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2453A - 교차 접촉 검출을 통한 선택적 커팅 간격 조절 시스템 - Google Patents

교차 접촉 검출을 통한 선택적 커팅 간격 조절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2453A
KR20220052453A KR1020200136415A KR20200136415A KR20220052453A KR 20220052453 A KR20220052453 A KR 20220052453A KR 1020200136415 A KR1020200136415 A KR 1020200136415A KR 20200136415 A KR20200136415 A KR 20200136415A KR 20220052453 A KR20220052453 A KR 202200524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ntact
grid outlet
grid
food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6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2267B1 (ko
Inventor
의 태 박
Original Assignee
의 태 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의 태 박 filed Critical 의 태 박
Priority to KR1020200136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2267B1/ko
Publication of KR20220052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24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2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22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18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to obtain cubes or the like
    • B26D3/185Grid like cu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4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to obtain segments other than slices, e.g. cutting p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6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 B26D7/0608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by pus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8Splitting layers from work; Mutually separating layers by cutting
    • B26D3/283Household devices therefor
    • B26D2003/288Household devices therefor making several incisions and cutting cubes or the like, e.g. so-called "julienne-cu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2210/00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 B26D2210/02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for cutting food products, e.g. food slic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차 접촉 검출을 통한 선택적 커팅 간격 조절에 대한 것으로서, 식자재를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가이드 유닛; 종횡 방향의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제공되는 커터를 배치하여, 커터를 통해 종횡 방향으로 커팅된 형태로 배출되도록 하는 그리드 아웃렛 유닛; 그리드 아웃렛 유닛의 타측에 접촉하여 슬라이딩하여 소정의 회전 속도로 회전 운동하며, 그리드 아웃렛 유닛의 타측으로 배출되는 식자재의 수평 길이 방향을 선택적으로 커팅하는 커팅 유닛; 커팅 유닛에 원운동을 제공하는 무빙 유닛; 가이드 유닛에 수용된 식자재를 강제 푸시하여 그리드 아웃렛 유닛의 타측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트랙션 유닛을 포함하는 기술적 사상을 개시한다.

Description

교차 접촉 검출을 통한 선택적 커팅 간격 조절 시스템{Control system for adjusting distance interval based on detecting contact}
본 발명은 식자재의 선택적 커팅 간격 조절을 위한 시스템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서로 교차되도록 이루어져 종횡 방향으로 커팅되며, 회전 운동하는 블레이드를 통해 수평 길이 방향으로 커팅되도록 하되, 선택적으로 커팅의 크기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교차 접촉 검출을 통한 선택적 커팅 간격 조절 시스템에 관한 기술분야이다.
우리나라 소비자의 신선편이 과일, 채소 인지도와 구매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신선편이농산물은 원물 수확 후 절단(박피, 다듬기 포함), 세척, 포장이라는 3가지 과정을 위생적으로 거친 것으로서 신선하고 사용하기 편리한 농산물로 정의된다.
소득이 증가하고 외식과 급식이 증가함에 따라 외식업은 조리업무를 효율화를 필요로 하며 소비자 가구도 가계노동의 일부를 외부에 의존하게 됨에 따라 위생적으로 손질된 농산물, 즉 신선편이농산물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게 되었다. 신선편이농산물 시장은 미국, 일본 등의 선진국에서는 이미 빠르게 확대되고 있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인프라 부족으로 신선편이농산물 시장이 아직 확립 중에 있다.
신선편이농산물에 대한 수요는 소득이 증가하고 외식업 임금이 상승할수록 증대될 것이며, 외식체인점의 확대, 가구원수의 감소나 독신가구의 증가, 맞벌이 증가 등 인구사회적 요인의 변화 등에 의해서도 증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신선편이농산물은 단순히 겉껍질을 탈피한 것이나, 물세척한 사전처리 농산물이 아닌 사용자의 편리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물리적 변화를 가한 것을 특징으로 볼 수 있다.
신선편이농산물이 사전처리농산물과 다른 과정은 커팅에 해당할 수 있으며, 농산물의 특징에 따른 커팅을 통해 소비자가 편리하게 사용하여 소비자의 식탁에 약간의 조리 과정을 통해 오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커팅 과정이 빠르고 정확하게 이루어지기 위하여 소소한 기술적인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선행 특허문헌"슬라이스 야채절단기의 깍둑 썰기용 커터 구조(공개번호 제10-2008-0024794호, 이하 특허문헌1이라 한다.)"가 존재한다.
