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7586A - 내강을 통해 카테터들 또는 다른 의료 디바이스들을 전진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내강을 통해 카테터들 또는 다른 의료 디바이스들을 전진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7586A
KR20220047586A KR1020227007141A KR20227007141A KR20220047586A KR 20220047586 A KR20220047586 A KR 20220047586A KR 1020227007141 A KR1020227007141 A KR 1020227007141A KR 20227007141 A KR20227007141 A KR 20227007141A KR 20220047586 A KR20220047586 A KR 202200475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heter
balloon
shaft
distal end
orien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7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젠드라 사르데사이
사미르 판촐리
테자스 파텔
Original Assignee
바소이노베이션즈,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6/701,966 external-priority patent/US10773058B1/en
Application filed by 바소이노베이션즈, 인크. filed Critical 바소이노베이션즈, 인크.
Publication of KR20220047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75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11Multiple balloon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61M25/0045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multi-layered, e.g. co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61M25/005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with embedded materials for reinforcement, e.g. wires, coils, braids
    • A61M25/005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with embedded materials for reinforcement, e.g. wires, coils, braids having a variable stiffness along the longitudinal axis, e.g. by varying the pitch of the coil or br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2Insertion or introduction using an inner stiffening member, e.g. stylet or push-r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08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using radio-opaque or ultrasound mark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33Tip steering devices
    • A61M25/0147Tip steering devices with movable mechanical means, e.g. pull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025/0004Catheters; Hollow probes having two or more concentrically arranged tubes for forming a concentric catheter system
    • A61M2025/0006Catheters; Hollow probes having two or more concentrically arranged tubes for forming a concentric catheter system which can be secured against axial movement, e.g. by using a locking cuf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61M2025/006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having means, e.g. stylets, mandrils, rods or wires to reinforce or adjust temporarily the stiffness, column strength or pushability of catheters which are already inserted into the human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025/0293Catheter, guide wire or the like with means for holding, centering, anchoring or frictionally engaging the device within an artificial lumen, e.g. tub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61M25/0662Guide tubes
    • A61M2025/0681Systems with catheter and outer tubing, e.g. sheath, sleeve or guide tub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11Multiple balloon catheters
    • A61M2025/1015Multiple balloon catheters having two or more independently movable balloons where the distance between the balloons can be adjusted, e.g. two balloon catheters concentric to each other forming an adjustable multiple balloon cathete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025/1043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 A61M2025/1079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having radio-opaque markers in the region of the ballo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025/1043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 A61M2025/1086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having a special balloon surface topography, e.g. pores, protuberances, spikes or groo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025/1043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 A61M2025/1088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having special surface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material properties or added substances, e.g. for reducing fri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025/1043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 A61M2025/1097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with perfusion means for enabling blood circulation only while the balloon is in an inflated state, e.g. temporary by-pass within ballo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materials
    • A61M2205/0222Materials for reducing fri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환자의 신체 내부의 개소들로 외부 카테터 또는 다른 의료 디바이스들을 전달하는 것을 돕는, 디바이스들, 시스템들, 및 방법들이, 개시된다. 디바이스는, 외부 카테터의 내강 내에 위치되도록 구성되는 이송기 카테터를 포함하고, 이송기 카테터는, 샤프트, 적어도 하나의 배향 풍선 및 적어도 하나의 위치고정 풍선을 포함하며, 배향 풍선은, 샤프트의 원위 단부에 인접하게 샤프트 상에 배치되며 그리고 환자의 맥관구조의 내부 표면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위치고정 풍선은, 샤프트 상에서 샤프트의 근위 단부와 배향 풍선 사이에 위치되며, 위치고정 풍선은, 이송기 카테터를 외부 카테터에 슬라이딩 불가능하게 위치고정하도록 구성되며, 그리고 이송기 카테터는, 환자의 맥관구조를 통해 외부 카테터를 전진시키고 조종하기 위해 밀리도록 및/또는 토크를 받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내강을 통해 카테터들 또는 다른 의료 디바이스들을 전진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관련 출원들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9년 12월 3일자로 출원된 함께 계류중인 미국 특허 출원 제16/701,966호의 일부 계속 출원인, 2019년 12월 19일자로 출원된 함께 계류중인 미국 특허 출원 제16/721,909호의 일부 계속 출원이고, 2019년 8월 14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886,349호의 이익을 주장하며; 상기 출원들의 전체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개괄적으로, 환자의 신체 내부의 개소들에 카테터들 또는 다른 의료 디바이스들을 전달하는 것을 돕는, 디바이스들, 시스템들, 및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외부 카테터 내부에 위치하는 이송기 카테터(transporter catheter), 예를 들어 외피(sheath), 도입기 카테터(introducer catheter), 안내 카테터(guide catheter) 또는 내부 카테터(inner catheter)에 관한 것이다. 이송기 카테터의 팁에 있는 배향 풍선(orienting balloon)이, 이송기 카테터의 배향 및 위치설정에 도움을 주며, 그리고 위치고정 풍선(anchoring balloon)이, 이송기 카테터를 위치고정하기 위해, 예를 들어 사용자가 환자의 신체를 통해 이송기 카테터 및 외피 또는 도입기 카테터 또는 안내 카테터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조종할 때, 이송기 카테터를 외피 또는 도입기 카테터 또는 안내 카테터의 내부 표면에 위치고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카테터들은, 진단 및/또는 치료 절차들을 포함하는 점점 더 많은 수의 의료 절차들을 위해 사용된다. 환자 내의 관심 개소에서의 진단 및/또는 치료 카테터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카테터는, 일반적으로 "외피" 또는 "도입기 카테터"로서 알려진, 제2 카테터를 통해 도입될 수 있고, 이러한 2개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교환 가능하게 사용될 것이다. 도입기 카테터는, 환자의 신체의 특정 영역들 내로의 다른 카테터들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용되는 튜브이다. 심장 절제의 분야에서, 예를 들어 도입기 카테터들은, 절제 디바이스가 부정맥-유발 심장 조직을 통과하여 이를 절제할 수 있게 배치될 수 있도록, 환자의 맥관구조를 통과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입기 카테터 자체는 안내 와이어 위에서 전진될 수 있다.
비틀림(tortuosity), 석회화(calcification)뿐만 아니라, 관상 동맥의 다른 구조적 특성들을 포함하는 복잡한 관상 해부학(coronary anatomy)은, 협착에 근접한 내강을 통한 하드웨어의 통행을 어렵게 하고 때로는 불가능하게 할 수 있다. 더 뻣뻣한 안내 와이어들, 개선된 수동적 지지를 허용하는 큰 구멍 안내 카테터들, 및 감소된 마찰을 제공하는 친수성 코팅들과 같은 기술에서의 몇몇 진보들은, 이러한 관상 동맥들을 통해 풍선들 및 스텐트들을 전진시키는 능력을 다소 성공적으로 개선하였다. "위글(Wiggle)" 와이어와 같이 팁의 동적 편향을 허용하는 안내 와이어들이 또한, 하드웨어 통행을 개선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진보들에도 불구하고,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PCI")을 위한 팽창 표시들에 비추어, 복잡한 기질들에서의 PCI 결과들을 개선하기 위한 충족되지 않은 요구가 있다.
안내 카테터는, 도입기 카테터 내부에 위치될 수 있고, 내부 지지 카테터("딸" 또는 "자식" 카테터)는, 안내 카테터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관상 동맥 내로 내부 지지 카테터를 전진시켜 근접한 관상-동맥 내강에 깊게 삽관하는 것은, 안내 카테터 및 내부 카테터 복합 시스템의 지지를 개선하여, 어려운 관상 내강(가이드라이너(Guideliner), 가이드질라(Guidezilla), 텔레스코프(Telescope))을 통한 디바이스 전진에 대한 개선된 성공을 위한 기회를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흔히, 이러한 내부 카테터들은, 동맥 해부학의 근접한 더 단순한 부분들을 네비게이트할 수 있을 뿐, 오퍼레이터가 안내 카테터 및 내부 카테터 복합 시스템에 충분한 지지를 제공하는 동맥 내강 내의 위치를 획득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 이러한 내부 카테터들을 환자의 맥관구조 내로 더 전진시키지 못하는 것은, 종종 안내 와이어와 내부 지지 카테터 사이의 돌출 또는 전이들에 의해 유발되는 "레이저 효과(razor effect)"의 결과이다.
일반적으로, 도입기 카테터는, 진단, 치료 및/또는 절제 디바이스를 수용하기에 충분히 큰 내경(또는 "구멍 크기")을 유지하면서 관의 내강을 통과하기에 충분히 작은 전체 직경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더구나, 환자의 관 내의 경로는 종종 길고 구불구불하기 때문에, 조향력들은 비교적 긴 거리들을 통해 전달되어야 한다. 따라서, 도입기 카테터는, 그의 근위 단부에 인가되는 힘을 통해 환자의 맥관구조를 통해 밀리기에 충분한 축방향 강도를 갖는 것("밀림 가능성(pushability)")이 바람직하다. 도입기 카테터는, 근위 단부에 인가되는 토크를 원위 단부에 전달할 수 있는 것("토크 전달 능력(torqueability)")이 또한 바람직하다. 도입기 카테터는 또한, 실질적으로 환자의 맥관구조를 따르도록 충분한 유연성을 가져야 하지만, 환자의 맥관구조를 따를 때 뒤틀림(kinking)에 저항해야 한다. 이러한 다양한 특성들은, 종종 서로 충돌하며, 하나에서의 개선들은 종종 다른 것들에서의 양보들을 필요로 한다. 예를 들어, 주어진 전체 직경을 갖는 도입기 카테터의 구멍 크기를 증가시키는 것은, 더 얇은 벽을 이용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카테터들이 점점 더 작은 통로들 및 관들에서 사용됨에 따라, 더 작은 외부 치수를 갖는 도입기 카테터들을 사용할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얇은 벽을 가진 도입기 카테터는, 토크 또는 미는 힘이 그의 근위 단부에 인가될 때, 접히거나 뒤틀릴 가능성이 더 크다.
환자의 맥관구조를 통한 도입기 카테터(또는 도입기 외피)의 전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입기 카테터의 근위 단부에서의 미는 힘 및/또는 토크의 인가 및 도입기 카테터의 원위 단부 팁을 원하는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배향시키는 능력은, 의료 요원이 카테터의 원위 단부를 전진시키고, 도입기 카테터의 원위 단부 부분을 관심 개소에 배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사용 동안, 도입기 카테터 샤프트는, 토크를 전달하고 압축에 저항할 수 있어야 한다. 상당한 마찰력들이 때때로, 도입기 카테터의 길이를 따르는 축방향 힘들 및 토크의 전달에 저항한다. 일부 경우들에서, 이러한 힘들은, 도입기 카테터 샤프트가 도입기 카테터 샤프트의 종축에 대해 비틀려서, 스프링과 같은 방식으로 프로세스에서 에너지를 저장하게 할 수 있다. 그러한 에너지가 갑자기 방출되는 경우, 조향 메커니즘에 의해 편향되었을 수 있는 도입기 카테터의 원위 단부는, 상당한 힘과 함께 바람직하지 않게 추진될 수 있다.
사용 동안의 압축에 저항하는 것과 관련하여, 사용자들은, 도입기 카테터 샤프트의 과도한 축방향 또는 방사상 압축 또는 스네이킹 또는 피시-마우스 왜곡(snaking or fish-mouth distortion) 없이, 때때로 상당한 마찰 저항에 대항하여, 관을 통해 도입기 카테터를 전진시킬 수 있는 것이 중요하다. 샤프트 압축은, 의료 절차를 위한 원하는 개소에의 도입기 카테터 샤프트의 원위 단부의 위치설정을 복잡하게 할 수 있다. 게다가, 의료 요원은, 도입기 카테터의 적절한 위치설정을 달성하고 검증하기 위해 촉각적 피드백에 의존할 수 있고, 그러한 피드백은 과도한 압축 가능성에 의해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구불구불한 내강 또는 관을 포함하는 내강 또는 신체 관을 손상시키지 않고 신체 내강을 통해 환자의 신체 내의 관심 개소에 도입기 카테터 또는 외피 또는 안내 카테터 또는 내부 카테터를 전달하기 위한, 개선된 디바이스들, 시스템들 및 방법들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상기 논의는 본 분야를 예시하도록 의도될 뿐이며, 청구항 범위의 부정 또는 제한으로서 간주되지 않아야 한다.
내강들 또는 관들을 통해 환자의 맥관구조를 통과하기 위한 디바이스들, 시스템들, 및 방법들이 본 명세서에 설명된다. 특히, 본 발명은 동맥계 및 정맥계에서는 물론, 비맥관 내강 및 관에 대한, 진단, 치료, 및 절제 절차들을 포함하는 절차들을 위한, 개선된 디바이스들, 시스템들, 및 방법들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카테터 시스템은, 이송기 카테터 및 도입기 카테터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이송기 카테터의 원위 단부 팁에 있는 풍선이, 환자의 신체 내강들을 통한 이송기 카테터 및/또는 관련 디바이스 또는 시스템의 통과를 용이하게 한다. 이송기 카테터는, 이송기 카테터를 도입기 카테터에 위치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고정 풍선을 가질 수 있다. 위치고정 풍선은, 이송기 카테터의 배향 풍선이 환자의 신체 내의 맥관구조 내에서 증가된 저항을 경험할 때, 이송기 카테터의 내강 내로의 뒤쪽으로의 미끄러짐 또는 "밀림"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방지한다. 또한, 위치고정 풍선이 배향 풍선에 근접하여 위치될 때, 위치고정 풍선은, 카테터 시스템이 환자의 신체의 맥관구조를 통해 조종되고 있을 때, 배향 풍선이 도입기 카테터의 내강 내로 돌아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로서 작용한다. 그것은 또한, 순방향 힘이 카테터 시스템에 인가될 때, 배향 풍선이 도입기 카테터, 안내 카테터 또는 내부 카테터 밖으로 완전히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이송기 카테터는, 도입기 카테터 내부에 위치되는 것으로 설명된다. 이송기 카테터는 또한, 외부 카테터를 전진시키기 위해, 임의의 외부 카테터, 예를 들어 외피, 엄마 카테터, 안내 카테터 또는 딸 카테터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이송기 카테터의 팁에 있는 배향 풍선이, 이송기 카테터의 배향 및 위치설정에 도움을 주며, 그리고 위치고정 풍선이, 이송기 카테터를 위치고정하기 위해, 예를 들어 사용자가 환자의 맥관구조를 통해 이송기 카테터 및 외부 카테터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조종할 때, 이송기 카테터를 외부 카테터의 내부 표면에 위치고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입기 카테터를 전진시키는 것에 관한 설명 및 논의는 또한, 이송기 카테터를 사용하여 환자의 맥관구조를 통해 임의의 다른 외부 카테터를 전진시키는 것에 적용된다.
