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0698A - 팬모터 - Google Patents

팬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0698A
KR20220000698A KR1020200078649A KR20200078649A KR20220000698A KR 20220000698 A KR20220000698 A KR 20220000698A KR 1020200078649 A KR1020200078649 A KR 1020200078649A KR 20200078649 A KR20200078649 A KR 20200078649A KR 20220000698 A KR20220000698 A KR 202200006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ig
bracket
bearing
vane hub
st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8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철
김용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786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0698A/ko
Publication of KR20220000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6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4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loads, e.g. with hand-held machine tools or f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 A45D20/12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e.g. nozzles, stan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27Rotor cores with permanent magnets
    • H02K1/2706Inner r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6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 H02K5/167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using sliding-contact or spherical cap bearings
    • H02K5/1672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using sliding-contact or spherical cap bearings radially supporting the rotary shaft at both ends of the ro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3Couplings; Details of shaf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9/00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 H02K9/02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 H02K9/04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having means for generating a flow of cooling medium
    • H02K9/06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having means for generating a flow of cooling medium with fans or impellers driven by the machine sh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형 팬모터에 관한 것으로서, 팬모터는 베어링을 지지하는 브라켓의 조립 시 원통형의 조립지그를 이용하여 회전축과 브라켓 간의 중심을 축방향으로 정렬시킴으로써, 회전축의 각도가 틀어졌다 하더라도 회전축과 베어링의 중심을 브라켓의 중심에 맞추어 베어링의 손상을 방지하고, 브라켓의 조립이 용이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팬모터{FAN MOTOR}
본 발명은 조립이 용이한 팬모터에 관한 것이다.
모터는 청소기나 헤어 드라이기 등의 가전기기에 설치될 수 있다.
청소기나 헤더 드라이기 등은 모터를 동력원으로 사용하여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팬모터는 팬(FAN)과 모터를 결합하고, 팬은 전동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됨으로 기류를 생성할 수 있다.
청소기나 헤어 드라이기는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들어 올린 상태로 작동될 수 있다.
사용자의 휴대성 및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청소기나 헤어 드라이기 등의 소형화 및 경량화가 요구된다.
이를 위해서는, 모터의 출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모터의 소형화 및 경량화가 요구된다. 또한, 모터의 고속 회전이 필수적이다.
한편, 팬모터는 영구자석이 장착되는 회전축과, 회전축을 지지하는 베어링, 베어링을 지지하는 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소형 팬모터는 베어링이 장착된 회전축과 브라켓의 조립 시 회전축 각도가 틀어짐에 따라 베어링과 브라켓 간의 중심이 서로 맞지 않게 되고, 베어링과 브라켓 간의 중심 편차가 영구자석과 스테이터 사이의 공극보다 더 커질 수 있다.
이로 인해, 베어링과 브라켓을 강제로 조립 시 베어링이 손상되거나, 조립 편차 및 팬모터의 무부하 구동 시 기계적인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베어링과 브라켓의 조립이 불가능하거나, 조립시간이 연장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브라켓의 조립 시 베어링의 손상을 방지하고, 베어링과 브라켓 간의 조립 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고, 무부하 구동 시 기계적인 손상을 방지하며, 조립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팬모터를 제공하는데 첫번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조립 시 회전축의 각도가 틀어져도 베어링과 회전축의 중심을 하우징 또는 베인 허브의 중심에 정렬시킬 수 있는 팬모터를 제공하는데 두번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임펠러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의 흐름방향을 기준으로 베인 허브의 하류측 단부에서 난류 혹은 와류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팬모터를 제공하는데 세번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스테이터의 냉각을 위해 스테이터 코어의 내측으로 흡입되는 환류 공기의 유동을 형성할 수 있는 팬모터를 제공하는데 네번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베인 허브와 브라켓의 조립위치를 축방향으로 정렬시켜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팬모터를 제공하는데 다섯번째 목적이 있다.
상술한 첫번째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팬모터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중심을 축방향으로 가로지르며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는 스테이터; 상기 스테이터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상기 회전축에 장착되는 영구자석; 상기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임펠러; 상기 스테이터를 감싸며, 상기 임펠러에 의해 흡입된 공기의 흐름을 가이드 하도록 외주면에서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베인을 구비하는 베인 허브; 상기 회전축의 양단을 지지하도록 상기 회전축에 장착되는 복수의 베어링; 상기 공기의 흐름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베인 허브의 하류측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베어링 중 상기 베인 허브의 하류측에 배치된 후방 베어링을 수용하는 베어링 수용부를 내측에 구비하는 브라켓; 상기 회전축과 상기 브라켓의 중심부를 축방향으로 맞추기 위한 조립지그가 결합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축에서 축방향을 따라 상기 후방 베어링의 하류측으로 연장되는 지그결합부; 및 상기 조립지그를 감싸도록 상기 브라켓의 중심부에 축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지그관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조립지그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조립지그의 양단부는, 상기 베인 허브의 하류측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상기 브라켓의 조립 시 상기 지그결합부와 상기 지그관통부를 축방향으로 연결하여, 상기 회전축과 상기 브라켓의 중심을 축방향으로 정렬시킬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조립지그의 내측에 상기 지그결합부를 수용 가능하도록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조립지그의 내주면 직경은 상기 지그결합부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지그관통부가 상기 조립지그의 외주면에서 축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조립지그의 외주면의 직경은 상기 지그관통부의 직경보다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조립지그의 길이는 상기 브라켓의 축방향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고, 상기 베인 허브의 하류측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상기 브라켓의 조립 시, 상기 브라켓이 상기 베인 허브의 하류측 단부에 결합되기 전에 상기 조립지그와 상기 지그관통부의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두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베어링 수용부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후방 베어링이 상기 베어링 수용부에 삽입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베어링 수용부의 전단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되는 챔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챔퍼는 상기 브라켓의 조립 시 상기 후방 베어링을 상기 베어링 수용부의 내측으로 가이드하여, 상기 하우징의 축방향 중심선에서 각도가 틀어진 상기 회전축과 상기 후방 베어링의 중심을 상기 하우징 또는 상기 베인 허브의 중심에 정렬시킬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베어링 수용부의 직경은 상기 지그관통부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고, 상기 베어링 수용부의 내측에 상기 지그관통부의 직경보다 더 큰 웨이브 와셔가 수용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브라켓은, 상기 베어링 수용부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베어링 수용부의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브리지; 및 상기 복수의 브리지 각각에서 축방향으로 돌출되고, 외주면이 상기 베인 허브의 하류측 단부 내주면에 외접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돌출부의 외주면 직경은 상기 베인 허브의 외주면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의 중심은 상기 돌출부의 결합 시 상기 베인 허브의 축방향 중심선에 정렬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브리지의 외주면 직경은 상기 베인 허브의 외주면 직경과 동일하고, 상기 복수의 돌출부 각각의 외주면에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에 상기 베인 허브의 하류측 단부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베인 허브의 하류측 단부에 복수의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결합홈은 상기 브리지와 축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되고, 상기 브리지의 일부가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세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스테이터는, 복수의 티스를 구비하고, 상기 베인 허브의 내측에 설치되는 스테이터 코어; 상기 복수의 티스에 각각 권선되는 복수의 스테이터 코일; 및 상기 스테이터 코어와 상기 복수의 스테이터 코일 사이를 절연시키도록 상기 스테이터 코어와 상기 스테이터 코일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인슐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브리지 사이의 개구부를 덮도록 상기 스테이터 코어에서 축방향을 따라 상기 개구부로 돌출되는 복수의 차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스테이터 코일에 3상의 교류전원을 인가하도록 복수의 리드선이 각각 연결되고, 상기 차폐부는, 상기 복수의 리드선을 절연시키도록 상기 복수의 인슐레이터에서 연장될 수 있다.
