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5531A - 전동 펌프 - Google Patents

전동 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5531A
KR20220055531A KR1020200139335A KR20200139335A KR20220055531A KR 20220055531 A KR20220055531 A KR 20220055531A KR 1020200139335 A KR1020200139335 A KR 1020200139335A KR 20200139335 A KR20200139335 A KR 20200139335A KR 20220055531 A KR20220055531 A KR 202200555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or
bus bar
disposed
electric pump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9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훈기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39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5531A/ko
Priority to CN202180072344.1A priority patent/CN116648558A/zh
Priority to US18/033,109 priority patent/US20230396117A1/en
Priority to PCT/KR2021/014773 priority patent/WO2022086199A1/ko
Publication of KR20220055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55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2/00 - F04C14/00
    • F04C15/0057Driving elements, brakes, couplings, transmission specially adapted for machines or pumps
    • F04C15/008Prime m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10/00Fluid
    • F04C2210/20Fluid liquid, i.e. incompressible
    • F04C2210/206Oi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10St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20R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30Casings or 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40Electric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50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60Shaf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1Kind or type liquid, i.e. in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10St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10Stators
    • F05B2240/14Casings, housings, nacelles, gondels or the like, protecting or supporting assemblies there with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20R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50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60Shaf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ulation, Fastening Of Motor, Generator Windings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결합된 로터; 상기 로터와 대응되게 배치되는 스테이터; 및 상기 샤프트를 지지하는 베어링을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터는 스테이터 코어 및 상기 스테이터 코어에 결합된 인슐레이터 및 상기 인슐레이터 상에 배치되는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코일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버스바 및 상기 버스바를 지지하는 버스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 홀더는 상기 버스바가 배치되는 제1 파트, 상기 베어링을 지지하는 제2 파트 및 상기 제1 파트에서 상기 스테이터 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파트는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슐레이터는 상기 돌출부가 접촉되는 단턱을 포함하는 전동 펌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동 펌프{Electric pump}
본 발명은 전동 펌프에 관한 것이다.
전동 오일 펌프(Electric Oil Pump, EOP)는 일정한 압력으로 유량을 토출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전동 오일 펌프는 샤프트를 통하여 기어를 회전시키는 모터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모터부는 샤프트, 로터, 스테이터 및 버스바를 포함한다. 이때, 스테이터의 코일과 버스바는 접속된다. 그러나, 종래의 전동 오일 펌프는 축방향 진동으로 인해 스테이터 코일과 버스바의 접속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스테이터와 버스바 사이의 고정력을 높여 축방향 진동으로 인한 스테이터와 버스바의 접속 불량을 방지한 오일 펌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시예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결합된 로터; 상기 로터와 대응되게 배치되는 스테이터; 및 상기 샤프트를 지지하는 베어링을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터는 스테이터 코어 및 상기 스테이터 코어에 결합된 인슐레이터 및 상기 인슐레이터 상에 배치되는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코일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버스바 및 상기 버스바를 지지하는 버스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 홀더는 상기 버스바가 배치되는 제1 파트, 상기 베어링을 지지하는 제2 파트 및 상기 제1 파트에서 상기 스테이터 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파트는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슐레이터는 상기 돌출부가 접촉되는 단턱을 포함하는 전동 펌프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테이터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파트는 상기 하우징과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파트는 상기 스테이터 보다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3 파트는 상기 스테이터 보다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 파트는 상기 제1 파트의 외곽과 제1 거리를 두고 배치되고, 상기 제3 파트는 상기 제2 파트와 제2 거리를 두고 배치되고, 상기 제2 거리는 상기 제1 거리보다 클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파트는 상기 제3 파트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버스바와 상기 스테이터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자는 상기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버스바는 상기 제1 단자와 접촉되는 제1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 파트는 제3A 파트와, 상기 