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0464B1 - 실내용 텐트 프레임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실내용 텐트 프레임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0464B1
KR102210464B1 KR1020180169740A KR20180169740A KR102210464B1 KR 102210464 B1 KR102210464 B1 KR 102210464B1 KR 1020180169740 A KR1020180169740 A KR 1020180169740A KR 20180169740 A KR20180169740 A KR 20180169740A KR 102210464 B1 KR102210464 B1 KR 1022104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rotating
rotating member
frames
in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9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9973A (ko
Inventor
이대현
김상식
Original Assignee
이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대현 filed Critical 이대현
Priority to KR1020180169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0464B1/ko
Publication of KR20200079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9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0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04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36Supporting means, e.g. frames arch-shaped type
    • E04H15/38Supporting means, e.g. frames arch-shaped type expansible, e.g. extensible in a fan type man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 바닥면에 놓여지는 접지부; 및 상기 접지부에 마련되며, 다수개의 프레임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다수개의 프레임을 서로 일정간격 이격시킨 상태로 지지하거나, 또는, 상기 다수개의 프레임을 수직방향으로 세운 상태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실내용 텐트 프레임 지지장치{INDOOR TENT FRAME SUPPORT APPARATUS}
본 발명은 실내용 텐트용 프레임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실내용 난방텐트의 골조로 사용되는 다수개의 프레임을 접철(摺綴)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텐트는 야외활동 시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받기 위하여 개발된 제품이다. 이러한 텐트는 이동성과 편의성 및 내구성 등을 고려하여 설계되어야 한다.
예컨대, 이동성을 강조하여 텐트를 설계하게 되면, 부피가 줄고 무게가 가벼워져 사용자가 휴대한 채 이동하기에 좋은 장점은 있으나, 텐트 설치 후, 여러 가지 편의성이나 보온성 및 내구성 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반대로, 편의성이나 보온성 및 내구성 등을 강조하여 텐트를 설계하게 되면, 텐트 설치 후, 외부 환경으로부터 안정적으로 보호를 받을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텐트 전체의 무게가 증가되는 관계로 인하여 사용자가 휴대한 채 이동하기에 불편한 단점이 있다.
한편, 근래에는, 난방을 목적으로 실내에 사용되는 실내용 텐트가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실내용 텐트는 가정이나 체육관, 대피소와 같은 기타 공공시설에 사용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캠핑용 텐트와는 다르게 외부환경에 영향을 적게받기 때문에 이동성과 설치의 편의성 등이 고려되어 설계되고 있다.
즉, 실내용 텐트는, 지면에 고정되는 지주핀이나 지지끈을 사용하지 않고도, 사용자가 실내에서 용이하게 설치하도록 개발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기존의 실내용 텐트는, 텐트의 골조를 구성하는 다수개의 프레임을 이용하기 때문에, 설치작업 또는 해체작업이 여전히 까다로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천막과 프레임을 연결하는 작업과정이 복잡하고 또한 사용자의 힘을 요구하기 때문에, 어린아이나 여성 그리고 노약자들은 실내용 텐트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설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원터치 방식으로 실내용 텐트를 설치하거나 접는 방식이 개발되고 있으나, 이는 실내용 텐트의 단가를 상승시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원터치 방식의 실내용 텐트는, 오로지 설치작업 또는 분리작업의 편의성만 강조되어 설계되었기 때문에 구조적으로도 불안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개발하게 되었으며,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1900687호의 '신속하고 조용한 개폐가 가능한 실내용 텐트'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실내용 텐트를 구성하는 다수개의 프레임을 지지함과 동시에, 실내용 텐트의 설치 및 보관 편의성을 위하여 사용자가 다수개의 프레임을 간편하게 펼치거나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된 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실내 바닥면에 놓여지는 접지부; 및 