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9960B1 - 링크구조를 가진 일체형 접이식 탁구대 - Google Patents

링크구조를 가진 일체형 접이식 탁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9960B1
KR101439960B1 KR1020130064271A KR20130064271A KR101439960B1 KR 101439960 B1 KR101439960 B1 KR 101439960B1 KR 1020130064271 A KR1020130064271 A KR 1020130064271A KR 20130064271 A KR20130064271 A KR 20130064271A KR 101439960 B1 KR101439960 B1 KR 1014399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ping
view
hinge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4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영 열 김
조춘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엑시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엑시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엑시옴
Priority to KR1020130064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9960B1/ko
Priority to PCT/KR2013/004970 priority patent/WO2014196671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9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99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04Table games physically beneficial for the human body, modelled on outdoor sports, e.g. table tenn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4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small-room or indoor sporting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054Features for injury prevention on an apparatus, e.g. shock absorbers
    • A63B2071/0072Limiting the applied force, torque, movement or spe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16Table tenn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 A63B2210/50Size reducing arrangements for stowing or transp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링크구조를 가진 일체형 접이식 탁구대에 관한 것으로, 각각 분리가능한 양쪽 탁구대(112,212)가 맞닿은 부분 저면에 설치된 힌지결합수단(120)을 포함하고, 수직 및 수평다리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링크구조를 가진 일체형 접이식 탁구대에 있어서, 상기 수직다리들에는 각각 링크수단이 결합되며, 상기 링크수단은 상기 탁구대(112,212)의 수직다리(16-1, 116-2, 216-1, 216-2)의 내측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길이가 조절되는 피스톤(136-1a)을 구비하는 가스쇼바(136-1)와, 상기 가스쇼바(136-1)의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제1 링크(137-2) 및 제2 링크(138-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링크(137-1)의 타단은 탁구대의 저면에 설치된 지지브라켓(182-1)의 저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 링크(138-1)의 타단은 상기 수직다리(116-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링크구조를 가진 일체형 접이식 탁구대{Integrated Type Ping-Pong table with hinge structure}
본 발명은 링크구조를 가진 일체형 탁구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링크구조를 통해 기존의 분리형 탁구대 2개를 동시에 접거나 펼치는 동작에서 접거나 펴는 동작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며 접혀진 후에 탁구대의 저면에 위치된 지지브라켓과 수직다리를 향해 회동되어 접하도록 위치되는 새로운 형태의 링크구조를 가진 일체형 접이식 탁구대에 관한 것이다.
탁구대는 탁구를 즐기기 위하여 야외나 실내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장치를 말한다. 그러나 종래의 탁구대는 두개의 분리된 테이블로 이루어지고 펴고 접을 때마다 따로 따로 조립해야하므로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펴고 접을 때 무거운 테이블을 올리고 내리는 작업이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이 분야의 종래기술로서 접이식 일체형 탁구대(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36416호, 2006년 10월 12일 등록)에 의하면, 기존의 분리형 탁구대 상판 2개를 동시에 접거나 펼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기술에서는 탁구대가 접거나 펴는 동작에서 양쪽 탁구대가 순간적으로 펼쳐지면서 그 하중으로 하방으로 급격하게 펼쳐지는 동작이 이루어져 탁구대를 펴거나 접는 동작에서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진 것이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쉽게 접거나 펼칠 수 있음과 동시에 접거나 펴는 동작이 급격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링크구조가 외부로 튀어나오지 않고 탁구대 저면측을 향하여 접하여 위치함으로써 공간을 차지하지 않도록 되는 링크구조를 가진 일체형 탁구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링크구조를 가진 일체형 탁구대는