제3A 파트에서 원주 방향으로 이격된 제3B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3A 파트와 상기 제3B 파트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단부가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 파트는 상기 제1 파트와 상기 돌출부를 연결하는 레그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그부는 상기 돌출부 측으로 갈수록 반경방향 폭이 작아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레그부는 내측을 향하여 배치되는 제1 면 및 외측을 향하여 배치되는 제2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면은 제1 파트의 일면과 제1 각도를 이루고, 상기 제2 면은 제1 파트의 일면과 제2 각도를 이루고, 상기 제1 각도와 상기 제2 각도는 상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레그부의 최장폭에 대한 최단폭의 비는 0.4 내지 0.6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버스바 홀더와 스테이터 사이의 축방향 고정력을 개선하여, 축방향 진동으로 인한 스테이터와 버스바의 접속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베어링을 축방향으로 지지하는 웨이브 와셔의 응력을 지지하여. 종래의 전동 펌프에서 축방향 응력으로 인하여 버스바가 스테이터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펌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버스바와 버스바 홀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버스바와 버스바 홀더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4는 스테이터, 버스바 및 버스바 홀더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상부 인슐레이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코일, 제1 단자 및 버스바가 연결된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버스바 홀더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버스바 홀더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제3 파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외측 가이드와 제3 파트가 접촉되는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전동 펌프(10)는 샤프트의 길이 방향(상하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축방향이라 하고, 샤프트를 중심으로 축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반경 방향이라 하고, 샤프트를 중심으로 반경 방향의 반지름을 갖는 원을 따라가는 방향을 원주 방향이라 부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펌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동 펌프(10)는 하우징(110), 샤프트(120), 베어링(130), 로터(140), 스테이터(150), 버스바(160), 버스바 홀더(170) 및 기어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전동 펌프(10)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모터 하우징(111)과 펌프 하우징(112)을 포함할 수 있다. 모터 하우징(111)은 내부에 로터(140), 스테이터(150), 버스바(160) 및 버스바 홀더(170)를 수용할 수 있다. 그리고, 펌프 하우징(112)은 내부에 기어부(170)를 수용할 수 있다.
샤프트(120)는 모터 하우징(111)과 펌프 하우징(112)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모터 하우징(111)과 펌프 하우징(112) 사이에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샤프트(120)는 홀을 통과할 수 있다. 홀은 샤프트(120)의 직경에 대응하는 형상일 수 있다.
베어링(130)은 샤프트(12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베어링(130)은 제1 베어링(131)과 제2 베어링(1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베어링(131)과 제2 베어링(132)은 스테이터(150)를 사이에 두고 축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베어링(131)은 하우징(110)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베어링(132)은 버스바 홀더(170)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베어링(131)과 하우징(110) 사이에는 웨이브 와셔(W)가 배치될 수 있다. 웨이브 와셔(W)에서는 축방향으로 응력이 발생될 수 있다.
로터(140)는 샤프트(120)에 결합된다. 로터(140)는 스테이터(150)와 전기적 상호 작용을 통해 회전한다. 로터(140)는 스테이터(150)와 대응되어 배치될 수 있고,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스테이터(150)는 로터(140)에 대응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스테이터(150)는 하우징(110)에 고정될 수 있다. 스테이터(150)는 스테이터 코어(151)와, 코일(152)과, 스테이터 코어(151)에 장착되는 인슐레이터(153)를 포함할 수 있다. 코일(152)은 인슐레이터(153)에 감길 수 있다. 인슐레이터(153)는 코일(152)과 스테이터 코어(151) 사이에 배치된다. 코일(152)은 로터(130)의 마그넷과 전기적 상호 작용을 유발한다.
버스바(160)는 스테이터(150)의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버스바(160)는 U,V,W 상의 전원터미널(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버스바 홀더(170)는 스테이터(15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버스바 홀더(170)는 환형의 몰드 부재일 수 있다.
기어부(180)는 샤프트(120)에 결합될 수 있다. 기어부(180)는 내부 기어와 외부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내부 기어가 샤프트(120)에 결합되어 회전할 수 있다. 내부 기어는 일정한 편심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편심에 의해 내부 기어와 외부 기어 사이에 유체 연료를 운반할 수 있는 체적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회전 운동시 체적이 증가한 부분은 압력 강하로 주위의 유체를 흡입하고, 체적이 감소한 부분은 압력의 증가로 유체를 토출하게 된다. 이러한 기어부의 구조는 공지의 구조가 모두 적용될 수 있으며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버스바와 버스바 홀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버스바(160) 및 버스바 홀더(17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버스바 홀더(170)는 제1 파트(171), 제2 파트(172) 및 제3 파트(17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트(171)는 환형의 부재일 수 있다. 제1 파트(171)에는 버스바(16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파트(171) 그리고, 제1 파트(171)는 스테이터(150)와 축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파트(171)는 하우징(110)과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버스바 홀더(170)는 하우징(110)의 상부를 덮을 수 있다.
제2 파트(172)는 제1 파트(171)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파트(172)는 베어링(130)이 배치되는 베어링 포켓부(172P)를 형성할 수 있다. 베어링(130)의 외주면은 제2 파트(172)와 접촉될 수 있다.
