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6037B1 - 접이식 탁구대 - Google Patents

접이식 탁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6037B1
KR101836037B1 KR1020170016040A KR20170016040A KR101836037B1 KR 101836037 B1 KR101836037 B1 KR 101836037B1 KR 1020170016040 A KR1020170016040 A KR 1020170016040A KR 20170016040 A KR20170016040 A KR 20170016040A KR 101836037 B1 KR101836037 B1 KR 101836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ping
frame
link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6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영 열 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엑시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엑시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엑시옴
Priority to KR1020170016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60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6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60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04Table games physically beneficial for the human body, modelled on outdoor sports, e.g. table tenn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4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small-room or indoor sporting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16Table tenn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 A63B2210/50Size reducing arrangements for stowing or transp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보관 면적을 최소화하면서도 보관이 용이하고 접기와 펼침이 원만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접이식 탁구대를 제시한다. 제시된 접이식 탁구대는 양쪽 탁구대의 저부의 수평 다리에 설치된 힌지구, 및 힌지구와 양쪽 탁구대의 저부의 수직 다리 사이에 배치된 안쪽 링크 및 힌지구와 양쪽 탁구대의 저부 사이에 배치된 바깥쪽 링크로 구성되어 양쪽 탁구대를 접거나 펼치는 링크부를 포함한다. 힌지구는 수평 다리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요 형상의 프레임, 및 요 형상의 프레임의 중앙에 끼움결합되는 중간 프레임을 포함한다. 요 형상의 프레임은 양측 상방 돌출부중에서 어느 한 상방 돌출부의 측부에 장공이 형성되고, 양측 상방 돌출부의 하단에는 상호 대향되는 부위에 제 1 및 제 2 구멍이 형성되고, 저부 중앙에는 중간 프레임을 끼울 수 있는 제 3 구멍이 형성된다. 중간 프레임은 측부에 장공이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제 4 및 제 5 구멍이 형성되고, 저부에는 제 3 구멍에 끼워지는 끼움돌기가 형성된다.

Description

접이식 탁구대{Foldable Ping-pong table}
본 발명은 접이식 탁구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접기와 펼침이 용이한 접이식 탁구대에 관한 것이다.
탁구대는 탁구를 즐기기 위하여 야외나 실내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장치를 말한다.
그러나, 종래의 탁구대는 두 개의 분리된 테이블로 이루어지고, 펴고 접을 때마다 따로 따로 조립해야 하므로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펴고 접을 때 무거운 테이블을 올리고 내리는 작업이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도 1에서와 같은 접이식 탁구대가 출현하게 되었다.
그런데, 도 1의 접이식 탁구대는 접게 되면 양쪽 탁구대가 밀착되지 않고 약간의 갭(L)이 생기게 된다. 그리고, 양쪽 탁구대의 저부의 다리(특히, 수직 다리)(f1, f2, f3, f4)가 해당 탁구대의 저면에 밀착되는 것이 아니라, 외측으로 소정각도 벌려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에, 도 1에서와 같은 접이식 탁구대를 보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보통 접은 상태로 보관하게 되는데, 이 경우 면적을 많이 차지하게 된다. 특히, 여러 대의 접이식 탁구대를 보관하는 경우에는 탁구대를 서로 밀착시켜 보관할 수 없어서 보관 면적이 많이 필요하다.
