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5418A - 시공 보조블록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형 환기장치 - Google Patents

시공 보조블록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형 환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5418A
KR20220045418A KR1020200128127A KR20200128127A KR20220045418A KR 20220045418 A KR20220045418 A KR 20220045418A KR 1020200128127 A KR1020200128127 A KR 1020200128127A KR 20200128127 A KR20200128127 A KR 20200128127A KR 20220045418 A KR20220045418 A KR 202200454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housing
coupling
wall
coupl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8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3849B1 (ko
Inventor
이태호
김종태
허관
오명석
명제민
Original Assignee
(주)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엑스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200128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3849B1/ko
Publication of KR20220045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54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3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38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2Supports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or ventilation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or close to a wind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시공 보조블록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형 환기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창호형 환기장치는, 창호와 벽체 사이에 설치되어 실내 공기를 환기 시키기 위한 환기장치에 있어서, 창호와 벽체 사이에 위치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마련되며 실내 공기를 환기시키는 환기 모듈; 및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마련되며 적어도 2개의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환기장치를 창호 및 벽체에 각각 고정되도록 하는 시공 보조블록; 을 포함하고, 시공 보조블록은 적어도 2개의 결합수단이 고정되도록 마련되며, 적어도 하나의 결합수단은 창호를 관통하여 시공 보조블록에 고정되고, 적어도 하나의 결합수단은 시공 보조블록을 관통하여 벽체에 고정되도록 마련된다.

Description

시공 보조블록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형 환기장치{CONSTRUCTION AUXILIARY BLOCK AND WINDOW AND DOOR TYPE VENTILATION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시공 보조블록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형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창호와 벽체 사이에 설치되는 창호형 환기장치의 시공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시공 보조블록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형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 공기를 환기 시키는 방법은 건물 외부와 통하는 창호 또는 출입문을 개방하여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를 교환하게 된다.
그러나, 최근에는 산업화의 발달로 인하여 미세먼지, 차량의 배기가스 등으로 인하여 실외 공기의 질이 좋지 못하기 때문에, 창호나 출입문을 열어서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를 단순히 교환하는 방법으로는 실내의 공기 질을 높이는데 있어서 어려움이 있다.
이에, 최근에는 필터나 환기장치를 창호에 일체로 장착하는 창호형 환기장치가 많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창호형 환기장치는 창호와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창호의 형태나 크기에 따라 탈부착하거나 성능을 변경하는데 있어서 어려움이 있고, 다양한 창호에 적용하는 것이 어렵다.
또한, 종래 창호형 환기장치의 경우, 창호형 환기장치에 장착된 열 교환 소자, 팬 등의 유지 및 보수를 위해서는 창호형 환기장치 자체를 해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창호형 환기장치를 창호의 형태나 크기에 관계없이 다양한 창호에 적용할 수 있고, 창호형 환기장치의 열교환소자나 팬과 같은 부품의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한 창호형 환기장치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06792호(2019.01.21.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창호와 벽체 사이에 설치되는 창호형 환기장치의 시공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시공 보조블록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형 환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창호와 벽체 사이에 설치되는 창호형 환기장치의 유지 및 보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시공 보조블록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형 환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창호와 벽체 사이에 설치되어 실내 공기를 환기 시키기 위한 창호형 환기장치에 있어서, 창호와 벽체 사이에 위치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마련되며 실내 공기를 환기시키는 환기 모듈; 및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마련되며 적어도 2개의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창호형 환기장치를 창호 및 벽체에 각각 고정되도록 하는 시공 보조블록; 을 포함하고, 시공 보조블록은 적어도 2개의 결합수단이 고정되도록 마련되며, 적어도 하나의 결합수단은 창호를 관통하여 시공 보조블록에 고정되고, 적어도 하나의 결합수단은 시공 보조블록을 관통하여 벽체에 고정되도록 마련된, 창호형 환기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시공 보조블록은 하우징의 내부 공간의 폭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일정 간격을 가지고 마련되며,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시공 보조블록 사이에는 환기 모듈이 위치될 수 있다.
