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2953B1 -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2953B1
KR102412953B1 KR1020200135089A KR20200135089A KR102412953B1 KR 102412953 B1 KR102412953 B1 KR 102412953B1 KR 1020200135089 A KR1020200135089 A KR 1020200135089A KR 20200135089 A KR20200135089 A KR 20200135089A KR 102412953 B1 KR102412953 B1 KR 1024129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adhesive surface
raw material
vehicle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5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1552A (ko
Inventor
강용연
김승현
Original Assignee
부성에버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성에버텍(주) filed Critical 부성에버텍(주)
Priority to KR1020200135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2953B1/ko
Publication of KR20220051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15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2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29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6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N2/5607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 B60N2/5621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A47C7/74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8Cutting-out; Stamping-out
    • B26F1/40Cutting-out; Stamping-out using a press, e.g. of the ram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8Cutting-out; Stamping-out
    • B26F1/44Cutters therefor; D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8Seat coverings
    • B60N2/5891Seat covering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 manufacturing seat cove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가 원제측 몸체와, 원재측 점착면과, 노출 점착면과, 원재측 이형지와, 원재측 관통 홀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를 이용하여 자동차용 채널 커버를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 베이스 부재와, 안착 부재 및 덮개측 삽입부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노출 점착면에 상기 점착면 덮개를 한 번에 점착시킴으로써, 상기 점착면 덮개를 점착시키기 위한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점착면 덮개의 점착 오류 시 발생될 수 있는 재점착 작업이 제거되어 상기 점착면 덮개의 점착력 약화가 방지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Jig for manufacturing automotive channel covers}
본 발명은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에 관한 것이다.
근래 제작되는 자동차들은 자동차의 고급화에 따라 자동차 시트에 온열선 설치뿐만 아니라, 더운 여름에 탑승자가 승차할 경우 상기 탑승자의 불쾌감을 해소시켜 주기 위해 상기 탑승자의 둔부와 등 부위에 바람을 불어 주는 시트가 적용된다.
상기와 같이 바람을 불어 주는 시트를 통풍 시트라 하고, 자동차 통풍 시트의 예로 제시될 수 있는 것이 아래 제시된 특허문헌의 그것이다.
이러한 통풍 시트로는 채널식 통풍 시트와 매트 타입 통풍 시트 등이 있고, 그 중, 상기 채널식 통풍 시트는 둔부 및 등받이부 중 적어도 하나에 복수 개의 관통 홀이 형성된 가죽 또는 인조 가죽 등의 외피와, 상기 외피의 내부에 배치되는 시트 패드와, 상기 시트 패드에 관통 형성되는 채널과, 바람을 생성시키는 통풍 블로어와, 상기 통풍 블로어에서 생성된 바람을 상기 채널까지 유동시키는 에어 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통풍 블로어에서 생성된 바람이 상기 에어 덕트를 통해 상기 채널까지 유동된 다음, 상기 외피의 관통 홀을 통해 배출되어 상기 탑승자에게 바람을 전달하게 된다.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는 상기 에어 덕트와 연결되고, 상기 시트 패드 중 상기 탑승자의 등과 대면되는 면의 반대 면인 상기 시트 패드의 배면을 덮는 것이고,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는 그 일면에 형성된 점착면을 이용하여 상기 시트 패드에 점착된다.
상기 시트 패드의 배면과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사이에는 자동차의 작동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케이블 또는 덕트가 배치되는데, 이러한 상기 케이블 또는 덕트가 상기 점착면에 미점착되도록 상기 점착면 중 상기 케이블 또는 덕트가 경유되는 부분에는 점착면 덮개를 점착하게 된다.
즉, 상기 점착면 중 상기 케이블이 경유되는 부분에는 상기 점착면 덮개를 먼저 점착시킨 다음, 상기 점착면 덮개가 점착된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를 상기 시트 패드에 점착시키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자동차용 채널 커버에 의하면, 상기 점착면에 상기 점착면 덮개를 작업자가 직접 수작업으로 점착하게 되는데,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상기 점착면 덮개를 미리 정해진 위치에 한번에 점착시키는 것에 어려움을 호소하는 경우가 있었고, 그 위치가 틀어질 경우 상기 점착면 덮개를 다시 떼었다가 재점착함으로써 작업 시간이 길어지고, 상기 점착면 덮개를 복수 회 재점착할 경우 점착력이 약해짐으로 인해 제품을 폐기해야 함으로써 자재가 낭비되는 문제가 있었다.
공개특허 제 10-2018-0037649 호, 공개일자 : 2018.04.13., 발명의 명칭 : 자동차용 통풍 시트
본 발명은 원제측 몸체와, 원재측 점착면과, 노출 점착면과, 원재측 이형지와, 원재측 관통 홀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에 점착면 덮개를 한 번에 점착시켜 자동차용 채널 커버를 제조함으로써, 상기 점착면 덮개를 점착시키기 위한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점착면 덮개의 점착 오류 시 발생될 수 있는 재점착 작업이 제거되어 상기 점착면 덮개의 점착력 약화가 방지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는 자동차의 통풍 시트용 시트 패드에 형성된 채널을 덮을 수 있도록 일정한 면적을 가진 원재측 몸체와, 상기 원재측 몸체의 일 면에 형성되는 원재측 점착면과, 상기 원재측 점착면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노출 점착면과, 상기 원재측 점착면에 점착되는 원재측 이형지와, 상기 원재측 몸체에 관통 형성된 원재측 관통 홀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를 이용하여 자동차용 채널 커버를 제조하기 위한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로서, 일정 면적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된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측에 배치되면서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가 안착되는 안착 부재; 및 상기 안착 부재에서 소정 깊이 함몰되어 형성되고, 그 내부에 상기 노출 점착면에 점착되는 점착면 덮개가 복수 개 적층되면서 삽입되는 점착면 덮개측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점착면 덮개는 일정 길이 길게 형성되는 일측 점착면 덮개와, 일정 길이 길게 형성되면서 상기 일측 점착면 덮개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타측 점착면 덮개와, 상기 일측 점착면 덮개와 상기 타측 점착면 덮개를 연결시켜 주는 연결 점착면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점착면 덮개측 삽입부는 상기 일측 점착면 덮개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일측 덮개측 삽입홈과, 상기 일측 덮개측 삽입홈과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타측 점착면 덮개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타측 덮개측 삽입홈과, 상기 일측 덮개측 삽입홈과 상기 타측 덮개측 삽입홈을 연결시켜 주고, 상기 연결 점착면 덮개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연결 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노출 점착면과 상기 안착 부재가 서로 마주보게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를 상기 안착 부재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를 누르게 되면, 복수 개의 상기 점착면 덮개 중 최상단에 배치된 것이 상기 노출 점착면에 밀착되면서 