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4950A -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4950A
KR20220054950A KR1020200138923A KR20200138923A KR20220054950A KR 20220054950 A KR20220054950 A KR 20220054950A KR 1020200138923 A KR1020200138923 A KR 1020200138923A KR 20200138923 A KR20200138923 A KR 20200138923A KR 20220054950 A KR20220054950 A KR 202200549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smetic composition
oil
present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8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9098B1 (ko
Inventor
홍은영
최혜선
지진구
박명삼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38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9098B1/ko
Priority to PCT/KR2021/013030 priority patent/WO2022092579A1/ko
Publication of KR20220054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49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9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90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9Sti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4Water-in-oil emulsions, e.g. Water-in-silicone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1Cellulose; Quaternized cellulose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7Galactomannans, e.g. guar;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 A61Q1/06Li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2Colour properties
    • A61K2800/43Pigments; D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8Thickener, Thickening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상부에 수용성 염료를 포함하고, 유상부에 안료를 포함하며 고형의 스틱 제형으로 제조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로, 고온 안정도를 확보하고, 자연스러운 착색 효과 및 색상 지속력, 촉촉한 사용감 또한 제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Water-in-oil type makeup cosmetic composition}
본 발명은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유중수 타입의 고형 스틱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화타입은 수중유(Oil-in-Water, O/W) 유화형과 유중수(Water-in-Oil, W/O) 유화형으로 분류되는데, 이 두 가지 모두 유상과 수상의 장점을 겸비하여 촉촉한 수분감 및 광택력 등의 효과를 동시에 나타낼 수 있다.
유화타입 제형 중 수중유형의 경우, 외상(outer phase)부인 수상부에 오일을 분산시킨 것으로, 초기 도포 시 청량감을 주며 발림성이 가벼운 특징을 지니고 있어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내수성이 떨어지며 광택력 및 보습 지속력이 떨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수중유형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PCT 특허 제2019004627호에서는 유상부의 함량을 높인 고내상(inner phase)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는데, 이는 유상부의 함량을 높임으로써 우수한 발림성, 보습력, 지속력을 제공하나, 외상에 수상이 존재함으로써 내용물이 금방 수축되는 현상이 나타나는 등 제형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유중수형의 경우 외상인 오일에 내상인 물을 분산·유화시킨 것으로, 내수성이 강하고 보습 지속력이 우수한 장점이 있으나, 사용감이 무겁고 번들거리며 유화 안정성이 떨어지는 단점을 지니고 있어, 통상적으로 유중수형 제형을 고형 스틱으로 제조할 경우 안정도가 취약하며 유화 분리 현상, 변색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유중수형의 단점을 보완하여, 색상 지속력, 촉촉한 사용감, 고온 안정도 등을 모두 확보한 유중수형 스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며, 또한 수용성 염료를 포함하여 다양한 컬러의 착색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스틱 제형 화장료 조성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수상부에 수용성 염료를 포함하고, 유상부에 안료, 왁스, 점증제, 및 유화제를 포함하며, 스틱 제형으로 제조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왁스를 10 내지 25 중량% 포함되고, 상기 점증제를 0.5 내지 2.5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수상부를 20 내지 30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수용성 염료를 0.01 내지 2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왁스는, 탄화수소계, 에스테르계, 고급알코올계, 실리콘계, 식물성계 고형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점증제는, 에틸셀룰로오스(Ethyl Cellulose), 덱스트린(Dextrin), 잔탄검(Xanthan Gum), 구아검(Guar gum), 벤토나이트(Bentonite), 라포나이트(Laponite), 및 다이스테아다이모늄헥토라이트(Disteardimonium Hectori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화제는, 솔비탄스테아레이트(Sorbitan Stearate), 솔비탄올리베이트(Sorbitan Olivate), 세틸피이지/피피지-10/1다이메티콘(Cetyl PEG/PPG-10/1 Dimethicone), 피이지-30다이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PEG-30 Dipolyhydroxystearate), 및 세테아릴알코올(Cetearyl Alcohol)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립스틱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고형 스틱으로 제조되면서도 고온 안정도를 확보하고, 자연스러운 착색 효과 및 색상 지속력, 촉촉한 사용감 또한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중수형 립스틱의 성형성을 확인하기 위한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립스틱의 색상지속력을 비교한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립스틱의 피부 착색력을 비교한 사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기술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하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은 수상부 및 오일부를 포함하는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로, 외상에 유상부를 포함하고 내상에 수상부를 포함하며 고체 스틱 제형으로 제조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20 중량% 이상의 수상 성분을 안정하게 함유한 스틱 제형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로 내용물이 수축되는 현상을 최소화하고 촉촉한 보습효과 및 색상의 지속력을 높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수상부에 수용성 염료(dye)를 포함하고 유상부에 안료(pigment) 또한 포함함으로써, 피부에 도포 시 표면발색과 착색이 모두 가능하여 지속력을 높일 수 있고 촉촉한 사용감 또한 제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효과를 나타내기 위하여 유상부에 왁스(wax) 및 점증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왁스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25 중량%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점증제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2.5 중량%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스틱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으로서, 경도 형성을 위해 상기 유상부에 왁스류를 포함하며, 상기 왁스의 함량이 10 중량% 미만일 경우, 고형 스틱으로 형성되지 않아 외관 안정성 및 성형성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25 중량% 이상일 경우, 왁스가 충분히 녹지 않아 성형이 불가능해지고 발림성이 현저히 떨어질 수 있다.
