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1551A -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1551A
KR20220051551A KR1020200135088A KR20200135088A KR20220051551A KR 20220051551 A KR20220051551 A KR 20220051551A KR 1020200135088 A KR1020200135088 A KR 1020200135088A KR 20200135088 A KR20200135088 A KR 20200135088A KR 20220051551 A KR20220051551 A KR 202200515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cover
raw material
vehicle
cover
clos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5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2952B1 (ko
Inventor
김승현
강용연
Original Assignee
부성에버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성에버텍(주) filed Critical 부성에버텍(주)
Priority to KR1020200135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2952B1/ko
Publication of KR20220051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15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2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29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6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N2/5607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 B60N2/5621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 B60N2/5642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with circulation of air through a layer inside th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8Seat coverings
    • B60N2/5816Seat coverings attachments thereof
    • B60N2/5875Seat coverings attachments thereof by adhesion, e.g. glu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3/00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 D06C23/04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by shrinking, embossing, moiréing, or crê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에 관한 것이다. 상세히,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가 베이스 부재와, 밀착 라인 형성 부재 및 위치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밀착 라인 형성 부재에 의해 밀착 라인이 형성됨에 따라 자동차의 통풍 시트용 시트 패드의 굴곡면에 대한 점착 효율을 상승시킬 뿐만 아니라, 시간이 경과되더라도 점착 성능이 유지될 수 있는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를 제조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Jig for manufacturing automotive channel covers}
본 발명은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에 관한 것이다.
근래 제작되는 자동차들은 자동차의 고급화에 따라 자동차 시트에 온열선 설치뿐만 아니라, 더운 여름에 탑승자가 승차할 경우 상기 탑승자의 불쾌감을 해소시켜 주기 위해 상기 탑승자의 둔부와 등 부위에 바람을 불어 주는 시트가 적용된다.
상기와 같이 바람을 불어 주는 시트를 통풍 시트라 하고, 자동차 통풍 시트의 예로 제시될 수 있는 것이 아래 제시된 특허문헌의 그것이다.
이러한 통풍 시트로는 채널식 통풍 시트와 매트 타입 통풍 시트 등이 있고, 그 중, 상기 채널식 통풍 시트는 둔부 및 등받이부 중 적어도 하나에 복수 개의 관통 홀이 형성된 가죽 또는 인조 가죽 등의 외피와, 상기 외피의 내부에 배치되는 시트 패드와, 상기 시트 패드에 관통 형성되는 채널과, 바람을 생성시키는 통풍 블로어와, 상기 통풍 블로어에서 생성된 바람을 상기 채널까지 유동시키는 에어 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통풍 블로어에서 생성된 바람이 상기 에어 덕트를 통해 상기 채널까지 유동된 다음, 상기 외피의 관통 홀을 통해 배출되어 상기 탑승자에게 바람을 전달하게 된다.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는 상기 시트 패드 중 상기 탑승자의 등과 대면되는 면의 반대 면인 상기 시트 패드의 배면에서 상기 채널을 덮으면서 상기 에어 덕트와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는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중 일 면에 점착된 점착제에 의해 상기 시트 패드의 배면에 점착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종래의 자동차용 채널 커버에 의하면, 상기 시트 패드의 배면이 굴곡진 형태로 형성됨으로 인해 상기 시트 패드에 대한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의 점착 효율이 떨어지거나, 효율적인 점착이 이루어지더라도 시간이 경과되면서 상기 시트 패드로부터 국부적으로 분리되는 문제가 있었다.
