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7982A - 구기 종목 경기를 위한 접을 수 있는 골문 장치 - Google Patents

구기 종목 경기를 위한 접을 수 있는 골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7982A
KR20120087982A KR1020127014193A KR20127014193A KR20120087982A KR 20120087982 A KR20120087982 A KR 20120087982A KR 1020127014193 A KR1020127014193 A KR 1020127014193A KR 20127014193 A KR20127014193 A KR 20127014193A KR 20120087982 A KR20120087982 A KR 201200879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elements
cross bar
goal
vertical p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4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9608B1 (ko
Inventor
앤더스 앨프 웬스랜드
Original Assignee
파크라이프 이노베이션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크라이프 이노베이션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파크라이프 이노베이션스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20087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79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9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96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3/00Targets or goals for ball games
    • A63B63/004Goals of the type used for football, handball, hockey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 A63B2210/50Size reducing arrangements for stowing or transpor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 A63B2210/50Size reducing arrangements for stowing or transport
    • A63B2210/58Size reducing arrangements for stowing or transport slideably retracted in a housing when not in us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3/00Specific ball sports not provided for in A63B2102/00 - A63B2102/38
    • A63B2243/0025Footbal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 Toy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 Ultra Sonic Daignosis Equipment (AREA)
  • Transition And Organic Metals Composition Catalysts For Addition Polymerization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팀 경기를 위한 골문, 특히 축구 골문, 더욱 특별하게는 축구 및 풋볼 훈련을 위한 미니 골문을 위한 구조체를 개시하며, 본 구조체는 2개의 코너 조인트(4, 5)를 통하여 완전하게 또는 부분적으로 중공인 크로스 바 요소(3)에 연결된 2개의 수직 폴 요소(1, 2)를 포함하되, 코너 조인트(4, 5)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공인 수평 크로스 바(3) 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코너 조인트(4, 5)는 수직 폴 요소(1, 2)의 폴 요소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공인 수평 크로스 바 요소(3)의 파이프 축과 주로 일치하는 위치까지 수직 폴 축(1, 2)을 안내하기 위하여 힌지되어 있고, 수직 폴 요소(1, 2)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공인 수평 크로스 바 요소(3) 내부를 실질적으로 완전하게 통과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체는 용이하게 이송될 수 있는 골문 형태로 수축될 수 있다.

Description

구기 종목 경기를 위한 접을 수 있는 골문 장치{Collapsible goal device for ball games}
본 발명은 단체 경기(team game)를 위한 골문, 특히 축구 골문, 더욱 특히 축구 및 축구 연습을 위한 미니 골문을 위한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스케이트화를 신고 수행하는, 용어 스포츠 또는 게임(아이스 하키, 밴디(bandy)) 그리고 특히 축구, 핸드볼 등과 같이 지면에서 수행되는 구기 경기는 게임을 이기기 위하여 공이 안에 위치되어야 하는 골문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많은 경우에서, 골문과 관련있는 영역이 육상 경기 등과 같은 다른 활동을 위하여 사용되기 때문에 영구적으로 세워진 골문 구조체는 존재하지 않으며, 따라서 영구적인 골문은 이러한 활동을 방해할 것이며, 또는 활동(아이스하키, 실외 축구 경기, 미니 축구 경기 등)이 계절적인 것이며, 따라서 골문 구조체는 분리 가능해야 한다. 골문 부품을 보관할 때, 하나의 관심사는 이러한 부품들이 보관 영역 내에서 지나치게 넓은 공간을 점유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마지막 경기 후 또는 마지막 시즌 후에 분리될 수 있는, 접을 수 있고 운송할 수 있으며 그리고 비영구적인 골문 구조체를 위한 요구가 존재한다.
특허문헌 1로부터, 개별적으로 장착된 2개의 수직 부품(폴(poles))과 수평 부품(크로스 바)로 이루어진 접을 수 있는 골문 구조체가 이전에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 기술의 일반적인 특징이 모든 골문이 가질 필요가 있는 2개의 수직 크로스 바를 골문이 포함하고 있다는 것(일부 골문은 명백하게 크로스 바가 없으나, 이는 높은 공에 대하여 의문이 있다면, 골이 점수화되었는지를 계산하는 것을 어렵게 한다)이기 때문에 이러한 골문 구조체는 현재의 구조체와는 비교적 다르다.
