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5372A - 접이식 트램폴린 - Google Patents

접이식 트램폴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5372A
KR20200095372A KR1020200006193A KR20200006193A KR20200095372A KR 20200095372 A KR20200095372 A KR 20200095372A KR 1020200006193 A KR1020200006193 A KR 1020200006193A KR 20200006193 A KR20200006193 A KR 20200006193A KR 20200095372 A KR20200095372 A KR 202000953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trampoline
hinge
hinge part
f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6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범
Original Assignee
김재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범 filed Critical 김재범
Publication of KR20200095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53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00Apparatus for jumping
    • A63B5/11Trampoli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이식 트램폴린에 관한 것으로, 트램펄린을 다방향으로 접을 수 있도록, 접이식으로 접거나 펼쳐지는 트램폴린 프레임에 복수개의 탄성부재가 외주면에 설치된 매트를 포함하는 접이식 트램폴린에 있어서, 상기 트램폴린 프레임은, 길이를 갖는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의 양측에 설치된 제1힌지부와, 상기 제1힌지부에 각각 힌지결합되고 일부가 절곡된 제2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의 끝단에 설치된 제2힌지부와, 상기 제2힌지부의 타측에는 제2프레임이 회동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2프레임의 타측에 제1힌지부가 설치되며 상기 제1힌지부에 제1프레임이 설치되어 선택적 접철이 가능하여, 가방에 담을 수 있을 정도로 부피가 작아져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고 사용하지 않을 시 트랜펄린의 설치 장소를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접이식 트램폴린{Folding Trampoline}
본 발명은 접이식 트램폴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방향으로 접을 수 있도록 한 접이식 트램폴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램폴린(Trampoline)'으로 잘 알려진 점핑용 놀이기구는, 바닥으로부터 임의 거리 떨어진 높이의 각형 또는 원형의 프레임에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를 이용하여 탄력을 갖는 얇은 탄성시트를 걸어 구성한 것으로, 사용자가 탄성시트에 올라서 적정 높이로 점핑 동작을 행할 경우 스프링이 발생시키는 반발력으로 점프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트램폴린은 성장기 유아에게 재미를 부여함과 동시에 신체의 유연성 내지 균형 감각을 길러줄 수 있는 특성이 있으며, 스트레칭 효과도 뛰어나고 에어로빅 효과가 있기 때문에 놀이터나 체육시설 등지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구조상 큰 소음을 유발하지 않기 때문에 실내에서도 무리 없이 사용이 가능하며, 때문에 최근에는 실내에서 사용 가능한 컴팩트한 크기로 제공되는 추세에 있다.
위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종래기술은 대한민국 실용신안 제20-1997-0002956호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지관과 즈크를 여러개의 스프링으로 연결하고, 지각을 지지관에 분리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여서 된 공지의 것에 있어서, 지지관을 네 개의 분할지지관으로 분할하여 분할지지관의 일단에는 고정핀이 끼워지는 구멍을 형성한 돌편을 용접하여 요입홈멍이 형성되고 구멍이 뚫린 연결쇠와 핀으로 유착하고, 분할지지관의 타단에는 한쌍의 돌편을 용접하고, 분할지지관에 연결쇠를 용접하여 돌편과 연결쇠를 서로 접촉시켜 돌기를 돌출한 회전관을 회전자유롭게 끼운 핀으로 유착하여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기술구성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접철은 가능하나 한쪽 방향으로 접철되기 때문에 폭을 줄여줄 수 없기 때문에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접철시 다리를 펼치거나 접을 때 안전성이 보장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제20-1997-0002956호.(1996년01월17일)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트램펄린을 다방향으로 접을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트램펄린을 폈을 때 다리의 지지력이 확보되도록 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접이식으로 접거나 펼쳐지는 트램폴린 프레임에 복수개의 탄성부재가 외주면에 설치된 매트를 포함하는 접이식 트램폴린에 있어서, 상기 트램폴린 프레임은, 길이를 갖는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의 양측에 설치된 제1힌지부와, 상기 제1힌지부에 각각 힌지결합되고 일부가 절곡된 제2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의 끝단에 설치된 제2힌지부와, 상기 제2힌지부의 타측에는 제2프레임이 회동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2프레임의 타측에 제1힌지부가 설치되며 상기 제1힌지부에 제1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제1힌지부와 제2힌지부의 하부에 힌지결합되는 