공개특허 제 10-2018-0037649 호, 공개일자 : 2018.04.13., 발명의 명칭 : 자동차용 통풍 시트
본 발명은 자동차의 통풍 시트용 시트 패드에 대한 점착 효율을 상승시킬 뿐만 아니라, 시간이 경과되더라도 점착 성능이 유지될 수 있는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는 자동차의 통풍 시트용 시트 패드에 형성되는 채널을 덮을 수 있도록 일정한 면적을 가지면서 그 일 면에는 원재측 점착면이 형성되고, 상기 원재측 점착면에는 상기 원재측 점착면을 보호하기 위한 원재측 이형지가 점착된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를 이용하여 자동차용 채널 커버를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정 면적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된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가 상기 자동차의 통풍 시트용 시트 패드에 밀착되면서 점착될 수 있도록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 중 상기 자동차의 통풍 시트용 시트 패드의 굴곡면에 점착되는 부분에 밀착 라인이 형성되도록 하는 밀착 라인 형성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에 복수 개가 이격되면서 배치되고,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에 상기 밀착 라인을 형성시키기 위해 상기 밀착 라인 형성 부재 상에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가 올려질 때,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위치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가 상기 밀착 라인 형성 부재 상에 올려지고, 상기 위치 고정 부재에 의해 그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의 상면에 외부로부터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에 상기 밀착 라인 형성 부재가 삽입되면서 상기 밀착 라인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가 제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에 의하면,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가 베이스 부재와, 밀착 라인 형성 부재 및 위치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밀착 라인 형성 부재에 의해 밀착 라인이 형성됨에 따라 자동차의 통풍 시트용 시트 패드의 굴곡면에 대한 점착 효율을 상승시킬 뿐만 아니라, 시간이 경과되더라도 점착 성능이 유지될 수 있는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를 제조할 수 있게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의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에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가 올려진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에 의해 제조된 자동차용 채널 커버의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를 구성하는 밀착 라인 형성 부재의 일부를 확대한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의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6의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를 구성하는 밀착 라인 형성 부재측 파손 방지 부재의 단면을 확대한 확대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의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에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가 올려진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에 의해 제조된 자동차용 채널 커버의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를 구성하는 밀착 라인 형성 부재의 일부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100)는 자동차의 통풍 시트용 시트 패드에 형성되는 채널을 덮을 수 있도록 일정한 면적을 가지면서 그 일 면에는 원재측 점착면이 형성되고, 상기 원재측 점착면에는 상기 원재측 점착면을 보호하기 위한 원재측 이형지(12)가 점착된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10)를 이용하여 자동차용 채널 커버(20)를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서, 베이스 부재(110)와, 밀착 라인 형성 부재(120)와, 위치 고정 부재(130)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부재(110)는 일정 면적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된 것이다.
상세히, 상기 베이스 부재(110)는 나무, 합성 수지, 금속재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사각 판넬 형태로 형성되면서 테이블 상면 등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100)가 설치되는 설치면에 안착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밀착 라인 형성 부재(120)는 상기 베이스 부재(110)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20)가 상기 자동차의 통풍 시트용 시트 패드에 밀착되면서 점착될 수 있도록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10) 중 상기 자동차의 통풍 시트용 시트 패드의 굴곡면에 점착되는 부분에 밀착 라인(24)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10)는 부직포 재질로 이루어지고, 그 두께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은 일정 면적을 가진 원재측 몸체(11)와, 상기 원재측 몸체(11)의 일 면에 형성된 상기 원재측 점착면에 점착된 상기 원재측 이형지(12)와, 상기 원재측 몸체(11)의 중앙부에 관통 형성된 원재측 관통 홀(13)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20)는 부직포 재질로 이루어지고, 그 두께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은 일정 면적을 가지는 커버측 몸체(21)와, 상기 커버측 몸체(21)의 일 면에 형성된 커버측 점착면에 점착된 커버측 이형지(22)와, 자동차에 구비된 통풍 블로어에서 생성되는 바람을 상기 자동차의 통풍 시트용 시트 패드 쪽으로 유동시키는 덕트가 삽입되도록 상기 커버측 몸체(21)의 중앙부에 관통 형성되는 커버측 관통 홀(23)과,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100)에 의해 상기 커버측 몸체(21)에 일정 길이 길게 형성되는 상기 밀착 라인(24)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미도시되었지만,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20)는 상기 커버측 점착면 중 일부에 점착되는 상기 커버측 이형지(22)와, 상기 커버측 점착면 중 다른 일부에 점착되는 점착면 덮개와, 상기 커버측 관통 홀(23)과 근접된 부분에서 복수 개가 이격되면서 관통 형성되고, 상기 커버측 관통 홀(23)에 삽입되는 상기 덕트를 상기 커버측 몸체(21)에 연결시키기 위해 볼트 등의 연결 수단이 삽입되는 연결 수단 관통 홀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밀착 라인(24)은 소정 간격 이격되면서 복수 개가 일렬로 나란히 형성되는 밀착 버퍼 홀(25)과, 복수 개의 상기 밀착 버퍼 홀(25) 중 서로 이웃하는 것들 사이를 연결시키는 홀 연결부(26)를 포함하여 전체적으로는 점선 형태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밀착 라인(24)이 서로 다른 지점에서 이격되면서 복수 개로 이루어진다. 그러면, 상기 밀착 라인(24)이 형성된 부분이 각각 굽혀질 수 있게 됨으로써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20)가 상기 자동차의 통풍 시트용 시트 패드의 외곽 형태를 따라 소정 곡률로 만곡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10)가 투입되어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100)에 의해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20)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원재측 몸체(11)는 상기 커버측 몸체(21)가 되고, 상기 원재측 이형지(12)는 상기 커버측 이형지(22)가 되고, 상기 원재측 관통 홀(13)은 상기 커버측 관통 홀(23)이 된다.
