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5885A - 전기 부품 검사 기구 - Google Patents

전기 부품 검사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5885A
KR20220045885A KR1020210089606A KR20210089606A KR20220045885A KR 20220045885 A KR20220045885 A KR 20220045885A KR 1020210089606 A KR1020210089606 A KR 1020210089606A KR 20210089606 A KR20210089606 A KR 20210089606A KR 20220045885 A KR20220045885 A KR 202200458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conductor
rod
plate surface
electrical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9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4652B1 (ko
Inventor
준지 오오사카
오사무 하시구치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45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58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4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46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01R1/06716Elastic
    • G01R1/06722Spring-load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01R1/06733Geometry asp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01R1/0433Sockets for IC's or transistors
    • G01R1/0441Details
    • G01R1/0466Details concerning contact pieces or mechanical details, e.g. hinges or cams; Shield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01R1/0416Connectors, termi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73Multiple probes
    • G01R1/07307Multiple probes with individual probe elements, e.g. needles, cantilever beams or bump contacts, fixed in relation to each other, e.g. bed of nails fixture or probe car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73Multiple probes
    • G01R1/07307Multiple probes with individual probe elements, e.g. needles, cantilever beams or bump contacts, fixed in relation to each other, e.g. bed of nails fixture or probe card
    • G01R1/07314Multiple probes with individual probe elements, e.g. needles, cantilever beams or bump contacts, fixed in relation to each other, e.g. bed of nails fixture or probe card the body of the probe being perpendicular to test object, e.g. bed of nails or probe with bump contacts on a rigid suppor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01Testing of printed circuits, backplanes, motherboards, hybrid circuits or carriers for multichip packages [MCP]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55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 G01R31/286External aspects, e.g. related to chambers, contacting devices or handlers
    • G01R31/2863Contacting devices, e.g. sockets, burn-in boards or mounting fixtures

Abstract

전기 부품 검사 기구(100)는 기판(10)과, 검사 대상인 전기 부품(900)의 도체(901)와 접촉하기 위한 일단(30a)을 가지는 막대 형상 도체 부품(30)을 포함한다. 기판(10)의 판면상의 도체 패턴이 기판(10)의 가장자리(10h)에 이르고 있고, 막대 형상 도체 부품(30)의 타단(30b)은 기판(10)의 가장자리(10h)에서 도체 패턴과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막대 형상 도체 부품(30)의 신장 방향은 기판(10)의 판면의 법선 방향과 직교하고 있다.

Description

전기 부품 검사 기구{ELECTRICAL COMPONENT INSPECTION INSTRUMENT}
본 개시는 검사 대상인 전기 부품에 접촉하는 접점 부품으로서의 막대 형상 도체 부품을 포함하는 전기 부품 검사기구에 관한 것이다.
전기 부품의 검사에 사용되고, 또한, 당해 전기 부품에 접촉하는 접점 부품으로서의 막대 형상 도체 부품을 포함하는 전기 부품 검사 기구가 알려져 있다. 여기에서, 「전기 부품」은 신호의 종류를 막론하고 전기 회로에서 사용되는 부품이며, 집적 회로, 프린트 기판, 커넥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검사」로서는 전기 부품의 결함 또는 전기적 특성의 검사를 예시할 수 있다.
이러한 전기 부품 검사 기구의 선행기술로서 특허문헌 1을 예시할 수 있다. 본원 명세서의 도 1은 특허문헌 1(일본 특개 2004-170182호 공보)의 도 4의 사본이다. 도 1에 개시되는 전기 부품 검사 기구의 구성에서는, 케이블(37)이 기판(36)의 하판면에 부착되어 있고, 막대 형상 도체 부품(33, 34, 35)(특허문헌 1에서는, 막대 형상 도체 부품은 콘택트 프로브임)을 수용하는 금속 블록(31)이 기판(36)의 상판편에 부착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단락 0005의 기재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통상, 전기 부품 검사 기구는 필요한 수의 막대 형상 도체 부품을 가지고 있고, 이러한 구성에 따라, 전기 부품 검사 기구의 내부에 수용되는 기판에 필요한 수의 케이블이 부착된다. 즉, 기판은, 그 편면에, 필요한 수의 케이블, 또는, 필요한 수의 케이블 및 필요한 수의 막대 형상 도체 부품을 부착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지고 있지 않으면 안 되어, 전기 부품 검사 기구의 소형화가 저해되고 있었다.
이러한 배경기술을 감안하여, 소형화에 기여하는 내부 구조를 가지는 전기 부품 검사 기구가 제공된다.
여기에서 말하는 기술사항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을 명시적으로 또는 묵시적으로 한정하기 위함이 아니고,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이익을 받는 자(예를 들면, 출원인과 권리자임) 이외의 사람에 의한 그러한 한정을 용인할 가능성의 표명도 아니며, 단지, 본 발명의 요점을 용이하게 이해하기 위해 기재된다. 다른 관점에서의 본 발명의 개요는, 예를 들면, 이 특허출원의 출원 시의 청구범위로부터 이해할 수 있다.
