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6851B1 - 접이식 대면적 차광 장치 - Google Patents

접이식 대면적 차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6851B1
KR101856851B1 KR1020160091923A KR20160091923A KR101856851B1 KR 101856851 B1 KR101856851 B1 KR 101856851B1 KR 1020160091923 A KR1020160091923 A KR 1020160091923A KR 20160091923 A KR20160091923 A KR 20160091923A KR 101856851 B1 KR101856851 B1 KR 1018568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wer
unit
wire
fixed
pu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1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9946A (ko
Inventor
이건영
Original Assignee
이건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건영 filed Critical 이건영
Priority to KR1020160091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6851B1/ko
Publication of KR20180009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99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6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68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54Covers of tents or canop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유닛의 제1, 2 타워 사이에서 제3 유닛에 의하여 구동력을 전달받아 제4 유닛에 의하여 안내되어 펼쳐지거나 접히는 제2 유닛에 의하여 차양이 형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여, 매우 넓은 면적에 걸쳐 많은 사람들이 모인 야외의 특정 장소에서 직사 일광을 차단할 수 있는 그늘을 만들어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접이식 대면적 차광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접이식 대면적 차광 장치{FOLDABLE AWNING APPARATUS FOR WIDE AREA}
본 발명은 접이식 대면적 차광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매우 넓은 면적에 걸쳐 많은 사람들이 모인 야외의 특정 장소에서 직사 일광을 차단할 수 있는 그늘을 만들어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접이식 대면적 차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양막은 창문이나 문의 입구 또는 가설지주에 설치하여 햇볕을 차단하기 위한 시설이다. 이러한 차양막은 필요시에 펼쳐서 햇볕을 차단하지만 햇볕이 필요한 경우에는 차양막을 접거나 감아서 회수하여 둔다.
이를 위해 차양막의 둘레부에 회동 또는 슬라이드가능한 프레임을 설치하여, 이러한 프레임을 회동 또는 슬라이드식으로 이동시켜서 차양막을 제거 또는 접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의 접이식 차양막은 비교적 면적이 작은 공간을 커버하는 차양막에서는 가능하지만, 넓은 주차장이나 운동장 또는 마당과 같이 비교적 넓은 면적에 설치된 차양막의 경우에는 이러한 차양막을 펼치거나 접기 위한 가동프레임 구조도 크기가 크고 길므로, 이러한 가동프레임을 구동하기 위한 장치의 구성도 크게 되어, 코스트가 많이 들고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안출된 것으로, 등록특허 제10-1320445호의 "개폐식 차양막"(이하 '선행기술')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선행기술은 단일 구동모터에 의하여 구동풀리와 종동풀리와 견인와이어와 연결되는 차양막이 펼치거나 접히는 구조이다.
선행기술은 단일 구동모터에 의하여 가동되므로 불필요한 동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는 바람직하지만, 이러한 단일 구동모터에 의한 구동력 전달 구조는 결과적으로 구동풀리와 종동풀리와 지지 프레임과 안내 레일과 횡단부재 등을 필요로 하는 매우 복잡한 설계가 불가피하다.
따라서, 선행기술은 전술한 바와 같은 복잡한 구동력 전달 계통 중 어느 한 개소에서 고장이 발생하면 장치 전체가 정지되는 문제점에 직면하게 되지만, 가장 치명적인 것은 이와 같은 복잡한 구동력 전달 계통 중 고장 발생 개소를 즉각적으로 찾아내기가 여간 어려운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특히, 선행기술은 이슬람권 국가와 같이 특정 장소에서 특정 행사를 하기 위하여 야외에서 매우 많은 인파가 운집하는 장소의 경우 직사일광이 매우 강한 기후적 특성상, 매우 큰 면적, 예를 들면 가로 및 세로의 폭이 수십 미터에 이르는 큰 면적에 걸친 차양의 형성이 필요하지만, 이러한 대면적 차양을 형성하기에는 구동력이 너무 미약한 문제점도 있다.