점착됨으로써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가 제조될 수 있고,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는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가 상기 안착 부재에 안착될 때, 상기 안착 부재에 대한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의 위치를 정렬시키는 위치 정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정렬 부재는 상기 점착면 덮개측 삽입부에서 상기 안착 부재의 상면 쪽을 향해 원형 실린더 형태로 소정 길이 돌출되는 홀 삽입부와,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의 외곽 중 상측부 및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의 외곽 중 하측부에 각각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안착 부재의 상면에서 한 쌍이 돌출 형성되는 외곽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 삽입부에 상기 원재측 관통 홀이 삽입되고, 상기 외곽 고정부에 의해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의 외곽이 맞물림으로써 상기 안착 부재 상에서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의 위치가 정렬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고,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는 상기 안착 부재 중 상기 점착면 덮개측 삽입부가 형성된 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점착면 덮개측 삽입부에 삽입된 상기 점착면 덮개가 미리 설정된 높이까지 상승되는 것을 감지하는 상승 감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승 감지 부재는 상기 점착면 덮개측 삽입부의 양 측벽에 각각 하나씩 삽입되는 형태로 배치되는 케이스와, 일정 면적의 평판 형태로 형성되고, 그 양측 말단부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각각 삽입되고, 상기 케이스의 상하 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는 승강체와, 상기 승강체 중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삽입된 양측 말단부에서 한 쌍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점착면 덮개의 삽입 여부를 감지하는 삽입 감지 센서와, 상기 승강체의 양측 말단부에서 상방으로 각각 돌출되어, 상기 승강체의 상승을 감지하는 상승 감지 센서와, 상기 승강체의 저면에 배치되어 상기 승강체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와, 상기 케이스 중 상기 승강체의 승강 방향으로 따라 소정 길이 길게 형성되고, 상기 승강체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홀을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점착면 덮개가 적층된 상태로 상기 점착면 덮개측 삽입부에 삽입되면, 상기 삽입 감지 센서에 의해 복수 개의 상기 점착면 덮개의 삽입이 감지되고, 복수 개의 상기 점착면 덮개의 자중에 의해 상기 승강체가 상기 베이스 부재와 상대적으로 근접되는 방향으로 하강되면서 상기 탄성체에는 탄성력이 축적되고, 복수 개의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에 대하여 복수 개가 서로 다른 높이로 적층되어 있던 상기 점착면 덮개 중 최상단의 것부터 순차적으로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를 구성하는 상기 노출 점착면에 하나씩 점착되어 제거되면, 복수 개로 적층되어 있던 상기 점착면 덮개의 개수가 점진적으로 줄어들어 복수 개로 적층되어 있던 상기 점착면 덮개의 자중이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반면, 상기 탄성체의 축적된 탄성력은 복원되어 하강되어 있던 상기 승강체가 상승되고, 상기 승강체의 상승에 의해 상기 상승 감지 센서가 함께 상승되다가 상기 케이스의 내부 천장에 접촉되어 상기 승강체의 상승이 감지됨으로써 상기 점착면 덮개측 삽입부에 상기 점착면 덮개의 추가 삽입 시점이 확인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에 의하면,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가 원제측 몸체와, 원재측 점착면과, 노출 점착면과, 원재측 이형지와, 원재측 관통 홀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를 이용하여 자동차용 채널 커버를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 베이스 부재와, 안착 부재 및 덮개측 삽입부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노출 점착면에 상기 점착면 덮개를 한 번에 점착시킴으로써, 상기 점착면 덮개를 점착시키기 위한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점착면 덮개의 점착 오류 시 발생될 수 있는 재점착 작업이 제거되어 상기 점착면 덮개의 점착력 약화가 방지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의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 상공에 점착면 덮개가 배치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에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가 안착되기 전의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에 안착되는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의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의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를 구성하는 상승 감지 부재의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의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를 구성하는 안착 부재측 파손 방지 부재의 단면을 확대한 확대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의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 상공에 점착면 덮개가 배치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에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가 안착되기 전의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에 안착되는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의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100)는 자동차의 통풍 시트용 시트 패드에 형성된 채널을 덮을 수 있도록 일정한 면적을 가진 원재측 몸체(11)와, 상기 원재측 몸체(11)의 일 면에 형성되는 원재측 점착면(12)과, 상기 원재측 점착면(12)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노출 점착면(13)과, 상기 원재측 점착면(12)이 보호되도록 상기 원재측 점착면(12)에 점착되는 원재측 이형지(14)와, 상기 원재측 몸체(11)에 관통 형성된 원재측 관통 홀(15)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10)를 이용하여 자동차용 채널 커버를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서, 베이스 부재(110)와, 안착 부재(120)와, 점착면 덮개측 삽입부(130)를 포함한다.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는 부직포 재질로 이루어지고, 그 두께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가지는 커버측 몸체와, 상기 커버측 몸체의 일 면에 형성된 커버측 점착면에 점착되는 커버측 이형지와, 자동차에 구비된 통풍 블로어에서 생성되는 바람을 상기 자동차의 통풍 시트용 시트 패드 쪽으로 유동시키는 덕트가 삽입되도록 상기 커버측 몸체의 중앙부에 관통 형성되는 커버측 관통 홀과,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100)에 의해 상기 노출 점착면(13)에 점착되고 후술되는 점착면 덮개(2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의 구성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는 상기 커버측 관통 홀 주변에서 복수 개가 소정 각도 이격되면서 배치되고, 상기 커버측 관통 홀에 삽입되는 상기 덕트를 고정시키기 위한 볼트 등의 연결 수단이 관통되는 연결 수단 관통 홀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100)는 위치 정렬 부재(1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부재(110)는 일정 면적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된 것이다.
상세히, 상기 베이스 부재(110)는 나무, 합성 수지, 금속재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사각 판넬 형태로 형성되어 테이블 상면 등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100)가 설치되는 설치면 상에 안착될 수 있다.
도면 번호 111은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100)를 상기 설치면 상에 안착시키거나 상기 설치면으로부터 이동시킬 때, 작업자가 손가락 등 손의 일부를 삽입하여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100)를 들어 올릴 수 있도록 관통 형성된 손가락 삽입홀이다.
