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5673A - 비산재 안정화물 톤백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비산재 안정화물 톤백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5673A
KR20220045673A KR1020200128546A KR20200128546A KR20220045673A KR 20220045673 A KR20220045673 A KR 20220045673A KR 1020200128546 A KR1020200128546 A KR 1020200128546A KR 20200128546 A KR20200128546 A KR 20200128546A KR 20220045673 A KR20220045673 A KR 202200456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y ash
tone bag
tone
discharg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8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0730B1 (ko
Inventor
김병철
Original Assignee
주로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로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로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28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0730B1/ko
Publication of KR20220045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56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0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07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12Supports
    • B65D90/20Frames or nets, e.g. for flexible containers
    • B65D90/205Frames or nets, e.g. for flexible containers for flexible containers, i.e. the flexible container being permanently connected to the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54Larg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22Safety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asification And Melting Of Was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산재 안정화물 톤백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용량 소각장이 아닌 중,소형 소각장, 특히 설치공간이 협소하여 비산재 안정화물 분배장치를 설치하기 어려운 환경에서 안정화물의 양생을 원활하게 유도하면서 수납 배출하되 운송차량에서의 적재효율까지 높일 수 있도록 개선된 비산재 안정화물 톤백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산재 안정화물 톤백 고정장치{Tone bag fixing device for stabilizing fly ash}
본 발명은 비산재 안정화물 톤백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용량 소각장이 아닌 중,소형 소각장, 특히 설치공간이 협소하여 비산재 안정화물 분배장치를 설치하기 어려운 환경에서 안정화물의 양생을 원활하게 유도하면서 수납 배출하되 운송차량에서의 적재효율까지 높일 수 있도록 개선된 비산재 안정화물 톤백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존 쓰레기 소각장에서는 비산재인 플라이애쉬를 톤백에 저장하고, 경제성에 따라 위탁처리업자에게 치리를 위탁하고 있다.
그런데, 정부에서 특정폐기물인 비산재에 대한 매립지를 추가로 허가하지 않기 때문에 각 소각장별로 플라이애쉬를 안정화(고형화)시킨 후 소각 바닥재(bottom ash)와 함께 일반폐기물 매립지로 반출처리하고 있다.
비산재 안정화 설비는 비산재 저장장치, 비산재 배출장치 그리고 혼합기(Mixer)와 가습수 공급장치, 약제 공급장치, 안정화물 배출장치로 이루어진다.
이때, 비산재 저장장치는 소각시설의 건설(시공)시부터 3일분 용량을 고려하여 설치하고, 비산재 배출장치는 혼합기의 종류에 따라서 테이블 피더, 로터리 피더 등으로 구분되어 설치된다.
또한, 혼합기는 로드믹서 타입과 패들믹서 타입으로 구분되는데, 흔히 로드믹서 타입은 24시간 연속 운전할 수 있음에 반해, 패들믹서 타입은 1일 6-8시간만 운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히, 비산재에는 여러 중금속이 함유되어 있는데, 그 중에서도 소각장에서는 Pb, Cr 등이 많이 배출되므로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여 약제는 킬레이트화를 통해 중금속을 제거하는데 사용되면 국내외 다수의 약제 공급사가 있다.
아울러, 안정화물 배출장치는 안정화물을 양생하면서 저장용기까지 벨트 컨베어 등을 이용하여 이송하는 장치이다.
그런데, 안정화물 배출장치는 컨베어시스템을 포함하고 있어 일정크기 이상의 설치공간이 요구된다. 즉, 1일 소각능력이 100-200톤에 이르는 대용량 소각장에 적합하나 1일 소각능력이 50톤 이하인 중,소형 소각장에서는 설치공간도 협소할 뿐만 아니라 설비비 대비 처리능력이 낮아 비효율적이므로 이에 맞는 배출장치를 갖출 필요가 있다.
