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7888B1 -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7888B1
KR102367888B1 KR1020200135090A KR20200135090A KR102367888B1 KR 102367888 B1 KR102367888 B1 KR 102367888B1 KR 1020200135090 A KR1020200135090 A KR 1020200135090A KR 20200135090 A KR20200135090 A KR 20200135090A KR 102367888 B1 KR102367888 B1 KR 1023678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ing
channel cover
raw material
vehicle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5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현
강용연
Original Assignee
부성에버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성에버텍(주) filed Critical 부성에버텍(주)
Priority to KR1020200135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78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7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78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6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N2/5607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 B60N2/5621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A47C7/74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8Cutting-out; Stamping-out
    • B26F1/40Cutting-out; Stamping-out using a press, e.g. of the ram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8Cutting-out; Stamping-out
    • B26F1/44Cutters therefor; D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8Seat coverings
    • B60N2/5891Seat covering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 manufacturing seat cove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에 관한 것이다. 개시되는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가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를 이용하여 자동차용 채널 커버를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서, 베이스 부재와, 안착 부재와, 위치 정렬 부재와, 절단 부재 및 가압 부재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가압 부재를 눌러 주는 작업만으로도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를 구성하는 절단 이형지를 한 번에 형성시킬 수 있고,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를 구성하는 커버측 몸체에 대해 상기 절단 이형지가 항상 동일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커버측 몸체의 손상도 방지되어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Jig for manufacturing automotive channel covers}
본 발명은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에 관한 것이다.
근래 제작되는 자동차들은 자동차의 고급화에 따라 자동차 시트에 온열선 설치뿐만 아니라, 더운 여름에 탑승자가 승차할 경우 상기 탑승자의 불쾌감을 해소시켜 주기 위해 상기 탑승자의 둔부와 등 부위에 바람을 불어 주는 시트가 적용된다.
상기와 같이 바람을 불어 주는 시트를 통풍 시트라 하고, 자동차 통풍 시트의 예로 제시될 수 있는 것이 아래 제시된 특허문헌의 그것이다.
이러한 통풍 시트로는 채널식 통풍 시트와 매트 타입 통풍 시트 등이 있고, 그 중, 상기 채널식 통풍 시트는 둔부 및 등받이부 중 적어도 하나에 복수 개의 관통 홀이 형성된 가죽 또는 인조 가죽 등의 외피와, 상기 외피의 내부에 배치되는 시트 패드와, 상기 시트 패드에 관통 형성되는 채널과, 바람을 생성시키는 통풍 블로어와, 상기 통풍 블로어에서 생성된 바람을 상기 채널까지 유동시키는 에어 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통풍 블로어에서 생성된 바람이 상기 에어 덕트를 통해 상기 채널까지 유동된 다음, 복수 개의 상기 관통 홀을 통해 배출되어 상기 탑승자에게 바람을 전달하게 된다.
자동차용 채널 커버는 상기 시트 패드 중 상기 탑승자의 등이 밀착되는 면과 반대되는 면인 상기 시트 패드의 배면에서 상기 채널을 덮는 것으로, 그 두께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은 일정 면적을 가지는 커버측 몸체와, 상기 커버측 몸체의 일 면에 형성된 커버측 점착면에 점착되는 절단 이형지와, 상기 커버측 몸체의 중앙부에 관통 형성되는 커버측 관통 홀을 포함하고,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는 상기 절단 이형지의 일부를 제거한 후 상기 커버측 점착면을 상기 시트 패드에 점착시킴으로써 상기 채널을 덮게 된다.
종래의 자동차용 채널 커버에 의하면, 상기 절단 이형지는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를 구성하는 원재측 이형지를 절단함으로써 형성되는데, 상기 원재측 이형지를 절단시킬 마땅한 지그가 구비되지 않아, 작업자가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에 프레임을 올려 놓고 칼 등으로 상기 프레임을 따라 직접 절단하는 수작업으로 작업을 하였고, 그에 따라, 작업자마다 상기 커버측 몸체에 대해 상기 절단 이형지가 형성되는 위치가 달라질 뿐만 아니라, 심한 경우에는 상기 절단 이형지를 형성하기 위한 절단 작업 중 상기 커버측 몸체까지 함께 절단되어 제품을 폐기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공개특허 제 10-2018-0037649 호, 공개일자 : 2018.04.13., 발명의 명칭 : 자동차용 통풍 시트
본 발명은 자동차용 채널 커버를 구성하는 커버측 몸체의 손상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상기 커버측 몸체에 대해 절단 이형지가 항상 돌일한 위치에서 형성될 수 있는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는 자동차의 통풍 시트용 시트 패드에 형성된 채널을 덮을 수 있도록 일정한 면적을 가진 원재측 몸체와, 상기 원재측 몸체의 일 면에 형성되는 원재측 점착면과, 상기 원재측 점착면이 보호되도록 상기 원재측 점착면에 점착되는 원재측 이형지와, 상기 원재측 몸체에 관통 형성된 원재측 관통 홀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를 이용하여 자동차용 채널 커버를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정 면적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된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측에 배치되고, 그 상부에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가 안착되며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안착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 상에서 복수 개가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가 상기 안착 부재에 안착될 