220061711A KR 1020200147998 A KR1020200147998 A KR 1020200147998A KR 20200147998 A KR20200147998 A KR 20200147998A KR 20220061711 A KR20220061711 A KR 202200617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unit
shade unit
foldable
fram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7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7463B1 (ko
Inventor
김태한
박진우
Original Assignee
김태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한 filed Critical 김태한
Priority to KR1020200147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7463B1/ko
Priority to PCT/KR2020/018013 priority patent/WO2022097825A1/ko
Publication of KR20220061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17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7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74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3/00Other umbrella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06Umbrella runn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14Devices for opening and for closing umbrella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14Devices for opening and for closing umbrellas
    • A45B25/143Devices for opening and for closing umbrellas automatic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18Covers; Means for fastening sam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3/00Other umbrellas
    • A45B2023/0012Ground supported umbrellas or sunshades on a single post, e.g. resting in or on a surface there below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3/00Other umbrellas
    • A45B2023/0031Cantilever umbrellas or sunshades with a support arm

Landscapes

  • Bli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첩식 그늘막 유닛 및 그늘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그늘막 유닛은 중심판; 일단부가 상기 중심판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며, 회전축이 상기 중심판의 중심축과 나란한 다수 개의 프레임; 다수 개의 상기 프레임을 연결하는 막부재; 및 일단부가 상기 중심판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프레임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을 지지하는 보강재;를 포함하는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견고하여 관리가 용이하면서도 우수한 외관을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절첩식 그늘막 유닛 및 그늘막 장치{Foldable shading unit and shad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절첩식 그늘막 유닛 및 그늘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관이 우수하고 견고한 절첩식 그늘막 유닛 및 그늘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국내의 많은 자치단체에서는 횡단보도 근처에 횡단보도를 건너기 위해 대기하는 보행자를 위한 그늘막을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자치단체의 그늘막 관련 예산이 2016년 7억3천만원, 2017년 29억2천만원, 2018년 37억원, 2019년 90억6천만원으로 계속해서 상승하고 있는 것을 보면, 국내의 그늘막 시장은 더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런데 그늘막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그늘막을 관리하는 인력이 많이 필요하게 되고, 특히 그늘막이 자주 사용되는 여름에는 태풍이 자주 발생하여 그늘막이 쉽게 고장날 수 있으므로 보다 많은 관리 인력이 필요하게 된다.
태풍 발생 전 그늘막의 고장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늘막을 접어두기는 하지만 이러한 작업을 위해서도 인력이 필요하고, 국지적인 바람의 발생까지 모두 예상하기는 쉽지 않으므로 펼쳐진 상태의 그늘막이 강한 바람에 노출되는 것을 완전히 방지하는 것은 쉽지 않다.
한편, 현재 설치된 그늘막의 대부분은 우산을 단순히 확대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심미감이 떨어지는 문제 또한 갖는다.
KR 10-0962508 B1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견고하여 관리가 용이하면서도 우수한 외관을 가지는 절첩식 그늘막 유닛 및 그늘막 장치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위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중심판; 일단부가 상기 중심판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며, 회전축이 상기 중심판의 중심축과 나란한 다수 개의 프레임; 다수 개의 상기 프레임을 연결하는 막부재; 및 일단부가 상기 중심판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프레임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을 지지하는 보강재;를 포함하는 절첩식 그늘막 유닛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보강재는,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서 상기 프레임을 상부로 당기는 인장 보강재일 수 있다.
상기 인장 보강재의 일단부는, 상기 중심판의 둘레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재는,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서 상기 프레임을 받쳐주는 압축 보강재일 수 있다.
상기 압축 보강재는, 상기 프레임과 함께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막부재는, 반경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갈림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막부재는, 상기 갈림부와의 인접부 각각에서 연장되는 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막부재가 펼쳐졌을 때 상기 연장부는 서로 겹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는, 상기 막부재의 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꺾이어 형성될 수 있다.