상기 접지부에 마련되며, 다수개의 프레임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다수개의 프레임을 서로 일정간격 이격시킨 상태로 지지하거나, 또는, 상기 다수개의 프레임을 수직방향으로 세운 상태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지부는, 서로 길이방향으로 연결된 한 쌍의 회동 플레이트; 상기 회동 플레이트의 길이방향 단부에 마련되는 기어부; 및 상기 기어부가 마련된 상기 회동 플레이트의 부위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는 회동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회동 플레이트의 윗면에 놓여진 채 상기 회동핀과 연결되는 원호 형태의 바디; 상기 바디의 내부 양측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다수개의 프레임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유닛; 및 상기 바디의 상측 중앙부에서 소정의 깊이로 마련되어 실내용 텐트의 지주 단부와 연결되는 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동유닛은, 상기 바디에 형성된 고정축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프레임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제1결합구가 둘레면 일측에 마련된 원판 형태의 제1회동부재; 상기 제1회동부재와 근접하게 배치된 채 상기 고정축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프레임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제2결합구가 둘레면 중앙에 마련된 원판 형태의 제2회동부재; 상기 제2회동부재와 근접하게 배치된 채 상기 고정축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프레임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제3결합구가 둘레면 타측에 마련된 원판 형태의 제3회동부재; 및 상기 제1회동부재 내지 제3회동부재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1회동부재 내지 제3회동부재의 회동각도를 제한하며, 상기 바디에 형성된 가이드핀이 삽입되는 원호 형태의 가이드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결합구 내지 제3결합구는, 서로 상이한 수직방향 축선(Y1, Y2, Y3)을 가지되, 상기 수직방향 축선(Y1, Y2, Y3)과 교차되는 수평방향 축선(X)은 서로 동일하도록 상기 제1회동부재 내지 제3회동부재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회동부재에 형성된 가이드공은, 상기 제1결합구의 회동각도가 0도에서 90가 되도록, 상기 제1회동부재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2회동부재에 형성된 가이드공은, 상기 제2결합구의 회동각도가 45도에서 90가 되도록, 상기 제2회동부재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3회동부재에 형성된 가이드공은, 상기 제3결합구의 회동각도가 67.5도에서 90도가 되도록, 상기 제3회동부재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결합구 내지 상기 제3결합구는 서로 비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는, 상기 제1회동부재의 회동각도를 제한하는 수평면; 상기 수직면과 연결되며, 상기 제1회동부재 내지 제3회동부재의 둘레면과 슬라이딩 접촉되는 캠면; 및 상기 캠면과 연결되며, 상기 제3회동부재의 회동각도를 제한하는 수직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내용 텐트 프레임 지지장치는, 실내용 텐트를 구성하는 다수개의 텐트 프레임이 하나의 동축상에서 개별적으로 회전 가능한 다수개의 회동부재에 의해 지지된 채 회동될 수 있으므로, 다수개의 프레임을 회동시켜 펼치거나 접는 과정이 사용자에 의해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내용 텐트 프레임 지지장치는, 다수개의 프레임이 회동유닛에 의해 접철 가능하게 회동되는 구조를 제공하므로, 별도의 출입구를 마련하지 않고도 사용자가 실내용 텐트의 내부로 용이하게 들어갈 수 있고, 이에 따라, 텐트 내부에 난방용 매트와 같은 난방기기 용이하게 설치하여 난방효율을 더욱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내용 텐트 프레임 지지장치는, 실내용 텐트를 보관할 시에, 바닥면과 접촉되는 접지부의 회동 플레이트가 실내용 텐트의 폭방향을 따라 회동 가능한 구성을 가지므로, 접철된 다수개의 프레임이 균형을 잃고 쓰러지지 않는 기립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텐트 프레임 지지장치에 의해 다수개의 프레임이 펼쳐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다수개의 프레임이 접혀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텐트 프레임 지지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지지장치의 내부구성을 바디의 후면커버를 생략한 상태에서 도 3에 도시된 화살표 A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동유닛의 평면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지지장치의 회동유닛과 접지부가 회동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텐트 프레임 지지장치가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텐트 프레임 지지장치에 의해 다수개의 프레임이 펼쳐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다수개의 프레임이 접혀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텐트 프레임 지지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지지장치의 내부구성을 바디의 후면커버를 