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3853B1 - 냉장고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냉장고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3853B1
KR101053853B1 KR1020060013195A KR20060013195A KR101053853B1 KR 101053853 B1 KR101053853 B1 KR 101053853B1 KR 1020060013195 A KR1020060013195 A KR 1020060013195A KR 20060013195 A KR20060013195 A KR 20060013195A KR 101053853 B1 KR101053853 B1 KR 101053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wall
main
evaporator
storage compartment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3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9853A (ko
Inventor
주재흥
강성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70039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98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3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3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2013/006Protecting plants with perforation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내상과 외상을 가지며 주저장실과 보조저장실이 구획되어 형성된 본체와, 주저장실의 후방영역에 배치되어 주저장실을 냉각하는 주 증발기와 보조저장실의 후방영역에 배치되어 보조저장실을 냉각하는 보조증발기를 포함하는 증발기와, 주증발기와 보조증발기의 전방에 마련되어 주증발기 및 보조증발기와 해당 저장실을 구획하여 냉기 유로를 형성하는 저장실 덕트와, 주저장실과 보조저장실의 냉기가 독립적으로 유동하도록 주저장실과 보조저장실을 구획하는 구획격벽을 포함하며; 구획격벽은, 본체에 고정 결합되어 구획격벽의 전방부분을 구성하는 고정격벽부와, 저장실 덕트와 고정격벽부 사이에 착탈가능하게 마련되어 구획격벽의 후방부분을 구성하는 가동격벽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제조방법은 내상과 외상을 가지며, 주저장실과 보조저장실이 구획되어 형성된 본체를 갖는 냉장고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본체의 주저장실과 보조저장실을 구획하여 각 저장실의 냉기가 독립적으로 유동하도록 고정격벽부와 가동격벽부를 갖는 구획격벽을 마련하는 단계와; 고정격벽부를 본체의 전방영역에 결합하는 단계와; 주저장실을 냉각하는 주증발기를 주저장실의 후방 영역에 배치하는 단계와; 보조저장실을 냉각하는 보조증발기를 보조저장실의 후방 영역에 배치하는 단계와; 증발기와 해당 저장실을 구획하여 냉기 유로를 형성하는 저장실 덕트를 주증발기와 보조증발기 전방 영역에 마련하는 단계와; 가동격벽부를 저장실 덕트와 고정격벽부 사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주저장실과 구획되어 별도로 식품을 저장할 수 있는 보조저장실을 가지며, 각 저장실의 냉기가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냉장고로서, 제조가 용이한 냉장고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냉장고의 제조시 발생하는 냉장고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냉장고, 저장실, 구획

Description

냉장고 및 그 제조방법{REFRIGER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개략적인 모습을 도시한 정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냉동실측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내상과, 고정격벽부와, 세로전면판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Ⅳ-Ⅳ선에 따른 부분단면도,
도 5는 도 3의 Ⅴ영역의 부분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가로전면판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본체샤시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후방샤시 및 하부샤시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가동격벽부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부분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본체 10 : 내상
11 : 냉장실 내상 13 : 냉동실 내상
15 : 세로전면판 17 : 가로전면판
20 : 고정격벽 장착부 21 : 연통부
23 : 후크결합부 25 : 돌기 수용부
27 : 후방안착부 30 : 외상
31 : 본체샤시 33 : 후방샤시
35 : 하부샤시 37 : 발포제 주입구
40 : 구획격벽 50 : 고정격벽부
51 : 발포공간 53 : 후크부
55 : 돌기부 57 : 전방안착부
60 : 가동격벽부 61 : 전방단
63 : 후방단 70 : 주저장실
71: 냉동실 72 : 냉장실
74 : 선반 80 : 보조저장실
81 : 보조냉동실 82 : 보조냉장실
89 : 냉기토출부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저장실과 구획되어 별도로 식품을 저장할 수 있는 보조저장실을 갖는 냉장고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국실용신안출원 제1996-0034205호에 개시된 종래의 냉장고는 냉각 효율을 향상하기 위해 복수개의 증발기를 사용한다. 즉, 냉장실과 냉동실에 각각 증발기가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고내가 냉각될 수 있다. 냉장실에는 냉장실증발기와 팬모터가 설치되어 있고, 냉동실에는 냉동실증발기와 팬모터가 설치되어 있으며, 냉장실과 냉동실 사이의 격벽에는 연결냉매파이프가 설치되어 냉장실증발기와 냉동실증발기를 연결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압축기 및 응축기를 경유한 냉매는 냉동실증발기 및 냉장실증발기로 유입되고, 유입된 냉매는 증발되어 각 냉동실 및 냉장실을 냉각한 후 압축기로 유입되는 사이클을 형성한다.