본 발명의 카테터 시스템은, (a) 도입기 카테터를 밀도록 및/또는 도입기 카테터에 토크를 가하도록(torqueing) 하거나, (b) 이송기 카테터를 밀도록 및/또는 이송기 카테터에 토크를 가하도록 하거나, (c) 도입기 카테터 및 이송기 카테터 양자 모두를 밀도록 및/또는 양자 모두에 토크를 가하도록 함으로써, 환자의 신체의 맥관구조를 통해 전진될 수 있다. 사용자가 환자의 신체의 맥관구조를 통해 카테터 시스템을 전진시키기 위해 도입기 카테터를 밀도록 및/또는 도입기 카테터에 토크를 가하도록 하는 경우, 이송기 카테터의 위치고정 풍선은, 카테터 시스템이 환자의 신체의 맥관구조를 통해 이동할 때, 이송기 카테터를 밀도록 및/또는 그에 토크를 가하도록 한다. 사용자가 환자의 신체의 맥관구조를 통해 카테터 시스템을 전진시키기 위해 이송기 카테터를 밀도록 및/또는 그에 토크를 가하도록 하는 경우, 이송기 카테터의 위치고정 풍선은, 카테터 시스템이 환자의 신체의 맥관구조를 통해 이동할 때, 도입기 카테터를 당기도록 및/또는 그에 토크를 가하도록 한다. 양자의 경우에, 배향 풍선은 환자의 신체의 맥관구조를 통해 카테터 시스템을 배향하고 조종하는 것을 돕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길이를 가지며 그리고 제1 개방 내부 내강을 한정하는 제1 튜브로서, 제1 개방 내부 내강은 이송기 카테터의 원위 단부에 위치되는 제1 풍선에 연결되는 것인, 제1 튜브, 길이를 가지며 그리고 제2 개방 내부 내강을 한정하는 제2 튜브로서, 제2 개방 내부 내강은 제1 풍선과 이송기 카테터의 근위 단부 사이에 위치되는 제2 풍선에 연결되는 것인, 제2 튜브를 포함하는 이송기 카테터를 포함하는, 디바이스들, 시스템들, 및 방법들을 제공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2 풍선은, 제1 풍선에 근접하게 놓인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1 풍선의 근위 단부와 제2 풍선의 원위 단부 사이의 거리는, 완전히 팽창된 제1 풍선의 길이의 절반 미만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풍선의 근위 단부와 제2 풍선의 원위 단부 사이의 거리는, 완전히 팽창된 제1 풍선의 직경의 절반 미만이다. 일 실시예에서, 배향 풍선은, 15-40mm의 범위 내의 길이를 갖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배향 풍선은, 팽창 후에 1.5-6mm 범위의 직경들로 팽창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배향 풍선은, 팽창 시에 6- 12mm의 범위 내의 직경들로 팽창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디바이스는,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를 갖는 이송기 카테터, 원위 단부에, 실질적으로 이송기 카테터의 팁에, 위치되는 적어도 제1 풍선, 및 이송기 카테터의 원위 단부와 근위 단부 사이에 위치되는 적어도 제2 풍선을 포함한다. 제1 풍선은 배향 풍선이며 그리고 제2 풍선은 위치고정 풍선이다. 이송기 카테터는, 단일 내강 또는 하나 초과의 내강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이송기 카테터의 샤프트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또는 PEBAX(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와 같은 중합체로 제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송기 카테터의 샤프트는, 중합체 샤프트 내에 내장되는 와이어 기반 보강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송기 카테터의 샤프트는, 내부 층 및 외부 층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내부 층은, 외부 층의 재료보다 더 유연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외부 층은, 내부 층의 재료보다 더 낮은 휨 계수 및 더 높은 항복 변형을 갖는 재료를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외부 층은, 편조-와이어 어셈블리(braided-wire assembly)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편조-와이어 어셈블리는, 복수의 평면형 와이어들 또는 원형 와이어들을 편조함으로써 형성된다. 이송기 카테터의 샤프트는, 다양한 경도 특성들의 복수의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배향 풍선과 위치고정 풍선 사이에 위치하는 이송기 카테터의 샤프트의 제1 세그먼트의 경도는, 위치고정 풍선과 카테터의 근위 단부 사이의 샤프트의 제2 세그먼트의 경도보다 작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배향 풍선에 근접한 샤프트의 제1 세그먼트의 부분의 경도는, 위치고정 풍선에 근접한 샤프트의 제1 세그먼트의 부분의 경도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이송기 카테터와 독립적으로 환자의 신체의 맥관구조를 통해 조종하는 능력을 갖는 도입기 카테터를 포함하는, 디바이스들, 시스템들 및 방법들을 제공한다. 그러한 도입기 카테터들은 일반적으로, "조향 가능 안내" 카테터들로서 알려져 있다. 조향 가능 안내 카테터의 일 실시예가, 적어도 제1 손잡이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제1 손잡이 어셈블리는, 원위 단부 부분을 휘게 하도록 편향력을 인가하기 위해 조향 가능 안내 카테터의 원위 단부 부분에 결합되는 제1 편향 메커니즘으로서, 원위 단부 부분을 제1 관절 위치에서 휘게 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제1 편향 메커니즘, 및 원위 단부 부분을 휘게 하도록 편향력을 인가하기 위해 조향 가능 안내 카테터의 원위 단부 부분에 결합되는 제2 편향 메커니즘으로서, 원위 단부 부분을 제2 관절 위치에서 휘게 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제2 편향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조향 가능 안내 카테터는, 조향 가능 카테터의 배향 및 위치설정을 돕기 위해 이송기 카테터의 통과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개방 내부 내강을 더 포함한다. 조향 가능 안내 카테터 내에 위치되는 이송기 카테터는, 조향 가능 카테터의 배향 및 위치설정에 도움을 주며, 그리고 조향 가능 카테터를 매끄럽게 전진시키기 위해 편향 메커니즘들의 기능을 보완한다. 조향 가능 안내 카테터가 원하는 위치에 배치된 후에, 이송기 카테터 내의 배향 풍선 및 위치고정 풍선은 수축되며, 그리고 이송기 카테터는 조향 가능 안내 카테터의 내부 내강으로부터 제거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기 카테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이송기 카테터의 제2 세그먼트보다 더 유연한 이송기 카테터의 제1 세그먼트를 갖는 이송기 카테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다수의 정도의 유연성을 갖는 이송기 카테터의 다수의 세그먼트를 갖는 이송기 카테터의 사시도이다.
도 4a는 항력을 감소시킴으로써 배향 풍선의 매끄러운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윤곽형성 배향 풍선(contoured orienting balloon)을 도시하는 이송기 카테터의 사시도이다.
도 4b는 위치고정 풍선이 팽창될 때 위치고정 풍선을 가로질러 혈액을 관류시키기 위한 관류 내강을 도시하는 이송기 카테터의 사시도이다.
도 4c는 배향 풍선이 팽창될 때 배향 풍선을 가로질러 혈액을 관류시키기 위한 관류 내강을 도시하는 이송기 카테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하나 초과의 위치고정 풍선을 갖는 이송기 카테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하나 초과의 세그먼트 상에 위치고정 풍선이 존재하는, 다양한 정도의 경도의 다수의 세그먼트를 갖는 이송기 카테터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이송기 카테터를 전진시키기 위한 유압 시스템을 갖는 이송기 카테터의 사시도이다.
도 8a 내지 도 8d는 도입기 카테터의 내부 표면에 대한 위치고정을 향상시키기 위한 위치고정 풍선의 표면에 대한 수정예들의 사시도들이다.
도 9는 환자의 신체의 맥관구조를 통해 전진하는 이송기 카테터 및 도입기 카테터를 포함하는 카테터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도입기 카테터가 그의 근위 단부에서 밀리거나 그의 원위 단부에서 당겨질 때 그의 벽에 작용하는 힘들의 개략도이다.
도 11은 엄마 카테터, 내부 지지 카테터, 및 반대 동맥 내강(adverse arterial lumen)을 통해 전진하는 이송기 카테터를 포함하는 카테터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엄마 카테터, 내부 지지 카테터, 및 반대 동맥 내강을 통해 전진한 이송기 카테터를 포함하는 카테터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엄마 카테터, 내부 지지 카테터 및 이송기 카테터를 포함하는 카테터 시스템을 사용하는 반대 동맥 내강 내의 스텐트의 배치의 사시도이다.
도 14a 내지 도 14d는 도입기 카테터의 내부 표면에 대한 풍선의 근위 단부 부분의 위치고정을 향상시키기 위한 풍선의 근위 단부 부분의 표면에 대한 수정예들의 사시도들이다.
도 15는, 환자의 맥관구조를 통한 매끄러운 이동을 위해 구성되는 원위 단부 부분에서의 표면 및 외부 카테터에 대한 위치고정을 위해 구성되는 근위 단부 부분에서의 표면을 갖는 풍선을 구비하는, 이송기 카테터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팽창 시에 외부 카테터의 외경보다 큰 원위 단부 부분에서의 직경을 갖는 풍선을 갖는 이송기 카테터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2개의 풍선, 즉 환자의 맥관구조를 통한 매끄러운 이동을 위해 구성되는 원위 단부 부분에서의 표면 및 외부 카테터에 대한 위치고정을 위해 구성되는 근위 단부 부분에서의 표면을 갖는 제1 풍선, 및 외부 카테터에 대한 추가적인 위치고정을 위한 제2 풍선을 갖는, 이송기 카테터의 사시도이다.
도 18a 내지 도 18d는 이송기 카테터의 일부 실시예들의 샤프트의 사시 단면도들이다.
도 19는 당김-와이어들을 사용하여 조향 가능한 이송기 카테터의 일 실시예의 원위 단부 부분의 사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송기 카테터들을 사용하는 시스템들은, 개선된 조종성, 유연성 및 뒤틀림 저항을 제공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카테터(100)는, 근위 단부(102) 및 원위 단부(103)를 갖는 샤프트(101), 그리고 제1 내강(104), 제2 내강(105) 및 제3 내강(106)을 포함한다. 제1 내강(104)은, 상기 샤프트(101)의 실질적으로 전체 길이로 연장되며 그리고 상기 샤프트(101)의 대략 원위 단부(103)에 위치되는 배향 풍선(107)과 연통한다. 제2 내강(105)은, 상기 샤프트(101)의 전체 길이로 연장되며 그리고 안내 와이어(108)를 통한 카테터(100)의 배치를 허용한다. 제3 내강(106)은, 배향 풍선(107)과 샤프트(101)의 근위 단부(102) 사이에 위치되는 위치고정 풍선(109)과 연통한다. 일 실시예에서, 위치고정 풍선은, 배향 풍선에 근접하게 위치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내강(104) 및 제3 내강(106)은, 정반대이며 그리고 각각의 내강은, 샤프트(101)의 종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내강(104) 및 제3 내강(106)은, 샤프트를 제1 반원통 부분 및 제2 반원통 부분으로 이등분하는 종방향 연장 평면의 양측에 대칭으로 배치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위치고정 풍선과 연통하는 제3 내강(106)은, 카테터 샤프트를 보강함으로써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거 가능한 보강 탐침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2개의 제거 가능한 보강 탐침이 삽입될 수 있는데, 하나는 내강(104) 내에 삽입되고, 다른 하나는 내강(106) 내에 삽입된다. 보강 탐침(들)은, 위치고정 풍선(109)에 바로 근접할 때까지 부재(101)의 실질적으로 전체 길이로 연장되도록 삽입된다. 2개의 탐침이 사용되는 경우, 실무자는, 원하는 대로 강성의 양을 조정하기 위해, 하나의 탐침을 다른 것보다 더 멀리 삽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탐침은, 위치고정 풍선을 넘어 삽입되지 않는다.
