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6610A - 전자응용 방충망 조립기계 - Google Patents

전자응용 방충망 조립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6610A
KR20220056610A KR1020200141342A KR20200141342A KR20220056610A KR 20220056610 A KR20220056610 A KR 20220056610A KR 1020200141342 A KR1020200141342 A KR 1020200141342A KR 20200141342 A KR20200141342 A KR 20200141342A KR 20220056610 A KR20220056610 A KR 202200566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ct screen
window frame
fixing groove
width direction
press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1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3667B1 (ko
Inventor
이성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영오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영오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영오토
Priority to KR1020200141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3667B1/ko
Publication of KR20220056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66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3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3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21/00Machines for assembling a multiplicity of different parts to compose units, with or without preceding or subsequent working of such parts, e.g. with programme control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7Mounting of screens to window or door

Abstract

본 발명의 전자응용 방충망 조립기계는, 방충망을 구성하는 창틀의 고정홈에 방충망을 삽입 고정하는 방충망 조립기계에 있어서,
작업대 위에서 컨베어벨트를 따라 창틀을 순차적으로 이송하는 창틀 유입 컨베어장치와;
상기 창틀 유입 컨베어장치의 앞쪽에 설치되어서 방충망을 창틀 쪽으로 이송하는 방충망 이송장치와;
상기 방충망 이송장치의 앞쪽에 설치되어서 창틀의 사방 고정홈에 방충망의 가장자리 부분을 재치한 후, 창틀의 모서리 부분 고정홈에 방충망의 모서리 부분을 눌러서 고정하는 모서리 누름장치와;
상기 모서리 누름장치의 앞쪽에 설치되어서 창틀의 폭방향 고정홈에 방충망의 폭방향(X축)을 눌러서 고정하는 폭방향 누름장치와;
상기 폭방향 누름장치의 앞쪽에 설치되어서 창틀의 길이방향 고정홈에 방충망의 길이방향(Y축)을 눌러서 고정하는 길이방향 누름장치 및;
상기 길이방향 누름장치의 앞쪽에 설치되어서 창틀의 사방 고정홈에 방충망의 가장자리 부분이 모두 삽입된 상태에서 창틀을 적재하거나 다음 단계의 고무링 압입장치로 이송하는 적재 및 이송장치로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전자응용 방충망 조립기계는,
창틀의 모서리 부분 고정홈과, 폭방향 고정홈 및 길이방향 고정홈에 방충망을 삽입하여 고정하는 작업을 모두 기계화 및 자동화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수작업에 의한 방충창의 방충망 제조장치에 비해 인건비를 크게 절감하고, 제품의 생산속도가 획기적으로 증가하여 여타 제품에 비해 가격경쟁력을 갖출 수 있으며,
기존의 수작업에 비해 완성된 방충창의 품질이 균일하고 우수하며, 완성된 방충창이 건물에 설치된 후 창틀의 고정홈에서 방충망의 가장자리 부분이나 고무링이 빠져나오는 등 제품 불량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전자응용 방충망 조립기계{Assembly machine insect screen of electronic application insect screen}
본 발명은 방충창의 방충망 자동화 조립기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창문의 최외측에 설치되는 방충창에 메쉬 형태의 알루미늄 방충망을 방충창틀의 사방 고정홈에 삽입하여 고정하는 작업을 모두 기계화 및 자동화하므로서,
종래의 수작업에 의한 방충창의 방충망 제조기계에 비해 인건비를 크게 절감하고, 제품의 생산속도가 획기적으로 증가하여 여타 제품에 비해 가격경쟁력을 갖출 수 있으며,
기존의 수작업에 비해 완성된 방충망의 품질이 균일하고 우수하며, 완성된 방충망이 건물에 설치된 후 고정홈에서 고무링이 빠져나오는 등 제품 불량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개선된 형태의 전자응용 방충망 조립기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충창은 유리창 바깥쪽에 설치하여서 실내로 통풍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유해 해충이 실내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최근 문화수준의 향상과 주거생활의 쾌적화를 위해 주거공간에는 거의 대부분이 설치되고 있으며, 그 종류로는 이동형과 고정형이 있다.
이러한 방충창은 메쉬 형태의 알루미늄 방충망이 사각의 방충창틀에 고정되어 창문의 최외측에 설치되는 형태이며, 창문의 개폐와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위치를 유지한다.
