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9515A - 컴퓨터-제어된 모바일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리프트 설비를 제어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컴퓨터-제어된 모바일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리프트 설비를 제어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9515A
KR20220049515A KR1020227004462A KR20227004462A KR20220049515A KR 20220049515 A KR20220049515 A KR 20220049515A KR 1020227004462 A KR1020227004462 A KR 1020227004462A KR 20227004462 A KR20227004462 A KR 20227004462A KR 20220049515 A KR20220049515 A KR 202200495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car
information
mobile device
thresh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4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드레아스 바이어
다피트 춤슈텍
레토 두쓰
로만 오트
슈테페 이나이헨
Original Assignee
인벤티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벤티오 아게 filed Critical 인벤티오 아게
Publication of KR20220049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95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66B5/0025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for maintenance or rep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46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61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between the elevator control system and remote or mobile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6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 B66B1/40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and for correct levelling at lan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10Details with respect to the type of call inp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제어된 모바일 디바이스 (102) 를 사용하여 엘리베이터 설비 (100) 를 제어하는 방법 (400) 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 설비 (100) 는 하나의 플로어에 각각 배정된 다수의 샤프트 임계값들 (112) 을 갖는 엘리베이터 샤프트 (106), 카 임계값 (110) 을 갖고 엘리베이터 샤프트 (106) 를 따라 이동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카 (104), 및 엘리베이터 카 (104) 를 이동시키기 (400) 위한 제어 유닛 (120) 을 포함한다. 모바일 디바이스 (102) 는 제어 유닛 (120) 과 통신하도록 구성된 평가 유닛 (300) 을 갖는다. 방법 (400) 에서, 먼저, 카 임계값 (110) 과, 카 임계값 (110) 의 상대편에 위치된 현재 샤프트 임계값 (112) 사이의 높이 편차 (114) 의 결과로서 모바일 디바이스 (102) 의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 (122, 124, 125; 302, 304, 310) 를 사용하여 생성된 정보 (306, 308, 312) 가 평가 유닛 (300) 에서 수신된다. 정보 (306, 308, 312) 가 그 후, 평가되고, 엘리베이터 카 (104) 를 이동시키기 (400) 위한 제어 정보 (314) 가 생성된다. 제어 정보 (314) 는 마지막으로, 카 임계값 (110) 과 현재 샤프트 임계값 (112) 사이의 높이 편차 (114) 가 최소화되는 방식으로 엘리베이터 카 (104) 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제어 유닛 (120) 으로 전송된다.

Description

컴퓨터-제어된 모바일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리프트 설비를 제어하는 방법
본 발명은 컴퓨터-제어된 모바일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엘리베이터 설비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제안된 방법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평가 유닛; 엘리베이터 설비;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및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들은 빌딩 또는 구조물의 상이한 플로어들 또는 높이 레벨들 사이에서 사람 또는 상품들을 수송하는데 사용된다. 엘리베이터가 동작하기 전에, 통상적으로 엘리베이터 제어기를 통하여 개개의 플로어들에서 엘리베이터 카의 개별적인 정지 위치들을 설정하여, 엘리베이터 카의 도어 임계값이 각각의 정지 위치에서 관련 플로어의 도어 임계값 또는 플로어 임계값과 가능한 동일 높이가 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엘리베이터 카의 도어 임계값 또는 플로어들의 플로어 임계값들 사이의 개별적인 높이 편차를 측정하기 위하여, 기술자는 통상적으로 엘리베이터 카로 플로어별로 이동하고 수동으로 개별적인 높이 편차들을 측정 및 표기한다. 모든 플로어들을 측정한 후, 기술자는 표기된 측정 값들을 엘리베이터 제어기에 수동으로 입력한다.
모바일 단말 디바이스, 에를 들어, 스마트폰의 도움으로 엘리베이터 설비에 관한 측정 값들을 표기하거나 모바일 단말 디바이스를 통하여 엘리베이터 설비를 구성하기 위한 구성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또는 설정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WO 2018/050470 A1 은 모바일 단말 디바이스가 엘리베이터 설비의 샤프트 도어의 영역에 있음을 인식하자마자 측정값들이 모바일 단말 디바이스에 통합된 센서를 통하여 기록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한다. 평가를 위하여, 측정 값들은 중앙 평가 유닛, 이를 테면 서버로 송신될 수 있다.
WO 2017/064191 A1 은 엘리베이터 설비의 카 정지 위치들의 위치 데이터가 모바일 단말 디바이스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게 하고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들에 의해 변경될 수 있게 하는 접근방식을 개시한다. 카 정지 위치들은 엘리베이터 설비에서 위치-측정 수단을 사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변경된 위치 데이터는 그 후 엘리베이터 설비의 구성 유닛으로 송신될 수 있다.
지금까지, 엘리베이터 설비를 작동할 때 개별적인 정지 위치들을 측정 및 설정하는 것은 고도로 훈련된 인력과 매우 세심한 작업 방법을 요구하는, 비교적 복잡하고 오류가 발생하기 쉬운 프로세스였다. 특히, 측정 값들을 수동으로 기록 및 표기할 때 충분한 신뢰성으로 판독 또는 사무 오류를 회피하기 어렵고 이에 따라 측정 값들에 기초하여 정지 위치 세트를 체크하기 위한 추가적인 테스트 런이 통상적으로 요구된다.
그 중에서도, 컴퓨터-제어된 모바일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엘리베이터 설비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있을 수도 있고, 여기서, 엘리베이터 카의 정지 위치들의 설정은 간략하고 더 빠르고 더 비용 효율적인 방식으로 및/또는 감소된 오류 리스크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적절하게 구성된 평가 유닛 및 이러한 엘리베이터 유닛과 통신하는 엘리베이터 설비, 뿐만 아니라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및 상기 제품이 제공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대한 필요성이 있을 수도 있다.
이러한 종류의 필요성은 독립 청구항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청구물에 의해 충족될 수 있다. 유리한 실시형태들은 종속항들에서 그리고 다음의 설명에서 정의된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는 컴퓨터-제어된 모바일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엘리베이터 설비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 설비는 다수의 샤프트 임계값들이 각각 하나의 플로어에 배정되는 엘리베이터 샤프트, 카 임계값을 갖고 엘리베이터 샤프트를 따라 이동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카 및 엘리베이터 카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제어 유닛과 통신하도록 설계된 평가 유닛을 가질 수 있다. 방법은 적어도 바람직하게는 제공된 순서로 하기 단계들을 포함한다. 제 1 단계에서, 카 임계값과 카 임계값의 상대편에 위치된 현재 샤프트 임계값 사이의 높이 편차의 결과로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를 사용하여 생성된 정보가 평가 유닛에서 수신된다. 순차적으로, 제 2 단계에서, 정보가 평가되고 엘리베이터 카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어 정보가 생성된다. 마지막으로 제 3 단계에서, 제어 정보는, 카 임계값과 현재 샤프트 임계값 사이의 높이 편차가 최소화되는 방식으로 엘리베이터 카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제어 유닛으로 전송된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는 본 발명의 제 1 양태의 실시형태에 따른 방법을 수행 및/또는 제어하도록 설계된 평가 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는 다수의 샤프트 임계값들이 각각 하나의 플로어에 배정되는 엘리베이터 샤프트, 카 임계값을 갖고 엘리베이터 샤프트를 따라 이동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카 및 엘리베이터 카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설비에 관한 것이다. 제어 유닛은 본 발명의 제 2 양태의 실시형태에 따른 평가 유닛과 통신하도록 설계된다.