내강들(104, 105, 106)은, 그들의 근위 단부에서 루어(Luer) 커넥터들(111)에 부착된다. 상기 루어 커넥터들은 이어서, 풍선 팽창 매체의 도입을 제공하기 위해, 주사기들, 밸브들 등에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서, 방사선 불투과성 표식(marker)이, 원위 단부(103)를 포함하여 샤프트(101)를 따라 위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방사선 불투과성 표식이, 위치고정 풍선(109)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미징 표식이, 샤프트(101)에, 팁(103)으로부터 약간 근접하여 그리고 배향 풍선(107)의 전방 단부 부분에 근접한 영역에 배치되는 그의 원위 단부 부분에서, 고정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미징 표식은, 배향 풍선(107) 상에 고정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이미징 표식은, 위치고정 풍선(109) 상에 위치고정된다. 일 실시예에서, 이미징 표식은, 방사선 불투과성 재료(예컨대, 금, 백금, 텅스텐 또는 이들 금속의 합금들 또는 은-팔라듐 합금, 또는 백금-이리듐 합금)로 형성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방사선 그래픽 이미징 및 시각화를 사용하여 그러한 전진을 모니터링하면서, 카테터의 위치를 확인하고, 이어서 환자의 맥관구조를 통해 카테터(100)를 전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 이송기 카테터의 샤프트는, 근위 단부에 있는 루어 커넥터를 사용함으로써 원위 단부에서 약물을 주입하기 위해, 그의 근위 단부로부터 그의 원위 단부까지의 내강을 구비할 수 있다.
샤프트(101)의 세그먼트들의 기계적 속성들은, 원통형-편조 구조물(들) 및 중합체 재료들의 속성들(예를 들어, 원통형-편조 구조물의 치수 및/또는 중합체들의 경도계들)을 조정하고 변경함으로써, 변경될 수 있다. 추가로, 샤프트(101)의 세그먼트들의 기계적 속성들은, 본 개시의 특정 실시예들에 따라 샤프트(101)의 길이를 따라 변경될 수 있거나,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라 샤프트(101)의 전체 길이를 따라 실질적으로 균일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샤프트(101)는, 제1 재료로 이루어진 내부 코어 및 제2 재료로 이루어진 외부 층을 갖는, 모놀리식 세장형 튜브형 샤프트 부재이고, 내부 코어의 제1 재료는, 그 내부에 내강들(104, 105 및 106)을 한정하며, 제1 내강(104)의 단면 치수는, 제1 내강(104)의 길이를 따라 균일하고, 제2 내강(105)의 단면 치수는, 제2 내강(105)의 길이를 따라 균일하며, 제3 내강(106)의 단면 치수는, 제3 내강(106)의 길이를 따라 균일하다. 일 실시예에서, 튜브형 샤프트 부재는, 튜브형 샤프트 부재의 길이를 따라 변하는 외부 단면 치수를 갖고, 외부 단면 치수는, 원위 단부에서보다 근위 단부에서 더 크다.
일 실시예에서, 샤프트(101)는, 강성 부여 구조물을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강성 부여 구조물은, 블레이드를 사용하여 제공된다. 블레이드는, 금속 와이어 또는 합성 수지 와이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성 부여 구조물은, 위치고정 풍선(209)으로부터 배향 풍선(207)까지의 샤프트의 원위 단부 부분(202)을 제외하고, 샤프트의 전체 길이(201)에 걸쳐 샤프트에 제공된다. 위치고정 풍선(209)은, 강성 부여 구조물(201)을 도입기 카테터(224)의 내강의 내부 표면에 위치고정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강성 부여 구조물은, 이송기 카테터의 근위 단부(102)로부터 위치고정 풍선(109)의 원위 단부(115)까지의 범위에서 샤프트(101)에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이송기 카테터의 샤프트는, 강성 및 뒤틀림에 대한 저항을 갖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송기 카테터의 샤프트는 바람직하게,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과 같은 윤활성 재료로 제조되는 내부 층, 및 바람직하게는 PEBAX(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와 같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제조되는 외부 층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내부 층 및 외부 층은, 2개의 상이한 용융 처리 가능 중합체들로 제조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송기 카테터의 샤프트는, 2개보다 많은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내부 층 및/또는 외부 층은, 미립자 방사선 불투과성 필러 재료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송기 카테터의 샤프트의 외부 표면은, 샤프트의 길이를 따르는 적어도 하나의 방사선 불투과성 스트립 및/또는 샤프트의 특정 개소들에, 예를 들어 이송기 카테터의 원위 단부에, 방사선 불투과성 표식들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와이어-기반 보강재가, 외부 층에 내장된다. 와이어-기반 보강재는, 플렛 매트릭스(plait matrix) 또는 나선형 코일의 형태일 수 있다. 플렛 매트릭스는, 편조될 수 있다. 플렛 매트릭스 층 또는 나선형 코일 층은, 예를 들어 제자리에 용융시킴으로써 내부 층에 접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플렛 매트릭스 층 또는 나선형 코일 층은, 형성 부재로서 임시 수축-랩 튜브(shrink-wrap tubing)를 사용하여 제자리에 용융시킴으로써, 내부 층에 접합된다. 플렛 매트릭스 층 또는 나선형 코일 층은 또한, 토크-전달 층으로 알려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샤프트는, 샤프트의 근위 단부(102)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길이를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플렛 매트릭스 또는 나선형 코일 층의 형태의 와이어 보강재를 갖는, 복수의 섹션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샤프트는, 샤프트의 근위 단부(102)로부터 위치고정 풍선(109)의 원위 단부(115)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플렛 매트릭스 층 또는 나선형 코일 층을 갖는, 복수의 섹션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샤프트는, 샤프트의 근위 단부(102)로부터 배향 풍선(107)의 근위 단부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플렛 매트릭스 층 또는 나선형 코일 층을 갖는, 복수의 섹션을 포함한다.
플렛 매트릭스 또는 나선형 코일은, 둥근 와이어들, 타원형 와이어들, 평면형 와이어들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제조될 수 있다. 임의의 다른 단면 형상들의 와이어들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와이어들은, 다양한 재료들로 제조될 수 있고, 동일한 재료들 또는 유사한 재료 속성들을 갖는 재료들, 또는 상이한 속성들을 갖는 상이한 재료들로 각각 제조될 수 있다. 일례로서, 그러한 와이어들은, 스테인리스 스틸로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들의 재료는, 샤프트의 벽을 형성하는 플라스틱 재료들보다 더 단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평면형 와이어는, 적어도 약 0.003" 두께 x 약 0.007" 폭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와이어들은, 니티놀(Nitinol)로 제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편조-와이어 플렛 매트릭스는, 근위 단부 부분 및 원위 단부 부분을 구비하고, 편조-와이어 플렛 매트릭스는, 근위 단부 부분에서 제1 밀도를 그리고 원위 단부 부분에서 제2 밀도를 가지며, 제1 밀도는 제2 밀도와 다르고, 편조-와이어 어셈블리의 밀도는, 샤프트의 종축의 인치당 브레이드들(braids)의 픽셀들(PPI)로 측정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편조-와이어 플렛 매트릭스의 근위 단부 부분에서의 PPI는, 편조-와이어 플렛 매트릭스의 원위 단부 부분에서의 PPI보다 크다. 다른 실시예에서, PPI는, 약 10 내지 약 90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PPI는, 약 5 내지 약 50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송기 카테터의 샤프트는, 편조-와이어 플렛 매트릭스를 포함하고, PPI는, 샤프트의 근위 단부 부분으로부터 원위 단부 부분까지 점진적으로 변하여, 샤프트의 강성이 근위 단부 부분으로부터 원위 단부 부분까지 점진적으로 감소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편조-와이어 플렛 매트릭스는, 샤프트의 내부 층 주위를 감싼다. 다른 실시예에서, 와이어의 나선형 코일은, 샤프트의 내부 층 주위를 감싼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샤프트의 근위 단부 부분에서의 나선형 코일의 피치는, 샤프트의 원위 단부 부분에서의 나선형 코일의 피치보다 작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송기 카테터의 샤프트는, 와이어의 나선형 코일을 포함하고, 피치는 샤프트의 근위 단부 부분으로부터 원위 단부 부분까지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샤프트의 강성이 근위 단부 부분으로부터 원위 단부 부분까지 점진적으로 감소한다.
토크 전달 층은, 스테인리스 스틸(304 또는 316) 와이어 또는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공지된 다른 허용 가능한 재료들로 제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토크 전달 층은, 평면형 와이어들,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높은 신장성의 스테인리스 스틸 와이어들을 포함하는, 스테인리스 스틸 와이어들로 구성되는 편조된 와이어 어셈블리로 형성된다. 토크 전달 층은, 1-오버-1(one-over-one)(적어도 2개의 와이어를 포함함) 또는 2-오버-2(two-over-two)(적어도 4개의 와이어를 포함함) 교차 패턴들을 포함하는, 브레이드 패턴들(braid patterns)의 임의의 조합들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토크 전달 층은, 이송기 카테터의 길이를 따라 변화하는 브레이드 밀도 구성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크 전달 층은, 이송기 카테터의 근위 단부에서의 제1 브레이드 밀도 및, 이어서 토크 전달 층이 이송기 카테터의 원위 단부에 접근함에 따른, 하나 이상의 브레이드 밀도로의 전이에 의해 특성화될 수 있다. 원위 단부의 브레이드 밀도는, 근위 단부에서의 브레이드 밀도보다 더 크거나 더 작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근위 단부에서의 브레이드 밀도는 약 50 PPI이며 그리고 원위 단부에서의 브레이드 밀도는 약 10 PPI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원위 단부에서의 브레이드 밀도는, 근위 단부에서의 브레이드 밀도의 약 20-35%이다. 토크 전달 층은, 1회용 코어 상에 별개로 형성되며 그리고 이어서 내부 라이너 주위에서 미끄러질 수 있다. 토크 전달 층의 하나 이상의 부분은,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공지된 방법들을 통해 이송기 샤프트 내로의 통합 이전에, 열 템퍼링 또는 냉각될 수 있다. 열 템퍼링의 작용은, 와이어 상의 응력을 해제하는 것을 돕고 방사상 힘들을 감소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토크 전달 층은, 내부 라이너 상에 직접 편조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토크 전달 층은, 스틸 와이어의 적어도 하나의 나선형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나선형 코일의 2개의 연속적인 나선들 사이의 거리(피치로서 알려짐)는, 이송기 카테터의 길이를 따라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크 전달 층은, 이송기 카테터의 근위 단부에서의 나선형 코일의 제1 피치 및 이어서 토크 전달 층이 이송기 카테터의 원위 단부에 접근함에 따른 하나 이상의 피치로의 전이에 의해 특성화될 수 있다. 원위 단부에서의 나선형 코일의 피치는, 근위 단부에서의 나선형 코일의 피치보다 더 크거나 더 작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원위 단부에서의 피치는, 근위 단부에서의 피치보다 약 50-80% 더 크다.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샤프트는, 샤프트의 원위 단부에 배치되는 제1 가요성 부분(301), 제1 가요성 부분(301)과 연속적이고 유연하지만 제1 가요성 부분(301)보다 더 높은 경도를 갖는 제2 가요성 부분(302), 및 제2 가요성 부분(302)과 연속적이고 제2 가요성 부분(302)보다 더 높은 경도를 갖는 제3 가요성 부분(303)을 갖는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가장 유연한 제1 가요성 부분(301)은, 배향 풍선(307)과 위치고정 풍선(309) 사이에 놓인다. 샤프트의 제2 가요성 부분(302)은, 위치고정 풍선(309)에 의해 실질적으로 덮인다. 제3 가요성 부분(303)은, 제2 가요성 부분 및 제1 가요성 부분의 경도보다 더 높은 경도를 가지며, 그리고 카테터(100)의 근위 단부(102)로부터 위치고정 풍선의 근위 단부 에지(116, 316)로 연장된다. 이송기 카테터의 가요성은, 그의 원위 단부로부터 그의 근위 단부까지 단계적으로 더 낮아진다. 배향 풍선(307)에 근접한 샤프트의 부분(301)이 유연이기 때문에, 배향 풍선(307)은, 더 쉽게 관의 만곡 부분을 통과할 수 있다.