등록특허 제10-132044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매우 넓은 면적에 걸쳐 많은 사람들이 모인 야외의 특정 장소에서 직사 일광을 차단할 수 있는 그늘을 만들어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접이식 대면적 차광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 타워와, 상기 제1 타워와 일정 거리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2 타워를 포함하는 제1 유닛; 일정 폭을 가지며 길이가 가변되는 것으로,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하여 배치되며, 일단부는 상기 제1 타워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2 타워측을 향하여 펼쳐지거나 상기 제1 타워측으로 접히는 제2 유닛; 상기 제1 타워 및 상기 제2 타워에 수용되며, 구동 와이어에 의하여 상기 제2 유닛과 연결되고 상기 제2 유닛을 펼치거나 접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3 유닛; 및 상기 제1 타워 및 상기 제2 타워에 양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제1 타워와 상기 제2 타워 사이에서 펼쳐지고 접히는 상기 제2 유닛의 일단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2 유닛의 일단부가 상기 제3 유닛에 의하여 상기 제1 타워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왕복 이동을 안내하는 제4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타워 및 상기 제2 타워는 상호 평행하게 복수로 일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대면적 차광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유닛은, 일단부 가장자리가 상기 제1 타워의 상부측에 고정되는 일정 폭의 차양막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 와이어는 상기 차양막의 상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4 유닛은 상기 차양막과 상기 차양막의 타단부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3 유닛은, 상기 제1 타워에 내장되는 제1 모터와, 상기 제1 모터의 구동축과 연결되어 상기 제1 모터와 연동하여 회전하며, 상기 구동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구동 전달축과, 상기 구동 전달축의 일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구동 와이어의 일단부 및 타단부가 고정되며, 상기 구동 전달축과 일체로 정, 역회전하는 제1 윈치와, 상기 구동 전달축의 타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구동 와이어와 별개인 구동 와이어의 일단부 및 타단부가 고정되며, 상기 구동 전달축과 일체로 정, 역회전하는 제2 윈치와, 상기 제1 타워와 상기 제2 타워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윈치 및 상기 제2 윈치에 각각 감겨지고 풀려지는 상기 구동 와이어 및 상기 별개인 구동 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하는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3 유닛은, 상기 제1 타워에 내장되는 제2 모터와, 상기 제2 모터의 구동축 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구동 와이어의 일단부가 고정되며, 제1 방향으로 정, 역회전하는 제3 윈치와, 상기 제1 타워에 내장되는 제3 모터와, 상기 제3 모터의 구동축 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구동 와이어의 타단부가 고정되며,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정, 역회전하는 제4 윈치와, 상기 제1 타워와 상기 제2 타워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 와이어를 상기 제3 윈치와 상기 제4 윈치 사이에서 안내함과 동시에, 상기 구동 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하는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4 유닛은, 상기 제2 유닛의 타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장착되며, 상기 구동 와이어의 한 지점이 고정되는 가이드 바와, 상기 가이드 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로 장착되는 파일럿 거치 링과, 복수의 상기 파일럿 거치 링 각각으로부터 상기 제1 타워의 상부측까지 일직선 상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2 유닛에 복수로 고정 장착되는 후속 거치 링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 와이어는, 상기 가이드 바의 중간에 배치된 상기 파일럿 거치 링(이하 '중간 링')과, 상기 중간 링과 일직선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상기 후속 거치 링을 차례로 관통하여 상기 제3 유닛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4 유닛은, 상기 제1 타워와 상기 제2 타워에 양단부가 각각 고정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파일럿 거치 링과 상기 후속 거치 링들을 관통하는 복수의 거치 와이어와, 상기 복수의 거치 와이어 상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1 타워 또는 상기 제2 타워측에 배치되고, 상기 거치 와이어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대하여 나사 회전하여 상기 복수의 거치 와이어 각각의 장력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턴 버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제1 유닛의 제1, 2 타워 사이에서 제3 유닛에 의하여 구동력을 전달받아 제4 유닛에 의하여 안내되어 펼쳐지거나 접히는 제2 유닛에 의하여 차양이 형성되는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고장 발생 개소에 대한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하므로, 사용자들에게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매우 넓은 면적에 걸쳐 많은 사람들이 모인 야외의 특정 장소에서 직사 일광을 차단할 수 있는 그늘을 만들어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제1, 2 타워가 복수로 일렬 배치됨으로써, 예를 들면 가로 및 세로가 100여 미터에 이르는 거대한 면적에 걸쳐 차양을 형성하되, 제1 유닛 각각에 구비된 제2 유닛을 제3 유닛에 의하여 펼치고 접는 제어를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할 수 있으므로, 개별 제어에 따른 차양의 전체적인 또는 부분적인 형성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비교적 간단한 구성에 고장 발생 개소가 최소화된 견고한 구성을 제공하므로, 내구성이 우수하고 수명 연한이 높은 신뢰도 높은 제품을 수요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경우에 따라 직사일광이 강한 지역이 많은 이슬람권 국가와 같은 자연 환경에서 차양을 형성할 때 제3 유닛의 구동력 발생을 태양 에너지를 이용할 수도 있으므로, 에너지의 효율적인 관리 또한 가능한 환경 친화적인 제품의 제공 또한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 기술 대비 구성이 간단하여 설치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경우에 따라 제2 유닛의 차양막 자체를 플렉시블한 솔라셀로 활용함으로써, 제3 유닛의 구동력 발생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경우에 따라 제2 유닛의 차양막을 차광기능을 수행하는 차광막과, 방수기능을 수행하는 방수막의 이중막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차광과 방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장점을 누릴 수 있게 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경우에 따라 제2 유닛의 차양막을 구동 와이어 및 거치 와이어가 관통하는 복수의 파일럿 거치 링과 후속 거치 링 하부에 구비된 볼트와 너트에 의하여 교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양막이 노후화되거나 파손되는 등 교체할 필요가 있을 경우 볼트와 너트만 풀어서 교체하면 얼마든지 새것처럼 다시 쓸 수 있으므로, 경제적으로도 효율적이라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대면적 차광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평면 개념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 개념도
도 3은 도 1의 IIIa~IIIc 부분 확대 개념도
도 4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대면적 차광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평면 개념도
도 5는 도 4의 C-C'선 단면 개념도
도 6은 도 1의 B-B'선 및 도 4의 D-D'선 단면 개념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대면적 차광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평면 개념도이며,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 개념도이고, 도 3은 도 1의 IIIa~IIIc 부분 확대 개념도이다.