때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의 외곽과 맞물려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의 위치를 정렬시키는 위치 정렬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 중 상기 안착 부재의 내부에서 돌출되되, 상기 안착 부재의 높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돌출됨으로써 상기 안착 부재에 파묻힌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원재측 이형지를 절단시켜 절단 이형지가 형성되도록 하는 절단 부재; 및 상기 안착 부재에 안착된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를 눌러 주는 가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정렬 부재는 상기 가압 부재가 이동되는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원재측 이형지가 상기 안착 부재에 대면되는 방향으로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가 상기 안착 부재에 안착되고, 상기 절단 부재가 상기 안착 부재 내부에 파묻힌 상태에서, 상기 가압 부재가 미리 설정된 높이까지 하강되어 상기 위치 정렬 부재 및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를 눌러 주면, 상기 위치 정렬 부재는 하강되고, 상기 안착 부재는 탄성 변형되면서 압축되고, 상기 안착 부재의 압축에 의해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는 상기 베이스 부재에 상대적으로 근접됨과 함께 상기 절단 부재는 상기 안착 부재 상으로 노출되고, 노출된 상기 절단 부재에 의해 상기 원재측 이형지가 절단되어 상기 절단 이형지가 형성됨으로써, 자동차용 채널 커버가 제조될 수 있고,
상기 절단 이형지가 형성된 후 상기 가압 부재가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를 눌러 주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로부터 이격되면, 하강된 상기 위치 정렬 부재는 상승되고, 압축된 상기 안착 부재도 탄성력 복원에 의해 원상태로 복구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절단 부재는 상기 안착 부재 내부에 다시 파묻히는 상태로 회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에 의하면,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가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를 이용하여 자동차용 채널 커버를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서, 베이스 부재와, 안착 부재와, 위치 정렬 부재와, 절단 부재 및 가압 부재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가압 부재를 눌러 주는 작업만으로도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를 구성하는 절단 이형지를 한 번에 형성시킬 수 있고,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를 구성하는 커버측 몸체에 대해 상기 절단 이형지가 항상 동일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커버측 몸체의 손상도 방지되어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의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를 분해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의 상부에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가 배치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에 의해 형성된 자동차용 채널 커버의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를 구성하는 안착 부재 및 절단 부재의 절단된 일부를 확대한 확대도.
도 6은 도 5의 안착 부재가 탄성 변형으로 압축된 모습을 보이는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의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를 구성하는 절단 부재측 파손 방지 부재의 단면을 확대한 확대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의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를 분해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의 상부에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가 배치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에 의해 형성된 자동차용 채널 커버의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를 구성하는 안착 부재 및 절단 부재의 절단된 일부를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5의 안착 부재가 탄성 변형으로 압축된 모습을 보이는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100)는 자동차의 통풍 시트용 시트 패드에 형성된 채널을 덮을 수 있도록 일정한 면적을 가진 원재측 몸체(11)와, 상기 원재측 몸체(11)의 일 면에 형성되는 원재측 점착면(12)과, 상기 원재측 점착면(12)이 보호되도록 상기 원재측 점착면(12)에 점착되는 원재측 이형지(13)와, 상기 원재측 몸체(11)에 관통 형성된 원재측 관통 홀(14)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10)를 이용하여 자동차용 채널 커버(20)를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서, 베이스 부재(110)와, 안착 부재(120)와, 위치 정렬 부재(130)와, 절단 부재(140) 및 가압 부재(145)를 포함한다.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20)는 상기 시트 패드 중 상기 탑승자의 등이 밀착되는 면과 반대되는 면인 상기 시트 패드의 배면에서 상기 채널을 덮는 것으로, 그 두께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은 일정 면적을 가지는 커버측 몸체(21)와, 상기 커버측 몸체(21)의 일 면에 형성된 커버측 점착면(22)에 점착되는 절단 이형지(23)와, 상기 커버측 몸체(21)의 중앙부에 관통 형성되는 커버측 관통 홀(26)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100)는 안착 부재측 위치 고정 부재(15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부재(110)는 일정 면적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된 것이다.
상기 베이스 부재(110)는 나무, 합성 수지, 금속재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사각 판넬 형태로 형성되어 테이블 등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100)가 설치되는 설치면 상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안착 부재(120)는 상기 베이스 부재(110)의 상측에 배치되고, 그 상부에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10)가 안착되며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내측 안착부(121) 및 외측 안착부(122)를 포함한다.
상기 안착 부재(120)에는 그 일측 말단부 및 그 하측 말단부에서 내측으로 소정 깊이 함몰되는 한 쌍의 함몰부(123)가 형성되고, 한 쌍의 상기 함몰부(123) 중 하나이고 상기 안착 부재(120)의 일측 말단부에 위치되는 것에는 후술되는 상측 함몰 고정체(152)가 형성되고, 한 쌍의 상기 함몰부(123) 중 다른 하나이고, 상기 안착 부재(120)의 타측 말단부에 위치되는 것에는 후술되는 하측 함몰 고정체(155)가 형성되고, 상세한 내용은 아래에서 설명한다.