선행기술 1 :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39960호(링크구조를 가진 일체형 접이식 탁구대)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보관 면적을 최소화하면서도 보관이 용이하고 접기와 펼침이 원만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접이식 탁구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른 접이식 탁구대는, 양쪽 탁구대의 저부의 수평 다리에 설치된 힌지구; 및 상기 힌지구와 상기 양쪽 탁구대의 저부의 수직 다리 사이에 배치된 안쪽 링크 및 상기 힌지구와 상기 양쪽 탁구대의 저부 사이에 배치된 바깥쪽 링크로 구성되어 상기 양쪽 탁구대를 접거나 펼치는 링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구는 상기 수평 다리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요 형상의 프레임, 및 상기 요 형상의 프레임의 중앙에 끼움결합되는 중간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요 형상의 프레임은 양측 상방 돌출부중에서 어느 한 상방 돌출부의 측부에 장공이 형성되고 양측 상방 돌출부의 하단에는 상호 대향되는 부위에 제 1 및 제 2 구멍이 형성되고 저부 중앙에는 상기 중간 프레임을 끼울 수 있는 제 3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중간 프레임은 측부에 장공이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제 4 및 제 5 구멍이 형성되고 저부에는 상기 제 3 구멍에 끼워지는 끼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요 형상의 프레임과 상기 중간 프레임이 상기 수평 다리 상에서 서로 체결되었을 경우, 상기 요 형상의 프레임의 장공과 상기 중간 프레임의 장공은 상호 대향되게 위치하고, 상기 제 1 구멍과 상기 제 4 구멍이 서로 대향되게 위치하고, 상기 제 2 구멍과 상기 제 5 구멍이 서로 대향되게 위치할 수 있고,
상기 안쪽 링크는 일단이 상기 수직 다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힌지구에서 상하방향으로 움직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상기 바깥쪽 링크는 일단이 상기 양쪽 탁구대의 저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힌지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삭제
상기 힌지구는 상기 중간 프레임이 상기 요 형상의 프레임의 중앙에 끼움결합됨에 따라 2개의 수납부로 구획될 수 있고, 상기 2개의 수납부중에서 바깥쪽 수납부에는 상기 바깥쪽 링크의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바깥쪽 링크의 타단은 회동 지지구를 통해 상기 양쪽 탁구대의 저부에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바깥쪽 링크의 일단은 링홈이 형성된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힌지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링홈에는 스냅링이 끼워지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제 1 구멍과 상기 제 4 구멍을 관통할 수 있다.
상기 힌지구는 상기 중간 프레임이 상기 요 형상의 프레임의 중앙에 끼움결합됨에 따라 2개의 수납부로 구획될 수 있고, 상기 2개의 수납부중에서 안쪽 수납부에는 상기 안쪽 링크의 일단이 움직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안쪽 링크의 타단은 상기 수직 다리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안쪽 링크는 일단이 상기 요 형상의 프레임의 장공 및 상기 중간 프레임의 장공을 따라 움직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안쪽 링크의 일단은, 상기 요 형상의 프레임의 장공에 끼워져서 상기 요 형상의 프레임의 장공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제 1 끼움 링, 상기 중간 프레임의 장공에 끼워져서 상기 중간 프레임의 장공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제 2 끼움 링, 및 상기 제 1 및 제 2 끼움 링을 관통하는 체결부재를 통해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 구멍 및 상기 제 5 구멍에는, 탁구대를 완전히 접었을 경우 상기 링크부의 더 이상의 회동을 방지하는 스토퍼 기능을 수행하는 체결부재가 관통하여 상기 힌지구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양쪽 탁구대의 접힘 및 펼침을 가능하게 하는 댐퍼;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댐퍼는 유압식 댐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양쪽 탁구대의 저부 및 상기 링크부에 사이에 설치된 락킹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락킹부는, 회동부재를 통해 상기 바깥쪽 링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제 1 회동 바; 회동 지지구를 통해 탁구대의 저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제 2 회동 바; 및 상기 제 1 회동 바와 상기 제 2 회동 바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손잡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쪽 탁구대를 완전히 접게 됨에 따라 상기 수직 다리가 탁구대의 저면에 부딪치는 것을 방지하는 스페이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양쪽 탁구대를 접게 되면 양쪽 탁구대가 서로 밀착되게 접혀지고 양쪽 탁구대 저부의 다리(특히, 수직 다리)가 양쪽 탁구대의 저면에 밀착되게 접혀지므로, 보관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여러 대의 접이식 탁구대를 보관할 경우 서로 밀착시켜 보관할 수 있고, 그 작업 또한 매우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양쪽 탁구대를 접거나 펼칠 때, 댐퍼에 의해 힘들이지 않고 접거나 펼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양쪽 탁구대 저부의 다리들이 원활하게 접히고 펼쳐지므로, 접이식 탁구대를 접거나 펼칠때 힘들이지 