도 4a에 예시된 바와 같은 일 실시예에서, 배향 풍선(407)의 원위 단부는, 매끄러우며 그리고 배향 풍선의 매끄러운 이동을 제공하도록 윤곽형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배향 풍선의 표면은, 마찰 감소 코팅으로 코팅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배향 풍선이 팽창될 때, 배향 풍선을 가로지르는 혈액의 관류를 위한 채널들을 제공하기 위해, 배향 풍선의 표면은, 팽창될 때 물결 모양의 윤곽 또는 다른 3차원 윤곽들(도시되지 않음)을 가질 수 있다. 도 4b에 예시된 바와 같은 일 실시예에서, 위치고정 풍선(409)이 팽창될 때, 위치고정 풍선(409)을 가로질러 혈액을 관류시키기 위해, 관류 내강(402)이 제공된다. 도 4c에 예시된 바와 같은 다른 실시예에서, 배향 풍선(407)이 팽창될 때, 배향 풍선(407)을 가로질러 혈액을 관류시키기 위해, 관류 내강(405)이 제공된다.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은 일 실시예에서, 다수의 위치고정 풍선(501, 502)이 존재할 수 있다. 도 6에 예시된 다른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위치고정 풍선이 샤프트의 각각의 가요성 부분 내에 존재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제1 위치고정 풍선(601)이 제1 가요성 부분(611) 내에 존재하고, 제2 위치고정 풍선(602)이 제2 가요성 부분(612) 내에 존재한다. 제1 위치고정 풍선(601)은 제1 내강(621)을 사용하여 팽창되고, 제2 위치고정 풍선(602)은 제2 내강(622)을 사용하여 팽창되며, 이에 의해 제1 위치고정 풍선(601)은 제2 위치고정 풍선(的2)의 팽창 또는 수축과 독립적으로 팽창 또는 수축될 수 있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다른 실시예(도시되지 않음)에서, 단일 내강이 복수의 위치고정 풍선들을 연결시키고, 이에 의해 모든 위치고정 풍선들이 동시에 팽창 또는 수축된다. 일 실시예에서, 배향 풍선(607)이 환자의 신체의 맥관구조를 통해 어떻게 전진하는지에 따라, 하나 이상의 위치고정 풍선들이 도입기 카테터(624)에 위치고정될 수 있다. 배향 풍선이 증가된 저항을 경험하는 경우, 하나 초과의 위치고정 풍선이, 독립적으로 팽창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배향 풍선이 도입기 카테터의 원위 단부 에지에 존재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위치고정 풍선이 도입기 카테터의 원위 단부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팽창 시에, 도입기 카테터 상에 위치되는 위치고정 풍선은, 도입기 카테터를 이송기 카테터에 슬라이딩 가능하지 않게 위치고정하기 위해, 이송기 카테터의 외부 표면에 대해 압박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이송기 카테터가 위치고정되는 도입기 카테터는, 유압을 사용하여 전진된다. 시스템(70)은, 샤프트(701), 샤프트(701)의 원위 단부에 위치하는 배향 풍선(707), 유압 유체 내강(721), 유압 유체(722), 및 유압 유체 내강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그리고 이송기 카테터의 샤프트(701)에 연결되는 피스톤(723)을 구비하는, 이송기 카테터를 포함한다. 피스톤은, 유압 유체 내강의 내부 표면과 밀봉을 형성한다. 이송기 카테터의 샤프트(701)를 전진시키기에 충분한 피스톤에 대한 유압을 생성하는 유압 구동기, 예를 들어 주사기가 사용된다. 샤프트(701)에 연결되는 위치고정 풍선(709)은, 샤프트와 함께 전진한다. 팽창 시에, 위치고정 풍선(709)은, 도입기 카테터(724)의 내부 표면(725)에 위치고정되고, 따라서 위치고정 풍선(709)의 전진은 환자의 맥관구조를 통해 도입기 카테터(724)를 또한 전진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환자의 맥관구조 내부에서 제1 거리만큼 도입기 카테터를 전진시키는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 (a) 도입기 카테터 내부에 이송기 카테터를 배치하는 단계; (b) 배향 풍선을 팽창 시키는 단계; (c) 이송기 카테터의 위치를 조정하여 배향 풍선이 실질적으로 도입기 카테터의 원위 단부 외부에 있게 하는 단계; (d) 이송기 카테터를 도입기 카테터의 내강의 내부 표면에 위치고정하기 위해 위치고정 풍선을 팽창 시키는 단계; (e) 도입기 카테터를 전진시키기 위해 피스톤에 유압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유압을 사용하여 도입기 카테터를 제1 거리만큼 전진시킨 이후에, 도입기 카테터는, 다음의 방법: (i) 위치고정 풍선을 수축시키는 단계; (ii) 유압을 감소시키는 단계; (iii) 도입기 카테터의 내강 내부에 이송기 카테터를 재배치하는 단계; (iv) 이송기 카테터를 도입기 카테터에 위치고정하기 위해 위치고정 풍선을 팽창 시키는 단계; 및 (v) 유압을 다시 인가하는 단계를 사용하여, 제2 거리만큼 전진된다. 단계 (i) 내지 (v)는, 카테터 시스템을 계속 전진시키기 위해 반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팽창 매체는, 조영제와 정상 식염수의 1:2 혼합물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이송기 카테터(100)의 길이는, 약 100cm 내지 약 250cm일 수 있다. 도입기 카테터의 최종 용도 및 길이는, 이송기 카테터의 길이를 결정할 수 있다. 제한이 아니라 단지 예로서, 환자의 생리학에 따라, 뇌 맥관구조 적용은, 약 100cm 내지 약 150cm의 이송기 카테터 길이를 보증할 수 있고; 관상동맥 맥관구조 적용은, 약 100cm 내지 약 160cm의 길이의 이송기 카테터 길이를 보증할 수 있으며; 말초 맥관구조 적용은, 약 70cm 내지 약 100cm의 길이의 이송기 카테터 길이를 보증할 수 있고; 신장 맥관구조 적용은, 약 60cm 내지 약 90cm의 길이의 이송기 카테터 길이를 보증할 수 있으며; 간 맥관구조 적용은, 약 70cm 내지 약 100cm의 길이의 이송기 카테터를 보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송기 카테터(100)의 샤프트(101)의 외경은, 약 2 프렌치(French) 내지 약 12 프렌치 또는 그 이상의 범위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송기 카테터(100)의 샤프트(101)의 외경은, 약 4mm 내지 약 10mm 또는 그 이상의 범위일 수 있다. 그러나, 이송기 카테터(100)의 샤프트(101)의 치수들은, 카테터 시스템의 다양한 적용들 및 도입기 카테터의 크기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송기 카테터의 샤프트의 외경과 도입기 카테터의 내경 사이의 차이는, 0.5mm 미만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송기 카테터의 샤프트의 외경은, 도입기 카테터의 내경보다 약 0.5mm 작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송기 카테터의 샤프트의 외경은, 도입기 카테터의 내경보다 약 1mm 내지 약 2mm 작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이송기 카테터의 샤프트의 외경은, 도입기 카테터의 내경의 약 절반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이송기 카테터의 길이는, 약 20cm 내지 약 60cm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이송기 카테터는, 짧은 길이들, 예를 들면 약 3cm 내지 약 10cm의 범위 내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송기 카테터는, 약 10cm 내지 약 300cm의 범위 내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배향 풍선은, 이송기 카테터의 원위 단부 팁으로부터 약 3mm에 위치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위치고정 풍선의 원위 단부와 배향 풍선의 근위 단부 사이의 갭은, 약 2-10mm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위치고정 풍선의 원위 단부와 배향 풍선의 근위 단부 사이의 갭은, 약 3-5mm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배향 풍선의 외경은, 상기 도입기 카테터의 외경과 대략 동일하다. 다른 실시예에서, 배향 풍선의 외경은, 도입기 카테터의 외경보다 크다. 일 실시예에서, 배향 풍선은 순응성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위치고정 풍선은 비-순응성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배향 풍선은 반-순응성이다.
샤프트(101)의 원위 단부(103)는, 가늘어질 수 있거나 가늘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샤프트(101)는, 근위 단부(102)가 원위 단부(103)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가늘어짐을 가질 수 있다. 도입기 카테터의 최종 용도 및 내경은, 샤프트(101)의 외경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샤프트(101)의 내경은, 약 1 프렌치 내지 약 3 프렌치, 또는 그 이상의 범위일 수 있다. 샤프트(101)가 안내 와이어(108)를 수용해야 하는 경우, 샤프트의 내경은, 그에 따라 비례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직경이 최대 1.4 프렌치인 안내 와이어들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안내 와이어들은, 이송기 카테터와 함께 사용되지 않을 수 있으며 그리고 이송기 카테터는, 안내 와이어를 위한 내강(105)을 갖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송기 카테터는, 안내 와이어를 통해 원하는 위치에 도입기 카테터를 전달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송기 카테터는, 안내 와이어를 사용하지 않고 원하는 위치에 도입기 카테터를 전달할 수 있다. 도입기 카테터가 배치된 이후에, 존재하는 경우 탐침(들)이 제거될 수 있고, 이어서 배향 풍선 및 위치고정 풍선은, 핸드헬드 주사기 또는 다른 수단에 의해 수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송기 카테터는, 0.009-0.014" 안내 와이어를 통해 추적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송기 카테터는, 다양한 직경들의 안내 와이어들(예를 들어, 0.010" 내지 0.065" 범위의 직경을 갖는 안내 와이어)을 수용할 수 있는 중심 내강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송기 카테터는, "신속 교환" 구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송기 카테터는, "오버-더-와이어(over-the-wire)" 구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송기 카테터는, 배향 풍선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위치고정 풍선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기계적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위치고정 풍선 및/또는 기계적 커넥터는, 이송기 카테터의 원위 단부에 위치된다. 적어도 하나의 위치고정 풍선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기계적 커넥터는, 이송기 카테터의 원위 단부를 외부 카테터에 위치고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이송기 카테터의 원위 단부는, 외부 카테터의 원위 단부에 위치고정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위치고정 풍선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기계적 커넥터는, 이송기 카테터의 원위 단부에 위치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이송기 카테터의 원위 단부 부분은, 외부 카테터의 원위 단부 부분에 위치고정된다.
샤프트(101), 내강(104, 105, 106), 배향 풍선(107)을 위한 재료는, 다음의 첨가제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한이 아닌 단지 예로서, 이러한 첨가제들은, 방사선 불투과성 필러들, 미끄럼 첨가제들, 및 친수성 코팅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규소는, 친수성 코팅을 제공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샤프트(101)를 위한 재료는, 미립자 방사선 불투과성 필러 재료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이송기 카테터를 외부 카테터에 슬라이딩 가능하지 않게 위치고정하기 위한 위치고정 메커니즘은, 이송기 카테터의 외부 표면과 외부 카테터의 내부 표면 사이의 마찰 기반 메커니즘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위치고정 풍선은, 미끄러짐을 감소시키기 위해, 마찰 저항을 제공하는 재료들로 제조되고 및/또는 코팅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위치고정 풍선은, 폴리우레탄으로 제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위치고정 풍선은, 위치고정 풍선이 팽창된 후에 도입기 외피의 내부에 대한 위치고정 풍선의 위치고정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도 8a에 예시된 바와 같은 톱니들(801) 및/또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승된 돌출부들(802)을 가질 수 있다. 톱니들 및/또는 상승된 돌출부들은,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나선형 형상(801),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선형 형상(802), 및 다른 형상들, 예를 들어, 원형 링 형상(803)(도 8c 참조) 또는 십자형 체커 형상(804)(도 8d 참조)을 가질 수 있다. 돌출부들은, 삽입물들, 예를 들어 와이어들을 가질 수 있다. 와이어들 또는 와이어 세그먼트들은, 다양한 재료들로 제조될 수 있고, 동일한 재료들 또는 유사한 재료 속성들을 갖는 재료들, 또는 상이한 속성들을 갖는 상이한 재료들로 각각 제조될 수 있다. 예로서, 이러한 와이어들 또는 와이어 세그먼트들은, 스테인리스 스틸로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들의 재료는, 풍선의 벽을 형성하는 재료들보다 더 단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와이어들은, 니티놀로 제조될 수 있다. 돌출부들은, 위치고정 풍선의 외부 표면을 거칠게 함으로써 그리고 위치고정 풍선의 외부 표면을 도입기 카테터의 내부 표면에 위치고정함으로써, 도입기 카테터와 같은 외부 카테터의 내부 표면에 대한 위치고정 풍선의 위치고정 능력을 향상시킨다. 돌출부들을 형성하는 와이어 또는 와이어 세그먼트들은 또한, 예를 들어, 원형, 정사각형, 또는 삼각형을 포함하는 임의의 단면 기하학적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그리고 상이한 돌출부들은 상이한 단면 형상들을 가질 수 있다. 둥근 형상들 및/또는 매끄러운 에지들은, 돌출부를 형성하는 와이어 또는 와이어 세그먼트가 위치고정 풍선의 벽을 관통하는 것을 방지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와이어 또는 와이어 세그먼트들은, 혈액의 통과를 허용하도록 속이 빌 수 있고, 그에 의해 위치고정 풍선이 팽창될 때 혈액의 폐색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외부 카테터의 내부 표면은, 마찰 위치고정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외부 카테터의 원위 단부 부분에 구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원위 단부 부분에서의 외부 카테터의 내부 표면은, 더 높은 마찰 계수를 갖는 재료의 층을 가질 수 있거나, 널링되거나 또는 톱니들을 가질 수 있거나, 외부 카테터의 내부 표면의 해당 부분에서 마찰 저항을 증가시키도록 달리 처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와이어들 또는 와이어 세그먼트들은, 방사선 불투과성인 재료(균질 재료, 또는 방사선 불투과성이 아니지만, 방사선 불투과성 코팅을 갖는 재료)를 포함하고, 따라서 형광투시법 하에서 가시적이다. 돌출부들을 가시적이게 하는 것은 또한, 임상의가 풍선을 팽창 시키고 도입기 카테터의 내부 표면에 위치고정하기 전에, 위치고정 풍선의 위치뿐만 아니라, 위치고정 풍선의 위치 및 배향을 더 잘 식별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위치고정 풍선의 벽은, 방사선 불투과성 미립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계적 커넥터가, 이송기 카테터와 도입기 카테터를 연결하고 위치고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송기 카테터는, 이송기 카테터를 도입기 카테터의 내부 표면에 위치고정하기 위한 기계적 커넥터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이송기 카테터는, 도입기 카테터의 원위 단부 에지에서 또는 그 근처에서 이송기 카테터를 도입기 카테터에 위치고정하기 위한 기계적 커넥터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송기 카테터 및/또는 도입기 카테터는, 이송기 카테터의 원위 단부 부분 및/또는 도입기 카테터의 원위 단부 부분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계적 커넥터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이송기 카테터의 근위 단부에 있는 손잡이가, 기계적 커넥터와 맞물려서 도입기 카테터에 대한 이송기 카테터의 위치고정을 가능하게 하는 데 사용된다. 이송기 카테터의 근위 단부에서 있는 손잡이는 또한, 기계적 커넥터와 분리되어 도입기 카테터로부터의 이송기 카테터의 제거를 가능하게 하는 데 사용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입기 카테터의 근위 단부에서 있는 손잡이는, 기계적 커넥터와 맞물리거나 분리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계적 커넥터는, 둥근 또는 평면형 와이어들의 매트릭스의 원형 케이지이고, 케이지의 직경은 기계적으로 증가되거나 감소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케이지의 직경은, 예를 들어, 이송기 카테터의 근위 단부에서 손잡이를 회전시킴으로써 증가되거나 감소될 수 있고, 따라서 손잡이가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될 때, 케이지는, 열리도록 그리고 그의 직경을 증가시키도록 토크를 받게 되며, 손잡이가 다른 방향으로 회전될 때, 케이지는, 닫히도록 그리고 그의 직경을 감소시키도록 토크를 받게 된다. 케이지의 직경은, 그것이 도입기 카테터에 이송기 카테터를 위치고정하기 위해 도입기 카테터의 내부 표면을 누를 때까지, 증가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기계적 커넥터는, 도입기 카테터 상에 위치될 수 있고, 기계적 커넥터는, 도입기 카테터를 이송기 카테터에 위치고정하기 위해 이송기 카테터와 맞물리며, 예를 들어 그것을 압박하거나 잠금고정한다.