상기 내측 안착부(121)는 상기 절단 부재(140)의 내측 공간 즉, 상기 절단 부재(140)에 의해 외부와 격리되는 공간에 배치되는 것이다.
상기 외측 안착부(122)는 상기 안착 부재(120) 중 상기 절단 부재(140)의 외측 공간, 즉, 상기 절단 부재(140)에 의해 상기 내측 안착부(121)와 분리되는 공간에 배치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내측 안착부(121) 및 상기 외측 안착부(122)는 상대적으로 탄성이 큰 스폰지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절단 부재(140)를 기준으로 상기 안착 부재(120)가 상기 내측 안착부(121) 및 상기 외측 안착부(122)로 분리되고, 상기 가압 부재(145)가 하강될 때 상기 내측 안착부(121) 및 상기 외측 안착부(122)가 함께 압축되면, 상기 내측 안착부(121) 및 상기 외측 안착부(122)가 압축되는 방향에서 벗어나는 것이 서로에 의해 견제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내측 안착부(121) 및 상기 외측 안착부(122)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절단 부재(140)에 의해 임의 절단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20) 제조에 상기 외측 안착부(122)만 구비될 경우, 상기 가압 부재(145)에 의해 상기 외측 안착부(122)가 탄성 변형되면서 압축될 때, 상기 외측 안착부(122) 중 상기 절단 부재(140)와 대면되는 측면은 상기 가압 부재(145)가 승강되는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굽혀질 수 있고, 그러다가 상기 절단 부재(140)와 근접되는 방향으로 굽혀지디가 상기 절단 부재(140)에 접촉되면, 상기 절단 부재(140)에 의해 상기 외측 안착부(122)의 일부가 절단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20) 제조에 상기 외측 안착부(122)만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100)를 반복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외측 안착부(122)의 상면 및 상기 절단 부재(140)와 대면된 상기 외측 안착부(122)의 측면이 만나는 모서리는 초기 직각 형태에서 상기 절단 부재(140) 쪽으로 점진적으로 돌출되다가 상기 외측 안착부(122)가 압축될 때 상기 절단 부재(140)에 의해 절단됨으로써, 상기 외측 안착부(122)의 교체 주기가 상대적으로 빨리지게 될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내측 안착부(121) 및 상기 외측 안착부(122)가 함께 형성되면, 상기 가압 부재(145)에 의해 압축될 때, 상기 절단 부재(140)를 기준으로 상기 내측 안착부(121)의 측면부가 굽혀지는 것은 상기 내측 안착부(121)의 측면부와 대면되는 상기 외측 안착부(122)의 측면부가 지지하게 되고, 상기 외측 안착부(122)의 측면부가 굽혀지는 것은 상기 외측 안착부(122)의 측면부와 대면되는 상기 내측 안착부(121)의 측면부가 지지하게 되고, 상기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두 측면부가 임의 방향으로 각각 굽혀지는 것을 지지하면서 보완시켜 줌으로써 상기 절단 부재(140)에 의한 상기 내측 안착부(121) 및 상기 외측 안착부(122)의 임의 절단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내측 안착부(121) 및 상기 외측 안착부(122)가 압축되는 방향에서 벗어나는 것이 서로에 의해 견제된다는 것은, 상기 안착 부재가 상기 가압 부재(145)에 의해 가압될 때, 상기 내측 안착부(121) 중 상기 절단 부재(140)와 대면되는 측면부는 상기 외측 안착부(122)의 측면부에 접촉되면서 상기 내측 안착부(121)의 임의 변병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외측 안착부(122) 중 상기 절단 부재(140)와 대면되는 측면부는 상기 내측 안착부(121)의 측면부에 접촉되면서 상기 외측 안착부(122)의 임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내측 안착부(121) 및 상기 외측 안착부(122)의 원형태에서 임의 형태로의 변형이 서로에 의해 보완될 수 있게 되는 것을 말한다.
도면 번호 124는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10)가 안착될 때, 상기 원재측 관통 홀(14)에 삽입되는 관통 홀 삽입체이다.
상기 위치 정렬 부재(130)는 상기 베이스 부재(110) 상에서 복수 개가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10)가 상기 안착 부재(120)에 안착될 때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10)의 외곽과 맞물려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10)의 위치를 정렬시키는 것으로, 위치 정렬 몸체(131)와, 승강체(132)와, 탄성체(133)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가압 부재(145)가 이동되는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위치 정렬 몸체(131)는 상기 베이스 부재(110) 상에 설치되고, 그 내부가 빈 원형 실린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승강체(132)는 원형 실린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위치 정렬 몸체(131)의 내부에서 승강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승강체(132)는 상기 위치 정렬 몸체(131)의 상측에 관통 형성된 관통홀의 직경에 대응되는 직경으로 형성되되, 그 말단부는 외곽으로 확장됨으로써, 상기 승강체(132)의 말단부가 상기 관통홀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관통홀의 외부로 돌출 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탄성체(133)는 상기 승강체(132)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승강체(132)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압축 스프링 등이 그 예로 제시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가압 부재(145)가 상기 승강체(132)를 누르게 되면 상기 위치 정렬 몸체(131)의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가압 부재(145)가 상기 승강체(132)로부터 이격되면 탄성체(133)에 의해 상기 위치 정렬 몸체(131)의 외부로 돌출된다.
