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9489A - 광학 센서 장치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 유닛 및 세척 방법 - Google Patents

광학 센서 장치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 유닛 및 세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9489A
KR20220059489A KR1020227009536A KR20227009536A KR20220059489A KR 20220059489 A KR20220059489 A KR 20220059489A KR 1020227009536 A KR1020227009536 A KR 1020227009536A KR 20227009536 A KR20227009536 A KR 20227009536A KR 20220059489 A KR20220059489 A KR 202200594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per
sensor
cover
cleaning unit
p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9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테판 프리츠 브루워
제닉 대니엘 윈트제스
메인데르트 잔 솔케츠
Original Assignee
엠씨아이 (미러 컨트롤스 인터내셔널) 네덜란드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씨아이 (미러 컨트롤스 인터내셔널) 네덜란드 비.브이. filed Critical 엠씨아이 (미러 컨트롤스 인터내셔널) 네덜란드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220059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94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5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other parts or devices than front windows or windscreens
    • B60S1/56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other parts or devices than front windows or windscreens including wip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4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using liquid; Windscreen washers
    • B60S1/48Liquid supply therefor
    • B60S1/52Arrangement of nozzles; Liquid spreading means
    • B60S1/522Arrangement of nozzles; Liquid spreading means moving liquid spreading means, e.g. arranged in wiper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6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 B60S1/08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electrically driv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6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 B60S1/16Means for transmitting drive
    • B60S1/18Means for transmitting drive mechanically
    • B60S1/26Means for transmitting drive mechanically by toothed g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4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 B60S1/3402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with means for obtaining particular wiping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4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 B60S1/3402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with means for obtaining particular wiping patterns
    • B60S1/3404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with means for obtaining particular wiping patterns the wiper blades being moved substantially parallel with themselv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0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with means to keep optical surfaces clean, e.g. by preventing or removing dirt, stains, contamination, conden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5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other parts or devices than front windows or windscree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48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7/00
    • G01S7/497Means for monitoring or calibrating
    • G01S2007/4975Means for monitoring or calibrating of sensor obstruction by, e.g. dirt- or ice-coating, e.g. by reflection measurement on front-screen
    • G01S2007/4977Means for monitoring or calibrating of sensor obstruction by, e.g. dirt- or ice-coating, e.g. by reflection measurement on front-screen including means to prevent or remove the ob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Optical Measuring Cells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광학적 거리 측정을 위한 자동차의 광학 감지 장치, 보다 구체적으로 LiDAR 센서 장치의 센서 창유리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이 세척 유닛은 와이퍼를 포함한다. 또한, 세척 유닛은 센서 창유리 위에서 와이퍼를 와이핑시키도록 배열된 구동 유닛을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세척 유닛은, 예컨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 위치하는 센서 창유리의 적어도 제1 부분을 와이핑하기 위해, 센서 창유리 위에서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를 향해, 예컨대, 제1 와이퍼 팁과 같은, 와이퍼의 제1 부분을 와이핑시키도록 배열될 수 있다. 그 다음, 세척 유닛은 또한 와이퍼의 상기 제1 부분이 센서 창유리의 상기 제1 부분 위에서 와이핑하지 않으면서,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실질적으로 상기 제1 위치를 향해 뒤로 와이퍼를 이동시키도록 배열될 수 있다.

Description

광학 센서 장치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 유닛 및 세척 방법
본 발명은 세척 유닛, 특히 광학 감지 장치의 세척을 위한 세척 유닛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자동차의 LiDAR 감지 장치와 같은, 광학적 거리 측정 장치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 유닛에 관한 것이다.
수동으로 운전되는 차량 뿐만 아니라 자율주행/자율 자동차에는 차량 주변의 맵을 생성하기 위한 다양한 감지 장치가 장착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차량에는 차량과 차량 주변의 물체 사이의 거리 및/또는 차량에 대한 상기 물체의 상대 속도를 추정하기 위한 광학 감지 장치가 장착되어 있다. 사용되는 특정 종류의 광학 센서 기술은 LADAR(LAser Detection And Ranging) 또는 3D 레이저 스캐닝이라고도 하는 Lidar/LIDAR/LiDAR(Light Detection And Ranging 또는 Laser Imaging Detection And Ranging)로 알려져 있다.
광학적 거리 측정 장치, 특히 LiDAR 감지 장치와 같은 광학 감지 장치는 하나 이상의 (레이저) 광 빔을 주변 환경으로 전송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레이저)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전달된 하나 이상의 레이저 빔의 반사를 검출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광학 검출기가 제공되고, 여기서 처리 유닛은 광의 전달되고 검출된 반사에 기초하여 주변 환경의 매핑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광학 센서 장치는 광학 센서 장치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센서 창유리를 포함한다. 센서 창유리는 취약한 기본 센서 컴포넌트를 보호하기 위한 광학적으로 투명한 보호 층을 형성한다. 따라서, 광은 센서 창유리를 통해 전달 및 감지되며, 주변 환경에 대한 방해받지 않는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광학 감지 장치는 일반적으로 차량 외부에 배치되며, 여기서 센서 창유리는 주변 환경 쪽을 향한다. 즉 차량 반대쪽을 향한다.
차량 외부에 있는 감지 장치, 특히 센서 창유리에는 센서 창유리를 가로질러 진행하는 광 신호를 방해하거나, 편향시키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간섭할 수 있는 (비)방울, 미립자, 벌레 등과 같은 장애물이 쌓이기 쉽고, 이는 센서 데이터의 오류를 야기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언급된 단점을 적어도 완화하는 것이다. 특히, 자동차의 광학 센서 장치의 센서 데이터를 개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구체적으로, 광학 센서 장치의 센서 창유리 상에 광학적 장애물(예컨대, (비)방울, 미립자, 벌레 등)의 쌓임 및/또는 축적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면, 자동차의 특히 광학적 거리 측정을 위한 광학 감지 장치, 특히 LiDAR 센서 장치의 센서 창유리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 유닛이 제공되며, 상기 세척 유닛은 와이퍼 및 와이퍼로 센서 창유리 위를 와이핑하도록 배열된 구동 유닛을 포함한다. 와이퍼는 바람직하게는 와이퍼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고 및/또는 와이퍼 블레이드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와이퍼, 특히 와이퍼 블레이드는 창유리의 재료에 대해 비교적 가요성이고 및/또는 비교적 탄성이 있는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이퍼, 특히 와이퍼 블레이드는 고무 또는 고무 재료일 수 있다. 센서 창유리는 예를 들어 국부적인 굴절률 변화를 피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매끄럽고 및/또는 균질한 광학적으로 투명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창유리는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평평할 수 있고, 또는 대안으로서 원하는 형상으로, 예를 들어, 광학 감지 장치의 시야각을 최적화하기 위해 원하는 곡률 반경을 갖도록 만곡될 수 있다. 와이퍼, 특히 와이퍼 블레이드의 형상은 센서 창유리의 최적의 세척을 위해 센서 창유리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구동 유닛은 예를 들어 와이퍼가 실질적으로 전체 센서 창유리를 와이핑하도록 미리 정의된 궤적을 따라 센서 창유리 위로 와이퍼를 구동할 수 있다.
