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1664A - 부단수 관로 촬영 시스템 - Google Patents

부단수 관로 촬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1664A
KR20220061664A KR1020200147895A KR20200147895A KR20220061664A KR 20220061664 A KR20220061664 A KR 20220061664A KR 1020200147895 A KR1020200147895 A KR 1020200147895A KR 20200147895 A KR20200147895 A KR 20200147895A KR 20220061664 A KR20220061664 A KR 202200616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guide
rotating body
camera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7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5929B1 (ko
Inventor
김봉영
Original Assignee
(주)지성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성하이테크 filed Critical (주)지성하이테크
Priority to KR1020200147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5929B1/ko
Publication of KR20220061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16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5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59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7/00Panoramic or wide-screen photography; Photographing extended surfaces, e.g. for surveying; Photographing internal surfaces, e.g. of pipe
    • G03B37/005Photographing internal surfaces, e.g. of pi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04N5/225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H04N7/185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from a mobile camera, e.g. for remote contro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 Studio Devices (AREA)
  •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단수 관로 촬영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카메라(144)를 상수관로 내부로 유체흐름에 따라 이동시키면서 내부영상을 촬영하여 이를 모니터링하므로 상수관(1)의 이상유무를 확인 관찰할 수 있도록 하되 외부하우징부(130)의 좌우 흔들림이 발생하더라도 외부하우징부(130)의 내부에 삽입한 내부하우징부(140)가 중심유지구(148)를 중앙 하측에 결합시킨 위치조절구(147)의 중량에 의해 향상 중심선상에 위치하도록 유도하므로 내부하우징부(140)에 체결하여 연동하는 카메라(144)의 좌우 변화각을 억제하여 정확하게 상수관로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하므로, 상수관로의 상태를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좌우 흔들림이 발생하더라도 각도 변화를 최소로 억제하여 정확하게 디스플레이 할 수 있고 카메라를 안전하게 가이드함과 동시에 정확한 위치에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세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부단수 관로 촬영 시스템{System for photographing a pipe without suspension of water supply}
본 발명은 부단수 관로 촬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상수관로의 상태를 정확하게 디스플레이 할 수 있도록 하는 부단수 관로 촬영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로의 내부에 생성되는 스케일의 잔존 상태 확인 및 밸브상태 불량에 따른 누수를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와 관로의 갱생공사를 위하여 노후상태를 진단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관로를 흐르는 유체를 계획적으로 단수하고, 이를 절단하여 내부의 상태를 육안으로 식별함으로써 상태에 따른 유지보수 조치 및 적절한 교체 시기를 결정한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이 필수적으로 발생되는 단수를 피하기 위하여 관로 및 밸브의 상태진단을 관로에서 발생되는 청음에 의존하여 작업자가 진단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상기와 같은 방법은 관로 내부의 상태를 명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부정확한 청음 진단으로 인해 적절하지 못한 조치를 취하게 됨으로써 밸브 및 관로가 파손되는 경우가 많으며, 그에 따라 종전과 같이 육안에 의한 정밀진단을 위하여 계획단수와 관로의 절단이 불가피하게 된다.
아울러, 육안으로의 확인을 통한 관로 내부의 정밀진단을 위해서는 작업자가 부상의 위험을 감수하고 직접 관로 내부로 진입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관로의 점검 방법은 관로에 공급되는 물 등의 유체의 흐름을 중단시킨 후 점검을 수행해야만 하는데, 수도공급의 단수가 이루어지게 되면, 각종 산업시설의 막대한 손실을 초래하게 됨은 물론 대국민 생활의 불편을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관로의 내부를 주기적으로 촬영하여 관로의 내부 상태를 점검하는 기술구성으로서, 관로의 직경이 대구경인 경우에는 원격 조종이 가능한 관로 촬영용 로봇을 투입하여 관로의 내측을 점검하는 경우도 있고, 관로의 직경이 작은 경우에는 관로에 물의 공급을 중단시킨 후, 관로의 종단에 내시경 카메라를 투입하여 관로를 촬영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종래와 같은 촬영 장치들은 그 구조가 복잡하거나, 관로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압력을 견뎌낼 수 있는 내구성을 확보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현재에는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지 않고 배관 내부를 검사할 수 있는 부단수 공법이 주로 사용되며, 이때 부단수 공법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장비 중 하나가 부단수 촬영장치이다.
