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1012A - 팬과 회전 투명 커버를 이용한 cctv 카메라 렌즈 커버 클리어링 장치 - Google Patents

팬과 회전 투명 커버를 이용한 cctv 카메라 렌즈 커버 클리어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1012A
KR20230071012A KR1020220022863A KR20220022863A KR20230071012A KR 20230071012 A KR20230071012 A KR 20230071012A KR 1020220022863 A KR1020220022863 A KR 1020220022863A KR 20220022863 A KR20220022863 A KR 20220022863A KR 20230071012 A KR20230071012 A KR 202300710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amera lens
fan
clearing device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2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빈
김수열
송수근
강태근
Original Assignee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30071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10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1/00Filters or other obturator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phic purposes
    • G03B11/04Hoods or caps for eliminating unwanted light from lenses, viewfinders or focusing aids
    • G03B11/045Lens hoods or shields
    • B08B1/0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 B08B1/32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using rotary clean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Abstract

제안기술은 팬과 회전 투명 커버를 이용한 CCTV 카메라 렌즈 커버 클리어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관리나 감시를 위해 설치되고 있는 카메라의 전면 렌즈를 항상 깨끗하게 유지하기 위한 카메라 렌즈 커버 클리어링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팬과 회전 투명 커버를 이용한 CCTV 카메라 렌즈 커버 클리어링 장치{CCTV camera lens cover clearing device using a fan and a rotating transparent cover}
제안기술은 팬과 회전 투명 커버를 이용한 CCTV 카메라 렌즈 커버 클리어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관리나 감시를 위해 설치되고 있는 카메라의 전면 렌즈를 항상 깨끗하게 유지하기 위한 카메라 렌즈 커버 클리어링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CCTV라 함은 화상의 송수신을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하여 수신 대상 이외에는 임의로 수신할 수 없도록 구성된 시스템을 의미한다. 이러한 CCTV는 특정 장소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와, 촬영된 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모니터를 포함하며, 산업용 및 방범용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산업용 CCTV는 산업 현장(예를 들어, 제철소나 발전소의 경우 용광로 및 연소로)에 근접하게 설치되어 작업 진행 상황을 관찰하는 역할을 제공하는데, 이로 인해 산업 현장에서 발생하는 분진 및 이물질이 CCTV의 카메라 렌즈 표면에 부착되어 영상의 화질을 저하시키고, 오작동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높은 위치에 설치된 CCTV의 분진 및 이물질을 주기적으로 제거해야한다는 불편함 및 이를 위한 인력과 시간이 낭비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카메라 렌즈 표면을 항상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대두되는 실정이다.
특허문헌 1)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987996호(명칭: 카메라 렌즈에 에어 커튼을 형성하는 산업용 CCTV, 공고일: 2019.06.1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관리나 감시를 위해 설치되고 있는 카메라의 전면 렌즈를 항상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는 카메라 렌즈 커버 클리어링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팬과 회전 투명 커버를 이용한 CCTV 카메라 렌즈 커버 클리어링 장치에 있어서,
후면이 개방되며, 내부에 기어가 배치된 원통 형상의 본체부;
링 형상이며, 전단 측 내경면에 기어와 맞물리는 톱니부가 형성되고, 본체부와 동축이 되도록 본체부의 내부에 결합되는 투명회전부재;
본체부의 후면을 덮는 커버부;를 포함하며,
투명회전부재는 기어의 회전에 의해 본체부의 중심축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체부는,
기어를 외부로 드러내기 위한 기어홀이 형성된 원판 형상의 플레이트부;
플레이트부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수직하여 후방을 향해 일정 길이 연장되는 링 형상의 제1벽부;