제3 파트(173)는 제1 파트(171)에서 스테이터(150) 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3 파트(173)의 단부는 제1 파트(171) 및 제2 파트(172)의 단면보다 스테이터(150)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파트(173)는 돌출부(1732)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1732)는 제3 파트(173)의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돌출부(1732)는 반경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돌출부(1732)는 인슐레이터(153)에 걸림 고정될 수 있다.
버스바(160)는 복수개 일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버스바(160)는 제1 단부(16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부(161)는 제1 파트(171)로부터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단부(161)는 후술할 제1 단자(T)와 접속될 수 있다.
도 3는 버스바와 버스바 홀더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파트(171)의 하면(171A)은 스테이터(150)와 마주한다. 이때, 제3 파트(173)는 제1 파트(171)의 하면(171A)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파트(173)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제3 파트(173)는 6개일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제3 파트(171)는 축중심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1 파트(171)는 각각의 제3 파트(173)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홀(171H)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파트(173)는 제3A 파트(173A)와 제3B 파트(17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3A 파트(173A)와 제3B 파트(173B)는 원주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될 수 있다.
제1 단부(161)는 제1 파트(171)의 하면(171A)에서 돌출된다. 제1 단부(161)는 복수개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제1 단부(161)는 제3A 파트(173A)와 제3B 파트(173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단부(161)는 축중심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도 4는 스테이터, 버스바 및 버스바 홀더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버스바 홀더(170)는 스테이터(150)와 결합될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파트(171)는 스테이터(15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파트(171)는 스테이터(150)의 상단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파트(173)는 제1 파트(171)에서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파트(173)의 돌출부(1732) 인슐레이터(153)에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인슐레이터(153)는 돌출부(1732)가 체결되는 단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상부 인슐레이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인슐레이터(153)는 스테이터 코어(151)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인슐레이터(153A)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부 인슐레이터(153A)는 내측 가이드(153G1), 바디(153B) 및 외측 가이드(153G2)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153B)에는 코일이 권선될 수 있다. 바디(153B)는 스테이터 코어(151)에 배치되어 스테이터 코어(151)와 코일(152)을 절연시킬 수 있다. 내측 가이드(153G1)는 바디(153B)에 권선된 코일(152)을 지지하여 코일(152)이 내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외측 가이드(153G2)는 바디(153B)에 권선된 코일(152)을 지지하여 코일(152)이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외측 가이드(153G2)는 외주면에 복수의 홈(G)이 형성된다. 이때, 홈(G)은 스테이터 코어(151)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홈(G)에는 돌출부(1732)가 배치된다. 그리고, 외측 가이드(153G2)는 홈(G)의 상측에 배치되는 단턱(R)을 포함한다. 단턱(R)은 돌출부(1732)와 접촉된다. 이때, 단턱(R)에 의하여 돌출부(1732)가 걸림 고정될 수 있다. 홈(G)과 단턱(R)은 복수개이다. 홈(G)과 단턱(R)의 개수는 제3 파트(173)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복수의 홈(G)과 단턱(R)은 축중심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홈(G)의 폭은 돌출부(1732)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외측 가이드(153G2)는 상측을 향하여 배치된 슬롯(S)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외측 가이드(153G2)는 슬롯(S)을 둘러싸는 보스(B)를 포함할 수 있다. 슬롯(S)에는 후술할 제1 단자(19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보스(B)는 제1 단자(190)가 슬롯(S)으로 삽입되는 것을 가이드 하여 줄 수 있다. 슬롯(S)과 보스(B)는 각각 복수개일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슬롯(S)과 복수의 보스(B)는 축중심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될 수 있다. 복수의 홈(G)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슬롯(S)과 보스(B)가 배치될 수 있다.
도 7은 코일, 제1 단자 및 버스바가 연결된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동 펌프는 스테이터(150)와 버스바(160)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단자(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자(190)는 코일(151)과 전기적으로 연결 수 있다. 그리고, 제1 단자(190)는 제1 홈(19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홈(191)에는 코일(151)이 압입될 수 있다. 이때, 제1 단자(190)는 스테이터(150)의 상측으로 올라오는 코일(151)을 가압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제1 단자(190)는 매그메이트(mag-mate) 단자일 수 있다. 제1 단자(190)는 슬롯(S)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보스(B)와 제1 단자(190) 사이에는 갭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단부(161)는 제1 단자(190)를 통하여 코일(15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단부(161)는 제1 단자(190)와 접촉될 수 있다. 이때, 제1 단부(161)는 보스(B)와 제1 단자(190) 사이에 형성된 갭에 배치될 수 있다.
