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8786A - 차량용 차체 - Google Patents

차량용 차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8786A
KR20220048786A KR1020200132075A KR20200132075A KR20220048786A KR 20220048786 A KR20220048786 A KR 20220048786A KR 1020200132075 A KR1020200132075 A KR 1020200132075A KR 20200132075 A KR20200132075 A KR 20200132075A KR 20220048786 A KR20220048786 A KR 202200487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wl
inner lower
extension
suspension mounting
cowl in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2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8371B1 (ko
Inventor
박형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32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8371B1/ko
Publication of KR20220048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87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8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83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1Cow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8Details of structures as upper supports for springs or dam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2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ig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2Production or manufacturing of vehicle parts
    • B60Y2410/124Welded parts

Abstract

본 발명은 카울인너로워패널과 펜더에이프런 사이의 카울 연결구조를 개선하여 멤버 간 연결강성과, 내구성 및 NVH 성능을 향상시키는 차량용 차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양측 펜더에이프런 사이에 좌우로 결합되는 카울인너로워패널; 상기 카울인너로워패널에 겹쳐져 결합되는 카울인너로워멤버; 상기 카울인너로워멤버 양단에 좌우로 결합되어, 상기 펜더에이프런과 후드힌지브라켓에 연결되는 카울익스텐션;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용 차체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차체{Body for vehicles}
본 발명은 카울인너로워패널과 펜더에이프런 사이의 카울 연결구조를 개선하여 멤버 간 연결강성과, 내구성 및 NVH 성능을 향상시키는 차량용 차체에 관한 것이다.
도 1과 같이, 카울탑패널 하부에 카울인너로워패널이 적용된 차량의 경우, 카울인너로워패널이 펜더에이프런 측을 향해 좌우로 형성되어, 서스펜션마운팅 커버 윗면에 용접 접합된다.
하지만, 카울인너로워패널이 서스펜션마운팅 커버에 단순 플랜지 구조로 용접됨으로써, 내구 성능에 제한적인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카울탑패널과 카울인너로워패널 간 상하방향 간격이 중앙에서 사이드로 향할수록 점차 증가함으로써, 멤버 간 강성확보에 어려움이 발생하는 문제도 있다.
더욱이, 펜더에이프런 어퍼멤버와 서스펜션마운팅 커버 간에 높이 차이가 과도한 경우, 멤버간 연결강성 부족으로 인해 내구/강성/NVH 성능이 악화되는 문제도 있다.
이에, 도 2와 같이 카울언더커버를 추가하는 경우, 단차 및 조립성을 개선할 수 있기는 하지만, 별물의 카울언더커버를 볼팅 구조를 통해 적용해야 함으로써 원가 및 중량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20-0069873 A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카울인너로워패널과 펜더에이프런 사이의 카울 연결구조를 개선하여 멤버 간 연결강성과, 내구성 및 NVH 성능을 향상시키는 차량용 차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양측 펜더에이프런 사이에 좌우로 결합되는 카울인너로워패널; 상기 카울인너로워패널에 겹쳐져 결합되는 카울인너로워멤버; 상기 카울인너로워멤버 양단에 좌우로 결합되어, 상기 펜더에이프런과 후드힌지브라켓에 연결되는 카울익스텐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카울익스텐션은 서스펜션마운팅부를 우회하여 펜더에이프런과 후드힌지브라켓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카울익스텐션은 카울인너로워멤버와 결합된 부분에서 'L'자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어 서스펜션마운팅부의 후방으로 우회할 수 있다.
상기 후드힌지브라켓의 전단 둘레면이 카울익스텐션에 밀착되는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카울익스텐션에 접합될 수 있다.
상기 카울익스텐션의 상단 및 하단에 형성된 어퍼 지지면 및 로워 지지면이 중단에 형성된 센터 지지면으로부터 전방 및 후방으로 각각 절곡 형성되고; 상기 후드힌지브라켓 단부의 상면과 일측면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안착부가 상기 어퍼 지지면과, 센터 지지면과, 로워 지지면에 밀착되어 접합될 수 있다.
상기 후드힌지브라켓의 타측면이 펜더에이프런 어퍼멤버 상면에 접합될 수 있다.