각각 분리가능한 양쪽 탁구대가 맞닿은 부분 저면에 설치된 힌지결합수단을 포함하고, 수직 및 수평다리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링크구조를 가진 일체형 접이식 탁구대에 있어서,
상기 수직다리들에는 각각 링크수단이 결합되며,
상기 링크수단은
상기 탁구대의 수직다리의 내측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길이가 조절되는 피스톤을 구비하는 가스쇼바와,
상기 가스쇼바의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제1 링크 및 제2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링크의 타단은 탁구대의 저면에 설치된 지지브라켓의 저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 링크의 타단은 상기 수직다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링크수단은 상기 탁구대가 두개로 분리되어 접혀지게 되면 회동되어 수직다리 및 지지브라켓에 접하여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링크구조를 가진 일체형 탁구대에 의하면, 링크구조를 통해 기존의 분리형 탁구대 2개를 동시에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하되 접거나 펴는 동작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또한 링크구조가 외부로 튀어나오지 않고 탁구대 저면측을 향하여 접하여 위치함으로써 공간을 차지하지 않도록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접이식 탁구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탁구대를 접는 동작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탁구대의 하부 조립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탁구대의 하부 조립구조를 상세하게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탁구대를 완전히 접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탁구대를 완전히 접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저면 수평다리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의 분해 사시도에서 힌지결합수단 및 관련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4의 분해 사시도에서 힌지결합수단 및 관련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또 다른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접이식 탁구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도 9를 완전히 접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예각으로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도 9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서 뼈대 구조만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5는 펼쳐진 상태에서의 뼈대 구조만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6은 탁구네트가 설치된 상태로 힌지결합수단의 작동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8은 펼쳐진 상태에서의 뼈대구조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9는 접혀진 상태에서의 뼈대구조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서 따른 힌지결합수단과 연결구조만을 요약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에서 따른 힌지결합수단과 탁구네트 연결수단만을 요약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3은 탁구네트 결합수단만을 확대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4는 접이식 다리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링크구조를 가진 일체형 탁구대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접이식 탁구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탁구대를 접는 동작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탁구대의 하부 조립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탁구대의 하부 조립구조를 상세하게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탁구대를 완전히 접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의 탁구대를 완전히 접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저면 수평다리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4의 분해 사시도에서 힌지결합수단 및 관련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4의 분해 사시도에서 힌지결합수단 및 관련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또 다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탁구대(100)는 양쪽 탁구대(112,212)의 저면에 제1 힌지결합수단(120-1) 및 제2 힌지결합수단(120-2)를 포함한 힌지결합수단(120)에 의하여 접거나 펼쳐질 때 회동가능하게 되는 구조이다.
참조부호 116-1, 116-2, 216-1, 및 216-2는 상기 탁구대의 저면에 설치된 수직다리를 나타내고, 125-1,125-2,225-1 및 225-2는 수평다리를 나타낸다.
상기 탁구대(112,212)의 저면과 수직다리(116-1,116-2)사이에는 수직이동바(152-1,152-2)가 위치하고, 그 수직이동바(152-1,152-2) 사이에는 수평이동바(153-1,154-1,155-1,156-1)가 위치한다.
상기 수평이동바(156-1)의 양단에는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탁구대 수평유지바(117-1,117-2)가 설치된다. 상기 탁구대 수평유지바(117-1,117-2)는 일단부는 탁구대 저면에 설치된 지지브라켓(182-1,182-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있고, 타단부에는 수평유지 나사부(117-1a,l17-2a)가 구비되어있다.
