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9883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9883A
KR20220049883A KR1020200133554A KR20200133554A KR20220049883A KR 20220049883 A KR20220049883 A KR 20220049883A KR 1020200133554 A KR1020200133554 A KR 1020200133554A KR 20200133554 A KR20200133554 A KR 20200133554A KR 20220049883 A KR20220049883 A KR 202200498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case
cold air
refrigerating compartment
duct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3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한별
전우진
김주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33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9883A/ko
Publication of KR20220049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98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2Walls defining a cabinet
    • F25D23/064Walls defining a cabinet formed by moulding, e.g. moulding in situ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02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4/12Incorporating or moulding on preformed parts, e.g. inserts or reinforc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5Air flow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8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using 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5/00Use of polymers of vinyl-aromatic compound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5/04Polymers of styrene
    • B29K2025/06PS, i.e. polystyre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용 증발기 타입 모델 및 개별 증발기 타입 모델에 대해서 각각 구비되는 이너 케이스들에 대한 설계 변경을 최소화하여 설계 비용을 절감하고, 이너 케이스들의 제조시 사용되는 금형을 공용화하고 단열재의 발포성형시 사용되는 발포지그를 공용화하여 제조 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공용 증발기 타입 모델 및 개별 증발기 타입 모델에 대해서 각각 구비되는 이너 케이스들에 대한 설계 변경을 최소화하여 설계 비용을 절감하고, 이너 케이스들의 제조시 사용되는 금형을 공용화하고 단열재의 발포성형시 사용되는 발포지그를 공용화하여 제조 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압축-응축-팽창-증발의 과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냉동 사이클에 의해 생성된 냉기를 이용하여 내부 저장실에 저장된 식품 등을 저온 보관하는 장치이다.
냉동 사이클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압축기로부터 압축된 고온고압 상태의 냉매를 방열을 통하여 응축하는 응축기와, 응축기로부터 제공된 냉매가 증발하면서 주위의 잠열을 흡수하는 냉각작용에 의하여 저장실의 공기를 냉각하는 증발기를 포함한다. 응축기와 증발기 사이에는 모세관이 구비되어, 증발기로 유입되는 냉매의 증발이 쉽게 일어날 수 있도록, 냉매의 유속을 증가시키고 압력을 낮추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압축기, 응축기, 모세관, 증발기는 냉매가 순환할 수 있도록 순차적으로 냉매 배관을 통해서 유체 연결되어 있다.
저장실은 내부 유지 온도에 따라 냉장실과 냉동실로 구분할 수 있다. 통상 냉장실은 섭씨 영상 3~4도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냉동실은 섭씨 영하 20도 내외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통상적으로 냉장고는 구비되는 증발기의 개수에 따라 단일의 공용 증발기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냉기가 냉장실과 냉동실에 각각 공급되는 공용 증발기 타입 모델과, 냉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장실 증발기 및 냉동실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동실 증발기가 각각 별개로 구비되는 개별 증발기 타입 모델로 구분될 수 있다.
이들 공용 증발기 타입 모델과 개별 증발기 타입 모델에 각각 구비되는 이너 케이스는 공통적으로 다소 복잡한 형상 및 다수의 기능부를 구비하기 때문에 이너 케이스는 통상적으로 이러한 복잡한 형상 및 다수의 기능부를 일체로 형성할 수 있도록 플라스틱 수지를 소정의 금형을 이용하여 성형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관련하여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27914에는, 이너 케이스의 성형방법으로서 진공 및 압공을 이용하여 이너 케이스를 성형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해서 개시되어 있다.
다만, 해당 선행문헌에 개시된 구성은, 복잡한 형상 및 다수의 기능부를 구비한 이너 케이스를 일체적으로 제조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으며, 공용 증발기 타입 모델의 이너 케이스에 대한 전용의 성형장치로서 기능하거나 개별 증발기 타입 모델의 이너 케이스에 대한 전용의 성형장치로서만 기능한다. 따라서 공용 증발기 타입 모델과 개별 증발기 타입 모델의 이너 케이스들에 공용으로 사용되기에는 한계가 명확히 존재하여 적용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27914호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공용 증발기 타입 모델 및 개별 증발기 타입 모델에 대해서 각각 구비되는 이너 케이스들에 대한 설계 변경을 최소화하여 설계 비용을 절감하고, 이들 이너 케이스들의 제조시 사용되는 금형을 공용화하고 단열재의 발포성형시 사용되는 발포지그를 공용화하여 제조 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제1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용 발포지그를 이용하여 단열재의 발포성형시에 공용 증발기 타입 모델용 이너 케이스에 대해서는 발포지그로 충분히 지지되지 않아 발포압에 의해서 발생 가능한 이너 케이스의 부분적 변형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제2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내부에 냉장실이 마련되는 냉장실 이너 케이스, 상기 냉장실 이너 케이스에 인접해서 배치되고, 내부에 냉동실이 마련되는 냉동실 이너 케이스, 및 상기 냉동실의 내부에 배치되는 증발기를 포함하고, 상기 냉장실 이너 케이스는, 상기 증발기로부터 생성된 냉기가 유입되는 냉기유입홀이 형성되는 제1 냉장실 이너 케이스 또는 상기 냉기유입홀이 미형성되는 제2 냉장실 이너 케이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제1 냉장실 이너 케이스와 상기 제2 냉장실 이너 케이스는 모두 동일한 냉장실 이너 케이스 성형 금형을 이용하여 제조되고, 상기 단열재의 발포성형시에 상기 제1 냉장실 이너 케이스와 상기 제2 냉장실 이너 케이스는 모두 동일하게 공용 단열재 발포지그가 이용된다. 이를 통해, 냉장실 이너 케이스들의 제조시 사용되는 금형 및 발포성형시 이용되는 발포지그를 공용화하여 설계 비용 및 제조 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냉동실 이너 케이스는, 상기 증발기로부터 생성되어 상기 냉장실로 공급될 냉기가 배출되는 냉기배출홀이 형성된 제1 냉동실 이너 케이스 또는 상기 냉기배출홀이 미형성되는 제2 냉동실 이너 케이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제1 냉동실 이너 케이스는 상기 제1 냉장실 이너 케이스와 함께 선택적으로 포함되고, 상기 제2 냉동실 이너 케이스는 상기 제2 냉장실 이너 케이스와 함께 선택적으로 포함된다.
또한, 상기 제1 냉동실 이너 케이스 및 상기 제2 냉동실 이너 케이스는 모두 동일한 냉동실 이너 케이스 금형을 이용하여 제조되고, 상기 단열재의 발포성형시에 상기 제1 냉동실 이너 케이스와 상기 제2 냉동실 이너 케이스는 모두 동일하게 상기 공용 단열재 발포지그가 이용된다.
또한, 상기 제1 냉장실 이너 케이스 및 상기 제1 냉동실 이너 케이스와 함께 선택적으로 포함되며, 일단이 상기 냉기유입홀에 유체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냉기배출홀에 유체연결되는 냉기 통로를 구비한 공급 덕트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냉기 통로의 내주면은, 서로 대향하여 형성되는 전방 내주면 및 후방 내주면과, 상기 전방 내주면 및 상기 후방 내주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서로 대향하여 형성되는 한 쌍의 측방 내주면을 포함하고, 상기 냉기의 유동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전방 내주면 및 상기 후방 내주면의 단면폭은, 상기 한 쌍의 측방 내주면의 단면폭보다 더 크게 된다.
또한, 상기 공급 덕트는, 상기 전방 내주면과 마주보게 되는 전방면에 전방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 융기면, 및 상기 후방 내주면과 마주보게 되는 후방면에 후방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 융기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융기면 및 상기 제2 융기면은 각각 상기 전방면의 중심 및 상기 후방면의 중심 측으로 진행하면서 점진적으로 돌출량이 증가하는 곡면 형상을 갖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융기면 및 상기 제2 융기면은 각각 상기 전방면의 중심 및 상기 후방면의 중심에서 상기 전방면 및 상기 후방면으로부터 최대로 돌출된다.
또한, 상기 냉기의 유동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제1 융기면 및 상기 제2 융기면의 단면폭은 각각 상기 전방 내주면 및 상기 후방 내주면의 단면폭보다 더 크게 된다.
또한, 상기 공급 덕트의 재질은 발포폴리스티렌이 된다.