종래 기술에 의한 방충창 조립방법은, 통상적으로 소비자의 주문에 의해 알루미늄 샤시를 취급하는 대리점이나 공장에서 숙련된 기능공이 수작업으로 각각 개별 조립하므로서, 조립 후 방충창의 품질이 균일하지 못할 뿐 아니라,
숙련공의 작업속도에 따라 방충창 조립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생산성이 떨어지고, 방충창 생산에 여러명의 숙련공이 필요하여 인건비 상승을 유발하는 단점을 지니고 있었다.
이는 방충창을 설치하는 창문의 크기가 다양하므로 소비자가 요구하는 방충창의 크기 역시 다양하여서 이러한 소비자의 요구에 맞게 호환성을 지니면서 범용적으로 방충창을 조립할 수 있는 방충창 조립기계의 개발이 매우 어려우므로 방충창 조립장치를 자동화, 기계화하는데 한계가 있는 것이다.
또한, 방충창을 조립하기 위해 먼저 방충창틀을 조립하게 되는데, 종래 기술에 의한 이러한 형태의 방충창틀 조립방식은,
적정길이로 절단한 각각 한쌍의 가로 및 세로프레임으로된 4개의 창틀프레임의 모서리 부위에 4개의 모서리조립구를 작업자가 일일히 손으로 직접 억지끼워맞춤 방식으로 끼워 고정시켜야 하므로 조립이 매우 번거롭고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걸리게 되며,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조립상태가 균일하지 못하여서 제품이 균일하지 못하였고 생산성이 크게 떨어져 생산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방충창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장방 사각형태로 조립된 방충창틀에 같은 크기의 방충망을 맞댄 후, 이들 결합 부위의 고정홈에 고무링으로 억지 끼워맞춤하는 구조이다.
그러므로, 방충창틀에 방충망을 고정하기 위해서는 숙련공이 조립공구를 사용하여 창틀의 고정홈에 방충망을 삽입한 후, 이 고정홈에 고무링을 긴밀히 눌러서 억지끼워맞춤 하므로서 전적으로 수작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방충창을 조립하기 위해서는, 먼저 사각 형태를 이루도록 알루미늄이나 합성수지 재질로서 개구부를 따라 고정홈을 구비하는 방충창틀을 조립하고,
창틀에 고정하기 위해 방충망을 창틀의 개구부 크기보다 조금 크게 절단하며, 이 방충망을 창틀의 고정홈에 맞댄 후 조립공구를 사용하여 방충망의 가장자리를 따라 창틀의 고정홈에 밀어넣은 다음, 조립공구를 사용하여 방충망이 삽입된 창틀의 고정홈을 따라 고무링을 긴밀히 삽입하여서 완성된 방충창을 조립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종래 기술에 의한 방충창의 조립방법은, 통상적으로 소비자의 주문에 의해 알루미늄 샤시를 취급하는 대리점이나 공장에서 숙련된 기능공이 수작업으로 각각 개별 조립하므로서,
별도의 조립장치가 전무하여 방충창 조립을 자동화하는데 문제점이 있었고, 조립 후 방충창의 품질이 균일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숙련공의 작업속도에 따라 방충창을 조립하는 소요시간이 많아 단위 시간당 방충창 조립 갯수가 한정되어 있어 결국 생산원가와 인건비 상승을 유발하는 단점을 지니고 있었다.
이는 방충창을 설치하는 창문의 크기가 다종 다양하므로 소비자가 요구하는 방충창의 폭과 길이 역시 다종 다양하여서 이러한 소비자의 요구에 맞게 호환성을 지니면서 범용적으로 방충창을 조립할 수 있는 방충창 조립장치의 개발이 매우 어려우므로 방충창 조립장치를 자동화, 기계화하는데 한계가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업계는 물론 소비자들도 설치비용의 절감과 사용의 편의성을 위해 방충창의 다양한 크기에 따라 호환성을 지닌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충창 조립장치의 개발이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본 발명자는 한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6-4251호(2006. 01. 12)와 같은 방충창 조립방법 및 조립장치를 개발한 바 있다.
