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2402A - 팬-모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팬-모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2402A
KR20230122402A KR1020220019029A KR20220019029A KR20230122402A KR 20230122402 A KR20230122402 A KR 20230122402A KR 1020220019029 A KR1020220019029 A KR 1020220019029A KR 20220019029 A KR20220019029 A KR 20220019029A KR 20230122402 A KR20230122402 A KR 202301224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rib
stator
axial direction
al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9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광용
김용대
홍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19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2402A/ko
Publication of KR20230122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24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3Couplings; Details of shaf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32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 H02K3/3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between conductors or between conductor and core, e.g. slot insulation
    • H02K3/345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between conductors or between conductor and core, e.g. slot insulation between conductor and core, e.g. slot insul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6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 H02K5/161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radially supporting the rotary shaft at both ends of the ro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earings
    • H02K7/08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earings radially supporting the rotary shaft at both ends of the ro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4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loads, e.g. with hand-held machine tools or fans

Abstract

본 발명은 팬-모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임펠러; 축방향을 따라 상기 임펠러의 일 측에 구비되는 스테이터; 일 단부가 상기 임펠러에 결합되는 회전축을 구비하고, 상기 스테이터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로터; 및 상기 스테이터의 외부에 구비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터 및 하우징의 상호 접촉영역에는 축방향을 따라 맞물림되는 축방향맞물림부가 구비되게 구성된다. 이에 의해, 스테이터의 접착제를 이용한 결합이 배제될 수 있다.

Description

팬-모터 조립체{FAN-MOTOR ASSEMBLY}
본 발명은, 팬-모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모터는 전기적 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모터는, 통상 스테이터 및 상기 스테이터에 대해 소정의 공극(AIR GAP)을 두고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로터를 구비한다.
상기 모터는 사용용도에 따라 다양한 크기 및 무게를 구비하게 구성된다.
상기 모터 중 일부는 회전시 압력 발생 및/또는 공기의 이동 촉진을 위해 임펠러가 구비된 소위 팬-모터 조립체로 구현된다.
상기 팬-모터 조립체 중 일부는 손으로 들고 사용하는 헤어드라이어, 진공청소기 등의 핸드헬드 장치에 적용된다.
한편, 이러한 핸드헬드 장치의 팬-모터 조립체에 있어서는, 사용자의 취급시 편의를 고려하여 요구되는 풍량을 유지하면서 팬-모터 조립체의 크기 및 무게를 줄이는 것이 관건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팬-모터 조립체에 있어서는, 임펠러, 스테이터 및 로터의 크기를 줄일 경우, 풍량이 감소되고, 이를 보상하기 위해, 상기 임펠러 및 로터를 고속으로 회전시킬 경우, 진동 및 소음이 증가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임펠러, 스테이터 및 로터의 크기를 줄일 경우, 상기 로터의 회전축에 구비되는 베어링을 지지하는 베어링지지부의 지지강도가 충분히 확보하기가 곤란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기 베어링을 지지하는 베어링지지부의 지지강도가 미흡하게 될 경우, 상기 베어링의 진동에 기인한 마모가 증가되어 상기 베어링의 수명이 현저하게 단축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러한 종래의 팬-모터 조립체 중 일부에 있어서는, 축방향을 따라 상기 스테이터의 양 측에 베어링을 각각 구비하는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을 배치하고, 상기 하우징(제1하우징 및/또는 제2하우징)과 상기 스테이터를 접착제로 접착하는 방법이 이용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하우징과 스테이터를 접착제로 접착하는 팬-모터 조립체에 있어서는, 상기 하우징과 스테이터의 접착 시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스테이터를 정확한 조립위치에 각각 유지되도록 하면서 상기 하우징 및 스테이터를 접착시키기가 용이하지 아니하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기 하우징과 상기 스테이터의 접착 후, 불량 발생 시, 이를 수정하기가 곤란하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과 상기 스테이터가 정확한 조립위치에 조립 및 접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1하우징 및 상기 제2하우징에 상호 맞물림되는 맞물림 구조물이 구비되며, 이러한 맞물림 구조물은 상기 스테이터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스테이터의 방열을 저해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맞물림구조물의 형성에 기인하여 상기 스테이터 및 로터의 온도가 상승되고, 이는 결국 상기 팬-모터 조립체의 강제마모에 기인한 수명 단축 및 운전효율 저하로 이어진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1289026 B1 KR 100438292 B1 KR 102210012 B1
따라서, 본 발명은, 스테이터의 접착제를 이용한 결합이 억제될 수 있는 팬-모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베어링의 횡변위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팬-모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테이터의 냉각이 촉진될 수 있는 팬-모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인 및 하우징의 축방향 두께를 각각 저감할 수 있는 팬-모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테이터 및 하우징의 유격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팬-모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의 해결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팬-모터 조립체는, 스테이터 및 상기 스테이터를 수용하는 하우징이 축방향을 따라 맞물림 결합되게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스테이터의 외부에 하우징이 구비되고, 상기 스테이터와 상기 하우징의 상호 접촉영역에 축방향을 따라 상호 맞물림 결합되는 축방향맞물림부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스테이터 및 하우징을 접착제로 결합하는 접착결합이 배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은 축방향을 따라 대면접촉되는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제1하우징의 내면에는 상기 스테이터와 축방향으로 접촉되는 스테이터접촉부가 구비되고, 상기 축방향맞물림부는 상기 스테이터 및 상기 제2하우징의 상호 접촉영역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임펠러; 축방향을 따라 상기 임펠러의 일 측에 구비되는 스테이터; 일 단부가 상기 임펠러에 결합되는 회전축을 구비하고, 상기 스테이터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로터; 및 상기 스테이터의 외부에 구비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터 및 하우징의 상호 접촉영역에는 축방향을 따라 맞물림결합되는 축방향맞물림부가 구비된다.
이에 의해, 상기 스테이터 및 상기 하우징의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결합이 배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은, 축방향을 따라 상기 스테이터의 일 측에 구비되는 제1하우징; 및 축방향을 따라 상기 스테이터의 타 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1하우징과 면접촉되는 제2하우징;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하우징은 상기 스테이터의 상기 임펠러측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2하우징은 상기 제1하우징의 대향측에 결합된다.
상기 제1하우징에는 축방향을 따라 상기 스테이터의 일 단부에 접촉되는 스테이터접촉부가 구비된다.
이에 의해, 상기 스테이터가 축방향을 따라 상기 임펠러측으로 이동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축방향맞물림부는, 상기 스테이터에 반경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리브; 및 상기 제2하우징에 상기 리브가 축방향으로 삽입되어 원주방향을 따라 수용결합되는 리브수용부;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상기 스테이터가 축방향을 따라 상기 제2하우징에 대해 상대 이동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리브는, 폭에 비해 긴 길이를 가지는 직사각형의 단면을 구비한다.
이에 의해, 상기 리브는 상기 직사각형 단면의 폭방향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리브는 상기 직사각형의 단면의 폭이 축방향을 따라 배치되게 형성된다.
이에 의해, 상기 리브는 축방향을 따라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리브 및 리브수용부가 탄성적으로 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축의 양 단부에는 제1베어링 및 제2베어링이 구비되고, 상기 제1하우징에는 상기 제1베어링이 수용되는 제1베어링수용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하우징에는 상기 제2베어링이 수용되는 제2베어링수용부가 구비된다.
이에 의해, 상기 스테이터, 제1하우징, 제2하우징, 상기 제1베어링수용부 및 제2베어링수용부의 동심도가 제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하우징은, 원통형상을 가지는 원통부; 및 상기 원통부의 일 단부를 차단하게 형성되는 디스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베어링수용부는 상기 디스크부에 형성된다.
이에 의해, 상기 제1베어링의 횡방향 변위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원통부에는, 내외가 연통되게 관통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의 개구부가 구비된다.
이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의 스테이터의 방열이 촉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축방향을 따라 상기 임펠러와 상기 스테이터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임펠러에 의해 이동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베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하우징은 상기 임펠러에 근접한 단부가 상기 베인의 내부에 삽입결합되게 구성된다.
이에 의해, 상기 제1하우징의 임펠러에 근접한 단부의 강성이 제고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1베어링수용부의 지지강도가 제고될 수 있어 상기 제1베어링의 횡방향 변위 발생이 더욱 억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베인은, 원통형상의 베인허브; 상기 베인허브의 외측에 동심적으로 배치되는 외벽; 및 일 단부는 상기 베인허브의 외면에 연결되고 타 단부는 상기 외벽의 내면에 연결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블레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베인허브 및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는 축방향을 따라 상기 외벽으로부터 상기 임펠러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임펠러는 원추형상의 단면을 구비하고, 내부에 상기 임펠러가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고, 축방향을 따라 일 단부가 상기 베인에 결합되는 임펠러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임펠러하우징의 내면은, 상기 임펠러에 대응되게 축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구간 및 상기 경사구간으로부터 절곡되어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축방향구간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임펠러하우징의 상기 축방향구간의 내부에 상기 외벽으로부터 상기 임펠러를 향해 돌출된 상기 베인허브 및 복수의 블레이드의 일 단부가 삽입된다.
이에 의해, 상기 임펠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임펠러하우징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가 일체로 형성된 상기 경사구간 및 상기 축방향구간에 의해 방향 전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베어링수용부는 축방향을 따라 상기 디스크부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베인허브에는 상기 제1베어링수용부의 돌출단부가 삽입될 수 있게 관통된 관통부가 구비된다.
이에 의해, 상기 제1베어링수용부가 상기 관통부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베어링수용부의 지지강도가 증가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1베어링수용부에 수용결합되는 제1베어링의 횡방향 변위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베어링의 내용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하우징의 디스크부 및 상기 베인허브는 면접촉되고, 상기 제1하우징의 디스크부 및 상기 베인허브에는 체결부재가 각각 결합되는 체결부재결합부가 상호 연통되게 형성된다.