동작 시, 이송기 카테터 및 외부 카테터는, 동맥 순환으로의 경피적 또는 수술적 진입을 얻기 위해, 대퇴, 방사상, 팔, 겨드랑이 및 경동맥과 같은 다양한 동맥 접근 부위들로부터 전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접근이 얻어지면, 디바이스는, 진단 또는 개입 절차를 위해 접근 지점으로부터 대동맥을 통해 원하는 목표 개소로 전진된다. 동맥절개술을 통한 카테터의 직접 도입이, (내막으로도 알려진) 내부 동맥 벽에 대한 카테터 에지에 의한 마모의 가능성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있을 수 있는 상호작용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안내 와이어가, 통상적으로 먼저 동맥절개술을 통해 전진된다. 안내 와이어는 통상적으로, 예를 들어 비외상성인 팁을 갖는 부드러운 팁이 있는, 더 낮은 프로파일의 가요성 물체이다. 안내 와이어의 배치 및 안내 와이어 위의 카테터의 도입은, 동맥의 내강 내에 카테터의 중심을 두고, 내부 동맥 벽에 대한 카테터의 마모의 위험을 줄인다. 안내 와이어 배치 및 오버-더-와이어 전진으로 인한 동맥 순환의 내막에 대한 위험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안내 와이어가 카테터에 비해 직경이 종종 훨씬 더 작다는 사실에 기인하는 카테터의 돌출에 의한, 동맥 혈관들의 내부 벽의 마모의 위험이 여전히 남아 있다. 일반적으로 "레이저 효과"로 지칭되는 카테터의 이러한 마모 효과는, 죽상 경화뿐만 아니라 다른 파편과 같은 내부 동맥 벽으로부터의 요소들의 이탈을 유발할 수 있다. 이어서, 유리화된 죽상 경화는 물론, 다른 파편이, 동맥 순환을 따를 수 있으며 그리고 그러한 파편의 크기에 기초하여 작은 원위측 가지(branch) 내로 들어갈 수 있다. 이러한 이벤트는, 조직 사망 또는 괴사를 유발할 수 있고, 이는 죽상-색전 이벤트로 인한 장의 허혈성 괴사, 유사한 색전 이벤트로 인한 급성 신장 손상은 물론, 상승하는 대동맥 및 대동맥궁을 통한 카테터 통과에 의해 유발될 수 있는 아테롬(atheroma)의 유리(liberation)로부터의 뇌혈관 이벤트들을 포함하는, 영구적 기관 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 배향 풍선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돌출의 해결을 제공하며, 전이들의 가능성을 감소시키고, 따라서 레이저 효과를 감소시키고, 카테터 통과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색전 이벤트들의 위험을 낮춘다.
도 9에 예시된 동작에서, 배향 풍선(907)은, 환자의 신체 내의 맥관구조(931)의 곡선들을 통해, 도입기 카테터(924) 및 이송기 카테터(901)를 포함하는 카테터 시스템을 배향하고 조종한다. 배향 풍선(907)은, 도입기 카테터(924) 밖으로 돌출한다. 일 실시예에서, 배향 풍선의 약 50%가 도입기 카테터(924) 밖으로 돌출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배향 풍선(907)의 50% 초과가 도입기 카테터 밖으로 돌출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배향 풍선(907)의 약 80%가 도입기 카테터(924) 밖으로 돌출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배향 풍선(907)의 50% 미만이 도입기 카테터(924) 밖으로 돌출한다. 일 실시예에서, 배향 풍선은, 약 2 기압 내지 약 10 기압 또는 그 이상의 압력을 사용하여 팽창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배향 풍선은, 12-15 기압의 범위 내의 압력으로 팽창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배향 풍선은, 약 4 기압의 압력을 사용하여 팽창된다. 일 실시예에서, 도입기 카테터로부터 밖으로 돌출하는, 배향 풍선의 돌출 부분의 직경은, 도입기 카테터의 외경보다 더 클 수 있어서, 도입기 카테터의 에지의 잠재적인 레이저 효과를 실질적으로 감소시키거나 제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2개의 배향 풍선이 존재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2개의 배향 풍선의 직경은 동일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원위측 배향 풍선의 직경은, 근위측 배향 풍선의 직경보다 더 작거나 더 클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근위측 배향 풍선은, 도입기 카테터 내부에 부분적으로 있고 도입기 카테터 밖으로 부분적으로 돌출하며, 그리고 원위측 배향 풍선은, 완전히 도입기 카테터 밖에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2개 초과의 배향 풍선이 존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배향 풍선들의 직경들은, 근위측 배향 풍선으로부터 도입기 카테터의 팁 근처에 위치하는 원위측 배향 풍선으로 점차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배향 풍선들은, 배향 풍선들과 환자의 맥관구조의 내부 표면 사이의 마찰을 최소화하도록 코팅되고 및/또는 윤곽형성된다. 팽창 시에, 적어도 하나의 배향 풍선은, 환자의 맥관구조의 내부 표면과 맞물린다. 일 실시예에서, 배향 풍선은, 풍선의 완전한 팽창 시에 환자의 맥관구조의 내부 표면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릴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배향 풍선은, 풍선의 부분적 팽창 시에 환자의 맥관구조의 내부 표면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릴 수 있다. 하나 초과의 배향 풍선이 존재하는 실시예에서, 제1 배향 풍선은, 환자의 맥관구조의 내부 표면과 맞물릴 수 있으며, 그리고 제2 배향 풍선은, 환자의 맥관구조의 내부 표면과 맞물리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입기 카테터 밖으로 돌출하는 근위측 배향 풍선은, 근위측 배향 풍선의 완전한 팽창 시에 환자의 맥관구조의 내부 표면과 맞물리고, 원위측 배향 풍선은, 완전한 팽창 시에 환자의 맥관구조의 내부 표면과 맞물리지 않는다. 위치고정 풍선(909)은, 이송기 카테터(901)의 샤프트를 도입기 카테터(924)의 내강의 내부 표면에 위치고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안내 와이어(908)가, 존재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위치고정 풍선(909)과 배향 풍선(907) 사이의 세그먼트(911)가, 이송기 카테터의 세그먼트(901)보다 더 유연할 수 있다. 카테터 시스템은, 도입기 카테터(924) 또는 이송기 카테터(901) 또는 양자 모두를 밀어내도록 및/또는 그에 토크를 가하도록 함으로써 전진될 수 있다. 카테터 시스템이 도입기 카테터를 밀어서 전진되는 경우, 도입기 카테터의 벽은, 그의 근위 단부에서 인가되는 힘을 통해 환자의 맥관구조를 통해 밀리기에 충분한 축방향 강도를 가져야 한다(밀림 가능성). 도입기 카테터는, 근위 단부에서 인가되는 토크를 샤프트의 길이를 따라 원위 단부로 전달할 수 있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토크 전달 능력). 도입기 카테터는 또한, 환자의 맥관구조에 실질적으로 합치하기에 그리고, 그것이 환자의 맥관구조를 통해 밀리고 및/또는 토크를 받으며 그리고 환자의 맥관구조에 합치될 때, 여전히 비틀림에 저항하기에, 충분한 유연성을 가져야 한다.
도입기 카테터를 미는 것에 의해 전진되는 도입기 카테터(924)의 벽은, 두꺼우며, 그리고 주어진 전체 직경을 갖는 도입기 카테터의 구멍 크기를 증가시키는 것은, 더 얇은 벽을 이용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카테터들이 점점 더 작은 관들 및 신체 내강들에서 사용되므로, 더 작은 벽 두께를 갖는 도입기 카테터들을 사용할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환자의 맥관구조를 통해 밀리는 얇은 벽의 도입기 카테터는, 미는 힘 및/또는 토크가 그의 근위 단부에서 인가될 때, 접히거나 비틀릴 가능성이 더 높다. 반면, 도입기 카테터(924)가 이송기 카테터의 위치고정 풍선(909)에 의해 환자의 맥관구조를 통해 당겨지는 경우, 도입기 카테터(924)의 벽은, 비교적 더 얇을 수 있다. 얇은 벽이, 도입기 카테터(924)가 환자의 맥관구조(931)를 통해 당겨질 때, 당기는 인장력이 도입기 카테터(924)의 벽에 인가되기 때문에, 사용될 수 있다. 인장력은, 도입기 카테터의 벽에 대한 신장 효과를 가지며 그리고 도입기 카테터(924)의 벽의 비틀림을 방지한다. 다른 한편으로, 도입기 카테터(924)가 환자의 맥관구조를 통해 밀리는 경우, 압축력이, 도입기 카테터(924)의 벽에 인가된다. 도입기 카테터(924)가 환자의 내강으로부터의 저항 및 밀림을 경험하는 경우, 압축력은 도입기 카테터(924)의 벽의 비틀림을 유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외부 카테터를 환자의 신체 내의 원하는 위치로 전진시키기 위해 이송기 카테터를 미는 것은, 실질적으로 외부 카테터를 원하는 위치로 당기는 것을 야기한다. 일 실시예에서, 도입기 카테터(924)의 벽의 두께는, 이송기 카테터(901)의 벽의 두께보다 작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입기 카테터(924)의 벽은, 이송기 카테터(901)의 벽보다 더 유연하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송기 카테터(901)의 벽은, 이송기 카테터의 벽의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와이어들의 구조물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입기 카테터(924)의 벽은, 와이어들의 구조물을 포함하지 않는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도입기 카테터의 근위 단부 부분에서의 도입기 카테터(924)는, 이송기 카테터의 근위 단부 부분에서의 이송기 카테터(901)보다 더 유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입기 카테터(924)의 벽의 두께는, 0.2mm보다 작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입기 카테터(924)의 벽의 두께는, 0.1mm보다 작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도입기 카테터(924)의 벽의 두께는, 0.5mm보다 작다. 일 실시예에서, 도입기 카테터(924)의 외벽은, 도입기 카테터(924)의 외벽과 도입기 카테터가 전진되고 있는 내강(931)의 내벽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해 친수성 코팅을 구비한다.
도 10a는, 사용자가 핸들(132)을 사용하여 도입기 카테터(124)의 근위 단부에서 방향(133)으로 도입기 카테터를 밀 때, 도입기 카테터에 작용하는 힘들의 개략도이다. 도입기 카테터의 벽에 대한 미는 힘(151)은, 환자의 신체의 맥관구조(131)를 통해 도입기 카테터(124)를 전진시키는 수평 성분(153), 및 맥관구조(131)의 벽에 대해 도입기 카테터(124)의 벽을 누르는 수직 성분(152)을 갖는다. 성분(152)이 맥관구조(131)의 벽을 향해 지향되기 때문에, 성분(152)은, 도입기 카테터가 맥관구조를 통해 전진할 때, 도입기 카테터에 대한 마찰 저항 및 항력을 증가시킨다. 추가적인 마찰 저항으로 인해, 더 큰 미는 힘이 요구되고, 따라서 도입기 카테터가 접히거나 비틀리지 않도록 도입기 카테터에 대한 더 두꺼운 벽이 요구된다. 더 큰 미는 힘은 또한, 더 큰 수직 성분(152)으로 인해 추가적인 마찰 저항을 야기한다. 총 마찰 저항은, 도입기 카테터와 맥관구조 사이의 접촉 면적에 의존하고, 따라서 환자의 신체의 맥관구조 내에 삽입되는 도입기 카테터의 길이에 부분적으로 의존한다. 미는 힘의 증가와 마찰 저항의 합성으로 인해, 도입기 카테터가, 맥관구조 내부로 밀릴 수 있는 길이가 제한될 수 있다.
