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0425A - 천연향이 가미된 식용유지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천연향이 가미된 식용유지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0425A
KR20220060425A KR1020200146405A KR20200146405A KR20220060425A KR 20220060425 A KR20220060425 A KR 20220060425A KR 1020200146405 A KR1020200146405 A KR 1020200146405A KR 20200146405 A KR20200146405 A KR 20200146405A KR 20220060425 A KR20220060425 A KR 202200604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tural
edible oil
oil
flavor
edi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6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병수
이종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앤미스마트팜농업회사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앤미스마트팜농업회사법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앤미스마트팜농업회사법인
Priority to KR1020200146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60425A/ko
Publication of KR20220060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04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7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characterised by ingredients other than fatty acid triglyceri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2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ion or working-up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23L27/12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from fruit, e.g. essential oi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dible Oils And Fa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향이 가미된 식용유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통 식용유지가 갖는 독특한 맛과 향미에 천연재료의 향미를 가미시켜, 전통 식용유지가 갖는 향미와 천연재료의 향미가 어우러져 요리의 풍미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천연향이 가미된 식용유지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식용유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천연향이 가미된 식용유지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EDIBLE OIL WITH NATURAL FLAVOR}
본 발명은 천연향이 가미된 식용유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통 식용유지가 갖는 독특한 맛과 향미에 천연재료의 향미를 가미시켜, 전통 식용유지가 갖는 향미와 천연재료의 향미가 어우러져 요리의 풍미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천연향이 가미된 식용유지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식용유지에 관한 것이다.
유지는 식품의 조리 및 가공에서 중요한 하나의 소재로, 인체의 열량공급, 필수 지방산, 지용성 비타민 등의 영양수요로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최근 웰빙의 영향으로 안전하고 건강을 유지 개선할 수 있는 식품에 대한 대중의 소비욕구가 증가하고 있어 식용유지의 소비에도 이러한 추세가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고 있다.
한국의 전통 식용유지인 참기름과 들기름은 불포화도가 높은 식물성 기름으로 독특한 맛과 향기로 우리나라에서 조미를 위한 용도로 많이 이용되어 왔다. 특히 참깨와 들깨는 기원전 시대부터 약용식품으로 널리 이용됐으며, 최근 참깨와 들깨의 항산화 효과를 비롯한 다양한 약리학적 유용성이 밝혀지고 있다. 또한, 여러 연구에서 다양한 천연물 유래 기능성 성분인 올레산, 리놀렌산 등의 불포화 지방산과 피라진계 물질, 리그난류(sesamol, sesamin, sesamolin) 등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으며, 특히 리놀렌산은 콜레스테롤 저하, 고지혈증, 고혈압, 동맥경화, 협심증 등 성인병 예방과 항염증 효과 등의 다양한 기능성이 있어 전통식용유지의 섭취가 인체에 유용하게 작용한다는 연구가 발표된 바 있다.
한편, 전통 식용유지에 천연재료의 향미를 가미하고자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고, 그러한 기술 중의 하나로서, 등록특허공보 제10-1860780호에 대파향이 가미된 식용유지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되었다.
