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0770A - 흑색 안료 분산체 - Google Patents

흑색 안료 분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0770A
KR20220050770A KR1020210128648A KR20210128648A KR20220050770A KR 20220050770 A KR20220050770 A KR 20220050770A KR 1020210128648 A KR1020210128648 A KR 1020210128648A KR 20210128648 A KR20210128648 A KR 20210128648A KR 20220050770 A KR20220050770 A KR 202200507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ck
black pigment
monomer
mass
dispers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8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카히로 노자와
타쿠야 야마모토
카즈야 카타야마
히로토 카지무라
Original Assignee
산요 시키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 시키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 시키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50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0770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67/00Influencing the physical, e.g. the dyeing or printing properties of dyestuffs without chemical reactions, e.g. by treating with solvents grinding or grinding assistants, coating of pigments or dyes; Process features in the making of dyestuff preparations; Dyestuff preparations of a special physical nature, e.g. tablets, films
    • C09B67/006Preparation of organic pigm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67/00Influencing the physical, e.g. the dyeing or printing properties of dyestuffs without chemical reactions, e.g. by treating with solvents grinding or grinding assistants, coating of pigments or dyes; Process features in the making of dyestuff preparations; Dyestuff preparations of a special physical nature, e.g. tablets, films
    • C09B67/0071Process features in the making of dyestuff preparations; Dehydrating agents; Dispersing agents; Dustfree compositions
    • C09B67/0084Dispersions of dy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67/00Influencing the physical, e.g. the dyeing or printing properties of dyestuffs without chemical reactions, e.g. by treating with solvents grinding or grinding assistants, coating of pigments or dyes; Process features in the making of dyestuff preparations; Dyestuff preparations of a special physical nature, e.g. tablets, films
    • C09B67/0071Process features in the making of dyestuff preparations; Dehydrating agents; Dispersing agents; Dustfree compositions
    • C09B67/0084Dispersions of dyes
    • C09B67/0085Non common dispersing agents
    • C09B67/009Non common dispersing agents polymeric dispersing ag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igments, Carbon Blacks, Or Wood Stain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과제] 락탐 블랙을 함유하는 안료 분산액을 조제할 때, 분산액이 겔화되거나, 보존 중에 분산액의 점도가 변화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하고, 분산성을 향상시키는 것.
[해결수단] 락탐 블랙과, 분산제로서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단량체 A와, 염기성 관능기로서 질소 함유 방향족 복소환기를 갖는 단량체 B와, 단량체 A 및 단량체 B와 중합 가능한 단량체 C로 구성되는 공중합체를 병용한다. 락탐 블랙의 함유량은 5질량% 이상 25질량% 이하다. 락탐 블랙의 평균 입자 지름은 200 nm 이하로 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흑색 안료 분산체{BLACK PIGMENT DISPERSION}
본 발명은 락탐 블랙을 함유하는, 분산성이 우수한 흑색 안료 분산체에 관한 것이다.
액정 모니터에 사용되는 백라이트는 고해상도, 저코스트, 얇은 폼 팩터와 같은 특징 때문에, 현재는 LED백라이트가 휴대 단말, 텔레비전 등에 있어서 널리 채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컬러 액정디스플레이의 한층 더한 고화질·고휘도화에 대응하기 위해서,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 모니터에 있어서, 컬러 필터를 TFT 소자 기판측에 마련한 컬러 필터 온 어레이 방식(COA 방식)이나 블랙 매트릭스만을 TFT 소자 기판측에 마련한 블랙 매트릭스 온 어레이 방식(BOA 방식)이 제안되어 있다. 이 방식에 의하면, 컬러 필터측에 블랙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서, 액티브 소자측과의 위치맞춤 마진을 취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개구율을 높게 할 수 있고, 그 결과, 고휘도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취하는 경우에 블랙 매트릭스는, TFT 소자 위에 직접 탑재시켜도 전기 회로의 단락을 일으키지 않도록 일정 이상의 체적 저항율 및 일정 이하의 비유전율을 갖는 흑색 착색제가 요구된다. 이러한 블랙 매트릭스의 예로서, 안료에 복수종의 유기 착색 안료와 카본 블랙을 이용한 블랙 매트릭스가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또한, 안료로서 유기 흑색 안료를 이용한 블랙 매트릭스용의 감광성 조성물도 알려져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아닐린 블랙(특허문헌 2)이나 페릴렌 블랙(특허문헌 3)을 이용한 감광성 조성물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4에는,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용도의 락탐 블랙 분산체로서, 입경 314∼551 nm인 락탐 블랙(락탐 구조를 갖는 흑색 안료) 및 특정 분산제를 함유하는 락탐 블랙 분산체가 개시되어 있다(표 1).
