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6672A - 모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모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6672A
KR20210136672A KR1020200055245A KR20200055245A KR20210136672A KR 20210136672 A KR20210136672 A KR 20210136672A KR 1020200055245 A KR1020200055245 A KR 1020200055245A KR 20200055245 A KR20200055245 A KR 20200055245A KR 20210136672 A KR20210136672 A KR 202101366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shaft
motor assembly
impeller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5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차렴
전차승
차진욱
정재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55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36672A/ko
Publication of KR20210136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66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3Couplings; Details of shaf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4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loads, e.g. with hand-held machine tools or f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9/00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 H02K9/02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 H02K9/04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having means for generating a flow of cooling medium
    • H02K9/06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having means for generating a flow of cooling medium with fans or impellers driven by the machine sh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모터의 회전축을 형성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는 로터와 상기 샤프트의 축방향을 따라 상기 로터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엔드플레이트 및 상기 로터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어 자로를 형성하는 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엔드플레이트는, 상기 로터의 단부면에 접하며 상기 로터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및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돌출부는 상기 로터와 상기 코어 사이에 유동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모터 어셈블리{MOTOR ASSEMBLY}
본 발명은 모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터는 스테이터와 로터의 상호 작용에 의해 구동력을 구현하는 장치로써, 기본적으로 고정자와 회전자의 전반적인 구조는 동일하다.
그러나 고정자와 회전자 사이의 상호 작용으로 회전자가 회전하는 원리에 따라 모터의 종류가 나뉘게 된다. 그리고 고정자 코일에 인가되는 전원의 종류나 상에 따라 모터의 종류가 나뉘기도 한다. 또한, 고정자 코일이 와인딩된 방법에 따라 모터의 종류가 나뉘기도 한다. 예로써, 직류식인 가변전압 전동기와 교류식인 3상 유동 전동기 등이 있다.
상기 모터의 일반적인 구조를 설명하면, 회전축을 형성하는 샤프트와 샤프트에 결합되는 로터와 하우징 내측에 고정되는 스테이터 코어가 마련되고, 스테이터는 로터의 둘레를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그리고 스테이터 코어에는 티스(Teeth)가 구비되어 상기 티스에는 코일이 권선되어 회전 자계를 형성하고, 로터와의 전기적 상호 작용을 유발하여 로터의 회전을 유도한다.
코일은 권선되는 방법에 따라서 집중권(concentrated winding)과 분포권(distributed winding)으로 구분되며, 집중권은 코일을 1개의 슬롯에 집중해서 감는 권선방식이며, 분포권은 코일을 2개 이상의 슬롯에 나누어 감는 권선방식이다.
집중권의 경우 분포권에 비하여 권선량을 줄이면서 동선(Copper loss)를 저감시킬 수 있으나, 코일이 슬롯에 과도하게 집중되어 있어 자속밀도의 변화가 크고, 철손(Core loss 또는 Iron loss), 즉 철심의 전력 손실이 증가한다. 이로 인해 집중권 방식으로 권선된 코일은 일반적으로 소형 모터에 사용되고 있다.