상기 기술은 대파, 마늘, 고추씨를 전처리하고 수분함량을 15% 미만으로 건조하여 건향신재료를 제조하는 1 단계; 상기 건향신재료를 선별망에 넣고 식용유지에 중탕하여 대파향미유를 제조하는 2단계; 상기 대파향미유를 냉각하는 3단계; 상기 냉각된 대파향미유에 대파풍미유와 녹차추출액을 혼합대파향미유를 제조하는 4단계; 및 상기 혼합대파향미유를 여과 및 정제하는 5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의 기술은 식용유지에 함유된 불포화 지방산의 함량이 높아 식용유지를 중탕하는 과정에서 불포화 지방산이 산패되어 과산화물의 생성, 불쾌취의 형성, 영양소의 손실 등이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860780호 (2018. 05. 17.)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통 식용유지의 향미를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천연향이 가미된 식용유지를 제조할 수 있는 천연향이 가미된 식용유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천연향이 가미된 식용유지의 제조방법은 가열하여 볶은 후 착유하여 식용유지를 수득하는 식용유지 수득단계; 천연향 재료를 세척 및 건조하여 천연향 재료를 수득하는 천연향 재료 수득단계; 상기 식용유지 수득단계에서 수득된 식용유지를 탱크에 수용하고, 상기 천연향 재료 수득단계에서 수득된 천연향 재료를 상기 탱크에 첨가하여 상기 탱크에 수용된 상기 식용유지에 상기 천연향 재료를 침지시키는 침지단계; 상기 침지단계에서 수용된 탱크에 덮개를 덮고 그 내부를 진공화시키는 진공단계; 상기 진공단계의 진공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숙성시키는 숙성단계; 및 상기 숙성단계 후, 상기 탱크로부터 식용유지와 천연향 재료를 인출하고, 상기 식용유지에서 천연향 재료를 분리하여 천연향이 가미된 식용유지를 수득하는 천연향 식용유지 수득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식용유지는 참기름 또는 들기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연향 재료는 과일류 또는 나무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나무류는 편백나무, 측백나무, 참나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연향 재료가 과일류인 경우 상기 숙성단계의 숙성시간은 24 ~ 48시간이고, 상기 천연향 재료가 나무류인 경우 상기 숙성단계의 숙성시간은 72 ~ 96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통 식용유지의 본연의 향미를 유지한 상태에서 천연향이 가미된 식용유지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식용유지의 향미와 천연향의 향미를 갖는 특유의 식용유지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연향이 가미된 식용유지의 제조방법의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천연향이 가미된 식용유지의 제조방법에 적용된 침지용 탱크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천연향이 가미된 식용유지의 제조방법에 적용된 진공장치의 동작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천연향이 가미된 식용유지의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동일한 기능을 하는 기술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고,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반복되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효과적으로 보여주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은 전통 식용유지가 갖는 독특한 맛과 향미에 천연재료의 향미를 가미시켜, 전통 식용유지가 갖는 향미와 천연재료의 향미가 어우러져 요리의 풍미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천연향이 가미된 식용유지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식용유지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연향이 가미된 식용유지의 제조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천연향이 가미된 식용유지의 제조방법은 식용유지 수득단계(S10), 천연향 재료 수득단계(S20), 침지단계(S30), 진공단계(S40), 숙성단계(S50) 및 천연향 식용유지 수득단계(S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1. 식용유지 수득단계(S10)
식용유지 수득단계(S10)는 가열하여 볶은 후 착유하여 식용유지를 수득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서 식용유지는 참기름 또는 들기름 중에서 선택된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참깨는 호마과에 속하는 1년생 초목으로 그 빛깔에 따라 흰 참깨, 황갈색 참깨, 검정 참깨 등으로 구분되고 있으며, 흰 참깨와 황갈색 참깨는 유분 함량이 높아 주로 압착하여 참기름으로 사용하며, 상대적으로 유분 함량이 적고 맛이 좋은 검정 참깨는 식용 혹은 약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참기름의 일반적인 조성을 보면 지질이 50% 이상, 단백질 20%, 탄수화물 15% 정도 함유하고 있으며 기타 섬유질, 무기질, 비타민 등이 함유되어 있어 영양학적으로 우수한 식물 종자로 알려져 있다. 특히, 참깨의 단백질은 필수아미노산을 여러 종류 포함하고 있어 콩에 상응하는 정도의 영양가를 가지며, 비타민 E가 풍부하여 피부를 윤기있게 하고 노화를 억제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참깨에는 항산화 물질인 세사민과 세사몰린을 함유하고 있어 생체 내에서 과산화지질의 생성을 억제하여 노화 방지 역할을 하는 것은 물론이며 특히 건강과 미용에도 뛰어난 효과를 발휘한다.