다수 개의 상기 프레임은, 상기 중심판의 중심에서 벗어난 위치에서 상기 중심판에 대한 회전축부를 가지며, 상기 회전축부 각각은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절첩식 그늘막 유닛은, 상기 중심판에 고정되며, 다수 개의 상기 프레임 중 일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구동 모터, 및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을 다수 개의 상기 프레임 중 일부에 전달하는 회전 전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 개의 상기 프레임은 상기 중심판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중심판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회전판을 통해 상기 중심판에 결합하고, 상기 회전 전달부재는 다수 개의 상기 프레임 중 하나인 구동 프레임에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을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절첩식 그늘막 유닛은, 상기 구동 프레임에 대해 일방향으로 인접하여 위치하며 다수 개의 상기 프레임 중 하나인 정렬 프레임이, 일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정렬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절첩식 그늘막 유닛은, 상기 정렬 프레임이 소정 위치에서 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며, 상기 제1 정렬 스토퍼로부터 타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제2 정렬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정렬 스토퍼는 다수 개의 상기 프레임 중 상기 정렬 프레임과만 간섭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절첩식 그늘막 유닛은, 상기 구동 프레임의 반대측에서 상기 회전판에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그늘막 유닛; 일단부가 상기 그늘막 유닛의 상기 중심판에 연결되는 빔; 및 상기 빔의 타단부와 연결되는 지주;를 포함하는 절첩식 그늘막 유닛이 제공된다.
상기 빔은 상기 지주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빔은 상기 지주에 대해 절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절첩식 그늘막 유닛은 구조적으로 안정하여 그늘막의 관리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그늘막이 절첩되면서 프레임이 회전할 때 그늘막 아래에 위치하는 보행자와 간섭할 우려가 없다.
그리고 심플한 형태를 가지므로 외관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절첩식 그늘막 유닛이 구동부를 더 구비하는 경우, 그늘막을 자동으로 절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그늘막의 관리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접철식 그늘막 유닛의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접철식 그늘막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접철식 그늘막 유닛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접철식 그늘막 유닛의 인장 보강재에 관한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접철식 그늘막 유닛의 압축 보강재에 관한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접철식 그늘막 유닛의 갈림부에 관한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접철식 그늘막 유닛이 접힌 상태에 관한 설명도,
도 8 및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접철식 그늘막 유닛의 동작에 관한 설명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접철식 그늘막 장치의 전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절첩식 그늘막 유닛(10)의 결합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절첩식 그늘막 유닛(10)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절첩식 그늘막 유닛(10)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그늘막 유닛(10)은 중심판(100), 프레임(200), 막부재(300) 및 보강재(9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중심판(100)은 본 발명에 의한 절첩식 그늘막 유닛(10)의 중심부에 위치하며, 그늘막 유닛(10)을 구성하는 다른 구성들의 기준이 된다. 중심판(100)은 예를 들어 원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수 개의 프레임(200)은 아래에서 설명할 막부재(3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각각이 긴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각 프레임(200)은 일단부가 중심판(10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여 막부재(300)를 절첩시킬 수 있다. 즉, 프레임(200)들이 중심판(100)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위치하는 경우에는 막부재(300)가 펼쳐지고, 프레임(200)들이 회전하여 중심판(100)의 일방향에서 서로 접하여 위치하는 경우에는 막부재(300)가 접히게 된다. 각 프레임(200)의 회전축은 중심판(100)의 중심축과 나란하게 위치한다.
프레임(200) 각각은 중심판(100)에 직접 결합할 수도 있으나, 다른 구성을 통하여 중심판(100)에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막부재(300)는 막 형상으로 이루어져 그늘을 형성하는 역할을 하는 부재로서, 다수 개 프레임(200)을 연결하면서 형성된다. 막부재(300)는 적어도 한 개소에서 반경 방향으로 따라 갈라지는 부분을 갖는다.
보강재(900)는 일단부가 중심판(100)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프레임(200)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에 연결되어, 프레임(200)을 견고하게 지지해줄 수 있다. 즉, 각 프레임(200)은 긴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비해 일단부만이 중심판(100)에 결합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불안정할 수 있지만, 보강재(900)를 이용해 각 프레임(200)을 보강함으로써 프레임(200)이 구조적으로 안정해질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절첩식 그늘막 유닛(10)은 구조적으로 안정하기 때문에 바람 등에 의하여 파손될 염려가 적어 그늘막의 관리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각 프레임(200)의 회전축이 중심판(100)의 중심축과 나란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그늘막이 절첩되면서 프레임(200)이 회전할 때 그늘막 아래에 위치하는 보행자와 간섭할 우려가 없다.
보강재(900)는 보다 구체적으로, 프레임(200)의 상부에서 프레임(200)을 상부로 당기는 인장 보강재(910)일 수 있다. 도 4에는 이러한 인장 보강재(910)에 관한 설명도가 도시되어 있다.