하지만, 국내 현재 여건은 하기한 [선행기술문헌]들과 같이 대용량 소각장용 안정화물 배출장치에 대한 기술은 개시되어 있으나, 중,소용량, 특히 소용량 소각장에 맞는 안정화물 배출장치에 대한 기술은 아직까지 확인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1.국내 등록특허 제10-2082454호(2020.02.21.) '비산재 분배장치' 2.국내 등록특허 제10-2135845호(2020.07.14.) '비산재 혼련기용 분배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대용량 소각장이 아닌 중,소형 소각장, 특히 설치공간이 협소하여 비산재 안정화물 분배장치를 설치하기 어려운 환경에서 안정화물의 양생을 원활하게 유도하면서 수납 배출하되 운송차량에서의 적재효율까지 높일 수 있도록 개선된 비산재 안정화물 톤백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혼합조의 비산재 안정화물이 배출되는 배출슈트의 하부에 설치되는 고정프레임(100); 상기 고정프레임(100)의 상부에 고정되고, 상기 배출슈트(30)에 연결되며, 하단에는 톤백(TB)이 걸려 배출되는 비산재 안정화물을 수납하도록 구성된 배출가이드(110); 상기 배출가이드(110)의 둘레 일부에 형성되어 내부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관(11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재 안정화물 톤백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고정프레임(100)의 하단인 걸려 있는 톤백(TB)의 직하방에는 톤백(TB)과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톤백(TB)의 낙수를 수용하는 받침대(150)가 더 구비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100)의 상단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내롤(120)이 더 설치되고, 상기 안내롤(120)을 경유하여 견인수단(122)이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견인수단(122)의 일단에는 톤백걸이구(124)가 고정되고, 상기 견인수단(122)의 타단에는 고정구(130)에 걸려 고정되는 고정링(126)이 고정되되, 상기 견인수단(122)은 와이어 또는 체인이고, 상기 견인수단(122)들은 조절롤(140)을 경유하여 고정구(130)를 향해 연장되게 설치되며, 상기 고정구(130)는 고정프레임(100)에 고정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대용량 소각장이 아닌 중,소형 소각장, 특히 설치공간이 협소하여 비산재 안정화물 분배장치를 설치하기 어려운 환경에서 안정화물의 양생을 원활하게 유도하면서 수납 배출하되 운송차량에서의 적재효율까지 높일 수 있도록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톤백 고정장치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예시적인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예시적인 부분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톤백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플랜지플랩의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산재 안정화물 톤백 고정장치는 혼합기의 배출슈트에 설치되어 비산재 안정화물을 안전하게 양생시키면서 저장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고정프레임(100)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프레임(100)은 평면으로 봤을 때 일측이 터져있는 'ㄷ' 형상을 갖추어 비산재 안정화물을 수납한 톤백(TB)을 쉽게 리프팅하여 분리 배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톤백(TB)을 리프팅하는 기구는 지게차(FK)와 같은 포크리프터(Forklifter)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대형 컨베어시스템인 안정화물 배출장치를 설치할 공간적 여력이 없는 중,소형 소각로의 혼합기 배출슈트 직하방에 간단히 톤백(TB)을 고정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하고, 톤백(TB)을 통해 비산재 안정화물을 배출함으로써 공간적 제약없이 간편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만, 단순히 톤백(TB)을 걸어 배치한다고 해서 비산재 안정화물을 배출할 수 있는 것은 아니므로 그것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적 특징에 대해 이하 설명하기로 한다.
