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1074Y1 - 의자가 부설된 접철식 이젤 - Google Patents

의자가 부설된 접철식 이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1074Y1
KR200461074Y1 KR2020100007792U KR20100007792U KR200461074Y1 KR 200461074 Y1 KR200461074 Y1 KR 200461074Y1 KR 2020100007792 U KR2020100007792 U KR 2020100007792U KR 20100007792 U KR20100007792 U KR 20100007792U KR 200461074 Y1 KR200461074 Y1 KR 2004610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coupled
main
easel
main colu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77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0820U (ko
Inventor
김종훈
Original Assignee
김종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훈 filed Critical 김종훈
Priority to KR20201000077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1074Y1/ko
Publication of KR201200008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082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10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107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3/00Combinations comprising two or more pieces of furniture of different kinds
    • A47B83/008Easels combined with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B97/04Easels or stands for blackboards or the like

Landscapes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그림을 그리기 용이하도록 캔버스 또는 도화지와 같은 화판을 거치하는 이젤에 관한 것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메인지주, 상기 메인지주를 서로 연결하는 가로대, 상기 메인지주의 전면에 결합되어 화구를 받치는 받침대, 상기 가로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메인지주를 세워진 상태로 지지하는 후방지주, 상기 메인지주의 하단부분의 각각에 상하로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안착대, 그리고 상기 안착대의 사이에 결합되는 의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의자가 부설된 접철식 이젤{A folding easel combined with chair}
본 고안은 그림을 그리기 용이하도록 캔버스 또는 도화지와 같은 화판을 거치하는 이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젤은 그림을 그리기 위해서 화판 예컨대, 도화지 또는 캔버스 등을 세워진 상태로 거치하는 것으로서, 작업실 또는 야외에 설치하여 사용한다.
통상의 이젤은 화판을 받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를 지지하는 한 쌍의 전방지주와, 전방지주의 후방으로 벌어져 전방지주를 지지하는 후방지주로 구성되며 후방지주는 전방지주에 대해 접철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이젤은 휴대 또는 보관 시에는 부피가 작아지도록 후방지주를 접철하고, 사용 시에는 접철된 후방지주를 전방지주의 후방으로 벌려 사용하게 된다.
한편, 이젤을 사용하여 그림을 그릴 때에는 사용자가 안착하는 의자를 필요로 하게 되는데, 종래의 이젤은 이젤과 의자가 분리되어 이젤의 이동 시 이젤과 의자를 따로 휴대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젤과 의자가 분리되어 사용자가 그림을 그릴 때 의자가 움직이거나 이젤이 움직이는 등 편안한 자세를 취하여 그림을 그리기가 난해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휴대가 용이하며, 다양한 크기의 캔버스를 사용할 수 있는 의자가 부설된 접철식 이젤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가 편안한 자세로 그림을 그릴 수 있도록 하며 화판과 사용자의 거리를 임의로 조절가능한 의자가 부설된 접철식 이젤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접철식 이젤은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메인지주, 상기 메인지주를 서로 연결하는 가로대, 상기 메인지주의 전면에 결합되어 화구를 받치는 받침대, 상기 가로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메인지주를 세워진 상태로 지지하는 후방지주, 상기 메인지주의 하단부분의 각각에 상하로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안착대, 그리고 상기 안착대의 사이에 결합되는 의자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지주는 관 형상으로 형성된 외통부재와, 상기 외통부재의 내부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막대부재로 구성되어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안착대는 상기 메인지주의 끝단에 힌지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동부재와, 상기 회동부재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고 상기 의자가 결합되는 연장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의자와 상기 받침대 사이의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의자는 사용자가 안착하는 시트와, 상기 시트의 양 측면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한 쌍이 결합되고 끝단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부가 형성된 복수의 링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안착대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걸림부가 삽입되는 레일부가 형성되고, 상기 레일부에는 상기 걸림부가 걸쳐지는 걸림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대의 끝단에는 바퀴가 설치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의자가 부설되어 의자를 별도로 휴대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의자가 접철되어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다.