상기 탁구대(112,212)의 수직다리(16-1, 116-2, 216-1, 216-2)의 내측으로는 길이가 조절되는 피스톤(136-1a)을 구비하는 가스쇼바(136-1)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가스쇼바(136-1)의 단부에는 제1 링크(137-2) 및 제2 링크(138-2)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1 링크(137-1)의 타단은 상기 지지브라켓(182-1)의 저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2 링크(138-1)의 타단은 상기 수직다리(116-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는 각각의 수직다리마다 동일하게 설치된다. 실시예에서는 총 4개가 설치된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힌지구조를 가진 접이식 일체형 탁구대는 상기 가스쇼바(136-1)가 장착된 수직다리(116-1)저면에 설치된 수평다리들(125-1)내에 각각 회동장치(123)가 설치되어 직각으로 회동가능하게 접히는 구조(도 5 및 도 6참조)를 가지며, 상기 수평다리(12-1)의 저면에 바퀴(133)가 장착되어 이루어진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탁구대(112,212)는 접는 경우, 서로 접하면서 수직다리들(116-1,116-1,216-1,216-2) 및 수평다리들(125-1,125-2,225-1,225-2)은 각각 상기 탁구대(112,212)에 접하도록 당겨지며, 이때 상기 가스쇼바(136-1)의 피스톤(136-1a)은 일정길이 연장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링크구조를 가진 일체형 접이식 탁구대(100)는
각각 분리가능한 양쪽 탁구대(112,212)가 맞닿은 부분 저면에 설치된 힌지결합수단(120)을 포함하고, 수직 및 수평다리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힌지결합수단(120)은
상기 양쪽 탁구대 저면에 공통으로 결합되어 양쪽 탁구대가 펼쳐져서 하나의 완전한 탁구대가 이루어지고 반으로 접혀지면서 보관상태가 되도록 하는 펼침동작을 원활이 수행하도록 결합된 제1 힌지결합수단(120-1) 및 제2 힌지결합수단(120-2)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힌지결합수단(120-1)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겹쳐진 복수개의 'ㄷ'자형 결합부와, 상기 'ㄷ'자형 결합부의 각각의 일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연장부를 포함하는 제1 힌지결합부;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겹쳐진 복수개의 'ㄷ'자형 결합부와, 상기 'ㄷ'자형 결합부의 각각의 일단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연장부를 포함하는 제2 힌지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힌지결합부 및 제2 힌지결합부는 중심부가 서로 깍지낀 형태로 겹쳐져서 위치되며 중심부가 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링크구조를 가진 접이식 일체형 탁구대의 작동과정을 첨부도면을 참조로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도 1과 같은 상태에서 접이식 일체형 탁구대를 펼쳐놓은 상태에서 탁구를 즐길 수 있다. 이후 탁구대를 접어서 보관하고자 할 때는, 먼저 양쪽 탁구대(112,114)를 양쪽에서 각각 잡고 상방으로 들어올린다. 이때, 가스쇼바(136-1,136-2,236-1,236-2)들이 작동되면서 각각 수평상태로 있던 수직이동바(152-1,152-2) 및 수평이동바(153-1,154-1,155-1,156-1)가 수직다리(116-1, 116-2, 216-1, 216-2)의 내측으로 다가와 모이게 되고 최종적으로는 탁구대(112,212)의 저면에 밀착될 때까지 회동하게 된다(도 5 및 도 6 참조). 또한 이때 수직상태로 있던(탁구대 펼친상태에서) 상기 수평이동바(156-1)의 양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탁구대 수평유지바(117-1,117-2)도 탁구대의 저면에 밀착될 때 까지 회동하게 된다.
사용자는 상기 탁구대 수평유지바(117-1,117-2)를 탁구대 저면을 향해 누르면 회동을 멈추게 하는 기능을 가지게 되며, 다시 탁구대를 펼치고자 할 때는 수평유지바(117-1,117-2)를 앞으로 당기면 된다. 상기 수평유지바(117-1,117-2)의 타단부에는 수평유지 나사부(117-1a,l17-2a)가 구비되어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탁구대(112,114)에 각각 설치되게 된다.
상기 탁구대(112,212)의 수직다리(16-1, 116-2, 216-1, 216-2)의 내측으로는 길이가 조절되는 피스톤(136-1a)을 구비하는 가스쇼바(136-1)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가스쇼바(136-1)의 단부에는 제1 링크(137-2) 및 제2 링크(138-2)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1 링크(137-1)의 타단은 상기 지지브라켓(182-1)의 저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2 링크(138-1)의 타단은 상기 수직다리(116-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접이식 탁구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10 내지 도 12는 도 9를 완전히 접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3은 예각으로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도 9의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에서 뼈대 구조만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15는 펼쳐진 상태에서의 뼈대 구조만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16은 탁구네트가 설치된 상태로 힌지결합수단의 작동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8은 펼쳐진 상태에서의 뼈대구조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9는 접혀진 상태에서의 뼈대구조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에서 따른 힌지결합수단과 연결구조만을 요약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에서 따른 힌지결합수단과 탁구네트 연결수단만을 요약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3은 탁구네트 결합수단만을 확대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4는 접이식 다리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2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접이식 탁구대는 기본적인 구조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하며, 동일부분에는 동일부호를 사용하였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이 실시예에서는 바퀴(133)의 수가 4개로 줄어든 점에서 차이가 있다.
