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6285A - 모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모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6285A
KR20220046285A KR1020200129510A KR20200129510A KR20220046285A KR 20220046285 A KR20220046285 A KR 20220046285A KR 1020200129510 A KR1020200129510 A KR 1020200129510A KR 20200129510 A KR20200129510 A KR 20200129510A KR 20220046285 A KR20220046285 A KR 202200462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oke
insulator
tooth
teeth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9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주항
하현호
김용대
홍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29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6285A/ko
Priority to US17/406,691 priority patent/US11728706B2/en
Priority to TW110130662A priority patent/TWI797721B/zh
Priority to AU2021240321A priority patent/AU2021240321B2/en
Publication of KR20220046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6285A/ko
Priority to US18/342,351 priority patent/US20230344297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32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 H02K3/3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between conductors or between conductor and core, e.g. slot insulation
    • H02K3/345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between conductors or between conductor and core, e.g. slot insulation between conductor and core, e.g. slot insul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1/00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 H02K21/12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 H02K21/14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with magnets rotating within the armatures
    • H02K21/16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with magnets rotating within the armatures having annular armature cores with salient po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4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for insulating the magnetic circuit or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4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 H02K1/146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consisting of a generally annular yoke with salient po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4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 H02K1/146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consisting of a generally annular yoke with salient poles
    • H02K1/148Sectional co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27Rotor cores with permanent magn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3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ontrol circuits or drive circuits
    • H02K11/33Drive circuits, e.g. power electronic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0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shape, form or construction, e.g. with bar conductors
    • H02K3/2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shape, form or construction, e.g. with bar conductors with channels or ducts for cooling medium between the conduc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32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 H02K3/3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between conductors or between conductor and core, e.g. slot insul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2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 H02K3/521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applicable to stators only
    • H02K3/522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applicable to stators only for generally annular cores with salient po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3Couplings; Details of shaf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4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loads, e.g. with hand-held machine tools or f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9/00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 H02K9/02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 H02K9/04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having means for generating a flow of cooling medium
    • H02K9/06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having means for generating a flow of cooling medium with fans or impellers driven by the machine shaf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3/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the windings
    • H02K2203/12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bobbins for supporting the win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11/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measuring or protective devices or electric components
    • H02K2211/03Machines characterised by circuit boards, e.g. pcb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13/00Specific asp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nd not covered by codes H02K2201/00 - H02K2211/00
    • H02K2213/03Machines characterised by numerical values, ranges, mathematical expressions or similar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Insulation, Fastening Of Motor, Generator Windings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스테이터; 및 상기 스테이터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로터;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터는, 스테이터코어; 상기 스테이터코어에 권선되는 스테이터코일; 및 상기 스테이터코어와 상기 스테이터코일 사이에 개재되는 인슐레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스테이터코어는, 링 형상의 요크; 및 상기 요크의 내면에 방사상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티스;를 구비하고, 상기 인슐레이터는, 절연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요크에 결합되는 요크인슐레이터; 및 상기 복수의 티스에 각각 결합되는 티스인슐레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요크인슐레이터 및 상기 티스인슐레이터 사이의 제1결합공차는 상기 요크 및 상기 복수의 티스 사이의 제2결합공차에 비해 작게 형성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에 의해, 요크 및 티스의 직접 접촉이 억제되어 상기 요크 및 티스의 결합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Description

모터 조립체{ELECTRIC MOTORY ASSEMBLY}
본 발명은, 모터 조립체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모터(전동기)는, 전기적 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모터는, 스테이터 및 상기 스테이터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로터를 구비한다.
상기 스테이터는, 스테이터코어 및 상기 스테이터코어에 권선되는 스테이터코일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테이터는, 상기 스테이터코어 및 상기 스테이터코일의 절연을 위한 인슐레이터를 구비한다.
이러한 모터 조립체 중 손으로 들고 사용하는 소위 핸드헬드 장치, 예를 들면, 헤어드라이어 또는 청소기에 적용되는 모터는 크기 및 무게를 줄이는게 요구된다.
상기 핸드헬드장치의 모터는 임펠러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핸드헬드장치의 모터 조립체는 사용 편의를 고려하여 크기 및 무게를 줄여 제작되므로 동일한 풍량 및/또는 풍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모터 조립체의 고속 운전이 요구된다.
또한, 상기 핸드헬드장치의 모터 조립체는 고속 운전 시 진동 증가 및 진동증가에 기인한 소음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요구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모터 조립체에 있어서는, 상기 모터 조립체의 크기를 줄일 경우, 상기 스테이터코어의 티스 사이의 간격이 작아져 상기 스테이터코일의 권선이 곤란하게 되므로, 상기 모터 조립체의 크기를 줄이는 데 한계가 있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고려하여, 일부에서는 상기 스테이터코어를 요크부 및 티스부로 분할하여 제작되는 분할코어로 구성하고, 상기 티스부에 상기 스테이터코일을 권선한 후 상기 티스부를 상기 요크부에 결합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분할코어를 구비한 모터 조립체에 있어서는, 상기 티스부의 권선 작업 후 결합 시 동심도 유지가 곤란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티스부의 동심도 불균일에 기인한 상기 티스부와 상기 로터 간 전자기력 불평형으로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티스부의 권선 작업 후 결합 시 상기 요크부 및 티스부의 접촉 영역의 폭이 상기 티스부의 길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상기 티스부에 횡방향 외력이 작용할 경우 상기 티스부의 횡방향 변위가 쉽게 발생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티스부의 횡방향 변위에 기인하여 상기 티스부의 진동 및 소음 발생이 증가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외관 크기를 줄일 수 있고, 스테이터코일의 권선 작업이 용이하게 될 수 있는 모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티스의 동심도 불균일에 기인한 전자기력 불평형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모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요크 및 티스의 결합이 용이하게 될 수 있는 모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티스의 횡방향 변위 발생에 기인한 진동 및 소음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모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의 해결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터 조립체는, 스테이터코어는, 링 형상의 요크 및 상기 요크에 반경방향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티스를 구비하고, 인슐레이터는 상기 요크를 절연하는 요크인슐레이터 및 상기 복수의 티스를 절연하는 티스인슐레이터를 구비하되, 상기 티스인슐레이터의 둘레에 스테이터코일이 각각 권선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스테이터의 외관 크기를 줄일 수 있고 스테이터코일의 권선 작업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요크인슐레이터 및 상기 티스인슐레이터 사이의 제1결합공자가 상기 요크 및 복수의 티스 사이의 제2결합공차보다 작게 구성된다.
이에 의해, 상기 복수의 티스가 상기 요크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모터 조립체는, 스테이터; 및 상기 스테이터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로터;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터는, 스테이터코어; 상기 스테이터코어에 권선되는 스테이터코일; 및 상기 스테이터코어와 상기 스테이터코일 사이에 개재되는 인슐레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스테이터코어는, 링 형상의 요크; 및 상기 요크의 내면에 방사상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티스;를 구비하고, 상기 인슐레이터는, 절연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요크에 결합되는 요크인슐레이터; 및 상기 복수의 티스에 각각 결합되는 티스인슐레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요크인슐레이터 및 상기 티스인슐레이터 사이의 제1결합공차는 상기 요크 및 상기 복수의 티스 사이의 제2결합공차에 비해 작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티스는 3개로 구현된다.
상기 스테이터코어는 3개의 티스 및 3개의 슬롯이 서로 교호적으로 배치되게 구성된다.
상기 스테이터코일은 상기 복수의 티스의 둘레에 집중적으로 권선되는 집중권 방식으로 구성된다.
상기 스테이터코일은 상기 3개의 티스의 둘레에 각각 권선되는 3개의 코일부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테이터코일은 상기 3개의 코일부가 3상 교류 전원의 각 상(U상, V상, W상)에 각각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티스의 일 측 단부에는 내측으로 경사지게 삽입단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요크에는 상기 복수의 티스의 삽입단부가 각각 축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게 삽입단부수용부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삽입단부는 더브테일 형상을 이루며, 상기 삽입단부수용부는 더브테일그루브 형상으로 구현된다.
이에 의해, 상기 복수의 티스가 상기 요크의 반경방향을 따라 분리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티스가 반경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당겨지는 것이 억제됨으로써, 상기 복수의 티스의 내측 단부의 동심도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복수의 티스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로터와 상기 티스의 사이의 공극(air gap)이 균일하게 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티스와 상기 로터 사이의 전자기력의 불평형 발생이 억제되고, 전자기력 불평형에 기인한 소음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요크에는 내면으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상기 복수의 티스의 양 측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결합돌기;가 형성된다.
이에 의해, 상기 요크 및 복수의 티스의 결합력이 제공되어 상기 요크의 외경이 축소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삽입단부수용부는 양 측벽면이 상기 결합돌기의 내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단부수용부와 상기 요크의 외면 사이의 두께는 상기 요크의 두께에 비해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요크의 외경이 더욱 축소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결합돌기는 반경방향을 따라 일 측에 상기 티스인슐레이터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티스인슐레이터결합구간;을 각각 구비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티스인슐레이터결합구간은 내각이 둔각을 이루게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의 상기 티스인슐레이터결합구간은 상기 요크의 중심을 향해 외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고, 그 내각은 둔각을 이루게 구성된다.
상기 결합돌기의 티스인슐레이터결합구간과 상기 요크인슐레이터의 내면(요크내면절연부)의 단부의 내각은 둔각을 이룬다.
상기 요크내면절연부는 상기 결합돌기측 측면부 및 내면의 각은 둔각을 이룬다.
상기 그르부의 내면과 상기 결합돌기의 티스인슐레이터결합부간의 내각은 둔각을 이룬다.
상기 티스인슐레이터는 상기 티스인슐레이터결합구간 및 상기 요크인슐레이터의 내면에 동시에 결합되어 상기 복수의 티스부의 조립을 안내하는 조립가이드가 구비된다.
이에 의해, 상기 복수의 티스의 둘레에 상기 코일부가 각각 권선된 후 상기 복수의 티스를 상기 요크에 결합할 때, 상기 조립가이드에 의해 해당 티스가 안내됨으로써, 상기 티스의 삽입단부 및 상기 요크의 삽입단부수용부의 직접 접촉이 억제될 수 있다.
즉, 상기 조립가이드(티스인슐레이터) 및 상기 요크인슐레이터 사이의 제1결합공차는 상기 요크 및 티스 사이의 제2결합공차에 비해 작게 형성되므로, 상기 조립가이드(티스인슐레이터) 및 상기 요크인슐레이터의 슬라이딩 접촉 시 상기 요크 및 티스의 직접 접촉이 억제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복수의 티스와 상기 요크의 결합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립가이드는 상기 티스에 비해 양 측(원주방향)으로 각각 확장되고 상기 요크인슐레이터의 내면에 밀착되어 상기 티스에 작용하는 횡방향 외력에 대항하여 상기 티스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티스의 횡방향 변위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립가이드는 상기 요크인슐레이터의 내면(후술할 요크내면절연부)과 밀착됨으로써 상기 요크절연부의 내면이 상기 요크의 내면으로부터 분리(들뜸)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돌기 및 상기 요크인슐레이터의 내면과 동시에 접촉되는 상기 조립가이드의 접촉면은 서로 둔각을 이루게 배치되는 복수의 선형구간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결합돌기는 상기 복수의 티스의 측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티스결합구간;을 더 구비한다.