상술한 네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과 상기 베인 허브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환형공간; 상기 복수의 브리지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의 환류유입홀; 상기 복수의 환류유입홀과 연통되게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스테이터 코일 사이에 형성되는 환류유로; 및 상기 환형공간과 상기 환류유로에 연통되도록, 상기 공기의 흐름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베인 허브의 상류측에 축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환류유출홀을 포함하고, 상기 임펠러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흡입되는 공기의 유속 증가로 상기 환형공간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낮아지고, 상기 하우징 외부의 공기는 상기 환형공간 내에서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에 의해 상기 복수의 환류유입홀에서 상기 환류유로로 유입되어 상기 스테이터를 냉각하고, 상기 복수의 환류유출홀을 통해 상기 환형공간으로 유출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임펠러는, 상기 회전축을 관통시키는 축관통부를 구비하는 허브; 상기 허브의 외주면에서 상기 환형공간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허브는 상기 복수의 환류유출홀을 덮도록 상기 축관통부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차폐부의 외주면 직경은 상기 베인 허브의 외주면 직경과 동일하고, 상기 복수의 차폐부와 상기 복수의 브리지는 원주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어, 원형의 폐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환류유입홀은 상기 복수의 티스와 축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베인 허브는, 상기 공기의 흐름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스테이터의 상류측에 배치된 전방 베어링을 지지하는 베어링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환류유출홀은 상기 베어링 지지부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편심되고,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환류유출홀은 상기 복수의 환류유로와 축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환류 유동 시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술한 다섯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지그결합부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가이드 돌기; 상기 가이드 돌기와 결합되도록 상기 조립지그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가이드홈; 상기 조립지그의 외주면에서 축방향을 따라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얼라인 키; 및 상기 얼라인 키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지그관통부에 형성되는 얼라인 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팬모터 및 이의 조립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회전축에서 지그결합부가 공기의 흐름방향을 기준으로 후방 베어링의 하류측으로 연장된다.
지그관통부가 브라켓의 중심부에 축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원통형으로 형성된 조립지그의 일단부는 지그결합부에 결합되고, 조립지그의 타단부는 브라켓의 지그관통부에 결합됨으로, 브라켓과 회전축의 중심이 상호 정렬된다.
이에 따라, 회전축의 각도가 편심되게 틀어져도 브라켓의 중심이 회전축의 중심과 축방향으로 정렬되어, 후방 베어링은 브라켓의 베어링 수용부에 간섭되지 않고 원활하게 삽입 결합됨으로써, 베어링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팬모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조립지그를 이용하여 브라켓을 베인 허브의 후단에 조립하면, 회전축의 길이를 후방 베어링의 하류측으로 연장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팬모터의 소형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셋째, 공기의 흐름방향을 기준으로 베어링 수용부의 상류측에 챔퍼가 원주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되고, 챔퍼는 후방 베어링이 베어링 수용부에 삽입 결합 시 후방 베어링의 중심이 베어링 수용부의 중심에 맞추어지도록 가이드함으로써, 회전축의 각도가 편심되게 틀어져도 베인 허브의 축방향 중심선에 회전축을 정렬시킬 수 있다.
넷째, 임펠러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하우징과 베인 허브 사이의 환형 공간을 따라 고속으로 흘러서 상기 환형 공간 내에 동압이 상승하고 정압은 대기압보다 낮아진다. 상기 공기의 흐름방향을 기준으로 베인 허브의 상류측에 복수의 환류유출홀이 축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복수의 환류유출홀은 스테이터 코어 내측의 슬롯에 연통되고, 상기 환형 공간과 연통되게 연결된다.
상기 공기의 흐름방향을 기준으로 베이 허브의 하류측에 배치되는 브라켓의 브리지 사이에 복수의 환류유입홀이 상기 환류 유로와 연통되게 연결된다.
상기 환형공간 내의 정압이 대기압보다 낮아짐에 따라, 환형 공간과 연통되는 복수의 환류유출홀은 스테이터 코어 내부의 공기를 환형 공간으로 흡입함으로써, 환류 유동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환류유출홀은 임펠러의 반대측에서 외부의 공기를 스테이터 코어의 내부로 빨아들임으로, 스테이터의 냉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환류유출홀은 스테이터를 냉각한 공기를 환형공간으로 유출시켜 환형 공간을 따라 흐르는 공기에 합류하게 함으로써, 환형 공간을 따라 흐르는 공기의 유출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아울러, 스테이터의 냉각을 위해 별도의 동력이 불필요하므로,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다섯째, 복수의 차폐부는 스테이터의 인슐레이터에서 공기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베인 허브의 하류측으로 연장되고, 브라켓의 브리지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의 개구부를 덮도록 구성된다. 이에 의하면, 복수의 차폐부는 임펠러에서 생성된 공기가 베인 허브의 하류측에서 브라켓의 브리지 사이의 개구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베인 허브의 하류측에서 난류 또는 와류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여섯째, 회전축의 지그결합부와 조립지그의 일단부에 각각 가이드 돌기와 가이드 홈이 서로 형합 가능하게 형성되어, 회전축과 조립지그의 축방향 조립이 용이하다.
또한, 조립지그의 타단부와 브라켓의 지그관통부에 각각 얼라인 키와 얼라인 홈이 서로 형합 가능하게 형성되어, 조립지그와 브라켓의 축방향 조립이 용이하다. 따라서, 회전축, 조립지그 및 브라켓의 조립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팬모터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팬모터가 분해된 모습을 보여주는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III-III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브라켓에 베어링 수용부가 형성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지그를 이용한 팬모터의 회전축 및 브라켓 조립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VI-VI를 따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팬모터의 브라켓 조립 시 조립지그를 이용하지 않은 경우에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지그를 이용한 팬모터의 브라켓의 조립 전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 조립지그를 이용한 팬모터의 브라켓의 조립 후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0는 도 9에서 X-X를 따라 팬모터를 브라켓의 후단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여주는 후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팬 모터의 조립지그 및 조립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팬모터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팬모터가 분해된 모습을 보여주는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III-III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브라켓(150)에 베어링 수용부(151)가 형성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팬모터는 하우징(100), 임펠러(130), 베인 허브(140), 스테이터(110), 로터, 및 브라켓(1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팬모터의 외관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속이 빈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00)의 양측은 축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외부의 공기가 하우징(100)의 일측으로 유입되고, 하우징(100)의 타측으로 유출될 수 있다.
임펠러(130)는 하우징(10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임펠러(130)는 외부의 공기를 하우징(100)의 내측으로 흡입하도록 구성된다.
임펠러(130)는 허브(131)와 복수의 블레이드(134)를 구비한다.
허브(131)는 원통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공기의 흐름방향을 기준으로 허브(131)의 상류측은 막혀 있고, 허브(131)의 하류측은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허브(131)의 내측에 리세스부(133)가 원주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리세스부(133)는 후술할 복수의 환류유출홀(144)과 연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리세스부(133)는 복수의 환류유출홀(144)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허브(131)의 중심부에 축관통부(132)가 축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회전축(120)은 축관통부(132)를 관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회전축(120)이 축관통부(132)의 내측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블레이드(134)는 허브(131)의 외주면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블레이드(134)는 허브(131)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원주방향으로 인접한 복수의 블레이드(134)는 축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블레이드(134) 각각은 허브(131)의 축방향 중심선(O-O)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임펠러(130)는 공기의 흐름방향을 기준으로 하우징(100)의 상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임펠러(130)는 회전축(120)과 함께 회전함에 따라 공기의 회전유동을 형성할 수 있고, 공기를 하우징(100)의 내측으로 흡입할 수 있다.