근래, 여러 가전 제품(예로써 헤어드라이기, 청소기 등이 있다.)에 사용되는 모터는 소형화 및 성능향상 요구에 따라 발생하는 조립성 확보, 유로면적 확보, 공간적인 제약 등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인용발명(10-2013-0034267, 2013년 04월 05일 공개)은 커버 블레이드부 가공을 위해 회전자 코어를 돌극구조로 제작한 형태 이다. 따라서, 원심 형태의 회전자 코어가 아니므로 원주방향으로 균일한 형태를 지니지 않고, 이는 균일한 자기력을 생성하는 것에 방해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회전 관성이 불균일하여 운용 시 진동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인용발명은 회전자 코어의 길이방향 중심부에 블레이드부가 위치함으로써, 형상의 특성상 중심부에 1개소만 설치 가능하여 방열효과가 미비하고, 회전자 코어와 접촉 시 가공공차에 따른 조립 불량 위험성이 상존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과제 중 하나는, 회전자의 방열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의 엔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모터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과제 중 하나는, 회전자 조립체의 축하중 절감을 통한 구조적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는 모터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과제 중 하나는, 회전체 임펠러로 인한 축하중을 상쇄시킬 수 있는 구조의 엔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모터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실시예는 돌극 구조의 엔드 플레이트를 통해 회전자 주변부의 유동을 형성하고, 형성된 유동에 의해 회전자와 고정자를 방열시킬 수 있는 모터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팬 형태의 돌극 구조를 형성하는 엔드 플레이트를 통해 회전자 조립체의 임펠러로 인한 축방향 하중과 반대 방향으로 반력을 형성하여 평형을 유지할 수 있는 모터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모터의 회전축을 형성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는 로터와 상기 샤프트의 축방향을 따라 상기 로터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엔드플레이트 및 상기 로터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어 자로를 형성하는 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엔드플레이트는, 상기 로터의 단부면에 접하며 상기 로터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및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돌출부는 상기 로터와 상기 코어 사이에 유동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로터의 반경 내에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지지부로부터 소정의 경사각을 형성하며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샤프트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왼나사방향 또는 오른나사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경사각을 형성하며 연장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상기 샤프트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임펠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엔드플레이트는, 상기 임펠러와 로터의 일면 사이에 구비되는 제1 엔드플레이트 및 상기 로터의 타면에 구비되는 제2 엔드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엔드플레이트의 돌출부는 상기 제2 엔드플레이트의 돌출부와 상기 로터를 기준으로 대칭될 수 있다.
상기 제1 엔드플레이트의 돌출부와 상기 제2 엔드플레이트의 돌출부는 각각의 지지부로부터 소정의 경사각을 형성하며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모터의 회전축을 형성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는 로터와 상기 로터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는 임펠러와 상기 임펠러와 상기 로터 사이에 구비되는 디퓨저와 상기 임펠러와 상기 디퓨저를 수용하며, 외기가 유입되는 흡입부가 형성되는 쉬라우드와 상기 샤프트의 축방향을 따라 상기 로터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엔드플레이트 및 상기 로터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어 자로를 형성하는 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엔드플레이트는, 상기 로터의 단부면에 접하며 상기 로터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흡입부로부터 상기 임펠러 및 상기 디퓨저를 따라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유동과, 상기 로터와 상기 코어 사이에서 제1 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 방향으로 유동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상기 디퓨저는, 상기 샤프트에 체결되는 디퓨저 바디 및 상기 디퓨저 바디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샤프트의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복수개의 베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임펠러는, 상기 샤프트에 체결되는 임펠러 바디 및 상기 임펠러 바디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샤프트의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복수개의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임펠러 바디는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단면으로부터 타단면으로 갈수록 원주가 커지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퓨저 바디는 일단면의 원주는 상기 임펠러 바디의 타단면의 원주와 동일하거나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디퓨저 바디는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단면으로부터 타단면으로 갈수록 원주가 커지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돌출부는 상기 로터의 반경 내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지지부로부터 소정의 경사각을 형성하며 연장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의 각각의 특징들은 다른 실시예들과 모순되거나 배타적이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복합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하면, 모터 회전자 주변부의 냉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회전자 조립체의 축 하중 절감을 통한 구조적 수명의 증대를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소형 고속 모터의 방열성능 향상, 회전자 조립체의 축하중 절감을 통한 내구성 향상 등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전술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엔드플레이트가 적용된 회전자의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어셈블리의 내부 구성 및 유동을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a),(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어셈블리(1)는 소형 가전제품에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써, 청소기에 사용될 수 있다. 청소기는 먼지를 흡입하는 노즐과 먼지를 저장하는 집진통이 호스로 연결되는 캐니스터 타입, 노즐과 집진통이 하나의 모듈로 구비되는 핸디형 타입이 있다. 핸디형 타입의 경우 사용자가 청소기 모듈 전체를 파지한 상태에서 청소가 수행되기 때문에 청소기의 전체적인 소형화 및 무게 절감이 요구된다.