특허문헌 2로부터 광고를 홍보하기 위하여 골문 장치가 플랩(flap)을 구비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2는 그 자체가 폴 구조체에 대한 어떠한 것도 언급하지 않고 있다.
특허문헌 1 : GB 특허출원 제2 336 322A 특허문헌 2 : 국제특허공개 WO2004/071737 A1
본 발명에 따른 골문 구조체는 2개의 코너 부재를 통하여 중공의 수평 폴 요소에 연결된 2개의 수직 폴 요소를 포함하되, 코너 부재는 중공의 수평 폴 요소 안을 통과할 수 있고 수직 폴 요소의 폴 축이 실질적으로 중공의 수평 폴 요소의 폴 축에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위치까지 수직 폴 요소를 통과시키기 위하여 힌지되며,수직 폴 요소는 중공의 수평 폴 요소 안으로 실질적으로 완전하게 통과할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골문 구조체는 이동 가능한 조인트를 통하여 수직 폴 요소에 연결된 2개의 부가적인 폴 요소를 포함하되, 이동 가능한 조인트는 임의적으로 다른 폴 요소를 지지하여 수직 폴 요소의 폴 축에 대하여 주로 일치하는 각도(0°)에서 180°의 각도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45°내지 135°, 예를 들어 약 90°각도로 다른 폴 요소의 폴 축을 눕힌다. 다른 특정 실시예에서, 부가적인 폴 요소는 제 1 수평 폴 요소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수평적으로 위치될 수 있으며, 여기서 위의 각도는 바람직하게는 90°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다른 골문 구조체는 중공의 제 6 폴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제 6 폴 요소는 조정 가능한 연결 조인트를 통하여 부가적인 수평 폴 요소에 연결되며, 부가적인 수평 폴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 6 폴 요소는 힌지 조인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힌지 조인트는 제 6 폴 요소의 길이가 제 1 수평 폴 요소의 길이보다 길게 되는 원인이 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 6 폴 요소의 개별 부품은 임의적으로 힌지 조인트(들)와 함께 서로의 안으로 신축적으로 통과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혀진 위치에서의 골문 구조체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골문 구조체의 실시예의 조립 순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세워진 위치에 있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골문 구조체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골문 구조체의 대안적인 설계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골문 장치의 바와 폴 요소 사이의 힌지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가장 간단한 실시예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접을 수 있는 골문 구조체는 2개의 폴(pole) 요소(1, 2)와 수직 폴 요소(1, 2)가 통과될 수 있는 중공의 크로스 바 요소(3)를 갖는다. 수직 폴 요소(1, 2)는 중공의 크로스 바 요소(3)를 통과할 수 있는 힌지 조인트 요소(4, 5)를 통하여 크로스 바 요소(3)에 연결된다. 힌지 요소(4, 5)는 수직 폴 요소의 축이 크로스 바 요소(3)의 축과 일치하는 위치에서 수직 폴 요소의 축이 크로스 바 요소(3)의 축에 수직으로 나아가는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수직 폴 요소(1, 2)를 지나게 할 수 있는 방식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골문 구조체의 모든 폴 및 파이프 요소는 그들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크로스 바 요소(3) 내로의 폴 요소(1, 2) 및 힌지된 조인트(4, 5)의 진입)이 보장되는 한 콤팩트한,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중공 구조(hollow)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골문 구조체의 파이프 요소는 완전하게 또는 부분적으로 중공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특히 파이프 요소가 중공 구조인 경우에 얻어지는 중량 감소 때문이다. 그러나, 구조체 내의 모든 파이프/파이프 요소 또는 파이프/파이프 요소의 일부가 플라스틱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경량의 재료로 이루어진다면, 중량 감소 또한 얻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구조체의 모든 부분 또는 일부 부분을 크게 함으로써 구조의 충분한 강도가 얻어질 수 있다. 