이것은 비산재가 안정화되는 단계, 즉 혼합기를 거치면서 애쉬(ash), 물, 약제의 수화반응에 따른 가스가 생성되는데, 이 가스를 배출하지 못하면 비산재 안정화물이 양생되지 않기 때문에 분리 배출이 불가능하게 된다. 때문에, 아주 일반적인 방식인 톤백(TB)을 배출슈트에 직접 걸어 고정한 후 비산재 안정화물을 받아 배출하는 방식이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즉, 그러한 배출구조에서는 가스가 거의 빠져나가지 않기 때문에 양생이 안되어 결국 고형화처리가 어렵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고정프레임(100)의 상단 중심에 고정되는 원통형상의 배출가이드(110)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배출가이드(110)의 상단은 혼합기의 배출슈트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배출가이드(110)의 둘레 일부에는 내부 상태를 체크할 수 있는 점검창(112)이 더 설치되는데, 상기 점검창(112)은 투명창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혹은 도어를 열고 닫을 수 있는 구조를 갖출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배출가이드(110)의 하단 둘레에는 일정폭의 걸이단부(114)가 더 형성된다.
상기 걸이단부(114)는 톤백(TB)의 상단인 주둥이를 끼운 후 끈이나 별도 클램프 등의 고정구를 이용하여 배출가이드(110)에 걸려 있도록 하는 수단이다.
아울러, 상기 배출가이드(110)의 외주면 일측에는 배기관(116)이 연결된다.
상기 배기관(116)은 톤백(TB)으로 비산재 안정화물이 낙하될 때 수화반응시 생긴 가스가 자연스럽고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양생, 즉 고형화가 원활하게 일어나도록 안내한다.
이 경우, 상기 배기관(116)에는 가스를 아주 서서히 빨아들이는 흡기펌프를 더 연결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100)의 상단에는 4개의 안내롤(120)이 설치되고, 상기 안내롤(120)을 경유하여 견인수단(122)이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견인수단(122)의 일단에는 톤백걸이구(124)가 고정되고, 상기 견인수단(122)의 타단에는 고정구(130)에 걸려 고정되는 고정링(126)이 고정된다.
여기에서, 상기 안내롤(120)은 도르레가 바람직하며, 상기 견인수단(122)은 와이어 또는 체인일 수 있고, 이 견인수단(122)들은 조절롤(140)을 경유하여 고정구(130)를 향해 연장되게 설치되며, 고정구(130)는 고정프레임(100)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톤백걸이구(124)는 톤백(TB)에 마련돈 4개의 톤백고리(TR)에 걸려 톤백(TB)을 일정 높이 들어올린 상태로 고정할 수 있도록 버팀력을 제공한다.
이때, 비산재 안정화물을 배출 수납할 때 톤백(TB)을 바닥면에서 일정 높이 올려 놓은 상태에서 작업해야 하는 이유는 톤백(TB)을 바닥면에 안착시킨 상태로 안정화물을 수납하게 되면 비산재 안정화물이 톤백(TB) 내부 바닥에 쌓이면서 하단이 퍼지게 된다. 즉, 도 1에서 파선으로 도시한 예와 같이 하단이 외측으로 볼록하게 튀어나오면서 퍼진 상태로 고형화되게 되는데, 이렇게 되면 운송수단인 차량에 톤백(TB)을 적재할 때 튀어나온 부분 때문에 간섭되어 2개의 톤백을 나란히 실을 수 있는 것을 1개 밖에 실을 수 없는 경우가 생겨 적재효율을 현저히 떨어뜨리게 된다. 따라서, 이를 해소시킬 필요가 있고, 톤백(TB)을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키게 되면 하단 퍼짐현상이 발생하지 않게된다.
즉, 처음 수납시에는 이격된 상태에서 수납되어야 수납되면서 하중이 늘어나 톤백이 처지면서 바닥, 즉 받침대 위에 접촉하게 되며, 하단 둘레가 퍼지지 않지만, 처음부터 바닥에 접촉된 상태에서 수납하게 되면 수납과 동시에 하단 둘레가 퍼져버린다는 의미로 이해하면 된다.