이러한 참기름은 참깨를 볶은 후 압착하여 제조하는데 특히 참기름 특유의 고소한 향이 풍부하여 향미료로서 각종 요리에 폭넓게 사용되어 온 조미식품의 일종이다.
들깨에는 기름이 38~45% 정도 함유되어 있고, 들깨를 눌러 짜서 들기름(perilla oil)은 특유의 고소한 맛이 있어 요리에서 나물을 무치는 데도 쓰고, 김에 발라 굽기도 하는 등 음식의 풍미를 돋우는 데 쓰거나 들기름에 전을 부치기도 하며, 양념장에도 넣는 등 요리용 식용유로 쓰이고 있다.
들깨에서 들기름을 추출하고 남은 탈지박에는 산패를 막아주는 강한 항산화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고 있을 뿐 아니라, 볶은 들깨의 용매 분획분으로부터 토코페롤을 비롯하여 여러 가지의 항산화 성분과 스테롤, 모노터펜 류 등의 특수성분들이 분리됨으로써 이들이 생체내에서 여러가지 생리활성을 나타낸다고 보고되고 있다.
그리고 들기름에는 지방산이 풍부하고, 포화 지방산은 주로 팔미트산(5 ~ 7%)과 스테아르산(1 ~ 3%)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단일 불포화 지방산으로는 올레산(12 ~ 22%)이, 다가 불포화 지방산으로는 리놀레산(13 ~ 20%), 감마리놀레산(0.1 ~ 1%), 알파리놀레산(54 ~ 64%), 아라키드산(0.1 ~ 1%) 등이 들어있다.
오메가-3 지방산 비율이 54 ~ 64%로, 다른 식물성 기름에 비해 아주 높다. 오메가-6 지방산 비율은 약 14%다. 오메가-6 대비 오메가-3 비율이 이례적으로 높아, 다른 식용유보다 건강에 좋고 심혈관계 질환, 암, 염증성 관절염이나 류머티스 관절염 같은 다양한 질병 예방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식용유지를 수득하는 과정은 식용유지의 원료인 참깨 및 들깨(이하 '식용유지 원료'라 한다)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잔류 농약성분이나 이물질을 물로 제거하는 세척단계와, 세척된 식용유지 원료를 200 ~ 250℃의 고온으로 15 ~ 20분 가열하여 볶아 수분 및 멸균시키는 볶음단계, 상기 볶음단계에서 고온에서 볶은 식용유지 원료를 100 ~ 120℃의 온도로 낮춤과 동시에 식용유지 원료에 섞인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제거 단계, 상기 이물질제거 단계를 통해 소정의 온도로 낮아진 식용유지 원료를 압착기로 기름을 짜는 착유단계, 상기 착유단계에서 얻어진 기름을 용기에 수용하고 소정시간 동안 정치하여 둠으로써 기름으로부터 불순물을 침전시키는 침전단계, 상기 침전단계에서 발생한 침전물과 분리된 기름을 여과하여 잔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여과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의 식용유지인 참기름 또는 들기름은 대두유, 옥배유, 채종유, 미강유, 홍화유, 해바라기유, 목화씨기름, 땅콩기름, 올리브유, 팜유류, 고추씨기름, 혼합식용유 또는 정제가공유지 중에서 선택된 하나로 변경실시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2. 천연향 재료 수득단계(S20)
천연향 재료 수득단계(S20)는 천연향 재료를 세척 및 건조하여 천연향 재료를 수득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천연향 재료로는 과일류 또는 나무류 중에서 선택되거나 또는 과일류와 나무류를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과일류의 종류에는 파인애플, 바나나, 딸기, 레몬, 포도, 사과, 복숭아, 키위, 자두, 망고 및 귤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과일류를 이용하여 천연향 재료를 수득하는 과정은 과일을 세척하고 세척한 과일을 세절하는 공정, 상기 세절된 과일을 당류를 