상기 왁스는 통상적으로 화장품에 사용되는 고형유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탄화수소계, 에스테르계, 고급알코올계, 실리콘계, 식물성계 고형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바셀린, 파라핀 왁스,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폴리에틸렌 등의 탄화수소류, 경화 피마자유, 수소 첨가 호호바유, 카나우바 왁스, 라이스 왁스 등의 식물 유래 유지, 트리베헨산글리세릴, 콜레스테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의 에스테르류, 스테아린산, 베헨산 등의 고급 지방산류, 스테아릴 알코올, 베헤닐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류, 알킬 변성 실리콘, 아크릴 변성 실리콘 등의 실리콘류 중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유상부에 점증제를 포함하며, 상기 점증제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2.5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의 점증제를 포함함으로써 고온에서도 제형의 안정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점증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에는 성형성이 떨어져 스틱 제형으로의 구현이 불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점증제로는 유기점증제 및 무기점증제류가 사용될 수 있으며, 예로서 에틸셀룰로오스(Ethyl Cellulose), 덱스트린(Dextrin), 잔탄검(Xanthan Gum), 구아검(Guar gum), 벤토나이트(Bentonite), 라포나이트(Laponite), 및 다이스테아다이모늄헥토라이트(Disteardimonium Hectori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수상부와 유상부를 포함하며,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수상부는 20 내지 3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수상부가 상기 범위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기름지고 답답한 사용감이 느껴질 수 있으며, 수상부가 상기 범위 초과로 포함될 경우 스틱 제형으로의 제조가 어려우며 제형 안정도가 확보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수상부에 수용성 염료(dye)를 포함함으로써, 수상 성분에 용해되어 피부에 도포 시 착색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며, 특히 립스틱으로 제조되어 입술에 착색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유상부에 안료(pigment) 또한 포함함으로써 피부에 도포 시 피부 표면에서 발색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수상부에 수용성 염료를 포함하고 유상부에 안료를 포함함으로써, 피부에 도포 시 표면발색과 착색이 모두 가능하여 지속력을 높일 수 있고 촉촉한 사용감 또한 제공할 수 있다. 종래 유분산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는 착색 효과가 없는 유분산 색소만 사용이 가능했던 것과 달리, 본 발명의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다양한 컬러의 착색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수용성 염료 또한 포함함으로써 틴트와 같이 다양한 컬러의 착색 효과까지 구현할 수 있으며, 색상지속력 또한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이러한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 본 발명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수용성 염료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2 중량%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안료는 0.01 내지 10 중량%만큼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수용성 염료가 2 중량% 초과로 사용될 경우 수상에 충분히 용해되지 않아 추후 석출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안료가 10 중량%를 초과할 경우 외상의 점도가 너무 높아져 충진의 용이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 수상부에 포함되는 염료의 종류는, 황색 203호, 황색 4호, 황색 5호, 황색 201호, 황색 204호, 적색 103호, 적색 201호, 적색 202호, 적색 218호, 적색 220호, 적색 223호, 적색 226호, 적색 227호, 청색 1호, 청색 2호, 및 알루미늄 레이크(lake)의 유기색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 유상부에 포함되는 안료의 종류는 황색 203호, 황색 4호, 황색 5호, 황색 201호, 황색 204호, 적색 103호, 적색 201호, 적색 202호, 적색 218호, 적색 220호, 적색 223호, 적색 226호, 적색 227호, 청색 1호, 청색 2호, 및 알루미늄 레이크(lake), 흑색산화철, 적색산화철, 황색산화철, 티타늄디옥사이드, 및 