이에 의해, 상기 제1하우징의 디스크부 및 상기 베인허브의 체결력이 증대될 수 있고, 상기 제1베어링수용부의 지지강도가 더욱 증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하우징은, 원반형상을 구비한 디스크부; 및 일 측은 상기 디스크부에 반경방향을 따라 연결되고 타 측은 절곡되어 축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레그부;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복수의 레그부는 상기 디스크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레그부의 단부는 상기 제1하우징의 단부와 면접촉된다.
상기 리브수용부는 상기 복수의 레그부에 형성된다.
이에 의해, 상기 스테이터와 상기 제2하우징이 축방향을 따라 구속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디스크부에는 상기 제2베어링수용부가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스테이터 및 상기 제2하우징이 미리 설정된 조립위치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2베어링수용부와 상기 스테이터의 동심도가 제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레그부는 상기 제1하우징의 원통부의 반경에 대응되는 곡률반경을 구비하는 원호형상의 단면을 구비한다.
이에 의해, 상기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의 각 단부의 면접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테이터는, 복수의 티스를 구비한 스테이터코어; 상기 복수의 티스에 권선되는 스테이터코일; 및 상기 스테이터코어 및 상기 스테이터코일을 절연하는 인슐레이터;를 구비하고,상기 리브는 상기 인슐레이터에 구비된다.
이에 의해, 상기 리브는 상기 인슐레이터의 사출시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리브의 형성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리브수용부는, 상기 제2하우징의 단부로부터 축방향을 따라 절개되게 형성되는 제1수용부; 및 상기 제1수용부와 연통되고 상기 제1수용부로부터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2수용부;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상기 리브는 축방향을 따라 상기 제1수용부에 삽입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제2수용부에 수용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리브는 상기 제2하우징에 대해 축방향을 따라 이동이 억제되게 구속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수용부는, 축방향으로 구속되는 구속위치 및 상기 구속위치로부터 원주방향을 따라 이동되고 상기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속해제위치 간을 이동가능하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구속해제위치는 상기 제1수용부의 축방향 일 측에 형성되고, 상기 구속위치는 상기 제1수용부로부터 원주방향으로 이동된 위치에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리브는 상기 제1수용부의 내부에 축방향을 따라 수용되어 상기 제2수용부의 상기 구속해제위치로 이동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구속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제2하우징 및 상기 스테이터는 상기 리브가 상기 리브수용부의 상기 구속위치에 수용됨으로써, 축방향을 따라 상대 이동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 및 상기 리브수용부의 상호 접촉영역에는 원주방향으로 상호 맞물림되는 원주방향맞물림부;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원주방향맞물림부는 상기 구속위치에 형성된다.
이에 의해, 상기 리브가 불시에 상기 구속해제위치로 이동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원주방향맞물림부는, 상기 리브 및 상기 리브수용부의 상호 접촉면 중 어느 하나로부터 축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 및 상기 리브 및 상기 리브수용부의 상호 접촉면 중 다른 하나에 상기 돌기와 접촉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돌기가 원주방향을 따라 상대 이동되는 것을 억제하는 돌기접촉부;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돌기는 상기 리브수용부에 구비되고, 상기 돌기접촉부는 상기 리브의 일 측면부로 구성된다.
이에 의해, 상기 리브는 일 측면부가 상기 돌기와 접촉됨으로써 상기 리브의원주방향 이동이 억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돌기에는 상기 리브가 상기 구속위치로 이동되게 안내하는 안내면이 구비된다.
이에 의해, 상기 리브가 상기 구속위치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돌기는 상기 리브에 축방향을 따라 돌출되고, 상기 돌기접촉부는 상기 리브수용부에 축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테이터 및 하우징에 축방향을 따라 맞물림되는 축방향맞물림부가 구비됨으로써, 스테이터 및 하우징의 접착제를 이용한 결합(본딩) 작업이 배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축방향을 따라 결합되는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제1하우징에는 스테이터의 단부와 접촉되는 스테이터접촉부가 구비되고, 상기 맞물림부는 상기 스테이터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리브 및 상기 제2하우징에 구비되는 리브수용부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스테이터 및 상기 하우징이 축방향으로 상대 이동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브는 폭에 비해 긴 길이를 가지는 직사각형의 단면을 구비하고, 상기 리브는 상기 폭이 축방향으로 배치되게 구성됨으로써, 상기 리브 및 리브수용부가 탄성적을 밀착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하우징에는 제1베어링수용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하우징엔ㄴ 제2베어링수용부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스테이터, 상기 하우징, 상기 제1베어링수용부 및 제2베어링수용부의 동심도가 제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하우징은, 원통부 및 디스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베어링수용부는 상기 디스크부에 구비됨으로써, 상기 제1베어링수용부의 횡방향 변위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하우징의 원통부에 복수의 개구부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스테이터의 방열이 촉진될 수 있다.
또한, 베인의 임펠러측 단부가 제1하우징의 내부에 삽입 결합되록 함으로써, 상기 임펠러에 근접한 단부의 강성이 제고될 수 있다.
또한, 베인은, 베인허브, 외벽 및 복수의 블레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베인허브 및 복수의 블레이드는 축방향을 따라 상기 외벽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고, 임펠러하우징의 내면은, 임펠러에 대응되게 축방향에 경사진 경사구간 및 상기 경사구간으로부터 절곡되어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축방향구간을 구비하고, 상기 축방향구간의 내부에 상기 외벽으로부터 돌출되는 베인허브 및 복수의 블레이드의 일 단부가 수용됨으로써, 상기 임펠러에 의해 이동된 공기가 상기 경사구간 및 축방향구간에 의해 원활하게 방향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베어링수용부는 제1하우징의 외면으로부터 축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베인허브에는 상기 돌출단부가 삽입될 수 있게 관통된 관통부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제1베어링수용부의 지지강도가 제고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제1베어링의 횡방향 변위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하우징의 디스크부 및 상기 베인허브는 면접촉되고, 체결부재가 각각 결합되는 체결부재결합부가 상호 연통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하우징 및 베인의 결합력이 제고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제1베어링수용부의 지지강도가 더욱 효과적으로 제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테이터는, 스테이터코어, 스테이터코일 및 상기 스테이터코일을 절연하는 인슐레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리브는 상기 인슐레이터에 구비됨으로써, 상기 리브의 형성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브 및 리브수용부의 상호 접촉영역중세서 구속위치에는 상기 리브가 구속위치에 고정되게 하는 원주방향맞물림부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리브가 상기 구속위치에서 상기 구속해제위치로 불시에 이동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스테이터 및 상기 하우징이 불시에 분리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모터 조립체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팬-모터 조립체의 종단면도,
도 3은 도 1의 팬-모터 조립체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의 임펠러하우징의 확대도,
도 5는 도 2의 베인의 정면도,
도 6은 도 3의 스테이터의 저면사시도,
도 7은 도 3의 제1하우징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제1하우징의 정면도,
도 9는 도 3의 제2하우징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제2하우징의 정면도,
도 11은 도 9의 제2하우징의 평면도,
도 12는 도 1의 스테이터 및 제2하우징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도 1의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도 1의 팬-모터 조립체의 공기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팬-모터 조립체의 정면도,
도 16은 도 15의 팬-모터 조립체의 분해사시도,
도 17은 도 16의 스테이터의 확대사시도,
도 18은 도 15의 리브 및 리브수용부의 결합상태의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팬-모터 조립체의 정면도,
도 20은 도 19의 리브 및 리브수용부의 결합상태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모터 조립체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팬-모터 조립체의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팬-모터 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임펠러하우징의 확대도이며, 도 5는 도 2의 베인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스테이터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모터 조립체(100)는, 임펠러(110), 하우징(350), 스테이터(220), 로터(310) 및 축방향맞물림부(450)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의 팬-모터 조립체(100)는, 크기가 작고 무게가 가벼운 초소형 팬-모터 조립체로 구현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본 실시예의 팬-모터 조립체(100)의 외관은 최대 외경이 50-60mm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실시예의 팬-모터 조립체(100)는, 핸드헬드 장치에 적용시 점유공간(설치공간)을 줄일 수 있고, 사용시 취급이 용이하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를 제고시킬 수 있다.
상기 임펠러(110)는, 예를 들면, 원추형상의 단면을 구비하게 구성된다.
상기 임펠러(110)는, 예를 들면, 허브(112) 및 상기 허브(112)의 둘레에 배치되는 복수의 블레이드(114)를 구비한다.
상기 임펠러(110)는 상기 로터(310)의 회전축(311)에 연결된다.
상기 임펠러(110)의 허브(112)에는 상기 로터(310)의 회전축(311)이 삽입 결합될 수 있게 회전축공(116)이 구비된다.
상기 임펠러(110)의 외측에는 임펠러하우징(140)이 구비된다.
상기 임펠러하우징(140)은 본 실시예의 팬-모터 조립체(100)에서 가장 큰 외경을 구비하게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임펠러하우징(140)은, 예를 들면, 외경이 50-60mm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임펠러하우징(140)은 내부에 상기 임펠러(110)가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임펠러수용부(142)가 구비된다.
상기 임펠러하우징(140)에는 상기 임펠러(110)의 회전시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144)가 구비된다. 상기 흡입구(144)는 상기 임펠러하우징(140)을 축방향을 따라 관통하여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축방향은 상기 로터(310)의 회전축(311)과 평행한 방향을 의미한다.
상기 임펠러(110)의 회전 시 이동되는 공기의 이동(흐름)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임펠러(110)의 하류측에는 베인(180)이 구비된다.
상기 베인(180)은 상기 임펠러(110)의 회전 시 공기가 이동되는 공기유로(188)를 구비한다.