베인 허브(140)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인 허브(140)는 하우징(100)의 내측에 수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베인 허브(140)는 하우징(100)의 길이보다 축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공기의 흐름방향을 기준으로 베인 허브(140)는 임펠러(130) 허브(131)의 하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을 기준으로 베인 허브(140)는 임펠러(13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인 허브(140)는 임펠러(130) 허브(131)의 직경보다 직경이 약간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베인 허브(140)의 일부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수용되고, 베인 허브(140)의 다른 일부는 하우징(100)의 외부로 노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2를 기준으로 베인 허브(140)의 상부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수용되고, 베인 허브(140)의 하부는 하우징(100)의 외부로 노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공기의 흐름방향을 기준으로 베인 허브(140)의 상류측은 하우징(100)의 내부에 수용되고, 베인 허브(140)의 하류측은 하우징(100)의 외부로 노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베인 허브(140)는 하우징(100)의 직경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00)의 내주면과 베인 허브(140)의 외주면 사이에 환형 공간이 원주방향과 축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베인(141)은 베인 허브(140)의 외주면에서 환형공간(101)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베인(141)은 베인 허브(140)의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베인(141) 각각은 베인 허브(140)의 축방향 중심선(O-O)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베인(141) 각각은 복수의 블레이드(134)의 경사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또는 복수의 베인(141) 각각은 베인 허브(140)의 축방향 중심선(O-O)에 대하여 기설정된 곡률로 곡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베인(141) 각각은 공기의 흐름방향을 기준으로 상류측에서 하류측으로 갈수록 곡률이 작고 완만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베인(141) 각각의 외측 단부는 하우징(100)의 내주면에 접촉되고 압입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베인(141)은 임펠러(130)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하우징(100)의 하류측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복수의 베인(141)은 회전유동을 축류 유동으로 유도할 수 있다.
베인 허브(140)의 상류측은 막혀 있고, 베인 허브(140)의 하류측은 개방되어 있다. 다만, 베인 허브(140)의 상류측 중심부에 축관통홀(142)이 형성되어, 축관통홀(142)을 통해 회전축(120)이 관통할 수 있다.
도 3을 기준으로 베인 허브(140)의 상단부 중심부에 축관통홀(142)이 형성될 수 있다.
베인 허브(140)의 상단부 내측 중심부에 베어링 지지부(143)가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베어링 지지부(143)는 전방 베어링(123)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전방 베어링(123)은 공기의 흐름방향을 기준으로 회전축(120)의 상류측에 장착되는 베어링을 의미한다. 후술할 후방 베어링(124)은 공기의 흐름방향을 기준으로 회전축(120)의 하류측에 장착되는 베어링을 의미한다.
전방 베어링(123)은 제1베어링으로 명명되고, 후방 베어링(124)은 제2베어링으로 명명될 수 있다. 전방 베어링(123)과 후방 베어링(124)은 각각 볼 베어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볼 베어링은 외륜, 내륜 및 복수의 볼로 구성될 수 있다.
외륜은 베어링 지지부(143)의 내주면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내륜은 회전축(120)의 외주면에 결합된다. 복수의 볼은 외륜과 내륜 사이에 개재되어, 외륜에 대하여 내륜의 상대 회전운동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회전축(120)은 전방 베어링(123)과 후방 베어링(124)에 의해 하우징(10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베어링 지지부(143)는 전방 베어링(123)을 감싸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베어링 지지부(143)의 직경은 축관통홀(142)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축관통홀(142)의 직경은 회전축(120)의 직경보다 크고 베어링 지지부(143)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전방 베어링(123)이 베어링 지지부(143)에서 회전축(120)을 따라 임펠러(130)를 향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베인 허브(140)의 내부에 스테이터(110)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구비된다.
스테이터(110)는 스테이터 코어(111)와 스테이터 코일(112)로 구성될 수 있다.
스테이터 코어(111)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스테이터 코어(111)는 백요크, 복수의 티스와 복수의 슬롯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백요크(Back Yoke)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티스는 백요크의 내주면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슬롯은 복수의 티스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티스는 백요크의 내주면에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티스와 복수의 슬롯은 백요크의 원주방향으로 교대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티스와 복수의 슬롯은 3개씩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스테이터 코일(112)은 복수의 티스에 각각 권선될 수 있다. 복수의 스테이터 코일(112)은 집중권 형태로 권선될 수 있다.
복수의 스테이터 코일(112)은 3개로 복수의 티스 각각에 권선될 수 있다.
복수의 스테이터 코일(112)에 3상 교류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복수의 스테이터 코일(112)에 복수의 리드선(118)(lead wire)이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스테이터 코일(112)은 복수의 티스에 각각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권선될 수 있다.
복수의 슬롯은 축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복수의 스테이터 코일(112)은 복수의 슬롯을 관통하여 복수의 티스에 권선될 수 있다.
복수의 스테이터 코일(112)과 스테이터 코어(111) 사이에 복수의 인슐레이터(114)가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인슐레이터(114)는 복수의 스테이터 코일(112)과 스테이터 코어(111)를 절연시키도록 이루어진다.
복수의 인슐레이터(114) 각각은 백요크 인슐레이터(116)와 복수의 티스 인슐레이터(115)를 포함할 수 있다. 백요크 인슐레이터(116)는 백요크와 스테이터 코일(112)을 절연시키도록 이루어진다.
복수의 티스 인슐레이터(115)는 복수의 티스와 복수의 스테이터 코일(112)을 절연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스테이터 코어(111)의 내측에 로터수용공이 축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로터는 로터수용공에 수용될 수 있다. 로터는 영구자석(12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영구자석(122)은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영구자석(122)은 회전축(120)을 감싸도록 회전축(120)에 장착될 수 있다.
영구자석(122)은 복수 개로 구성되고, 복수의 영구자석(122)은 원호 형태로 형성되어 하나의 링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영구자석(122)은 스테이터 코어(111)에 대하여 공극을 두고 회전 가능하게 회전축(120)에 장착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스테이터 코일(112)에 3상의 교류전원이 인가되면, 영구자석(122)은 스테이터 코일(112)의 주변에 형성되는 자기장과 상호 작용하여 회전축(120)에 회전력을 생성할 수 있다.
회전축(120)은 하우징(100)의 중심을 축방향으로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회전축(120)은 제1축부 내지 제4축부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축부는 임펠러(13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축(120)의 제1부분이다.
제2축부는 전방 베어링(123)의 내륜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축(120)의 제2부분이다.
제3축부는 영구자석(122)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축(120)의 제3부분이다.
제4축부는 후방 베어링(124)의 내륜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축(120)의 제4부분이다.
제1축부 내지 제4축부는 공기의 흐름방향을 기준으로 상류측에서 하류측 순서로 배치된다.
