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1492B1 - 저면공간의 확보가 가능한 접이식 탁구대 - Google Patents

저면공간의 확보가 가능한 접이식 탁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1492B1
KR102091492B1 KR1020180048796A KR20180048796A KR102091492B1 KR 102091492 B1 KR102091492 B1 KR 102091492B1 KR 1020180048796 A KR1020180048796 A KR 1020180048796A KR 20180048796 A KR20180048796 A KR 20180048796A KR 102091492 B1 KR102091492 B1 KR 102091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le tennis
folding
link means
tables
fold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8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4611A (ko
Inventor
영 열 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엑시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엑시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엑시옴
Priority to KR1020180048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1492B1/ko
Publication of KR20190124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46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1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1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5/00Card tables; Tables for other games
    • A47B25/003Card tables; Tables for other games for table tenn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8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 A47B3/0809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with elastic lock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8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 A47B3/083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with foldable top leav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04Table games physically beneficial for the human body, modelled on outdoor sports, e.g. table tenn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002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assembling to the object, e.g. furni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06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swivel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면공간의 확보가 가능한 접이식 탁구대에 관한 것으로, 좌측 및 우측 탁구대 저면에 대해 수직하게 고정설치된 제1 내지 제4 수직기둥; 상기 제1 내지 제 4 수직기둥의 상부근처 외측면과 상기 좌측 및 우측 탁구대의 저면 사이에 비스듬히 설치되어 가해지는 힘에 따라 수축 또는 팽창하는 지지수단; 상기 좌측 및 우측 탁구대가 마주하는 면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좌측 및 우측 탁구대의 접힘과 펴짐동작과 함께 연동하여 접혀지거나 펴지는 제1 내지 제3 접힘수단; 상기 제1 접힘수단과 제3 접힘수단에 각각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1 및 제2 수직기둥의 하단부에 마주하면서 평행하게 설치된 좌측 제1 및 제2 링크수단, 상기 좌측 제1 및 제2 링크수단의 각각의 단부에 연결된 좌측 제3 링크수단, 상기 제1 접힘수단과 제3 접힘수단에 각각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3 및 제4 수직기둥의 하단부에 마주하면서 평행하게 설치된 우측 제1 및 제2 링크수단, 및 상기 우측 제1 및 제2 링크수단의 각각의 단부에 연결된 우측 제3 링크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저면공간의 확보가 가능한 접이식 탁구대{Foldable Table Tennis Table With Lower Space}
본 발명은 저면공간의 확보가 가능한 접이식 탁구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마주하여 위치된 좌측 및 우측 탁구대의 저면에 좌측 및 우측 접힘수단이 위치되고, 좌측 및 우측 접힘수단과 엇갈리게 연결된 좌측 링크수단 및 우측 링크수단을 통해 좌측 및 우측 탁구대의 접힘동작과 펼침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측면도에서 보면 좌측에 위치된 수직다리 하부에 좌측 링크수단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좌측 링크수단의 타단부가 우측 탁구대의 저면에 위치된 우측 접힘수단에 연결되며, 반대로 우측에 위치된 수직다리 하부에 우측 링크수단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우측 링크수단의 타단부가 좌측 탁구대의 저면에 위치된 좌측 접힘수단에 연결되어 결국 좌측 및 우측 탁구대가 펼쳐진 상태에서 좌측 링크수단 및 우측 링크수단이 서로 사선으로 "ㅅ"자 형태로 연결되어 탁구대의 저면에 공간이 충분히 확보됨으로써 탁구대 이외에 별도의 용도 예를 들면 사무용 또는 회의용 테이블로도 겸하여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저면공간의 확보가 가능한 접이식 탁구대에 관한 것이다.
탁구대는 탁구를 즐기기 위하여 야외나 실내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장치를 말한다.
그러나, 종래의 탁구대는 두 개의 분리된 테이블로 이루어지고, 펴고 접을 때마다 따로 따로 조립해야 하므로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펴고 접을 때 무거운 테이블을 올리고 내리는 작업이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도 9에서와 같은 접이식 탁구대가 출현하게 되었다.
