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1785A - 화면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화면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1785A
KR20220051785A KR1020210064277A KR20210064277A KR20220051785A KR 20220051785 A KR20220051785 A KR 20220051785A KR 1020210064277 A KR1020210064277 A KR 1020210064277A KR 20210064277 A KR20210064277 A KR 20210064277A KR 20220051785 A KR20220051785 A KR 202200517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electronic device
content
state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4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용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64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1785A/ko
Publication of KR20220051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17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characters or indicia using display control signals derived from coded signals representing the characters or indicia, e.g. with a character-code memory
    • G09G5/222Control of the character-code memory
    • G09G5/227Resolution modifying circuits, e.g. variable screen formats, resolution change between memory contents and display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7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detecting open or closed state or particular intermediate positions assumed by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e.g. detection of display lid position with respect to main body in a laptop, detection of opening of the cover of battery compart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specially adapted for displays having non-planar surfaces, e.g. curved displays
    • G09G3/03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specially adapted for displays having non-planar surfaces, e.g. curved displays for flexible display surfa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5Adapting incoming signals to the display format of the display termin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13The adjustment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07Resolution change, inclusive of the use of different resolutions for different screen area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07Resolution change, inclusive of the use of different resolutions for different screen areas
    • G09G2340/0421Horizontal resolution chan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5Zooming at least part of an image, i.e. enlarging it or shrinking i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80/00Specific applications
    • G09G2380/02Flexible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4Display of multiple viewports

Abstract

본 개시에 따른 일 실시 예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에 대하여 적어도 일부 중첩되고 이동 가능한 제2 하우징, 상기 전자 장치의 전면을 통해 적어도 제1 영역이 상기 전자 장치의 외부에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기 제1 영역에서 연장되는 제2 영역은 상기 전자 장치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부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제1 영역과 함께 상기 전자 장치의 외부에 노출되고,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부로 인입되며 상기 디스플레이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복수의 콘텐츠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콘텐츠 각각의 속성 정보에 따라 복수의 콘텐츠 중 제1 콘텐트 및 상기 제1 콘텐트와 구별되는 제2 콘텐트를 결정하고, 상기 복수의 콘텐츠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영역이 확장되는 것을 식별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의 영역이 확장되는 것을 식별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가 확장하는 동안 확장된 상기 디스플레이의 영역의 크기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1 콘텐트의 해상도를 변경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확장이 완료된 후 확장된 디스플레이의 영역의 크기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2 콘텐트의 해상도를 변경하는 전자 장치가 개시된다. 이 외에도 명세서를 통해 파악되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화면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METHOD FOR CONTROLLING WINDOW AND AN ELECTRONIC DEVICE}
본 개시에 따른 다양한 실시 예들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의 화면을 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는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무선 인터넷 지원 등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게 되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욕구를 만족시키면서 휴대성 및 편리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적 측면에서 새로운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발전의 한 예로,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를 포함한 롤러블 타입(type)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롤러블 타입의 전자 장치는 사용자 제스처에 의해 기구적 상태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롤러블 타입의 전자 장치는 상태 변경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롤러블타입의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일부가 전자 장치의 내부로 롤 인 되어(rolled in)있는 상태에서, 롤 아웃(rolled out) 되어 있는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롤러블타입의 전자 장치에서 상태 변경 시, 디스플레이의 해상도를 변경할 때 디스플레이상에 표시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윈도우를 동시에 갱신하면 갱신 시간이 오래 걸리거나 부자연스럽게(예: 시간 차이를 두고 갱신) 되어 사용자 경험을 저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한 전자 장치에서 전자 장치의 상태가 변경될 때 사용자에게 안정적으로 화면 표시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의 전자 장치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에 대하여 적어도 일부 중첩되고 이동 가능한 제2 하우징, 상기 전자 장치의 전면을 통해 적어도 제1 영역이 상기 전자 장치의 외부에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기 제1 영역에서 연장되는 제2 영역은 상기 전자 장치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부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제1 영역과 함께 상기 전자 장치의 외부에 노출되고,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부로 인입되며 상기 디스플레이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복수의 콘텐츠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콘텐츠 각각의 속성 정보에 따라 복수의 콘텐츠 중 제1 콘텐트 및 상기 제1 콘텐트와 구별되는 제2 콘텐트를 결정하고, 상기 복수의 콘텐츠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영역이 확장되는 것을 식별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의 영역이 확장되는 것을 식별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가 확장하는 동안 확장된 상기 디스플레이의 영역의 크기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1 콘텐트의 해상도를 변경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확장이 완료된 후 확장된 디스플레이의 영역의 크기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2 콘텐트의 해상도를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서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이 변경될 때, 사용자에게 자연스럽고, 빠른 화면 변경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서,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이 변경될 때 해상도가 변경되는 윈도우를 제한함으로써 배터리, 발열과 같은 전자 장치의 효율성 및 사용자 경험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1 상태(예: 축소 상태)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1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2 상태(예: 확장 상태)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2a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 상태(예: 축소 상태)의 전자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2b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2 상태(예: 확장 상태)의 전자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다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하드웨어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소프트웨어 모듈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콘텐트 속성에 따라 선택적으로 해상도를 변경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b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콘텐트 속성에 따라 선택적으로 해상도를 변경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디스플레이의 확장 상태에 따라 이벤트를 처리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콘텐트가 표시되는 윈도우의 크기를 갱신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의 리사이징 모드를 갱신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확장하는 경우 각 콘텐트의 해상도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축소하는 경우 각 콘텐트의 해상도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제1 상태(예: 축소 상태)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1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제2 상태(예: 확장 상태)의 전면 사시도이다.
본 문서에서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의 플렉시블(flexible) 디스플레이(120)의 적어도 일부(예: 제1 부분(121))가 향하는 방향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을 향하는 면은 전자 장치(100)의 전면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전면에 대향하는 면은 전자 장치(100)의 후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전면과 후면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는 면은 전자 장치(100)의 측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적어도 일부에는 플렉시블(flexible) 디스플레이(120)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20)는 적어도 일부의 평면 형태와 적어도 일부의 곡면 형태를 포함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의 전면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20),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20)의 가장자리 중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슬라이더블(slidable) 하우징(110)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슬라이더블 하우징(110)은 전자 장치(100)의 전면(예: 도 1 및 도 2의 +z 방향을 향하는 전자 장치(100)의 면)의 일부 영역, 후면(예: 도 1 및 도 2의 -z 방향을 향하는 전자 장치(100)의 면) 및 측면(예: 전자 장치(100)의 전면과 후면 사이를 연결하는 면)을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슬라이더블 하우징(110)은 전자 장치(100)의 측면의 일부 영역 및 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슬라이더블 하우징(110)은 제1 하우징(111) 및 제1 하우징(111)에 대해 소정의 범위에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2 하우징(11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20)는 제2 하우징(112)에 결합될 수 있는 제1 부분(121)과, 제1 부분(121)에서 연장되어 전자 장치(100)의 내부로 인입이 가능한 제2 부분(12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제1 상태(100a) 및 제2 상태(100b)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의 제1 상태(100a) 및 제2 상태(100b)는 슬라이더블 하우징(110)에 대한 제2 하우징(112)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결정될 수 있고,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기계적 작동에 의해서 제1 상태(100a)와 제2 상태(100b) 사이에서 변경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의 제1 상태(100a)는 슬라이더블 하우징(110)이 확장되기 전인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제2 상태(100b)는 슬라이더블 하우징(110)이 확장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하우징(112)의 이동에 따라 전자 장치(100)가 제1 상태(100a)에서 제2 상태(100b)로 전환되는 경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20)의 제2 부분(122)은 전자 장치(100)의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또는 노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20)가 인출(또는 노출)된다는 것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20)가 전자 장치(100)의 외부에서 시인될 수 있음(viewable)을 의미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제2 하우징(112)의 이동에 따라 전자 장치(100)가 제2 상태(100b)에서 제1 상태(100a)로 전환되는 경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20)의 제2 부분(122)은 전자 장치(100)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20)가 인입된다는 것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20)가 전자 장치(100)의 외부에서 시인되지 않음을 의미할 수 있다.