진주광택안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 화장료 조성물의 유상부에는 상술한 안료, 왁스, 점증제 외에 오일, 유화제, 및 분산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 화장료 조성물에는 상기 오일로,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Coco-Caprylate/Caprate),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아이소부텐(Hydrogenated Polyisobutene),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Diisostearyl Malate), 프로필렌글라이콜디벤조에이트(Propylene Glycol Dibenzoate), 스쿠알란(squalane), 옥틸도데칸올(O Octyldodecanol), 메틸하이드로제네이티드로지네이트(Methyl Hydrogenated Rosinate), 페닐트리메치콘(Phenyl Trimethicone), 및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이소스테아레이트(Pentaerythrityl Tetraisostearate)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오일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아이소부텐을 사용하는 것이 유화 제형에서 수상의 휘발 지연에 도움을 주기 때문에 더욱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 화장료 조성물에는 상기 유화제로, 친수성 부분의 비율이 낮은, 즉 HLB 값이 낮은 유화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솔비탄스테아레이트(Sorbitan Stearate), 솔비탄올리베이트(Sorbitan Olivate), 세틸피이지/피피지-10/1다이메티콘(Cetyl PEG/PPG-10/1 Dimethicone), 피이지-30다이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PEG-30 Dipolyhydroxystearate), 및 세테아릴알코올(Cetearyl Alcohol)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유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 화장료 조성물의 수상부에는 정제수(물), 보습제, 및 수용성 염료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보습제로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글리세린(Glycerin), 부틸렌글리콜(Butylene Glycol),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메틸프로판디올(Methylpropanediol), 자일리톨(Xylitol), 및 베타인(Betaine)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스틱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특히 고형 립스틱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구현예로서 본 발명은 Sun RHEO METER CR-3000EX-L 기기를 이용하여 본 내용물의 최대 응력을 측정했을 때 경도가 100 내지 180g의 값을 가지는 스틱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의 입장에서, 본 발명 조성물의 유리한 특성이 실질적인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범위 내에서, 임의의 추가 성분 및/또는 이의 양을 선택하여 추가할 수 있다. 예컨대 향료, 충전제, 보존제, 방부제, 중성화제, 자외선 차단제, 감미료, 비타민, 금속 이온 봉쇄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는 임의의 통상적 미용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고, 그 함량도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범위 내에서 조절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 및 실험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및 실험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실험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실시예 및 비교예 조성물의 제조
(1) 유중수형 고체 립스틱 화장료 조성물 제조(실시예 1 제조)
하기 표 1과 같은 함량으로, 실시예 1의 유중수형 고체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본 명세서에서 다르게 언급되지 않는 한, 성분 함량은 중량%이다).
하기 표 1의 각 성분 및 함량(중량%)에 따라 계량한 후, 수상부의 원료를 혼합하고 80℃로 가온하여 용해한 뒤, Homogenizer로 3000 rpm에서 5분 간 교반하였다. 또한, 유상부의 원료를 혼합하고 80℃로 가온하여 Homogenizer로 3000 rpm에서 5분 간 교반하였다. 그 다음, 수상부를 75℃로 냉각하고 유상부에 서서히 첨가한 후, 6000 rpm으로 20분 간 교반하여 에멀전(emulsion)을 제조하였다.
에멀전 제조 후 Vacuum Desiccator를 이용하여 탈포를 진행한 후 80℃까지 water bath에서 재가온한 다음, 립스틱 몰드에 상기 제조한 에멀젼 내용물을 붓고 냉각하여 스틱으로 제작하였다.