인장 보강재(910)는 예를 들어, 와이어로 이루어져 긴장된 상태로 프레임(200)의 길이방향 중간 부분과 중심판(100)을 연결함으로써 프레임(200)이 하부로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인장 보강재(910)가 프레임(200)을 상부로 당길 수 있도록, 인장 보강재(910)는 프레임(200)의 일단부 방향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인장 보강재(910)는 거의 눈에 띄지 않아, 그늘막 유닛(10)에서 프레임(200) 외에 막부재(300)를 지지하는 부재가 눈에 띄지 않으므로, 그늘막 유닛(10)이 심플한 느낌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그늘막 유닛(10)의 외관이 우수하다.
인장 보강재(910)의 일단부는 중심판(100)의 둘레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늘막 유닛(10)의 절첩시 프레임(200)은 중심판(100)에 대해 회전하므로, 이에 맞추어 인장 보강재(910)의 일단부가 이동하도록 하여 인장 보강재(910)가 프레임(200)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장 보강재(910)의 일단부에는 구형의 구름 부재(911)가 형성되고, 중심판(100)의 테두리 부분에는 구름 부재(911)의 단면과 맞물리는 형상의 단면을 갖는 홈(120)이 형성되어, 구름 부재(911)가 홈(120)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인강 보강재의 일단부가 중심판(100)의 둘레를 따라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인장 보강재(910)의 길이는 그늘막 유닛(10)이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인장 보강재(910)가 긴장되는 정도로 하여, 인장 보강재(910)의 인장력에 의해 프레임(200)이 펼쳐지는 과정이 방해되지 않도록 한다.
보강재(900)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프레임(200)의 하부에서 프레임(200)을 받쳐주는 압축 보강재(920)일 수 있다.
압축 보강재(920)는 예를 들어, 강재로 이루어져 프레임(200)의 길이방향 중간 부분을 받쳐줌으로써 프레임(200)이 하부로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압축 보강재(920)가 프레임(200)을 견고하게 받칠 수 있도록, 압축 보강재(920)는 프레임(200)의 일단부 방향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압축 보강재(920)의 일단부는 중심판(100)의 하부에 위치하는 연결부재(L)를 통하여 중심판(100)에 연결될 수 있다.
압축 보강재(920)는 프레임(200)과 함께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그늘막 유닛(10)의 절첩을 위해 프레임(200)이 중심판(100)에 대해 회전할 때 압축 보강재(920)가 프레임(200)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압축 보강재(920)는 프레임(200)과 마찬가지로 일단부가 중심판(10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됨으로써 프레임(200)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막부재(300)는 갈림부(310)를 구비할 수 있다. 갈림부(310)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막부재(300)가 반경 방향을 따라 절단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절첩식 그늘막 유닛(10)은 그늘막 유닛(10)이 접힐 때 막부재(300)가 갈림부(310)를 기준으로 갈라질 수 있어 프레임(200)들이 중심판(100)의 원주상에서 일측으로 모일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도 6의 (a)에서는 갈림부(310)가 명확하게 보일 수 있도록 막부재(300)가 완전히 펼쳐지지 않은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막부재(300)는 갈림부(310)와의 인접부 각각에서 연장되는 연장부(320)를 구비한다.
이러한 연장부(320)는 갈림부(310)와 접하는 막부재(300)의 단부를 연장하여, 갈림부(310)를 통해 비가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그늘막 유닛(10)이 펼쳐졌을 때, 도 6의 (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연장부(320)가 서로 겹쳐질 수 있어 막부재(300)가 갈라진 틈인 갈림부(310)를 통해 비가 유입되지 않는다.
연장부(320)는 도 6의 (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막부재(300)의 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꺾이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꺾인 부분의 단차에 의해 갈림부(310)로 비가 유입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수 개의 프레임(200) 각각은 중심판(100)의 중심에서 벗어난 위치에서 중심판(100)에 대한 회전축부(A)를 가지고, 회전축부(A) 각각은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각 프레임(200)의 회전축부(A)가 서로 이격 배치됨에 따라, 그늘막 유닛(10)을 접었을 때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프레임(200)들이 서로 나란하게 위치할 수 있어, 접한 상태의 그늘막 유닛(10) 크기를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절첩식 그늘막 유닛(10)은 구동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400)는 중심판(100)에 고정되며, 다수 개의 프레임(200) 중 일부를 회전시킨다. 따라서, 그늘막 유닛(10)이 자동으로 절첩될 수 있어 그늘막의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구동부(400)가 일부의 프레임(200)을 회전시키더라도 프레임(200)들은 막부재(300)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함께 회전하여 절첩될 수 있다.