상기 밀착 라인 형성 부재(120)는 상기 밀착 라인(24)을 구성하는 상기 밀착 버퍼 홀(25) 및 상기 홀 연결부(26)를 형성시키는 것으로, 돌출부(121)와 함몰부(122)를 포함한다.
상기 돌출부(121)는 상기 베이스 부재(110)에서 일정 길이 돌출되어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10)에 상기 밀착 버퍼 홀(25)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으로 복구 개의 칼날이 소정 거리 이격되면서 일직선 형태로 배치되는 것 등이 그 예로 제시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122)는 상기 돌출부(121)에 비해 상대적으로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10)에 상기 홀 연결부(26)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하나의 상기 돌출부(121) 옆에 하나의 상기 홀 연결부(26)가 연결되고, 하나의 상기 홀 연결부(26)의 옆에 다른 하나의 상기 돌출부(121)가 연결되고, 상기와 같이 상기 돌출부(121) 및 상기 홀 연결부(26)가 하나씩 번갈아가면서 형성됨으로써, 상기 밀착 라인 형성 부재(1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철 형태를 가지게 된다.
상기 함몰부(122)에 의해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20)에 상기 홀 연결부(26)가 형성됨으로써 서로 이웃하는 상기 밀착 버퍼 홀(25)을 그 사이에 형성된 상기 홀 연결부(26)가 잡아줄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밀착 버퍼 홀(25) 사이가 벌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커버측 몸체(21)가 임의의 형태로 굽혀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20)가 부직포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측 몸체(21)에서 상기 홀 연결부(26)가 형성되지 아니하고 상기 밀착 버퍼 홀(25)만 상기 커버측 몸체(21)의 폭 방향으로 소정 길이 길게 형성되면서 상하 방향으로 복수 개가 형성되면, 상기 각 밀착 버퍼 홀(25)이 임의로 굽혀지면서 전체적으로는 파도와 같은 임의의 물결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자동차의 통풍 시트용 시트 패드에 대해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20)가 점착될 때, 임의로 굽혀진 형태를 유지하면서 점착되거나, 점착된 이후에도 서로 이웃하는 상기 밀착 버퍼 홀(25) 사이의 부분이 임의로 굽혀진 형태로 점착됨에 따라 헐렁해지면서 상기 자동차의 통풍 시트용 시트 패드로부터 임의 분리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밀착 라인(24)이 상기 밀착 버퍼 홀(25)과 상기 홀 연결부(26)를 함께 포함하게 되면, 상기 밀착 버퍼 홀(25)에 의해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20)가 상기 자동차의 통풍 시트용 시트 패드의 굴곡을 따라 굽혀질 수 있음과 함께 상기 홀 연결부(26)에 의해 상기 밀착 버퍼 홀(25) 사이가 보강됨으로써, 상기 자동차의 통풍 시트용 시트 패드에 대해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20)가 전체적으로 고루 점착될 뿐만 아니라,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20) 중 서로 이웃하는 상기 밀착 라인(24) 사이의 부분도 상기 밀착 버퍼 홀(25)만 형성된 것에 비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밀착 라인 형성 부재(120)를 구성하는 상기 돌출부(121)의 길이는 상기 함몰부(122)의 길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밀착 라인 형성 부재(120)는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면서 복수 개가 형성된다.