세척 유닛의 일 실시예에서, 와이퍼는 물, 세정액 또는 강수(precipitation)와 같은 다른 유체, 및/또는 광 투과에 대한 다른 장애물을 센서 창유리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떨어지도록 와이핑, 밀어내기, 스위핑 및/또는 긁어내기 하기 위해 배열되며, 상기 와이퍼는 와이퍼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센서 창유리의 적어도 일부는 광학 감지 장치의 시야를 형성할 수 있는 유리의 일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물 및/또는 광 투과에 대한 다른 장애물은 예를 들어 센서 창유리 부분의 이러한 시야 형성 부분을 벗어나 시야 내에 있지 않은 제2 부분을 향하도록 와이핑될 수 있다. 센서 창유리의 와이핑 동안, 와이퍼는 센서 창유리와 접촉하도록 배열될 수 있고, 여기서 구동 유닛에 의해 유도된 와이핑 운동은 센서 창유리로부터 또는 적어도 센서 창유리의 각 부분으로부터 유체 및/또는 미립자를 제거하기 위해 센서 창유리 위를 와이퍼로 와이핑한다. 와이퍼는 빗방울, 세정액 또는 다른 세제, 부동액, 계면활성제와 같은, 다양한 액체를 센서 창유리로부터 수집하고 제거할 뿐만 아니라, 곤충, 눈/우박, 교통 잔해, 모래, 새 배설물 등으로부터 유래하는 미립자도 수집하고 제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와이퍼, 특히 와이퍼 블레이드는 와이퍼 블레이드에 대해 실질적으로 측방향으로, 특히 와이퍼(특히, 와이퍼 블레이드, 및/또는 상기 와이퍼의 와이퍼 팁)의 길이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센서 창유리 위에서 구동 유닛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세척 유닛은 와이퍼가 센서 창유리의 적어도 일부를 와이핑할 때 센서 창유리를 따른 선형 경로를 따라 와이퍼, 특히 와이퍼 블레이드를 이동시키도록 배열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적으로, 와이퍼 또는 와이퍼 블레이드는 상이하게 이동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와이퍼 또는 와이퍼 블레이드는 특히 센서 창유리에 대해 실질적으로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적으로, 와이퍼 또는 와이퍼 블레이드는 그것을 센서 창유리를 따라 이동시키도록 병진 이동될 수 있다. 특히, 와이핑 동안, 선형 이동, 회전 및/또는 병진 이동될 수 있는 와이퍼, 특히 와이퍼 블레이드는 그것의 세로 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이핑 동안 센서 창유리와 접촉하게 되는 와이퍼 팁을 갖는 와이퍼 본체를 포함할 수 있는 와이퍼 또는 와이퍼 블레이드는 예를 들어 센서 창유리를 효율적으로 와이핑하기 위해 와이퍼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와이퍼 또는 와이퍼 블레이드는 특히 실질적으로 직선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이퍼 블레이드는 와이퍼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으로, 블레이드 길이를 가질 수 있고, 이 블레이드 길이는 센서 창유리의 시야 형성 부분의 폭에 대응하고 및/또는 와이퍼의 단일 스트로크를 통해 실질적으로 상기 시야 형성 부분 및 실질적으로 전체 센서 창유리를 커버하기 위해 세척될 센서 창유리의 폭에 대응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와이퍼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으로의 와이퍼 블레이드의 블레이드 길이는 와이어 블레이드의 외향 운동(outward movement) 및 복귀 운동(return movement)을 통해 실질적으로 센서 창유리의 전체 시야 형성 부분 및/또는 실질적으로 전체 센서 창유리를 커버하기 위해, 센서 창유리의 폭보다 작을 수 있고, 및/또는 상기 센서 창유리의 시야 형성 부분의 폭보다 작을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센서 창유리의 폭의 절반 및/또는 센서 창유리의 상기 시야 형성 부분의 폭의 절반일 수 있다. 특히, 와이퍼 블레이드는 센서 창유리와 접촉하도록 배열된 탄성 와이퍼 블레이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와이퍼 블레이드와 센서 창유리 사이에 효과적인 접촉을 제공하는 한편, 와이퍼가 센서 창유리를 따라 이동할 때 센서 창유리 상에서의 와이퍼 블레이드의 긁힘으로 인한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탄성 와이퍼 블레이드 부분은 특히 내구성이 있고 제조하기 쉬운 고무 또는 고무 유사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 세척 유닛은 와이퍼를 센서 창유리 위에서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를 향해 와이핑하여, 예컨대,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에 위치한 센서 창유리의 적어도 제1 부분을 와이핑하도록 배열되고, 그리고 여기서 세척 유닛은 센서 창유리의 상기 제1 부분 위에서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실질적으로 상기 제2 부분을 향해 이동하도록 배열된다. 단방향 와이핑(예컨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와이핑하고 제2 위치로부터 실질적으로 제1 위치를 향한 와이핑은 삼가하는 것)이 특히 양방향 와이핑과 비교하여 최적의 세척 결과를 제공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특히, 와이퍼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의 와이퍼의 외향 와이핑 운동 시 센서 창유리로부터 닦여 나간 잔해물이 제2 위치로부터 실질적으로 제1 위치를 향한 와이퍼의 복귀 운동 시에 센서 창유리로 재유입되는 것이 회피된다. 또한, 제2 위치로부터 실질적으로 제1 위치를 향한 와이퍼의 복귀 운동 시 와이핑을 삼가하는 것은 복귀 운동 동안 센서 창유리 상에 유체막이 전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와이퍼 형상은, 예컨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의 와이핑 방향에 최적화될 수 있다. 와이퍼는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와이핑하는 동안 센서 창유리와 접촉할 수 있고, 여기서 와이퍼는 제2 위치로부터 실질적으로 제1 위치를 향한 와이퍼의 운동 동안에는 센서 창유리로부터 분리된다. 특히, 구동 유닛은 와이퍼를 센서 창유리 상에서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그리고 실질적으로 제1 위치를 향해 뒤로 구동하도록 배열된다.
추가 실시예에서, 세척 유닛은 와이퍼를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앞뒤로 이동시키도록 배열되고, 여기서 와이퍼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를 향해 이동할 때 와이퍼는 센서 창유리와 접촉하고, 와이퍼가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를 향하여 뒤로 이동될 때 와이퍼는 센서 창유리로부터 이격된다. 제1 위치에서 제2로의 외향 운동에 이은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의 복귀 운동의 와이핑 사이클은 예를 들어 센서 창유리를 완전히 세척하고 센서 창유리에 붙어 있을 수 있는 잔해물을 닦아내기 위해 여러 번 반복될 수 있다. 세척 유닛은 예를 들어 미리 정의된 시간 슬롯에서 센서 창유리를 세척할 수 있으며, 여기서 이 시간 슬롯 동안 복수의 와이핑 사이클이 반복된다. 이러한 시간 슬롯은 예를 들어 자동차의 광학 감지 장치가 비교적 긴 시간 동안 사용될 수 없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예를 들어, 20초, 바람직하게는 최대 15초, 보다 바람직하게는 최대 10초,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훨씬 더 적은 시간으로 제한될 수 있다. 특히, 구동 유닛은 와이퍼를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앞뒤로 이동시키고, 와이퍼를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를 향해 이동시킬 때 와이퍼와 센서 창유리를 접촉시키고, 그리고 와이퍼를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를 향해 뒤로 이동시킬 때 와이퍼를 센서 창유리로부터 분리시키도록 배열된다. 구동 유닛은 예를 들어 DC-모터와 같은 전기모터와 같은 전원에 연결된 액츄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액츄에이터는 커플링 장치에 의해 와이퍼에 기계적으로 또는 전기기계적으로 커플링된다. 이러한 커플링은 액츄에이터의 운동이 와이퍼로 전달되록, 예를 들어 회전 운동에서 병진 운동으로 전달되도록 구성된다. 커플링 장치는 센서 창유리 위의 원하는 궤적을 따라 와이퍼를 이동시키도록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와이퍼의 복귀 운동에서 센서 창유리로부터 와이퍼를 분리시키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커플링은 예를 들어 스핀들 배열, 캠 배열, 벨트 드라이브, 바 링키지, 체인, 가이딩 트랙 등과 같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커플링 배열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세척 유닛은 예를 들어 제1 와이퍼와 통합될 수 있고 및/또는 공유 지지부에 의해 운반될 수 있는 제2 와이퍼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와이퍼는 제1 와이퍼 및 제2 와이퍼의 외향 운동 시 센서 창유리 위를 와이핑하고 제2 와이퍼는 제1 와이퍼 및 제2 와이퍼의 복귀 운동 시 센서 창유리 위를 와이핑한다. 제1 및 제2 와이퍼의 외향 운동 시에는 제2 와이퍼가 센서 창유리로부터 분리 및 이격되고, 제1 및 제2 와이퍼의 복귀 운동 시에는 제1 와이퍼가 센서 창유리로부터 분리 및 이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센서 창유리는 와이퍼의 외향 운동 및 복귀 운동 모두에서 와이핑되고, 이와 동시에 제1 및 제2 와이퍼는 센서 창유리를 단방향으로 와이핑한다.
실시예에서, 세척 유닛은 예를 들어 와이퍼를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를 향해 제1 방향으로 와이핑하도록 배열되고, 세척 유닛은 예를 들어 와이퍼를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를 향해 상기 제1 방향과 실질적으로 반대인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배열된다.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의 와이퍼의 외향 궤적 및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의 와이퍼의 복귀 궤적은 센서 창유리의 형상에 적응될 수 있다. 이러한 외향 및 복귀 궤적은 실질적으로 중첩될 수도 있고 또는 서로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도 있다. 와이퍼를 초기 위치(예를 들어 제1 위치)로 복귀시킬 때, 센서 창유리의 효과적인 세척을 위해 반복될 수 있는 와이핑 사이클이 얻어질 수 있다. 선택사항으로서, 와이퍼의 외향 및/또는 복귀 궤적은 실질적으로 선형이다. 대안으로서, 와이퍼의 외향 및/또는 복귀 궤적은, 호 형상과 같이 실질적으로 만곡된, 예컨대, 피벗 축을 중심으로 피벗하는 와이퍼 또는 와이퍼 블레이드이다. 선택사항으로서, 외향 및/또는 복귀 궤적은 더 복잡한 형상, 예컨대, 편심 호를 그릴 수 있는데, 이는 예를 들어 바 링키지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세척 유닛은 와이퍼의 적어도 일부를 기울이도록 배열되며,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는 센서 창유리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및/또는 실질적으로 와이퍼 또는 와이퍼의 와이퍼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와이퍼 축을 중심으로 하여, 적어도 상기 와이퍼의 와이퍼 블레이드를 기울이도록 배열된다. 특히, 세척 유닛의 구동 유닛은 와이퍼의 적어도 일부를 기울이도록 배열될 수 있다. 와이퍼의 적어도 일부를 기울이는 것은 센서 창유리로부터 와이퍼의 에너지 효율적인 접촉 및/또는 분리를 가능하게 하여, 와이퍼는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의 외향 궤적에서 센서 창유리와 접촉할 수 있고,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의 복귀 궤적에서 센서 창유리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와이퍼 또는 와이퍼 블레이드의 센서 창유리에 대한 와이핑 각도는 세척 성능을 최적화하기 위해 와이퍼 또는 와이퍼 블레이드를 기울임으로써 제어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세척 유닛은 와이퍼의 상기 적어도 일부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를 향해 이동될 때 센서 창유리에 대해 제1 방향이 되고 그리고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를 향해 뒤로 이동될 때 센서 창유리에 대해 제2 방향이되도록 배열되며, 여기서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져 있다. 바람직하게는, 와이퍼의 기울어진 또는 비스듬한 위치에서, 와이퍼는 제2 위치와 제1 위치 사이의 복귀 궤적을 따라 이동할 때 센서 창유리와 접촉하지 않는다. 와이퍼가 제1 와이퍼 및 제2 와이퍼를 포함하는 경우, 와이퍼의 틸팅 또는 비스듬한 운동은 센서 창유리로부터 제2 와이퍼를 분리하는 동안 제1 와이퍼를 센서 창유리와 접촉하게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추가 실시예에서, 세척 유닛은 센서 창유리로부터 와이퍼를 후퇴시키도록 배열되고, 상기 세척 유닛은 와이퍼가 후퇴된 상태에 있을 때 와이퍼를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뒤로 이동시키도록 더 배열되고, 이 후퇴된 상태에서는 와이퍼가 센서 창유리와 접촉하지 않는다. 센서 창유리로부터의 와이퍼의 후퇴는 센서 창유리로부터 와이퍼를 분리시켜, 제1 위치로 뒤로 이동시키기 위해 와이퍼를 후퇴된 상태가 되게 한다. 특히 구동 유닛은 센서 창유리로부터 와이퍼를 후퇴시키도록 배열된다.