한편,최근에는 냉동실 및 냉장실과 같은 주저장실과 별도로 식품이 보관되는 보조저장실이 마련된 냉장고에 대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보조저장실은 냉동실 및 냉장실보다 저장용적이 적게 형성된다. 이렇게 주저장실과는 별도로 보조저장실을 형성하는 경우, 주저장실의 냉기가 보조저장실로 유입됨으로써 발생하는 냄새의 전이 등을 방지하기 위해 보조저장실에는 냉동실 및 냉장실과 독립적으로 냉각되도록 별도의 증발기가 장착된다.
그러나, 각 저장실별로 각각의 증발기를 장착할 경우 주저장실 하부와 같은 협소한 부분에 증발기를 장착해야 한다. 이 경우, 각각의 증발기를 설치하고 연결관으로 연결시 조립작업이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최근에 수요가 많은 대형 냉장고는 그 제조과정에서 발포제 발포시 본체가 변형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주저장실과 구획되어 별도로 식품을 저장할 수 있는 보조저장실을 가지며, 각 저장실의 냉기가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냉장고로서, 제조가 용이한 냉장고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냉장고의 제조시 발생하는 냉장고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내상과 외상을 가지며, 주저장실과 보조저장실이 구획되어 형성된 본체를 갖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주저장실의 후방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주저장실을 냉각하는 주 증발기와 상기 보조저장실의 후방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보조저장실을 냉각하는 보조증발기를 포함하는 증발기와, 상기 주증발기와 상기 보조증발기의 전방에 마련되어 상기 주증발기 및 상기 보조증발기와 해당 저장실을 구획하여 냉기 유로를 형성하는 저장실 덕트와, 상기 주저장실과 상기 보조저장실의 냉기가 독립적으로 유동하도록 상기 주저장실과 상기 보조저장실을 구획하는 구획격벽을 포함하며; 상기 구획격벽은, 상기 본체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구획격벽의 전방부분을 구성하는 고정격벽부와, 상기 저장실 덕트와 상기 고정격벽부 사이에 착탈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구획격벽의 후방부분을 구성하는 가동격벽부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고정격벽부에는 상기 본체와 연통된 발포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격벽부가 상기 본체에 고정되도록 상기 발포공간에는 상기 본체와 동시에 발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냉장고의 제조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내상에는 상기 고정격벽부가 장착되는 고정격벽 장착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격벽부에는 후크부가 마련되며, 상기 내상에는 후크결합부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고정격벽부를 내상에 견고히 결합할 수 있다.