그러면, 상기 돌출부(121) 및 상기 함몰부(122)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밀착 버퍼 홀(25)의 길이가 상기 홀 연결부(26)의 길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커버측 몸체(21) 중 서로 이웃하는 상기 밀착 버퍼 홀(25) 사이에 위치된 부분이 상기 커버측 몸체(21)의 표면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멀리 이격될 수 있고, 상기 밀착 라인 형성 부재(120)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밀착 라인(24)이 복수 개로 형성되어 다양한 곡률의 굴곡을 형성할 수 있게 됨으로써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는 상기 자동차의 통풍 시트용 시트 패드에 범용적으로 적용 가능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위치 고정 부재(130)는 상기 베이스 부재(110)에 복수 개가 이격되면서 배치되고, 상기 밀착 라인 형성 부재(120)에 의해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10)에 상기 밀착 라인(24)이 형성될 때,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1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으로, 홀 삽입체(131)와, 외곽 고정체(132)를 포함한다.
상기 홀 삽입체(131)는 상기 베이스 부재(110) 상에서 일정 길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10)의 중앙부에 관통 형성된 원재측 관통 홀(13)에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 외곽 고정체(132)는 상기 밀착 라인 형성 부재(120) 상에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10)가 올려질 때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10)의 외곽에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부재(110)의 상면에서 복수 개가 이격되어 돌출되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외곽 고정체(132)는 상기 외곽 고정체(132)의 각 측면이 상기 밀착 라인 형성 부재(120) 상에 올려진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10)의 측면에 맞대어질 수 있는 위치에 각각 배치된다.
그러면,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10)의 측면 중 일부가 상기 외곽 고정체(132)의 각 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10)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의 임의 이동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홀 삽입체(131)에 상기 원재측 관통 홀(13)이 삽입됨과 함께 상기 외곽 고정체(132)에 의해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10)의 위치가 고정됨으로써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10)의 임의 이동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도면 번호 133은 상기 베이스 부재(110)의 상단에서 이격되어 배치된 상기 외곽 고정체(132) 사이와, 상기 베이스 부재(110)의 하단에서 이격되어 배치된 상기 외곽 고정체(132) 사이에 배치되면서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10)의 일부분과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10)를 견고하게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10)의 상하 방향에 대한 임의 이동이 방지되도록 하는 상하측 고정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10)가 상기 밀착 라인 형성 부재(120) 상에 올려질 때, 상기 원재측 이형지(12)가 상기 밀착 라인 형성 부재(120)와 대면되는 방향으로 올려지나, 본 발명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10)가 반대 방향, 즉, 상기 원재측 이형지(12)가 상기 밀착 라인 형성 부재(120)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100)가 상기와 같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10)가 상기 밀착 라인 형성 부재(120) 상에 올려지고 상기 위치 고정 부재(130)에 의해 그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프레스기 등의 압력 장치(미도시)에 의해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10)의 상면에 외부로부터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10)에 상기 밀착 라인 형성 부재(120)가 삽입되면서 상기 밀착 라인(24)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20)가 제조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100)를 이용한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20)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설치면 상에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100)를 안착한다.
그런 다음, 상기 상기 베이스 부재(110) 상에서 돌출된 상기 밀착 라인 형성 부재(120) 상에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10)를 올린다.
이 때,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10)는 상기 원재측 이형지(12)가 상기 밀착 라인 형성 부재(120)와 대면되는 방향으로 상기 밀착 라인 형성 부재(120) 상에 올려진다.
그럼 다음, 상기 원재측 관통 홀(13)에 상기 홀 삽입체(131)를 삽입한다.
그런 다음, 상기 외곽 고정체(132)의 각 측면을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10)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하여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10)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그런 다음, 프레스기 등의 상기 압력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10) 상에 압력일 인가한다.