상기 티스결합구간은 상기 티스인슐레이터결합구간의 일 측면의 연장선상에 배치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각 티스의 삽입단부 및 삽입단부수용부의 내면의 상호 접촉영역에 더하여 상기 티스의 측면 일부와 상기 결합돌기의 티스결합구간이 추가로 접촉됨으로써, 상기 티스의 횡방향 외력 작용 시 상기 티스의 횡방향 변위 발생이 더욱 억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요크인슐레이터는, 축방향을 따라 상기 요크의 양 단부를 차단하게 결합되는 요크단부절연부; 및 상기 요크의 내면을 차단하게 결합되는 요크내면절연부;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요크인슐레이터는, 상기 요크단부절연부 및 상기 요크내면절연부를 구비하는 제1요크인슐레이터; 및 상기 요크단부절연부를 구비하고 축방향을 따라 상기 제1요크인슐레이터에 결합되는 제2요크인슐레이터;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요크의 외면은 외부에 노출되게 구성됨으로써, 상기 인슐레이터에 투입되는 재료 투입 비용이 저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슐레이터에 기인한 상기 스테이터의 무게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돌기의 외면에 상기 요크내면절연부가 접촉되게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돌기의 외면과 상기 요크의 내면은 둔각을 이루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요크의 원주방향을 따른 상기 요크내면절연부의 측면부 및 상기 요크절연부의 내면부는 내각이 둔각을 이루게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티스인슐레이터의 조립가이드의 외면은 서로 둔각을 이루게 배치되는 복수의 선형구간을 구비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요크 및 상기 티스의 결합 시 상기 조립가이드에 의해 상기 요크내면절연부가 상기 요크의 내면에 밀착되어 상기 요크로부터 분리(들뜸)가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요크내면절연부는 축방향을 따라 상기 요크의 일 측에서 삽입되고 타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요크인슐레이터는 상기 요크내면절연부의 돌출단부가 내측에 삽입 결합될 수 있게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요크인슐레이터 및 상기 제2요크인슐레이터는 일체로 고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요크인슐레이터 및 상기 제2요크인슐레이터는 서로 접착결합(본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요크인슐레이터 및 상기 제2요크인슐레이터는 축방향을 따라 상호 맞물림 결합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요크인슐레이터 및 상기 제2요크인슐레이터의 상호 접촉면 중 어느 하나에는 후크가 형성되고, 상기 제1요크인슐레이터 및 상기 제2요크인슐레이터의 상호 접촉면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후크가 수용되는 후크수용부가 구비된다.
상기 제1요크인슐레이터 및 상기 제2요크인슐레이터의 상호 접촉영역에는 상기 제1요크인슐레이터 및 상기 제2요크인슐레이터가 미리 설정된 위치에 각각 결합될 수 있게 위치고정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제1요크인슐레이터 및 상기 제2요크인슐레이터가 미리 설정된 위치(상대 위치)에 정확하게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제1요크인슐레이터 및 상기 제2요크인슐레이터의 상호 접촉영역중 어느 하나에 돌출되는 돌출부; 및 상기 제1요크인슐레이터 및 상기 제2요크인슐레이터의 상호 접촉영역중 다른 하나에 상기 돌출부가 수용결합되는 수용홈;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용홈은 축방향을 따라 함몰되게 구성된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2요크인슐레이터의 반경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수용홈은 상기 제1요크인슐레이터의 단부에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홈은 축방향을 따라 일 측이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요크인슐레이터 및 상기 티스인슐레이터의 상호 접촉영역에는 상기 요크인슐레이터 및 상기 티스인슐레이터가 미리 설정된 위치에 결합되는 수 있게 위치고정부;가 구비된다.
이에 의해, 상기 요크인슐레이터 및 상기 티스인슐레이터가 원주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위치에 정확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요크인슐레이터 및 상기 티스인슐레이터의 상호 접촉면 중 어느 하나로부터 돌출되는 위치고정돌기; 및 상기 요크인슐레이터 및 상기 티스인슐레이터의 상호 접촉면 중 다른 하나에 상기 위치고정돌기를 수용할 수 있게 형성되는 위치고정돌기수용부;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티스인슐레이터는, 상기 복수의 티스를 사이에 두고 축방향을 따라 서로 결합되는 제1티스인슐레이터; 및 제2티스인슐레이터;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티스인슐레이터 및 상기 제2티스인슐레이터는 일 측이 개구된 "U"단면 형상을 각각 구비한다.
상기 티스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티스인슐레이터 및 제2티스인슐레이터가 상하측에서 서로 대면 결합되는 경우, 상기 티스의 상면 및 양 측면 일부(상부)는 상기 제1인슐레이터에 의해 절연되고, 상기 티스의 저면 및 양 측면 나머지(하부)는 상기 제2인슐레이터에 의해 절연된다.
이에 의해, 상기 티스의 전 둘레면(4면, 상면, 양 측면 및 저면)이 모두 절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티스인슐레이터에는 상기 복수의 코일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이 연결될 수 있게 전원선연결부;가 구비된다.
상기 복수의 코일부(U상 코일부, V상 코일부, W상 코일부)는 해당 티스의 둘레에 집중적으로 권선되므로 상기 복수의 코일부 각각은 2개의 단부를 각각 구비한다.
상기 복수의 코일부의 양 단부 중 일 단부는 전원선으로 지칭되고, 다른 단부는 서로 다른 코일부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중성선으로 지칭될 수 있다.
상기 각 전원선연결부에는 상기 코일부의 일 단부(전원선)가 연결되고, 상기 전원선연결부에는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피씨비(PCB)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기 전도체로 형성되는 피씨비연결단자가 각각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요크인슐레이터에는 상기 복수의 코일부의 각 단부를 동시에 연결하는 중성선연결부;가 구비된다.
상기 중성선연결부에는 상기 복수의 코일부의 각 일 단부(중성선)가 각각 연결된다. 상기 중성선연결부에는 상기 복수의 코일부의 중성선을 동시에 연결할 수 있게 전기 전도체로 형성되는 중성선연결도체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요크 및 상기 요크인슐레이터는 제3결합공차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티스 및 티스인슐레이터는 제3결합공차를 구비하되,
상기 제3결합공차는 상기 제1결합공차보다 크고 상기 제2결합공차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모터 조립체는 내부에 상기 임펠러 및 상기 스테이터가 수용되는 하우징을 더 구비한다.
이에 의해, 상기 임펠러의 회전 시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상기 하우징의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어 유동된다.
여기서, 공기의 이동방향을 따라 상기 임펠러는 상기 스테이터의 하류측에 배치된다.
즉 상기 스테이터는 상기 임펠러의 상류측에 배치되므로 상대적으로 낮은 상기 하우징의 외부의 공기가 상기 스테이터를 먼저 경유하게 되므로 상기 스테이터의 냉각이 촉진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는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스테이터 및 로터는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를 유지하게 되므로 전기 저항이 낮아 운전 효율이 제고될 수 있다.
상기 모터 조립체는, 베어링을 구비하고, 공기의 이동방향을 따라 상기 하우징의 상류측에 결합되어 상기 로터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브래킷;을 더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모터 조립체는, 공기의 이동방향을 따라 상기 하우징의 상류측에 구비되고 상기 스테이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피씨비;를 더 구비한다.
이에 의해,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상기 하우징의 외부의 공기에 의해 상기 피씨비가 효과적으로 냉각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테이터코어는 링 형상의 요크 및 상기 요크의 내면에 방사상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티스를 구비하고, 인슐레이터는 상기 요크인슐레이터 및 티스인슐레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티스인슐레이터의 둘레에 스테이터코일이 권선된 후 상기 티스가 상기 요크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스테이터코어의 외관(외경) 크기를 줄일 수 있고, 상기 스테이터코일의 권선 작업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또한, 티스의 단부에 내측으로 경사진 삽입단부가 형성되고, 요크의 내면에 상기 삽입단부가 축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게 삽입단부수용부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티스의 단부의 동심도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스테이터의 티스와 로터 사이의 공극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고, 전자기력의 불평형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요크의 내면으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 돌출되고 티스의 양 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결합돌기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요크의 외관(외경)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돌기는 요크인슐레이터가 결합되는 요크인슐레이터결합구간 및 티스인슐레이터가 결합되는 티스인슐레이터결합구간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티스 및 요크의 결합력이 제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티스인슐레이터에는 상기 티스인슐레이터결합구간 및 요크인슐레이터의 내면에 동시에 결합되어 상기 티스의 조립을 안내하는 조립가이드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티스 및 요크의 결합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요크인슐레이터는, 상기 요크단부절연부 및 상기 요크내면절연부를 구비하는 제1요크인슐레이터; 및 상기 요크단부절연부를 구비하고 축방향을 따라 상기 제1요크인슐레이터에 결합되는 제2요크인슐레이터;를 구비함으로써, 요크의 외면이 노출되므로 그만큼 요크인슐레이터의 재료 투입 비용이 저감될 수 있고, 상기 요크인슐레이터의 무게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티스인슐레이터는, 상기 복수의 티스를 사이에 두고 축방향을 따라 서로 결합되는 제1티스인슐레이터; 및 제2티스인슐레이터;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티스의 둘레면(4면)이 절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티스인슐레이터에는 상기 복수의 코일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이 연결될 수 있게 전원선연결부;가 구비됨으로써, 전원선의 결선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요크인슐레이터에는 상기 복수의 코일부의 각 일단부(중성선)를 동시에 연결하는 중성선연결부;가 구비됨으로써, 중성선의 연결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조립체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모터 조립체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요크, 요크인슐레이터 및 티스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3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1의 스테이터의 요크 및 티스 영역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요크의 평면도,
도 7은 도 5의 티스의 평면도,
도 8은 도 3의 티스 및 티스인슐레이터의 분리사시도,
도 9는 도 3의 요크인슐레이터 및 티스인슐레이터의 결합전 부분 확대사시도,
도 10은 도 9의 티스인슐레이터의 부분확대사시도,
도 11은 도 5의 요크 및 티스의 결합영역의 부분확대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결합돌기, 조립가이드 및 요크내면절연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도 4의 제1요크인슐레이터의 돌출단부를 확대도시한 도면,
도 14는 도 13의 후크영역의 단면도,
도 15는 도 2의 요크 및 제1요크인슐레이터의 분리사시도,
도 16은 도 15의 요크 및 티스를 결합전 사시도,
도 17은 도 16의 제1요크인슐레이터 및 제2요크인슐레이터의 결합 전 사시도,
도 18은 도 17의 제1요크인슐레이터 및 제2요크인슐레이터의 결합 후 사시도,
도 19는 도 18의 코일부의 결선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0은 도 19의 스테이터 및 하우징의 결합 전 사시도,
도 21은 도 20의 스테이터의 삽입 후 하우징의 저부 사시도,
도 22는 도 21의 하우징, 브래킷 및 피씨비의 결합전 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터 조립체의 제1요크인슐레이터 및 제2요크인슐레이터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터 조립체의 제1요크인슐레이터 및 제2요크인슐레이터의 결합전 사시도,
도 2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터 조립체의 제1요크인슐레이터 및 제2요크인슐레이터의 결합전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조립체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모터 조립체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모터 조립체는, 임펠러(130), 스테이터(210) 및 로터(420)를 구비한다.
