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5654A - 이동식 수납함을 구비한 프렁크 트림 - Google Patents

이동식 수납함을 구비한 프렁크 트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5654A
KR20220055654A KR1020200139969A KR20200139969A KR20220055654A KR 20220055654 A KR20220055654 A KR 20220055654A KR 1020200139969 A KR1020200139969 A KR 1020200139969A KR 20200139969 A KR20200139969 A KR 20200139969A KR 20220055654 A KR20220055654 A KR 202200556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box
rod
unit
storage
fix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9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0831B1 (ko
Inventor
김동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200139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0831B1/ko
Publication of KR20220055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56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0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08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2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front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1Liners for load platforms or load compartments
    • B60R13/011Liners for load platforms or load compartments for internal load compartments, e.g. car tru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36Luggage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식 수납함을 구비한 프렁크 트림에 관한 것으로, 바디부의 바닥면에 수납함 보관부가 형성되고, 그 수납함 보관부에 폴딩 수납, 전개 사용, 탈착이 가능한 이동식 수납함이 구비된다.
따라서 바디부 및 이동식 수납함을 적절히 활용하여 다양한 크기의 물품을 안정적으로 수납할 수 있고, 이동식 수납함에 수납된 물품을 이동식 수납함 째로 차량 외부로 운반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이 증가된다.

Description

이동식 수납함을 구비한 프렁크 트림{FRUNK TRIM WITH REMOVABLE STORAGE BOX}
본 발명은 자동차의 프렁크 트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 전방 차체 내부 즉, 후드의 하부에 설치되어 물건을 보관할 수 있도록 된 프렁크 트림에 관한 것이다.
전기자동차는 엔진이 없기 때문에 차량 전방의 후드 하부에 넓은 공간이 확보되고, 이 공간을 차량 뒤쪽의 트렁크처럼 물건을 보관할 수 있는 수납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 수납 공간을 프렁크(Frunk = Front + Trunk)라 지칭한다.
'프렁크 트림'은 차량 전방의 차체 내부에 설치되어 프렁크 즉, 물건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플라스틱 재질의 사출물이다.
도 1과 같이, 프렁크 트림(1)은 상방이 개구된 함체(Box) 형상이며, 차량의 전방 내부 공간에 설치된다. 프렁크 트림(1)과 차체(전방 쉬라우드패널 및 양측 휀더패널) 사이의 틈은 커버 트림(2)으로 차단된다. 프렁크 트림(1)과 커버 트림(2)의 경계 라인에는 웨더스트립(3)이 설치되어 보닛 하면에 접촉됨으로써 프렁크 트림(1)을 밀폐한다. 상기 프렁크 트림(1)과 커버 트림(2)은 모두 플라스틱 사출물로서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프렁크 트림(1)의 내부에는 차량용 정비공구, 청소용구, 캠핑 및 아웃도어 용품 등 다양한 물품이 보관될 수 있다.