그런데, 도 9의 접이식 탁구대는 접게 되면 양쪽 탁구대가 밀착되지 않고 약간의 갭(L)이 생기게 된다. 그리고, 양쪽 탁구대의 저부의 다리(특히, 수직 다리)(f1, f2, f3, f4)가 해당 탁구대의 저면에 밀착되는 것이 아니라, 외측으로 소정각도 벌려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에, 도 1에서와 같은 접이식 탁구대를 보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보통 접은 상태로 보관하게 되는데, 이 경우 면적을 많이 차지하게 된다. 특히, 여러 대의 접이식 탁구대를 보관하는 경우에는 탁구대를 서로 밀착시켜 보관할 수 없어서 보관 면적이 많이 필요하다.
또한, 종래의 접이식 탁구대는 탁구대의 저면에 다수개의 링크수단들이 복자하게 설치되어 있어서 저면의 공간을 별도로 활용할 수 없는 구조였다.
[선행기술 문헌]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39960호(링크구조를 가진 일체형 접이식 탁구대)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마주하고 면접되어 하나의 탁구대를 구성하는 좌측 및 우측 탁구대의 접힘동작과 펼침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좌측 링크수단 및 우측 링크수단이 서로 사선으로 "ㅅ"자 형태로 연결되어 탁구대의 저면에서의 빈 공간이 충분히 확보됨으로써, 탁구대 이외에 별도의 용도 예를 들면 사무용 또는 회의용 테이블로도 겸하여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저면공간의 확보가 가능한 접이식 탁구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면공간의 확보가 가능한 접이식 탁구대는 좌측 및 우측 탁구대 저면에 대해 수직하게 고정설치된 제1 내지 제4 수직기둥;
상기 제1 내지 제 4 수직기둥들의 상부근처 외측면과 상기 좌측 및 우측 탁구대의 저면 사이에 비스듬히 설치되어 가해지는 힘에 따라 수축 또는 팽창하는 지지수단;
상기 좌측 및 우측 탁구대가 마주하는 면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좌측 및 우측 탁구대의 접힘과 펴짐동작과 함께 연동하여 접혀지거나 펴지는 제1 내지 제3 접힘수단;
상기 제1 접힘수단과 제3 접힘수단에 각각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1 및 제2 수직기둥의 하단부에 마주하면서 평행하게 설치된 좌측 제1 및 제2 링크수단,
상기 좌측 제1 및 제2 링크수단의 각각의 단부에 연결된 좌측 제3 링크수단,
상기 제1 접힘수단과 제3 접힘수단에 각각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3 및 제4 수직기둥의 하단부에 마주하면서 평행하게 설치된 우측 제1 및 제2 링크수단, 및
상기 우측 제1 및 제2 링크수단의 각각의 단부에 연결된 우측 제3 링크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접힘수단은
각각 개방된 면부분 중 하나는 경사면을 가진 직선면이고 나머지는 전체가 직선면이며, 좌측 접힘수단 및 우측 접힘수단의 단부가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좌측 및 우측 탁구대가 완전히 접혔을 때는 서로 마주하면서 위치되되 회동축 부분에서 일부면이 겹치게되며, 이때 각각의 경사면을 가진 직선면이 다른 경사면에 접촉되면서 회동이 멈춰지도록 된 것이고,
상기 제2 접힘수단은 중심 회동축에 탄성부재가 설치되되, 탄성부재의 양단부는 좌측 및 우측 접힘수단에 걸쳐져 위치하며, 상기 좌측 및 우측 탁구대가 펼쳐진 상태에서 접으려면 회동축 근방의 마주하는 좌측 및 우측 탁구대의 저면 부근에 손을 대고 위로 힘을 주게 되면, 좌측 및 우측 탁구대가 들어올려지게 되며,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이상의 힘을 주어 좌측 및 우측 탁구대가 접혀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내지 제4 수직기둥들의 하단부에는 각각 연결된 수평다리,
상기 수평다리들의 단부에는 커버부재에 의해 커버되면서 고정된 바퀴가 각각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및 제3 접힘수단을 구성하는 좌측 접힘수단 및 우측 접힘수단은
ㄷ자 형상이고 닫힌 면부분이 각각 좌측 및 우측 탁구대의 저면에 밀착 고정되고, 개방된 면부분에는 좌측 제1 링크수단과 우측 제1 링크수단, 좌측 제2 링크수단 및 우측 제2 링크수단이 서로 각각 교차하면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좌측 제1 내지 제3 링크수단은 전체적으로 좌측 ㄷ자형 링크수단을 형성하며,
상기 우측 제1 내지 제3 링크수단도 전체적으로 우측 ㄷ자형 링크수단을 형성하며,
상기 좌측 및 우측 탁구대의 접힘 및 펼침동작시에 좌측 탁구대는 우측 ㄷ자형 링크수단과 연결되어 동작되며,