상기 안착 부재(120)는 상기 베이스 부재(110)의 상측에 배치되면서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가 안착되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안착 부재(120)는 일정 면적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10)가 안착될 때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10)의 안착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투명 또는 불투명한 합성 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면 덮개측 삽입부(130)는 상기 안착 부재(120)에서 소정 깊이 함몰되어 형성되고, 그 내부에 상기 노출 점착면(13)을 덮기 위해 상기 노출 점착면(13)에 점착되는 점착면 덮개(20)가 복수 개 적층되면서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 점착면 덮개(20)는 일정 길이 길게 형성되는 일측 점착면 덮개(21)와, 일정 길이 길게 형성되면서 상기 일측 점착면 덮개(21)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타측 점착면 덮개(22)와, 상기 일측 점착면 덮개(21)와 상기 타측 점착면 덮개(22)를 연결시켜 주는 연결 점착면 덮개(23)를 포함한다.
상기 점착면 덮개측 삽입부(130)는 일측 덮개측 삽입홈(131)과, 타측 덮개측 삽입홈(132)과, 연결 삽입홈(133)을 포함한다.
상기 일측 덮개측 삽입홈(131)은 상기 일측 점착면 덮개(21)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타측 덮개측 삽입홈(132)은 상기 일측 덮개측 삽입홈(131)과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타측 점착면 덮개(22)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연결 삽입홈(133)은 상기 일측 덮개측 삽입홈(131)과 상기 타측 덮개측 삽입홈(132)을 연결시켜 주고, 상기 연결 점착면 덮개(23)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일측 덮개측 삽입홈(131) 및 상기 타측 덮개측 삽입홈(132)이 소정 길이 길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 삽입홈(133)이 상기 일측 덮개측 삽입홈(131) 및 상기 타측 덮개측 삽입홈(132)의 길이 방향에 수직되는 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점착면 덮개측 삽입부(130)는 전체적으로 H자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점착면 덮개측 삽입부(130) 역시 상기 점착면 덮개(20)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점착면 덮개(20)도 H자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일측 덮개측 삽입홈(131) 및 상기 타측 덮개측 삽입홈(132)은 상기 연결 삽입홈(133)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후술되는 홀 삽입부(141)의 중심을 지나면서 상기 일측 덮개측 삽입홈(131)을 평행하게 가로지르는 가상의 연장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점착면 덮개측 삽입부(130)가 상기와 같이 형성되면, 상기 일측 점착면 덮개(21), 상기 타측 점착면 덮개(22) 및 상기 연결 점착면 덮개(23)의 각 외곽이 상기 일측 덮개측 삽입홈(131), 상기 타측 덮개측 삽입홈(132) 및 상기 연결 삽입홈(133)의 각 내측면에 맞물리면서 상기 점착면 덮개(20)가 상기 점착면 덮개측 삽입부(130)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점착면 덮개(20)가 H자 형태로 복잡하게 형성되더라도, 그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상기 점착면 덮개측 삽입부(130) 내에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점착면 덮개(20)가 복잡한 형태로 형성되더라도 상기 점착면 덮개측 삽입부(130) 내에 전체적으로 한 번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점착면 덮개(20)를 상기 점착면 덮개측 삽입부(130)에 삽입될 그 복잡한 형상에 의해 그 일부가 구겨지는 것도 함께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100)가 상기와 같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노출 점착면(13)과 상기 안착 부재(120)가 서로 마주보게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10)를 상기 안착 부재(120)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10)를 압력을 가하여 누르게 되면, 복수 개의 상기 점착면 덮개(20) 중 최상단에 배치된 것이 상기 노출 점착면(13)에 밀착되면서 점착됨으로써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가 제조될 수 있다.
한편, 복수 개로 적층된 상기 점착면 덮개(20)가 상기 점착면 덮개측 삽입부(130)에 삽입될 때, 복수 개의 상기 점착면 덮개(20)는 소정 높이를 가지면서 형성되고, 복수 개의 상기 점착면 덮개(20)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안착 부재(120)에 안착된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10)의 상기 노출 점착면(13)에 안착 가능하도록 상기 안착 부재(120)의 상면에서 상대적으로 더 돌출되는 형태로 삽입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점착면 덮개측 삽입부(130)에 복수 개가 적층되어 삽입된 상기 점착면 덮개(20)는 복수 개의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10)를 구성하는 상기 노출 점착면(13)에 각각 하나씩 점착되는 작업이 수행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점착면 덮개측 삽입부(130)에 삽입된 복수 개의 적층된 상기 점착면 덮개(20)는 최상단의 것부터 순차적으로 줄어들게 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10)가 상기 안착 부재(120)에 안착된 상태에서 프레스기 등의 가압 수단(미도시)에 의해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점착면 덮개측 삽입부(130)에 적층되면서 삽입된 복수 개의 상기 점착면 덮개(20) 중 상기 안착 부재(120)로부터 돌출되면서 최상단에 위치된 것이 하나의 상기 노출 점착면(13)에 점착되어 제거되고, 다른 하나의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10)가 다시 상기 안착 부재(120)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가압 수단에 의해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점착면 덮개측 삽입부(130)에 적층되면서 삽입된 복수 개의 상기 점착면 덮개(20) 중 상기 안착 부재(120)로부터 돌출되면서 최상단에 위치된 것 아래에 있던 것이 다른 하나의 상기 노출 점착면(13)에 점착되어 제거되고, 상기와 같은 점착 작업이 반복됨에 따라 적층되어 있던 상기 점착면 덮개(20)는 최상단의 것부터 순차적으로 줄어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일측 덮개측 삽입홈(131)이 상기 일측 점착면 덮개(21)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타측 덮개측 삽입홈(132)이 상기 타측 점착면 덮개(22)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 삽입홈(133)이 상기 연결 점착면 덮개(23)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면서 상기 점착면 덮개(20)의 전면적이 상기 점착면 덮개측 삽입부(130) 내로 삽입되어 상기 안착 부재(120)에 대한 상기 점착면 덮개(20)의 위치가 정렬된 상태에서 상기 점착면 덮개(20)가 상기 노출 점착면(13)에 점착됨으로써, 상기 점착면 덮개(20)가 복잡한 형상임에도 불구하고 상기 노출 점착면(13)에 한번에 점착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점착 위치 오류 시 발생될 수 있는 반복 재점착 작업이 방지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노출 점착면(13)에 대한 상기 점착면 덮개(20)의 점착력이 초기 상태 그대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위치 정렬 부재(140)는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10)가 상기 안착 부재(120)에 안착될 때, 상기 안착 부재(120)에 대한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10)의 위치를 정렬시키는 것으로, 홀 삽입부(141)와, 외곽 고정부(142)를 포함한다.