상세히, 상기 가압 부재(145)가 하강되어 상기 승강체(132)를 눌러 주면, 상기 승강체(132)가 하강되면서 상기 탄성체(133)에 탄성력이 축적되고, 하강된 상기 가압 부재(145)가 상승되어 상기 승강체(132)로부터 이격되면, 상기 탄성체(133)의 탄성력 복원에 의해 상기 승강체(132)가 상승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절단 부재(140)는 상기 베이스 부재(110) 중 상기 안착 부재(120)의 내부에서 돌출되되, 상기 안착 부재(120)의 높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돌출됨으로써 상기 안착 부재(120)에 파묻힌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원재측 이형지(13)를 절단시켜 절단 이형지(23)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파묻힌 형태라 함은 상기 절단 부재(140)가 상기 안착 부재(120)에 의해 둘러싸일 뿐만 아니라, 그 높이가 상기 안착 부재(120)의 높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되어 그 형태가 상기 안착 부재(120)에 의해 가려지는 것을 말한다.
즉, 상기 절단 부재(140)의 각 측면은 상기 내측 안착부(121)의 측면 및 상기 외측 안착부(122)의 측면에 의해 둘러싸이도, 상기 절단 부재(140)의 상측은 상기 내측 안착부(121) 및 상기 외측 안착부(122)에 의해 가려지게 된다.
상기 절단 부재(140)는 상기 베이스 부재(110) 상에서 소정 길이 길게 형성되는 일측 절단부(141)와, 상기 일측 절단부(141)에서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타측 절단부(142)와, 상기 일측 절단부(141)와 상기 타측 절단부(142)를 연결시키는 연결측 절단부(143)를 포함하고, 전체적으로는 H자 형태로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일측 절단부(141)와, 상기 타측 절단부(142) 및 상기 연결측 절단부(143)에 의해 상기 절단 부재(140)의 내부에는 외부와 격리되는 H자 형태의 일정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절단 부재(140)의 내부에 형성된 H자 형태의 상기 일정 공간에는 상기 내측 안착부(121)가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절단 부재(140)는 상기 베이스 부재(110) 상에서 돌출되되, 상기 안착 부재(120)의 높이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되고, 상기 안착 부재측 위치 고정 부재(150)의 높이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된다.
그러면, 상기 절단 부재(140)가 상기 안착 부재(120) 내부에 가려진 상태로 있다가, 상기 가압 부재(145)가 상기 안착 부재측 위치 고정 부재(150)까지 하강되면, 상기 안착 부재(120)가 상기 안착 부재측 위치 고정 부재(150)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까지 압축되고, 그에 따라상기 절단 부재(140)가 상기 안착 부재(120)에 비해 돌출 형성됨으로써 상기 절단 이형지(23)가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절단 이형지(23)는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100)에 의해 상기 원재측 이형지(13)가 절단 형성되는 것으로 내측 이형지(24)와 외측 이형지(25)를 포함한다.
상기 내측 이형지(24)는 상기 절단 부재(140)에 의해 절단 후 상기 절단 부재(140)의 내측, 즉 상기 내측 안착부(121) 상에 배치되는 것이고, 상기 외측 이형지(25)는 상기 절단 부재(140)에 의해 절단되어 상기 내측 이형지(24)와 분리되고 상기 절단 부재(140)의 외측, 즉, 상기 외측 안착부(122) 상에 배치되는 것이다.
상기 가압 부재(145)는 상기 안착 부재(120)에 안착된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10)를 눌러 주는 것으로 프레스기 등이 그 예료 제시될 수 있다.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100)가 상기와 같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원재측 이형지(13)가 상기 안착 부재(120)에 대면되는 방향으로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10)가 상기 안착 부재(120)에 안착되고, 상기 절단 부재(140)가 상기 안착 부재(120) 내부에 파묻힌 상태에서, 상기 가압 부재(145)가 미리 설정된 높이까지 하강되어 상기 위치 정렬 부재(130) 및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10)를 눌러 주면, 상기 위치 정렬 부재(130)는 하강되고, 상기 안착 부재(120)는 탄성 변형되면서 압축되고, 상기 안착 부재(120)의 압축에 의해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10)는 상기 베이스 부재(110)에 상대적으로 근접됨과 함께 상기 절단 부재(140)는 상기 안착 부재(120) 상으로 노출되고, 노출된 상기 절단 부재(140)에 의해 상기 원재측 이형지(13)가 절단되어 상기 절단 이형지(23)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20)가 제조될 수 있다.
반면, 상기 절단 이형지(23)가 형성된 후 상기 가압 부재(145)가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10)를 눌러 주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10)로부터 이격되면, 하강된 상기 위치 정렬 부재(130)는 상승되고, 압축된 상기 안착 부재(120)도 탄성력 복원에 의해 원상태로 복구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절단 부재(140)는 상기 안착 부재(120) 내부에 다시 파묻히는 상태로 회복된다.