상기 임펠러(130)는, 예를 들면, 공기를 축방향으로 흡입하여 축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토출할 수 있는 사류형 임펠러(1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임펠러(130)는, 허브(131) 및 상기 허브(131)의 둘레에 배치되는 복수의 블레이드(133)를 구비한다. 상기 허브(131)의 중앙에는 후술할 회전축(430)이 삽입될 수 있게 회전축공(132)이 관통 형성된다.
축방향을 따라 상기 임펠러(130)의 일 측(도면상 하측)에는 상기 임펠러(130)를 회전 구동시키는 임펠러구동부(200)가 구비된다.
상기 임펠러(130)는, 예를 들면, 회전 시 도면의 하측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도면의 상측으로 토출될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임펠러(130)에 의해 이동되는 공기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스테이터(210)는 상기 임펠러(130)의 상류측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공기가 상기 스테이터(210)와 먼저 접촉되므로 상기 스테이터(210)의 냉각이 촉진될 수 있다.
상기 임펠러(130)에 의해 이동되는 공기의 이동방향을 따라 상기 임펠러(130)는 상기 스테이터(210)의 하류측에 배치된다.
상기 임펠러구동부(200)는, 예를 들면, 스테이터(210) 및 상기 스테이터(2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로터(420)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의 임펠러구동부(200)는, 예를 들면, 핸드헬드 장치(진공청소기, 헤어드라이어)에 구비될 수 있게 외관 크기가 매우 작은 초소형 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210)는, 예를 들면, 스테이터코어(220), 상기 스테이터코어(220)에 권선되는 스테이터코일(290) 및 상기 스테이터코어(220)와 상기 스테이터코일(290)의 절연을 위해 상기 스테이터(210) 및 상기 스테이터코일(290) 사이에 개재되는 인슐레이터(30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스테이터(210)는, 예를 들면, 상대적으로 작은 외관 크기(외경)(예를 들면, 수십(30-50) mm 정도)를 구비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로터(420)는, 예를 들면, 회전축(430) 및 상기 회전축(430)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영구자석(440)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로터(420)의 외경(영구자석(440))은, 예를 들면, 10mm 내외(8-12 mm)로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구비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영구자석(440)의 일 측 (도면상 하측)에는 엔드링(442)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영구자석(440)의 일 측에 상기 엔드링(442)이 구비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일 뿐이고, 상기 영구자석(440)의 양 측에 엔드링이 구비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임펠러(130) 및 상기 스테이터(210)의 외측에는 하우징(110)이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110)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대략 원통 형상을 구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110)은 중앙의 직경이 양 측에 비해 감소된 형상을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 일 측(도면상 하측)에는 상기 스테이터(210)가 수용되는 스테이터수용부(112)가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10)에는 내외가 연통되게 관통공(119)이 구비된다.
이에 의해, 상기 하우징(110)(스테이터수용부(112))의 측면을 통해 공기가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 다른 일 측(도면상 상측)에는 상기 임펠러(130)가 수용되는 임펠러수용부(114)가 형성된다.
상기 임펠러수용부(114)의 일 측(도면상 상측)은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원통 형상의 가이드베인수용부(118)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베인수용부(118)의 내부에는 후술할 가이드베인(150)이 수용 결합된다.
상기 하우징(110)의 중앙영역은, 예를 들면, 상기 스테이터수용부(112)로부터 상기 임펠러수용부(114)로 공기가 흡입될 수 있게 상기 스테이터수용부(112)와 연통되는 연통부(116)가 형성된다.
상기 연통부(116)는 상기 스테이터수용부(112) 및 상기 임펠러수용부(114)에 비해 작은 직경을 구비한다.
상기 회전축(430)은 복수의 베어링(450)에 의해 양 측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베어링(450)은, 예를 들면, 볼 베어링으로 각각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볼 베어링은, 주지된 바와 같이, 외륜(451), 상기 외륜(451)과 동심적으로 배치되는 내륜(452) 및 상기 외륜(451)과 내륜(452)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볼(453)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베어링(450)은, 예를 들면, 베어링홀더(455)의 내부에 각각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홀더(455)는 원통 형상을 구비한다. 상기 베어링홀더(455)의 내경은 상기 베어링(450)의 외경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상기 베어링홀더(455)의 외면에는 실링부재(45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홀더(455)의 외면에 구비되는 실링부재(457)는, 예를 들면, 오링(O Ring)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임펠러(130)의 회전 시 이동되는 공기의 이동방향을 따라 상기 스테이터(210)의 상류측에는 브래킷(48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브래킷(480)은, 예를 들면, 상기 복수의 베어링(450) 중 하나를 수용하여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브래킷(480)은, 예를 들면, 상기 베어링(450)을 수용하는 베어링수용부(482) 및 상기 베어링수용부(482)의 외면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스포크부(484)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브래킷(480)은 상기 복수의 스포크부(484)의 둘레에 배치되는 림부(486)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복수의 스포크부(484) 및 베어링수용부(482)의 지지강도가 증대될 수 있다.
상기 림부(486)의 내면에는 상기 복수의 스포크부(484)가 각각 연결된다.
상기 복수의 스포크부(484) 사이에는 상기 임펠러(130)의 회전 시 이동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관통부(485)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임펠러(130)에 의해 이동되는 공기의 이동방향을 따라 상기 하우징(110)의 상류측에는 상기 스테이터코일(290)에 연결되는 피씨비(PCB:Printed Circuit Board)(490)가 구비된다.
상기 피씨비(490)는, 예를 들면, 원반 형상의 기판(491)을 구비한다. 상기 기판(491)에는, 예를 들면, 상기 스테이터코일(290)에 3상 교류 전원을 제공할 수 있게 전기회로(예를 들면, 인버터 회로)가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기판(491)에는 상기 전기회로를 구성하는 복수의 회로부품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피씨비(490)는 축방향을 따라 상기 브래킷(480)의 일 측(도면상 하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피씨비(490)에는 상기 브래킷(480) 및 상기 하우징(110)에 결합되는 고정부재(122)가 삽입되는 고정부재삽입공(492)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피씨비(490)에는 상기 스테이터코일(290)과 연결되는 복수의 피씨비연결단자(377)가 삽입될 수 있게 피씨비연결단자삽입부(493)가 구비된다.
한편, 공기의 이동방향을 따라 상기 임펠러(130)의 하류측(도면상 상측)에는 상기 임펠러(130)를 경유한 공기를 안내하는 가이드베인(150)이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베인(150)은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베인(150)은, 예를 들면, 축방향을 따라 결합되는 제1가이드베인(151) 및 제2가이드베인(15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축방향을 따라 상기 제1가이드베인(151)의 일 측(도면상 하측)에 상기 임펠러(130)가 배치될 수 있다.
축방향을 따라 상기 제1가이드베인(151)의 타 측(도면상 상측)에 상기 제2가이드베인(152)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베인(150)에는 상기 베어링(450) 중 다른 하나를 수용지지할 수 있게 베어링수용부(155)가 구비된다.
상기 베어링수용부(155)는, 예를 들면, 상기 제1가이드베인(151)에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요크, 요크인슐레이터 및 티스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1의 스테이터의 요크 및 티스 영역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테이터(210)는, 스테이터코어(220), 상기 스테이터코어(220)에 권선되는 스테이터코일(290) 및 상기 스테이터코일(290)의 절연을 위해 상기 스테이터코어(220) 및 상기 스테이터코일(290) 사이에 개재되는 인슐레이터(300)를 구비한다.
상기 스테이터코어(220)는, 예를 들면, 링 형상의 요크(230) 및 상기 요크(230)의 내면에 상사상으로 배치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의 티스(250)를 구비한다.
상기 요크(230)는, 예를 들면, 링 형상을 가지는 복수의 전기강판(232)을 절연 적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요크(230)에는 상기 복수의 티스(250)의 단부가 결합될 수 있게 복수의 삽입단부수용부(235)가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삽입단부수용부(235)는 상기 요크(230)의 내면에서 반경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함몰되게 각각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티스(250)는, 예를 들면, 3개로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티스(250)는, 상기 요크(230)의 원주방향을 따라 120도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티스(250) 사이에는 복수의 슬롯(270)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티스(250) 및 복수의 슬롯(270)은 각각 3개씩 형성되며, 상기 스테이터코어(220)의 원주방향을 따라 티스(250) 및 슬롯(270)이 서로 교호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티스(250)는, 예를 들면, 복수의 전기강판(252)을 절연 적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코일(290)은, 예를 들면, 상기 복수의 티스(250)의 둘레에 권선되는 복수의 코일부(291)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복수의 코일부(291)는 상기 3상 교류 전원의 각 상(U상, V상, W상)에 대응되는 전류 인가 시 전자기력을 발생시킬 수 있게 구성된다.
한편, 상기 인슐레이터(300)는, 주지된 바와 같이, 전기 절연 부재로 형성된다.
상기 인슐레이터(300)는, 예를 들면, 상기 요크(230)에 결합되는 요크인슐레이터(301) 및 상기 복수의 티스(250)에 결합되는 티스인슐레이터(351)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요크인슐레이터(301)는, 예를 들면, 축방향을 따라 상기 요크(230)의 양 단부면을 차단(절연)하는 요크단부절연부(312,342) 및 상기 요크(230)의 내면을 차단(절연)하는 요크내면절연부(314)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요크인슐레이터(301)는, 예를 들면, 상기 요크단부절연부(312) 및 상기 요크내면절연부(314)를 구비하는 제1요크인슐레이터(310) 및 상기 요크단부절연부(342)를 구비하여 상기 제1요크인슐레이터(310)에 결합되는 제2요크인슐레이터(340)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요크인슐레이터(310)는 축방향을 따라 상기 요크(230)의 일 단부(도면상 하단부)를 차단하게 배치된다.
상기 요크내면절연부(314)는 상기 요크(230)의 내면을 차단할 수 있게 상기 요크(230)의 내측에 배치된다.
상기 요크내면절연부(314)는, 예를 들면, 상기 요크단부절연부(312, 342)의 내면으로부터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기 요크내면절연부(314)의 외경은 상기 요크(230)의 내경보다 작게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요크내면절연부(314)는 상기 티스(250)와 티스(250) 사이에 배치되게 구성된다. 상기 요크내면절연부(314)는 상기 슬롯(270)이 형성되는 상기 요크(230)의 내면을 차단하게 배치된다.
상기 요크내면절연부(314)는 축방향을 따라 상기 요크(230)의 일 측(도면상 하측)에서 타 측(도면상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요크내면절연부(314)는 축방향을 따라 상기 요크(230)의 일 단부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요크(230)의 타 단부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단부(315)를 구비한다. 상기 돌출단부(315)는 축방향을 따라 상기 요크내면절연부(314)의 전체 길이 중 상기 요크(230)의 단부보다 축방향으로 더 돌출되는 부분을 지칭한다.