상기 홀 삽입부(141)는 상기 점착면 덮개측 삽입부(130)에서 상기 안착 부재(120)의 상면 쪽을 향해 내부가 빈 원형 실린더인 도넛 형태로 소정 길이 돌출되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홀 삽입부(141)는 상기 연결 삽입홈(133)의 중앙부 저면으로부터 상기 안착 부재(120)의 상면 쪽으로 돌출되고, 그 직경이 상기 원재측 관통 홀(15)의 직경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10)가 상기 안착 부재(120)에 안착될 때 상기 원재측 관통 홀(15)에 삽입된다.
상기 외곽 고정부(142)는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10)의 외곽 중 상측부 및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10)의 외곽 중 하측부에 각각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안착 부재(120)의 상면에서 한 쌍이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상측 고정부(143)와 하측 고정부(146)를 포함한다.
상기 상측 고정부(143)는 상기 홀 삽입부(141)가 상기 원재측 관통 홀(15)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10)가 상기 안착 부재(120) 상에 안착될 때,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10)의 상측 외곽 일부와 맞물리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상측 고정부(143)는 상기 연결 삽입홈(133)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면서 상기 연결 삽입홈(133)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상측 수평체(144)와, 상기 상측 수평체(144)의 양측 말단에서 상방으로 각각 절곡되면서 굽혀지는 상측 절곡체(145)를 포함한다.
상기 하측 고정부(146)는 상기 홀 삽입부(141)가 상기 원재측 관통 홀(15)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10)가 상기 안착 부재(120) 상에 안착될 때,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10)의 하측 외곽 일부와 맞물리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하측 고정부(146)는 상기 연결 삽입홈(133)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면서 상기 연결 삽입홈(133)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하측 수평체(147)와, 상기 하측 수평체(147)의 양측 말단에서 하방으로 각각 절곡되면서 굽혀지는 하측 절곡체(148)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상측 고정부(143) 및 상기 하측 고정부(146)는 홀 삽입부(141)의 중심을 지나고 상기 연결 삽입홈(133)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평의 가상선을 중심으로 서로 대면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홀 삽입부(141)에 상기 원재측 관통 홀(15)이 삽입되고, 상기 외곽 고정부(142)에 의해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10)의 외곽이 맞물림으로써 상기 안착 부재(120) 상에서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10)의 위치가 정렬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홀 삽입부(141)는 상기 점착면 덮개(20)를 구성하고 상기 연결 점착면 덮개(23)의 중앙부에 형성된 덮개측 홀(24)에도 함께 삽입된다.
그러면, 상기 홀 삽입부(141)가 상기 덮개측 홀(24)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일측 점착면 덮개(21)와, 상기 타측 점착면 덮개(22)와, 상기 연결 점착면 덮개(23)가 상기 일측 덮개측 삽입홈(131)과, 상기 타측 덮개측 삽입홈(132)과, 상기 연결 삽입홈(133)에 각각 삽입됨으로써, 복수 개의 상기 점착면 덮개(20)가 상기 점착면 덮개측 삽입부(130)에 적층 상태로 삽입되더라도, 임의로 이동되지 아니하고 모두 동일한 위치에 정렬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홀 삽입부(141)가 상기 덮개측 홀(24)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안착 부재(120)에 형성된 상기 점착면 덮개측 삽입부(130)에 상기 점착면 덮개(20)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안착 부재(120)에 대한 상기 점착면 덮개(20)의 위치가 정렬되고, 상기 점착면 덮개(20)의 상단에서 상기 안착 부재(120)에 안착되는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10)도 상기 원재측 관통 홀(15)에 상기 홀 삽입부(141)가 삽입된 상태로 상기 상측 고정부(143) 및 상기 하측 고정부(146)에 의해 그 위치가 고정됨으로써 상기 안착 부재(120)에 대한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10)의 위치가 정렬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점착면 덮개(20) 및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10)의 위치도 정렬된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상기 노출 점착면(13)에 상기 점착면 덮개(20)가 정확하게 점착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100)를 이용하여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100)를 상기 설치면 상에 마련한다.
그런다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점착면 덥개측 삽입부에 복수 개로 적층된 상기 점착면 덮개(20)를 삽입한다.
이 때, 복수 개로 적층된 상기 점착면 덮개(20)는 적층되어 소정 높이로 형성되되, 상기 안착 부재(120)에 안착된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10)의 상기 노출 점착면(13)에 안착 가능하도록 일부(적어도 하나 이상)가 상기 안착 부재(120)의 상면에서 상대적으로 더 돌출되는 형태로 삽입된다.
또한, 복수 개로 적층된 상기 점착면 덮개(20)가 상기 점착면 덮개측 삽입부(130)에 삽입될 때, 상기 홀 삽입부(141)가 상기 덮개측 홀(24)에 삽입시켜 상기 점착면 덮개(20)의 위치가 정렬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10)를 상기 안착 부재(120) 상에 안착한다.
이 때,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10)는 상기 노출 점착면(13)이 상기 안착 부재(120)와 대면되는 방향으로 안착된다.
또한,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10)는 상기 홀 삽입부(141)에 상기 원재측 관통 홀(15)이 삽입되고, 상기 외곽 고정부(142)에 의해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10)의 외곽이 맞물려 상기 안착 부재(120)에 대한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10)의 위치가 정렬된 상태로 유지된다.
그러면, 상기 홀 삽입부(141)에 상기 점착면 덮개(20)를 구성하는 상기 덮개측 홀(24)이 삽입된 후 그 상부에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10)를 구성하는 상기 원재측 관통 홀(15)이 삽입됨으로써 상기 점착면 덮개(20)와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10)도 서로 정렬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그런 다음, 프레스기 등의 상기 가압 수단으로 상기 안착 부재(120)에 안착된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10)의 상면을 가압한다.
그러면, 복수 개로 적층된 상기 점착면 덮개(20) 중 최상단의 것이 상기 노출 점착면(13)에 밀착되면서 점착됨으로써,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가 제조된다.