포함하는 당침용액에 20 ~ 40℃의 온도 범위에서 10 ~ 20분 동안 침지하는 공정, 상기 당침된 과일로부터 당침용액을 제거하고 상기 과일을 건조장치에서 건조시키는 공정, 상기 건조된 과일은 분쇄하는 공정 및 상기 분쇄된 과일 분말을 티백에 수납하여 밀봉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에서 당류는 포도당, 설탕, 젖당, 맥아당, 자당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나무류 종류에는 소나무, 편백나무, 측백나무 및 참나무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나무류를 이용하여 천연향 재료를 수득하는 과정은 선택된 나무를 직육면체 형상 또는 구형상의 나무칩으로 제조하는 공정, 제조된 나무칩에 붙은 이물질을 송풍 또는 세정수로 세정하는 공정, 세정된 나무칩을 120 ~ 150℃의 온도 범위에서 5 ~ 10분 동안 멸균시키는 공정 및 상기 멸균된 나무칩을 티백에 수납하여 밀봉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소나무는 상록성 침엽교목으로서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중국이나 일본 등 전 아시아 지역의 임야에서 널리 자생하고, 자유라디칼 또는 활성산소종을 강력하게 제거하는 천연 항산화 물질 특히, 플라보노이드류의 성분이 다량 함유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저비용으로 손쉽게 솔잎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편백나무는 세균에 대한 항균 및 살균 작용이 뛰어나 웰빙용품 소재로 많이 사용된다. 일본에서 최고급 내장재로 사용되어 왔으며, '히노끼'라고도 불린다. 편백나무에는 피톤치드라는 천연 항균물질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살균 작용이 뛰어나고, 내수성이 강해 물에 닿으면 고유의 향이 진하게 퍼져 잡냄새도 없애주기 때문에 최근 도마 재질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측백나무는 휘발성 정유 성분 중 thujene, pinene 등이 들어 있다. 상록성 침엽 교목으로서 성장한 높이는 25m, 지름은 1m, 잎은 침엽, 교호대생, 꽃은 단성화, 4월 개화, 자웅동주, 수꽃은 구형, 황갈색, 암꽃은 구형, 자갈색, 실편당 2-3개의 배주가 있고, 과실은 장과와 비슷한 구과이며 9-10월 성숙, 실편은 8개, 흑자색을 띤다. 이러한 측백나무는 천연 항균 성분인 피톤치드(phytoncide) 성분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측백나무는 독특한 향이 있으며 잎과 열매 모두 약재로 쓰인다. 여기서, 측백나무에 천연 항균 성분으로 함유되어 있는 '피톤치드'는 식물을 의미하는 phyton과 죽이는 것(killer)을 의미하는 cide가 합성된 것으로 살균 물질이다.
참나무는 떡갈나무, 신갈나무, 상수리나무, 굴참나무, 갈참나무, 물참나무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그 수액은 나이아신과 티아민 성분이 포함되어 있어 인체의 독성과 피부의 노폐물을 제거하고, 미백과 보습 등 피부 미용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로 인해 참나무 수액은 화장품, 해독제, 건강식품 등의 원료로 다양하게 활용 된다.
3. 침지단계(S30)
침지단계(S30)는 상기 식용유지 수득단계(S10)에서 수득된 식용유지를 탱크에 수용하고, 상기 천연향 재료 수득단계(S20)에서 수득된 천연향 재료를 상기 탱크에 첨가하여 상기 탱크에 수용된 상기 식용유지에 상기 천연향 재료를 상기 식용유지에 침지시키는 단계이다.
즉, 상기 침지단계(S30)는 식용유지에 천연향 재료를 침지하여 천연향 재료의 향미를 상기 식용유지에 가미시키는 과정이다.