또한, 도 4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대면적 차광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평면 개념도이며, 도 5는 도 4의 C-C'선 단면 개념도로, 후술할 구동 와이어 (301)가 배치된 주변의 구동력 전달 계통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도 1의 B-B'선 및 도 4의 D-D' 선 단면 개념도로, 구동 와이어(301)가 배치되지 않은 주변의 일반 거치 와이어(440) 주변의 제2 유닛(200)과의 결합 관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유닛(100)의 제1, 2 타워(110, 120) 사이에서 제3 유닛(300)에 의하여 구동력을 전달받아 제4 유닛(400)에 의하여 안내되어 펼쳐지거나 접히는 제2 유닛(200)에 의하여 매우 넓은 면적에 걸쳐 차양이 형성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우선, 제1 유닛(100)은, 제1 타워(110)와, 제1 타워(110)와 일정 거리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2 타워(120)를 포함하는 것으로, 후술할 제2 유닛(200)이 절첩되는 공간과, 제3, 4 유닛(300, 400)이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그리고, 제2 유닛(200)은 일정 폭을 가지며 길이가 가변되는 것으로,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하여 배치되며, 일단부는 제1 타워(110)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제2 타워(120)측을 향하여 펼쳐지거나 제1 타워(110)측으로 접히면서 차양을 도 1 또는 도 4과 같이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형성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제3 유닛(300)은 제1 타워(110) 및 제2 타워(120)에 수용되며, 구동 와이어(301)에 의하여 제2 유닛(200)과 연결되고 제2 유닛(200)을 펼치거나 접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또한, 제4 유닛(400)은 제1 타워(110) 및 제2 타워(120)에 양단부가 고정되고, 제1 타워(110)와 제2 타워(120) 사이에서 펼쳐지고 접히는 제2 유닛(200)의 일단부와 연결되며, 제2 유닛(200)의 일단부가 제3 유닛(300)에 의하여 제1 타워(110)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왕복 이동을 안내하는 것이다.
여기서, 제1 타워(110) 및 제2 타워(120)는 상호 평행하게 (1) 1열, (2) 2열, …, (n) n열과 같이 복수로 일렬 배치됨으로써, 대면적에 걸친 차양을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1, 2 타워(110, 120)는 예를 들어, 대략 10열 정도로 배열시킬 경우, 제1, 2 타워(110, 120) 사이의 거리는 100 m 내외, 제1, 2 타워(110, 120) 각각의 폭은 12 m 내외인 바, 대략 가로 100 m 내외, 세로 120 m 내외의 매우 큰 면적에 걸친 차양의 형성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고장 발생 개소에 대한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하므로, 사용자들에게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매우 넓은 면적에 걸쳐 많은 사람들이 모인 야외의 특정 장소에서 직사 일광을 차단할 수 있는 그늘을 만들어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제1, 2 타워(110, 120)가 복수로 일렬 배치됨으로써, 예를 들면 가로 및 세로가 100여 미터에 이르는 거대한 면적에 걸쳐 차양을 형성하되, 제1 유닛(100) 각각에 구비된 제2 유닛(200)을 제3 유닛(300)에 의하여 펼치고 접는 제어를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할 수 있으므로, 개별 제어에 따른 차양의 전체적인 또는 부분적인 형성도 가능하게 됨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비교적 간단한 구성에 고장 발생 개소가 최소화된 견고한 구성을 제공하므로, 내구성이 우수하고 수명 연한이 높은 신뢰도 높은 제품을 수요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우선, 제2 유닛(200)은, 도 1 내지 도 6과 같이, 일단부 가장자리가 제1 타워(110)의 상부측에 고정되는 일정 폭의 차양막(210)을 포함하며, 구동 와이어(301, 301a, 301b)는 차양막(210)의 상부측에 배치되고, 후술할 제4 유닛(400)은 차양막(210)과 차양막(210)의 타단부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참고로, 도 1 내지 도 3에서는 후술할 후속 거치 링(430)을 관통하는 구동 와이어(301a, 301b) 및 거치 와이어(440)의 단면 구조에 대한 도시를 생략하였으나, 이는 도 4 내지 도 6의 실시예와 대동소이하므로, 편의상 생략한 것이다.
여기서, 제3 유닛(300)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제1 타워(110)에 내장되는 제1 모터(302)를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제3 유닛(300)은, 제1 모터(302)의 구동축(302s)과 연결되어 제1 모터(302)와 연동하여 회전하며, 구동축(302s)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구동 전달축(303)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3 유닛(300)은, 구동 전달축(303)의 일단부에 장착되어 구동 와이어(301a)의 일단부 및 타단부가 고정되며, 구동 전달축(303)과 일체로 정, 역회전하는 제1 윈치(304a)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3 유닛(300)은, 구동 전달축(303)의 타단부에 장착되어 구동 와이어와 별개인 구동 와이어(301b)의 일단부 및 타단부가 고정되며, 구동 전달축(303)과 일체로 정, 역회전하는 제2 윈치(304b)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3 유닛(300)은, 제1 타워(110)와 제2 타워(120)에 구비되어 제1 윈치(304a) 및 제2 윈치(304b)에 각각 감겨지고 풀려지는 구동 와이어(301a) 및 별개인 구동 와이어(301b)의 장력을 조절하는 관리부(8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3 유닛(300)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제1 모터(302)의 구동축(302s) 단부에 구비되는 구동 스프라켓(305a)과, 구동 전달축(303) 상에 구비되어 구동 스프라켓(305a)과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구동전달 스프라켓(305b)과, 구동 스프라켓(305a)과 구동전달 스프라켓(305b)을 상호 연결하는 체인(305c)을 더 포함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이때, 제3 유닛(300)은, 제1 윈치(304a)의 양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되어 구동 와이어(301a)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1 이탈방지편(304ag)과, 제2 윈치(304b)의 양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되어 구동 와이어(301a)와 별개인 구동 와이어(301b)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2 이탈방지편(304bg)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윈치(304a)와 제2 윈치(304b)의 단면이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탈방지편(304ag)과 제2 이탈방지편(304bg)을 구비하여 전체적으로 절구 형상으로 형성(가운데가 오목하게 들어간 형태)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제1, 2 윈치(304a, 304b)의 단면 형상은, 구동 와이어(301a) 및 별개인 구동 와이어(301b)가 제1 윈치(304a)와 제2 윈치(304b)를 따라 감기고 풀림에 벗어나지 않고 잘 감기고 풀리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전술한 구동 와이어(301a) 및 제1 윈치(304a)에 감긴 구동 와이어(301a)와 별개인 제2 윈치(304b)에 감긴 구동 와이어(301a)는 전체가 하나로 연결된 것이며, 절구 형상으로 형성된 제1 윈치(304a)와 제2 윈치(304b)에는 구동 와이어(301a) 및 별개인 구동 와이어(301b)가 각각 대략 3회 정도 감겨져 있다.