창호형 환기장치는,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충진하도록 마련된 충진재; 를 더 포함하고, 충진재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시공 보조블록 사이에 마련되되 환기 모듈이 배치되지 않은 부분에 위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시공 보조블록은, 블록 몸체; 창호와 접촉되는 블록 몸체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하우징을 창호에 결합시키기 위한 제1 결합수단이 결합되는 제1 결합부; 및 제1 결합부와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되, 창호와 접촉되는 블록 몸체의 일측면 및 벽체와 접촉되는 블록 몸체의 타측면에 걸쳐서 형성되며 하우징을 벽체에 결합시키기 위한 제2 결합수단이 결합되는 제2 결합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부는 창호 측으로만 개방되도록 블록 몸체의 내부를 미관통하도록 마련되고, 제2 결합부는 창호 및 벽체 측으로 각각 개방되도록 블록 몸체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결합수단은 창호 측에서 삽입되어 창호, 하우징을 차례로 관통하여 제1 결합부에 결합되고, 제2 결합수단은 창호 측에서 삽입되어 일 부분이 제2 결합부의 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다른 부분이 하우징을 관통하여 벽체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결합부는, 블록 몸체의 일측면에 형성된 입구측의 단면적과 블록 몸체의 타측면에 형성된 출구측 단면적이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부의 입구측의 단면적은 출구측의 단면적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다.
제2 결합부에는 걸림부가 형성되며, 제2 결합수단은 블록 몸체에 일측면에 형성된 입구측을 통해 제2 결합부의 내부로 삽입되고, 그 일부분이 걸림부에 걸린 상태에서 제2 결합부 및 벽체에 걸쳐서 결합될 수 있다.
창호의 내부에는 제1 결합수단이 관통되는 하나 이상의 제1 보강재가 마련되고, 제1 결합수단은 창호, 제1 보강재, 하우징을 차례로 관통하고 제1 결합부에 결합될 수 있다.
창호의 내부에는 제1 결합수단이 관통되는 하나 이상의 제1 보강재가 마련되고, 창호와 접촉되는 하우징의 내부에는 제1 결합수단이 관통되는 하나 이상의 제2 보강재가 마련되며, 제1 결합수단은 창호, 제1 보강재, 하우징 및 제2 보강재를 차례로 관통하고 제1 결합부에 결합될 수 있다.
벽체와 접촉되는 하우징의 내부에는 제2 결합수단이 관통되는 하나 이상의 제3 보강재가 마련되고, 제2 결합수단은 그 일부분이 제2 결합부의 걸림부에 걸린 상태에서 하우징 및 제3 보강재를 차례로 관통하고 제2 결합부 및 벽체에 걸쳐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창호와 벽체 사이에 창호형 환기장치가 시공될 때 창호형 환기장치를 창호 및 벽체에 각각 고정되도록 보조하는 시공 보조블록에 있어서, 창호와 벽체 사이에 마련되는 창호형 환기장치의 내부에 마련된 블록 몸체; 창호와 접촉되는 블록 몸체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하우징을 창호에 결합시키기 위한 제1 결합수단이 결합되는 제1 결합부; 및 제1 결합부와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되, 창호와 접촉되는 블록 몸체의 일측면 및 벽체와 접촉되는 블록 몸체의 타측면에 걸쳐서 형성되며 하우징을 벽체에 결합시키기 위한 제2 결합수단이 결합되는 제2 결합부; 를 포함하고, 제1 결합부는 창호 측으로만 개방되고, 제2 결합부는 창호 및 벽체 측으로 각각 개방된, 시공 보조블록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제2 결합부는 창호 및 벽체 측으로 각각 개방된 단면적이 서로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공 보조블록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형 환기장치는, 가로 방향으로 긴 길이를 가지는 하나의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창호와 벽체 사이에 고정시키는 종래 창호형 환기장치와는 다르게, 적어도 2개의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창호형 환기장치가 벽체 및 창호에 각각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창호의 형태나 크기에 관계없이 창호형 환기장치를 다양한 창호에 적용할 수 있어서 창호형 환기장치의 시공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공보조블록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형 환기장치는, 창호형 환기장치의 열교환소자나 팬과 같은 부품의 유지 및 보수가 편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형 환기장치가 창호와 벽체 사이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공 보조블록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형 환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A-A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B-B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충진재 대신에 환기 모듈이 복수 개가 설치된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형 환기장치(100)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형 환기장치(100)은
창호와 벽체 사이에 설치되어 실내 공기를 환기 시키기 위한 창호형 환기장치(100)에 있어서, 창호(10)와 벽체(20) 사이에 위치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110),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에 마련되며 실내 공기를 환기시키는 환기 모듈(114) 및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에 마련되며 적어도 2개의 결합수단(123,125)을 이용하여 창호형 환기장치(100)를 창호(10) 및 벽체(20)에 각각 고정되도록 하는 시공 보조블록(120)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형 환기장치(100)를 시공 보조블록(120)을 이용하여 벽체(20) 및 창호(10)와 각각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창호형 환기장치(100)의 시공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형 환기장치(100)은 일반적인 창호형 환기장치와 마찬가지로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실외(외부)의 공기(또는 깨끗한 공기)와 교환시켜서 실내 공기를 환기 시키기 위한 시스템이다.