상기 좌측 및 우측 탁구대의 접힘 및 펼침동작시에 우측 탁구대는 좌측 ㄷ자형 링크수단과 연결되어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서로 마주하고 면접되어 하나의 탁구대를 구성하는 좌측 및 우측 탁구대의 접힘동작과 펼침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좌측 링크수단 및 우측 링크수단이 서로 사선으로 "ㅅ"자 형태로 연결되어 탁구대의 저면에서의 빈 공간이 충분히 확보됨으로써, 탁구대 이외에 별도의 용도 예를 들면 사무용 또는 회의용 테이블로도 겸하여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저면공간의 확보가 가능한 접이식 탁구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저면도 및 일부상세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부품 분해도 및 일부상세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1에서 접혀진 상태의 접힘수단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저면공간의 확보가 가능한 접이식 탁구대의 일부 접힘상태를 나타낸 동작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저면공간의 확보가 가능한 접이식 탁구대의 일부 접힘상태를 나타낸 또 다른 동작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저면공간의 확보가 가능한 접이식 탁구대의 완전 접힘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는 종래 기술에 따른 탁구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저면공간의 확보가 가능한 접이식 탁구대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저면공간의 확보가 가능한 접이식 탁구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저면도 및 일부상세도이고, 도 3은 도 1의 부품 분해도 및 일부상세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1에서 접혀진 상태의 접힘수단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저면공간의 확보가 가능한 접이식 탁구대의 일부 접힘상태를 나타낸 동작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저면공간의 확보가 가능한 접이식 탁구대의 일부 접힘상태를 나타낸 또 다른 동작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저면공간의 확보가 가능한 접이식 탁구대의 완전 접힘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면공간의 확보가 가능한 접이식 탁구대(100)는 좌측 및 우측 탁구대(10,20) 저면에 대해 수직하게 고정설치된 제1 내지 제4 수직기둥(31,32,33,34);
상기 제1 내지 제 4 수직기둥(31,32,33,34)의 상부근처 외측면과 상기 좌측 및 우측 탁구대(10,20)의 저면 사이에 비스듬히 설치되어 가해지는 힘에 따라 수축 또는 팽창하는 지지수단(41,42,43,44);
상기 좌측 및 우측 탁구대(10,20)가 마주하는 면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좌측 및 우측 탁구대(10,20)의 접힘동작 및 펴짐동작과 함께 연동하여 접혀지거나 펴지는 제1 내지 제3 접힘수단;
상기 제1 접힘수단과 제3 접힘수단에 각각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1 및 제2 수직기둥(31,32)의 하단부에 마주하면서 평행하게 설치된 좌측 제1 및 제2 링크수단(51,53),
상기 좌측 제1 및 제2 링크수단(51,53)의 각각의 단부에 연결된 좌측 제3 링크수단(52),
상기 제1 접힘수단과 제3 접힘수단에 각각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3 및 제4 수직기둥(43,44)의 하단부에 마주하면서 평행하게 설치된 우측 제1 및 제2 링크수단(54,56),
상기 우측 제1 및 제2 링크수단(54,56)의 각각의 단부에 연결된 우측 제3 링크수단(55)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내지 제4 수직기둥(31,32,33,34)들의 하단부에 각각 연결된 수평다리(71,72,73,74),
상기 수평다리들의 단부에는 커버에 의해 커버되면서 고정된 바퀴(81,82,83,84)들이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퀴는 수평다리들의 단부에서 쉽게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좌측 및 우측 탁구대의 펼침동작시에도 연결부분이 회동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3 접힘수단을 구성하는 좌측 접힘수단 및 우측 접힘수단은
ㄷ자 형상이고 닫힌 면부분이 각각 좌측 및 우측 탁구대의 저면에 밀착 고정되고, 개방된 면부분에는 좌측 제1 링크수단과 우측 제1 링크수단, 좌측 제2 링크수단 및 우측 제2 링크수단이 서로 각각 교차하면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제1 내지 제3 접힘수단은
각각 개방된 부분 일측이 경사면을 가진 좌측 접힘수단(28-1) 및 우측 접힘수단(28-2)이 서로 겹쳐지면서 설치되는데, 겹쳐진 부분의 회동축(63)을 중심으로 서로 마치 두개의 가윗날이 만나면서 접혀지듯이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좌측 접힘수단(28-1) 및 우측 접힘수단(28-2)의 폐쇄된 긴면 부분은 좌측 및 우측 탁구대(10)의 저면에 밀착고정되는 부분이다.