이러한 구조의 방충창 조립방법 및 조립장치는 금속이나 비철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된 가로프레임(101)과 세로프레임(102)을 소정크기로 절단하고, 절단된 이들 프레임(101,102)의 사방 모서리 부분에 모서리연결구(103)를 고정하여서 전체적으로 장방 사각 형태의 방충창틀(100)을 조립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방충창틀(100)의 개구부(104) 주연에 형성된 고정홈(105,106)에 방충망(200)을 조립하기 위해, 방충망 자동 절단장치로 상기 방충창틀(100)의 개구부(104) 주연에 형성된 고정홈(105,106)에 삽입될 수 있는 폭과 길이로 방충망(200)을 절단하여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조립된 방충창틀(100)을 방충창 조립장치의 작업테이블 상에 고정시키고, 상기 방충창틀(100)의 개구부(104)에 상기 단계에서 절단된 방충망(200)을 재치한 다음, 방충창 조립장치로 방충망(200)의 가장자리를 눌러서 상기 방충망(200)의 가장자리가 상기 방충창틀(100)의 개구부(104) 주연에 형성된 고정홈(105,106)에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방충창 조립장치로 방충망(200)의 가장자리가 방충창틀(100)의 개구부(104) 주연에 형성된 고정홈(105,106)에 삽입한 다음, 상기 방충창틀(100)의 개구부 주연에 형성된 고정홈(105,106)을 따라서 고무링 압입수단(9)이 가로 및 세로로 활주하면서 방충창틀의 고정홈에 고무링(300)을 압입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방충망(200)이 삽입된 방충창틀(100)의 개구부 주연을 따라 가면서 고무링(300)이 압입된 완성된 방충창(400)을 방충창 조립장치로부터 인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지닌 방충창 조립방법 및 장치는, 방충창의 가로 및 세로 크기에 상관없이 소비자가 원하는 모든 형태의 방충창을 자동으로 조립할 수 있어서 종래의 숙련공의 수작업으로 조립된 방충창에 비해 품질의 균일화와 생산 수율을 향상시켜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종래 샤시 대리점이나 공장에서 숙련공의 수작업으로 작업하던 방충창 제조방법들에 비해 방충창 제조의 자동화 및 기계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자는 상기 본인의 선행특허 기술을 더욱 발전시켜서 방충창틀에 알루미늄으로된 방충망을 끼우는 제조기계를 더욱 획기적으로 개선하여서 완성된 방충창 품질의 균일화를 기하고, 방충창의 생산수율 극대화 및 제조원가를 더욱 절감할 수 있도록 하였다.
(1)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6-4251호(2006. 01. 12) "방충창 조립방법 및 조립장치" (2)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692486호(2007. 03. 02) "방충창틀 조립방법 및 조립장치" (3)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6-144826호(2016. 12. 19) "방충창 조립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전자응용 방충망 조립기계는 방충창틀의 사방 고정홈에 방충망을 삽입하여 고정하는 작업을 모두 기계화 및 자동화하므로서,
종래의 방식에 의한 방충창의 방충망 조립장치나 방법에 비해 인건비를 크게 절감하고, 제품의 생산속도를 획기적으로 증가시켜 여타 제품에 비해 가격경쟁력을 갖출 수 있으며,
기존의 방식에 비해 완성된 방충창의 품질이 균일하고 우수하며, 완성된 방충창이 건물에 설치된 후 고정홈에서 고무링이 빠져나오는 등 제품 불량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응용 방충망 조립기계를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전자응용 방충망 조립기계는,
창틀에 방충망을 씌워 고정하기 위해 방충망을 구성하는 창틀의 고정홈에 방충망을 삽입 고정하는 방충망 조립기계에 있어서,
작업대 위에서 컨베어벨트를 따라 창틀을 순차적으로 이송하는 창틀 유입 컨베어장치와;
상기 창틀 유입 컨베어장치의 앞쪽에 설치되어서 방충망을 창틀 쪽으로 이송하는 방충망 이송장치와;
상기 방충망 이송장치의 앞쪽에 설치되어서 창틀의 사방 고정홈에 방충망의 가장자리 부분을 재치한 후, 창틀의 모서리 부분 고정홈에 방충망의 모서리 부분을 눌러서 고정하는 모서리 누름장치와;