제1축부 내지 제4축부 중 축방향으로 인접한 축부는 직경이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임펠러(130), 전방 베어링(123), 영구자석(122) 및 후방 베어링(124)이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브라켓(150)은 후방 베어링(124)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브라켓(150)은 베어링 수용부(151)를 구비한다. 베어링 수용부(151)는 후방 베어링(124)을 감싸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후방 베어링(124)은 볼 베어링으로 구현될 수 있다. 후방 베어링(124)의 외륜은 베어링 수용부(151)의 내주면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후방 베어링(124)의 내륜은 제4축부의 외주면에 결합된다. 후방 베어링(124)의 볼은 외륜과 내륜 사이에 개재되어, 외륜에 대하여 내륜의 상대 회전운동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베어링 수용부(151)의 상부는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공기의 흐름방향을 기준으로 베어링 수용부(151)의 상류측은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베어링 수용부(151)의 하류측은 축방향으로 막히도록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다만, 베어링 수용부(151)의 하류측 중심부에 지그관통부(158)가 축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지그관통부(158)의 직경(d3)은 회전축(120)이 관통 가능하게 회전축(120)의 직경에 비해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지그관통부(158)의 직경(d3)은 베어링 수용부(151)의 내주면 직경에 비해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베어링 수용부(151)의 내측 하단에 웨이브 와셔(153)가 수용될 수 있다. 웨이브 와셔(153)는 링 형상(ring shape) 또는 폐루프(Closed loop)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웨이브 와셔(153)는 원주방향을 따라 위 아래로 굴곡 있게 휘어진 파도(wave)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웨이브 와셔(153)는 후방 베어링(124)의 하단과 지그관통부(158) 사이에 개재되어, 후방 베어링(124)이 베어링 수용부(151)에 삽입 결합될 때 후방 베어링(124)을 탄성 가압할 수 있다.
베어링 수용부(151)의 내주면 직경은 후방 베어링(124)의 외륜 직경에 비해 동일 내지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베어링 수용부(151)의 내주면 직경은 후방 베어링(124)의 외륜 직경에 비해 약간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스냅링이 베어링 수용부(151)의 상단부 내측에 삽입 결합됨으로, 후방 베어링(124)은 스냅링에 의해 베어링 수용부(151)에 수용된 상태에서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브라켓(150)은 공기의 흐름방향을 기준으로 베인 허브(140)의 하류측인 베인 허브(140)의 후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도 3을 기준으로, 브라켓(150)은 베인 허브(140)의 하단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브라켓(150)은 복수의 브리지(154)와 복수의 돌출부(15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복수의 브리지(154)는 베어링 수용부(151)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복수의 브리지(154)는 베어링 수용부(151)의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돌출부(155)는 복수의 브리지(154)에서 축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돌출부(155)는 복수의 브리지(154)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곡률의 곡면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복수의 돌출부(155) 각각은 복수의 브리지(154) 각각의 두께보다 두께가 얇게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55)의 외측면과 브리지(154)의 외측면으로 반경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돌출부(155)의 외주면 직경은 베인 허브(140)의 내주면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55)의 외측면에 삽입홈(157)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돌출부(155)는 베인 허브(140)의 내주면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돌출부(155)는 브라켓(150)이 베인 허브(140)에서 반경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베인 허브(140)의 하단부는 삽입홈(157)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삽입홈(157)은 브라켓(150)이 베인 허브(140)에 결합된 상태에서 베인 허브(140)의 축방향 내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베인 허브(140)의 외주면과 브라켓(150)의 외주면은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인 허브(140)의 하단에 복수의 결합홈(145)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결합홈(145)에 브리지(154)의 상단부가 축방향으로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결합홈(145)은 브리지(154)와 결합됨으로써, 브라켓(150)이 원주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복수의 돌출부(155)는 인슐레이터(114)와 베인 허브(1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돌출부(155)는 백요크 인슐레이터(116)와 베인 허브(1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돌출부(155)와 베인 허브(140)는 접착제 등과 같은 접착수단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접착제는 돌출부(155)가 베인 허브(140)의 내측에서 축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복수의 인슐레이터(114)는 복수의 차폐부(1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백요크 인슐레이터(116)는 백요크의 내주면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백요크의 하단부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차폐부(117)는 복수의 인슐레이터(114), 더욱 상세하게는 백요크 인슐레이터(116)의 하단에서 축방향으로 각각 연장될 수 있다.
복수의 차폐부(117)는 백요크 인슐레이터(116)에 비해 두께가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백요크 인슐레이터(116)의 외측면에 내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베인 허브(140)의 하단부가 내입홈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차폐부(117)의 외주면 직경은 베인 허브(140)의 외주면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차폐부(117)는 복수의 인슐레이터(114)에서 원주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복수의 차폐부(117)는 복수의 브리지(154) 사이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개구부를 덮도록 축방향 및 원주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차폐부(117)는 환형공간(101)을 관통하는 공기가 베인 허브(140)의 후단에서 브리지(154) 사이의 개구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베인 허브(140)의 후단에서 난류 또는 와류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차폐부(117)는 베인 허브(140) 후단에서의 난류 유동으로 인해 후술할 환류 유동의 방해를 방지할 수 있다.
복수의 리드선(118)은 차폐부(117)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복수의 차폐부(117)는 복수의 리드선(118)을 각각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차폐부(117)는 복수의 리드선(118)을 절연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스테이터 코일(112)에 전류가 흐르면 스테이터 코일(112)에서 열이 발생한다. 스테이터 코일(112)의 열을 냉각하기 위해, 외부의 공기가 스테이터 코어(111)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스테이터(110)의 냉각을 위한 공기는 임펠러(130)에 의해 발생된 공기와 다르다. 왜냐하면, 스테이터(110)의 냉각을 위한 공기는 임펠러(130)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의 일부 또는 환형공간(101)을 따라 흐르는 공기유동에서 분지되는 공기가 아니라 브라켓(150)의 후단에서 스테이터(110)의 내부로 유입된다.
스테이터(110)의 냉각을 위한 공기는 임펠러(130)에 의해 흡입되어 환형공간(101)을 따라 공기의 유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흐르는 환류 유동이다.
스테이터 코어(111)의 내부에 환류유로(113)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슬롯은 환류유로(113)를 형성할 수 있다.
환류유로(113)는 하우징(100)과 베인 허브(140) 사이의 환형공간(101)을 따라 제1방향으로 흐르는 공기의 제1유동방향과 반대인 제2유동방향으로 공기의 환류 유동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진다.
임펠러(130)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는 하우징(100)의 내측에서 제1유동방향으로 흐른다.
환류유로(113)를 따라 흐르는 공기는 스테이터 코어(111)의 내측에서 제2유동방향으로 흐른다.
공기의 제1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스테이터(110)의 하류측에 환류유입홀(156)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차폐부(117)는 베어링 수용부(151)에서 반경방향으로 이격된다.
복수의 차폐부(117)의 외주면과 복수의 브리지(154)의 외주면은 베어링 수용부(151)의 중심으로부터 동일한 곡률반경을 갖고, 서로 동일한 원주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차폐부(117)와 브라켓(150) 사이에 환류유입홀(156)이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차폐부(117) 내주면, 복수의 브리지(154)의 측면 및 베어링 수용부(151)의 외주면 사이에 복수의 환류유입홀(156)이 축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스테이터(110)의 하류측과 베어링 수용부(151)의 상류측 사이에 제1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환류유로(113)는 제1공간을 통해 복수의 환류유입홀(156)과 연통되게 연결될 수 있다. 외부의 공기가 환류유입홀(156)로부터 제1공간을 거쳐 환류유로(113)로 유입될 수 있다.
도 3을 기준으로 베인 허브(140)의 상단부에 복수의 환류유출홀(144)이 축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환류유출홀(144)은 베인 허브(140)의 상단부 중심에서 편심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환류유출홀(144)은 베인 허브(140)의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환류유출홀(144)은 전방 베어링(123)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환류유출홀(144)은 복수의 환류유로(113)와 축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베인 허브(140)의 내측 상단부에 제2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제2공간은 베어링 지지부(143)와 스테이터(11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환류유출홀(144)은 제2공간에 의해 복수의 환류유로(113)와 연통되게 연결될 수 있다.