상기 모터 어셈블리(1)는 상술한 바와 같은 요구에 부합하기 위한 소형 가전제품에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모터 어셈블리(1)는 쉬라우드(10), 임펠러(20)¸디퓨저(30), 하우징 커버(40), 코어 어셈블리(5), 모터 하우징(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쉬라우드(10)는 외기를 흡입하여 안내할 수 있다. 그리고 모터 어셈블리의 상부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쉬라우드(10)는 흡입부(101)¸경사부(102)¸제3 결합부(103)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부(101)는 쉬라우드(10)의 상단에 중공의 링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흡입부(101)를 통해 외기가 유입되므로, 상기 흡입부(101)의 직경은 상기 임펠러(20)의 직경을 고려하여 설계될 수 있다.
상기 쉬라우드(10)는 상기 흡입부(101)에서 완만한 굴곡을 형성하며 연장되는 경사부(1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부(102)는 상기 흡입부(101)로부터 축방향을 따라 직경이 커지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경사부(102)는 상기 흡입부(10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에 저항으로 작용될 수 있는 요소를 최소화 하기 위해 완만한 굴곡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경사부(102)의 일단은 상기 흡입부(101)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102)의 타단은 제3 결합부(10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결합부(103)는 상기 경사부(102)의 타단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소정의 두께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3 결합부(103)는 후술하는 하우징 커버(40)의 제2 결합부(403)의 일면에 접촉되어 상기 쉬라우드(10)와 하우징 커버(40)를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제3 결합부(103)의 두께 내에서 제3 결합부(103)와 제2 결합부(403)의 결합을 위한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임펠러(20)는 관통홀(20a), 블레이드(203), 임펠러 바디(20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임펠러(20)는 샤프트(52)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보다 자세히 임펠러(20)는 샤프트(52)의 축 방향을 기준으로 로터(53)가 설치되는 샤프트(52)의 타측과는 반대편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20a)에 모터의 회전축을 형성하는 샤프트(52)가 결합됨으로써, 임펠러(20)를 샤프트(52)의 일측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임펠러(20)는 샤프트(52)에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일 예로써, 나사체결방식에 의할 수 있다.
임펠러 바디(201)는 샤프트(52)의 축방향을 따라 원주가 넓어지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203)는 상기 임펠러 바디(201)의 외면에서 샤프트(52)의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203)는 임펠러 바디(201)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203)는 임펠러 바디(201)의 외측 표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임펠러(20)는 샤프트(52)의 축 방향으로 공기 등의 가스를 흡입한 후, 원심 방향과 축 방향 사이의 경사 방향으로 토출하는 사류형 임펠러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흡입부(101)를 통해 쉬라우드(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가스는 블레이드(203)의 회전에 의해 임펠러 바디(201)의 외측 표면을 따라 모터 하우징(60)측으로 안내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임펠러(20)는 축 방향으로 가스를 흡입하여 원심 방향으로 토출하는 원심형 임펠러로 구비될 수도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펠러(20)는 사류형 임펠러인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디퓨저(30)는 관통홀(30a), 체결홀(), 디퓨저 바디(301), 베인(30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퓨저(30)는 임펠러(20)를 통과하는 가스의 동압력을 정압력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상기 디퓨저(30)는 상기 관통홀(30a)에 샤프트(52)가 삽입됨으로써, 샤프트(52)에 체결될 수 있고, 상기 디퓨저(30)는 임펠러(20)와 로터(53)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관통홀(30a)은 상기 임펠러(20)와 디퓨저(30)가 샤프트(52)에 결합될 시, 임펠러(20)의 관통홀(20a)에 연통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홀(30b)은 디퓨저(30)를 하우징 커버(40)와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디퓨저 바디(301)는 샤프트(52)의 축방향을 따라 원주가 넓어지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인(303)은 상기 디퓨저 바디(301)의 외면에서 샤프트(52)의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베인(303)은 디퓨저 바디(301)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인(303)은 디퓨저 바디(301)의 외측 표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흡입부(101)를 통해 쉬라우드(10) 내부로 유입되는 가스는 임펠러(20)에 의해 쉬라우드(10)와 디퓨저(30) 사이의 공간으로 안내될 수 있으며, 쉬라우드(10)의 내면과 디퓨저(30) 사이로 유입되는 가스는 복수개의 베인(303)에 의해 코어 어셈블리(5) 측으로 안내될 수 있다.
