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1024A -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의 제어 방법, 및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의 제어 방법, 및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1024A
KR20220061024A KR1020210149322A KR20210149322A KR20220061024A KR 20220061024 A KR20220061024 A KR 20220061024A KR 1020210149322 A KR1020210149322 A KR 1020210149322A KR 20210149322 A KR20210149322 A KR 20210149322A KR 20220061024 A KR20220061024 A KR 202200610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processing apparatus
displayed
image processing
mf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9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쇼다이 야노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61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10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06F3/1204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resulting in reduced user or operator actions, e.g. presetting, automatic actions, using hardware token storing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G06F3/1462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with means for detecting differences between the image stored in the host and the images displayed on the remote 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69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with enlargement of a selected area of the displayed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53Configuration of print job parameters, e.g. using UI at the cli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5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92Mobile client, e.g. wireless prin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74Output means outputting a plurality of functional options, e.g. scan, copy or pr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962Input arrangements for operating instructions or parameters, e.g. updating internal software
    • H04N1/00973Input arrangements for operating instructions or parameters, e.g. updating internal software from a remote device, e.g. receiving via the internet instructions input to a computer termin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3Remote input, i.e. interface arrangements in which the signals generated by a pointing device are transmitted to a PC at a remote location, e.g. to a PC in a LA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화상 처리 장치와 단말기가 화면을 연계 방식으로 표시하는 경우, 단말기에만 확대된 화면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단말기가 유저 조작을 접수하고, 단말기가 조작에 대한 정보를 그대로 화상 처리 장치에 송신하면, 유저가 의도하지 않은 처리가 행해질 가능성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단말기에만 확대된 화면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단말기가 유저 조작을 접수하는 경우, 단말기는 조작 정보를 그대로 화상 처리 장치에 송신하지 않는다.

Description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의 제어 방법, 및 저장 매체{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INFORMATION PROCESSING, AND STORAGE MEDIUM}
본 개시내용은 원격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RFB(Remote Frame Buffer) 프로토콜을 따르는 VNC(Virtual Network Computing)를 사용함으로써 개인용 컴퓨터(PC) 또는 휴대 단말기로부터 화상 처리 장치의 조작 화면을 원격으로 조작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VNC 서버 기능을 갖는 화상 처리 장치가 VNC 클라이언트 기능을 갖는 단말기에 조작 화면에 대한 화면 정보를 송신한다.
단말기는, 수신한 화면 정보에 기초하여 화상 처리 장치의 조작 패널에 표시되어 있는 조작 화면과 동일한 화면을 표시한다. 유저가 단말기에 표시된 화면을 조작할 때, 조작에 대한 정보가 단말기로부터 화상 처리 장치로 송신된다. 화상 처리 장치는 송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화면 천이 등의 처리를 행하고, 변경된 화면에 대한 정보를 단말기에 송신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단말기에 표시된 화면에 대해 조작을 행함으로써, 유저는 화상 처리 장치의 조작 패널을 조작하지 않고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조작 패널을 통해 로그인 조작을 행하고 화상 처리 장치가 처리를 행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공보 제2014-6668호는 단말기 및 화상 처리 장치가 연계 방식으로 화면을 표시할 때 사용되는 기술을 개시한다. 단말기가 단말기에 의해 접수될 수 있지만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해 접수될 수 없는 조작을 접수하는 경우, 단말기는 상기 조작에 대한 정보를 화상 처리 장치에 송신하지 않고 조작을 무효화한다. 단말기가 단말기 및 화상 처리 장치의 양자 모두에 의해 접수될 수 있는 조작을 접수하는 경우, 단말기는 조작에 대한 정보를 화상 처리 장치에 송신하여 조작을 유효화한다. 그러나, 단말기가 단말기와 화상 처리 장치의 양자 모두에 의해 접수될 수 있는 조작을 접수하고 단말기가 조작에 대한 정보를 그대로 화상 처리 장치에 송신하더라도, 단말기 상의 화면의 표시 형태에 따라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단말기와 화상 처리 장치 양자 모두가 드래그 조작을 접수할 수 있고 드래그 조작의 접수시 화면 천이를 행하도록 제어되는 예시적인 경우를 상정한다. 또한, 단말기와 화상 처리 장치가 화면 연계를 행하고, 단말기만이 현재 확대 화면을 표시하는 상태를 상정한다. 이 상태에서, 단말기 상에서의 유저의 드래그 조작의 접수는, 단말기 상에서는 화면이 확대되어 있기 때문에, 유저 드래그 조작이 확대된 표시 영역을 이동시키려고 의도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그러나, 단말기가 단말기 상에서의 드래그 조작을 접수했을 때 드래그 조작에 대한 정보를 그대로 화상 처리 장치에 송신하는 경우, 화면 천이가 행해지고 유저의 의도와는 상이한 처리가 일어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는, 단말기와 화상 처리 장치가 화면 연계를 행하는 경우에, 단말기 상에서의 화면의 표시 형태를 고려하여, 유저로부터 접수된 조작에 기초하여 유저가 의도하는 처리를 행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화상 처리 장치와 통신하는 정보 처리 장치를 위한 방법은 상기 화상 처리 장치의 표시 유닛에 표시되며, 상기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한 표시 제어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화면에 대응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및 표시된 상기 화면에서 미리결정된 유저 조작이 접수되면, 상기 미리결정된 유저 조작에 대응하는 조작 정보를 상기 화상 처리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표시된 상기 화면의 표시 형태가 변경된 상태에서, 상기 화면에서 상기 미리결정된 유저 조작이 접수되는 경우, 상기 미리결정된 유저 조작에 대응하는 상기 조작 정보는 상기 화상 처리 장치에 송신되지 않는다.
본 개시내용의 추가적인 특징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복합기(MFP)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는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MFP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은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MFP의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은 제2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다른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조작 패널에서 표시되는 유저 인터페이스(UI)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와 MFP의 조작 패널에서 표시되는 UI를 도시한다.
도 11은 제2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와 MFP의 조작 패널에 표시되는 UI를 도시한다.
도 12는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와 MFP의 조작 패널에서 표시되는 UI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제3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와 MFP의 조작 패널에서 표시되는 UI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제3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와 MFP의 조작 패널에서 표시되는 UI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본 개시내용을 한정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특징의 모든 조합이 본 개시내용의 해결책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구성>
먼저,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정보 처리 장치의 예로서 휴대 단말기(100) 및 복합기(MFP)(110)를 설명하지만, 정보 처리 시스템에 포함되는 장치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휴대 단말기(100)와 MFP(110)는 LAN(Local Area Network)에 접속되며 서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는 액세스 포인트(120)를 통해서 LAN에 접속된다.
휴대 단말기(100)는 MFP(110)를 원격 제어하기 위해 VNC(Virtual Network Computing) 클라이언트 기능을 갖는다. 더 구체적으로는, 휴대 단말기(100)는 RFB(Remote Frame Buffer) 프로토콜을 따르는 VNC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를 갖는다. 휴대 단말기(100)는, MFP(110)에 대하여 VNC 링크를 확립하고, MFP(110)의 조작 패널에 표시된 화면을 휴대 단말기(100) 상에 표시한다. MFP(110)가 VNC 서버 기능을 갖고 VNC 링크가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확립되는 경우, MFP(110)는 화면 정보를 VNC 클라이언트인 휴대 단말기(100)에 송신한다. 휴대 단말기(100)는 송신된 화면 정보에 기초하여 화면을 묘화한다. 묘화된 화면 상에서 접수된 조작 및 MFP(110) 상에서 접수된 조작에 기초하여 휴대 단말기(100)와 MFP(110)의 표시 유닛에 표시되는 화면이 변경되도록 화면 연계가 행해진다.