실시예에서, 세척 유닛은 센서 창유리로부터 와이퍼를 들어올리도록, 특히 센서 창유리의 표면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와이퍼를 후퇴시키도록 배열된다. 예를 들어, 와이퍼는 제2 위치에서 센서 창유리 위쪽으로 일정 거리만큼 들어 올려질 수 있고, 그 후에 와이퍼는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의 와이퍼의 복귀 운동에서 센서 창유리 표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이동된다. 와이퍼와 센서 창유리 사이의 상기 거리는 복귀 운동 동안 유지된다. 예를 들어, 와이퍼와 센서 창유리 사이의 상기 거리는 복귀 운동을 따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와이퍼와 센서 창유리 사이의 상기 거리는 복귀 운동을 따라 타원형 또는 호-형상의 함수를 그리는 것과 같이 변할 수도 있다. 제1 위치에서 또는 그 근처에서, 와이퍼는 센서 창유리와 접촉하기 위해 센서 창유리 쪽으로 하강될 수 있으며, 그 후 와이퍼는 구동 장치에 의해 센서 창유리와에 접촉하는 동안 제2 위치로의 외향 운동에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와이퍼와 센서 창유리 사이의 거리에 관계없이, 와이퍼가 센서 창유리와 평행한 평면 내에서 다양한 궤적을 따를 수 있음이 분명하다.
실시예에서, 세척 유닛은 일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센서 창유리의 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와이퍼를 후퇴시키도록 배열된다. 예를 들어, 와이퍼는 센서 창유리와 접촉하지 않고 초기 위치(예를 들어, 제1 위치)로 와이퍼를 복귀 시키기 위해 센서 창유리의 바깥 에지에서 센서 창유리로부터 후퇴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와이퍼가 복귀 운동에서 센서 창유리를 와이핑하지 않는 동안 감지 장치와 와이퍼의 간섭을 줄이기 위해, 와이퍼는 감지 장치의 시야 밖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것은 와이핑 스트로크 직후 및 후속 와이프 스트로크 사이에 감지 장치가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게 해주므로, 센서 창유리의 세척 시 감지 장치의 가동 중지 시간을 최소화한다. 와이퍼는 예를 들어 닦여진 잔해물의 확산을 최소화하기 위해 와이퍼의 길이 방향으로 센서 창유리로부터 후퇴될 수 있다. 선택사항으로서, 와이퍼는 와이퍼의 측방향으로(즉, 와이퍼의 길이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센서 창유리의 바깥 에지에서 센서 창유리로부터 후퇴되어 닦여진 잔해물을 수집되고 배출되도록 센서 창유리의 바깥 에지 밖으로 밀어낸다.
추가 실시예에서, 세척 유닛은 후퇴된 와이퍼를 제1 위치 근처의 위치를 향해,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센서 창유리의 전방에 있지 않은 위치를 향해 뒤로 이동시키도록 배열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세척 유닛은 센서 창유리 상으로 세정액을 분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노즐을 더 포함한다. 세정액은 최소한의 와이핑을 통해, 센서 창유리의 효율적인 세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세정액은 물, 부동제, 세제, 용매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세정액을 포함할 수 있다. 세척 유닛에는 압력을 가하여 세정액을 센서 창유리에 도포하기 위한 펌프가 제공될 수 있다.
센서 창유리에 분무되는 세정액의 양을 최소화하기 위해, 하나 또는 복수의 노즐이 센서 창유리 상에 세정액의 막을 도포시킬 수 있다. 센서 창유리 상에 세정액을 도포하는 것은 센서 창유리에 약하게 충돌하는 것(non-forcefully inpacting)을 것을 포함할 수 있어, 세정액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반면에 센서 창유리로부터 장애물을 기계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세정액의 제트 충돌을 이용하는 것은 많은 양의 세정액을 필요로 한다. 센서 창유리를 와이핑하기 전에, 전체 센서 창유리를 덮는 세정액의 박막을 센서 창유리 상에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정액은 센서 창유리를 적셔 센서 창유리로부터 장애물을 느슨하게 만들 수 있고, 여기서 와이퍼는 후속적으로 센서 창유리로부터 도포된 세정액과 함께 장애물을 기계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세척 유닛은 노즐과 함께 사용할 때 특히 단일 와이핑 사이클에서 센서 창에 2-20mL의 세정액을 분무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세정액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방출되는 세정액의 거의 전부가 센서 윈도우에 도포되고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센서 창유리 상에 도포된 세정액은 와이퍼로 센서 창을 와이핑하기 전에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 동안 센서 창을 적시게 할 수 있다.
세척 유닛은 특히 세척 유체가 센서 창유리 상에 도포된 후 미리 결정된 소킹(soaking) 시간 동안 와이핑 궤적을 따른 와이퍼의 이동을 멈추도록 배열될 수 있다. 미리 결정된 소킹 시간은 예를 들어 0.2 내지 8초의 범위, 특히 0.5 내지 2초의 범위, 예컨대, 약 1초일 수 있다. 미리 결정된 소킹 시간은 전체 사이클 시간의 상당한 부분을 차지할 수 있으며, 전체 사이클 시간은 와이퍼가 단일 사이클의 와이퍼 궤적을 완료하는 시간으로 정의된다. 예를 들어, 미리 결정된 소킹 시간은 전체 사이클 시간의 10 내지 50%, 보다 구체적으로 20 내지 40%, 예컨대, 약 25%일 수 있다. 이러한 소킹 시간 동안 세정액이 센서 창유리를 적시게 함으로써, 와이퍼에 의해 센서 창으로부터 장애물이 쉽게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이것은 센서 창유리로부터 장애물을 기계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세정액을 사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세정액을 최소한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세정액의 분무를 센서 창유리로부터 멀어지게 방향전환시키고 및/또는 센서 창유리에 대한 세정액의 강한 충격을 줄일 수 있는 운전중인 자동차의 겉보기 바람과 같은 바람에 의해 야기되는 노즐의 분무의 방해(disturbance)를 회피하기 위해, 세척 유닛의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노즐은, 적어도 상기 하나 이상의 노즐이 세정액을 센서 창유리 상에 분무하는 분무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센서 창유리를 향하도록 지향된다. 바람직하게는, 노즐은 상기 분무 상태에서 센서 창유리에 수직인 방향으로 세정액을 보내도록 배열된다. 이것은 하나 이상의 노즐과 센서 창유리 사이의 분무 거리를 최소화하여 분무에 대한 방해를 최소한으로 유지한다.
추가의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노즐은 와이퍼 및/또는 와이퍼를 운반하는 와이퍼 지지부 상에 제공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소형의 세척 유닛이 얻어질 수 있다. 또한, 센서 창유리 상의 세정액의 도포 및 와이퍼의 와이핑이 효율적으로 조정될 수 있어, 세척 유닛의 세척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분무되는 세정액의 양이 감소될 수 있다. 추가 이점은 단일 구동 장치 및/또는 단일 액츄에이터(바람직하게는 DC-모터와 같은 전기 액츄에이터)가 와이퍼 및 하나 이상의 노즐을 모두 이동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세척 유닛의 구동 유닛은 하나 이상의 노즐 뿐만 아니라 와이퍼를 구동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 시스템은 특히 어레이가 제1 방향으로 센서 창유리를 가로질러 선형으로 연장하는 노즐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세척 유닛은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센서 창유리 위에서 노즐 어레이를 구동시키도록 배열되어, 스캐닝 모션으로 센서 창에 세정액의 막을 도포할 수 있다. 노즐의 어레이는 예를 들어 어레이의 100mm 길이당 5 내지 20개의 노즐, 바람직하게는 어레이의 100mm 길이당 약 10 내지 15개의 노즐을 포함한다. 노즐은 일렬로 선형으로 등거리로 배열될 수 있다.
노즐 어레이는 센서 창유리에 평행하게 구동되어, 센서 창유리 위에 균일한 세정액 막을 도포할 수 있다. 또한, 이 시스템은 적어도 세정액을 도포하는 동안 센서 창에 걸쳐 실질적으로 일정한 속도로 노즐 어레이를 구동하도록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감지 장치가 움직이는 차량에 제공될 때 세정액이 센서 창유리에 닿기 전에 센서 창유리로부터 날아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및/또는 세정액이 와이퍼에 의해 와이핑되기 전에 센서 창유리로부터 날아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세척 유닛의 실시예는 센서 창유리의 적어도 일부를 덮기 위한 이동 가능한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센서 창유리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노즐은, 적어도 노즐의 분무 상태에서, 커버와 센서 창유리 사이에 제공된다. 선택사항으로서, 이동 가능한 커버는 노즐의 분무 상태에서 실질적으로 전체 센서 창유리를 덮도록 구성된다. 세척 유닛의 구동 유닛은 커버를 구동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세척 유닛은 센서 창유리가 세척된 후, 예를 들어 구동 유닛을 통해 감지 장치의 시야를 벗어나도록 커버를 빼내도록 배열된다.
세척 유닛의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노즐이 커버 상에 제공되고, 이는 단일 액츄에이터에 의해 하나 이상의 노즐 및 커버의 작동을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노즐은, 적어도 노즐의 분무 상태에서, 커버와 센서 창유리 사이에 제공되어, 커버가 분무 노즐 및 센서 창유리의 적어도 일부를 (겉보기) 바람으로부터 보호한다.