상기 베인(180)은, 예를 들면, 원통형상의 베인허브(182), 상기 베인허브(182)의 외측에 동심적으로 배치되는 외벽(184) 및 일 단은 상기 베인허브(182)에 연결되고 타 단은 상기 외벽(184)에 연결되는 복수의 블레이드(186)를 구비한다.
상기 베인허브(182) 및 상기 외벽(184)의 사이에는 공기가 이동되는 공기유로가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186)는 상기 베인허브(182)의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186)는 반경방향을 따라 내측 단부는 상기 베인허브(182)의 외면에 연결되고 외측 단부는 상기 외벽(184)의 내면에 연결되게 구성된다.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186)는 축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각각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186)는 상기 임펠러(110)에 의해 이동되는 공기의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상류측 단부와 하류측 단부를 연결한 연결선이 축방향에 대해 각각 경사지게 배치되게 구성된다.
이에 의해, 상기 임펠러(110)에 의해 이동되는 공기는 상기 베인(180)을 통과하면서 축방향을 따라 하류측으로 이동됨과 아울러 축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된 복수의 블레이드(186)에 의해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되게 안내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베인허브(182) 및 복수의 블레이드(186)의 일 단부(도면상 상단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벽(184)의 일 단부(도면상 상단부)로부터 축방향을 따라 상기 임펠러(110)측으로 돌출된 돌출단부(189)를 각각 구비하게 구성된다.
상기 베인(180)의 외벽(184)의 상류측 단부는 상기 베인허브(182)의 상류측 단부에 비해 상기 임펠러(110)의 하류측단부로부터 축방향을 따라 더 멀리 이격된다.
상기 베인(180)의 외벽(184)의 하류측 단부는 상기 베인허브(182)의 하류측 단부에 비해 축방향을 따라 하류측으로 더 돌출된다.
상기 베인(180)의 하류측 단부는 상기 베인(180)의 외벽(184)의 하류측 단부에 비해 상기 임펠러(110)의 하류측 단부에 근접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베인(180)의 일 단부(임펠러(110)측 단부, 도면상 상단부)는 상기 임펠러하우징(140)의 내부에 삽입되게 구성된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임펠러하우징(140)의 내부에는 상기 베인(180)의 일 단부(돌출단부(189))가 수용되는 베인수용부(146)가 형성된다. 상기 베인수용부(146)는 상기 임펠러수용부(142)의 하류측에 상호 연통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임펠러하우징(140)의 내면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임펠러(110)의 형상에 대응되게 축방향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구간(147) 및 상기 경사구간(147)으로부터 절곡되어 축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축방향구간(148)을 구비하게 구성된다.
이에 의해, 상기 임펠러(110)의 회전 시 이동되는 공기가 일체로 형성된 상기 경사구간(147) 및 축방향구간(148)에 의해 원활하게 방향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축방향구간(148)의 내측에 상기 베인(180)의 돌출단부(189)가 수용 결합된다.
상기 임펠러하우징(140)은 반경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확장된 플랜지(151)가 구비된다.
상기 플랜지(151)는 상기 축방향구간(148)의 외면으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기 베인(180)에는 상기 임펠러하우징(140)의 플랜지(151)와 결합되는 확장부(191)가 구비된다.
상기 베인(180)의 확장부(191)는 상기 베인(180)의 외벽(184)으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기 임펠러하우징(140)과 상기 베인(180)은 축방향을 따라 면접촉되게 결합된다.
상기 임펠러하우징(140)의 플랜지(151)와 상기 베인(180)의 확장부(191)는 축방향을 따라 면접촉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임펠러하우징(140) 및 상기 베인(180)은 축방향으로 중첩되게 구성된다.
이에 의해, 팬-모터 조립체(100)의 축방향 길이가 단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임펠러하우징(140) 및 베인(180)의 결합력이 제고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임펠러하우징(140)의 플랜지(151)에는 상기 베인(180)의 확장부(191)가 수용 결합될 수 있게 베인결합부(153)가 형성된다.
상기 베인결합부(153)는, 예를 들면, 상기 플랜지(151)의 일 측면(도면상 저부면)에 두께방향을 따라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인결합부(153)는, 예를 들면, 상기 베인(180)의 확장부(191)의 두께의 40 내지 60%가 수용될 수 있는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임펠러하우징(140) 및 상기 베인(180)은 복수의 체결부재(197)에 의해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임펠러하우징(140) 및 상기 베인(180)의 결합이 공고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임펠러하우징(140)의 플랜지(151) 및 상기 베인(180)의 확장부(191)에는 상기 복수의 체결부재(197)가 결합될 수 있게 체결부재결합부(155, 195)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임펠러하우징(140)의 체결부재결합부(155)는, 예를 들면, 상기 복수의 체결부재(197)의 수나사부가 나사결합될 수 있게 암나사부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팬-모터 조립체(100)는 고속회전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테이터(220) 및 로터(310)는 130 내지 180krpm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팬-모터 조립체(100)는, 크기 및 무게가 상대적으로 작고 고속회전이 가능한 초소형 팬-모터 조립체로 구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테이터(220)는, 예를 들면, 외경이 40mm 내외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터(310)의 영구자석(315)은, 예를 들면, 외경이 9mm 내외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실시예의 팬-모터 조립체(100)는, 크기 및 무게가 감소됨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고속회전됨으로써 충분한 풍량이 확보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220)는, 예를 들면, 스테이터코어(230), 상기 스테이터코어(230)에 권선되는 스테이터코일(250) 및 상기 스테이터코일(250)을 절연하는 인슐레이터(27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테이터코어(230)는, 예를 들면, 원통형상으로 구현된다.
상기 스테이터코어(230)는, 예를 들면, 복수의 원형의 전기강판(232)을 절연적층하여 형성된다.
상기 스테이터코어(230)의 내부에는 상기 로터(310)가 소정의 공극(G: air gap)을 두고 회전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게 로터수용공(233)이 구비된다.
상기 로터수용공(233_은 상기 스테이터코어(230)를 축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스테이터코어(230)는, 예를 들면, 링형상의 요크(234) 및 상기 요크(234)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 돌출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는 복수의 티스(235)를 구비한다.
상기 스테이터코어(230)는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연속된 2개의 티스(235)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슬롯(236)을 구비한다.
상기 복수의 티스(235) 및 슬롯(236)은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교호적으로 배치된다.
상기 인슐레이터(270)는 전기절연부재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인슐레이터(270)는 축방향을 따라 서로 결합되는 제1인슐레이터(270a) 및 제2인슐레이터(270b)를 구비하게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인슐레이터(270a)는 축방향을 따라 상기 스테이터코어(230)의 상기 임펠러(110)측에 가까운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인슐레이터(270b)는 상기 제1인슐레이터(270a)의 대향측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티스(235) 및 슬롯(236)은 6개로 각각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인슐레이터(270)(제1인슐레이터(270a), 제2인슐레이터(270b))는, 예를 들면, 상기 스테이터코어(230)의 요크(234)를 절연하는 요크절연부(2701), 상기 티스(235)를 절연하는 티스절연부(2702) 및 상기 슬롯(236)을 절연하는 슬롯절연부(2703)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인슐레이터(270)는, 상기 요크절연부(2701), 티스절연부(2702) 및 슬롯절연부(2703)를 각각 구비하는 6개로 구성된다. 즉, 상기 제1인슐레이터(270a) 및 제2인슐레이터(270b)는 상기 요크절연부(2701), 티스절연부(2702) 및 슬롯절연부(2703)를 각각 6개씩 구비하여 축방향을 따라 상기 스테이터코어(230)의 양 측에서 각각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인슐레이터(270)(제1인슐레이터(270a) 및 제2인슐레이터(270b))가 원주방향을 따라 6개로 분리되게 구현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일 뿐이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인슐레이터는 상기 요크절연부 및 슬롯절연부가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인슐레이터는 상기 스테이터코어(230)를 금형의 내부에 인서트(insert)하여 일체로 사출성형될 수도 있다.
상기 스테이터코일(250)은, 예를 들면, 상기 복수의 티스(235)의 둘레에 각각 집중적으로 권선되는 복수의 코일부(251)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테이터코일(250)은 6개의 코일부(251)를 구비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일 뿐이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스테이터코일(250)은, 예를 들면, 3상 교류 전력이 인가되게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면에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6개의 코일부(251)는 3상전원의 각 상(U상, V상, W상)에 각각 연결되게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3상전원의 U상, V상, 및 W상에는 2개의 코일부(251)가 각각 병렬로 연결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U상전원에는 제1U상코일 및 제2U상코일이 서로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V상전원에는 제1V상코일 및 제2V상코일이 서로 병렬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W상전원에는 제1W상코일 및 제2W상코일이 병렬로 연결된다.
본 실시예의 팬-모터 조립체(100)는, 상기 스테이터코일(250)에 3상 교류 전력을 공급하는 피씨비(PCB: Pricted Circuit Board)(290)를 구비한다.
상기 피씨비(290)는, 축방향을 따라 상기 스테이터(220)의 일 측(도면상 하측)에 구비된다.
상기 스테이터(220)는 축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상기 피씨비(290)에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단자(255)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복수의 연결단자(255)는 3개로 구현된다.
상기 복수의 연결단자(255)는, 예를 들면, 상기 인슐레이터(27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피씨비(290)는, 예를 들면, 기판(2901) 및 상기 기판(2901)에 구비되는 복수의 회로부품(2902)을 구비한다. 상기 기판(2901)에는 상기 스테이터코일(250)에 3상 교류 전력을 공급할 수 있게 인버터회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판(2901)에는 상기 복수의 연결단자(255)가 삽입 결합될 수 있게 복수의 연결단자결합부(2903)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복수의 연결단자결합부(2903)는, 예를 들면, 상기 기판(2901)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연결단자(255)는 3상전원의 각 상(U상, V상, W상)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 각 상(U상, V상, W상)의 연결단자(255)에는 상기 제1U상코일 및 제2U상코일, 제1V상코일 및 제2V상코일, 제1W상코일 및 제2W상코일이 각각 연결된다.