또한, 의자의 높낮이 및 받침대와 의자의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의자가 메인지주에 연결되어 의자가 이탈되지 않으므로 편안한 자세에서 그림을 그릴 수 있다.
또한, 화판을 받치는 메인지주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크기의 화판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의자가 부설된 접철식 이젤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의자가 부설된 접철식 이젤의 접철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의자가 부설된 접철식 이젤을 구성하는 메인지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의자가 부설된 접철식 이젤을 구성하는 안착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의자가 부설된 접철식 이젤을 구성하는 의자의 접철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의자가 부설된 접철(摺綴)식 이젤(100)은 메인지주(110)를 포함한다. 이 메인지주(110)는 화판 예컨대, 캔버스(canvas) 또는 도화지 등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막대형상으로 형성되어 한 쌍이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한 쌍의 메인지주(110)는 화판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사이 거리가 좁아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지주(110)는 외통부재(111)와 막대부재(113)로 구성될 수 있다. 외통부재(111)는 내부가 빈 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막대부재(113)는 막대와 같이 길이가 긴 형상으로 형성되어 외통부재(111)의 내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될 수 있다. 이렇게 외통부재(111)와 막대부재(113)를 서로 결합하여 외통부재(111)에서 막대부재(113)를 삽입하거나 빼는 형태로 메인지주(11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막대부재(113)와 외통부재(111)는 서로 반대되는 형태 예컨대, 막대부재(113)가 내부가 빈 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통부재(111)가 막대형상으로 형성되어 막대부재(113)의 내부에 외통부재(111)가 삽입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외통부재(111)에는 외통부재(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안착홈(111a)이 형성되고, 막대부재(113)에는 안착홈(111a)에 삽입되는 탄성편(113a)이 설치되어 막대부재(113)를 외통부재(111)에서 탄성력으로 지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와 같이, 탄성편(113a)은 원호형상으로 형성된 판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탄성편(113a)은 막대부재(113)의 하단에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이 탄성편(113a)의 외측 부분이 외통부재(111)의 내부에서 외통부재(111)에 형성된 안착홈(111a)에 걸쳐지는 형태로 막대부재(113)를 외통부재(111)에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외통부재(111)에 탄성편(113a)이 결합되고, 막대부재(113)에 탄성편(113a)이 걸쳐지는 안착홈(111a)이 형성되는 형태 즉, 서로 반대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별도의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가 없이 외통부재(111)에서 막대부재(113)를 고정시킬 수 있으며, 메인지주(110)의 길이 조절 시 막대부재(113)에 설치된 탄성편(113a)이 복수의 안착홈(111a)을 이동하며 걸쳐지는 형태로 위치가 고정되어 메인지주(110)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메인지주(110)는 예컨대, 지지력을 견고히 하기 위해 한 쌍의 메인지주(110)의 사이에 또 다른 메인지주(110)가 더 설치되는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의자가 부설된 접철식 이젤(100)은 가로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가로대(120)는 메인지주(110)가 서로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것으로서,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한 쌍의 메인지주(110)를 가로지르는 형태로 한 쌍의 메인지주(110)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가로대(120)는 메인지주(1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결합될 수 있으며,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의자가 부설된 접철식 이젤(100)은 받침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받침대(140)는 화판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한 쌍의 메인지주(110)를 서로 연결하는 형태로 메인지주(110)의 일측 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판 또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받침대(140)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한 쌍의 메인지주(110)의 각각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외측으로 돌출된 지지돌기가 복수 개가 결합되고, 한 쌍의 메인지주(110)의 동일 선상에 위치되는 지지돌기의 상부에 받침대(140)를 안착시키는 형태로 구성되어 복수 개의 지지돌기에서 받침대(140)를 이동시키는 형태로 받침대(140)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받침대(140)는 끝단이 메인지주(110)의 상부로 접혀질 수 있도록 메인지주(110)와 받침대(140)가 경첩과 같은 접철부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의자가 부설된 접철식 이젤(100)은 후방지주(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후방지주(130)는 메인지주(110)가 세워지도록 메인지주(110)를 지지할 수 있다. 