이어서, 도 2를 참고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하드웨어 구성을 설명한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개인용 컴퓨터(PC)인 것으로 상정되며, MFP(110)와 통신할 수 있는 다른 정보 처리 장치일 수 있다.
중앙 처리 유닛(CPU)(201)은 리드 온리 메모리(ROM)(202)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처리를 실행한다. ROM(202)은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203)는 CPU(201)의 주 메모리 및 워크 에어리어 같은 일시 저장 영역으로서 사용된다. 스토리지(204)는, 예를 들어 화상 데이터 및 전자 문서 같은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eMMC(embedded Multi Media Card), SSD(Solid State Disk), 또는 HDD(Hard Disk Drive)이다. OS(Operating System)(350)(후술함) 및 MFP 애플리케이션(300) 또한 스토리지(204)에 저장되어 있다. RTC(Real Time Clock)(205)은 시간을 측정한다.
휴대 단말기(100)에서는, 1개의 CPU(201)가 흐름도(후술함)에 나타내는 각각의 처리를 행하지만, 다른 모드도 적용가능하다. 예를 들어, 복수의 CPU가 협동해서 흐름도(후술함)에 나타내는 각각의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조작 패널(206)은, 유저의 터치 조작을 검출하는 터치 패널 기능을 구비하고, OS(350) 및 MFP 애플리케이션(300)에 의해 제공되는 다양한 화면을 표시한다. 유저는 조작 패널(206)에 터치 조작을 행함으로써 휴대 단말기(100)에 원하는 조작 지시를 입력할 수 있다.
스피커(207)와 마이크로폰(208)이, 예를 들어 다른 휴대 단말기 및 유선 전화에 전화 호출을 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카메라(209)는 유저로부터의 촬상 지시에 응답하여 촬상을 행한다. 카메라(209)에 의해 촬상된 화상은, 스토리지(204)의 미리결정된 영역에 저장된다. 무선 통신 유닛(211)은 무선 LAN(local area network) 같은 무선 통신을 행한다.
이어서, 도 3을 참고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설명한다. 도 3은, CPU(201)가 ROM(202) 및 스토리지(204)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되는 소프트웨어 기능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OS(350)는 휴대 단말기(10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소프트웨어이다. 휴대 단말기(100)에는, MFP 애플리케이션(300)(후술함)을 포함하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OS(350)는 이들 애플리케이션과 정보를 교환하고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받은 지시에 응답하여 조작 패널(206)에 표시되는 화면을 변경한다. OS(350)는, 다양한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디바이스 드라이버 군을 구비하고, OS 상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에 다양한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이용하기 위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제공한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예를 들어 디바이스 드라이버 군은 무선 LAN 제어 유닛(351)에 대응한다. 무선 LAN 제어 유닛(351)은 무선 통신 유닛(211)을 제어하기 위한 디바이스 드라이버이다.
MFP 애플리케이션(300)은 휴대 단말기(1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다. MFP 애플리케이션(300)은 MFP(110)에 인쇄 지시 및 스캔 지시를 발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100)는 VNC 클라이언트로서 동작하고, MFP(110)의 조작 화면을 표시하고 MFP(110)를 원격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다. 휴대 단말기(100)에는, MFP 애플리케이션(300)의 이외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이들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MFP 애플리케이션(300)의 구성에 대해서 이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화면 제어 유닛(301)은, OS(350)를 통해서 조작 패널(206)에 표시되는 화면을 제어한다. 화면 제어 유닛(301)은 MFP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조작 패널(206)에 표시한다. 화면 제어 유닛(301)은, 조작 패널(206)을 통해서 유저가 입력한 조작 지시를 접수한다. 통신 유닛(302)은, OS(350)를 통해서 무선 통신 유닛(211)에 의한 무선 통신을 제어하여, MFP(110) 및 다른 외부 장치와 정보를 송수신한다.
디바이스 검색 제어 유닛(311)은, 휴대 단말기(100)와 접속되는 외부 장치를 검색하기 위해 사용되는 검색 데이터를 생성하고, 데이터를 무선 통신 유닛(211)을 통해서 LAN(10) 상의 장치에 송신한다. 그리고, 디바이스 검색 제어 유닛(311)은 검색에 응답하는 외부 장치로부터의 응답을 수신한다. 검색 데이터는, LAN(10) 상의 모든 외부 장치에 브로드캐스트될 수 있거나 하나의 외부 장치에 어드레스를 지정해서 송신될 수 있다.
인쇄 작업 생성 유닛(305)은 인쇄 작업을 생성한다. 인쇄 작업 생성 유닛(305)에 의해 생성된 인쇄 작업은, 무선 통신 유닛(211)에 의해 MFP(110)에 송신된다. MFP(110)는 수신된 인쇄 작업에 응답하여 인쇄를 행한다.
스캔 작업 제어 유닛(307)은, 무선 통신 유닛(211)을 통해서 MFP(110)에 스캔 지시를 송신한다. MFP(110)는 당해 지시에 응답하여 스캔을 행하고 스캔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스캔 데이터)를 휴대 단말기(100)에 송신한다. 휴대 단말기(100)는 수신된 스캔 데이터를 표시한다. 스캔 데이터가 저장되는 경우, 이것은 애플리케이션 저장 유닛(306)에 저장된다. 저장된 스캔 데이터는 문서 관리 유닛(308)에 의해 관리된다.
원격 조작 유닛(313)은, VNC 링크에 접속되어 있는 MFP(110)로부터 취득된 화면 정보를 기초하여 화면을 표시하고, 표시된 화면 상에서 행해진 조작을 접수한다. 즉, 원격 조작 유닛(313)은 VNC 클라이언트로서 동작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원격 조작 유닛(313)은 VNC 서버로부터 수신한 화면 정보에 기초하는 화면을 표시하고, 표시된 화면 상에서 접수된 조작의 위치 및 종류를 포함하는 조작 정보를 MFP(110)에 송신한다. MFP(110)는, 수신된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MFP(110)에 표시되는 화면 및 휴대 단말기(100)에 현재 표시되는 화면을 변경한다. 애플리케이션 저장 유닛(306)은 MFP 애플리케이션(300)에 의해 생성된 다양한 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타이머 유닛(304)이 시간을 측정한다.
도 4는 MFP(110)의 예시적인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MFP(110)는, ROM(3030) 또는 하드 디스크 같은 대규모 저장 장치(311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CPU(3020)를 포함한다. CPU(3020)는 시스템 버스(3010)에 접속되는 디바이스를 총괄적으로 제어한다.
RAM(3040)은 CPU(3020)의 주 메모리 및 워크 에어리어로서 기능한다. PANELC(3060)는 하드 키패드(3120)로부터 입력되는 지시를 제어하는 외부 입력 컨트롤러이거나 또는 PANEL(3070)은 복합기에 제공되는 터치 패널이다. DISPC(3080)은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표시 모듈인 DISPLAY(3090)의 표시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컨트롤러이다. DKC(3100)는 대규모 저장 장치(HD)(3110)를 제어하는 디스크 컨트롤러이다.
도 10에서 화면(1000)을 참고해서 MFP(110)의 조작 유닛에 대해서 설명한다. DISPLAY(3090)에 화면이 표시되며, DISPLAY(3090) 옆에 하드 키패드(3120)가 배치된다. DISPLAY(3090) 상의 PANEL(터치 패널)(3070) 및 하드 키패드(3120)의 양자 모두에 의해 유저 조작이 접수될 수 있다. 유저가 MFP(110)에 유저가 로그인한 상태에서 하드 키패드(3120)에서 로그아웃 키(1001)를 누르면, 이 키는 MFP(110)가 로그아웃 처리를 행하도록 지지한다.