그러면,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10)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상기 밀착 라인 형성 부재(120)가 삽입되어 상기 밀착 라인(24)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20)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100)가 상기 베이스 부재(110)와, 상기 밀착 라인 형성 부재(120) 및 상기 위치 고정 부재(130)를 포함하고, 상기 밀착 라인 형성 부재(120)에 의해 상기 밀착 라인(24)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자동차의 통풍 시트용 시트 패드의 굴곡면에 대한 점착 효율을 상승시킬 뿐만 아니라, 시간이 경과되더라도 점착 성능이 유지될 수 있는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20)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미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그에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의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6의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를 구성하는 밀착 라인 형성 부재측 파손 방지 부재의 단면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 지그(200)가 베이스 부재(210)와, 밀착 라인 형성 부재(220)와, 위치 고정 부재(230) 및 밀착 라인 형성 부재측 파손 방지 부재(240)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부재(210)는 일정 면적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된 것이다.
상기 밀착 라인 형성 부재(220)는 상기 베이스 부재(210)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가 상기 자동차의 통풍 시트용 시트 패드에 밀착되면서 점착될 수 있도록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 중 상기 자동차의 통풍 시트용 시트 패드의 굴곡면에 점착되는 부분에 밀착 라인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위치 고정 부재(230)는 상기 베이스 부재(210)에 복수 개가 이격되면서 배치되고,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에 상기 밀착 라인을 형성시키기 위해 상기 밀착 라인 형성 부재(220) 상에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가 올려질 때,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이다.
상기 밀착 라인 형성 부재측 파손 방지 부재(240)는 상기 베이스 부재(210)에서 돌출되는 형태로 장착되고, 상기 밀착 라인 형성 부재(220) 상에 올려진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에 상기 밀착 라인을 형성시키기 위해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의 상면에 프레스기 등의 압력 장치(미도시)에 의해 외부로부터 압력이 가해질 때, 상기 압력 장치가 순간 낙하되는 등의 상기 압력 장치의 이상 작동으로 인해 미리 설정된 압력보다 큰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으로, 상기 압력 장치의 충격을 흡수하여 상기 밀착 라인 형성 부재(220)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밀착 라인 형성 부재측 파손 방지 부재(240)는 케이스(241)와, 승강체(242)와, 기체 수용체(244)와, 박막부(245)와, 기체 유동관(246)과, 팽창체(248)와, 탄성체(249)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241)는 그 일부분이 상기 베이스 부재(210)에 삽입되고, 그 내부가 빈 원통 형태로 형성된 것이다.
상기 승강체(242)는 원형 실린더 형태로 형성되고, 그 말단부가 상기 케이스(241)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케이스(241)와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241)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의 방향 즉, 상기 압력 장치가 압력을 가하는 방향을 따라 승강되는 것이다.
상기 기체 수용체(244)는 상기 승강체(242)의 상측부에 결합되고, 고무 등 탄성을 가진 물질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에 공기 등의 기체가 수용되어 팽창된 상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기체 수용체(244)의 하측부는 아래로 내려갈수록 수렴되는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박막부(245)는 상기 기체 수용체(244) 중 하측부에 형성된 수렴되는 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기체 수용체(244)의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얇은 박막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기체 유동관(246)은 상기 박막부(245)와 연결되면서 소정 길이 길게 형성되다가 말단부에서 양측으로 각각 굽혀지면서 상기 승강체(242)의 외측면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전체적으로는 T자 형태를 가지게 된다.
상기 팽창체(248)는 상기 기체 유동관(246) 중 상기 승강체(242)의 외측면에 근접된 말단부에서 상기 기체 유동관(246)을 감싸는 형태로 각각 배치되고, 상기 기체 유동관(246)의 내부와 각각 연통되며, 고무 등 탄성을 가진 물질로 이루어진다.
그러면, 상기 기체 유동관(246)을 통해 유동되는 상기 기체에 의해 상기 케이스(241)의 내측면과 근접되는 방향으로 각각 팽창될 수 있다.
상기 탄성체(249)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이 미리 설정된 압력을 초과하는 초과 압력이 전달될 경우,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초과 압력을 상대적으로 감쇠시키는 것이다.