도 7은 버스바 홀더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파트(171)의 내측에 제2 파트(172)가 배치된다. 제2 파트(172)의 하단은 제1 파트(171)의 하면 보다 낮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파트(그리고, 제3 파트(173)는 제2 파트(172)의 외측에 배치된다. 이때, 제3 파트(173)의 하단은 제2 파트(172)의 하단 보다 낮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파트(172)는 베어링 포켓부(172P)가 형성될 수 있다. 베어링 포켓부(172P)에는 베어링(130)이 배치된다. 그리고, 제2 파트(172)는 베어링 포켓부(172P)의 연결된 관통홀(172H)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파트(172)는 베어링(130)을 반경방향과 축방향으로 지지하여 줄 수 있다.
도 8은 버스바 홀더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복수의 제3 파트(173)는 축중심(C)을 기준으로 동일한 원주 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축중심(C)에서 제3A 파트(173A)까지의 거리와 축중심(C)에서 제3B 파트(173B)까지의 거리는 동일하다. 제3 파트(173)는 제1 파트(171)의 외곽으로부터 제1 거리(D1)를 두고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파트(173)는 제2 파트(172)로부터 제2 거리(D2)를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거리(D2)는 제1 거리(D1) 보다 클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제3 파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3 파트(173)는 레그부(1731) 및 돌출부(1732)를 포함할 수 있다.
레그부(1731)는 제1 파트(171)에서 연장될 수 있다. 레그부(1731)는 제1 파트(171)와 돌출부(1732)를 연결한다. 레그부(1731)의 길이(L1)는 제1 파트(171)와 인슐레이터(153) 사이의 축방향 길이보다 클 수 있다. 이때, 레그부(1731)는 반경방향으로 제1 폭(W1)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레그부(1731)는 돌출부(1732) 측으로 갈수록 제1 폭(W1)이 작아질 수 있다. 레그부는 반경방향을 기준으로 최장폭(
Figure pat00001
)과 최단폭(
Figure pat00002
)을 가질 수 있다. 레그부(1731)의 최장폭(
Figure pat00003
)은 제1 파트(171)와 이어지는 부분일 수 있다. 그리고, 레그부(1731)의 최단폭(
Figure pat00004
)은 돌출부(1732)와 이어지는 부분일 수 있다. 이때, 최장폭(
Figure pat00005
)에 대한 최단폭(
Figure pat00006
)의 비는 0.4 내지 0.6일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레그부(1731)는 제1 면(1731A)과 제2 면(1731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면(1731A)과 제2 면(1731B)은 제1 파트(171)의 하면에서 연장된다. 이때, 제1 면(1731A)은 내측을 향하여 배치된다. 그리고 제2 면(1731B)은 외측을 향하여 배치된다. 레그부의 제1 면(1731A) 또는 제2 면(1731B)은 제1 파트(171)의 하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면(1731A)은 제1 파트(171)의 하면과 제1 각도(∠a1)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면(1731B)은 제1 파트(171)의 하면과 제2 각도(∠a2)를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제1 각도(∠a1)와 제2 각도(∠a2)는 상이할 수 있다. 제1 각도(∠a1)는 87 내지 92도 일 수 있다. 한편, 제2 각도(∠a2)는 93 내지 100도 일 수 있다.
도 11은 외측 가이드와 제3 파트가 접촉되는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돌출부(1732)는 레그부(1731)의 단부에서 연장될 수 있다. 돌출부(1732)는 단턱(R)과 접촉된 제3 면(1732C)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면(1732C)은 제1 면(1731A)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면(1731A)은 외측 가이드(153G2)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돌출부(1732)는 일부만 홈(G)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제3 면(1732C)의 일부분은 단턱(R)과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제3 면(1732C)은 단턱(R)과 접촉되는 제1 영역(A1)과 나머지 영역인 제2 영역(A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영역(A2)의 면적은 제1 영역(A1)의 면적보다 클 수 있다. 그리고 돌출부(1732)의 축방향 길이(L2)는 홈(G)의 축방향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돌출부(1732) 단부는 스테이터 코어(151)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동 펌프는 버스바 홀더와 인슐레이터가 체결 고정되는 구조로서, 스테이터와 버스바 사이의 고정력을 높여 축방향 진동으로 인한 스테이터와 버스바의 접속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베어링을 축방향으로 지지하는 웨이브 와셔의 응력을 지지하여 종래의 버스바가 스테이터로부터 완전히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된 실시예는 전동 펌프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차량용 또는 가전용 등 다양한 기기에 이용할 수 있다.