전기 부품 검사 기구는 기판의 가장자리에 막대 형상 도체 부품이 부착된 내부 구조를 가진다.
막대 형상 도체 부품의 신장 방향은 기판의 판면의 법선 방향과 직교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판의 판면상에서 막대 형상 도체 부품을 부착하기 위한 개소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전기 부품 검사 기구의 소형화가 실현된다. 또한, 예를 들면, 필요한 수의 반수의 케이블을 기판의 일방의 판면에 부착하고, 나머지 반수의 케이블을 기판의 타방의 판면에 부착할 수 있기 때문에, 전기 부품 검사 기구의 소형화가 실현된다.
도 1은 특허문헌 1의 도 4.
도 2는 전기 부품 검사 기구를 비스듬히 위에서 보았을 때의 전기 부품 검사 기구의 사시도.
도 3은 전기 부품 검사 기구를 비스듬히 아래에서 보았을 때의 전기 부품 검사 기구의 사시도.
도 4는 전기 부품 검사 기구의 내부 구조.
도 5는 기판과 막대 형상 도체 부품의 배치.
도 6은 기판과 막대 형상 도체 부품의 배치.
도 7은 전기 부품 검사 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전기 부품 검사 기구의 단면도.
도 9는 전기 부품이 부착된 전기 부품 검사 기구.
도 10은 전기 부품이 부착된 전기 부품 검사 기구의 분해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도 2∼10을 참조하여, 실시형태의 전기 부품 검사 기구(100)의 구조를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기 부품 검사 기구(100)를 사용하여 검사되는 전기 부품은, 예를 들면, 수백 MHz 이상의 고주파수 대역에서 사용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900)이다.
전기 부품 검사 기구(100)는 수지제의 커버(1)와, 수지제의 프레임체(3)와, 수지제의 통체(5)와, 기판(10)과, 4개의 막대 형상 도체 부품(30)과, 2개의 금속 부품(50)과, 4개의 케이블(70)과, 압축 코일스프링(90)을 포함한다.
커버(1)는 1개의 직사각형 형상의 판부(1a)와, 2개의 직사각형 형상의 측벽부(1b)를 포함한다. 2개의 측벽부(1b)는 판부(1a)의 폭 방향에 위치하는 판부(1a)의 2변으로부터 동일한 방향으로 뻗어 있다. 판부(1a)는 그 중앙부에 4개의 원통 형상의 관통구멍(1c)을 가지고 있다. 각 관통구멍(1c)은 판부(1a)의 일방의 판면(1e) 및 그 타방의 판면(1f)의 각각에 개구를 가진다. 각 측벽부(1b)의 선단부는 커버(1)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발톱(1d)을 가지고 있다.
프레임체(3)는 타원(oval) 형상의 판부(3a)의 중앙부에 1개의 직방체 형상의 관통구멍(3b)이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 형상을 가지고 있다. 프레임체(3)는 프레임체(3)의 폭 방향에 위치하는 프레임체(3)의 2개의 외측면의 각각에, 홈부(3c)를 가진다. 홈부(3c)는 프레임체(3)의 판부(3a)의 일방의 판면(3f)으로부터 그 타방의 판면(3g)에 이르고 있다. 관통구멍(3b)을 둘러싸는 프레임체(3)의 4개의 내벽면 중 프레임체(3)의 길이 방향에 위치하는 2개의 내벽면(3d)의 각각은 관통구멍(3b)의 중앙을 향하여 돌출하는 발톱(3e)을 가지고 있다. 발톱(3e)은 내벽면(3d)과 프레임체(3)의 판부(3a)의 타방의 판면(3g)과의 경계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원피스(one-piece)의 통체(5)는 크기가 상이한 2개의 직방체(5a, 5b)가 결합한 외관 형상을 가진다. 큰 직방체(5a)에 형성되어 있는 큰 구멍(5c)과 작은 직방체(5b)에 형성되어 있는 작은 구멍(5d)은 통체(5) 내부에서 서로 연통되어 있고, 큰 구멍(5c)과 작은 구멍(5d)은 통체(5)의 관통구멍(5e)을 형성하고 있다. 작은 구멍(5d)을 둘러싸는 작은 직방체(5b)의 내벽면으로부터 뻗는 4개의 지지 막대(5i)로 지탱되는 직방체 형상의 블록(5f)이 작은 구멍(5d)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다. 관통구멍(5e)의 신장 방향에 있어서의 블록(5f)의 일단부(5h)는 큰 구멍(5c)과 작은 구멍(5d)의 경계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관통구멍(5e)의 신장 방향에 있어서의 블록(5f)의 타단부(5k)는 작은 구멍(5d)의 개구부의 끝면(5m)으로부터 약간 후퇴한 장소에 위치하고 있다. 블록(5f)은, 그 중앙부에, 관통구멍(5e)의 신장 방향으로 뻗는 4개의 원통 형상의 관통구멍을 가지고 있다. 큰 직방체(5a)는 큰 구멍(5c)의 개구부의 둘레에서 직방체(5a)의 2개의 단변으로부터 직방체(5a)의 외측을 향해 돌출하는 단차부(5g)를 가지고 있다.