그런 다음, 다른 하나의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10)를 상기 안착 부재(120) 상에 안착하고, 위의 제조 방법을 반복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100)가 상기 원제측 몸체와, 상기 원재측 점착면(12)과 상기 노출 점착면(13)과, 상기 원재측 이형지(14)와, 상기 원재측 관통 홀(15)을 포함하는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10)를 이용하여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를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베이스 부재(110)와, 상기 안착 부재(120) 및 상기 덮개측 삽입부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노출 점착면(13)에 상기 점착면 덮개(20)를 한 번에 점착시킴으로써, 상기 점착면 덮개(20)를 점착시키기 위한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점착면 덮개(20)의 점착 오류 시 발생될 수 있는 재점착 작업이 제거되어 상기 점착면 덮개(20)의 점착력 약화가 방지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이미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그에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의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를 구성하는 상승 감지 부재의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200)가 자동차의 통풍 시트용 시트 패드에 형성된 채널을 덮을 수 있도록 일정한 면적을 가진 원재측 몸체와, 상기 원재측 몸체의 일 면에 형성되는 원재측 점착면과, 상기 원재측 점착면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노출 점착면과, 상기 원재측 점착면이 보호되도록 상기 원재측 점착면에 점착되는 원재측 이형지와, 상기 원재측 몸체에 관통 형성된 원재측 관통 홀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를 이용하여 자동차용 채널 커버를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서, 베이스 부재(210)와, 안착 부재(220)와, 점착면 덮개측 삽입부(230)와, 위치 정렬 부재 및 상승 감지 부재(250)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부재(210)는 일정 면적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된 것이다.
상기 안착 부재(220)는 상기 베이스 부재(210)의 상측에 배치되면서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가 안착되는 것이다.
상기 점착면 덮개측 삽입부(230)는 상기 안착 부재(220)에서 소정 깊이 함몰되어 형성되고, 그 내부에 상기 노출 점착면을 덮기 위해 상기 노출 점착면에 점착되는 점착면 덮개(20)가 복수 개 적층되는 형태로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 위치 정렬 부재는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가 상기 안착 부재(220)에 안착될 때, 상기 안착 부재(220)에 대한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의 위치를 정렬시키는 것이다.
상기 상승 감지 부재(250)는 상기 안착 부재(220) 중 상기 점착면 덮개측 삽입부(230)가 형성된 곳에 배치되고, 상기 점착면 덮개측 삽입부(230)에 삽입된 상기 점착면 덮개(20)가 미리 설정된 높이까지 상승되는 것을 감지하는 것이다.
상기 상승 감지 부재(250)는 상기 안착 부재(220)에 배치되되, 상기 점착면 덮개측 삽입부(230)를 포함하는 일측 덮개측 삽입홈(231), 타측 덮개측 삽입홈(232) 및 연결 삽입홈(232) 중 적어도 하나에서 한 쌍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승 감지 부재(250)의 감지 효율을 높이기 위해 상기 일측 덮개측 삽입홈(231) 및 상기 타측 덮개측 삽입홈(232)에 각각 형성된 것을 그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상승 감지 부재(250)는 케이스(251)와, 승강체(252)와, 삽입 감지 센서(253)와, 상승 감지 센서(256)와, 탄성체(257)와, 가이드홀(258)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251)는 상기 안착 부재(220)에 삽입되되, 상기 점착면 덮개측 삽입부(230)의 양 측벽에 각각 하나씩 삽입되는 형태로 배치되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케이스(251)는 그 내부에 일정 공간이 형성되는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일측 덮개측 삽입홈(231) 또는 상기 타측 덮개측 삽입홈(232)의 내측벽에서 한 쌍이 소정 거리 이격되면서 대면되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스(251)의 이격 거리 사이에는 상기 점착면 덮개(20), 더 정확하게는 일측 점착면 덮개 및 타측 점착면 덮개가 삽입된다.
상기 승강체(252)는 일정 면적의 평판 형태로 형성되고, 그 양측 말단부가 상기 각 케이스(251)의 내부에 각각 삽입되고, 외부의 압력이 전달되는 방향인 상기 케이스(251)의 상하 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승강체(252)의 상면에는 상기 일측 점착면 덮개 및 상기 타측 점착면 덮개가 서로 다른 높이로 복수 개 적층된다.
상기 승강체(252)의 상부에 서로 다른 높이로 복수 개 적층된 상기 일측 점착면 덮개 및 상기 타측 점착면 덮개가 놓여지면 그 자중에 의해 상기 승강체(252)는 상기 베이스 부재(210)와 근접되는 쪽으로 하강된다.
상기 삽입 감지 센서(253)는 상기 승강체(252) 중 상기 케이스(251)의 내부에 삽입된 양측 말단부에서 한 쌍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승강체(252)의 상승 여부를 감지하는 것으로, 레이저를 수발신하여 사물 인식 여부를 확인하는 레이저 센서 등이 그 예로 제시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삽입 감지 센서(253)는 한 쌍의 상기 케이스(251) 중 하나에 삽입된 상기 승강체(252)의 일측 말단부에서 상기 승강체(252)의 타측 말단부를 바라보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레이저를 발신하는 레이저 발신체(254)와, 한 쌍의 상기 케이스(251) 중 다른 하나에 삽입된 상기 승착체의 타측 말단부에서 상기 승강체(252)의 일측 말단부에 배치된 상기 레이저 발신체(254)와 대면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레이저 발신체(254)에서 발신된 상기 레이저를 수신하는 레이저 수신체(255)를 포함한다.
상기 레이저 발신체(254)에서 발신된 상기 레이저가 상기 레이저 수신체(255)에 수신되면 상기 점착면 덮개(20)가 상기 점착면 덮개측 삽입부(230)에 미삽입된 것이고, 상기 레이저 발신체(254)에서 발신된 상기 레이저가 상기 레이저 수신체(255)에 미수신되면 상기 점착면 덮개(20)가 상기 점착면 덮개측 삽입부(230)에 삽입된 것이다.
상기 상승 감지 센서(256)는 상기 승강체(252)의 양측 말단부에서 상방으로 각각 돌출되고, 상기 승강체(252)의 상승을 감지하는 것으로, 압력 센서 등이 그 예로 제시될 수 있다.
상기 승강체(252)가 상승되어 상기 상승 감지 센서(256)가 상기 케이스(251)의 내부 천장에 각각 접촉되면, 상기 승강체(252)의 상승이 감지된다.
상기 탄성체(257)는 상기 승강체(252)의 저면에 배치되어 상기 승강체(252)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압축 스프링 등이 그 예로 제시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홀(258)은 상기 케이스(251) 중 상기 승강체(252)의 승강 방향을따라 소정 길이 길게 형성되고, 상기 승강체(252)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것으로, 상기 각 케이스(251) 중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서 상기 승강체(252)의 폭만큼 관통 형성된다.