본 발명의 제 4 양태는 컴퓨터-제어된 모바일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될 때, 발명의 제 1 양태의 실시형태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디바이스에 명령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명령들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5 양태는 본 발명의 제 4 양태의 실시형태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의 가능한 특징들 및 이점들은, 그 중에서도 그리고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고, 하기에서 설명되는 개념들 및 발견들에 기초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처음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별적인 플로어들의 문 개방에 대한 엘리베이터 카의 높이 조정은 이제까지 주로 수동 프로세스들에 기반을 두고 있었으며, 이는 오류로 대응하는 민감성과 연관될 수 있다. 특히, 예를 들어, 기술자에 의해 측정 테이프를 적용하고, 측정 값들을 판독하고, 측정 값들을 표기하고 마지막으로 엘리베이터 제어기에 측정 값들을 입력하는 프로세스들은 엘리베이터 카의 개별적인 정지 위치들의 후속 체크 및 필요에 따라 추가의 후속 체크로 추가적인 높이 조정을 요구할 수도 있는 부정확성들 또는 오류들을 야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 값들이 우연적으로 잘못된 플로어에 배정되거나 혼동이 될 수도 있다.
엘리베이터 제어기는 통상적으로 간단히 통합된 휴먼-머신 인터페이스, 또는 HMI 를 갖고 이를 통하여 기술자는 구성 데이터를 입력 또는 변경할 수 있다. 휴먼-머신 인터페이스는 엘리베이터 제어기르 동작시키기 위한 디스플레이 및 수개의 입력 키들을 신속하게 갖는다. 휴먼-머신 인터페이스의 설계에 따라, 엘리베이터 제어기 내의 측정 값들의 수동 입력은 번잡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오류를 유발하기 쉬우며, 이 점은 정확한 동작을 위해 기술자의 적절한 트레이닝이 요구되는 이유가 된다.
높이 조정의 전체 프로세스가 이에 따라 많은 시간 걸리고 매우 복잡할 수 있다.
요약하면, 따라서, 여기에 제시된 접근방식은 컴퓨터-제어된 모바일 디바이스, 특히 예를 들어, 스마트폰, 테블릿 또는 랩톱의 도움으로 엘리베이터 카의 개별적인 정지 위치들의 (미세) 조정을 수행하는 것을 제안한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일반적으로 기술자가 쉽게 휴대할 수 있는 포터블 전자 디바이스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간략하게 앱으로서 또한 알려진, 정지 위치들의 (미세) 조정을 위하여 특별하게 프로그래밍된 애플리케이션들이 모바일 디바이스 상에서 구동될 수 있다. 이 애플리케이션으로 그리고 최신 컴퓨터-제어된 모바일 디바이스에 통상 이용가능한 유선 및/또는 무선 데이터 통신 옵션들을 사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는 엘리베이터 설비를 제어하는 제어 유닛과 데이터를 교환하도록 특별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은 엘리베이터 카를 제어 유닛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어 커맨드들을 전송하도록 프로그래밍될 수 있어 모바일 디바이스가 제어 유닛에 대한 원격 제어의 일 유형으로서 편리하게 기능한다. 정지 위치들의 (미세) 조정은 이에 따라 제어 유닛으로의 보정 값들의 사전 수동 입력 없이 수행될 수 있고, 이는 오류의 가능한 소스를 제거하고 시간을 절약하게 한다.
또한, 최신 모바일 디바이스들에는 종종 상이한 물리적 변수들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들이 탑재되어 있다. 이들 센서들은 유리하게 적어도 대부분 자동으로 측정 값들을 측정하고 - 이는 이전에 대부분 수동으로 측정, 판독 및 입력되었음 - 그리고 위에 언급된 데이터 통신 옵션들의 도움으로 제어 유닛으로 이들을 송신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이와 관련하여 카 임계값과 도어 임계값 사이의 높이 편차들의 수동 측정 또는 보다 정밀하게 개별적인 측정 값들의 (가능하다면 반복되는) 판독, 표기 및 입력에 대한 필요성을 제거한다.
즉, 엘리베이터 카의 높이 조정의 전체 프로세스, 보다 정밀하게 개별적인 플로어들의 개개의 샤프트 임계값들에 대하여 카 임계값의 (미세) 조정은 여기에 제시된 접근 방식의 도움으로 보다 편리하게 이루어지고 간략화되고 상당하게 가속화될 수 있다. 특히, 모바일 디바이스와 제어 유닛 사이의 직접 데이터 송신에 기인하여 판독 및 입력 오류들이 회피될 수 있다. 이는 대부분의 경우에 지금까지 사례와 같이 추가적인 학습 또는 테스트 런이 필요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여기에 제시된 접근방식의 도움으로, 제어 유닛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가능성있게 복잡한 처리 및 또한 이에 따른 기술자의 대응하는 트레이닝은 엘리베이터 카의 높이 위치의 (미세) 조정에 대하여 요구되는 데이터가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제어 유닛으로 직접 전송되는 이들 경우들에서 생략될 수 있다.
카 임계값은 엘리베이터 카의 임계값, 특히 엘리베이터 카의 카 도어의 도어 임계값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샤프트 임계값은 플로어에 배정된 엘리베이터 샤프트 임계값, 특히 샤프트 도어의 도어 임계값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보다 일반적인 용어로, 샤프트 임계값은 또한 샤프트 개구의 하부 에지로서 이해될 수 있고 이 샤프트 개구를 통하여 엘리베이터 카가 플로어로부터 접근이능하다.