상기 모서리 누름장치의 앞쪽에 설치되어서 창틀의 폭방향 고정홈에 방충망의 폭방향(X축)을 눌러서 고정하는 폭방향 누름장치와;
상기 폭방향 누름장치의 앞쪽에 설치되어서 창틀의 길이방향 고정홈에 방충망의 길이방향(Y축)을 눌러서 고정하는 길이방향 누름장치 및;
상기 길이방향 누름장치의 앞쪽에 설치되어서 창틀의 사방 고정홈에 방충망의 가장자리 부분이 모두 삽입된 상태에서 창틀을 적재하거나 다음 단계의 고무링 압입장치로 이송하는 적재 및 이송장치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자응용 방충망 조립기계에 따르면,
방충창틀의 사방 고정홈에 방충망을 삽입하여 고정하는 작업을 모두 기계화 및 자동화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수작업에 의한 방충창의 방충망 제조장치 및 방법에 비해 인건비를 크게 절감하고, 제품의 생산속도가 획기적으로 증가하여 여타 제품에 비해 가격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응용 방충망 조립기계는 기존의 수작업에 비해 완성된 방충창의 품질이 균일하고 우수하며, 완성된 방충창이 건물에 설치된 후 고정홈에서 고무링이 빠져나오는 등 제품 불량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충망 조립기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방충망 조립기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방충망 조립기계에 있어서, 창틀의 고정홈에 방충망의 모서리 부분을 눌러서 고정하는 모서리 누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방충망 조립기계에 있어서, 창틀의 고정홈에 방충망의 모서리 부분을 눌러서 고정하는 모서리 누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모서리 누름장치에 있어서, 누름구(11)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3의 모서리 누름장치에서, 창틀의 모서리 부분 고정홈에 방충망의 모서리 부분을 눌러서 고정하기 위해 창틀의 고정홈에 방충망을 재치하는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7은 도 3의 모서리 누름장치에서, 창틀의 모서리 부분 고정홈에 방충망의 모서리 부분을 눌러서 고정하기 위해 창틀의 고정홈에 방충망을 재치한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8은 도 3의 모서리 누름장치에서, 창틀의 모서리 부분 고정홈에 방충망의 모서리 부분을 눌러서 고정한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9는 본 발명의 방충망 조립기계에 있어서, 창틀의 폭방향 고정홈에 방충망의 폭방향(X축)을 눌러서 고정하는 폭방향 누름장치와, 방충창틀의 길이방향 고정홈에 방충망의 길이방향(Y축)을 눌러서 고정하는 길이방향 누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10은 도 9에서, 창틀의 폭방향 고정홈에 방충망의 폭방향을 눌러서 고정하는 폭방향 누름장치와, 창틀의 길이방향 고정홈에 방충망의 길이방향을 눌러서 고정하는 길이방향 누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폭방향 누름장치와, 길이방향 누름장치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도 10의 폭방향 누름장치와, 길이방향 누름장치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도 9의 폭방향 누름장치에서, 창틀의 폭방향 고정홈에 방충망의 폭방향을 눌러서 고정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도 9의 길이방향 누름장치에서, 창틀의 길이방향 고정홈에 방충망의 길이방향을 눌러서 고정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방충창의 방충망 조립기계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방충창의 방충망 조립기계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충창의 방충망 조립기계는 아래와 같은 각각의 장치를 거치면서 창틀(100)의 고정홈(101)에 방충망(200)의 가장자리 부분이 모두 삽입되어 고정되고,
다음 단계에서 별도의 장치인 고무링 압입장치에 의해 방충망의 가장자리가 삽입된 창틀의 고정홈을 따라가면서 고무링을 압입하여서 완성된 방충망을 제조하는 것이다.