특허문헌1의 경우, 슬라이스 야채 절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공급되는 야채를 횡단면으로 슬라이스 커팅 한 후 재차 바둑판 모양의 격자형 커터 어셈블리에 가압하여 깍둑 썰기된 야채를 얻기 위한 야채 절단기의 커터 구조를 개량하여 보다 작은 크기의 깍둑 썰기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슬라이스 야채절단기의 깍둑 썰기용 커터 구조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1의 경우, 식자재와 격자형 커터의 칼 측 표면과의 마찰면적을 줄여 절단된 식자재의 열적변화를 최소화시켜 신선도를 높게 유지하고, 절단 시 마찰 부하를 감소시켜 전체적으로는 절단기의 기계적 경제적 경량화를 이루고 1차 절단된 식자재를 4등분으로 세폭 절단하여 작은 육면체의 식자재 가공이 가능하고, 교차결합하는 "X, Y"축 칼의 교차시킨 칼날 높이를 일축에 비해 타축을 칼날만큼 높게 형성하여 칼날 사이의 공극 발생을 배제하므로 절삭력을 높이고 절단면이 깨끗하며 기계적인 부하를 경감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슬라이스 야채절단기의 깍둑 썰기용 커터 구조를 제공하고자, 야채 절단기의 깍둑 썰기용 커터에 있어서, "X", "Y"축 방향으로 다수의 칼을 교차하여 방형의 절단공(42)을 형성한 상부 커터(40)와 하부 커터(50)를 복수로 마련하여 상부 커터의 절단공(42)에 대하여 하부 커터(50)의 칼 교차점(P)이 중심에 위치하도록 상호 어긋나게 중첩 배치하여 격자형 커터(100)를 이루고, 격자형 커터의 각 칼은 절단되는 식자재와의 마찰을 감소시키면서 기계적인 강도를 유지하도록 교차점을 피해 칼의 측 표면에 반호형의 공간부(44, 54))를 형성하며, 하부로 교차하는 칼의 칼날 높이에 비해 상부에서 교차하는 칼날의 높이를 연마된 칼날 폭 이상 높게 돌출부(d) 만큼 단차지게 교차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행 특허문헌으로서"야채 절단기(공개번호 제10-2017-0110399호, 이하 특허문헌2이라 한다.)"도 존재한다.
특허문헌2의 경우, 주로 무를 절단하여 깍두기, 무말랭이 등의 식재로써 가공하기 위해 전단에 격자형 커터 유닛을 결합하고, 후단에 모터 구동하면서 피 가공 야채를 강압 이송하며 격자형 커터 유닛과 1조를 이루는 격자형 가압 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야채 절단기에 있어 격자형 커터 유닛과 격자형 가압 판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이루어 절단 규격의 변경과, 야채 절단기의 세척이 용이하여 위생적으로 관리하기에 편리한 야채 절단기에 관한 것으로, 격자형 커터 유닛(20)과, 격자형 커터 유닛(20) 후단에 모터 구동으로 야채 이송 통로를 따라 전 후진하는 가압모듈(30)과, 회전 칼(1)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야채 절단기의 격자형 커터 유닛(20)을 결합하는 커터 패널(10)은 야채 이송 통로(2)와 연통한 마름모 상 이송 공(12)을 천공하고 이송 공(12)의 두 하변 외주에 격자형 커터유닛(20)의 두 하변을 지지하는 고정 브라켓(16)을 용접 고정하여 이루고, 두 상변의 모서리 점 부근에는 나사공(14)을 천공하여 나사 공에 체결하는 브라켓(181)을 돌출 형성하며 격자형 커터 유닛의 두 상변 모서리를 지지하는 브라켓(183)을 갖는 탈착 브라켓(18)을 형성하고, 고정 브라켓(16)과 탈착 브라켓(18)에 끼워 이송 공(12)에 위치하는 격자형 커터 유닛(20)은 두 상변 위치의 탈착 브라켓(18)의 길이를 초과 위치에 역 삽입방지용 돌기(22)를 복수로 돌출 형성하여 이루며, 가압 모듈(30)은 전면에 격자형 커터 유닛(20)의 망상 커터에 일치하는 돌기를 돌출하고, 후면에는 장방형 체결 홈(312)을 형성하여, 두 상변으로부터 후면의 장방형 체결 홈(312)에 이르도록 핀 홀(314)을 천공하며, 두 핀 홀(314) 사이 중심에는 볼트 체결 공(316)을 천공하여 이루어지는 격자형 가압 판(31)과, 격자형 가압 판(31)의 두 핀 홀(314)을 관통하는 복수의 핀(334)을 용착한 가로대(332)와 가로대를 관통하는 볼트 삽입공(336)을 천공한 체결구(33)를 이루고, 일단에 격자형 가압 판(31)의 장방형 체결 홈(312)에 끼워 결합하며 체결구 핀(334)이 관통하는 핀 홀(354)을 천공한 돌출 블록(352)을 형성하여 모터 구동으로 전 후진하는 가동 브라켓(35)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선행 특허문헌으로서"깍둑썰기용 회전커터 자동보정장치(공개번호 제10-2019-0018992호, 이하 특허문헌3이라 한다.)"가 존재한다.
특허문헌3의 경우, 모터(m)의 축(m1)과 커터회전축(4')을 분리 구성하고, 축(m1)과 커터회전축(4') 사이에 신축장치(5)를 구비하되, 신축장치(5)는 축(m1)에 장착되는 원동판(52)과 원동판(52)에 장착 고정된 3~4개의 가이드봉(51)과, 가이드봉(51)을 타고 소정의 거리만큼 슬라이딩 이송될 수 있게 하며 중앙부에 커터회전축(4')이 장착 고정된 종동판(53), 커터회전축(4')에 압축스프링(54)을 끼운 뒤 압축스프링(54)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커터(4)가 항상 후진방향으로 작용하게끔 지지하도록 야채 절단장치의 일 측 벽면에 장착 고정된 고정관(55)으로 이루어지고, 커터회전축(4')의 선단에는 회전커터(4)를 장착하는 커터고정부(41)가 구비됨과 동시에, 커터회전축(4')의 선단에 구비되어 커터회전축(4')이 안정적으로 회전하도록 지지하는 고정관(56)으로 이루어짐으로서 무나 당근 등의 야채(v)를 고정커터(4)로 강제로 밀어 통과시킴으로서 야채가 길이방향으로 분할되게 되고, 이때 야채가 통과되는 과정에서 이송압력 및 이송속도에 의해 회전커터가 자동으로 전후진 대응하면서 자동으로 커터위치를 보정할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특허문헌3의 경우, 야채의 절단효율 및 상품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또 야채(v)가 고정커터(3)를 통해 연속적으로 이송 가압되는 과정에서 회전커터(4)도 이송가압되는 야채와 함께 전후진 되면서 절단되는 것임으로 회전커터(4)의 휨이나 변형이 없어 회전커터(4)의 수명이 장구하게 유지되어 안전성과 신뢰성이 극대화되는 등의 많은 효과가 따르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들은 식자재를 절단하는 것에 대한 단순한 기술적인 시도에 불과하다.