제어 유닛은 엘리베이터 설비의 여러 액추에이터들, 특히,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카를 이동시키기 위한 드라이브를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전기 및/또는 전자 컴포넌트들을 갖는 모듈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제어 유닛은 유선 및/또는 무선 데이터 통신 링크, 예를 들어 셀룰라 라디오, WLAN 또는 블루투스 접속을 통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평가 유닛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통합되고 엘리베이터 설비를 제어하기 위한 컴퓨터-제어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모듈로서 이해될 수 있다. 평가 유닛은 유선 및/또는 무선 데이터 통신 링크를 통하여 제어 유닛과 직접 통신하기 위하여 제어 유닛에 유사하게 설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어 유닛과의 데이터 통신은 평가 유닛으로부터 별개로 배열된 모바일 디바이스의 통신 컴포넌트를 통하여 발생할 수 있고 평가 유닛은 통신 컴포넌트를 통하여 제어 유닛에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를 사용하여 생성된 정보는 이를 테면, 모바일 디바이스의 터치-감지 스크린을 터치하는 것에 의한 사용자 입력의 결과로서 생성되었던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통합된 센서들에 의해 생성되었던 정보일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은 예를 들어, 기술자가 카 임계값과 현재 샤프트 임계값 사이의 높이 편차를 확립하고 그 결과로서 모바일 디바이스 상에서 구동하는 애플리케이션에서의 대응하는 입력을 행할 때 발생할 수 있고, 여기서 대응하는 정보는 평가 유닛에서 생성되고 수신된다. 구체적으로, 입력은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카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어 커맨드일 수 있거나, 또한 기술자에 의해 측정된 높이 편차의 값일 수 있다. 통합된 센서는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의 기울기를 측정하기 위한 기울기 센서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높이를 측정하기 위한 높이 센서일 수 있다. 통합된 센서는 예를 들어 높이 편차를 측정하기 위해 그리고 이후 평가 유닛에서 수신된 대응하는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높이 편차는 수직 오프셋, 즉, 카 임계값과 현재 샤프트 임계값 사이의 엘리베이터 카의 이동 방향에서의 오프셋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즉, 엘리베이터 카의 정지 위치에서, 카 임계값은 높이 편차에 따라 현재 샤프트 임계값에 대대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고 엘리베이터 카를 출입 (exiting or entering) 할 때 방해물일 수 있는 대응하는 단차가 형성되게 된다. 적절한 제어 정보를 생성 및 전송하는 것에 의해, 이때 엘리베이터 카는 단차가 사라질 때까지, 즉, 카 임계값과 현재 샤프트 임계값이 대략 동일한 높이에 있고 이에 따라 대략적으로 단차없는 트랜지션을 형성할 때까지 이동될 수 있다. 요건에 따라, 이 조정은 예를 들어, 단일-디지티 밀리미터 범위에서의 정확도로 수행될 수 있고 이러한 의미에서 미세 조정으로서 지칭될 수 있다.
제어 정보는 예를 들어, 제어 유닛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어 커맨드들 및/또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센서들에 의해 생성된 센서 데이터 및/또는 이 센서 데이터의 추가의 프로세싱을 통하여 획득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는 기울기 센서를 가질 수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정보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한편으로 카 임계값에 기초하고 다른 한편으로 현재 샤프트 임계값에 기초하고 이에 따라 카 임계값과 현재 샤프트 임계값 사이의 높이 차이에 의존하는 기울기 각도를 갖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에서 기울기 센서에 의해 생성되었던 센서 데이터를 포함한다. 제어 정보는 센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결정된 높이 편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는 기울기 센서에 의해 기울기 각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현재 샤프트 임계값과 카 임계값 사이의 갭을 통하여 종방향으로 또는 획방향으로 또는 일부 다른 미리 정해진 배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기울기 각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카 임계값 및 현재 샤프트 임계값에 대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초정밀 배향이 특정될 수 있다. 특히, 배향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유형에 따라, 즉, 그 치수 및 그 형상에 따라 미리 정해질 수 있다. 이는 기울기 각도의 측정이 대략 동일한 측정 조건들 하에서 각각의 플로어 상에서 실행되는 것을 보장한다.
기울기 각도는 정지형으로 및/또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변화하는 위치에서 측정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는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가 카 임계값 및 현재 샤프트 임계값에 의존하는 동안 엘리베이터 카가 높이 편차에 따라 이동되는 점에서 기울기 각도를 측정할 때 변화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유닛으로의 높이 편차에서의 변화에 관한 연속적인 피드백이 발생하는 폐 제어 루프의 부분으로서 높이 편차의 최소화가 발생할 수 있다.
높이 편차 정보는 예를 들어, 센서 데이터로부터 계산되고 카 임계값과 현재 샤프트 임계값 사이의 수직 오프셋을 표시하는 길이 값일 수 있다. 그러나 높이 편차 정보가 사용자에 의해 애플리케이션으로 수동으로 입력되는 높이 편차에 관련된 값들 또는 센서 데이터 자체를 포함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길이 값은 밀리미터 단위 또는 비를 치수 숫자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높이 편차 정보는 엘리베이터 카가 이동할 때 센서 데이터로부터 계산된 높이 값에서의 변화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높이 편차 정보는 이 경우 엘리베이터 카가 이동할 때 길이 값이 증가하는지 또는 감소하는지의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높이 편차 정보는 높이 편차가 양인지 또는 음인지의 여부, 즉, 카 임계값이 현재 샤프트 임계값 미만 또는 초과인지의 여부를 단지 표시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이 실시형태의 특정 이점은 기술자에 의해 측정 값들의 수동 기록이 필요 없고 그 대신에, 추가적인 비용 없이 특히 스마트폰을 사용할 때 종종 이미 존재하는 기울기 센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센서 데이터가 사용될 수 있는 점이다. 모바일 디바이스가 현저한 하드웨어 변경 없이 측정 디바이스로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추가적인 측정 디바이스들,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설비의 부분인 디바이스들이 정지 위치의 (미세) 조정을 위해 요구되지 않는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라, 높이 편차 정보는 제 1 방향 및/또는 제 2 방향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 유닛은 높이 편차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방향 및/또는 제 2 방향으로 엘리베이터 카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방향은 서로 반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 임계값이 현재 샤프트 임계값 미만임을 높이 편차 정보가 표시할 때 즉,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카를 상승시키기 위하여 높이 편차 정보가 제 2 방향을 표시하면, 제어 유닛은 제 1 방향으로 엘리베이터 카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예를 들어 카 임계값이 현재 샤프트 임계값 초과임을 높이 편차 정보가 표시할 때 엘리베이터 카를 하강시키기 위하여 높이 편차 정보가 제 1 방향을 표시하면, 제어 유닛은 제 2 방향으로 엘리베이터 카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엘리베이터 설비는 높이 편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방향 기반 방식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이는 카 및 샤프트 임계값에 대하여 가능한 정확하게 모바일 디바이스를 위치결정하는 것과 연관되고 기울기 각도의 절대 값들을 측정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불확정성이 회피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센서 데이터는 기울기 각도에 관련된 미리 정의된 목표 값 범위와 함께 평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행함에 있어서, 기울기 각도가 특정된 목표 값 범위 내에 있다면 이동을 종료시키기 위한 종료 커맨드가 생성되어 제어 유닛으로 전송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카가 조정된 후에 기울기 각도가 목표 값 범위 내에 있다고 가정하면 카 임계값이 현재 샤프트 임계값과 대략 동일 높이에 있는 것으로 종료하도록 목표 값 범위가 선택될 수 있다. 