플레이트부의 후면에서 제1벽부의 내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제1벽부와 동축인 링 형상의 제2벽부;
기어홀을 막도록 기어의 후방에 결합되는 기어덮개;
기어덮개의 후면에 결합되며, 기어를 회전시키는 모터;
플레이트부의 후면에서 내측에 결합되는 촬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투명회전부재는 제1벽과 제2벽 사이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벽부의 일측에는 제1벽부를 관통하는 제1홀이 형성되며,
제2벽부의 일측에는 제2벽부를 관통하는 제2홀이 형성되고,
상제1홀과 제2홀은 서로 동축이며, 서로 동일한 형상 및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홀에는 끼워맞춤되는 마개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개부는,
제1홀의 내부에 삽입되며, 내부가 빈 원통 형상의 삽입부;
삽입부의 전단 가장자리부로부터 후방을 향해 형성되며, 일정 각도의 경사면을 갖도록 일정 길이 연장되어 형성되고, 후단이 제1벽부의 외측면에 안착되는 안착부;
삽입부의 전면을 막도록 형성되는 투명한 먼지가림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촬영부재는,
제1홀과 제2홀을 통해 본체부의 외부를 촬영하며,
투명회전부재와 먼지가림막에 의해 외부 이물질로부터 보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플레이트부의 전면에는 바람을 발생시키는 블로워팬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체부의 외측에는 블로워팬으로부터 발생된 바람을 먼지가림막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에어덕트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관리나 감시를 위해 설치되고 있는 카메라의 전면 렌즈를 항상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카메라 전면 렌즈의 오염으로 인한 오작동으로 인해 발생되는 손해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카메라 오염의 상태 확인이나 청소를 위한 인력과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렌즈 커버 클리어링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렌즈 커버 클리어링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렌즈 커버 클리어링 장치의 후측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렌즈 커버 클리어링 장치의 바람 이동 방향 개념도.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팬과 회전 투명 커버를 이용한 CCTV 카메라 렌즈 커버 클리어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관리나 감시를 위해 설치되고 있는 카메라의 전면 렌즈를 항상 깨끗하게 유지하기 위한 카메라 렌즈 커버 클리어링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렌즈 커버 클리어링 장치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의 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렌즈 커버 클리어링 장치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도 3의 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렌즈 커버 클리어링 장치의 후측 개념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카메라 렌즈 커버 클리어링 장치는 본체부(2), 투명회전부재(30), 커버부(32) 및 에어덕트(3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부(2)는 후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기어홀(6)이 형성된 원판 형상의 플레이트부(4)와, 상기 플레이트부(4)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수직하여 후방을 향해 일정 길이 연장되는 링 형상의 제1벽부(8)와, 상기 플레이트부(4)의 후면에서 상기 제1벽부(8)의 내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벽부(8)와 동축인 링 형상의 제2벽부(10)와, 상기 기어홀(6)을 통해 상기 플레이트의 전면 측에서 외부로 보여지도록 배치되는 기어(14)와, 상기 기어홀(6)을 막도록 상기 기어(14)의 후방에 결합되는 기어덮개(16), 상기 기어덮개(16)의 후면에 결합되며, 상기 기어(14)를 회전시키는 모터(18)와, 상기 플레이트부(4)의 후면에서 상기 제2벽부(10)의 내측에 결합되는 촬영부재(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플레이트부(4)로부터 연장된 상기 제1벽부(8)의 길이와 상기 제2벽부(10)의 길이는 서로 동일하다.
상기 제1벽부(8)의 둘레방향 중 일측의 어느 한 부분에는 상기 제1벽부(8)의 양면을 관통하는 제1홀(60)이 형성된다.
상기 제2벽부(10)의 둘레방향 중 일측의 어느 한 부분에는 상기 제2벽부(10)의 양면을 관통하는 제2홀(62)이 형성된다.
상기 제1홀(60)과 상기 제2홀(62)은 서로 동축이며, 서로 동일한 형상 및 크기를 갖는다.
상기 촬영부재(20)는 CCTV 카메라일 수 있으며, 바닥을 향해 촬영하도록 천장 또는 벽에 설치된다.
상기 투명회전부재(30)는 투명한 플라스틱 또는 필름 재질로 형성되는 링 형상인 것으로, 전단 측 내경면에는 상기 기어(14)와 맞물려 상기 기어(14)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톱니부(32)가 형성된다.