상기 상승 감지 부재(250)가 상기와 같이 형성된 상태에서, 복수 개의 상기 점착면 덮개(20)가 적층된 상태로 상기 점착면 덮개측 삽입부(230)에 삽입되면, 상기 삽입 감지 센서(253)에 의해 복수 개의 상기 점착면 덮개(20)의 삽입이 감지되고, 서로 다른 높이로 복수 개가 적층된 상기 점착면 덮개(20)의 자중에 의해 상기 승강체(252)가 상기 베이스 부재(210)와 상대적으로 근접되는 방향으로 하강되면서 상기 탄성체(257)에는 탄성력이 축적된다.
그러다가, 복수 개의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10)에 대하여 복수 개가 서로 다른 높이로 적층되어 있던 상기 점착면 덮개(20) 중 최상단의 것부터 순차적으로 복수 개의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 중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를 구성하는 상기 노출 점착면에 하나씩 점착되어 제거되면, 복수 개로 적층되어 있던 상기 점착면 덮개(20)의 개수가 점진적으로 줄어들어 복수 개로 적층되어 있던 상기 점착면 덮개(20)의 자중이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반면, 상기 탄성체(257)의 축적된 탄성력은 복원되어 하강되어 있던 상기 승강체(252)가 상기 베이스 부재(21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승되고, 상기 승강체(252)의 상승에 의해 상기 상승 감지 센서(256)가 함께 상승되다가 상기 케이스(251)의 내부 천장에 접촉되어 상기 승강체(252)의 상승이 감지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점착면 덮개측 삽입부(230)에 상기 점착면 덮개(20)의 추가 삽입 시점이 작업자의 육안 확인 없이도 자동적으로 확인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미도시되었지만, 상기 상승 감지 센서(256)에 의한 상기 승강체(252)의 상승은 알람 또는 LED 전등의 점등 등을 통해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점착면 덮개측 삽입부(230)에 삽입된 복수 개의 상기 점착면 덮개(20) 중 미리 설정된 수량이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에 각각 점착되면서 제거되어 상기 승강체(252)가 미리 설정된 높이(상승 감지 센서(256)가 상기 케이스(251)의 내부 천장에 접촉되면서 감지되는 높이)까지 상승되면, 상기 승강체(252)의 상승이 상기 상승 감지 센서(256)에 의해 감지되고, 그에 따라 상기 작업자는 상기 점착면 덮개측 삽입부(230)에 상기 점착면 덮개(20)를 추가 삽입해야 할 시점을 육안으로 수시로 확인할 필요없이 상기 상승 감지 센서(256)의 상승 감지 정보를 통해 상기 점착면 덮개측 삽입부(230)에 상기 점착면 덮개(20)를 추가 삽입해야 할 시점을 자동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에서 이미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그에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의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를 구성하는 안착 부재측 파손 방지 부재의 단면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7 및 도 8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300)가 안착 부재측 파손 방지 부재(360)를 포함한다.
상기 안착 부재측 파손 방지 부재(360)는 안착 부재(320)에서 돌출되는 형태로 장착되고, 노출 점착면에 점착면 덮개를 안착시키기 위해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에 외부로부터 압력이 가해질 때, 미리 설정된 압력보다 상대적으로 큰 압력인 초과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초과 압력에 의한 상기 안착 부재(320)의 파손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안착 부재측 파손 방지 부재(360)는 케이스(361)와, 승강체(362)와, 기체 수용체(364)와, 박막부(365)와, 기체 유동관(366)과, 팽창체(368)와, 탄성체(369)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361)는 그 일부분이 상기 안착 부재(320)에 삽입되고, 그 내부가 빈 원통 형태로 형성된 것이다.
상기 승강체(362)는 원형 실린더 형태로 형성되고, 그 말단부가 상기 케이스(361) 내부에 삽입되어 연결되며,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 방향, 즉,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의 상면에 수직된는 방향인 상하 방향으로 승강되는 것이다.
상기 기체 수용체(364)는 상기 승강체(362)의 상측부에 결합되고, 고무 등 탄성을 가진 물질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에 기체가 수용되어 팽창된 상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기체 수용체(364)의 하측부는 아래로 내려갈수록 수렴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박막부(365)는 상기 기체 수용체(364) 중 하측부의 수렴되는 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기체 수용체(364)의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얇은 박막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기체 유동관(366)은 상기 승강체(362)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박막부(365)와 연결되면서 소정 길이 길게 형성되다가 그 말단부에서 양측으로 각각 굽혀지면서 상기 승강체(362)의 외측면까지 연장되어 상기 승강체(362)를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는 T자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팽창체(368)는 상기 기체 유동관(366) 중 상기 승강체(362)의 외측면에 근접된 말단부에서 상기 기체 유동관(366)을 감싸는 형태로 각각 배치되고, 상기 기체 유동관(366)의 내부와 각각 연통되며, 고무 등 탄성을 가진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탄성체(369)는 상기 승강체(362)에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이 미리 설정된 압력을 초과하는 상기 초과 압력이 전달될 경우,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초과 압력을 상대적으로 감쇠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압축 스프링 등이 그 예로 제시될 수 있다.
그러면, 외부로부터 압력을 전달하는 압력 수단(미도시)의 오작동 등으로 인해 상기 압력 수단이 증가된 속도로 상기 안착 부재(320) 쪽으로 하강되면서 상기 승강체(363)와 밀착되어 상기 승강체(362)에 상기 초과 압력이 발생되더라도, 팽창된 상기 팽창체(368)가 상기 케이스(361)의 내측면에 밀차되어 상기 승강체(362)의 하강 속도가 일차적으로 감소되고, 상기 탄성체(369)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승강체(362)의 하강 속도가 이차적으로 감소됨으로써,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초과 압력이 상기 안착 부재(320)에 직접 전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도면 번호 363은 상기 승강체(362)의 상기 기체 유동관(366)이 삽입된 부분 중 상기 팽창체(368)가 배치된 외측면 쪽에 형성되되, 그 내부로부터 외측면 쪽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확장되어 전체적으로는 깔때기 형태로 형성되는 확장홀이다.
상기 확장홀에 상기 팽창체(368)가 배치됨으로써, 상기 팽창체(368)는 부채꼴 형태로 팽창될 수 있다.
도면 번호 367은 기체 유동관(366) 중 상기 승강체(362)를 관통하는 부분의 중앙부에서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기체 수용체(364) 내부에 수용된 상기 기체가 상기 기체 유동관(366)을 통해 상기 각 팽창체(368) 쪽으로 유동되도록 상기 기체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기체 유동 가이드 돌기체이다.
또한, 상기 기체 유동 가이드 돌기체(367)는 상기 기체 유동관(366)의 내측면으로부터 뾰족한 형태로 돌출되어 상기 기체 수용체(364) 쪽에서 상기 각 팽창체(368) 쪽으로 상기 기체가 유동될 때, 상기 기체의 유동량을 분배시켜 상기 기체가 상기 각 팽창체(368) 쪽으로 균일하게 유동되도록 한다.