상기 카울익스텐션과 결합되는 카울인너로워멤버의 연장결합부분은 서스펜션마운팅 커버의 일부를 덮는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전단이 상승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장결합부분을 따라 카울익스텐션의 테두리가 접합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장결합부분에서 카울인너로워멤버와, 카울익스텐션과, 카울인너로워패널이 겹쳐져 용접 접합될 수 있다.
상기 연장결합부분에서 카울인너로워멤버와, 카울익스텐션과, 카울인너로워패널와, 서스펜션마운팅 커버가 겹쳐져 용접 접합될 수 있다.
상기 후드힌지브라켓 상면에 용접건 패싱홀이 형성되어, 상기 용접건 패싱홀 하부에서 카울익스텐션과, 카울인너로워패널과, 서스펜션마운팅부 둘레의 서스펜션마운팅 커버가 겹쳐져 용접 접합될 수 있다.
상기 서스펜션마운팅 커버 측부에 서스펜션마운팅 서포트가 고정되고; 상기 서스펜션마운팅 서포트에 카울인너로워멤버와, 카울익스텐션과, 카울인너로워패널이 겹쳐져 용접 접합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제 해결수단을 통해 본 발명은, 카울인너로워패널에 카울인너로워멤버를 겹쳐 고정하고, 카울인너로워멤버에서 단면구조가 개선된 카울익스텐션을 연장하여 펜더에이프런과 함께 후드힌지브라켓에 고정함으로써, 카울인너로워패널과 펜더에이프런 간의 좌우 연결강성을 증대시키게 되는바, 내구성 및 NVH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카울익스텐션과 후드힌지브라켓은 물론, 카울익스테션과 카울인너로워멤버 간에 복합 단면 연결구조로 용접됨으로써, 내구성은 물론, 충돌성능을 증대시키는 효과도 있다.
더불어, 카울인너로워멤버와 카울익스텐션 간의 복합 단면 연결구조를 통해 단면 연결성이 개선되고 균일한 실링좌면이 제공됨으로써, 카울언더커버가 불필요하여 원가 및 중량을 저감하게 되고, 또한 카울탑패널과 카울인너로워패널 사이의 사이드 부분 높이 차이가 감소되어, 카울패널의 좌우 연결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카울인너로워패널이 서스펜션마운팅에 용접되는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카울언더커버가 결합된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울익스텐션이 카울인너로워멤버에서 펜더에이프런을 향해 연장 결합되는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울익스텐션과 카울인너로워멤버와 후드힌지브라켓에 결합되는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3의 A - A선 단면도.
도 6은 도 3의 B - B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부품 간 용접 접합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펜더에이프런컴플과 카울대시컴플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서스펜션마운팅 서포트와 멤버 간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카울익스텐션이 적용된 형상을 전방에서 바라본 형상으로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울익스텐션(300)이 카울인너로워멤버(200)에서 펜더에이프런(400)을 향해 연장 결합되는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울익스텐션(300)과 카울인너로워멤버(200)와 후드힌지브라켓(500)에 결합되는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3의 A - A선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양측 펜더에이프런(400) 사이에 좌우로 결합되는 카울인너로워패널(100); 상기 카울인너로워패널(100)에 겹쳐져 결합되는 카울인너로워멤버(200); 상기 카울인너로워멤버(200) 양단에서 좌우로 결합되어, 상기 펜더에이프런(400)과 후드힌지브라켓(500)에 연결되는 카울익스텐션(300);을 포함하여 구성이 된다.
예컨대, 카울탑패널(110) 하부에 카울인너로워패널(100)이 구비되고, 상기 카울인너로워패널(100)의 하부에 대시패널이 결합된다.
이러한, 카울인너로워패널(100)은 상부가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 단부가 전륜 측 펜더에이프런(400)의 내측면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카울인너로워패널(100)의 저면에는 카울인너로워패널(100)의 좌우 폭방향으로 카울인너로워멤버(200)가 겹쳐지면서 겹판넬 형태로 고정되어 카울인너로워패널(100)의 좌우 연결강성을 보강한다.
특히, 상기 카울인너로워멤버(200)의 전단 양측에 카울익스텐션(300)이 좌우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결합 고정되고, 상기 연장된 카울익스텐션(300)이 좌우측 펜더에이프런(400)의 내측면에 고정되면서 후드힌지브라켓(500)과도 결합 고정된다.