도 2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상태(예: 축소 상태)의 전자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2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상태(예: 확장 상태)의 전자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전자 장치(100)에 대한 설명은 전자 장치(200)에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상태는 제1 형상으로 일컬어 질 수 있고, 제2 상태는 제2 형상으로 일컬어 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형상은 기본(normal) 상태, 축소 상태, 또는 닫힌 상태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형상은, 확장(extended) 상태, 또는 열린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는, 제1 하우징(211), 제2 하우징(212), 디스플레이(220), 롤러(240), 센서(250), 롤링 레일(26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하우징(211)은 전자 장치(200)의 측면 및/또는 후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하우징(212)은 전자 장치(200)의 전면 및/또는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220)는 제2 하우징(212)의 적어도 일부와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220)의 일부 영역은 제2 하우징(212)과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220)의 일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제2 하우징(212)의 전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위치하고 타면은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롤링 레일(260)은 복수의 관절 구조(261) 및 지지 플레이트(26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복수의 관절 구조(261)의 일부 영역은 전자 장치(200)의 상태가 전환되는 과정에서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관절 구조(261)의 일부 영역은 전자 장치(200)가 제1 상태(200a)에서 제2 상태(200b)로 전환되거나, 제2 상태(200b)에서 제1 상태(200a)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지정된 곡률을 갖도록 구부러지거나, 펼쳐질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하우징(212)은 복수의 관절 구조(261)의 일단에 고정 또는 결합될 수 있으며, 제2 하우징(212)의 상단에는 디스플레이(220)의 제1 부분(221)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에서, 지지 플레이트(262)는 복수의 관절 구조(261)의 일단에 고정 또는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롤러(240)는 롤링 레일(260)의 복수의 관절 구조(261)와 접촉할 수 있으며, 롤러(240)의 회전에 의해 롤링 레일(260)이 지정된 범위 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0)가 제1 상태(200a)에서 제2 상태(200b)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롤러(24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구부러져 있던 복수의 관절 구조(261)의 일부 영역이 펼쳐지면서 롤링 레일(260)은 제1 방향(예: 롤러(24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전자 장치(200)가 제2 상태(200b)에서 제1 상태(200a)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롤러(24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펼쳐져 있던 복수의 관절 구조(261)의 일부 영역이 구부러지면서 롤링 레일(260)은 제2 방향(예: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의 상태가 전환되는 과정에서 복수의 관절 구조(261)의 일부 영역의 형상이 변형됨에 따라, 복수의 관절 구조(261)에 의해 지지되는 디스플레이(220)의 제2 부분(222)의 형상도 복수의 관절 구조(261)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변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220)는 롤링 레일(260)의 외주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220)는 롤러(240)의 회전에 의해 롤링 레일(260)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220)는 제1 부분(221) 및/또는 전자 장치(200)의 상태에 따라 형태가 변형될 수 있는 제2 부분(22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220)의 제1 부분(221)은 제2 하우징(212) 및 복수의 관절 구조(261)의 일부 영역의 상단에 위치하여, 제2 하우징(212) 및 복수의 관절 구조(26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디스플레이(220)의 제1 부분(221)은 전자 장치(200)의 상태(예: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와 관계없이 전자 장치(200)의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220)의 제2 부분(222)은 롤링 레일(260)의 복수의 관절 구조(261)의 일부 영역 상단에 위치하여, 복수의 관절 구조(26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디스플레이(220)의 제2 부분(222)은 전자 장치(200)의 상태에 따라 전자 장치(200)의 외부에 노출되거나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0)가 제1 상태(200a)인 경우, 디스플레이(220)의 제2 부분(222)은 복수의 관절 구조(261)에 지지되어, 롤러(24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감겨진 상태로 전자 장치(20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제2 부분(222)은 전자 장치(200)의 외부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예로, 전자 장치(200)가 제1 상태(200a)에서 제2 상태(200b)로 전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220)의 제2 부분(222) 중 제1 부분(221)과 인접한 영역은 전자 장치(200)의 내부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제1 부분(221)과 인접한 제2 부분(222)의 일부 영역이 전자 장치(200)의 내부로부터 인출됨에 따라, 전자 장치(200) 외부에 노출되는 디스플레이(220)의 표시 영역은 확장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전자 장치(200)가 제2 상태(200b)에서 제1 상태(200a)로 변형되는 경우, 전자 장치(200)의 외부에 노출되는 제2 부분(222) 중 지지 플레이트(262)와 인접한 영역은 전자 장치(200)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262)와 인접한 제2 부분(222)의 일부 영역이 전자 장치(200)의 내부로 인입됨에 따라, 전자 장치(200)의 외부에 노출되는 디스플레이(220)의 표시 영역은 축소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200)는 도 2a 내지 도 2b에 도시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220)가 전자 장치(200)의 전면의 대부분 및 후면의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되어 제1 상태(200a)에서도 후면에서 디스플레이(220)의 일부 영역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 내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250)가 위치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250)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200)의 상태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센서(250)는 홀 센서, 거리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센서(250)는 전자 장치(200)의 상태(예: 전자 장치 하우징의 인출, 인입 상태) 또는 하우징(212)이 움직인 거리를 감지할 수 있는 광학식 센서, 초음파 거리 센서, 전파 거리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다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300)에서 전자 장치(301)는 제 1 네트워크(3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3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3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304) 또는 서버(3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1)는 서버(308)를 통하여 전자 장치(3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1)는 프로세서(320), 메모리(330), 입력 모듈(350), 음향 출력 모듈(355), 디스플레이 모듈(360), 오디오 모듈(370), 센서 모듈(376), 인터페이스(377), 연결 단자(378), 햅틱 모듈(379), 카메라 모듈(380), 전력 관리 모듈(388), 배터리(389), 통신 모듈(390), 가입자 식별 모듈(396), 또는 안테나 모듈(3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전자 장치(3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연결 단자(378))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예: 센서 모듈(376), 카메라 모듈(380), 또는 안테나 모듈(397))은 하나의 구성요소(예: 디스플레이 모듈(360))로 통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3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320)에 연결된 전자 장치(3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3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376) 또는 통신 모듈(3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332)에 저장하고, 휘발성 메모리(3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3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20)는 메인 프로세서(3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또는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3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신경망 처리 장치(NPU: neural processing unit),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301)가 메인 프로세서(321) 및 보조 프로세서(323)를 포함하는 경우, 보조 프로세서(323)는 메인 프로세서(3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323)는 메인 프로세서(3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3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3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3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3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321)와 함께, 전자 장치(3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디스플레이 모듈(360), 센서 모듈(376), 또는 통신 모듈(3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3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요소(예: 카메라 모듈(380) 또는 통신 모듈(3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323)(예: 신경망 처리 장치)는 인공지능 모델의 처리에 특화된 하드웨어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인공지능 모델은 기계 학습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학습은, 예를 들어, 인공지능이 수행되는 전자 장치(301) 자체에서 수행될 수 있고, 별도의 서버(예: 서버(308))를 통해 수행될 수도 있다. 