요건에 따라, 목표 값 범위는 예를 들어 0 내지 2 도의 값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카가 조정된 후의 높이 편차가 최대 2 mm, 5 mm 또는 10 mm 이도록 목표 값 범위가 또한 선택될 수 있다. 그 결과, 엘리베이터 카의 조정이 충분한 정확도로 수행할 때 이동이 자동으로 종료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정보는 엘리베이터 설비를 제어하기 위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사용자에 의한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정보는 사용자에 의한 입력에 기초하여 제어 유닛으로의 제어 커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한 입력은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의 터치 감지 스크린의 제어 부분을 터치하는 것 또는,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의 물리 제어 버튼을 작동하는 것을 수반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은 엘리베이터 설비의 제어 유닛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대응하는 제어 커맨드로 사용자의 입력을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은 임의의 프로그래밍 언어로 기록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제어 표면 및/또는 입력 필드들의 형태로 대응하는 인터페이스들에 의해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제어 커맨드는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카의 이동을 특정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제어 커맨드는 또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높이 편차의 값을 기술할 수 있고 이는 이에 따라 엘리베이터 카를 이동시키도록 제어 유닛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이 실시형태는 통상적으로 최신 모바일 디바이스들의 경우와 같이 특히 모바일 디바이스와 제어 유닛 사이의 데이터 통신이 무선이면 기술자가 수직으로 위치 독립적인 방식으로 엘리베이터 설비를 제어하게 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애플리케이션은 상방 이동을 입력하기 위한 제 1 인터페이스 및/또는 하방 이동을 입력하기 위한 제 2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어 커맨드는 입력이 제 1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행해질 때 엘리베이터 카를 상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생성될 수 있고/있거나 제 2 제어 커맨드는 입력이 제 2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행해질 때 엘리베이터 카를 하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들은 예를 들어, 버튼들로서 또한 지칭되는 터치 감지 제어 표면들로서 설계될 수 있다. 제어 표면들은 서로 별개로 배열될 수 있고/있거나 예를 들어 서로로부터 시각적으로 구별될 수 있다. 이는 특히 엘리베이터 제어기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들과 비교하여 애플리케이션의 동작, 이에 따라 엘리베이터 설비의 제어을 크게 단순화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어 커맨드는 엘리베이터 카의 이동 경로 및/또는 이동 방향 및/또는 이동 지속기간 및/또는 이동 속도를 특정할 수 있다. 그 결과, 엘리베이터 카는 요건에 따라 매우 정밀하게 예를 들어 특히 낮은 속도로 이동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어 정보는 현재 샤프트 임계값이 배정된 플로어에 관한 플로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플로어 정보는 플로어 수, 이를 테면 예를 들어 "제 1 플로어" 또는 "제 2 플로어"를 인코딩할 수 있다. 이는 제어 정보가 특정 플로어에 자동으로 배정되게 한다. 이는 측정 값들 및 플로어 정보가 수동으로 입력될 때 발생할 수 있는 혼동을 회피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높이 센서를 가질 수 있다. 정보는 높이 센서에 의해 생성된 추가의 센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플로어 정보가 추가의 센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높이 센서는 모바일 디바이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의 GPS 센서 또는 바로미터일 수 있다. 대응적으로, 추가의 센서 데이터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높이 및 이에 따라 카 또는 샤프트 임계값의 높이를 표시할 수 있는 공기압 데이터 또는 지리적 위치 데이터일 수 있다. 플로어 정보는 따라서 엘리베이터 설비에 통상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추가적인 센서들의 사용없이 예를 들어, 영구적으로 설치된 자기 센서들 및 대응하는 코드 테이프들의 사용없이 생성될 수 있다.
설명된 방법의 실시형태들은 본 발명의 제 2 양태의 실시형태에 따른 평가 유닛을 사용하여 유리하게 실행될 수 있다.
이러한 평가 유닛은 본 발명의 제 3 양태의 실시형태에 따라 이 목적을 위하여 특히 프로그래밍되는 애플리케이션의 도움으로 설명된 방법의 실시형태들을 수행하도록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양태에 따르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컴퓨터-제어된 모바일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될 때,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하여금 본원에 설명된 방법의 부분으로서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될 단계들을 수행 또는 제어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 4 양태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애플리케이션으로서 보여질 수 있고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모바일 디바이스가 설명된 방법에서 그 태스크를 실행가능하기 위하여 프로그래밍된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임의의 컴퓨터 언어로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임의의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포터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이를 테면, 플래시 메모리, CD, DVD 등 상에 저장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예를 들어, 네트워크 이를 테면 인터넷을 통하여 영구적으로 설치된 컴퓨터 또는 서버 상에 저장되어 이들로부터 다운로딩될 수 있다. 특히,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클라우드의 부분인 컴퓨터들 상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능한 특징들 및 이점들의 일부가 제어 방법의 상이한 실시형태들, 상기 방법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평가 유닛, 및/또는 이와 통신하는 엘리베이터 설비를 참조하여 본원에 설명되어 있음을 주지된다. 당해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형태들에 도달하기 위하여 특징들이 적절하게 결합, 적응 또는 대체될 수 있음을 인식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은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하기에서 설명될 것이며, 도면들이나 설명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서 해석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도 1 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설비 및 컴퓨터-제어된 모바일 디바이스를 도시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형태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설비 및 컴퓨터-제어된 모바일 디바이스를 도시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평가 유닛을 갖는 컴퓨터-제어된 모바일 디바이스를 도시한다.
도 4 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방법에 대한 플로우 차트를 도시한다.
도면들은 단지 개략적인 것이고 스케일링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도 1 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설비 (100) 및 컴퓨터-제어된 모바일 디바이스 (102) 를 도시한다. 엘리베이터 설비 (100) 는 엘리베이터 샤프트 (106) 에서 이동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카 (104) 를 포함한다. 엘리베이터 샤프트 (106) 는 예를 들어 빌딩의 플로어로부터 엘리베이터 카 (104) 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는 샤프트 개구부 (108) 를 갖는 벽으로 개략적으로 여기에 표시된다. 실제로, 엘리베이터 샤프트 (106) 는 빌딩에서 플로어들의 수에 따라 복수의 이러한 샤프트 개구부들 (108) 을 가질 수 있다. 엘리베이터 카 (104) 는 샤프트 개구부 (108) 에 대향하는 정지 위치에 있다. 엘리베이터 카 (104) 의 카 임계값 (110) 은 샤프트 개구부 (108) 의 샤프트 임계값 (112) 으로부터 미소하게 수직으로 오프셋된다, 즉, 카 임계값 (110) 과 샤프트 임계값 (112) 사이의 높이 편차 (114) 가 존재하고, 이 높이 편차는 엘리베이터 카 (104) 와 관련 플로어의 플로어 (116) 사이의 작은 단차로서 표현된다. 카 임계값 (110) 및 샤프트 임계값 (112) 은 각각의 경우 특히 도어 임계값이다. 예를 들어, 도 1 에서, 카 임계값 (110) 은 샤프트 임계값 (112) 을 초과하여 위치된다.