생략한 상태에서 도 3에 도시된 화살표 A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동유닛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지지장치의 회동유닛과 접지부가 회동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텐트 프레임 지지장치(100)는, 실내용 텐트의 골조를 형성하는 다수개의 프레임(f1) 및 지주(f2)와 연결되며, 특히, 사용자가 실내용 텐트를 설치하는 과정이나, 설치된 실내용 텐트를 접는 과정을 신속하게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실내용 텐트(1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 바닥면에 놓여지는 접지부(200); 및 상기 접지부(200)에 마련되며, 다수개의 프레임(f1)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지부(200)는, 실내 바닥면과 접촉되어 실내용 텐트가 균형을 잃지 않도록 하는
상기 접지부(200)는, 실내용 텐트가 펼쳐진 상태로 설치되었거나, 또는, 접혀진 상태로 보관될 시에, 실내 바닥면과 접촉되어 실내용 텐트의 균형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위와 같은 접지부(20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서로 길이방향으로 연결된 한 쌍의 회동 플레이트(210); 상기 회동 플레이트(210)의 길이방향 단부에 마련되는 기어부(220); 및 상기 기어부(220)가 마련된 상기 회동 플레이트(210)의 부위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300)와 연결되는 회동핀(2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동 플레이트(210)의 저면은 실내용 바닥면과 접촉되는 부분이라 할 수 있고, 그 윗면 일부는 상기 지지부(300)가 마련되는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위와 같은, 회동 플레이트(210)는 실내용 텐트의 크기에 따라서 다양한 길이 및 폭을 가진 채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기어부(220)는, 상기 한 쌍의 회동 플레이트(210)가 서로 마주하는 길이방향 단부 부위에 각각 마련되는바, 상세하게는 상기 회동 플레이트(210)의 길이방향 일측 모서리에서 상기 회동 플레이트(210)와 일체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회동 플레이트(210)의 길이방향 단부가 기어와 같은 형태가 되도록 가공하여 상기 기어부(220)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회동핀(230)은, 상기 기어부(220)가 형성된 상기 회동 플레이트(210)의 모서리측 윗면에서 수직 상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300)를 구성하는 바디(310)의 저면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회동 플레이트(210)는, 상기 회동핀(230)을 중심으로 그 길이방향 타단부, 즉, 상기 기어부(220)가 마련되지 않은 길이방향 단부 부위가 서로 근접하게 또는 서로 멀어지도록 회동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용 텐트를 설치하였을 경우에는, 실내용 텐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한 쌍의 회동 플레이트(210)가 펼쳐진 상태로 회동될 수 있다. 반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용 텐트를 접었을 경우에는, 실내용 텐트의 폭방향을 따라 한 쌍의 회동 플레이트(210)가 접혀진 상태로 회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실내용 텐트의 사용 상태에 대응하여 접지부(200)의 한 쌍의 회동 플레이트(210)를 간편하게 회동시켜 실내용 텐트의 균형을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지지부(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수개의 프레임(f1)을 서로 일정간격 이격시킨 상태로 지지하거나,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수개의 프레임(f1)을 수직방향으로 세운 상태로 지지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지지부(300)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 플레이트(210)의 윗면에 놓여진 채 상기 회동핀(230)과 연결되는 원호 형태의 바디(310); 상기 바디(310)의 내부 양측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다수개의 프레임(f1)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유닛(320); 및 상기 바디(310)의 상측 중앙부에서 소정의 깊이로 마련되어 실내용 텐트의 지주(f2) 단부와 연결되는 홈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310)는, 상기 회동유닛(320)을 보호하는 전면커버 및 후면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 커버들의 저면이 상기 접지부(200)의 회동핀(230)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디(310)를 구성하는 전면커버의 내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유닛(320)을 구성하는 회동부재(321, 322, 323)와 연결되는 고정축(311)이 마련되고, 이 고정축(311)의 상부에는 상기 회동부재(321, 322, 323)의 회동각도를 제한하는 가이드핀(312)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회동유닛(320)은, 실내용 텐트를 구성하는 프레임(f1)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로 마련되는 다수개의 회동부재(321, 322, 323)를 포함할 수 있다.