학습 알고리즘은, 예를 들어, 지도형 학습(supervised learning), 비지도형 학습(unsupervised learning), 준지도형 학습(semi-supervised learning) 또는 강화 학습(reinforcement learning)을 포함할 수 있으나,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공지능 모델은, 복수의 인공 신경망 레이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인공 신경망은 심층 신경망(DNN: deep neural network),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RNN(recurrent neural network), RBM(restricted boltzmann machine), DBN(deep belief network), BRDNN(bidirectional recurrent deep neural network), 심층 Q-네트워크(deep Q-networks) 또는 상기 중 둘 이상의 조합 중 하나일 수 있으나,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공지능 모델은 하드웨어 구조 이외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소프트웨어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330)는, 전자 장치(3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320) 또는 센서 모듈(3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3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330)는, 휘발성 메모리(3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3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340)은 메모리(3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342), 미들 웨어(344) 또는 어플리케이션(3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모듈(350)은, 전자 장치(3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3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3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모듈(350)은,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키(예: 버튼), 또는 디지털 펜(예: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355)은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3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355)은,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360)은 전자 장치(3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360)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360)은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센서,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3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370)은, 입력 모듈(350)을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모듈(355), 또는 전자 장치(3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302))(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376)은 전자 장치(3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3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377)는 전자 장치(3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3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3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3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3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3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378)는,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3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3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3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3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388)은 전자 장치(3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3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389)는 전자 장치(3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배터리(3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390)은 전자 장치(3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302), 전자 장치(304), 또는 서버(308)) 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390)은 프로세서(3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390)은 무선 통신 모듈(3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3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398)(예: 블루투스,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와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399)(예: 레거시 셀룰러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차세대 통신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의 전자 장치(304)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요소(예: 단일 칩)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392)은 가입자 식별 모듈(3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398) 또는 제 2 네트워크(3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301)를 확인 또는 인증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392)은 4G 네트워크 이후의 5G 네트워크 및 차세대 통신 기술, 예를 들어, NR 접속 기술(new radio access technology)을 지원할 수 있다. NR 접속 기술은 고용량 데이터의 고속 전송(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단말 전력 최소화와 다수 단말의 접속(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 또는 고신뢰도와 저지연(URLLC(ultra-reliable and low-latency communications))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392)은, 예를 들어, 높은 데이터 전송률 달성을 위해, 고주파 대역(예: mmWave 대역)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392)은 고주파 대역에서의 성능 확보를 위한 다양한 기술들, 예를 들어,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 전차원 다중입출력(FD-MIMO: full dimensional 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또는 대규모 안테나(large scale antenna)와 같은 기술들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392)은 전자 장치(301),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304)) 또는 네트워크 시스템(예: 제 2 네트워크(399))에 규정되는 다양한 요구사항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모듈(392)은 eMBB 실현을 위한 Peak data rate(예: 20Gbps 이상), mMTC 실현을 위한 손실 Coverage(예: 164dB 이하), 또는 URLLC 실현을 위한 U-plane latency(예: 다운링크(DL) 및 업링크(UL) 각각 0.5ms 이하, 또는 라운드 트립 1ms 이하)를 지원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3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의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397)은 서브스트레이트(예: PCB) 위에 형성된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방사체를 포함하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397)은 복수의 안테나들(예: 어레이 안테나)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1 네트워크(398) 또는 제 2 네트워크(3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390)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390)과 외부의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 따르면, 방사체 이외에 다른 부품(예: RFIC(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이 추가로 안테나 모듈(397)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397)은 mmWave 안테나 모듈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mmWave 안테나 모듈은 인쇄 회로 기판,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제 1 면(예: 아래 면)에 또는 그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지정된 고주파 대역(예: mmWave 대역)을 지원할 수 있는 RFIC, 및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제 2 면(예: 윗 면 또는 측 면)에 또는 그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지정된 고주파 대역의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는 복수의 안테나들(예: 어레이 안테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399)에 연결된 서버(308)를 통해서 전자 장치(301)와 외부의 전자 장치(3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외부의 전자 장치(302, 또는 304) 각각은 전자 장치(3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의 전자 장치들(302, 304, 또는 3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의 전자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3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3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의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의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3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3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모바일 에지 컴퓨팅(MEC: mobile edge computing),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전자 장치(301)는, 예를 들어, 분산 컴퓨팅 또는 모바일 에지 컴퓨팅을 이용하여 초저지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외부의 전자 장치(304)는 IoT(internet