엘리베이터 카 (104) 에서, 개별적인 샤프트 개구부들 (108) 에서 엘리베이터 카 (104) 의 개별적인 정지 위치들의 미세 조정을 위하여 플로어 별로 이동하는 기술자 (118), 예를 들어 위임받은 엔지니어가 있다. 이 목적을 위하여, 기술자 (118) 는 이 예에서 이들의 개인 서비스 스마트폰인 모바일 디바이스 (102) 를 사용한다. 모바일 디바이스 (102) 는 엘리베이터 설비 (100) 의 제어 유닛 (120) 과 통신하도록 설계된다. 특히 이 통신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룰라 라디오, WLAN 및/또는 블루투스에 의해 무선 데이터 접속을 통하여 발생한다. 엘리베이터 설비 (100) 를 제어하기 위한 특수 애플리케이션은 모바일 디바이스 (102) 상에 실행한다.
이 실시형태에 따르면, 애플리케이션은 기술자 (118) 로부터의 입력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제 1 인터페이스 (122) 및 제 2 인터페이스 (124) 로 구성된다. 두 개의 인터페이스들 (122, 124) 는 모바일 디바이스 (102) 의 터치 감지 스크린 (125) 을 터치하는 것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별개의 터치-감지 버튼들로서 여기서 설계된다. 모바일 디바이스 (102) 는 "위"로 라벨링된 제 1 인터페이스 (122) 의 버튼이 터치될 때 제 1 제어 커맨드 (126) 및 "아래"로 라벨링된 제 2 인터페이스 (124) 의 버튼이 터치될 때 제 2 제어 커맨드 (128) 를 생성하도록 설계된다. 제어 커맨드들 (126, 128) 은 모바일 디바이스 (102) 로부터 제어 유닛 (120) 으로 무선으로 전송되고, 제어 유닛은 제 1 제어 커맨드 (126) 를 수신할 때 상방으로 또는 제 2 제어 커맨드 (128) 를 수신할 때 하방으로 엘리베이터 카 (104) 를 이동시키도록 설계된다. 이 예에서, 기술자 (118) 는 카 임계값 (110) 이 샤프트 임계값 (112) 과 대략 동일한 높이에 있도록 높이 편차 (114) 에 따라 엘리베이터 카 (104) 를 하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제 2 인터페이스 (124) 의 버튼을 신속하게 작동한다. 모바일 디바이스 (102) 또는 그 위에서 구동하는 애플리케이션은 이에 따라 제어 유닛 (120) 에 대한 원격 제어의 유형으로서 기능한다.
이동 방향에 더하여, 애플리케이션의 구성에 따라, 기술자 (118) 는 엘리베이터 카 (104) 의 제어에 관한 추가적인 정보, 특히 엘리베이터 카 (104) 의 이동 속도, 이동 지속기간 또는 이동 경로에 관련된 값들을 모바일 디바이스 (102) 에 입력할 수 있다. 이들 값들은 제어 커맨드들 (126, 128) 와 유사하게 제어 유닛 (120) 으로 전송되고, 엘리베이터 카 (104) 를 제어하기 위하여 적절한 방식으로 상기 유닛에 의해 추가로 프로세싱된다. 카 임계값 (110) 이 샤프트 임계값 (112) 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위치되는 정확도에 대한 요건에 따라, 기술자 (118) 는 높이 편차 (114) 를 수 밀리미터, 이를 테면, 0 내지 2 mm 의 최대값까지의 목표 값 범위로 감소시키기 위하여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에서의 대응하는 입력에 의해 매우 느리게 엘리베이터 카 (104) 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형태에 따른 엘리베이터 설비 (100) 및 컴퓨터-제어된 모바일 디바이스 (102) 를 도시한다. 도시된 상황은 도 1 과 동일하며, 모바일 디바이스 (102) 에 통합된 센서 시스템이 높이 편차 (114) 를 검출하거나 또는 엘리베이터 카 (104) 를 제어하기 위해 여기서 사용되는 것은 차이가 있다. 따라서 높이 편차 (114) 는 예를 들어 높이 편차 (114) 를 측정 또는 간단하게 보는 것에 의해 기술자 (118) 자체에 의해 여기서 검출되지 않지만, 이러한 목적으로 특수하게 프로그래밍된 모바일 디바이스 (102) 또는 그 위에서 구동하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자동화된 방식으로 검출된다.
이 실시형태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 (102) 는 그 기울기를 측정하도록 설계된다. 이는 유리하게 높이 편차 (114) 를 검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 목적으로 기술자 (118) 는 한편으로 모바일 디바이스 (102) 를 카 임계값 (110) 상에 위치시키고 다른 한편으로 샤프트 임계값 (112) 상에 위치시켜, 모바일 디바이스 (102) 가 높이 편차 (114) 에 대응하는 표시를 갖게 되고 모바일 디바이스 (102) 의 센서 시스템에 의해 기울기 각도로서 측정되게 한다. 기울기 각도에 기초하여, 제어 유닛 (120) 을 제어하기 위하여 모바일 디바이스 (102), 보다 정확하게는 그 위에서 구동하는 애플리케이션은 높이 편차 (114) 를 표시하는 높이 편차 정보 (200) 를 계산한다. 설계에 따라, 높이 편차 정보 (200) 는 높이 편차 (114) 의 절대 값 또는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높이 편차 (114) 의 방향만을 표시하는 방향 정보 즉, 예를 들어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 임계값 (110) 이 샤프트 임계값 (112) 에 대하여 양으로, 즉, 상방으로 오프셋되는지 또는 샤프트 임계값 (112) 에 대하여 음으로 즉, 하방으로 오프셋되는지의 여부를 포함한다.
모바일 디바이스 (102) 는 그 후 높이 편차 정보 (200) 를 제어 유닛 (120) 으로 전송하고, 제어 유닛은 높이 편차 정보 (200) 를 평가하고 이 평가의 결과에 따라 엘리베이터 카 (104) 를 위 또는 아래로 이동시키도록 설계된다. 도 2 에서, 높이 편차 정보 (200) 는 샤프트 임계값 (112) 에 대하여 카 임계값 (110) 의 양의 오프셋을 표시한다. 이에 따라, 제어 유닛 (120) 은 엘리베이터 카 (104) 를 이 양의 오프셋과 반대 방향으로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한편으로 높이 편차 정보 (200) 가 높이 편차 (114) 와 관련하여 기울기 각도로부터 계산된 절대 길이 값을 포함하면, 이 길이 값은 엘리베이터 카 (104) 의 대응하는 이동 경로를 결정하도록 제어 유닛 (120) 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 유닛 (120) 은 높이 편차 정보 (200) 에 기초하여,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 (102) 에 의해 측정된 기울기 각도 또는 기울기 각도로부터 계산된 길이 값이, 엘리베이터 카 (104) 의 미세 조정에서 실현되는 정확도를 특정하는 목표 값 범위 내에 있을 때까지 엘리베이터 카 (104) 를 이동시킨다.