공개번호 제10-2008-0024794호 공개번호 제10-2017-0110399호 공개번호 제10-2019-0018992호
본 발명에 따른 교차 접촉 검출을 통한 선택적 커팅 간격 조절 시스템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제시한다.
첫째, 식자재를 최소한의 시간을 이용하여 임의 크기로 커팅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식자재의 이동 방향과 식자재의 크기에 따라 커팅되는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교차 접촉 검출을 통한 선택적 커팅 간격 조절 시스템은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교차 접촉 검출을 통한 선택적 커팅 간격 조절 시스템은 식자재를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가이드 유닛(guide unit); 상기 가이드 유닛의 타측에 제공되며, 종횡 방향의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제공되는 커터를 배치하여, 상기 커터를 통해 상기 종횡 방향으로 커팅된 형태로 배출되도록 하는 그리드 아웃렛 유닛(grid outlet unit); 상기 그리드 아웃렛 유닛의 타측에 접촉하여 슬라이딩하여 소정의 회전 속도로 회전 운동하며, 상기 그리드 아웃렛 유닛의 타측으로 배출되는 상기 식자재의 수평 길이 방향을 선택적으로 커팅하는 블레이드 유닛(cutting unit); 상기 커팅 유닛과 연장되어 제공되며, 상기 커팅 유닛에 원운동을 제공하는 무빙 유닛(moving unit); 상기 가이드 유닛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가이드 유닛에 수용된 상기 식자재를 강제 푸시하여 상기 그리드 아웃렛 유닛을 통과시켜 상기 그리드 아웃렛 유닛의 타측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트랙션 유닛(traction unit)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교차 접촉 검출을 통한 선택적 커팅 간격 조절 시스템의 상기 그리드 아웃렛 유닛은, 복수 개의 수평 커터로 이루어지는 이븐부; 및 상기 이븐부와 수직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수직 커터로 이루어지는 오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이븐부 각각은 상기 오드부 각각과 교차하는 교차점에 소정의 홀을 형성하여 상기 이븐부의 상기 소정의 홀에 상기 오드부의 일부가 함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교차 접촉 검출을 통한 선택적 커팅 간격 조절 시스템의 상기 이븐부는, 상기 소정의 홀에 배치되어 상기 오드부와 상기 이븐부의 접촉을 감지하도록 하는 크로싱 콘텍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교차 접촉 검출을 통한 선택적 커팅 간격 조절 시스템의 그리드 아웃렛 유닛은, 상기 교차점 각각은 개별적인 코드(code)가 부여되어 소정의 접촉을 발생시키는 영역의 교차점을 검출하고 상기 교차점 간의 접촉력을 대조하여 상기 식재료의 이동 방향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교차 접촉 검출을 통한 선택적 커팅 간격 조절 시스템의 상기 그리드 아웃렛 유닛은, 상기 교차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접촉이 발생하면, ⅰ) 이웃하는 상기 교차점 중 미접촉 교차점이 발견되면, 상기 오드부와 상기 이븐부의 간격이 축소되며, ⅱ) 이웃하는 상기 교차점이 모두 접촉을 유지하면, 상기 오드부와 상기 이븐부의 간격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교차 접촉 검출을 통한 선택적 커팅 간격 조절 시스템의 상기 그리드 아웃렛 유닛은, 복수 개로 각각이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디스텐스(distance) 조절부; 상기 제1디스텐스 조절부에 인접하여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디스텐스 조절부; 및 상기 제1디스텐스 조절부와 상기 제2디스텐스 조절부에 체결되어 소정의 텐션을 구비하는 커팅라인부를 포함하되, 제1디스텐스 조절부와 제2디스텐스 조절부의 간격이 선택적으로 조절되어 상기 커팅라인부의 이격 거리가 가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교차 접촉 검출을 통한 선택적 커팅 간격 조절 시스템의 상기 그리드 아웃렛 유닛은, 상기 그리드 아웃렛 유닛의 각각의 셀에 대한 소정의 임계 면적을 형성하되, 상기 그리드 아웃렛 유닛을 통과하는 상기 식자재에 대한 상기 임계 면적을 감지하여 상기 임계 면적 이하의 상기 식자재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교차 접촉 검출을 통한 선택적 커팅 간격 조절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그리드 아웃렛 유닛을 통과함을 통해 식자재가 일시에 종횡 방향으로 커팅되며 블레이드 유닛이 회전 운동하여 수평 길이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커팅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둘째, 그리드 아웃렛 유닛이 서로 교차하는 지점에 교차되어 접촉되는 접촉력을 감지하여 식자재의 이동방향이 센싱되도록 한다.