상기 고정격벽부에는 돌기부가 마련되며, 상기 내상에는 돌기수용부가 형성되는 것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고정격벽부를 내상에 견고히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내상은 냉동실 내상과 냉장실 내상을 포함하며; 상기 냉동실 내상과 상기 냉장실 내상을 연결하는 세로전면판과, 상기 고정격벽부의 전면을 커버하는 가로전면판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로전면판은 상기 냉동실 내상과 상기 냉장실 내상의 전방영역의 가장자리를 수용하는 내상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증발기와 상기 보조증발기는 하나의 증발관으로 이음매 없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장실 덕트에는 상기 가동격벽부의 후방영역이 안착되는 후방안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격벽부의 후방영역에는 상기 가동격벽부의 전방영역이 안착되는 전방안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동격벽부의 후방에는 상기 저장실 덕트와 연통되어 상기 보조저장실 내부로 냉기를 토출하는 냉기 토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내상과 외상을 가지며, 주저장실과 보조저장실이 구 획되어 형성된 본체를 갖는 냉장고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주저장실과 보조저장실을 구획하여 각 저장실의 냉기가 독립적으로 유동하도록 고정격벽부와 가동격벽부를 갖는 구획격벽을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고정격벽부를 상기 본체의 전방영역에 결합하는 단계와; 상기 주저장실을 냉각하는 주 증발기를 상기 주저장실의 후방 영역에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보조저장실을 냉각하는 보조증발기를 상기 보조저장실의 후방 영역에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증발기와 해당 저장실을 구획하여 냉기 유로를 형성하는 저장실 덕트를 상기 주증발기와 상기 보조증발기 전방 영역에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가동격벽부를 상기 저장실 덕트와 상기 고정격벽부 사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조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격벽부에는 상기 본체와 연통된 발포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격벽부는 상기 본체의 내상과 외상 사이의 발포시 상기 발포공간에 동시에 발포되어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저장실과 상기 보조저장실은 상기 구획격벽에 의해 상하로 구획되며; 상기 주증발기와 상기 보조증발기가 하나의 증발관으로 이음매없이 형성되어 상기 주저장실과 상기 보조저장실에 배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상에는 상기 고정격벽부가 장착되는 고정격벽 장착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격벽부에는 후크부와 돌기부가 마련되며, 상기 내상에는 후크결합부와 돌기수용부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상은 냉동실 내상과 냉장실 내상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격벽부를 결합하는 단계 후, 상기 냉동실 내상과 상기 냉장실 내상을 연결하는 세로전면판을 결합하는 단계와, 상기 고정격벽부의 전면을 커버하는 가로전면판을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방식의 냉장고를 예를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의 적용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상(10)과 외상(30)을 가지며 주저장실(70)과 보조저장실(80)이 구획되어 형성된 본체(1)와, 주저장실(70)의 후방영역에 배치되어 주저장실(70)을 냉각하는 주증발기(76)와 보조저장실(80)의 후방영역에 배치되어 보조저장실(80)을 냉각하는 보조증발기(83)를 포함하는 증발기(76,83)와, 주증발기(76)와 보조증발기(83)의 전방에 마련되어 주증발기(76) 및 보조증발기(83)와 해당 저장실(70,80)을 구획하여 냉기 유로를 형성하는 저장실덕트(78)와, 주저장실(70)과 보조저장실(80)의 냉기가 독립적으로 유동하도록 주저장실(70)과 보조저장실(80)을 구획하는 구획격벽(4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본체(1)는 저장실(70,80)을 형성하는 내상(10)과, 내상(10)을 커버하는 외상(30)을 포함한다.
내상(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동실(71) 및 보조냉동실(81)을 형성하는 냉동실 내상(11)과 냉장실(72) 및 보조냉장실(82)을 형성하는 냉장실 내상 (13)을 포함한다. 내상(10)의 양측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격벽부(50)가 장착되는 고정격벽 장착부(2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냉동실 내상(11)과 냉장실 내상(13)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세로전면판(15)에 의해 결합된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고정격벽 장착부(20)의 중앙영역에는 고정격벽부(50)의 발포공간(51)과 연통되도록 절취된 연통부(21)가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격벽 장착부(20)의 전방영역에는 고정격벽부(50)의 후크부(53)가 결합되는 후크 결합부(23)가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격벽 장착부(20)의 후방영역에는 고정격벽부(50)의 돌기부(55)가 수용되는 돌기 수용부(25)가 형성되어 있다.
세로전면판(15)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동실 내상(11)과 냉장실 내상(13)을 결합시킨다. 세로전면판(15)에는 상호 인접하는 냉동실 내상(11)과 냉장실 내상(13)의 가장자리 부분을 수용할 수 있도록 내상결합부(16)가 마련되어 있다. 내상결합부(16)과 냉동실 내상(11) 및 냉장실 내상(13)은 억지끼움방식으로 결합한다. 그리고, 세로전면판(15)의 가로전면판(17)과 교차되는 부분에는 가로전면판(17)의 두께와 비슷하게 함몰형성되어 있다.