기판(10)은, 예를 들면, 유리섬유를 에폭시 수지로 굳힌 리지드 타입의 프린트 기판이다. 얇은 평판 형상의 기판(10)의 일방의 판면(10a)과 그 타방의 판면(10b)의 각각에, 기판(10)의 4개의 가장자리 중 1개의 가장자리(10h)에까지 이르는 도체 패턴(10k)이 형성되어 있다. 도체 패턴(10k)은, 이 실시형태에서는, 도체부(10c, 10d, 10e, 10f, 10g)를 가진다. 도면에서는 볼 수 없는 기판(10)의 타방의 판면(10b)에도, 도면에서 볼 수 있는 기판(10)의 일방의 판면(10a)상의 도체부(10c, 10d, 10e, 10f)의 형상 및 배치와 동일한 형상 및 배치를 가지는 도체부(10c, 10d, 10e, 10f)가 형성되어 있다. 도체부(10c, 10d)는 그라운드 라인이다. 기판(10)의 가장자리(10h)의 일부는 기판(10)의 중앙을 향해 움푹 들어가 있고, 이 예에서는 기판(10)의 가장자리(10h)는 2개의 반원통 형상의 오목부(10i)를 가진다. 오목부(10i)는 기판(10)의 일방의 판면(10a)으로부터 그 타방의 판면(10b)에 이르고 있다. 오목부(10i)는 기판(10)의 일방의 판면(10a)과 오목부(10i)와의 경계 근방에, 도체부(10g)를 가지고 있다. 일방의 판면(10a)에 가까운 도체부(10g)와 일방의 판면(10a)에 위치하는 도체부(10e)는, 일방의 판면(10a)에 위치하는 가늘고 긴 도체부(10f)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오목부(10i)는, 기판(10)의 타방의 판면(10b)과 오목부(10i)와의 경계 근방에, 도체부(10g)를 가지고 있다. 타방의 판면(10b)에 가까운 도체부(10g)와 타방의 판면(10b)에 위치하는 도체부(10e)는, 타방의 판면(10b)에 위치하는 가늘고 긴 도체부(10f)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2개의 오목부(10i)의 간격은 검사 대상인 전기 부품의 도체의 간격에 따라 결정된다.
원피스(one-piece)의 금속 부품(50)은 머리부(50a)와, 목부(50b)와, 어깨부(50c)와, 2개의 짧은 팔부(50d)와, 2개의 긴 팔부(50e)를 포함한다. 머리부(50a)는 직사각형 형상의 판부이며, 머리부(50a)보다도 작은 직사각형 형상의 평판부인 목부(50b)가 머리부(50a)의 1변에 접속하고 있다. 목부(50b)가 접속하고 있지 않은 머리부(50a)의 마주보는 2변의 가장자리는 같은 방향으로 약간 꺾어 구부러져 있다. 머리부(50a)는 목부(50b)가 접속하고 있는 머리부(50a)의 1변을 마주보는 머리부(50a)의 1변의 가장자리에, 머리부(50a)의 중앙부를 향하여 움푹 들어가 있는 오목부(50f)를 가지고 있다. 가늘고 긴 평판부인 어깨부(50c)의 장변의 중앙부가 머리부(50a)가 접속하고 있는 목부(50b)의 장변을 마주보는 목부(50b)의 장변에 접속하고 있다. 2개의 긴 팔부(50e)는 어깨부(50c)의 길이 방향의 양단에 있어서, 목부(50b)가 접속하고 있는 어깨부(50c)의 장변을 마주보는 어깨부(50c)의 장변으로부터 같은 방향으로 뻗어 있다. 또한, 2개의 짧은 팔부(50d)는, 어깨부(50c)의 중앙부의 양측에 있어서, 목부(50b)가 접속되어 있는 어깨부(50c)의 장변을 마주보는 어깨부(50c)의 장변으로부터 같은 방향으로 뻗어 있다. 긴 팔부(50e)는, 어깨부(50c)의 근방에서, 머리부(50a)의 2변의 가장자리의 꺾어 구부러져 있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약간 굴곡되어 있고, 또한, 긴 팔부(50e)의 선단의 근방에서, 머리부(50a)의 2변의 가장자리의 꺾어 구부러져 있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약간 굴곡되어 있다. 짧은 팔부(50d)는, 어깨부(50c)의 근방에서, 머리부(50a)의 2변의 가장자리의 꺾어 구부러져 있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약 90° 굴곡되어 있다. 머리부(50a)의 중앙부와 목부(50b)와 어깨부(50c)와 긴 팔부(50e)의 베이스부는 동일한 평면 위에 위치한다.