좌측 및 우측 탁구대(10,20)가 완전히 접혔을 때는 서로 마주하면서 위치되되 회동축(63) 부분에서 서로 한쪽면씩 엇갈리면서 일부면이 겹져치게 되고 각각의 접힘수단의 경사면(28-1d,28-2d)을 가진 직선면(28-1c,28-2c)이 다른 경사면에 의해 더 이상 회동되지 않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미설명부호 28-1a, 28-2a는 각각의 접힘수단의 일측면을 나타내며, 28-1b 및 28-2b는 각각의 접힘수단의 다른면을 나타낸다.
한편, 상기 회동축(63)은 상기 서로 교차하는 링크수단(53,56)에 걸쳐져 위치하는데, 특히 링크수단(53,56)의 측면(56a)에 형성된 걸림홈에 걸쳐지면서 약간 삽입되어 위치된다(좌측 및 우측 탁구대가 펼쳐진 상태임, 도 3 참조).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저면공간의 확보가 가능한 접이식 탁구대(100)는 먼저 사용자가 도 1의 상태에서와 같이 펼쳐져 있는 접이식 탁구대(100)를 접고자하면, 도 6에서와 같이 회전될 것을 예상할 수 있는데, 회전이 시작될 수 있도록 회동축(63) 근방의 마주하는 좌측 및 우측 탁구대(10,20)의 저면 부근에 손을 대고 위로 힘을 주게 되면, 도 6과 같은 상태로, 좌측 및 우측 탁구대(10,20)가 들어올려지게 된다. 이후 상기 좌측 탁구대(10) 및 우측 탁구대(20)는 골고루 균형있게 계속적으로 회동축(63) 근방의 마주하는 좌측 및 우측 탁구대(10,20)의 저면 부근에 손을 대고 위로 힘을 더 주게 되면 도 7과 같이 좌측 및 우측 탁구대(10,20)가 더 가까이 접근하게 된다. 상기 좌측 ㄷ자형 링크수단(즉, 좌측 제1 내지 제 3 링크수단(51,52,53))은 단부가 회동축(61)에 연동되어 회동되며 하단부는 수직기둥(31,32)에 연결된 상태에서 회동되게 되고, 이후 수직기둥(31,32)에 연결된 댐퍼(지지수단)(41,42)도 동작되고, 좌측 탁구대(10)는 더욱 더 아래쪽으로 내려가게 되면서 우측 탁구대(20)와 더 가까워지게 된다.
상기 우측 ㄷ자형 링크수단(즉, 우측 제1 내지 제 3 링크수단(54,55,56))은 단부가 회동축(62)에 연동되어 회동되며 하단부는 수직기둥(33,34)에 연결된 상태에서 회동되게 되고, 이후 수직기둥(33,34)에 연결된 댐퍼(43,44)도 동작되고, 우측 탁구대(20)는 더욱 더 아래쪽으로 내려가게 되면서 좌측 탁구대(10)와 더 가까워지게 된다. 결국 좌측 및 우측 탁구대(10,20)는 서로 수직하게 평행하게 위치하게 되며 좌측 및 우측 ㄷ자형 링크수단은 각각 좌측 및 우측 탁구대(10,20)의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물론 바퀴와 수평다리는 노출되게 된다.
상기 제2 접힘수단(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접혀지거나 펼쳐지게 된다)은 중심 회동축에 탄성부재(110)가 선택적으로 설치되되, 탄성부재(110)의 양단부는 좌측 및 우측 접힘수단에 면접되어 위치되며(미도시), 상기 좌측 및 우측 탁구대(10,20)가 펼쳐진 상태에서 접으려면 좌측 및 우측 탁구대(10,20)의 저면에 잡고 위로 올리면 탄성부재(110)에 힘이 가해져 급작스럽게 접혀지지 않고 서서히 접혀지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탄성부재(110)는 선택적 구성이며, 상기 설명한 댐퍼에 설정된 압력에 의해 초기에 밀어올리는 힘을 어느정도 주면서 들어올려지면 자연스럽게 위로 올려져서 완전히 접힌 상태가 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가능하다(도 6, 도 7, 도8 참조).