하우징 커버(40)는 관통홀(40a), 체결홀(40b), 제2 베어링 하우징(401), 제2 브릿지(402), 제2 결합부(40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통홀(40a)은 샤프트(52)가 삽입되는 구성으로써, 하우징 커버(40), 디퓨저(30) 및 임펠러(20)가 샤프트(52)에 결합 시, 상기 임펠러의 관통홀(20a)과 상기 디퓨저의 관통홀(30a)과 연통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홀(40b)은 디퓨저(30)와 하우징 커버(40)의 결합을 위한 구성으로써, 하우징 커버(40)에 디퓨저(30)가 결합 시, 상기 디퓨저의 체결홀(30b)과 연통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베어링 하우징(401)은 상기 샤프트(52)의 일측을 지지하기 위한 제2 베어링(50)을 수용하는 구성으로써, 하우징 커버(40)의 중앙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베어링(50)은 일 예로 볼 베어링일 수 있으며, 샤프트(52)는 상기 제2 베어링(50)을 지지하기 위해 샤프트(52)의 외면에 반경방향 내측을 향해 함몰된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샤프트(52)는 상기 제2 베어링(50)을 지지하기 위해 샤프트(52)의 외면에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돌출된 단차가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2 결합부(403)는 샤프트(52)의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연장되어 소정의 두께를 형성한다. 상기 제2 결합부(403)의 일면은 상기 쉬라우드(10)의 제3 결합부(103)와 접촉하며, 상기 제2 결합부(403)의 타면은 모터 하우징(60)의 제1 결합부(601)와 접촉하여 쉬라우드(10), 하우징 커버(40) 및 모터 하우징(60)을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결합부(403)의 두께 내에서 상술한 결합을 위한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2 브릿지(402)는 제2 베어링 하우징(401)과 제2 결합부(403)를 연결한다. 제2 브릿지(402)는 하우징 커버(40)의 구조적 안정성을 위해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2 브릿지(402)의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 소정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브릿지(402)가 소정의 두께를 형성하면서 복수개가 구비될 경우 흡입부(101)를 통해 유입된 외기의 유동에 저항으로 작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제2 브릿지(402)는 샤프트(52)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경사를 형성한다. 상기 제2 브릿지(402)가 경사지게 구비됨에 따라 상기 흡입부(101)를 통해 유입된 외기의 유동에 저항으로 작용되는 부분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유동을 코어 어셈블리(5) 측으로 안내하여 코일(56)에 전류가 흐름으로써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킬 수 있다.
한편, 디퓨저(30)는 하우징 커버(4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하우징 커버(40)와는 별도로 제조된 이후 하우징 커버(40)와 체결될 수 있다.
로터(53)는 상기 샤프트(52)의 외면 중 일부를 감싸며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로터(53)와 코어 어셈블리(5)의 전자기적인 상호작용에 의해 샤프트(52)는 회전할 수 있으며, 샤프트(52)가 회전함에 따라 샤프트(52)에 체결된 임펠러(20) 또한 샤프트(52)와 함께 회전할 수 있으며, 임펠러(20)의 회전에 따라 외기가 모터 어셈블리(1)의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코어 어셈블리(5)는 코어(54), 인슐레이터(55a,55b), 코일(56)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모터는 BLDC 모터(brushless direct current motor)인 것이 예시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코어 어셈블리(5)는 로터(53)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코어(54)는 로터(53)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어 자로를 형성하며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코어(54)는 서로 이격되어 샤프트(52)의 반경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두 개의 폴암과 상기 두개의 폴암을 연결하는 요크로 형성된 독립된 C 형상의 코어이다.
상기 인슐레이터(55a,55b)는 상기 코어(54)에 결합되어 코어(54)의 폴암과 요크를 감싸며 코어(54)와 코일(56) 사이를 절연할 수 있다. 인슐레이터는 코어(54)에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제1 인슐레이터(55a)와 제2 인슐레이터(55b)로 구비될 수 있다.