구조체의 각 부분의 대규모/중공 구조의 선택과 대조적으로 구조체의 이러한 선택은 본 기술 분야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모든 폴 또는 파이프 요소 또는 폴 또는 파이프 요소의 일부는 신축형(telescoping)일 수 있다. 이는 임의적으로 본 발명의 골문 구조체를 가능한 한 콤팩트하게 하거나 그리고/또는 수직 골문 구조체의 규격을 변화시킬 수 있으며 그리고/또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 구조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만일, 본 발명에 따른 골문 구조체의 파이프/폴 요소가 신축형이면, 파이프/폴 요소는 의도된 위치에서 자신들을 록킹시킬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가능한 위치는 완전하게 압축(compact)될 수 있거나, 부분적으로 압축될 있고 또는 완전하게 연장될 수 있다. 하나의 가능한 대안적인 록킹 장치는 내부 및 외부 파이프 요소가 서로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회전할 때 확장되는 내부 확장 요소일 수 있다. 이러한 확장 록킹 장치는 또한 어떠한 확장된 또는 압축된 위치에서 관련있는 파이프/폴 요소의 길이를 록킹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다른 대안적인 록킹 장치는 신축형 조립체 (telescoping assembly) 내의 외부 또는 내부 파이프 요소가 구멍을 구비하는 것일 수 있으며, 대응하는 페그(peg)를 갖는 인접한 내부 또는 외부 파이프 요소가 각 슬라이딩 요소에 대하여 가압되어 페그가 통과할 때 페그는 지나가는 록킹 구멍 내로 솟으며, 그로 인하여 관련된 파이프/폴 요소를 서로 록킹한다. 이러한 록킹 장치는 록킹 기능을 순차적으로 진행시킨다. 제 3의 대안적인 록킹 기능은 간단하게 관련있는 신축형 파이프/폴 요소가 상호 간에 구멍을 구비하게 하는 것일 수 있으며, 따라서 파이프와 폴 요소가 서로 일치될 때 록킹 볼트가 이 구멍들을 통과할 수 있다.
만일 본 발명에 따른 골문 구조체 내의 모든 또는 일부 파이프 요소가 신축형이거나 서로를 통과할 수 있을 때, 한 실시예에서의 이러한 파이프 요소(예를 들어, 크로스 바 요소(3) 그리고 수직 폴 요소(1, 2), 아래 설명 참조)는 대안적으로 탄성 및/또는 나선형 스프링과 같은 내부 당김 요소를 구비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이러한 신축형 요소는 그들의 축이 일치되자마자 서로의 안으로 당겨진다.
본 발명에 따른 그리고 위에서 초기에 설명된 골문 장치의 간단한 실시예에서, 수직 위치에서 크로스 바 요소(3)로부터 떨어져 있는 수직 폴 요소(1, 2)의 종단은 페그(peg) 또는 피트(feet) (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할 수 있어 예를 들어 페그를 그라운드로 누름으로써 똑바로 선 골문 구조체를 안전한 방식으로 위치시킬 수 있다. 대안적으로, 수직 폴이 이러한 압력(strain)을 견딜 수 있다면, 수직 폴은 자신이 그라운드로 눌려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골문 구조체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크로스 바 요소(3)로부터 빗나간 수직 폴 요소의 부분은 힌지된 조인트 장치(6, 7)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힌지된 조인트 요소(6, 7)는 다른 파이프 요소(8, 9)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 다른 파이프 요소는 수직 폴 요소(1, 2)에 직교적으로 그리고 크로스 바 요소(3)에 경사지게 놓여 지도록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힌지된 조인트 요소(6, 7)는 파이프 요소(8, 9)의 축을 수직 폴 요소(1, 2)의 축과 평행하게 또는 수직 폴 요소(1, 2)의 축에 대하여 적어도 경사지게 움직이게 할 수 있는 힌지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 힌지된 조인트 요소(6, 7)가 걸쳐진 각도 간격은 0 내지 90°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90°이다. 힌지된 조인트 요소(6, 7)는 또한 보다 작은 영역(12, 13)을 포함하되, 힌지된 조인트(10, 11)를 위한 피봇 기능과 조인트(6, 7) 사이에서의 작은 영역의 크기는 폴 요소(1, 2)의 파이프 직경과 대응할 것이며, 따라서 파이프 요소(8, 9)의 선회는 폴 요소(1, 2)의 배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힌지된 조인트(6, 7)는 변함없이 90°일 수 있으며, 힌지(10, 11)는 0° 내지 90°사이에서 선회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파이프 요소(8, 9)는 본 발명에 따른 골문 구조체를 위한 기본 영역 전체 또는 부분을 형성할 것이다. 