다음에, 전기 부품 검사 기구(100)의 조립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4개의 막대 형상 도체 부품(30)이 통체(5)의 관통구멍(5e)의 개구(구체적으로는, 큰 구멍(5c)의 개구)를 통과하고, 블록(5f)의 4개의 관통구멍에 수용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막대 형상 도체 부품(30)은 검사 대상인 전기 부품(이 실시형태에서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900)임)의 도체(이 실시형태에서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900)의 콘택트(901)임)와 접촉하기 위한 일단(30a)과, 기판(10)의 도체 패턴(10k)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타단(30b)을 가지고 있고, 금속제의 가늘고 긴 막대여도 되고, 플런저 및 플런저에 연결하는 스프링 구조를 포함하는 기구(당업자에 의해, 포고 핀, 스프링 핀, 스프링 프로브 등으로 호칭됨)여도 된다. 막대 형상 도체 부품(30)의 일단(30a)은, 전기 부품의 도체와 확실하게 접촉하기 위해, 가동 플런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막대 형상 도체 부품(30)의 타단(30b)은 솔더링에 의해 도체 패턴(10k)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도 되지만, 솔더링에 의한 임피던스의 혼란을 피하고, 또한, 막대 형상 도체 부품(30)의 타단(30b)이 도체 패턴(10k)과 확실하게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관점에서, 막대 형상 도체 부품(30)의 타단(30b)은 가동 플런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막대 형상 도체 부품(30)의 일단(30a)과 타단(30b)은 가동 플런저이다. 스프링을 내장하는 막대 형상 도체 부품(30)의 배럴(30c)은 블록(5f)의 관통구멍에 압입되어 있고, 이 결과, 막대 형상 도체 부품(30)은 통체(5)에 고정되어 있다. 막대 형상 도체 부품(30)의 일단(30a)은 블록(5f)의 타단부(5k)의 끝면으로부터 돌출해 있고, 막대 형상 도체 부품(30)의 타단(30b)은 블록(5f)의 일단부(5h)(구체적으로는, 큰 구멍(5c)에 면하는 단부임)의 끝면으로부터 돌출해 있다.
다음에 2개의 금속 부품(50)이 통체(5)의 관통구멍(5e)의 개구(구체적으로는, 큰 구멍(5c)의 개구)를 통과하여, 통체(5)의 내부에 수용된다. 통체(5)의 내부에 2개의 금속 부품(50)이 수용된 상태에서, 2개의 금속 부품(50)의 위치 관계는 2회 회전 대칭의 위치 관계이며, 일방의 금속 부품(50)에 있어서 꺾어 구부러진 짧은 팔부(50d)의 선단 및 타방의 금속 부품(50)에 있어서 꺾어 구부러진 짧은 팔부(50d)의 선단은 서로 마주보고 있다. 금속 부품(50)의 머리부(50a)는 통체(5)의 블록(5f)과 작은 직방체(5b)의 내벽면과의 사이의 공간에 압입되어 있고, 이 결과, 금속 부품(50)은 통체(5)에 고정되어 있다. 통체(5)의 4개의 지지 막대(5i) 중 2개의 지지 막대(5i)의 각각은 금속 부품(50)의 머리부(50a)가 가지는 오목부(50f)에 위치하고 있다. 나머지의 2개의 지지 막대(5i)의 각각은 일방의 금속 부품(50)에 있어서 꺾어 구부러진 머리부(50a)의 가장자리와 타방의 금속 부품(50)에 있어서 꺾어 구부러진 머리부(50a)의 가장자리의 사이의 간극에 위치하고 있다. 금속 부품(50)의 꺾어 구부러진 짧은 팔부(50d)는 블록(5f)의 일단부(5h)에 접촉하고 있고, 이 결과, 금속 부품(50)은 통체(5) 내부에서 위치 결정되어 있다. 통체(5)의 내부에 금속 부품(50)이 수용된 상태에서, 목부(50b)가 접속하고 있는 머리부(50a)의 1변을 마주보는 머리부(50a)의 1변은 블록(5f)의 타단부(5k)의 끝면과 작은 구멍(5d)을 둘러싸는 작은 직방체(5b)의 내벽면으로 둘러싸이는 공간으로 약간 돌출해 있다.
다음에 4개의 케이블(70)이 부착된 기판(10)이 통체(5)의 관통구멍(5e)의 개구(구체적으로는, 큰 구멍(5c)의 개구)를 통과하여, 통체(5)의 내부에 수용된다. 케이블(70)은, 이 실시형태에서는, 일단에 L형 커넥터(70a)가 부착된 동축 케이블이다. L형 커넥터(70a)는 기판(10)상의 도체 패턴(10k)과 접속하고 있고, 이 결과, 케이블(70)의 외부 도체는 3개의 도체부(10d)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케이블(70)의 중심 도체는 도체부(10e)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2개의 케이블(70)이 기판(10)의 일방의 판면(10a)에 부착되어 있고, 나머지 2개의 케이블(70)이 기판(10)의 타방의 판면(10b)에 부착되어 있다. 4개의 케이블(70)은 기판(10)으로부터 같은 방향으로 뻗어 있고, 또한, 통체(5)의 큰 구멍(5c)의 개구로부터 통체(5)의 외부로 끌어 내어져 있다. 통체(5)의 내부에 있어서, 일방의 금속 부품(50)의 긴 팔부(50e)와 타방의 금속 부품(50)의 긴 팔부(50e)의 간극에 기판(10)이 위치하고 있고, 기판(10)의 도체부(10c)는 금속 부품(50)의 긴 팔부(50e)와 접촉하고 있다.