아래의 각 장치들은 작업대 위에서 창틀이 컨베어벨트를 따라 이송하면서 아래의 각 장치를 거쳐 창틀의 모서리 부분 고정홈과, 폭방향 및 길이방향의 고정홈에 방충망의 가장자리 부분이 전자응용에 의한 자동화시스템에 의해 삽입 고정되는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충창의 방충망 조립기계(1)는, 작업대 위에서 다수의 컨베어벨트를 따라 창틀을 이송하는 창틀 유입 컨베어장치(2)와;
상기 창틀 유입 컨베어장치의 앞쪽에 설치되어서 방충망을 앞쪽으로 이송하는 방충망 이송장치(3)와;
상기 방충망 이송장치의 앞쪽에 설치되어서 도 6,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창틀(100)의 사방 고정홈(101)에 방충망(200)의 가장자리 부분을 재치한 후,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창틀(100)의 모서리 부분 고정홈(101)에 방충망(200)의 모서리 부분을 눌러서 고정하는 모서리 누름장치(4)와;
상기 모서리 누름장치의 앞쪽에 설치되어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창틀(100)의 폭방향 고정홈(101)에 방충망의 폭방향(X축)을 눌러서 고정하는 폭방향 누름장치(5)와;
상기 폭방향 누름장치의 앞쪽에 설치되어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창틀(100)의 길이방향 고정홈(101)에 방충망의 길이방향(Y축)을 눌러서 고정하는 길이방향 누름장치(6) 및;
상기 길이방향 누름장치의 앞쪽에 설치되어서 창틀의 사방 고정홈에 방충망의 가장자리 부분이 모두 삽입된 상태에서 창틀을 적재하거나 다음 단계의 고무링 압입장치로 이송하는 적재 및 이송장치(7)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창틀 유입 컨베어장치(2)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충망 조립기계(1)로 창틀의 사방 고정홈에 방충망을 삽입하기 위해서 작업대 위에서 컨베어벨트를 따라 창틀을 이송하는 장치이다.
그리고, 상기 창틀 유입 컨베어장치(2)의 앞쪽에는 방충망 이송장치(3)가 설치되어 있어서, 도 6,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창틀 유입 컨베어장치(2)로부터 이송되는 창틀(100)의 고정홈(101)을 따라 방충망(200)을 재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창틀(100)의 고정홈(101)을 따라 방충망(200)의 가장자리 부분을 재치시킨 후, 본 발명의 모서리 누름장치(4)에 의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창틀(100)의 모서리 부분 고정홈(101)에 방충망의 모서리 부분을 삽입하여 고정시킨다.
상기 모서리 누름장치(4)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송되는 창틀의 앞쪽을 고정 지지하는 3개의 승강되는 스토퍼(8)와;
모터(12)에 의해 확개축소하면서 창틀의 폭방향을 눌러 고정하는 센터링 유니트(9)와;
창틀이 움직이지 않도록 창틀의 뒷쪽을 눌러서 고정하는 2개의 누름유니트(10)와;
창틀의 모서리 부분 고정홈에 방충망의 모서리 부분만을 눌러서 고정하는 4개의 누름구(11)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4개의 누름구(11)는, 도 4,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대 상부에 설치된 에어실린더(13)와, 이 에어실린더의 저면에 설치되어 에어실린더의 승강에 의해 창틀의 모서리 부분 고정홈으로 승강하는 ㄱ자 및 ㄴ자 형상의 누름편(14)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 누름편(14)은 에어실린더(13)의 저면에 설치되어 창틀의 모서리 부분 고정홈으로 출몰되고, 이 누름편(14)이 창틀의 모서리 부분 고정홈으로 승강하면서 창틀(100)의 모서리 부분 고정홈(101)에 1차적으로 방충망(200)의 모서리 부분만을 눌러서 삽입 고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모서리 누름장치(4)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송되는 창틀의 앞쪽을 3개의 승강되는 스토퍼(8)에 의해 고정되고, 센터링 유니트(9)의 모터(12)에 의해 확개축소하면서 창틀의 폭방향을 눌러 고정하며,