이러한 종래의 부단수 촬영장치는 등록특허 제10-1850627호, 등록특허 제10-1035687호, 공개특허 제10-2009-0114742호, 등록특허 제10-1171289호 등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배관 내부로 삽입 가능한 케이블의 끝단부에 카메라를 장착하여 카메라를 배관을 따라 이동하면서 배관 내부를 촬영하여 검사한다.
이러한 부단수 촬영장치는 케이블을 강제로 밀어서 부단수 촬영장치를 전진시켜 촬영하고 있는데, 이 경우 카메라가 좌우로 회전하는 경우 자주 발생하여 화면상 상하좌우가 왜곡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소형카메라의 특성상 수압에 따른 유체의 흐름 등의 다양한 변수로 쉽게 각도가 수시로 변화하게 되므로 상하좌우가 뒤바뀌는 심각한 오류로 인하여 정확한 진단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목적은 상수관로의 상태를 효율적으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도록 하되 좌우 흔들림이 발생하더라도 각도 변화를 최소로 억제하여 훼손 위치를 정확하게 디스플레이 할수 있도록 하는 부단수 관로 촬영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촬영카메라를 안전하게 가이드함과 동시에 정확한 위치에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세팅할 수 있도록 하는 부단수 관로 촬영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부단수 관로 촬영시스템은 상수관의 연결밸브에 가이드관을 체결하되 가이드관을 관통하여 상수관 내부로 진입하는 슬라이드관을 구비한 부단수가이드부와, 상기 부단수가이드부에 케이블을 관통시키고 후측에 모니터를 구비한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케이블 전단에 본체를 결합하여 상수관로의 흐름에 따라 유영하는 외부하우징부, 및 상기 외부하우징부의 본체 내부에 회전본체를 삽입하고 회전본체에 카메라를 설치하되 회전본체를 무게 중심에 따라 회전하도록 하여 카메라를 수평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내부하우징부로 구성하므로 상수관로의 상태를 정확하게 디스플레이 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그 기술적 구성상 기본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부단수 관로 촬영시스템은 카메라를 상수관로 내부로 유체흐름에 따라 이동시키면서 내부영상을 촬영하여 이를 모니터링하므로 상수관의 이상유무를 확인 관찰할 수 있도록 하되 외부하우징부의 좌우 흔들림이 발생하더라도 외부하우의 내부에 삽입한 내부하우징부가 위치조절구의 중량에 의해 향상 중심선상에 위치하도록 유도하므로 내부하우징부에 체결하여 연동하는 카메라의 좌우 변화각을 억제하여 정확하게 상수관로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수관로의 상태를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좌우 흔들림이 발생하더라도 각도 변화를 최소로 억제하여 정확하게 디스플레이 할 수 있고 카메라를 안전하게 가이드함과 동시에 정확한 위치에 안정적으로 지속하여 위치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부단수 관로 촬영시스템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부단수 관로 촬영시스템의 슬라이드관 전진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부단수 관로 촬영시스템의 촬영카메라 작동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부단수 관로 촬영시스템의 촬영카메라 분해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부단수 관로 촬영시스템의 촬영카메라 결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부단수 관로 촬영시스템의 촬영카메라 분해 상태를 나타낸 전면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부단수 관로 촬영시스템의 촬영카메라 분해 상태를 나타낸 배면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부단수 관로 촬영시스템의 촬영카메라 정상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부단수 관로 촬영시스템의 촬영카메라 회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부단수 관로 촬영시스템(100)은 상수관(1)의 연결밸브(10)에 가이드관(111)을 체결하되 가이드관(111)을 관통하여 상수관(1) 내부로 진입하는 슬라이드관(116)을 구비한 부단수가이드부(110)와, 상기 부단수가이드부(110)에 케이블(123)을 관통시키고 후측에 모니터(121)를 구비한 제어부(120)와, 상기 제어부(120)의 케이블(123) 전단에 본체(131)를 결합하여 상수관로의 흐름에 따라 유영하는 외부하우징부(130), 및 상기 외부하우징부(130)의 내부에 회전본체(141)를 결합하고 회전본체(141)의 내부에 카메라(145)를 설치하되 회전본체(141)를 무게 중심에 따라 회전하도록 하여 카메라(145)를 바른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내부하우징부(140)로 구성한다.