그러면, 외부로부터 상기 압력 장치의 오작동 등으로 인해 상기 압력 장치가 상대적으로 증가된 속도로 상기 밀착 라인 형성 부재(220) 쪽으로 하강되면서 상기 승강체(242)와 밀착되어 상기 승강체(242)에 상기 초과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팽창된 상기 팽창체(248)가 상기 케이스(241)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승강체(242)의 하강 속도가 일차적으로 감소되고, 상기 탄성체(249)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승강체(242)의 하강 속도가 이차적으로 감소됨으로써,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초과 압력이 상기 밀착 라인 형성 부재(220)에 직접 전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도면 번호 243은 상기 승강체(242)의 상기 기체 유동관(246)이 삽입된 부분 중 상기 팽창체(248)가 배치된 외측면 쪽에 형성되고, 그 내부로부터 외측면 쪽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확장되어 전체적으로는 깔때기 형태로 형성되는 확장홀이다.
상기 확장홀(243)에 상기 팽창체(248)가 배치됨으로써 상기 팽창체(248)는 부채꼴 형태로 팽창될 수 있다.
도면 번호 247은 상기 기체 유동관(246) 중 상기 승강체(242)를 관통하는 부분의 중앙부에서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기체 수용체(244) 내부에 수용된 상기 기체가 상기 기체 유동관(246)을 통해 상기 각 팽창체(248) 쪽으로 유동되도록 상기 기체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기체 유동 가이드 돌기체이다.
상기 기체 유동 가이드 돌기체(247)는 상기 기체 유동관(246)의 내측면으로부터 뾰족한 형태로 돌출되어 상기 기체 수용체(244) 쪽에서 상기 각 팽창체(248) 쪽으로 상기 기체가 유동될 때, 상기 기체의 유동량을 분배시켜 상기 기체가 상기 각 팽창체(248)로 균일하게 유동되도록 한다.
상기 밀착 라인 형성 부재(220) 상에 올려진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에 상기 밀착 라인을 형성시키기 위해 외부 즉, 상기 압력 장치에 의한 압력이 가해질 경우, 미리 설정된 압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정상 압력이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에 가해지면, 상기 박막부(245)는 파손되지 아니하고 그 원형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승강체(242)와 함께 하강되어 상기 케이스(241) 내부에 삽입된다.
이 때,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에는 상기 밀착 라인 형성 부재(220)가 삽입되면서 상기 밀착 라인이 형성된다.
반면, 상기 압력 장치의 오작동으로 인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이 미리 설정된 압력을 초과하는 상기 초과 압력이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에 가해지면, 상기 초과 압력에 의해 상기 박막부(245)가 터지면서 상기 기체 수용체(244) 내에 수용되어 있던 상기 기체가 상기 기체 유동관(246)을 통해 유동된 다음 상기 팽창체(248)의 내부로 각각 유입되고, 유입된 상기 기체에 의해 상기 각 팽창체(248)가 상기 확장홀(243)의 내부에서 팽창되어 상기 케이스(241)의 내측면에 접촉되고, 이 때 상기 탄성체(249)는 상기 승강체(242)의 하부를 지지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승강체(242)의 하강 속도가 상대적으로 감소되어 상기 밀착 라인 형성 부재(220)에 대한 상기 초과 압력의 직접적인 전달이 방지됨으로써,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초과 압력에 의한 상기 밀착 라인 형성 부재(220)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밀착 라인 형성 부재측 파손 방지 부재(240)는 상기 베이스 부재(210)에 적어도 하나 설치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대각선 방향으로 두 개가 설치되거나, 본 실시예에서처럼 네 개가 각 모서리에 설치되어 복수 개의 지점에서 상기 압력 장치에 대한 상기 초과 압력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에 의하면,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를 구성하는 밀착 라인 형성 부재에 의해 밀착 라인이 형성됨에 따라 자동차의 통풍 시트용 시트 패드의 굴곡면에 대한 점착 효율을 상승시킬 뿐만 아니라, 시간이 경과되더라도 점착 성능이 유지될 수 있는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를 제조할 수 있으므로, 그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100 :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
10 :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 11 : 원재측 몸체
12 : 원재측 이형지 13 : 원재측 관통 홀
20 : 커버측 몸체 21 : 커버측 이형지
23 : 커버측 관통 홀 110 : 베이스 부재
120 : 밀착 라인 형성 부재 121 : 돌출부
122 : 함몰부 130 : 위치 고정 부재
240 : 밀착 라인 형성 부재측 파손 방지 부재

Claims (5)