그러나 물품의 크기가 프렁크 트림(1)의 내부 공간보다 작은 경우 물품이 차량 주행중 이동하여 이음이 발생하고, 보관 상태가 흐트러지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프렁크 트림(1)에 보관된 물품을 다른 곳으로 옮겨야 할 때 물품을 별도의 가방이나 박스 등에 옮겨 담아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유럽특허 EP3569449A1 (2019.11.20. 공개)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물품의 크기에 상관없이 보관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고, 물품을 별도의 가방이나 박스 등에 옮겨 담지 않아도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된 이동식 수납함을 구비한 프렁크 트림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바닥면에 형성된 수납함 보관부와; 상기 수납함 보관부에 접혀서 보관되거나, 전개시켜 물건을 수납하거나, 물건을 수납한 상태에서 수납함 보관부로부터 탈거하여 차량 외부로 운반할 수 있는 이동식 수납함;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이동식 수납함을 수납함 보관부에 고정하는 수납함 고정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납함 고정장치는 상기 수납함의 측부벽체에 설치되는 록커와, 그 록커를 수납함 외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록커는 상단에 사용자가 조작하는 조작부가 형성되고 하단에 수납함 보관부에 형성된 걸림홀에 걸려지는 걸림부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함 고정장치는 상기 수납함의 측부벽체에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조작부와, 상기 측부벽체에 중심부가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단이 조작부의 일측 연결로드에 힌지 연결된 회동로드와, 회동로드의 하단에 힌지 연결되어 상기 조작부와 반대 방향으로 작동되는 제1조작로드와, 상기 조작부의 타측 연결로드에 연결되어 상기 조작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작동되는 제2조작로드와, 상기 수납함의 바닥판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제1조작로드 및 제2조작로드에 의해 수납함의 외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수납함 보관부에 형성된 걸림홈에 걸려지거나 상기 제1조작로드 및 제2조작로드에 의한 미는 힘이 제거되면 상기 걸림홈으로부터 빠져나와 원위치로 복귀되는 걸림판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함 고정장치는 상기 수납함의 측부벽체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의 양측에 고정된 기역자형의 연결로드와, 양측 연결로드의 하단에 수납함의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 형성된 경사부와, 몸체에 형성된 경사홀에 상기 경사부가 삽입되는 구조로 양측 연결로드에 연결되어 상기 조작부가 하향 이동하면 수납함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향 이동하면 수납함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조작로드 및 제2조작로드와, 상기 수납함의 바닥판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제1조작로드 및 제2조작로드에 의해 수납함의 외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수납함 보관부에 형성된 걸림홈에 걸려지거나 상기 제1조작로드 및 제2조작로드에 의한 미는 힘이 제거되면 상기 걸림홈으로부터 빠져나와 원위치로 복귀되는 걸림판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프렁크 트림의 내부에 별도의 수납함이 더 구비됨으로써 물건의 크기에 따라 프렁크 트림 또는 수납함을 적절히 선택하여 물품을 수납할 수 있으며, 이에 차량 주행 진동이 발생하여도 물품의 보관 상태가 흐트러지지 않고 이음 발생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별도의 수납함은 분리 이동이 가능한 이동식 수납함으로써 프렁크 트림에 고정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고정 상태를 해제하고 프렁크 트림의 외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수납함에 수납된 물품을 옮길 때 별도의 가방이나 박스에 물품을 옮겨 담아야 하는 불편함이 해소된다.
또한 상기 이동식 수납함은 마트 장보기용 박스나 캠핑시 테이블로 활용 가능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프렁크 트림의 설치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수납함을 구비한 프렁크 트림의 종단면도.
도 3의 (a) 내지 (d)는 상기 이동식 수납함의 전개 순서도.
도 4는 상기 이동식 수납함이 프렁크 트림 내부에 고정된 상태의 사용 상태도(이동식 수납함 고정 장치의 제1실시예).
도 5는 상기 이동식 수납함의 분리 상태 사용 상태도.
도 6과 도 7은 상기 이동식 수납함 고정 장치의 제2실시예로서, 도 6은 고정 상태, 도 7은 해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과 도 9는 상기 이동식 수납함 고정 장치의 제3실시예로서, 도 8은 고정 상태, 도 9는 해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수납함을 구비한 프렁크 트림은 바디부(10), 수납함 보관부(20), 이동식 수납함(30)을 포함한다.
바디부(10)는 상부가 개구된 박스 형상의 플라스틱 사출물이다. 상단에는 외측으로 플랜지부가 형성될 수 있고, 측벽면은 수직면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바닥면에서 상방으로 갈수록 바디부(10)의 공간이 확장되도록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바디부(10)의 바닥면에는 상기 수납함 보관부(20)가 형성된다. 수납함 보관부(20)는 바디부(10)의 바닥면 하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별도의 확장 공간으로서 수납함 보관부(20)에 이동식 수납함(30)(이하, 편의상 '수납함'으로 지칭함)이 수납된다.
도면부호 40은 프렁크의 상부를 덮고 있는 후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수납함(30)은 접은 상태로 보관하고, 펼쳐서 사용하는 폴딩 박스 타입의 수납함이다. 도 3에 폴딩 타입 수납함의 일 예를 도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수납함(30)은 도 3에 도시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접어서 보관하고 펼쳐서 사용할 수 있으면 사용 가능하다.