않고 손쉽게 작동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접이식 탁구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탁구대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힌지구의 설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힌지구와 링크 및 댐퍼의 연결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힌지구와 링크 및 댐퍼간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힌지구와 바깥쪽 링크간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6에서 힌지구와 안쪽 링크 및 댐퍼간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6에 도시된 힌지구의 장공에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락킹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탁구대를 완전히 펼쳤을 경우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탁구대를 어느 정도 접었을 경우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탁구대를 완전히 접었을 경우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을 좌측에서 바라본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탁구대의 저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힌지구의 설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힌지구와 링크 및 댐퍼의 연결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힌지구와 링크 및 댐퍼간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서 힌지구와 바깥쪽 링크간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이고, 도 8은 도 6에서 힌지구와 안쪽 링크 및 댐퍼간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이고, 도 9는 도 6에 도시된 힌지구의 장공에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이고,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락킹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탁구대는, 양쪽 탁구대(1, 2)의 저부의 수평 다리(15, 16)에 설치된 힌지구(17), 힌지구(17)와 양쪽 탁구대(1, 2)의 저부의 수직 다리(10, 11)(12, 13) 및 양쪽 탁구대(1, 2)의 저부 사이에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양쪽 탁구대(1, 2)를 접거나 펼치는 링크부(22, 23, 24, 25), 링크부와 수평 다리(15, 16) 사이에 설치되어 양쪽 탁구대(1, 2)의 원활한 접힘 및 펼침을 가능하게 하는 댐퍼(27), 및 양쪽 탁구대(1, 2)의 저부 및 링크부에 사이에 설치된 락킹부(42)를 포함한다.
양쪽 탁구대(1, 2)의 저부에는 수직 다리(10, 11, 12, 13)가 설치되는데, 수직 다리(10, 11, 12, 13)의 일측 끝단은 회동 지지구(26)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해당 탁구대의 저부에 설치된다.
수직 다리(10, 12)는 가로의 지지대(14)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수직 다리(11, 13)은 가로의 지지대(14)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또한, 양쪽의 힌지구(17)도 역시 가로의 지지대(14)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수평 다리(15, 16)의 저부 양쪽에는 각각 롤러(15a, 15b)(16a, 16b)가 설치된다.
링크부는 안쪽 링크(22, 24) 및 바깥쪽 링크(23, 25)를 포함한다.
여기서, 안쪽 링크(22, 24)는 일단이 수직 다리(10, 11, 12, 13)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힌지구(17)에서 상하방향으로 움직임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바깥쪽 링크(23, 25)는 일단이 양쪽 탁구대(1, 2)의 저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힌지구(17)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3을 보면, 힌지구(17)는 수평 다리(15)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요 형상의 프레임(18) 및 프레임(18)의 중앙에 끼움결합되는 중간 프레임(19)을 포함한다. 여기서, 프레임(18)의 양측 상방 돌출부중에서 어느 한 상방 돌출부(즉, 안쪽의 상방 돌출부)의 양측부에는 장공(18a, 18b)이 형성된다. 그리고, 프레임(18)의 양측 상방 돌출부의 하단에는 상호 대향되는 부위에 구멍(18c, 18d, 18e, 18f)이 형성된다. 또한, 프레임(18)의 저부 중앙에는 중간 프레임(19)을 끼울 수 있는 구멍(18g)이 형성된다. 한편, 중간 프레임(19)의 양측부에는 장공(19a, 19b)이 형성된다. 그리고, 중간 프레임(19)의 하단부에는 구멍(19c, 19d, 19e, 19f)이 형성된다. 또한, 중간 프레임(19)의 저부에는 구멍(18a)에 끼워지는 끼움돌기(19g)가 형성된다.
상술한 구멍(18c) 또는 구멍(18f)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제 1 구멍의 일 예가 될 수 있고, 상술한 구멍(18d) 또는 구멍(18e)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제 2 구멍의 일 예가 될 수 있다. 상술한 구멍(18g)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제 3 구멍의 일 예가 될 수 있다. 상술한 구멍(19c) 또는 구멍(19f)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제 4 구멍의 일 예가 될 수 있고, 상술한 구멍(19d) 또는 구멍(19e)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제 5 구멍의 일 예가 될 수 있다
프레임(18)과 중간 프레임(19)은 수평 다리(15)의 구멍(15c)과 프레임(18)의 구멍(18h)을 통해 볼트(20) 및 너트(21)로 체결될 수 있다.