환류 공기의 흐름방향을 기준으로 제1공간은 스테이터(110)의 상류측에 배치되고, 제2공간은 스테이터(110)의 하류측에 배치된다.
임펠러(130) 허브(131)는 복수의 환류유출홀(144)을 덮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임펠러(130)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복수의 환류유출홀(144)로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임펠러(130)는 베인 허브(140)의 상단부와 축방향으로 간극을 두고 이격되며 회전축(12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복수의 환류유출홀(144)은 임펠러(130)와 베인 허브(140) 사이의 간극을 통해 하우징(100)의 환형 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임펠러(130)에 의해 하우징(100)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환형 공간을 따라 흐르면서 유속이 빨라서, 환형 공간 내에서의 동압은 상승하고 환형 공간 내에서의 정압은 낮아진다.
이에 따라, 환형공간(101) 내부의 압력은 대기압보다 낮게 되고, 대기압보다 낮은 하우징(100) 내의 환경 공간에서의 진공압은 환류 공기에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대기압인 제2공간의 공기는 환형 공간의 진공압에 의해 환류유출홀(144)과 간극을 통해 환형 공간으로 유출될 수 있다.
제2공간 내부의 공기가 환류유출홀(144)을 통해 유출됨으로, 제2공간의 압력은 낮아지고, 스테이터(110) 내부의 공기가 제2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다.
스테이터(110) 내부의 공기가 제2공간으로 이동함으로, 스테이터(110) 내부의 압력은 낮아짐에 따라, 대기압인 외부의 공기가 환류유입홀(156)과 제1공간을 통해 스테이터(110) 내부로 유입된다.
도 3을 기준으로, 환류 공기의 이동경로를 살펴보면, 외부의 공기는 환류유입홀(156)과 제1공간을 통해 스테이터(110) 내부에 유입되고, 스테이터(110)의 내부에 형성된 환류유로(113)를 따라 상승하고, 제2공간과 복수의 환류유출홀(144), 간극을 통해 환형 공간으로 유출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환류 공기는 환류유로(113)를 따라 흐르면서 열교환을 통해 스테이터(110)를 냉각할 수 있다.
환류 유동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스테이터(110)의 냉각 성능이 향상된다.
둘째, 임펠러(130)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환형 공간에서 환류유출홀(144)로 유입되지 않으므로, 팬모터의 축류 유동 공기량이 감소하지 않는다.
셋째, 임펠러(130)의 회전에 의해 환형 공간 내의 압력(정압)이 낮아짐에 따라 환류 유동을 형성함으로써, 스테이터(110)의 냉각을 위해 별도의 동력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스테이터(110)의 냉각에 필요한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팬모터의 조립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팬모터를 조립할 때 회전축(120)과 브라켓(150)의 중심을 맞추어 정렬시키는 작업이 중요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지그(160)를 이용한 팬모터의 회전축(120) 및 브라켓(150) 조립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VI-VI를 따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팬모터의 브라켓(150) 조립 시 조립지그(160)를 이용하지 않은 경우에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지그(160)를 이용한 팬모터의 브라켓(150)의 조립 전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 조립지그(160)를 이용한 팬모터의 브라켓(150)의 조립 후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0은 도 9에서 X-X를 따라 팬모터를 브라켓(150)의 후단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여주는 후면도이다.
본 발명은 회전축(120)과 브라켓(150)의 중심을 맞추기 위해 조립지그(160)를 제공할 수 있다.
조립지그(160)는 브라켓(150)을 스테이터(110)의 인슐레이터(114)에 조립 시 회전축(120)과 브라켓(150)의 지그관통부(158)를 축방향으로 연결하도록 이루어진다.
조립지그(160)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조립지그(160)의 내측에 중공부(161)가 형성될 수 있다. 조립지그(160)의 중공부(161)는 일정한 직경(d1)을 갖고 축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회전축(120)은 조립지그(160)와 축방향으로 연결되도록 지그결합부(121)를 더 구비한다.
지그결합부(121)는 회전축(120)의 후단부인 제4축부에서 축방향으로 더 연장된다. 지그결합부(121)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후방 베어링(124)이 인슐레이터(114)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에서, 지그결합부(121)는 인슐레이터(114)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연장될 수 있다.
공기의 흐름방향을 기준으로 지그결합부(121)는 후방 베어링(124)의 하류측에 배치된다.
조립지그(160)의 내주면 직경(d1)은 회전축(120)의 지그결합부(121)의 직경(D)에 비해 약간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립지그(160)의 내경은 회전축(120)의 지그결합부(121)의 직경(D)보다 0.1mm 정도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조립지그(160)의 일단부는 회전축(120)의 지그결합부(121)에 결합될 수 있다.
지그결합부(121)가 조립지그(160)의 일단부에 삽입되게 결합될 수 있다.
지그결합부(121)의 길이(l)는 지그결합부(121)가 조립지그(160)의 일단부에 삽입되어 조립지그(160)를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l)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조립지그(160)는 지그결합부(121)에 결합됨으로써 회전축(120)으로부터 축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지그결합부(121) 또는 조립지그(160)의 일단부에 챔퍼(1211)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혹은 지그결합부(121)와 조립지그(160)의 일단부에 챔퍼(1211)가 각각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그결합부(121)의 일단부에 챔퍼(1211)가 경사지게 형성된 모습을 보여준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챔퍼(1211)는 조립지그(160)와 지그결합부(121)의 조립 시 조립이 용이하다. 또한, 챔퍼(1211)는 조립지그(160)와 지그결합부(121)의 조립 시 상호 간의 충돌을 최소화할 수 있다.
브라켓(150)은 조립지그(160)를 이용하여 베인 허브(140)의 후단에 조립될 수 있다. 베인 허브(140)의 후단은 공기의 흐름방향을 기준으로 베인 허브(140)의 하류측 끝단을 의미한다.
브라켓(150)의 돌출부(155)는 베인 허브(140)의 후단 내주면에 축방향으로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브라켓(150)의 브리지(154)는 베인 허브(140)의 후단에 형성된 결합홈(145)에 결합될 수 있다.
조립지그(160)의 외주면 직경(d2)은 후방 베어링(124)의 외륜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조립지그(160)의 외주면 직경(d2)은 브라켓(150)의 지그관통부(158)의 내주면 직경(d3)에 비해 약간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립지그(160)의 주면 직경(d2)은 브라켓(150)의 지그관통부(158)의 직경(d3)보다 0.1mm 정도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조립지그(160)는 지그관통부(158)를 축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이루어진다.
브라켓(150)은 지그관통부(158)를 관통하는 조립지그(160)의 외주면을 따라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조립지그(160)의 일단부가 회전축(120)의 지그결합부(121)에 결합된 상태에서, 브라켓(150)의 돌출부(155)가 베인 허브(140)의 내주면에 결합되거나 브라켓(150)의 브리지(154)가 베인 허브(140) 하단의 결합홈(145)에 결합되기 전에, 조립지그(160)의 타단부는 브라켓(150)의 지그관통부(158)에 접촉되어 삽입되도록 이루어진다.
조립지그(160)의 길이(L1)는 브라켓(150)의 축방향 길이(L2)와 동일하거나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150)의 축방향 길이(L2)는 브리지(154)와 돌출부(155)의 축방향 길이를 합한 값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브라켓(150)의 조립 시 회전축(120)의 지그결합부(121)에 조립지그(160)의 일단부를 결합한 후, 브라켓(150)이 베인 허브(140)에 조립되기 전에, 조립지그(160)의 타단부가 브라켓(150)의 지그관통부(158)에 먼저 도달하여 삽입 결합됨으로써, 브라켓(150)의 중심이 회전축(120)의 중심과 동일하게 맞추어 질 수 있다.