세척 유닛의 다른 실시예에서, 이동 가능한 커버는 와이퍼 및/또는 와이퍼를 지지하는 와이퍼 지지부를 포함하고 및/또는 이동 가능한 커버는 와이퍼 및/또는 와이퍼를 지지하는 와이퍼 지지부 상에서 운반된다. 커버 및 와이퍼는 단일 액츄에이터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와이퍼 또는 와이퍼 블레이드는 이동 가능한 커버에 장착될 수도 있고, 또는 이동 가능한 커버와 통합될 수 있다. 와이퍼 또는 와이퍼 블레이드는 상기 이동 가능한 커버 상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즉, 이동 가능한 커버는 와이퍼용 와이퍼 지지부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와이퍼(지지부)는 이동 가능한 커버에 포함되지 않고, 이동 가능한 커버는 와이퍼(지지부)와는 독립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세척 유닛의 실시예는 와이퍼 또는 와이퍼 지지부가 센서 창유리를 따라 커버를 이동함으로써 적어도 일부의 센서 창유리를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배열된다.
실시예에서, 이동 가능한 커버에는 센서 창유리를 따라 와이퍼 또는 와이퍼 블레이드를 안내하도록 배열된 가이드가 제공된다. 이 가이드는 하나 이상의 가이딩 채널 및/또는 가이딩 트랙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동 가능한 커버를 가지는 실시예와 그렇지 않은 실시예 모두에서, 세척 유닛의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 또는 요소에는 센서 창유리를 따라 와이퍼 또는 와이퍼 블레이드를 안내하도록 배열된 가이드가 제공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세척 유닛의 실시예에서, 상기 세척 유닛은 이동 가능한 커버의 이동과는 독립적으로 와이퍼를 이동시키도록 배열되고 및/또는 와이퍼의 이동과는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한 커버를 이동시키도록 배열된다. 예를 들어, 와이퍼는 커버가 이동될 때마다 이동될 수 있지만, 와이퍼는 개별적으로, 즉 커버의 이동없이도 이동될 수 있다.
세척 유닛의 실시예에서, 센서 창유리 위에서 와이퍼를 와이핑하도록 배열된 구동 유닛은 또한 이동 가능한 커버를, 특히 이동 가능한 커버가 센서 창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제1 커버 위치로부터 커버가 센서 창유리의 적어도 일부를 실질적으로 자유롭게 남겨둔 제2 커버 위치로 이동 가능한 커버를 이동시키도록 배열된다. 또한, 구동 유닛은 커버가 센서 창유리의 적어도 일부를 실질적으로 자유롭게 남겨두는 제2 커버 위치로부터 이동 가능한 커버가 센서 창유리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제1 커버 위치를 향해 이동 가능한 커버를 이동시키도록 배열될 수 있다. 구동 유닛은 센서 창유리가 세척되지 않을 때 감지 장치의 시야를 벗어나게 커버를 빼내도록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척 유닛의 실시예에서, 구동 유닛은 바람직하게는 전기 모터에 의해 구동 가능한, 회전 가능한 구동 기어를 포함하고, 와이퍼는 상기 구동 기어가 회전될 때 와이퍼를 구동하도록 상기 회전 가능한 구동 기어에 기계적으로 결합되고, 그리고 커버는 슬립 커플링(slip coupling)에 의해 상기 회전 가능한 구동 기어에 커플링되고, 세척 유닛은 회전 가능한 구동 기어가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될 때 구동 유닛이 제2 커버 위치로부터 제1 커버 위치로 이동 가능한 커버를 구동하도록 배열되고, 세척 유닛은 커버가 제2 커버 위치로부터 제1 커버 위치로 이동될 때 커버가 상기 제1 커버 위치를 넘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커버와 협력하기 위한 제1 정지면을 포함하고, 그리고 세척 유닛은 이동 가능한 커버가 그것의 제1 커버 위치에 도달하고 상기 제1 정지면에 의해 정지된 때 회전 가능한 구동 기어가 상기 제1 회전 방향으로의 회전을 유지하도록 배열되고, 슬립 커플링은 커버가 제1 정지면에 의해 제1 커버 위치에 유지되는 동안 회전 가능한 구동 기어가 와이퍼를 계속 구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그리고 세척 유닛은 회전 가능한 구동 기어가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 중일 때, 커버가 그것의 제1 커버 위치에 있을 때, 구동 유닛이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제2 커버 위치로 이동 가능한 커버를 구동시키도록 배열된다. 모터/기어를 반대 방향으로 구동함으로써, 상기 모터/기어는 커버가 그것의 제2 위치에 있을 때, 즉 센서 창유리를 덮지 않을 때, 센서 창유리를 와이핑하도록 와이퍼를 구동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커버에 의해 센서 창유리를 닫을 필요 없이 동일한 모터/기어를 사용하여 응결수 또는 빗방울을 닦아내는데 유리할 수 있다. 따라서, 커버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세척 시간이 최소화될 수 있다. 게다가, 대안의 실시예에서, 커버가 감지 장치의 시야 밖으로 빼내진 상이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일 실시예에서, 이동 가능한 커버는 말 수 있다(rollable), 예컨대, 특히 롤링 축을 중심으로 말 수 있도록 배열될 수 있다. 그에 대해, 커버는 가요성일 수 있고 및/또는 롤러블 커버를 형성하기 위해 서로 피벗 가능하게 연결된 복수의 커버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적으로, 커버는 접힐 수 있고, 및/또는 세척 유닛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열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서, 특히 광학적 거리 측정을 위한 광학 감지 장치, 더 구체적으로 Lidar 센서 장치를 포함하는 어셈블리가 제공되며, 이 어셈블리는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세척 유닛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에서,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세척 유닛 또는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른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자동차, 특히 승용차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4 양태에서, 광학 감지 장치의 센서 창유리를 세척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특히 광학 감지 장치는 광학적 거리 측정 장치이고, 및/또는 광학적 거리 측정 장치, 더 구체적으로 LiDAR 센서 장치를 위한 광학 데이터를 감지하도록 배열되며, 이 방법은 와이퍼에 의해 센서 창유리의 적어도 제1 부분을 와이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4 양태에 따른 방법의 실시예에서, 와이퍼는 먼저 제1 이동 경로를 따라 센서 창 위를 와이핑하고, 그 다음 와이퍼는 제1 이동 경로가 시작된 제1 위치로 실질적으로 복귀되고, 와이퍼는 상기 제1 위치로 실질적으로 복귀될 때 센서 창유리 위를 와이핑하지 않고, 그 다음 바람직하게는 와이퍼는 특히 제1 이동 경로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이동 경로를 따라 센서 창유리 위를 다시 와이핑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양태 및 그 실시예가 아래의 도면과 함께 설명된다.
도 1a 내지 도 1i는 센서 창유리 위의 와이퍼의 몇 가지 개략적인 와이핑 궤적을 보여준다.
도 2는 센서 창유리의 단방향 와이핑을 위해 구성된 세척 유닛을 위한 구동 유닛의 적어도 일부의 10 가지 상이한 인스탠스 a)-j)를 보여주는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3a 내지 도 3f는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세척 유닛의 일 실시예의 여러 가지 개략적인 부분 절단된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a 내지 도 1i는 센서 창유리(1)에 대하여 예시적인 구성으로 세척 유닛의 하나 이상의 와이퍼(3)가 제공되어 있는 센서 창유리(1) 및 센서 창유리(1) 위의 하나 이상의 와이퍼(3)의 예시적인 궤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a 내지 도 1i 각각에서, 와이퍼(3)는 와이퍼(3)의 외향 운동에 따라 구동 유닛(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제1 위치(7)에서 제2 위치(9)로 이동된다. 이어서, 와이퍼(3)는 와이퍼(3)의 복귀 운동에 따라 제2 위치(9)에서 제1 위치(7)로 이동된다. 제1 위치(7)에서 제2 위치(9)로의 와이퍼(3)의 외향 운동 동안, 와이퍼는 실선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센서 창유리(1)의 잔해물을 세척하기 위해 센서 창유리(1) 위를 와이핑한다. 제2 위치(9)에서, 와이퍼(3)는 예를 들어 와이퍼가 센서 창유리 위쪽으로 일정 거리만큼 들어 올려짐으로써 센서 창유리로부터 분리되고, 그리고 제1 위치(7)로 돌아가는 복귀 운동 동안 와이퍼(3)는 와이퍼(3)에 의해 닦여진 잔해물의 재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센서 창유리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유지한다(즉, 와이퍼(3)는 센서 창유리(1)와 접촉하지 않는다). 와이퍼(3)의 복귀 운동은 도 1f 및 도 1h에서 점선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다. 와이퍼(3)의 외향 운동 및 복귀 운동은 실질적으로 다를 수 있지만 중첩될 수도 있다.