도 10b는, 사용자가 도입기 카테터를 전진시키기 위해 이송기 카테터를 밀 때 도입기 카테터가 이송기 카테터의 위치고정 풍선에 의해 당겨짐에 따라, 도입기 카테터에 작용하는 힘들의 개략도이다. 사용자가 이송기 카테터(201) 및 그와 함께 그의 위치고정 풍선(209)을 방향(233)으로 밀 때, 위치고정 풍선은, 도입기 카테터(124)의 벽에 당기는 힘(251)을 가한다. 도입기 카테터의 벽에 대한 당기는 힘(251)은, 환자의 신체의 맥관구조(131)를 통해 도입기 카테터(124)를 전진시키는 수평 성분(253), 및 맥관구조(131)의 벽으로부터 멀어지게 도입기 카테터(124)의 벽을 당기는 수직 성분(252)을 갖는다. 성분(252)이 맥관구조의 벽으로부터 멀어지게 지향되기 때문에, 성분(252)은, 도입기 카테터가 맥관구조를 통해 전진할 때, 도입기 카테터에 대한 마찰 저항 및 항력을 감소시킨다. 결과적으로, 카테터 시스템을 맥관구조를 통해 전진시키기 위해, 더 작은 미는 힘이 이송기 카테터에 대해 요구된다. 또한, 도입기 카테터의 벽들이 (근위 단부에서의 미는 힘이 아니라) 원위 단부에서 당기는 힘을 받기 때문에, 도입기 카테터의 벽의 비틀림 가능성이 감소되고, 더 얇은 벽이 도입기 카테터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송기 카테터는, 도입기 카테터가 원하는 위치에 배치된 후에 제거된다. 따라서, 도입기 카테터의 주어진 외경에 대해 그리고 도입기 카테터를 전진시키기 위해 (또는 외피, 안내 카테터, 또는 엄마 카테터와 같은 임의의 다른 외부 카테터를 전진시키기 위해) 이송기 카테터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는, 더 얇은 벽을 갖는 도입기 카테터를 사용할 수 있고, 따라서 그의 내부 내강의 더 큰 직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송기 카테터는, 복강 및 장간막 동맥들을 포함하는 동맥들의 비틀림을 통해 도입기 카테터를 당기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송기 카테터를 포함하는 카테터 시스템은, 뇌 순환에서 혈관 재생뿐만 아니라 혈관 절제를 수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이송기 카테터를 포함하는 카테터 시스템은, CRT-D 디바이스 또는 다른 디바이스들을 이식하면서 중간 관상 정맥을 삽관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송기 카테터를 포함하는 카테터 시스템은, 뇌줄중 관리(stroke management)와 같은 원격 텔레-로봇 절차(remote tele-robotic procedure)에서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송기 카테터를 포함하는 시스템은, 환자의 소화기의 관 내의 내시경 튜브 또는 결장경 검사 튜브의 조종 및 위치설정을 돕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안내 와이어(168) 상에서 전진되는 엄마 카테터(166) 및 내부 지지 카테터(딸 또는 자식 카테터)(165)를 포함하는 다른 실시예(도 11 및 도 12 참조)에서, 내부 지지 카테터(165)는, 이송기 카테터(161)를 내부 지지 카테터(165)의 내강 내부에 배치함으로써 전진되고, 이송기 카테터는, 내부 지지 카테터의 팁으로부터 돌출하는 배향 풍선(167) 및 위치고정을 제공하는 내부 카테터(165)의 내강 내부에 있는 다른 풍선(169)을 갖는다. 내부 카테터(165)를 전진시키기 위해 이러한 다중 풍선 이송기 카테터(161)를 사용하여, 이중 풍선 카테터 복합체는, 협착(162)을 넘어, 반대쪽 동맥 내강을 통해 전진될 수 있다. 내부 지지 카테터가 협착(162)을 넘어 성공적으로 배치된 이후에, 이송기 카테터는, 배향 및 위치고정 풍선들을 수축시킨 후에 인출된다. 그 후에, 스텐트(164)(도 13 참조) 또는 다른 하드웨어가 협착(162)에 먼 쪽에 또는 다른 바람직한 위치에 내부 지지 카테터(165)를 통해 배치될 수 있다. 그 후에, 내부 지지 카테터가 인출되고, 스텐트(164)는 그 후, 통상적으로 관심 부위로 스텐트(164)를 당기고 스텐트(164)(도 13)를 전개함으로써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내부 지지 카테터 외부로부터 내부 지지 카테터 내로의 혈액의 관류를 제공하기 위해, 내부 지지 카테터의 구조 내에 적어도 하나의 구멍이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송기 카테터는, 외부 카테터 내에 삽입되고, 배향 풍선은, 외부 카테터의 팁 밖으로 부분적으로 돌출한 채로 남는다. 이어서, 배향 풍선은, 특정 직경을 달성하기 위해 유체를 사용하여 충분한 압력으로 팽창된다. 일 실시예에서, 팽창된 배향 풍선의 직경은, 외부 카테터 팁의 내경과 적어도 동일하다. 다른 실시예에서, 배향 풍선의 돌출 부분의 직경은, 외부 카테터 팁의 외경과 적어도 동일하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배향 풍선의 돌출 부분의 직경은, 외부 카테터 팁의 외경보다 크다. 안내 와이어는, 팽창 전에, 팽창 동안에, 또는 팽창 후에, 배향 풍선을 통해 배치될 수 있다.
내부 지지 카테터는, 동맥 내강과 내부 지지 카테터의 외부 표면 사이의 마찰을 줄이기 위한 친수성 코팅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 지지 카테터의 벽은, 얇게 만들어질 수 있으며, 따라서 지지 카테터의 내부 내강의 직경은 크고, 내부 지지 카테터의 외부 치수들은, 관상 동맥 또는 다른 관들의 기하 구조를 따른다. 이송기 카테터가 내부 지지 카테터를 전진시키는 데 사용되므로, 내부 지지 카테터는, 종축 방향 힘들을 전달하기 위한 (더 큰 벽 두께와 같은) 그만큼의 구조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이송기 카테터는, 배향 풍선 및 위치고정 풍선 양자 모두로서 기능하는 적어도 하나의 풍선을 갖는다. 이송기 카테터는, 근위 단부 및 원위 단부를 구비하는 샤프트; 샤프트의 원위 단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풍선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풍선(도 14a 내지 도 14d 참조)은, 원위 단부 부분(855) 및 근위 단부 부분(856)을 구비하고, 팽창 시에, 적어도 하나의 풍선의 원위 단부 부분(855)은, 환자의 맥관구조를 통한 이송기 카테터의 매끄러운 이동을 위해 구성되는 표면을 가지며, 그리고, 팽창 시에, 적어도 하나의 풍선의 근위 단부 부분(856)은, 외부 카테터(224)에 이송기 카테터를 위치고정하도록 구성되는 표면을 갖고(도 15 참조); 동작 시에, 이송기 카테터는, 외부 카테터(224)의 내강(226) 내부에 위치되며, 그리고 팽창 시에 적어도 하나의 풍선의 근위 단부 부분(856)은, 외부 카테터의 내강의 내부 표면(856)에 대해 압박하여 이송기 카테터의 원위 단부 근처의 이송기 카테터(859)를 외부 카테터의 원위 단부 근처의 외부 카테터(224)에 위치고정하고(도 15 참조); 그리고 그 후에, 이송기 카테터가 환자의 맥관구조 내의 원하는 위치로 외부 카테터를 전진시키도록 밀리고 및/또는 토크를 받을 때, 이송기 카테터는, 실제로 환자의 맥관구조 내의 원하는 위치로 외부 카테터를 당긴다. 다른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풍선의 원위 단부 부분과 근위 단부 부분 사이의 인터페이스(858)가, 방사선 불투과성 표식을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풍선의 원위 단부 부분은, 매끄러우며 그리고 환자의 신체의 맥관구조를 통한 이송기 카테터의 매끄러운 전진을 돕도록 윤곽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풍선의 원위 단부 부분의 표면은, 마찰 감소 코팅으로 코팅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풍선의 근위 단부 부분은, 외부 카테터의 내강의 내부 표면에 위치고정한 후에, 적어도 하나의 풍선이 환자의 맥관구조 내에서 증가된 저항을 경험할 때, 외부 카테터의 내강 내로의 후방으로의 이송기 카테터의 미끄러짐 또는 밀림을 감소시킨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풍선의 원위 단부 부분의 표면은, 적어도 하나의 풍선이 팽창된 후에 적어도 하나의 풍선을 가로지르는 혈액의 관류를 위한 채널들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도 16 참조)에서, 적어도 하나의 풍선의 원위 단부 부분(860)의 직경은, 팽창 시에 외부 카테터의 외경보다 더 크고, 이에 의해 외부 카테터의 에지의 잠재적인 레이저 효과를 실질적으로 감소시키거나 제거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풍선의 근위 단부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풍선의 근위 단부 부분의 외부 표면과 외부 카테터의 내강의 내부 표면 사이의 마찰 기반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이송기 카테터를 외부 카테터에 위치고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마찰 기반 메커니즘은, 적어도 톱니들(851)(도 14a) 및/또는 상승된 돌출부들(852)(도 14b)을 포함하고, 톱니들 및/또는 상승된 돌출부들은, 나선형(851)(도 14a), 선형(852)(도 14b), 원형(853)(도 14c), 십자형(854)(도 14d) 또는 이들의 조합들을 포함하는 형상들을 갖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마찰 기반 메커니즘은, 외부 카테터의 내강의 내부 표면과 접촉하게 되는 적어도 하나의 풍선의 근위 단부 부분의 외부 표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적어도 외부 층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 층은, 더 높은 마찰 저항을 제공하는 재료들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외부 층은, 에칭된 중합체 재료, 예를 들어 에칭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인터레이싱된 및/또는 편조된 와이어들의 층이, 풍선의 외부 표면 상에 내장될 수 있거나, 또는 와이어들은, 적어도 하나의 풍선의 외부 표면에 접착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송기 카테터는, 적어도 2개의 풍선들(도 17 참조)을 포함한다. 제1 풍선(867)은 이송기 카테터의 원위 단부 근처에 위치되고, 상기 제1 풍선(867)은 이송기 카테터의 배향 및 조종을 용이하게 하는 원위 단부 부분(855) 및 이송기 카테터를 외부 카테터(224)의 내부 표면에 위치고정하는 근위 단부 부분(856)을 갖는다. 제2 풍선(869)은 위치고정 풍선이고, 제1 풍선(867) 근처에 위치된다. 외부 카테터(224)를 전진시키기 위한 방법의 일 실시예에서, 제1 풍선 및 제2 풍선 양자 모두는 개별적으로 그리고 독립적으로 팽창되어 이송기 카테터를 외부 카테터에 위치고정할 수 있다. 다음에, 이송기 카테터는, 환자의 맥관구조 내의 치료의 위치 근처에서 실질적으로 외부 카테터를 전진시키기 위해 밀리고 및/또는 토크를 받는다. 후속하여, 제2 풍선은 수축될 수 있고, 이송기 카테터의 추가의 밀기 및/또는 토크 인가 시에, 제1 풍선은 외부 카테터의 원위 단부를 치료 부위의 개소로 또는 치료 부위 너머로 당긴다. 후속하여, 제1 풍선은 수축될 수 있고, 이송기 카테터는 외부 카테터 내부로부터 외부 카테터 내부로부터 제거될 수 있으며, 이어서 치료 시스템은, 외부 카테터 내부에서 치료 부위의 개소로 또는 치료 부위 너머로 전진될 수 있다. 방법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풍선은 수축될 수 있고, 이송기 카테터는 외부 카테터가 원하는 위치로 전진된 후에 제거될 수 있다.
도 18a는 도 15에 도시된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송기 카테터의 샤프트의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이송기 카테터는 튜브형 중합체 내부 라이너(182), 토크 전달 층(184), 용융 처리 중합체로 구성된 코어(186), 및 열 수축 층(188)으로 구성된다. 내강(191)은 안내 와이어의 통로를 제공하고, 내강(192)은 배향 풍선을 팽창 또는 수축시키는 것을 제공한다. 도 18b는 도 17에 도시된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송기 카테터의 샤프트의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내강(193)은 위치고정 풍선(869)을 팽창 또는 수축시키는 것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이송기 카테터는, 당김-와이어들을 사용하여 조향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에서, 당김-와이어들은, 이송기 카테터의 길이를 따라 종방향으로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평면형 와이어(190)를 포함한다(도 18c 및 18d 참조). 평평한 당김-와이어(190)는, 통상적으로 직사각형 단면을 갖지만, 당김-와이어의 단면은, 완벽하게 직사각형일 필요는 없다. 다른 실시예에서, 당김-와이어의 단면 형상은, 타원형 또는 원형일 수 있다. 이송기 카테터(100)(도 1 참조)는, 이송기 카테터(100)의 샤프트(101)의 당김-와이어 내강을 통하여 연장되며 그리고 샤프트의 원위 단부 부분 내에서 종결되는, 세장형 당김-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당김-와이어는, 손잡이 어셈블리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근위 단부 및 이송기 카테터의 원위 단부 부분에 위치고정되는 원위 단부를 갖는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른 실시예에서, 조향 가능한 이송기 카테터는, 당김-와이어의 원위 단부를 이송기 카테터의 원위 단부 부분에 기계적으로 결합하는 당김-와이어 위치고정 링(pull-wire anchor ring) 또는 조향 링(195)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조향 링(195)은, 위치고정 풍선(109)의 원위 단부(115)에 또는 그 근처에 위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조향 링(195)은, 위치고정 풍선(109)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조향 링(195)은, 배향 풍선(107)의 근위 단부 또는 원위 단부 근처에 위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둘 이상의 조향 링이 존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토크-전달 층(184)은, 내부 라이너(182)와 당김-와이어(19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토크-전달 층은, 당김-와이어(190)와 열 수축 층(188)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열 수축 층은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당김-와이어(190)는, 이송기 카테터 내부에 배치되기 이전에 윤활성 물질들로 덮일 수 있다. 윤활성 물질들은 규소 수지 및 다른 윤활성 물질들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당김-와이어(190)는, 매끄럽고 윤활성의 층으로 코팅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당김-와이어는, 스테인리스 스틸로 제조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둘 이상의 당김-와이어가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2개의 당김 와이어가 사용되고 180도 이격될 수 있다(예를 들어, 도 18d 참조). 일 실시예에서, 당김-와이어들(190)은, 도입기의 원위 단부 근처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고정 링(195)에 연결된다(도 19 참조). 당김-와이어들(190)의 근위 단부들은, 동작 동안 이송기 카테터(100)의 조종을 허용하는 조향 메커니즘(도시되지 않음)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서, 당김-와이어는, 내강을 형성하는 중합체 튜브(196)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내부 라이너(182)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또는 에칭된 PTFE와 같은 중합체 재료이다. 내부 라이너(182)는 또한,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 나일론 및 다른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 다른 용융 처리 중합체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한 엘라스토머가, Pebax(Pebax는 등록 상표이고, Pebax는 Arkema 사에 의해 제조됨)이면, Pebax 30D 내지 Pebax 70D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 다양한 경도계들의 Pebax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샤프트의 코어(186)는, 압출된 Pebax 또는 PTFE 튜브로 이루어진다. 코어(186)의 용융 처리 중합체는, 토크 전달 층 내의 와이어 메시의 복수의 공동을 점유한다. 코어(186)는 또한, 다양한 경도계들의 에칭된 PTFE,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 나일론 및 다른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 다른 용융 처리 중합체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코어(186)는 또한, 예를 들어 용융 처리 중합체의 둘 이상의 튜브를 포함하는 둘 이상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도 19 참조).