상기 제2요크인슐레이터(340)는 상기 요크(230)의 단부면을 차단할 수 있게 링 형상으로 구현된다.
상기 제1요크인슐레이터(310) 및 상기 제2요크인슐레이터(340)는 축방향으로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축방향을 따라 상기 요크(230)의 일 측에서 상기 제1요크인슐레이터(310)가 결합되고, 상기 요크(230)의 타 측으로 돌출된 돌출단부(315)가 반경방향을 따라 상기 제2요크인슐레이터(340)의 내측에 삽입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티스인슐레이터(351)는 축방향을 따라 서로 결합되는 제1티스인슐레이터(360) 및 제2티스인슐레이터(380)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티스인슐레이터(360) 및 상기 제2티스인슐레이터(380)는 상기 티스(250)를 사이에 두고 상호 결합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티스(250)에는 상기 요크(230)에 결합되는 삽입단부(255)가 구비된다.
상기 복수의 티스(250)는, 예를 들면, 티스바디(253) 및 상기 티스바디(253)의 일 단부에 형성되는 삽입단부(255)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삽입단부(255)는 상기 제1티스인슐레이터(360) 및 상기 제2티스인슐레이터(380)의 외부로 노출되게 구성된다.
상기 티스인슐레이터(351)의 둘레에는 상기 스테이터코일(290)이 각각 권선된다.
상기 스테이터코일(290)은 상기 티스(250)의 둘레에 집중적으로 권선되는 복수의 코일부(291)를 구비한다.
상기 복수의 코일부(291)는 상기 티스바디(253)의 외측에 각각 권선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코일부(291)는 3개로 구현된다.
상기 복수의 코일부(291)는 3상 교류 전원의 각 상(U상, V상, W상)에 각각 연결될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티스인슐레이터(351)에는 상기 복수의 코일부(291)의 일 단부(전원선(293))가 연결될 수 있게 복수의 전원선연결부(37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전원선연결부(375)는 3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전원선연결부(375)에는 축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부(376)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전원선(293)은 상기 절개부(376)의 내부에 삽입된다.
상기 각 전원선연결부(375)에는 상기 피씨비(49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피씨비연결단자(377)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각 피씨비연결단자(377)는 전기 전도체로 각각 형성된다. 상기 피씨비연결단자(377)는 상기 전원선연결부(375)의 내부에 삽입되는 바디(377a)를 구비한다. 상기 바디(377a)의 일 측에는 상기 피씨비(490)에 연결되는 연결편(377b)이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기 피씨비연결단자(377)의 바디(377a)의 일 측에는 상기 전원선(293)이 삽입될 수 있게 절개된 슬릿(377c)이 구비된다.
상기 요크인슐레이터(301)에는 상기 복수의 코일부(291)의 각 타 단부(중성선(294))가 연결되는 중성선연결부(3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성선연결부(320)는 상기 제1요크인슐레이터(310)의 요크단부절연부(312)로부터 축방향으로 돌출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요크인슐레이터(310)에는 상기 티스인슐레이터(351)에 결합되는 후술할 위치고정돌기(327)가 구비된다.
상기 제1요크인슐레이터(310)에는 상기 스테이터코일(290)의 단부(중성선(294))를 지지하는 결선후크(325)가 구비된다.
상기 제1요크인슐레이터(310) 및 상기 제2요크인슐레이터(340)에는 서로 미리 설정된 위치에 결합될 수 있게 맞물림부(330)가 구비된다.
상기 요크인슐레이터(301)의 맞물림부(330)는, 상기 제1요크인슐레이터(310) 및 상기 제2요크인슐레이터(340)의 상호 접촉영역에 형성되는 돌출부(345) 및 상기 돌출부(345)가 수용되는 수용홈(317)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345)는, 예를 들면, 상기 제2요크인슐레이터(34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345)는 상기 제2요크인슐레이터(340)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홈(317)은, 예를 들면, 상기 제1요크인슐레이터(310)의 요크내면절연부(314)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홈(317)은, 예를 들면, 상기 요크내면절연부(314)의 돌출단부(315)에 축방향을 따라 개방되게 절취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요크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티스의 평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요크(230)에는 복수의 삽입단부수용부(235)가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삽입단부수용부(235)는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삽입단부수용부(235)는 상기 요크(230)의 반경방향을 따라 상기 요크(230)의 내면으로부터 외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상기 삽입단부수용부(235)는, 예를 들면, 더브테일그루브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삽입단부수용부(235)는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양 측면부(236)를 구비한다.
상기 삽입단부수용부(235)는 상기 양 측면부(236)를 선형으로 연결하는 함몰저부(237)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함몰저부(237)는 상기 양 측면부(236)를 직선형으로 연결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함몰저부(237)는 직선형상으로 구현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일 뿐이고, 원호 형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요크(230)에는 내면으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상기 복수의 티스(250)의 양 측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결합돌기(240)가 구비된다.
이에 의해, 상기 복수의 티스(250)에 횡방향(원주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할 경우 상기 결합돌기(240)에 의해 상기 티스(250)가 각각 지지됨으로써, 상기 티스(250)의 횡방향 변위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요크(230)의 반경방향 두께를 줄일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스테이터코어(220)(요크(230))의 외경의 크기가 축소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결합돌기(240)는 상기 삽입단부수용부(235)의 양 측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결합돌기(240)의 일 측은 상기 삽입단부수용부(235)의 양 측면부(236)를 각각 형성한다.
반경방향을 따라 일 측에 상기 티스인슐레이터(351)가 축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티스인슐레이터결합구간(240a)을 구비한다.
상기 결합돌기(240)의 티스인슐레이터결합구간(240a)은 상기 요크(230)의 중심을 향해 돌출된 형상을 구비한다.
상기 티스인슐레이터결합구간(240a)은 내각(θ1)이 둔각을 이루게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240)와 상기 요크(230)의 내면의 내각(θ2)은 둔각을 이루게 구성된다.
상기 복수의 결합돌기(240)는 상기 복수의 티스(250)의 측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티스결합구간(240b)을 구비한다.
상기 티스결합구간(240b)은 상기 티스인슐레이터결합구간(240a)의 일측 선분(내측 구간)과 동일 선상에 배치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티스(250)의 내측 단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티스바디(253)의 양 측으로 각각 연장된 슈(258)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복수의 티스(250)의 내측 단부는 미리 설정된 공극(air gap)을 두고 상기 로터(420)가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로터수용공(259)을 형성한다.
상기 복수의 티스(250)의 외측 단부에는 상기 요크(230)의 삽입단부수용부(235)에 삽입되는 상기 삽입단부(255)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삽입단부(255)는, 예를 들면, 더브테일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삽입단부(255)는, 예를 들면,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양 측면부를 각각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복수의 티스(250)는 상기 요크(230)의 삽입단부수용부(235)에 결합 시, 반경방향에 대해 각각 경사지게 형성된 양 측면부가 상기 삽입단부수용부(235)의 양 측면부(236)에 각각 면접촉됨으로써, 상기 복수의 티스(250)가 반경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복수의 티스(250)의 내측 단부의 동심도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티스(250)에는 상기 복수의 결합돌기(240)와 각각 접촉되는 결합돌기접촉부(257)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접촉부(257)는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복수의 티스(250)와 상기 요크(230)의 결합 시, 상기 복수의 티스(250)에 횡방향 외력이 작용할 경우, 상기 결합돌기접촉부(257)에 의해 상기 복수의 티스(250)의 횡방향 변위 발생이 더욱 억제될 수 있다.
도 8은 도 3의 티스 및 티스인슐레이터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티스인슐레이터(351)는 상기 티스(25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면 결합되는 제1티스인슐레이터(360) 및 제2티스인슐레이터(380)를 각각 구비한다.
상기 제1티스인슐레이터(360) 및 제2티스인슐레이터(380)는, 예를 들면, 상기 티스(250)의 적층방향을 따라 결합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티스인슐레이터(360)는, 상기 티스(250)의 단부면 및 양 측면 일 부를 차단하는 티스절연부(361)를 구비한다.
상기 제1티스인슐레이터(360)의 티스절연부(361)는 축방향을 따라 상기 티스(250)의 일 측 단부면(도면상 하단부면) 및 양 측면 일부를 차단하게 "U"단면 형상을 구비한다.
상기 제1티스인슐레이터(360)의 티스절연부(361)는 상기 티스(250)의 슈(258) 및 삽입단부(255)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는 길이(반경방향 길이)를 구비하게 구성된다.
상기 제1티스인슐레이터(360)는 상기 티스(250)의 슈(258)의 일 측에 배치되어 둘레에 권선되는 코일을 안내하는 내측가이드(363)를 구비한다.
상기 제1티스인슐레이터(360)의 내측가이드(363)는 상기 티스(250)의 외면으로부터 외측으로 확장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1티스인슐레이터(360)에는 상기 티스(250)의 삽입단부(255)의 일 측에 배치되어 코일을 가이드하는 외측가이드(365)가 구비된다.
상기 외측가이드(365)의 외면에는 상기 조립가이드(370)가 구비된다.
상기 제1티스인슐레이터(360)는 상기 티스(250)의 삽입단부(255)의 일 측 단부를 차단하는 삽입단부절연부(367)가 구비된다.
상기 제1티스인슐레이터(360)에는 상기 티스절연부(361)의 둘레에 권선되는 코일부(291)의 일 단부(전원선(293))가 연결될 수 있게 전원선연결부(375)가 구비된다.
상기 전원선연결부(375)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구비되게 형성된다.
상기 전원선연결부(375)의 일 측에는 상기 코일부(291)의 일 단부(전원선(293))가 삽입될 수 있게 절개된 절개부(376)가 구비된다.
상기 전원선연결부(375)의 내부에는 상기 피씨비연결단자(377)가 수용결합된다.
상기 제2티스인슐레이터(380)는, 축방향을 따라 상기 티스(250)의 일 단부(도면상 상단부) 및 양 측면 일부를 차단하는 티스절연부(381)가 형성된다.
상기 제2티스인슐레이터(380)의 티스절연부(381)는 상기 티스(250)의 슈(258) 및 삽입단부(255)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제2티스인슐레이터(380)는 상기 티스절연부(381)의 둘레에 권선되는 코일부(291)를 안내하는 내측가이드(383)를 구비한다.
상기 제2티스인슐레이터(380)의 내측가이드(383)는 상기 티스절연부(381)의 둘레면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각각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2티스인슐레이터(380)는 상기 티스절연부(381)의 둘레에 권선되는 코일부(291)를 안내하는 외측가이드(385)를 구비한다. 상기 외측가이드(385)의 외측면에는 상기 결합돌기(240), 상기 요크내면절연부(314)의 측면부(3142) 및 내면(3141)에 슬라이딩 접촉되는 조립가이드(390)가 구비된다. 상기 제2티스인슐레이터(380)의 조립가이드(390)는 상기 제1티스인슐레이터(360)의 조립가이드(370)와 동일한 구조를 구비하게 구성된다. 상기 조립가이드(390)는 상기 제1티스인슐레이터(360)의 조립가이드(370)의 제1구간(371) 내지 제4구간(374)로부터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구간 내지 제4구간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티스인슐레이터(380)는 축방향을 따라 상기 티스(250)의 삽입단부(255)를 차단하게 배치되는 삽입단부절연부(387)를 구비한다.