성분명 실시예1
수상부 물(water) 20.0
마그네슘설페이트(Magnesium Sulfate) 0.3
글리세린(Glycerin) 3.0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3.0
다이소듐이디티에이(Disodium EDTA) 0.05
1,2 헥산디올(1,2-Hexanediol) 1.0
페녹시에탄올(Phenoxyethanol) 0.45
에칠헥실글리세린(Ethylhexylglycerin) 0.05
수용성 염료 0.4
유상부 세레신(Ceresin) 9.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식물성오일(Hydrogenated Vegetable Oil) 4.0
폴리에틸렌(Polyethylene) 6.0
세틸피이지/피피지-10/1다이메티콘(Cetyl PEG/PPG-10/1 Dimethicone) 1.0
피이지-30다이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PEG-30 Dipolyhydroxystearate) 1.0
솔비탄아이소스테아레이트(Sorbitan Isostearate) 0.5
아이소도데케인,다이스테아다이모늄헥토라이트,프로필렌카보네이트(Isododecane, Disteardimonium Hectorite, Propylene Carbonate) 2.5
비스-다이글리세릴폴리아실아디페이트-2(Bis-Diglyceryl Polyacyladipate-2) 5.0
에틸헥실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Ethylhexyl Hydroxystearate) 4.0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아이소부텐(Hydrogenated Polyisobutene) 21.25
아이소에이코산(Isoeicosane) 5.0
비닐다이메티콘(Vinyl Dimethicone) 0.5
다이아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Diisostearyl Malate) 6.0
유상 안료 6.0
합(중량%) 100
(2) 유분산형 고체 립스틱 화장료 조성물 제조(비교예 1 제조)
비교예 1은 하기 표 2과 같은 함량으로, 실시예 1의 제형과 다른 유분산 제형의 스틱형 립스틱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2의 각 성분 및 함량(중량%)에 따라 계량한 후 90℃로 가온하여 용해한 뒤, Homogenizer로 3000 rpm에서 10분 간 교반하였다. 제조 후 Vacuum Desiccator를 이용하여 탈포를 진행한 후 83℃까지 재가온한 후 립스틱 몰드에 상기 제조한 내용물을 붓고, 냉각하여 스틱으로 제작하였다.
(3) 유중수형 고체 립스틱 화장료 조성물 제조(비교예 2, 3 제조)
하기 표 2과 같은 함량으로, 비교예 2, 3의 유중수형 고체 립스틱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 방법은 상기 (1)의 실시예 1을 제조한 방법과 같다.
성분명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수상부 물(water) - 20.0 20.0
마그네슘설페이트(Magnesium Sulfate) - 0.3 0.3
글리세린(Glycerin) - 3.0 3.0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 3.0 3.0
다이소듐이디티에이(Disodium EDTA) - 0.05 0.05
1,2 헥산디올(1,2-Hexanediol) - 1.0 1.0
페녹시에탄올(Phenoxyethanol) - 0.45 0.45
에칠헥실글리세린(Ethylhexylglycerin) - 0.05 0.05
수용성 염료 - 0.4 0.4
유상부 세레신(Ceresin) 8.0 9.0 9.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식물성오일(Hydrogenated Vegetable Oil) - 4.0 4.0
마이크로스탈린왁스(Microcrystalline Wax) 2.0 - -
폴리에틸렌(Polyethylene) 5.0 9.0 3.0
세틸피이지/피피지-10/1다이메티콘(Cetyl PEG/PPG-10/1 Dimethicone) - 1.0 1.0
피이-30다이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PEG-30 Dipolyhydroxystearate) - 1.0 1.0
솔비탄아이소스테아레이트(Sorbitan Isostearate) 1.0 0.5 0.5
옥틸도데칸올(Octyldodecanol) 10.0
아이소도데케인,다이스테아다이모늄헥토라이트,프로필렌카보네이트(Isododecane, Disteardimonium Hectorite, Propylene Carbonate) - - 5.0
비스-다이글리세릴폴리아실아디페이트-2(Bis-Diglyceryl Polyacyladipate-2) 10.0 5.0 5.0
에틸헥실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Ethylhexyl Hydroxystearate) 8.0 4.0 4.0
폴리글리세릴-2트라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Polyglyceryl-2 Triisostearate) 10.0 - -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아이소부텐(Hydrogenated Polyisobutene) 22.5 20.75 21.75
아이소에이코산(Isoeicosane) 5.0 5.0 5.0
비닐다이메티콘(Vinyl Dimethicone) 0.5 0.5 0.5
다이아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Diisostearyl Malate) 10.0 6.0 6.0
다이칼슘포스페이트(Dicalcium Phosphate) 2.0 - -
유상 안료 6.0 6.0 6.0
합(중량%) 100.0 100 100
2. 실시예 및 비교예 조성물의 특성 확인
(1) 스틱 제형의 성형성 확인
실시예 1, 비교예 2 및 3을 통해, 스틱의 원활한 성형정도를 확인하였다(도 1 참조). 상기 비교예는 왁스 및 점증제의 함량을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제조한 것이다.