나아가, 수화반응 과정에서 투입된 물기가 남아 있기 때문에 습기를 배출시켜야 하는데, 바닥면에 밀착된 상태로 있게 되면 습기를 배출할 수 없어 양생불량이 발생하기도 한다. 때문에, 이격시킨 상태로 유지하여 습기를 배출할 필요도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톤백(TB)을 약간 들어 올린 상태로 작업하도록 본 발명에서는 구성되며, 톤백(TB) 직하방에는 받침대(150)를 더 설치하여 수분이 빠져나올 때 이를 저수하여 외부로 배출토록 함으로써 2차 환경오염도 막고, 작업환경을 깨끗하게 유지시킬 수도 있다.
덧붙여, 도 4의 예시와 같이, 상기 걸이단부(114)의 상측에는 상하로 슬라이딩되는 플랜지플랩(FLF)을 더 설치하여 톤백(TB)의 주둥이가 배출가이드(110)의 하단에 끼워진 후 일부 접어지게 한 상태에서 플랜지플랩(FLF)을 내려 눌러 톤백(TB)의 주둥이가 상하로 맞물려 자연스럽게 고정되게 할 수도 있다.
즉, 사용상 편의성을 좋게 하기 위해 도 4의 예시와 같이, 플랜지플랩(FLF)의 상부는 스프링(SP)에 의해 항상 하방향으로 힘을 받도록 만든 상태에서 톤백(TB)을 고정할 때 플랜지플랩(FLF)을 살짝 밀어 올린 후 그 사이로 주둥이가 맞물로 고정되게 하면 더욱 더 쉽고 빠른 설치작업이 될 수 있다.
이것이 가능한 이유는 톤백(TB)의 하중을 지탱하는 주된 지지구는 4개의 톤백걸이구(124)이고, 주둥이 부위는 오므려지지 않도록 벌리고만 있으면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톤백 고정장치는 톤백을 설치한 상태에서 비산재 안정화물을 배출하면 안정화물이 톤백에 수납되는 과정에서 가스를 완전히 배출시킬 수 있어 양생 불량이 생기지 않고 원활한 배출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톤백의 하단이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 이격되어 있어 톤백 내부의 수분이 원활하게 배수되므로 수분에 의한 양생불량도 막을 수 있고, 또한 배수된 물은 받침대(150)에서 받아 별도 설치된 드레인을 통해 배수하거나 혹은 받침대(150)를 서랍식으로 빼내 배수할 수도 있으므로 2차 환경오염을 막고, 주변환경을 깨끗하게 유지시키는데 일조하게 된다.
100: 고정프레임
110: 배출가이드
120: 안내롤
130: 고정구
140: 받침대

Claims (3)

  1. 혼합조의 비산재 안정화물이 배출되는 배출슈트의 하부에 설치되는 고정프레임(100);
    상기 고정프레임(100)의 상부에 고정되고, 상기 배출슈트(30)에 연결되며, 하단에는 톤백(TB)이 걸려 배출되는 비산재 안정화물을 수납하도록 구성된 배출가이드(110);
    상기 배출가이드(110)의 둘레 일부에 형성되어 내부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관(11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재 안정화물 톤백 고정장치.
  2. 제1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100)의 하단인 걸려 있는 톤백(TB)의 직하방에는 톤백(TB)과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톤백(TB)의 낙수를 수용하는 받침대(15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재 안정화물 톤백 고정장치.
  3. 제1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100)의 상단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내롤(120)이 더 설치되고, 상기 안내롤(120)을 경유하여 견인수단(122)이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견인수단(122)의 일단에는 톤백걸이구(124)가 고정되고, 상기 견인수단(122)의 타단에는 고정구(130)에 걸려 고정되는 고정링(126)이 고정되되,
    상기 견인수단(122)은 와이어 또는 체인이고, 상기 견인수단(122)들은 조절롤(140)을 경유하여 고정구(130)를 향해 연장되게 설치되며, 상기 고정구(130)는 고정프레임(100)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재 안정화물 톤백 고정장치.