즉, 회전축(120), 조립지그(160) 및 브라켓(150)의 지그관통부(158) 각각의 중심은 동일 축선상에 정렬될 수 있다.
만약, 조립지그(160)가 없이 브라켓(150)을 조립하는 경우에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회전축(120)은 베인 허브(140)의 중심을 축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조립 시 베인 허브(140)의 축방향 중심선(O-O)에 대하여 소정 각도(θ)로 틀어질 수 있다.
영구자석(122)의 일측이 스테이터 코어(111)에 닿아, 회전축(120)의 중심선이 틀어지면, 후방 베어링(124)도 회전축(120)과 함께 중심이 틀어져서 후방 베어링(124)의 외륜이 편심되게 배치된다.
이로 인해, 브라켓(150)의 베어링 수용부(151)의 전단부는 후방 베어링(124)의 외륜과 간섭되고, 브라켓(150)을 베인 허브(140)의 내측으로 축방향을 따라 무리하게 조립하는 경우에 베어링 수용부(151)의 전단부가 후방 베어링(124)의 외륜에 충격을 가하여 후방 베어링(124)이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조립지그(160)의 양단부가 회전축(120)과 브라켓(150)의 지그관통부(158)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립지그(160)의 일단부가 회전축(120)의 지그결합부(121)에 결합된 상태에서, 조립지그(160)의 타단부가 지그관통부(158)를 관통하도록, 브라켓(150)의 지그관통부(158)를 조립지그(160)의 타단부에 끼우면 브라켓(150)의 중심과 회전축(120)의 중심이 서로 축방향으로 맞추어진다.
브라켓(150)의 지그관통부(158)는 조립지그(160)에 의해 회전축(120)에 연결되어 지그관통부(158)와 회전축(120)의 중심이 축방향으로 정렬된 상태에서 조립지그(160)의 외주면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브라켓(150)의 조립 시 베어링 수용부(151)가 후방 베어링(124)을 향해 이동하고, 베어링 수용부(151)와 후방 베어링(124)의 외륜 간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고 후방 베어링(124)이 베어링 수용부(151)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조립지그(160)를 이용하면, 회전축(120)의 각도 틀어짐에 의한 베어링의 손상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베어링 수용부(151)의 전단부에 챔퍼(152)가 형성될 수 있다. 챔퍼(152)는 베어링 수용부(151)의 전단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챔퍼(152)는 후방 베어링(124)이 베어링 수용부(151)에 삽입될 때 후방 베어링(124)의 중심이 베어링 수용부(151)의 중심을 향해 수렴할 수 있게 후방 베어링(124)을 정렬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챔퍼(152)는 임펠러(130)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의 흐름방향을 기준으로 베어링 수용부(151)의 상류측에 형성된다.
챔퍼(152)의 최외곽단과 최내곽단 사이의 반경방향 길이(c)는 회전축(120)과 조립지그(160) 간의 조립공차 또는 조립지그(160)와 브라켓(150)의 지그관통부(158) 간의 조립공차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브라켓(150)의 지그관통부(158)가 조립지그(160)의 외주면을 따라 후방 베어링(124)을 향해 슬라이드 이동할 때, 후방 베어링(124)이 베어링 수용부(151)에 삽입되기 전에, 브라켓(150)의 돌출부(155)가 베인 허브(140)의 후단에 먼저 닿아 베인 허브(140)의 후단 내측으로 삽입됨과 동시에, 브라켓(150)의 중심이 베인 허브(140)의 중심에 맞추어지게 된다.
브라켓(150)의 중심과 베인 허브(140)의 중심이 맞추어진 후, 브라켓(150)이 조립지그(160)의 외주면을 따라 후방 베어링(124)을 향해 더 이동하면, 후방 베어링(124)이 챔퍼(152)에 접촉하여, 챔퍼(152)에 의해 후방 베어링(124)의 중심이 베어링 수용부(151)의 중심에 맞추어진다.
따라서, 조립지그(160)는 브라켓(150)의 지그관통부(158)와 회전축(120)의 지그결합부(121)를 축방향으로 연결하여 회전축(120)과 브라켓(150)의 중심을 맞추고, 브라켓(150)의 돌출부(155)는 베인 허브(140)의 후단부 내주면에 삽입 결합되어 베인 허브(140)와 브라켓(150)의 중심을 맞추고, 챔퍼(152)는 회전축(120)의 각도가 틀어졌다 하더라도 후방 베어링(124)과 베어링 수용부(151)의 중심을 맞춤으로써, 회전축(120)의 중심을 베인 허브(140)의 중심에 정렬시킬 수 있다.
팬모터의 조립 순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스테이터(110)와 로터를 각각 준비한다(제1단계).
스테이터(110)는 스테이터 코어(111), 스테이터 코일(112), 인슐레이터(114)를 구비하고, 스테이터 코어(111)에 스테이터 코일(112)이 권선된 상태로 조립된다.
로터는 회전축(120) 및 영구자석(122)을 구비하고, 회전축(120)에 영구자석(122)이 장착된 상태로 조립된다.
그 다음, 베인 허브(140)의 베어링 지지부(143)에 전방 베어링(123)을 삽입하여 결합한다(제2단계).
그 이후, 하우징(100)의 내측에 베인 허브(140)를 열압입으로 결합할 수 있다(제3단계).
이어서, 베인 허브(140)의 내측에 스테이터(110)를 삽입하여 결합할 수 있다(제4단계).
계속해서, 로터를 스테이터(110)의 내측에 삽입하여 조립할 수 있다(제5단계).
영구자석(122)은 회전축(120)의 제3축부에 장착되고, 공기의 흐름방향을 기준으로 회전축(120)의 제4축부에 후방 베어링(124)이 장착된다.
영구자석(122)과 후방 베어링(124)이 장착된 회전축(120)을 스테이터(110)의 로터수용공을 통해 관통시켜, 회전축(120)의 제2축부는 전방 베어링(123)에 의해 지지된다.
이때, 회전축(120)의 제1축부는 베인 허브(140)의 축관통홀(142)을 관통하여 축방향으로 돌출되게 연장된다. 회전축(120)의 제2축부는 전방 베어링(123)에 의해 지지된다. 영구자석(122)은 스테이터(110)와 공극을 두고 로터수용공 내측에 수용된다.
그 다음, 임펠러(130)를 회전축(120)의 제1축부에 조립한다.
임펠러(130)의 허브(131)는 회전축(120)의 제1축부에 체결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조립지그(160)를 이용하여 브라켓(150)을 베인 허브(140)의 후단에 조립한다.
조립지그(160)의 일단부를 회전축(120)의 지그결합부(121)에 결합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회전축(120)을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조립지그(160)의 타단부를 브라켓(150)의 지그관통부(158)에 삽입하여 결합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브라켓(150)의 지그관통부(158)가 조립지그(160)에 의해 회전축(120)과 축방향으로 연결되어, 브라켓(150)의 중심과 회전축(120)의 중심이 축방향으로 상호 정렬된다.
조립지그(160)의 타단부가 브라켓(150)의 지그관통부(158)를 관통하도록, 브라켓(150)을 조립지그(160)의 외주면을 따라 슬라이드시킨다.
브라켓(150)이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동안 베어링이 베어링 수용부(151)에 수용되기 전에, 브라켓(150)의 돌출부(155)가 베인 허브(140)의 후단 내측에 먼저 도달하여 삽입되며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브라켓(150)의 중심과 베인 허브(140)의 중심이 축방향으로 상호 정렬된다.