셋째, 교차점에 대한 센싱을 통해 그리드 아웃렛 유닛의 종횡 방향의 이븐부와 오드부의 간격을 조절하여 식자재와 원하는 크게에 맞는 커팅 크기가 조절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차 접촉 검출을 통한 선택적 커팅 간격 조절 시스템의 제1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차 접촉 검출을 통한 선택적 커팅 간격 조절 시스템의 제2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차 접촉 검출을 통한 선택적 커팅 간격 조절 시스템의 그리드 아웃렛 유닛의 부분 확대 분해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차 접촉 검출을 통한 선택적 커팅 간격 조절 시스템의 그리드 아웃렛 유닛이 교차점에 개별적인 코드가 부여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차 접촉 검출을 통한 선택적 커팅 간격 조절 시스템의 그리드 아웃렛 유닛의 교차점에 배치된 크로싱 콘텐트부가 식자재가 통과하는 것을 감지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차 접촉 검출을 통한 선택적 커팅 간격 조절 시스템의 그리드 아웃렛 유닛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도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차 접촉 검출을 통한 선택적 커팅 간격 조절 시스템의 그리드 아웃렛 유닛을 통과하는 식자재의 소정의 면적 이하를 감지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교차 접촉 검출을 통한 선택적 커팅 간격 조절 시스템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차 접촉 검출을 통한 선택적 커팅 간격 조절 시스템의 제1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차 접촉 검출을 통한 선택적 커팅 간격 조절 시스템의 제2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차 접촉 검출을 통한 선택적 커팅 간격 조절 시스템의 그리드 아웃렛 유닛의 부분 확대 분해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차 접촉 검출을 통한 선택적 커팅 간격 조절 시스템의 그리드 아웃렛 유닛이 교차점에 개별적인 코드가 부여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차 접촉 검출을 통한 선택적 커팅 간격 조절 시스템의 그리드 아웃렛 유닛의 교차점에 배치된 크로싱 콘텐트부가 식자재가 통과하는 것을 감지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차 접촉 검출을 통한 선택적 커팅 간격 조절 시스템의 그리드 아웃렛 유닛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도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차 접촉 검출을 통한 선택적 커팅 간격 조절 시스템의 그리드 아웃렛 유닛을 통과하는 식자재의 소정의 면적 이하를 감지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교차 접촉 검출을 통한 선택적 커팅 간격 조절 시스템은 가이드 유닛(guide unit ,100), 그리드 아웃렛 유닛(grid outlet unit ,200), 블레이드 유닛(blade unit, 300), 무빙 유닛(moving unit, 400), 트랙션 유닛(traction unit, 50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가이드 유닛(100)은 식자재(10)를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가이드 유닛(100)의 경우,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 공간을 제공하여 식자재(10)가 수용되어지는 공간을 제공하는데, 예컨대, 무가 수용되어 지는 경우, 복수 개의 무가 수용되어 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그리드 아웃렛 유닛(200)의 경우, 가이드 유닛(100)의 타측에 제공되며, 종횡 방향의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제공되는 커터를 배치하여, 커터를 통해 종횡 방향으로 커팅된 형태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드 아웃렛 유닛(200)은 가이드 유닛(100)으로부터 타측에 제공되어 가이드 유닛(100)에 수용된 식자재(10)가 그리드 아웃렛 유닛(200)을 통과하여 커팅된 형태로 타측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드 아웃렛 유닛(200)은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커터가 배치되어 있으며 종횡 방향으로 배치된 커터는 격자 형태를 가지며 통과하는 식자재(10)가 커팅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가이드 유닛(100)에 수용된 식자재(10)가 그리드 아웃렛 유닛(200)을 지나가면서 죙횡 방향으로 절단되는데 그리드 아웃렛 유닛(20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지나감을 통해 그리드 아웃렛 유닛(200)의 커터에 의해 종횡 방향으로 절단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식자재(10)는 일정한 간격을 가지는 커터인 그리드 아웃렛 유닛(200)에 의하여 절단되며 그리드 아웃렛 유닛(200) 자체의 커팅력으로 절단되어 그리드 아웃렛 유닛(200)을 통과하여 이동되어지는 것이다.
블레이드 유닛(300)의 경우, 그리드 아웃렛 유닛(200)의 타측에 접촉하여 슬라이딩하여 소정의 회전 속도로 회전 운동하며, 그리드 아웃렛 유닛(200)의 타측으로 배출되는 식자재(10)의 수평 길이 방향을 선택적으로 컷팅하도록 할 수 있다.
블레이드 유닛(300)은 그리드 아웃렛 유닛(200)의 타측에 제공되며 종횡 방향으로 형성된 격자모양의 커터의 타측에 제공되어 종횡 방향으로 절단되어 타측으로 이동되는 식자재(10)를 수평 길이 방향으로 절단하도록 하는 것이다.
블레이드 유닛(300)은 회전 운동을 하는데, 회전되는 방향이 커팅이 될 수 있는 블레이드(blade)로 형성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블레이드 유닛(300) 전체가 커팅되는 커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블레이드 유닛(300)은 적어도 회전되는 방향으로 말단이 날카롭게 형성되어 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리드 아웃렛 유닛(200)의 타측에 접촉하여 슬라이딩함으로 식자재(10)를 원하는 크기로 잘라낼 수 있다.
블레이드 유닛(300)은 그리드 아웃렛 유닛(200)에 접촉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블레이드 유닛(300)이 예컨대, 그리드 아웃렛 유닛(200)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다면 그리드 아웃렛 유닛(200)을 통과한 식자재(10)가 블레이드 유닛(300)에 의해 커팅되기 이전에 부러지거나 으깨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블레이드 유닛(300)의 소정의 회전 속도를 통해 식자재(10)의 수평 길이 방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식자재(10)의 수평 길이 방향 조절을 통하여 커팅된 식자재(10)의 면적이나 부피를 상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무빙 유닛(400)의 경우, 블레이드 유닛(300)과 연장되어 제공되며, 블레이드 유닛(300)에 원운동을 제공할 수 있다.