상기 로터(310)는, 예를 들면, 회전축(311) 및 상기 회전축(311)에 결합되는 영구자석(315)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영구자석(315)은, 예를 들면, 원통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영구자석(315)은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자극(N극, S극)이 배치되게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영구자석(315)은 원주방향을 따라 4개의 자극(N극, S극)이 교호적으로 배치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311)은 상기 영구자석(315)에 비해 긴 길이를 가진다.
상기 회전축(311)은 축방향을 따라 상기 영구자석(315)의 양 측으로 연장된다.
상기 회전축(311)의 일 단부(상류측 단부, 도면상 상단부)는 상기 임펠러(110)에 결합된다.
이에 의해, 상기 로터(310)의 회전 시 상기 임펠러(110)가 동시에 회전된다.
상기 회전축(311)은, 예를 들면, 축방향을 따라 양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311)의 양 측 단부영역에는 베어링(320)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베어링(320)은, 예를 들면, 외륜(3201), 상기 외륜(3201)과 동심적으로 배치되는 내륜(3202) 및 상기 외륜(3201)과 내륜(3202) 사이에 삽입되는 복수의 볼(3203)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어링(320)은, 축방향을 따라 영구자석(315)의 양 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1베어링(320a) 및 제2베어링(320b)을 구비한다.
상기 제1베어링(320a)은 상기 영구자석(315)의 일 측(도면상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2베어링(320b)은 상기 영구자석(315)의 타 측(도면상 하측)에 구비된다.
상기 제1베어링(320a)은 축방향을 따라 상기 임펠러(110)와 상기 영구자석(315) 사이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베어링(320)은 하우징(350)에 의해 지지되게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350)은, 예를 들면, 축방향을 따라 서로 대면되는 제1하우징(360) 및 제2하우징(410)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하우징(360) 및 제2하우징(410)은 내부에 상기 스테이터(220)가 동심적으로 수용 결합되게 구성된다.
이에 의해, 상기 제1하우징(360) 및 제2하우징(410)에 의해 지지되는 제1베어링(320a) 및 제2베어링(320b)이 상기 스테이터(220)와 동심적으로 각각 배치되고 지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하우징(360)은 축방향을 따라 상기 스테이터(220)의 일 측(상류측, 도면상 상측)에 구비된다.
상기 제2하우징(410)은 축방향을 따라 상기 스테이터(220)의 타 측(하류측, 도면상 하측)에 구비된다.
상기 제1하우징(360)에는 상기 제1베어링(320a)이 구비되고, 상기 제2하우징(410)에는 상기 제2베어링(320b)이 구비된다.
이에 의해, 상기 스테이터(220) 및 상기 하우징(350)이 동심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1베어링(320a) 및 상기 제2베어링(320b)이 상기 제1하우징(360) 및 제2하우징(410)에 의해 각각 지지됨으로써, 상기 제1베어링(320a) 및 제2베어링(320b)이 상기 스테이터(220)에 대해 동심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회전축(311) 및 베어링(320)(제1베어링(320a) 및 제2베어링(320b))의 횡방향 변위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베어링(320)(제1베어링(320a) 및 제2베어링(320b))의 내용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360)에는 상기 제1베어링(320a)이 수용 결합되는 제1베어링수용부(380)가 구비된다.
상기 제2하우징(410)에는 상기 제2베어링(320b)이 수용 결합되는 제2베어링수용부(420)가 구비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테이터(220) 및 하우징(350)의 상호 접촉영역에는 축방향을 따라 맞물림되는 축방향맞물림부(450)가 구비된다.
이에 의해, 상기 스테이터(220) 및 하우징(350)의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 결합(본딩) 작업이 배제될 수 있다.
상기 축방향맞물림부(450)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구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축방향맞물림부(450)는 3개로 구현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일 뿐이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축방향맞물림부(450)는, 예를 들면, 상기 스테이터(220)에 반경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리브(452) 및 상기 제2하우징(410)에 상기 리브(452)가 축방향으로 삽입되어 원주방향을 따라 수용결합되는 리브수용부(455)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리브(452)는 상기 인슐레이터(270)에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브(452)는 상기 제2인슐레이터(270b)에 반경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리브(452)는 원주방향을 따라 동일 각도(예를 들면, 120도) 간격으로 이격되게 구성된다.
상기 리브(452)는, 예를 들면, 직육면체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브(452)는 폭(W)에 비해 긴 길이(L)를 가지는 직사각형 형상의 단면을 구비한다. 상기 리브(452)는,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단면의 폭(W)이 축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단면의 길이(L)가 원주방향으로 배치되게 구현된다.
이에 의해, 상기 리브(452)는 축방향으로 탄성 변형이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350)은 축방향을 따라 일 측(상류측, 도면상 상측)이 상기 베인(180)의 내부에 삽입 결합되게 구성된다.
이에 의해, 상기 베인(180) 및 하우징(350)(제1하우징(360))의 지지강도가 제고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1하우징(360)의 상류측 단부에 구비되는 제1베어링수용부(380)의 지지강도가 제고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상기 제1베어링(320a)의 횡방향 변위(진동)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베인(180)의 내부에 상기 제1하우징(360)이 미리 설정된 깊이로 삽입되게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350)은 축방향을 따라 상기 제1하우징(360)의 전체길이(축방향길이)의 20내지 50%가 삽입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제1하우징(360)의 상류측 단부(제1베어링수용부(380))의 지지강도가 제고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350)(제1하우징(360))은 내부에 수용된 스테이터(220)의 일 단부(상류측 단부, 도면상 상단부)에 대응되는 깊이로 삽입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하우징(350)(제1하우징(360), 제2하우징(410))의 내부에 수용된 스테이터(220)가 후술할 개구부(372), 개방부(416)및 관통부(4141)를 통해 외부에 노출될 수 있어 상기 스테이터(220)의 방열면적이 증가되고, 상기 스테이터(220)의 방열이 촉진될 수 있다.
도 7은 도 3의 제1하우징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제1하우징의 정면도이다.
도 2, 도 3,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하우징(360)은, 원통형상을 가지는 원통부(362) 및 상기 원통부(362)의 일 단부를 차단하게 형성되는 디스크부(364)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하우징(360)의 상기 원통부(362)의 내부에는 상기 스테이터(220)의 수용공간(366)이 형성된다.
축방향을 따라 상기 제1하우징(360)의 일 단부(상류측 단부, 도면상 상단부)에는 상기 베인(180)의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부(368)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368)는 상기 제1하우징(360)의 원통부(362)의 상류측 단부에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368)는 상기 베인(180)(베인허브(182))의 내경에 대응되게 반경방향으로 축소되게 형성된다.
상기 원통부(362)는 외경이 상기 베인(180)(베인허브(182))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제1하우징(360)의 디스크부(364)는 상기 베인허브(182)의 내면에 면접촉되게 결합된다.
상기 제1하우징(360)과 상기 베인(180)은 복수의 체결부재(375)에 의해 일체로 결합된다.
이에 의해, 상기 제1하우징(360)과 상기 베인(180)의 결합력이 더욱 제고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1하우징(360)의 디스크부(364)에 형성되는 제1베어링수용부(380)의 지지강도가 제고되어 상기 제1베어링수용부(380)의 횡방향 변위 발생이 더욱 억제될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360)의 디스크부(364)에는 상기 복수의 체결부재(375)가 결합될 수 있게 복수의 체결부재결합부(374)가 형성된다.
상기 베인(180)의 베인허브(182)에는 상기 복수의 체결부재(375)가 결합될 수 있게 복수의 체결부재결합부(1822)가 구비된다. 상기 베인(180)의 복수의 체결부재결합부(1822)는, 예를 들면, 상기 복수의 체결부재(375)의 수나사부와 나사결합될 수 있게 암나사부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360)은 축방향을 따라 상기 스테이터(220)의 일 단부(상류측 단부)와 접촉되는 스테이터접촉부(370)를 구비한다.
상기 스테이터접촉부(370)는 상기 제1하우징(360)의 내면에 반경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스테이터접촉부(370)는 상기 제1하우징(360)의 원통부(362)의 내면으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1하우징(360)에는 내외가 연통되게 관통된 개구부(372)가 구비된다.
이에 의해, 상기 제1하우징(360)의 내부에 수용된 스테이터(220)의 방열이 촉진될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360)의 개구부(372)는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 개로 구현된다.
상기 제1하우징(360)의 원통부(362)에는 복수의 개구부(372)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하우징(360)의 복수의 개구부(372)는 3개로 구현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일 뿐이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하우징(360)의 복수의 개구부(372)는 평면 투영 시 직사각 형상을 각각 구비한다.
상기 제1하우징(360)의 복수의 개구부(372)는 폭에 비해 긴 길이를 가지는 직사각 형상을 구비한다.
상기 제1하우징(360)의 개구부(372)는 폭이 축방향으로 배치되고 길이가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개구부(372)는 직사각형상의 길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이격간격을 구비하게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1하우징(360)의 내부에 수용된 스테이터(220)의 원주면의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이 상기 복수의 개구부(372)를 통해 외부에 노출된다.
이에 의해, 상기 스테이터(220)의 방열이 촉진될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360)은 상기 스테이터(220)(스테이터코어(230))와 동심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360)의 원통부(362)의 내면은 상기 스테이터(220)의 외면과 면접촉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360)의 원통부(362)의 내경은 상기 스테이터(220)(스테이터코어(230))의 외경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이에 의해, 상기 제1하우징(360)의 중심과 상기 스테이터(220)의 중심이 동일 선상에 정렬(축선정렬)될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360)에는 상기 제1베어링(320a)이 수용결합되는 제1베어링수용부(380)가 구비된다.