외상(30)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동실 내상(11)과 냉장실 내상(13)이 세로전면판(15)에 의해 결합된 상태에서 양측면과 상부면을 커버하는 본체샤시(31)와, 내상(10)의 후방영역을 커버하는 후방샤시(33)와, 내상(10)의 하부영역을 커버하는 하부샤시(35)를 포함한다. 외상(30)은 소정의 발포제 충전공간을 두고 내상(10)과 이격되어 배치된다.
그리고, 내상(10)과 외상(30) 중 적어도 일영역에는 발포제가 주입되는 발포제 주입구(37)가 형성되어 있다.
주저장실(70)은 본체(1)의 상부영역에 좌우로 배치된 냉동실(71) 및 냉장실(72)을 포함한다.
냉동실(71)은 본체(1)의 좌측에 배치되고, 냉동실(71)의 상부에는 얼음을 제빙하는 제빙장치(73)가 마련되어 있으며, 식품을 구분하여 저장하도록 선반(74)이 상하방향으로 장착되어 있다.
냉장실(72)은 본체(1)의 우측에 배치되고, 그 내부에는 식품을 구분하여 저장하도록 선반(74)이 상하방향으로 장착되어있다.
보조저장실(80)은 구획격벽(40)에 의해 주저장실(70)과 상하로 구획된다. 보조저장실(80)은 본체(1)의 하부영역에 마련되며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저장실(70)과 같이 양쪽에 마련될 수도 있고, 좌측 또는 우측에 하나로 마련될 수도 있다. 여기서, 냉동실(71)의 하부에 마련된 보조저장실(80)은 냉동기능이 수행되는 보조냉동실(81)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해동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어육류 등을 비교적 짧은 시간 보관하고자 할 경우 보조냉동실(81)에 보관할 수 있다. 또한, 보조냉동실(81)에 어육류 등을 보관함으로써 냉동실(71)에 식품의 냄새가 전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냉동실(81)에 어육류를 보관하는 경우에만 설명을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냉동실(71)과 구분하여 식품을 보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냉장실(72)의 하부에 마련된 보조저장실(80)은 냉장기능이 수행되는 보조냉장실(82)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본체(1)에 설치되어 주저장실(70) 및 보조저장실(80)을 개폐하는 주저장실도어(75) 및 보조저장실도어(85)를 포함한다.
주저장실도어(75)는 본체(1)의 일측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주저장실도어(75)의 전면에는 냉장실(72)과 연통되어 식품을 저장할 수 있는 홈바(미도시)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사용자는 빈번히 이용하는 음료수 등을 홈바(미도시)에 저장하여 손쉽게 음료수를 취출할 수 있다.
보조저장실도어(85)는 보조저장실(80)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서랍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주저장실도어(75)와 비슷하게 회동가능하게 마련될 수도 있으며, 보조저장실(80)을 개폐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마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증발기(76,83)는 주저장실(70)의 후방영역에 배치되어 주저장실(70)을 냉각하는 주증발기(76)와 보조저장실(80)의 후방영역에 배치되어 보조저장실(80)을 냉각하는 보조증발기(83)를 포함한다. 주증발기(76)와 보조증발기(83)는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증발기(83)는 주증발기(76)에서 연장된 하나의 증발관(79)으로 직렬로 연결될 수도 있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주증발기(76)와 별도로 마련되어 독립적인 냉매유로를 형성하도록 병렬로 연결될 수도 있다.
주증발기(76)는 냉동실(71)의 후방영역에서 냉동실(71)에 냉기를 공급하기 위해 냉동실(71) 내의 공기와 열교환하는 냉동실증발기(76)와, 냉장실(72)의 후방 영역에 냉장실(72)에 냉기를 공급하기 위해 냉장실(72) 내의 공기와 열교환하는 냉장실증발기(미도시)를 포함한다.
보조증발기(83)는 보조냉동실(81)의 후방영역에서 보조냉동실(81)에 냉기를 공급하기 위해 보조냉동실(81) 내의 공기와 열교환하는 보조냉동실증발기(83)와, 보조냉장실(82)의 후방영역에 보조냉장실(82)에 냉기를 공급하기 위해 보조냉장실(82) 내의 공기와 열교환하는 보조냉장실증발기(미도시)를 포함한다.