도 3의 (a) 내지 (d)는 수납함(30)의 구성 및 전개 순서를 나타낸 것이다. 수납함(30)은 직육면체 박스 형상의 구조물이다. 수납함(30)은 상부프레임(31)과 바다판(32)의 사이에 전방벽체(33)와 후방벽체(34)의 상단과 하단이 힌지 연결되고, 상부프레임(31)의 양측부에 측부벽체(35)의 상단이 힌지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방벽체(33)와 후방벽체(34)는 각각 상부판과 하부판이 힌지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부프레임(31)에는 탈착 가능한 덮개(36)가 구비되고, 측부벽체(35)에는 손잡이홀(35a)이 형성된다.
도 3의 (a)는 수납함(30)이 완전히 접혀 있는 상태로서, 상부프레임(31)에서 덮개(36)가 제거된 상태이다. (a) 상태에서 상부프레임(31)을 들어 올리면 (b)와 같이 전방벽체(33)와 후방벽체(34)의 상부판과 하부판이 펼쳐진다. 이후 (c)와 같이 양측 측부벽체(35)를 하방으로 회동시켜 세우면 (d)의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수납함(30)의 내부에 물건을 수납할 수 있고, 덮개(36)를 다시 덮을 수도 있다. 또한 그 상태에서 수납함(30)을 차량 외부로 이동하여 캠핑용 간이 테이블로 활용할 수도 있다.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수납함(30)은 도 3의 실시예 이외의 다양한 구조(폴딩 또는 전개를 위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기본적으로 판상으로 폴딩되고, 전개시 직육면체 형상의 박스 형상을 가지며, 상부의 개구홀을 막을 수 있는 덮개(36)를 구비한다.
상기 수납함(30)은 평소에는 도 2와 같이 접혀진 상태로 수납함 보관부(20)에 수납되어 보관된다. 보관 상태에서 수납함(30)의 덮개(36)는 바디부(10)의 바닥면과 동일한 평면을 형성한다. 즉, 수납함(30)의 덮개(36)가 바디부(10) 바닥면의 일부를 구성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바디부(10)의 전체 면적에 대응하는 크기의 큰 짐(L1)을 수납할 수 있다.
한편, 도 4와 같이 수납함(30)을 전개시키고(도 3의 (c)상태), 덮개(36)를 연 후 수납함(30)의 내부에 작은 짐(L2)을 수납할 수 있다. 덮개(36)는 다시 닫아두거나 수납된 짐의 높이가 높을 경우에는 열어둘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보관할 짐의 크기가 큰 경우에는 수납함(30)을 수납함 보관부(20)에 접어 보관한 상태에서 바디부(10)의 내부에 큰 짐(L1)을 수납하고, 짐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수납함(30)을 전개시킨 상태에서 수납함(30)의 내부에 작은 짐(L2)을 수납하는 방식으로 짐의 크기에 따라 수납 공간을 구분하여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보관된 짐의 유동, 그에 따른 이음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고, 짐의 정돈 상태가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수납함(30)에는 수납함(30)을 수납함 보관부(20)에 고정시키는 수납함 고정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도 4에는 수납함 고정장치의 제1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른 수납함 고정장치(50)는 수납함(30)의 전방벽체(33)나 후방벽체(34) 또는 측부벽체(35)에 설치될 수 있다.
수납함 고정장치(50)는 수납함(30)의 상기 벽체들 중 하나에 설치되는 록커(51)와, 록커(51)를 수납함(30)의 외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52)을 포함한다. 록커(51)는 대략 디귿자(ㄷ)자 형상의 로드로서 상단의 수평부는 조작부(51a)로 사용되고, 하단의 수평부(51b)는 걸림부(51b)로 이용된다. 상기 조작부(51a)와 걸림부(51b)는 록커(51)가 설치된 벽체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납함 보관부(20)의 측벽에는 상기 걸림부(51b)가 삽입되어 걸려지는 걸림홀(21)이 형성된다.