한편, 관리부(800)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제1 타워(110)에 내장되어 제1 윈치(304a)에 고정된 구동 와이어(301a)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된 구동 와이어(301a)를 안내하는 제1 풀리(811)를 포함한다.
그리고, 관리부(800)는, 제2 타워(120)에 내장되어 제1 윈치(304a)로부터 공급된 구동 와이어(301a)를 안내하는 제2 풀리(821)를 포함한다.
그리고, 관리부(800)는, 제1 타워(110)에 내장되어 제1 윈치(304a)에 고정된 구동 와이어(301a)의 타단부까지 연장된 구동 와이어(301a)를 안내하는 제3 풀리(831)를 포함한다.
그리고, 관리부(800)는, 제2 타워(120)에 내장되어 제2 풀리(821)가 장착된 내측면과 마주보는 면에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배치되고, 구동 와이어(301a)의 장력을 조절하는 제1 조절 롤러(812)를 포함한다.
그리고, 관리부(800)는, 제1 타워(110)에 내장되어 제2 윈치(304b)에 고정된 별개인 구동 와이어(301b)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된 별개인 구동 와이어(301b)를 안내하는 제4 풀리(841)를 포함한다.
그리고, 관리부(800)는, 제2 타워(120)에 내장되어 제2 윈치(304b)로부터 공급된 별개인 구동 와이어(301b)를 안내하는 제5 풀리(851)를 포함한다.
그리고, 관리부(800)는, 제1 타워(110)에 내장되어 제2 윈치(304b)에 고정된 별개인 구동 와이어(301b)의 타단부까지 연장된 별개인 구동 와이어(301b)를 안내하는 제6 풀리(861)를 포함한다.
또한, 관리부(800)는, 제2 타워(120)에 내장되어 제5 풀리(851)가 장착된 내측면과 마주보는 면에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배치되고, 별개인 구동 와이어(301b)의 장력을 조절하는 제2 조절 롤러(82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관리부(800)는, 도 2와 함께 도 3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 타워(110)에 내장되어 제1 윈치(304a)와 제1 풀리(811) 사이에 배치되고, 구동 와이어(301a)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된 구동 와이어(301a)를 접촉 지지하며, 제1 타워(11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 또는 함몰 가능하게 배치되고, 구동 와이어(301a)의 장력을 조절하는 제3 조절 롤러(8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부(800)는, 제1 타워(110)에 내장되어 제1 윈치(304a)와 제3 풀리(831) 사이에 배치되고, 구동 와이어(301a)의 타단부까지 연장된 구동 와이어(301a)를 접촉 지지하며, 제1 타워(11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 또는 함몰 가능하게 제3 조절 롤러(832)와 마주보게 배치되고, 구동 와이어(301a)의 장력을 조절하는 제4 조절 롤러(8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부(800)는, 제1 타워(110)에 내장되어 제2 윈치(304b)와 제4 풀리(841) 사이에 배치되고, 별개인 구동 와이어(301b)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된 별개인 구동 와이어(301b)를 접촉 지지하며, 제1 타워(11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 또는 함몰 가능하게 배치되고, 별개인 구동 와이어(301b)의 장력을 조절하는 제5 조절 롤러(8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부(800)는, 제1 타워(110)에 내장되어 제2 윈치(304b)와 제6 풀리(861) 사이에 배치되고, 별개인 구동 와이어(301b)의 타단부까지 연장된 별개인 구동 와이어(301b)를 접촉 지지하며, 제1 타워(11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 또는 함몰 가능하게 제5 조절 롤러(852)와 마주보게 배치되고, 별개인 구동 와이어(301b)의 장력을 조절하는 제6 조절 롤러(8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관리부(800)는, 제1 타워(110) 및 제2 타워(120)에 내장되어 제1~6 풀리(811, 821, 831, 841, 851, 861)와, 제1~6 조절 롤러(812, 822, 832, 842, 852, 862)가 제1 타워(110) 및 제2 타워(12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 또는 함몰되게 조절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력조절 수단(870)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제2 타워(120)에 장착된 제1, 2 조절 롤러(812, 822) 이외에, 전술한 제3~6 조절 롤러(832, 842, 852, 862) 또한 구동 와이어(301a) 또는 별개인 구동 와이어(301b)의 장력 조절을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따라서, 후술할 장력조절 수단(870)을 적절히 활용하여 전술한 제3 조절 롤러(832)와 제4 조절 롤러(842)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하거나, 제5 조절 롤러(852)와 제6 조절 롤러(862)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하여 고정시키면 구동 와이어(301a)가 더욱 팽팽해지면서 장력 조절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장력조절 수단(870)은, 도 3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 타워(110) 및 제2 타워(120)의 내측면과 일정 거리 이격하여 배치되어 제1~6 풀리(811, 821, 831, 841, 851, 861) 및 제1~6 조절 롤러(812, 822, 832, 842, 852, 862)가 장착되는 외측면을 제공하는 지지 플레이트(871)를 포함한다.