of things)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308)는 기계 학습 및/또는 신경망을 이용한 지능형 서버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의 전자 장치(304) 또는 서버(308)는 제 2 네트워크(399)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전자 장치(301)는 5G 통신 기술 및 IoT 관련 기술을 기반으로 지능형 서비스(예: 스마트 홈,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또는 헬스 케어)에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하드웨어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400)(예: 도 1a 및 도 1b의 전자 장치(100) 또는 도 2a 및 도 2b의 전자 장치(200), 또는 도 3의 전자 장치(301))는 버스(410), 센서 모듈(420), 프로세서(430), 디스플레이(440), 메모리(450) 및 통신 인터페이스(46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400)는 도 4에 도시된 구성요소 외에 추가적인 구성요소를 포함하거나, 도 4에 도시된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생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버스(410)는, 예를 들면, 구성요소들(420 내지 460)을 서로 연결하고, 구성요소들 간의 신호(예: 제어 메시지 및/또는 데이터)를 전달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420)은 ToF(time of flight) 센서, 슬라이드 센서, 광 센서, 홀 센서, 모션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420)은 전자 장치(400)의 상태 또는 하우징이 움직인 거리를 감지할 수 있는 광학식 센서, 초음파 거리 센서, 전파 거리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420)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검출된 신호를 버스(410)를 통하여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30)는 전자 장치(4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들의 제어 및/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510)는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MCU(micro controller unit), 센서허브, 보조프로세서(supplementary processor), 통신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코어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30)는 제1 콘텐트 및 제2 콘텐트를 포함하는 복수의 콘텐트의 속성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트의 속성은 콘텐트가 표시되는 윈도우의 크기, 콘텐트에 부여된 지정된 순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30)는 전자 장치(400)의 상태가 변하는 경우 콘텐트의 속성에 기초하여 콘텐트의 해상도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430)의 동작과 관련된 구체적인 내용은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450)는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450)는 전자 장치(4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에 관계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450)는 프로세서(430)로부터 수신되거나 프로세서(430) 또는 다른 구성요소들에 의해 생성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450)는 센서 모듈(42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획득한 전자 장치(400)의 상태 정보를 정적인 값 및 동적인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450)는 외부로 노출된 디스플레이 영역의 면적에 해당하는 값을 저장할 수 있고, 제2 하우징이 제1 하우징에 대하여 이동한 거리에 해당하는 값을 저장할 수도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메모리(450)는 전자 장치(400)의 상태를 최대 축소 상태, 최대 확장 상태, 확장 중인 상태, 축소 중인 상태 중 하나인 상태에 해당하는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440)는 사용자에게 각종 콘텐츠(예: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아이콘, 및/또는 심볼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440)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440)는 전자 펜 또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이용한 터치, 제스쳐, 근접, 또는 호버링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460)는 전자 장치(400)와 외부 전자 장치(464) 또는 서버(466) 간의 통신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460)는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서 네트워크(462)에 연결되어 외부 전자 장치(464) 또는 서버(466)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460)는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464)와 통신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소프트웨어 모듈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400)의 소프트웨어 모듈은 입력 장치 드라이버(501), 이벤트 허브(503), 입력 디스패처(505), 입력 매니저(507), 센서 드라이버(509), 센서 매니저(511), 디스플레이 확장 상태 매니저(513), 파워 컨트롤러(515), 파워 매니저(517), 디스플레이 매니저(519), 윈도우 매니저(521), 레이아웃 폴리시 모델(523), 버퍼 큐(525), 하드웨어 렌더러(527), 그래픽 컴포지터(529), 프레임버퍼 드라이버(531), 어플리케이션(54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400)의 프로세서(430)는 메모리(450)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명령어들(instructions)을 실행함으로써, 도 5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모듈을 구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400)는 도 5에 도시된 구성요소 외에 추가적인 구성요소를 포함하거나, 도 5에 도시된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생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입력 장치 드라이버(input device driver)(501)는 다양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 드라이버(501)는 터치 입력, 키 입력, 마우스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입력 장치 드라이버(501)는 생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벤트 허브(event hub)(503)는 터치 모듈 및 센서 모듈과 같은 다양한 모듈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들을 수신하고 OS의 표준 입력 이벤트로 전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입력 디스패처(input dispatcher)(505)는 입력 이벤트를 시스템 및/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이벤트 처리 모듈로 이벤트를 분배하거나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입력 매니저(input manager)(507)는 입력 장치의 정보를 제공하고, 입력 장치로부터 획득한 로우 데이터(raw data)를 해석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의 뷰포트(viewport)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의 뷰포트는 디스플레이의 해상도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뷰포트는 입력장치로부터 입력된 값(예: 물리적 거리)을 디스플레이의 해상도에 대응하는 픽셀로 변환하기 위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센서 드라이버(sensor driver)(509)는 디스플레이 확장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ToF 센서, 광 센서, 벤딩 센서, 홀 센서, 모션 센서와 같은 다양한 센서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센서 드라이버(509)는 전자 장치의 상태 변화와 관련된 정보를 센서 매니저(511)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센서 매니저(sensor manager)(511)는 다양한 센서에서 발생한 이벤트를 퓨징(fusing)과 같은 변환을 거쳐 OS에서 적합한 표준화된 센서 이벤트로 변환하고 이벤트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확장 상태 매니저(display expanding state manager)(513)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이벤트를 분석하여 현재 디스플레이의 확장 상태를 결정하고 이 정보를 필요로 하는 모듈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확장 상태 매니저(513)는 디스플레이의 확장 상태에 따라 입력 매니저(507)를 통해 입력 이벤트 전달을 중단하거나 재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파워 컨트롤러(power controller)(515)는 CPU와 버스(예: 도 4의 버스(410))와 같은 시스템 회로와 디스플레이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파워 매니저(power manager)(517)는 시스템 상태에 기초하여 배터리 용량, 온도, 및 전원 중 적어도 하나를 관리하고, 이 중 해당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 등의 동작에 필요한 관련 정보를 결정 또는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매니저(display manager)(519)는 전자 장치의 수명 및 화면 GUI 요소를 출력할 하드웨어 디스플레이 맵핑을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매니저(519)는 시스템 이벤트에 의해 출력할 디스플레이를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윈도우 매니저(window manager)(521)는 화면에서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GUI 자원을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윈도우 매니저(521)는 전자 장치의 상태 변화와 연관된 정보의 수신에 응답하여, 윈도우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레이아웃 정책 모듈(layout policy module)(523)은 디스플레이의 확장 상태에 따라 윈도우 레이아웃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이아웃 정책 모듈(523)은 레이아웃의 위치, 크기, 회전 처리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버퍼 큐(buffer queue)(525)는 어플리케이션과 같은 프로듀서로부터 획득한 그래픽 데이터를 그래픽 컴포지터(529)로 전달하기 위한 메모리 버퍼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하드웨어 렌더러(hardware renderer)(527)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생성한 다양한 그래픽 요소를 그래픽 컴포지터(529)로 전달하기 위한 버퍼 큐(525)에 넣기 위한 가속 모듈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그래픽 컴포지터(graphic compositor)(529)는 여러 소스로부터 획득한 그래픽 비트맵 정보를 결합하여 디스플레이에 출력하기 위한 하나의 비트맵 정보로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레임 버퍼 드라이버(framebuffer driver)(531)는 디스플레이에 출력되어야 할 그래픽 정보를 담고 있는 버퍼를 제어할 수 있다.