여기서, 주증발기(76)와 보조증발기(83)는 상호 연결된 하나의 증발관(79)으로 이음매 없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냉동실증발기(76)와 보조냉동실증발기(83)는 하나의 증발관(79)이 이음매 없이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장실덕트(78)는 증발기(76,83)의 전방에 마련되어 저장실(70,80)과 증발기(76,83) 사이를 구획하여 냉기 유로를 형성한다. 저장실덕트(78)는 냉동실(71) 및 보조냉동실(81)의 후방영역에 마련된 냉동실덕트(78a)와 냉장실(72) 및 보조냉장실(82)의 후방영역에 마련된 냉장실덕트(78b)를 포함한다. 그리고, 저장실덕트(78)에는 후술할 가동격벽부(60)의 후방단(63)이 결합되는 후방안착부(27)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저장실(70)과 보조저장실(80)이 각각 독립적으로 냉각되도록 주증발기(76)와 보조증발기(83) 사이에는 덕트구획격벽(88)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각 증발기(76,83)에서 생성된 냉기를 각 저장실(70,80)로 강제 송풍 하는 송풍팬(77,84)이 마련된다. 도 2를 참조하여 예를 들면, 냉동실(71)에는 냉동실증발기(76)에서 생성된 냉기를 냉동실(71) 내부로 송풍하도록 냉동실송풍팬(77)이 마련되며, 보조냉동실(81)에는 보조냉동실증발기(83)에서 생성된 냉기를 보조냉동실(81) 내부로 송풍하는 보조냉동실송풍팬(84)이 마련된다.
그리고, 보조저장실(80)의 후방영역에는 보조증발기(83)에서 생성된 냉기를 보조저장실(80) 내부로 토출시키도록 저장실덕트(78)와 연통된 냉기토출부(89)가 형성되어 있다. 냉기토출부(89)는 가동격벽부(60)의 후방에서 저장실덕트(78)와 연통되어 가동격벽부(60)의 하부로 냉기가 토출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가동격벽부(60)의 후방영역은 냉기토출부(89)의 형상과 대응되게 함몰 또는 절취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획격벽(40)은 주저장실(70)과 보조저장실(80)의 냉기가 독립적으로 유동하도록 주저장실(70)과 보조저장실(80)을 구획한다. 구획격벽(40)은 본체(1)에 고정 결합되어 구획격벽(40)의 전방부분을 구성하는 고정격벽부(50)와, 저장실덕트(78)와 고정격벽부(50) 사이에 착탈가능하게 마련되어 구획격벽(40)의 후방부분을 구성하는 가동격벽부(60)를 포함한다.
고정격벽부(50)는 구획격벽(40)의 전방부분을 구성하며, 본체(1)의 발포시 동시에 발포되도록 내상(10)의 연통부(21)와 연통된 발포공간(51)이 형성된 격벽으로 마련된다. 고정격벽부(50)는 내상(10)의 연통부(21)와 연통되게 가로방향으로 결합되며, 본체(1)의 발포와 동시에 발포된다. 이에, 본체(1)의 발포시 고정격벽부(50)가 본체(1)를 지지하여 본체(1)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격벽부(50)의 후방영역에는 가동격벽부(60)의 전방단(61)이 안착되도록 전방안착부(57)가 마련된다. 또한, 고정격벽부(50)의 양측의 전방영역에는 내상(10)의 후크 결합부(23)와 결합하는 후크부(53)가 마련되어 있으며, 고정격벽부(50)의 양측의 후방영역에는 내상(10)의 돌기 수용부(25)에 수용되는 돌기부(55)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본체(1)의 발포와 동시에 발포될 때 후크부(53)와 돌기부(55)가 고정격벽부(50)를 견고히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격벽부(50)의 전면에는 후술할 가로전면판(17)이 결합된다.