10: 전동 펌프 110: 하우징
120: 샤프트 130: 베어링
140: 로터 150: 스테이터
160: 버스바 170: 버스바 홀더
171: 제1 파트 172: 제2 파트
173: 제3 파트 1731: 레그부
1732: 돌출부 180: 기어부

Claims (10)

  1.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결합된 로터;
    상기 로터와 대응되게 배치되는 스테이터; 및
    상기 샤프트를 지지하는 베어링을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터는 스테이터 코어 및 상기 스테이터 코어에 결합된 인슐레이터 및 상기 인슐레이터 상에 배치되는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코일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버스바 및 상기 버스바를 지지하는 버스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 홀더는 상기 버스바가 배치되는 제1 파트, 상기 베어링을 지지하는 제2 파트 및 상기 제1 파트에서 상기 스테이터 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파트는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슐레이터는 상기 돌출부가 접촉되는 단턱을 포함하는 전동 펌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파트는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는 전동 펌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파트는 상기 스테이터 보다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3 파트는 상기 스테이터 보다 외측에 배치되는 전동 펌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파트는 상기 제1 파트의 외곽과 제1 거리를 두고 배치되고,
    상기 제3 파트는 상기 제2 파트와 제2 거리를 두고 배치되고,
    상기 제2 거리는 상기 제1 거리보다 큰 전동 펌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트는 상기 제3 파트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홀을 포함하는 전동 펌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와 상기 스테이터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자는 상기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버스바는 상기 제1 단자와 접촉되는 제1 단부를 포함하는 전동 펌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파트는 제3A 파트와, 상기 제3A 파트에서 원주 방향으로 이격된 제3B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3A 파트와 상기 제3B 파트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단부가 배치되는 전동 펌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파트는 상기 제1 파트와 상기 돌출부를 연결하는 레그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그부는 상기 돌출부 측으로 갈수록 반경방향 폭이 작아지는 전동 펌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부의 최장폭에 대한 최단폭의 비는 0.4 내지 0.6인 전동 펌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부는 상기 제1 파트의 일면에서 연장되는 제1 면과 제2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면은 축 방향에 대하여 제1 각도를 이루고,
    상기 제2 면은 축 방향에 대하여 와 제2 각도를 이루고,
    상기 제1 각도와 상기 제2 각도는 상이한 전동 펌프.
KR1020200139335A 2020-10-22 2020-10-26 전동 펌프 KR20220055531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9335A KR20220055531A (ko) 2020-10-26 2020-10-26 전동 펌프
CN202180072344.1A CN116648558A (zh) 2020-10-22 2021-10-21 马达
US18/033,109 US20230396117A1 (en) 2020-10-22 2021-10-21 Motor
PCT/KR2021/014773 WO2022086199A1 (ko) 2020-10-22 2021-10-21 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9335A KR20220055531A (ko) 2020-10-26 2020-10-26 전동 펌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5531A true KR20220055531A (ko) 2022-05-04

Family

ID=81584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9335A KR20220055531A (ko) 2020-10-22 2020-10-26 전동 펌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055531A (ko)
CN (1) CN116648558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648558A (zh) 2023-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03273A (en) Dynamoelectric machine with extended cleat assembly
KR100736011B1 (ko) 회전 전기기계
JP5901603B2 (ja) 回転電機
US11251675B2 (en) Motor
JP5896333B2 (ja) モータ
CN113302820A (zh) 电机
CN109643926B (zh) 绕组固定结构体和电动机
KR20220055531A (ko) 전동 펌프
JP4463395B2 (ja) コンデンサ電動機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7155746B2 (ja) モータ
JP7405089B2 (ja) モータ
JP6133734B2 (ja) 電動オイルポンプ
JP4186833B2 (ja) タンデム式回転電機
JP2009225625A (ja) ブラシ付き電動モータ
KR102670989B1 (ko) 펌프
JP7463811B2 (ja) 電動ポンプ
KR102114382B1 (ko) 모터
CN221033085U (zh) 一种电动泵
CN116325443A (zh) 电机
JP7080375B1 (ja) 燃料ポンプ
KR20220038949A (ko) 모터
US20220106948A1 (en) Pump comprising an electric motor with plug connection in the form of an intermediate ring
KR20220087013A (ko) 모터
KR20220038951A (ko) 모터
KR20230083621A (ko) 모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