상기 제1티스인슐레이터(360) 및 제2티스인슐레이터(380)는 일 부 구간이 서로 중첩되게 결합될 수 있게 구성된다.
이에 의해, 상기 스테이터코일(290) 및 티스(250)의 연면거리가 증대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티스인슐레이터(360) 및 제2티스인슐레이터(380)는 축방향을 따라 결합시 상기 티스절연부(381), 내측가이드(383) 및 외측가이드(385)가 각각 중첩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티스인슐레이터(360) 및 제2티스인슐레이터(380)는 두께방향을 따라 일 영역이 미리 설정된 길이로 각각 절취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티스인슐레이터(360)는 상기 티스절연부(361), 내측가이드(363) 및 외측가이드(365)의 외면이 두께가 축소되게 절취된 제1절취부(379)가 형성된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2티스인슐레이터(380)는 상기 티스절연부(381), 내측가이드(383) 및 외측가이드(385)의 내면이 두께가 축소되게 절취된 제2절취부(395)가 형성된다.
상기 제1티스인슐레이터(360) 및 상기 제2티스인슐레이터(380)의 결합 시 상기 제1절취부(379)는 상기 제2절취부(395)의 내측에 각각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티스인슐레이터(360)의 외면이 두께방향으로 절취된 제1절취부(379)가 형성되고, 제2티스인슐레이터(380)의 내면이 두께방향으로 절취된 제2절취부(395)가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일 뿐이고, 그 반대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9는 도 3의 요크인슐레이터 및 티스인슐레이터의 결합전 부분 확대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티스인슐레이터의 부분확대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상기 요크인슐레이터(301)는 축방향을 따라 상기 요크(230)의 상단부 및 하단부를 차단하게 결합되고, 상기 티스인슐레이터(351)는 상기 티스(250)의 삽입단부(255)가 상기 요크(230)의 삽입단부수용부(235)의 내부에 축방향을 따라 삽입된다. 이때, 상기 티스인슐레이터(351) 중 일부는 상기 요크인슐레이터(301)와 상호 접촉된다.
상기 요크인슐레이터(301) 및 상기 티스인슐레이터(351)의 상호 접촉영역에는 상기 요크인슐레이터(301) 및 티스인슐레이터(351)가 미리 설정된 위치에 결합될 수 있게 위치고정부(326)가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위치고정부(326)는, 예를 들면, 상기 요크인슐레이터(301) 및 상기 티스인슐레이터(351)의 상호 접촉면 중 어느 하나로부터 돌출되는 위치고정돌기(327) 및 상기 요크인슐레이터(301) 및 상기 티스인슐레이터(351)의 상호 접촉면 중 다른 하나에 상기 위치고정돌기(327)를 수용할 수 있게 형성되는 위치고정돌기수용부(378)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위치고정돌기(327)는 상기 요크인슐레이터(301)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위치고정돌기(327)는, 예를 들면, 상기 삽입단부수용부(235)의 양 측에 축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위치고정돌기(327)는, 예를 들면, 2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위치고정돌기(327)는 상기 요크(230)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1요크인슐레이터(310)의 저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위치고정돌기(327)는 돌출방향을 따라 단부는 반구형상(원호형 단면)을 구비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위치고정돌기(327) 및 위치고정돌기수용부(378)의 삽입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요크인슐레이터(301)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위치고정돌기(327)의 일 측에는 상기 결선후크(325)가 가각 형성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위치고정돌기수용부(378)는 상기 티스인슐레이터(351)에 형성된다.
상기 위치고정돌기수용부(378)는 상기 제1티스인슐레이터(360)에 축방향을 따라 함몰되게 형성된다.
상기 위치고정돌기수용부(378)는 상기 제1티스인슐레이터(360)의 삽입단부절연부(367)의 양 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위치고정돌기수용부(378)는 상기 제1티스인슐레이터(360)의 전원선연결부(375)의 상단면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제1요크인슐레이터(310)가 상기 요크(230)의 하측에 결합되고, 상기 티스(250)가 상기 요크(230)에 축방향을 따라 삽입되면 상기 위치고정돌기(327)는 상기 위치고정돌기수용부(378)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위치고정돌기수용부(378)의 일 측에는 상기 요크(230)의 내측으로 삽입 결합되는 조립가이드(370)가 구비된다.
도 11은 도 5의 요크 및 티스의 결합영역의 부분확대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결합돌기, 조립가이드 및 요크내면절연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방향을 따라 상기 요크(230)의 단부면과 상기 티스(250)의 단부면은 동일한 평면을 이룬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요크(230)의 적층 두께 및 상기 티스(250)의 적층 두께는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축방향을 따라 상기 요크(230)의 일 측(도면상 하측)에서 상기 제1요크인슐레이터(31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요크인슐레이터(310)의 각 요크내면절연부(314)는 상기 결합돌기(240)의 외면에 접촉되게 상기 요크(230)의 내측에 각각 삽입된다.
상기 제1요크인슐레이터(310)의 돌출단부(315)는 상기 요크(230)의 단부면(상단부면)으로부터 축방향을 따라 상향 돌출된다.
축방향을 따라 상기 요크(230)의 일 측(도면상 하측)에서 상기 티스(250)가 결합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에는, 도면 설명의 편의상, 제2요크인슐레이터(340) 및 제2티스인슐레이터(380)가 각가 제거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티스(250)의 삽입단부(255)를 상기 요크(230)의 그루부의 내부에 삽입시키면, 상기 삽입단부(255)의 양 측면은 상기 삽입단부수용부(235)의 양 측면부(236)에 각각 접촉되고, 상기 티스(250)의 결합돌기접촉부(257)는 상기 결합돌기(240)의 티스결합구간(240b)에 접촉된다.
상기 제1티스인슐레이터(360)의 조립가이드(370)는 상기 결합돌기(240) 및 상기 요크내면절연부(314)와 각각 접촉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0 및 도 11을 함께 참조하면, 상기 제1티스인슐레이터(360)의 조립가이드(370)는, 예를 들면, 상기 결합돌기(240)의 티스인슐레이터결합구간(240a)과 접촉되는 제1구간(371) 및 제2구간(372), 상기 제1요크인슐레이터(310)의 요크내면절연부(314)의 측면부(3142))와 접촉되는 제3구간(373) 및 상기 요크내면절연부(314)의 내면(3141)과 접촉되는 제4구간(374)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조립가이드(370)의 제1구간(371), 제2구간(372), 제3구간(373) 및 제4구간(374)은 모두 직선구간으로 형성되며, 서로 인접한 구간의 내각은 둔각을 이루게 구성된다.
즉, 상기 조립가이드(370)의 제1구간(371) 및 제2구간(372)의 내각(θ1)은 둔각을 이루고, 제2구간(372) 및 제3구간(373)의 내각(θ2)은 둔각을 이룬다. 또한, 상기 제3구간(373) 및 제4구간(374)의 내각(θ3)은 둔각을 이룬다.
여기서, 상기 제1요크인슐레이터(310)의 요크내면절연부(314)의 내면(3141)과 상기 요크내면절연부(314)의 측면부(3142)의 내각(θ)은 둔각을 이루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모터 조립체는, 상기 요크인슐레이터(301) 및 상기 티스인슐레이터(351) 사이의 결합공차인 제1결합공차는 상기 요크(230) 및 티스(250) 사이의 결합공차인 제2결합공차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에 의해, 상기 요크(230)에 상기 요크인슐레이터(301)가 결합되고, 상기 티스(250)에 상기 티스인슐레이터(351)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요크(230) 및 상기 티스(250)의 상호 결합 시, 상기 요크인슐레이터(301) 및 상기 티스인슐레이터(351)의 상대 이동에 의해 상기 티스(250)가 축방향 중심선을 따라 축방향으로 안내되어 상기 티스(250) 및 요크(230)의 결합이 원활하게 될 수 있다.
즉, 상기 요크인슐레이터(301) 및 상기 티스인슐레이터(351)는 상대적으로 작은 결합공차를 가지므로 상기 요크(230)의 삽입단부수용부(235)에 상기 티스(250)의 삽입단부(255)의 삽입 시 상기 요크(230) 및 티스(250)의 직접 접촉이 억제되어 상기 요크(230) 및 티스(250)의 결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티스(250) 및 상기 티스인슐레이터(351)는, 예를 들면, 제3결합공차를 가지고 결합되게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티스(250) 및 상기 제1티스인슐레이터(360), 상기 티스(250) 및 상기 제2티스인슐레이터(380)는 상기 제3결합공차를 가지고 각각 결합된다.
상기 요크(230) 및 상기 요크인슐레이터(301)는, 예를 들면, 제3결합공차를 가지고 결합되게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요크(230) 및 상기 제1요크인슐레이터(310), 상기 요크(230) 및 상기 제2요크인슐레이터(340)는 상기 제3결합공차를 가지고 각각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3결합공차는 상기 제1결합공차보다 크고 상기 제2결합공차보다 작게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결합공차는 예를 들면, 0.02이고, 상기 제2결합공차는, 예를 들면, 0.1이고, 상기 제3결합공차는, 예를 들면, 0.05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요크(230)의 삽입단부수용부(235)의 내폭(W2)은, 예를 들면, A+0.1로 형성되고, 상기 티스(250)의 삽입단부(255)의 외폭(W1)은, 예를 들면, A-0.1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단부(255)의 외폭(W1)이 상기 삽입단부수용부(235)의 내폭(W2)에 비해 작게 형성된다.
상기 티스(250)(티스바디(253))의 외폭(W5)은, 예를 들면, B-0.05이고, 상기 티스인슐레이터(351)의 티스절연부(361)의 내폭(W6)은 B+0.05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티스바디(253)의 외폭(W5)이 상기 티스절연부(361)의 내폭(W6)에 비해 작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요크인슐레이터(301)의 요크내면절연부(314)의 측면부(3142) 사이의 간격(내폭((W4)은, 예를 들면, C+0.02로 형성되고, 상기 티스인슐레이터(351)의 제3구간(373) 사이의 간격(내폭(W3))은, 예를 들면, C-0.02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티스인슐레이터(351)의 제3구간(373) 사이의 간격(W3)이 상기 요크내면절연부(314)의 측면부(3142) 사이의 간격(W4)에 비해 작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요크인슐레이터(301)의 요크내면절연부(314)의 측면부(3142)의 사이에 삽입되는 결합돌기(240)의 사이의 간격은, 예를 들면, C-0.05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요크(230)의 삽입단부수용부(235)의 내부에 상기 티스(250)의 삽입단부(255)가 축방향을 따라 삽입되는 경우, 상기 요크인슐레이터(301)의 조립가이드(370)의 제3구간(373)과 상기 요크내면절연부(314)의 측면부(3142)가 상기 제1결합공차를 가지므로 상기 삽입단부수용부(235) 및 상기 티스(250)의 중심선(LC)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양 측으로 유격 범위가 가장 작게 구성된다.