구동부(400)는 보다 구체적으로 구동 모터(410)와 회전 전달부재(420)를 구비할 수 있다.
구동 모터(410)는 중심판(100) 상에 배치되며, 그 회전축이 중심판(100)의 중심축과 동일한 선 상에 위치할 수 있다. 구동 모터(410)는 양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회전 전달부재(420)는 구동 모터(410)의 회전을 다수 개의 프레임(200) 중 일부에 전달하여, 중심판(100)의 중심에 위치하는 구동 모터(410)가 중심판(100)의 중심에서 벗어난 위치에서 회전축부(A)를 갖는 프레임(200)을 회전시킬 수 있다.
구동 모터(410)의 회전축에는 제1 풀리(421)가 형성되고 구동 모터(410)의 회전을 전달받는 프레임(200)의 회전축에는 제2 풀리(422)가 형성되어, 제1 풀리와 제2 풀리가 벨트(423)로 연결됨으로써 구동 모터(410)의 회전력이 프레임(20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구동 모터(410)의 회전축과 구동 모터(410)의 회전을 전달받는 프레임(200)의 회전축에 기어가 형성되어 서로 맞물림으로써 구동 모터(410)의 회전력이 프레임(200)으로 전달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절첩식 그늘막 유닛(10)은 회전판(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판(500)은 중심판(10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중심판(10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프레임(200)들은 이러한 회전판(500)을 통하여 상기 중심판(100)에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레임(200)들은 각각의 회전축부(A)를 기준으로 회전하여 각각이 중심판(100)에 대해 회전할 수 있고, 회전판(500)의 회전에 의해 한꺼번에 중심판(100)에 대해 회전할 수도 있다.
프레임(200)이 회전판(500)을 통해 중심판(100)에 결합하는 경우에도 프레임(200)의 일단부가 중심판(100)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각 프레임(200)의 일단부는 회전판(50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회전판(500)은 예를 들어, 중심판(100)의 하부에 위치하고, 프레임(200)들은 중심판(100)과 회전판(500)의 사이에서 회전판(500)에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절첩식 그늘막 유닛(10)이 회전판(500)을 구비할 때, 회전 전달부재(420)는 다수 개의 프레임(200) 중 하나의 프레임(200)에 구동 모터(410)의 회전을 전달한다. 구동 모터(410)의 회전을 전달받는 프레임(200)은 구동 프레임(210)이라고 한다.
구동 모터(410)의 회전이 구동 프레임(210)으로만 전달되더라도 구동 프레임(210) 회전축부(A)의 회전 및 회전판(500)의 회전에 의해 프레임(200)들은 모두 중심판(100)에 대해 회전하여 완전히 접히거나 펼쳐지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절첩식 그늘막 유닛(10)이 회전판(500)을 구비할 때, 중심판(100)에는 가이드홈(110)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홈(110)은 회전판(500)이 회전할 때 구동 프레임(210)의 회전축부(A)가 지나는 경로를 따라 형성되어, 구동 프레임(210) 회전축부(A)의 이동을 가이드 할 수 있다. 또한, 회전판(500)의 회전시 회전 전달부재(420)와 구동 프레임(210)의 연결부가 중심판(100)과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절첩식 그늘막 유닛(10)이 동작하는 과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8 내지 도 10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절첩식 그늘막 유닛(10)의 접히는 과정이 순서대로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8의 (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구동 프레임(210)이 구동부(400)에 의해 그 회전축부(A)를 기준으로 회전한다. 구동 프레임(210)이 회전하면서 회전 방향으로 위치하는 프레임(200)들을 차례대로 가압하게 되면, 도 8의 (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프레임(200)들의 반 정도가 서로 나란하게 위치하게 된다.
프레임(200)들이 어느 정도 접힌 후에는 구동부(400)의 회전력이 구동 프레임(210)을 회전시키기 어려워져, 구동 프레임(210)을 통해 회전판(500)으로 전달되게 된다. 따라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회전판(500)이 회전하면서 프레임(200)들이 함께 회전하게 되어, 프레임(200)들이 완전히 접힐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절첩식 그늘막 유닛(10)이 펼쳐질 때에는 구동부(400)가 구동 프레임(210)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구동 프레임(210)의 회전에 의해 프레임(200)들이 반 정도 펼쳐진 후에는 구동부(400)의 회전력이 구동 프레임(210)을 회전시키기 어려워져 회전판(500)이 회전하면서 프레임(200)들이 완전히 펼쳐지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절첩식 그늘막 유닛(10)은 제1 정렬 스토퍼(610)를 구비할 수 있다.