따라서 수납함(30)이 수납함 보관부(20)에 수납된 상태에서는 상기 록커(51)가 스프링(52)에 의해 밀려져 걸림부(51b)가 걸림홀(21)의 내부로 삽입됨으로써 수납함(30)을 상방으로 들어올릴 수 없게 되어 수납함(30)의 고정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수납함(30)을 전개시켜 작은 짐(L2)을 수납하는 수납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프링(52)의 탄성력에 반하여 조작부(51a)를 밀어 넣으면 록커(51) 전체가 함께 이동하므로 걸림부(51b)가 동일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걸림홀(21)로부터 이탈됨으로써 수납함(30)의 고정 상태가 해제된다.
따라서 도 5와 같이 수납함(30)을 수납함 보관부(20)로부터 분리하여 바디부(10) 즉, 프렁크의 외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분리 이동은 수납함(30)의 내부에 짐이 보관된 상태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수납함(30) 내부의 짐을 프렁크 외부로 옮길 때 수납함(30)의 짐을 별도의 박스나 가방 등에 옮겨 담을 필요 없이 수납함(30)째로 한꺼번에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수납 물품을 옮기기가 매우 편리하다.
이때 수납함(30)에 형성된 손잡이홀(35a)을 이용하면 수납함(30)을 보다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다.
도 6과 도 7에는 상기 수납함 고정장치의 제2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른 수납함 고정장치(60)는 상기 측부벽체(35)에 설치될 수 있다. 수납함 고정장치(60)는 수평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작부(61)와, 조작부(61) 일측의 연결로드(61a)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회동로드(62), 회동로드(6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전후 이동되는 제1조작로드(63), 조작부(61) 타측의 기역자 형상 연결로드(61b)에 연결된 제2조작로드(64)를 포함한다.
상기 회동로드(62)는 중간 부분이 측부벽체(35)에 핀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회동로드(62)의 상단과 하단 역시 각각 일측 연결로드(61a)와 제1조작로드(63)에 핀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1조작로드(63)는 수평 상태로 전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회동로드(62)의 회동 작용에 의해 조작부(61)의 조작 방향과 반대로 제1조작로드(63)가 작동된다. 이때 회동로드(62) 회동에도 불구하고 회동로드(62)와 연결로드(61a) 및 제1조작로드(63)의 연결 부분의 높이에 변화가 발생하지 않도록(연결로드(61a)와 제1조작로드(63)가 수평 방향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회동로드(62)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핀홀은 장홀(슬롯)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작부(61) 타측의 연결로드(61b)는 기역자(ㄱ)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하단부에 제2조작로드(64)가 연결된다. 제2조작로드(64) 역시 단순히 전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제2조작로드(64)는 조작부(61)와 동일한 방향으로 작동된다.
또한 상기 전방벽체(33)와 후방벽체(34)의 하단부에는 관통홀(33a,34a)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32)에는 항상 상기 관통홀(33a,34a)을 닫는 상태로 회동되는 힘을 받는 걸림판(32a)이 형성된다. 이 걸림판(32a)은 바닥판(32)의 단부에 핀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핀에 설치된 토션스프링(미도시)에 의해 항상 관통홀(33a,34a)을 닫는 위치로 회동되는 힘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함 보관부(20)의 양측 벽 하단에는 걸림홀(21)이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도 6과 같이, 상기 조작부(61)를 우측 방향으로 밀어주면, 제2조작로드(64)는 조작부(61)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고, 회전로드(62)에 의해 제1조작로드(63)는 그 반대인 좌측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와 같이 제1조작로드(63)와 제2조작로드(64)가 서로 반대 방향인 수납함(30)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걸림판(32a)을 밀어 회동시키며, 이에 걸림판(32a)의 상단이 수납함 보관부(20)의 걸림홀(21) 상단부에 걸려진다. 따라서 수납함(30)이 수납함 보관부(20)로부터 이탈할 수 없는 고정 상태가 된다.