또한, 상기 제1 냉장실 이너 케이스 및 상기 제1 냉동실 이너 케이스와 함께 선택적으로 포함되며, 상기 냉장실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공급 덕트를 통해 공급되는 냉기를 상기 냉장실로 분배하는 멀티 덕트, 및 상기 제1 냉장실 이너 케이스 및 상기 제1 냉동실 이너 케이스와 함께 선택적으로 포함되며, 일단이 상기 공급 덕트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멀티 덕트에 연결되어 상기 냉기 덕트로부터 공급되는 냉기를 상기 멀티 덕트로 전달하는 덕트 커넥터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덕트 커넥터는, 냉기 통로가 관통 형성되는 판상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측면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멀티 덕트의 하단부의 내부로 삽입되는 중공의 상단 삽입부, 상기 본체부의 하측면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냉기 통로의 내부로 삽입되는 중공의 하단 삽입부를 포함하는 한다.
또한, 상기 멀티 덕트는, 상기 덕트 커넥터를 통해 유입되는 냉기의 흐름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는 댐퍼부를 포함하고, 상기 댐퍼부는, 내부에 냉기 덕트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냉기 덕트를 개폐하는 댐퍼,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댐퍼를 작동시키는 구동력을 생성하는 댐퍼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에는 상기 상단 삽입부가 삽입되며, 상기 삽입부의 외형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형합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형합부의 내측 단부면 및 외측 단부면은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진행하면서 점진적으로 높이가 증가되는 경사면이 되고, 상기 상단 삽입부의 상측면은 상기 형합부의 내측 단부면에 대응하는 경사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부의 상측면은 상기 형합부의 외측 단부면에 대응하는 경사면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형합부의 내측 단부면과 상기 상단 삽입부의 상측면은 서로 밀착된다.
또한, 상기 덕트 커넥터는, 상기 본체부의 하측면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하단부가 상기 냉장실 이너 케이스의 저면부에 접촉하는 복수의 저면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저면리브는,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횡방향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횡방향 리브는, 하단부의 위치가 서로 동일한 복수의 제1 리브와, 하단부의 위치가 상기 복수의 제1 리브의 하단부보다 더 낮은 위치가 되는 복수의 제2 리브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제2 리브는, 상기 본체부의 측면부를 향해 진행하면서 각각의 하단부의 위치가 점차 낮아지게 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저면리브는, 상기 복수의 횡방향 리브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종방향 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종방향 리브는, 각각 하단부의 위치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부분과 하단부의 위치가 점차 낮아지는 부분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덕트 커넥터는, 상기 공급 덕트의 재질보다 더 강성이 높고 상기 댐퍼부의 하우징의 재질보다 더 강성이 낮은 재질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냉장실 이너 케이스 및 상기 제2 냉동실 이너 케이스와 함께 선택적으로 포함되며, 상기 제2 냉장실 이너 케이스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냉기배출홀에 대응되는 위치를 전체적으로 커버하는 수압브라켓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압브라켓은, 상기 제2 냉장실 이너 케이스의 저면부의 외측에 밀착되는 바텀커버부와, 상기 바텀커버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냉장실 이너 케이스의 후면부의 외측에 밀착되는 리어커버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공용 증발기 타입 모델 및 개별 증발기 타입 모델에 대해서 각각 구비되는 이너 케이스들에 대한 설계 변경을 최소화하여 설계 비용을 절감하고, 이너 케이스들의 제조시 사용되는 사출금형을 공용화하고 단열재의 발포성형시 사용되는 발포지그를 공용화하여 제조 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공용 발포지그를 이용하여 단열재의 발포성형시에 공용 증발기 타입 모델용 이너 케이스에 대해서는 발포지그로 충분히 지지되지 않아 발포압에 의해서 발생 가능한 이너 케이스의 부분적 변형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냉장실 도어 및 냉동실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냉장고로서 공용 증발기 타입 모델의 냉장고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냉장고로서 개별 증발기 타입 모델의 냉장고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5는 공용 증발기 타입 모델의 냉장고의 냉동 사이클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6은 개별 증발기 타입 모델의 냉장고의 냉동 사이클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구비되는 냉장실 이너 케이스 및 냉동실 이너 케이스가 아우터 케이스에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로서, 공용 증발기 타입 모델의 냉장고에 구비되는 공급 덕트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공급 덕트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공급 덕트의 평면도이다.
도 11 내지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로서, 공용 증발기 타입 모델의 냉장고에 구비되는 멀티 덕트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15는 공용 증발기 타입 모델의 냉장고에 구비되는 덕트 커넥터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덕트 커넥터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5에 도시된 덕트 커넥터의 평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18은 도 15에 도시된 덕트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19는 도 15에 도시된 덕트 커넥터가 설치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0 및 도 21은 도 15의 덕트 커넥터가 멀티 덕트 및 공급 덕트에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사시도 및 제1 단면도이다.
도 22는 덕트 커넥터가 덕트 커넥터가 멀티 덕트에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제2 단면도이다.
도 23은 도 9에 도시된 공급 덕트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급 덕트를 비교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4는 공용 발포지그 사용시에 개별 증발기 타입 모델의 냉장고의 냉장실 이너 케이스에 부분적인 변형이 발생되는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로서 개별 증발기 타입 모델의 냉장고에 구비되는 수압브라켓을 설명하기 단면도이다.
도 26은 도 25의 수압브라켓의 정면 사시도이며, 도 27은 도 25의 수압브라켓의 평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27은 도 25의 수압브라켓이 냉장실 이너 케이스에 부착된 상태가 도시된 후방 사이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냉장실 도어(20, 21) 및 냉동실 도어(30)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는 저장실로서 냉장실(R)과 냉동실(F)이 내부에 형성된 캐비닛(10)과, 냉장실(R)을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20, 21)와, 냉동실(F)을 개폐하는 냉동실 도어(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는 예시적으로 냉장실(R)이 냉동실(F) 위에 배치되는 바텀 프리저 타입(bottom freezer type)의 냉장고(1)가 도시되어 있지만, 냉동실(F)이 냉장실(R) 위에 배치되는 탑 마운트 타입(top mount type)의 냉장고도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편의상 도시된 바텀 프리저 타입 의 냉장고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캐비닛(10)은 냉장실(R)과 냉동실(F)을 구획하는 메인 배리어(17)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캐비닛(10)은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 케이스(11)와, 냉장실(R)을 형성하는 냉장실 이너 케이스(12)와, 냉동실(F)을 형성하는 냉동실 이너 케이스(13)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 케이스(11)와 냉장실 이너 케이스(12)의 사이, 및 아우터 케이스(11)와 냉동실 이너 케이스(13)의 사이에는 각각 발포성형 방식으로 형성되는 단열재(도 5의 19)가 채워질 수 있다. 단열재(19)의 발포성형에 관한 내용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냉장실(R)과 냉동실(F)은 전술한 메인 배리어(17)에 의해 상하로 구획되고, 상하로 구획된 냉장실(R)과 냉동실(F)의 내부에는 다수의 선반(14) 또는 서랍(15)으로 이루어진 수납부재들이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냉동실(F)은 한 쌍의 회전식 냉동실 도어(31)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한 쌍의 회전식 냉동실 도어(31)는 냉동실(F)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회전에 의해 냉동실(F)을 개폐한다. 한 쌍의 회전식 냉동실 도어(31)는 좌우 양측에 동일 사이즈로 형성되어 냉동실(F)의 좌측과 우측을 각각 독립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냉동실(F)에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서브 배리어(18)가 더 구비되어 냉동실(F)을 좌우 양측으로 구획할 수 있다. 좌우 양측으로 구획된 냉동실(F)은 우측 도어 및 좌측 도어에 의해 독립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좌우 양측으로 구획된 냉동실(F)에는 각각 상하방향으로 3층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냉동실 서랍(152)이 인출가능하게 수납될 수 있다.
한편, 냉동실(F)의 내부에는 냉동실(F)의 후면을 형성하는 냉동실 리어 커버(162)가 구비될 수 있다. 냉동실 리어 커버(162)와 냉동실 이너 케이스(13) 사이의 공간에는 냉동실 증발기(46)와 냉동실 팬/모터 조립체(49)가 설치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냉동실 리어 커버(162)에는 냉동실 증발기(46)에서 생성된 냉기가 냉동실(F)로 배출되는 복수의 냉기 토출구가 관통 형성된다.