구동 프레임(210)이 펼쳐질 때의 회전 방향을 일방향이라고 하였을 때, 구동 프레임(210)의 일방향으로 인접하여 위치한 프레임(200)을 정렬 프레임(220)이라고 한다.
제1 정렬 스토퍼(610)는 정렬 프레임(220)이 일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프레임(200)들이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정렬 프레임(220)의 일측에서 정렬 프레임(220)과 접하도록 위치한다.
이에 따라, 프레임(200)들이 완전히 펼쳐진 후에는 회전판(500)이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정렬 프레임(220)은 회전판(500)이 더 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중심판(100)의 하면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절첩식 그늘막 유닛(10)은 제2 정렬 스토퍼(62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2 정렬 스토퍼(620)는 제1 정렬 스토퍼(610)로부터 타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제1 정렬 스토퍼(610)와 마찬가지로 중심판(100)의 하면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정렬 스토퍼(620)는 소정 위치에서 정렬 프레임(220)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여, 프레임(200)들이 접히는 과정에서 회전판(500)의 회전에 의해 정렬 프레임(220)이 소정 위치로 이동하였을 때 정렬 프레임(220)을 회전시켜 프레임(200)들이 모두 나란하게 위치하면서 완전히 접힐 수 있도록 한다.
즉, 도 9의 (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정렬 프레임(220)이 제2 정렬 스토퍼(620)와 접하는 위치까지 회전판(500)이 회전하면, 정렬 프레임(220)은 제2 정렬 스토퍼(620)와의 간섭에 의해 도 10의 (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회전판(500)이 더 회전하는 것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정렬 프레임(220)이 회전하면서 정렬 프레임(220)의 회전 방향으로 위치하는 프레임(200)들을 차례대로 가압하게 되면, 결국에는 도 10의 (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구동 프레임(210)에 의해 나란하게 위치하였던 프레임(200)들과 정렬 프레임(220)에 의해 나란하게 위치하게된 프레임(200)들이 모두 나란하게 위치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절첩식 그늘막 유닛(10)은 2개의 제2 정렬 스토퍼(620)를 구비할 수 있다.
하나의 제2 정렬 스토퍼(620)가 정렬 프레임(220)의 회전 방향으로 인접한 프레임(200)들을 어느 정도 나란하게 위치시킨 후, 나머지 제2 정렬 스토퍼(620)는 정렬 프레임(220)이 구동 프레임(210)과 거의 완전하게 평행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프레임(200)들이 접히는 과정을 마무리한다.
제2 정렬 스토퍼(620)는 다수 개의 프레임(200) 중 정렬 프레임(220)과만 간섭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정렬 프레임(220) 외의 프레임(200)이 제2 정렬 스토퍼(620)와 간섭함으로써 회전판(500)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렬 프레임(220)은 다른 프레임(200)에 비하여 중심판(100) 방향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되고, 중심판(100)의 하면에 형성된 제2 정렬 스토퍼(620)는 정렬 프레임(220)의 돌출된 부분과 접하게 됨으로써 정렬 프레임(220)과만 간섭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정렬 스토퍼(610)는 다수 개의 프레임(200) 중 정렬 프레임(220)과만 간섭하도록 형성된다.
정렬 프레임(220)에서 회전축부(A)와의 연결부는 'ㄱ' 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의 정렬 프레임(220)은 제2 정렬 스토퍼(620)와 두 측면에서 접하면서, 보다 정확하게 정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절첩식 그늘막 유닛(10)은 고정 프레임(70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고정 프레임(700)은 구동 프레임(210)의 반대측에서 회전판(500)에 고정되어 회전판(500)을 기준으로 회전하지 않는다.