특허문헌 5에는, 락탐 블랙, 자색 안료, 청색 안료 및/또는 녹색 안료, 카본블랙을 함유하는 액정 표시 소자, 고체 촬상 소자, 적외선 센서 등에 사용되는 흑색 안료 분산체 조성물 및 그것을 함유하는 흑색 레지스트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6에는, 락탐 블랙인 Irgaphor(등록 상표) Black S0100CF와 같은 유기 흑색 안료와, 아크릴계 분산제와, 에폭시(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와, 광중합성 모노머와, 광중합 개시제를 함유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격벽 형성용의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9-75446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평8-44049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제2006-235153호 공보 특허문헌 4: 일본 특허 공표 제2012-515240호 공보 특허문헌 5: 일본 특허 공개 제2019-81857호 공보 특허문헌 6: 국제 공개 제2018/101314호 공보
락탐 블랙은 적외선 및 자외선의 투과성이 높고, 절연성이 높으며, 유전율이 낮다는 등의 이점을 갖는 흑색 안료이지만, 안료 분산체로 한 경우에는, 분산성이 나쁘다는 것이 결점으로 되어 있었다. 즉, 락탐 블랙을 함유하는 안료 분산액을 조제할 때, 분산액이 겔화되거나, 보존 중에 분산액의 점도가 변화하거나 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락탐 블랙을 흑색 안료로서 안료 분산체에 사용하는 경우, 특정 분산제와 특정 비율로 병용하는 것에 의해, 락탐 블랙의 분산성이 향상되는 것을 찾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시키기에 이르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적어도 흑색 안료, 분산제 및 용제를 함유하는 흑색 안료 분산체로서,
상기 흑색 안료는 락탐 블랙이며,
상기 분산제는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단량체 A와,
염기성 관능기로서 질소함유 방향족 복소환기를 갖는 단량체 B와,
상기 A 및 상기 B와 중합 가능한 단량체 C,
로 구성되는 공중합체인 것인, 흑색 안료 분산체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CH2=C(R1)COO(CH2CH2O)nR2···화학식 1
(식 중, R1은 수소 또는 메틸기이며; R2는 탄소수 1∼8의 알킬기이며; n=4∼23이다.)
본 발명의 흑색 안료 분산체는 락탐 블랙의 평균 입자 지름(누율(cumulant) 평균 입자 지름)이 200 nm 이하, 바람직하게는 160 nm 이하이면, 락탐 블랙의 분산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흑색 안료 분산체는 조제시에 겔화가 일어나지 않고, 보존 중의 점도 변화도 작다.
상기 흑색 안료의 함유량은 5 질량% 이상 25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5 질량% 미만에서는 안료 농도가 낮기 때문에 착색이 불충분해질 가능성이 있고, 25 질량% 초과에서는 점도가 높아져, 핸들링성이 떨어진다고 하는 문제를 발생시키기 쉽다.
본 발명의 흑색 안료 분산체는 추가로 안료 유도체로서 산성기를 갖는 유도체, 예컨대 퀴노프탈론 골격에 산성기를 도입한 유도체를 함유해도 좋다. 이러한 안료 유도체를 함유하는 것에 의해, 보다 입자 지름을 작게 할 수 있어, 필요한 분산제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흑색 안료 분산체는 추가로 산성기를 갖는 아크릴 수지, 폴리에스텔 수지, 카르도(cardo) 구조를 갖는 수지를 함유해도 좋다. 이러한 수지를 함유하는 것에 의해, 현상성 및 밀착성의 향상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흑색 안료 분산체는 추가로 점도 조정제 등의 보조 성분을 함유해도 좋다.