도 6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콘텐트 속성에 따라 선택적으로 해상도를 변경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실시 예에서, 각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각 동작들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으며, 적어도 두 동작들이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예: 도 4의 프로세서(430))는 동작 610에서 디스플레이(예: 도 4의 디스플레이(440))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콘텐트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440)에 표시된 콘텐트는 이미지, 텍스트, 비디오, 연락처, 오디오, 아이콘, 항목, 탭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콘텐트가 표시되는 윈도우는 정해진 크기를 가지거나, 콘텐트 크기에 비례하여 가변적인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는 콘텐트가 표시되는 페이지, 리스트 뷰, 문서,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30)는 동작 620에서 콘텐트 속성에 기초하여 제1 콘텐트 및 제2 콘텐트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트 속성은 콘텐트가 표시되는 윈도우의 크기, 콘텐트에 지정된 순위(예: 처리 순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00)는 제1 방향(예: 가로 방향)으로 확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30)는 콘텐트가 표시되는 윈도우의 제1 방향 길이(예: 가로 길이)가 제1 상태(예: 축소 상태)에서의 외부로 노출되는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의 제1 방향 길이와 같거나 큰 콘텐트를 제1 콘텐트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00)가 제3 방향(예: 세로 방향)으로 확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30)는 콘텐트가 표시되는 윈도우의 제3 방향 길이(예: 세로 길이)가 제1 상태에서의 외부로 노출되는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의 제3 방향 길이와 같거나 큰 콘텐트를 제1 콘텐트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30)는 지정된 우선순위가 높은 콘텐트를 제1 콘텐트로 결정하고, 지정된 우선순위가 제1 콘텐트보다 낮은 콘텐트를 제2 콘텐트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30)는 동작 630에서 전자 장치의 외부로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이 확장되는 것을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30)는 전자 장치(400)의 슬라이딩 구간 또는 롤러(예: 도 2a 및 도 2b의 롤러(240))에 배치된 터치 센서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이동시 정전 용량(capacitance)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30)는 ToF 센서 또는 근접 센서와 같은 광 센서를 통하여 제2 하우징의 제1 하우징에 대한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30)는 자력을 감지하는 홀 센서를 이용하여 이동량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30)는 슬라이딩부에 자석을 일정 개수 배치하여 이동량을 감지하거나 롤러(240)에 자석을 배치하여 롤러의 회전 횟수를 검출하여 회전수와 롤러의 원주 길이를 곱한 값을 통하여 슬라이딩 길이를 계산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30)는 슬라이딩 구간에 와이어를 배치하여 와이어의 길이가 변함에 따라 변화하는 저항값을 계산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30)는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와 같은 모션 센서를 이용하여 슬라이딩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30)는 동작 640에서 디스플레이 영역이 확장되는 것을 식별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1 콘텐트의 해상도를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30)는 전자 장치가 제1 상태(예: 축소 상태)에서 제2 상태(예: 확장 상태)로 변하면서 외부로 노출되는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의 크기가 확장되는 경우, 확장되는 디스플레이 크기에 대응하여 제1 콘텐트의 해상도를 변경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00)는 디스플레이 영역의 크기가 변함에 따라 배경 레이어를 구성하는 윈도우의 해상도를 변경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자연스럽고 빠른 그래픽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30)는 동작 650에서 디스플레이의 확장이 완료된 후 제2 콘텐트의 해상도를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30)는 전자 장치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430)는 홀 IC(integrated circuit)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가 확장 중인 상태인지 또는 확장 완료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30)는 디스플레이가 확장을 중단한 후 지정된 시간이 지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제2 콘텐트의 해상도를 확장된 디스플레이 크기에 대응하여 변경할 수 있다.
도 6b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콘텐트 속성에 따라 선택적으로 해상도를 변경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b과 관련하여 전술한 내용과 유사하거나 대응되는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예: 도 4의 프로세서(430))는 동작 611에서 디스플레이(예: 도 4의 디스플레이(440))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콘텐트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440)에 표시된 콘텐트는 이미지, 텍스트, 비디오, 연락처, 오디오, 아이콘, 항목, 탭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콘텐트가 표시되는 윈도우는 정해진 크기를 가지거나, 콘텐트 크기에 비례하여 가변적인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는 콘텐트가 표시되는 페이지, 리스트 뷰, 문서,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30)는 동작 613에서 콘텐트 속성에 기반하여 제1 콘텐트 및 제2 콘텐트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00)가 제2 방향(예: 도 6a의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축소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30)는 콘텐트가 표시되는 윈도우의 제2 방향 길이(예: 가로 길이)가 제2 상태(예: 확장 상태)에서의 외부로 노출되는 디스플레이의 표시영역의 제2 방향 길이와 같거나큰 콘텐트를 제1 콘텐트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00)가 제4 방향(예: 도 6a의 제2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축소할 수 있다. 일 시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30)는 콘텐트가 표시되는 윈도우의 제4 방향 길이(예: 세로 방향)가 제2 상태에서의 외부로 노출되는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의 제4 방향 길이와 같거나 큰 큰 콘텐트를 제1 콘텐트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30)는 지정된 우선순위가 높은 콘텐트를 제1 콘텐트로 결정하고, 우선순위가 제1 콘텐트보다 낮은 콘텐트를 제2 콘텐트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30)는 동작 615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디스플레이의 영역이 축소되는 것을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30)는 터치 센서, ToF 센서, 근접 센서, 홀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가 축소되는 영역의 크기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30)는 동작 617에서 디스플레이 영역이 축소되는 것을 식별하는 것에 응답하여 축소된 디스플레이 영역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제1 콘텐트의 해상도를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30)는 전자 장치(400)가 제2 상태(예: 확장 상태)에서 제1 상태(예: 축소 상태)로 변하면서 외부로 노출되는 디스플레이의 크기가 축소되는 경우, 축소되는 디스플레이 크기에 대응하여 제1 콘텐트의 해상도를 변경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00)는 디스플레이 영역의 크기가 변함에 따라 배경 레이어를 구성하는 윈도우의 해상도를 변경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자연스러운 그래픽을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30)는 동작 619에서 지정된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제2 콘텐트의 해상도를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30)는, 제2 상태(예: 확장 상태)의 전자 장치(400)가 제2 방향(예: 도 6a의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축소하는 경우 콘텐트가 표시되는 윈도우의 제2 방향에 대응하는 길이가 외부로 노출되는 디스플레이의 표시영역의 제2 방향에 대응하는 길이와 같거나 커지는 시점부터 제2 콘텐트의 해상도를 축소된 디스플레이 영역의 크기에 대응하여 변경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00)가 제4 방향(예: 도 6a의 제2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축소하는 경우 콘텐트가 표시되는 윈도우의 제4 방향에 대응하는 길이가 외부로 노출되는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의 제4 방향에 대응하는 길이와 같거나커지는 시점에 제2 콘텐트의 해상도를 축소된 디스플레이 영역의 크기에 대응하여 변경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디스플레이의 확장 상태에 따라 이벤트를 처리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과 관련하여 전술한 내용과 유사하거나 대응되는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될 수 있으며, 도 7에 도시된 동작들은 도 6a의 동작 630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430)는 동작 710에서 전자 장치의 확장 상태에 기반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의 크기를 계산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30)는 이벤트 컨버터(event converter)를 통해 다양한 센서들의 로우 데이터를 분석하여 디스플레이의 확장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벤트 컨버터는 ToF 센서, 조도 센서 또는 근접 센서, 벤딩 센서 중 하나로부터 획득한 로우 데이터를 분석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계산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30)는 