프레임(18)과 중간 프레임(19)이 수평 다리(15) 상에서 서로 체결되었을 경우 장공(18a, 18b)과 장공(19a, 19b)은 일직선으로 상호 대향되게 위치하고, 구멍(18c, 19c)(18d, 19d)(18e, 19e)(18f, 19f)은 일직선으로 서로 대향되게 위치한다.
도 3에서는 수평 다리(15)에 설치된 힌지구(17)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수평 다리(16)에 설치된 힌지구도 역시 이와 동일하게 형성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중간 프레임(19)이 프레임(18)의 중앙에 끼움결합됨에 따라, 힌지구(17)는 2개의 수납부로 구획된다고 볼 수 있다.
도 4 ~ 도 9를 보면, 힌지구(17)의 2개의 수납부중에서 바깥쪽 수납부에는 바깥쪽 링크(23, 25)의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바깥쪽 링크(23, 25)의 타단은 회동 지지구(26)를 통해 양쪽 탁구대(1, 2)의 저부에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링크(23)의 일단은 링홈(32a)이 형성된 체결부재(32)에 의해 힌지구(17)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링홈(32a)에는 스냅링(36)이 끼워진다. 이때, 체결부재(32)는 구멍(18c, 19c) 및 링크(23)의 구멍(23a)을 관통한다. 링크(23)의 타단은 회동 지지구(26)를 통해 해당 탁구대(1)의 저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링크(25)의 일단은 링홈이 형성된 체결부재(35)에 의해 힌지구(17)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체결부재(35)의 링홈에는 스냅링(36)이 끼워진다. 이때, 체결부재(35)는 구멍(18f, 19f) 및 링크(25)의 구멍(25a)을 관통한다. 링크(25)의 타단은 회동 지지구(26)를 통해 해당 탁구대(2)의 저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힌지구(17)의 2개의 수납부중에서 안쪽 수납부에는 안쪽 링크(22, 24)의 일단이 움직임가능하게 설치되고 안쪽 링크(22, 24)의 타단은 수직 다리(10, 11)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안쪽 링크(22, 24)의 일단이 장공(18a, 19a)(18b, 19b)을 따라 움직임가능하게 설치되고 안쪽 링크(22, 24)의 타단은 수직 다리(10, 11)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다시 말해서, 링크(22)의 일단은 장공(18a)에 끼워져서 장공(18a)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끼움 링(38), 장공(19a)에 끼워져서 장공(19a)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끼움 링(39), 및 끼움 링(38, 39)을 관통하는 체결부재(37)를 통해 체결된다. 그리고, 체결부재(37)의 일측 외주연에는 링홈(37a)이 형성되고, 스냅링(40)이 링홈(37a)에 끼워진다. 체결부재(37)는 링크(22)의 구멍(22b)을 관통한다. 링크(22)의 타단은 회동부재를 통해 수직 다리(10)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술한 끼움 링(38)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제 1 끼움 링의 일 예가 될 수 있고, 상술한 끼움 링(39)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제 2 끼움 링의 일 예가 될 수 있다.
그리고, 링크(24)의 일단 및 타단은 상술한 링크(22)의 일단 및 타단에 대한 설명과 동일하게 연결된다고 볼 수 있다.
한편, 체결부재(33)는 힌지구(17)의 구멍(18d, 19d)을 관통하여 힌지구(17)에 고정되게 체결되고, 해당 탁구대(1)를 완전히 접었을 경우 링크(23)의 더 이상의 회동을 방지하는 스토퍼 기능을 수행한다. 체결부재(34)는 힌지구(17)의 구멍(18e, 19e)을 관통하여 힌지구(17)에 고정되게 체결되고, 해당 탁구대(2)를 완전히 접었을 경우 링크(25)의 더 이상의 회동을 방지하는 스토퍼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댐퍼(27)의 일측은 결합부재(30)를 통해 안쪽 링크(22, 24)의 구멍(22a, 24a)에 끼움결합되고, 댐퍼(27)의 타측은 결합부재(31)를 통해 수평 다리(15)의 구멍(29)에 끼움결합된다.