본 발명의 흑색 안료 분산체는 락탐 블랙의 분산성이 우수하고, 조제시에 겔화되지 않으며, 보존 중에도 점도가 잘 변화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흑색 안료)
락탐 블랙으로서는, 예컨대, BASF사제의 블랙582, Irgaphor(등록 상표) Black S0100CF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분산제)
단량체 A로서는, 교에이샤화학주식회사제의 라이트 아크릴레이트 시리즈, 다이이치공업제약주식회사제의 뉴프론티어 시리즈에 해당하는 단량체를 사용할 수 있다.
단량체 B의 구체예는, 4-비닐피리딘, 2-비닐피리딘 등이다.
단량체 C는, 안료의 분산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관점에서, 비이온성의 단량체가 바람직하다. 비이온성의 단량체로서는, 메타크릴산 메틸, 메타크릴산 부틸 등의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분산제 내의 단량체 A∼C의 함유율은 단량체 A가 20∼60질량부, 단량체 B가 10∼40질량부, 단량체 C가 20∼60질량부이며, 합계가 100질량부로 되도록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단량체 A∼C의 블록 공중합체인 분산제의 산가 및 아민가는 블록 공중합체에 포함되는 관능기와 그 함유량에 의해 결정된다. 산가(고형분 환산했을 때의 산가)는 예컨대 DIN EN ISO 2114에 준거하는 방법에 의해 구할 수 있고, 아민가(고형분 환산했을 때의 아민가)는 예컨대 DIN 16945에 준거하는 방법에 의해 구할 수 있다. 분산제의 산가는 1 mgKOH/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분산제의 아민가는 50 mgKOH/g 이상 200 mgKOH/g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용제)
용제로서는, 예컨대, 방향족계, 케톤계, 에스테르계, 글리콜 에테르계, 알코올계, 지방족계 등의 각종 유기 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유기 용제는 1종만이여도 좋고, 2종 이상 조합하여도 좋다.
방향족계의 유기 용제로서는, 예컨대, 톨루엔, 크실렌, 에틸 벤젠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를 들 수 있다.
케톤계의 유기 용제로서는, 예컨대, 메틸 에틸 케톤, 메틸 이소부틸 케톤, 디이소부틸 케톤, 아세틸 아세톤, 이소포론, 아세토페논, 시클로헥사논 등을 들 수 있다.
에스테르계의 유기 용제로서는, 예컨대, 아세트산 에틸, 아세트산-n-부틸, 아세트산 이소부틸, 아세트산 이소프로필, 프로피온산 메틸, 아세트산-3-메톡시 부틸, 에틸 글리콜 아세테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 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PMA),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 에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3-메틸-3-메톡시 부틸 아세테이트, 모노 클로로 아세트산 메틸, 모노 클로로 아세트산 에틸, 모노 클로로 아세트산 부틸, 아세토 아세트산 메틸, 아세토 아세트산 에틸, 부틸 카르비톨 아세테이트, 젖산 부틸, 에틸-3-에톡시 프로피오네이트, 에틸렌 글리콜 모노 부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에틸렌 글리콜 모노 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아세트산 프로필, 1, 3-부틸렌 글리콜 디아세테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글리콜 에테르계의 유기 용제로서는, 예컨대, 에틸렌 글리콜 모노 메틸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모노 에틸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 메틸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 에틸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n-프로필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모노-iso-프로필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iso-프로필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모노-n-부틸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n-부틸 에테르, 트리에틸렌 글리콜 모노-n-부틸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모노-t-부틸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t-부틸 에테르, 1-메틸-1-메톡시 부탄올,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 메틸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 에틸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t-부틸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n-프로필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iso-프로필 에테르, 디프로필렌 글리콜 모노 메틸 에테르, 디프로필렌 글리콜 모노 에틸 에테르, 디프로필렌 글리콜 모노-n-프로필 에테르, 디프로필렌 글리콜 모노-iso-프로필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n-부틸 에테르, 디프로필렌 글리콜 모노-n-부틸 에테르 등의 수용성 글리콜 에테르류;
에틸렌 글리콜 모노 헥실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2-에틸 헥실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페닐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n-헥실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2-에틸 헥실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 부틸 에테르, 디프로필렌 글리콜 모노 부틸 에테르, 디프로필렌 글리콜 프로필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프로피오네이트 등의 비수용성의 글리콜 에테르류 등을 들 수 있다.