상기 투명회전부재(30)는 상기 본체부(2)와 동축이 되도록 상기 본체부(2)의 내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본체부(2)와의 결합 시 상기 제1벽부(8)와 상기 제2벽부(10) 사이에 삽입된다.
상기 투명회전부재(30)의 양단 사이의 폭은 상기 플레이트부(4)로부터 연장된 상기 제1벽부(8) 및 상기 제2벽부(10)의 길이와 서로 동일하다.
상기 본체부(2)의 개방된 면은 상기 커버부(34)에 의해 덮여 폐쇄된다.
상기 제1홀(60)에는 끼워맞춤되는 마개부(22)가 결합된다.
상기 마개부(22)는, 상기 제1홀(60)의 내부에 삽입되며, 내부가 빈 원통 형상의 삽입부(24)와, 상기 삽입부(24)의 전단 가장자리부로부터 후방을 향해 형성되며, 일정 각도의 경사면을 갖도록 일정 길이 연장되어 형성되고, 후단이 상기 제1벽부(8)의 외측면에 안착되는 안착부(26)와, 상기 삽입부(24)의 전면을 막도록 형성되는 투명한 먼지가림막(2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마개부(22)가 상기 제1홀(60)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삽입부(24)의 후단은 상기 투명회전부재(30)의 외측면에 밀착된다.
상기 마개부(22)는 탄성 고무와 같은 연질재질로 형성되어 외부 이물질이 상기 제1벽부(8)와 상기 투명회전부재(30)의 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먼지가림막(28)은 상기 투명회전부재(30)와 동일한 투명한 플라스틱 또는 필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촬영부재(20)는 상기 투명회전부재(30)와 상기 먼지가림막(28)의 후방에서 상기 제1홀(60)과 상기 제2홀(62)을 통해 상기 본체부(2)의 외부를 촬영하게 된다.
즉, 상기 촬영부재(20)의 시야 전방에는 상기 투명회전부재(30)와 상기 먼지가림막(28)이 차례로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부(2)가 외부 이물질에 의해 지속적인 오염이 예상되는 곳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촬영부재(20)의 렌즈는 상기 투명회전부재(30)와 상기 먼지가림막(28)에 의해 외부 이물질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경우 상기 먼지가림막(28) 및 상기 투명회전부재(30)의 오염에 의해 상기 촬영부재(20)의 시야를 확보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하기에서는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투명회전막(30)은 상기 마개부(22)에 의해 외부 이물질로부터 보호될 수 있지만, 상기 마개부(21)와 상기 제1벽부(8)의 사이의 틈을 통해 상기 투명회전부재(30)과 상기 제1벽부(8) 사이로 유입되는 외부 이물질을 완벽히 차단할 수는 없다.
이를 위해, 상기 투명회전부재(30)는 상기 모터(18)에 의한 상기 기어(14)의 회전에 따라 상기 톱니부(32)가 회전하면서 상기 본체부(2)의 중심축에 대해 회전하게 된다.
상기 투명회전부재(30)의 회전 시 상기 투명회전부재(30)의 외측면에서 상기 마개부(22)의 후단과 맞닿는 부분이 변경되기 때문에 상기 촬영부재(20)의 시야 전방에 위치하는 상기 투명회전부재(30)의 부분이 변경된다.
따라서 상기 투명회전부재(30)는 회전하면서 상기 촬영부재(20)의 시야 전방에 위치하는 부분을 항상 깨끗하게 유지하게 된다.
상기 먼지가림막(28)은 상기 에어덕트(36)를 이용하여 외부 이물질로부터의 오염을 방지하게 된다.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렌즈 커버 클리어링 장치의 바람 이동 방향 개념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플레이트부(4)의 전면에는 바람을 발생시키는 블로워팬(58)이 결합되고, 상기 본체부(2)의 외측에는 상기 블로워팬(58)으로부터 발생된 바람을 상기 먼지가림막(28)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상기 에어덕트(36)가 결합된다.