다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힌지부는, 상기 제1프레임이 삽입되어 일체로 결합되는 제1삽입공간이 일측으로 개구된 제1힌지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제2프레임의 끝단에 설치된 한 쌍의 연결편이 제1삽입공간에 힌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힌지부재의 하부면에는 일측으로 개구된 제1조절공이 형성된 제1결합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힌지부는, 상기 제2프레임이 한 쌍으로 나누어져 한쪽의 제2프레임이 삽입되어 일체로 결합되는 제2삽입공간이 일측으로 개구된 제2힌지부재가 마련되고 다른쪽의 제2프레임에는 저면과 측면으로 이어지는 제2조절공이 관통된 제2결합부재가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제2힌지부재에 제2결합부재가 힌지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다리부는, 상기 제1힌지부와 제2힌지부의 하부에 힌지결합되는 회전부재 하부에 조절부재가 연장되고 상기 조절부재가 끼움결합되는 조절공이 형성된 조절판의 하부로 지지바가 설치되고 지지바의 하부에 받침부재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프레임의 일측에 제3힌지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3힌지부에 회동되게 설치된 보조바와 상기 보조부의 상부에 손잡이가 삽입되는 보조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접이식 트램폴린은 트램펄린을 다방향으로 접을 수 있도록, 접이식으로 접거나 펼쳐지는 트램폴린 프레임에 복수개의 탄성부재가 외주면에 설치된 매트를 포함하는 접이식 트램폴린에 있어서, 상기 트램폴린 프레임은, 길이를 갖는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의 양측에 설치된 제1힌지부와, 상기 제1힌지부에 각각 힌지결합되고 일부가 절곡된 제2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의 끝단에 설치된 제2힌지부와, 상기 제2힌지부의 타측에는 제2프레임이 회동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2프레임의 타측에 제1힌지부가 설치되며 상기 제1힌지부에 제1프레임이 설치되어 선택적 접철이 가능하여, 가방에 담을 수 있을 정도로 부피가 작아져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고 사용하지 않을 시 트랜펄린의 설치 장소를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접이식 트램펄린은 트램펄린을 폈을 때 다리의 지지력이 확보되도록, 제1힌지부와 제2힌지부의 하부에 힌지결합되는 회전부재 하부에 조절부재가 연장되고 상기 조절부재가 끼움결합되는 조절공이 형성된 조절판의 하부로 지지바가 설치되고 지지바의 하부에 받침부재가 결합된 다리부를 포함하여, 접철이 가능하고 펼쳤을 때 안전성이 향상되도록 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접이식 트램폴린을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접이식 트램폴린 프레임을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인 접이식 트램폴린 프레임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인 접이식 트램폴린 프레임의 다리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저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인 접이식 트램폴린 프레임을 나타낸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인 접이식 트램폴린 프레임을 나타낸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인 접이식 트램폴린 프레임을 접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인 접이식 트램폴린 프레임을 접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인 접이식 트램폴린 프레임을 완전히 접은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인 접이식 트램폴린 프레임을 완전히 접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인 접이식 트램폴린 프레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접이식 트램폴린을 나타낸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접이식 트램폴린 프레임을 나타낸 결합사시도이며,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인 접이식 트램폴린 프레임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인 접이식 트램폴린 프레임의 다리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저면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인 접이식 트램폴린 프레임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인 접이식 트램폴린 프레임을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인 접이식 트램폴린 프레임을 접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인 접이식 트램폴린 프레임을 접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인 접이식 트램폴린 프레임을 완전히 접은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인 접이식 트램폴린 프레임을 완전히 접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인 접이식 트램폴린 프레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먼저, 도 1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트램폴린 10의 구성상태를 살펴보면, 접이식 접거나 펼쳐지는 트램폴린 프레임 100에 복수개의 탄성부재 21가 외주면에 설치된 매트 20를 포함하는 접이식 트램폴린 10에 있어서, 상기 트램폴린 프레임 100은, 제1프레임 110, 제1힌지부 130, 제2프레임 120, 제2힌지부 140, 다리부 150로 구성된다.