도 1a 내지 도 1d는 피벗 축(5)에서 피벗하는 와이퍼(3)의 구성을 도시한다. 와이퍼(3)는 센서 창유리(1)를 단방향으로 와이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위치(7)에서 제2 위치(9)로의 와이퍼(3)의 외향 운동 시에는 와이퍼(3)가 센서 창유리(1)와 접촉하고, 제2 위치(9)에서 제1 위치(7)로 돌아가는 와이퍼(3)의 복귀 운동 시에는 와이퍼(3)가 센서 창유리(1)와 접촉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a 및 도 1b는 2개의 와이퍼(3.1, 3.2)를 갖는 구성을 도시하며, 여기서 각각의 와이퍼(3.1, 3.2)는 구동 유닛(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각각의 제1 위치(7.1, 7.2)에서 제2 위치(9.1, 9.2)로 센서 창유리(1) 위를 와이핑하면서 이동된다. 제2 위치(9.1, 9.2)에서, 와이퍼(3.1, 3.2)는 예를 들어 센서 창유리(1) 위쪽으로 일정 거리만큼 들어올려져 센서 창유리로부터 분리되고, 그들 각각의 제1 위치(7.1, 7.2)로 뒤로 이동된다. 와이퍼(3.1, 3.2)는 DC 모터와 같은 단일 액츄에이터에 의해 구동될 수도 있고, 또는 대안으로서 2개의 개별 액츄에이터에 의해 구동될 수도 있다. 유사한 구성 또는 대안의 구성으로 세척 유닛이 3개 이상의 와이퍼, 예를 들어 3개 또는 4개의 와이퍼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도 1c 및 도 1d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의 피벗 축(5)에서 앞뒤로 피벗되는 하나의 와이퍼(3)를 갖는 구성을 도시한다. 도 1d에 도시된 와이퍼의 궤적은 센서 창유리(1)에 대한 와이퍼(3)의 적용 범위를 최대화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편심 호 형상이다. 이러한 편심 호 형상 또는 다른 원하는 형상은 와이퍼(3)의 액츄에이터에 결합된 전용 메커니즘, 예를 들어, 바 링키지 배열(bar linkage arrangement)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도 1e 내지 도 1i는 와이퍼(3)가 제1 위치(7)에서 제2 위치(9)로 선형 경로를 따라 이동되는 구성을 도시한다. 도 1e는 와이퍼 지지부를 공유하는 2개의 와이퍼(3.1, 3.2)를 갖는 구성을 도시한다. 각각의 와이퍼(3.1, 3.2)는 제1 위치(7)에서 제2 위치(9)로의 외향 운동 동안 제1 와이퍼(3.1)가 센서 창유리(1)와 접촉하고 제2 와이퍼(3.2)가 센서 창유리(1)와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방향성 와이퍼이다. 이와 유사하게, 제2 위치(9)에서 제1 위치(7)로의 복귀 운동 동안 제2 와이퍼(3.2)는 와이퍼와 접촉하지만, 제1 와이퍼(3.1)는 센서 창유리(1)와 접촉하지 않는다. 도 1f에서, 와이퍼(3)는 일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센서 창유리(1)와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센서 창유리(1)로부터 후퇴된다. 특히, 와이퍼(3)는 와이퍼(3)의 길이 방향으로 후퇴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와이퍼(3)는 센서 장치의 시야 밖에서 제1 위치(7)로 복귀될 수 있다. 제2 위치(9)로부터 제1 위치(7)로의 복귀 경로는 점선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다. 복귀 운동 중, 와이퍼(3)은 센서 창유리(1)를 와이핑하지 않는다. 그러나, 대안의 실시예에서, 와이퍼가 또한 센서 장치의 시야 밖에서 복귀할 수 있도록, 와이퍼는 다른 방식으로(예를 들어, 센서 장치의 후방 측에서) 복귀할 수도 있다. 도 1f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궤적을 따르는 2개 이상의 와이퍼가 제공될 수도 있다. 도 1h는 도 1f와 비교하여 유사한 구성을 도시하지만, 여기서 와이퍼(3)는 센서 창유리(1)로부터 후퇴되지 않는다. 제2 위치(9)에서, 도 1h의 와이퍼는 와이퍼(3)의 외향 운동 시 센서 창유리의 제1 부분이 와이핑되고 복귀 운동 시 나머지 부분이 와이핑되도록 반전된다. 따라서, 와이퍼(3)는 실선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외향 운동 중 뿐만 아니라 복귀 운동 중에도 센서 창유리(1) 위를 와이핑한다. 예를 들어, 와이퍼(3)는 실질적으로 전체 센서 창유리(1)가 단일 와이핑 사이클(즉 외향 운동 및 복귀 운동)에서 와이핑되도록 하는 길이 치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이퍼(3)는 센서 창유리(1)의 폭의 약 절반 또는 절반 초과에 대응하는, 와이퍼(3)의 길이 방향으로의 길이 치수를 가질 수 있다. 도 1h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궤적을 따르는 2개 이상의 와이퍼가 제공될 수도 있다.
도 1g는 와이퍼(3)가 제1 위치(7)에서 제2 위치(9)로, 특히 하나의 측면에서 다른 측면으로, 예를 들어, 좌측에서 우측으로, 또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선형 경로를 따라 이동되는 구성을 도시한다.
도 1g와 유사하게, 도 1i는 또한 와이퍼(3)가 제1 위치(7)에서 제2 위치(9)로 선형 경로를 따라 이동되는 구성을 도시한다. 여기 도 1i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센서 창유리(1)는 실질적으로 기다란 또는 장방형 디자인, 특히 기다란 직사각형 디자인을 가질 수 있고, 더 구체적으로는 실질적으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평평한 센서 창유리일 수 있는 센서 창유리(1)는 실질적으로 직립되게, 특히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승용차, 트럭 또는 부시(bush)와 같은, 자동차의 전면에 제공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서, 실질적으로 긴 와이퍼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는 와이퍼(3)는 센서 창유리(1)의 길이 방향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및/또는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 다음, 세척 유닛은 센서 창유리(1) 위의 예를 들어 와이퍼(3)의 와이퍼 블레이드의 제1 와이퍼 팁과 같은 와이퍼(3)의 제1 부분을 제1 위치(7)(바람직하게는 상부 위치)로부터 제2 위치(바람직하게는 바닥 위치)로 와이핑하도록, 예를 들어, 상기 제1 위치(7)와 상기 제2 위치(9) 사이에 위치한 센서 창유리(1)의 적어도 제1 부분을 와이핑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그 다음 세척 유닛은 와이퍼(3)의 상기 제1 부분이 센서 창유리(1)의 상기 제1 부분 위를 와이핑하지 않으면서 상기 제2 위치(9)로부터 실질적으로 상기 제1 위치(7)를 향해 와이퍼(3)를 뒤로 이동시키도록 배열될 수 있다. 그러나, 대안의 실시예에서, 와이퍼의 상기 제1 부분은 와이퍼(3)가 제1 위치(7)로 뒤로 이동될 때 센서 창유리(1)와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따라서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와이퍼(3)를 아래로 이동시킬 때 뿐만 아니라 와이퍼(3)를 상기 제1 위치(7)로 위로 다시 이동시킬 때에도 센서 창유리(1)를 와이핑할 수 있다.
도 1i의 이러한 구성은 도 1g의 구성과 관련하여 비교적 큰 와이퍼 및/또는 와이퍼 블레이드를 필요로 할 수 있지만, 와이퍼(3)가 장방형 센서 창유리의 길이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될 때 센서 창유리 또는 청소될 센서 창유리의 각 부분이 비교적 신속하게 세척될 수 있다는데 이점이 있다. 이것은 센서가 비교적 짧은 시간만 차단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서, 아래 방향으로의 와이핑은 물 및/또는 먼지 등이 비교적 효율적으로 제거될 수 있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각각의 도 1a 내지 도 1i의 장치에는 센서 창유리(1) 상에 세정액을 도포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노즐이 제공될 수 있다. 세정액은 예를 들어 물, 세제, 부동액,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노즐은 예를 들어 지지부를 공유하는 와이퍼(3)와 통합될 수 있다. 센서 창유리(1)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세정액을 분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정액이 센서 창유리(1)에 도달하기 전에 운전에 의해 유발된 바람으로 인해 세정액이 날아가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및/또는 와이퍼(3)가 와이핑 가능하기 전에 세정액이 센서 창유리(1)로부터 날아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노즐은 커버로 보호될 수 있다. 이 커버 및 노즐은 바람직하게는 센서 장치의 시야로부터 벗어날 수 있도록 이동 가능하게 배열된다. 커버는 센서 창유리를 완전히 덮도록 배열될 수도 있고, 또는 노즐이 세정액을 능동적으로 분무하는 부분을 덮을 수도 있다. 일 구성에서, 와이퍼(3), 하나 이상의 노즐, 및 커버는 통합되어, 예를 들어 지지부를 공유하며, 여기서 하나 이상의 노즐은 커버에 의해 보호되는 동안 센서 창유리(1) 상에 세정액을 도포한다. 하나 이상의 노즐은 이러한 구성에서 와이퍼가 센서 창유리(1)로부터 다른 잔해물과 함께 세정액을 와이핑하도록 와이퍼 앞에 와이퍼의 외향 운동 시 세정액을 분무하도록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척 유닛은 예를 들어 2개의 노즐, 또는 3개의 노즐 또는 4개 또는 5개 또는 그 이상, 예를 들어 약 10개, 약 20개 또는 약 30개의 노즐을 포함할 수 있으며, 노즐들은 와이퍼 및/또는 센서 창유리에 대해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다. 세척 유닛은 일정량의 세정액을 보유하기 위한 세정액 용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세척 유닛은 예를 들어 센서 창유리를 닦아낸 세정액을 재활용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와이퍼는 도포된 세정액을 수집하기 위한 형상일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세정액을 수집하기 위한 홈통 또는 배수구가 제공되어 있는 센서 창유리의 에지로 세정액을 푸시하는 형상일 수 있다. 센서 창유리의 잔해물로부터 세정액을 분리하기 위해 세정액을 여과하는 여과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수집된 세정액은 홈통 또는 배수구 또는 여과 장치로부터 센서 창유리로 직접 재주입될 수도 있고, 또는 세정액 용기에 보관될 수도 있다.