반대로 도 7과 같이 조작부(61)를 좌측 방향으로 조작하면, 제1조작로드(63)는 그 반대인 우측 방향으로 이동되고, 제2조작로드(64)는 동일한 방향인 좌측 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양측 걸림로드들이 수납함(30)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더 이상 걸림판(32a)을 밀어주지 못하여, 걸림판(32a)들이 관통홀(33a,34a)을 닫아주는 위치로 복귀하게 되며, 이에 더 이상 수납함(30)을 구속하는 부분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수납함(30)을 수납함 보관부(20)로부터 상방으로 탈거할 수 있다. 따라서 수납함(30)에 수납된 물품들을 수납함(30)에 들어 있는 상태 그대로 운반할 수 있다.
도 8과 도 9에는 상기 수납함 고정장치의 제3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른 수납함 고정장치(70)는 수납함(30)의 측부벽체(35)에 설치된다.
수납함 고정장치(70)의 조작부(71)는 측부벽체(35)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양측부에 동일한 기역자(ㄱ)형 연결로드(72)가 연결된다.
양측 연결로드(72)들은 조작부(71)와 일체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다.
단, 양측 연결로드(72)들의 하단부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수납함(30)의 중심쪽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부(72a)가 절곡 성형 되어 있다.
측부벽체(35)의 양측 하단부에는 수평 방향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제1조작로드(73)와 제2조작로드(74)가 설치된다.
제1조작로드(73)와 제2조작로드(74)에는 각각 대응하는 상기 경사부(72a)와 동일한 경사각을 가진 경사홀(73a,74a)이 형성되고, 양측 걸림로드들의 경사부(72a)는 각각 대응하는 경사홀(73a,74b)에 삽입된다.
그 외 전방벽체(33)와 후방벽체(34)의 하단에 형성되는 관통홀(33a,34a), 수납함 보관부(20)의 양측 하단에 형성되는 걸림홀(21), 수납함(30)의 바닥판(32)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토션스프링에 의해 항상 상기 관통홀(33a,34a)을 닫는 위치로 복귀하려는 힘을 받는 걸림판(32a)은 도 6,7에 도시된 상기 제2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 양측 연결로드(72)의 경사부(72a)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오므려진 각도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 8과 같이 조작부(71)를 하방으로 조작하면, 양측 연결로드(72)가 하강함으로써 제1조작로드(73)와 제2조작로드(74)는 서로 반대 방향인 수납함(30)의 바깥쪽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제1조작로드(73)와 제2조작로드(74)가 걸림판(32a)을 밀어 바깥쪽으로 회동시킴으로써 걸림판(32a)이 수납함 보관부(20)의 걸림홀(21)에 걸려서 수납함(30)을 상방으로 분리할 수 없는 고정 상태가 된다.
도 8의 상태에서 조작부(71)를 다시 상방으로 조작하면 양측 연결로드(72)들이 상승하고, 상기 경사부(72a)의 작용에 의해 양측의 제1조작로드(73)와 제2조작로드(74)가 모두 수납함(30)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걸림판(32a)이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걸림홀(21)과의 구속상태가 해제됨으로써 수납함(30)을 상방으로 들어올려 수납함 보관부(2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프렁크 트림의 바디부(10) 바닥면에 수납함 보관부(20)가 형성되고, 그 수납함 보관부(20)에 폴딩 상태로 보관할 수 있는 수납함(30)이 구비된다.
따라서 짐의 크기가 크면 수납함(30)이 수납함 보관부(20)에 보관된 상태에서 바디부(10)의 내부 공간 전체를 이용하여 큰 짐(L1)을 수납하고, 짐의 크기가 작을 때는 수납함(30)을 수납함 보관부(20)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방으로 전개시킨 뒤 수납함(30)의 내부 공간만을 이용하여 작은 짐(L2)을 수납할 수 있다. 따라서 짐의 크기에 상관없이 프렁크에 안정적으로 수납이 가능하다. 또한 짐이 작은 경우에도 유동 없이 보관할 수 있으므로 주행 중 물품 유동에 의한 이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수납함(30)에는 다양한 구조의 수납함 고정장치(50,60,70)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장치 작동상태에서는 수납함 보관부(20)에 수납함(30)을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설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필요시에는 고정장치를 해제하여 수납함(30)을 수납함 보관부(20)로부터 탈거할 수 있다.