  1. 자동차의 통풍 시트용 시트 패드에 형성되는 채널을 덮을 수 있도록 일정한 면적을 가지면서 그 일 면에는 원재측 점착면이 형성되고, 상기 원재측 점착면에는 상기 원재측 점착면을 보호하기 위한 원재측 이형지가 점착된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를 이용하여 자동차용 채널 커버를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정 면적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된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가 상기 자동차의 통풍 시트용 시트 패드에 밀착되면서 점착될 수 있도록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 중 상기 자동차의 통풍 시트용 시트 패드의 굴곡면에 점착되는 부분에 밀착 라인이 형성되도록 하는 밀착 라인 형성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에 복수 개가 이격되면서 배치되고,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에 상기 밀착 라인을 형성시키기 위해 상기 밀착 라인 형성 부재 상에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가 올려질 때,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위치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가 상기 밀착 라인 형성 부재 상에 올려지고, 상기 위치 고정 부재에 의해 그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의 상면에 외부로부터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에 상기 밀착 라인 형성 부재가 삽입되면서 상기 밀착 라인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가 제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는 일정 면적을 가지는 커버측 몸체와, 상기 커버측 몸체의 일 면에 형성된 커버측 점착면에 점착된 커버측 이형지와, 상기 커버측 몸체의 중앙부에 관통 형성된 커버측 관통 홀과, 상기 커버측 몸체에 일정 길이 길게 형성된 상기 밀착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밀착 라인은 복수 개가 이격되면서 나란히 형성되는 밀착 버퍼 홀과, 복수 개의 상기 밀착 버퍼 홀 중 서로 이웃하는 상기 밀착 버퍼 홀 사이를 연결시키는 홀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밀착 라인 형성 부재는
    상기 베이스 부재에서 돌출되어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에 상기 밀착 버퍼 홀이 형성되도록 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에 상기 홀 연결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함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길이는 상기 함몰부의 길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고정 부재는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의 중앙부에 관통 형성된 원재측 관통 홀에 삽입되는 홀 삽입체와,
    상기 밀착 라인 형성 부재 상에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가 올려질 때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의 외곽에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면에서 복수 개가 이격되어 돌출되는 외곽 고정체를 포함하고,
    상기 홀 삽입체에 상기 원재측 관통 홀이 삽입됨과 함께 상기 외곽 고정체에 의해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의 위치가 고정됨으로써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의 임의 이동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는
    상기 베이스 부재에서 돌출되는 형태로 장착되고, 상기 밀착 라인 형성 부재 상에 올려진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에 상기 밀착 라인을 형성시키기 위해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의 상면에 외부로부터 압력이 가해질 때, 미리 설정된 압력보다 큰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밀착 라인 형성 부재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밀착 라인 형성 부재측 파손 방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밀착 라인 형성 부재측 파손 방지 부재는
    그 일부분이 상기 베이스 부재에 삽입되고, 그 내부가 빈 원통 형태로 형성된 케이스와,
    원형 실린더 형태로 형성되고, 그 말단부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삽입되어 연결되며,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의 방향을 따라 승강되는 승강체와,
    상기 승강체의 상측부에 결합되고, 탄성을 가진 물질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에 기체가 수용되어 팽창된 상태로 형성되는 기체 수용체와,
    상기 기체 수용체 중 하측부의 수렴되는 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기체 수용체의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얇은 박막으로 형성되는 박막부와,
    상기 승강체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박막부와 연결되면서 소정 길이 길게 형성되다가 그 말단부에서 양측으로 각각 굽혀지면서 상기 승강체의 외측면까지 연장되는 기체 유동관과,
    상기 기체 유동관 중 상기 승강체의 외측면에 근접된 말단부에서 각각 배치되고, 상기 기체 유동관의 내부와 각각 연통되며, 탄성을 가진 물질로 이루어지는 팽창체와,