이에 의해, 상기 티스(250)는 상기 조립가이드(370) 및 상기 요크내면절연부(314)의 상대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축방향 중심선을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되므로, 상기 티스(250)의 삽입단부(255)는 상기 요크(230)의 삽입단부수용부(235)의 내측에서 상기 삽입단부수용부(235)의 내면과 접촉 발생이 억제되어 상기 티스(250) 및 요크(230)의 결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립가이드(370)의 제3구간(373)과 상기 요크내면절연부(314)의 측면부(3142) 사이의 간격은 제1결합공차를 가지고, 상기 요크(230) 및 상기 요크내면절연부(314)는 제3결합공차를 가지므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립가이드(370)의 제3구간(373) 및 제4구간(374)이 상기 요크내면절연부(314)의 측면부(3142) 및 내면(3141)을 상기 제1결합공차의 범위내에서 가압(제한)하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이에 의해, 상기 요크내면절연부(314)는 실질적으로 상기 요크(230)의 내면측으로 밀착되게 되어 상기 요크(230)의 내면으로부터 분리 또는 들뜸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3은 도 4의 제1요크인슐레이터의 돌출단부를 확대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도 13의 후크영역의 단면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요크인슐레이터(310)는 축방향을 따라 상기 요크(230)의 일 측(도면상 하측)에서 결합되게 구성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요크인슐레이터(310)에는 상기 요크(230)의 내면에 결합되는 요크내면절연부(314)가 구비된다.
상기 요크내면절연부(314)는 축방향을 따라 상기 요크(230)의 단부(상단부)로부터 돌출되게 구성된다.
상기 요크(230)의 단부로부터 돌출된 돌출단부(315)에는 상기 제2요크인슐레이터(340)가 결합된다.
상기 제1요크인슐레이터(310) 및 상기 제2요크인슐레이터(340)는 미리 설정된 위치에 결합될 수 있게 전술한 맞물림부(330)를 구비한다.
상기 맞물림부(330)는, 상기 제2요크인슐레이터(340)에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345) 및 상기 제1요크인슐레이터(310)에 상기 돌출부(345)가 수용될 수 있게 함몰 형성된 수용홈(317)을 구비한다.
상기 돌출부(345)는 상기 제2요크인슐레이터(340)의 반경방향을 따라 상기 요크단부절연부(342)의 내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2요크인슐레이터(340)의 요크단부절연부(342)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된 부분은 상기 제1요크인슐레이터(310)의 수용홈(317)의 내부에 삽입 결합된다.
이에 의해, 상기 제1요크인슐레이터(310) 및 제2요크인슐레이터(340)가 원주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위치에 정확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345)는 상기 제2요크인슐레이터(340)의 요크단부절연부(342)로부터 축방향을 따라 더 돌출된다. 상기 돌출부(345) 중 상기 제2요크인슐레이터(340)의 요크단부절연부(342)로부터 축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은, 도면에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하우징(110)의 내면에 형성된 수용홈(미도시)에 삽입 결합됨으로써, 상기 스테이터(210)가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 정확하게 결합될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1요크인슐레이터(310) 및 상기 제2요크인슐레이터(340)는 축방향으로 맞물림결합되는 맞물림결합부(400)를 구비한다.
상기 맞물림결합부(400)는 상기 제1요크인슐레이터(310) 및 상기 제2요크인슐레이터(340)의 상호 접촉영역 중 어느 하나에 돌출되는 후크(401) 및 상기 제1요크인슐레이터(310) 및 상기 제2요크인슐레이터(340)의 상호 접촉영역중 다른 하나에 상기 후크(401)가 수용될 수 있게 형성되는 후크수용부(405)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크(401)는, 예를 들면, 상기 제2요크인슐레이터(340)의 요크단부절연부(342)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크(401)는 원주방향을 따라 긴 길이를 가지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후크(401)는 원주방향을 따라 원호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요크인슐레이터(310)에는 상기 후크(401)가 수용결합될 수 있게 후크수용부(405)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크수용부(405)는, 예를 들면, 상기 후크(401)가 수용될 수 있게 원주방향을 따라 긴 길이를 가지는 관통공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후크수용부(405)는 직사각형 단면을 구비하며, 상기 후크수용부(405)의 내면 중 상면은 상기 후크(401)와 축방향으로 맞물림되어 상기 제1요크인슐레이터(310) 및 상기 제2요크인슐레이터(340)가 불시에 서로 분리되는 것이 억제되게 할 수 있다.
상기 후크(401)는 축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안내경사면(403)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후크(401)의 안내경사면(403)은 상기 후크(401)의 돌출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에 의해, 상기 요크(230)에 상기 제1요크인슐레이터(31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요크인슐레이터(340)를 결합할 경우, 상기 제1요크인슐레이터(310)의 상단면과 상기 후크(401)의 안내경사면(403)이 접촉되고 상기 제1요크인슐레이터(310)가 반경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제2요크인슐레이터(340)가 원활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후크(401)가 상기 후크수용부(405)의 내부에 수용되면 상기 제1요크인슐레이터(310)는 자체의 탄성력으로 초기위치로 복귀되어 축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이때, 상기 후크(401)의 상면이 상기 후크수용부(405)의 상면과 접촉됨으로써, 상기 제1요크인슐레이터(310) 및 상기 제2요크인슐레이터(340)는 축방향으로 맞물림 결합되어 축방향을 따라 분리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이하, 도 15 내지 도 2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모터 조립체의 조립 과정을 설명한다.
도 15는 도 2의 요크 및 제1요크인슐레이터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요크 및 티스를 결합전 사시도이며, 도 17은 도 16의 제1요크인슐레이터 및 제2요크인슐레이터의 결합 전 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제1요크인슐레이터 및 제2요크인슐레이터의 결합 후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14와 관련하여 전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의 모터 조립체를 조립하고자 할 때는, 먼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요크인슐레이터(310)의 요크내면절연부(314) 사이의 공간이 상기 요크(230)의 결합돌기(240)에 대응되게 배치한다.
다음, 상기 요크내면절연부(314)의 단부를 상기 요크(230)의 내부에 삽입하여 축방향을 따라 가압한다. 상기 요크내면절연부(314)의 양 측면부(3142)는 상기 요크(230)의 결합돌기(240)의 측면과 접촉되어 축선방향을 따라 이동된다. 상기 제1요크인슐레이터(310)의 요크단부절연부(312)가 상기 요크(230)의 단부에 접촉되면 결합이 완료된다.
다음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요크인슐레이터(310)가 결합된 요크(230)에 복수의 티스(250)를 결합한다. 축방향을 따라 상기 요크(230)의 삽입단부수용부(235)의 일 측에 상기 복수의 티스(250)의 각 삽입단부(255)가 배치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티스인슐레이터(351)의 조립가이드(370)가 상기 요크인슐레이터(301)(제1요크인슐레이터(310))의 요크내면절연부(314)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고, 상기 조립가이드(370)의 제3구간(373)이 상기 요크내면절연부(314)의 양 측면부(3142)와 상기 제1결합공차를 가지고 결합된다.
이에 의해, 상기 복수의 티스(250)는 상기 요크(230)의 삽입단부수용부(235)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삽입되고 상호 강제 접촉에 기인한 마찰이 발생됨이 없이 축방향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삽입)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티스(250)의 결합이 완료되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티스인슐레이터(380)의 삽입단부절연부(387)는 상기 요크(230)의 타 단부로 돌출된다. 상기 제2요크인슐레이터(340)의 각 돌출부(345)를 상기 제1요크인슐레이터(310)의 수용홈(317)에 대응되게 배치하고, 상기 요크(230)의 타 단부로 돌출된 상기 제1요크인슐레이터(310)의 돌출단부(315)에 상기 제2요크인슐레이터(340)를 결합한다. 상기 제2요크인슐레이터(340)의 결합이 완료되면 상기 각 돌출부(345)는 해당 수용홈(317)의 내부에 삽입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요크인슐레이터(340)의 결합이 완료되면 상기 제2요크인슐레이터(340)의 후크(401)는 상기 제1요크인슐레이터(310)의 후크수용부(405)의 내부에 삽입 결합된다. 이에 의해, 상기 제2요크인슐레이터(340) 및 상기 제1요크인슐레이터(310)가 불시에 분리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도 19는 도 18의 코일부의 결선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티스(250)에는 3상 교류 전원의 각 상(U상, V상, W상)에 대응되게 복수의 코일부(291)가 권선된다. 각 코일부(291)의 일 단부(전원선(293))는 상기 제1요크인슐레이터(310)에 구비된 전원선연결부(375)에 각각 삽입된다. 상기 각 코일부(291)의 타 단부(중성선(294))는 해당 결선후크(325)를 경유하여 상기 요크인슐레이터(301)에 구비된 중성선연결부(320)에 각각 삽입된다. 상기 각 전원선(293)이 삽입된 상기 전원선연결부(375)에는 상기 피씨비연결단자(377)가 삽입 결합된다. 상기 각 전원선(293)은 상기 피씨비연결단자(377)의 슬릿(377c)에 삽입되어 상기 피씨비연결단자(377)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각 코일부(291)의 중성선(294)이 삽입된 중성선연결부(320)에는 중성선연결도체(322)가 각각 삽입된다. 상기 중성선연결도체(322)는 전기 전도체로 형성되고, 상기 중성선(294)이 삽입될 수 있게 복수의 슬릿(323)이 형성된다. 상기 각 중성선(294)은 상기 중성선연결도체(322)의 슬릿(323)의 내부 삽입 시 상기 중성선연결도체(322)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의해, 상기 3개의 코일부(291)의 각 일 단부(중성선(294))가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도 20은 도 19의 스테이터 및 하우징의 결합 전 사시도이고, 도 21은 도 20의 스테이터의 삽입 후 하우징의 저부 사시도이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테이터(210)는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210)는 축방향을 따라 상기 하우징(110)의 스테이터수용부(112)의 내부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도면에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스테이터(210)의 제2요크인슐레이터(340)의 돌출부(345)는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구비된 수용홈(미도시)에 각각 삽입됨으로써, 상기 하우징(110) 및 상기 스테이터(210)가 미리 설정된 위치에 정확하게 조립 결합될 수 있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위치에 삽입 결합된 상기 스테이터(210)는 상기 하우징(110)과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210) 및 상기 하우징(110)의 상호 접촉영역에는 스테이터고정부(215)가 형성될 수 있다. ㅅ상기 스테이터고정부(215)는, 예를 들면,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스테이터(210)가 상기 하우징(110)의 내면에 고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210)의 내부에는 로터(420)가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로터(420)의 회전축(430)에는 상기 베어링(450)이 구비된다.