복수의 냉기 토출구는 복수의 분리형 바스켓으로 냉기를 용이하게 토출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형 바스켓이 상하방향 3층으로 배치되는 구조에 맞게 복수의 냉기 토출구는 상부 토출구, 중간 토출구 및 하부 토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냉장실(R)은 한 쌍의 냉장실 도어(20, 21)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냉장실 도어(20, 21)는 냉장실(R)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회전에 의해 냉장실(R)을 개폐한다. 냉장실 도어(20, 21)는 좌우 양측에 동일 크기로 형성되어 냉장실(R)의 좌측과 우측을 각각 독립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냉장실 도어(20, 21) 중 일측의 도어(20)의 외측면에는 디스플레이(24)가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4)는 냉장고(1)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거나, 온도 조절 등과 같은 사용자의 제어 명령이 입력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냉장실 도어(20, 21)에는 도어 저장공간(212)을 형성하는 도어 수납부재(211)가 구비될 수 있다. 도어 수납부재(211)는 냉장실 도어(20, 21)의 후면 즉, 냉장실(R)의 내측을 바라보는 면에서 냉장실(R)의 내부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도어 수납 부재(21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냉동실 증발기(46)에 의해 생성된 냉기를 이용하여 얼음을 생성하는 아이스 메이커(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냉장실(R)의 내부에는 냉장실(R)의 후면을 형성하고, 멀티 덕트(도 3 및 도 4의 161b)가 형성된 냉장실 리어 커버(161)가 구비될 수 있다. 냉장실 리어 커버(161)의 전면에는 멀티 덕트(161b)로부터 냉장실(R)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냉기 토출구(161a)가 다수 개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냉장실 리어 커버(161)의 멀티 덕트(161b)는 공용 증발기 타입의 모델의 경우에는 냉동실(R)을 통해서 냉기가 공급되도록 냉동실(R)과 공급 덕트(51)를 통해 유체 연결되어 있고, 개별 증발기 타입 모델의 경우에는 냉동실 증발기(46)와는 별도로 냉장실(R) 내부에 구비되는 냉장실 증발기(45)를 통해 냉기가 공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되는 상세 구성은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냉장고로서 공용 증발기 타입 모델의 냉장고의 단면 개략도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냉장고로서 개별 증발기 타입 모델의 냉장고의 단면 개략도이고, 도 5는 공용 증발기 타입 모델의 냉장고의 냉동 사이클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며, 도 6은 개별 증발기 타입 모델의 냉장고의 냉동 사이클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먼저 도 3 및 도 5를 참조하여 공용 증발기 타입 모델의 냉장고의 구성을 간략히 설명한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용 증발기 타입 모델의 냉장고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41)와, 압축기(41)에서 압축된 냉매가 응축되는 응축기(42)와, 응축기(42)에서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기구로서 모세관(capillary tube, 44)과, 모세관(44)에 의해 팽창된 냉매가 증발되는 공용의 냉동실 증발기(46)를 포함한다.
냉동실 증발기(46)는 냉동실(F)의 뒤편으로서 아우터 케이스(11)에 대향하여 형성되는 냉동실 이너 케이스(13)와 냉동실 리어 커버(162) 사이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으며, 냉동실 증발기(46)에 인접하게는 냉동실 증발기(46)에서 생성된 냉기의 송풍을 위한 냉동실 팬/모터 조립체(49)와 서브 팬/모터 조립체(48)가 구비될 수 있다.
냉동실 팬/모터 조립체(49)는 증발기(16)에 생성된 냉기를 흡입하고 가압하여 냉동실(F) 및 냉장실(R)로 송풍하는 역할을 하며, 냉동실 리어 커버(162)의 후방에 배치된다.
냉동실 팬/모터 조립체(49)를 통해 송풍되는 냉기 중 일부는 냉동실 리어 커버(162)에 형성되는 복수의 토출구를 통해 냉동실(F)로 공급되며, 나머지 일부는 냉기배출홀(131a) 및 냉기유입홀(1221a)를 통해 냉장실(R)로 공급된다.
즉, 공용 증발기로서 기능하는 냉동실 증발기(46)로 생성된 냉기는 냉동실(F)와 냉장실(R)로 분배되어 냉기 덕트부(50)를 통해 공급되고 회수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냉동실 증발기(46)로 생성된 냉기를 냉장실(R)로 공급하기 위해, 후술하는 개별 증발기 타입 모델의 냉장고와 비교하여 냉기배출홀(131a)과 냉기유입홀(1221a)이 각각 더 추가된다.
냉기배출홀(131a)과 냉기유입홀(1221a)이 추가 형성되는 구성을 구별하여 특정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공용 증발기 타입 모델의 냉장고에 구비되는 이너 케이스를 각각 제1 냉동실 이너 케이스(13a)와 제1 냉장실 이너 케이스(12a)로 규정하기로 한다.
보다 상세히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냉동실 이너 케이스(13a)의 냉기배출홀(131a)로부터 배출되는 냉기는 냉기 덕트부(50) 중에서 공급 덕트(51)를 거쳐 제1 냉장실 이너 케이스(12a)의 냉기유입홀(1221a)을 통과하여 냉장실 리어 커버(161)의 멀티 덕트(161b)로 안내된다. 멀티 덕트(161b)로 안내된 냉기는 최종적으로 냉기 토출구(161a)로부터 토출되어 냉장실(R)에 공급된다. 냉장실(R)로 공급되었던 냉기는 다시 냉기 덕트부(50) 중에서 회수 덕트(52)를 통해서 냉동실(F)로 회수된다. 제1 냉장실 이너 케이스(12a)의 냉기유입홀(1221a) 및 공급 덕트(51)에 관한 세부 구성은 도 8 내지 도 2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냉기유입홀(1221a)은 댐퍼부(70)에 의해 개방하거나 폐쇄될 수 있다. 즉, 냉장실(R)의 설정 온도에 따라 댐퍼부(70)를 제어하여 냉기 공급량이 조절된다.
보다 상세히는, 댐퍼부(70)는 냉기유입홀(1221a)을 개폐하는 댐퍼(12)와, 냉기유입홀(1221a)의 개도량 조절을 위해 댐퍼(12)를 구동하는 댐퍼 모터(7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는 메인 배리어(17)에 댐퍼부(70)가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냉장실(R)에 구비되는 멀티 덕트(161)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공용 증발기 타입 모델의 냉장고는 응축기(42), 전환 밸브(47), 모세관(44), 냉동실 증발기(46) 및 압축기(41)로 구성되는 냉매 사이클(40)을 포함한다. 즉, 단일 증발기만을 구비하는 단순 냉매 사이클로서 구성되며, 이들 냉매 사이클(40)의 구성물 들은 냉매 배관을 통해서 유체 연결된다.
이 때, 냉동실 증발기(46)는 냉동실 이너 케이스(13)의 내부에 구비되고, 그외 응축기(42), 모세관(44) 및 압축기(41)는 냉동실 이너 케이스(13)의 외부에 배치된다. 특히, 압축기(41)와 응축기(4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우터 케이스(11)와 냉동실 이너 케이스(13) 사이로서 냉동실(F)의 하부측에 형성되는 기계실(M)에 수용된다.
기계실(M)이 형성될 수 있도록 아우터 케이스(11)에 대향하는 냉동실 이너 케이스(13)의 후면부의 하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경사면으로 구성된다.
모세관(44)과 냉동실 증발기(46)를 유체 연결하는 제1 연결관(60), 및 냉동실 증발기(46)와 압축기(41)를 유체 연결하는 제2 연결관(70)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냉동실 이너 케이스(13)를 관통하여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실(R)의 내부에는 냉장실(R)의 온도를 감지하는 냉장실 온도센서(TS1)가 구비되며, 냉동실(F)의 내부에는 냉동실(F)의 온도를 감지하는 냉동실 온도센서(TS2)가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 및 도 6을 참조하여 개별 증발기 타입 모델의 냉장고의 구성을 간략히 설명한다.
