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5263Y1 - 접철식 탁자다리 - Google Patents

접철식 탁자다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5263Y1
KR200195263Y1 KR2020000008746U KR20000008746U KR200195263Y1 KR 200195263 Y1 KR200195263 Y1 KR 200195263Y1 KR 2020000008746 U KR2020000008746 U KR 2020000008746U KR 20000008746 U KR20000008746 U KR 20000008746U KR 200195263 Y1 KR200195263 Y1 KR 2001952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legs
folded
le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87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상
Original Assignee
이경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상 filed Critical 이경상
Priority to KR20200000087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52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52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52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8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 A47B3/091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with struts supporting the legs
    • A47B3/0911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with struts supporting the legs the struts being permanently connected to top and leg or underframe and leg
    • A47B3/0912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with struts supporting the legs the struts being permanently connected to top and leg or underframe and leg the strut being of two parts foldable relative to one anoth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27Fee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Abstract

본 고안은 연회용 또는 야외용 간이탁자등에 사용되는 접철식 탁자다리에 관한 것으로서, 탁자다리를 접었을 때 접은 다리가 후레임안으로 수납될 수 있도록 링크절을 구성하는 링크판의 형상 및 구조를 개선하고 접힌 링크절이 탁자다리의 양 쪽으로 후레임과 다리사이에 위치하도록 구성하였으며, 다리를 펴고 접는데 사용되는 손잡이의 양단에 탁자다리가 놓일 수 있도록 ㄷ자형상의 판을 구비한 것과 일단 펴진다리가 상당한 외부충격이나 탁자위에 놓인 물건의 하중으로 인해 쉽게 접혀지지 않도록 기구학적인 구조와 고정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접철식 탁자다리{a foldable table leg}
본 고안은 주로 연회용 내지 야외용 간이탁자등에 있어 접는 탁자다리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기술에 의한 접철식 탁자다리를 도1 및 도2를 사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기술에 의한 연회용 내지 야외용 간이탁자의 경우도 사용후 탁자다리를 접을 수 있는 구조를 갖고 있어 보관 및 이동상 편의성을 제공하기는 하였으나, 접은 탁자다리가 후레임밖으로 돌출됨으로써 적층된 탁자의 높이가 돌출된 다리의 높이만큼 높아져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탁자다리를 완전히 폈을 때 그 탁자위에 음식물이나 물건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다리의 펴진상태를 온전히 유지하기 위한 안전장치가 불완전하여 가벼운 외부충격이나 하중에도 뜻하지 않게 탁자가 쓰러지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접철식 탁자다리가 갖는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탁자다리를 접었을 때 접힌 다리가 후레임밖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탁자다리를 접고 펴는데 이용되는 링크절과 탁자다리를 구성하는 4각파이프가 놓일 공간을 후레임 안쪽에 마련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보다 손쉽게 다리를 접고 펼 수 있도록 관련장치를 구성하는 것과 탁자다리가 펴진 상태에서 탁자에 외부충격이나 수직하중이 걸리더라도 쉽게 접혀지지 않는 기구학적인 구조 및 안전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도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탁자다리가 절반정도 접힌 상태의 사시도
도2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탁자다리가 완전히 접힌 상태의 정면도
도3은 본 고안에 의한 탁자다리를 구비한 탁자의 정면도
도4는 본 고안에 의한 탁자다리의 조립도
도5는 본 고안에 의한 탁자다리가 완전히 접힌 상태에서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탁자다리 20: 링크절브라켓트