만일, 파이프 요소의 길이가 개별적으로 크로스 바 요소의 길이와 동일하다면, 파이프 요소(8, 9)의 종단(tip)이 만날 때, 수직 조건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골문 구조체의 기본 영역은 이등변 삼각형(equal-sided angle)을 형성할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힌지된 조인트 요소(6, 7)는 폴 요소 내의 그들의 소켓 내에서 축방향으로 선회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골문 구조체가 접혀진 상태로 존재할 때, 파이프 요소(8, 9)는 크로스 바 요소(3)의 각 측부 상을 통과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파이프 요소(8, 9)는 신축형일 수 있으며, 따라서 그들의 결합된 길이는 크로스 바 요소(3)의 길이와 대응하거나 작으며, 이 경우에 파이프 요소(8, 9)가 압축된 상태에 있을 때, 파이프 요소는 크로스 바 요소(3)의 동일한 측부 상에서 통과할 수 있다.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골문 구조체는 부가적인 파이프 요소(14; 평행 요소(parallel element)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부가적인 파이프 요소는 크로스 바 요소(3)에 평행하게 나아가고 힌지된 조인트(15, 16)를 통하여 파이프 요소(8, 9)에 연결된다. 힌지된 조인트(15, 16)는 0°(파이프 요소(8, 9) 사이의 축과 평행 요소(14)가 서로 일치; 도 2 참조) 내지 150°사이, 바람직하게는 0°내지 90°사이의 각도 간격에 걸쳐 작용할 수 있다. 평행 요소(14)의 길이는 임의적(평행 요소(14)는 신축형일 수 있음)이나, 한 실시예에서는 임의 요소의 길이는 크로스 바 요소(3)의 길이에 대응한다.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크로스 바 요소(3)와 평행 요소(14)는 연결될 수 있으며, 따라서 크로스 바 요소(3)와 평행 요소(14)는 포개질 수 있다(도 6 참조). 본 발명에 따른 골문 구조체가 압축될 때, 수직 폴 요소(1, 2)와 파이프 요소(8, 9)가 서로에 대하여 그들의 내부 종단과 함께 가로 놓이기 때문에 크로스 바 요소(3)와 평행 요소(14)를 서로를 향하여 포갬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골문 구조체를 보다 압축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대안이 적절하다면, 크로스 바 요소(3)와 평행 요소(14)는 내부 페그(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할 수 있으며, 따라서, 서로를 향하여 포개질 수 있는 크로스 바 요소와 평행 요소의 반(halves)은 조립된 조건에서 각 페그에 걸쳐 가압된 반에 의하여 연결 영역 내에서 떠받쳐질 수 있으며, 그로 인하여 견고한 연결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골문 구조체는 골문 구조체를 형성하는 파이프 및 파이프 요소의 가능한 실시예로써 위에 나타나 있다. 바람직한 골문 구조체를 만들기 위하여, 완전한 골문 구조체를 이루기 위한 네트 재료(netting material), 천(cloth), 플라스틱 네트 또는 다른 유사 구조(17) (도 5 참조)가 파이프 및 폴 요소 상에 장착되거나 파이프와 폴 요소 사이에 장착될 수 있다. 골문 프레임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파이프 요소 내에 감겨 올려진 골 네트를 갖는 것이 가능할 수 있으며, 또는 골문 프레임이 세워진 후 본 발명에 따른 골문 구조체에 네트 재료를 장착 고정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이러한 네트 재료(17)가 크로스 바 요소(3)와 평행 요소(14)에 영구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또한 네트 재료(17)의 측면이 느슨해지며 따라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골문 프레임의 접힘 과정을 방해하는 네트 요소 없이도 설명한 바와 같이 골문 프레임이 접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골문 장치의 수평 바(9)와 수직 바(2) 사이의 힌지(7)의 대안적인 실시예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힌지(7)는 수직 바(2)와 수평 바(9)를 탄성적으로 서로 연결하는 내부 코일 스프링(18)을 포함한다. 이 스프링은 골문 장치를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접혀질 수 있게 할 것이며, 반면에 예를 들어, 크로스 바(3)가 퍽 또는 볼에 의하여 타격될 때, 스프링은 탄성적으로 뒤로 굽혀지거나/휘어지거나 또는 튀어나온다. 본 발명에 따른 골문 장치의 이런 특징은 골문 장치를 덜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것이며 또는 골문 장치를 실내 플로어 또는 그라운드에 고정하는 것을 불필요하게 할 것이다.