알코올계의 유기 용제로서는, 예컨대,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등의 탄소수 1∼4의 알킬 알코올류;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펜타메틸렌 글리콜, 트리메틸렌 글리콜, 2-부텐-1,4-디올, 2-에틸-1,3-헥산디올, 2-메틸-2,4-펜탄디올,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분자량 2000 이하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1,3-프로필렌 글리콜, 이소프로필렌 글리콜, 이소부틸렌 글리콜, 1,4-부탄디올, 1,3-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글리세린, 메조에리트리톨, 펜타에리트리톨 등을 들 수 있다.
지방족계의 유기 용제로서는, 예컨대, n-펜탄, n-헥산, n-헵탄 등의 지방족탄화수소 등을 들 수 있다.
용제의 함유량은, 취급 용이의 관점에서, 안료 등을 포함하는 고형분 농도가 6∼40 중량%로 되도록 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흑색 안료 조성물의 제조예>
이하의 원료 및 제조 방법에 의해 흑색 안료 분산체를 제조했다.
(흑색 안료)
락탐 블랙으로서, Irgaphor(등록상표) Black S0100CF(BASF사)를 사용했다.
(용제)
용제로서,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 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PMA)를 사용했다.
(분산제)
분산제로서, 후술하는 분산제 I∼VI를 사용했다. 각 분산제를 구성하는 아민가, Mp(피크 톱 분자량), Mw/Mn(중량 평균 분자량과 수평균 분자량의 비), NV(고형분 또는 불휘발분), 및 단량체 조성(숫자는 단량체의 질량비를 나타낸다)은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표 1에 있어서, 단량체 조성란의 약호(略號)가 나타내는 구조는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분산제 I의 제조 방법)
메틸 메타크리레이트(MMA) 287.3질량부, 부틸 메타크리레이트(BMA) 0.6질량부, 메톡시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타크리레이트(MPEG9MA) 142.4질량부, N-(tert-부틸)-N-(1-디에틸 포스포노-2,2-디메틸 프로필)-O-(2-카르복실 프롭-2-일(Il))히드록시 아민(아케마사제, 제품명 BlocBuilder MA) 15질량부,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 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PMA) 436질량부,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 메틸 에테르(PM) 218질량부를 2L용 스텐레스강제 세퍼러블 플라스크에 채취했다. 질소 버블링하면서 교반하고, 오일 배스에 의해 플라스크를 125℃로 가열하고, 4시간 반응시켰다.
이어서, 4-비닐 피리딘(4VPy) 199.7질량부, PMA 196질량부, PM 98질량부를 플라스크에 투입하고, 계속해서 질소 버블링하면서 교반하고, 125℃에서 4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의 고형분은 40.5 중량%이었다. 얻어진 블록 공중합체를 GPC(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 측정한 바, 피크 톱 분자량 11500, Mw/Mn은 1.24이었다. 아민가(고형분)는 168.6 mgKOH/g이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블록 공중합체(분산제 I)는 MMA(단량체 C)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와, BMA(단량체 C)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와, MPEG9MA(단량체 A)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를 갖는 블록과, 염기성기 함유 단위로서 4VPy(단량체 B)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를 갖는 블록을 갖는다. 즉, 분산제 I는, 그 한쪽의 단부에 염기성기 함유 단위로 이루어지는 블록을 갖는 직쇄상의 블록 중합체다. 단량체의 구성상, 분산제 I는 산성기를 갖지 않는다. 분산제 I의 각 구성 단위의 질량비(MMA/BMA/MPEG9MA/4VPy)는 45.6/0.1/22.6/31.7이다.