따라서 수납함(30)에 든 물품과 수납함(30)을 한꺼번에 다른 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이 크게 향상된다.
또한 상기 수납함(30)은 폴딩 박스 타입으로서 전개 상태에서 마트 장보기용 상자나, 캠핑시 간이 테이블로 활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실시예와 제3실시예에서 상기 조작부(61,71)에는 잠금버튼과 잠금해제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잠금버튼은 조작부(61,71)의 조작을 불가능하게 구속하는 것으로 잠금버튼을 조작하여 잠금상태가 되면 이전에 조작부(61,71)를 조작하여 구현된 상태 즉, 고정장치의 고정 상태 또는 고정 해제 상태가 그대로 유지된다.
반대로 상기와 같은 잠금상태에서 잠금해제버튼을 조작하여 잠금해제상태가 되면 상기 조작부(61,71)의 조작이 자유로운 상태가 됨으로써 고정 장치를 고정 상태에서 고정 해제 상태로 조작하거나 또는 고정 해제 상태에서 고정 상태로 조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와 같이 조작부(61,71)에 잠금버튼이 구비됨으로써 수납함 고정장치의 조작 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바디부 20 : 수납함 보관부
21 : 걸림홀 30 : 수납함
31 : 상부프레임 32 : 바닥판
33 : 전방벽체 34 : 후방벽체
35 : 측부벽체 36 : 덮개
40 : 후드 50,60,70 : 수납함 고정장치
51 : 록커 52 : 스프링
61 : 조작부 62 : 회동로드
63 : 제1조작로드 64 : 제2조작로드
71 : 조작부 72 : 연결로드
72a : 경사부 73 : 제1조작로드
74 : 제2조작로드

Claims (4)

  1.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바닥면에 형성된 수납함 보관부와;
    상기 수납함 보관부에 접혀서 보관되거나, 전개시켜 물건을 수납하거나, 물건을 수납한 상태에서 수납함 보관부로부터 탈거하여 차량 외부로 운반할 수 있는 이동식 수납함;
    을 포함하는 이동식 수납함을 구비한 프렁크 트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수납함을 수납함 보관부에 고정하는 수납함 고정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납함 고정장치는 상기 수납함의 측부벽체에 설치되는 록커와, 그 록커를 수납함 외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록커는 상단에 사용자가 조작하는 조작부가 형성되고 하단에 수납함 보관부에 형성된 걸림홀에 걸려지는 걸림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수납함을 구비한 프렁크 트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수납함을 수납함 보관부에 고정하는 수납함 고정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납함 고정장치는 상기 수납함의 측부벽체에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조작부와, 상기 측부벽체에 중심부가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단이 조작부의 일측 연결로드에 힌지 연결된 회동로드와, 회동로드의 하단에 힌지 연결되어 상기 조작부와 반대 방향으로 작동되는 제1조작로드와, 상기 조작부의 타측 연결로드에 연결되어 상기 조작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작동되는 제2조작로드와, 상기 수납함의 바닥판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제1조작로드 및 제2조작로드에 의해 수납함의 외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수납함 보관부에 형성된 걸림홈에 걸려지거나 상기 제1조작로드 및 제2조작로드에 의한 미는 힘이 제거되면 상기 걸림홈으로부터 빠져나와 원위치로 복귀되는 걸림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수납함을 구비한 프렁크 트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수납함을 수납함 보관부에 고정하는 수납함 고정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납함 고정장치는 상기 수납함의 측부벽체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의 양측에 고정된 기역자형의 연결로드와, 양측 연결로드의 하단에 수납함의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 형성된 경사부와, 몸체에 형성된 경사홀에 상기 경사부가 삽입되는 구조로 양측 연결로드에 연결되어 상기 조작부가 하향 이동하면 수납함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향 이동하면 수납함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조작로드 및 제2조작로드와, 상기 수납함의 바닥판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제1조작로드 및 제2조작로드에 의해 수납함의 외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수납함 보관부에 형성된 걸림홈에 걸려지거나 상기 제1조작로드 및 제2조작로드에 의한 미는 힘이 제거되면 상기 걸림홈으로부터 빠져나와 원위치로 복귀되는 걸림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수납함을 구비한 프렁크 트림.