도 4의 MFP(110)의 하드웨어 구성에 대해서 다시 설명한다. NIC(Network Interface Card)(3050)은 네트워크(10)를 통해서 외부 장치(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 또는 파일 서버와 쌍방향 데이터 교환을 행한다. WLAN(3400)은 액세스 포인트와 접속되거나 또는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서 동작함으로써 MFP(110)를 액세스 포인트로서 동작시켜서 휴대 단말기(100)와 직접 무선 통신 링크를 확립할 수 있게 하는 무선 통신 모듈이다. 프린터(3200)는 전자 사진 방식을 이용하여 종이에 인쇄를 실현하는 인쇄 유닛이다. 인쇄 방법은 반드시 전자 사진 방식일 필요는 없을 수 있다. 스캐너(3300)는 종이에 인쇄된 화상을 판독하는 화상 판독 유닛이다. 많은 경우에, 자동 문서 공급기(ADF)(도시되지 않음)가 복수의 문서를 자동으로 판독할 수 있게 하는 옵션으로서 스캐너(3300)에 부착된다. 일부 경우에, HD(3110)는 또한 화상을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MFP(110)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예를 들어, 본 소프트웨어는 ROM(3030)에 저장되고 CPU(3020)에 의해 실행된다.
유저 인터페이스(UI) 처리 유닛(510)은, 외부 입력 컨트롤러(PANELC)(3060)로부터의 입력 또는 조작 정보 수신 유닛(522)(후술함)으로부터 수신된 조작 정보를 해석한다. 화면 변경이 필요할 경우에는, UI 처리 유닛(510)은 화면 데이터를 생성하고 데이터를 DISPLAY(3090)에 표시한다.
DISPLAY(3090)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양한 화면을 표시한다. DISPLAY(3090)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는 식별자(ID) 카드 로그인 화면(1020), 키패드 로그인 화면(1010), 로그인 동작 동안 표시되는 메뉴 표시 화면(1030), 에러 발생 시에 표시되는 에러 화면(도시되지 않음), 및 카운터 정보를 표시하는 카운터 화면(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MFP(110)가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에는 DISPLAY(3090)는 표시되지 않는다.
ID 카드 로그인 화면(1020)은 유저 정보와 연계된 ID 카드로 MFP(110)에 로그인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 화면이 표시되는 동안 유저가 MFP(110)의 ID 카드 판독기 위에 ID 카드를 들로 있는 경우, 유저 정보가 판독되고 로그인 처리가 행해진다. 유저가 키패드 로그인 화면 변경(키패드 로그인으로) 버튼(1021)을 누르면, 키패드 로그인 화면(1010)이 나타난다.
키패드 로그인 화면(1010)은, 키패드(3120)를 사용하여 유저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MFP(110)에 로그인하기 위해 사용된다. 유저가 하드 키패드(3120) 또는 소프트 키패드(도시되지 않음)를 사용하여 유저명 입력란(1011) 및 패스워드 입력란(1012)을 채우고 그 후 로그인 버튼(1013)을 누르면, MFP(110)가 로그인 처리를 행한다. 유저가 ID 카드 로그인 변경(ID 카드 로그인으로) 버튼(1014)을 누르면, ID 카드 로그인 화면(1020)이 나타난다.
메뉴 표시 화면(1030)은, 유저가 키패드 로그인 화면(1010) 또는 ID 카드 로그인 화면(1020)을 통해서 MFP(110)에 로그인한 후에 나타난다. 유저는 용도에 대응하는 카피 버튼(1031), 스캔 버튼(1032) 및 인쇄 버튼(1033)을 누름으로써 MFP(110)의 다양한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메뉴 화면은 복수 페이지를 포함한다. 유저가 로그아웃 버튼(1034)을 누르면, MFP(110)는 로그아웃 처리를 행한다. 다음 버튼(1036)은 메뉴 화면을 다음 페이지로 변경한다. 전 버튼(1035)은 메뉴 화면을 전 페이지로 변경한다. 드래그 또는 플릭(flick) 조작을 통해서도 페이지 천이를 행할 수 있다.
원격 조작 처리 유닛(520)은, 접속 처리 유닛(523), 조작 정보 수신 유닛(522), 및 화면 송신 유닛(521)을 포함한다. 원격 조작 처리 유닛(520)은, RFB 프로토콜을 따르는 통신을 행하는 VNC 서버 모듈, 즉 VNC 클라이언트로서 동작하는 휴대 단말기(100)와 네트워크를 통해서 통신하는 소프트웨어 모듈이다. 접속 처리 유닛(523)은, MFP(110) 및 VNC 클라이언트인 휴대 단말기(100)로부터의 접속 요구를 접수하면 접속 처리를 행하고, 그로부터 접속해제 요구를 접수하면 접속해제 처리를 행한다.
조작 정보 수신 유닛(522)은, 휴대 단말기(100) 및 MFP(110)로부터 화면 조작 정보를 수신하고, UI 처리 유닛(510)에 정보를 통지한다. 화면 송신 유닛(521)은, UI 처리 유닛(510)이 생성한 화면 데이터를 RAM(3040)으로부터 판독하고, 화면 데이터를 VNC 클라이언트인 휴대 단말기(100)에 송신하여 화면 표시 제어를 행하는 표시 제어 유닛이다.
로그인 처리 유닛(530)은 MFP(110)의 로그인 처리를 행하는 모듈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로그인 처리 유닛(530)은, UI 처리 유닛(510)으로부터 수신된 유저 정보에 기초하여 유저 인증을 행하고, 유저 인증의 성공적인 완료 시 로그인 동작을 행한다. UI 처리 유닛(510)으로부터 로그아웃 지시를 접수한 경우, 로그인 처리 유닛(530)은 로그아웃 처리를 행한다. 네트워크 제어 유닛(500)은 NIC(3050)을 제어하는 모듈이다. 다른 모듈(도시되지 않음)은 프린터(3200)를 제어하는 프린터 모듈 및 스캐너(3300)을 제어하는 스캐너 모듈을 포함한다.
도 9a 및 도 9b는 휴대 단말기(100)의 조작 패널(206)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를 나타낸다. 휴대 단말기(100)가 기동되면, 홈 화면(910)이 나타난다. MFP 애플리케이션 아이콘(911)은 MFP 애플리케이션(300)을 기동하기 위한 아이콘이다. 유저가 MFP 애플리케이션 아이콘(911)을 조작하면, 대응하는 MFP 애플리케이션(300)이 기동된다.
MFP 애플리케이션(300)이 기동되면, 애플리케이션 홈 화면(아직 디바이스가 선택되지 않음)(920)이 나타난다. 선택된 디바이스 아이콘(921)은, MFP 애플리케이션(300)이 현재 통신하고 있는 MFP, 및 작업 송신 대상 MFP(이후, 대상 MFP라 칭함)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대상 MFP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프린터 없음"이 표시된다. 디바이스 검색 버튼(923)은 대상 MFP를 검색하기 위해 사용된다. 원격 조작 버튼(922)은 VNC 링크를 확립하여 대상 MFP를 원격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다. 애플리케이션 홈 화면(820)은, 대상 MFP에 인쇄 작업을 송신하기 위한 인쇄 버튼(924) 및 스캔 지시를 발행하기 위한 버튼을 표시할 수 있다.
유저가 디바이스 검색 버튼(923)을 누르면,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MFP가 검색되고, 검색 결과로서 디바이스 검색 화면(930)이 나타난다. 디바이스 검색 화면(930)은 검색에 응답한 MFP의 일람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대상 MFP는 유저가 검색 결과 중 1개인 검색 결과(931)를 선택할 때 선택된다.
대상 MFP가 선택되면, 애플리케이션 홈 화면(디바이스 선택됨)(940)이 나타난다. 선택된 디바이스 아이콘(921)은 디바이스 검색 화면(930)에서 선택된 MFP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대상 MFP가 현재 선택된 상태에서 유저가 원격 조작 버튼(922)을 탭하면, 대상 MFP의 원격 제어 기능이 기동된다. 대상 MFP가 MFP(110)라는 전제 하에 다음 설명을 행한다.