다음에 압축 코일스프링(90)이, 통체(5)의 관통구멍(5e)의 개구(구체적으로는, 큰 구멍(5c)의 개구)를 통과하여, 4개의 케이블(70)의 사이에, 즉, 케이블(70)의 신장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직사각형의 정점에 위치하는 4개의 케이블(70)에 의해 둘러싸이는 간극으로, 밀어 넣어진다.
다음에 프레임체(3)가 통체(5)의 큰 직방체(5a)에 부착된다. 프레임체(3)의 관통구멍(3b)에 통체(5)을 통과시킴으로써, 통체(5)의 단차부(5g)가 프레임체(3)의 발톱(3e)에 걸린다. 통체(5)에 프레임체(3)가 부착된 상태에서, 통체(5)의 큰 구멍(5c)의 개구부의 끝면(5n)과 프레임체(3)의 판부(3a)의 일방의 판면(3f)은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한다.
다음에 커버(1)가 프레임체(3)에 부착된다. 커버(1)의 측벽부(1b)는 프레임체(3)의 홈부(3c)에 위치하고, 커버(1)의 발톱(1d)은 프레임체(3)의 판부(3a)의 타방의 판면(3g)에 걸린다. 커버(1)가 프레임체(3)에 부착된 상태에 있어서, 커버(1)의 판부(1a)의 타방의 판면(1f)은 프레임체(3)의 판부(3a)의 일방의 판면(3f)과 접촉하고 있다. 4개의 케이블(70)은 커버(1)의 4개의 관통구멍(1c)을 통해 빠져나와 있다. 커버(1)가 프레임체(3)에 부착된 상태에서, 압축 코일스프링(90)은 커버(1)의 판부(1a)의 타방의 판면(1f) 및 기판(10)의 가장자리(구체적으로는, 가장자리(10h)와 반대측의 가장자리임)에 의해 압축되어 있고, 이 결과, 압축 코일스프링(90)의 복원력에 의해, 기판(10)이 블록(5f)에 밀어 붙여짐과 아울러, 막대 형상 도체 부품(30)의 타단(30b)이 기판(10)의 도체부(10g)와 확실하게 접촉한다.
이 실시형태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전기 부품 검사 기구(100)는 기판(10)의 두께 방향의 부위인 기판(10)의 가장자리(10h)에 막대 형상 도체 부품(30)이 부착된 내부 구조를 가지고 있고, 막대 형상 도체 부품(30)의 신장 방향은 기판(10)의 판면의 법선 방향과 직교하고 있다. 따라서, 기판(10)의 판면상에서 막대 형상 도체 부품(30)을 부착하기 위한 장소가 불필요하다. 또, 이 실시형태와 같이, 필요한 수의 반수의 케이블(70)을 기판(10)의 일방의 판면(10a)에 부착하고, 나머지 반수의 케이블(70)을 기판(10)의 타방의 판면(10b)에 부착함으로써, 케이블(70)을 부착하기 위해 필요한 기판(10)상의 장소의 면적을 반감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70)의 L형 커넥터(70a)의 근방에서 케이블(70)이 기판(10)의 판면을 따라 뻗어 있으므로, 기판(10)의 판면의 법선 방향에서의 전기 부품 검사 기구(100)의 사이즈에 케이블(70)이 주는 영향도 충분히 작다.
다음에 전기 부품 검사 기구(100)의 사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시하지 않은 기판에 고정되어 있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900)에, 전기 부품 검사 기구(100)를 부착한다. 기판 대 기판 커넥터(900)는 통체(5)의 작은 구멍(5d)의 개구부에 수용된다. 기판 대 기판 커넥터(900)가 작은 구멍(5d)의 개구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기판 대 기판 커넥터(900)의 금속 프레임체(903)과 금속 부품(50)의 머리부(50a)가 서로 접촉하고 있고, 막대 형상 도체 부품(30)의 일단(30a)이 기판 대 기판 커넥터(900)의 콘택트(901)와 접촉하고 있다.