브라켓(150)과 베인 허브(140)의 상호 정렬 후, 후방 베어링(124)이 챔퍼(152)에 의해 베어링 수용부(151)의 내측으로 가이드되어 삽입 결합됨으로써, 이전에 회전축(120)의 각도가 틀어졌다 하더라도 회전축(120)을 베인 허브(140)의 축방향 중심선(O-O)에 정렬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축(120)에서 지그결합부(121)가 공기의 흐름방향을 기준으로 후방 베어링(124)의 하류측으로 연장된다.
지그관통부(158)가 브라켓(150)의 중심부에 축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원통형으로 형성된 조립지그(160)의 일단부는 지그결합부(121)에 결합되고, 조립지그(160)의 타단부는 브라켓(150)의 지그관통부(158)에 결합됨으로, 브라켓(150)과 회전축(120)의 중심이 상호 정렬된다.
이에 따라, 회전축(120)의 각도가 편심되게 틀어져도 브라켓(150)의 중심이 회전축(120)의 중심과 축방향으로 정렬되어, 후방 베어링(124)은 브라켓(150)의 베어링 수용부(151)에 간섭되지 않고 원활하게 삽입 결합됨으로써, 베어링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팬모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조립지그(160)를 이용하여 브라켓(150)을 베인 허브(140)의 후단에 조립하면, 회전축(120)의 길이를 후방 베어링(124)의 하류측으로 연장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팬모터의 소형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아울러, 공기의 흐름방향을 기준으로 베어링 수용부(151)의 상류측에 챔퍼(152)가 원주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되고, 챔퍼(152)는 후방 베어링(124)이 베어링 수용부(151)에 삽입 결합 시 후방 베어링(124)의 중심이 베어링 수용부(151)의 중심에 맞추어지도록 가이드함으로써, 회전축(120)의 각도가 편심되게 틀어져도 베인 허브(140)의 축방향 중심선(O-O)에 회전축(120)을 정렬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임펠러(130)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하우징(100)과 베인 허브(140) 사이의 환형 공간을 따라 고속으로 흘러서 상기 환형 공간 내에 동압이 상승하고 정압은 대기압보다 낮아진다. 상기 공기의 흐름방향을 기준으로 베인 허브(140)의 상류측에 복수의 환류유출홀(144)이 축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복수의 환류유출홀(144)은 스테이터 코어(111) 내측의 슬롯에 연통되고, 상기 환형 공간과 연통되게 연결된다.
상기 공기의 흐름방향을 기준으로 베이 허브(131)의 하류측에 배치되는 브라켓(150)의 브리지(154) 사이에 복수의 환류유입홀(156)이 상기 환류유로(113)와 연통되게 연결된다.
상기 환형공간(101) 내의 정압이 대기압보다 낮아짐에 따라, 환형 공간과 연통되는 복수의 환류유출홀(144)은 스테이터 코어(111) 내부의 공기를 환형 공간으로 흡입함으로써, 환류 유동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환류유출홀(144)은 임펠러(130)의 반대측에서 외부의 공기를 스테이터 코어(111)의 내부로 빨아들임으로, 스테이터(110)의 냉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환류유출홀(144)은 스테이터(110)를 냉각한 공기를 환형공간(101)으로 유출시켜 환형 공간을 따라 흐르는 공기에 합류하게 함으로써, 환형 공간을 따라 흐르는 공기의 유출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아울러, 스테이터(110)의 냉각을 위해 별도의 동력이 불필요하므로,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게다가, 복수의 차폐부(117)는 스테이터(110)의 인슐레이터(114)에서 공기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베인 허브(140)의 하류측으로 연장되고, 브라켓(150)의 브리지(154)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의 개구부를 덮도록 구성된다. 이에 의하면, 복수의 차폐부(117)는 임펠러(130)에서 생성된 공기가 베인 허브(140)의 하류측에서 브라켓(150)의 브리지(154) 사이의 개구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베인 허브(140)의 하류측에서 난류 또는 와류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팬 모터의 조립지그(160) 및 조립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조립지그(160)는 브라켓(150)의 원주방향 위치를 정렬시키도록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도 1 내지 도 10의 실시예와 다르다. 기타 구성요소는 상술한 도 1 내지 도 10의 실시예와 동일 내지 유사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지그(160)의 특징은 도 1 내지 도 10의 실시예의 조립지그(160)에 추가로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조립지그(160)는 브라켓(150)의 원주방향 위치를 정렬시키기 위해 얼라인 키(2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얼라인 키(211)(align key)는 조립지그(160)의 외주면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얼라인 키(211)는 조립지그(160)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축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150)의 지그관통부(158)에 얼라인 홈(212)이 얼라인 키(211)와 반경방향으로 대응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조립지그(160)의 얼라인 키(211)는 지그관통부(158)의 얼라인 홈(212)에 삽입되고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조립지그(160)의 얼라인 키(211)가 브라켓(150)의 지그관통부(158)의 얼라인 홈(212)에 삽입됨으로써, 브라켓(150)의 브리지(154)의 원주방향 위치가 베인 허브(140)의 후단부의 결합홈(145)에 축방향으로 대응되게 정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베인 허브(140)의 후단에 축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복수의 결합홈(145)은 베인 허브(140)의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브리지(154)의 베어링 수용부(151)의 외주면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브리지(154)가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얼라인 키(211)가 얼라인 홈(212)에 결합됨으로, 복수의 브리지(154)는 베인 허브(140)의 결합홈(145)과 축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얼라인 키(211)가 얼라인 홈(212)에 결합됨으로써, 복수의 브리지(154)와 복수의 차폐부(117)가 원주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도록 브라켓(150)이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다.