개별 증발기 타입 모델의 냉장고는 전술한 공용 증발기 타입 모델의 냉장고와 비교하여, 냉동실 증발기(46)와 별도로 냉장실(R)에 냉장실 증발기(45)가 더 구비되는 구성과, 냉동실(F)로부터 냉기가 냉장실(R)로 공급되고 회수되는 구성을 제외하고는 공용 증발기 타입 모델의 냉장고의 구성에 거의 유사하게 적용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개별 증발기 타입 모델의 냉장고와 구별되는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하며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공용 증발기 타입 모델의 냉장고와 동일하게 개별 증발기 타입 모델의 냉장고는 압축기(41)에서 압축된 냉매가 응축되는 응축기(42)와, 응축기(42)에서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기구로서 모세관과, 모세관에 의해 팽창된 냉매가 증발되는 냉장실 증발기(45) 및 냉동실 증발기(46)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모세관은 냉동실 증발기(46)로 유입될 냉매를 팽창시키는 제1 모세관(43)과, 냉동실 증발기(46)로 유입될 냉매를 팽창시키는 제1 모세관(4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냉장고(1)는 냉매를 냉장실(R)을 냉각하는 냉장실 증발기(45)로 안내하거나 냉매를 냉동실(F)을 냉각하는 냉동실 증발기(46)로 안내하는 전환 밸브(47)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는, 전환 밸브(47)는 냉동실 증발기(46)와 냉장실 증발기(45)가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응축기(42)를 통과한 냉매를 제1 모세관(43)이나 제2 모세관(44)으로 선택적으로 그리고 동시에 안내하도록 유로를 전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냉장실 증발기(45)는 냉장실(R)의 뒤편에 위치하는 냉장실측 멀티 덕트(161b)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으며, 냉장실 증발기(45)에 인접하게는 냉장실 증발기(45)에서 생성된 냉기의 송풍을 위한 냉장실 팬/모터 조립체(48)가 구비될 수 있다.
이상 공용 증발기 타입 모델의 냉장고와 개별 증발기 타입 모델의 냉장고에 대해서 공통적 구성 및 개별적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각각의 타입 모델에 적용되는 구성물을 최대한 공용화하여 설계 비용을 최소화하고, 각각의 타입의 모델의 제조시 사용되는 제조장치를 공용화하여 제조비용을 최소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은 공용 증발기 타입 모델의 냉장고와 개별 증발기 타입 모델의 냉장고에 각각 적용되는 냉장실 이너 케이스(12) 및 냉동실 이너 케이스(13)에 대한 설계 변경을 최소화하여 동일한 금형을 이용하여 제조되도록 함으로써 1차적으로 달성될 수 있다.
즉, 공용 증발기 타입 모델의 냉장고에 구비되는 제1 냉장실 이너 케이스(12a) 및 제1 냉동실 이너 케이스(13a)와, 개별 증발기 타입 모델의 냉장고에 구비되는 제2 냉장실 이너 케이스(12b) 및 제2 냉동실 이너 케이스(13b) 사이의 설계 변경이 최소화되도록 유지된다.
보다 상세히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공용 증발기 타입 모델의 냉장고는 냉동실 증발기(46)로부터 생성된 냉기를 냉장실(R)로 공급하고 회수하기 위해 제1 냉장실 이너 케이스(12a)에 냉기유입홀(1221a)과 냉기회수홀(1222a)이 형성되고, 제1 냉동실 이너 케이스(13a)에 냉기배출홀(131a)이 형성된다.
이 때, 개별 증발기 타입 모델의 냉장고에 구비되는 제2 냉장실 이너 케이스(12b)와 제2 냉동실 이너 케이스(13b)에는 이와 같은 냉기유입홀(1221a), 냉기회수홀(1222a) 등이 생략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냉기유입홀(1221a)과 냉기회수홀(1222a) 등과 같은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을 공용 증발기 타입 모델의 냉장고와 개별 증발기 타입 모델의 냉장고 사이에서 거의 동일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냉기유입홀(1221a), 냉기회수홀(1222a) 및 냉기배출홀(131a) 등을 형성하기 위한 금형 부품들을 탈착식으로 금형에 결합하는 방식으로 냉장실 이너 케이스 성형 금형(미도시) 및 냉동실 이너 케이스 성형 금형(미도시)을 공용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공용 증발기 타입 모델의 냉장고와 개별 증발기 타입 모델의 냉장고의 단열재(19)의 발포성형시 사용되는 발포지그를 공용화함으로써 2차적으로 달성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용 증발기 타입 모델의 냉장고와 개별 증발기 타입 모델의 냉장고에 각각 선택적으로 구비되는 냉장실 이너 케이스(12)와 냉동실 이너 케이스(13)는 각각 개별적으로 성형이 완료된 후에 조립을 위해 미리 지정된 위치, 예시적으로 냉장실 이너 케이스(12)는 아우터 케이스(11)의 내부 상측에 냉동실 이너 케이스(13)는 아우터 케이스(11)의 내부 하측에 삽입된다.
냉장실 이너 케이스(12)와 냉동실 이너 케이스(13)의 위치 설정이 완료되면, 냉장실 이너 케이스(12)와 아우터 케이스(11) 사이에 그리고 냉동실 이너 케이스(13)와 아우터 케이스(11) 사이에 발포액이 주입된다.
발포액은 당업계에 일반적으로 주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액상 상태로 주입된 후에 팽창되면서 발포되는 성질을 갖고 있다.
따라서 발포액 주입 전에 발포압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냉장실 이너 케이스(12)와 냉동실 이너 케이스(13)의 내면 형상에 대응되는 외형을 갖는 발포지그(미도시)가 냉장실 이너 케이스(12)와 냉동실 이너 케이스(13)의 내부에 미리 도입되도록 구성된다.
다만, 종래에는 공용 증발기 타입 모델의 냉장고와 개별 증발기 타입 모델의 냉장고의 발포성형시에 각각 별도의 발포지그가 사용되었다. 즉, 공용 증발기 타입 모델의 발포성형을 위한 발포지그와 개별 증발기 타입 모델의 발포성형을 위한 발포지그가 각각 별도로 설계되고 세팅되어야 하기 때문에 비용 증가 및 제조 시간 증가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공용 증발기 타입 모델의 냉장고와 개별 증발기 타입 모델의 냉장고의 냉장실 이너 케이스(12)와 냉동실 이너 케이스(13) 사이의 설계 변경이 최소화되기 때문에 단열재(19)의 발포성형시 공용 발포지그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통해 냉장고 전체의 제조 비용 및 제조 시간이 종래에 비해 현저히 감소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공용 증발기 타입 냉장고에 구비되는 공급 덕트(51)를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공용 증발기 타입 모델의 냉장고와 개별 증발기 타입 모델의 냉장고에 각각 적용되는 냉장실 이너 케이스(12) 및 냉동실 이너 케이스(13)에 대한 설계 변경이 최소화되도록 유지된다. 특히, 공용 증발기 타입 모델에 적용되는 제1 냉장실 이너 케이스(12a)는 개별 증발기 타입 모델에 적용되는 제2 냉장실 이너 케이스(12b)에 비해서 냉기유입홀(1221a) 및 냉기회수홀(1222a)이 더 추가되는 정도로만 설계 변경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냉동실(F)의 냉기를 냉장실(R)로 공급하기 위한 냉기 덕트부(50)는 제1 냉장실 이너 케이스(12a)와 제1 냉동실 이너 케이스(13a)에 일체로 형성되지 않도록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별개로 제작되어 제1 냉장실 이너 케이스(12a)와 제1 냉동실 이너 케이스(13a)를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도 8 내지 도 10에는 이와 같이 냉동실(F)의 냉기를 냉장실(R)로 공급하기 위한 냉기 덕트부(50)로서, 제1 냉장실 이너 케이스(12a)의 냉기유입홀(1221a)과 제1 냉동실 이너 케이스(13a)의 냉기배출홀(131a)을 연결하는 공급 덕트(51)가 도시되어 있다.
공급 덕트(51)는 단열성능 및 성형성을 고려하여 스티로폼으로 알려져 있는 발포폴리스티렌으로 형성된다.
공급 덕트(51)는 대략 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는 상측면(511)과 하측면(512)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냉기 통로(51h)가 형성된다.