2개의 누름유니트(10)에 의해 창틀의 뒷쪽이 움직이지 않도록 눌러서 고정한 다음, 4개의 누름구(11) 저면에 설치된 ㄱ자 및 ㄴ자 형상의 누름편(14)이 에어실린더(13)의 하강으로 방충망의 모서리 부분만을 창틀의 모서리 부분 고정홈에 눌러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폭방향 누름장치(5)는 상기 모서리 누름장치(4)의 앞쪽에 설치되어서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창틀(100)의 폭방향 고정홈에 방충망(200)의 폭방향(X축)을 눌러서 고정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길이방향 누름장치(6)는 상기 폭방향 누름장치(5)의 앞쪽에 설치되어서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창틀(100)의 길이방향 고정홈에 방충망(200)의 길이방향(Y축)을 눌러서 고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폭방향 누름장치(5)와 길이방향 누름장치(6)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송되는 창틀의 앞쪽을 고정 지지하는 3개의 승강되는 스토퍼(15)와;
모터에 의해 확개축소하면서 창틀의 폭방향을 눌러 고정하는 2개의 센터링 유니트(16)와;
창틀의 뒷쪽이 움직이지 않도록 창틀 뒷쪽을 눌러서 고정하는 3개의 누름유니트(17)와;
창틀의 폭방향 또는 길이방향 고정홈에 방충망의 폭방향 또는 길이방향 부분을 눌러서 고정하는 2개의 롤링 헤드 유니트(18)와;
상기 롤링 헤드 유니트가 작업대 위에서 폭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폭방향 직교 유니트(19)와;
상기 롤링 헤드 유니트가 작업대 위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길이방향 직교 유니트(2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롤링 헤드 유니트(18)는, 도 10, 11,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대 상부에 설치된 고정브라켓(21)과;
상기 고정브라켓에 직하방으로 설치되는 에어실린더(22)와;
상기 에어실린더의 로드 하단에 설치되어 가이드 롤러를 고정하는 고정브라켓(23)과;
상기 에어실린더의 로더 하단에 설치되어 에어실린더 로더의 승강에 의해 창틀의 폭방향 또는 길이방향 고정홈으로 승강하는 방충망 누름롤러(24)와;
상기 방충망 누름롤러가 롤링하는 방향의 앞쪽 고정브라켓에 설치되어서 방충망 누름롤러를 창틀(100)의 고정홈(101)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롤러(25)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본 발명의 폭방향 누름장치(5)와, 길이방향 누름장치(6)는 그 기술 구성이 동일하지만,
상기 본 발명의 폭방향 누름장치(5)의 경우 전기적 신호에 따라 상기 롤링 헤드 유니트(18)가 작업대 위에서 도 9와 같이 폭방향 직교 유니트(19)를 따라 이송할 경우 창틀(100)의 폭방향 고정홈(101)에 방충망(200)의 폭방향을 눌러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길이방향 누름장치(6)의 경우 전기적 신호에 따라 상기 롤링 헤드 유니트(18)가 작업대 위에서 도 9와 같이 길이방향 직교 유니트(20)를 따라 이송할 경우 창틀(100)의 길이방향 고정홈(101)에 방충망(200)의 길이방향을 눌러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폭방향 누름장치(5)로 창틀의 폭방향 고정홈에 방충망을 삽입 고정할 경우,
창틀의 앞쪽은 3개의 승강하는 스토퍼(15)에 의해 고정되고, 센터링 유니트(16)의 모터에 의해 확개축소하면서 창틀의 폭방향을 눌러 고정하며,
후단의 3개 누름유니트(17)에 의해 창틀의 뒷쪽이 움직이지 않도록 뒷쪽을 눌러서 고정한 다음,
창틀(100)의 폭방향 고정홈(101)에 상기 롤링 헤드 유니트(18)를 위치시키면, 창틀의 고정홈에 롤링하는 방향으로 가이드롤러(25)가 자연스럽게 삽입되고, 이어서 롤링 헤드 유니트(18)의 에어실린더(22)의 로더 선단에 설치된 방충망 누름롤러(24)가 창틀의 폭방향 고정홈에 하강하여 삽입된다.
그런 연후에, 전기적 신호에 따라 상기 롤링 헤드 유니트(18)가 작업대 위에서 폭방향 직교 유니트(19)를 따라 이동하면서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창틀의 폭방향 고정홈에 방충망을 삽입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길이방향 누름장치(6)로 창틀의 길이방향 고정홈에 방충망을 삽입 고정할 경우,
창틀의 앞쪽은 3개의 승강하는 스토퍼(15)로 고정되고, 센터링 유니트(16)의 모터에 의해 확개축소하면서 창틀의 폭방향을 눌러 고정하며,
후단의 3개 누름유니트(17)에 의해 창틀의 뒷쪽이 움직이지 않도록 뒷쪽을 눌러서 고정한 다음,
창틀의 길이방향 고정홈에 상기 롤링 헤드 유니트(18)를 위치시키면, 창틀의 고정홈에 롤링하는 방향으로 가이드롤러(25)가 자연스럽게 삽입되고, 이어서 롤링 헤드 유니트(18)의 에어실린더(22)의 로더 선단에 설치된 방충망 누름롤러(24)가 창틀의 길이방향 고정홈에 하강하여 삽입된다.