동작 720에서 디스플레이가 확장된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30)는 이벤트 컨버터를 통해 결정된 디스플레이 확장 상태에 대응되는 정보를 정적인 값 및/또는 동적인 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적인 값은 디스플레이 영역의 크기, 제2 하우징이 제1 하우징으로부터 이동한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동적인 상태는, 최대 축소 상태, 확장 중인 상태, 최대 확장 상태, 축소 중인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30)는 동작 730에서 전자 장치의 확장 상태의 변경과 관련된 이벤트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30)는 전자 장치의 상태 변경 이벤트를 시스템 상태에 기반하여 시스템 모듈로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430)는 시스템 상태에 기반하여 모든 시스템 모듈 및/또는 어플리케이션 모듈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30)는 윈도우의 크기를 연속적으로 갱신하는 동작에 있어, 프로세서(430)동작에 부하가 발생하는 것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의 상태 변경 이벤트의 제공을 일시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30)는 동작 740에서 전자 장치의 확장 상태의 변경과 관련된 이벤트를 처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30)는 등록된 핸들러(handler)를 우선순위에 따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핸들러는 시스템 모듈, 어플리케이션 모듈, 백그라운드 서비스 모듈과 같은 다양한 모듈에 의해 등록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30)는 높은 우선 순위의 핸들러에서 이벤트를 처리하고, 남아있는 핸들러로의 이벤트 전달을 중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30)는 높은 우선순위의 핸들러에서 이벤트가 처리되지 않은 경우 다음 순위의 핸들러에서 이벤트를 처리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콘텐트가 표시되는 윈도우의 크기를 갱신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과 관련하여 전술한 내용과 유사하거나 대응되는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430)는 동작 810에서 디스플레이의 확장 이벤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430)는 ToF 센서, 슬라이드 센서, 광 센서, 홀 센서, 모션 센서와 같은 센서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의 확장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30)는 동작 820에서 디스플레이 리사이징 모드(display resizing mode)를 갱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리사이징 모드는 프로세서(430)가 디스플레이가 확장 중인 상태인 경우 화면의 표시되는 윈도우의 속성(예: 윈도우의 크기)이 갱신되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30)는 디스플레이 확장 이벤트가 수신된 경우 디스플레이 리사이징 모드를 온(on)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30)는 동작 830에서 윈도우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는지 여부를 윈도우별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30)는 디스플레이가 확장 중인 상태라고 판단되는 경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의 크기가 변경 가능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단 방법은 윈도우와 디스플레이의 픽셀 수치를 비교하는 방법, 윈도우의 크기와 매치패런트(match parent)로 지정된 크기와 비교하는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30)는 동작 840에서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윈도우의 크기를 갱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30)는 디스플레이가 확장하는 방향과 대응되는 윈도우의 길이가 같은 방향의 디스플레이의 길이와 같거나 긴 윈도우를 크기 변경이 가능한 윈도우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30)는 디스플레이가 확장하는 방향과 대응되는 윈도우의 길이가 지정된 매치페런트와 일치하는 윈도우를 크기 변경이 가능한 윈도우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30)는 변경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윈도우의 크기를 확장된 디스플레이의 크기에 대응하여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30)는 동작 850에서 크기를 변경할 수 없다고 판단되는 윈도우의 위치를 갱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30)는 디스플레이가 확장하는 방향과 대응되는 윈도우의 길이가 같은 방향의 디스플레이의 길이보다 짧은 윈도우를 크기 변경이 불가능한 윈도우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30)는 디스플레이가 확장하는 방향과 대응되는 윈도우의 길이가 지정된 매치페런트와 일치하지 않는 윈도우를 크기 변경이 불가능한 윈도우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30)는 전자 장치의 상태가 변하는 동안 크기 변경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는 윈도우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30)는 전자 장치의 상태가 변하는 동안 윈도우의 선명도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430)는 디스플레이의 크기가 확장되는 동안 윈도우를 흐리게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의 리사이징 모드를 갱신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430)는 동작 910에서 디스플레이의 크기가 변하는 제1 이벤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이벤트는 제1 상태(예: 도 1a의 제1 상태(100a) 또는 도 1b의 제1 상태(200a))의 전자 장치가 확장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430)는 ToF 센서, 슬라이드 센서, 광 센서, 홀 센서, 모션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가 확장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30)는 동작 920에서 디스플레이 리사이징 모드를 갱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30)는 전자 장치가 확장 중인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리사이징 모드를 온(on)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30)는 동작 930에서 지정된 시간 내에 디스플레이의 크기가 변하는 제2 이벤트를 수신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가 제1 상태(도 1a의 제1 상태(100a) 또는 도 2a의 제1 상태(200a))에서 제2 상태(도 1b의 제2 상태(100b) 또는 도 2b의 제2 상태(200b))로 변하는 동안 디스플레이의 크기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를 통해 제2 이벤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30)는 동작 940에서 지정된 시간 내에 제2 이벤트가 수신된 경우에는 크기 변경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윈도우의 크기를 갱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30)는 지정된 시간 내에 센서 모듈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의 크기가 변하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영역의 크기에 대응하여 크기 변경이 가능한 윈도우의 크기를 갱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30)는 동작 950에서 지정된 시간 내에 제2 이벤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리사이징 모드가 오프(off) 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430)는 지정된 시간 내에 디스플레이의 크기가 변하는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확장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여 리사이징 모드가 오프(off)되었다고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30)는 동작 960에서 디스플레이 리사이징 모드가 오프(off)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모든 윈도우의 크기(size)를 갱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30)는 디스플레이 확장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콘텐트가 표시되는 모든 윈도우의 해상도를 디스플레이 크기에 대응하여 갱신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확장하는 경우 각 콘텐트의 해상도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430)는 제1 상태(1110)(예: 축소 상태)에서 제1 콘텐트(1111) 및 제2 콘텐트(1112)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트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콘텐트(1111)는 배경 레이어의 일부를 구성하는 콘텐트일 수 있고, 제2 콘텐트(1112)는 대화 상자(dialog window), 리스트와 같이 배경 레이어에 해당되지 않는 콘텐트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30)는 제2 상태(1120)(예: 확장 중인 상태)에서 해상도가 변경된 제1 콘텐트(1113)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30)는 제1 콘텐트(1113)의 해상도를 제2 상태(1120)에 기반하여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30)는 해상도가 변경되지 않은 제2 콘텐트(1114)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30)는 전자 장치가 제1 상태(1110)에서 제2 상태(1120)로 변하는 동안 제2 콘텐트(1114)의 위치 또는 선명도를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30)는 제3 상태(1130)(예: 최대 확장 상태)에서 해상도가 변경된 제1 콘텐트(1115) 및 해상도가 변경된 제2 콘텐트(1116)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30)는 제1 콘텐트(1115) 및 제2 콘텐트(1116)의 해상도를 제3 상태(1130)에 기반하여 변경할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축소하는 경우 각 콘텐트의 해상도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430)는 제1 상태(1210)(예: 최대 확장 상태)에서 제1 콘텐트(1211) 및 제2 콘텐트(1212)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트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콘텐트(1211)는 배경 레이어의 일부를 구성하는 콘텐트일 수 있고, 제2 콘텐트(1212)는 대화 상자(dialog window), 리스트와 같이 배경 레이어에 해당되지 않는 콘텐트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30)는 