목표 값 범위에 도달될 때,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 (102) 는 이동을 종료하기 위하여 종료 커맨드 (202) 를 제어 유닛 (120) 으로 자동으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이동의 자동 종료에서, 엘리베이터 카 (104) 의 새로운 정지 위치는 제어 유닛 (120) 에 자동으로 저장된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 (102) 가 추가적으로 플로어 정보 (204) 를 제어 유닛 (120) 으로 전송하면 유리하며, 플로어 정보는 엘리베이터 카 (104) 가 현재 위치된 플로어를 제어 유닛 (120) 에 알린다. 높이 편차 (114) 와 유사하게, 플로어 정보 (204) 는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 (102) 의 센서 시스템에 의해, 예를 들어 통합된 바로미터 또는 통합된 GPS 센서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관련한 현재 플로어에 대한 높이 편차 정보 (200) 의 자동 배정을 허용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평가 유닛 (300) 을 갖는 컴퓨터-제어된 모바일 디바이스 (102) 를 도시한다. 평가 유닛 (300) 은 특히 도 1 및 도 2 와 관련하여 위에 설명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데 사용된다.
이 실시형태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 (102) 는 한편으로, 모바일 디바이스 (102) 의 기울기 각도를 측정하기 위한 기울기 센서 (302) 및 다른 한편으로, 모바일 디바이스 (102) 의 높이를 측정하기 위한 높이 센서 (304) 를 갖는다. 도 1 및 도 2 의 문맥에서 설명된 모바일 디바이스 (102) 의 센서 시스템의 컴포넌트들인 기울기 센서 (302) 및 높이 센서 (304) 는 각각 평가 유닛 (300) 에 결합되어, 기울기 센서 (302) 는 측정된 기울기 각도에 관련된 센서 데이터 (306) 를 전송할 수 있게 되고 높이 센서 (304) 는 측정 높이에 관한 추가의 센서 데이터 (308) 를 평가 유닛 (300) 으로 전송할 수 있게 된다. 평가 유닛 (300) 은 센서 데이터 (306) 에 기초하여 높이 편차 정보 (200) 를 생성하고 이를 제어 유닛 (120) 으로 전송하도록 설계된다. 또한, 평가 유닛 (300) 이 추가의 프로세싱을 위하여 센서 데이터 (306) 를 제어 유닛 (120) 으로 직접 포워딩하는 것이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평가 유닛 (300) 은 추가의 센서 데이터 (308) 에 기초하여 플로어 정보 (204) 를 생성하고 이를 제어 유닛 (120) 으로 전송하도록 설계된다. 여기서, 또한, 평가 유닛 (300) 는 플로어 정보 (204) 대신에 추가의 센서 데이터 (308) 만을 제어 유닛 (120) 으로 포워딩하여, 상기 유닛이 추가의 센서 데이터 (308) 로부터 대응하는 플로어를 결정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고려된다.
추가로, 평가 유닛 (300) 은 프로세싱 유닛 (310) 을 통하여 터치-감지 스크린 (125) 에 결합된다. 입력 프로세싱 유닛 (310) 은 기술자 (118) 에 의한 입력들을, 평가 유닛 (300) 에 의해 평가될 수 있는 대응하는 입력 데이터 (312) 로 변환하도록 설계된다.
이들 데이터 (306, 308, 312) 에 기초하여, 평가 유닛 (300) 은 제어 유닛 (120) 에 의해 프로세싱하는데 적합한 제어 정보 (314) 를 생성한다. 설계에 따라, 제어 정보 (314) 는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제어 커맨드들 (126, 128), 종료 커맨드 (202), 높이 편차 정보 (200) 및/또는 플로어 정보 (204) 를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제어 정보 (314) 는 제어 유닛 (120) 에 의한 외부 프로세싱을 위하여 센서 데이터 (306), 추가의 센서 데이터 (308) 및/또는 입력 데이터 (312) 를 포함한다.
도 4 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방법 (400) 에 대한 플로우 차트를 도시한다. 방법 (400) 은 도 1 내지 도 3 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설비 (100) 및 모바일 디바이스 (102) 와 함께 수행될 수 있다.
방법 (400) 은 제 1 단계 (410) 를 포함하고 여기서, 정보, 예를 들어 입력 정보 (112), 센서 데이터 (306) 및/또는 추가의 센서 데이터 (308), 즉, 모바일 디바이스 (102) 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에 의해, 예를 들어 스크린 (125), 기울기 센서 (302) 및/또는 높이 센서 (304) 에 의해 높이 편차 (114) 의 결과로서 생성된 정보가 평가 유닛 (300) 에서 수신된다.
평가 유닛 (300) 은 그후, 제어 정보 (314) 를 생성하기 위하여 대응하는 방식으로 제 2 단계 (420) 에서 이 정보를 평가한다.
마지막으로, 제 3 단계 (430) 에서, 평가 유닛 (300) 은 제어 정보 (314) 를 제어 유닛 (120) 으로 전송하여 제어 유닛이 높이 편차 (114) 를 최소화하도록 제어 정보 (314) 을 사용하여 엘리베이터 카 (104) 를 위 또는 아래로 대응하는 방식으로 이동시키게 한다.
이전에 사용된 단어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단어의 선택에 더하여 그리고 부분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의 가능한 특성들, 세부사항들 및/또는 이점들이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특히,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갖는 셀폰은 엘리베이터 설비 (100) 를 작동시킬 때 카 임계값 (110) 을 포함하는 카 플로어의 정밀한 조정을 위하여 모바일 디바이스 (102) 로서 사용된다. 기술자 (118) 는 엘리베이터 카 (104) 를 플로어 별로 이동시키고 각각의 경우에 카 임계값 (110),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카 (104) 의 도어 임계값, 및 현재 샤프트 임계값 (112), 예를 들어 현재 플로어의 도어 임계값 위로 셀폰 (102) 을 위치시킨다. 셀폰 (102) 에서의 기울기 센서들 (302) 은 그 후 기울기를 측정하고 카 위치와 플로어 위치 사이의 편차를 계산한다. 이 편차는 무선 통신 링크, 이를 테면, WLAN 또는 블루투스를 통하여 엘리베이터 제어기로, 이에 따라 카 위치를 조정하는 제어 유닛 (120) 의 형태로 현재 플로어 위치와 함께 전송된다.
제어 유닛 (120) 에 의해 엘리베이터 카 (104) 의 자동 조정에 더하여 또는 이에 대안으로서, 기술자 (118) 는 또한 예를 들어 카 위치와 플로어 위치 사이의 편차를 보정하기 위하여 위 또는 아래 버튼의 형태로 예를 들어 작동 애플리케이션 자체에서 대응 버튼을 탭핑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은 위에서 입력 데이터 (312) 로서 지칭되는 이 입력 정보를, 현재 플로어 위치와 함께,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하여, 입력 정보에 따라 카 위치를 조정하는 제어 유닛 (120) 으로 전송한다.