또한, 힌지결합수단(300)에서 차이가 있고,
또한, 탁구네트 설치수단이 포함되어 있다.
도 9 내지 도 2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접이식 탁구대는
각각 분리가능한 양쪽 탁구대(112,212)가 맞닿은 부분 저면에 설치된 한 쌍의 힌지결합수단(300)을 포함하고, 수직 및 수평다리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힌지구조를 가진 일체형 접이식 탁구대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힌지결합수단(300)은
상기 양쪽 탁구대 저면에 공통으로 결합되어 양쪽 탁구대가 펼쳐져서 하나의 완전한 탁구대가 이루어지고 반으로 접혀지면서 보관상태가 되도록 하는 펼침동작을 원활이 수행하도록 결합된 한 쌍의 제1 힌지결합수단 및 상기 한 쌍의 제1 힌지결합수단 각각에 결합된 제2 힌지결합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힌지결합수단은
중간부가 서로 겹쳐진 형태를 'ㄷ'자형 결합부(322,324)와, 상기 겹쳐진 형태의 복수개의 'ㄷ'자형 결합부(322,324)의 중간부를 관통하는 힌지핀(352), 상기 힌지핀(353) 상방에 평행하게 위치한 힌지핀(354), 상기 상방 및 하방에 위치한 힌지핀(352,354)을 서로 결합하는 연결핀(353-1,353-2)을 포함하는 제1 힌지결합부,
상기 겹쳐진 형태의 복수개의 'ㄷ'자형 결합부(322,324)의 사이사이에 일단부가 개재되어 힌지핀(522,524)으로 연결되어 위치하는 제2 힌지결합부(342,344)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힌지결합부 및 제2 힌지결합부는 서로 깍지낀 형태로 겹쳐져서 위치되며 상부에서 보면 2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힌지결합부(342,344)의 타단부는 래크 연결부에 결합되는데, 래크연결부는 피니언에 맞물려 있는 래크부(429-1,429-2)가 형성된 연결부(428-1,428-2), 중간연결부(427-1,427-2), 연결부(426-1,426-2), 이중연결부(422-1,422-2,424-1,424-2)를 포함하고, 이중연결부에 힌지핀(542,544)으로 각각 연결되어 있다.
상기 힌지결합수단에 결합되면 연결핀(353-1,353-2)을 통해 연결된 힌지핀(352,354)은 탁구대(112,212)의 수평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힌지결합수단을 마주보면서 한 쌍의 탁구네트 설치수단이 설치된다. 탁구네트 설치수단은 전방연결부(192), 연결부(191), 가이드부(194), 확장부(196), 수직부(198), 내장봉(198b), 스프링부(198c)를 포함한다. 198a는 측면에 형성된 한 쌍의 슬롯이다. 196a는 장방형 가이드 개구부이다. 상기 가이드부(194)는 전방단부가 회전가능한 롤러부(194a,194b)가 장착되어 있다.
전방연결부(192)는 측면브라켓 전면에 위치하며 상기 힌지핀(542,544)가 각각 장공(192a)에 관통되어 위치된다.
도 14 내지 도23을 참조하면, 지지브라켓(182-1) 부근 전반부 및 후반부에 힌지결합수단(300)의 힌지핀들과의 결합을 위한 전방 브라켓(622-1,622-2) 및 이와 대향되는 위치에 후방 브라켓(624-1,624-2)이 각각 복수개의 장공을 구비하며, 각각의 장공에는 상기 힌지핀들이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걸려있게 되며, 탁구대의 펼침동작과 접는 동작이 일어날 때마다 힌지결합수단과 함께 동작하게 된다.