도 2는 센서 창유리(1) 위의 선형 경로를 따라 하나 이상의 와이퍼, 노즐, 커버 또는 이들의 조합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가이드는 선형 경로를 따라 연결 피스(24)를 안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가이드 트랙(22.i), 특히 홈 구조를 형성하는 프레임(20) 또는 하우징(20)을 형성한다. 연결 피스(24)에 와이퍼, 커버, 및/또는 노즐이 연결되지만, 명확성을 위해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하우징은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3개의 가이딩 트랙(22.1, 22.2 및 22.3)을 형성한다. 하우징(20)은 가이딩 트랙(22.i)이 센서 창유리(1)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센서 창유리(1)에 인접하게 배열된다. 연결 피스(24)는 가이딩 트랙(22.i) 내에 제공되어 있는 가이딩 핀(26.1, 26.2)을 포함한다. 사용 시, 연결 피스(24)는 구동 유닛에 의해 구동되고 하우징(20)의 제1 단부(27)로부터 제2 단부(29)로 안내된다. 연결 피스(24)에 연결된 와이퍼는 센서 창유리 위에서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 제1 위치 및 제2 위치는 하우징(20)의 제1 단부(27) 및 제2 단부(29)에 대응한다.
어느 한 단부에서, 가이딩 트랙(22.i)은 핀(26.1, 26.2)이 하우징의 제1 단부 및/또는 제2 단부에서 트랙을 변경할 수 있도록 서로 연결된다. 이것은 제2 단부(29)로부터 제1 단부(27)로의 복귀 운동 시에 와이퍼가 센서 창유리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센서 창유리로부터 와이퍼를 기울이거나 및/또는 후퇴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가이딩 수단은 하우징의 제1 단부(27)와 제2 단부(29) 사이에서 연결 피스(24)를 병진 이동시키고, 그리고 와이퍼와 센서 창유리를 접촉 및 분리하기 위해 제1 단부(27) 및 제2 단부(29)에서 연결 피스(24)를 기울이거나 회전시키도록 배열된다. 특히, 가이딩 수단은 회전 축(26.3)을 중심으로 연결 피스(24)를 회전시키도록 배열된다. 회전 축(26.3)은 가상 축일 수도 있고, 또는 차축 본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선택사항으로서, 차축 본체는 가이딩 트랙(22.i) 내에서 안내될 제3 가이딩 핀으로서 역할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연결 피스(24)는 특히 회전하는 2개의 가이딩 핀(26.1, 26.2)을 포함한다. 회전축(26.3) 및 가이딩 핀(26.1, 26.2)은 회전축과 핀을 서로 연결하는 가상선이 직각 삼각형을 둘러싸도록 상호 배열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 핀들은 제1 핀(26.1)과 제2 핀(26.2) 사이의 가상선이 회전축(26.3)과 제2 핀(26.2) 사이의 가상선에 수직이 되도록 배열된다.
또한, 가이딩 수단은 제1 핀(26.1)과 제2 핀(26.2) 사이의 거리가 제1 트랙(22.1)과 제3 트랙(22.3)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도록 배열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회전 축(26.3)이 또한 제3 트랙(22.3)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제1 핀(26.1) 및 제2 핀(26.2)은 각각 제1 트랙(22.1) 및 제3 트랙(22.3)을 통해 안내될 수 있다. 또한, 제2 핀(26.2)과 회전축(26.3) 사이의 거리는 제1 트랙(22.1)과 제2 트랙(22.2) 사이의 거리에 대응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회전 축(26.3)이 제3 트랙(22.3)을 따라 진행하는 동안 제2 핀(26.2) 및 제1 핀(26.1)은 제2 트랙(22.2) 내에서 안내될 수 있다. 핀(26.1, 26.2) 및 트랙(22.i)의 이러한 배열에서, 회전축(26.3)이 제3 트랙을 따라 제1 단부(27)와 제2 단부(29) 사이에서 선형으로 병진운동하는 동안, 연결 피스(24)는 제2 단부(29)로부터 제1 단부(27)로, 제1 단부(27)에서 제2 단부(27)로의 외향 배향에 대해 기울어지거나 비스듬한 배향으로 복귀될 수 있다.
하우징(20)을 따른 연결 피스(24)의 이동의 다양한 예가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특히, a)의 인스탠스에서, 연결 피스(24)는 하우징(20)의 제1 단부(27)에 있다. 두 핀(26.1, 26.2)은 모두 제2 트랙(22.2) 내에 있고 회전 축(26.3)은 제3 트랙(22.3) 내에 있다. 연결 피스(24)의 이러한 방향에서, 와이퍼는 하우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트랙(22.i)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된다. 연결 피스(24)는 하우징의 제1 단부(27)로부터 제2 단부(29)로 구동되고 안내된다.
b) 내지 e)의 인스탠스에서, 연결 피스(24)가 제2 단부(29)에 접근할 때, 선행하는 제1 핀(26.1)은 제2 트랙(22.2)의 단부 정지부의 경사면과 접하게 되고, 이 경사면은 제2 트랙(22.2)으로부터 제1 트랙(22.1)으로 트랙을 변경하도록 제1 핀을 안내한다. 그 결과, 연결 피스(24)의 회전 운동이 유도되고, 여기서 제2 핀(26.2)은 제2 트랙(22.2)에서 제3 트랙(22.3 트랙)으로 트랙을 변경하도록 강제된다. 회전축(26.3)은 제3 트랙(22.3)에 유지된다. 또한, 연결 피스(24)에 연결된 와이퍼는 와이퍼가 더 이상 센서 창유리와 접촉하지 않도록 연결 피스(24)와 함께 회전한다.
e)의 인스탠스에서, 연결 피스(24)는 단부 위치에 도달했고, 즉, 회전 축(26.3)이 하우징의 제2 단부(29)에 있는 종점에 도달했고, 연결 피스(24)는 a) 및 b)의 인스탠스에서 볼 수 있는 방향으로부터 약 90도 회전되었다. 또한, e)의 인스탠스에서, 연결 피스(24)의 구동 방향은 연결 피스를 제1 단부(27)를 향해 뒤로 구동하도록 반전된다. 이 구동 방향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반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츄에이터, 예컨대 전기 모터의 구동 방향는 기계적 또는 전기기계적 스위치에 의해 반전될 수 있고, 또는 연결 피스(24)의 구동 방향을 반전시키기 위해 바 링키지 배열과 같은 메커니즘이 액츄에이터에 결합될 수도 있다.
f)의 인스탠스에서, 연결 피스(24)는 제1 단부(27)를 향해 구동된다. 연결 피스(24)가 g) 내지 i)의 인스탠스에서 제1 단부(27)에 접근할 때, 제1 핀(26.1)은 제1 트랙(22.1)의 단부 정지부에 닿고, 그로인해 제2 핀(26.2)을 제3 트랙(22.3)에서 제2 트랙(22.2)으로 트랙을 변경하도록 강제하는 연결 피스(24)의 회전 운동을 유도한다. 제1 단부(27)를 향한 연결 피스의 계속된 움직임은 제1 핀(26.1)을 제1 트랙(22.1)에서 제2 트랙(22.2)으로 트랙을 변경하게 강제한다. 회전 축(26.3)은 제3 트랙(22.3) 내에 유지된다. 연결 피스에 연결된 와이퍼는 연결 피스(24)과 함께 회전되어 센서 창유리와 다시 접촉한다. 연결 피스(24)의 회전 운동은 사이클을 완료하는 j)의 인스턴스에서 완료된다. 이러한 j)의 인스탠스에서, 와이퍼는 하우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트랙(22.i)에 수직으로 재배향되고, 연결 피스의 구동 방향은 다시 반전되어 센서 유리창을 와이핑하면서 연결 피스(24)를 제2 단부로 구동시킨다.
도 3a 내지 도 3d는 광학 감지 장치(11)의 센서 창유리(1)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 유닛(10)의 일 실시예의 부분 절단도를 도시한다. 세척 유닛(10)은 와이퍼 블레이드(30)를 포함하는 와이퍼(3)를 포함하며, 이는 도시되지 않은 구동 유닛에 의해 센서 창유리(1)를 따라 앞뒤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모터를 포함하고 및/또는 전기 모터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구동 유닛은, 예를 들어 구동 트레인을 통해 와이퍼(3)를 운반하는 하나 이상의 와이퍼 캐리어(4)를 이동시키도록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이퍼 또는 와이퍼 블레이드는 기다란 디자인일 수 있고, 그것의 말단부, 바람직하게는 그것의 말단부와 근단부 모두 각각의 캐리어(4)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세척 유닛(10)은 캐리어(4) 및 그것에 부착된 와이퍼(3)를 실질적으로 직선의 길이 방향(D1, D2)으로 이동시키도록 배열되지만, 대안의 실시예에서 와이퍼(3)는 다른 방식으로 이동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적으로, 회전 및/또는 병진 이동될 수 있다.
도 3e 내지 도 3f는 도 3a 내지 도 3d에 도시된 세척 유닛(10)의 실시예들의 부분적으로 절단된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3e에서 비교적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캐리어(4)는 슬라이딩 캐리지 등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안의 실시예에서는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와이퍼(3) 또는 와이퍼 블레이드(30)는 어느 정도 회전 가능하도록 캐리어(4) 내에 장착된다. 특히, 와이퍼 블레이드(30)는 캐리어(4)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와이퍼 홀더(61)에 고정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캐리어(4)가 센서 창유리(1)를 따라 이동될 때, 와이퍼 블레이드(3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와이퍼(3)의 제1 부분, 보다 구체적으로 와이퍼 블레이드의 와이퍼 팁(31)은 센서 창유리(1)의 적어도 제1 부분과 접촉하고 그 위에서 푸시되어 상기 적어도 제1 부분을 세척하도록 와이핑한다. 그 다음, 예를 들어, 물 및/또는 광 투과에 대한 다른 장애물은, 예를 들어, 장애물을 센서 창유리(1)의 바깥 에지(12) 밖으로 밀어냄으로써 및/또는 장애물을 배출 채널(18) 또는 홈통(18) 등으로 밀어 넣음으로써, 센서 창유리(1)로부터 밀려 나갈 수 있고, 적어도 광학 감지 장치(11)의 시야를 형성할 수 있는 적어도 제1 부분 또는 영역으로부터 밀려날 수 있다.