상기 과정에서, 식용유지 1,000㎏에 대하여 침지되는 천연향 재료는 1 ~ 20㎏의 범위 내에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식용유지 1,000㎏ 중량에 대하여 과일류의 천연향 재료는 1 ~ 5㎏의 중량 범위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고, 식용유지 1,000㎏ 중량에 대하여 나무류의 천연향 재료는 10 ~ 20㎏의 중량 범위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식용유지 1,000㎏ 중량에 대하여 과일류의 천연향 재료가 1㎏ 중량 미만이거나 나무류의 천연향 재료가 10㎏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천연향 재료의 향미가 식용유지에 가미되는 정도가 낮아 천연향의 향미를 식별하기 못하는 단점이 있다.
반대로, 식용유지 1,000㎏ 중량에 대하여 과일류의 천연향 재료가 5㎏ 중량을 초과하거나 나무류의 천연향 재료가 20㎏ 중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천연향 재료의 향미가 식용유지에 가미되는 정도가 높아 식용유지 본연의 향미가 소실되는 단점이 있다.
4. 진공단계(S40)
진공단계(S40)는 상기 침지단계(S30)에서 수용된 탱크에 덮개를 덮고 그 내부를 진공화시키는 단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천연향이 가미된 식용유지의 제조방법에 적용된 침지용 탱크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천연향이 가미된 식용유지의 제조방법에 적용된 침지용 탱크(100)는 크게 용기(110), 덮개(120) 및 진공장치(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용기(110)는 상부가 개구된 형태로 구성되고, 그 내부 바닥면의 중심부에는 상부로 돌출된 돌출 가이더(111)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더(111)에는 내부 메쉬망(112)이 안내되어 설치된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메쉬망(112)의 내측 상부에는 수용된 천연향 재료의 부유를 방지하여 침지시키는 침지판(113)이 구성된다.
상기 덮개(120)는 상기 용기(110)의 상부를 마감하여 밀폐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덮개(120)의 내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용기(110)의 상부측 선단에 밀착되어 밀폐시키는 폐킹부재(121)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덮개(120)의 상부면에는 상부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내측 나사산이 형성되며 그 내부는 관통되는 커플러(122)가 형성된다.
상기 진공장치(130)는 구동에 따라 상기 용기(110)와 상기 덮개(120) 사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상기 용기(110) 내부를 진공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천연향이 가미된 식용유지의 제조방법에 적용된 진공장치의 동작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첨부된 도 3에 보인 바와 같이, 상기 진공장치(130)의 구성을 살펴보면, 실린더(131), 상기 실린더(131)의 내부에서 왕복 가능하게 구성되는 피스톤(132), 상기 피스톤(132)에 연결되어 일측이 상기 실린더(131)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로드(133), 상기 로드(133)의 노출측 선단에 설치되고 상부측으로 굽어진 형태의 손잡이(134), 상기 실린더(131)의 하부측에 돌출 형성되고 외측 나사산이 형성되며 그 내부는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덮개(120)의 커플러(122)에 나사결합되는 결합부(135), 상기 결합부(135)의 내부 중공부에 설치되는 제1 체크밸브(136), 및 상기 실린더(131)에 연통되어 설치되되, 상기 로드(133)의 노출측 선단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제2 체크밸브(13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체크밸브(136)의 하부측은 용기(110)의 내부와 연통되고 그 상부에는 볼의 이탈을 방지하는 거름망(도면부호 미표시)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2 체크밸브(137)의 하부측은 실린더(131)의 내부와 연통되고 그 상부에는 볼의 이탈을 방지하는 거름망(도면부호 미표시)이 설치된다.
동작에 따른 용기(110) 내부를 진공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손잡이(134)를 통해 로드(133)를 실린더(131)에서 인출하는 동작(도 3의 (a))에 따라 피스톤(132)은 도면에 도시된 방향에서 좌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피스톤(132)의 이동에 따라 제1 체크밸브(136)는 개방되고 제2 체크밸브(137)는 폐쇄된 상태가 되어 용기(110)의 상부측 공기가 실린더(131)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손잡이(134)를 통해 로드(133)를 실린더(131)로 인입하는 동작(도 3의 (b))에 따라 피스톤(132)은 도면에 도시된 방향에서 우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피스톤(132)의 이동에 따라 제1 체크밸브(136)는 폐쇄되고 제2 체크밸브(137)는 개방되어 실린더(131)의 내부 공기가 제2 체크밸브(137)을 통해 외부로 방출된다.