    외부로부터 미리 설정된 압력을 초과하는 초과 압력이 전달될 경우,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초과 압력을 상대적으로 감쇠시킬 수 있는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밀착 라인 형성 부재 상에 올려진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에 상기 밀착 라인을 형성시키기 위해 외부로부터 압력이 가해질 때, 미리 설정된 압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압력이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에 가해지면, 상기 박막부는 그 원형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승강체와 함께 하강되어 상기 케이스 내부에 삽입되고,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이 미리 설정된 압력을 초과하는 상기 초과 압력이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에 가해지면, 상기 초과 압력에 의해 상기 박막부가 터지면서 상기 기체 수용체 내에 수용되어 있던 상기 기체가 상기 기체 유동관을 통해 유동된 다음 상기 팽창체의 내부로 각각 유입되고, 유입된 상기 기체에 의해 상기 각 팽창체가 팽창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에 접촉되고, 이 때, 상기 탄성체는 상기 승강체의 하부를 지지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승강체의 하강 속도가 상대적으로 감소되어 상기 밀착 라인 형성 부재에 대한 상기 초과 압력의 직접적인 전달이 방지됨으로써, 상기 초과 압력에 의한 상기 밀착 라인 형성 부재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
KR1020200135088A 2020-10-19 2020-10-19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 KR1024129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5088A KR102412952B1 (ko) 2020-10-19 2020-10-19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5088A KR102412952B1 (ko) 2020-10-19 2020-10-19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1551A true KR20220051551A (ko) 2022-04-26
KR102412952B1 KR102412952B1 (ko) 2022-06-24

Family

ID=81391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5088A KR102412952B1 (ko) 2020-10-19 2020-10-19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295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4463B1 (ko) * 2014-03-27 2014-07-03 주식회사 유엠에스 열압착 성형을 이용한 자동차용 볼륨시트 커버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되는 자동차용 볼륨시트 커버
JP3198010U (ja) * 2015-03-31 2015-06-11 敦 谷原 転写シート切断装置
KR20180037649A (ko) 2016-10-04 2018-04-13 주식회사 유니크 연료 차단 밸브
KR101858149B1 (ko) * 2017-01-20 2018-05-16 부성에버텍(주)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 금형
KR102164042B1 (ko) * 2019-04-02 2020-10-13 현대트랜시스(주) 통풍시트용 채널 커버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8010B2 (ja) * 1994-05-30 2001-08-13 シチズン時計株式会社 工作機械の制御方法及び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4463B1 (ko) * 2014-03-27 2014-07-03 주식회사 유엠에스 열압착 성형을 이용한 자동차용 볼륨시트 커버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되는 자동차용 볼륨시트 커버
JP3198010U (ja) * 2015-03-31 2015-06-11 敦 谷原 転写シート切断装置
KR20180037649A (ko) 2016-10-04 2018-04-13 주식회사 유니크 연료 차단 밸브
KR101858149B1 (ko) * 2017-01-20 2018-05-16 부성에버텍(주)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 금형
KR102164042B1 (ko) * 2019-04-02 2020-10-13 현대트랜시스(주) 통풍시트용 채널 커버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2952B1 (ko) 2022-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4728B1 (ko) 자동차용 좌석
US8167333B2 (en) Secured force concentrator in a vehicular bolster for airbag retention and deployment
KR980008855A (ko) 차량용 무릎 구속 기구
JP2000025549A (ja) ダッシュボ―ド
KR20200028529A (ko) Fmh 리브를 자동차용 헤드 라이너에 용착하는 방법 및 fmh 리브를 갖춘 자동차용 헤드 라이너
KR101747479B1 (ko)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
KR102412952B1 (ko)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
US10744968B2 (en) Airbag device for driver
CN212332584U (zh) 帘式气囊装置
KR102367888B1 (ko)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
JP4795997B2 (ja) 車両用天井材への側方ダクトの配設構造
KR102412953B1 (ko)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
JP4186090B2 (ja) 空気案内ダクト
JP5316357B2 (ja) 自動車のデフロスタ装置
KR102412954B1 (ko)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
WO2012147684A1 (ja) 緩衝装置支持部材、緩衝装置支持構造体および車両
KR20220051554A (ko) 자동차용 채널 커버 형상 검사 지그
JP2005119469A (ja) 車両空気ダクト
KR101529069B1 (ko) 강성이 향상된 시트백 프레임
JP2003252155A (ja) 自動車用内装部品
JP2005035409A (ja) 車両内装部材
KR101781476B1 (ko) 차량용 통풍시트 장치
KR101772536B1 (ko) 차량용 통풍시트 장치
JP2022107465A (ja) 車両のルーフ構造
US20200398721A1 (en) Headre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