30: 링크판 31: 라쳇구멍
40: 링크판 41: 라쳇돌기
50: 손잡이 60: 후레임
90,91,92,93: 리벳
본 고안에 의한 접철식 탁자다리의 구성을 도면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의한 접철식 탁자다리는 탁자상판과 결합되는 후레임(60)에 탁자다리(10)와 후레임과 다리를 연결하는 링크절(20)(30)(40) 및 링크절을 펴거나 접을 때 사용되는 손잡이(50)로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에서 각 구성요소의 배치는 우선 탁자상판의 4면에 후레임(60)이 울타리와 같이 설치되고, 그 안에 탁자다리(10)가 놓이게 되며 후레임과 탁자다리 사이의 공간으로 접힌 링크절이 위치하며, 탁자다리의 양쪽으로 각각 설치된 링크판(40)을 연결하는 손잡이(50)가 탁자다리 아래에 오도록 되어있다.
접혀진 링크절(20)(30)(40)이 들어갈 공간을 확보하는 것은 후레임(60)과 탁자다리(10)를 연결하는 링크절브라켓트(20)를 의 형태로 꺽음으로써 가능하다.
탁자다리를 다 접었을 때 접은 탁자다리가 후레임(60) 밖으로 돌출되지 않게 하기 위하여는 우선 후레임의 높이가 탁자다리로 사용된 4각파이프의 높이보다는 더 높을 것이 요구되는데, 가급적 낮을수록 탁자의 이동 및 보관에 유리하므로 링크절브라켓트(20)와 탁자다리가 90번리벳을 회전축으로 하여 함께 회전운동을 하게 되므로 회전시 발생할 수 있는 탁자다리의 선단과 탁자상판 사이에 간섭이 일어나지 않을 정도의 높이가 일응의 기준이 된다.
한편 탁자다리(10)가 접혀질 때 후레임(60) 안쪽에서 일어날 문제를 보면, 다리를 펴고 접는데 있어 각각의 다리를 따로 움직이는 것보다 다리 양쪽의 링크절을 함께 움직일 수 있는 손잡이를 설치하는 방식이 여러모로 편리하나, 이러한 손잡이를 한쪽 링크절에서 맞은편 링크절로 연결하는 경우 그 손잡이는 접혀질 탁자다리의 밑에 위치하게 되므로, 종래의 기술에 의한 탁자의 경우에는 손잡이로서 폭이 넓고 중앙부위에 요철(凹凸)부위를 형성한 강판을 사용하거나 아예 손잡이없이 각각의 링크절에 의해서만 다리를 펴고 접도록 하는 방식을 취하였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사용자가 간편하게 탁자다리를 펴고접을 수 있도록 손잡이의 중앙부위는 원형파이프로 하고, 그 양단에는 접혀진 탁자다리가 들어갈 수 있도록 ㄷ자형상의 판을 용접에 의하여 부착함으로써 전술한 종래의 기술에 의한 탁자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이 일시에 해결되도록 하였다.
손잡이(50) 양단에 구비되는 ㄷ자 판의 개구부(開口部)의 폭에 대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리를 접었을 때 탁자다리외에도 링크절(20)(30)(40)이 부채살 처럼 접혀 들어가게 되므로(도5 참조) 탁자다리의 폭이외에 접힌 상태에서의 링크절의 두께를 함께 고려하여 개구부의 폭을 결정한다.
각 구성요소의 결합은 탁자다리(10)와 링크절브라켓트(20), 손잡이(50)와 손잡이 양단에 구비된 ㄷ자판 및 링크판(40)과 ㄷ자판은 용접을 하여 고정하고, 후레임(60)과 링크절브라켓트(20), 링크절브라켓트(20)와 링크판(30), 링크판(30)과 링크판(40), 링크판(40)과 후레임(60)은 각각 리벳(90)(91)(92)(93)으로 결합하여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다음은 펴진 탁자다리가 외부충격이나 탁자위에 올려놓은 물건등의 하중에 의해서 쉽게 접혀지지 않게 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첫째, 링크판(30)에는 작은 구멍(31)을 링크판(40)에는 작은 돌기(41)를 형성하여 링크절이 펴졌을 때 링크판(40)에 형성된 작은 돌기가 링크판(30)에 형성된 구멍에 끼워지도록 하였다. 이 때 두개의 링크판이 회전을 하면서도 적절한 압력으로 상호 밀착될 수 있도록 40번링크판과 30번링크판이 의 형태로 꺽여지는 각도를 적절히 조절한다.
두번째는 접혔던 링크절이 180°이상 펴지도록 링크판(30)(40)의 구멍(31)이나 돌기(41)의 위치를 상대적으로 조절하는 것이다. 즉 상기 구멍이나 돌기의 중심이 각각의 링크판에서 리벳축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의 중심선상에 위치한다면 양 링크판은 정확히 180°만 펴질 것이므로 구멍(31)이나 돌기(41)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를 중심선상에서 링크가 회전하던 방향으로 일정량만큼 편심된 위치에 형성하면 링크절이 180°이상 펴질 수 있다.
단지 그 폭이 한정된 링크판에서 구멍의 위치를 어느 한 쪽에 치우치게 형성하는 것은 강도를 고려할 때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구멍은 링크판의 중앙에 형성하고 돌기의 위치를 조정하는 방식을 택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링크절이 180°를 넘어 꺽기는 정도도 필요이상으로 과다하게 할 이유가 없으므로 돌기위치의 조정만으로도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때 링크절이 180°이상으로 펴지는 경우에도 탁자다리가 탁자상판과 정확하게 90°의 각도를 이룰 수 있도록 양 링크판(30)(40)의 길이를 정상적인 길이보다 약간 길게할 수도 있으나 그 부가되는 길이가 아주 미세한 양이면 실용상 생략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접철식 탁자다리는 접힌다리가 후레임안으로 완전히 들어가게 함으로써 탁자의 이동 및 보관에 있어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구조가 간단하여 사용자가 쉽게 펴고 접을 수 있으며, 일단 펴진 다리가 상당한 외부충격이나 탁자위에 올려놓은 물건으로 인한 하중이 걸리더라도 쉽게 접히지 않는 기구학적인 구조와 안전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접철식 탁자다리이다.