KR1020200139969A 2020-10-27 2020-10-27 이동식 수납함을 구비한 프렁크 트림 KR1024408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9969A KR102440831B1 (ko) 2020-10-27 2020-10-27 이동식 수납함을 구비한 프렁크 트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9969A KR102440831B1 (ko) 2020-10-27 2020-10-27 이동식 수납함을 구비한 프렁크 트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5654A true KR20220055654A (ko) 2022-05-04
KR102440831B1 KR102440831B1 (ko) 2022-09-06

Family

ID=81584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9969A KR102440831B1 (ko) 2020-10-27 2020-10-27 이동식 수납함을 구비한 프렁크 트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08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2125257A1 (de) 2022-09-30 2024-04-04 Audi Aktiengesellschaft Aufbewahrungs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34836A (ja) * 1985-08-08 1987-02-14 Honda Motor Co Ltd 自動車のトランクル−ム構造
JP2000085477A (ja) * 1998-09-17 2000-03-28 Kasai Kogyo Co Ltd ラゲージフロア用収納ボックス装置
JP2019155948A (ja) * 2018-03-07 2019-09-19 三菱自動車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車両の収納構造
EP3569449A1 (en) 2018-05-18 2019-11-20 Autoneum Management AG Acoustic front storage compartment for a vehic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34836A (ja) * 1985-08-08 1987-02-14 Honda Motor Co Ltd 自動車のトランクル−ム構造
JP2000085477A (ja) * 1998-09-17 2000-03-28 Kasai Kogyo Co Ltd ラゲージフロア用収納ボックス装置
JP2019155948A (ja) * 2018-03-07 2019-09-19 三菱自動車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車両の収納構造
EP3569449A1 (en) 2018-05-18 2019-11-20 Autoneum Management AG Acoustic front storage compartment for a vehic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2125257A1 (de) 2022-09-30 2024-04-04 Audi Aktiengesellschaft Aufbewahrungs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0831B1 (ko) 2022-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68934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хранения предметов в автомобильном транспортном средстве
US20100264180A1 (en) Collapsible Tool/Utility Box
KR102440831B1 (ko) 이동식 수납함을 구비한 프렁크 트림
US10399505B1 (en) Collapsable pickup truck storage compartment
KR101461234B1 (ko) 덮개의 개봉이 용이한 다용도 수납박스
JP2000177491A (ja) 自動車用トノカバー
KR101141860B1 (ko) 러기지 박스
KR102440805B1 (ko) 인출식 수납함을 구비한 프렁크 트림
KR101534959B1 (ko) 자동차용 접이식 트레이
CN212205250U (zh) 抽屉组件及冰箱
JP2009196483A (ja) 車両用トノボード装置
JP6657023B2 (ja) リッドのロック機構
JP6909947B1 (ja) 折り畳み式宅配ボックス
KR102584412B1 (ko) 트렁크용 화물 고정장치
KR102602983B1 (ko) 크기 조절이 가능한 러기지 박스
KR20150120089A (ko) 차량용 접이식 루프 박스
JPH045140A (ja) グローブボックス
KR200265579Y1 (ko) 간이테이블 겸용 트렁크 적재판 구조
KR200146029Y1 (ko) 양방향 개폐형 콘솔 박스
JP4264724B2 (ja) 収納ボックス
KR100896892B1 (ko) 러기지 박스 어셈블리
KR19990026868U (ko) 자동차의 콘솔박스 덮개 개폐장치
KR200145585Y1 (ko) 자동차의 글로브박스
KR0139956B1 (ko) 자동차의 도어트림용 디포지트 박스장치
KR100563830B1 (ko) 글러브 박스의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