(분산제 II의 제조)
4VPy 대신에 DM을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분산제 I와 유사한 방법에 의해 분산제 II를 제조했다. 분산제 II의 각 구성 단위의 질량비(MMA/BMA/MPEG9MA/DM)는 35.1/0.1/17.4/47.4이다.
(분산제 III의 제조)
4VPy 대신에 DE를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분산제 I와 유사한 방법에 의해 분산제 III를 제조했다. 분산제 III의 각 구성 단위의 질량비(MMA/BMA/MPEG9MA/DE)ㄴ는 29.4/0.1/14.6/55.9이다.
(분산제 IV의 제조)
4VPy 대신에 DMAPAA를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분산제 I와 유사한 방법에 의해 분산제 IV를 제조했다. 분산제 IV의 각 구성 단위의 질량비(MMA/BMA/MPEG9MA/DMAPAA)는 35.3/0.1/17.5/47.1이다.
(분산제 V의 제조)
4VPy 대신에 DMAPMA를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분산제 I와 유사한 방법에 의해 분산제 V를 제조했다. 분산제 V의 각 구성 단위의 질량비(MMA/BMA/MPEG9MA/DMAPMA)는 32.5/0.1/16.1/51.3이다.
(분산제 VI의 제조)
4VPy 대신에 PMPMA를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분산제 I와 유사한 방법에 의해 분산제 VI를 제조했다. 분산제 VI의 각 구성 단위의 질량비(MMA/BMA/MPEG9MA/PMPMA)는 38.2/0.1/18.9/42.8이다.
[실시예]
폴리에틸렌 용기에 락탐 블랙 12질량부, 분산제로서 분산제 I를 고형분 환산으로 7.2질량부, 및 용제로서 PMA를 채취했다. PMA량은 「락탐 블랙+분산제+용제」가 100질량부로 되도록 조정되었다. 지르코니아 비즈(φ0.3 mm) 300질량부를 용기 내에 투입하고, 아사다철공주식회사제의 페인토셰이커를 이용해서 90분간 분산 처리를 행하여, 실시예의 흑색 안료 분산체(락탐 블랙 농도 12질량%,분산제 농도 7.2질량%)를 얻었다.
[비교예 1]
분산제로서 분산제 II를 고형분 환산으로 7.2질량부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모두 실시예와 유사하게 해서 비교예 1의 흑색 안료 분산체를 얻었다. 한편, 비교예 1∼5의 흑색 안료 분산체는 모두 락탐 블랙 농도가 12질량%이며, 분산제 농도가 7.2질량%이다.
[비교예 2]
분산제로서 분산제 III를 고형분 환산으로 7.2질량부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모두 실시예와 유사하게 해서 비교예 2의 흑색 안료 분산체를 얻었다.
[비교예 3]
분산제로서 분산제 IV를 고형분 환산으로 7.2질량부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모두 실시예와 유사하게 해서 비교예 3의 흑색 안료 분산체를 얻었다.
[비교예 4]
분산제로서 분산제 V를 고형 분환산으로 7.2질량부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모두 실시예와 유사하게 해서 비교예 4의 흑색 안료 분산체를 얻었다.
[비교예 5]
분산제로서 분산제 VI를 고형분 환산으로 7.2질량부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모두 실시예와 유사하게 해서 비교예 5의 흑색 안료 분산체를 얻었다.
<락탐 블랙의 입경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 1∼5의 흑색 안료 분산체를 PMA로 0.001∼10질량%의 농도 범위로 희석한 후, 오쓰카전자주식회사제의 FPAR-1000을 이용해서 평균 입자 지름(누율 평균 입자지름;누율 해석법에 의한 평균 입자 지름)을 측정했다. 평균 입자 지름은 조제 직후와, 40℃의 항온고 내에서 1주일 보존 후에 측정되었다.