도 22는 도 21의 하우징, 브래킷 및 피씨비의 결합전 사시도이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10)의 저부에 상기 브래킷(480)을 배치한다. 상기 브래킷(480)의 베어링수용부(482)의 내부에 상기 회전축(430)에 결합된 베어링(450)이 삽입 결합된다. 상기 브래킷(480)에는 상기 하우징(110)과 고정부재(122)에 의해 결합될 수 있게 고정부재결합부(488)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부재결합부(488)는 상기 하우징(110)에 구비된 고정부재결합부(120)와 상호 연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브래킷(480)의 일 측(도면상 하측)에 상기 피씨비(490)가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피씨비(490)에는 상기 피씨비연결단자(377)가 삽입될 수 있게 피씨비연결단자삽입부(49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씨비연결단자삽입부(493)는, 예를 들면, 상기 피씨비(490)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씨비연결단자삽입부(493)에 삽입된 상기 피씨비연결단자(377)는, 예를 들면, 납땜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피씨비(490)의 고정부재삽입공(492)에 상기 고정부재(122)를 축방향을 따라 삽입하면, 상호 연통된 상기 브래킷(480)의 고정부재결합부(488) 및 상기 하우징(110)의 고정부재결합부(120)에 상기 고정부재(122)가 차례로 결합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110)의 타 측(도면상 상측)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임펠러(130)가 수용결합된다. 다음 상기 베어링(450)이 구비된 제2가이드베인(152) 및 제1가이드베인(151)이 각각 수용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운전이 개시되어 상기 스테이터(210)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스테이터코일(290)에 의해 형성된 자계 및 상기 영구자석(440)의 자계가 상호 작용하면서 상기 로터(420)는 상기 회전축(430)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상기 회전축(430)이 회전되면 상기 임펠러(130)가 수용되고, 상기 임펠러(130)의 상류측의 공기가 상기 임펠러(130)를 경유하여 상기 임펠러(130)의 하류측으로 토출된다.
이때,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상기 하우징(110)의 외부의 공기가 상기 스테이터(210) 및 로터(420)를 먼저 경유함으로써, 상기 스테이터(210) 및 로터(420)의 냉각이 촉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스테이터코일(290) 및 상기 영구자석(440)은 상대적으로 낮은 공기에 의해 냉각되어 운전 중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됨으로써, 상기 모터 조립체의 출력이 제고될 수 있다.
이하 도 23 내지 도 2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터 조립체에 대해 설명한다.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터 조립체의 제1요크인슐레이터 및 제2요크인슐레이터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모터 조립체는, 임펠러(130), 스테이터(210a) 및 로터(420)를 구비한다.
상기 스테이터(210a)는, 스테이터코어(220), 상기 스테이터코어(220)에 권선되는 스테이터코일(290) 및 상기 스테이터코어(220)와 상기 스테이터코일(290) 사이에 개재되는 인슐레이터(300a)를 포함한다.
상기 스테이터코어(220)는, 링 형상의 요크(230) 및 상기 요크(230)의 내면에 방사상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티스(250)를 가진다.
상기 인슐레이터(300a)는, 상기 요크(230)에 결합되는 요크인슐레이터(301a) 및 상기 복수의 티스(250)에 결합되는 티스인슐레이터(351)를 구비한다.
상기 요크인슐레이터(301a)는 축방향을 따라 서로 결합되는 제1요크인슐레이터(310a) 및 제2요크인슐레이터(340a)를 포함한다.
상기 제1요크인슐레이터(310a)는, 상기 요크(230)의 단부를 절연하는 요크단부절연부(312) 및 상기 요크단부절연부(312)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요크(230)의 내면을 절연하는 요크내면절연부(314)를 구비한다. 상기 요크내면절연부(314)는 상기 요크(230)의 내면에 결합되고, 축방향을 따라 상기 요크(230)의 타 단부로부터 돌출되게 구성된다.
상기 제2요크인슐레이터(340a)는 상기 요크(230)의 단부를 절연하는 요크단부절연부(342a)를 포함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요크인슐레이터(310a) 및 상기 제2요크인슐레이터(340a)는 접착제에 의해 일체로 고정결합될 수 있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요크(230)의 일 측(도면상 하측)에서 상기 제1요크인슐레이터(310a)가 결합되면 상기 제1요크인슐레이터(310a)의 요크내면절연부(314)는 상기 요크(230)의 타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요크(230)의 타 측으로 돌출된 돌출단부(315)에 상기 제2요크인슐레이터(340a)가 결합된다.
상기 요크내면절연부(314)의 돌출단부(315)는 상기 제2요크인슐레이터(340a)로부터 축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길이로 돌출된다.
상기 돌출단부(315)의 외면과 상기 제2요크인슐레이터(340a)의 경계영역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접착부(410)가 형성된다. 이에 의해, 상기 제1요크인슐레이터(310a)(요크내면절연부(314)) 및 상기 제2요크인슐레이터(340a)가 일체로 접착(고정)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접착부(410)는 상기 제2요크인슐레이터(340a)의 원주방향을 따라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터 조립체의 제1요크인슐레이터 및 제2요크인슐레이터의 결합전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모터 조립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임펠러(130), 스테이터(210b) 및 로터(420)를 구비한다.
상기 스테이터(210b)는, 스테이터코어(220), 상기 스테이터코어(220)에 권선되는 스테이터코일(290) 및 상기 스테이터코어(220)와 상기 스테이터코일(290) 사이에 개재되는 인슐레이터(300b)를 포함한다.
상기 스테이터코어(220)는, 링 형상의 요크(230) 및 상기 요크(230)에 결합되는 복수의 티스(250)를 가진다. 상기 요크(230)에는 상기 복수의 티스(250)가 축방향을 따라 결합될 수 있게 복수의 삽입단부수용부(235)가 형성된다.
상기 인슐레이터(300b)는 상기 요크(230)에 결합되는 요크인슐레이터(301b) 및 상기 티스(250)에 결합되는 티스인슐레이터(351)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요크인슐레이터(301b)는, 예를 들면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방향을 따라 서로 결합되는 제1요크인슐레이터(310b) 및 제2요크인슐레이터(340b)를 구비한다.
상기 제1요크인슐레이터(310b)는, 축방향을 따라 상기 요크(230)의 타 측(도면상 우측) 단부에 결합되는 제1요크단부절연부(312b)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요크단부절연부(312b)에는 상기 복수의 티스(250)의 삽입단부9255)가 삽입될 수 있게 축방향으로 관통된 슬롯(313)이 구비된다.
상기 제1요크단부절연부(312b)에는 반경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부(345a)가 구비된다.
상기 제1요크인슐레이터(310b)에는 상기 스테이터코일(290)의 복수의 코일부(291)의 일 단부(중성선(294))가 연결될 수 있게 중성선연결부(320)가 구비된다. 상기 중성선연결부(320)는 상기 제1요크단부절연부(312b)로부터 축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1요크인슐레이터(310b)에는 상기 복수의 코일부(291)의 중성선(294)의 결선을 위한 결선후크(325)가 구비된다. 상기 결선후크(325)는 상기 제1요크인슐레이터(340b)의 제1요크단부절연부(312b)로부터 축방향으로 돌출되고 반경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게 절곡형성된다.
상기 제2요크인슐레이터(340b)는, 축방향을 따라 상기 요크(230)의 일 측(도면상 좌측)단부에 결합되는 제2요크단부절연부(342b) 및 상기 제2요크단부절연부(342b)로부터 축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요크내면절연부(314b)를 구비한다. 상기 요크내면절연부(314b)는 상기 삽입단부수용부(235)의 양 측에 각각 결합될 수 있게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상기 각 요크내면절연부(314b)에는 상기 제1요크인슐레이터(310b)의 돌출부(345a)가 수용결합될 수 있게 수용홈(317)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제2요크인슐레이터(340b)의 제2요크단부절연부(342b)에는 축방향으로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344)가 구비된다. 이에 의해,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상기 제2요크인슐레이터(340b)가 미리 설정된 위치에 정확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요크단부절연부(342b)에는 상기 요크(230)로부터 축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티스인슐레이터(380)의 삽입단부절연부(387)가 수용될 수 있게 수용부(343)가 구비된다. 상기 수용부(343)는 상기 제2요크단부절연부(342b)의 내면에 축방향을 따라 함몰되게 형성된다.
도 2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터 조립체의 제1요크인슐레이터 및 제2요크인슐레이터의 결합전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모터 조립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임펠러(130), 스테이터(210c) 및 로터(420)를 구비한다.
상기 스테이터(210c)는, 스테이터코어(220), 스테이터코일(290) 및 인슐레이터(300c)를 구비한다.
상기 스테이터코어(220)는, 링 형상의 요크(230) 및 상기 요크(230)에 결합되는 복수의 티스(250)를 포함한다.
상기 요크(230)에는 상기 복수의 티스(250)가 축방향을 따라 결합될 수 있게 복수의 삽입단부수용부(235)가 형성된다.
상기 인슐레이터(300c)는, 상기 요크(230)에 결합되는 요크인슐레이터(301c) 및 상기 복수의 티스(250)에 결합되는 티스인슐레이터(351)를 구비한다.
한편, 상기 요크인슐레이터(301c)는, 예를 들면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방향을 따라 서로 대면 결합되는 제1요크인슐레이터(310c) 및 제2요크인슐레이터(340c)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모터 조립체의 제1요크인슐레이터(310c) 및 제2요크인슐레이터(340c)는 상기 요크(230)의 내측에서 서로 대면접촉되게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요크인슐레이터(310c)는, 축방향을 따라 상기 요크(230)의 일 단부(도면상 좌측 단부)를 차단하는 제1요크단부절연부(312c) 및 상기 제1요크단부절연부(312c)로부터 상기 요크(230)의 내측에 삽입되게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요크내면절연부(314c1)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요크단부절연부(312c)에는 상기 복수의 티스(250)의 삽입단부(255)가 삽입될 수 있게 축방향으로 관통된 슬롯(313)이 구비된다.
상기 제2요크인슐레이터(340c)는, 축방향을 따라 상기 요크(230)의 타 단부(도면상 우측 단부)를 차단하는 제2요크단부절연부(342c) 및 상기 제2요크단부절연부(342c)로부터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요크내면절연부(314c2)를 구비한다.
상기 제2요크단부절연부(342c)에는 상기 요크(230)의 단부로부터 돌출된 제2티스인슐레이터(380)의 삽입단부절연부(387)가 수용될 수 있게 수용부(343)가 구비된다. 상기 수용부(343)는 상기 제2요크단부절연부(342c)의 내면으로부터 축방향을 따라 함몰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2요크단부절연부(342c)에는 축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344)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요크내면절연부(314c1) 및 상기 제2요크내면절연부(314c2)는 반경방향을 따라 서로 중첩되게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요크내면절연부(314c1)는 반경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되는 제1외측절연부(314c1a) 및 제1내측절연부(314c1b)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요크내면절연부(314c1)의 제1내측절연부(314c1b)는 상기 제1외측절연부(314c1a)의 내측에 축방향 및 원주방향으로 각각 축소된 크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요크내면절연부(314c2)는 반경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되는 제2외측절연부(314c2a) 및 제2내측절연부(314c2b)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외측절연부(314c2a)는 상기 제1외측절연부(314c1a)에 대응되는 원주방향 길이를 구비한다.