한편, 후방지주(130)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후방지주(130)의 상단 부분이 가로대(120)에 경첩과 같은 접철부재(131)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후방지주(130)의 하단이 메인지주(110)의 후방으로 대략 10°~ 60°의 각도로 벌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후방지주(130)는 메인지주(110)의 일측 면에 결합되는 받침대(140)가 위치되는 반대방향인 타측 면으로 벌어지도록 가로대(120)에 결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의자가 부설된 접철식 이젤(100)은 안착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대(150)는 하기에 설명될 의자(170)를 결합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한 쌍의 메인지주(110)의 각각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안착대(150)는 메인지주(110)의 상부 또는 하부로 회동 가능하도록 안착대(150)의 끝단 부분이 메인지주(110)의 하단에 힌지핀(H)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안착대(150)의 끝단 더 구체적으로는 안착대(150)와 메인지주(110)가 결합되는 부분의 끝단에는 바퀴(18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안착대(150)에는 힌지핀(H)이 삽입되는 힌지공(153b)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 힌지공(153b)은 바퀴(180)가 결합되는 안착대(150)의 끝단에서 상부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바퀴(180)에서 일정거리 상부로 이격된 부분에 힌지공(153b)이 형성되어 힌지핀(H)을 중심으로 안착대(150)가 회전하여 수평상태가 되면 바퀴(180)도 수평이되어 지면과 맞닿지 않는 반면, 안착대(150)가 회전하여 수직상태가 되면 바퀴(180)가 하부로 돌출되어 바닥과 맞닿게 되므로 이젤(100)을 접철되었을 때, 이젤(100)을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대(150)는 회동부재(153)에 연장부재(151)가 삽입되는 형태로 길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회동부재(153)는 막대형상으로 형성되고, 연장부재(151)는 내부가 빈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회동부재(153)가 연장부재(151)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연장부재(151)와 회동부재(153)는 서로 반대되는 형태 예컨대, 연장부재(151)가 막대형상으로 형성되고, 회동부재(153)가 내부가 빈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연장부재(151)가 회동부재(153)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연장부재(151)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안착홈(151a)이 형성되고, 회동부재(153)에는 안착홈(151a)에 삽입되는 탄성편(153a)이 설치되어 연장부재(151)를 회동부재(153)에서 탄성력으로 지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와 같이, 연장부(151)에 결합되는 탄성편(153a)은 원호형상으로 형성된 판 스프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탄성편(153a)은 회동부재(153)의 측면에서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탄성편(153a)의 외측부분이 연장부재(151)의 내부에서 연장부재(151)에 형성된 안착홈(151a)에 걸쳐지는 형태로 연장부재(151)를 회동부재(153)에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연장부재(151)의 내부에는 탄성편(153a)이 결합되고, 회동부재(153)에는 탄성편(153a)이 걸쳐지는 안착홈(151a)이 형성되는 형태 즉, 서로 반대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별도의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가 없이 회동부재(153)에서 연장부재(151)를 고정시킬 수 있으며, 안착대(150)의 길이 조절 시 연장부재(151)에 형성된 복수의 안착홈(151a)이 회동부재(153)의 탄성편(153a)에 차례로 걸쳐지는 형태로 위치가 고정되어 안착대(150)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회동부재(153)의 끝단 더 구체적으로는 회동부재(153)가 연장부재(151)에 삽입되는 반대방향의 끝단에는 바퀴(18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바퀴(180)가 설치된 끝단의 일정거리 이격된 상부에는 힌지핀(H)이 결합되는 힌지공(153b)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메인지주(110)의 끝단에는 회동부재(153)의 힌지공(153b)이 형성된 부분의 양측 면을 감싸는 형태의 브라켓(160)이 설치되고, 이 브라켓(160)에 힌지핀(H)이 회동부재(153)에 형성된 힌지공(153b)을 관통하는 형태로 서로 결합되어 회동부재(153)가 브라켓(160)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연장부재(151)가 서로 마주보는 각각의 측면에는 레일부(155)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레일부(155)는 하기에 설명될 의자(170)가 설치되는 곳으로서, 연장부재(151)의 측면의 상부 및 하부에서 각각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판(156)과, 연장부재(151)의 하부에 위치되는 돌출판(156)의 끝단에서 상향 절곡된 지지부(157)로 구성된다.