<보충>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했지만, 당업자는 본 발명의 범위에서 일탈하지 않고, 다양한 변경을 행하여, 그 요소를 균등물로 치환할 수 있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본질적인 범위에서 일탈하지 않고, 특정 시스템, 디바이스, 또는 그 컴포넌트를 본 발명의 교시에 적합시키기 위해, 많은 수정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해 개시된 특정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첨부된 청구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실시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의 사용은 순서나 중요성을 나타내는 것 이 아니고, 「제1」, 「제2」 등의 용어는 요소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용어 「포함한다」와 그 어형 변화는 본 명세서 및/또는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경우, 언급된 특징, 스텝, 조작, 요소, 및/또는 컴포넌트의 존재를 명확하게 하지만, 하나 또는 복수의 다른 특징, 스텝, 조작, 요소, 컴포넌트, 및/또는 그것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및/또는」이라고 하는 용어는, 그것이 만약 있다면, 관련되는 리스트된 요소의 하나 또는 복수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청구범위 및 명세서에 있어서, 특별히 명기하지 않는 한, 「접속」, 「결합」, 「접합」, 「연결」, 또는 그것들의 동의어, 및 그 모든 어형은, 예를 들면, 서로 「접속」 또는 「결합」되어 있거나 서로 「연결」되어 있는 2개 사이의 하나 이상의 중간 요소의 존재를 반드시 부정하는 것은 아니다. 청구범위 및 명세서에 있어서, 「임의」라고 하는 용어는, 그것이 만약 있다면, 특별히 명기하지 않는 한, 전칭 기호 ∀와 같은 의미를 나타내는 용어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임의의 X에 대해」라고 하는 표현은 「모든 X에 대해」 혹은 「각 X에 대해」와 같은 의미를 가진다.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같은 의미를 가진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서 정의되어 있는 용어 등의 용어는 관련 기술 및 본 개시의 문맥에 있어서의 그것들의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다고 해석되어야 하며, 명시적으로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형식적으로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많은 기법 및 스텝이 개시되어 있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것들의 각각에는 개별의 이점이 있고, 각각 다른 개시된 기법의 하나 이상, 또는 경우에 따라서는 모두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번잡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각각의 기법 또는 스텝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설명하는 것을 삼가한다. 그래도, 명세서 및 청구항은 그러한 조합이 완전히 본 발명 및 청구항의 범위 내인 것을 이해하고 읽혀져야 한다.
이하의 청구항에 있어서 수단 또는 스텝과 결합한 모든 기능적 요소가 대응하는 구조, 재료, 행위, 및 동등물은 그것들이 있다고 한다면, 다른 요소와 조합하여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구조, 재료, 또는 행위를 포함하는 것을 의도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과 변형이 허용된다. 선택되고 또한 설명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원리 및 그 실제적 응용을 해설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 혹은 변형을 수반하여 다양한 실시형태로서 사용되고, 다양한 변경 혹은 변형은 기대되는 용도에 따라 결정된다. 그러한 변경 및 변형의 모두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규정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의도되어 있고, 공평, 적법 및 공정하게 주어지는 확대에 따라 해석되는 경우, 동일한 보호가 주어지는 것이 의도되어 있다.
1 커버 1a 판부
1b 측벽부 1c 관통구멍
1d 발톱 1e 판면
1f 판면 3 프레임체
3a 판부 3b 관통구멍
3c 홈부 3d 내벽면
3e 발톱 3f 판면
3g 판면 5 통체
5a 큰 직방체 5b 작은 직방체
5c 큰 구멍 5d 작은 구멍
5e 관통구멍 5f 블록
5g 단차부 5h 일단부
5i 지지 막대 5k 타단부
5m 끝면 5n 끝면
10 기판 10a 판면
10b 판면 10c 도체부
10d 도체부 10e 도체부
10f 도체부 10g 도체부
10h 가장자리 10i 오목부
10k 도체 패턴 30 막대 형상 도체 부품
30a 일단 30b 타단
30c 배럴 50 금속 부품
50a 머리부 50b 목부
50c 어깨부 50d 팔부
50e 팔부 50f 오목부
70 케이블 70a L형 커넥터
90 압축 코일스프링 100 전기 부품 검사 기구
900 기판 대 기판 커넥터 901 콘택트
903 금속 프레임체

Claims (8)

  1. 기판의 판면의 위에 도체 패턴을 가지고 있는 상기 기판; 및
    검사 대상인 전기 부품의 도체와 접촉하기 위한 일단을 가지고 있는 막대 형상 도체 부품;
    을 포함하고,
    상기 도체 패턴은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에 이르고 있고,
    상기 막대 형상 도체 부품의 타단은 상기 기판의 상기 가장자리에서 상기 도체 패턴과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고,
    상기 막대 형상 도체 부품의 신장 방향은 상기 기판의 상기 판면의 법선 방향과 직교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부품 검사 기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 형상 도체 부품의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의 적어도 일방은 가동 플런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부품 검사 기구.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기판의 상기 가장자리의 일부에 오목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막대 형상 도체 부품의 상기 타단은 상기 오목부에서 상기 도체 패턴과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부품 검사 기구.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기판의 상기 가장자리의 일부에 오목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막대 형상 도체 부품의 상기 타단은 상기 오목부에서 상기 도체 패턴과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부품 검사 기구.