상기 동작을 반복하게 되면 용기(110) 내부는 점진적으로 진공화되게 된다.
용기(110)의 내부를 진공화시키는 가장 큰 이유는 용이(110) 내부에 잔존하는 산소에 의해 식용유지의 산패를 방지하는 것이다.
이에, 상기 진공단계(S40)의 진공도 0.1MPa 내지 0.5MPa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용기(110) 내부의 진공도가 0.1MPa 미만인 경우에는 잔여 공기에 포함된 산소에 의해서 상기 용기(110)에 수용된 식용유지가 산패될 우려가 있고, 진공도가 0.5MPa 초과한 경우에는 용기(110)가 진동압력에 의해 변형될 우려가 있다.
이에,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용기(110) 내부의 진공도를 표시하기 위해 상기 덮개(120)에는 압력게이지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진공장치(130)에 의하면, 상기 진공장치(130)의 동작에 의해 용기(110)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켜 용기(110) 내부를 진공화시킴으로써, 공기 중에 포함된 산소에 의해 식용유지의 산패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5. 숙성단계(S50)
숙성단계(S50)는 상기 진공단계(S40)의 진공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숙성시키는 단계이다.
즉, 첨부된 도 2를 참조하면, 용기(110)의 내부에는 식용유지 수득단계에서(S10) 수득된 식용유지가 수용되고, 메쉬망(112)의 내부에는 천연향 재료 수득단계(S20)에서 수득된 천연향 재료가 수납된다.
이때, 상기 메쉬망(112)의 내부에 수납되는 천연향 재료는 과일 분말을 티백에 수납하여 밀봉하는 공정에서 제조된 과일 티백 또는 나무칩을 티백에 수납하여 밀봉하는 공정에서 제조된 티백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티백이 수납된다. 또한, 상기 용기(110)에 수용된 식용유지는 상기 메쉬망(112)을 통과하여 상기 수용된 티백과 접촉하게 된다.
이에 따르면, 상기 티백에 포함된 천연향 재료가 상기 식용유지에 접촉하면서, 상기 천연향 재료의 향미가 상기 식용유지에 함유되게 된다.
상기 숙성단계(S50)에서 상기 메쉬망(112)에 수납되는 티백의 종류에 따라 숙성기간은 다르게 진행된다.
예를 들어, 상기 티백에 포함된 천연향 재료가 과일류인 경우 상기 숙성단계의 숙성시간은 24 ~ 48시간이고, 상기 티백에 포함된 천연향 재료가 나무류인 경우 상기 숙성단계의 숙성시간은 72 ~ 96시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티백에 포함된 천연향 재료가 과일류인 경우 상기 숙성단계의 숙성시간이 24시간 미만인 경우 및 상기 티백에 포함된 천연향 재료가 나무류인 경우 상기 숙성단계의 숙성시간이 72시간 미만인 경우에는 천연향 재료의 향미가 식용유지에 스며드는 시간이 짧아 천연향 재료의 향미가 충분히 식용유지가 가미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반대로, 상기 티백에 포함된 천연향 재료가 과일류인 경우 상기 숙성단계의 숙성시간이 48시간 초과한 경우 및 상기 티백에 포함된 천연향 재료가 나무류인 경우 상기 숙성단계의 숙성시간이 96시간 초과한 경우에는 천연향 재료의 일부가 식용유지에 침전되어 식용유지의 탁도를 저해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6. 천연향 식용유지 수득단계(S60)
천연향 식용유지 수득단계(S60)는 상기 숙성단계(S50) 후, 상기 탱크(100)로부터 식용유지와 천연향 재료를 인출하고, 상기 식용유지에서 천연향 재료를 분리하여 천연향이 가미된 식용유지를 수득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천연향 재료에는 많은 식용유지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천연향 재료에 포함된 식용유지를 분리하기 위해 천연향 재료의 종류에 따라 착유장치, 필터프레스, 탈수기 등의 적절한 장치를 이용하여 천연향 재료에서 식용유지를 분리해 내도록 구성된다.