원격 제어 기능이 기동되면, 디바이스 접속 화면(950)이 나타난다. 유저가 하드 키패드 표시 버튼(951)을 누르면, MFP(110)의 하드 키패드(3120)를 조작하기 위한 UI가 나타난다. 상세는 후술한다.
VNC 링크가 확립되고 원격 제어 기능이 가능해지면, MFP(110)의 DISPLAY(3090)에 표시되어 있는 화면이 조작 패널(206)에 나타난다. 이 경우, 키패드 로그인 화면(1010)과 동일한 키패드 로그인 화면(960)이 나타난다. 키패드 로그인 화면(960)은 하드 키패드 표시 버튼(951)이 조작 패널(206)에 표시되는 것을 제외하고 MFP(110)의 키패드 로그인 화면(1010)과 동일한 내용을 표시하며,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MFP(110)가 현재 ID 카드 로그인 화면(1020)을 표시하고 있는 경우, ID 카드 로그인 화면(965)이 나타난다.
키패드 로그인 화면(960)을 통해 로그인 지시가 발행되면, 메뉴 표시 화면(1030)과 동일한 메뉴 표시 화면(970)(하드 키패드 표시되지 않음)이 나타난다. 메뉴 표시 화면(1030)도 DISPLAY(3090)에 표시된다.
유저가 하드 키패드 표시 버튼(951)을 탭하면, 메뉴 표시 화면(하드 키패드 표시됨)(975)이 나타난다. 더 구체적으로는, MFP(110)의 하드 키패드(3120)의 처리가 각각 할당된 소프트웨어 키패드가 나타난다. 하드 키패드 UI(977)는 MFP(110)의 하드 키패드(3120)를 조작하기 위한 UI이다. 유저가 하드 키패드 UI(977)에 표시되어 있는 버튼을 탭하면, 누른 키에 대한 키 정보가 MFP(110)에 송신된다. MFP(110)는 누른 키에 기초하여 처리를 행한다. 유저가 MFP(110)의 로그아웃 키(1001)에 대응하는 로그아웃 키(979)를 누르면, 유저는 MFP(110)로부터 로그아웃한다. 유저가 하드 키패드 UI(977)의 상부의 종료 버튼(978)을 탭하면, 원격 제어 기능이 종료되는데, 즉 VNC 링크가 종료된다. VNC 링크가 종료되면, 조작 패널(206)에는 애플리케이션 홈 화면(디바이스 선택됨)(940)이 나타난다. VNC 링크가 종료될 때, DISPLAY(3090)에는 VNC 링크를 종료하기 전에 표시된 화면이 계속해서 표시된다.
도 11은 휴대 단말기(100)가 메뉴 표시 화면(970)을 표시하고 있는 상태에서 유저가 드래그 조작을 행할 때의 휴대 단말기(100)와 MFP(110)의 예시적인 화면을 나타낸다. 메뉴 표시 화면(드래그 전)(1110)은, MFP(110)로부터 송신된 화면 정보에 기초하여 휴대 단말기(100)에 표시된다. 메뉴 표시 화면(드래그 전)(1110)은, MFP(110)로부터 수신된 화면 정보에 기초하여 전체 화면이 표시되도록, 확대되지 않은 디폴트 상태 화면이다. 이 상태(디폴트 화면 상태)에서는, MFP(110)로부터 송신된 화면은, 화면 크기가 휴대 단말기(100)의 조작 패널(206)의 수평 및 수직 길이에 맞춰지도록, 그대로 표시된다.
유저가 메뉴 표시 화면(드래그 전)(1110)에서 드래그 조작(1111)을 행하면, 휴대 단말기(100)는 드래그 조작을 나타내는 조작 정보를 MFP(110)에 송신하고 다음 페이지의 메뉴 화면인 메뉴 표시 화면(1120)(드래그 후)을 표시한다. 이때, MFP(110)도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다음 페이지인 메뉴 화면(1130)(드래그 후)을 표시한다. 메뉴 표시 화면(드래그 후)(1120)은 팩스 버튼(1121), BOX 버튼(1122), 및 스캔 및 송신 버튼(1123)을 표시한다. 유저가 각각의 버튼을 누르면, 대응하는 처리의 화면이 나타난다. 마찬가지로, MFP(110) 상에 메뉴 표시 화면(1030)이 표시되는 동안 MFP(110) 상에서 드래그 조작을 접수한 경우, 휴대 단말기(100)는 메뉴 표시 화면(1120)(드래그 후)을 표시하고, MFP(110)는 메뉴 화면(1130)(드래그 후)을 표시한다. 이 경우, MFP(110)가 메뉴 표시 화면(1030)을 표시하는 동안 유저로부터 드래그 조작을 접수하면, 드래그 조작이 페이지 천이를 행하기 위한 처리에 할당된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100) 상에서 MFP(110)가 원격 제어되는 동안 휴대 단말기(100)에서 드래그 조작이 접수되면, 페이지 천이가 행해질 수 있다.
도 12는 휴대 단말기(100)에서 메뉴 표시 화면(970)이 확대되어 있는 상태에서 드래그 조작이 행해질 때의 휴대 단말기(100)와 MFP(110)의 화면을 나타낸다.
메뉴 표시 화면(1110)(드래그 전)을 표시하는 휴대 단말기(100)에서 유저로부터 핀치 아웃(pinch-out) 및 더블 탭(double-tap) 같은 화면 확대 조작이 접수되면 휴대 단말기(100)에 메뉴 표시 화면(1210)(확대된 표시, 드래그 전)이 나타난다. 화면 확대 조작 정보는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MFP(110)에 송신되지 않는다. 이는, MFP(110)에서는, 메뉴 표시 화면(1030)이 표시되는 동안 화면을 확대하는 처리에 드래그 조작이 할당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메뉴 표시 화면(1110)(드래그 전)을 표시하는 휴대 단말기(100) 상에서 유저로부터 화면 확대 조작을 접수하면, 휴대 단말기(100)는 확대된 메뉴 표시 화면(1210)을 표시하며 MFP(110)는 확대되지 않은 메뉴 표시 화면(1030)을 표시한다.
메뉴 표시 화면(1210)(확대된 표시, 드래그 전)에서 유저로부터 드래그 조작(1211)을 접수하면, 휴대 단말기(100)는 확대된 표시 영역에서의 이동 조작 후의 메뉴 표시 화면(1220)(확대된 표시, 드래그 후)을 표시한다. 이때, 휴대 단말기(100)는 드래그 조작(1211)에 대한 조작 정보를 MFP(110)에 송신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MFP(110)는 메뉴 표시 화면(1030)과 마찬가지인 메뉴 화면(1230)(드래그 후)을 계속 표시하고 있다. 휴대 단말기(100) 상에서 메뉴 화면이 확대되어 있는 상태에서 유저가 드래그 조작을 행하는 경우, 유저는 확대된 표시 영역을 드래그 방향으로 이동시키기를 원하는 것이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100)는 조작 정보를 MFP(110)에 송신하지 않고 휴대 단말기(100) 자체에서 표시 영역을 변경하는 처리를 행한다. 메뉴 화면이 확대되어 있는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100)가 유저로부터 드래그 조작을 접수하고 그 후 드래그 조작에 대한 조작 정보를 MFP(110)에 송신하면, MFP(110)는 드래그 조작이 페이지 천이를 행하기 위한 처리에 할당되기 때문에 메뉴 화면에서 페이지 천이를 행한다. 따라서, MFP(110)는 유저의 의도와 상이한 처리를 행할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화면이 확대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100)가 드래그 조작 같은 페이지 천이 조작을 접수하면, 휴대 단말기(100)가 조작 정보를 MFP(110)에 송신하지 않고 화면 표시를 자체적으로 변경함으로써 유저의 의도에 따른 처리를 가능하게 한다. 휴대 단말기(100)가 확대된 화면을 표시하고 있는 동안에도, 휴대 단말기(100)에서 전 버튼(1035) 및 다음 버튼(1036)에 대응하는 위치가 눌러지면 페이지 천이가 행해질 수 있다.