그런 연후에, 전기적 신호에 따라 상기 롤링 헤드 유니트(18)가 작업대 위에서 길이방향 직교 유니트(20)를 따라 이동하면서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충창틀의 길이방향 고정홈에 방충망을 삽입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전자응용 방충망 조립기계는, 상기 모서리 누름장치(4)에 의해 창틀(100)의 모서리 부분 고정홈(101)에 방충망(200)의 모서리 부분만을 눌러 고정하고,
상기 폭방향 누름장치(5)에 의해 창틀(100)의 폭방향 고정홈(101)에 방충망(200)을 삽입 고정한 다음,
상기 길이방향 누름장치(6)에 의해 창틀(100)의 길이방향 고정홈(101)에 방충망(200)을 삽입 고정하여서,
창틀(100)의 모서리 부분 고정홈과, 폭방향 고정홈 및 길이방향 고정홈 모두에 방충망의 가장자리 부분을 삽입하여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 연후에, 본 발명의 전자응용 방충망 조립기계는 다음 단계에서 별도의 장치인 고무링 압입장치가 방충망의 가장자리가 삽입된 창틀의 고정홈을 따라가면서 고무링을 압입하여서 완성된 방충망을 제조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적재 및 이송장치(7)는, 길이방향 누름장치(6)의 앞쪽에 설치되어서 창틀의 사방 고정홈에 방충망이 모두 삽입된 상태에서 창틀의 생산속도를 조절하면서 창틀을 적재하여 다음 공정을 준비하거나 다음 단계의 고무링 압입장치로 이송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전자응용 방충망 조립기계는, 창틀의 모서리 부분 고정홈과 폭방향 고정홈 및 길이방향 고정홈에 방충망을 삽입하여 고정하는 작업을 모두 기계화 및 자동화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수작업에 의한 방충창의 방충망 조립작업에 비해 인건비를 크게 절감하고, 제품의 생산속도가 획기적으로 증가하여 여타 제품에 비해 가격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응용 방충망 조립기계는 기존의 수작업에 비해 완성된 방충창의 품질이 균일하고 우수하며, 완성된 방충창이 건물에 설치된 후 창틀의 고정홈에서 방충망의 가장자리 부분이나 고무링이 빠져나오는 등 제품 불량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응용 방충망 조립기계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방충망 조립기계 2 : 창틀 유입 컨베어장치
3 : 방충망 이송장치 4 : 모서리 누름장치
5 : 폭방향 누름장치 6 : 길이방향 누름장치
7 : 적재 및 이송장치 8 : 스토퍼
9 : 센터링 유니트 10 : 누름 유니트
11 : 누름구 12 : 모터
13 : 에어실린더 14 : 누름편
15 : 스토퍼 16 : 센터링 유니트
17 : 누름 유니트 18 : 롤링 헤드 유니트
19 : 폭방향 직교 유니트 20 : 길이방향 직교 유니트
21 : 고정브라켓 22 : 에어실린더
23 : 고정브라켓 24 : 방충망 누름롤러
25 : 가이드롤러 100 : 창틀
101 : 고정홈 200 : 방충망

Claims (1)

  1. 방충망을 구성하는 창틀의 고정홈에 방충망을 삽입 고정하는 방충망 조립기계에 있어서,
    작업대 위에서 컨베어벨트를 따라 창틀을 순차적으로 이송하는 창틀 유입 컨베어장치(2)와;
    상기 창틀 유입 컨베어장치의 앞쪽에 설치되어서 방충망을 창틀 쪽으로 이송하는 방충망 이송장치(3)와;
    상기 방충망 이송장치의 앞쪽에 설치되어서 창틀(100)의 사방 고정홈(101)에 방충망(200)의 가장자리 부분을 재치한 후, 창틀의 모서리 부분 고정홈에 방충망의 모서리 부분을 눌러서 고정하는 모서리 누름장치(4)와;
    상기 모서리 누름장치의 앞쪽에 설치되어서 창틀(100)의 폭방향 고정홈(101)에 방충망의 폭방향(X축)을 눌러서 고정하는 폭방향 누름장치(5)와;
    상기 폭방향 누름장치의 앞쪽에 설치되어서 창틀(100)의 길이방향 고정홈(101)에 방충망의 길이방향(Y축)을 눌러서 고정하는 길이방향 누름장치(6) 및;
    상기 길이방향 누름장치의 앞쪽에 설치되어서 창틀의 사방 고정홈에 방충망의 가장자리 부분이 모두 삽입된 상태에서 창틀을 적재하거나 다음 단계의 고무링 압입장치로 이송하는 적재 및 이송장치(7);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응용 방충망 조립기계.