  5. 제1 항에 있어서,
    또한,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의 상기 판면에서, 상기 케이블의 일단이 갖는 L형 커넥터가 상기 도체 패턴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부품 검사 기구.
  6. 제2 항에 있어서,
    또한,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의 상기 판면에서, 상기 케이블의 일단이 갖는 L형 커넥터가 상기 도체 패턴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부품 검사 기구.
  7. 제3 항에 있어서,
    또한,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의 상기 판면에서, 상기 케이블의 일단이 갖는 L형 커넥터가 상기 도체 패턴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부품 검사 기구.
  8. 제4 항에 있어서,
    또한,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의 상기 판면에서, 상기 케이블의 일단이 갖는 L형 커넥터가 상기 도체 패턴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부품 검사 기구.
KR1020210089606A 2020-10-06 2021-07-08 전기 부품 검사 기구 KR1025846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169210 2020-10-06
JP2020169210A JP7453891B2 (ja) 2020-10-06 2020-10-06 電気部品検査器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5885A true KR20220045885A (ko) 2022-04-13
KR102584652B1 KR102584652B1 (ko) 2023-10-05

Family

ID=80931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9606A KR102584652B1 (ko) 2020-10-06 2021-07-08 전기 부품 검사 기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107342A1 (ko)
JP (1) JP7453891B2 (ko)
KR (1) KR102584652B1 (ko)
CN (1) CN114384344A (ko)
TW (1) TWI777691B (ko)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12682A (ja) * 1996-07-29 1998-12-02 エベレット チャールズ テクノロジ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ロードされた基板のドロップピン装置
JP2000162270A (ja) * 1998-11-02 2000-06-16 Delaware Capital Formation Inc 試験用ソケット
JP2000338151A (ja) * 1999-05-31 2000-12-08 Micro Craft Kk プリント配線基板用インピーダンス測定装置
JP2002257897A (ja) * 2001-03-02 2002-09-11 Anritsu Corp 電子部品の検査用ヘッドおよびそれに用いる線路基板の製造方法
US20090009205A1 (en) * 2000-06-16 2009-01-08 Nhk Spring Co., Ltd. Microcontactor probe assembly having a plunger and electric probe module using the same
US20130095702A1 (en) * 2010-06-21 2013-04-18 Apple Inc. External contact plug connector
KR20130050239A (ko) * 2011-11-07 2013-05-15 니혼덴산리드가부시키가이샤 기판검사치구, 치구 베이스 유닛 및 기판검사장치
JP2015088494A (ja) * 2013-10-28 2015-05-07 ムルティテスト・エレクトロニッシェ・ジステーメ・ゲーエムベーハー ねじ無し接触ばねの交換
US20150171561A1 (en) * 2013-07-19 2015-06-18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Flippable electrical connector
KR20170061156A (ko) * 2014-11-07 2017-06-02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프로브
US20180261940A1 (en) * 2017-03-10 2018-09-13 Tag-Connect, Llc Side-edge connector system
JP2018179758A (ja) * 2017-04-13 2018-11-15 株式会社日本マイクロニクス 電気的接続装置
KR20190095867A (ko) * 2018-02-07 2019-08-16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프로브 핀, 검사 지그, 검사 유닛 및 검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17528B2 (ja) * 1996-04-05 2003-06-16 株式会社アドバンテスト Ic試験装置
JP4185218B2 (ja) 1999-04-02 2008-11-26 株式会社ヨコオ コンタクトプローブ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前記コンタクトプローブを用いたプローブ装置とその製造方法
JP2001289875A (ja) 2000-04-05 2001-10-19 Mitsubishi Materials Corp コンタクトプローブ
JP3998996B2 (ja) * 2002-03-01 2007-10-31 凌和電子株式会社 高周波伝送線路接続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JP4219634B2 (ja) * 2002-08-01 2009-02-04 凌和電子株式会社 磁気センサ、側面開放型temセル、およびこれらを利用した装置
JP4251855B2 (ja) * 2002-11-19 2009-04-08 株式会社ヨコオ 高周波・高速用デバイスの検査治具の製法
US7161366B2 (en) * 2004-11-12 2007-01-09 Tektronix,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be tip contact
JP4649248B2 (ja) 2005-03-22 2011-03-09 山一電機株式会社 プローブユニット
JP2006275543A (ja) 2005-03-28 2006-10-12 Kurio:Kk プローブ装置
US8436636B2 (en) 2006-10-10 2013-05-07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testing circuit boards
JP5251524B2 (ja) 2009-01-09 2013-07-31 東洋紡株式会社 高強度かつ高弾性率の炭素繊維を得るための前駆体繊維の製造方法
US8030957B2 (en) * 2009-03-25 2011-10-04 Aehr Test Systems System for testing an integrated circuit of a device and its method of use
JP2010237133A (ja) * 2009-03-31 2010-10-21 Yokowo Co Ltd 検査ソケットおよびその製法