도 6은 휴대 단말기(100)가 MFP(110)와 VNC 링크를 확립하고, 유저가 원격 제어를 행할 때의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의 흐름도에 나타내는 각각의 단계는, CPU(201)가 ROM(202) 같은 메모리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을 RAM(203)에 로딩한 후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실행된다.
단계 S601에서, 홈 화면(910)에서 MFP 애플리케이션 아이콘(911)이 탭된 것을 CPU(201)가 검지하면, CPU(201)는 대응하는 MFP 애플리케이션(300)을 기동한다. 단계 S602에서는, 애플리케이션 홈 화면(920)(디바이스 선택되지 않음)에서 디바이스 검색 버튼(923)이 탭된 것을 화면 제어 유닛(301)이 검지하고, CPU(201)가 MFP 검색을 행한다. 단계 S603에서는, CPU(201)는 디바이스 검색 화면(930)에서 MFP가 선택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MFP가 선택된 경우(단계 S603에서 예), CPU(201)는 애플리케이션 홈 화면(디바이스 선택됨)(940)으로의 화면 천이를 행하고 처리는 단계 S604로 진행한다. 한편, MFP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단계 S603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 S603의 처리를 반복한다.
단계 S604에서는, CPU(201)는 애플리케이션 홈 화면(940)(디바이스 선택됨)에서 원격 조작 버튼(922)이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원격 조작 버튼(922)이 선택된 경우(단계 S604에서 예), 처리는 단계 S605로 진행된다. 한편, 원격 조작 버튼(922)이 선택되지 않은 경우(단계 S604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 S604의 처리를 반복한다.
단계 S605에서는, CPU(201)는 단계 S604에서 선택된 MFP에 RFB 프로토콜을 따르는 접속 요구를 발행한다. 단계 S606에서는, CPU(201)는 접속 요구가 접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접속 요구가 접수된 경우(단계 S606에서 예), 처리는 단계 S607로 진행된다. 한편, 접속 요구가 접수되지 않은 경우(단계 S606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 S620로 진행된다. CPU(201)는 접속 요구에 대한 응답 데이터에 기초하여 접속 요구가 접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620에서는, 화면 제어 유닛(301)는 접속 거부 에러 화면(980)을 표시하고, CPU(201)는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 S607에서는, CPU(201)는 RFB 프로토콜을 따르는 초기화 처리를 행한다. 초기화 처리에서는, 원격 조작 유닛(313)은 VNC 클라이언트 정보를 송신하고 VNC 서버 정보를 수신한다.
단계 S608에서는, 원격 조작 유닛(313)은 MFP(110), 즉 VNC 서버로부터 송신된 화면 정보를 수신한다. 단계 S609에서는, 화면 제어 유닛(301)은 수신된 화면 정보 및 화면 제어 유닛(301)에 의해 생성된 화면 정보에 기초하여 조작 패널(206)에 화면을 묘화한다. 예를 들어, DISPLAY(3090)에 키패드 로그인 화면(1010)이 표시되어 있는 경우, 키패드 로그인 화면(960)은 조작 패널(206)에 표시된다. MFP(110)로부터 화면 정보가 송신될 때마다, CPU(201)는 단계 S609에서 화면을 연속적으로 표시한다.
단계 S610에서는, 원격 조작 유닛(313)은 조작 패널(206)로부터 입력 조작이 접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입력 조작이 접수된 경우(단계 S610에서 예), 처리는 단계 S611로 진행된다. 한편, 입력 조작이 접수되지 않은 경우(단계 S610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 S610의 처리를 반복한다.
단계 S611에서는, 화면 제어 유닛(301)은 단계 S610에서 접수된 조작이 화면 확대 조작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화면 확대 조작의 예는 핀치 아웃 및 더블 탭을 포함한다. 수신된 조작이 화면 확대 조작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단계 S611에서 예), CPU(201)는 조작 정보를 MFP(110)에 송신하지 않고 처리는 단계 S609로 복귀한다. 단계 S609에서, 화면 제어 유닛(301)은 확대된 화면을 표시한다. 한편, 수신된 조작이 화면 확대 조작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단계 S611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 S612로 진행된다.
단계 S612에서는, 화면 제어 유닛(301)은 단계 S610에서 접수된 조작이 드래그 조작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수신된 조작이 드래그 조작이라고 판단되는 경우(단계 S612에서 예), 처리는 단계 S613으로 진행된다. 한편, 수신된 조작이 드래그 조작이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단계 S612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 S614로 진행된다. 단계 S613에서는, CPU(201)는 조작 패널(206)에 표시되어 있는 화면이 확대된 형태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화면이 확대된 형태에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단계 S613에서 예), 처리는 단계 S630으로 진행된다. 한편, 화면이 확대된 형태에 있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단계 S613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 S614로 진행된다. 예를 들어, 조작 패널(206)에 메뉴 표시 화면(1210)이 표시되어 있는 경우, 화면은 확대되어 있다고 판단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이 경우에는, CPU(201)는 MFP(110)로부터 수신된 화면이 그 화면이 그대로 표시되는 디폴트 상태로부터 확대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630에서는, 화면 제어 유닛(301)은 현재의 확대율(디폴트 화면 표시 형태에 대응하는 확대율) 및 접수된 드래그 조작의 이동량에 기초하여 표시 영역을 계산한다. 단계 S609에서는, 화면 제어 유닛(301)은 확대되는 영역을 변경한 화면을 표시한다. 이때, 드래그 조작을 나타내는 조작 정보는 MFP(110)에 송신되지 않는다.
단계 S614에서는, 원격 조작 유닛(313)이 단계 S610에서 접수된 조작에 대응하는 조작 정보를 MFP(110)에 송신한다. 단계 S610에서 접수된 조작이 원격 제어 종료 조작, 즉 VNC 링크 종료 조작인 경우, 원격 조작 유닛(313)은 VNC 링크 접속해제 요구를 MFP(110)에 송신한다.
전술한 흐름도에 따라, MFP(110)가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원격 제어되는 경우, 휴대 단말기(100) 상에서 화면이 확대되어 있는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100)에서 드래그 조작이 접수되는 경우에도, 휴대 단말기(100)는 드래그 조작에 대한 조작 정보를 MFP(110)에 송신하지 않는다. 이는 유저가 의도하지 않은 페이지 천이가 행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드래그 조작이 접수될 때에 화면이 확대된 형태에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단계 S613에서 예), 처리는 단계 S630으로 진행된다. 단계 S630에서는, 휴대 단말기(100)에서만 화면 표시가 변경된다. 한편, 화면이 확대된 형태에 있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단계 S613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 S614로 진행된다. 단계 S614에서는, 휴대 단말기(100)는 드래그 조작을 나타내는 조작 정보를 MFP(110)에 송신한다. 즉, 휴대 단말기(100)는 화면이 확대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조작 정보를 MFP(110)에 송신할지 여부를 선택한다. 그러나, 이 제어는 화면이 확대되어 있는지 여부의 판단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는, MFP(110)로부터 송신된 화면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되는 화면이 현재 크기가 축소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조작 정보를 MFP(110)에 송신할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즉, 휴대 단말기(100)는 휴대 단말기(100)에서의 표시 화면의 상태에 기초하여 조작 정보를 MFP(110)에 송신할지 여부를 선택한다.