이전에 언급된 바와 같이, 기술자 (118) 는 통상적으로 엘리베이터 카 (104) 로 플로어별로 이동하고, 테이프 측정으로 카와 플로어 위치 사이의 편차를 측정하고 측정 값들을 표기하였다. 모든 플로어들을 측정한 후, 기술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엘리베이터 제어기로 표기된 측정 값들을 입력한다. 특정 상황에서, 추가적인 테스트 런이 필요하다.
반대로, 여기에 제시된 접근 방식은 수동 측정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측정 값들의 입력이 생략될 수 있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는 측정 또는 입력할 때의 오류를 회피한다. 그 대신에, 플로어 위치들은 셀폰 (102) 의 애플리케이션에 저장되고 센서들에 의해 검출된 편차 측정 값들과 함께 제어 유닛 (120) 에 전송된다. 카의 결과적인 조정은 기술자 (118) 에 의해 직접 관찰될 수 있다. 이는 작동이 훨씬 빠르고 오류 발생율이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 1 변형예에서, 셀폰 (102) 은 셀폰 (102) 에 통합된 기울기 센서 (302) 에 의해 셀폰 (102) 의 기울기 각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카 도어 및 플로어 도어의 임계값들 사이의 트랜지션에 놓인다. 두 개의 임계값들 (110, 112) 사이의 높이 편차 (114) 는 그 후, 기울기 각도에 기초하여 계산된다.
계산된 높이 편차 (114) 는 그 후, 제어 유닛 (120) 으로 송신된다. 제어 유닛 (120) 은 예를 들어 셀폰 (102) 이 수평 위치에 있을 때까지, 즉, 대략 0 도의 기울기가 계산될 때 높이 편차 (114) 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카 (104) 를 이동시킨다.
제 2 변형예에서, 엘리베이터 카 (104) 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보다 정확하게는 기술자 (118) 에 의해, 애플리케이션에서의 대응하는 입력을 통하여 제어 유닛 (120) 에 대해 누가 특정하는지, 두개의 임계값들 (110, 112) 이 서로에 대하여 정렬되도록 엘리베이터 카 (104) 가 어느 방향으로 얼마나 멀리 이동해야 하는지를 제어한다. 모바일 폰 (102) 은 제어 유닛 (120) 과 직접, 예를 들어 WLAN 또는 블루투스를 통하여 통신한다. 클라우드를 통한 통신이 또한 고려가능하다.
또한, 셀폰 (102) 이 현재 플로어 위치를 독립적으로 결정하고, 플로어 정보 (204) 로서 위에 또한 지칭된 이 높이 정보를 제어 유닛 (120) 으로 송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셀폰 (102) 은 또한, 이것이 수평 위치에 있자마자 측정이 완료됨을 나타내는 피드백을 자동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포함하는", "갖는" 등과 같은 용어들은 다른 엘리먼트들 또는 단계들을 배제하지 않으며, "a" 또는 "an" 과 같은 용어들은 복수를 배제하지 않음을 유의해야 한다. 더욱이, 상기 실시형태들 중 하나를 참조하여 설명된 특징들 또는 단계들이 상기 설명된 다른 실시형태들의 다른 특징들 또는 단계들과 결합하여 또한 사용될 수도 있음이 주목되어야 한다. 청구항들에서의 참조부호들은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아야 한다.

Claims (12)

  1. 컴퓨터-제어된 모바일 디바이스 (102) 를 사용하여 엘리베이터 설비 (100) 를 제어하는 방법 (400) 으로서,
    상기 엘리베이터 설비 (100) 는 하나의 플로어에 각각 배정된 다수의 샤프트 임계값들 (112) 을 갖는 엘리베이터 샤프트 (106), 카 임계값 (110) 을 갖고 상기 엘리베이터 샤프트 (106) 를 따라 이동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카 (104), 및 상기 엘리베이터 카 (104) 를 이동시키기 (400) 위한 제어 유닛 (120) 을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102) 는 상기 제어 유닛 (120) 과 통신하도록 구성된 평가 유닛 (300) 을 갖고,
    상기 방법 (400) 은:
    상기 평가 유닛 (300) 에서, 모바일 디바이스 (102) 의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 (122, 124, 125; 302, 304, 310) 를 사용하여 상기 카 임계값 (110) 과 상기 카 임계값 (110) 의 상대편에 위치된 현재 샤프트 임계값 (112) 사이의 높이 편차 (114) 의 결과로서 생성된 정보 (306, 308, 312) 를 수신하는 단계 (410) 로서, 상기 정보 (306, 308, 312) 는 상기 엘리베이터 설비 (100) 를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102) 에 의해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사용자 (118) 에 의한 입력을 포함하고, 제어 정보 (314) 는 상기 사용자 (118) 에 의한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유닛 (120) 으로의 제어 커맨드 (126, 128) 를 포함하는, 상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정보 (306, 308, 312) 를 평가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카 (104) 를 이동시키기 (400) 위한 제어 정보 (314) 를 생성하는 단계 (420); 및
    상기 카 임계값 (110) 과 상기 현재 샤프트 임계값 (112) 사이의 상기 높이 편차 (114) 가 최소화되는 방식으로 상기 엘리베이터 카 (104) 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어 정보 (314) 를 상기 제어 유닛 (120) 으로 전송하는 단계 (430)
    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설비 (100) 의 제어 방법 (40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102) 는 기울기 센서 (302) 를 갖고, 상기 정보 (306, 308, 312) 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102) 가 한편으로 상기 카 임계값 (110) 에 두고 다른 한편으로 상기 현재 샤프트 임계값 (112) 에 두어 이에 따라 상기 카 임계값 (110) 과 상기 현재 샤프트 임계값 (112) 사이의 높이 편차 (114) 에 의존하는 기울기 각도를 갖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102) 의 위치에서 상기 기울기 센서 (302) 에 의해 생성되었던 센서 데이터 (306)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정보 (314) 는 상기 센서 데이터 (306) 에 기초하여 결정된 높이 편차 정보 (200) 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설비 (100) 의 제어 방법 (400).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편차 정보 (200) 는 제 1 방향 및/또는 제 2 방향을 표시하고, 상기 제어 유닛 (120) 은 상기 높이 편차 정보 (200) 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방향 및/또는 제 2 방향으로 상기 엘리베이터 카 (104) 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엘리베이터 설비 (100) 의 제어 방법 (400).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데이터 (306) 는 상기 기울기 각도에 관하여 미리 정해진 목표 값 범위와 함께 평가되고, 상기 기울기 각도가 특정된 목표 값 범위 내에 있다면 이동 (400) 을 종료하기 위한 종료 커맨드 (202) 가 생성되어 상기 제어 유닛 (120) 으로 전송되는, 엘리베이터 설비 (100) 의 제어 방법 (400).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방 이동을 입력하기 위한 제 1 인터페이스 (122) 및/또는 하방 이동을 입력하기 위한 제 2 인터페이스 (124) 를 포함하고, 제 1 제어 커맨드 (126) 는 입력이 상기 제 1 인터페이스 (122) 를 통하여 행해질 때 상기 엘리베이터 카 (104) 를 상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생성되고/되거나 제 2 제어 커맨드 (128) 는 입력이 상기 제 2 인터페이스 (124) 를 통하여 행해질 때 상기 엘리베이터 카 (104) 를 하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생성되는, 엘리베이터 설비 (100) 의 제어 방법 (400).