상기 부단수가이드관(110)은 가이드관(111)의 일단에 상수관(1)에 결합시킨 연결밸브(10)에 기밀을 유지하도록 체결하는 체결수단(112a)을 구비하고 가이드관(111)의 타단에 슬라이드관(116)의 외주연과 기밀을 유지하는 체결수단(112b)을 구비하며 가이드관(111)의 소정위치에 밸브(114)를 구비한 배출관(113)을 연결하여 초기에 물때 등의 이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되 배출관(113)에 압력계(115)를 결합하여 상수관(1)의 압력을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슬라이드관(116)은 가이드관(111)보다 충분하게 길게 형성하여 관통상태에서 상수관(1)의 내부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하고 후단에 케이블(123)을 가이드하면서 기밀을 유지하는 체결수단(118)을 구비하되, 슬라이드관(116)의 전단에 가이드만곡부(117)를 형성하여 유체의 흐름을 원활하게 유도함과 동시에 후술하는 카메라(145)의 원활하고 안정적인 진입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120)는 모니터(121)에 케이블(123)을 권선시킨 가이드휠(122)에 접속하여 카메라(143)의 영상을 저장 및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되 케이블(123)를 슬라이드관(116)에 관통시키도록 한다.
상기 외부하우징부(130)는 원통형으로 본체(131)를 형성하되 내주연에 길이방행으로 다수개의 가이드돌기(135)를 형성하여 후술하는 회전본체(141)와 마찰력을 최소화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체(131)의 전단에는 보호창(133)을 형성한 캡(132)을 결합하고 후단에는 가이드통로(134a)를 형성한 마감덮개(134)를 결합하여 케이블(123)을 관통시켜 효율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내부하우징부(140)는 원통형으로 회전본체(141)를 형성하고 전단에 체결공(143)을 천공한 지지플레이트(142)를 결합하되 체결공(143)에 세팅돌기(143a)를 형성하여 체결공(143)에 카메라(144)의 상하좌우 위치를 정확하게 세팅하면서 체결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이를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지지플레이트(142)의 상측에 조사램프(146)를 결합하여 카메라(144)의 전방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한다.
특히 회전본체(141)의 내주연에는 반원형의 위치조절구(147)를 하측에 결합하여 외부하우징부(130)의 좌우 회전과 관계없이 항상 위치조절구(147)의 웨이트에 의해 항상 정위치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더욱이, 반원형의 위치조절구(147) 하사점 중앙에는 웨이트가 큰 중심유지구(148)를 결합하여 더욱 정확하게 정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회전본체(141)의 후단에는 가이드통로(145a)를 형성한 마감덮개(145)를 결합하여 케이블(123)을 관통시켜 효율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수관(1)의 연결밸브(110)에 가이드관(111)과 슬라이드관(116) 결합체를 체결한 다음 연결밸브(10)와 배출관(113)의 밸브(114)을 오프시켜 존재할 수 있는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킨 다음 슬라이드관(115)을 전진시켜 상수관(1) 내부로 진입시킨다.
이때 슬라이드관(116)의 전단에 형성시킨 가이드만곡부(117)을 상수관(1)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함과 동시에 가이드만곡부(117)의 오픈 측이 유체의 흐름 방향을 향하도록 세팅하여 카메라(144)의 상수관로 진입이 용이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태에서 케이블(123)을 풀어 카메라(144)를 상수관로 내부로 유체흐름에 따라 이동시키면서 내부영상을 촬영하여 이를 모니터링하므로 상수관(1)의 이상유무를 확인 관찰할 수 있도록 한다.