제2 상태(1220)(예: 축소 중인 상태)에서 해상도가 변경된 제1 콘텐트(1213)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30)는 제1 콘텐트(1213)의 해상도를 제2 상태(1220)에 기반하여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30)는 해상도가 변경되지 않은 제2 콘텐트(1214)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30)는 전자 장치가 제1 상태(1210)에서 제2 상태(1220)로 변하는 동안 제2 콘텐트(1214)의 위치 또는 선명도를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30)는 제3 상태(1230)(예: 축소 중인 상태)에서 해상도가 변경된 제1 콘텐트(1215) 및 해상도가 변경된 제2 콘텐트(1216)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30)는 제1 콘텐트(1215)의 해상도를 제3 상태(1230)에 기반하여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30)는 제2 콘텐트가 표시되는 윈도우의 전자 장치가 축소하는 방향에 대응되는 길이가 디스플레이의 같은 방향에 대응되는 길이와 같거나 크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시점부터 제2 콘텐트의 해상도를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30)는 축소된 디스플레이 영역의 크기에 대응하여 해상도가 변경된 제2 콘텐트(1216)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30)는 제4 상태(1240)(예: 최대 축소 상태)에서 해상도가 변경된 제1 콘텐트(1217) 및 해상도가 변경된 제2 콘텐트(1218)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30)는 전자 장치의 축소가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1 콘텐트(1217) 및 제2 콘텐트(1218)의 해상도를 제4 상태(1240)에 기반하여 변경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 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와 같은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3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336) 또는 외장 메모리(3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3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3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3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 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 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 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 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개체 중 일부는 다른 구성요소에 분리 배치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서, 개시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본 개시가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4의 전자 장치(400))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에 대하여 적어도 일부 중첩되고 이동 가능한 제2 하우징, 상기 전자 장치의 전면을 통해 적어도 제1 영역이 상기 전자 장치의 외부에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기 제1 영역에서 연장되는 제2 영역은 상기 전자 장치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부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제1 영역과 함께 상기 전자 장치의 외부에 노출되고,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부로 인입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적어도 하나의 콘텐트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트와 관련된 속성 정보에 따라 제1 콘텐트 및 상기 제1 콘텐트와 구별되는 제2 콘텐트를 결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영역이 확장되는 것을 식별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의 영역의 확장되는 것을 식별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가 확장하는 동안 확장된 상기 디스플레이의 영역의 크기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1 콘텐트의 해상도를 변경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확장이 완료된 후 확장된 디스플레이의 영역의 크기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2 콘텐트의 해상도를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가 제1 방향으로 확장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트 중 표시되는 윈도우의 상기 제1 방향에 대응하는 길이가 상기 제1 상태에서의 상기 외부로 노출되는 디스플레이의 상기 제1 방향에 대응하는 길이보다 크거나 같은 콘텐트를 상기 제1 콘텐트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트의 지정된 순위에 따라 상기 제1 콘텐트 및 상기 제1 콘텐트와 구별되는 상기 제2 콘텐트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터치 센서, ToF센서, 근접 센서, 홀 센서, 관성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확장 상태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획득한 전자 장치의 상태 정보를 정적인 값 및 동적인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정적인 값은 상기 외부로 노출된 디스플레이의 영역의 크기 정보 또는 상기 제2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의 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로 노출된 부분의 디스플레이의 크기에 기반하여 화면 밝기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슬라이더블 디스플레이 전자 장치 및 롤러블 디스플레이 전자 장치 중 하나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4의 전자 장치(400))의 동작 방법은, 디스플레이에 적어도 하나의 콘텐트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동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트와 관련된 속성 정보에 따라 제1 콘텐트 및 상기 제1 콘텐트와 구별되는 제2 콘텐트를 결정하는 동작, 상기 디스플레이의 영역이 확장되는 것을 식별하는 동작, 상기 디스플레이의 영역의 확장되는 것을 식별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가 확장하는 동안 확장된 상기 디스플레이의 영역의 크기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1 콘텐트의 해상도를 변경하는 동작, 및 상기 디스플레이의 확장이 완료된 후 확장된 디스플레이의 영역의 크기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2 콘텐트의 해상도를 변경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가 제1 방향으로 확장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트 중 표시되는 윈도우의 상기 제1 방향에 대응하는 길이가 상기 제1 상태에서의 상기 외부로 노출되는 디스플레이의 상기 제1 방향에 대응하는 길이보다 크거나 같은 콘텐트를 상기 제1 콘텐트로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트의 지정된 순위에 따라 상기 제1 콘텐트 및 상기 제1 콘텐트와 구별되는 상기 제2 콘텐트를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터치 센서, ToF센서, 근접 센서, 홀 센서, 관성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확장 상태를 식별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메모리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획득한 전자 장치의 상태 정보를 정적인 값 및 동적인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로 저장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상기 정적인 값은 상기 외부로 노출된 디스플레이의 영역의 크기 정보 또는 상기 제2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의 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외부로 노출된 부분의 디스플레이의 크기에 기반하여 화면 밝기 설정을 변경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상기 전자 장치는 슬라이더블 디스플레이 전자 장치 및 롤러블 디스플레이 전자 장치 중 하나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4의 전자 장치(400))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에 대하여 적어도 일부 중첩되고 이동 가능한 제2 하우징, 상기 전자 장치의 전면을 통해 적어도 제1 영역이 상기 전자 장치의 외부에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기 제1 영역에서 연장되는 제2 영역은 상기 전자 장치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부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제1 영역과 함께 상기 전자 장치의 외부에 노출되고,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부로 인입되고, 및 상기 디스플레이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적어도 하나의 콘텐트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트와 관련된 속성 정보에 따라 제1 콘텐트 및 상기 제1 콘텐트와 구별되는 제2 콘텐트를 결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영역이 축소되는 것을 식별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의 영역의 축소되는 것을 식별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콘텐트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축소하는 동안 축소된 상기 디스플레이의 영역의 크기에 대응하여 해상도를 변경하고, 상기 제2 콘텐트는 상기 외부에 노출되는 디스플레이의 축소하는 방향의 길이가 상기 제2 콘텐트가 표시되는 윈도우의 상기 축소하는 방향의 길이보다 작을 때부터 축소된 디스플레이의 영역의 크기에 대응하여 해상도를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가 제1 방향으로 축소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트 중 표시되는 윈도우의 상기 제1 방향에 대응하는 길이가 상기 제2 상태에서의 상기 외부로 노출되는 디스플레이의 상기 제1 방향에 대응하는 길이보다 크거나 같은 콘텐트를 상기 제1 콘텐트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트의 지정된 순위에 따라 상기 제1 콘텐트 및 상기 제1 콘텐트와 구별되는 상기 제2 콘텐트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터치 센서, ToF센서, 근접 센서, 홀 센서, 관성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축소 상태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슬라이더블 디스플레이 전자 장치 및 롤러블 디스플레이 전자 장치 중 하나일 수 있다.