전술한 예에서는, 휴대 단말기(100)는 화면 확대 조작의 접수 시에 조작 정보를 MFP(110)에 송신하지 않지만, 휴대 단말기(100)는 조작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MFP(110)는 수신된 조작 정보에 대응하는 처리가 없는 상태의 수신된 조작 정보를 갖기 때문에, MFP(110)는 조작 정보를 처리하지 않고 조작 정보를 무효화한다. 전술한 예에서는, 단계 S611에서 휴대 단말기(100)에서 화면 확대 조작을 접수하면, 조작 정보를 MFP(110)에 송신하지 않고 휴대 단말기(100)만이 확대된 화면을 표시한다. 그러나, 처리는 화면 확대 조작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핀치 인(pinch-in) 같은 화면 축소 조작을 접수하면, 휴대 단말기(100)는 조작 정보를 MFP(110)에 송신하지 않고 축소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위에서 페이지 천이 조작의 일례로서 드래그 조작을 설명하였지만, 페이지 천이 조작의 예는 플릭, 스와이프(swipe), 및 지시 대상을 이동시키는 다른 조작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MFP(110)가 휴대 단말기(100)와 VNC-기반 화면 연계를 행할 때의 MFP(110)의 처리를 나타낸다. 도 7의 흐름도에 나타내는 각각의 단계는, CPU(3020)가 ROM(3030) 같은 메모리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을 RAM(3040)에 로딩한 후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실행된다.
단계 S701에서는, 접속 처리 유닛(523)은 VNC 클라이언트인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VNC 링크 요구가 접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VNC 링크 요구가 접수되는 경우(단계 S701에서 예), 처리는 단계 S702로 진행된다. 한편, VNC 링크 요구가 접수되지 않는 경우(단계 S701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 S701의 처리를 반복한다. 단계 S702에서는, 접속 처리 유닛(523)은 협상 처리(negotiation processing)를 행하여 VNC 클라이언트와 접속한다. 단계 S703에서는, 접속 처리 유닛(523)은 초기화 처리를 행하고, 클라이언트 정보를 수신하며, 서버 정보를 송신한다.
단계 S704에서는, 화면 송신 유닛(521)은 DISPLAY(3090)에 현재 표시되어 있는 화면을 VNC 클라이언트인 휴대 단말기(100)에 송신한다.
단계 S705에서는, 조작 정보 수신 유닛(522)은 유저로부터 조작이 접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조작이 접수된 경우(단계 S705에서 예), 처리는 단계 S706으로 진행된다. 한편, 조작이 접수되지 않은 경우(단계 S705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 S705의 처리를 반복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조작 정보가 수신되거나 MFP(110)의 PANEL(3070) 또는 하드 키패드(3120)에서 유저 조작이 검지되는 경우, CPU(3020)는 유저로부터 조작이 접수되었다고 판단한다.
단계 S706에서, CPU(3020)는 단계 S705에서 접수된 조작이 VNC 링크 접속해제 조작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접수된 조작이 VNC 링크 접속해제 조작이라고 판단되는 경우(단계 S706에서 예), 처리는 단계 S707로 진행된다. 단계 S707에서, CPU(3020)는 VNC 링크를 접속해제한다. 한편, 접수된 조작이 VNC 링크 접속해제 조작이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단계 S706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 S708로 진행된다.
단계 S708에서는, CPU(3020)는 단계 S705에서 접수된 조작에 대응하는 처리를 행한다. 대응하는 처리의 예는 DISPLAY(3090)에 표시되어 있는 메뉴 화면을 다음 페이지로 변경하는 처리, MFP(110)에 로그인하기 위한 처리, 및 MFP(110)로부터 로그아웃하는 처리를 포함한다. 단계 S709에서, 조작 정보 수신 유닛(522)은 단계 S708에서 행해진 처리에 기초하여 DISPLAY(3090)에 표시되는 화면이 변경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화면이 변경된 경우에는(단계 S709에 예), 처리는 단계 S704로 복귀한다. 한편, 화면이 변경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는 경우에는(단계 S709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 S705로 복귀한다.
전술한 처리에 의해, MFP(110)에 표시된 화면은 휴대 단말기(100)에도 표시될 수 있다. CPU(3020)는 MFP(110) 또는 휴대 단말기(100)에서 접수된 조작에 응답하여 MFP(110)와 휴대 단말기(100)에 표시되는 화면을 변경할 수 있다. 전술한 흐름도에서는, MFP(110) 또는 휴대 단말기(100)에 의해 접수된 조작에 응답하여 휴대 단말기(100)에 표시되는 화면이 변경된다. MFP(110) 또는 휴대 단말기(100)가 조작을 접수하지 않고, MFP(110)에 표시되는 화면이 변경되는 경우는, MFP(110)는 마찬가지로 휴대 단말기(100)에 변경된 화면 정보를 송신하고, 휴대 단말기(100)는 변경된 화면을 표시한다.
휴대 단말기(100)가 휴대 단말기(100)에서 MFP(110)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해서 MFP(110)로부터 송신된 화면 정보에 기초하여 화면을 표시하는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 전술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100)가 MFP(110)로부터 수신된 화면을 그대로 표시하지 않는 상태에서(예컨대, 화면이 확대되어 있는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100)가 드래그 조작 같은 미리결정된 페이지 천이 조작을 접수할 때, 휴대 단말기(100)는 조작 정보를 MFP(110)에 송신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가 MFP(110)로부터 수신된 화면을 그대로 표시하지 않는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100)가 수신된 조작 정보를 MFP(110)에 송신하는 경우, MFP(110)는 유저가 의도하지 않은 처리를 행할 가능성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MFP(110)로부터 수신된 화면을 확대하는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100)가 드래그 조작을 접수하고 그 후 드래그 조작에 대한 정보를 MFP(110)에 송신하는 경우, 페이지 천이가 발생할 것이다. 이 경우, 유저는 드래그 조작으로 표시 영역을 이동시키려고 의도하는 것이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100)가 조작 정보를 MFP(110)에 송신하는 경우, MFP(110)는 유저의 의도와는 상이한 처리를 행할 것이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는 유저의 의도와는 상이한 처리가 행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전술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100)는 휴대 단말기(100)의 화면 상태에 기초하여 조작 정보를 MFP(110)에 송신할지 여부를 판단한다. 본 개시내용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MFP(110)는 휴대 단말기(100)의 표시 형태를 파악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조작 정보를 접수하면, MFP(110)는 휴대 단말기(100)의 표시 형태를 고려하여 처리를 행할지 여부를 판단하고 처리를 선택할 수 있다.
위에서, 제1 예시적인 실시예는, 휴대 단말기(100) 상의 화면이 확대되어 있는 상태에서 드래그 조작 같은 페이지 천이 조작을 접수해도, 휴대 단말기(100)는 조작에 대한 조작 정보를 MFP(110)에 송신하지 않는 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다. 그러나, 휴대 단말기(100)는 휴대 단말기(100) 상에서 화면이 확대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탭 및 누름 같은 조작에 대한 조작 정보를 MFP(110)에 송신할 수 있다. 제2 예시적인 실시예는, 휴대 단말기(100) 상에서 화면이 확대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휴대 단말기(100)가 탭 및 누름 같은 조작을 접수하고 조작 정보를 MFP(110)에 송신하는 예를 중심으로 설명될 것이다. 제2 예시적인 실시예의 기본적인 구성은 제1 예시적인 실시예와 유사하며, 차이점만을 설명한다.
도 8은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의 흐름도의 기본적인 구성은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 6의 흐름도와 유사하며, 아래에서는 차이점만을 설명한다.
단계 S801에서, 화면 제어 유닛(301)은 단계 S610에서 접수된 조작이 탭 조작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접수된 조작이 탭 조작이라고 판단되는 경우(단계 S801에서 예), 처리는 단계 S802로 진행된다. 단계 S802에서, 화면 제어 유닛(301)은 화면이 현재 확대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한편, 접수된 조작이 탭 조작이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단계 S801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 S614로 진행된다.