<흑색 안료 분산체의 점도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 1∼5의 흑색 안료 분산체의 조제 직후와, 40℃의 항온고 내에서 1주일 보존 후의 점도(25℃)를, 토우끼(東機)산업주식회사제의 E형 점도계(TV-22)를 이용해서 측정했다.
실시예 및 비교예 1∼5의 흑색 안료 분산체에 대해서, 락탐 블랙의 평균 입자 지름 및 점도 측정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Figure pat00003
실시예 이외의 흑색 안료 분산체는, 조제시에 겔화가 일어나서, 락탐 블랙의 평균 입자 지름 및 분산체의 점도가 측정 불가능하었다.
실시예의 흑색 안료 분산체는, 조제시 및 40℃ 보존 후의 락탐 블랙의 평균 입자 지름은 148 nm 및 146 nm이며, 거의 변화하지 않았다. 또한, 초기 점도가 5.06 mPa·s, 40℃ 보존 후의 점도가 5.22 mPa·s이며, 점도도 거의 변화하지 않았다(점도 변화율은 5.22/5.06=1.03).
표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흑색 안료로서 락탐 블랙을 사용하는 분산체는, 사용하는 분산제의 종류에 따라서는, 조제시에 겔화가 일어나지만, 단량체 A∼C의 공중합체인 분산제와 조합한 경우에는, 락탐 블랙의 평균 입자 지름 및 점도가 보존 중에도 잘 변화하지 않는 것이 확인되었다.
흑색 안료 분산체 내의 락탐 블랙 함유량(농도)이 5질량% 이상 25질량% 이하이면, 실시예의 흑색 안료 분산체와 유사하게, 락탐 블랙의 평균 입자 지름 및 점도가 보존 중에도 잘 변화하지 않는다.
락탐 블랙의 평균 입자 지름은 광학 농도 및 표면 평활성의 관점에서, 200 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60 n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흑색 안료 분산체의 점도 변화율(40℃의 항온고 내에서 1주일 보존 후의 점도/조제 직후의 점도(25℃))는 0.8∼1.2배인 것이 바람직하고, 0.9∼1.1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흑색 안료 분산체는 디스플레이, 고체 촬상 소자, 적외선 센서 등의 기술 분야에 있어서 유용하다.

Claims (3)

  1. 적어도 흑색 안료, 분산제 및 용제를 함유하는 흑색 안료 분산체로서,
    상기 흑색 안료는 락탐 블랙이며,
    상기 분산제는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단량체 A와,
    염기성 관능기로서 질소 함유 방향족 복소환기를 갖는 단량체 B와,
    상기 A 및 상기 B와 중합 가능한 단량체 C,
    로 구성되는 공중합체인 것인, 흑색 안료 분산체.
    [화학식 1]
    CH2=C(R1)COO(CH2CH2O)nR2···화학식 1
    (식 중, R1은 수소 또는 메틸기이며; R2는 탄소수 1∼8의 알킬기이며; n=4∼23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락탐 블랙의 평균 입자 지름이 200 nm 이하인 것인, 흑색 안료 분산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흑색 안료의 함유량이 5질량% 이상 25질량% 이하인 것인, 흑색 안료 분산체.