더욱이, 유체흐름에 따라 이동하는 카메라(144)를 탑재시킨 외부하우징부(130) 좌우로 흔들림이 발생하더라도 외부하우징부(130)의 내부에 삽입한 내부하우징부(140)가 중심유지구(148)를 중앙 하측에 결합시킨 위치조절구(147)의 중량에 의해 향상 중심선상에 위치하도록 유도하는 것으로 내부하우징부(140)에 체결하여 연동하는 카메라(144)의 좌우 변화각을 억제하여 정확하게 상수관로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 상수관 10 : 연결밸브
100 : 촬영시스템 110 : 부단수가이드부
111 : 가이드관 112 : 체결수단
113 : 배출관 114 : 밸브
115 : 압력계 116 : 슬라이드관
117 : 가이드만곡부 118 : 체결수단
120 : 제어부 121 : 모니터
122 : 가이드휠 123 : 케이블
130 : 외부하우징부 131 : 본체
132 : 캡 133 : 보호창
134 : 마감덮개 134a : 가이드통로
135 : 가이드돌출부 140 : 내부하우징부
141 : 회전본체 142 : 지지플레이트
143 : 체결공 143a : 세팅돌기
144 : 카메라 145 : 마감덮개
145a : 가이드통로 146 : 조사램프
147 : 위치조절구 148 : 중심유지구

Claims (4)

  1. 상수관(1)의 연결밸브(10)에 가이드관(111)을 체결하되 가이드관(111)을 관통하여 상수관(1) 내부로 진입하는 슬라이드관(116)을 구비한 부단수가이드부(110)와,
    상기 부단수가이드부(110)에 케이블(123)을 관통시키고 후측에 모니터(121)를 구비한 제어부(120)와,
    상기 제어부(120)의 케이블(123) 전단에 본체(131)를 결합하여 상수관로의 흐름에 따라 유영하는 외부하우징부(130), 및
    상기 외부하우징부(130)의 본체(131) 내부에 회전본체(141)를 삽입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하고 회전본체(141)에 카메라(145)를 설치하여 상호 연동하도록 하며 회전본체(141)를 내부 하측에 위치조절구(147)를 결합하여 위치조절구(147)의 무게 중심에 따라 회전하도록 하므로 카메라(145)의 수평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내부하우징부(140)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단수 관로 촬영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단수가이드관(110)은 가이드관(111)의 일단에 상수관(1)에 결합시킨 연결밸브(10)에 기밀을 유지하도록 체결하는 체결수단(112a)을 구비하고 가이드관(111)의 타단에 슬라이드관(116)의 외주연과 기밀을 유지하는 체결수단(112b)을 구비하며 가이드관(111)의 소정위치에 밸브(114)를 구비한 배출관(113)을 연결하되, 상기 슬라이드관(116)은 가이드관(111)보다 길게 형성하고 후단에 케이블(123)을 가이드하는 기밀유지 체결수단(118)을 구비하며 전단에 가이드만곡부(117)를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단수 관로 촬영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하우징부(130)는 원통형으로 본체(131)를 형성하고 내주연에 길이방행으로 다수개의 가이드돌기(135)를 길이방향으로 형성하여 회전본체(141)와 마찰력을 억제하되, 본체(131)의 전단에는 보호창(133)을 형성한 캡(132)을 결합하고 후단에는 가이드통로(134a)를 형성한 마감덮개(134)를 결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단수 관로 촬영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하우징부(140)는 원통형으로 회전본체(141)를 형성하고 전단에 체결공(143)을 천공한 지지플레이트(142)를 결합하며 체결공(143)에 세팅돌기(143a)를 형성하고 지지플레이트(142)의 상측에 조사램프(146)를 결합하며, 회전본체(141)의 내주연에 반원형의 위치조절구(147)를 하측에 결합하되 반원형의 위치조절구(147) 하사점 중앙에 중심유지구(148)를 결합하고 회전본체(141)의 후단에 가이드통로(145a)를 형성한 마감덮개(145)를 결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단수 관로 촬영시스템.