여기서, 댐퍼(27)는 예를 들어 유압식 댐퍼로 구성될 수 있다. 양쪽 탁구대(1, 2)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댐퍼(27)가 서서히 신장(팽창)되면 펼쳐져 있던 탁구대(1, 2)가 서서히 접혀지게 되고, 탁구대(1, 2)가 완전히 접혀지게 되면 더 이상의 댐퍼(27)의 신장 동작은 없게 된다. 반대로, 양쪽 탁구대(1, 2)가 완전히 접혀진 상태에서 댐퍼(27)가 수축하게 되면 접혀져 있던 탁구대(1, 2)가 서서히 펼쳐지게 되고, 탁구대(1, 2)가 완전히 펼쳐지게 되면 더 이상의 댐퍼(27)의 수축 동작은 없게 된다.
이와 같이, 댐퍼(27)를 이용하게 되면, 탁구대를 접거나 펼칠 때 사용자의 힘이 덜 들게 된다. 특히, 양쪽의 탁구대(1, 2)를 접을 때 양쪽의 탁구대 사이에 손가락 등이 낄 걱정이 없게 된다.
도 4 ~ 도 9에서는 수평 다리(15)에 설치된 힌지구(17)와 링크(22, 23, 24, 25) 및 댐퍼(27)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수평 다리(16)에 설치된 힌지구와 링크 및 댐퍼도 역시 이와 동일하게 형성된다고 볼 수 있다.
락킹부(42)는 바깥쪽 링크(23)와 탁구대(1)의 저면 사이에 설치되고, 락킹부(42)는 바깥쪽 링크(25)와 탁구대(2)의 저면 사이에 설치된다. 물론, 본 발명에서는 바깥쪽 링크 및 안쪽 링크가 각각 4개씩이므로, 락킹부(42)는 4군데에 설치됨을 알 수 있다.
도 10에서는 바깥쪽 링크(25)와 탁구대(2)의 저면 사이에 설치되는 락킹부(42)에 대해 도시하였다. 락킹부(42)는 회동부재(48)를 통해 바깥쪽 링크(25)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제 1 회동 바(43), 회동 지지구(26)를 통해 탁구대(2)의 저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제 2 회동 바(44), 및 양측부에 구멍(45a, 45b)이 형성되고 제 1 회동 바(43)와 제 2 회동 바(44)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손잡이부(45)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회동 바(43)의 양단부에는 구멍(43a, 43b)이 형성된다. 제 1 회동 바(43)의 일단은 구멍(43b)을 관통하는 회동부재(48) 및 회동부재(48)의 링홈(48a)에 끼워지는 스냅링(47)을 통해 바깥쪽 링크(25)의 소정 부위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제 1 회동 바(43)의 타단은 구멍(43a)과 손잡이부(45)의 구멍(45b)을 관통하는 회동부재(46) 및 회동부재(46)의 링홈에 끼워지는 스냅링(47)을 통해 손잡이부(45)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제 1 회동 바(43)의 타단은 손잡이부(45)의 일측부에 끼워진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제 2 회동 바(44)의 양단부에는 구멍(44a, 44b)이 형성된다. 제 2 회동 바(44)의 일단은 구멍(44a)과 손잡이부(45)의 구멍(45a)을 관통하는 회동부재(46) 및 회동부재(46)의 링홈에 끼워지는 스냅링(47)을 통해 손잡이부(45)의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제 2 회동 바(44)의 타단은 회동 지지구(26)에 연결되는 구멍(44b)에 의해 탁구대(2)의 저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제 2 회동 바(44)의 일단은 손잡이부(45)의 타측부에 끼워진다고 볼 수 있다.
상술한 락킹부(42)는 양쪽 탁구대(1, 2)를 완전히 펼치게 되면 도 2와 같은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때, 락킹부(42)의 손잡이부(45)를 위에서 아래로 누르게 되면 바깥쪽 링크(23, 25)의 더 이상의 움직임이 없도록 한다. 이에 의해 락(kock) 상태가 유지된다.