화면이 현재 확대되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단계 S802에서 예), 처리는 단계 S803으로 진행된다. 단계 S803에서, 화면 제어 유닛(301)은 화면의 현재 확대율, 확대된 위치, 및 탭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탭 위치를 계산한다. 단계 S614에서, 화면 제어 유닛(301)은 계산된 위치 좌표에 대한 조작 정보를 MFP(110)에 송신한다. 화면 제어 유닛(301)은 화면의 현재 확대율, 확대된 위치, 및 탭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접수된 탭 위치에 대응하는 확대 전의 화면 상의 위치를 유도하고 유도 결과를 MFP(110)에 송신한다.
전술한 예시적인 실시예는 휴대 단말기(100)가 화면이 확대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탭 같은 조작을 접수하고 조작에 대한 조작 정보를 MFP(110)에 정확하게 통지할 수 있게 한다. 즉, 유저가 확대된 표시 화면인 도 12의 메뉴 표시 화면(1210)에서 카피 버튼(1031)의 위치를 누르는 경우, 휴대 단말기(100)는 카피 버튼(1031)의 누름을 MFP(110)에 통지하며 카피 표시 화면(탭 후)(1320)으로의 화면 천이를 행한다.
제1 예시적인 실시예는 화면의 확대된 상태에 기초하여 드래그 조작을 나타내는 조작 정보를 MFP(110)에 송신할지 여부를 선택하기 위해 휴대 단말기(100)에 의해 행해지는 방법을 중심으로 위에서 설명되었다. 그러나, 또한, 휴대 단말기(100)는 휴대 단말기(100)의 화면의 표시 형태에 기초하여 조작 정보를 MFP(110)에 송신할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뉴 표시 화면(975)(하드 키패드 표시됨)과 같이, 휴대 단말기(100)가 소프트 키패드를 표시하고 있는 상태에서 유저가 MFP(110)로부터 수신된 화면에서 카피 버튼(1031)을 누르는 경우, 휴대 단말기(100)는 누름에 대한 조작 정보를 MFP(110)에 송신하는 것이 방지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다음 예에서, 휴대 단말기(100)는, 휴대 단말기(100)가 현재 하드 키패드 UI(977)를 표시하고 있는지 여부에 따라 MFP(110)로부터 수신된 화면 상에서 이루어진 유저 조작에 대한 조작 정보를 MFP(110)에 송신할지 여부를 제어한다. 휴대 단말기(100)가 하드 키패드 UI(977)를 표시하고 있는 상태에서 유저가 예를 들어 하드 키패드 UI(977) 이외의 영역을 탭하는 경우 하드 키패드 UI(977)가 숨겨지는 예시적인 형태를 중심으로 설명을 행한다. 유저가 하드 키패드 UI(977)를 숨기기 위해 하드 키패드 UI(977) 이외의 영역을 탭하고, 탭에 대한 정보가 MFP(110)에 송신되는 경우, 유저의 의도와는 상이한 처리가 행해질 것이다. 제3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한 기본적인 구성은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한 것과 유사하며, 아래에서는 차이점만을 설명한다.
도 13은, 휴대 단말기(100)가 메뉴 표시 화면(970)(하드 키패드 표시되지 않음)을 표시하는 상태에서 탭 조작이 접수되는 경우에 휴대 단말기(100) 및 MFP(110)에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낸다. 유저가 현재 하드 키패드 UI(977)를 표시하지 않고 있는 메뉴 표시 화면(탭 전)(1310)에서 카피 버튼(1031)에 대해 탭 조작(1311)을 행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100)는 카피 표시 화면(1320)(탭 후)을 표시한다. 이때, 휴대 단말기(100)는 탭 조작(1311)에 대한 조작 정보를 MFP(110)에 송신한다. MFP(110)는 수신된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카피 표시 화면(1330)(탭 후)으로의 DISPLAY(3090)의 화면 천이를 행하며 화면 정보를 휴대 단말기(100)에 송신한다. 그 후, 휴대 단말기(100)는 카피 표시 화면(1320)(탭 후)을 표시한다.
도 14는 휴대 단말기(100)가 메뉴 표시 화면(975)(하드 키패드 표시됨)을 표시하고 있는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100)가 탭 조작(1411)을 접수할 때의 휴대 단말기(100) 및 MFP(110)에 표시되는 화면이다. 유저가 현재 하드 키패드 UI(977)를 표시하고 있는 메뉴 표시 화면(1410)(소프트 키패드 표시됨, 탭 전)에서 카피 버튼(1031)에 대해 탭 조작(1411)을 행하면, 휴대 단말기(100)는 하드 키패드 UI(977)를 폐쇄하고 메뉴 표시 화면(1420)(탭 후)을 표시한다. 이때, 휴대 단말기(100)는 탭 조작(1411)에 대한 조작 정보를 MFP(110)에 송신하지 않는다. 즉, 휴대 단말기(100)가 탭 조작을 접수하는 경우에도, MFP(110)는 메뉴 표시 화면(1030) 같은 메뉴 표시 화면(1430)(탭 후)을 계속 표시한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의 기본적인 구성은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 6의 흐름도의 것과 유사하며, 아래에서는 차이점만을 설명한다. 단계 S611에서, 화면 제어 유닛(301)은 단계 S610에서 접수된 조작이 하드 키패드 UI(977) 영역 이외의 영역에 대한 탭 조작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접수된 조작이 탭 조작이라고 판단되는 경우(단계 S611에서 예), 처리는 단계 S613으로 진행된다. 단계 S613에서는, CPU(201)는 휴대 단말기(100)가 현재 하드 키패드 UI(977)를 표시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하드 키패드 UI(977)가 현재 표시되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단계 S613에서 예), 처리는 단계 S630으로 진행된다. 단계 S630에서, CPU(201)는 하드 키패드 UI(977)를 숨기를 처리를 행한다. 한편, 하드 키패드 UI(977)가 현재 표시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단계 S613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 S614로 진행된다. 단계 S614에서, CPU(201)는 조작 정보를 MFP(110)에 송신한다. 단계 S610에서 접수된 조작이 하드 키패드 UI(977)에 대한 탭 조작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조작 정보는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MFP(110)에 송신될 것이다.
전술한 예시적인 실시예는, 소프트 키패드가 현재 MFP(110)를 원격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100)에만 표시되고 있는지 여부에 따라 수신된 조작 정보를 MFP(110)에 송신할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전술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휴대 단말기(100)는 VNC 링크를 통해 MFP(110)에 표시된 것과 동일한 화면을 표시하지만, 본 개시내용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전술한 예시적인 실시예는,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MFP(110)의 것과 동일한 화면을 표시하는 대신에 MFP(110)의 화면의 확대된 형태를 표시하고 있는 경우에 적용가능하다.
다른 실시예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는, 전술한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저장 매체(보다 완전하게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라 칭할 수도 있음)에 기록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를 판독 및 실행하고 그리고/또는 전술한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회로(예를 들어, 주문형 집적 회로(ASIC))를 포함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그리고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저장 매체로부터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판독 및 실행함으로써 그리고/또는 전술한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회로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예를 들어, 중앙 처리 유닛(CPU), 마이크로 처리 유닛(MPU))를 포함할 수 있고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판독 및 실행하기 위한 개별 컴퓨터 또는 개별 프로세서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 또는 저장 매체로부터 컴퓨터에 제공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리드 온리 메모리(ROM), 분산형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학 디스크(예를 들어, 콤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BD)™),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메모리 카드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의 실시예)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네트워크 또는 기억 매체를 개입하여 시스템 혹은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혹은 장치의 컴퓨터에 있어서 1개 이상의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읽어 실행하는 처리에서도 실현가능하다.