즉, 카울인너로워패널(100)에 카울인너로워멤버(200)를 겹쳐 고정하고, 카울인너로워멤버(200)에 카울익스텐션(300)을 연장하여 상기 카울익스텐션(300)을 펜더에이프런(400)에 고정함으로써, 카울인너로워패널(100)과 펜더에이프런(400) 간의 연결구조를 개선하여 연결강성과 내구성 및 NVH 성능을 향상시키게 된다.
아울러, 도 4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울익스텐션(300)은 서스펜션마운팅부(430)를 우회하여 펜더에이프런(400)과 후드힌지브라켓(500)에 연결되는 구조가 된다. 상기 서스펜션마운팅부(430)는 쇽업소버 상단이 마운팅되도록 돌출되어 형성된 부분일 수 있다.
즉, 기존에는 단순 플랜지 용접구조를 통해 카울인너로워패널(100)이 서스펜션마운팅 커버(420)에 용접되는 구조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카울익스텐션(300)이 서스펜션마운팅부(430)를 감싸는 형상으로 우회하여 펜더에이프런(400)은 물론 후드힌지브라켓(500)에 고정됨으로써, 카울패널의 사이드부에 대한 연결강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더불어, 도 3과 같이 본 발명의 카울익스텐션(300)은 카울인너로워멤버(200)와 결합된 부분에서 'L'자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어 서스펜션마운팅부(430)의 후방으로 우회하도록 구성이 된다.
즉, 쇽업소버 커버 전방에는 후드스테이, 냉각수 리저버 탱크, 히트 와셔 노즐, 엔진 및 배터리 어스 마운팅 등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카울익스텐션(300)이 쇽업소버 커버 전방에 위치시키기 어려워진다.
이에, 카울익스텐션(300)을 쇽업소버 커버 후방으로 우회하도록 하면서, 우회 부분의 카울익스텐션(300)의 평단면 형상을 'L'자 형상으로 꺾어지게 형성함으로써, 카울패널의 사이드부에 대한 연결강성을 더욱 향상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카울익스텐션(300)과 후드힌지브라켓(500)의 결합 구조를 살펴보면, 상기 후드힌지브라켓(500)의 전단 둘레면이 카울익스텐션(300)에 밀착되는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카울익스텐션(300)에 접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결합 구조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카울익스텐션(300)의 상단 및 하단에 형성된 어퍼 지지면(310) 및 로워 지지면(330)이 중단에 형성된 센터 지지면(320)으로부터 전방 및 후방으로 각각 절곡 형성되고; 상기 후드힌지브라켓(500) 단부의 상면과 일측면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안착부가 상기 어퍼 지지면(310)과, 센터 지지면(320)과, 로워 지지면(330)에 밀착되어 접합되는 구조가 된다.
즉, 센터 지지면(320)의 상단 테두리를 따라 어퍼 지지면(310)이 전방을 향해 절곡 형성되고, 상기 센터 지지면(320)의 하단 테두리를 따라 로워 지지면(330)이 후방을 향해 절곡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후드힌지브라켓(500)의 전방 단부가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분의 테두리를 따라 안착부가 형성되는데, 상기 안착부는 제1,2,3안착부(510,520,53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개구부분의 테두리 상면에 제1안착부(510)가 형성되어 상기 어퍼 지지면(310) 위에 겹쳐지면서 용접되고, 상기 개구부분의 테두리 일측면에 제2안착부(520)가 측방을 향해 절곡 형성되어 센터 지지면(320) 상에 겹쳐지며, 상기 제2안착부(520)의 하단 코너부분에 후방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제3안착부(530)가 형성되어 로워 지지면(330) 위에 겹쳐지면서 용접 접합된다.
즉, 카울익스텐션(300)과 후드힌지브라켓(500) 간에 단면 복합 용접이 적용됨으로써, 연결강성이 개선되어 내구성 및 NVH 성능이 향상되는 것은 물론, 충돌성능도 증대된다.
더불어, 상기 후드힌지브라켓(500)의 타측면이 펜더에이프런 어퍼멤버(410) 상면에 용접 접합되는 구조가 된다.