무빙 유닛(400)은 블레이드 유닛(300)에 회전 운동을 제공하는데, 회전 운동은 블레이드 유닛(300)이 원 운동하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원 운동 시 회전되는 주기를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무빙 유닛(400)이 블레이드 유닛(300)의 회전 속도를 느리게 조절한다면 수평 길이 방향이 긴 식자재(10)가 커팅되어 질 것이며, 블레이드 유닛(300)이 회전 속도를 빠르게 조절한다면, 수평 길이 방향은 짧은 식자재(10)가 커팅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무빙 유닛(400)의 회전 운동 속도는 의도하는 속도로 선택되어 질 수 있으며 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무빙 유닛(400)은 회전 운동의 주기를 조절하도록 하여 회전 주기에 따라 식자재(10)의 수평 길이 방향의 커팅이 조절되도록 할 수도 있다.
트랙션 유닛(500)의 경우, 가이드 유닛(10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함으로써 가이드 유닛(100)에 수용된 식자재(10)를 강제 푸시하여 그리드 아웃렛 유닛(200)을 통과시켜 그리드 아웃렛 유닛(200)의 타측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트랙션 유닛(500)은 식자재(10)를 강제 푸시하기 위하여 그리드 아웃렛 유닛(200)과 상반되는 위치에 제공되어 지며, 트랙션 유닛(500)이 식자재(10)를 푸시하면 그리드 아웃렛 유닛(200)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식자재(10)가 이동되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예컨대, 트랙션 유닛(500)이 식자재(10)를 푸시하는 속도가 블레이드 유닛(300)의 회전 속도보다 느린 경우 식자재(10)가 그리드 아웃렛 유닛(200)의 타측으로 이동되기 전에 블레이드 유닛(300)이 회전함으로 식자재(10)의 커팅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식자재(10)의 커팅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트랙션 유닛(500)이 식자재(10)를 강제 푸시하는 속도가 블레이드 유닛(300)이 회전되는 속도에 비해 빠르게 이루어져야 하며 트랙션 유닛(500)이 식자재를 푸시하는 속도와 블레이드 유닛(300)이 회전하는 속도는 균형을 이루어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블레이드 유닛(300)의 속도 조절뿐만 아니라 트랙션 유닛(500)이 식자재(10)를 푸시하는 속도의 조절을 통하여 식자재(10)의 커팅 모양이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블레이드 유닛(300)과 마찬가지로 트랙션 유닛(500) 또한, 임의 속도 조절을 통하여 식자재(10)의 커팅 모양을 상이하게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교차 접촉 검출을 통한 선택적 커팅 간격 조절 시스템의 그리드 아웃렛 유닛(200)은, 이븐부(210)와 오드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븐부(210)는, 복수 개의 수평 커터로 이루어지는데, 복수 개의 수평 커터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수평 배치되어 진다. 또한 수평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질 수 있다.
커터로 형성된 이븐부(210)는 식자재(10)를 커팅할 수 있으며 복수 개가 수평으로 형성된 수평 커터를 통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식자재(10)를 커팅하도록 할 수 있다.
오드부(220)의 경우, 이븐부(210)와 수직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수직 커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오드부(220)는 수직 커터로 이루어지며 복수 개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수직 배치되어 진다.
이븐부(210)와 오드부(220)는 수평, 수직을 유지하여 교차되며 형성되는데 이븐부(210)와 오드부(220)가 교차되면 격자 모양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격자 모양은 이븐부(210)와 오드부(220)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기에 모든 사각형의 격자가 같은 크기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이븐부(210) 각각은 오드부(220) 각각과 교차하는 교차점에 소정의 홀(H)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븐부(210)의 소정의 홀에 오드부(220)의 일부가 함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소정의 홀(H)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븐부(210)의 홀을 통해 오드부(220)의 일부가 함입되어 질 수 있으며, 함입된 오드부(220)는 이븐부(210)와 교차되는 지점에 해당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함입된 이븐부(210)의 일부 중 오드부(220)와 접촉하는 부분은 식자재(10)의 강제 푸싱이 제공되지 않을 경우 이격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븐부(210)와 오드부(220)는 약간의 이격된 형태로 배치되어 질 수 있다.
식자재(10)가 그리드 아웃렛 유닛(200)을 푸시하며 통과하는 경우 이븐부(210)와 오드부(220)가 접촉하게 되며 접촉함과 동시에 커터로 인한 절단이 이루어질 수 있다.
소정의 홀(H)에 대한 도3은 예시에 해당할 수 있으며 이븐부(210)는 예컨대, 빗과 같이 형성되며 오드부(220)는 일측이 모두 홀로 형성되어 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교차 접촉 검출을 통한 선택적 커팅 간격 조절 시스템의 이븐부(210)는 소정의 홀(H)에 배치되어 오드부(220)와 이븐부(210)의 접촉을 감지하도록 하는 크로싱 콘텍트부(211)를 포함할 수 있다.
크로싱 콘텍트부(211)의 경우, 오드부(220)와 이븐부(210)가 교차하는 지점에 배치되어 질 수 있으며, 교차하는 지점에 배치되어 오드부(220)와 이븐부(210)가 교차되어 접촉되어지는 접촉을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크로싱 콘텍트부(211)의 경우,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홀(H)에 배치되어 질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가 제공되어 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오드부(220)와 이븐부(210)가 접촉하는 지의 여부를 감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소정이 홀(H)의 가장 안쪽에 배치되어 질 수 있으며, 안쪽에 배치됨을 통하여 식자재(10)가 푸싱되는 순간 교차되는 교차점에서의 접촉이 감지되도록 할 수 있다.