그리고, 장력조절 수단(870)은, 일단부는 제1 타워(110) 및 제2 타워(120)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지지 플레이트(871)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관통되에 노출되는 볼트부(872)를 포함한다.
그리고, 장력조절 수단(870)은, 볼트부(872)에 각각 나사 결합되어 지지 플레이트(871)의 외측면에 접촉 고정되는 제1 조절 너트(873)를 포함한다.
또한, 장력조절 수단(870)은, 볼트부(872)에 각각 나사 결합되어 지지 플레이트(871)의 내측면에 접촉 고정되는 제2 조절 너트(874)를 포함한다.
여기서, 지지 플레이트(871)는, 다시 도 2의 우측 하단을 참조하면, 제1 모터(302)와 구동 전달축(303)과 제1 윈치(304a) 및 제2 윈치(304b)도 받침지지하며, 볼트부(872)의 하단부는 제1 타워(110)의 바닥면에 각각 고정되고, 볼트부(872)의 상단부는 지지 플레이트(871)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관통되어 노출됨을 알 수 있다.
이때, 지지 플레이트(871)의 상면에는, 볼트부(872)에 각각 나사 결합되어 지지 플레이트(871)의 상면에 접촉 고정되는 제1 조절 너트(873)와, 볼트부(872)에 각각 나사 결합되어 지지 플레이트(871)의 하면에 접촉 고정되는 제2 조절 너트(874)를 포함하는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구동 와이어(301a) 또는 별개인 구동 와이어(301b)가 느슨해지면 제1 조절 너트(873) 또는 제2 조절 너트(874)를 적절히 볼트부(872)의 형성 방향을 따라 나사 이동시켜 지지 플레이트(871)를 아래로 내리면 구동 와이어(301a) 또는 별개인 구동 와이어(301b)가 팽팽해지면서 장력 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도 2와 같이 복수로 장착되는 파일럿 거치 링(420) 중 구동 와이어(301a, 301b)가 관통하는 파일럿 거치 링의 전, 후방에 각각 장착되어 구동 와이어(301a, 301b)의 장력을 조절 가능한 한 쌍의 구동 와이어용 턴버클(301t, 301t)을 더 포함하는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구동 와이어용 턴버클(301t, 301t)은 구동 와이어(301a)가 느슨해지면 장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구비된 것이다.
한편, 제3 유닛(30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도 4 내지 도 6과 같은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제3 유닛(300)은, 제1 타워(110)에 내장되는 제2 모터(310)와, 제2 모터(310)의 구동축 단부에 장착되어 구동 와이어(301)의 일단부가 고정되며, 제1 방향으로 정, 역회전하는 제3 윈치(3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3 유닛(300)은, 제2 모터(310)와 함께 제1 타워(110)에 내장되는 제3 모터(320)와, 제3 모터(320)의 구동축 단부에 장착되어 구동 와이어(301)의 타단부가 고정되며,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정, 역회전하는 제4 윈치(3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 유닛(300)은, 제1 타워(110)와 제2 타워(120)에 구비되어 구동 와이어(301)를 제3 윈치(312)와 제4 윈치(322) 사이에서 안내함과 동시에, 구동 와이어(301)의 장력을 조절하는 관리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관리부(330)는, 도 5를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 타워(110)에 내장되어 제3 윈치(312)에 고정된 구동 와이어(301)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된 구동 와이어(301)를 안내하는 제7 풀리(33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부(330)는, 제2 타워(120)에 내장되어 제3 윈치(312)로부터 공급된 구동 와이어(301)를 안내하는 제8 풀리(332)와, 제1 타워(110)에 내장되어 제4 윈치(322)에 고정된 구동 와이어(301)의 타단부까지 연장된 구동 와이어(301)를 안내하는 제9 풀리(33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관리부(330)는, 제2 타워(120)에 내장되어 제8 풀리(332)가 장착된 내측면과 마주보는 면에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배치되고, 구동 와이어(301)의 장력을 조절하는 텐션 롤러(335)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관리부(330)는 위에서 언급한 제1, 2, 3 풀리(331, 332, 333) 및 텐션 롤러(335) 등 4개소만 파악하고 점검하면 되므로, 고장 발생 개소 및 이상 발생 개소의 파악에 따른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관리부(330)는 장시간 반복적인 펼침과 접음 동작의 반복과 대면적에 걸친 차양막(210)의 하중으로 인하여 구동 와이어(301)가 처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텐션 롤러(335)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함으로써, 항상 구동 와이어(301)가 적절한 정도의 장력을 가지며 차양막(210)을 펼치고 접을 수 있게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제4 유닛(400)은, 차양막(210)의 타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장착되며, 구동 와이어(301)의 한 지점이 고정되는 가이드 바(410)와, 가이드 바(4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로 장착되는 파일럿 거치 링(420)과, 복수의 파일럿 거치 링(420) 각각으로부터 제1 타워(110)의 상부측까지 일직선 상에 배치되도록 차양막(210)에 복수로 고정 장착되는 후속 거치 링(430)을 포함한다.