회동부재(321, 322, 323)는 상기 바디(310)의 양측에 각각 마련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3개의 회동부재(321, 322, 323)가 바디(31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 및 도면상에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회동유닛(320)은, 상기 바디(310)에 형성된 고정축(311)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프레임(f1)의 길이방향 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제1결합구(321a)가 둘레면 일측에 마련된 원판 형태의 제1회동부재(321); 상기 제1회동부재(321)와 근접하게 배치된 채 상기 고정축(31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프레임(f1)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제2결합구(322a)가 둘레면 중앙에 마련된 원판 형태의 제2회동부재(322); 상기 제2회동부재(322)와 근접하게 배치된 채 상기 고정축(311)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프레임(f1)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제3결합구(323a)가 둘레면 타측에 마련된 원판 형태의 제3회동부재(323); 및 상기 제1회동부재 내지 제3회동부재(321, 322, 323)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1회동부재 내지 제3회동부재(321, 322, 323)의 회동각도를 제한하며, 상기 바디(310)에 형성된 가이드핀(312)이 삽입되는 원호 형태의 가이드공(321b, 322b, 323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회동부재 내지 제3회동부재(321, 322, 323)는 상기 바디(310)의 내부 양측에서 상기 고정축(311)을 중심으로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회동될 수 있다.
상기 제1회동부재 내지 제3회동부재(321, 322, 323)에 각각 마련되는 제1결합구 내지 제3결합구(321a, 322a, 323a)는 전체적으로 중공의 원기둥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회동부재(321)에 마련된 제1결합구(321a)는, 상기 제1회동부재(321)의 둘레면 일측으로 편중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회동부재(322)에 마련된 제2결합구(322a)는, 상기 제2회동부재(322)의 둘레면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회동부재(323)에 마련된 제3결합구(323a)는, 상기 제3회동부재(323)의 둘레면 타측으로 편중되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고정축(311)에 상기 제1회동부재 내지 제3회동부재(321, 322, 323)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도 상기 제1결합구 내지 제3결합구(321a, 322a, 323a)는 서로 비접촉되어 간섭되지 않은 채 프레임(f1)을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결합구 내지 제3결합구(321a, 322a, 323a)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상이한 수직방향 축선(Y1, Y2, Y3)을 가지되, 상기 수직방향 축선(Y1, Y2, Y3)과 교차되는 수평방향 축선(X)은 서로 동일하도록 상기 제1회동부재 내지 제3회동부재(321, 322, 323)에 각각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제1결합구 내지 제3결합구(321a, 322a, 323a)의 수평방향 축선(X)이 서로 상이하다면, 상기 제1결합구 내지 제3결합구(321a, 322a, 323a)에 길이방향 단부가 각각 삽입되어 U자형으로 절곡된 프레임(f1)의 크기가 서로 상이해 질 수밖에 없으며, 이에 따라, 실내용 텐트를 구성하는 천막이 팽팽하게 펼쳐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제1결합구 내지 제3결합구(321a, 322a, 323a)는 그 수평방향 축선(X)은 서로 동일해지도록 상기 제1회동부재 내지 제3회동부재(321, 322, 323)에 각각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공(321b, 322b, 323b) 중에서 상기 제1회동부재(321)에 형성된 가이드공(321b)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결합구(321a)의 회동각도가 0도에서 90가 되도록 상기 제1회동부재(321)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회동부재(322)에 형성된 가이드공(322b)은, 상기 제2결합구(321b)의 회동각도가 45도에서 90가 되도록, 상기 제2회동부재(322)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회동부재(323)에 형성된 가이드공(323b)은, 상기 제3결합구(323a)의 회동각도가 67.5도에서 90도가 되도록, 상기 제3회동부재(323)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3회동부재(323)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프레임(f1) 중에서 실내용 텐트의 지주(f2)와 가장 근접하게 배치되어 가장 작은 각도범위(67.5°~ 90°)로만 회동될 필요성이 있는 프레임(f1)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회동부재(322)는 다수개의 프레임(f1) 중에서 실내용 텐트의 지주(f2)와 두 번째로 근접하게 배치되어 약 45도의 각도범위(45°~90°)로만 회동될 필요성이 있는 프레임(f1)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회동부재(321)는, 다수개의 프레임(f1) 중에서 실내용 텐트의 지주(f2)와 가장 멀리 배치되어 가장 큰 각도범위(0°~90°)로만 회동될 필요성이 있는 프레임(f1)과 연결될 수 있다.