상기 에어덕트(36)는 상기 블로워팬(58) 측에 결합되는 'ㄱ' 형상의 제1에어덕트와, 상기 마개부(22) 측에 결합되며, 상기 제1에어덕트(38)의 단부와 결합되는 제2에어덕트(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에어덕트(38)는 상기 제1벽부(8)의 외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본체부(2)의 축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형태의 결합플레이트(40)와 상기 결합플레이트(40)의 전단으로부터 수직하여 상기 플레이트부(4)의 전면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연장플레이트(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장플레이트(42)에서 상기 블로워팬(58)이 위치하는 부분에는 상기 블로워팬(58)의 외부 개방을 위한 팬홀(44)이 형성된다.
상기 연장플레이트(42)의 상단에는 상기 연장플레이트(42)의 후면으로부터 수직하여 일정 길이 연장되는 상부덮개(46)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상기 연장플레이트(42)의 후면으로부터 수직하여 일정 길이 연장되는 하부덮개(48)가 형성된다.
상기 연장플레이트(42)와 상기 플레이트부(4)의 결합 시 상기 상부덮개(46)의 단부와 상기 하부덮개(48)의 단부가 상기 플레이트부(4)의 외측면에 맞닿아 고정된다.
상기 상부덮개(46)와 하부덮개(48)에 의해 상기 연장플레이트(42)의 후면 측에는 상기 블로워팬(58)으로부터 발생된 바람이 이동하는 통로인 덕트가 형성된다.
상기 제2에어덕트(50)는 중앙에 일정 크기의 마개홀(54)이 형성된 덕트플레이트(52)와, 상기 덕트플레이트(52)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수직하여 후방을 향해 일정 길이 연장되는 연장부(5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벽부(8)와 상기 제2에어덕트(50)의 결합 시 상기 연장부(56)의 단부가 상기 제1벽부(8)의 외측면에 맞닿아 고정된다.
상기 연장부(56)에 의해 상기 덕트플레이트(52)의 후면 측에는 상기 블로워팬(58)으로부터 발생된 바람이 이동하는 통로인 덕트가 형성된다.
상기 제1에어덕트(38)와 상기 제2에어덕트(50)는 서로 수직하는 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제1에어덕트(38)의 단부와 상기 제2에어덕트(50)의 전단이 맞닿도록 서로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1에어덕트(38)의 덕트와 상기 제2에어덕트(50)의 덕트가 서로 연통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덕트플레이트(52)의 전단 측 가장자리부에는 상기 연장부(56)가 형성되지 않는다.
상기 제1에어덕트(38)와 상기 제2에어덕트(50)가 상기 본체부(2)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제2에어덕트(50)는 상기 결합플레이트(40)와 평행이 된다.
상기 에어덕트(36)를 이용하여 상기 먼지가림막(28) 외부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상기 팬홀(44)을 통해 상기 블로워팬(58)의 전면으로 유입된 바람은 상기 블로워팬(58)의 회전에 의해 상기 블로워팬(58)의 일측에 형성된 배출홀(미도시)을 통해 상기 제1에어덕트(38)의 덕트 내부로 배출된다.
상기 바람은 상기 제1에어덕트(38)의 덕트 내부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2에어덕트(50)의 덕트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제2에어덕트(50)의 덕트 내부로 유입된 바람은 상기 마개부(22)의 외경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먼지가림막(28) 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먼지가림막(28) 외측면에 쌓인 이물질을 불어내게 된다.
즉, 상기 블로워팬(58)에 의해 상기 먼지가림막(28)의 외측면은 항상 깨끗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2에어덕트(50)에는 바람이 마개부(22)로 비스듬하게 인가되어 사이클론 형태의 유동을 가지게 하기 위한 복수개의 경사립이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경사립은 제2 에어덕트(50) 공기 배출구에 경사지게 결합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카메라 렌즈 커버 클리어링 장치는 상기 촬영부재(20)의 시야를 항상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어 축사나 산업현장과 같이 먼지와 이물질이 많은 장소에서도 깨끗한 시야의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나아가 상기 촬영부재(20)로부터 촬영되는 카메라 이미지를 활용하여 카메라 렌즈에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는지 학습하여 스스로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따라 렌즈 커버를 클리어링(에어 공급)할 수 있도록 카메라 내부 또는 별도의 구성으로 제어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즉, 제어부에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형태로 인공지능 학습 알고리즘이 내장될 수 있으며, 이를 활용하여 촬영되는 객체 이미지를 활용하여 제어부가 렌즈 이물질 포함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학습시킬 수 있다.