상기 안착 부재측 위치 고정 부재(150)는 상기 베이스 부재(110)에 대한 상기 안착 부재(120)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모서리 고정체(151)와, 상기 상측 함몰 고정체(152)와, 상기 하측 함몰 고정체(155)를 포함한다.
상기 모서리 고정체(151)는 상기 안착 부재(120)의 각 모서리에 배치되어 상기 안착 부재(120)가 임의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상측 함몰 고정체(152)는 상기 안착 부재(120)의 한 쌍의 상기 함몰부(123) 중 하나이고 상기 안착 부재(120)의 상단에 배치되는 것에 맞물리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상측 함몰 고정체(152)는 한 쌍의 상기 함몰부(123) 중 하나이고 상기 안착 부재(120)의 상단에 배치되는 것의 저면에 맞물리는 상측 수평체(153)와, 상기 수평체의 양측 말단에서 상방으로 각각 절곡되면서 굽혀진 상측 굽힘체(154)를 포함한다.
상기 하측 함몰 고정체(155)는 상기 안착 부재(120)의 한 쌍의 상기 함몰부(123) 중 다른 하나이고 상기 안착 부재(120)의 하단에 배치되는 것에 맞물리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하측 함몰 고정체(155)는 상기 안착 부재(120)의 한 쌍의 상기 함몰부(123) 중 다른 하나이고 상기 안착 부재(120)의 하단에 배치되는 것의 상면에 맞물리면서 상기 상측 수평체(153)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하측 수평체(156)와, 상기 하측 수평체(156)의 양측 말단에서 하방으로 각각 절곡되면서 굽혀지는 하측 굽힘체(157)를 포함한다.
상기 상측 함몰 고정체(152) 및 상기 하측 함몰 고정체(155)는 상기 안착 부재(120)의 상면 및 저면에서 내측 방향으로 각각 함몰되면서 형성되고, 상기 안착 부재(120)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수평선(상기 상측 수평체(153)와 평행한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안착 부재측 위치 고정 부재(150)는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재로 형성되고, 상기 모서리 고정체(151)와, 상기 상측 함몰 고정체(152) 및 상기 하측 함몰 고정체(155)는 서로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다.
그러면, 상기 가압 부재(145)가 상기 안착 부재(120)를 압축시킬 때, 상기 가압 부재(145)는 상기 모서리 고정체(151) 및 상기 상측 함몰 고정체(152) 및 상기 하측 함몰 고정체(155)에 접촉될 때까지 하강됨으로써 상기 가압 부재(145)의 하강 높이가 조절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100)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설치면 상에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100)를 마련한다.
그런 다음, 상기 안착 부재(120) 상측에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10)를 안착한다.
그런 다음, 상기 가압 부재(145)를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10)과 근접되는 방향으로 하강한다.
그러면, 상기 위치 정렬 부재(130)를 구성하는 상기 승강체(132)가 하강되고, 상기 안착 부재(120)는 탄성 병형되면서 압축되고, 상기 안착 부재(120)의 압축에 의해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10)가 상기 베이스 부재(110)에 상대적으로 근접된다.
이 때, 상기 승강체(132)의 하측에 배치된 상기 탄성체(133)는 탄성력을 축적하게 되고, 상기 안착 부재(120) 내에 파묻혀 있던 상기 절단 부재(140)는 상기 안착 부재(120) 상으로 노출되고, 노출된 상기 절단 부재(140)에 의해 상기 원재측 이형지(13)가 절단되어 상기 절단 이형지(23)가 형성된다.
그런 다음, 상기 가압 부재(145)를 상기 상승하여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10)로부터 이격시키면, 상기 탄성체(133)의 탄성력 복원에 의해 상기 승강체(132)는 상승되면서 원위치로 복귀되고, 상기 안착 부재(120)도 탄성력 복원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된다.
이 때, 상기 안착 부재(120)의 원상태 복귀에 의해 상기 절단 부재(140)는 상기 안착 부재(120) 내부로 다시 파묻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100)가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10)를 이용하여 자동차용 채널 커버(20)를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베이스 부재(110)와, 상기 안착 부재(120)와, 상기 위치 정렬 부재(130)와, 상기 절단 부재(140) 및 상기 가압 부재(145)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가압 부재(145)를 눌러 주는 작업만으로도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20)를 구성하는 상기 절단 이형지(23)를 한 번에 형성시킬 수 있고,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20)를 구성하는 커버측 몸체(21)에 대해 상기 절단 이형지(23)가 항상 동일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커버측 몸체(21)의 손상도 방지되어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20)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이미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그에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의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를 구성하는 절단 부재측 파손 방지 부재의 단면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7 및 도 8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200)가 베이스 부재(210)와, 안착 부재(220)와, 위치 정렬 부재(230)와, 절단 부재와, 가압 부재(245) 및 절단 부재측 파손 방지 부재(260)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부재(210)는 일정 면적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된 것이다.