타격시 적절한 위치에서 뽑히는 미니 골문 장치는 종래 기술에서 큰 문제가 되었다. 수평 폴(9)과 수직 폴(2) 사이에 위치한 탄성적으로 유연한 힌지의 특징은 이러한 문제점을 줄이거나 제거한다.
도 7에서 탄성 힌지가 코일 스프링(18)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다른 탄성 재료 또는 장치가 또한 예상될 수 있다. 예로서, 힌지(7) 내에 고무 힌지 또는 다른 형태의 탄성 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위의 설명은 "파이프", "폴", "파이프 요소" 및 "폴 요소"의 개념을 참고하여 제시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이 개념이 이러한 요소의 모든 형태의 횡단면 형상을 포함한다는 것이 제시될 것이다. 따라서 원형 횡단면 형상이 바람직할지라도, 폴 또는 파이프 요소의 횡단면 형상은 예를 들어 사각형, 육각형 또는 원형일 수 있다.
위의 설명에서, "실질적으로" 또는 "주로" 와 같은 용어 또는 대응 표현이 사용되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이러한 개념은 관련된 규격 면에서 어떠한 "재량(leeway)"이 있으며, 이는 결정적인 것을 언급하는 요소의 기능이다. 따라서, 개념 "주로" 또는 "실질적인"은 지시된 규격의 ±10%까지, 바람직하게는 ±5%까지, 더욱 바람직하게는 ±1%까지 차이 간격을 포함한다.

Claims (8)

  1. 팀 경기를 위한 골문, 특히 축구 골문, 더욱 특별하게는 축구 및 풋볼 훈련을 위한 미니 골문을 위한 구조체에 있어서,
    구조체는 2개의 코너 조인트(4, 5)를 통하여 완전한 또는 부분적으로 중공인 크로스 바 요소(3)에 연결된 2개의 수직 폴 요소(1, 2)를 포함하되, 코너 조인트(4, 5)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공인 수평 크로스 바(3) 내에 위치될 수 있으며, 코너 조인트(4, 5)는 수직 폴 요소(1, 2)의 폴 요소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공인 수평 크로스 바 요소(3)의 파이프 축과 주로 일치하는 위치까지 수직 폴 축(1, 2)을 안내하기 위하여 힌지되어 있고, 수직 폴 요소(1, 2)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공인 수평 크로스 바 요소(3) 내부를 실질적으로 완전하게 통과할 수 있는 구조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수직 폴 요소(1, 2)는 외부 종단에 페그 또는 레그를 구비한 구조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골문 구조체는 이동 가능한 조인트(10, 11)를 통하여 수직 폴 요소(1, 2)에 연결된 2개의 추가적인 폴 요소(8, 9)를 더 포함하되, 이동 가능한 조인트(10, 11)는 추가적인 폴 요소(8, 9)를 지날 수 있어 폴 요소의 폴 축을 수직 폴 요소(1. 2)의 폴 축에 대하여 일치하는 각도 (0°) 내지 180°의 각도로, 바람직하게는 약 90°와 같은 45°내지 135°로 누워있게 할 수 있는 구조체.
  4. 제 3 항에 있어서, 부가적인 폴 요소(8, 9)는 제 1 수평 크로스 바 요소(3)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수평으로 위치할 수 있되, 상기 각도는 바람직하게는 90°인 구조체.
  5. 제 4 항에 있어서, 골문 구조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공(hollow)이고 조절 가능한 연결 조인트(15, 16)를 통하여 추가적인 수평 폴 요소(8, 9)에 연결된 제 6 폴 요소(14)를 포함하되, 제 6 폴 요소(14)는 추가적인 수평 폴 요소(8, 9)를 숨길 수 있는 구조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제 6 폴 요소(14)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 조인트를 포함하되, 힌지 조인트는 제 6 폴 요소(14)의 길이를 제 1 수평 크로스 바 요소(3)의 길이보다 크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체.
  7.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직 폴(3)과 수평 폴(9) 사이의 힌지(7)는 탄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체.