상기 좌측 제1 내지 제3 링크수단(51,52,53)은 전체적으로 좌측 ㄷ자형 링크수단을 형성하며,
상기 우측 제1 내지 제3 링크수단(54,55,56)도 전체적으로 우측 ㄷ자형 링크수단을 형성하며,
상기 좌측 및 우측 탁구대(10,20)의 접힘 및 펼침동작시에 좌측 탁구대(10)는 우측 ㄷ자형 링크수단과 연결되어 동작되며,
상기 좌측 및 우측 탁구대(10,20)의 접힘 및 펼침동작시에 우측 탁구대(20)는 좌측 ㄷ자형 링크수단과 연결되어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미설명부호 26은 좌측 및 우측 탁구대(10,20)의 저면에 설치된 ㄷ자형 브라켓이다. 이와같은 ㄷ자형 브라켓(26)에 외측에 혹은 ㄷ자형 브라켓(26)의 내측에 회동가능하게 다른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미설명부호 28a,28b는 접힘수단에 형성된 원형홈부로서 후술하는 회동축(61,62,63)들이 설치되는 부분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서로 마주하고 면접되어 하나의 탁구대를 구성하는 좌측 및 우측 탁구대의 접힘동작과 펼침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좌측 링크수단 및 우측 링크수단이 서로 사선으로 "ㅅ"자 형태로 연결되어 탁구대의 저면에서의 빈 공간이 충분히 확보됨으로써, 탁구대 이외에 별도의 용도 예를 들면 사무용 또는 회의용 테이블로도 겸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접이식 탁구대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20: 좌측 및 우측 탁구대
26: 브라켓
31,32,33,34: 수직기둥(수직다리)
41,42,43,44: 댐퍼(지지수단)
28-1,28-2:좌측 및 우측 접힘수단(브라켓)
51,52,53: 좌측 제1 내지 제3 링크수단
54,55,56: 우측 제1 내지 제3 링크수단
61,62,63: 회동축
71,72,73,74: 수평다리
82: 바퀴

Claims (6)

  1. 좌측 및 우측 탁구대 저면에 대해 수직하게 고정설치된 제1 내지 제4 수직기둥;
    상기 제1 내지 제 4 수직기둥들의 상부근처 외측면과 상기 좌측 및 우측 탁구대의 저면 사이에 비스듬히 설치되어 가해지는 힘에 따라 수축 또는 팽창하는 지지수단;
    상기 좌측 및 우측 탁구대가 마주하는 면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좌측 및 우측 탁구대의 접힘과 펴짐동작과 함께 연동하여 접혀지거나 펴지는 제1 내지 제3 접힘수단;
    상기 제1 접힘수단과 제3 접힘수단에 각각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1 및 제2 수직기둥의 하단부에 마주하면서 평행하게 설치된 좌측 제1 및 제2 링크수단,
    상기 좌측 제1 및 제2 링크수단의 각각의 단부에 연결된 좌측 제3 링크수단,
    상기 제1 접힘수단과 제3 접힘수단에 각각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3 및 제4 수직기둥의 하단부에 마주하면서 평행하게 설치된 우측 제1 및 제2 링크수단, 및
    상기 우측 제1 및 제2 링크수단의 각각의 단부에 연결된 우측 제3 링크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접힘수단은
    각각 개방된 면부분 중 하나는 경사면을 가진 직선면이고 나머지는 전체가 직선면이며, 좌측 접힘수단 및 우측 접힘수단의 단부가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좌측 및 우측 탁구대가 완전히 접혔을 때는 서로 마주하면서 위치되되 회동축 부분에서 일부면이 겹치게되며, 이때 각각의 경사면을 가진 직선면이 다른 경사면에 접촉되면서 회동이 멈춰지도록 된 것이고,
    상기 제2 접힘수단은 중심 회동축에 탄성부재가 설치되되, 탄성부재의 양단부는 좌측 및 우측 접힘수단에 걸쳐져 위치하며, 상기 좌측 및 우측 탁구대가 펼쳐진 상태에서 접으려면 회동축 근방의 마주하는 좌측 및 우측 탁구대의 저면 부근에 손을 대고 위로 힘을 주게 되면, 좌측 및 우측 탁구대가 들어올려지게 되며,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이상의 힘을 주어 좌측 및 우측 탁구대가 접혀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면공간의 확보가 가능한 접이식 탁구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수직기둥들의 하단부에는 각각 연결된 수평다리,
    상기 수평다리들의 단부에는 커버부재에 의해 커버되면서 고정된 바퀴가 각각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면공간의 확보가 가능한 접이식 탁구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3 접힘수단을 구성하는 좌측 접힘수단 및 우측 접힘수단은