KR1020200141342A 2020-10-28 2020-10-28 전자응용 방충망 조립기계 KR1026336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1342A KR102633667B1 (ko) 2020-10-28 2020-10-28 전자응용 방충망 조립기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1342A KR102633667B1 (ko) 2020-10-28 2020-10-28 전자응용 방충망 조립기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6610A true KR20220056610A (ko) 2022-05-06
KR102633667B1 KR102633667B1 (ko) 2024-02-05

Family

ID=81584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1342A KR102633667B1 (ko) 2020-10-28 2020-10-28 전자응용 방충망 조립기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36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0822A (ko) * 2020-11-23 2022-05-31 주식회사 대영오토 방충망의 폭방향 및 길이방향 누름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4251A (ko) 2004-07-09 2006-01-12 이성규 방충창 조립방법 및 조립장치
KR100692486B1 (ko) 2006-05-09 2007-03-12 이성규 방충창틀 조립방법 및 조립장치
KR20140133285A (ko) * 2013-05-10 2014-11-19 박준석 방충창용 방충망 결합장치
KR20160144826A (ko) 2015-06-09 2016-12-19 박준석 방충창 조립장치 및 조립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4251A (ko) 2004-07-09 2006-01-12 이성규 방충창 조립방법 및 조립장치
KR100692486B1 (ko) 2006-05-09 2007-03-12 이성규 방충창틀 조립방법 및 조립장치
KR20140133285A (ko) * 2013-05-10 2014-11-19 박준석 방충창용 방충망 결합장치
KR20160144826A (ko) 2015-06-09 2016-12-19 박준석 방충창 조립장치 및 조립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0822A (ko) * 2020-11-23 2022-05-31 주식회사 대영오토 방충망의 폭방향 및 길이방향 누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3667B1 (ko) 2024-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192273B (zh) 一种汽车前门生产线
KR20220056610A (ko) 전자응용 방충망 조립기계
US5022143A (en) Window frame finishing installation
KR20220070822A (ko) 방충망의 폭방향 및 길이방향 누름장치
CN105855447A (zh) 全自动数控铆接机
CN107717483B (zh) 电梯门板全自动化生产流水线
KR20220058126A (ko) 방충망의 모서리 부분 누름장치
KR102573872B1 (ko) 전자응용 방충창의 방충망 자동화 조립방법
KR101180725B1 (ko) 창틀 제조 자동화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창틀 제조 방법
KR102632556B1 (ko) 방충망의 창틀 고정장치
JP6704875B2 (ja) プレカット加工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KR101432092B1 (ko) 롤러 타입 패널 절곡 장치
DE202016106960U1 (de) Hilfsproduktionslinie für Vakuumglasscheiben
CN111153222A (zh) 玻璃盖板用全自动插架机
KR102548834B1 (ko) 방충창의 창틀 고정홈에 고무링을 압입하는 방법
KR102548838B1 (ko) 방충창의 창틀 고정홈에 고무링을 압입하는 고무링 압입장치
KR200369773Y1 (ko) 방충창 조립장치용 고무링 압입기
CN213702647U (zh) 一种电梯型材割孔设备
CN211642873U (zh) 一种适用于包装生产车间的全自动包装生产线
JPS5945056A (ja) コア−セツタ−への中子自動装填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50122414A (ko) 브라운관 자동삽입장치
CN208234129U (zh) 手机玻璃片自动网印机上料机构改良结构
CN217071430U (zh) 一种马达盖板装轴套自动化机构
CN213837795U (zh) 用于单元幕墙的自动装配玻璃装置及装配系统
CN217995040U (zh) 一种自动拆箱取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