이에, 후드힌지브라켓(500)의 전방 단부에 카울익스텐션(300)이 고정되면서, 후드힌지브라켓(500)의 측면이 펜더에이프런 어퍼멤버(410) 상면에 고정되어 카울익스텐션(300)의 결합위치가 상대적으로 높아지게 됨으로써, 카울탑패널(110)과 카울인너로워패널(100) 사이의 사이드 부분 높이 차이가 감소되어, 상기 사이드 부분의 연결강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특히, 도 3, 도 4 및 도 6과 같이, 상기 카울익스텐션(300)과 결합되는 카울인너로워멤버(200)의 연장결합부분(210)은 서스펜션마운팅 커버(420)의 일부를 덮는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전단이 상승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장결합부분(210)을 따라 카울익스텐션(300)의 테두리가 접합 결합되는 구조가 된다.
즉, 상기 연장결합부분(210)은 서스펜션마운팅부(430)를 우회하면서 서스펜션마운팅 커버(420) 위에 안착되는 제1부분(212)과, 상기 제1부분(212)과 이어지면서 상기 서스펜션마운팅 커버(420)로부터 이격되어 전방 상부를 향해 상승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제2부분(214)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제1부분(212)에 카울익스텐션(300)의 로워 지지면(330)이 겹쳐지면서 용접되고, 상기 제2부분(214)에는 카울익스텐션(300)의 어퍼 지지면(310)과 센터 지지면(320)의 테두리 부분이 겹쳐지면서 용접된다.
이에 따라, 카울익스텐션(300)과 카울인너로워멤버(200) 간 결합위치가 상대적으로 높아지게 됨으로써, 카울탑패널(110)과 카울인너로워패널(100) 사이의 사이드 부분 높이 차이가 감소되어, 상기 사이드 부분의 연결강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부품 간 용접 접합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펜더에이프런컴플(CP1)과 카울대시컴플(CP2)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연장결합부분(210)에서 카울인너로워멤버(200)와, 카울익스텐션(300)과, 카울인너로워패널(100)이 겹쳐져 용접 접합될 수 있다.
즉,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울대시컴플(CP2)의 경우 카울익스텐션(300)을 비롯하여 카울인너로워멤버(200)와, 카울인너로워패널(100) 및 후드힌지브라켓(500) 등을 포함하여 구성이 되고, 펜더에이프런컴플(CP1)의 경우 펜더에이프런(400)과, 서스펜션마운팅 커버(420) 및 서스펜션마운팅 서포트(440) 등을 포함하여 구성이 된다.
그리고, 카울대시컴플(CP2)과 펜더에이프런컴플(CP1)의 인라인 조립을 통해 도 7과 같은 형태로 조립될 수 있게 된다.
다만, 도 7의 a 용접부위의 경우, 카울대시컴플(CP2)과 펜더에이프런컴플(CP1)의 인라인 조립 전에 용접이 이루어지는 부분으로, 카울인너로워멤버(200)와, 카울인너로워패널(100) 뿐만 아니라 카울익스텐션(300)의 센터 지지면(320) 및 어퍼 지지면(310)이 3매 용접됨으로써, 용접 연결성이 증대된다.
더 나아가, 상기 연장결합부분(210)에서 카울인너로워멤버(200)와, 카울익스텐션(300)과, 카울인너로워패널(100)와, 서스펜션마운팅 커버(420)가 겹쳐져 용접 접합될 수 있다.
즉, 도 7의 b 용접부위의 경우, 카울대시컴플(CP2)과 펜더에이프런컴플(CP1)의 인라인 조립에 따라 용접이 이루어지는 부분으로, 카울익스텐션(300)의 로워 지지면(330)과, 카울인너로워멤버(200)와, 카울인너로워패널(100)과 함께 서스펜션마운팅 커버(420)가 4매 용접됨으로써, 용접 연결성이 더욱 증대된다.
더불어, 상기 후드힌지브라켓(500) 상면에 용접건 패싱홀(540)이 형성되어, 상기 용접건 패싱홀(540) 하부에서 카울익스텐션(300)의 로워 지지면(330)과, 카울인너로워패널(100)과, 서스펜션마운팅부(430) 둘레의 서스펜션마운팅 커버(420)가 겹쳐져 용접 접합될 수 있다.
즉, 도 7의 c 용접부위의 경우, 카울대시컴플(CP2)과 펜더에이프런컴플(CP1)의 인라인 조립에 따라 용접이 이루어지는 부분으로, 해당 부분에서 카울익스텐션(300)과 서스펜션마운팅 커버(420) 간의 용접 연결성을 강화하기 위해 후드힌지브라켓(500)에 용접건이 삽입될 수 있는 패싱홀을 형성한다.