반대로, 양쪽 탁구대(1, 2)를 접을 때에는 락킹부(42)의 손잡이부(45)를 아래에서 위로 쳐올려서 손잡이부(45)가 상방향으로 조금 상승되게 한다. 그에 따라, 제 1 회동 바(43) 및 제 2 회동 바(44)가 회동하여 언락(unlock) 상태를 만들게 된다. 언락 상태가 되면 양쪽 탁구대(1, 2)를 접을 수 있게 된다.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탁구대를 완전히 펼쳤을 경우에서 완전히 접었을 경우에까지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도 11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탁구대를 완전히 펼쳤을 경우의 상태를 보여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탁구대는 양쪽 탁구대(1, 2)중에서 어느 하나만 펼칠 수도 있고 양쪽 모두를 펼칠 수 있다.
도 11처럼 양쪽 탁구대(1, 2)가 모두 완전히 펼쳐졌을 경우, 안쪽 링크(22, 24)에 결합된 체결부재(37)와 끼움 링(38, 37)의 위치는 힌지구(17)의 장공(18a, 18b, 19a, 19b)에서 상사점에 위치해 있게 된다. 그에 따라, 체결부재(37)와 결합되어 있는 안쪽 링크(22, 24)의 일단은 힌지구(17)의 장공(18a, 18b, 19a, 19b)에서 상사점 주변에 위치해 있게 된다.
그리고, 도 12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탁구대를 어느 정도 접었을 경우의 상태를 보여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탁구대를 어느 정도(예컨대, 45도 정도) 접혀지게 되면 즉, 댐퍼(27)가 소정치 신장(팽창)되고 락킹부(42)가 언락상태를 유지하면 도 12에서와 같이 접혀질 수 있다.
도 12처럼 양쪽 탁구대(1, 2) 또는 어느 한 탁구대가 소정 각도(예컨대, 45h 정도)로 접혀질 경우, 안쪽 링크(22, 24)에 결합된 체결부재(37)와 끼움 링(38, 37)의 위치는 힌지구(17)의 장공(18a, 18b, 19a, 19b)에서 중간 부위(즉, 상사점과 하사점 사이에서 중간 위치)에 위치해 있게 될 것이다. 그에 따라, 체결부재(37)와 결합되어 있는 안쪽 링크(22, 24)의 일단은 힌지구(17)의 장공(18a, 18b, 19a, 19b)을 따라 소정치 하강하여 상사점과 하사점 사이의 중간에 위치하게 될 것이다.
도 13 및 도 14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탁구대를 완전히 접었을 경우의 상태를 보여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탁구대를 완전히 접게 되면 양쪽 탁구대(1, 2)는 수평 다리(15)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되고 서로 밀착하게 된다. 그리고, 수직 다리(10)와 링크(22, 23)는 해당 탁구대(1)와 나란히 일직선상에 배치된다. 또한, 수직 다리(11)와 링크(24, 25)는 해당 탁구대(2)와 나란히 일직선상에 배치된다.
도 13 및 도 14처럼 양쪽 탁구대(1, 2)가 모두 완전히 접혀졌을 경우, 안쪽 링크(22, 24)에 결합된 체결부재(37)와 끼움 링(38, 37)의 위치는 힌지구(17)의 장공(18a, 18b, 19a, 19b)에서 하사점에 위치해 있게 된다. 그에 따라, 체결부재(37)와 결합되어 있는 안쪽 링크(22, 24)의 일단은 힌지구(17)의 장공(18a, 18b, 19a, 19b)을 따라 완전히 하강하여 하사점 주변에 위치해 있게 된다.
상술한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28은 스페이서이다. 스페이서(28)는 양쪽 탁구대(1, 2)를 완전히 접게 되면 수직 다리(10, 11, 12, 13)의 타측부가 해당 탁구대의 저면에 직접 부딪치는 것을 방지한다. 예를 들어, 스페이서(28)는 어느 정도 탄력성이 있는 고무와 같은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미설명 부호 41은 안쪽 링크(22, 24) 및 바깥쪽 링크(23, 25)를 서로 결합시키되 결합부위에서 회동점을 부여하는 회동부재이다. 예를 들어, 회동부재(41)는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바깥쪽 링크(23)의 구멍(23b)을 관통하여 안쪽 링크(22)의 돌출 구멍(42)에 끼워진다.