이 때, 냉기 통로(51h)는 제1 냉장실 이너 케이스(12a)의 냉기유입홀(1221a) 및 제1 냉동실 이너 케이스(13a)의 냉기배출홀(131a)의 형상에 대응하여 가로단면폭(Wh1)이 세로단면폭(Wh2)보다 훨씬 더 큰 사각형상을 갖도록 구비된다. 보다 상세히는, 냉기 통로(51h)의 내주면은 서로 대향하여 형성되는 전방 내주면(51ha) 및 후방 내주면(51hb)과, 전방 내주면(51ha) 및 후방 내주면(51hb)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서로 대향하여 형성되는 한 쌍의 측방 내주면(51hc)을 포함하고, 냉기의 유동방향(화살표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전방 내주면(51ha) 및 후방 내주면(51hb)의 단면폭(Wh1)은, 한 쌍의 측방 내주면(51hc)의 단면폭(Wh2)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냉기 통로(51h)의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에는 냉기가 유동하는 방향(화살표 방향)을 기준으로 하부측의 단면적이 상부측 단면적보다 더 작게 형성되며, 단면적의 확대가 시작되는 부분은 단차부(51hd)를 형성하게 된다. 단차부(51hd)는 후술하는 덕트 커넥터(60)의 하단부(6131)에 대한 스토퍼로서 작용하게 되어 덕트 커넥터(60)의 하단부(6131)의 위치는 단차부(51hd)에 의해서 제한받게 된다.
한편, 냉기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공급 덕트(51)의 상측면(511)과 하측면(512)은 각각 제1 냉장실 이너 케이스(12a)의 저면부(122a)의 외측 형상과 제1 냉동실 이너 케이스(13a)의 상면부의 외측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구성된다.
나아가 공급 덕트(51)의 상측면에는 제1 가이드벽(5112)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하측면에는 제2 가이드벽(5121)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1 가이드벽(5112)은 제1 냉장실 이너 케이스(12a)의 후면부(121a)와 측면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구비되고, 공급 덕트(51)의 상측면(511)의 후방에서 전체적으로 ㄱ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제2 가이드벽(5121)은 제1 냉동실 이너 케이스(13a)의 후면부와 측면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구비되고, 공급 덕트(51)의 하측면(512)의 후방에서 전체적으로 ㄱ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1 가이드벽(5112)과 제2 가이드벽(5121)에 의해서 제1 냉장실 이너 케이스(12a)와 제1 냉동실 이너 케이스(13a)에 대한 접촉 면적이 증가되고, 이로 인해 공급 덕트(51)의 결합 강도가 더 증가되고, 냉기 누설 방지를 위한 기밀 성능이 증가될 수 있다.
한편, 공급 덕트(51)의 상측면(511)에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홈(5111)이 형성된다. 적어도 가이드홈(5111)은 제1 냉장실 이너 케이스(12a)에 형성된 가이드돌기(1223a)가 삽입되도록 구성되며, 이들 가이드홈(5111)과 가이드돌기(1223a)에 의해서 공급 덕트(51)가 정위치에 결합되도록 유도되고, 결합이 완료된 후 이탈되지 않도록 구속된다.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공급 덕트(51)에 하측면(512)에는 제1 냉동실 이너 케이스(13a) 측에 결합하는 추가적인 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공급 덕트(51)는 전술한 발포성형이 시작되기 전에 미리 제1 냉장실 이너 케이스(12a) 및 제1 냉동실 이너 케이스(13a)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공급 덕트(51)는 직접적으로 발포압이 외면에 작용받게 된다.
이 때, 전술한 바와 같이 냉기 통로(51h)의 전방 내주면(51ha) 및 후방 내주면(51hb)의 단면폭이 한 쌍의 측방 내주면(51hc)의 단면폭보다 더 훨씬 더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냉기 통로(51h)의 전방 내주면(51ha)과 마주보게 되는 전방면(513) 및 냉기 통로(51h)의 후방 내주면(51hb)과 마주보게 되는 후방면(514)은 양측면(515, 516)보다 더 넓게 형성되고, 그 결과 더 큰 발포압이 작용하게 된다.
전방면(513)과 후방면(514)에 작용하는 발포압은 각각 냉기 통로(51h)의 전방 내주면(51ha)과 후방 내주면(51hb)으로 전달되며, 공급 덕트(51)의 소재의 한계에 의해서 전방 내주면(51ha)과 후방 내주면(51hb)은 각각 냉기 통로(51h)의 내부를 향해서 돌출되면서 변형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돌출 변형은 결과적으로 냉기 통로(51h)의 단면적의 감소를 야기하게 되며 냉장실(R)로의 냉기 공급량이 심각하게 감소되는 현상을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냉기 공급량 감소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공급 덕트(51)의 전방면(513)과 후방면(514)에 각각 전방을 향해 돌출되는 제1 융기면(5131)과 후방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 융기면(5141)이 구비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융기면(5131)과 제2 융기면(5141)은 각각 공급 덕트(51)의 전방면(513)의 중심 및 후방면(514)의 중심을 향해 진행하면서 점진적으로 돌출량이 증가되는 곡면 형상을 갖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1 융기면(5131) 및 제2 융기면(5141)은 각각 전방면의 중심 및 후방면의 중심에서 최대 돌출량을 갖도록 구성되며, 이는 좌우방향으로 공급 덕트(51)의 냉기 통로(51h)의 중심(C1)에 대응되는 위치가 된다.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기 통로(51h)의 중심(C1), 제1 융기면(5131)의 최대 돌출위치(P1) 및 제2 융기면(5141)의 최대 돌출위치(P2)는 모두 동일 연장선(L) 상에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나아가 제1 융기면(5131) 및 제2 융기면(5141)이 좌우방향에 대해서 전체적으로 공급 덕트(51)를 커버할 수 있도록, 제1 융기면(5131)의 가로폭(Wr1)은 공급 덕트(51)의 가로단면폭(Wh1)보다 더 크게 형성되며, 제2 융기면(5141)의 가로폭(Wr2)은 공급 덕트(51)의 가로단면폭(Wh1)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발포압의 작용에 의해 최대 변형량의 발생이 예상되는 냉기 통로(51h)의 전방 내주면(51ha) 및 후방 내주면(51hb)에 대한 발포압이 제1 융기면(5131) 및 제2 융기면(5141)에 의해서 흡수되고, 냉기 통로(51h)의 변형이 최소화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급 덕트(51)를 통해 이동되는 냉기는, 냉장실(R) 내부에 배치되는 멀티 덕트(161b)로 공급된다.
도 11 내지 도 14에는 공용 증발기 타입 모델의 냉장고에 구비되는 멀티 덕트(161b)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 덕트(161b)는 냉장실(R)의 후면을 형성하는 냉장실 리어 커버(161)에 일체화되어 형성되며, 내부에는 공급 덕트(51)를 통해 전달되는 냉기가 이동하는 유로가 다수 형성되어 있다.
멀티 덕트(161b)로 공급된 냉기는 최종적으로 복수의 냉기 토출구(161a)를 통해 냉장실(R) 내부로 토출되도록 구성된다. 냉장실(R)로 공급되었던 냉기는 제1 냉장실 이너 케이스(12a)의 저면부(122a)에 형성된 냉기회수홀(1222a)을 통과하여 냉기 덕트부(50) 중에서 회수 덕트(52)를 거쳐 냉동실(F)로 회수된다.
한편,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용 증발기 타입 모델의 냉장고에 구비되는 멀티 덕트(161b)는, 하단부가 제1 냉장실 이너 케이스(12a)의 저면부(122a)에 형성된 냉기유입홀(1221a)에 직접 연결되고 공급 덕트(51)를 통해 안내된 냉기가 유입되는 댐퍼부(70)를 포함한다. 즉, 공용 증발기 타입 모델의 전용으로서 구비되는 댐퍼부(70)가 냉장실 리어 커버(161)에 구비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부(70)는 외체를 형성하고 내부에 냉기 덕트가 형성된 하우징(73)과, 하우징(73)의 내부에 구비되고 냉기 덕트의 유로를 개폐하는 댐퍼(71)와, 하우징(73)의 내부에 구비되고 댐퍼(71)를 구동하는 댐퍼 모터(7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우징(73)의 상단부는, 냉장실 리어 커버(161)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어 멀티 덕트(161b)의 일부를 형성하고, 하우징(73)의 하단은 제1 냉장실 이너 케이스(12a)의 저면부(122a)에 형성된 냉기유입홀(1221a)을 커버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통해 하우징(73)의 내부에 형성된 냉기 덕트로 냉기유입홀(1221a)로부터 도입되는 냉기가 유입된다.