먼저, 탄성부재 21는 스프링도 가능하나 탄성섬유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탄성부재 21는 단수의 끈이 트램폴린 프레임 100을 감싼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 21가 외주면에 연속적으로 묶음처리된 매트 20도 탄성재질의 섬유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트램폴린 프레임 100은 복수개의 프레임으로 나누어져 접이식으로 접철되거나 펼쳐진다. 이러한, 트램폴린 프레임 100의 제1프레임 110은 길이를 갖는 봉형태이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프레임 110의 양측에 제1힌지부 130가 설치된다. 이러한, 제1힌지부 130는 상기 제1프레임 110이 삽입되어 일체로 결합되는 제1삽입공간 133이 일측으로 개구된 제1힌지부재 131가 마련된다. 나아가, 상기 제2프레임 120의 끝단에 설치된 한 쌍의 연결편 121이 제1삽입공간 133에 힌지 결합된다.
이때, 제1힌지부 130와 연결편 121을 회전축 139이 관통하고 회전축 139의 타측에 너트로 결합한다. 즉, 회전축 139을 중심으로 제2프레임 120이 회전한다.
특히, 제2프레임 120는 일부가 절곡되어 있다. 이때, 절곡각도 θ는 45°로 트램폴린 프레임 100을 폈을 때 전체적으로 8각형을 이루게 된다.
또한, 상기 제1힌지부재 131의 하부면에는 일측으로 개구된 제1조절공 135a이 형성된 제1결합부재 135가 설치된다.
이때, 제1결합부재 135의 정면을 제1중심축 137a가 관통하고 제1중심축 137a의 반드측에 제1체결나사 137가 체결된다.
한편,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프레임 120을 절곡하지 않았을 경우 4각형을 이루게 할 수도 있다.
나아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힌지부 140는 상기 제2프레임 120의 끝단에 설치된다.
이때, 제2프레임 120은 제2프레임 120'과 제2프레임 120" 한 쌍으로 나누어진다. 이때, 한쪽의 제2프레임 120'이 삽입되어 일체로 결합되는 제2삽입공간 143이 일측으로 개구된 제2힌지부재 141가 마련된다.
아울러, 다른쪽의 제2프레임 120"에는 저면과 측면으로 이어지는 제2조절공 153a이 관통된 제2결합부재 145가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제2힌지부재 141에 제2결합부재 145가 힌지결합된다.
그리고 제2힌지부재 141와 제2결합부재 145를 제2중심축 147a이 관통되고 제2결합부재 145의 반대측에 제2체결나사 147가 체결되어 제2중심축 147a을 중심으로 제2프레임 120이 접철된다.
덧붙여, 제2프레임 120이 펼쳐졌을 때 제2힌지부재 141와 제2결합부재 145가 일치되게 안전공 149이 관통되고 상기 안전공 149에 안전핀 149a이 끼움결합되어 제2프레임 120이 접히는 것을 방지한다.
즉, 제2힌지부 140의 타측에는 제2프레임 120이 회동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2프레임 120의 타측에 제1힌지부 130가 설치되며 상기 제1힌지부 130 사이에 제1프레임 110이 설치된다.
결국,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접이식 트램폴린 10은 트램펄린을 다방향으로 접을 수 있도록, 접이식으로 접거나 펼쳐지는 트램폴린 프레임 100에 복수개의 탄성부재 21가 외주면에 설치된 매트 20를 포함하는 접이식 트램폴린 10에 있어서, 상기 트램폴린 프레임 100은, 길이를 갖는 제1프레임 110과, 상기 제1프레임 110의 양측에 설치된 제1힌지부 130와, 상기 제1힌지부 130에 각각 힌지결합되고 일부가 절곡된 제2프레임 120과, 상기 제2프레임 120의 끝단에 설치된 제2힌지부 140와, 상기 제2힌지부 140의 타측에는 제2프레임 120이 회동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2프레임 120의 타측에 제1힌지부 130가 설치되며 상기 제1힌지부 130에 제1프레임 110이 설치되어 선택적 접철이 가능하여, 가방에 담을 수 있을 정도로 부피가 작아져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고 사용하지 않을 시 트랜펄린의 설치 장소를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다리부 150는 제1힌지부 130와 제2힌지부 140의 하부에 힌지결합된다. 이러한, 다리부 150를 회전시키면 조절나사로 부터 다리부 150가 리드이동하여 연장되고 연장된 상태에서 회동시켜 접을 수 있다.