이 경우, 구동 프레임(210)이 일정 각도 회전하여 도 8의 (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구동 프레임(210)을 포함한 일부 프레임(200)들이 고정 프레임(700)과 나란하게 위치한 후에는, 회전판(500)에 대한 구동 프레임(210)의 각도가 더 이상 변화하지 않고 구동부(400)의 회전력이 확실하게 회전판(500)을 회전시키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 프레임(210)이 필요 이상으로 회전판(500)에 대해 회전하여 프레임(200)들의 접히는 과정 후반부에 프레임(200)들의 정렬이 어려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절첩식 그늘막 유닛(10)은 상기한 것과 같은 구성들 외에도, 구동부(400)를 감싸는 커버(8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절첩식 그늘막 유닛(10)을 포함하는 그늘막 장치(1)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절첩식 그늘막 장치(1)에 대해 설명하면서, 절첩식 그늘막 유닛(10)의 설명시 언급한 부분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절첩식 그늘막 장치(1)는 그늘막 유닛(10), 빔(20) 및 지주(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절첩식 그늘막 장치(1)의 전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늘막 유닛(10)은 그늘을 형성할 수 있는 부분으로, 자동으로 절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빔(20)과 지주(30)는 그늘막 유닛(10)을 일정 높이상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지주(30)는 지면에 수직하게 고정되는 부재로서, 그늘막 유닛(10)을 일정 높이상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빔(20)은 일단부가 그늘막 유닛(10)의 중심판(100)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지주(30)와 연결되는 거의 수평한 부재로서, 그늘막 유닛(10)과 지주(30)를 연결하되 그늘막과 지주(30)가 간섭하지 않도록 한다.
빔(20)은 지주(30)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그늘막 유닛(10)의 위치를 변경하여, 필요한 위치에 그늘을 형성해줄 수 있다.
빔(20)은 지주(30)에 대해 절첩 가능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그늘막 유닛(10)의 각도가 조절되어, 태양의 위치가 달라지면서 그늘이 너무 작게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그늘막 유닛(10)을 사용하지 않을 때, 그늘막 유닛(10)을 접고 빔(20)을 지주(30)와 나란하게 접하도록 접어둠으로써 그늘막 장치(1)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다.
빔(20)은 그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그늘막 유닛(10)의 각도를 조절해주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절첩식 그늘막 장치(1)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는 구동부(400)의 동작을 제어하여, 그늘막이 자동으로 절첩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는 지주(30)에 대한 빔(20)의 회전이나 절첩 동작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에는 그늘막 장치(1)가 설치된 위치의 시간별 태양 위치가 저장되어, 태양 위치에 따라 자동으로 그늘막 유닛(10)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절첩식 그늘막 장치(1)는 기상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부(미도시)를 더 포함하고, 이 경우 제어부는 센서부에서 감지된 기상 상태에 따라 구동부(400)를 제어할 수 있다.
센서부는 예를 들어, 풍속센서, 우적센서, 태양광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풍속센서에서 풍속이 소정치 이상인 것으로 감지된 경우에는 그늘막 유닛(10)이 접히도록 구동부(400)를 제어할 수 있고, 우적센서에 의해 비가 오는 것이 감지된 경우에는 그늘막 유닛(10)이 펼쳐지도록 구동부(40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태양광 센서에 의해 태양이 떠 있는 것으로 감지된 경우에는 그늘막 유닛(10)이 펼쳐지도록 구동부(400)를 제어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그늘막 유닛(10)이 접히도록 구동부(4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처럼 센서부는 기상 상태에 맞추어 자동으로 그늘막 유닛(10)이 절첩되도록 함으로써, 그늘막 유닛(10)을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관리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절첩식 그늘막 장치(1)는 제어 신호를 임의로 발생시키는 신호 입력부(미도시)를 구비하여, 관리자가 임의로 그늘막 유닛(10)의 각도를 조절하거나 절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절첩식 그늘막 장치(1)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는 센서부에서 감지된 기상 상태를 외부로 송신하고, 외부로부터 제어부의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센서부에서 감지된 기상 상태는 외부로 송신되어 시민들이 국지적인 기상 상태를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리고 예를 들어 기상청 예보를 기준으로 외부의 제어 센터에서 산출된 제어 신호를 통해 그늘막 장치(1)가 제어되도록 하거나, 관리자에 의해 임의로 그늘막 장치(1)가 원격 제어되도록 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부에는 예를 들어, 로라(LoRa) 방식, 와이파이(WiFi) 방식 등이 무선 통신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절첩식 그늘막 장치(1)는 상기한 구성 외에도 조명(미도시), 디스플레이부(미도시), 스피커(미도시), 전원(미도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조명은 태양광 센서에 의해 어두워진 것으로 판단되면 점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를 통해서는 그늘막 장치(1)가 설치된 자치단체와 관련된 정보나 광고 등이 출력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는 태양광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태양광의 양에 따라 밝기가 조절될 수 있다.