가로전면판(17)은 고정격벽부(50)의 전면을 커버한다. 가로전면판(17)은 고정격벽부(50)와 다양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크루, 리벳, 후크 및 용접 중 어느 하나로 결합될 수 있다.
가동격벽부(60)는 구획격벽(40)의 후방부분을 구성하며, 고정격벽부(5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가동격벽부(60)는 독립된 별도의 단열부재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동격벽부(60)는 단열재가 충전된 패널형상으로 마련되며, 단열재는 ETS단열재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동격벽부(60)의 전방영역에는 고정격벽부(50)의 전방안착부(57)에 결합되게 전방단(61)이 형성되어 있으며, 가동격벽부(60)의 후방영역에는 저장실덕트(78)의 후방 안착부(27)에 결합되게 후방단(63)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냉장고의 제조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동실 내상(11) 및 냉장실 내상 (13)에 각각 고정격벽부(50)를 결합한다. 여기서, 내상(10)의 고정격벽 장착부(20)에 고정격벽부(50)의 양측면을 결합시킨다. 이때, 고정격벽부(50)의 발포공간(51)을 내상(10)의 연통부(21)와 연통되게 결합하며, 고정격벽부(50)의 후크부(53)를 내상의 후크 결합부(23)에 결합하며, 고정격벽부(50)의 돌기부(55)를 내상(10)의 돌기수용부(25)에 결합시킨다. 이에, 내상(10)과 외상(30) 사이에 발포시 동시에 발포되더라도 고정격벽부(50)가 본체(1)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냉동실 내상(11)과 냉장실 내상(13)을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전면판(15)으로 연결한다. 여기서, 냉동실 내상(11)과 냉장실 내상(13)을 상호 인접하게 배치한 후, 각 내상(10)의 인접한 가장자리의 전방영역을 세로전면판(15)의 내상결합부(16)에 결합시킨다.
다음, 고정격벽부(50)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격벽부(50)의 전면을 커버하는 가로전면판(17)을 결합한다. 고정격벽부(50)는 가로전면판(17)과 다양하게 결합한다. 예를 들면, 도 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루 결합을 할 수도 있고, 접착제를 이용한 본딩결합을 할 수도 있으며, 리벳 또는 핀 결합을 할 수도 있다. 이에, 고정격벽부(50)에 가로전면판(17)을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다음,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상(10)에 외상(30)을 결합시킨다. 본체샤시(31)의 하부영역을 벌려 내상(10)에 결합시킨다. 여기서, 본체샤시(31)를 내상(10)과 결합시키는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스크루결합을 할 수도 있고, 후크결합을 할 수도 있고, 억지끼움 결합을 할 수도 있으며, 리벳 또는 핀 등을 이용하여 결합을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본체샤시(31)를 내상 (10)에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다음, 내상(10)의 후방영역에 후방샤시(33)를 결합하고, 내상(10)의 하부영역에 하부샤시(35)를 결합한다. 여기서, 후방샤시(33)와 하부샤시(35)는 내상에 스크루 결합할 수도 있으며, 접착제를 이용한 본딩결합을 할 수도 있고, 리벳 또는 핀을 이용하여 결합할 수도 있다. 한편, 후방샤시(33)와 하부샤시(35)는 내상(10)의 후방영역과 하부영역을 커버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본체샤시(31)에 결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 본체(1)의 적어도 일영역에 형성된 발포제 주입구(37)에 발포제를 발포한다. 여기서, 발포제 주입구(37)은 하부샤시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체(1)의 발포와 동시에 고정격벽부(50)에도 발포된다.
다음, 저장실(70,80)의 후방영역에 증발기(76,83)를 결합한다. 주저장실(70)의 후방영에는 주증발기(76)를 결합하고, 보조저장실(80)의 후방영역에는 보조증발기(83)를 결합한다. 이때, 주증발기(76)와 보조증발기(83)가 이음매 없이 하나의 냉매관(79)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주증발기(76)와 보조증발기(83)의 장착을 동시에 한다.
그리고, 증발기(76,83)의 전방영역에 냉기 유로를 형성하도록 마련된 저장실덕트(78)를 결합한다.