  8. 제 7 항에 있어서, 힌지(7)는 코일 스프링(1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체.
KR1020127014193A 2009-11-02 2010-11-02 구기 종목 경기를 위한 접을 수 있는 골문 장치 KR1017996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O20093269 2009-11-02
NO20093269A NO331348B1 (no) 2009-11-02 2009-11-02 Mål for ballspill
PCT/NO2010/000397 WO2011053163A1 (en) 2009-11-02 2010-11-02 Collapsible goal device for ball gam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7982A true KR20120087982A (ko) 2012-08-07
KR101799608B1 KR101799608B1 (ko) 2017-11-20

Family

ID=43617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4193A KR101799608B1 (ko) 2009-11-02 2010-11-02 구기 종목 경기를 위한 접을 수 있는 골문 장치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8216092B2 (ko)
EP (1) EP2496321B1 (ko)
JP (1) JP2013509284A (ko)
KR (1) KR101799608B1 (ko)
CN (1) CN102725037B (ko)
AP (1) AP2012006284A0 (ko)
AU (1) AU2010313859B2 (ko)
BR (1) BR112012010317A2 (ko)
CA (1) CA2779698C (ko)
DK (1) DK2496321T3 (ko)
ES (1) ES2548390T3 (ko)
MX (1) MX2012004916A (ko)
NO (1) NO331348B1 (ko)
PL (1) PL2496321T3 (ko)
RU (1) RU2012122628A (ko)
WO (1) WO2011053163A1 (ko)
ZA (1) ZA20120383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1702B1 (ko) * 2018-09-18 2019-09-16 최보라 축구공 슈팅 연습용 리바운드 넷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O331348B1 (no) * 2009-11-02 2011-12-05 Anders Alf Wennesland Mål for ballspill
US20120100940A1 (en) * 2010-10-21 2012-04-26 Hamid Cyrus Hajarian Foldable, adjustable, fully assembled sport goal
US9283455B2 (en) 2011-06-01 2016-03-15 Triad Sports Inc. Collapsible and portable sports net apparatus
US9795857B2 (en) 2011-06-01 2017-10-24 Triad Sports, Inc. Collapsible net apparatus
US10183206B2 (en) 2011-06-01 2019-01-22 Triad Sports Group, Llc Net structure with a slide hinge apparatus
US9795849B2 (en) 2011-06-01 2017-10-24 Triad Sports, Inc. Ball net structure with alterable base
US10226679B2 (en) 2011-06-01 2019-03-12 Triad Sports Group, Llc Sports skills training apparatus
US9180353B2 (en) * 2012-05-08 2015-11-10 Shaoyun Chen Compact folding sports goal
US9085914B1 (en) * 2013-09-27 2015-07-21 Gerald Wayne Kulm Blind assembly
GB2531813A (en) 2014-11-03 2016-05-04 Mitre Sports Int Ltd Foldable goal post assembly
EP3050600A1 (en) * 2015-01-27 2016-08-03 Baldemar Jose Bottini Flores Portable goal
CN105983219A (zh) * 2015-02-03 2016-10-05 侨雄实业股份有限公司 足球门框
CN109954256A (zh) * 2019-04-02 2019-07-02 南通库栢体育用品有限公司 一种便携式足球门
US11148027B2 (en) * 2019-07-13 2021-10-19 Ao Jie Plastic Toys Factory Ltd. Collapsible sports net with quick release folding center joints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3576A (en) * 1904-07-30 1905-06-27 Charles J Follmer Folding umbrella.
US957734A (en) * 1908-06-02 1910-05-10 George V Bratzel Folding umbrella.
US980227A (en) * 1910-04-06 1911-01-03 Charles H Ely Staff for folding umbrellas.
US1136167A (en) * 1914-03-16 1915-04-20 Newark Rivet Works Umbrella-rod.