이때, 학습 알고리즘으로는, Fast R-CNN, R-FCN, YOLO(You only Look Once), 텐서플로(TensorFlow), SSD(Single Shot MultiBox Detector), 에이다부스트(AdaBoost), 서포트 벡터 머신(Support Vector Machine: SVM), 선형판별식 해석(Linear Disciminant Analysis: LDA), 주성분 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usis: PCA) 등의 알고리즘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알고리즘 기법들은 모두 외형에 기반하여 인식대상 영역을 식별하는 것으로, 트레이닝에 사용될 영상 이미지들의 집합에 의해 트레이닝된 모델을 이용해서 객체 및 주위 영역을 검출하며, 여러 주변의 제약 조건들이 트레이닝을 통해 극복되어지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객체 인식 정확도가 향상되어, 궁극적으로는 제어부가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카메라 성능이 아닌 렌즈 자체의 순수하게 이물질 포함 여부에 대해 판단할 수 있는 여건을 제공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 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 : 본체부 4 : 플레이트부
6 : 기어홀 8 : 제1벽부
10 : 제2벽부 14 : 기어
16 : 기어덮개 18 : 모터
20 : 촬영부재 22 : 마개부
24 : 삽입부 26 : 안착부
28 : 먼지가림막 30 : 투명회전부재
32 : 톱니부 34 : 커버부
36 : 에어덕트 38 : 제1에어덕트
40 : 결합플레이트 42 : 연장플레이트
44 : 팬홀 46 : 상부덮개
48 : 하부덮개 50 : 제2에어덕트
52 : 덕트플레이트 54 : 마개홀
56 : 연장부 58 : 블로워팬
60 : 제1홀 62 : 제2홀

Claims (9)

  1. 후면이 개방되며, 내부에 기어가 배치된 원통 형상의 본체부;
    링 형상이며, 전단 측 내경면에 상기 기어와 맞물리는 톱니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와 동축이 되도록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결합되는 투명회전부재;
    상기 본체부의 후면을 덮는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투명회전부재는 상기 기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본체부의 중심축에 대해 회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팬과 회전 투명 커버를 이용한 CCTV 카메라 렌즈 커버 클리어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기어를 외부로 드러내기 위한 기어홀이 형성된 원판 형상의 플레이트부;
    상기 플레이트부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수직하여 후방을 향해 일정 길이 연장되는 링 형상의 제1벽부;
    상기 플레이트부의 후면에서 상기 제1벽부의 내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벽부와 동축인 링 형상의 제2벽부;
    상기 기어홀을 막도록 상기 기어의 후방에 결합되는 기어덮개;
    상기 기어덮개의 후면에 결합되며, 상기 기어를 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플레이트부의 후면에서 상기 제2벽부의 내측에 결합되는 촬영부재;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팬과 회전 투명 커버를 이용한 CCTV 카메라 렌즈 커버 클리어링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회전부재는 상기 제1벽과 상기 제2벽 사이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과 회전 투명 커버를 이용한 CCTV 카메라 렌즈 커버 클리어링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벽부의 일측에는 상기 제1벽부를 관통하는 제1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2벽부의 일측에는 상기 제2벽부를 관통하는 제2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홀과 상기 제2홀은 서로 동축이며, 서로 동일한 형상 및 크기를 갖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팬과 회전 투명 커버를 이용한 CCTV 카메라 렌즈 커버 클리어링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홀에는 끼워맞춤되는 마개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과 회전 투명 커버를 이용한 CCTV 카메라 렌즈 커버 클리어링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는,
    상기 제1홀의 내부에 삽입되며, 내부가 빈 원통 형상의 삽입부;
    상기 삽입부의 전단 가장자리부로부터 후방을 향해 형성되며, 일정 각도의 경사면을 갖도록 일정 길이 연장되어 형성되고, 후단이 상기 제1벽부의 외측면에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삽입부의 전면을 막도록 형성되는 투명한 먼지가림막;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팬과 회전 투명 커버를 이용한 CCTV 카메라 렌즈 커버 클리어링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재는,
    상기 제1홀과 상기 제2홀을 통해 상기 본체부의 외부를 촬영하며,
    상기 투명회전부재와 상기 먼지가림막에 의해 외부 이물질로부터 보호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팬과 회전 투명 커버를 이용한 CCTV 카메라 렌즈 커버 클리어링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부의 전면에는 바람을 발생시키는 블로워팬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과 회전 투명 커버를 이용한 CCTV 카메라 렌즈 커버 클리어링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외측에는 상기 블로워팬으로부터 발생된 바람을 상기 먼지가림막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에어덕트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과 회전 투명 커버를 이용한 CCTV 카메라 렌즈 커버 클리어링 장치.