여기서, 지지부(157)에는 연장부재(151)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는 걸림홈(158)이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의자가 부설된 접철식 이젤(100)은 의자(1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의자(170)는 사용자가 안착하는 것으로서, 한 쌍의 메인지주(110)에 각각 결합된 연장부재(151)의 사이에 결합되고, 접철될 수 있다.
한편, 의자(170)는 시트(171)와 링크부재(173)로 구성될 수 있다. 시트(171)는 사용자가 안착되는 것으로서,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링크부재(173)는 시트(171)와 안착대(150)를 서로 연결하는 것으로서, 링크부재(173)의 일단은 시트(17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은 안착대(15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링크부재(173)는 시트(171)의 양 측면에 각각 한 쌍씩 총 네 개의 링크가 결합될 수 있으며, 링크부재(173)의 타단 즉, 안착대(150)에 결합되는 부분에는 걸림부(175)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걸림부(175)는 연장부재(151)에 형성된 레일부(155) 더 구체적으로는 돌출판(156)의 사이로 삽입되어 레일부(155)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시트(171)의 일측 면에 결합되는 한 쌍의 링크부재(173)는 서로 교차된 상태로 링크부재(173)의 끝단에 형성된 걸림부(175)가 레일부(155)에 형성된 걸림홈(158)에 걸쳐지는 상태로 안착대(15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171)의 높이를 조절할 경우에는 서로 교차되는 한 쌍의 링크부재(173)에 각각 형성된 걸림부(175)가 서로 가까워지도록 걸림홈(158)에 걸치면 시트(171)의 높이가 높아지고, 걸림부(175)가 서로 멀어지도록 걸림홈(158)에 걸치면 시트(171)의 높이가 낮아지게 된다.
더욱이 의자(170)를 접철시킬 때에는 한 쌍의 교차되는 링크부재(173)에 각각 형성된 걸림부(175)가 서로 최대한 멀어지도록 걸림홈(158)에 걸쳐지도록 하여 시트(171)의 높이를 최대한 낮추는 형태로 안착대(150)의 사이에 의자(170)를 접철시킬 수 있다.
이때, 지지부(157)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연장부재(151)의 중앙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복수 개가 형성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지지부(157)를 "ㄱ"자로 형성함으로 써, "ㄱ"자로 형성된 지지부(157)의 상부 하단에 걸림부(175)가 걸쳐져 지지부(157)에서 걸림부(175)가 용이하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의자가 부설된 접철식 이젤(100)은 손잡이(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손잡이(190)는 접철식 이젤(100)을 접철하였을 때, 사용자가 파지하여 이젤(100)의 운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손잡이(190)는 메인지주(110)를 연결하는 복수의 가로대(120) 중 메인지주(110)의 가장 상부에 위치되는 가로대(120)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각 구성 간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한 쌍의 메인지주(110)는 서로 이격 배치되고, 가로대(120)가 가로지르는 형태로 설치되며, 메인지주(110)의 전방에는 화구를 받칠 수 있는 받침대(140)가 설치된다.
한편, 메인지주(110)는 외통부재(111)의 내부에 막대부재(113)가 삽입되는 형태로 길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외통부재(111)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복수 개의 안착홈(111a)이 형성되고, 막대부재(113)에는 안착홈(111a)에 삽입되는 탄성편(113a)이 설치되어 외통부재(111)에서 막대부재(113)를 탄성력에 의해 지지하는 동시에 막대부재(113)의 이동 시 탄성편(113a)이 안착홈(111a)에 차례로 걸쳐지는 형태로 메인지주(11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가로대(120)에는 메인지주(110)를 세워진 상태로 지지하는 후방지주(130)가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메인지주(110)의 하단에는 안착대(150)가 메인지주(110)의 상,하로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핀(H)에 의해 서로 결합되고, 이 안착대(150)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메인지주(110)의 하단에 힌지핀(H)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동부재(153)와 회동부재(153)가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연장부재(151)로 구성된다.