댐퍼(71)와 댐퍼 모터(72)는 하우징(73)의 내부 하측으로서 특히 하우징(73)의 내부에 형성된 냉기 덕트를 개폐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다. 보다 상세히는 냉기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71)와 댐퍼 모터(72)는 냉기유입홀(1221a)에 최대한 근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 덕트(161b)가 형성된 냉장실 리어 커버(161)는 댐퍼부(70)가 미리 결합된 상태로 제1 냉장실 이너 케이스(12a)의 후면부(121a)에 배치된다.
냉장실 리어 커버(161)는, 상단부(161b-1)가 제1 냉장실 이너 케이스(12a)의 상면부(124a) 후방에 형성된 걸림턱(1241a)에 미리 걸림이 형성된 상태에서 하단을 후방으로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결합된다.
즉, 냉장실 리어 커버(161)의 상단부(161b-1)가 회전 중심으로 작용하여 전체적으로 후방을 향해 회전이동시켜 제1 냉장실 이너 케이스(12a)의 후면부(121a)에 밀착시키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다만, 회전 중심으로부터 가장 멀리 이격되어 있는 댐퍼부(70)의 하단은 냉기유입홀(1221a)을 전체적으로 커버하고, 댐퍼(71)와 댐퍼 모터(72)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하우징(73)의 하단의 전후방향 폭이 냉장실 리어 커버(161)의 상단의 폭에 비해서, 그리고 멀티 덕트(161b)의 폭에 비해서 상당히 더 넓게 형성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결합 방식을 고려하여,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부(70)의 하단은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진행하면서 높이가 점차 높아지는 경사면으로서 구성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냉장실 이너 케이스(12a)는 설계 변경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냉기유입홀(1221a)의 주위의 저면부(122a)는 수평면과 경사면이 조합되는 복합 형상면을 갖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경사면으로 구성되는 댐퍼부(70)의 하단에 형성되는 하단 연결부(74)와, 복합 형상면으로 형성되는 냉기유입홀(1221a) 주위의 저면부(122a)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고, 이를 통해 냉기가 누설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댐퍼부(70)의 하단 연결부(74)와 냉기유입홀(1221a) 주위의 저면부(122a) 사이의 간극을 통한 냉기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일단이 공급 덕트(51)에 연결되고 타단이 멀티 덕트(161b)의 댐퍼부(70)에 연결되는 덕트 커넥터(60)를 포함한다.
도 15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 커넥터(60)는, 연결 통로(61h)가 관통 형성되는 판상의 본체부(61)와, 본체부(61)의 상측면(611)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멀티 덕트(161b)의 댐퍼부(70)의 내부로 삽입되는 중공의 상단 삽입부(62)와, 본체부(61)의 하측면(612)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결 통로(61h)의 내부로 삽입되는 중공의 하단 삽입부(6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판상의 본체부(61)는, 전술한 댐퍼부(70)의 하단 연결부(74)와 냉기유입홀(1221a) 주위의 저면부(122a) 사이의 간극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본체부(61)의 상측면은 댐퍼부(70)의 하단 연결부(74)에 밀착되는 부분으로서 하단 연결부(74)과 동일하게 후방으로 진행하면서 높이가 점차 높아지는 경사각(a1)을 갖는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이 때, 또한, 본체부(61)의 하측면에는 냉기유입홀(1221a) 주위의 저면부(122a)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저면리브(6121)가 구비된다.
복수의 저면리브(6121)는, 각각 본체부(61)의 하측면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냉기유입홀(1221a) 주위의 저면부(122a)를 향해 돌출되도록 본체부(61)에 일체로 형성된다.
보다 상세히는 복수의 저면리브(6121)는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횡방향 리브(6121a)와, 복수의 횡방향 리브(6121a)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종방향 리브(6121b)를 포함한다.
복수의 횡방향 리브(6121a)는,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61)의 하측면(612)으로부터 돌출되어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구성되되, 개별 횡방향 리브들(6121a)의 하단부의 위치는 전후방향을 따라 진행하면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다만, 수평영역(R1)으로서 형성되는 냉기유입홀(1221a) 주위의 저면부(122a)와, 제상수의 이동을 위한 경사각(a2)을 갖는 경사영역(R2)으로서 형성되는 냉기유입홀(1221a) 주위의 저면부(122a)의 형상에 대응하여 복수의 횡방향 리브들(6121a) 각각의 하단부는 위치는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즉,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횡방향 리브(6121a) 중에서 수평영역(R1)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제1 리브(6121a-1)는 하단부의 위치가 서로 동일하게 돌출되고, 경사영역(R2)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제2 리브(6121a-2)는 복수의 제1 리브(6121a-1)의 하단부보다 하단부의 위치가 더 낮게 형성된다.
이 때, 추가적으로 경사영역(R2)에 대응하여 복수의 제2 리브(6121a-2)는 각각의 하단부의 위치가 점차 낮아지게 형성된다.
한편, 복수의 횡방향 리브(6121a)와 교차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종방향 리브(6121b)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61)의 하측면(612)으로부터 돌출되어 좌우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다만, 복수의 종방향 리브(6121b)는 각각 전술한 수평영역(R1) 및 경사영역(R2)에 동시에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복수의 종방향 리브(6121b)는 각각 수평영역(R1)에 대응하여 하단부의 위치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부분과, 경사영역(R2)에 대응하여 하단부의 위치가 점차 낮아지는 부분을 연속적으로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체부(61)의 일측, 예시적으로 도면을 기준으로 좌측에는 체결홀(61r)이 형성되며, 이를 통해 냉장실 리어 커버(161)가 제1 냉장실 이너 케이스(12a)의 후면부(121a)에 결합되기 전에 체결볼트 등을 이용하여 냉기유입홀(1221a) 주위의 저면부(122a)에 견고히 고정된다.
본체부(61)로부터 상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상단 삽입부(62)는, 연결 통로(61h)를 둘러싸는 중공의 실린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전체적으로 댐퍼부(70)의 하단 연결부(74)의 내부로 삽입되어 하단 연결부(74)에 결합된다.
본체부(61)의 상측면(611)과 마찬가지로, 상단 삽입부(62)의 상측면(621)은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진행하면서 높이가 점차 높아지는 경사각(a1)을 갖는 경사면으로서 구성되고, 상단 삽입부(62)의 상측면(621)과 면접촉하도록 구성되는 댐퍼부(70)의 하단 연결부(74)의 내측면은 상단 삽입부(62)의 상측면(621) 및 외측면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형합부(741)가 구비된다. 이를 통해, 상단 삽입부(62)의 상측면(621)과 측면부가 동시에 또는 적어도 일부가 형합부(741)에 면접촉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냉기의 누설 방지 기능이 추가적으로 강화될 수 있다.
한편, 상단 삽입부(62)의 후방 단부면에는 상단 삽입부(62)의 상측면(621)으로부터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보강벽(622)이 형성된다. 보강벽(622)은 덕트 커넥터(60)의 강도를 보강함과 동시에 제1 냉장실 이너 케이스(12a)의 후면부(121a) 및 댐퍼부(70)의 하우징(73) 후방측에 결합되어 냉기의 누설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냉장실 리어 커버(161)의 회전 결합시에 댐퍼부(70)의 하우징(73)의 후방측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단 삽입부(62)와 충돌되지 않도록 개방되도록 구성되는데, 보강벽(622)은 이와 같이 부분적으로 개방된 위치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본체부(61)로부터 하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하단 삽입부(63)는 연결 통로(61h)를 둘러싸는 중공의 실린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공급 덕트(51)의 연결 통로(61h)의 내부로 삽입되어 외측면(631)이 공급 덕트(51)의 냉기 통로(51h)의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결합된다. 이를 위해, 하단 삽입부(63)의 외측면(631)의 가로폭(Wh3)과 세로폭(Wh4)은 공급 덕트(51)의 냉기 통로(51h)의 가로단면폭(Wh1)과 세로단면폭(Wh2)에 각각 대응되도록 구성된다.