실시예 및 비교예 조성물을 립스틱으로 제조하여 성형성을 확인한 결과, 비교예 2의 경우 왁스의 함량이 너무 높아 80℃에서 원활한 성형이 이루어지지 않아 스틱형으로 구현이 불가능했다(도 1(b) 참조). 또한, 비교예 2와 같은 경우, 성형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더욱 고온으로 가온하여 성형을 하게 되면, 유화가 분리될 문제 및 다른 성분의 휘발량이 많아지는 문제가 있다.
비교예 3의 경우, 성형성 개선 및 제형의 유화 안정도를 높이기 위해 다량의 점증제를 사용하였으나, 경도가 낮아 성형 시 뜯김, 무너짐 현상이 있어 스틱으로서 구현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도 1(c) 참조).
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왁스와 점증제를 포함하는 실시예 1의 경우, 스틱 형성이 원활하게 진행되어 외관 및 경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도 1(a) 참조). 일반적으로, W/O 에멀전 제형의 경우 내상의 함량이 높을수록 점도가 높아서 스틱으로 성형이 어려워지게 되고, 왁스의 함량이 많아질 경우 에멀전의 안정도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스틱형의 특성상 경도가 높아야 하기 때문에 왁스의 함량이 높아질 수밖에 없지만, 이에 대한 안정도 개선을 위해 적절한 함량의 점증제를 투입함으로써 고온에서도 양호한 안정도를 유지할 수 있고 고온 성형도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2) 스틱 제형의 경도 확인
실시예 1, 비교예 2 및 3에 대한 제형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경도값을 측정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내용물을 스틱 몰딩 용기에 성형하여 25℃에서 하루동안 보관한 후, 동일 조건에서 Sun RHEO METER CR-3000EX-L 기기를 이용하여 스틱의 최대 응력(g)을 측정하였다.
실시예1 비교예2 비교예3
경도(g) 115 208 70
실시예 1의 경우 스틱의 최대 응력값이 115로 나와 일반적인 립스틱의 경도값을 유지했으며, 비교예2의 경우 경도값이 일반 립스틱 대비하여 높게 나왔고 성형성이 용이하지 않았다. 비교예 3의 경우, 경도값이 낮아 고온의 온도에서는 녹아내릴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3) 색상지속력 테스트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색상지속력 비교 실험을 진행하였다(도 2 참조).
시험 부위(입술)의 제품 사용 전 사진을 촬영하고, 제품을 사용한 뒤, 사용직후, 4시간 후, 8시간 후 사진을 각각 촬영하였다. 각 측정시간 별 시험 부위의 Saturation 값을 분석하여 하기 식을 통해 색상지속력(%)을 도출하였고, 그 값이 감소할수록 기존보다 색상이 퇴색되는 것으로 평가하여,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색상지속력을 수치로 비교하였다.
[수학식 1]
색상지속력(%) = (z-x) * 100 / (y-x)
(x : 제품 사용 전 측정 부위의 Saturation 값,
y : 제품 사용 직후 측정 부위의 Saturation 값,
z : 제품 사용시간 별 측정 부위의 Saturation 값)
그 결과, 사용 8시간 후 색상지속력은 실시예 1의 립스틱(W/O)은 약 88.4%,비교예 1(유분산)의 립스틱은 73.7%로 나타냄에 따라, 실시예가 더욱 높은 색상지속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4) 피부 착색 테스트
실시예 1과 비교예 1에 대한 피부 착색도를 확인하기 위해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조성물을 도포한 뒤, 일정 시간 경과 후 티슈로 닦아내어 착색 정도를 육안으로 비교하였다. 실시예 1의 경우 수상부에 포함된 염료가 피부에 염착되어 강한 착색 효과를 나타내어 도포 후 묻어나지 않고 오래 지속되는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반면, 비교예 1은 티슈오프 후 착색되는 컬러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Claims (8)

  1. 수상부에 수용성 염료를 포함하고,
    유상부에 안료, 왁스, 점증제, 및 유화제를 포함하며,
    스틱 제형으로 제조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왁스는 10 내지 25 중량% 포함되고, 상기 점증제는 0.5 내지 2.5 중량% 포함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수상부는 20 내지 30 중량% 포함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수용성 염료는 0.01 내지 2 중량% 포함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왁스는, 탄화수소계, 에스테르계, 고급알코올계, 실리콘계, 식물성계 고형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증제는, 에틸셀룰로오스(Ethyl Cellulose), 덱스트린(Dextrin), 잔탄검(Xanthan Gum), 구아검(Guar gum), 벤토나이트(Bentonite), 라포나이트(Laponite), 및 다이스테아다이모늄헥토라이트(Disteardimonium Hectori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는, 솔비탄스테아레이트(Sorbitan Stearate), 솔비탄올리베이트(Sorbitan Olivate), 세틸피이지/피피지-10/1다이메티콘(Cetyl PEG/PPG-10/1 Dimethicone), 피이지-30다이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PEG-30 Dipolyhydroxystearate), 및 세테아릴알코올(Cetearyl Alcohol)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립스틱으로 제조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1020200138923A 2020-10-26 2020-10-26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5290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8923A KR102529098B1 (ko) 2020-10-26 2020-10-26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PCT/KR2021/013030 WO2022092579A1 (ko) 2020-10-26 2021-09-24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8923A KR102529098B1 (ko) 2020-10-26 2020-10-26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4950A true KR20220054950A (ko) 2022-05-03