이때, 회동부재(153)와 연장부재(151)는 메인지주(110)와 마찬가지로 탄성력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회동부재(153)에는 탄성편(153a)이 설치되고, 연장부재(151)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안착홈(151a)이 형성되어 탄성편(153a)이 안착홈(151a)에 걸쳐지는 형태로 회동부재(153)에서 연장부재(151)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아울러, 한 쌍의 안착대(150)의 사이에는 접철 가능한 의자(170)가 결합된다. 이 의자(170)에는 서로 교차되는 한 쌍의 링크부재(173)가 시트(171)의 양측 면에 각각 결합되고, 링크부재(173)의 끝단에는 걸림부(175)가 외측으로 돌출형성되어 걸림부(175)가 안착대(150)에 형성되는 레일부(155)에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된다.
여기서, 걸림부(175)는 레일부(155)에 형성된 걸림홈(158)에 걸쳐지는 형태로 시트(171)를 지지하여 서로 교차되는 한 쌍의 링크부재(173)의 걸림부(175)가 서로 가까운 위치의 걸림홈(158)에 각각 걸쳐지면 시트(171)의 높이가 높아지고, 서로 교차되는 한 쌍의 링크부재(173)의 걸림부(175)가 서로 멀게 위치되면 시트(171)의 높이가 낮아지는 형태로 의자(170)의 높이를 조절 및 접철할 수 있다.
아울러, 연장부재(151)를 구성하는 회동부재(153)의 끝단에는 바퀴(180)가 설치되며, 복수의 가로대(120) 중 메인지주(110)의 상부에 위치되는 가로대(120)에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19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의자가 부설된 접철식 이젤(100)은 이동 시에는 안착대(150)에 결합되는 의자(170)의 높이를 링크부재(173)가 걸쳐지는 걸림홈(158)의 위치를 조절하여 최대한 낮추어 접철하고, 안착대(150)를 메인지주(110)의 상부로 회동시켜 메인지주(110)와 안착대(150)가 서로 모아지도록 접철한다. 이때, 안착대(150)가 힌지핀(H)을 중심으로 메인지주(110)에서 수직상태로 회전하면서 안착대(150)의 끝단에 결합된 바퀴(180)도 메인지주(110)의 하단으로 돌출된다.
아울러, 화판을 받치는 받침대(140)는 메인지주(110)에서 분리하거나 받침대(140)의 끝단이 메인지주(110)의 상부로 회동시켜 접철한다.
이후, 후방지주(130)를 메인지주(110)가 위치되는 방향으로 접철하고, 사용자가 손잡이(190)를 파지한 상태로 이젤(100)을 이동시키게 된다.
반면, 이젤(100)을 펼칠 경우에는 이젤(100)을 접철할 때와는 반대로 후방지주(130)의 하단을 메인지주(110)에서 벌리고, 안착대(150)를 회동시켜 바닥에 지지시킨다. 이후 시트(171)의 높이가 사용자에 적절한 높이가 되도록 시트(171)에 결합된 링크부재(173)의 걸림부(175)를 서로 가까워지도록 걸림홈(158)에 걸쳐 의자(170)의 높이 조절하여 고정한다.
이때, 의자(170)와 화판의 거리는 안착대(150)를 구성하는 회동부재(153)에서 연장부재(151)를 밀거나 당기는 형태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조절하고, 화판의 크기에 따라 메인지주(110)를 구성하는 외통부재(111)에서 막대부재(113)를 상부 또는 하부로 당기거나 미는 형태로 메인지주(110)의 길이를 조절한다.
그리고, 받침대(140)를 메인지주(110)에서 펼쳐 받침대(140)에 화판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의자(170)에 사용자가 앉아 그림을 그리게 된다.
따라서, 의자(170)가 부설될 뿐만 아니라 접철이 가능하여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다.
또한, 의자(170)와 받침대(140)의 사이 거리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의자(170)가 메인지주(110)에 연결되어 의자(170)가 이탈되지 않으므로 편안한 자세에서 그림을 그릴 수 있다.