하단 삽입부(63)는 상단 삽입부(62)와 유사하게 중공의 실린더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나, 상단 삽입부(62)와는 달리 돌출량은 더 길게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급 덕트(51)는 발포압에 의한 냉기 통로(51h)의 변형이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필요하며, 하단 삽입부(63)는 하단부가 최대한 더 깊이 공급 덕트(51)의 냉기 통로(51h)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냉기 통로(51h)의 변형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하단 삽입부(63)가 냉기 통로(51h)를 내부에서 최대한 넓은 면적을 지지하는 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덕트 커넥터(60)는 공급 덕트(51)의 재질보다는 더 강성이 높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공급 덕트(51)는 강성이 매우 낮은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하단 삽입부(63)가 너무 길게 형성되면, 하단 삽입부(63)의 삽입 과정에서 공급 덕트(51)에 손상이 발생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하단 삽입부(63)의 길이는 소정량 이하로 제한될 필요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급 덕트(51)의 냉기 통로(51h)의 내측면에는 이와 같이 하단 삽입부(63)의 삽입 위치를 제한하는 단차부(51hd)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덕트 커넥터(60)는 공급 덕트(51)의 변형을 방지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공급 덕트(51)와 멀티 덕트(161b)의 댐퍼부(70)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때, 댐퍼부(70)의 형합부(741)에 대한 기밀 성능을 향상시키고 댐퍼부(70)의 결합시 조립의 용이성 향상을 위해서 덕트 커넥터(60)는 소정의 탄성을 갖되 댐퍼부(70)의 하우징(73)의 재질보다 더 강성이 낮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시적으로 댐퍼부(70)의 재질은 소정의 탄성을 갖되 성형성이 우수한 천연고무 또는 합성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공급 덕트(51)와 별개로 형성되는 덕트 커넥터(60)를 이용하여 공급 덕트(51)의 냉기가 댐퍼부(70)로 전달되는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와는 달리 공급 덕트(51)가 직접 댐퍼부(70)와 연결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부(70)의 하단 연결부(74)의 내부로 직접 삽입되는 상단 삽입부(517)가 공급 덕트(51)에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단 삽입부(517)가 돌출되는 높이(H)는 덕트 커넥터(60)의 상단 삽입부(62)가 돌출되는 높이와 동일하게 유지됨으로써 댐퍼부(70)에 대한 설계 변경에 최소화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단열재(19)의 발포성형시 사용되는 발포지그를 공용 증발기 타입 모델 및 개별 증발기 타입 모델에 공용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도 21 및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 커넥터(60)가 공급 덕트(51)에 결합된 상태에서 발포성형을 진행하는 경우 및 일체형 상단 삽입부(517)가 형성된 공급 덕트(51)에 구비된 상태에서 발포성형을 진행하는 경우에는, 덕트 커넥터(60) 및 일체형 상단 삽입부(517)가 제1 냉장실 이너 케이스(12a)의 저면부(122a)로부터 돌출된 부분을 회피하는 형상을 갖도록 발포지그의 외형이 형성된다.
따라서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 증발기 타입 모델에 대해서 단열재(19)의 발포성형을 동일한 공용 발포지그를 통해서 수행하는 경우에 제1 냉장실 이너 케이스(12a)의 냉기유입홀(1221a)에 대응되는 위치(A1)는 발포지그에 의해서 지지가 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제2 냉장실 이너 케이스(12b)는 제1 냉장실 이너 케이스(12a)의 냉기유입홀(1221a)에 대응되는 위치(A1)에서 부분적으로 발포압(도 24의 화살표 방향)에 의해서 변형이 발생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와 같은 제2 냉장실 이너 케이스(12b)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서, 개별 증발기 타입 모델의 냉장고는 냉기유입홀(1221a)에 대응되는 위치를 외부에서 전체적으로 커버하는 수압브라켓(80)을 포함한다.
도 25 내지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압브라켓(80)은 제2 냉장실 이너 케이스(12b)의 저면부(122b)의 외측에 밀착하는 바텀커버부(81)와, 제2 냉장실 이너 케이스(12b)의 후면부(121b)의 외측에 밀착하는 리어커버부(82)와, 제2 냉장실 이너 케이스(12b)의 측면부(123b)의 외측에 밀착하는 사이드커버부(8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들 바텀커버부(81), 리어커버부(82) 및 사이드커버부(83)는 모두 일체로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사출형성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제2 냉장실 이너 케이스(12b)의 외측면을 향하는 바텀커버부(81), 리어커버부(82) 및 사이드커버부(83)의 내측면은 동시에 제2 냉장실 이너 케이스(12b)의 외측면에 접착제 등을 통해 견고히 고정된다. 바텀커버부(81), 리어커버부(82) 및 사이드커버부(83)가 상호간 연결되는 모서리 부분은 제2 냉장실 이너 케이스(12b)의 형상에 대응하여 곡면으로 형성된다.
또한, 바텀커버부(81), 리어커버부(82) 및 사이드커버부(83)의 외측면에는 강성 보강을 위한 복수의 보강리브(84, 85)가 형성된다.
보다 상세히는, 복수의 보강리브(84, 85)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보강리브(84)와,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보강리브(85)를 포함한다. 이들 제1 보강리브(84)와 제2 보강리브(85)는 상호간 교차점을 형성하며 격자를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한편, 바텀커버부(81), 리어커버부(82) 및 사이드커버부(83)의 각각의 테두리에는 각각의 내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꺾이는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리브 형태의 절곡부(86)가 형성된다. 연속 형성되는 절곡부(86)를 통해 상대적으로 강도가 약한 테두리의 강도가 보강될 수 있게 된다.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기유입홀(1221a)에 대응되는 위치는 전체적으로 수압브라켓(80)에 의해서 커버되어 발포압의 방향성에 무관하게 제2 냉장실 이너 케이스(12b)의 변형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냉장실 이너 케이스(12a)의 발포성형시 사용되었던 발포지그에 대한 설계 변경 또는 설정 변경이 없이도 동일한 공용 발포지그를 이용하여 발포성형이 진행될 수 있기 때문에 발포성형을 위한 제조비용 및 제조시간이 종래에 비해 현저히 감소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 냉장고 10: 캐비닛
12: 냉장실 이너 케이스 12a: 제1 냉장실 이너 케이스
12b: 제2 냉장실 이너 케이스 13: 냉동실 이너 케이스
13a: 제1 냉동실 이너 케이스 13b: 제2 냉동실 이너 케이스
14: 선반 M: 기계실
20, 21: 냉장실 도어 30: 냉동실 도어
40: 냉매 사이클 50: 냉기 덕트부
60: 덕트 커넥터 70: 댐퍼부
80: 수압브라켓 TS1: 냉장실 온도센서
TS2: 냉동실 온도센서 R: 냉장실
F: 냉동실

Claims (20)

  1. 외체를 형성하는 아우터 케이스;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냉장실이 마련되는 냉장실 이너 케이스;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내부로서 상기 냉장실 이너 케이스에 인접해서 배치되고, 내부에 냉동실이 마련되는 냉동실 이너 케이스;
    상기 아우터 케이스와 상기 냉장실 이너 케이스 사이, 그리고 상기 아우터 케이스와 상기 냉동실 이너 케이스 사이에 배치되고, 발포성형을 통해 형성되는 단열재; 및
    상기 냉동실의 내부에 배치되는 증발기;
    를 포함하고,
    상기 냉장실 이너 케이스는, 상기 증발기로부터 생성된 냉기가 유입되는 냉기유입홀이 형성되는 제1 냉장실 이너 케이스 또는 상기 냉기유입홀이 미형성되는 제2 냉장실 이너 케이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제1 냉장실 이너 케이스와 상기 제2 냉장실 이너 케이스는 모두 동일한 냉장실 이너 케이스 성형 금형을 이용하여 제조되고,
    상기 단열재의 발포성형시에 상기 제1 냉장실 이너 케이스와 상기 제2 냉장실 이너 케이스는 모두 동일하게 공용 단열재 발포지그가 이용되는 냉장고.
  2. 제1 항에서,
    상기 냉동실 이너 케이스는, 상기 증발기로부터 생성되어 상기 냉장실로 공급될 냉기가 배출되는 냉기배출홀이 형성된 제1 냉동실 이너 케이스 또는 상기 냉기배출홀이 미형성되는 제2 냉동실 이너 케이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제1 냉동실 이너 케이스는 상기 제1 냉장실 이너 케이스와 함께 선택적으로 포함되고,
    상기 제2 냉동실 이너 케이스는 상기 제2 냉장실 이너 케이스와 함께 선택적으로 포함되는 냉장고.