또한,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회로(예를 들어, ASIC)에 의해서도 실행가능하다.
본 개시내용은 예시적인 실시예를 포함하지만, 본 개시내용은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의 청구항의 범위는 이러한 모든 변형과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최광의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5)

  1. 화상 처리 장치와 통신하는 정보 처리 장치를 위한 방법이며,
    상기 화상 처리 장치의 표시 유닛에 표시되며, 상기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한 표시 제어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화면에 대응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및
    표시된 상기 화면에서 미리결정된 유저 조작이 접수되면, 상기 미리결정된 유저 조작에 대응하는 조작 정보를 상기 화상 처리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표시된 상기 화면의 표시 형태가 변경된 상태에서, 상기 화면에서 상기 미리결정된 유저 조작이 접수되는 경우, 상기 미리결정된 유저 조작에 대응하는 상기 조작 정보는 상기 화상 처리 장치에 송신되지 않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결정된 유저 조작은 지시 대상의 이동을 수반하는 조작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결정된 유저 조작은 드래그 조작, 플릭 조작, 또는 스와이프 조작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형태는 화면의 확대율인,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결정된 유저 조작에 대응하는 상기 조작 정보는 상기 미리결정된 유저 조작이 검지되는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인쇄 지시 또는 스캔 지시를 상기 화상 처리 장치에 발행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에서, 상기 화상 처리 장치의 표시 유닛에 표시되는 화면과 동일한 화면이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표시 유닛에 표시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 및 상기 화상 처리 장치는 VNC(Virtual Network Computing) 링크를 확립하며,
    상기 표시 제어는 VNC를 사용한 제어인,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표시된 상기 화면의 확대율이 변경된 상태에서, 상기 화면에서 상기 미리결정된 유저 조작이 접수되는 경우, 상기 미리결정된 유저 조작에 대응하는 상기 조작 정보가 상기 화상 처리 장치에 송신되지 않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표시된 상기 화면이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서 확대되어 있고 상기 화상 처리 장치에서는 확대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가 상기 화면에 대한 드래그 조작을 접수하는 경우, 상기 드래그 조작에 대응하는 조작 정보가 상기 화상 처리 장치에는 송신되지 않고,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의 확대된 표시 영역은 변경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표시된 상기 화면의 표시 형태가 변경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는 상태에서, 상기 화면에서 상기 미리결정된 유저 조작이 접수되는 경우, 상기 미리결정된 유저 조작에 대응하는 상기 조작 정보가 상기 화상 처리 장치에 송신되며,
    표시된 상기 화면의 표시 형태가 변경된 상태에서, 상기 화면에서 상기 미리결정된 유저 조작이 접수되는 경우, 상기 미리결정된 유저 조작에 대응하는 상기 조작 정보는 상기 화상 처리 장치에 송신되지 않는,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표시된 상기 화면의 표시 형태가 변경된 상태에서, 상기 화면에서 상기 미리결정된 유저 조작 이외의 조작이 접수되는 경우, 상기 미리결정된 유저 조작 이외의 상기 조작에 대응하는 조작 정보가 상기 화상 처리 장치에 송신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표시된 상기 화면의 표시 형태가 변경된 상태에서, 상기 화면에서 상기 미리결정된 유저 조작 이외의 상기 조작이 접수되는 경우, 상기 미리결정된 유저 조작 이외의 상기 조작에 대응하는 상기 조작 정보는, 적어도 상기 화면의 확대율 및 상기 미리결정된 유저 조작 이외의 상기 조작이 접수되는 위치에 기초하여 계산되며, 계산된 상기 조작 정보는 상기 화상 처리 장치에 송신되는, 방법.
  14. 화상 처리 장치와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정보 처리 장치이며,
    상기 화상 처리 장치의 표시 유닛에 표시되며, 상기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한 표시 제어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화면에 대응하는 화면을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표시 유닛; 및
    상기 표시 유닛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화면에서 미리결정된 유저 조작이 접수되는 경우, 상기 유저 조작에 대응하는 조작 정보를 상기 화상 처리 장치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표시 유닛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화면의 표시 형태가 변경된 상태에서, 상기 표시 유닛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화면에서 상기 미리결정된 유저 조작이 접수되는 경우, 상기 송신 유닛은 상기 미리결정된 유저 조작에 대응하는 상기 조작 정보를 상기 화상 처리 장치에 송신하지 않는, 정보 처리 장치.
  15. 화상 처리 장치와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정보 처리 장치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정보 처리 장치가 다음의 방법을 행하게 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이며, 상기 방법은,
    상기 화상 처리 장치의 표시 유닛에 표시되며, 상기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한 표시 제어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화면에 대응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및
    표시되는 상기 화면에서 미리결정된 유저 조작이 접수되는 경우, 상기 미리결정된 유저 조작에 대응하는 조작 정보를 상기 화상 처리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표시된 상기 화면의 표시 형태가 변경된 상태에서, 상기 화면에서 상기 미리결정된 유저 조작이 접수되는 경우, 상기 미리결정된 유저 조작에 대응하는 상기 조작 정보는 상기 화상 처리 장치에 송신되지 않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210149322A 2020-11-05 2021-11-03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의 제어 방법, 및 저장 매체 KR2022006102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185106 2020-11-05
JP2020185106A JP2022074772A (ja) 2020-11-05 2020-11-05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の制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1024A true KR20220061024A (ko) 2022-05-12

Family

ID=78725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9322A KR20220061024A (ko) 2020-11-05 2021-11-03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의 제어 방법, 및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1606470B2 (ko)
EP (1) EP3995946A1 (ko)
JP (1) JP2022074772A (ko)
KR (1) KR20220061024A (ko)
CN (1) CN11444297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3018906A (ja) * 2021-07-28 2023-02-09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79281B2 (ja) 2006-06-19 2012-07-1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と画像処理システム
JP2011165124A (ja) 2010-02-15 2011-08-25 Canon Inc 印刷装置、サーバー装置、印刷システム、印刷制御方法、及び印刷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JP5510481B2 (ja) * 2012-03-08 2014-06-04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画像形成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5910880B2 (ja) 2012-06-22 2016-04-27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操作表示システム、プログラム、携帯端末、操作表示装置、携帯端末プログラム
JP5682604B2 (ja) * 2012-09-20 2015-03-11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JP5783159B2 (ja) 2012-11-02 2015-09-24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5720661B2 (ja) * 2012-11-30 2015-05-20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画像処理連携システム、画面データの表示方法及び表示プログラム
JP6003939B2 (ja) * 2014-04-15 2016-10-05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処理連携システムと連携方法、携帯端末装置及び画像処理連携プログラム
JP2017227989A (ja) 2016-06-20 2017-12-2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システム、制御装置、画像処理装置、それら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95946A1 (en) 2022-05-11
US20230199127A1 (en) 2023-06-22
JP2022074772A (ja) 2022-05-18
US20220141345A1 (en) 2022-05-05
US12010275B2 (en) 2024-06-11
US11606470B2 (en) 2023-03-14
CN114442976A (zh) 2022-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60397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image processing system
JP6509051B2 (ja) 携帯端末装置、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
US20140340706A1 (en) Cooperative image processing system, portable terminal apparatus, cooperativ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EP399337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ystem, method for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1201027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information processing, and storage medium
JP6135480B2 (ja) 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
US2023005339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JP6170191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US2021027902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mage form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JP5873895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システム
EP399337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ystem, and storage medium
CN111107241A (zh) 通信装置、通信装置的控制方法及存储介质
US1202832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ystem, and storage medium
EP405712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such a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EP409967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US2024017683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ling method for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for causing computer to execute controlling method
JP6633026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2023026780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0092406A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2020072470A (ja)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7016529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送信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