여기서, 구동 와이어(301)는, 가이드 바(410)의 중간에 배치된 파일럿 거치 링(420)(이하 '중간 링(420c)')과, 중간 링(420c)과 일직선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후속 거치 링(430)을 차례로 관통하여 제3 유닛(300)의 제1, 2 윈치(312, 322)와 연결되는 것이다.
즉, 구동 와이어(301)는 제3 윈치(312)로부터 제7 풀리(331)와 제8 풀리(332) 및 제9 풀리(333)를 거쳐 제3 윈치(322)에 이르는 폐루프를 이루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계된 제1, 2 모터(310, 320)의 동시 가동에 의하여 도 5와 같이 차양막(210)이 제2 타워(120)측으로 펼쳐지도록 하거나, 특별히 도시하지 않았으나 차양막(210)이 다시 제1 타워(110)측으로 접히도록 할 수 있다.
참고로, 도 5에서 E 방향에서 본 부분 확대도 중 구동 와이어(301)를 나타낸 부분에 있어서, 위의 구동 와이어(301)에 나타낸 ⓧ 표시는, 독자가 본 지면을 보는 방향으로부터 멀어지는 것을, 아래의 구동 와이어(301)에 나타낸 ⊙ 표시는, 독자가 본 지면을 보는 방향을 향하여 가까워지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도 5에 따르면 차양막(201)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제1, 2 모터(310, 320)에 연결된 제1, 2 윈치(312, 322)의 동작에 의거, 제2 타워(120)측으로 펼쳐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제4 유닛(400)은, 다시 도 4과 함께 도 5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 타워(110)와 제2 타워(120)에 양단부가 각각 고정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며, 파일럿 거치 링(420)과 후속 거치 링(430)들을 관통하는 복수의 거치 와이어(4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5의 E 방향에서 본 확대도 및 도 6의 F 방향에서 본 확대도에서 차양막(210)은 후속 거치링(430)들의 하부측에 구비된 볼트(462)에 관통되어 너트(461)로 체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교체 및 보수 점검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차양막(210)이 낡아서 교체가 필요한 경우, 작업자는 차양막(210)의 하부측에서 사다리나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너트(461)와 볼트(462)를 풀고 해당 차양막(210)만 새것으로 교체하면 계속하여 새것처럼 사용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제4 유닛(400)은, 복수의 거치 와이어(440) 상에 각각 형성되어 제1 타워(110) 또는 제2 타워(120)측에 배치되고, 거치 와이어(440)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대하여 나사 회전하여 복수의 거치 와이어(440) 각각의 장력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턴 버클(4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거치 와이어(440) 및 턴 버클(450)은 대면적을 커버할 수 있도록 차양을 형성하는 중량물인 차양막(210)의 하중을 분산 지지하고, 장시간의 사용에 따른 거치 와이어(440)의 처짐 현상을 해소하기 위하여 턴 버클(450)을 구비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도 6과 같이, 제1 유닛(100)의 외면에 구비되는 일정 면적의 솔라셀(500)을 더 구비하여 제3 유닛(300)의 구동력에 필요한 전력을 생산하는 변형 실시예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이러한 솔라셀(500)과 함께, 제1 타워(110) 또는 제2 타워(120)에 구비되어 솔라셀(500)과 연결되고, 솔라셀(500)에서 집광된 태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제3 유닛(300)의 가동에 필요한 전력을 생산하는 인코더(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솔라셀(500) 및 인코더(600)와 함께, 제1 타워(110) 또는 제2 타워(120)에 구비되어 인코더(600) 및 제3 유닛(300)과 연결되고, 인코더(600)로 변환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축전지(700)를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제1 타워(110) 또는 제2 타워(120)에 에어 컨디셔너 또는 블로워(이하 미도시)를 더 구비하여, 경우에 따라 제2 유닛(200)의 차양막(210) 아래에 있는 사용자들에게 쾌적함을 줄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며, 이러한 에어 컨디셔너 또는 블로워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은 축전지(700)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제2 유닛(200)의 차양막(210) 자체가 전술한 솔라셀(500)의 역할을 대신하는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차양막(210)은 태양광을 받는 차양막(210) 전체면을 플렉시블한 소재의 솔라셀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대면적의 태양광 발전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제3 유닛(300)의 가동에 필요한 에너지의 상당 부분을 충당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차양막(210)은 특별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중막 구조로 형성되도록 하되, 구체적으로는 차광기능을 하는 차광막과 빗물을 차단하는 방수기능을 하는 방수막의 이중막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경우에 따라 직사일광이 강한 지역이 많은 이슬람권 국가와 같은 자연 환경에서 차양을 형성할 때 제3 유닛(300)의 구동력 발생을 태양 에너지를 이용할 수도 있으므로, 에너지의 효율적인 관리 또한 가능한 환경 친화적인 제품의 제공 또한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매우 넓은 면적에 걸쳐 많은 사람들이 모인 야외의 특정 장소에서 직사 일광을 차단할 수 있는 그늘을 만들어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접이식 대면적 차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제1 유닛