또한, 메인지주(110)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다양한 크기의 화판를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실시예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의자가 부설된 접철식 이젤 110: 메인지주
111: 외통부재 111a,151a: 안착홈
113: 막대부재 113a,153a: 탄성편
120: 가로대 130: 후방지주
131: 접철부재 140: 받침대
150: 안착대 151: 연장부재
153: 회동부재 153b: 힌지공
155: 레일부 156: 돌출판
157: 지지부 158: 걸림홈
160: 브라켓 170: 의자
171: 시트 173: 링크부재
175: 걸림부 180: 바퀴
190: 손잡이 H: 힌지핀

Claims (5)

  1.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메인지주,
    상기 메인지주를 서로 연결하는 가로대,
    상기 메인지주의 전면에 결합되어 화판을 받치는 받침대,
    상기 가로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메인지주를 세워진 상태로 지지하는 후방지주,
    상기 메인지주의 하단부분의 각각에 상하로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안착대, 그리고
    상기 안착대의 사이에 결합되는 의자를 포함하며,
    상기 안착대는
    상기 메인지주의 끝단에 힌지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동부재와, 상기 회동부재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의자가 결합되는 연장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의자와 상기 받침대 사이의 거리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이젤.
  2. 제1 항에서,
    상기 메인지주는
    관 형상으로 형성된 외통부재와, 상기 외통부재의 내부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막대부재로 구성되어 길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이젤.
  3. 삭제
  4. 제1 항에서,
    상기 의자는 사용자가 안착하는 시트와, 상기 시트의 양 측면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한 쌍이 결합되고 끝단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부가 형성된 링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안착대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걸림부가 삽입되는 레일부가 형성되고, 상기 레일부에는 상기 걸림부가 걸쳐지는 걸림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이젤.
  5. 제1 항에서,
    상기 안착대의 끝단에는 바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이젤.
KR2020100007792U 2010-07-26 2010-07-26 의자가 부설된 접철식 이젤 KR2004610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7792U KR200461074Y1 (ko) 2010-07-26 2010-07-26 의자가 부설된 접철식 이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7792U KR200461074Y1 (ko) 2010-07-26 2010-07-26 의자가 부설된 접철식 이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820U KR20120000820U (ko) 2012-02-06
KR200461074Y1 true KR200461074Y1 (ko) 2012-06-29

Family

ID=45843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7792U KR200461074Y1 (ko) 2010-07-26 2010-07-26 의자가 부설된 접철식 이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107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97774B (zh) * 2018-04-02 2020-09-29 烟台南山学院 一种导轨滑动式绘画板装置
CN113080639B (zh) * 2021-04-09 2022-11-18 重庆电子工程职业学院 一种多功能绘图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4259A (ja) * 2000-05-12 2001-11-13 Kazunori Hirose イーゼル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4259A (ja) * 2000-05-12 2001-11-13 Kazunori Hirose イー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820U (ko) 2012-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62875B2 (en) Easy folding cross brace design
US20170340100A1 (en) Foldable Banquet Table and Bench Set
US10441070B2 (en) Compactable utility table
US20050082442A1 (en) Multi-purpose foldable frame
US8931840B2 (en) Composite frame
US7374144B1 (en) Folding portable easel
CN210299832U (zh) 一种助步器具
KR200461074Y1 (ko) 의자가 부설된 접철식 이젤
KR20200001418U (ko) 접이식 유모차
US20140213393A1 (en) Table tennis table
CN210796982U (zh) 一种折叠晾晒架
KR20090005670U (ko) 입식 좌식 겸용 테이블
CN219857190U (zh) 一种折叠拖车
CN206403494U (zh) 便携式折叠写字椅
CN215838016U (zh) 一种折叠型秋千椅
CN216255952U (zh) 一种便携式吊床支架
CN202959574U (zh) 一种导演椅
CN219962335U (zh) 一种带自平衡侧桌的摇椅
NL2033490B1 (en) Foldable-into-bundle type kitchen cabinet structure
CN209300578U (zh) 折叠椅
CN219857191U (zh) 一种扩容拖车
CN216723618U (zh) 伸缩折叠桌
CN218616753U (zh) 一种折叠推车
CN210330065U (zh) 一种方便收纳的折叠蚊帐
CN216316228U (zh) 一种折叠桌可伸缩桌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