상기 안착 부재(220)는 상기 베이스 부재(210)의 상측에 배치되고, 그 상부에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가 안착되며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위치 정렬 부재(230)는 상기 베이스 부재(210) 상에서 복수 개가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가 상기 안착 부재(220)에 안착될 때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의 외곽과 맞물려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의 위치를 정렬시키는 것이다.
상기 절단 부재는 상기 베이스 부재(210) 중 상기 안착 부재(220)의 내부에서 돌출되되, 상기 안착 부재(220)의 높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돌출됨으로써 상기 안착 부재(220)에 파묻힌 형태로 형성되고, 원재측 이형지를 절단시켜 절단 이형지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가압 부재(245)는 상기 안착 부재(220)에 안착된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를 눌러 주는 것이다.
상기 절단 부재측 파손 방지 부재(260)는 상기 베이스 부재(210)에서 돌출되는 형태로 장착되고, 상기 원재측 이형지에 상기 절단 이형지를 형성시키기 위해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에 상기 가압 부재(245)로부터 압력이 가해질 때, 미리 설정된 압력보다 상대적으로 큰 압력인 초과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초과 압력에 의한 상기 절단 부재의 파손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절단 부재측 파손 방지 부재(260)는 케이스(261)와, 파손 방지측 승강체(262)와, 기체 수용체(264)와, 박막부(265)와, 기체 유동관(266)과, 파손 방지측 팽창체(268)와, 파손 방지측 탄성체(269)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261)는 그 내부가 빈 원통 형태로 형성되면서 상기 베이스 부재(210)의 상단으로 돌출된 것이다.
상기 파손 방지측 승강체(262)는 원형 실린더 형태로 형성되고, 그 말단부가 상기 케이스(261) 내부에 삽입되어 연결되며, 상기 가압 부재(245)가 압력을 전달하는 방향, 즉,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의 상면에 수직되는 방향으로 승강되는 것이다.
상기 기체 수용체(264)는 상기 파손 방지측 승강체(262)의 상측부에 결합되고, 고무 등 탄성을 가진 물질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에 기체가 수용되어 팽창된 상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기체 수용체(264)의 하측부는 아래로 내려갈수록 수렴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박막부(265)는 상기 기체 수용체(264) 중 하측부의 수렴되는 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기체 수용체(264)의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얇은 박막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기체 유동관(266)은 상기 파손 방지측 승강체(262)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박막부(265)와 연결되면서 소정 길이 길게 형성되다가 그 말단부에서 양측으로 각각 굽혀지면서 상기 파손 방지측 승강체(262)의 외측면까지 연장되어 상기 파손 방지측 승강체(262)를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는 T자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파손 방지측 팽창체(268)는 상기 기체 유동관(266) 중 상기 파손 방지측 승강체(262)의 외측면에 근접된 말단부에서 상기 기체 유동관(266)을 감싸는 형태로 각각 배치되고, 상기 기체 유동관(266)의 내부와 각각 연통되며, 고무 등 탄성을 가진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파손 방지측 탄성체(269)는 상기 파손 방지측 승강체(262)에 상기 가압 부재(245)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이 미리 설정된 압력을 초과하는 상기 초과 압력이 전달될 경우,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초과 압력을 상대적으로 감쇠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압축 스프링 등이 그 예로 제시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가압 부재(245)의 오작동 등으로 인해 상기 가압 부재(245)가 상대적으로 증가된 속도로 상기 안착 부재(220) 쪽으로 하강되면서 상기 승강체(262)와 밀착되어 상기 승강체(262)에 상기 초과 압력이 발생되더라도, 팽창된 상기 파손 방지측 팽창체(268)가 상기 케이스(261)의 내측면에 밀차되어 상기 파손 방지측 승강체(262)의 하강 속도가 일차적으로 감소되고, 상기 파손 방지측 탄성체(269)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파손 방지측 승강체(262)의 하강 속도가 이차적으로 감소됨으로써, 상기 가압 부재(245)로 전달되는 상기 초과 압력이 상기 절단 부재에 직접 전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도면 번호 263은 상기 파손 방지측 승강체(262)의 상기 기체 유동관(266)이 삽입된 부분 중 상기 파손 방지측 팽창체(268)가 배치된 외측면 쪽에 형성되되, 그 내부로부터 외측면 쪽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확장되어 전체적으로는 깔때기 형태로 형성되는 확장홀이다.
상기 확장홀(263)에 상기 파손 방지측 팽창체(268)가 배치됨으로써, 상기 파손 방지측 팽창체(268)는 부채꼴 형태로 팽창될 수 있다.
도면 번호 267은 기체 유동관(266) 중 상기 파손 방지측 승강체(262)를 관통하는 부분의 중앙부에서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기체 수용체(264) 내부에 수용된 상기 기체가 상기 기체 유동관(266)을 통해 상기 각 파손 방지측 팽창체(268) 쪽으로 유동되도록 상기 기체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기체 유동 가이드 돌기체이다.