위와 같이 하나의 고정축(311) 상에 다수개의 프레임(f1)을 각각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다수개의 회동부재(321, 322, 323)가 마련될 수 있으므로,
위와 같이, 상기 제1회동부재 내지 제3회동부재(321, 322, 323)는, 다양한 각도로 회동되어야 하는 다수개의 프레임(f1)을, 하나의 고정축(311)상에 장착되어 지지할 수 있으므로 지지장치(100)의 전체적인 크기가 컴팩트해지는 장점이 있고, 더불어, 사용자가 다수개의 텐트 프레임(f1)을 용이하게 펼치거나 접도록 하여 설치작업 및 해체작업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싱예에 따른 바디(310)는, 상기 제1회동부재 내지 제3회동부재(321, 322, 323)가 고정축(311) 상에서 원활하게 회전되고, 또한, 그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바디(310)를 구성하는 전면커버의 내면에는,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회동부재(321)의 회동각도를 제한하는 수평면; 상기 수평면과 연결되며, 상기 제1회동부재 내지 제3회동부재(321, 322, 323)의 둘레면과 슬라이딩 접촉되는 캠면; 및 상기 캠면과 연결되며, 상기 제3회동부재(323)의 회동각도를 제한하는 수직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면은, 회동 플레이트(310)의 윗면에 놓여지는 부분이라 할 수 있으며, 상기 제1회동부재(321)에 마련된 제1결합구(321a)가 0도의 각도(상기 회동 플레이트와 평행한 각도)로 회동되었을 때 상기 제1결합구(321a)와 접촉되어 상기 제1결합구(321a)가 0도 이하의 각도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톱퍼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캠면은, 상기 제1회동부재 내지 제3회동부재(321, 322, 323)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곡률을 가진 채로 형성되어 상기 제1회동부재 내지 제3회동부재(321, 322, 323)가 회전될 시에 발생되는 마찰력을 최소화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직면은, 상기 제3회동부재(323)에 마련된 제3결합구(323a)가 90도의 각도로 회동되었을 때 상기 제3결합구(323a)와 접촉되어 상기 제3결합구(323a)가 90도 이상의 각도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톱퍼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바디(310)의 중앙부에 마련되는 홈부(330)는, 실내용 텐트를 구성하는 지주(f2)의 단면 형태와 대응되는 형태를 가진 채로 상기 바디(310)에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지주(f2)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ㄷ'자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실내용 텐트 프레임 지지장치 200 : 접지부
210 : 회동 플레이트 220 : 기어부
230 : 회동핀 300 : 지지부
310 : 바디 311 : 고정축
312 : 가이드핀 320 : 회동유닛
321 : 제1회동부재 321a : 제1결합구
322 : 제2회동부재 322a : 제2결합구
323 : 제3회동부재 323a : 제3결합구
321b, 322b, 323b : 가이드공

Claims (8)

  1. 실내 바닥면에 놓여지는 접지부; 및
    상기 접지부에 마련되며, 다수개의 프레임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다수개의 프레임을 서로 일정간격 이격시킨 상태로 지지하거나, 또는, 상기 다수개의 프레임을 수직방향으로 세운 상태로 지지하며,
    상기 접지부는,
    서로 길이방향으로 연결된 한 쌍의 회동 플레이트;
    상기 회동 플레이트의 길이방향 단부에 마련되는 기어부; 및
    상기 기어부가 마련된 상기 회동 플레이트의 부위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는 회동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텐트 프레임 지지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회동 플레이트의 윗면에 놓여진 채 상기 회동핀과 연결되는 원호 형태의 바디;
    상기 바디의 내부 양측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다수개의 프레임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유닛; 및
    상기 바디의 상측 중앙부에서 소정의 깊이로 마련되어 실내용 텐트의 지주 단부와 연결되는 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텐트 프레임 지지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유닛은,
    상기 바디에 형성된 고정축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프레임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제1결합구가 둘레면 일측에 마련된 원판 형태의 제1회동부재;
    상기 제1회동부재와 근접하게 배치된 채 상기 고정축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프레임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제2결합구가 둘레면 중앙에 마련된 원판 형태의 제2회동부재;
    상기 제2회동부재와 근접하게 배치된 채 상기 고정축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프레임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제3결합구가 둘레면 타측에 마련된 원판 형태의 제3회동부재; 및