상기 제1베어링수용부(380)는 상기 제1하우징(360)의 디스크부(364)에 구비된다.
상기 제1베어링수용부(380)는 상기 제1하우징(360)의 원통부(362)와 동심적으로 형성된다.
이에 의해, 상기 제1베어링수용부(380)는 상기 스테이터(220)와 동심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베어링(제1베어링(320a))의 횡방향 변위(진동) 발생이 억제되어 상기 횡방향 변위에 기인한 상기 베어링(제1베어링(320a))의 강제 마모 발생이 억제된다. 이에 의해, 상기 베어링(제1베어링(320a))의 내용 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베어링수용부(380)는 축방향을 따라 상기 제1하우징(360)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게 구성된다.
상기 제1베어링수용부(380)는, 예를 들면, 축방향을 따라 상기 제1하우징(360)의 디스크부(364)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단부(3801)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1하우징(360)의 디스크부(364)의 두께를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제1베어링수용부(380)는 상기 디스크부(364)의 내면으로부터 축방향을 따라 내측(도면상 하측)으로 돌출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1하우징(360)의 디스크부(364)의 두께가 더욱 저감될 수 있다.
상기 베인(180)에는 상기 제1베어링수용부(380)의 돌출단부(3801)가 삽입결합될 수 있게 관통부(1821)가 구비된다.
이에 의해, 상기 제1베어링수용부(380)의 돌출단부(3801)가 상기 베인(180)의 관통부(1821)에 수용결합되어 지지됨으로써, 상기 제1베어링수용부(380)의 지지강도가 제고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제1베어링수용부(380)의 내부에 수용결합된 상기 제1베어링(320a)의 횡방향 변위(진동)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상기 관통부(1821)는 축방향을 따라 상기 베인허브(182)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관통부(1821)의 내경은 상기 돌출단부(3801)의 외경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도 9는 도 3의 제2하우징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제2하우징의 정면도이며, 도 11은 도 9의 제2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하우징(410)은 대략 원통 형상을 구비한다.
상기 제2하우징(410)은, 예를 들면, 상기 제1하우징(360)의 외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구비하게 구성된다.
상기 제2하우징(410)은 축방향을 따라 상기 스테이터(220)의 하류측에서 결합된다.
상기 제2하우징(410)의 내부에는 상기 스테이터(220)의 일 영역(하류측 단부)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410)은 축방향을 따라 일 측(상류측 단부, 도면상 상측)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2하우징(410)은, 예를 들면, 원반형상을 구비한 디스크부(412) 및 일 측은 상기 디스크부(412)에 반경방향을 따라 연결되고 타 측은 절곡되어 축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레그부(414)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하우징(410)의 복수의 레그부(414)는 3개로 구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하우징(410)의 복수의 레그부(414)가 3개로 구현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일 뿐이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복수의 레그부(414)는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다.
상기 복수의 레그부(414) 사이에는 개방부(416)가 각각 형성된다.
이에 의해, 상기 제2하우징(410)의 내부에 수용된 스테이터(220)의 노출면적(방열면적)이 증가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스테이터(220)의 방열이 촉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하우징(410)의 개방부(416)는 3개로 구현된다.
상기 복수의 레그부(414)는 상기 스테이터(220)(스테이터코어(230))의 외경에 대응되는 원주를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에 의해, 상기 제2하우징(410)은 상기 스테이터(220)(스테이터코어(230))와 동심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복수의 레그부(414)의 내면은 상기 스테이터(220)의 외경에 대응되는 곡률반경을 구비한 내면을 각각 구비한다.
상기 복수의 레그부(414)는 원호 단면 형상을 각각 구비한다.
상기 복수의 레그부(414)의 외면은 상기 제1하우징(360)의 원통부(362)의 외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각각 구비하게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제2하우징(410)의 복수의 레그부(414)의 단부(상류측 단부)는 상기 제1하우징(360)의 원통부(362)의 단부와 면접촉된다.
상기 제2하우징(410)의 복수의 레그부(414)는 상기 제1하우징(360)의 복수의 개구부(372)에 대응되게 배치된다.
상기 제2하우징(410)의 복수의 레그부(414)의 이격간격(상기 개방부(416)의 원주방향 폭)은 상기 제1하우징(360)의 복수의 개구부(372)의 이격간격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2하우징(410)의 복수의 레그부(414)는 축방향을 따라 상기 제1하우징(360)의 복수의 개구부(372)의 하측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제2하우징(410)의 복수의 레그부(414)에는 반경방향을 따라 관통된 관통부(4141)가 각각 형성된다.
이에 의해, 상기 제2하우징(410)의 내부와 외부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디스크부(412)에는 상기 복수의 레그부(414)의 관통부와 연통되게 절취된 절취부(4121)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절취부(4121)는 상기 레그부(414)의 개수에 대응되게 3개로 구성된다. 상기 각 절취부(4121)는 상기 디스크부(412)를 축방향으로 관통하여 각각 형성된다.
상기 각 절취부(4121)는 대략 부채꼴 형상을 각각 구비한다.
상기 절취부(4121)의 양 단부 사이의 내각은 둔각을 이루게 구성된다.
상기 제2하우징(410)의 디스크부(412)에는 상기 제2베어링수용부(420)가 구비된다.
상기 제2베어링수용부(420)는 상기 디스크부(412)의 중심에 형성된다.
상기 제2베어링수용부(420)에는 상기 디스크부(412)를 축방향을 따라 관통하여 형성되는 관통공(4201)이 구비된다.
상기 제2베어링수용부(420)는 상기 복수의 레그부(414)와 동심적으로 형성된다.
이에 의해, 상기 제2베어링수용부(420)는 상기 스테이터(220)와 동심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베어링(320)(제2베어링(320b))의 횡방향 변위(진동) 발생이 억제되어 상기 횡방향 변위(진동)에 기인한 상기 베어링(320)(제2베어링(320b))의 강제 마모 발생이 억제된다. 이에 의해, 상기 베어링(320)(제2베어링(320b))의 내용 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350)(제1하우징(360), 제2하우징(410))의 내부에 상기 스테이터(220)가 동심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350)(제1하우징(360), 제2하우징(410))에 동심적으로 구비된 제1베어링(320a) 및 제2베어링(320b)에 의해 상기 로터(310)가 동심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스테이터(220) 및 로터(310) 사이의 공극(G)이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스테이터(220) 및 로터(310) 사이의 공극 불균일에 기인한 출력 저하 발생이 억제됨으로써, 상기 팬-모터 조립체(100)의 출력이 제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베어링(320a) 및 제2베어링(320b)의 동심도가 안정적으로 유지됨으로써, 상기 제1베어링(320a) 및 제2베어링(320b)의 이심(편심)에 기인한 강제마모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제1베어링(320a) 및 제2베어링(320b)의 내용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하우징(410)에는 상기 리브수용부(455)가 구비된다.
상기 리브수용부(455)는 상기 제2하우징(410)의 복수의 레그부(414)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리브수용부(455)는 원주방향을 따라 동일 각도(예를 들면, 120도)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상기 리브수용부(455)는, 예를 들면, 상기 제2하우징(410)의 단부로부터 축방향을 따라 절개되게 형성되는 제1수용부(4551) 및 상기 제1수용부(4551)와 연통되고 상기 제1수용부(4551)로부터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2수용부(4552)를 구비한다.
상기 리브(452)는 축방향을 따라 상기 제1수용부(4551)에 수용된 후,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제2수용부(4552)의 내부에 수용된다.
상기 제1수용부(4551)는 상기 리브(452)의 직사각형 형상의 단면의 길이(L)에 대응되는 폭을 구비하게 구성된다.
상기 제1수용부(4551)는 상기 리브(452)의 직사각형 형상의 단면의 폭(W)의 2배 이상의 축방향 길이(깊이)를 가지게 형성된다.
상기 제2수용부(4552)는 상기 리브(452)의 직사각형 형상의 단면의 폭(W)에 대응되는 두께를 구비하게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리브(452) 및 제2수용부(4552)는 서로 억지끼워맞춤 결합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억지끼워맞춤은, 주지된 바와 같이, 상기 리브(452)와 상기 제2수용부(4552)의 결합시 틈새가 발생되지 아니하는 끼워맞춤을 의미한다.
이에 의해, 상기 리브(452)가 상기 제2수용부(4552)의 구속위치(P1)로 이동된 후 상기 리브(452)가 불시에 상기 구속해제위치(P2)로 이동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상기 제2수용부(4552)는 상기 리브(452)의 직사각형 형상의 단면의 길이(L)에 비해 2배 이상 긴 길이를 구비하게 구성된다.
상기 제2수용부(4552)는, 축방향으로 구속되는 구속위치(P1) 및 상기 구속위치(P1)로부터 원주방향을 따라 이동되고 상기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속해제위치(P2) 간을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구속해제위치(P2)는 축방향을 따라 상기 제1수용부(4551)와 연통되는 위치(도면상 우측)에 형성되고, 상기 구속위치(P1)는 상기 구속해제위치(P2)로부터 원주방향을 따라 일 방향(도면상 좌측방향)으로 이동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베인(180)의 내부에 상기 제1하우징(360)이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베인(180) 및 상기 제1하우징(360)은 복수의 체결부재(375)에 의해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360)의 제1베어링수용부(380)의 내부에 상기 제1베어링(320a)이 삽입 결합되고, 상기 베인(180)의 관통부(1821)를 통해 상기 회전축(311)의 단부가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311)의 단부(상단부)에는 상기 임펠러(11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임펠러(110)의 외측에는 상기 임펠러하우징(140)이 결합되고, 상기 임펠러하우징(140)에는 상기 베인(180)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임펠러하우징(140) 및 상기 베인(180)은 복수의 체결부재(197)에 의해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360)의 내부에는 상기 스테이터(220)가 삽입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360)의 내부에 상기 스테이터(220)를 축방향을 따라 삽입하면, 상기 제1하우징(360)의 스테이터접촉부(370)에 상기 스테이터(220)의 상단부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220)의 하류측 단부는 상기 제1하우징(360)의 하류측 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도 12는 도 1의 스테이터 및 제2하우징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3은 도 1의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4는 도 1의 팬-모터 조립체의 공기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리브(452)를 상기 제2하우징(410)의 리브수용부(455)에 결합하고자 할 때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방향을 따라 상기 각 리브(452)의 일 측(도면상 하측)에 각 리브수용부(455)의 제1수용부(4551)가 대응되도록 배치한다.