  6.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제어 커맨드 (126, 128) 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 (104) 의 이동 경로 및/또는 이동 방향 및/또는 이동 지속기간 및/또는 이동 속도를 특정하는, 엘리베이터 설비 (100) 의 제어 방법 (400).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 (314) 는 상기 현재 샤프트 임계값 (112) 에 배정된 플로어에 관한 플로어 정보 (204) 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설비 (100) 의 제어 방법 (400).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102) 는 높이 센서 (304) 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 (306, 308, 312) 는 상기 높이 센서 (304) 에 의해 생성된 추가의 센서 데이터 (308) 를 포함하고, 상기 플로어 정보 (204) 는 상기 추가의 센서 데이터 (308) 에 기초하여 생성되었던, 엘리베이터 설비 (100) 의 제어 방법 (400).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 (400) 을 수행 및/또는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평가 유닛 (300).
  10. 엘리베이터 설비 (100) 로서,
    하나의 플로어에 각각 배정된 복수의 샤프트 임계값들 (112) 을 갖는 엘리베이터 샤프트 (106);
    카 임계값 (110) 을 갖고 엘리베이터 샤프트 (106) 를 따라 이동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카 (104); 및
    상기 엘리베이터 카 (104) 를 이동시키기 (400) 위한 제어 유닛 (120) 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 (120) 은 제 10 항에 따른 평가 유닛 (300) 과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엘리베이터 설비 (100).
  11.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들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들은 컴퓨터-제어된 모바일 디바이스 (102) 상에서 실행될 때,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 (400) 을 수행하도록 상기 디바이스에 명령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12. 제 11 항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1020227004462A 2019-08-14 2020-08-12 컴퓨터-제어된 모바일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리프트 설비를 제어하는 방법 KR2022004951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9191629 2019-08-14
EP19191629.5 2019-08-14
PCT/EP2020/072588 WO2021028462A1 (de) 2019-08-14 2020-08-12 Verfahren zum steuern einer aufzuganlage unter verwendung eines computergesteuerten mobilen gerä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9515A true KR20220049515A (ko) 2022-04-21

Family

ID=67658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4462A KR20220049515A (ko) 2019-08-14 2020-08-12 컴퓨터-제어된 모바일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리프트 설비를 제어하는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20332541A1 (ko)
EP (1) EP4013709A1 (ko)
JP (1) JP2022544285A (ko)
KR (1) KR20220049515A (ko)
CN (1) CN114206762B (ko)
AU (1) AU2020328170B2 (ko)
WO (1) WO20210284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78527B (zh) * 2021-03-19 2022-10-28 广州赛特智能科技有限公司 轮式机器人进出电梯自动辅助系统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68787B2 (ja) * 2002-06-17 2009-05-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診断用移動体装置
JP2005089046A (ja) * 2003-09-16 2005-04-0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自律移動車両における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
JP2010189162A (ja) * 2009-02-19 2010-09-02 Toshiba Elevator Co Ltd 点検システムを備えるエレベータ
CN102602756B (zh) * 2012-03-27 2013-11-27 中国矿业大学 一种登船电梯轿厢平层装置及平层方法
KR101279168B1 (ko) * 2012-08-17 2013-06-26 김정헌 지피에스와 각도 센서를 이용한 골프장 위치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JP2016047756A (ja) * 2014-08-28 2016-04-07 三菱電機株式会社 多段デッキ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CN105110113A (zh) * 2015-07-28 2015-12-02 苏州汇川技术有限公司 电梯平层位置控制系统及方法
DE202015105420U1 (de) 2015-10-13 2017-01-16 Elgo Electronic Gmbh & Co. Kg Vorrichtung zur Positionseinstellung einer Aufzuganlage und Aufzugsystem
KR102493117B1 (ko) 2016-09-13 2023-01-27 인벤티오 아게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WO2018198224A1 (ja) * 2017-04-26 2018-11-0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段差点検装置
CN106976769B (zh) * 2017-05-26 2018-12-04 湖北江汉建筑工程机械有限公司 一种施工升降机自动平层方法
CN107539855B (zh) * 2017-08-07 2019-09-06 日立楼宇技术(广州)有限公司 电梯平层故障的检测方法和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206762B (zh) 2024-04-19
CN114206762A (zh) 2022-03-18
US20220332541A1 (en) 2022-10-20
JP2022544285A (ja) 2022-10-17
EP4013709A1 (de) 2022-06-22
AU2020328170A1 (en) 2022-03-03
WO2021028462A9 (de) 2021-04-08
AU2020328170B2 (en) 2024-05-02
WO2021028462A1 (de) 2021-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94422B2 (en) Touch-sensitive call-giving device
EP2898475B1 (en) System for detecting a position of a fume hood sash
EP3584208B1 (en) Position reference device for elevator
US20200109029A1 (en) Commissioning tool for association of connected devices
US20180297813A1 (en) Device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an elevator system, and elevator system
KR20220049515A (ko) 컴퓨터-제어된 모바일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리프트 설비를 제어하는 방법
CN111252638B (zh) 用于监测电梯系统的装置和方法
EP3097544B1 (en) A structure including a passageway
US9043028B2 (en) Method of determining the orientation of a machine
JP2014213976A (ja) エレベーターの保守・点検システム
FI127422B (fi) Menetelmä, tietokoneohjelma ja laitteisto nosturin ohjaamiseksi ja menetelmä nosturin päivittämiseksi
GB2574644A (en) A location system, method, and calibration method
JP2016175723A (ja) 位置調整装置
KR100834887B1 (ko) 무인반송장치의 수평 및 정위치 제어시스템
KR20150033065A (ko) 레이저 거리측정기를 이용한 정밀 위치조절이 가능한 크레인 및 무선통신을 이용한 정밀 위치조절이 가능한 크레인
JP6702574B1 (ja) エレベータの調整方法および調整システム
KR101788076B1 (ko) 모바일기기를 포함하는 설비감시시스템
KR101788078B1 (ko) 가속도 센서를 포함하는 설비감시시스템
US11066273B2 (en) Elevator overtravel testing systems and methods
JP6188878B1 (ja) 保守作業支援装置および保守作業支援方法
KR20140080709A (ko) 호이스트 크레인의 위치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70370719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 Object Onto a Boundary Surface
JP2018508750A (ja) 基材における計測領域を検出するための方法
CN113666210B (zh) 一种针对绝对位置控制系统的调试方法
US20240025699A1 (en) Elevator controller, elevator system, storage medium, and mobi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