모터 하우징(60)은 제1 결합부(601), 코어 지지부(603), 제1 브릿지(605), 제1 베어링 하우징(607)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부(601)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 커버(40)의 제2 결합부(403)와 결합되기 위한 구성으로써, 중공의 링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결합부(601)를 관통하며 상기 코어 어셈블리(5)가 상기 모터 하우징(60)에 샤프트(52)의 축 방향을 따라 결합될 수 있다.
코어 지지부(603)는 상기 코어 어셈블리(5)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써, 상기 제1 결합부(601)에서 샤프트(52)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코어 지지부(603)에서 샤프트(52)와 마주보는 면에는 안착홈(603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홈(6033)에 상기 코어 어셈블리(5)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코어 지지부(603)는 제2홀(6031)이 형성될 수 있다. 제2홀(6031)을 통해 코일(56)에 전류가 흐름으로써 발생하는 열을 방출시키거나, 흡입부(101)를 통해 유입된 외기가 상기 코어 어셈블리(5)를 거쳐 상기 제2홀(6031)로 토출됨으로써, 상기 코어 어셈블리(5)를 냉각시킬 수 있을 것이다.
제1 베어링 하우징(607)은 샤프트(52)의 일측을 지지하기 위한 제1 베어링(57)이 수용되는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제1 베어링 하우징(607)은 모터 하우징(60)의 중앙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베어링(57)은 일 예로써 볼 베어링일 수 있다. 상기 제1 베어링(57)과 제2 베어링(50)이 상기 샤프트(52)의 양측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샤프트(52)가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1 브릿지(605)는 상기 제1 베어링 하우징(607)과 코어 지지부(603)를 연결한다. 제1 브릿지(605)는 모터 하우징(60)의 구조적 안정성을 위해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2 브릿지(402)의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 소정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브릿지(605)는 제1홀(605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홀(6051)은 상기 제1 브릿지(605)의 두께 내에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브릿지(605)가 소정의 두께를 형성하면서 복수개가 구비될 경우 샤프트(52)의 길이방향을 따라 모터 하우징(60)의 내부를 통과하는 유동에 저항으로 작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제1 브릿지(605)는 상기 제1 브릿지(605)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홀(6051)이 형성되어 유동에 저항으로 작용되는 부분을 최소화 함과 동시에 모터 하우징(60)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엔드플레이트가 적용된 회전자의 사시도로써, 도 3a는 지지부에 돌출부가 형성된 엔드플레이트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b는 지지부에 홈이 형성된 엔드플레이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3a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엔드플레이트(581,582)는 로터(53)의 양측에 구비될 수 있다. 엔드플레이트(581,582)는 로터(53)가 샤프트(52)의 외주면 중 일부를 감싸며 구비될 수 있도록 위치를 고정하고, 로터(53)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엔드플레이트(581,582)는 샤프트(52)의 길이방향을 따라 로터(53)의 양단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엔드플레이트는 로터(53)의 일단에 구비된 제1 엔드플레이트(581)와 로터(53)의 타단에 구비된 제2 엔드플레이트(58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엔드플레이트(581)는 임펠러(20)와 로터(53)의 일면 사이에 구비되고, 제 2 엔드플레이트(582)는 로터(53)의 타면과 제1 베어링 하우징(607)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엔드플레이트는 지지부(5811)와 돌출부(58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5811)는 상기 로터(53)의 단부면에 접하며, 로터(53)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지지부(5811)는 상기 로터(53)의 일단면과 면접촉 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5813)는 상기 지지부(5811)로부터 상기 샤프트(52)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상기 돌출부(5813)는 상기 로터(53)의 반경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터(53)의 반경 내란, 로터(53)가 샤프트(52)의 외주면 중 일부를 감싸며 구비되므로, 샤프트(52)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로터(53)의 외주면까지의 반지름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로터(53)의 내주면으로부터 로터(53)의 외주면까지의 거리인 로터(53)의 두께 내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상기 돌출부(5813)는 상기 지지부(5811)로부터 상기 샤프트(52)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로터(53)의 반경 내에서 돌출되므로, 로터(53)의 회전 시 코어 어셈블리(5)에 상기 돌출부(5813)가 접촉하여 모터 어셈블리의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5813)는 상기 지지부(5811)로부터 소정의 경사각을 형성하며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돌출부(5813)는 샤프트(52)의 축방향을 기준으로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고, 이러한 돌출부(5813)의 구조에 의해 로터(53)의 회전 시 샤프트(52)의 축 하중에 반력으로 작용하는 외력을 샤프트(52)에 전달할 수 있다.