크로싱 콘텍트부(211)는 접촉을 감지하여 식자재(10)가 그리드 아웃렛 유닛(200)을 통과하고 있음을 감지하며, 격자 형태로 이루어진 오드부(220)와 이븐부(210)는 식자재(10)의 푸시를 통하여 교차점마다 접촉이 되어지는 위치에서의 접촉만 감지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교차 접촉 검출을 통한 선택적 커팅 간격 조절 시스템의 그리드 아웃렛 유닛(200)은, 교차점 각각은 개별적인 코드(code)가 부여되어 소정의 접촉을 발생시키는 영역의 교차점을 검출하고 교차점 간의 접촉력을 대조하여 식재료의 이동 방향을 검출할 수 있다.
코드는 각 교차점에 따라 상이한 코드가 주어지며 코드마다 크로싱 콘텍트부(211)가 배치되어 각각의 코드에 대한 접촉력을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븐부(210)와 오드부(220)가 교차하는 지점의 교차점에 코드를 부여하여 크로싱 콘텍트부(211)가 접촉을 감지하는 순간 각각의 교차점에 대한 접촉력을 대조할 수 있다.
크로싱 콘텍트부(211)를 통하여 교차점에서의 접촉 여부는 물론 교차점에서의 푸싱력도 감지되도록 할 수 있다.
크로싱 콘텍트부(211)가 감지하는 접촉을 통하여 식재료의 이동 방향도 검출될 수 있는데, 식재료의 이동 방향은, 그리드 아웃렛 유닛(200)을 통과하는 식재료가 그리드 아웃렛 유닛(200)의 정면을 향하여 이동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식재료의 이동방향이 사선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이븐부(210)와 오드부(220)의 교차점에서의 푸싱력이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으며 이러한 교차점의 대조를 통하여 푸싱되는 식재료의 이동방향의 감지도 가능할 수 있다.
이동방향이 올바르지 않는 경우, 그리드 아웃렛 유닛(200)을 모두 통과하여 커팅된 식자재(10)는 크기가 모두 상이하여 제품의 품질이 떨어 질 수 있기에 이동방향이 올바른지 여부를 확인하여 식자재(10)를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교차 접촉 검출을 통한 선택적 커팅 간격 조절 시스템의 그리드 아웃렛 유닛(200)은, 교차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접촉이 발생하면, ⅰ) 이웃하는 교차점 중 미접촉 교차점이 발견되면, 오드부(220)와 이븐부(210)의 간격이 축소되며, ⅱ) 이웃하는 교차점이 모두 접촉을 유지하면, 오드부(220)와 이븐부(210)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드 아웃렛 유닛(200)의 교차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접촉 교차점이 발생되면, 이웃하는 교차점에 대하여 미접촉과 접촉 여부를 검사하며, 이웃하는 교차점에 미접촉 교차점이 발견되어지면 그리드 아울렛 유닛(200)의 오드부(220)와 이븐부(210)의 간격이 축소되어 질 수 있다.
간격 축소는 격자들의 전체적인 축소를 의미할 수 있으며, 각 격자들에 대하여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축소되어 질 수 있다.
간격의 축소는 오드부(220)와 이븐부(210)의 이동을 통하여 이루어 지며, 간격의 축소를 통하여 미접촉되는 교차점에 식자재(10)가 통과되어 접촉되어 지도록 하 수 있는 것이다.
그리드 아웃렛 유닛(200)의 교차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접촉이 발생했지만, 이웃하는 교차점은 오드부(220)와 이븐부(210)가 모두 접촉하는 경우, 그리드 아웃렛 유닛(200)는 그 간격이 유지되어 지며 오드부(220)의 이븐부(210)의 이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접촉과 미접촉 여부는 지속적으로 감시되며, 지속적 또는 주기적으로 오드부(220)와 이븐부(210)의 이동을 통한 그리드 아웃렛 유닛(200)의 축소와 유지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도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은 식자재(10) 복수 개가 그리드 아웃렛 유닛(200)을 통과하는 경우 그리드 아웃렛 유닛(200)의 교차점 중 상당 부분은 미접촉되어 질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오드부(220)와 이븐부(210)의 간격을 축소하여 교차점에 대한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교차 접촉 검출을 통한 선택적 커팅 간격 조절 시스템의 그리드 아웃렛 유닛(200)은, 제1디스텐스 조절부(230A), 제2디스텐스 조절부(230B), 커팅라인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디스텐스 조절부(230A)는, 복수 개로 각각이 이격되어 형성되는데 같은 거리를 유지하며 복수 개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질 수 있으며, 예컨대, 수직 평행하게 이격되어 형성되는 경우 같은 수직 상에 평행하게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디스텐스 조절부(230B)의 경우, 제1디스텐스 조절부(230A)에 인접하여 평행하게 배치되어 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디스텐스 조절부(230A)와 제2디스텐스 조절부(230B)는 모두 복수 개로 형성되어 질 수 있으며, 복수 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디스텐스 조절부(230A)와 제2디스텐스 조절부(230B)는 항상 인접하게 배치되어 질 수 있다.
제1디스텐스 조절부(230A)와 제2디스텐스 조절부(230B)는 서로의 이격된 간격이 선택적으로 조절되도록 할 수 있으며, 선택적 간격 조절을 위한 조절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커팅라인부(240)는, 제1디스텐스 조절부(230A)와 제2디스텐스 조절부(230B)에 의해 체결되어 소정의 텐션을 구비할 수 있는데, 커팅라인부(240)는 각각의 제1디스텐스 조절부(230A)와 제2디스텐스 조절부(230B)에 감기며 연장되어 형성되어질 수 있다.