일 실시예에서, 이송기 카테터를 사용하는 혈관내 치료를 위한 방법은, (i) 이송기 카테터 및 외부 카테터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조립하는 단계로서, 이송기 카테터는, 적어도 제1 벽을 구비하는 샤프트, 근위 단부, 원위 단부, 및 안내 와이어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내부 채널을 포함하고, 외부 카테터는, 제2 벽을 구비하는 실질적으로 원통형 내강, 근위 단부 및 원위 단부를 포함하며, 이송기 카테터는 외부 카테터의 내강 내에서 연장되고, 이송기 카테터의 원위 단부는 외부 카테터의 원위 단부와 실질적으로 정렬되며, 위치고정 메커니즘이 이송기 카테터 및/또는 외부 카테터와 작동 가능하게 결합하여 변위되고, 따라서 위치고정 메커니즘은 이송기 카테터의 적어도 원위 단부 부분을 외부 카테터의 적어도 원위 단부 부분에 위치고정하며, 위치고정 메커니즘은 외부 카테터에 대한 이송기 카테터의 위치고정 또는 위치고정의 제거를 위해 제어 가능하게 작동되는 것인, 조립하는 단계; (ii) 이송기 카테터의 내부 채널을 따라 안내 와이어를 연장하는 단계로서, 안내 와이어의 근위 단부는 이송기 카테터의 근위 단부를 지나 연장되고, 안내 와이어의 원위 단부는 이송기 카테터의 원위 단부를 지나 연장되는 것인, 연장하는 단계; (iii) 치료 부위에 있는 관심 관 내의 원하는 위치를 향해 안내 와이어의 원위 단부를 전진시키는 단계; (iv) 외부 카테터의 적어도 원위 단부 부분을 이송기 카테터의 적어도 원위 단부 부분에 위치고정하도록 상기 위치고정 메커니즘을 제어하는 단계; (v) 시스템이 치료 부위와 정렬되거나 치료 부위를 지나갈 때까지 적어도 이송기 카테터를 안내 와이어를 따라 치료 부위를 향해 밀도록 및/또는 토크를 가하도록 함으로써 시스템을 전진시키는 단계; (vi) 이송기 카테터와 외부 카테터 사이의 앵커 홀드를 제거하도록 위치고정 메커니즘을 작동시키는 단계; (vii) 외부 카테터 내부로부터 이송기 카테터를 제거하는 단계; 및 (viii) 치료 부위의 개소로 또는 치료 부위 너머로 외부 카테터 내의 치료 시스템을 전진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이송기 카테터(100)는, 압출 프로세스를 통해 제조된다. 압출 프로세스들이 이 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것을 고려하여, 일반 프로세스는 본 명세서에서 상세히 설명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압출 프로세스는, 용융될 때까지 중합체를 가열함으로써 시작된다. 이어서, 용융된 중합체는, 압력 하에서 압출 팁 및 다이를 통해 압박된다. 용융된 중합체는, 압출 팁 및 다이를 빠져나감에 따라 냉각된다. 통상적인 냉각 방법은 수조를 사용한다. 냉각 단계는, 원하는 치수들로 디바이스를 고화시킨다.
샤프트(101) 및 내강들(104, 105, 106)은, 임의의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카테터 재료들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재료들은, 폴리에틸렌, 폴리아미드 및 우레탄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폴리올레핀; 폴리아미드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PTFE(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을 포함하는 불소계 중합체; PEEK(폴리에테르 에테르 케톤); 폴리이미드; 올레핀 엘라스토머(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엘라스토머 및 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 폴리아미드 엘라스토머, 스티렌 엘라스토머(예를 들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공중합체, 스티렌-에틸렌 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합성 수지 엘라스토머; 폴리우레탄, 우레탄계 엘라스토머, 및 불소계 엘라스토머; 우레탄 고무, 규소 수지 고무, 및 부타디엔 고무를 포함하는 합성 고무를 사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할 수 있다. 선택되는 재료는, 카테터의 최종 용도, 접근될 관의 크기, 및/또는 카테터 시스템의 삽입 및 전진 동안 돕기 위해 탐침 또는 탐침들이 사용될 것인지 여부에 의존할 것이다. 원하는 최종 용도는, 사용될 재료(들)의 강성, 유연성, 강도 및/또는 미끄러짐의 정도를 결정할 것이다. 배향 풍선(107) 및 위치고정 풍선(109)은, 임의의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풍선 재료들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재료는 라텍스, 규소 수지, 에틸비닐아세테이트, 및 우레탄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위에 개시된 그리고 다른 특징들 및 기능들, 또는 이들의 대안예들 또는 변형예들 중 여러 개가, 많은 다른 상이한 시스템들 또는 적용들로 바람직하게 조합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또한, 이들의 다양한 대안예들, 파생예들, 수정예들, 변경예들 또는 개선예들이, 이 분야의 기술자들에 의해 후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들은 또한 후속하는 청구항들에 포함되도록 의도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상기 설명에서, 설명의 목적들을 위해, 특정 요건들 및 특정 상세들이 실시예들의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포함되었다. 그러나, 하나 이상의 다른 실시예들이 요건들 또는 상세들 중 일부 없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이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분명할 것이다. 설명된 특정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제공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하기 위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위에 제공된 특정 예들에 의해 결정되지 않아야 한다. 다른 예들에서, 공지된 구조들, 디바이스들, 및 동작들은 설명의 이해를 모호하게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블록도 형태로 또는 상세 없이 도시되었다. 적절한 경우에, 참조 번호들 또는 참조 번호들의 끝 부분들은 선택적으로 유사한 특성들을 가질 수 있는 대응하는 또는 유사한 요소들을 표시하기 위해 도면들 사이에 반복되었다.
"일 실시예", "실시예",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 또는 "상이한 실시예들"에 대한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참조는, 예를 들어, 특정한 특징이 발명의 실시에 포함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는 것이 또한 인식되어야 한다. 유사하게, 개시를 간소화하고 다양한 발명적 양태들의 이해를 도울 목적으로, 설명에서는 다양한 특징들이 단일 실시예, 도면, 또는 그 설명에서 때때로 함께 그룹화된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개시의 방법은 발명이 각각의 청구항에서 명시적으로 기재되는 것보다 많은 특징들을 요구한다는 의도를 반영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오히려, 다음의 청구항들이 나타내듯이, 발명의 양태들은 단일의 개시된 실시예의 모든 특징보다 적은 특징에 있을 수 있다. 다른 상황에서, 발명의 양태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조합, 또는 실시예들의 조합에서 설명된 모든 양태들보다 더 적은 양태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Claims (15)

  1. 외부 카테터의 내강 내에 위치되도록 구성되는 이송기 카테터로서,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를 구비하는 샤프트, 적어도 하나의 배향 풍선 및 적어도 하나의 위치고정 풍선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향 풍선은, 상기 샤프트의 상기 원위 단부에 인접하게 상기 샤프트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향 풍선은, 환자의 맥관구조의 내부 표면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리도록 구성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치고정 풍선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향 풍선과 상기 샤프트의 상기 근위 단부 사이에서 상기 샤프트 상에 위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치고정 풍선은, 상기 외부 카테터의 상기 내강의 내부 표면에 대해 압박으로써, 상기 이송기 카테터를 상기 외부 카테터에 슬라이딩 불가능하게 위치고정하도록 구성되며; 그리고
    상기 샤프트는, 상기 환자의 맥관구조를 통해 상기 외부 카테터를 전진시키고 조종하기 위해 밀리도록 그리고 토크를 받도록 구성되는 것인, 이송기 카테터.
  2. 제1항에 있어서,
    안내 와이어를 더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샤프트는, 상기 안내 와이어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내부 채널을 구비하는 것인, 이송기 카테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향 풍선은, 근위 단부 부분 및 원위 단부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향 풍선의 상기 원위 단부 부분은, 상기 외부 카테터의 원위 단부 외부에 위치되며,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향 풍선의 상기 근위 단부 부분은, 상기 외부 카테터의 원위 단부 내부에 위치되는 것인, 이송기 카테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향 풍선은, 근위 단부 부분 및 원위 단부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향 풍선의 상기 원위 단부 부분은, 상기 환자의 맥관구조를 통한 상기 외부 카테터의 매끄러운 전진을 돕도록 윤곽형성되는 것인, 이송기 카테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향 풍선은, 근위 단부 부분 및 원위 단부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향 풍선의 적어도 상기 원위 단부 부분의 표면이, 마찰 감소 코팅으로 코팅되는 것인, 이송기 카테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향 풍선은, 근위 단부 부분 및 원위 단부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향 풍선의 상기 원위 단부 부분의 직경이, 상기 외부 카테터의 외경과 거의 동일하거나 또는 그보다 큰 것인, 이송기 카테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기 카테터는, 상기 이송기 카테터의 길이를 따라 종방향으로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당김-와이어를 사용하여 조향 가능한 것인, 이송기 카테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당김-와이어의 원위 단부를 상기 이송기 카테터의 원위 단부 부분에 기계적으로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향 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조향 링은, 상기 샤프트 상의 개소에 배치되고, 상기 개소는, (a) 상기 위치고정 풍선의 상기 원위 단부 또는 그 근처, (b) 상기 위치고정 풍선 아래, (c) 상기 배향 풍선의 상기 근위 단부 근처, 및 (d) 상기 배향 풍선의 상기 원위 단부 근처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이송기 카테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 탐침을 더 포함하는 것인, 이송기 카테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나선형 코일 및/또는 플렛 매트릭스(plait-matrix)를 포함하는 토크 전달 층을 포함하는 것인, 이송기 카테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다양한 강성도들을 갖는 복수의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의 상기 근위 단부에서의 상기 다양한 강성도들 중의 강성도는, 상기 샤프트의 상기 원위 단부에서의 상기 다양한 강성도들 중의 강성도보다 큰 것인, 이송기 카테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적어도 내부 층 및 외부 층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 층은, 편조-와이어 어셈블리(braided-wire assembly)를 포함하고, 상기 편조-와이어 어셈블리는, 복수의 평면형 와이어들, 원형 와이어들, 또는 이들의 조합들을 편조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인, 이송기 카테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치고정 풍선은, 마찰 저항을 제공하여 미끄럼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되는 코팅 및/또는 재료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치고정 풍선의 외부 표면과 상기 외부 카테터의 상기 내강의 상기 내부 표면 사이의 마찰 기반 메커니즘을 사용하는 것인, 이송기 카테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가늘어지며, 그리고 상기 샤프트의 상기 근위 단부는, 상기 샤프트의 상기 원위 단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것인, 이송기 카테터.
  15.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방사선-불투과성 표식(marker)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사선-불투과성 표식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향 풍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치고정 풍선, 상기 샤프트의 길이, 상기 샤프트의 상기 원위 단부, 상기 배향 풍선의 전방-단부 부분에 근접한 영역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개소에서 상기 이송기 카테터 상에 배치되는 것인, 이송기 카테터.