    ㄷ자 형상이고 닫힌 면부분이 각각 좌측 및 우측 탁구대의 저면에 밀착 고정되고, 개방된 면부분에는 좌측 제1 링크수단과 우측 제1 링크수단, 좌측 제2 링크수단 및 우측 제2 링크수단이 서로 각각 교차하면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면공간의 확보가 가능한 접이식 탁구대.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제1 내지 제3 링크수단은 전체적으로 좌측 ㄷ자형 링크수단을 형성하며,
    상기 우측 제1 내지 제3 링크수단도 전체적으로 우측 ㄷ자형 링크수단을 형성하며,
    상기 좌측 및 우측 탁구대의 접힘 및 펼침동작시에 좌측 탁구대는 우측 ㄷ자형 링크수단과 연결되어 동작되며,
    상기 좌측 및 우측 탁구대의 접힘 및 펼침동작시에 우측 탁구대는 좌측 ㄷ자형 링크수단과 연결되어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면공간의 확보가 가능한 접이식 탁구대.
KR1020180048796A 2018-04-26 2018-04-26 저면공간의 확보가 가능한 접이식 탁구대 KR102091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8796A KR102091492B1 (ko) 2018-04-26 2018-04-26 저면공간의 확보가 가능한 접이식 탁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8796A KR102091492B1 (ko) 2018-04-26 2018-04-26 저면공간의 확보가 가능한 접이식 탁구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4611A KR20190124611A (ko) 2019-11-05
KR102091492B1 true KR102091492B1 (ko) 2020-03-20

Family

ID=68576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8796A KR102091492B1 (ko) 2018-04-26 2018-04-26 저면공간의 확보가 가능한 접이식 탁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14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6984B1 (ko) * 2019-08-06 2020-11-10 주식회사 엑시옴 저면공간의 확보가 가능한 접이식 탁구대
CN116370926B (zh) * 2023-01-30 2024-06-14 沧州双蝶体育器材有限公司 单折滑轨移动乒乓球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60875A (zh) * 2013-02-04 2014-08-06 程嘉炎 多功能三分台面组装式乒乓球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255447B1 (es) * 2004-12-13 2007-08-01 Sports Enebe, S.L. Mesa plegab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60875A (zh) * 2013-02-04 2014-08-06 程嘉炎 多功能三分台面组装式乒乓球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4611A (ko) 2019-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1492B1 (ko) 저면공간의 확보가 가능한 접이식 탁구대
US20200390233A1 (en) Folding stool or folding table and folding frame thereof
US2010342A (en) Foldable table
US3683825A (en) Folding table
GB2286524A (en) Play and storage table
KR200475341Y1 (ko) 야외 테이블
KR200468957Y1 (ko) 접이식 테이블
JP2016089396A (ja) パーテーション構造、パーテーション形成方法、空間区画方法、および区画された空間
KR20100134360A (ko) 접이식 스탠드
KR101286496B1 (ko) 캠핑용 로스터
KR101763026B1 (ko) 접이식 일체형 탁구대
KR100972608B1 (ko) 접이식 의자
KR102176984B1 (ko) 저면공간의 확보가 가능한 접이식 탁구대
KR200464280Y1 (ko) 휴대용 테이블
US1410171A (en) Combined pool and library table
KR20200095372A (ko) 접이식 트램폴린
KR200481850Y1 (ko) 샘플북
KR101836037B1 (ko) 접이식 탁구대
KR20160044893A (ko) 접이식 테이블
KR102210464B1 (ko) 실내용 텐트 프레임 지지장치
US2321328A (en) Folding table
KR200473929Y1 (ko) 평상 기능을 가진 테이블
CN110063581A (zh) 一种可旋转折叠餐桌
US905342A (en) Folding table.
JP2016059699A (ja) 連結可能な個装箱構造体とこれを用いた組立式家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