또한, 상기 기체 유동 가이드 돌기체(267)는 상기 기체 유동관(266)의 내측면으로부터 뾰족한 형태로 돌출되어 상기 기체 수용체(264) 쪽에서 상기 각 파손 방지측 팽창체(268) 쪽으로 상기 기체가 유동될 때, 상기 기체의 유동량을 분배시켜 상기 기체가 상기 각 파손 방지측 팽창체(268) 쪽으로 균일하게 유동되도록 한다.
상기 안착 부재(220) 상에 올려진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에 상기 절단 이형지를 형성시키기 위해 미리 설정된 압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정상 압력이 상기 가압 부재(245)로부터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에 가해지면, 상기 박막부(265)는 그 형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파손 방지측 승강체(262)와 함께 하강되어 상기 케이스(261)의 내부에 삽입된다.
반면 상기 가압 부재(245)의 오작동 등으로 인해 미리 설정된 압력을 초과하는 상기 초과 압력이 상기 가압 부재(245)로부터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에 가해지면, 상기 초과 압력에 의해 상기 박막부(265)가 터지면서 상기 기체 수용체(264) 내에 수용되어 있던 공기 등의 상기 기체가 상기 기체 유동관(266)을 통해 상기 파손 방지측 팽창체(268)의 내부로 각각 유입되고, 유입된 상기 기체에 의해 상기 각 파손 방지측 팽창체(268)가 팽창되어 상기 파손 방지측 팽창체(268)와 대면되는 상기 케이스(261)의 내측면에 각각 접촉되고 이 때, 상기 파손 방지측 탄성체(269)는 상기 파손 방지측 승강체(262)의 하부를 지지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파손 방지측 승강체(262)의 하강 속도가 상대적으로 감소되어 상기 절단 부재에 상기 초과 압력이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상기 절단 부재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절단 부재측 파손 방지 부재(260)는 상기 베이스 부재(210) 상에 적어도 하나 설치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대각선 방향으로 두 개가 이격되어 설치되거나, 본 실시예에서처럼, 상기 안착 부재(220)의 외곽에 네 개가 소정 거리 이격되면서 설치되어 복수 개의 지점에서 상기 초과 압력을 함께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에 의하면, 가압 부재를 눌러 주는 작업만으로도 자동차용 채널 커버를 구성하는 절단 이형지를 한 번에 형성시킬 수 있고,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를 구성하는 커버측 몸체에 대해 상기 절단 이형지가 항상 동일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커버측 몸체의 손상도 방지될 수 있으므로, 그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10 :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 11 : 원재측 몸체
12 : 원재측 점착면 13 : 원재측 이형지
14 : 원재측 관통 홀 20 : 자동차용 채널 커버
21 : 커버측 몸체 22 : 커버측 점착면
23 : 절단 이형지 26 : 커버측 관통 홀
100 :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
110 : 베이스 부재 120 : 안착 부재
130 : 위치 정렬 부재 140 : 절단 부재
145 : 가압 부재 150 : 안착 부재측 위치 고정 부재
260 : 절단 부재측 파손 방지 부재

Claims (5)

  1. 자동차의 통풍 시트용 시트 패드에 형성된 채널을 덮을 수 있도록 일정한 면적을 가진 원재측 몸체와, 상기 원재측 몸체의 일 면에 형성되는 원재측 점착면과, 상기 원재측 점착면이 보호되도록 상기 원재측 점착면에 점착되는 원재측 이형지와, 상기 원재측 몸체에 관통 형성된 원재측 관통 홀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를 이용하여 자동차용 채널 커버를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정 면적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된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측에 배치되고, 그 상부에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가 안착되며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안착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 상에서 복수 개가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가 상기 안착 부재에 안착될 때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의 외곽과 맞물려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의 위치를 정렬시키는 위치 정렬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 중 상기 안착 부재의 내부에서 돌출되되, 상기 안착 부재의 높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돌출됨으로써 상기 안착 부재에 파묻힌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원재측 이형지를 절단시켜 절단 이형지가 형성되도록 하는 절단 부재; 및
    상기 안착 부재에 안착된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를 눌러 주는 가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정렬 부재는 상기 가압 부재가 이동되는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원재측 이형지가 상기 안착 부재에 대면되는 방향으로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가 상기 안착 부재에 안착되고, 상기 절단 부재가 상기 안착 부재 내부에 파묻힌 상태에서, 상기 가압 부재가 미리 설정된 높이까지 하강되어 상기 위치 정렬 부재 및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를 눌러 주면, 상기 위치 정렬 부재는 하강되고, 상기 안착 부재는 탄성 변형되면서 압축되고, 상기 안착 부재의 압축에 의해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는 상기 베이스 부재에 상대적으로 근접됨과 함께 상기 절단 부재는 상기 안착 부재 상으로 노출되고, 노출된 상기 절단 부재에 의해 상기 원재측 이형지가 절단되어 상기 절단 이형지가 형성됨으로써, 자동차용 채널 커버가 제조될 수 있고,
    상기 절단 이형지가 형성된 후 상기 가압 부재가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를 눌러 주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로부터 이격되면, 하강된 상기 위치 정렬 부재는 상승되고, 압축된 상기 안착 부재도 탄성력 복원에 의해 원상태로 복구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절단 부재는 상기 안착 부재 내부에 다시 파묻히는 상태로 회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렬 부재는
    상기 베이스 부재 상에 설치되고, 그 내부가 빈 원형 실린더 형태로 형성되는 위치 정렬 몸체와,
    상기 위치 정렬 몸체의 내부에서 승강 가능하게 연결되는 승강체와,