다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격벽부(50) 및 저장실덕트(78)에 가동격벽부(60)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한다. 여기서, 가동격벽부(60)의 전방단(61)은 고정격벽부(50)의 후방영역에 형성된 전방안착부(57)에 결합되며, 가동격벽부(60)의 후방단(63)은 저장실덕트(78)에 형성된 후방 안착부(27)에 결합된다. 이에, 가동격벽부(60)를 고정격벽부(50) 및 저장실덕트(78)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획격벽(40)을 마련함으로써, 주저장실(70)과 독립적으로 냉각할 수 있는 보조저장실(80)을 갖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1)에 고정되어 구획격벽(40)의 전방부분을 구성하며 본체(1)와 동시에 발포되는 고정격벽부(50)를 마련함으로써, 본체(1) 발포시 고정격벽부(50)의 발포공간(51)에도 동시에 발포된다. 이에, 본체(1) 발포시 발생할 수 있는 본체(1)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본체(1)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또한, 고정격벽부(50) 및 저장실덕트(78)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구획격벽(40)의 후방부분을 구성하는 가동격벽부(60)를 마련함으로써, 주저장실(70)과 보조저장실(80) 사이에 냉기의 유동이 없도록 밀폐할 수 있으며, 각 저장실(70,80) 사이에 냄새가 섞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동격벽부(60)가 착탈가능하므로 저장실덕트(78), 주증발기(76) 및 보조증발기(83)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어 냉장고의 제조 및 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주저장실과 구획되어 별도로 식품을 저장할 수 있는 보조저장실을 가지며, 각 저장실의 냉기가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냉장고로서, 제조가 용이한 냉장고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냉장고의 제조시 발생하는 냉장고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7)

  1. 내상과 외상을 가지며, 주저장실과 보조저장실이 구획되어 형성된 본체를 갖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주저장실의 후방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주저장실을 냉각하는 주 증발기와 상기 보조저장실의 후방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보조저장실을 냉각하는 보조증발기를 포함하는 증발기와,
    상기 주증발기와 상기 보조증발기의 전방에 마련되어 상기 주증발기 및 상기 보조증발기와 해당 저장실을 구획하여 냉기 유로를 형성하는 저장실 덕트와,
    상기 주저장실과 상기 보조저장실의 냉기가 독립적으로 유동하도록 상기 주저장실과 상기 보조저장실을 구획하는 구획격벽을 포함하며;
    상기 구획격벽은,
    상기 본체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구획격벽의 전방부분을 구성하는 고정격벽부와,
    상기 저장실 덕트와 상기 고정격벽부 사이에 착탈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구획격벽의 후방부분을 구성하는 가동격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격벽부에는 상기 본체와 연통된 발포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격벽부가 상기 본체에 고정되도록 상기 발포공간에는 상기 본체와 동시에 발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상에는 상기 고정격벽부가 장착되는 고정격벽 장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격벽부에는 후크부가 마련되며, 상기 내상에는 후크결합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격벽부에는 돌기부가 마련되며, 상기 내상에는 돌기수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상은 냉동실 내상과 냉장실 내상을 포함하며;
    상기 냉동실 내상과 상기 냉장실 내상을 연결하는 세로전면판과, 상기 고정격벽부의 전면을 커버하는 가로전면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전면판은 상기 냉동실 내상과 상기 냉장실 내상의 전방영역의 가장자리를 수용하는 내상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증발기와 상기 보조증발기는 하나의 증발관으로 이음매 없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 덕트에는 상기 가동격벽부의 후방영역이 안착되는 후방안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격벽부의 후방영역에는 상기 가동격벽부의 전방영역이 안착되는 전방안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격벽부의 후방에는 상기 저장실 덕트와 연통되어 상기 보조저장실 내부로 냉기를 토출하는 냉기 토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내상과 외상을 가지며, 주저장실과 보조저장실이 구획되어 형성된 본체를 갖 는 냉장고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주저장실과 보조저장실을 구획하여 각 저장실의 냉기가 독립적으로 유동하도록 고정격벽부와 가동격벽부를 갖는 구획격벽을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고정격벽부를 상기 본체의 전방영역에 결합하는 단계와;