커팅라인부(240)는 강제 푸시되는 식자재(10)를 통과시켜 커팅되도록 할 수 있으며, 식자재(10)의 매끄러운 커팅이 형성되기 위해 소정의 텐션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정의 텐션은 제1디스텐스 조절부(230A)와 제2디스텐스 조절부(230B)에 체결되어짐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커팅라인부(240)는 종축과 횡축이 서로 교차되도록 배치되며 이는 제1디스텐스 조절부(230A)와 제2디스텐스 조절부(230B)도 종축과 횡축에 모두 배치되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로 교차하고 있는 종횡하는 커팅라인부(240)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되어 질 수 있는데, 커팅라인부(240)의 각각의 간격은 제1디스텐스 조절부(230A)와 제2디스텐스 조절부(230B)에 의해 서로의 간격이 형성되어 질 수 있다.
즉, 제1디스텐스 조절부(230A)와 제2디스텐스 조절부(230B)의 간격 조절을 통하여 커팅라인부(240)의 이격된 이격 거리가 가변화 될 수 있다.
이격 거리의 가변화는 커터로 이루어진 그리드 아웃렛 유닛(200)보다 자유로운 이격 거리의 형성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복수 개의 제1디스텐스 조절부(230A)와 제2디스텐스 조절부(230B)의 간격도 선택적으로 조절되어 질 수 있는데, 제1디스텐스 조절부(230A)와 제2디스텐스 조절부(230B)의 간격 조절은 물론 제1디스텐스 조절부(230A)와 다른 제1디스텐스 조절부(230A)의 간격을 조절함을 통해서도 그리드 아웃렛 유닛(200)의 격자 형태에 대한 격자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간격이 조절되는 중 커팅라인부(240)는 그 텐션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텐션 유지를 위하여 제1디스텐스 조절부(230A)와 제2디스텐스 조절부(230B)에 접촉하여 장력을 형성시키는 장력 형성부(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교차 접촉 검출을 통한 선택적 커팅 간격 조절 시스템의 그리드 아웃렛 유닛(200)은, 그리드 아웃렛 유닛(200)의 각각의 셀에 대한 소정의 임계 면적을 형성하되, 그리드 아웃렛 유닛(200)을 통과하는 식자재(10)에 대한 임계 면적을 감지하여 임계 면적 이하의 식자재(10)를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드 아웃렛 유닛(200)의 이븐부(210)와 오드부(220)가 격자 형태로 교차하여 생성되는 셀에 대하여 셀을 통과하는 면적에 대한 소정의 임계 면적을 형성할 수 있는데, 임계 면적은 셀 면적에서 절반 이상에 해당할 수 있으며 셀 면적의 절반 이하가 되는 경우 임계 면적에 도달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아울러 임계 면적은 셀 면적의 3/4 또는 2/4로 설정할 수 있으며 임계 면적에 대한 판단을 통하여 임계 면적에 도달하지 못하는 식자재(10)를 필터링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임계 면적은 그리드 아웃렛 유닛(200)을 촬영하는 영상판독기(미도시)를 통하여 판단되도록 할 수 있으며, 식자재(10)에 대한 색상과 그리드 아웃렛 유닛(200)의 각 셀을 판독하여 식자재(10)가 통과하는 경우 각 셀의 임계 면적에 대한 감지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리드 아울렛 유닛(200)을 통과하는 식자재(10) 중 임계 면적의 3/4에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는 빨간색으로 표시되어 판단되어 질 수 있으며, 임계 면적의 3/4을 넘었지만, 셀 전체의 면적에 들어오지 못하는 경우는 초록색으로 표시되어 판단되어 질 수 있다.
각 셀은 부여받은 교차점에 대한 코드를 통하여 각각의 셀에 대하여 인식되도록 할 수 있는데, 교차점에 대한 코드의 조합을 통하여 교차점의 4가지 코드를 통하여 하나의 셀이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각각의 셀에서 임계 면적에 이르지 못하는 식자재(10)는 판독됨을 통해 이후 필터링 되어 질 수 있는데, 필터링을 통하여 식자재(10)가 비슷한 크기를 가지게 하여 식자재 유통 시 크기가 모두 다름에 대한 결함으로 인한 문제가 해결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결정되며, 특허 청구범위에 사용된 괄호는 선택적 한정을 위해 기재된 것이 아니라, 명확한 구성요소를 위해 사용되었으며, 괄호 내의 기재도 필수적 구성요소로 해석되어야 한다.