상기 안착 부재(320) 상에 올려진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의 상기 노출 점착면에 상기 점착면 덮개를 점착시키기 위해 미리 설정된 압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정상 압력이 외부로부터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에 가해지면, 상기 박막부(365)는 그 형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승강체(362)와 함께 하강되어 상기 케이스(361) 내부에 삽입된다.
반면, 상기 압력 수단의 오작동 등으로 인해 외부로부터 미리 설정된 압력을 초과하는 상기 초과 압력이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에 가해지면, 상기 초과 압력에 의해 상기 박막부(365)가 터지면서 상기 기체 수용체(364) 내에 수용되어 있던 상기 기체가 상기 기체 유동관(366)을 통해 상기 팽창체(368)의 내부로 각각 유입되고, 유입된 상기 기체에 의해 상기 각 팽창체(368)가 팽창되어 상기 케이스(361)의 내측면에 접촉되고, 이 때, 상기 탄성체(369)는 상기 승강체(362)의 하부를 지지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승강체(362)의 하강 속도가 상대적으로 감소되어 상기 안착 부재(320)에 대한 상기 초과 압력의 직접적인 전달이 방지됨으로써 상기 안착 부재(320)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안착 부재측 파손 방지 부재(360)는 상기 안착 부재(320) 상에 적어도 하나 설치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대각선 방향으로 두 개가 이격되어 설치되거나, 본 실시예에서처럼 네 개가 이격되어 설치되어 복수 개의 지점에서 상기 초과 압력을 함께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에 의하면,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를 구성하는 노출 점착면에 점착면 덮개를 한 번에 점착시켜 자동차용 채널 커버를 제조할 수 있음으로써, 상기 점착면 덮개를 점착시키기 위한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점착면 덮개의 점착 오류 시 발생될 수 있는 재점착 작업이 제거되어 상기 점착면 덮개의 점착력 약화가 방지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그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10 :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 11 : 원재측 몸체
12 : 원재측 점착면 13 : 노출 점착면
14 : 원재측 이형지 15 : 원재측 관통 홀
20 : 점착면 덮개 21 : 일측 점착면 덮개
22 : 타측 점착면 덮개 23 : 연결 접착면 덮개
100 :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
110 : 베이스 부재 120 : 안착 부재
130 : 점착면 덮개측 삽입부 131 : 일측 덮개측 삽입홈
132 : 타측 덮개측 삽입홈 133 : 연결 삽입홈
140 : 위치 정렬 부재 250 : 상승 감지 부재

Claims (5)

  1. 자동차의 통풍 시트용 시트 패드에 형성된 채널을 덮을 수 있도록 일정한 면적을 가진 원재측 몸체와, 상기 원재측 몸체의 일 면에 형성되는 원재측 점착면과, 상기 원재측 점착면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노출 점착면과, 상기 원재측 점착면에 점착되는 원재측 이형지와, 상기 원재측 몸체에 관통 형성된 원재측 관통 홀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를 이용하여 자동차용 채널 커버를 제조하기 위한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로서,
    일정 면적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된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측에 배치되면서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가 안착되는 안착 부재; 및
    상기 안착 부재에서 소정 깊이 함몰되어 형성되고, 그 내부에 상기 노출 점착면에 점착되는 점착면 덮개가 복수 개 적층되면서 삽입되는 점착면 덮개측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점착면 덮개는
    일정 길이 길게 형성되는 일측 점착면 덮개와, 일정 길이 길게 형성되면서 상기 일측 점착면 덮개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타측 점착면 덮개와, 상기 일측 점착면 덮개와 상기 타측 점착면 덮개를 연결시켜 주는 연결 점착면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점착면 덮개측 삽입부는
    상기 일측 점착면 덮개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일측 덮개측 삽입홈과,
    상기 일측 덮개측 삽입홈과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타측 점착면 덮개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타측 덮개측 삽입홈과,
    상기 일측 덮개측 삽입홈과 상기 타측 덮개측 삽입홈을 연결시켜 주고, 상기 연결 점착면 덮개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연결 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노출 점착면과 상기 안착 부재가 서로 마주보게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를 상기 안착 부재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를 누르게 되면, 복수 개의 상기 점착면 덮개 중 최상단에 배치된 것이 상기 노출 점착면에 밀착되면서 점착됨으로써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가 제조될 수 있고,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는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가 상기 안착 부재에 안착될 때, 상기 안착 부재에 대한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의 위치를 정렬시키는 위치 정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정렬 부재는
    상기 점착면 덮개측 삽입부에서 상기 안착 부재의 상면 쪽을 향해 원형 실린더 형태로 소정 길이 돌출되는 홀 삽입부와,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의 외곽 중 상측부 및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의 외곽 중 하측부에 각각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안착 부재의 상면에서 한 쌍이 돌출 형성되는 외곽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 삽입부에 상기 원재측 관통 홀이 삽입되고, 상기 외곽 고정부에 의해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의 외곽이 맞물림으로써 상기 안착 부재 상에서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의 위치가 정렬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고,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는
    상기 안착 부재 중 상기 점착면 덮개측 삽입부가 형성된 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점착면 덮개측 삽입부에 삽입된 상기 점착면 덮개가 미리 설정된 높이까지 상승되는 것을 감지하는 상승 감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승 감지 부재는
    상기 점착면 덮개측 삽입부의 양 측벽에 각각 하나씩 삽입되는 형태로 배치되는 케이스와,
    일정 면적의 평판 형태로 형성되고, 그 양측 말단부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각각 삽입되고, 상기 케이스의 상하 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는 승강체와,
    상기 승강체 중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삽입된 양측 말단부에서 한 쌍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점착면 덮개의 삽입 여부를 감지하는 삽입 감지 센서와,
    상기 승강체의 양측 말단부에서 상방으로 각각 돌출되어, 상기 승강체의 상승을 감지하는 상승 감지 센서와,
    상기 승강체의 저면에 배치되어 상기 승강체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와,
    상기 케이스 중 상기 승강체의 승강 방향으로 따라 소정 길이 길게 형성되고, 상기 승강체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홀을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점착면 덮개가 적층된 상태로 상기 점착면 덮개측 삽입부에 삽입되면, 상기 삽입 감지 센서에 의해 복수 개의 상기 점착면 덮개의 삽입이 감지되고, 복수 개의 상기 점착면 덮개의 자중에 의해 상기 승강체가 상기 베이스 부재와 상대적으로 근접되는 방향으로 하강되면서 상기 탄성체에는 탄성력이 축적되고,