이때, 상기 스테이터(220)에 구비된 복수의 연결단자(255)는 상기 제2하우징(410)의 디스크부(412)에 형성된 절취부(4121)를 통해 상기 제2하우징(410)의 하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410)을 해당 리브(452)를 향해 축방향을 따라 이동시키고, 각 리브(452)를 해당 리브수용부(455)의 제1수용부(4551)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 각 리브(452)를 축방향을 따라 상대 이동시키면 상기 각 리브(452)는 상기 제2수용부(4552)의 저부면에 접촉되어 구속해제위치(P2)에 각각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각 리브(452)가 해당 리브수용부(455)의 상기 구속해제위치(P2)에 각각 위치되면, 상기 제2하우징(410)의 복수의 레그부(414)의 단부(상류측 단부)는 상기 제1하우징(360)의 하류측 단부와 면접촉된다.
다음, 상기 각 리브(452)가 상기 구속위치(P1)로 이동될 수 있게 상기 제2하우징(410)을 원주방향을 따라 가압한다.
상기 각 리브(452)가 해당 리브수용부(455)의 내부로 상대 이동되게 상기 제2하우징(410)을 회전시키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브(452)의 일 측면부(선단부)가 상기 제2수용부(4552)의 내벽에 접촉되어 상대 회전이 중지됨으로써, 상기 스테이터(220) 및 상기 제2하우징(410)의 결합이 완료된다.
여기서, 상기 리브(452) 및 리브수용부(455)는 전술한 바와 같이 억지끼워맞춤되므로 상기 리브(452)는 상기 구속위치(P1)에 유지되고, 상기 리브(452)가 불시에 상기 구속해제위치(P2)로 이동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220) 및 상기 제2하우징(410)의 결합이 완료되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하우징(410)의 하측(하류측)으로 돌출된 상기 복수의 연결단자(255)의 단부에 상기 피씨비(290)를 결합한다. 상기 복수의 연결단자(255)는 상기 피씨비(290)의 연결단자결합부(2903)에 각각 삽입 결합된 후 납땜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운전이 개시되어 상기 피씨비(290)를 통해 상기 스테이터코일(250)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스테이터코일(250)에 의해 자계가 형성된다. 상기 로터(310)는 상기 영구자석(315)에 의해 형성된 자계와 상기 스테이터코일(250)에 의해 형성된 자계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회전축(311)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이에 의해, 상기 임펠러(110)가 상기 회전축(311)과 함께 회전된다.
상기 임펠러(110)가 회전되면 상기 임펠러하우징(140)의 내부로 상기 흡입구(144)를 통해 공기가 흡입된다. 상기 임펠러하우징(140)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임펠러하우징(140)의 경사구간(147) 및 축방향구간(148)을 따라 방향 전환된다.
상기 축방향구간(148)에 의해 방향 전환된 공기는 상기 베인(180)의 공기유로(188)를 통해 이동되어 상기 제1하우징(360) 및 제2하우징(410)의 외면을 따라 하류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스테이터(220)는, 상기 제1하우징(360)의 복수의 개구부(372) 및 제2하우징(410)의 복수의 개방부(416) 및 상기 복수의 레그부(414)의 관통부(4141)를 통해 외부에 노출되고, 상기 임펠러(110)에 의해 하류측으로 이동되는 공기와 접촉되어 열교환됨으로써, 상기 스테이터(220)의 방열이 촉진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팬-모터 조립체의 정면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팬-모터 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17은 도 16의 스테이터의 확대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5의 리브 및 리브수용부의 결합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팬-모터 조립체(100a)는, 임펠러(110), 스테이터(220), 로터(310), 하우징(350) 및 축방향맞물림부(450)를 구비하여 초소형 팬-모터 조립체로 구성된다.
상기 임펠러(110)는, 예를 들면, 허브(112) 및 상기 허브(112)의 둘레에 구비되는 복수의 블레이드(114)를 구비한다.
상기 임펠러(110)의 외곽에는 임펠러하우징(140)이 구비된다.
상기 임펠러(110)의 하류측에는 베인(180)이 구비된다.
상기 베인(180)은 상기 임펠러하우징(140)과 축방향을 따라 결합된다.
상기 베인(180)은, 예를 들면, 원통형상의 베인허브(182), 상기 베인허브(182)의 외측에 동심적으로 배치되는 외벽(184) 및 일 단부는 상기 베인허브(182)의 외면에 연결되고 타 단부는 상기 외벽(184)의 내면에 연결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블레이드(186)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테이터(220)는, 예를 들면, 스테이터코어(230), 상기 스테이터코어(230)에 권선되는 스테이터코일(250) 및 상기 스테이터코일(250)을 절연하는 인슐레이터(270)를 구비한다.
상기 스테이터코어(230)는, 복수의 티스(235) 및 슬롯(236)을 구비하게 구성된다.
상기 복수의 티스(235) 및 슬롯(236)은 각각 6개로 구현된다.
상기 스테이터코일(250)은 상기 복수의 티스(235)에 각각 집중적으로 권선되는 복수의 코일부(251)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복수의 코일부(251)는, 예를 들면, 6개로 구현된다. 상기 스테이터코일(250)은 3상 교류 전력이 제공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인슐레이터(270)는 전기절연부재로 형성된다.
상기 인슐레이터(270)는, 예를 들면, 축방향을 따라 상호 결합되는 제1인슐레이터(270a) 및 제2인슐레이터(270b)를 구비한다.
상기 스테이터(220)의 내부에는 상기 로터(310)가 회전 가능하게 수용된다.
상기 로터(310)는, 예를 들면, 회전축(311) 및 상기 회전축(311)에 결합되는 영구자석(315)을 구비한다.
상기 회전축(311)에는 복수의 베어링(320)이 구비된다. 상기 복수의 베어링(320)은 축방향을 따라 이격배치되는 제1베어링(320a) 및 제2베어링(320b)을 구비한다.
상기 제1베어링(320a) 및 제2베어링(320b)은, 전술한 바와 같이, 외륜(3201), 상기 외륜(3201)의 내부에 동심적으로 배치되는 내륜(3202) 및 상기 외륜(3201)과 내륜(3202)사이에 구비되는 복수의 볼(3203)을 구비하여 볼 베어링으로 각각 구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테이터(220) 및 로터(310)는 고속회전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테이터(220) 및 로터(310)는, 고속회전(예를 들면, 130 내지 180krpm)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220)는 하우징(35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350)은, 예를 들면, 축방향을 따라 상기 스테이터(220)의 일 측에 구비되는 제1하우징(360) 및 축방향을 따라 상기 스테이터(220)의 타 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1하우징(360)과 면접촉되는 제2하우징(410)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하우징(360)은, 예를 들면, 원통형상을 가지는 원통부(362) 및 상기 원통부(362)의 일 단부를 차단하게 형성되는 디스크부(364)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원통부(362)에는 내외가 연통되게 관통된 복수의 개구부(372)가 구비된다.
상기 제2하우징(410)은, 예를 들면, 원반형상을 구비한 디스크부(412) 및 일 측은 상기 디스크부(412)에 반경방향을 따라 연결되고 타 측은 절곡되어 축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레그부(414)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하우징(410)의 복수의 레그부(414)는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2하우징(410)의 연속된 2개의 레그부(414) 사이에는 개방부(416)가 각각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레그부(414) 및 복수의 개방부(416)는 각각 3개로 구현된다.
상기 복수의 레그부(414)에는 반경방향을 따라 관통된 관통부(4141)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제2하우징(410)의 디스크부에는 상기 복수의 레그부(414)의 관통부(4141)와 연통되게 절취된 절취부(4121)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1하우징(360)에는 상기 제1베어링(320a)이 수용 결합되는 제1베어링수용부(380)가 구비된다. 상기 제2하우징(410)에는 상기 제2베어링(320b)이 수용 결합되는 제2베어링수용부(420)가 구비된다.
상기 제1베어링수용부(380)는 상기 제1하우징(360)의 디스크부(364)에 형성된다.
상기 제2베어링수용부(420)는 상기 제2하우징(410)의 디스크부(412)에 형성된다.
한편, 상기 축방향맞물림부(450)는, 상기 스테이터(220) 및 상기 하우징(350)의 상호 접촉영역에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축방향맞물림부(450)는, 상기 스테이터(220)에 반경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리브(452a) 및 상기 제2하우징(410)에 상기 리브(452a)가 축방향으로 삽입되어 원주방향을 따라 수용결합되는 리브수용부(455a)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리브(452a) 및 리브수용부(455a)는 중간끼워맞춤되게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중간끼워맞춤은, 주지된 바와 같이, 상기 리브(452a) 및 리브수용부(455a) 사이에 틈새 및 죔새가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끼워맞춤을 의미한다. 이에 의해, 상기 리브(452a) 및 리브수용부(455a)는 결합시 큰 가압력이 소요됨이 없이 상대적으로 작은 결합력으로 부드럽게 조립(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리브(452a)는 상기 인슐레이터(270)에 구비된다.