JP5588347B2 (ja) * 2009-09-25 2014-09-10 株式会社アドバンテスト プローブ装置および試験装置
JP2013164381A (ja) * 2012-02-13 2013-08-22 Nidec-Read Corp 基板検査装置のアライメント方法及び基板検査装置
JP6112890B2 (ja) * 2013-02-07 2017-04-12 日置電機株式会社 プローブユニット、基板検査装置およびプローブユニット組立方法
EP2942837B1 (en) * 2014-05-06 2019-07-03 ODU GmbH & Co KG. Connector assembly with flexible circuit board
JP6325372B2 (ja) 2014-06-27 2018-05-16 理想科学工業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KR101801524B1 (ko) * 2016-01-12 2017-11-28 주식회사 이노글로벌 반도체 테스트용 양방향 도전성 패턴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테스트 소켓
TWI775836B (zh) * 2017-04-27 2022-09-01 日商日本電產理德股份有限公司 檢查治具以及基板檢查裝置
WO2019069576A1 (ja) 2017-10-06 2019-04-1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プローブ

Patent Citation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12682A (ja) * 1996-07-29 1998-12-02 エベレット チャールズ テクノロジ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ロードされた基板のドロップピン装置
JP2000162270A (ja) * 1998-11-02 2000-06-16 Delaware Capital Formation Inc 試験用ソケット
JP2000338151A (ja) * 1999-05-31 2000-12-08 Micro Craft Kk プリント配線基板用インピーダンス測定装置
US20090009205A1 (en) * 2000-06-16 2009-01-08 Nhk Spring Co., Ltd. Microcontactor probe assembly having a plunger and electric probe module using the same
JP2002257897A (ja) * 2001-03-02 2002-09-11 Anritsu Corp 電子部品の検査用ヘッドおよびそれに用いる線路基板の製造方法
US8882524B2 (en) * 2010-06-21 2014-11-11 Apple Inc. External contact plug connector
US20130095702A1 (en) * 2010-06-21 2013-04-18 Apple Inc. External contact plug connector
KR20130050239A (ko) * 2011-11-07 2013-05-15 니혼덴산리드가부시키가이샤 기판검사치구, 치구 베이스 유닛 및 기판검사장치
US20150171561A1 (en) * 2013-07-19 2015-06-18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Flippable electrical connector
JP2015088494A (ja) * 2013-10-28 2015-05-07 ムルティテスト・エレクトロニッシェ・ジステーメ・ゲーエムベーハー ねじ無し接触ばねの交換
KR20170061156A (ko) * 2014-11-07 2017-06-02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프로브
US20180261940A1 (en) * 2017-03-10 2018-09-13 Tag-Connect, Llc Side-edge connector system
US10535938B2 (en) * 2017-03-10 2020-01-14 Tag-Connet, Llc Side-edge connector system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devices in a manner which minimizes dedicated connection space
JP2018179758A (ja) * 2017-04-13 2018-11-15 株式会社日本マイクロニクス 電気的接続装置
KR20190095867A (ko) * 2018-02-07 2019-08-16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프로브 핀, 검사 지그, 검사 유닛 및 검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061292A (ja) 2022-04-18
CN114384344A (zh) 2022-04-22
US20220107342A1 (en) 2022-04-07
KR102584652B1 (ko) 2023-10-05
JP7453891B2 (ja) 2024-03-21
TW202229877A (zh) 2022-08-01
TWI777691B (zh) 2022-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79630B1 (en) Inline compression rf connector
CN107148575B (zh) 探针
US7909613B2 (en) Coaxial connecting device
US20120142210A1 (en) Socket Cartridge and Socket Cartridge Assembly
US10367305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high speed signal transmission with a high-density structure
JPWO2008072322A1 (ja) 同軸ケーブルユニット、及び試験装置
EP3399597B1 (en) Float electrical connector for interconnecting printed circuit boards and method thereof
KR20010033843A (ko) 동축 전기 접점 조립체
CN109782034B (zh) 一种多通道探针
CN113167817B (zh) 探针
JP7243738B2 (ja) プローブ嵌合構造
JP2019138768A (ja) プローブ
US9240643B2 (en) Device for contacting a circuit board
US11462859B2 (en) Coaxial terminal, coaxial connector, wiring board, and electronic component testing apparatus
US20080119062A1 (en) Coaxial Connecting Part
JP3226821U (ja) 多極コネクタを測定するためのプローブ
KR102584652B1 (ko) 전기 부품 검사 기구
US20220271482A1 (en) Rf connector
WO2021060189A1 (ja) コネクタ測定用プローブ及びコネクタの測定方法
CN111969349A (zh) 连接器检查装置及连接器模块
CN114207952B (zh) 检查用探针装置和连接器检查方法
US11462870B2 (en) Wiring board and electronic component testing apparatus comprising coaxial connector, and coaxial connector
JP2022116470A (ja) プローブ装置
CN116998068A (zh) 双u形或u形插接式连接器
JP3147283U (ja) マイクロ電子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