사용 중, 와이퍼(3)가 초기의 제1 위치로부터, 예를 들어 상기 바깥 에지(12)에, 그 근처에 또는 그 너머에 위치한 제2 위치를 향해 이동된 후, 와이퍼(3)는 와이퍼(3)의 상기 제1 부분이 센서 창유리(1)의 상기 제1 부분과 접촉하여 와이핑하지 않으면서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실질적으로 상기 제1 위치를 향해 뒤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이퍼(3)를 상기 제1 센서 창유리(1)를 따라 뒤로 이동시키기 전에, 상기 와이퍼(3)는 센서 창유리(1)로부터 와이퍼 및/또는 와이퍼의 제1 부분을 들어올리기 위해 그것의 기다란 축을 중심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와이퍼(3)에는 틸팅 메커니즘이 제공되며, 여기서 틸팅 메커니즘은 와이퍼 홀더(61)를 통해 와이퍼(3)에 부착된 기어(62)를 포함한다. 상기 기어(62)는 슬립 커플링에 의해 와이퍼 홀더(61)에 부착된다. 구동 유닛이 와이퍼 캐리어(4)를 역방향(D2)으로 뒤로 이동시킬 때, 랙(63)과 맞물리는 피니언을 형성하는 기어(62)는 상기 랙(63)에 의해 회전되도록 강제되다. 슬립 커플링은 홀더(61) 및 그에 따른 와이퍼(3)가 상기 기어(62)와 함께 회전하도록 하고, 이것에 의해 와이퍼 팁(31)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와이퍼의 제1 부분을 센서 창유리(1)로부터 들어 올려져, 와이퍼(3)가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를 향해 뒤로 이동될 때 와이퍼의 상기 제1 부분은 센서 창유리(1)로부터 이격된다.
도 3a, 도 3c 및 도 3f에서 비교적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와이퍼(3)에는 제1 정지부(81)가 제공되며, 이 정지부는 여기서 와이퍼 홀더(61)에 의해 형성되고 한정되지만, 대안으로서 예를 들어 와이퍼(3) 및/또는 와이퍼 블레이드(30)의 일체형 부분일 수 있다. 와이퍼(3)가 제1 방향(D1)으로 이동되고 센서 창유리(1)의 각 부분을 와이핑할 때, 상기 제1 정지부(81)는 캐리어(4)에 제공된 제1 대응 정지부(41)와 접하여, 와이퍼(3)의 회전을 방지함과 동시에, 슬립 커플링은 기어(62)가 랙(63)을 따라 계속 회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준다. 와이퍼(3)가 역방향(D2)으로 뒤로 이동할 때, 랙(63)에 의해 회전하게 되는 기어(62)는 홀더(61)와 와이퍼(3)를, 예를 들어 와이퍼 홀더(61)에 의해 형성된 와이퍼(3)에 제공된 제2 정지부(82)가 캐리어(4)에 제공된 제2 대응 정지부(42)와 접할 때까지, 회전 방향(R2)으로 회전하게 만들 것이고, 그로 인해 와이퍼(3)가 더 회전하는 것이 방지되고 그로 인해 와이퍼(3)가 상기 역방향(D2)으로 뒤로 이동될 때 와이퍼의 제1 부분은 센서 창유리(1)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서, 단일 와이퍼 블레이드(30)에 의해 형성된 단일 와이퍼(3)가 제공된다. 그러나, 대안의 실시예에서, 특히 제2 와이퍼 팁에 의해 형성되고 및/또는 제2 와이퍼 팁을 가질 수 있는 제2 와이퍼 부분을 형성할 수 있는 제2 와이퍼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는 제1 와이퍼 부분이 상기 센서 창유리(1)로부터 이격된 때, 역방향(D2)으로 뒤로 이동할 때, 센서 창유리(1)와 접촉할 수 있다. 그 다음, 와이퍼(3) 또는 제1 와이퍼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하고 그 동안 제1 와이퍼 부분이 센서 창 유리(1)의 적어도 제1 부분을 와이핑할 때, 상기 제2 와이퍼 부분은 상기 센서 창유리(1)로부터 들어올려져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대해, 둘 모두 동일하거나 평행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는 제1 및 제2 와이퍼는, 예를 들어 이러한 길이 방향에서 볼 때 서로에 대해 일정 각도로 제공될 수 있다.
명료함과 간결한 설명을 위해, 특징들이 동일하거나 별도의 실시예의 일부로서 여기에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특징의 전부 또는 일부의 조합을 갖는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여기에 설명된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많은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러한 변형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며 아래의 청구범위에서 공식화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Claims (30)

  1. 자동차의, 특히 광학적 거리 측정을 위한 광학 감지 장치, 보다 구체적으로 LiDAR 센서 장치의 센서 창유리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 유닛으로서,
    상기 세척 유닛은 와이퍼, 및 상기 센서 창유리 위를 와이퍼로 와이핑하도록 배열된 구동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는 물, 세정액 또는 강수(precipitation)와 같은 다른 유체, 및/또는 광 투과에 대한 다른 장애물을 센서 창유리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멀리 밀어내도록 배열되고, 상기 와이퍼는 바람직하게는 와이퍼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 유닛.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 유닛은 예를 들어 제1 와이퍼 팁과 같은, 상기 와이퍼의 제1 부분을 상기 센서 창유리 위에서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를 향해 와이핑하도록 배열되어,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센서 창 판유리의 적어도 제1 부분을 와이핑하고, 상기 세척 유닛은 상기 와이퍼의 상기 제1 부분이 상기 센서 창유리의 상기 제1 부분 위를 와이핑하지 않으면서, 상기 와이퍼를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실질적으로 상기 제1 위치를 향해 뒤로 이동시키도록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 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 유닛은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와이퍼를 앞뒤로 이동시키도록 배열되고, 상기 와이퍼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를 향해 이동될 때 상기 와이퍼의 상기 제1 부분이 상기 센서 창유리와 접촉하고, 그리고 상기 와이퍼가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를 향해 뒤로 이동될 때 상기 와이퍼의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센서 창유리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 유닛.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 유닛은 상기 와이퍼를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를 향해 와이핑하도록 배열되고, 그리고, 상기 세척 유닛은 상기 제1 방향과 실질적으로 반대인 제2 방향으로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를 향하여 상기 와이퍼를 뒤로 이동시키도록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 유닛.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 특히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는 제2 와이퍼 부분, 특히 제2 와이퍼 팁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척 유닛은 실질적으로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실질적으로 상기 제1 위치를 향해 상기 센서 창유리 위에서 상기 와이퍼의 상기 제2 부분을 와이핑하도록 배열되고, 그리고 상기 세척 유닛은 상기 와이퍼의 상기 제2 부분이 상기 센서 창유리의 상기 제1 부분 위를 와이핑하지 않으면서, 실질적으로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실질적으로 상기 제2 위치를 향해 상기 와이퍼를 이동시키도록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 유닛.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 유닛은 상기 와이퍼의 적어도 일부를 기울이도록 배열되고, 예를 들어 상기 와이퍼의 적어도 와이퍼 블레이드를 기울이도록 배열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서 창유리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및/또는 상기 와이퍼 또는 실질적으로 와이퍼의 와이퍼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축을 중심으로 기울이도록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 유닛.
  8. 제7항 및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 유닛은 상기 와이퍼의 상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를 향해 이동될 때 상기 센서 창 판유리에 대하여 제1 방향이고, 그리고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를 향해 뒤로 이동될 때 상기 센서 창 판유리에 대하여 제2 방향이 되도록 배열되며,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방향에 대해 기울어져 있고, 특히 상기 와이퍼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와이퍼 축을 중심으로 기울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 유닛.
  9. 제3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 유닛은 상기 센서 창유리로부터 상기 와이퍼를 후퇴시키도록 배열되고, 상기 세척 유닛은 상기 와이퍼가 상기 센서 창유리와 접촉하지 않는 후퇴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와이퍼를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 뒤로 이동시키도록 더 배열되고,
    상기 세척 유닛은 특히 상기 센서 창유리의 표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상기 와이퍼를 후퇴시키기 위해 상기 센서 창유리로부터 상기 와이퍼를 들어올리도록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 유닛.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 유닛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센서 창유리의 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향으로 상기 와이퍼를 후퇴시키도록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 유닛.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 유닛은 후퇴된 와이퍼를 상기 제1 위치 근처의,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센서 창유리의 전면에 있지 않고 및/또는 실질적으로 상기 광학 감지 장치의 시야 내에 있지 않는 위치를 향해 뒤로 이동시키도록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 유닛.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창유리 상에 세정액을 분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노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 유닛.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노즐은, 적어도 상기 하나 이상의 노즐이 상기 센서 창유리 상에 세정액을 분무하는 분무 상태에 있을 때, 상기 하나 이상의 노즐은 상기 센서 창유리를 향하도록 지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 유닛.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노즐은 상기 와이퍼 및/또는 상기 와이퍼를 지지하는 와이퍼 지지부 상에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 유닛.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창유리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센서 창유리에 대해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 유닛.
  16. 제15항 및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노즐은 상기 커버 상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 유닛.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가능한 커버는 상기 와이퍼 및/또는 상기 와이퍼를 지지하는 와이퍼 지지부를 포함하고; 및/또는
    상기 이동 가능한 커버는 상기 와이퍼 및/또는 상기 와이퍼를 지지하는 와이퍼 지지부 상에서 운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 유닛.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창유리를 따라 상기 커버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와이퍼 또는 상기 와이퍼 지지부가 상기 센서 창유리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 유닛.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가능한 커버에는 상기 센서 창유리를 따라 상기 와이퍼 또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를 안내하도록 배열된 가이드가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 유닛.