    상기 주저장실을 냉각하는 주 증발기를 상기 주저장실의 후방 영역에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보조저장실을 냉각하는 보조증발기를 상기 보조저장실의 후방 영역에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증발기와 해당 저장실을 구획하여 냉기 유로를 형성하는 저장실 덕트를 상기 주증발기와 상기 보조증발기 전방 영역에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가동격벽부를 상기 저장실 덕트와 상기 고정격벽부 사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조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격벽부에는 상기 본체와 연통된 발포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격벽부는 상기 본체의 내상과 외상 사이의 발포시 상기 발포공간에 동시에 발포되어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조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주저장실과 상기 보조저장실은 상기 구획격벽에 의해 상하로 구획되며;
    상기 주증발기와 상기 보조증발기가 하나의 증발관으로 이음매없이 형성되어 상기 주저장실과 상기 보조저장실에 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조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내상에는 상기 고정격벽부가 장착되는 고정격벽 장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조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격벽부에는 후크부와 돌기부가 마련되며, 상기 내상에는 후크결합부와 돌기수용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조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내상은 냉동실 내상과 냉장실 내상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격벽부를 결합하는 단계 후,
    상기 냉동실 내상과 상기 냉장실 내상을 연결하는 세로전면판을 결합하는 단계와,
    상기 고정격벽부의 전면을 커버하는 가로전면판을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조방법.
KR1020060013195A 2005-10-10 2006-02-10 냉장고 및 그 제조방법 KR1010538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95162 2005-10-10
KR1020050095162 2005-10-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9853A KR20070039853A (ko) 2007-04-13
KR101053853B1 true KR101053853B1 (ko) 2011-08-03

Family

ID=38160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3195A KR101053853B1 (ko) 2005-10-10 2006-02-10 냉장고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38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1349B1 (ko) * 2002-10-30 2008-10-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양문여닫이 냉장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25691A (ja) 1997-11-07 1999-11-26 Mitsubishi Electric Corp 冷蔵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066049A (ja) * 1999-08-25 2001-03-16 Toshiba Corp 冷蔵庫のキャビネ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10105615A (ko) * 2000-05-16 2001-11-29 구자홍 김치저장실이 구비된 냉장고
KR100376167B1 (ko) * 2001-04-18 2003-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온장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25691A (ja) 1997-11-07 1999-11-26 Mitsubishi Electric Corp 冷蔵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066049A (ja) * 1999-08-25 2001-03-16 Toshiba Corp 冷蔵庫のキャビネ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10105615A (ko) * 2000-05-16 2001-11-29 구자홍 김치저장실이 구비된 냉장고
KR100376167B1 (ko) * 2001-04-18 2003-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온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9853A (ko) 2007-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62744B1 (en) Refrigerator
KR101502112B1 (ko) 냉장고 및 그 제조 방법
EP2679938B1 (en) Refriger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7240510B2 (en) Refrigerator
KR100725790B1 (ko) 냉장고 및 그 제조방법
JP2010071565A (ja) 冷蔵庫
KR101291207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증발기 장착구조
JP2000320946A (ja) カンチレバー棚を備える冷蔵庫の冷気供給構造
KR20040019855A (ko) 냉장고
WO2009008613A2 (en) Refrigerator
JP6000919B2 (ja) 冷蔵庫
KR100724445B1 (ko) 가정용 조립식 냉장고
JP2015042909A (ja) 冷蔵庫
KR101053853B1 (ko) 냉장고 및 그 제조방법
JP4013988B1 (ja) 冷蔵庫
JP3507670B2 (ja) 冷蔵庫
JP4488977B2 (ja) 冷蔵庫
JP2012098010A (ja) 冷却貯蔵庫
JP5514037B2 (ja) 冷蔵庫
JP2007113800A (ja) 冷蔵庫
JP3966358B1 (ja) 冷蔵庫
CN216716691U (zh) 冰箱
JP2000097556A (ja) 冷蔵庫
JPH1194434A (ja) 冷蔵庫
JP7270955B2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