스피커를 통해서는 안내 방송이나 음악이 출력될 수 있고, 태양광 센서에 의해 어두워진 것으로 판단되면 볼륨이 작게 조절될 수 있다.
전원은 구동부(400)나 제어부 등이 동작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해줄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 : 절첩식 그늘막 장치
10 : 절첩식 그늘막 유닛 20 : 빔
30 : 지주
100 : 중심판 120 : 가이드홈
200 : 프레임 210 : 구동 프레임
220 : 정렬 프레임 300 : 막부재
310 : 갈림부 320 : 연장부
400 : 구동부 410 : 구동 모터
420 : 회전 전달부재 500 : 회전판
610 : 제1 정렬 스토퍼 620 : 제2 정렬 스토퍼
700 : 고정 프레임 900 : 보강재
910 : 인장 보강재 920 : 압축 보강재

Claims (19)

  1. 중심판;
    일단부가 상기 중심판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며, 회전축이 상기 중심판의 중심축과 나란한 다수 개의 프레임;
    다수 개의 상기 프레임을 연결하는 막부재; 및
    일단부가 상기 중심판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프레임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을 지지하는 보강재;를 포함하는 절첩식 그늘막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서 상기 프레임을 상부로 당기는 인장 보강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그늘막 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보강재의 일단부는, 상기 중심판의 둘레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그늘막 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서 상기 프레임을 받쳐주는 압축 보강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그늘막 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보강재는, 상기 프레임과 함께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그늘막 유닛.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막부재는, 반경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갈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그늘막 유닛.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막부재는, 상기 갈림부와의 인접부 각각에서 연장되는 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막부재가 펼쳐졌을 때 상기 연장부는 서로 겹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그늘막 유닛.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막부재의 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꺾이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그늘막 유닛.
  9. 제1항에 있어서,
    다수 개의 상기 프레임은, 상기 중심판의 중심에서 벗어난 위치에서 상기 중심판에 대한 회전축부를 가지며, 상기 회전축부 각각은 서로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그늘막 유닛.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판에 고정되며, 다수 개의 상기 프레임 중 일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그늘막 유닛.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구동 모터, 및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을 다수 개의 상기 프레임 중 일부에 전달하는 회전 전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그늘막 유닛.
  12. 제11항에 있어서,
    다수 개의 상기 프레임은 상기 중심판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중심판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회전판을 통해 상기 중심판에 결합하고,
    상기 회전 전달부재는 다수 개의 상기 프레임 중 하나인 구동 프레임에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그늘막 유닛.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프레임에 대해 일방향으로 인접하여 위치하며 다수 개의 상기 프레임 중 하나인 정렬 프레임이, 일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정렬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그늘막 유닛.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 프레임이 소정 위치에서 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며, 상기 제1 정렬 스토퍼로부터 타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제2 정렬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그늘막 유닛.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렬 스토퍼는 다수 개의 상기 프레임 중 상기 정렬 프레임과만 간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그늘막 유닛.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프레임의 반대측에서 상기 회전판에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그늘막 유닛.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그늘막 유닛;
    일단부가 상기 그늘막 유닛의 상기 중심판에 연결되는 빔; 및
    상기 빔의 타단부와 연결되는 지주;를 포함하는 절첩식 그늘막 유닛.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빔은 상기 지주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그늘막 유닛.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빔은 상기 지주에 대해 절첩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그늘막 유닛.