KR1020227007141A 2019-08-14 2020-04-26 내강을 통해 카테터들 또는 다른 의료 디바이스들을 전진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2200475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886349P 2019-08-14 2019-08-14
US62/886,349 2019-08-14
US16/701,966 US10773058B1 (en) 2019-08-14 2019-12-03 Apparatus and method for advancing catheters or other medical devices through a lumen
US16/701,966 2019-12-03
US16/721,909 US10773059B1 (en) 2019-08-14 2019-12-19 Apparatus and method for advancing catheters or other medical devices through a lumen
US16/721,909 2019-12-19
PCT/US2020/029999 WO2021029920A1 (en) 2019-08-14 2020-04-26 Apparatus and method for advancing catheters or other medical devices through a lum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7586A true KR20220047586A (ko) 2022-04-18

Family

ID=72140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7141A KR20220047586A (ko) 2019-08-14 2020-04-26 내강을 통해 카테터들 또는 다른 의료 디바이스들을 전진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3) US10773059B1 (ko)
EP (1) EP3777947B1 (ko)
JP (1) JP2022545632A (ko)
KR (1) KR20220047586A (ko)
CN (1) CN114514006A (ko)
CA (1) CA3147609A1 (ko)
WO (1) WO2021029920A1 (ko)

Family Cites Families (10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2961Y2 (ko) 1978-04-12 1986-04-22
US4425919A (en) 1981-07-27 1984-01-17 Raychem Corporation Torque transmitting catheter apparatus
US4757827A (en) 1987-02-17 1988-07-19 Versaflex Delivery Systems Inc. Steerable guidewire with deflectable tip
US5891088A (en) 1990-02-02 1999-04-06 Ep Technologies, Inc. Catheter steering assembly providing asymmetric left and right curve configurations
JPH03264041A (ja) 1990-03-14 1991-11-25 Machida Endscope Co Ltd 湾曲操作装置
JPH06502331A (ja) * 1990-10-29 1994-03-17 サイメッド・ライフ・システム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血管形成術ガイドカテーテル用のガイドカテーテル装置
US5271415A (en) 1992-01-28 1993-12-21 Baxter International Inc. Guidewire extension system
US5364351A (en) 1992-11-13 1994-11-15 Ep Technologies, Inc. Catheter steering mechanism
US5441483A (en) 1992-11-16 1995-08-15 Avitall; Boaz Catheter deflection control
US5472017A (en) 1992-11-17 1995-12-05 Life Medical Technologies, Inc. Deflectable catheter
US5395329A (en) 1994-01-19 1995-03-07 Daig Corporation Control handle for steerable catheter
WO1995029729A1 (en) 1994-04-29 1995-11-09 Boston Scientific Corporation Novel micro occlusion balloon catheter
US8025661B2 (en) * 1994-09-09 2011-09-27 Cardiofocus, Inc. Coaxial catheter instruments for ablation with radiant energy
US5665062A (en) 1995-01-23 1997-09-09 Houser; Russell A. Atherectomy catheter and RF cutting method
ATE189964T1 (de) 1995-04-28 2000-03-15 Target Therapeutics Inc Hochleistungskatheter mit geflochtenem element
US5906606A (en) 1995-12-04 1999-05-25 Target Therapuetics, Inc. Braided body balloon catheter
US20020026145A1 (en) * 1997-03-06 2002-02-28 Bagaoisan Celso J. Method and apparatus for emboli containment
US5827278A (en) 1997-05-20 1998-10-27 Cordis Webster, Inc. Deflectable tip electrode catheter with nylon stiffener and compression coil
DE19726093A1 (de) 1997-06-19 1998-12-24 Lascor Gmbh Flexibler Führungskatheter
US6869431B2 (en) * 1997-07-08 2005-03-22 Atrionix, Inc. Medical device with sensor cooperating with expandable member
US6179809B1 (en) 1997-09-24 2001-01-30 Eclipse Surgical Technologies, Inc. Drug delivery catheter with tip alignment
DE69941894D1 (de) 1998-02-10 2010-02-25 Artemis Medical Inc Okklusions-, verankerungs-, span- oder stromsteuergerät
US6692485B1 (en) 1998-02-24 2004-02-17 Endovia Medical, Inc. Articulated apparatus for telemanipulator system
JP2000033122A (ja) 1998-07-17 2000-02-02 Hitachi Cable Ltd 内層ptfe複合カテーテルチューブ及びその製造方法
US6027462A (en) 1998-07-30 2000-02-22 Medtronic,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flecting a screw-in-lead
US6544215B1 (en) 1998-10-02 2003-04-08 Scimed Life Systems, Inc. Steerable device for introducing diagnostic and therapeutic apparatus into the body
US6146338A (en) 1999-04-23 2000-11-14 Medtronic, Inc. Apparatus for deflecting a catheter or lead
WO2000067834A1 (en) 1999-05-11 2000-11-16 Zynergy Cardiovascular, Inc. Steerable catheter
DE19933278C2 (de) 1999-07-14 2001-11-29 Biotronik Mess & Therapieg Steuerbarer Katheter
US6190333B1 (en) 1999-10-15 2001-02-20 Mark Ii Research And Development Corp. Threader device for threading a guidewire into a catheter
US6450948B1 (en) 1999-11-02 2002-09-17 Vista Medical Technologies, Inc. Deflecting tip for surgical cannula
US6394976B1 (en) 2000-01-31 2002-05-28 Intraluminal Therapeutics, Inc. Catheter for controlling the advancement of a guide wire
US6582536B2 (en) 2000-04-24 2003-06-24 Biotran Corporation Inc. Process for producing steerable sheath catheters
US6530897B2 (en) 2000-04-28 2003-03-11 Mahase Nardeo Steerable medical catheter with bendable encapsulated metal spring tip fused to polymeric shaft
AU7347101A (en) * 2000-07-13 2002-01-30 Transurgical Inc Thermal treatment methods and apparatus with focused energy application
US6607496B1 (en) 2000-09-12 2003-08-19 Medtronic, Inc. Steerable stylet with enhanced torsional transfer strength
US6979343B2 (en) 2001-02-14 2005-12-27 Ev3 Inc. Rolled tip recovery catheter
US7422579B2 (en) * 2001-05-01 2008-09-09 St. Jude Medical Cardiology Divison, Inc. Emboli protection devices and related methods of use
US7674245B2 (en) 2001-06-07 2010-03-09 Cardiac Pacemaker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n adjustable shape guide catheter
US6962598B2 (en) 2001-07-02 2005-11-08 Rubicon Medical, Inc.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providing embolic protection
US7594926B2 (en) 2001-11-09 2009-09-29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delivering stents
DE60224817T2 (de) 2001-11-09 2009-02-19 Rubicon Medical, Inc., Sandy Stent-ablagevorrichtung mit embolieschutz
US9320503B2 (en) 2001-11-28 2016-04-26 Medtronic Vascular, Inc. Devices, system, and methods for guiding an operative tool into an interior body region
US6706018B2 (en) 2001-12-04 2004-03-16 Cardiac Pacemakers, Inc. Adjustable length catheter assembly
US20040073158A1 (en) 2001-12-12 2004-04-15 Medtronic, Inc. Guide catheter
US8721713B2 (en) 2002-04-23 2014-05-13 Medtronic, Inc. System for implanting a replacement valve
US7819866B2 (en) 2003-01-21 2010-10-26 St. Jude Medical, Atrial Fibrillation Division, Inc. Ablation catheter and electrode
GB0307350D0 (en) 2003-03-29 2003-05-07 Smiths Group Plc Catheters
ATE438434T1 (de) 2003-04-14 2009-08-15 Cook Inc Ablagekatheter/schleuse mit grossem durchmesser
US20040243095A1 (en) * 2003-05-27 2004-12-02 Shekhar Nimkar Methods and apparatus for inserting multi-lumen spit-tip catheters into a blood vessel
JP2004357805A (ja) 2003-06-02 2004-12-24 Terumo Corp カテーテル組立体
US7766868B2 (en) 2003-09-05 2010-08-03 Medtronic, Inc. Deflectable medical therapy delivery device having common lumen profile
US7736362B2 (en) * 2003-09-15 2010-06-15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Catheter balloons
US8414524B2 (en) 2003-10-01 2013-04-09 Micrus Endovascular Corporation Long nose manipulatable catheter
US7077823B2 (en) 2003-11-19 2006-07-18 Biosense Webster, Inc. Bidirectional steerable catheter with slidable mated puller wires
US7377906B2 (en) 2004-06-15 2008-05-27 Biosense Webster, Inc. Steering mechanism for bi-directional catheter
DE602005012302D1 (de) 2004-09-30 2009-02-26 Wilson Cook Medical Inc Steuerbarer Führungsdraht vom Schlaufentyp
US8617152B2 (en) 2004-11-15 2013-12-31 Medtronic Ablation Frontiers Llc Ablation system with feedback
US7691095B2 (en) 2004-12-28 2010-04-06 St. Jude Medical, Atrial Fibrillation Division, Inc. Bi-directional steerable catheter control handle
ATE452676T1 (de) 2005-04-07 2010-01-15 Creganna Technologies Ltd Lenkbare katheteranordnung
US7553305B2 (en) 2005-06-09 2009-06-30 Enpath Medical, Inc. Push-pull wire anchor
US7780723B2 (en) 2005-06-13 2010-08-24 Edwards Lifesciences Corporation Heart valve delivery system
WO2007053777A2 (en) * 2005-11-05 2007-05-10 Crossman Arthur W Expandable component guide wire system and related method of using the same
US7740609B2 (en) * 2006-03-03 2010-06-22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Balloon catheter
US8048032B2 (en) 2006-05-03 2011-11-01 Vascular Solutions, Inc. Coaxial guide catheter for interventional cardiology procedures
US20080091169A1 (en) 2006-05-16 2008-04-17 Wayne Heideman Steerable catheter using flat pull wires and having torque transfer layer made of braided flat wires
US20070270679A1 (en) 2006-05-17 2007-11-22 Duy Nguyen Deflectable variable radius catheters
US10478251B2 (en) * 2006-12-19 2019-11-19 Srgi Holdings Llc Steerable and controllable medical laser fibers
WO2008091652A2 (en) 2007-01-24 2008-07-31 Acclarent, Inc.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treatment and/or diagnosis of disorder of the ear, nose and throat
JP2010524631A (ja) 2007-04-23 2010-07-22 インターヴェンショナル アンド サージカル イノヴェイションズ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剛性が調節可能なガイドワイヤ
US7914515B2 (en) 2007-07-18 2011-03-29 St. Jude Medical, Atrial Fibrillation Division, Inc. Catheter and introducer catheter having torque transfer layer and method of manufacture
US20090062602A1 (en) 2007-07-30 2009-03-05 Hansen Medical, Inc. Apparatus for robotic instrument having variable flexibility and torque transmission
US8431057B2 (en) 2007-12-30 2013-04-30 St. Jude Medical, Atrial Fibrillation Division, Inc. Catheter shaft and method of its manufacture
US8858528B2 (en) 2008-04-23 2014-10-14 Ncontact Surgical, Inc. Articulating cannula access device
US8313493B2 (en) 2008-07-10 2012-11-20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Hydraulic guidewire advancement system
EP2349086B1 (en) 2008-10-16 2017-03-22 Medtronic Vascular, Inc. Devices and systems for endovascular staple and/or prosthesis delivery and implantation
CN102510763A (zh) 2010-01-14 2012-06-20 株式会社戈德曼 导管组装体
US20110301502A1 (en) 2010-02-12 2011-12-08 Sukhjit Gill In-vessel positioning device
US20120053419A1 (en) 2010-08-24 2012-03-01 Eliot Bloom Highly Articulable Catheter
WO2012106351A1 (en) 2011-01-31 2012-08-09 St. Jude Medical, Inc. Tool for the adjustment of a prosthetic anatomical device
KR101396017B1 (ko) * 2011-08-22 2014-05-2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풍선 카테터
EP2572749B1 (en) 2011-09-23 2022-04-27 Covidien LP Distal access balloon guide catheter
US8747428B2 (en) 2012-01-12 2014-06-10 Fischell Innovations, Llc Carotid sheath with entry and tracking rapid exchange dilators and method of use
AU2013215036B2 (en) 2012-01-31 2015-11-12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Guide extension catheter
US10004877B2 (en) 2012-05-07 2018-06-26 St. Jude Medical, Atrial Fibrillation Division, Inc. Deflectable catheter shaft section, catheter incorporating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8684963B2 (en) 2012-07-05 2014-04-01 Abbott Cardiovascular Systems Inc. Catheter with a dual lumen monolithic shaft
US9445828B2 (en) * 2012-07-05 2016-09-20 Cognition Medical Corp.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postconditioning with clot removal
JP6525873B2 (ja) 2012-08-23 2019-06-05 ボルケーノ コーポレイション 解剖学的な損傷長さの見積もりのための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EP2926857B1 (en) 2012-11-30 2020-04-29 Terumo Kabushiki Kaisha Catheter
CN104981266B (zh) 2013-02-07 2018-04-03 泰尔茂临床器械商贸株式会社 球囊导管
WO2014152191A1 (en) 2013-03-15 2014-09-25 Qxmedical, Llc Boosting catheter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US9668741B2 (en) * 2013-08-14 2017-06-06 Zoll Circulation, Inc. Aortic occluder with tensioned balloons
US9820761B2 (en) 2014-03-21 2017-11-21 Route 92 Medical, Inc. Rapid aspiration thrombectomy system and method
US10668254B2 (en) * 2014-08-25 2020-06-02 Radius Medical LLC Stabilizing and sealing catheter for use with a guiding catheter
US10524809B2 (en) 2015-02-26 2020-01-07 Surmodics, Inc. Insertable medical device system with plaque treatment portion and methods of using
WO2016191415A1 (en) 2015-05-26 2016-12-01 Vascular Solutions, Inc. Guidewire fixation
US10182841B1 (en) 2015-06-16 2019-01-22 C.R. Bard, Inc. Medical balloon with enhanced focused force control
US20170028170A1 (en) 2015-07-28 2017-02-02 Andrew Ho, M.D., Inc. Guide catheter extension device and methods of use for cardiology procedures
DE102017118468B4 (de) 2017-08-14 2019-03-21 Konstantinos Meletiadis Kathetersystem zur Durchführung einer Intervention im Gefäßsystem des menschlichen oder tierischen Körpers
US11491313B2 (en) 2018-02-20 2022-11-08 Crossliner, Inc. Guide catheter extension system with a delivery micro-catheter configured to facilitate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US20190255299A1 (en) 2018-02-20 2019-08-22 Crossliner, Llc Intravascular delivery system and method for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545632A (ja) 2022-10-28
US10821273B1 (en) 2020-11-03
EP3777947C0 (en) 2023-07-12
CA3147609A1 (en) 2021-02-18
US10751517B1 (en) 2020-08-25
EP3777947B1 (en) 2023-07-12
WO2021029920A1 (en) 2021-02-18
US10773059B1 (en) 2020-09-15
CN114514006A (zh) 2022-05-17
EP3777947A1 (en) 2021-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91813B2 (en) Long nose manipulatable catheter
US8414524B2 (en) Long nose manipulatable catheter
US9174032B2 (en) Subintimal reentry system
US8267886B2 (en) Catheter having a core wire and a low profile bond
EP2213325A1 (en) Catheter
WO2008006111A2 (en) Single lumen support catheter for rapid exchange and over the wire use
US1099410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dvancing catheters or other medical devices through a lumen
US20240173520A1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delivering catheters or other medical devices to locations within a patient's body
WO202204665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dvancing catheters or other medical devices through a lumen
EP3777947B1 (en) Apparatus for advancing catheters through a lumen
US1082126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dvancing catheters or other medical devices through a lumen
US2021022062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dvancing catheters or other medical devices through a lumen
US20230119571A1 (en) Guide support for delivering a medical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