상기 리브(452a)는 상기 제2인슐레이터(270b)에 반경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리브(452a)는, 예를 들면, 폭(W)에 비해 긴 길이(L)를 가지는 직사각형의 단면을 구비하게 구성된다. 상기 리브(452a)는 상기 직사각형 단면의 폭(W)이 축방향으로 배치되게 형성된다.
상기 리브수용부(455a)는 상기 제2하우징(410)에 구비된다.
상기 리브수용부(455a)는, 예를 들면, 상기 제2하우징(410)의 단부로부터 축방향을 따라 절개되게 형성되는 제1수용부(4551a) 및 상기 제1수용부(4551a)와 연통되고 상기 제1수용부(4551a)로부터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2수용부(4552a)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수용부(4552a)는, 축방향으로 구속되는 구속위치(P1) 및 상기 구속위치(P1)로부터 원주방향을 따라 이동되고 상기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속해제위치(P2) 간을 이동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1수용부(4551a)는 상기 제2하우징(410)의 복수의 레그부(414)의 상류측 단부로부터 축방향을 따라 절개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1수용부(4551a)에는 상기 리브(452a)의 결합 시 상기 리브(452a)를 안내할 수 있게 안내면(457)이 구비된다. 상기 안내면(457)은 상기 제1수용부(4551a)의 입구에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리브(452a)가 상기 제1수용부(4551a)의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안내면(457)은 상기 리브(452b)를 축방향을 따라 안내하는 점에서 축방향안내면(457)으로 지칭될 수 있다.
상기 제2수용부(4552a)는, 상기 제1수용부(4551a)와 연통되는 구속해제위치(P2) 및 상기 구속해제위치(P2)로부터 원주방향을 따라 일 측(도면상 좌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구속위치(P1) 간을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2수용부(4552a)에는 상기 리브(452a)가 상기 구속위치(P1)로 이동될 수 있게 안내면(45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수용부(4552a)의 안내면(458)은 상기 구속위치(P1)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제2수용부(4552b)의 안내면(458)은 상기 리브(452b)를 원주방향을 따라 안내하는 점에서 원주방향안내면(458)으로 지칭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팬-모터 조립체(100a)는, 상기 리브(452ba) 및 상기 리브수용부(455a)의 상호 접촉영역중에서 상기 구속위치(P1)에는 원주방향으로 상호 맞물림되는 원주방향맞물림부(47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원주방향맞물림부(470)는, 예를 들면, 상기 리브(452ba) 및 상기 리브수용부(455a)의 상호 접촉면 중 어느 하나로부터 축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472) 및 상기 리브(452ba) 및 상기 리브수용부(455a)의 상호 접촉면 중 다른 하나에 상기 돌기(472)와 접촉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돌기(472)가 원주방향을 따라 상대 이동되는 것을 억제하는 돌기접촉부(475)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돌기(472)는, 예를 들면, 상기 리브(452a)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돌기(472)는, 예를 들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브(452a)의 일 면(도면상 상면)에 축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472)는, 예를 들면, 상기 리브(452a)의 일 면에 반경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472)는, 예를 들면, 상기 리브(452a)의 삽입 방향을 기준으로 후방 단부에 구비된다.
상기 돌기접촉부(475)는, 예를 들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기(472)를 수용할 수 있게 축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472)는, 예를 들면, 중앙이 외측으로 볼록한 원호 단면 형상을 구비한다.
상기 돌기접촉부(475)는 상기 제2수용부(4552a)의 일 측벽(도면상 상측벽)에 축방향을 따라 일 측(도면상 상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리브(452a) 및 상기 리브수용부(455a)를 결합하고자 할 때는, 상기 리브(452a)를 해당 리브수용부(455a)의 제1수용부(4551a)의 입구에 대고 축방향을 따라 상대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리브수용부(455a)의 제1수용부(4551a)의 입구에 형성된 안내면(457)에 의해 상기 리브(452a)의 저부면이 안내되어 상기 리브(452a)가 해당 제1수용부(4551a)의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수용부(4551a)의 내부로 삽입된 리브(452a)는 상기 제2수용부(4552a)의 저부에 접촉되어 상기 구속해제위치(P2)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리브(452a) 및 리브수용부(455a)를 원주방향을 따라 상대 이동시키면, 상기 제2수용부(4552a)의 안내면(458)에 의해 상기 리브(452a)는 상기 구속위치(P1)로 이동된다.
상기 리브(452a)가 상기 구속위치(P1)로 이동되면, 상기 리브(452a)의 돌기(472)가 상기 리브수용부(455a)의 돌기접촉부(475)에 수용결합된다. 이에 의해, 상기 리브(452a)가 불시에 상기 구속위치(P1)로부터 상기 구속해제위치(P2)로 이동되는 것이 억제됨으로써, 상기 리브(452a)는 상기 구속위치(P1)에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제1수용부(4551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팬-모터 조립체의 정면도이고, 도 20은 도 19의 리브 및 리브수용부의 결합상태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팬-모터 조립체(100b)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임펠러(110), 스테이터(220), 로터(310), 하우징(350) 및 축방향맞물림부(450b)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임펠러(1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허브(112) 및 복수의 블레이드(114)를 구비한다.
상기 임펠러(110)의 외측에는 임펠러하우징(140)이 구비된다.
상기 임펠러하우징(140)의 일 측(하류측)에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인(180)이 구비된다.
상기 베인(180)에는 상기 하우징(350)이 결합된다.
상기 하우징(350)은, 축방향을 따라 상호 결합되는 제1하우징(360) 및 제2하우징(410)을 구비한다.
상기 제1하우징(360) 및 제2하우징(410)의 내부에는 상기 스테이터(220)가 수용 결합된다.
상기 스테이터(220)의 내부에는 상기 로터(310)가 회전 가능하게 수용결합된다.
상기 로터(310)는, 예를 들면, 회전축(311) 및 영구자석(315)을 구비한다.
상기 회전축(311)은, 예를 들면, 베어링(32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베어링(320)은, 축방향을 따라 상기 영구자석(315)의 양 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1베어링(320a) 및 제2베어링(320b)을 구비한다. 상기 제1베어링(320a) ㅁ및 상기 제2베어링(320b)은, 예를 들면, 볼베어링으로 각각 구현된다.
상기 제1하우징(360)에는 상기 제1베어링(320a)이 수용결합되는 제1베어링수용부(380)가 구비되고, 상기 제2하우징(410)에는 상기 제2베어링(320b)이 수용결합되는 상기 제2베어링수용부(420)가 구비된다.
상기 스테이터(220) 및 상기 하우징(350)의 상호 접촉영역에는 축방향맞물림부(450b)가 구비된다.
상기 축방향맞물림부(450b)는, 상기 스테이터(220)에 반경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리브(452b) 및 상기 제2하우징(410)에 상기 리브(452b)가 축방향으로 삽입되어 원주방향을 따라 수용결합되는 리브수용부(455b)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리브(452b) 및 리브수용부(455b)는 중간끼워맞춤되게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중간끼워맞춤은, 주지된 바와 같이, 상기 리브(452b) 및 리브수용부(455b) 사이에 틈새 및 죔새가 부분적으로 각각 형성되는 끼워맞춤을 의미한다. 이에 의해, 상기 리브(452b) 및 리브수용부(455b)는 큰 가압력을 필요로 하지 아니하며, 상호 부드럽게 조립(결합)될 수 있다.
상기 리브(452b)는 상기 인슐레이터(270)에 구비된다.
상기 리브(452b)는 상기 제2인슐레이터(270b)에 반경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리브(452b)는, 예를 들면, 폭(W)에 비해 긴 길이(L)를 가지는 직사각형의 단면을 구비하게 구성된다. 상기 리브(452b)는 상기 직사각형 단면의 폭(W)이 축방향으로 배치되게 형성된다.
상기 리브수용부(455b)는 상기 제2하우징(410)에 구비된다.
상기 리브수용부(455b)는, 예를 들면, 상기 제2하우징(410)의 단부로부터 축방향을 따라 절개되게 형성되는 제1수용부(4551b) 및 상기 제1수용부(4551b)와 연통되고 상기 제1수용부(4551b)로부터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2수용부(4552b)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수용부(4552b)는, 축방향으로 구속되는 구속위치(P1) 및 상기 구속위치(P1)로부터 원주방향을 따라 이동되고 상기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속해제위치(P2) 간을 이동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1수용부(4551b)는 상기 제2하우징(410)의 복수의 레그부(414)의 상류측 단부로부터 축방향을 따라 절개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1수용부(4551b)에는 상기 리브(452b)의 결합 시 상기 리브(452b)를 안내할 수 있게 안내면(457)이 구비된다. 상기 안내면(457)은 상기 제1수용부(4551b)의 입구에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리브(452b)가 상기 제1수용부(4551b)의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안내면(457)은 상기 제1수용부(4551b)의 입구의 양 측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제2수용부(4552b)는, 상기 제1수용부(4551b)와 연통되는 구속해제위치(P2) 및 상기 구속해제위치(P2)로부터 원주방향을 따라 일 측(도면상 좌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구속위치(P1) 간을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2수용부(4552b)에는 상기 리브(452b)가 상기 구속위치(P1)로 이동될 수 있게 안내면(45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수용부(4552b)의 안내면(458)은 상기 구속위치(P1)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팬-모터 조립체(100b)는, 상기 리브(452b) 및 상기 리브수용부(455b)의 상호 접촉영역중에서 상기 구속위치(P1)에는 원주방향으로 상호 맞물림되는 원주방향맞물림부(470a)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원주방향맞물림부(470a)는, 예를 들면, 상기 리브(452b) 및 상기 리브수용부(455b)의 상호 접촉면 중 어느 하나로부터 축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472a) 및 상기 리브(452b) 및 상기 리브수용부(455b)의 상호 접촉면 중 다른 하나에 상기 돌기(472a)와 접촉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돌기(472a)가 원주방향을 따라 상대 이동되는 것을 억제하는 돌기접촉부(475a)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돌기(472a)는 상기 리브수용부(455b)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돌기(472a)는, 예를 들면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브수용부(455b)의 일 면(도면상 상면)에 축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472a)는, 예를 들면, 상기 리브수용부(455b)의 상면에 하향 돌출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돌기(472a)가 상기 리브수용부(455b)의 상면에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일 뿐이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돌기는 상기 리브수용부(455b)의 저부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돌기(472a)에는, 예를 들면, 상기 리브(452b)가 상기 구속위치(P1)로 이동될 수 있게 안내하는 안내면(473)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돌기접촉부(475a)는 상기 돌기(472a)의 일 측면부(도면상 우측면부)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돌기접촉부(475a)는 상기 돌기(472a)가 상기 구속해제위치(P2)로부터 상기 구속위치(P1)로 이동 시 상리 리브(452b)의 후방단부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리브(452b) 및 상기 리브수용부(455b)를 결합하고자 할 때는, 상기 리브(452b)를 해당 리브수용부(455b)의 제1수용부(4551b)의 입구에 대고 축방향을 따라 상대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리브수용부(455b)의 제1수용부(4551b)의 입구에 형성된 안내면에 의해 상기 리브(452b)의 저부면이 안내되어 상기 리브(452b)가 해당 제1수용부(4551b)의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수용부(4551b)의 내부로 삽입된 리브(452b)는 상기 제2수용부(4552b)의 저부에 접촉되어 상기 구속해제위치(P2)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리브(452b) 및 리브수용부(455b)를 원주방향을 따라 상대 이동시키면 상기 리브(452b)는 상기 구속위치(P1)로 이동된다.