KR102529098B1 KR102529098B1 (ko) 2023-05-08

Family

ID=81384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8923A KR102529098B1 (ko) 2020-10-26 2020-10-26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29098B1 (ko)
WO (1) WO2022092579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9434A (ko) * 2017-02-02 2019-09-25 샤넬 파르퓜 보트 고상의 유중수 화장품 에멀젼
KR102070391B1 (ko) * 2018-05-10 2020-01-29 오세웅 화초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입술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8655B2 (ja) * 1993-04-01 2000-10-16 鐘紡株式会社 油性唇用組成物
KR100519203B1 (ko) * 2002-11-28 2005-10-06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유중수 에멀션화 메이크업 조성물
US10434043B2 (en) * 2015-08-03 2019-10-08 Shiseido Company, Ltd. Water-in-oil emulsion solid cosmetic
KR101953335B1 (ko) * 2015-12-24 2019-02-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고체 타입의 유중수형의 색조 화장료 조성물
KR102644668B1 (ko) * 2016-09-22 2024-03-08 (주)아모레퍼시픽 온도 변화에 안정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9434A (ko) * 2017-02-02 2019-09-25 샤넬 파르퓜 보트 고상의 유중수 화장품 에멀젼
KR102070391B1 (ko) * 2018-05-10 2020-01-29 오세웅 화초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입술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92579A1 (ko) 2022-05-05
KR102529098B1 (ko) 2023-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03807B1 (en) Cosmetic composition with a lipophilic continuous phase containing a novel pigment
EP1843821B1 (de) Zubereitung, insbesondere kosmetische zubereitung sowie die herstellung und verwendung derselben
US6497861B1 (en) Stable cosmetic emulsion with polyamide gelling agent
KR102371421B1 (ko) 수중유형 에멀젼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ES2894947T3 (es) Mezcla de lípidos de octildodecanol y aceite de colza hidrogenado
US20050169875A1 (en) Stable cosmetic emulsion with polyamide gelling agent
KR101145018B1 (ko) 천연색소를 함유하는 유중수형 립메이크업 조성물
KR20180120774A (ko) 수용성 염료를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
DE102005020583B4 (de) Zubereitung, insbesondere kosmetische Zubereitung sowie ihre Verwendung
US20080119570A1 (en) Stable Cosmetic Emulsion With Polyamide Gelling Agent
US20100254933A1 (e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amide resin, a glyceryl ester and an apolar wax
KR20170001268A (ko) 수용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유중수 제형 입술 화장료 조성물
KR20170001687A (ko) 항산화 효과를 갖는 폴리다틴을 함유한 베이스 조성물을 포함하는 유성 색조 화장료 조성물
EP1774952A2 (en) Stable cosmetic emulsion with polyamide gelling agent
AU2002345721A1 (en) Stable cosmetic emulsion with polyamide gelling agent
KR100508978B1 (ko) 오일 겔화제로서 스테아로일 이눌린을 포함하는 유중수형 유화 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
KR20180076812A (ko) 유중수 유화형 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359444B1 (ko) 매트 타입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29098B1 (ko)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200126289A (ko) 발림성이 우수한 매트 타입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15127B1 (ko) 온도 감응성 색조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20040096417A1 (en) Moringa esters and cosmetic and pharmaceutical preparations and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DE202005014974U1 (de) Zubereitung, insbesondere kosmetische Zubereitung, ihre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KR20230044826A (ko) 수상 착색제를 함유하는 유중수형의 수분 순간방출형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EP1716888A1 (de) Transferresistente Lippenpflegeproduk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