KR1020200128546A 2020-10-06 2020-10-06 비산재 안정화물 톤백 고정장치 KR1024207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8546A KR102420730B1 (ko) 2020-10-06 2020-10-06 비산재 안정화물 톤백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8546A KR102420730B1 (ko) 2020-10-06 2020-10-06 비산재 안정화물 톤백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5673A true KR20220045673A (ko) 2022-04-13
KR102420730B1 KR102420730B1 (ko) 2022-07-14

Family

ID=81212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8546A KR102420730B1 (ko) 2020-10-06 2020-10-06 비산재 안정화물 톤백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07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3499B1 (ko) 2022-05-31 2022-09-14 황석준 로터리 방식의 톤백 포장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82386A (en) * 1977-11-30 1980-01-08 Semi-Bulk Systems, Inc. Closed system and container for dust free loading and unloading of powdered materials
US4688979A (en) * 1985-07-01 1987-08-25 Kupersmit Julius B Strap support system for collapsible shipping containers
KR960700174A (ko) * 1993-01-04 1996-01-19 아브롬 알. 핸들레만 재료취급 시스템(material handling system)
US20030075663A1 (en) * 2001-03-19 2003-04-24 Hurst William S. Container support
KR102082454B1 (ko) 2019-05-27 2020-02-27 윤수현 비산재 분배장치
KR102135845B1 (ko) 2020-01-21 2020-07-20 윤수현 비산재 혼련기용 분배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82386A (en) * 1977-11-30 1980-01-08 Semi-Bulk Systems, Inc. Closed system and container for dust free loading and unloading of powdered materials
US4688979A (en) * 1985-07-01 1987-08-25 Kupersmit Julius B Strap support system for collapsible shipping containers
KR960700174A (ko) * 1993-01-04 1996-01-19 아브롬 알. 핸들레만 재료취급 시스템(material handling system)
US20030075663A1 (en) * 2001-03-19 2003-04-24 Hurst William S. Container support
KR102082454B1 (ko) 2019-05-27 2020-02-27 윤수현 비산재 분배장치
KR102135845B1 (ko) 2020-01-21 2020-07-20 윤수현 비산재 혼련기용 분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3499B1 (ko) 2022-05-31 2022-09-14 황석준 로터리 방식의 톤백 포장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0730B1 (ko) 2022-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0730B1 (ko) 비산재 안정화물 톤백 고정장치
JP2019093361A (ja) 容器への廃棄物の充填システム
CO5290283A1 (es) Contenedor de carga, sistema y metodo para despachar carga
US10625316B2 (en) Portable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waste to be placed in landfill
CN101304898B (zh) 负载运送箱体
US3889886A (en) Portable waste glass bottle and container crushing device
US20230241598A1 (en) On-site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spent oxidizable catalyst in inert gas environments
US9254935B2 (en) Bulk material handling system and carrier therefor
KR101071957B1 (ko) 투입 호퍼 상차식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
US5417344A (en) Secondary containment apparatus with support and clamp
US1176797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gregating and grinding oxidizable catalyst material
AU201435617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alkaline water containing solids
RU2009237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демеркуризации люминесцетных ламп
JP2572850Y2 (ja) アスファルト合材製造プラント
JP5179440B2 (ja) 担体供給装置
KR20040072087A (ko) 이동가능한 벌크 적재터미널
CN209922047U (zh) 一体化防臭污泥斗
KR102115987B1 (ko) 오니 탈수 시스템
CN213409792U (zh) 一种防渗漏垃圾处理筛选装置
US2023024159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gregating into dual waste streams oxidizable catalyst material from inert support media
CN220641225U (zh) 一种地埋式垃圾压缩设备
CN210479796U (zh) 一种智慧城市管理垃圾分类运输系统
JP7110534B2 (ja) 水処理槽及び水処理槽の設置方法
JP3136980U (ja) 汚泥混焼用ごみ焼却装置
RU137800U1 (ru) Мобильный контейнерный склад для сыпучих материал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