Claims (1)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에 대하여 적어도 일부 중첩되고 이동 가능한 제2 하우징;
    상기 전자 장치의 전면을 통해 적어도 제1 영역이 상기 전자 장치의 외부에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기 제1 영역에서 연장되는 제2 영역은 상기 전자 장치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부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제1 영역과 함께 상기 전자 장치의 외부에 노출되고,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부로 인입됨; 및
    상기 디스플레이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복수의 콘텐츠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콘텐츠 각각의 속성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콘텐츠 중 제1 콘텐트 및 상기 제1 콘텐트와 구별되는 제2 콘텐트를 결정하고,
    상기 복수의 콘텐츠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영역이 확장되는 것을 식별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의 영역이 확장되는 것을 식별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가 확장하는 동안 확장된 상기 디스플레이의 영역의 크기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1 콘텐트의 해상도를 변경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확장이 완료된 후 확장된 디스플레이의 영역의 크기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2 콘텐트의 해상도를 변경하는, 전자 장치.
KR1020210064277A 2020-10-19 2021-05-18 화면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2200517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277A KR20220051785A (ko) 2020-10-19 2021-05-18 화면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5449A KR102256681B1 (ko) 2020-10-19 2020-10-19 화면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0210064277A KR20220051785A (ko) 2020-10-19 2021-05-18 화면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5449A Division KR102256681B1 (ko) 2020-10-19 2020-10-19 화면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1785A true KR20220051785A (ko) 2022-04-26

Family

ID=7613777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5449A KR102256681B1 (ko) 2020-10-19 2020-10-19 화면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0210064277A KR20220051785A (ko) 2020-10-19 2021-05-18 화면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5449A KR102256681B1 (ko) 2020-10-19 2020-10-19 화면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385684B2 (ko)
EP (1) EP4200838A4 (ko)
KR (2) KR102256681B1 (ko)
CN (2) CN114449073A (ko)
DE (1) DE202021102752U1 (ko)
WO (1) WO202208588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80553A1 (ko) * 2022-10-12 2024-04-18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6681B1 (ko) * 2020-10-19 2021-05-26 삼성전자 주식회사 화면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EP4322541A1 (en) * 2021-06-08 2024-02-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content on display
US11693558B2 (en) 2021-06-08 2023-07-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content on display
KR20230008489A (ko) * 2021-07-07 2023-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KR20230041348A (ko) * 2021-09-17 2023-03-24 삼성전자주식회사 온도를 관리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230083939A (ko) * 2021-12-03 2023-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갖는 전자 장치 및 그의 카메라 모듈 제어 방법
CN116954768A (zh) * 2022-04-12 2023-10-2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调整窗口尺寸的方法和装置、电子设备、可读存储介质
US11907516B2 (en) 2022-04-16 2024-0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for identifying set of information according to change in size of display area of flexible display
WO2024071391A1 (ja) * 2022-09-29 2024-04-0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表示装置用積層体、表示装置および支持板付き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10330B2 (ja) * 2006-09-26 2009-08-05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JP2009016934A (ja) * 2007-06-29 2009-01-22 Toshiba Corp 映像再生装置
US20100060547A1 (en) * 2008-09-11 2010-03-11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s in a Variable Size Display Area
US8379377B2 (en) * 2010-01-20 2013-02-19 Creator Technology B.V. Electronic device with at least one extendable display section
US9286812B2 (en) * 2011-06-07 2016-03-1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Flexible display extendable assembly
US8711566B2 (en) * 2011-09-02 2014-04-29 Microsoft Corporation Expandable mobile device
US9383775B2 (en) * 2012-02-07 2016-07-05 Lg Electronics Inc. Icon display method for a pull-out display device
KR102086715B1 (ko) 2012-11-01 2020-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요성 표시부의 화면 출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KR102209332B1 (ko) * 2014-01-06 2021-02-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스트레쳐블 표시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EP3190479A4 (en) * 2014-09-03 2018-03-07 LG Electronics Inc.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20160123620A (ko) * 2015-04-16 2016-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KR20160139320A (ko) * 2015-05-27 2016-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변형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359544B1 (ko) 2015-06-22 2022-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변형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485147B1 (ko) * 2015-07-06 2023-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변형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370169B1 (ko) * 2015-10-13 2022-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500060B1 (ko) * 2015-11-18 2023-02-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434865B1 (ko) * 2015-11-27 2022-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롤러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EP3451324B1 (en) * 2016-06-01 2021-09-01 NTT Docomo, Inc. Mobile terminal
KR102389189B1 (ko) 2017-11-29 2022-04-22 삼성전자주식회사 확장가능한 디스플레이 영역을 갖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KR102266152B1 (ko) * 2018-02-22 2021-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영역의 크기 변경이 가능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330027B1 (ko) * 2018-03-20 2021-11-23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구동 방법
KR102481292B1 (ko) * 2018-04-13 2022-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246777B1 (ko) * 2018-05-09 2021-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확장 가능한 화면 영역의 콘텐츠 표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255793B1 (ko) * 2018-06-14 2021-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영역의 크기 변경이 가능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1201326A1 (ko) * 2020-04-03 2021-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56681B1 (ko) * 2020-10-19 2021-05-26 삼성전자 주식회사 화면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80553A1 (ko) * 2022-10-12 2024-04-18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202021102752U1 (de) 2021-06-08
US20220121244A1 (en) 2022-04-21
WO2022085885A1 (en) 2022-04-28
KR102256681B1 (ko) 2021-05-26
EP4200838A4 (en) 2024-02-28
US11385684B2 (en) 2022-07-12
CN215499054U (zh) 2022-01-11
CN114449073A (zh) 2022-05-06
EP4200838A1 (en) 2023-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6681B1 (ko) 화면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256292B1 (ko) 확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멀티 윈도우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KR20220017065A (ko) 캡쳐 기능 제공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657681B1 (ko) 화면의 부분 영역을 빠르게 업데이트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20230289200A1 (en) Electronic device and multi-window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device
US11609660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and method using the same
KR20220079189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20077846A (ko)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220016727A (ko) 다중 윈도우 이미지 캡쳐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KR20220061797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화면 제어 방법
KR20220053354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KR20220055297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EP4187352A1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flexible display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US20230236696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content in electronic device
US20230222957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thereof
US20230247130A1 (en) Method for providing screen by using flexible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same
KR20230046457A (ko) 가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20230308880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electronic device
KR20220078431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화면 제어 방법
KR20220064267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KR20220062972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KR20230087330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전자 장치
KR20220126914A (ko) 이미지의 알파 값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출력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40039549A (ko) 디스플레이의 파손 영역을 제외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240033608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화면 캡처 방법 및 그 전자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