상기 제2외측절연부(314c2a)의 원주방향 길이는 상기 제1외측절연부(314c1a)의 원주방향 길이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상기 제2내측절연부(314c2b)는 상기 제1내측절연부(314c1b)와 원주방향으로 동일한 길이를 구비한다.
상기 제2내측절연부(314c2b)의 원주방향 길이는 상기 제1내측절연부(314c1b)의 원주방향 길이와 동일하다.
상기 제2내측절연부(314c2b)는 상기 제2외측절연부(314c2a)에 비해 축방향으로 돌출된 길이를 구비한다.
상기 제2내측절연부(314c2b)의 단부는 상기 제1내측절연부(314c1b)의 단부와 대면 접촉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제2외측절연부(314c2a)의 축방향 길이는 상기 제1외측절연부(314c1a)의 단부와 대면 접촉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제2요크인슐레이터(340c)에는 상기 스테이터코일(290)의 복수의 코일부(291)의 중성선(294)이 연결될 수 있게 중성선연결부(320)가 구비된다.
상기 제2요크인슐레이터(340c)의 중성선연결부(320)는 축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요크(230)를 사이에 두고 축방향을 따라 상기 제1요크인슐레이터(310c) 및 제2요크인슐레이터(340c)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요크인슐레이터(310c) 및 상기 제2요크인슐레이터(340c)가 상호 접근되게 가압하면, 상기 제2내측절연부(314c2b)는 상기 제1외측절연부(314c1a)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내측절연부(314c1b)의 단부와 접촉된다. 이때, 상기 제1외측절연부(314c1a)는 상기 제2내측절연부(314c2b)의 외측에서 상대이동되어 상기 제2외측절연부(314c2a)의 단부와 접촉된다. 이에 의해, 상기 제1외측절연부(314c1a)와 상기 제2내측절연부(314c2b)가 각각 중첩되게 결합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 사상 또는 본질적인 특징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그 상세한 설명의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앞서 기술한 상세한 설명에서 일일이 나열되지 않은 실시예라 하더라도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된 그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범위와 그 균등범위 내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섭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스테이터; 및 상기 스테이터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로터;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터는,
    스테이터코어;
    상기 스테이터코어에 권선되는 스테이터코일; 및
    상기 스테이터코어와 상기 스테이터코일 사이에 개재되는 인슐레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스테이터코어는,
    링 형상의 요크; 및
    상기 요크의 내면에 방사상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티스;를 구비하고,
    상기 인슐레이터는, 절연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요크에 결합되는 요크인슐레이터; 및
    상기 복수의 티스에 각각 결합되는 티스인슐레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요크인슐레이터 및 상기 티스인슐레이터 사이의 제1결합공차는 상기 요크 및 상기 복수의 티스 사이의 제2결합공차에 비해 작게 형성되는 모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티스의 일 측 단부에는 내측으로 경사진 삽입단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요크에는 상기 복수의 티스의 삽입단부가 각각 축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게 삽입단부수용부가 각각 형성되는 모터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에는 내면으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상기 복수의 티스의 양 측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모터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결합돌기는 반경방향을 따라 일 측에 상기 티스인슐레이터가 축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티스인슐레이터결합구간;을 각각 구비하는 모터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티스인슐레이터결합구간은 내각이 둔각을 이루게 형성되고,
    상기 티스인슐레이터는 상기 티스인슐레이터결합구간 및 상기 요크인슐레이터의 내면에 동시에 결합되어 상기 복수의 티스의 조립을 안내하는 조립가이드가 구비되는 모터 조립체.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결합돌기는 상기 복수의 티스의 측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티스결합구간;을 더 구비하는 모터 조립체.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인슐레이터는, 축방향을 따라 상기 요크의 양 단부를 차단하게 결합되는 요크단부절연부; 및 상기 요크의 내면을 차단하게 결합되는 요크내면절연부;를 구비하는 모터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인슐레이터는, 상기 요크단부절연부 및 상기 요크내면절연부를 구비하는 제1요크인슐레이터; 및 상기 요크단부절연부를 구비하고 축방향을 따라 상기 제1요크인슐레이터에 결합되는 제2요크인슐레이터;를 구비하는 모터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내면절연부는 축방향을 따라 상기 요크의 일 측에서 삽입되고 타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요크인슐레이터는 상기 요크내면절연부의 돌출단부가 내측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모터 조립체.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요크인슐레이터 및 상기 제2요크인슐레이터의 상호 접촉영역에는 상기 제1요크인슐레이터 및 상기 제2요크인슐레이터가 축방향으로 맞물림 결합될 수 있게 맞물림결합부;가 구비되는 모터 조립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결합부는, 상기 제1요크인슐레이터 및 상기 제2요크인슐레이터의 상호 접촉영역중 어느 하나에 돌출되는 후크; 및 상기 제1요크인슐레이터 및 상기 제2요크인슐레이터의 상호 접촉영역중 다른 하나에 상기 후크가 수용될 수 있게 후크수용부;를 구비하는 모터 조립체.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인슐레이터 및 상기 티스인슐레이터의 상호 접촉영역에는 상기 요크인슐레이터 및 상기 티스인슐레이터가 미리 설정된 위치에 결합되는 수 있게 위치고정부;가 구비되는 모터 조립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요크인슐레이터 및 상기 티스인슐레이터의 상호 접촉면 중 어느 하나로부터 돌출되는 위치고정돌기; 및 상기 요크인슐레이터 및 상기 티스인슐레이터의 상호 접촉면 중 다른 하나에 상기 위치고정돌기를 수용할 수 있게 형성되는 위치고정돌기수용부;를 구비하는 모터 조립체.
  1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티스인슐레이터는, 상기 복수의 티스를 사이에 두고 축방향을 따라 서로 결합되는 제1티스인슐레이터; 및 제2티스인슐레이터;를 구비하는 모터 조립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코일은 3상 교류 전원과 연결될 수 있게 상기 복수의 티스의 둘레에 권선되는 복수의 코일부;를 구비하고,
    상기 티스인슐레이터에는 상기 복수의 코일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이 연결될 수 있게 전원선연결부;가 구비되는 모터 조립체.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인슐레이터에는 상기 복수의 코일부의 각 일단부를 동시에 연결하는 중성선연결부;가 구비되는 모터 조립체.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 및 상기 요크인슐레이터는 제3결합공차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티스 및 티스인슐레이터는 제3결합공차를 구비하고,
    상기 제3결합공차는 상기 제1결합공차보다 크고 상기 제2결합공차보다 작게 형성되는 모터 조립체.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임펠러; 및
    내부에 상기 임펠러 및 상기 스테이터가 수용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공기의 이동방향을 따라 상기 임펠러는 상기 스테이터의 하류측에 배치되는 모터 조립체.
  19. 제18항에 있어서,
    베어링을 구비하고, 공기의 이동방향을 따라 상기 하우징의 상류측에 결합되어 상기 로터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브래킷;을 더 포함하는 모터 조립체.
  20. 제18항에 있어서,
    공기의 이동방향을 따라 상기 하우징의 상류측에 구비되고 상기 스테이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피씨비;를 더 포함하는 모터 조립체.
KR1020200129510A 2020-10-07 2020-10-07 모터 조립체 KR20220046285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9510A KR20220046285A (ko) 2020-10-07 2020-10-07 모터 조립체
US17/406,691 US11728706B2 (en) 2020-10-07 2021-08-19 Electric motor assembly
TW110130662A TWI797721B (zh) 2020-10-07 2021-08-19 電動馬達組件
AU2021240321A AU2021240321B2 (en) 2020-10-07 2021-10-04 Electric motor assembly
US18/342,351 US20230344297A1 (en) 2020-10-07 2023-06-27 Electric motor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9510A KR20220046285A (ko) 2020-10-07 2020-10-07 모터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6285A true KR20220046285A (ko) 2022-04-14

Family

ID=80931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9510A KR20220046285A (ko) 2020-10-07 2020-10-07 모터 조립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1728706B2 (ko)
KR (1) KR20220046285A (ko)
AU (1) AU2021240321B2 (ko)
TW (1) TWI797721B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366997A1 (en) 2017-06-20 2018-12-20 Dyson Technology Limited Stator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799U (ko) 1979-06-18 1981-01-09
ITPD20060394A1 (it) * 2006-10-24 2008-04-25 Inarca Spa Gruppo di connessione degli avvolgimenti statorici di un motore elettrico
JP5601799B2 (ja) 2009-07-10 2014-10-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ステータおよびステータの製造方法
TWI528685B (zh) * 2009-08-17 2016-04-01 千禧研究公司 電馬達及用於控制電馬達之方法
JP2015006030A (ja) * 2013-06-19 2015-01-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回転電機
JP6125052B2 (ja) 2014-01-29 2017-05-10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動機
US9812924B2 (en) * 2014-11-14 2017-11-07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Motor assembly for an electric power steering assembly
JP6672638B2 (ja) 2015-08-24 2020-03-25 スズキ株式会社 モータ
EP3468003B1 (de) * 2017-10-05 2021-01-13 Muhr und Bender KG Elektromotorische antriebsradanordnung
WO2019132338A1 (ko) * 2017-12-26 2019-07-0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스테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JP2021010214A (ja) * 2019-06-28 2021-01-28 日本電産株式会社 モータ
KR102224492B1 (ko) * 2019-07-16 2021-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366997A1 (en) 2017-06-20 2018-12-20 Dyson Technology Limited Stator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797721B (zh) 2023-04-01
US11728706B2 (en) 2023-08-15
TW202215753A (zh) 2022-04-16
US20220109348A1 (en) 2022-04-07
US20230344297A1 (en) 2023-10-26
AU2021240321B2 (en) 2023-11-02
AU2021240321A1 (en) 2022-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11695B2 (en) Stator component group for an electric motor
US20230163653A1 (en) Motor
US20200021160A1 (en) Motor and pump device
KR20210012408A (ko) 스테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KR102224492B1 (ko) 모터
JP2019134525A (ja) ステータ、モータ、及び送風機
KR20220046285A (ko) 모터 조립체
KR20230133064A (ko) 팬-모터 조립체
KR20190074467A (ko) 분할 고정자를 갖는 모터
JP2009112114A (ja) 回転電機
JP2011066971A (ja) 回転機
US20240063678A1 (en) Motor assembly connection r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motor assembly
US20150042183A1 (en) Motor having a two-piece stator end ring
KR20220115421A (ko) 모터 조립체
TWI793664B (zh) 電動馬達組件
US11996750B2 (en) Electrical contacting of stator terminals on a printed circuit board using horizontally aligned insulation displacement contacts
KR102469628B1 (ko) 모터
US20230188006A1 (en) Stator and fan motor comprising same
KR20230119914A (ko) 모터 및 이를 구비한 팬-모터 조립체
KR20230122402A (ko) 팬-모터 조립체
US20220149689A1 (en) Electrical contacting of stator terminals on a printed circuit board using horizontally aligned insulation displacement contacts
US20230094078A1 (en) Motor assembly
KR20230071546A (ko) 모터
KR20210008821A (ko) 모터
KR20220067984A (ko) 모터 조립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