도 24를 참조하면, 바퀴(133)가 결합되는 수평다리(125-1) 및 상기 수평다리(125-1)에 수직하게 연결되는 수직다리(116-1)로 이루어진 다리구조에서, 수직다리(116-1)(기타 다른 수직다리 부분에도 동일하게 설치됨)내에 내장설치된 접이식 구조가 설치되는데,
수평다리(125-1) 일단부의 구멍을 관통하는 중공 원통부(742)가 구비된 제1 사각판(744), 상기 제1 사각판의 중공원통부(742)내로 관통하는 관통부(732)가 구비된 제2 사각판(734)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사각판(734)상에는 스토퍼핀(752)이 수직하게 설치되며, 스토퍼핀(752)의 측면에는 수평방향으로 돌출핀(754)이 설치된다. 상기 스토퍼핀(752)에는 압축스프링(755)이 삽입설치되고, 누름 부재(732)에 의해 눌려지면서 고정부재(712)로 제2 사각판(734)에 고정된다.
상기 수직다리(116-1)(기타 다른 수직다리 부분에도 동일하게 설치됨)내에 내장설치된 접이식 구조는 수평다리(125-1)가 접혀질 때, 스토퍼핀(752)가 각각 상기 제1 사각판 및 제2 사각판에 형성된 구멍(744a,744b,734a,734b) 혹은 장공(744c)에 걸리면서 스토퍼역할을 하면서 접혀지고 접혀진 상태에서 고정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링크구조를 가진 일체형 탁구대에 의하면, 힌지구조를 통해 기존의 분리형 탁구대 2개를 동시에 접거나 펼수 있도록 하되 접거나 펴는 동작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링크구조가 외부로 튀어나오지 않고 탁구대 저면측을 향하여 접하여 위치함으로써 공간을 차지하지 않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링크구조를 가진 접이식 일체형 탁구대에 의하면, 종래 각각 두개의 분리된 테이블로 이루어지고 펴고 접을 때마다 따로 따로 조립해야하므로 인해 발생한 불편한 문제점과, 또한 펴고 접을 때 무거운 테이블을 올리고 내리는 작업이 힘든 문제점을 해결하여 링크방식을 사용하여 가스 가볍게 테이블 즉 탁구대를 서로 접어 보관하고 다시 쉽게 펼쳐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접고 펴는 작업의 편리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익숙한 기술자라면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를 토대로 하여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100: 탁구대
116-1,116-2,216-1,216-2: 수직다리
125-1,125-2,225-1,225-2: 수평다리
120,120-1,120-2: 힌지결합수단
136-1,136-2,236-1,236-2: 가스쇼바
137-1,138-1: 제1 링크 및 제2 링크
140-1,140-2,140-3,140-3: 랙피니언수단
182-1,182-2,282-1,282-2: 지지브라켓

Claims (2)

  1. 각각 분리가능한 양쪽 탁구대(112,212)가 맞닿은 부분 저면에 설치된 힌지결합수단(120)을 포함하고, 수직 및 수평다리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링크구조를 가진 일체형 접이식 탁구대에 있어서,
    상기 수직다리들에는 각각 링크수단이 결합되며,
    상기 링크수단은
    상기 탁구대(112,212)의 수직다리(16-1, 116-2, 216-1, 216-2)의 내측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길이가 조절되는 피스톤(136-1a)을 구비하는 가스쇼바(136-1)와,
    상기 가스쇼바(136-1)의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제1 링크(137-2) 및 제2 링크(138-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링크(137-1)의 타단은 탁구대의 저면에 설치된 지지브라켓(182-1)의 저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 링크(138-1)의 타단은 상기 수직다리(116-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구조를 가진 일체형 접이식 탁구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수단은 상기 탁구대가 두개로 분리되어 접혀지게 되면 회동되어 수직다리 및 지지브라켓에 접하여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구조를 가진 일체형 탁구대.