KR1020210128648A 2020-10-16 2021-09-29 흑색 안료 분산체 KR202200507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174752A JP2022065931A (ja) 2020-10-16 2020-10-16 黒色顔料分散体
JPJP-P-2020-174752 2020-10-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0770A true KR20220050770A (ko) 2022-04-25

Family

ID=81194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8648A KR20220050770A (ko) 2020-10-16 2021-09-29 흑색 안료 분산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22065931A (ko)
KR (1) KR20220050770A (ko)
CN (1) CN114384755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4049A (ja) 1994-08-01 1996-02-16 Sekisui Chem Co Ltd 着色レジスト膜
JP2006235153A (ja) 2005-02-24 2006-09-07 Tokyo Ohka Kogyo Co Ltd 遮光層形成用感光性樹脂組成物ならびに遮光層およびカラーフィルタ
JP2009075446A (ja) 2007-09-21 2009-04-09 Mitsubishi Chemicals Corp 樹脂ブラックマトリックス、遮光性感光性樹脂組成物及び液晶表示装置
JP2012515240A (ja) 2009-01-19 2012-07-05 ビーエーエスエフ ソシエタス・ヨーロピア 黒色顔料分散液
WO2018101314A1 (ja) 2016-12-02 2018-06-07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着色感光性樹脂組成物、顔料分散液、隔壁、有機電界発光素子、画像表示装置及び照明
JP2019081857A (ja) 2017-10-31 2019-05-30 サカタインクス株式会社 黒色顔料分散組成物及びそれを含有する黒色顔料分散レジスト組成物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4049A (ja) 1994-08-01 1996-02-16 Sekisui Chem Co Ltd 着色レジスト膜
JP2006235153A (ja) 2005-02-24 2006-09-07 Tokyo Ohka Kogyo Co Ltd 遮光層形成用感光性樹脂組成物ならびに遮光層およびカラーフィルタ
JP2009075446A (ja) 2007-09-21 2009-04-09 Mitsubishi Chemicals Corp 樹脂ブラックマトリックス、遮光性感光性樹脂組成物及び液晶表示装置
JP2012515240A (ja) 2009-01-19 2012-07-05 ビーエーエスエフ ソシエタス・ヨーロピア 黒色顔料分散液
WO2018101314A1 (ja) 2016-12-02 2018-06-07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着色感光性樹脂組成物、顔料分散液、隔壁、有機電界発光素子、画像表示装置及び照明
JP2019081857A (ja) 2017-10-31 2019-05-30 サカタインクス株式会社 黒色顔料分散組成物及びそれを含有する黒色顔料分散レジスト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065931A (ja) 2022-04-28
CN114384755A (zh) 2022-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89196B2 (ja) 赤色カラーレジストインキ
JP6516676B2 (ja) ブラックマトリックス用顔料分散物及びそれを含有するブラックマトリックス用顔料分散レジスト組成物
EP3147335A1 (en) Col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wettting and/or dispersing agents with low amine number
JP4402590B2 (ja) 顔料分散組成物、その用途
JP4021057B2 (ja) 赤色カラーレジストインキ
KR20220050770A (ko) 흑색 안료 분산체
KR20090065209A (ko) 안료 분산계 및 안료의 캡슐화 방법
KR102407377B1 (ko) 블록 공중합체
JP2014218589A (ja) 顔料着色剤組成物及びそれに用いる末端カルボキシル基含有アクリル系ポリマーの製造方法
KR20230000980A (ko) 흑색 안료 분산체 및 유채색 안료 분산체
JP7217680B2 (ja) ブロック共重合体、分散剤、着色組成物およびカラーフィルタ
JP7299895B2 (ja) 分散剤組成物、着色組成物、および、カラーフィルタ
KR102407380B1 (ko) 블록 공중합체
EP3235840A1 (en) Dye compound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colorant,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and light filter
JP6852474B2 (ja) カラーフィルタ用着色組成物、固体撮像素子用カラーフィルタ及び固体撮像素子の製造方法
KR101270701B1 (ko) 컬러필터용 안료 염료 혼합형 잉크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컬러필터
KR101254206B1 (ko) 하이드록시기를 가지는 컬러필터용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
JP2021080433A (ja) 顔料組成物、感光性顔料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および表示装置
KR20220170765A (ko) 흑색 안료 분산체
JP6431465B2 (ja) カラーフィルター用着色組成物
TWI841676B (zh) 著色組成物、及著色阻劑組成物
KR20120125918A (ko) 하이드록시기 및 아미드기를 가지는 컬러필터용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
CN114539807A (zh) 颜料分散液组合物及包含其的着色光敏树脂组合物
JP2021102688A (ja) 顔料分散剤、顔料分散剤の製造方法、及び顔料分散液
KR20100020172A (ko) 컬러필터 인쇄용 잉크 조성물, 컬러필터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