보다 자세히, 상기 샤프트(52)는 로터(53)를 기준으로 상측에 임펠러(20), 디퓨저(30)가 결합되어 축방향 하중을 받게 되어 모터 어셈블리의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돌출부(5813)가 경사면을 형성하며 로터(53)와 함께 회전할 경우, 상기 샤프트(52)에 축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외력을 제공함으로써, 샤프트(52)에 가해지는 축 하중을 감쇄시킬 수 있다.
물론, 상기 돌출부(5813)에 상술한 경사면이 형성되지 않고, 상기 지지부(5811)로부터 샤프트(52)의 축방향을 따라 돌출부(5813)가 형성되어도 로터(53)의 회전에 의해 로터(53)와 코어(54) 사이를 유동하는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이 돌출부(5813)가 소정의 경사각을 형성하면서 지지부(5811)로부터 연장될 경우 로터(53)와 코어(54) 사이를 유동하는 기류의 세기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샤프트(52)의 축 하중을 감쇄시킬 수도 있다.
상기 제2 엔드플레이트(582)는 상술한 제1 엔드플레이트(581)의 지지부(5811) 및 돌출부(5813)에 대응되는 지지부(5821)와 돌출부(5823)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엔드플레이트(582)의 지지부(5821)는 상기 로터(53)의 타단면과 면접촉하며 로터(53)를 지지하고, 상기 돌출부(5823)는 상기 지지부(5821)로부터 샤프트(52)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1 엔플레이트(581)의 돌출부(5813)와 제2 엔드플레이트(582)의 돌출부(5823)는 상기 로터(53)를 기준으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로터(53)와 코어(54) 사이의 유동의 세기를 증가시킴과 동시에 샤프트(52)의 축방향 하중의 상쇄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해 제1 엔드플레이트(581) 또는 제2 엔드플레이트(582)의 돌출부 중 어느 하나는 샤프트(52)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왼나사방향 또는 오른나사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경사각을 형성하고, 제1 엔드플레이트(581) 또는 제2 엔드플레이트(582)의 돌출부 중 다른 하나는 샤프트(52)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오른나사방향 또는 왼나사방향으로 경사각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엔드플레이트(581)의 돌출부(5813)와 지지부(5811)가 형성하는 경사각은 상기 제2 엔드플레이트(582)의 돌출부(5823)와 지지부(5821)가 형성하는 경사각과 샤프트(52)의 축방향을 기준으로 엇각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 3b는 지지부(5811b)에 홈(5813b)이 형성된 엔드플레이트를 나타낸 도면으로써, 상기 홈(5813b)은 상기 돌출부(5813)에 대응되는 구성으로써, 지지부(5811b)로부터 샤프트(52)의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되는 구성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어셈블리의 내부 구성 및 유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모터 어셈블리는 로터(53)의 회전에 따라 샤프트(52)에 결합되어 있는 임펠러(20)가 회전하게 된다. 임펠러(20)의 회전 시, 쉬라우드(10)의 흡입부(101)를 통해 외기가 유입된다. 상기 유입된 외기는 제1 방향으로 이동하여 토출된다. 