상기 천연향 식용유지 수득단계(S60)를 통해 수득된 식용유지는 진공설비를 통해 진공포장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천연향이 가미된 식용유지의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참기름 및 들기름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 예 1]
수득된 참기름 10㎏을 탱크의 용기에 수용시키고, 수득된 건조 딸기를 티백에 수용시킨 후 밀봉하여 제조된 딸기 티백 20g을 상기 탱크의 메쉬망에 투입하여 수용된 상기 참기름에 상기 딸기 티백을 침지시킨 후 0.2MPa의 진공도에서 30시간 숙성하였다. 이후, 탱크에서 딸기 티백을 제거하여 딸기향이 가미된 참기름의 실시 예 1을 제조하였다.
[실시 예 2]
수득된 참기름 10㎏을 탱크의 용기에 수용시키고, 수득된 건조 편백나무 칩을 티백에 수용시킨 후 밀봉하여 제조된 편백나무 칩 티백 150g을 상기 탱크의 메쉬망에 투입하여 수용된 상기 참기름에 상기 편백나무 칩 티백을 침지시킨 후 0.2MPa의 진공도에서 80시간 숙성하였다. 이후, 탱크에서 편백나무 칩 티백을 제거하여 편백나무향이 가미된 참기름의 실시 예 2를 제조하였다.
[실시 예 3]
시중에 판매되는 참기름을 구매하여 실시 예 3으로 사용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실시 예 1 내지 실시 예 3 참기름의 관능검사를 5점 척도법(매우우수;5점, 우수;4점, 보통;3점, 미흡;2점, 매우미흡;1점)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아래의 표 1에 나타낸다.
상기에서 관능검사는 식품 분야에서 2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사람 20명을 대상으로 하여 시행하였다.
구분 실시 예 1 실시 예 2 실시 예 3
4.3 4.5 4.1
4.4 4.6 4.0
기호도 4.4 4.5 4.1
실시 예 1 및 2는 대체적으로 맛과 향, 기호도에서 실시 예 3과 비교하여 좋은 평가를 얻었으며, 일부에서는 개인적인 기호에 따라 딸기향 또는 편백나무향에 대해 약간의 거부감을 표현하는 경우도 있었으나, 은은한 천연향이 가미된 참기름은 본연의 향과 더불어 딸기향 또는 편백나무향이 식욕을 돋게 하고 특유의 향미를 느낄 수 있다는 평을 얻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통 식용유지의 본연의 향미를 유지한 상태에서 천연향이 가미된 식용유지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식용유지의 향미와 천연향의 향미를 갖는 특유의 식용유지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천연향이 가미된 식용유지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식용유지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 및 발명의 설명, 첨부한 도면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한다.
100: 탱크 110: 용기
111: 가이더 112: 메쉬망
113: 침지판 120: 덮개
121: 패킹부재 130: 진공장치
131: 실린더 132: 피스톤
133: 로드 134: 손잡이
135: 결합부 136: 제1 체크밸브
137: 제2 체크밸브

Claims (6)

  1. 가열하여 볶은 후 착유하여 식용유지를 수득하는 식용유지 수득단계;
    천연향 재료를 세척 및 건조하여 천연향 재료를 수득하는 천연향 재료 수득단계;
    상기 식용유지 제조단계에서 수득된 식용유지를 탱크에 수용하고, 상기 천연향 재료 제조단계에서 수득된 천연향 재료를 상기 탱크에 첨가하여 상기 탱크에 수용된 상기 식용유지에 상기 천연향 재료를 침지시키는 침지단계;
    상기 침지단계에서 수용된 탱크에 덮개를 덮고 그 내부를 진공화시키는 진공단계;
    상기 진공단계의 진공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숙성시키는 숙성단계; 및
    상기 숙성단계 후, 상기 탱크로부터 식용유지와 천연향 재료를 인출하고, 상기 식용유지에서 천연향 재료를 분리하여 천연향이 가미된 식용유지를 수득하는 천연향 식용유지 수득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향이 가미된 식용유지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식용유지는 참기름 또는 들기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향이 가미된 식용유지의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천연향 재료는 과일류 또는 나무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향이 가미된 식용유지의 제조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나무류는,
    편백나무, 측백나무, 참나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향이 가미된 식용유지의 제조방법.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천연향 재료가 과일류인 경우, 상기 숙성단계의 숙성시간은 24 ~ 48시간이고,
    상기 천연향 재료가 나무류인 경우, 상기 숙성단계의 숙성시간은 72 ~ 96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향이 가미된 식용유지의 제조방법.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선택된 하나의 천연향이 가미된 식용유지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식용유지.