    상기 제1회동부재 내지 제3회동부재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1회동부재 내지 제3회동부재의 회동각도를 제한하며, 상기 바디에 형성된 가이드핀이 삽입되는 원호 형태의 가이드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텐트 프레임 지지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구 내지 제3결합구는, 서로 상이한 수직방향 축선(Y1, Y2, Y3)을 가지되, 상기 수직방향 축선(Y1, Y2, Y3)과 교차되는 수평방향 축선(X)은 서로 동일하도록 상기 제1회동부재 내지 제3회동부재에 각각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텐트 프레임 지지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동부재에 형성된 가이드공은, 상기 제1결합구의 회동각도가 0도에서 90도가 되도록, 상기 제1회동부재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2회동부재에 형성된 가이드공은, 상기 제2결합구의 회동각도가 45도에서 90도가 되도록, 상기 제2회동부재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3회동부재에 형성된 가이드공은, 상기 제3결합구의 회동각도가 67.5도에서 90도가 되도록, 상기 제3회동부재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텐트 프레임 지지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구 내지 상기 제3결합구는 서로 비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텐트 프레임 지지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제1회동부재의 회동각도를 제한하는 수평면;
    상기 수평면과 연결되며, 상기 제1회동부재 내지 제3회동부재의 둘레면과 슬라이딩 접촉되는 캠면; 및
    상기 캠면과 연결되며, 상기 제3회동부재의 회동각도를 제한하는 수직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텐트 프레임 지지장치.
KR1020180169740A 2018-12-26 2018-12-26 실내용 텐트 프레임 지지장치 KR1022104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9740A KR102210464B1 (ko) 2018-12-26 2018-12-26 실내용 텐트 프레임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9740A KR102210464B1 (ko) 2018-12-26 2018-12-26 실내용 텐트 프레임 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9973A KR20200079973A (ko) 2020-07-06
KR102210464B1 true KR102210464B1 (ko) 2021-01-29

Family

ID=71571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9740A KR102210464B1 (ko) 2018-12-26 2018-12-26 실내용 텐트 프레임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04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7463B1 (ko) * 2020-11-06 2022-06-13 김태한 절첩식 그늘막 유닛 및 그늘막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0749B1 (ko) * 1999-09-15 2002-06-20 이성연 덮개의 개폐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구조물
KR101694108B1 (ko) * 2016-08-09 2017-01-06 이경신 개폐형 위장막 설치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0749B1 (ko) * 1999-09-15 2002-06-20 이성연 덮개의 개폐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구조물
KR101694108B1 (ko) * 2016-08-09 2017-01-06 이경신 개폐형 위장막 설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9973A (ko) 2020-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84776B2 (en) Portable wall-partition
US8047391B2 (en) Foldable and portable frame
US8936036B2 (en) Flap door having a soft hinge for a hunting blind
KR102210464B1 (ko) 실내용 텐트 프레임 지지장치
US11058265B2 (en) Portable toilet
US20150272407A1 (en) Collapsible toilet enclosure
US20070079434A1 (en) Device for lifting a spa cover
US20190338553A1 (en) Collapsible Tent with Improved Crown Hub Assembly
JP6670334B2 (ja) 折り畳みと組立てが簡単な箱体、及びこの箱体を用いたペット小屋
US7357140B2 (en) Collapsible structure
JP2016089396A (ja) パーテーション構造、パーテーション形成方法、空間区画方法、および区画された空間
US20160018079A1 (en) Light cover with x-shaped structure
KR101352202B1 (ko) 힌지 다면체 격실을 구성하는 물체 디스플레이를 위한 요소지지대
KR200475341Y1 (ko) 야외 테이블
KR102034409B1 (ko) 연결형 천막
KR20200095372A (ko) 접이식 트램폴린
KR20100134360A (ko) 접이식 스탠드
KR20160044893A (ko) 접이식 테이블
KR101484624B1 (ko) 스크린 칸막이용 프레임
KR102091492B1 (ko) 저면공간의 확보가 가능한 접이식 탁구대
US7178540B2 (en) Cabana canopy and hub
KR20130011678A (ko) 절첩식 식탁
KR20200065411A (ko) 접이식 프레임 구조를 갖는 실내용 난방텐트
AU2005201258B2 (en) Collapsible structure
KR200413128Y1 (ko) 접철식 골프 연습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