상기 제1 방향이란, 상기 흡입부(101)를 통해 유입된 외기는 모터 어셈블리의 내부를 통과하여 모터 하우징(60)을 거쳐 제1 브릿지(605)의 사이 공간, 제1 브릿지(605)에 형성된 제1홀(6051) 또는 제2홀(6031)을 통해 토출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즉, 상기 제1 방향은 흡입부(101) 측에서 모터 하우징(60)을 향하는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흡입부(101)를 통해 유입된 외기는 디퓨저(30)와 쉬라우드(10)의 내면 사이 공간(S1)을 따라 이동하여 모터 하우징(60)의 내벽과 코일(54)의 외측 사이를 거쳐 제1 브릿지(605)들의 사이 공간 또는 제1 브릿지(605)에 형성된 제1홀(6051)을 통해 토출되는 제1 유동(f1)을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흡입부(101)를 통해 유입된 외기는 디퓨저(30)와 쉬라우드(10)의 내면 사이 공간(S1)을 따라 이동하다가 모터 하우징(60)의 내벽에서 방향이 꺾이며 코일(54)의 내측을 따라 이동하여 제1 브릿지(605)들의 사이 공간 또는 제1 브릿지(605)에 형성된 제1홀(6051)을 통해 토출되는 제2 유동(f2)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유동(f2)은 제1 결합부(601)와 코어 지지부(603)의 단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흡입부(101)를 통해 유입된 외기는 디퓨저(30)와 쉬라우드(10)의 내면 사이 공간(S1)을 따라 이동하다가 코어 지지부(603)들 사이 공간(S2) 또는 코어 지지부(603)에 형성된 제2 홀(603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제4 유동(f4)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로터(53)와 함께 엔드플레이트(58)가 회전하면서,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3 유동(f3)이 발생한다. 상기 제2 방향이란, 모터 하우징(60)에서 흡입부(101) 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3 유동(f3)은 모터 하우징(60) 측의 외기가 모터 어셈블리 내부로 유입되는 흐름으로써, 보다 자세히, 모터 하우징(60)의 제1 브릿지(605)들의 사이 공간 또는 제1홀(6051)을 통해 모터 어셈블리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동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3 유동(f3)은 상기 엔드플레이트(58)의 회전에 의해 형성되므로, 로터(53)와 코어(54) 사이를 통과하되, 로터(53)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유동(f2)은 상기 제3 유동(f3)과 같이 로터(53)와 코어(54) 사이에 흐르는 유동이나, 제3 유동(f3)보다 코어(54) 쪽에 근접하게 형성된다. 왜냐하면, 상기 제2 유동(f2)은 흡입부(101)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분리되어 코일(56)의 권선면을 따라 이동하기 때문이다.
덧붙여, 상기 흡입부(101)를 통해 유입된 외기는 디퓨저(30)와 쉬라우드(10)의 내면 사이 공간(S1)을 따라 이동하여 모터 하우징(60)의 하부 측에서 토출되기 전에 엔드플레이트(58)에 의해 형성된 제2 방향으로의 기류에 합류하는 제5 유동(f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5 유동(f5)은 코어 어셈블리(5)와 제1 브릿지(605) 또는 제1 베어링 하우징(607) 사이의 공간(S3)을 따라 샤프트(52) 측으로 이동하여 제2 방향을 따라 로터(53)와 코어(54) 사이를 이동하는 유동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5 유동(f5)은 바람직하게 상기 제3 유동(f3)에 합류하여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술한 제1 유동(f1), 제2 유동(f2) 및 제4 유동(f4)은 코어(54)에 권선된 코일(56)의 외측방향을 냉각시킬 수 있다. 상기 코일(56)의 외측방향이란, 권선된 코일 중 모터 하우징(60)의 내벽측과 마주하는 코일(56)을 의미할 수 있다.