이에, 상기 패싱홀을 통해 카울익스텐션(300)의 로워 지지면(330)과, 카울인너로워멤버(200)와, 카울인너로워패널(100)과 함께 서스펜션마운팅 커버(420)가 4매 용접됨으로써, 용접 연결성을 더욱 증대시키게 된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서스펜션마운팅 서포트(440)와 카울패널을 이루는 멤버 간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서스펜션마운팅 커버(420) 측부에 서스펜션마운팅 서포트(440)가 고정되고; 상기 서스펜션마운팅 서포트(440)에 카울인너로워멤버(200)와, 카울익스텐션(300)과, 카울인너로워패널(100)이 겹쳐져 용접 접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서스펜션마운팅 서포트(440)는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측부가 서스펜션마운팅 커버(420)의 측면에 상하방향으로 고정되고, 상부가 카울인너로워멤버(200)와 카울익스텐션(300) 저면에 좌우방향으로 고정된다.
즉, 도 7의 d 용접부위의 경우, 카울대시컴플(CP2)과 펜더에이프런컴플(CP1)의 인라인 조립에 따라 용접이 이루어지는 부분으로, 카울익스텐션(300)의 로워 지지면(330)과, 카울인너로워멤버(200)와, 카울인너로워패널(100)과 함께 서스펜션마운팅 서포트(440)가 4매 용접됨으로써, 용접 연결성이 더욱 증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카울인너로워패널(100)에 카울인너로워멤버(200)를 겹쳐 고정하고, 카울인너로워멤버(200)에서 단면구조가 개선된 카울익스텐션(300)을 연장하여 펜더에이프런(400)과 함께 후드힌지브라켓(500)에 고정함으로써, 카울인너로워패널(100)과 펜더에이프런(400) 간의 좌우 연결강성을 증대시키게 되는바, 내구성 및 NVH 성능을 향상시키게 된다.
더욱이, 카울익스텐션(300)과 후드힌지브라켓(500)은 물론, 카울익스테션과 카울인너로워멤버(200) 간에 복합 단면 연결구조로 용접됨으로써, 내구성은 물론, 충돌성능을 증대시키게 된다.
더 나아가, 카울인너로워멤버(200)와 카울익스텐션(300) 간의 복합 단면 연결구조를 통해 도 10과 같이 단면 연결성이 개선되고 균일한 실링좌면이 제공됨으로써, 카울언더커버가 불필요하여 원가 및 중량을 저감하게 되고, 또한 카울탑패널(110)과 카울인너로워패널(100) 사이의 사이드 부분 높이 차이가 감소되어, 카울패널의 좌우 연결강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카울인너로워패널
110 : 카울탑패널
200 : 카울인너로워멤버
210 : 연장결합부분
212 : 제1부분
214 : 제2부분
300 : 카울익스텐션
310 : 어퍼 지지면
320 : 센터 지지면
330 : 로워 지지면
400 : 펜더에이프런
410 : 펜더에이프런 어퍼멤버
420 : 서스펜션마운팅 커버
430 : 서스펜션마운팅부
440 : 서스펜션마운팅 서포트
500 : 후드힌지브라켓
510 : 제1안착부
520 : 제2안착부
530 : 제3안착부
540 : 용접건 패싱홀
CP1 : 펜더에이프런컴플
CP2 : 카울대시컴플

Claims (11)

  1. 양측 펜더에이프런 사이에 좌우로 결합되는 카울인너로워패널;
    상기 카울인너로워패널에 겹쳐져 결합되는 카울인너로워멤버;
    상기 카울인너로워멤버 양단에 좌우로 결합되어, 상기 펜더에이프런과 후드힌지브라켓에 연결되는 카울익스텐션;을 포함하는 차량용 차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울익스텐션은 서스펜션마운팅부를 우회하여 펜더에이프런과 후드힌지브라켓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차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울익스텐션은 카울인너로워멤버와 결합된 부분에서 'L'자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어 서스펜션마운팅부의 후방으로 우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차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드힌지브라켓의 전단 둘레면이 카울익스텐션에 밀착되는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카울익스텐션에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차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울익스텐션의 상단 및 하단에 형성된 어퍼 지지면 및 로워 지지면이 중단에 형성된 센터 지지면으로부터 전방 및 후방으로 각각 절곡 형성되고;
    상기 후드힌지브라켓 단부의 상면과 일측면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안착부가 상기 어퍼 지지면과, 센터 지지면과, 로워 지지면에 밀착되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차체.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후드힌지브라켓의 타측면이 펜더에이프런 어퍼멤버 상면에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차체.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울익스텐션과 결합되는 카울인너로워멤버의 연장결합부분은 서스펜션마운팅 커버의 일부를 덮는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전단이 상승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장결합부분을 따라 카울익스텐션의 테두리가 접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차체.