그리고, 안쪽 링크(24)와 바깥쪽 링크(25)를 서로 결합시키는 회동부재(41)의 결합관계는 상술한 바와 같은 도 7 및 도 8에 의해 충분히 이해할 수 있으리라 본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2 : 탁구대
10, 11, 12, 13 : 수직 다리
14 : 지지대
15, 16 : 수평 다리
17 : 힌지구
22, 23, 24,. 25 : 링크
26 : 회동 지지구
27 : 댐퍼
28 : 스페이서
42 : 락킹부

Claims (14)

  1. 양쪽 탁구대의 저부의 수평 다리에 설치된 힌지구; 및
    상기 힌지구와 상기 양쪽 탁구대의 저부의 수직 다리 사이에 배치된 안쪽 링크 및 상기 힌지구와 상기 양쪽 탁구대의 저부 사이에 배치된 바깥쪽 링크로 구성되어, 상기 양쪽 탁구대를 접거나 펼치는 링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구는 상기 수평 다리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요 형상의 프레임, 및 상기 요 형상의 프레임의 중앙에 끼움결합되는 중간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요 형상의 프레임은 양측 상방 돌출부중에서 어느 한 상방 돌출부의 측부에 장공이 형성되고, 양측 상방 돌출부의 하단에는 상호 대향되는 부위에 제 1 및 제 2 구멍이 형성되고, 저부 중앙에는 상기 중간 프레임을 끼울 수 있는 제 3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중간 프레임은 측부에 장공이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제 4 및 제 5 구멍이 형성되고, 저부에는 상기 제 3 구멍에 끼워지는 끼움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요 형상의 프레임과 상기 중간 프레임이 상기 수평 다리 상에서 서로 체결되었을 경우,
    상기 요 형상의 프레임의 장공과 상기 중간 프레임의 장공은 상호 대향되게 위치하고, 상기 제 1 구멍과 상기 제 4 구멍이 서로 대향되게 위치하고, 상기 제 2 구멍과 상기 제 5 구멍이 서로 대향되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안쪽 링크는 일단이 상기 수직 다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힌지구에서 상하방향으로 움직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바깥쪽 링크는 일단이 상기 양쪽 탁구대의 저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힌지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탁구대.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힌지구는 상기 중간 프레임이 상기 요 형상의 프레임의 중앙에 끼움결합됨에 따라 2개의 수납부로 구획되고,
    상기 2개의 수납부중에서 바깥쪽 수납부에는 상기 바깥쪽 링크의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바깥쪽 링크의 타단은 회동 지지구를 통해 상기 양쪽 탁구대의 저부에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탁구대.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바깥쪽 링크의 일단은 링홈이 형성된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힌지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링홈에는 스냅링이 끼워지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제 1 구멍과 상기 제 4 구멍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탁구대.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힌지구는 상기 중간 프레임이 상기 요 형상의 프레임의 중앙에 끼움결합됨에 따라 2개의 수납부로 구획되고,
    상기 2개의 수납부중에서 안쪽 수납부에는 상기 안쪽 링크의 일단이 움직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안쪽 링크의 타단은 상기 수직 다리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탁구대.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안쪽 링크는 일단이 상기 요 형상의 프레임의 장공 및 상기 중간 프레임의 장공을 따라 움직임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탁구대.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안쪽 링크의 일단은, 상기 요 형상의 프레임의 장공에 끼워져서 상기 요 형상의 프레임의 장공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제 1 끼움 링, 상기 중간 프레임의 장공에 끼워져서 상기 중간 프레임의 장공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제 2 끼움 링, 및 상기 제 1 및 제 2 끼움 링을 관통하는 체결부재를 통해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탁구대.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멍 및 상기 제 5 구멍에는, 탁구대를 완전히 접었을 경우 상기 링크부의 더 이상의 회동을 방지하는 스토퍼 기능을 수행하는 체결부재가 관통하여 상기 힌지구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탁구대.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양쪽 탁구대의 접힘 및 펼침을 가능하게 하는 댐퍼;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탁구대.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유압식 댐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탁구대.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양쪽 탁구대의 저부 및 상기 링크부에 사이에 설치된 락킹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탁구대.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락킹부는,
    회동부재를 통해 상기 바깥쪽 링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제 1 회동 바;
    회동 지지구를 통해 탁구대의 저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제 2 회동 바; 및
    상기 제 1 회동 바와 상기 제 2 회동 바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탁구대.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양쪽 탁구대를 완전히 접게 됨에 따라 상기 수직 다리가 탁구대의 저면에 부딪치는 것을 방지하는 스페이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탁구대.