US3161973A (en) * 1963-11-27 1964-12-22 Warren S Hastings Sign mounting means for a vehicle bumper
US4068846A (en) * 1976-07-26 1978-01-17 Charles Phelps Forrest Place-kicking football receiving target
US4116446A (en) * 1976-11-03 1978-09-26 R.E.T. Nominees Pty. Ltd. Game net support apparatus
US4702478A (en) * 1986-04-28 1987-10-27 Kruse Charles F Collapsible goal frame
GB8728903D0 (en) * 1987-12-10 1988-01-27 Secr Defence Folding linkage
US5413340A (en) * 1993-08-09 1995-05-09 Potvin; Denis C. Adjustable goal frame
US5476308A (en) * 1995-05-17 1995-12-19 St. Germain; Robert J. Occupant-support fabric for deck or lawn-type tubular chair frame
US5681045A (en) * 1996-07-12 1997-10-28 Liao; Grace Goal joint structure
GB2334896A (en) * 1998-03-07 1999-09-08 Paul Horton Portable goal and net
NO311833B1 (no) 1998-04-15 2002-02-04 Invekst As Sammenleggbart ballspillmål
JP2000202081A (ja) * 1999-01-19 2000-07-25 Sennosuke Nakamura 転倒防止板付きサッカ―ゴ―ルポスト
CN2380265Y (zh) * 1999-05-04 2000-05-31 朱峰 便携折叠式小型足球门
US6371873B1 (en) * 2000-05-02 2002-04-16 Cheng-Liang Wang Goal assembly
CN2551289Y (zh) * 2002-05-17 2003-05-21 瑞泰遮阳制品(台州)有限公司 多功能可折叠式球门
US7377714B2 (en) * 2003-04-03 2008-05-27 Reeves Francis J Mechanical joint for collapsible structures
NO20031752D0 (no) 2003-04-15 2003-04-15 Invekst As Anordning av ballmål
US20070281805A1 (en) * 2006-06-05 2007-12-06 Simon Hsiao Foldable goal
GB0700431D0 (en) * 2007-01-10 2007-02-21 Tonkiss Peter T Portable soccer goalset
WO2009129504A2 (en) * 2008-04-17 2009-10-22 Hkd International (Hk) Limited Multi sport net frame
NO331348B1 (no) * 2009-11-02 2011-12-05 Anders Alf Wennesland Mål for ballspil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1702B1 (ko) * 2018-09-18 2019-09-16 최보라 축구공 슈팅 연습용 리바운드 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725037B (zh) 2014-09-03
PL2496321T3 (pl) 2016-04-29
JP2013509284A (ja) 2013-03-14
CA2779698A1 (en) 2011-05-05
ES2548390T3 (es) 2015-10-16
BR112012010317A2 (pt) 2016-03-29
US8216092B2 (en) 2012-07-10
CN102725037A (zh) 2012-10-10
AU2010313859A1 (en) 2012-06-07
WO2011053163A8 (en) 2011-09-09
AP2012006284A0 (en) 2012-06-30
ZA201203830B (en) 2012-12-27
US20110105253A1 (en) 2011-05-05
NO20093269A1 (no) 2011-05-03
NO331348B1 (no) 2011-12-05
KR101799608B1 (ko) 2017-11-20
AU2010313859B2 (en) 2016-09-22
WO2011053163A1 (en) 2011-05-05
DK2496321T3 (en) 2015-10-12
MX2012004916A (es) 2012-08-17
EP2496321B1 (en) 2015-07-01
CA2779698C (en) 2016-08-23
RU2012122628A (ru) 2013-12-10
EP2496321A1 (en) 2012-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87982A (ko) 구기 종목 경기를 위한 접을 수 있는 골문 장치
US10226679B2 (en) Sports skills training apparatus
US5562288A (en) Portable elastic sports goal
US8651979B2 (en) Sports training device
US20160023095A1 (en) Combination game
US20070281805A1 (en) Foldable goal
US6287220B1 (en) Soccer practice return net
US20090062026A1 (en) Ball returning tent net
US20090258735A1 (en) Collapsible Sports Goal
EP3397362B1 (en) Foldable fielding net
US20100069178A1 (en) Sports goal nets
US20160303446A1 (en) A games apparatus
US20060273521A1 (en) Collapsible sports goal
KR101900191B1 (ko) 축구 전술 더미 받침장치
US20040214665A1 (en) Portable multi-functional ball game apparatus
US20120252605A1 (en) Water Basketball and Volleyball Game Apparatus
WO2010026378A1 (en) A kit of parts for assembly into sports equipment and methods of making sports equipment therefrom
US20080093804A1 (en) Portable Self-Erecting Sports Goal
US20210379455A1 (en) Collapsible Portable Sport Go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