즉, 다리부 150를 나사체결로 선택적 회전이 가능하여 설치 및 수납이 용이하다.
이처럼, 다리부 150의 선택적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힌지부 130와 제2힌지부 140의 하부에 힌지결합되는 회전부재 155 하부에 조절부재 157가 연장된다. 이때, 조절부재 157의 외주연은 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더불어, 조절부재 157가 끼움결합되는 조절공 153a이 형성된 조절판 153의 하부로 지지바 151가 설치되고 지지바 151의 하부에 받침부재 151a가 결합된다. 이러한, 받침부재 151a는 충격흡수를 위해 탄성력이 있는 재질이 바람직하다.
즉, 회전부재 155에 관통된 회전공 155a이 제1중심축 137a에 끼움 결합되거나 제2중심축 147a에 끼움 결합되어 다리부 150가 회동한다.
결국, 본 발명의 접이식 트램펄린 10은 트램펄린을 폈을 때 다리의 지지력이 확보되도록, 제1힌지부 130와 제2힌지부 140의 하부에 힌지결합되는 회전부재 155 하부에 조절부재 157가 연장되고 상기 조절부재 157가 끼움결합되는 조절공 153a이 형성된 조절판 153의 하부로 지지바 151가 설치되고 지지바 151의 하부에 받침부재 151a가 결합된 다리부 150를 포함하여, 접철이 가능하고 펼쳤을 때 안전성이 향상된다.
한편,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프레임 110의 일측에 보조부 170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보조부 170는 제1프레임 110의 외측면 전면에 설치된 제3힌지부와 제3힌지부 160에 회동되게 설치된 보조바 171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제3힌지부 160는 제1프레임 110에 일체로 고정편 167이 설치되고 고정편 167의 측면에는 안착공간 163이 측면 및 상하로 개구되고 안착공간 163의 반대측면에 고정너트 165가 설치된다.
더불어, 보조바 171와 제3힌지부재 161를 제3중심축 169을 관통하고 제3중심축 169의 반대측에 너트로 고정한다. 이러한, 제3중심축 169을 중심으로 보조바 171가 회동한다.
나아가, 보조바 171의 측면 하부에는 고정너트 165와 연통하는 삽입공 177이 관통되어 있다. 이처럼, 보조바 171를 회동시켜 제1프레임 110의 수직방향으로 세울 경우 체결수단 179을 삽입공 177을 관통하여 고정너트 165에 체결한다.
또한, 보조바 171는 끼움공 173이 상하부가 관통되게 형성한다. 이러한, 끼움공 173에는 손잡이 200가 삽입된다. 이러한, 손잡이 200는 T자형이 바람직하나 이에 국한된 것은 아니다. 이때, 보조바 171의 정면 상부에는 체결수단 179이 끼움 결합되는 위치공 175이 형성되어 손잡이 200의 높이를 조절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트램폴린 10에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6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리부 15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b)와 같이 조절부재 157를 타고 지지바 151가 리드이동하여 연장된다. 이렇게, 도 6 (c)와 같이 연장된 지지바 151를 제1프레임 110과 평행되도록 회전시킨다. 나아가, 도 6 (d)와 같이 지지바 151를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지지바 151가 리드이동하면서 길이가 줄어들어 접철된다.
또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바 171를 접철하고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리부 150를 제1프레임 110과 제2프레임 120과 평행하게 접는다.