KR1020200147895A 2020-11-06 2020-11-06 부단수 관로 촬영 시스템 KR1024059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7895A KR102405929B1 (ko) 2020-11-06 2020-11-06 부단수 관로 촬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7895A KR102405929B1 (ko) 2020-11-06 2020-11-06 부단수 관로 촬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1664A true KR20220061664A (ko) 2022-05-13
KR102405929B1 KR102405929B1 (ko) 2022-06-07

Family

ID=81583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7895A KR102405929B1 (ko) 2020-11-06 2020-11-06 부단수 관로 촬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59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1649B1 (ko) * 2023-04-26 2023-12-08 승탑건설(주) 하수관로 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수관로 보수공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27242A (ja) * 1991-11-01 1993-05-25 Nikon Corp 中間筒及びカメラシステム
KR20090114742A (ko) * 2008-04-30 2009-11-04 서울특별시 부단수 관입장치
KR100989067B1 (ko) * 2008-10-13 2010-10-25 주식회사 티디아이앤씨 상수도용 부단수 내시경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로조사방법
KR101130071B1 (ko) * 2011-03-18 2012-03-28 (주)아록이엔지 영상획득 가능한 관로 세척장치
JP2016145619A (ja) * 2015-02-09 2016-08-12 Nok株式会社 緩衝ストッパ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27242A (ja) * 1991-11-01 1993-05-25 Nikon Corp 中間筒及びカメラシステム
KR20090114742A (ko) * 2008-04-30 2009-11-04 서울특별시 부단수 관입장치
KR100989067B1 (ko) * 2008-10-13 2010-10-25 주식회사 티디아이앤씨 상수도용 부단수 내시경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로조사방법
KR101130071B1 (ko) * 2011-03-18 2012-03-28 (주)아록이엔지 영상획득 가능한 관로 세척장치
JP2016145619A (ja) * 2015-02-09 2016-08-12 Nok株式会社 緩衝ストッ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5929B1 (ko) 2022-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37826B2 (ja) 磁気検査車両を利用する検査システムおよび検査プロセス
JP3095835B2 (ja) 内視鏡用重力方向指示装置
KR102405929B1 (ko) 부단수 관로 촬영 시스템
US9127803B2 (en) Pipe inspection and servicing
KR101993980B1 (ko) 이중관 삽입기를 이용한 부단수 대구경 상수도 내시경 촬영장치
US20110000643A1 (en) Apparatus for visually inspecting and removing foreign object in gaps of bundle of heating tubes of upper portion of tube sheet of secondary side of steam generator
JP2009031259A (ja) 不断水管路撮影装置及びそのシステム
JP4494358B2 (ja) 空調機内部観察装置
KR100807391B1 (ko) 부단수 관로 촬영장치
DE102007008962A1 (de) Dentale Kleinröntgeneinrichtung und Verfahren zur Positionierung eines Röntgenstrahlers
JP3704104B2 (ja) 不断水調査の為の流量測定器および内視鏡挿入器
KR102542855B1 (ko) 관로 조사용 내시경 카메라
KR102405928B1 (ko) 부단수 관로 촬영장치
JP2016009168A (ja) 漏れ検査装置
KR100611355B1 (ko) 상수도 관로 검사 장치
JP2006126022A (ja) 配管検査装置
CN105662319A (zh) 内窥镜
CN204394450U (zh) 内窥镜
KR101550674B1 (ko) 부단수 상태에서의 소구경 관로 카메라 진단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로 진단방법
JP6305794B2 (ja) 配管内確認装置
JP2984532B2 (ja) 原子力プラントのループ室内点検システム
KR20230071012A (ko) 팬과 회전 투명 커버를 이용한 cctv 카메라 렌즈 커버 클리어링 장치
KR102172537B1 (ko) 부단수 영상 촬영 프로브의 투입 장치
KR102581774B1 (ko) 청음 가능한 관로 검사용 내시경 장치
KR100668626B1 (ko) 소구경 관로 관측용 카메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