H: 홀
10: 식자재
100: 가이드 유닛
200: 그리드 아웃렛 유닛
210: 이븐부
211: 크로싱 콘텍트부
220: 오드부
230A: 제1디스텐스 조절부
230B: 제2디스텐스 조절부
240: 커팅 라인부
300: 블레이드 유닛
400: 무빙 유닛
500: 트랙션 유닛

Claims (5)

  1. 식자재를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가이드 유닛(guide unit);
    상기 가이드 유닛의 타측에 제공되며, 종횡 방향의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제공되는 커터를 배치하여, 상기 커터를 통해 상기 종횡 방향으로 커팅된 형태로 배출되도록 하는 그리드 아웃렛 유닛(grid outlet unit);
    상기 그리드 아웃렛 유닛의 타측에 접촉하여 슬라이딩하여 소정의 회전 속도로 회전 운동하며, 상기 그리드 아웃렛 유닛의 타측으로 배출되는 상기 식자재의 수평 길이 방향을 선택적으로 커팅하는 블레이드 유닛(blade unit);
    상기 블레이드 유닛과 연장되어 제공되며, 상기 블레이드 유닛에 회전 운동을 제공하는 무빙 유닛(moving unit); 및
    상기 가이드 유닛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가이드 유닛에 수용된 상기 식자재를 강제 푸시하여 상기 그리드 아웃렛 유닛을 통과시켜 상기 그리드 아웃렛 유닛의 타측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트랙션 유닛(traction unit)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차 접촉 검출을 통한 선택적 커팅 간격 조절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드 아웃렛 유닛은,
    복수 개의 수평 커터로 이루어지는 이븐부; 및
    상기 이븐부와 수직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수직 커터로 이루어지는 오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이븐부 각각은 상기 오드부 각각과 교차하는 교차점에 소정의 홀을 형성하여 상기 이븐부의 상기 소정의 홀에 상기 오드부의 일부가 함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차 접촉 검출을 통한 선택적 커팅 간격 조절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븐부는,
    상기 소정의 홀에 배치되어 상기 오드부와 상기 이븐부의 접촉을 감지하도록 하는 크로싱 콘텍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차 접촉 검출을 통한 선택적 커팅 간격 조절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드 아웃렛 유닛은,
    상기 교차점 각각은 개별적인 코드(code)가 부여되어 소정의 접촉을 발생시키는 영역의 교차점을 검출하고 상기 교차점 간의 접촉력을 대조하여 상기 식재료의 이동 방향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차 접촉 검출을 통한 선택적 커팅 간격 조절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드 아웃렛 유닛은,
    상기 교차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접촉이 발생하면,
    ⅰ) 이웃하는 상기 교차점 중 미접촉 교차점이 발견되면, 상기 오드부와 상기 이븐부의 간격이 축소되며, ⅱ) 이웃하는 상기 교차점이 모두 접촉을 유지하면, 상기 오드부와 상기 이븐부의 간격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차 접촉 검출을 통한 선택적 커팅 간격 조절 시스템.



KR1020200136415A 2020-10-21 2020-10-21 교차 접촉 검출을 통한 선택적 커팅 간격 조절 시스템 KR1024022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6415A KR102402267B1 (ko) 2020-10-21 2020-10-21 교차 접촉 검출을 통한 선택적 커팅 간격 조절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6415A KR102402267B1 (ko) 2020-10-21 2020-10-21 교차 접촉 검출을 통한 선택적 커팅 간격 조절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2453A true KR20220052453A (ko) 2022-04-28
KR102402267B1 KR102402267B1 (ko) 2022-05-25

Family

ID=81447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6415A KR102402267B1 (ko) 2020-10-21 2020-10-21 교차 접촉 검출을 통한 선택적 커팅 간격 조절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226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4794A (ko) 2006-09-15 2008-03-19 김순문 슬라이스 야채절단기의 깍둑 썰기용 커터 구조
KR20090071819A (ko) * 2007-12-28 2009-07-02 조대현 깍두기용 야채 절단장치
KR101644290B1 (ko) * 2016-03-08 2016-08-01 김진환 깍뚝썰기용 야채 절단장치
KR20170110399A (ko) 2016-03-23 2017-10-11 김순문 야채 절단기
KR20190018992A (ko) 2017-08-16 2019-02-26 김동휘 깍둑썰기용 회전커터 자동보정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4794A (ko) 2006-09-15 2008-03-19 김순문 슬라이스 야채절단기의 깍둑 썰기용 커터 구조
KR20090071819A (ko) * 2007-12-28 2009-07-02 조대현 깍두기용 야채 절단장치
KR101644290B1 (ko) * 2016-03-08 2016-08-01 김진환 깍뚝썰기용 야채 절단장치
KR20170110399A (ko) 2016-03-23 2017-10-11 김순문 야채 절단기
KR20190018992A (ko) 2017-08-16 2019-02-26 김동휘 깍둑썰기용 회전커터 자동보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2267B1 (ko) 2022-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48313B2 (en) Food log slicing apparatus for slicing multiple layers of stacked food logs
US7493841B1 (en) Slicer
EP1899122B1 (en) Food dicer
KR101449700B1 (ko) 고기 세절기
RU2009125220A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резки ломтиками овощей и фруктов
RO129769B1 (ro) Maşină şi metodă de tăiat carne în cuburi
CA1109737A (en) Apparatus for cutting foodstuffs
KR101076438B1 (ko) 근채류 절단기
KR102402267B1 (ko) 교차 접촉 검출을 통한 선택적 커팅 간격 조절 시스템
KR100941625B1 (ko) 냉장육 다이서
US3698460A (en) Food grater
CN2463135Y (zh) 多刀型切丝机
KR200477265Y1 (ko) 다용도 스파이럴 슬라이서
CN208645441U (zh) 一种年糕切丝机的切割机构
CN204935710U (zh) 一种切丝机用切刀组
US2088298A (en) Machine for cutting potatoes applicable to analogous purposes
KR200472387Y1 (ko) 채칼
US2225600A (en) Apparatus for slicing bread
RU2002111449A (ru) Кухонное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я нарезания продуктов
US2533843A (en) Vegetable slicer
US3327751A (en) Crinkle cut apparatus
CN209599275U (zh) 一种手动果蔬切片器
CN219054549U (zh) 手动立式蔬果加工装置
KR102235108B1 (ko) 슬라이싱 장치
KR840002429Y1 (ko) 과일, 야채등을 세절(細切)하기 위한 부엌용구용 칼날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