  3. 제2 항에서,
    상기 제1 냉동실 이너 케이스 및 상기 제2 냉동실 이너 케이스는 모두 동일한 냉동실 이너 케이스 성형 금형을 이용하여 제조되고,
    상기 단열재의 발포성형시에 상기 제1 냉동실 이너 케이스와 상기 제2 냉동실 이너 케이스는 모두 동일하게 상기 공용 단열재 발포지그가 이용되는 냉장고.
  4. 제2 항에서,
    상기 제1 냉장실 이너 케이스 및 상기 제1 냉동실 이너 케이스와 함께 선택적으로 포함되며, 일단이 상기 냉기유입홀에 유체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냉기배출홀에 유체연결되는 냉기 통로를 구비한 공급 덕트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5. 제4 항에서,
    상기 냉기 통로의 내주면은, 서로 대향하여 형성되는 전방 내주면 및 후방 내주면과, 상기 전방 내주면 및 상기 후방 내주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서로 대향하여 형성되는 한 쌍의 측방 내주면을 포함하고,
    상기 냉기의 유동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전방 내주면 및 상기 후방 내주면의 단면폭은, 상기 한 쌍의 측방 내주면의 단면폭보다 더 크게 되는 냉장고.
  6. 제5 항에서,
    상기 공급 덕트는,
    상기 전방 내주면과 마주보게 되는 전방면에 전방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 융기면; 및
    상기 후방 내주면과 마주보게 되는 후방면에 후방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 융기면;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융기면 및 상기 제2 융기면은 각각 상기 전방면의 중심 및 상기 후방면의 중심 측으로 진행하면서 점진적으로 돌출량이 증가하는 곡면 형상을 갖게 되는 냉장고.
  7. 제6 항에서,
    상기 제1 융기면 및 상기 제2 융기면은 각각 상기 전방면의 중심 및 상기 후방면의 중심에서 상기 전방면 및 상기 후방면으로부터 최대로 돌출되는 냉장고.
  8. 제6 항에서,
    상기 냉기의 유동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제1 융기면 및 상기 제2 융기면의 단면폭은 각각 상기 전방 내주면 및 상기 후방 내주면의 단면폭보다 더 크게 되는 냉장고.
  9. 제6 항에서,
    상기 공급 덕트의 재질은 발포폴리스티렌이 되는 냉장고.
  10. 제4 항에서,
    상기 제1 냉장실 이너 케이스 및 상기 제1 냉동실 이너 케이스와 함께 선택적으로 포함되며, 상기 냉장실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공급 덕트를 통해 공급되는 냉기를 상기 냉장실로 분배하는 멀티 덕트; 및
    상기 제1 냉장실 이너 케이스 및 상기 제1 냉동실 이너 케이스와 함께 선택적으로 포함되며, 일단이 상기 공급 덕트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멀티 덕트에 연결되어 상기 냉기 덕트로부터 공급되는 냉기를 상기 멀티 덕트로 전달하는 덕트 커넥터;
    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11. 제10 항에서,
    상기 덕트 커넥터는,
    냉기 통로가 관통 형성되는 판상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측면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멀티 덕트의 하단부의 내부로 삽입되는 중공의 상단 삽입부;
    상기 본체부의 하측면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냉기 통로의 내부로 삽입되는 중공의 하단 삽입부;
    를 포함하는 냉장고.
  12. 제11 항에서,
    상기 멀티 덕트는, 상기 덕트 커넥터를 통해 유입되는 냉기의 흐름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는 댐퍼부를 포함하고,
    상기 댐퍼부는,
    내부에 냉기 덕트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냉기 덕트를 개폐하는 댐퍼;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댐퍼를 작동시키는 구동력을 생성하는 댐퍼 모터;
    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에는 상기 상단 삽입부가 삽입되며, 상기 삽입부의 외형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형합부가 형성되는 냉장고.
  13. 제12 항에서,
    상기 형합부의 내측 단부면 및 외측 단부면은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진행하면서 점진적으로 높이가 증가되는 경사면이 되고,
    상기 상단 삽입부의 상측면은 상기 형합부의 내측 단부면에 대응하는 경사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부의 상측면은 상기 형합부의 외측 단부면에 대응하는 경사면으로 구성되는 냉장고.
  14. 제13 항에서,
    상기 형합부의 내측 단부면과 상기 상단 삽입부의 상측면은 서로 밀착되는 냉장고.
  15. 제11 항에서,
    상기 덕트 커넥터는, 상기 본체부의 하측면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하단부가 상기 냉장실 이너 케이스의 저면부에 접촉하는 복수의 저면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저면리브는,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횡방향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횡방향 리브는, 하단부의 위치가 서로 동일한 복수의 제1 리브와, 하단부의 위치가 상기 복수의 제1 리브의 하단부보다 더 낮은 위치가 되는 복수의 제2 리브를 포함하는 냉장고.
  16. 제15 항에서,
    상기 복수의 제2 리브는, 상기 본체부의 측면부를 향해 진행하면서 각각의 하단부의 위치가 점차 낮아지게 되는 냉장고.
  17. 제15 항에서,
    상기 복수의 저면리브는, 상기 복수의 횡방향 리브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종방향 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종방향 리브는, 각각 하단부의 위치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부분과 하단부의 위치가 점차 낮아지는 부분을 포함하는 냉장고.
  18. 제12 항에서,
    상기 덕트 커넥터는, 상기 공급 덕트의 재질보다 더 강성이 높고 상기 댐퍼부의 하우징의 재질보다 더 강성이 낮은 재질로 형성되는 냉장고.
  19. 제2 항에서,
    상기 제2 냉장실 이너 케이스 및 상기 제2 냉동실 이너 케이스와 함께 선택적으로 포함되며,
    상기 제2 냉장실 이너 케이스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냉기배출홀에 대응되는 위치를 전체적으로 커버하는 수압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냉장고.
  20. 제19 항에서,
    상기 수압브라켓은, 상기 제2 냉장실 이너 케이스의 저면부의 외측에 밀착되는 바텀커버부와, 상기 바텀커버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냉장실 이너 케이스의 후면부의 외측에 밀착되는 리어커버부를 구비하는 냉장고.
KR1020200133554A 2020-10-15 2020-10-15 냉장고 KR202200498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3554A KR20220049883A (ko) 2020-10-15 2020-10-15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3554A KR20220049883A (ko) 2020-10-15 2020-10-15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9883A true KR20220049883A (ko) 2022-04-22

Family

ID=81452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3554A KR20220049883A (ko) 2020-10-15 2020-10-15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4988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7914A (ko) 2015-04-28 2016-1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이너 케이스 성형 장치 및 성형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7914A (ko) 2015-04-28 2016-1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이너 케이스 성형 장치 및 성형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11354B1 (en) Refrigerator
EP2679938B1 (en) Refriger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8132423B2 (en) Refrigerator with selective airflow passages between the icemaker and the ice making evaporator
EP2650625A2 (en) Refrigerator
US9964349B2 (en) Refrigerator
US8033130B2 (en) Refrigerator
KR101658998B1 (ko) 냉장고
JP6000919B2 (ja) 冷蔵庫
JP2008075934A (ja) 冷蔵庫
KR20150010846A (ko) 냉장고
KR100751106B1 (ko) 제빙실이 구비된 냉장실도어
KR20220049883A (ko) 냉장고
JP2019027650A (ja) 冷蔵庫
JP2022032329A (ja) 冷蔵庫
JPH08247618A (ja) 冷蔵庫
KR20210101097A (ko) 냉장고
KR101053853B1 (ko) 냉장고 및 그 제조방법
US20240133610A1 (en) Refrigerator
JP2007113800A (ja) 冷蔵庫
JP2006153379A (ja) 断熱箱体及び断熱箱体の製造方法
JP7385912B2 (ja) 冷蔵庫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220027422A (ko) 냉장고
US20240159453A1 (en) Refrigerator
JP2016161182A (ja) 冷蔵庫
KR20240070097A (ko) 냉장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