KR1020130064271A 2013-06-04 2013-06-04 링크구조를 가진 일체형 접이식 탁구대 KR101439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4271A KR101439960B1 (ko) 2013-06-04 2013-06-04 링크구조를 가진 일체형 접이식 탁구대
PCT/KR2013/004970 WO2014196671A1 (ko) 2013-06-04 2013-06-05 일체형 접이식 탁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4271A KR101439960B1 (ko) 2013-06-04 2013-06-04 링크구조를 가진 일체형 접이식 탁구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9960B1 true KR101439960B1 (ko) 2014-09-12

Family

ID=51759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4271A KR101439960B1 (ko) 2013-06-04 2013-06-04 링크구조를 가진 일체형 접이식 탁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996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7046B1 (ko) * 2014-09-30 2016-02-23 주식회사 엑시옴 양쪽 탁구대의 개별작동이 가능한 접이식 탁구대
KR101600707B1 (ko) * 2014-09-30 2016-03-07 주식회사 엑시옴 접힘구조 유지가 가능한 탁구대
WO2017043727A1 (ko) * 2015-09-11 2017-03-16 주식회사 엑시옴 접이식 일체형 탁구대
KR20170031590A (ko) 2015-09-11 2017-03-21 주식회사 엑시옴 접이식 일체형 탁구대
KR101836037B1 (ko) 2017-02-06 2018-04-19 주식회사 엑시옴 접이식 탁구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0346A (ja) * 2001-12-28 2003-07-08 Nippon Takkyu Kk 折畳み式卓球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0346A (ja) * 2001-12-28 2003-07-08 Nippon Takkyu Kk 折畳み式卓球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7046B1 (ko) * 2014-09-30 2016-02-23 주식회사 엑시옴 양쪽 탁구대의 개별작동이 가능한 접이식 탁구대
KR101600707B1 (ko) * 2014-09-30 2016-03-07 주식회사 엑시옴 접힘구조 유지가 가능한 탁구대
WO2017043727A1 (ko) * 2015-09-11 2017-03-16 주식회사 엑시옴 접이식 일체형 탁구대
KR20170031590A (ko) 2015-09-11 2017-03-21 주식회사 엑시옴 접이식 일체형 탁구대
US20180177290A1 (en) * 2015-09-11 2018-06-28 Xiom Corporation Integrated foldable table tennis table
KR101836037B1 (ko) 2017-02-06 2018-04-19 주식회사 엑시옴 접이식 탁구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9960B1 (ko) 링크구조를 가진 일체형 접이식 탁구대
CA2823967C (en) Vertically elevated foldable frame
US2645539A (en) Folding table, tennis table, or the like
CN213849253U (zh) 中央折叠实用桌子
CN101484043B (zh) 组合折叠桌
US8534205B1 (en) Folding table
US7201108B2 (en) Table with variable configuration
US9226572B2 (en) Folding table
TWI546488B (zh) 可收折腳架
MX2008013417A (es) Disposicion de mesa y asientos.
RU2014115226A (ru) Гимнаст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US4148264A (en) Table having multiple table top elevations
US2257522A (en) Folding table
KR101402002B1 (ko) 수직다리유지가 가능한 일체형 접이식 탁구대
KR101439962B1 (ko) 접이식 저면다리를 구비한 일체형 탁구대
KR101439961B1 (ko) 수평조절이 가능한 일체형 접이식 탁구대
KR101439959B1 (ko) 힌지구조를 가진 일체형 접이식 탁구대
WO2019024879A1 (zh) 一种连体折叠桌凳
KR101439963B1 (ko) 링크구조를 가진 분리형 탁구대
CN203538709U (zh) 折叠式台球桌
JP2018532522A5 (ko)
CN206275485U (zh) 一种儿童折叠餐椅
US20190090632A1 (en) One piece collapsible shelving unit with foldable upper and lower sections and method of use
KR200461074Y1 (ko) 의자가 부설된 접철식 이젤
CN209732979U (zh) 一种体育教学用乒乓球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