상기 리브(452b)가 상기 구속위치(P1)로 이동되면, 상기 리브수용부(455b)의 돌기(472a)가 상기 리브(452b)의 후방단부(돌기접촉부(475a))에 접촉된다. 이에 의해, 상기 리브(452b)가 불시에 상기 구속해제위치(P2)로 이동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어 상기 리브(452b)는 상기 구속위치(P1)에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 사상 또는 본질적인 특징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앞서 기술한 상세한 설명에서 일일이 나열되지 않은 실시예라 하더라도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정의된 그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청구범위의 기술적 범위와 그 균등범위 내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포섭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임펠러;
    축방향을 따라 상기 임펠러의 일 측에 구비되는 스테이터;
    일 단부가 상기 임펠러에 결합되는 회전축을 구비하고, 상기 스테이터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로터; 및
    상기 스테이터의 외부에 구비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터 및 하우징의 상호 접촉영역에는 축방향을 따라 맞물림되는 축방향맞물림부가 구비되는 팬-모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축방향을 따라 상기 스테이터의 일 측에 구비되는 제1하우징; 및
    축방향을 따라 상기 스테이터의 타 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1하우징과 면접촉되는 제2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1하우징은 축방향을 따라 상기 스테이터의 일 단부와 접촉되는 스테이터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축방향맞물림부는,
    상기 스테이터에 반경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리브; 및
    상기 제2하우징에 상기 리브가 축방향으로 삽입되어 원주방향을 따라 수용결합되는 리브수용부;를 구비하는 팬-모터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폭에 비해 긴 길이를 가지는 직사각형의 단면을 구비하고,
    상기 리브는 상기 직사각형의 단면의 폭이 축방향을 따라 배치되게 형성되는 팬-모터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양 단부에는 제1베어링 및 제2베어링이 구비되고,
    상기 제1하우징에는 상기 제1베어링이 수용되는 제1베어링수용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하우징에는 상기 제2베어링이 수용되는 제2베어링수용부가 구비되는 팬-모터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은,
    원통형상을 가지는 원통부; 및
    상기 원통부의 일 단부를 차단하게 형성되는 디스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베어링수용부는 상기 디스크부에 형성되는 팬-모터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부에는, 내외가 연통되게 관통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의 개구부가 구비되는 팬-모터 조립체.
  7. 제5항에 있어서,
    축방향을 따라 상기 임펠러와 상기 스테이터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임펠러에 의해 이동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베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하우징은 상기 임펠러에 근접한 단부가 상기 베인의 내부에 삽입결합되는 팬-모터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인은,
    원통형상의 베인허브;
    상기 베인허브의 외측에 동심적으로 배치되는 외벽; 및
    일 단부는 상기 베인허브의 외면에 연결되고 타 단부는 상기 외벽의 내면에 연결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블레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베인허브 및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는 축방향을 따라 상기 외벽으로부터 상기 임펠러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는 팬-모터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는 원추형상의 단면을 구비하고,
    내부에 상기 임펠러가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고, 축방향을 따라 일 단부가 상기 베인에 결합되는 임펠러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임펠러하우징의 내면은, 상기 임펠러에 대응되게 축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구간 및 상기 경사구간으로부터 절곡되어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축방향구간을 구비하는 팬-모터 조립체.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베어링수용부는 축방향을 따라 상기 디스크부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베인허브에는 상기 제1베어링수용부의 돌출단부가 삽입될 수 있게 관통된 관통부가 구비되는 팬-모터 조립체.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의 디스크부 및 상기 베인허브는 면접촉되고,
    상기 제1하우징의 디스크부 및 상기 베인허브에는 체결부재가 각각 결합되는 체결부재결합부가 상호 연통되게 형성되는 팬-모터 조립체.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은,
    원반형상을 구비한 디스크부; 및
    일 측은 상기 디스크부에 반경방향을 따라 연결되고 타 측은 절곡되어 축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레그부;를 구비하고,
    상기 리브수용부는 상기 복수의 레그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하우징의 디스크부에는 상기 제2베어링수용부가 구비되는 팬-모터 조립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레그부는 상기 제1하우징의 원통부의 반경에 대응되는 곡률반경을 구비하는 원호형상의 단면을 구비하는 팬-모터 조립체.
  14. 제2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는,
    복수의 티스를 구비한 스테이터코어;
    상기 복수의 티스에 권선되는 스테이터코일; 및
    상기 스테이터코어 및 상기 스테이터코일을 절연하는 인슐레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리브는 상기 인슐레이터에 구비되는 팬-모터 조립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수용부는,
    상기 제2하우징의 단부로부터 축방향을 따라 절개되게 형성되는 제1수용부; 및
    상기 제1수용부와 연통되고 상기 제1수용부로부터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2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수용부는, 축방향으로 구속되는 구속위치 및 상기 구속위치로부터 원주방향을 따라 이동되고 상기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속해제위치 간을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팬-모터 조립체.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 및 상기 리브수용부의 상호 접촉영역중에서 상기 구속위치에는 원주방향으로 상호 맞물림되는 원주방향맞물림부;를 더 포함하는 팬-모터 조립체.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방향맞물림부는,
    상기 리브 및 상기 리브수용부의 상호 접촉면 중 어느 하나로부터 축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 및
    상기 리브 및 상기 리브수용부의 상호 접촉면 중 다른 하나에 상기 돌기와 접촉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돌기가 원주방향을 따라 상대 이동되는 것을 억제하는 돌기접촉부;를 구비하는 팬-모터 조립체.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리브수용부에 구비되고,
    상기 돌기접촉부는 상기 리브의 일 측면부인 팬-모터 조립체.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에는 상기 리브가 상기 구속위치로 이동되게 안내하는 안내면이 구비되는 팬-모터 조립체.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리브에 축방향을 따라 돌출되고,
    상기 돌기접촉부는 상기 리브수용부에 축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되는 팬-모터 조립체.
KR1020220019029A 2022-02-14 2022-02-14 팬-모터 조립체 KR202301224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9029A KR20230122402A (ko) 2022-02-14 2022-02-14 팬-모터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9029A KR20230122402A (ko) 2022-02-14 2022-02-14 팬-모터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2402A true KR20230122402A (ko) 2023-08-22

Family

ID=87799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9029A KR20230122402A (ko) 2022-02-14 2022-02-14 팬-모터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2402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8292B1 (ko) 2001-09-26 2004-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모터 방열구조
KR101289026B1 (ko) 2013-03-15 2013-07-23 주식회사 화승알앤에이 진공청소기용 모터 케이스
KR102210012B1 (ko) 2014-06-05 2021-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모터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청소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8292B1 (ko) 2001-09-26 2004-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모터 방열구조
KR101289026B1 (ko) 2013-03-15 2013-07-23 주식회사 화승알앤에이 진공청소기용 모터 케이스
KR102210012B1 (ko) 2014-06-05 2021-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모터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청소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849424B (zh) 单相永磁电机
JP2008545364A (ja) 電気機械用ロータ
WO2019077716A1 (ja) モータ、送風機、電気掃除機および手乾燥装置
WO2021100292A1 (ja) スロットレス型電動機、電動送風機および電気掃除機
EP4148961A1 (en) Motor assembly
JP2024050626A (ja) 軸流ファン
CN114204703A (zh) 马达组装体
KR20230122402A (ko) 팬-모터 조립체
US11722032B2 (en) Electric motor assembly
EP4145679A1 (en) Motor assembly
TWI797721B (zh) 電動馬達組件
TWI793664B (zh) 電動馬達組件
KR20230133064A (ko) 팬-모터 조립체
KR102499759B1 (ko) 모터 조립체
US20230094078A1 (en) Motor assembly
KR20230087273A (ko) 모터 조립체
KR20230119914A (ko) 모터 및 이를 구비한 팬-모터 조립체
CN210985766U (zh) 转子及具有其的电机
KR20230130428A (ko) 팬-모터 조립체
US20230270226A1 (en) Motor assembly and hair dryer having same
KR20220115421A (ko) 모터 조립체
KR20230169887A (ko) 모터
KR20220000698A (ko) 팬모터
KR20210133008A (ko) 팬모터
KR20210136672A (ko) 모터 어셈블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