KR1020200147998A 2020-11-06 2020-11-06 절첩식 그늘막 유닛 및 그늘막 장치 KR1024074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7998A KR102407463B1 (ko) 2020-11-06 2020-11-06 절첩식 그늘막 유닛 및 그늘막 장치
PCT/KR2020/018013 WO2022097825A1 (ko) 2020-11-06 2020-12-10 절첩식 그늘막 유닛 및 그늘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7998A KR102407463B1 (ko) 2020-11-06 2020-11-06 절첩식 그늘막 유닛 및 그늘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1711A true KR20220061711A (ko) 2022-05-13
KR102407463B1 KR102407463B1 (ko) 2022-06-13

Family

ID=81458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7998A KR102407463B1 (ko) 2020-11-06 2020-11-06 절첩식 그늘막 유닛 및 그늘막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07463B1 (ko)
WO (1) WO2022097825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00993A (ja) * 2004-01-19 2005-07-28 Yasuhisa Choshoin 小型クレーン付水平開閉式大型パラソル
KR100962508B1 (ko) 2009-12-22 2010-06-14 메탈크래프트코리아 주식회사 그늘막 장치
KR101555705B1 (ko) * 2014-09-30 2015-09-25 (주)디자인다다어소시에이츠 차양 장치
KR101615105B1 (ko) * 2014-09-30 2016-04-25 (주)디자인다다어소시에이츠 차양 장치
JP2019049161A (ja) * 2017-09-12 2019-03-28 タカノ株式会社 自立型オーニング
KR101966730B1 (ko) * 2018-08-21 2019-04-08 주식회사 제이디 엔지니어링 회전펼침 방식의 양산 겸용 우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5939U (ko) * 1994-07-16 1996-02-17 안경
KR100895775B1 (ko) * 2008-06-17 2009-05-06 윤석렬 접이식 부채의 원리를 응용한 양산
JP5141928B2 (ja) * 2010-12-24 2013-02-13 悠子 村西 日傘
KR101514016B1 (ko) * 2014-08-29 2015-04-23 조순자 캐노피형 어닝
KR102210464B1 (ko) * 2018-12-26 2021-01-29 이대현 실내용 텐트 프레임 지지장치
KR102092154B1 (ko) * 2019-02-18 2020-03-23 유채화 접이식 파라솔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00993A (ja) * 2004-01-19 2005-07-28 Yasuhisa Choshoin 小型クレーン付水平開閉式大型パラソル
KR100962508B1 (ko) 2009-12-22 2010-06-14 메탈크래프트코리아 주식회사 그늘막 장치
KR101555705B1 (ko) * 2014-09-30 2015-09-25 (주)디자인다다어소시에이츠 차양 장치
KR101615105B1 (ko) * 2014-09-30 2016-04-25 (주)디자인다다어소시에이츠 차양 장치
JP2019049161A (ja) * 2017-09-12 2019-03-28 タカノ株式会社 自立型オーニング
KR101966730B1 (ko) * 2018-08-21 2019-04-08 주식회사 제이디 엔지니어링 회전펼침 방식의 양산 겸용 우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97825A1 (ko) 2022-05-12
KR102407463B1 (ko) 2022-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5274B1 (ko) 스카이 어닝
KR102015787B1 (ko) 일기상황에 따라 동작되는 자동 접이식 그늘막 장치
US9528313B1 (en) Non-intrusive, adaptive tracking and shading device
KR101982972B1 (ko) 원격제어 기능을 가지는 파라솔
KR102079204B1 (ko) 포켓부를 구비한 파라솔
KR20130132121A (ko) 자동 접이식 파라솔
KR20150026425A (ko) 전동 접이식 어닝을 구비한 파고라
KR102152372B1 (ko) 와이어 파손방지기능을 갖는 접이식 대형 파라솔
KR101492038B1 (ko) 전동 접이식 파라솔
KR102407463B1 (ko) 절첩식 그늘막 유닛 및 그늘막 장치
KR20160044839A (ko) 개량형 접이식 파라솔
US20180223596A1 (en) Reversible Roller Shades with Light Reflective and Heat Absorbing Roller Fabric
CN215803494U (zh) 一种可调节透光性的遮阳篷
KR102407462B1 (ko) 자동 절첩식 그늘막 유닛 및 그늘막 장치
KR102073895B1 (ko) 그늘막 장치
KR200320122Y1 (ko) 파고라 조형물의 차양막 테두리 장력조절구조
KR101139907B1 (ko) 차양막 주름 방지를 위한 경첩형 장력조절장치
KR102323246B1 (ko) 스마트 그늘막 시스템
CN202990546U (zh) 一种集伸缩遮阳篷架和广告架于一体的遮阳篷
KR101856851B1 (ko) 접이식 대면적 차광 장치
CN109667447A (zh) 带可开合式顶棚的棚架结构、可开合式顶棚及其安装方法
KR102055787B1 (ko) 다축 회동 어닝
KR20210141210A (ko) 횡단보도용 그늘막 장치
KR102312955B1 (ko) 스마트 전자동 개폐형 그늘막
KR102169439B1 (ko) 스마트 전자동 개폐형 그늘막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