조립지그(160)는 회전축(120)의 지그결합부(121)에 결합된 상태에서 지그결합부(121)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회전축(120)의 지그결합부(121)에 가이드 돌기(201)가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조립지그(160)의 일단부 내측에 가이드홈(202)이 반경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201)는 가이드홈(202)에 형합되도록 서로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가이드 돌기(201)는 가이드홈(202)에 형합되어, 조립지그(160)가 회전축(120)의 지그결합부(121)에서 원주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조립지그(160)가 지그결합부(121)에 결합될 때 조립지그(160)와 회전축(120) 간의 결합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조립지그(160)의 일단부가 회전축(120)의 지그결합부(121)에 결합 시 조립이 용이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조립지그(160)의 타단부가 브라켓(150)의 지그관통부(158)에 결합 시 조립이 용이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100 : 하우징 101 : 환형공간
110 : 스테이터 111 : 스테이터 코어
112 : 스테이터 코일 113 : 환류유로
114 : 인슐레이터 115 : 티스 인슐레이터
116 : 백요크 인슐레이터 117 : 차폐부
118 : 리드선 120 : 회전축
121 : 지그결합부 1211: 챔퍼
122 : 영구자석 123 : 전방 베어링
124 : 후방 베어링 130 : 임펠러
131 : 허브 132 : 축관통부
133: 리세스부 134 : 블레이드
140 : 베인 허브 141 : 베인
142 : 축관통홀 143 : 베어링 지지부
144 : 환류유출홀 145 : 결합홈
150 : 브라켓 151 : 베어링 수용부
152 : 챔퍼 153 : 웨이브 와셔
154 : 브리지 155 : 돌출부
156 : 환류유입홀 157 : 삽입홈
158 : 지그관통부 160 : 조립지그
161 : 중공부 201 : 가이드 돌기
202 : 가이드홈 211 : 얼라인 키
212 : 얼라인 홈

Claims (20)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중심을 축방향으로 가로지르며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는 스테이터;
    상기 스테이터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상기 회전축에 장착되는 영구자석;
    상기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임펠러;
    상기 스테이터를 감싸며, 상기 임펠러에 의해 흡입된 공기의 흐름을 가이드 하도록 외주면에서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베인을 구비하는 베인 허브;
    상기 회전축의 양단을 지지하도록 상기 회전축에 장착되는 복수의 베어링;
    상기 공기의 흐름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베인 허브의 하류측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베어링 중 상기 베인 허브의 하류측에 배치된 후방 베어링을 수용하는 베어링 수용부를 내측에 구비하는 브라켓;
    상기 회전축과 상기 브라켓의 중심부를 축방향으로 맞추기 위한 조립지그가 결합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축에서 축방향을 따라 상기 후방 베어링의 하류측으로 연장되는 지그결합부; 및
    상기 조립지그를 감싸도록 상기 브라켓의 중심부에 축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지그관통부를 포함하는 팬모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지그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조립지그의 양단부는, 상기 베인 허브의 하류측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상기 브라켓의 조립 시 상기 지그결합부와 상기 지그관통부를 축방향으로 연결하여, 상기 회전축과 상기 브라켓의 중심을 축방향으로 정렬시키는 팬모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지그의 내측에 상기 지그결합부를 수용 가능하도록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조립지그의 내주면 직경은 상기 지그결합부의 직경보다 더 큰 팬모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관통부가 상기 조립지그의 외주면에서 축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조립지그의 외주면의 직경은 상기 지그관통부의 직경보다 더 작은 팬모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지그의 길이는 상기 브라켓의 축방향 길이보다 더 길고,
    상기 베인 허브의 하류측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상기 브라켓의 조립 시, 상기 브라켓이 상기 베인 허브의 하류측 단부에 결합되기 전에 상기 조립지그와 상기 지그관통부의 접촉이 이루어지는 팬모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수용부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후방 베어링이 상기 베어링 수용부에 삽입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베어링 수용부의 전단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되는 챔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챔퍼는 상기 브라켓의 조립 시 상기 후방 베어링을 상기 베어링 수용부의 내측으로 가이드하여, 상기 하우징의 축방향 중심선에서 각도가 틀어진 상기 회전축과 상기 후방 베어링의 중심을 상기 하우징의 중심에 정렬시키는 팬모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수용부의 직경은 상기 지그관통부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고,
    상기 베어링 수용부의 내측에 상기 지그관통부의 직경보다 더 큰 웨이브 와셔가 수용되는 팬모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베어링 수용부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베어링 수용부의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브리지; 및
    상기 복수의 브리지 각각에서 축방향으로 돌출되고, 외주면이 상기 베인 허브의 하류측 단부 내주면에 외접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팬모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출부의 외주면 직경은 상기 베인 허브의 외주면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의 중심은 상기 돌출부의 결합 시 상기 베인 허브의 축방향 중심선에 정렬되는 팬모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브리지의 외주면 직경은 상기 베인 허브의 외주면 직경과 동일하고,
    상기 복수의 돌출부 각각의 외주면에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에 상기 베인 허브의 하류측 단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팬모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베인 허브의 하류측 단부에 복수의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결합홈은 상기 브리지와 축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되고, 상기 브리지의 일부가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팬모터.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는,
    복수의 티스를 구비하고, 상기 베인 허브의 내측에 설치되는 스테이터 코어;
    상기 복수의 티스에 각각 권선되는 복수의 스테이터 코일; 및
    상기 스테이터 코어와 상기 복수의 스테이터 코일 사이를 절연시키도록 상기 스테이터 코어와 상기 스테이터 코일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인슐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브리지 사이의 개구부를 덮도록 상기 스테이터 코어에서 축방향을 따라 상기 개구부로 돌출되는 복수의 차폐부를 더 포함하는 팬모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테이터 코일에 3상의 교류전원을 인가하도록 복수의 리드선이 각각 연결되고,
    상기 차폐부는, 상기 복수의 리드선을 절연시키도록 상기 복수의 인슐레이터에서 연장되는 팬모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과 상기 베인 허브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환형공간;
    상기 복수의 브리지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의 환류유입홀;
    상기 복수의 환류유입홀과 연통되게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스테이터 코일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의 환류유로; 및
    상기 환형공간과 상기 환류유로에 연통되도록, 상기 공기의 흐름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베인 허브의 상류측에 축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환류유출홀을 포함하고,
    상기 임펠러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흡입되는 공기의 유속 증가로 상기 환형공간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낮아지고,
    상기 하우징의 외부의 공기는 상기 환형공간 내에서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에 의해 상기 복수의 환류유입홀에서 상기 환류유로로 유입되어 상기 스테이터를 냉각하고, 상기 복수의 환류유출홀을 통해 상기 환형공간으로 유출되는 팬모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는,
    상기 회전축을 관통시키는 축관통홀을 구비하는 허브;
    상기 허브의 외주면에서 상기 환형공간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허브는 상기 복수의 환류유출홀을 덮도록 상기 축관통홀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팬모터.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차폐부의 외주면 직경은 상기 베인 허브의 외주면 직경과 동일하고,
    상기 복수의 차폐부와 상기 복수의 브리지는 원주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어, 원형의 폐루프를 형성하는 팬모터.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환류유입홀은 상기 복수의 티스와 축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되는 팬모터.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인 허브는,
    상기 공기의 흐름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스테이터의 상류측에 배치된 전방 베어링을 지지하는 베어링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환류유출홀은 상기 베어링 지지부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편심되고,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팬모터.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환류유출홀은 상기 복수의 환류유로와 축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되는 팬모터.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결합부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가이드 돌기;
    상기 가이드 돌기와 결합되도록 상기 조립지그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가이드홈;
    상기 조립지그의 외주면에서 축방향을 따라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얼라인 키; 및
    상기 얼라인 키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지그관통부에 형성되는 얼라인 홈을 더 포함하는 팬모터.
KR1020200078649A 2020-06-26 2020-06-26 팬모터 KR202200006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8649A KR20220000698A (ko) 2020-06-26 2020-06-26 팬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8649A KR20220000698A (ko) 2020-06-26 2020-06-26 팬모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698A true KR20220000698A (ko) 2022-01-04

Family

ID=79342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8649A KR20220000698A (ko) 2020-06-26 2020-06-26 팬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069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93935B2 (ja) ブラシレスモータ
CN102758780A (zh) 离心风扇
CN111886414B (zh) 电动鼓风机、电动吸尘器及干手装置
EP3700061A1 (en) Motor, fan, electric vacuum cleaner, and hand drying device
EP4145679A1 (en) Motor assembly
CN113482943B (zh) 电动送风机及电气设备
KR20210136673A (ko) 모터 어셈블리
KR102483761B1 (ko) 모터 조립체
TWI815074B (zh) 風扇馬達
KR102200078B1 (ko) 팬 모터
KR20220000698A (ko) 팬모터
KR102201386B1 (ko) 팬 모터
US20090010759A1 (en) Axial flow blower
KR20210143548A (ko) 로터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팬모터
KR20220010975A (ko) 모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헤어드라이어
CN216642552U (zh) 叶轮、送风装置及吸尘器
WO2022158000A1 (ja) インペラ、モータ、および掃除機
KR102200088B1 (ko) 팬 모터
KR20210005302A (ko) 팬 모터
KR20230122402A (ko) 팬-모터 조립체
KR20240080911A (ko) 팬 모터
KR20230169887A (ko) 모터
KR20230087273A (ko) 모터 조립체
KR20200102816A (ko) 팬 모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