KR1020220022863A 2021-11-15 2022-02-22 팬과 회전 투명 커버를 이용한 cctv 카메라 렌즈 커버 클리어링 장치 KR2023007101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56829 2021-11-15
KR1020210156829 2021-11-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1012A true KR20230071012A (ko) 2023-05-23

Family

ID=86544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2863A KR20230071012A (ko) 2021-11-15 2022-02-22 팬과 회전 투명 커버를 이용한 cctv 카메라 렌즈 커버 클리어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7101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7996B1 (ko) 2018-08-31 2019-06-11 주식회사 비알인포텍 카메라 렌즈에 에어 커튼을 형성하는 산업용 cctv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7996B1 (ko) 2018-08-31 2019-06-11 주식회사 비알인포텍 카메라 렌즈에 에어 커튼을 형성하는 산업용 cctv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4342B1 (ko) 렌즈커버 청소장치가 구비된 감시카메라
US10960336B2 (en) Medical electronic apparatus
KR101736299B1 (ko) 공기 퍼지부를 구비한 산업용 cctv
US10070021B1 (en) Camera-covering accessory for a computer
US6229563B1 (en) Camera insertion into a furnace
US11575807B2 (en) Optical device field of view cleaning apparatus
DE69232663T2 (de) Rundumsichtausrichtungssystem mit bewegungsloser kamera
KR102306355B1 (ko) 환경오염 진단을 위한 오염물질 샘플링용 드론
KR20150110089A (ko) 렌즈전면부 이물질 제거장치를 갖는 무인감시 카메라
JP5940272B2 (ja) 撮像装置用エンクロージャ
KR20230071012A (ko) 팬과 회전 투명 커버를 이용한 cctv 카메라 렌즈 커버 클리어링 장치
KR20060049509A (ko) 스크레퍼 유닛을 구비한 모니터링 장치
JP2009053065A (ja) 粉塵撮影装置
JP2005295152A (ja) アクセサリ装置
US20230270097A1 (en) System for image based remote surveillance in an insect trap
JP5895263B2 (ja) 観察窓の汚れ防止装置
JPH04329510A (ja) 内視鏡
KR102542855B1 (ko) 관로 조사용 내시경 카메라
KR20190142706A (ko) 이물질 자동 제거 장치를 포함하는 감시카메라
CN211281508U (zh) 一种区域水环境监测无人机
JP3569829B2 (ja) 造粒・コーティング装置に用いられる撮影装置
ATE413561T1 (de) Vorrichtung zur abtastung und reinigung eines explosionsgeschützten gehäuses für einen überwachungsapparat, insbesondere für eine videokamera in einer explosionsgefährdeten umgebung
JP2014146973A (ja) 監視カメラ
KR101733712B1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산업용 cctv
KR102405928B1 (ko) 부단수 관로 촬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