    복수 개의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에 대하여 복수 개가 서로 다른 높이로 적층되어 있던 상기 점착면 덮개 중 최상단의 것부터 순차적으로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를 구성하는 상기 노출 점착면에 하나씩 점착되어 제거되면, 복수 개로 적층되어 있던 상기 점착면 덮개의 개수가 점진적으로 줄어들어 복수 개로 적층되어 있던 상기 점착면 덮개의 자중이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반면, 상기 탄성체의 축적된 탄성력은 복원되어 하강되어 있던 상기 승강체가 상승되고, 상기 승강체의 상승에 의해 상기 상승 감지 센서가 함께 상승되다가 상기 케이스의 내부 천장에 접촉되어 상기 승강체의 상승이 감지됨으로써 상기 점착면 덮개측 삽입부에 상기 점착면 덮개의 추가 삽입 시점이 확인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는
    상기 안착 부재에서 돌출되는 형태로 장착되고, 상기 노출 점착면에 상기 점착면 덮개를 안착시키기 위해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에 외부로부터 압력이 가해질 때, 미리 설정된 압력보다 상대적으로 큰 압력인 초과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초과 압력에 의한 상기 안착 부재의 파손이 방지되도록 하는 안착 부재측 파손 방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 부재측 파손 방지 부재는
    그 일부분이 상기 안착 부재에 삽입되고, 그 내부가 빈 원통 형태로 형성된 케이스와,
    원형 실린더 형태로 형성되고, 그 말단부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삽입되어 연결되며,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 방향으로 승강되는 승강체와,
    상기 승강체의 상측부에 결합되고, 탄성을 가진 물질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에 기체가 수용되어 팽창된 상태로 형성되는 기체 수용체와,
    상기 기체 수용체 중 하측부의 수렴되는 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기체 수용체의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얇은 박막으로 형성되는 박막부와,
    상기 승강체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박막부와 연결되면서 소정 길이 길게 형성되다가 그 말단부에서 양측으로 각각 굽혀지면서 상기 승강체의 외측면까지 연장되는 기체 유동관과,
    상기 기체 유동관 중 상기 승강체의 외측면에 근접된 말단부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기체 유동관의 내부와 연통되며, 탄성을 가진 물질로 이루어지는 팽창체와,
    상기 승강체에 상기 초과 압력이 전달될 경우,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초과 압력을 상대적으로 감쇠시킬 수 있는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 부재 상에 올려진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의 상기 노출 점착면에 상기 점착면 덮개를 점착시키기 위해 미리 설정된 압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압력이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에 가해지면, 상기 박막부는 그 형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승강체와 함께 하강되어 상기 케이스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초과 압력이 상기 자동차용 채널 커버 원재에 가해지면, 상기 초과 압력에 의해 상기 박막부가 터지면서 상기 기체 수용체 내에 수용되어 있던 상기 기체가 상기 기체 유동관을 통해 상기 팽창체의 내부로 각각 유입되고, 유입된 상기 기체에 의해 상기 각 팽창체가 팽창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에 접촉되고, 이 때, 상기 탄성체는 상기 승강체의 하부를 지지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승강체의 하강 속도가 상대적으로 감소되어 상기 안착 부재에 대한 상기 초과 압력의 직접적인 전달이 방지됨으로써 상기 안착 부재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
KR1020200135089A 2020-10-19 2020-10-19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 KR1024129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5089A KR102412953B1 (ko) 2020-10-19 2020-10-19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5089A KR102412953B1 (ko) 2020-10-19 2020-10-19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1552A KR20220051552A (ko) 2022-04-26
KR102412953B1 true KR102412953B1 (ko) 2022-06-24

Family

ID=81391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5089A KR102412953B1 (ko) 2020-10-19 2020-10-19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295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81161A (ja) 2010-10-14 2012-04-26 Inoac Corp ダクト入りシートパ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2080909A (ja) 2010-10-06 2012-04-26 Inoac Corp ダクト入りシートパッドの製造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発泡型
JP2014239922A (ja) 2014-08-19 2014-12-25 株式会社イノア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ダクト入りシートパッドの製造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発泡型
KR102164042B1 (ko) * 2019-04-02 2020-10-13 현대트랜시스(주) 통풍시트용 채널 커버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3361B1 (ko) 2016-10-04 2018-09-04 주식회사 유니크 연료 차단 밸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80909A (ja) 2010-10-06 2012-04-26 Inoac Corp ダクト入りシートパッドの製造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発泡型
JP2012081161A (ja) 2010-10-14 2012-04-26 Inoac Corp ダクト入りシートパ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4239922A (ja) 2014-08-19 2014-12-25 株式会社イノア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ダクト入りシートパッドの製造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発泡型
KR102164042B1 (ko) * 2019-04-02 2020-10-13 현대트랜시스(주) 통풍시트용 채널 커버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1552A (ko) 2022-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6155B1 (ko) 차량용 외장에어백 장착장치
US8322675B2 (en) Vehicle seat, manufacturing process for such a vehicle seat, and machine for implement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US8047602B2 (en) Shock absorber made of fiber material
KR101684164B1 (ko) 리스폿 용접용 고정 장치
KR102412953B1 (ko)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
KR100878576B1 (ko) 암레스트 스킨 부착장치
CN101314350A (zh) 车辆用内部构件
CN103153713B (zh) 用于乘员座椅的安全气囊设备
CN102756760A (zh) 车辆后部结构
KR20130066407A (ko) 차량용 사이드에어백의 설치장치
EP1975012A1 (en) Curtain air bag system
KR102367888B1 (ko)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
US769130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base member bearing projections, and base member bearing projections
KR102412954B1 (ko)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
KR102412952B1 (ko) 자동차용 채널 커버 제조를 위한 지그
KR20220051554A (ko) 자동차용 채널 커버 형상 검사 지그
US9340394B2 (en) Equipment for connecting panels of an elevator cage
KR20200094278A (ko) 자동차 시트 프레임 폴가이드 장착용 버링 성형장치
KR101748221B1 (ko) 차량 가죽 시트 내장재 제조용 지그 장치
JP4795997B2 (ja) 車両用天井材への側方ダクトの配設構造
CN107804269A (zh) 一种侧气帘发生装置
JP6239653B2 (ja) 切目刻設方法
KR101981545B1 (ko) 리테이너 조립 및 검사장치
KR101647686B1 (ko) 완충재 절단기
CN216072636U (zh) 一种双层结构轿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