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연장결합부분에서 카울인너로워멤버와, 카울익스텐션과, 카울인너로워패널이 겹쳐져 용접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차체.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연장결합부분에서 카울인너로워멤버와, 카울익스텐션과, 카울인너로워패널와, 서스펜션마운팅 커버가 겹쳐져 용접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차체.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후드힌지브라켓 상면에 용접건 패싱홀이 형성되어, 상기 용접건 패싱홀 하부에서 카울익스텐션과, 카울인너로워패널과, 서스펜션마운팅부 둘레의 서스펜션마운팅 커버가 겹쳐져 용접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차체.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션마운팅 커버 측부에 서스펜션마운팅 서포트가 고정되고;
    상기 서스펜션마운팅 서포트에 카울인너로워멤버와, 카울익스텐션과, 카울인너로워패널이 겹쳐져 용접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차체.
KR1020200132075A 2020-10-13 2020-10-13 차량용 차체 KR102438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2075A KR102438371B1 (ko) 2020-10-13 2020-10-13 차량용 차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2075A KR102438371B1 (ko) 2020-10-13 2020-10-13 차량용 차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8786A true KR20220048786A (ko) 2022-04-20
KR102438371B1 KR102438371B1 (ko) 2022-08-31

Family

ID=81401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2075A KR102438371B1 (ko) 2020-10-13 2020-10-13 차량용 차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837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2050U (ko) * 1996-12-24 1998-09-25 박병재 자동차의 차체 보강구조
KR20120126906A (ko) * 2011-05-13 2012-11-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체의 전방 연결구조
KR20190136787A (ko) * 2018-05-31 2019-1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카울 구조
KR20200069873A (ko) 2018-12-07 2020-06-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전방 차체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2050U (ko) * 1996-12-24 1998-09-25 박병재 자동차의 차체 보강구조
KR20120126906A (ko) * 2011-05-13 2012-11-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체의 전방 연결구조
KR20190136787A (ko) * 2018-05-31 2019-1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카울 구조
KR20200069873A (ko) 2018-12-07 2020-06-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전방 차체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8371B1 (ko) 2022-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51563B2 (en) Bearing structure arrangement of a motor vehicle body
JP6164249B2 (ja) 自動車の前部床下整流構造
US7390047B2 (en) Front part structure of vehicle body
US8240747B2 (en) Mounting structure of front body frame in vehicle
US6648401B2 (en) Motor vehicle body with wheelhouse/underbody reinforcement
KR101575262B1 (ko) 쇽 업소버 하우징의 보강구조
KR20170065382A (ko) 차량의 카울 사이드 보강 구조
KR102660343B1 (ko) 차량의 차체 전방 구조체
KR102056341B1 (ko) 차량 후부 구조
CN107021138A (zh) 汽车的车身结构以及汽车的制造方法
KR102438371B1 (ko) 차량용 차체
CN109927787A (zh) 一种用于车身后部的连接结构及汽车
JP4532099B2 (ja) 車両の後部車体構造
JP5628255B2 (ja) 車両用ステアリングハンガビーム支持構造
JP4022846B2 (ja) 自動車の車体前部構造
JP6734334B2 (ja) 車両の下部構造
JP2009143335A (ja) カウルサイド部の接合構造
CN103879925B (zh) 整体悬浮式护顶架
JP3736013B2 (ja) 車体パネル構造及び車体パネルの組立方法
JPH07267135A (ja) 車体の補強構造
WO2016181530A1 (ja) 車両用リヤサスペンション取付構造
CN210139904U (zh) 用于电动车的中通道、车身地板及电动车
KR100320856B1 (ko) 자동차의 리어휠하우징 보강구조
JPH068931Y2 (ja) バンパ構造
KR20170047126A (ko) 휠 하우스의 보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