KR1020170016040A 2017-02-06 2017-02-06 접이식 탁구대 KR101836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6040A KR101836037B1 (ko) 2017-02-06 2017-02-06 접이식 탁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6040A KR101836037B1 (ko) 2017-02-06 2017-02-06 접이식 탁구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6037B1 true KR101836037B1 (ko) 2018-04-19

Family

ID=62087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6040A KR101836037B1 (ko) 2017-02-06 2017-02-06 접이식 탁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60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5927B1 (ko) * 2020-01-23 2021-06-16 주식회사 엑시옴 링크조절시스템을 구비한 탁구대
KR20230039424A (ko) 2021-09-14 2023-03-21 주식회사 제이엘에스 무인 탁구대 관리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79542A (en) 1987-07-31 1988-10-25 Stageright Corporation Fold and roll staging
CN2273602Y (zh) * 1996-09-12 1998-02-04 北京市文体百货工业联合公司体育器械厂 折叠型乒乓球台
KR100579646B1 (ko) * 2001-12-28 2006-05-15 닛뽄탁규우가부시기가이샤 접이식 탁구대
KR101439960B1 (ko) 2013-06-04 2014-09-12 주식회사 엑시옴 링크구조를 가진 일체형 접이식 탁구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79542A (en) 1987-07-31 1988-10-25 Stageright Corporation Fold and roll staging
CN2273602Y (zh) * 1996-09-12 1998-02-04 北京市文体百货工业联合公司体育器械厂 折叠型乒乓球台
KR100579646B1 (ko) * 2001-12-28 2006-05-15 닛뽄탁규우가부시기가이샤 접이식 탁구대
KR101439960B1 (ko) 2013-06-04 2014-09-12 주식회사 엑시옴 링크구조를 가진 일체형 접이식 탁구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5927B1 (ko) * 2020-01-23 2021-06-16 주식회사 엑시옴 링크조절시스템을 구비한 탁구대
KR20230039424A (ko) 2021-09-14 2023-03-21 주식회사 제이엘에스 무인 탁구대 관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75188A (en) Modified folding tent
US6026751A (en) Collapsible table
US8082935B2 (en) Quick connector for shade structure
US8881661B2 (en) Foldable table
US20200390233A1 (en) Folding stool or folding table and folding frame thereof
KR101836037B1 (ko) 접이식 탁구대
MX2007007053A (es) Mesa plegable.
WO2003030682A3 (en) Collapsible portable folding table with folding legs
KR20010022329A (ko) 접철식 스테이지
US5803650A (en) Joint structure of collapsible playpen
US20140373760A1 (en) Folding Table
CN108095412B (zh) 自锁折叠床架
KR101763026B1 (ko) 접이식 일체형 탁구대
US6865985B2 (en) Foldable panel supporter
US11297935B2 (en) Collapsible table
US20040084073A1 (en) Leg assembly for a canopy
US10130167B1 (en) Foldable table
US5588180A (en) Hinge
AU2015252018B2 (en) Foldable goal post assembly
KR20140003201U (ko) 접이식 좌식책상
KR102091492B1 (ko) 저면공간의 확보가 가능한 접이식 탁구대
CN212117440U (zh) 一种收折桌子
CN218127438U (zh) 一种折叠桌
KR200195263Y1 (ko) 접철식 탁자다리
CN219270390U (zh) 一种折叠桌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