도 9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힌지부 140를 기준으로 제1힌지부 130가 맞닿도록 제2프레임 120을 접는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힌지부 130를 기준으로 양측의 제2프레임 120을 안쪽으로 접는다. 즉,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피가 작아진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트램폴린 20 : 매트
21 : 탄성부재 30 : 커버
100 : 트램폴린 프레임
110 : 제1프레임 120 : 제2프레임
121 : 연결편 130 : 제1힌지부
131 : 제1힌지부재 133 : 제1삽입공간
135 : 제1결합부재 135a : 제1조절공
140 : 제2힌지부 141 : 제2힌지부재
143 : 제2삽입공간 145 : 제2결합부재
145a : 제2조절공
150 : 다리부 151 : 지지바
151a : 받침부재 153 : 조절판
153a : 조절공 155 : 회전부재
157 : 조절부재 170 : 보조부
160 : 제3힌지부 171 : 보조바
200 : 손잡이

Claims (6)

  1. 접이식으로 접거나 펼쳐지는 트램폴린 프레임에 복수개의 탄성부재가 외주면에 설치된 매트를 포함하는 접이식 트램폴린에 있어서,
    상기 트램폴린 프레임은,
    길이를 갖는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의 양측에 설치된 제1힌지부와,
    상기 제1힌지부에 각각 힌지결합되고 일부가 절곡된 제2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의 끝단에 설치된 제2힌지부와,
    상기 제2힌지부의 타측에는 제2프레임이 회동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2프레임의 타측에 제1힌지부가 설치되며 상기 제1힌지부에 제1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제1힌지부와 제2힌지부의 하부에 힌지결합되는 다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트램폴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힌지부는,
    상기 제1프레임이 삽입되어 일체로 결합되는 제1삽입공간이 일측으로 개구된 제1힌지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제2프레임의 끝단에 설치된 한 쌍의 연결편이 제1삽입공간에 힌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트램폴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힌지부재의 하부면에는 일측으로 개구된 제1조절공이 형성된 제1결합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트램폴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힌지부는,
    상기 제2프레임이 한 쌍으로 나누어져 한쪽의 제2프레임이 삽입되어 일체로 결합되는 제2삽입공간이 일측으로 개구된 제2힌지부재가 마련되고 다른쪽의 제2프레임에는 저면과 측면으로 이어지는 제2조절공이 관통된 제2결합부재가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제2힌지부재에 제2결합부재가 힌지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트램폴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는,
    상기 제1힌지부와 제2힌지부의 하부에 힌지결합되는 회전부재 하부에 조절부재가 연장되고 상기 조절부재가 끼움결합되는 조절공이 형성된 조절판의 하부로 지지바가 설치되고 지지바의 하부에 받침부재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트램폴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의 일측에 제3힌지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3힌지부에 회동되게 설치된 보조바와 상기 보조부의 상부에 손잡이가 삽입되는 보조부를 포함하는 접이식 트램폴린.
KR1020200006193A 2019-01-31 2020-01-16 접이식 트램폴린 KR2020009537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12948 2019-01-31
KR1020190012948 2019-01-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5372A true KR20200095372A (ko) 2020-08-10

Family

ID=72049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6193A KR20200095372A (ko) 2019-01-31 2020-01-16 접이식 트램폴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9537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4097A (ko) 2021-06-30 2023-01-06 (주)동아금속 트램폴린 운동기구
KR20240001884A (ko) 2022-06-28 2024-01-04 (주)동아금속 트램폴린 운동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4097A (ko) 2021-06-30 2023-01-06 (주)동아금속 트램폴린 운동기구
KR20240001884A (ko) 2022-06-28 2024-01-04 (주)동아금속 트램폴린 운동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04079B2 (en) Playpen and exercise structure
US4824100A (en) Opposed rebounding exercise device
JP4871275B2 (ja) 子供用プレイヤード用の折畳み式のフレーム構造
US6220265B1 (en) Adjustable collapsible panels
KR20200095372A (ko) 접이식 트램폴린
US8715095B2 (en) Outdoor playground with shading apparatus
US4237914A (en) Bed tent
US20030140417A1 (en) Overhead supported hammock bed
AU2019236724A1 (en) Modular Play Set
US20050194028A1 (en) Collapsible fabric structures
CN104042069B (zh) 儿童走步与弹跳装置
CA2895883C (en) Popped-up playmat assembly
US20050043142A1 (en) Children's trampoline with supporting character
JPH01124412A (ja) 携帯式の折畳み可能な幼児用寝台
KR20120087982A (ko) 구기 종목 경기를 위한 접을 수 있는 골문 장치
CA2918029A1 (en) Popped-up playmat assembly
CA2512849A1 (en) Frame structure
JP2011519287A (ja) 装飾的ゴルフバッグカバー
US5050862A (en) Foldable child's walker
KR20090005980U (ko)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는 트램펄린
KR101345163B1 (ko) 절첩식 다목적 공중걷기 운동기구
KR101731305B1 (ko) 운동경기용 접이식 네트
KR20070033620A (ko) 전신운동용 물구나무서기 운동장치
KR200441378Y1 (ko) 족구 공격 연습구
US4046375A (en) Rotatable sw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