상술한 제3 유동(f3) 및 제5 유동(f5)은 코어(54)에 권선된 코일(56)의 내측방향을 냉각시킬 수 있다. 상기 코일(56)의 내측방향이란, 상술한 코일(56)의 외측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권선된 코일 중 로터(53)측과 마주하는 코일(56)을 의미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제3 유동(f3) 및 제5 유동(f5)에 의해 샤프트(52)의 축 하중을 상쇄시켜 모터 어셈블리의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모터 어셈블리
10: 쉬라우드 101: 흡입부
102: 경사부 103: 제3 결합부
20: 임펠러
20a: 관통홀 201: 임펠러 바디
203: 블레이드
30: 디퓨저
30a: 관통홀 30b: 체결홀
301: 디퓨저 바디 303: 베인
40: 하우징 커버
40a: 관통홀 40b: 체결홀
401: 제2 베어링 하우징 402: 제2 브릿지
403: 제2 결합부
60: 모터 하우징
601: 제1 결합부 603: 코어 지지부
6031: 제2홀
605: 제1 브릿지 6051: 제1홀
607: 제1 베어링 하우징
5: 코어 어셈블리
50: 제2 베어링 52: 샤프트
53: 로터 54: 코어
541: 폴암 542: 연결부
543: 폴슈
56: 코일 57: 제1 베어링

Claims (15)

  1. 모터의 회전축을 형성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는 로터;
    상기 샤프트의 축방향을 따라 상기 로터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엔드플레이트; 및
    상기 로터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어 자로를 형성하는 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엔드플레이트는,
    상기 로터의 단부면에 접하며 상기 로터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및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돌출부는 상기 로터와 상기 코어 사이에 유동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로터의 반경 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지지부로부터 소정의 경사각을 형성하며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샤프트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왼나사방향 또는 오른나사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경사각을 형성하며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어셈블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임펠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엔드플레이트는,
    상기 임펠러와 로터의 일면 사이에 구비되는 제1 엔드플레이트; 및
    상기 로터의 타면에 구비되는 제2 엔드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어셈블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엔드플레이트의 돌출부는 상기 제2 엔드플레이트의 돌출부와 상기 로터를 기준으로 대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어셈블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엔드플레이트의 돌출부와 상기 제2 엔드플레이트의 돌출부는 각각의 지지부로부터 소정의 경사각을 형성하며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어셈블리.
  8. 모터의 회전축을 형성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는 로터;
    상기 로터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는 임펠러;
    상기 임펠러와 상기 로터 사이에 구비되는 디퓨저;
    상기 임펠러와 상기 디퓨저를 수용하며, 외기가 유입되는 흡입부가 형성되는 쉬라우드;
    상기 샤프트의 축방향을 따라 상기 로터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엔드플레이트; 및
    상기 로터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어 자로를 형성하는 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엔드플레이트는,
    상기 로터의 단부면에 접하며 상기 로터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흡입부로부터 상기 임펠러 및 상기 디퓨저를 따라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유동과, 상기 로터와 상기 코어 사이에서 제1 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 방향으로 유동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어셈블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퓨저는,
    상기 샤프트에 체결되는 디퓨저 바디; 및
    상기 디퓨저 바디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샤프트의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복수개의 베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어셈블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는,
    상기 샤프트에 체결되는 임펠러 바디; 및
    상기 임펠러 바디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샤프트의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복수개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어셈블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 바디는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단면으로부터 타단면으로 갈수록 원주가 커지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어셈블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퓨저 바디는 일단면의 원주는 상기 임펠러 바디의 타단면의 원주와 동일하거나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어셈블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디퓨저 바디는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단면으로부터 타단면으로 갈수록 원주가 커지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어셈블리.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로터의 반경 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어셈블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지지부로부터 소정의 경사각을 형성하며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어셈블리.
KR1020200055245A 2020-05-08 2020-05-08 모터 어셈블리 KR202101366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245A KR20210136672A (ko) 2020-05-08 2020-05-08 모터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245A KR20210136672A (ko) 2020-05-08 2020-05-08 모터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6672A true KR20210136672A (ko) 2021-11-17

Family

ID=78703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5245A KR20210136672A (ko) 2020-05-08 2020-05-08 모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3667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57255B2 (ja) モータ、送風機、電気掃除機および手乾燥装置
US20180209429A1 (en) Motor and air blow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2277265B1 (ko) 모터 어셈블리
US20230188005A1 (en) Motor assembly
AU2020445869B2 (en) Motor assembly
KR20210136671A (ko) 모터 어셈블리
KR20210136672A (ko) 모터 어셈블리
US20220360122A1 (en) Stator
EP3988798B1 (en) Fan motor
US20230268796A1 (en) Fan motor
KR102200104B1 (ko) 팬 모터
TWI823138B (zh) 電動馬達
WO2023162284A1 (ja) 電動送風機、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TW202224318A (zh) 風扇馬達
JPWO2022202273A5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