110...제1 타워
120...제2 타워
200...제2 유닛
210...차양막
300...제3 유닛
301...구동 와이어
301a...제1 윈치(304a)에 감겨진 구동 와이어
301b...제2 윈치(304b)에 감겨진 구동 와이어
301t, 301t...구동 와이어용 턴버클
302...제1 모터
302s...제1 모터(302)의 구동축
303...구동 전달축
304a...제1 윈치
304ag...제1 이탈방지편
304b...제2 윈치
304bg...제2 이탈방지편
305a...구동 스프라켓
305b...구동전달 스프라켓
305c...체인
310...제2 모터
312...제3 윈치
320...제3 모터
322...제4 윈치
330, 800...관리부
331...제7 풀리
332...제8 풀리
333...제9 풀리
335...텐션 롤러
400...제4 유닛
410...가이드 바
420...파일럿 거치 링
420c...중간 링
430...후속 거치 링
440...거치 와이어
450...턴 버클
461...너트
462...볼트
500...솔라셀
600...인코더
700...축전지
811...제1 풀리
812...제1 조절 롤러
821...제2 풀리
822...제2 조절 롤러
831...제3 풀리
832...제3 조절 롤러
841...제4 풀리
842...제4 조절 롤러
851...제5 풀리
852...제5 조절 롤러
861...제6 풀리
862...제6 조절 롤러
870...장력조절 수단
871...지지 플레이트
872...볼트부
873...제1 조절 너트
874...제2 조절 너트

Claims (6)

  1. 제1 타워와, 상기 제1 타워와 일정 거리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2 타워를 포함하는 제1 유닛;
    일정 폭을 가지며 길이가 가변되는 것으로,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하여 배치되며, 일단부는 상기 제1 타워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2 타워측을 향하여 펼쳐지거나 상기 제1 타워측으로 접히는 제2 유닛;
    상기 제1 타워 및 상기 제2 타워에 수용되며, 상기 제2 유닛의 이동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구동 와이어에 의하여 상기 제2 유닛과 연결되고 상기 제2 유닛을 펼치거나 접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3 유닛; 및
    상기 제1 타워 및 상기 제2 타워에 양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제1 타워와 상기 제2 타워 사이에서 펼쳐지고 접히는 상기 제2 유닛의 일단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2 유닛의 일단부가 상기 제3 유닛에 의하여 상기 제1 타워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왕복 이동을 안내하는 제4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타워 및 상기 제2 타워는 상호 평행하게 복수로 일렬 배치되고,
    상기 제2 유닛은,
    일단부 가장자리가 상기 제1 타워의 상부측에 고정되는 일정 폭의 차양막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 와이어는 상기 차양막의 상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4 유닛은 상기 차양막과 상기 차양막의 타단부 가장자리에 구비되고,
    상기 제3 유닛은,
    상기 제1 타워에 내장되는 제1 모터와,
    상기 제1 모터의 구동축과 연결되어 상기 제1 모터와 연동하여 회전하며, 상기 구동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구동 전달축과,
    상기 구동 전달축의 일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구동 와이어의 일단부 및 타단부가 고정되며, 상기 구동 전달축과 일체로 정, 역회전하는 제1 윈치와,
    상기 구동 전달축의 타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구동 와이어와 별개인 구동 와이어의 일단부 및 타단부가 고정되며, 상기 구동 전달축과 일체로 정, 역회전하는 제2 윈치와,
    상기 제1 타워와 상기 제2 타워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윈치 및 상기 제2 윈치에 각각 감겨지고 풀려지는 상기 구동 와이어 및 상기 별개인 구동 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하는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부는 상기 제1 타워에 내장된 제1 풀리, 제3 풀리, 제4 풀리, 제6 풀리, 제3 조절 롤러, 제4 조절 롤러, 제5 조절 롤러, 제6 조절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타워에 내장된 제2 풀리, 제1 조절 롤러, 제5풀리, 제2 조절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타워 및 상기 제2 타워에 내장되어 상기 제1 풀리 내지 상기 제6풀리와 상기 제1 조절 롤러 내지 제6 조절 롤러가 상기 제1 타워 및 상기 제2 타워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 또는 함몰되도록 조절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력 조절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4 유닛은,
    상기 제2 유닛의 타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장착되며, 상기 구동 와이어의 한 지점이 고정되는 가이드 바와,
    상기 가이드 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로 장착되는 파일럿 거치 링과,
    복수의 상기 파일럿 거치 링 각각으로부터 상기 제1 타워의 상부측까지 일직선 상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2 유닛에 복수로 고정 장착되는 후속 거치 링과
    상기 제1 타워와 상기 제2 타워에 양단부가 각각 고정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파일럿 거치 링과 상기 후속 거치 링들을 관통하는 복수의 거치 와이어와,
    상기 복수의 거치 와이어 상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1 타워 또는 상기 제2 타워측에 배치되고, 상기 거치 와이어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대하여 나사 회전하여 상기 복수의 거치 와이어 각각의 장력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턴 버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대면적 차광 장치.