KR1020200146405A 2020-11-04 2020-11-04 천연향이 가미된 식용유지의 제조방법 KR202200604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6405A KR20220060425A (ko) 2020-11-04 2020-11-04 천연향이 가미된 식용유지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6405A KR20220060425A (ko) 2020-11-04 2020-11-04 천연향이 가미된 식용유지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0425A true KR20220060425A (ko) 2022-05-11

Family

ID=81607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6405A KR20220060425A (ko) 2020-11-04 2020-11-04 천연향이 가미된 식용유지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6042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0780B1 (ko) 2018-02-07 2018-05-24 문준성 대파향이 가미된 식용유지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0780B1 (ko) 2018-02-07 2018-05-24 문준성 대파향이 가미된 식용유지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3484B1 (ko) 참기름 또는 들기름의 제조방법
KR100911757B1 (ko) 식물종자의 지방 추출 분말 제조방법
KR102473362B1 (ko) 허브가 함유된 견과류 페이스트 및 그 제조방법
KR100830693B1 (ko) 더덕 고추장 절임의 제조방법
KR20150053433A (ko) 황칠나무를 이용한 전복장조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황칠나무를 이용한 전복장조림
KR101980700B1 (ko) 식용유의 제조방법
US10827774B2 (en) Method for preparing food containing medicinal herb extracts beneficial for liver and food prepared thereby
KR101956687B1 (ko) 기능성 식용유의 제조방법
KR101012224B1 (ko) 다색 두부의 제조방법 및 그의 조성물
KR102082461B1 (ko) 보이차 추출물을 이용한 냄새 저감과 품질이 향상된 보이차 청국장 및 그 제조방법
KR101853628B1 (ko) 고추성분이 함유된 누룽지 및 그 제조 방법
CN103300428A (zh) 一种五香花生果的加工方法
KR20220060425A (ko) 천연향이 가미된 식용유지의 제조방법
KR102316705B1 (ko) 무, 당근, 우엉, 무청 및 표고 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 음료 조성물 및 물을 실질적으로 첨가하지 않는 그 제조 방법
KR101690162B1 (ko) 산채류 추출물이 포함된 두부 제조 방법
KR20080023245A (ko) 두부의 제조방법
JP4323948B2 (ja) ノニを用いた飲料の製造方法
CN106615231A (zh) 一种功能调和油及其制备方法
KR101467269B1 (ko) 개똥쑥잎을 이용한 차 음료 제조방법
KR101414474B1 (ko) 솔잎엑기스를 첨가한 제품의 제조방법과 이를 통해 제조된 제품
KR102346082B1 (ko) 부종 예방 및 부종 완화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차
KR20200141149A (ko) 홍삼 돈수육의 제조 방법
KR101956686B1 (ko) 기능성 식용유의 제조방법
KR101789760B1 (ko) 옻 추출물 첨가에 의한 약,탁주 및 제조 방법
KR101661744B1 (ko) 된장과 현미를 이용한 차 및 이의 제조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