Claims (1)

  1. 통상의 접철식 탁자다리에 있어서, 탁자다리를 완전히 접었을 때 링크판브라켓트(20)와 링크판(30)(40)이 탁자다리(10)와 후레임(60)사이에 위치하고 탁자다리
    (10)가 후레임안으로 접혀들어갈 수 있도록 손잡이(50)의 양단에 ㄷ자형 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탁자다리.
KR2020000008746U 2000-03-28 2000-03-28 접철식 탁자다리 KR2001952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8746U KR200195263Y1 (ko) 2000-03-28 2000-03-28 접철식 탁자다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8746U KR200195263Y1 (ko) 2000-03-28 2000-03-28 접철식 탁자다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5263Y1 true KR200195263Y1 (ko) 2000-09-01

Family

ID=19649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8746U KR200195263Y1 (ko) 2000-03-28 2000-03-28 접철식 탁자다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526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2568B1 (ko) 2010-02-09 2011-10-11 김홍철 탁자용 다리 접이장치
KR200481904Y1 (ko) 2016-06-17 2016-11-25 소순명 절첩식 다리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2568B1 (ko) 2010-02-09 2011-10-11 김홍철 탁자용 다리 접이장치
KR200481904Y1 (ko) 2016-06-17 2016-11-25 소순명 절첩식 다리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12493B2 (en) Folding work bench
US7546810B2 (en) Folding table assembly
US9033171B2 (en) Foldable crate and locking mechanisms therefor
CA2218544A1 (en) Folding table
WO2003030682A3 (en) Collapsible portable folding table with folding legs
KR20010022329A (ko) 접철식 스테이지
KR200195263Y1 (ko) 접철식 탁자다리
US6471173B1 (en) Foldable frame support device for supporting a top plate used for furniture
US20030234140A1 (en) Foldable ladder
US20180177290A1 (en) Integrated foldable table tennis table
CA3094726A1 (en) A folding lock mechanism for furniture legs and a piece of furniture with such a mechanism
KR200428328Y1 (ko) 접이식 탁자
JP5371258B2 (ja) 折り畳み脚固定装置
KR20080010892A (ko) 탁자 절첩구 및 그 절첩구를 이용한 접이식 탁자
CN210025585U (zh) 升降锯凳
AU713350B3 (en) Banquet table
CN220477148U (zh) 一种箱式折叠桌
JPH07122335B2 (ja) 折り畳み可能な作業足場
KR102072104B1 (ko) 접이식 테이블
JPH0741375Y2 (ja) 携帯折り畳みテーブル
KR200215206Y1 (ko) 폴딩 절탁자
JPS643386Y2 (ko)
KR200234031Y1 (ko) 상다리 절첩장치
KR910009215Y1 (ko) 절첩식 테이블의 절첩구조
KR20090012905U (ko) 절첩식 휴대용 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0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