  2. 제1 타워와, 상기 제1 타워와 일정 거리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2 타워를 포함하는 제1 유닛;
    일정 폭을 가지며 길이가 가변되는 것으로,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하여 배치되며, 일단부는 상기 제1 타워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2 타워측을 향하여 펼쳐지거나 상기 제1 타워측으로 접히는 제2 유닛;
    상기 제1 타워 및 상기 제2 타워에 수용되며, 상기 제2 유닛의 이동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구동 와이어에 의하여 상기 제2 유닛과 연결되고 상기 제2 유닛을 펼치거나 접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3 유닛; 및
    상기 제1 타워 및 상기 제2 타워에 양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제1 타워와 상기 제2 타워 사이에서 펼쳐지고 접히는 상기 제2 유닛의 일단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2 유닛의 일단부가 상기 제3 유닛에 의하여 상기 제1 타워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왕복 이동을 안내하는 제4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타워 및 상기 제2 타워는 상호 평행하게 복수로 일렬 배치되고,
    상기 제2 유닛은,
    일단부 가장자리가 상기 제1 타워의 상부측에 고정되는 일정 폭의 차양막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 와이어는 상기 차양막의 상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4 유닛은 상기 차양막과 상기 차양막의 타단부 가장자리에 구비되고,
    상기 제3 유닛은,
    상기 제1 타워에 내장되는 제2 모터와,
    상기 제2 모터의 구동축 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구동 와이어의 일단부가 고정되며, 제1 방향으로 정, 역회전하는 제3 윈치와,
    상기 제1 타워에 내장되는 제3 모터와,
    상기 제3 모터의 구동축 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구동 와이어의 타단부가 고정되며,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정, 역회전하는 제4 윈치와,
    상기 제1 타워와 상기 제2 타워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 와이어를 상기 제3 윈치와 상기 제4 윈치 사이에서 안내함과 동시에, 상기 구동 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하는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부는 상기 제1 타워에 내장된 제7 풀리, 제9 풀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타워에 내장된 제8 풀리 및 상기 제8 풀리가 장착된 내측면과 마주보는 면에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구동 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하는 텐션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4 유닛은,
    상기 제2 유닛의 타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장착되며, 상기 구동 와이어의 한 지점이 고정되는 가이드 바와,
    상기 가이드 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로 장착되는 파일럿 거치 링과,
    복수의 상기 파일럿 거치 링 각각으로부터 상기 제1 타워의 상부측까지 일직선 상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2 유닛에 복수로 고정 장착되는 후속 거치 링과
    상기 제1 타워와 상기 제2 타워에 양단부가 각각 고정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파일럿 거치 링과 상기 후속 거치 링들을 관통하는 복수의 거치 와이어와,
    상기 복수의 거치 와이어 상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1 타워 또는 상기 제2 타워측에 배치되고, 상기 거치 와이어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대하여 나사 회전하여 상기 복수의 거치 와이어 각각의 장력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턴 버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대면적 차광 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60091923A 2016-07-20 2016-07-20 접이식 대면적 차광 장치 KR1018568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1923A KR101856851B1 (ko) 2016-07-20 2016-07-20 접이식 대면적 차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1923A KR101856851B1 (ko) 2016-07-20 2016-07-20 접이식 대면적 차광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9946A KR20180009946A (ko) 2018-01-30
KR101856851B1 true KR101856851B1 (ko) 2018-05-10

Family

ID=61070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1923A KR101856851B1 (ko) 2016-07-20 2016-07-20 접이식 대면적 차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68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8301B1 (ko) * 2018-05-04 2019-03-12 주식회사 미래정공 건축물 공사용 천막 가설장치
KR102277964B1 (ko) * 2020-12-07 2021-07-14 김봉철 천막용 자동 개폐 장치
KR102702593B1 (ko) * 2022-12-13 2024-09-04 한미경 스카이 어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9946A (ko) 2018-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9101823A4 (en) Innovative energy generating photovoltaic awning
US9528313B1 (en) Non-intrusive, adaptive tracking and shading device
KR101377432B1 (ko) 자동 접이식 파라솔
KR101856851B1 (ko) 접이식 대면적 차광 장치
US11060296B2 (en) Modular multifunction shading device, particularly for a pergola
KR101005019B1 (ko) 자동 개폐식 그늘막 장치
KR102012748B1 (ko) 아치형 개폐식 지붕장치
KR102258879B1 (ko) 기상정보에 따라 연동되는 스마트 전동 그늘막 시스템
KR100920492B1 (ko) 이동 차양막판을 구비한 케노피 구조물
KR101281265B1 (ko) 지하공간 출입구의 환기 및 채광제어장치
KR101492038B1 (ko) 전동 접이식 파라솔
JP2010065513A (ja) オーニング装置
KR101865482B1 (ko) 신축식 어닝
KR101830570B1 (ko) 접이식 대면적 차광 장치
KR101139907B1 (ko) 차양막 주름 방지를 위한 경첩형 장력조절장치
KR102312955B1 (ko) 스마트 전자동 개폐형 그늘막
KR102055787B1 (ko) 다축 회동 어닝
EP3594440B1 (en) Screen system and building
CN216766240U (zh) 一种膜结构节能建筑
CN221722414U (zh) 一种太阳能防水电动凉棚
CN217924515U (zh) 一种雨棚
CN210018580U (zh) 一种便于遮蔽阳光的座凳
KR102656069B1 (ko) 차양장치에 설치되는 와이어 로프 가이드 유닛
CN217327120U (zh) 一种用于气膜建筑的可收缩式遮光帘
CN216018125U (zh) 遮阳网驱动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