  20. 제15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 유닛은 상기 이동 가능한 커버의 이동과는 독립적으로 상기 와이퍼를 이동시키도록 배열되고 및/또는 상기 창유리에 대해 상기 와이퍼를 이동시키는 것과는 독립적으로 상기 이동 가능한 커버를 이동시키도록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 유닛.
  21. 제15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창유리 위에서 상기 와이퍼를 와이핑하도록 배열된 상기 구동 유닛은 또한 특히 상기 이동 가능한 커버가 상기 센서 창유리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제1 커버 위치로부터, 상기 커버가 상기 센서 창유리의 적어도 일부를 실질적으로 자유롭게 유지하는 제2 커버 위치를 향해 상기 이동 가능한 커버를 이동시키도록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 유닛.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은 바람직하게는 전기 모터에 의해 구동 가능한 회전 가능한 구동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퍼는 상기 구동 기어가 회전될 때 센서 창유리를 따라 와이퍼를 구동시키기 위해 상기 회전 가능한 구동 기어에 기계적으로 결합되고, 그리고 상기 커버는 슬립 커플링(slip coupling)에 의해 상기 회전 가능한 구동 기어에 커플링되고,
    상기 세척 유닛은 상기 회전 가능한 구동 기어가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구동 유닛이 상기 이동 가능한 커버를 상기 제2 커버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커버 위치로 구동시키도록 배열되고,
    상기 세척 유닛은 상기 제2 커버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커버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커버가 상기 제1 커버 위치를 넘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커버와 협력하는 제1 정지면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세척 유닛은 상기 이동 가능한 커버가 그것의 제1 커버 위치에 도달하고 상기 제1 정지면에 의해 정지될 때 상기 회전 가능한 구동 기어가 상기 제1 회전 방향으로 계속 회전할 때, 상기 슬립 커플링이 상기 제1 정지면에 의해 상기 커버가 상기 제1 커버 위치에 유지되는 동안 상기 회전 가능한 구동 기어가 상기 와이퍼를 계속 구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배열되고, 그리고
    상기 세척 유닛은 상기 커버가 그것의 제1 커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회전 가능한 구동 기어가 상기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구동 유닛이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커버 위치로 상기 이동 가능한 커버를 구동시키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 유닛.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 유닛은 상기 제1 커버 위치에서 상기 제2 커버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커버가 상기 제2 커버 위치를 넘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커버와 협력하는 제2 정지면을 포함하고,
    상기 세척 유닛은 상기 커버가 그것의 제1 커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회전 가능한 구동 기어가 상기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구동 유닛이 상기 제1 커버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커버 위치로 상기 이동 가능한 커버를 구동하도록 또한 상기 와이퍼를 구동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세척 유닛은 상기 이동 가능한 커버가 그것의 제2 커버 위치에 도달하고 상기 제2 정지면에 의해 정지될 때 상기 회전 가능한 구동 기어가 상기 제2 회전 방향으로 계속 회전할 때, 상기 슬립 커플링이 상기 커버가 상기 제2 정지면에 의해 상기 제2 커버 위치에 유지되는 동안 상기 회전 가능한 구동 기어가 상기 와이퍼를 계속 구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 유닛.
  24. 제15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가능한 커버는 말 수 있는(rollable)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 유닛.
  25. 제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창유리,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평평한 센서 창유리는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고, 상기 와이퍼는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연장되는 실질적으로 긴 와이퍼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세척 유닛은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제1 와이퍼 팁과 같은, 상기 와이퍼의 제1 부분을 상기 센서 창유리 위에서, 제1 위치, 바람직하게는 상부 위치로부터 제2 위치, 바람직하게는 바닥 위치를 향해 와이핑하여,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에 위치한 상기 센서 창유리의 적어도 제1 부분을 와이핑하도록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 유닛.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 유닛은 상기 와이퍼의 상기 제1 부분이 상기 센서 창유리의 상기 제1 부분 위를 와이핑하지 않으면서, 상기 와이퍼를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실질적으로 상기 제1 위치를 향해 뒤로 이동시키도록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 유닛.
  27. 특히 광학적 거리 측정을 위한 광학 감지 장치, 보다 구체적으로 LiDAR 센서 장치를 포함하는 어셈블리로서, 상기 광학 감지 장치는 센서 창유리를 포함하고, 상기 어셈블리는 제 1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세척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28. 제1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세척 유닛 또는 제27항에 따른 어셈블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특히 승용차.
  29. 자동차의, 특히 광학적 거리 측정을 위한 광학 감지 장치, 보다 구체적으로 LiDAR 센서 장치의 센서 창유리를 세척하는 방법으로서,
    와이퍼에 의해 상기 센서 창유리의 적어도 제1 부분을 와이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는 먼저 제1 이동 경로를 따라 상기 센서 창유리 위를 와이핑하고, 그 다음 상기 와이퍼는 제1 이동 경로가 시작되는 제1 위치로 실질적으로 복귀되고, 상기 와이퍼는 상기 제1 위치로 실질적으로 복귀될 때 상기 센서 창유리 위를 와이핑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와이퍼는 특히 상기 제1 이동 경로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이동 경로를 따를 때 상기 센서 창유리 위를 다시 와이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227009536A 2019-08-27 2020-08-25 광학 센서 장치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 유닛 및 세척 방법 KR2022005948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2023712A NL2023712B1 (en) 2019-08-27 2019-08-27 Cleaning unit and method for cleaning an optical sensor device
NL2023712 2019-08-27
PCT/NL2020/050525 WO2021040517A1 (en) 2019-08-27 2020-08-25 Cleaning unit and method for cleaning an optical sensor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9489A true KR20220059489A (ko) 2022-05-10

Family

ID=68582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9536A KR20220059489A (ko) 2019-08-27 2020-08-25 광학 센서 장치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 유닛 및 세척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20355766A1 (ko)
EP (1) EP4021769A1 (ko)
JP (1) JP2022545346A (ko)
KR (1) KR20220059489A (ko)
CN (1) CN114286767A (ko)
NL (1) NL2023712B1 (ko)
WO (1) WO20210405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14202A (zh) * 2021-03-11 2021-07-13 嘉兴和昌电梯控制技术有限公司 一种防干扰平层光电开关
CN113876226B (zh) * 2021-10-25 2022-11-01 浙江健仕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杀菌水疗的智能洁身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31124B1 (fr) * 2001-10-22 2004-01-23 Renault Dispositif d'essuie-vitre a balais
DE102005021672A1 (de) * 2005-05-11 2006-11-16 Bayerische Motoren Werke Ag Schutzvorrichtung für eine Kamera eines Kraftfahrzeugs
JPWO2015115129A1 (ja) * 2014-01-28 2017-03-23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駆動装置
NL2015468B1 (nl) * 2015-09-18 2017-04-19 MCI (Mirror Controls International) Netherlands B V Beweegbare beeldopname inrichting en voertuig voorzien van een dergelijke inrichting.
US20170313288A1 (en) * 2016-04-14 2017-11-0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xterior vehicle camera protection and cleaning mechanisms
FR3051753B1 (fr) * 2016-05-27 2018-06-15 Valeo Systemes D'essuyage Systeme de nettoyage d'un capteur optique, ensemble comprenant un tel systeme et vehicule automobile associe
DE102017101641B4 (de) * 2017-01-27 2021-10-21 SMR Patents S.à.r.l. Wischvorrichtung für optische Vorrichtung mit Linse sowie Rückblickvorrichtung für Kraftfahrzeug mit solch einer Wischvorr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21769A1 (en) 2022-07-06
NL2023712B1 (en) 2021-05-11
US20220355766A1 (en) 2022-11-10
JP2022545346A (ja) 2022-10-27
WO2021040517A1 (en) 2021-03-04
CN114286767A (zh) 2022-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13251B2 (ja) 周辺環境捕捉のために形成された装置およびそのような装置のカバーのクリーニング方法
KR102474107B1 (ko) 태양광 모듈 세정기
JP2017221654A (ja) 自動清掃機
KR20220059489A (ko) 광학 센서 장치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 유닛 및 세척 방법
US5033490A (en) Car wash adjustable to car size
EP3597491B1 (en) A washing arrangement for washing a surface of a target device and method for washing a surface of a target device using said washing arrangement
CN111417887A (zh) 用于环境感测的设备和用于清洁这种设备的遮盖件的方法
US20120291217A1 (en) Windshield Wiper Blade and Suited for Removal of Solid Material
US20190113742A1 (en) View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US20070124886A1 (en) Combination wiper for vehicle outside mirror and front door window
EP1547882A1 (en) Windscreen wiper comprising a mobile double wiper
US20210009085A1 (en) Apparatus for cleaning a surface
US7228584B2 (en) Portal washing facility for motor vehicles
EP3165418B1 (fr) Procédé de commande d'un système d'essuyage et de lavage d'une vitre d'un véhicule et système le mettant en oeuvre
CN111891070A (zh) 天窗清洁机构及具有其的车辆
US11420595B2 (en) Cleaning unit for cleaning foreign matter from a cover, in particular a cover of a transmitter/receiver window of a driving environment sensor, and device for sensing the environment and method
WO2008006982A1 (fr) Essuie-glace pour l'essuyage d'un pare-brise panoramique pourvu de surfaces laterales, systeme d'essuyage correspondant et son utilisation
US8615840B1 (en) Surface cleaning system
CN220127001U (zh) 一种无人驾驶车辆传感器自清洁装置
NL2027610B1 (en) Cleaning device, motor vehicle and method
NL2019022B1 (nl) Beeldopname-inrichting, en werkwijze
CN111438093B (zh) 一种车库卷帘门自动清洁装置
WO2023061612A1 (en) Improved sensor cleaning based on required cleaning intensity
FR2898848A1 (fr) Dispositif de lavage alternatif pour essuie-vitre a deplacement lineaire
CN114852336A (zh) 一种用于清洁作业的无人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