    상기 승강체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승강체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 부재가 하강되어 상기 승강체를 눌러 주면, 상기 승강체가 하강되면서 상기 탄성체에 탄성력이 축적되고,
    하강된 상기 가압 부재가 상승되어 상기 승강체로부터 이격되면,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 복원에 의해 상기 승강체가 상승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 부재에는 그 일측 말단부 및 그 타측 말단부에서 내측으로 소정 깊이 함몰되는 한 쌍의 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는
    상기 베이스 부재에 대한 상기 안착 부재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안착 부재측 위치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 부재측 위치 고정 부재는
    상기 안착 부재의 각 모서리에 배치되는 모서리 고정체와,
    상기 안착 부재의 한 쌍의 상기 함몰부 중 하나에 맞물리는 상측 함몰 고정체와,
    상기 안착 부재의 한 쌍의 상기 함몰부 중 다른 하나에 맞물리는 하측 함몰 고정체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 부재가 상기 안착 부재를 압축시킬 때,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모서리 고정체 및 상기 상측 함몰 고정체 및 상기 하측 함몰 고정체에 접촉될 때까지 하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부재는 상기 베이스 부재 상에서 돌출되되, 상기 안착 부재의 높이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되고, 상기 안착 부재측 위치 고정 부재의 높이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 부재는
    상기 절단 부재의 내측 공간에 배치되는 내측 안착부와,
    상기 절단 부재의 외측 공간에 배치되는 외측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안착부 및 상기 외측 안착부는 스폰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압 부재가 하강될 때 상기 내측 안착부 및 상기 외측 안착부가 함께 압축됨으로써, 상기 내측 안착부 및 상기 외측 안착부가 압축되는 방향에서 벗어나는 것이 서로에 의해 견제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내측 안착부 및 상기 외측 안착부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절단 부재에 의해 임의 절단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
KR1020200135090A 2020-10-19 2020-10-19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 KR1023678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5090A KR102367888B1 (ko) 2020-10-19 2020-10-19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5090A KR102367888B1 (ko) 2020-10-19 2020-10-19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7888B1 true KR102367888B1 (ko) 2022-03-02

Family

ID=80815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5090A KR102367888B1 (ko) 2020-10-19 2020-10-19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788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80909A (ja) * 2010-10-06 2012-04-26 Inoac Corp ダクト入りシートパッドの製造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発泡型
JP2012081161A (ja) * 2010-10-14 2012-04-26 Inoac Corp ダクト入りシートパ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80037649A (ko) 2016-10-04 2018-04-13 주식회사 유니크 연료 차단 밸브
KR101858149B1 (ko) * 2017-01-20 2018-05-16 부성에버텍(주)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 금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80909A (ja) * 2010-10-06 2012-04-26 Inoac Corp ダクト入りシートパッドの製造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発泡型
JP2012081161A (ja) * 2010-10-14 2012-04-26 Inoac Corp ダクト入りシートパ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80037649A (ko) 2016-10-04 2018-04-13 주식회사 유니크 연료 차단 밸브
KR101858149B1 (ko) * 2017-01-20 2018-05-16 부성에버텍(주)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 금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35334B2 (ja) 変形可能なパンチによってシート材料をプレス加工する方法と装置
KR101550619B1 (ko) 프레스 장치
EP1915927A1 (en) Vehicle seat pad
JP2680905B2 (ja) 薄板材をプレス加工するための装置
KR100878576B1 (ko) 암레스트 스킨 부착장치
KR102367888B1 (ko)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
US4851070A (en) Method of forming an automotive seat having a cover inserted in a lateral groove
KR101642895B1 (ko) 자동차용 휠 밸런스 웨이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EP0491602B1 (fr) Dispositif d'emboutissage de matériaux en feuille notamment de flans de tôle
CN101844176B (zh) 凸轮装置的凸轮滑块用缓冲件及其安装方法
CN101272934A (zh) 用于将饰件固定于机动车凹处支柱上的设备和方法
KR20200094278A (ko) 자동차 시트 프레임 폴가이드 장착용 버링 성형장치
KR20170001556A (ko) 브레이크 장치 및 브레이크 방법
JP3189969B2 (ja) 加飾体貼着木目込み方法及びその装置
KR102412953B1 (ko)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
KR102412954B1 (ko)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
KR102412952B1 (ko)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
KR100765103B1 (ko) 자동차 도어 트림의 내피 접합용 상부금형
KR20190008601A (ko) 차량용 고임목
CN111465529A (zh) 车辆用座椅以及垫振动特性的调整方法
KR20220051554A (ko) 자동차용 채널 커버 형상 검사 지그
JPH065724U (ja) プレス金型
KR102479571B1 (ko) 프로그레시브 금형장치
JPS6135012B2 (ko)
JP2013233900A (ja) 車両用シート及びその表皮材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