이때,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형 환기장치(100)은 창틀(12)과 창문(14)을 포함하는 창호(10)와 벽체(20) 사이에 설치되어 실내 공기를 환기 시킨다.
하우징(110)은 창호(10)와 벽체(20) 사이에 위치된다.
이때, 하우징(110)은 내부가 중공(中空)으로 형성되어 소정의 공간이 마련된다. 이에 따라,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에는 창호형 환기장치(100)를 구성하는 여러 개의 부품, 예컨대 환기 모듈(114), 시공 보조블록(120) 및 후술할 충진재(116)가 위치된다.
이에 따라, 하우징(110)은 적어도 일면이 개방된 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하우징(110)의 개방된 면을 통해, 하우징(110)의 내부로 환기 모듈(114), 시공 보조블록(120) 및 충진재(116)가 위치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10)의 개방된 일면에는 하우징 커버(113)가 장착될 수 있다.
하우징(110)의 개방된 일면을 통해 그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환기 모듈(114), 적어도 하나의 시공 보조블록(120) 및 적어도 하나의 충진재(116)가 위치된 이후에, 하우징 커버(113)를 이용하여 하우징(110)의 개방된 일면을 덮을 수 있다.
여기서, 도면에는 하우징 커버(113)가 하우징(110)의 개방된 일면 전체를 한 번에 덮도록 하나의 부재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하우징 커버(113)는 임의의 길이로 분할되어 형성될 수 있다. 만약, 하우징 커버(113)가 분할되어 형성되는 경우, 분할된 하우징 커버(113)는 환기 모듈(114), 시공 보조블록(120) 및 충진재(116)를 각각 덮을 수 있다.
참고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 커버(113)는 하우징(110)의 전면뿐만 아니라 하우징(110)의 후면에도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우징(110)의 전면 및 후면에 모두 하우징 커버(113)가 마련됨에 따라, 실내 및 실외(또는 배란다)에 걸쳐 마련되는 창호형 환기장치(110)의 외관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를 참조하면, 하우징(110)은 사각형의 형태로 형성되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원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하우징(110)과 창호(10) 및 하우징(110)과 벽체(20) 사이에 단열, 차음 등의 성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창호(10) 및 벽체(20)와 완전히 접촉되도록 일면이 평평한 형태, 다시 말해서 사각형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110)은 창호형 환기장치(110)이 장착되는 창호(10)의 세로 길이에 맞춰 절단하여 사용하거나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에 맞춰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환기 모듈(114)은 하우징(110)의 내부에 마련되어 실내 공기를 환기 시키기 위한 부분이다.
이러한, 환기 모듈(114)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열 교환기(heat exchanger)로서, 유입된 실외 공기와 오염된 실내 공기를 열 교환하여 실내로 깨끗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환기 모듈(114)에는 외부에서 실내로 유입된 실외 공기와 오염된 실내 공기를 열 교환시키기 위한 열교환소자(115)가 마련된다.
또한, 환기 모듈(114)의 각각의 측부에는 흡기구(미도시) 및 배기구(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환기 모듈(114)의 제1 측부(왼쪽 하측)에는 환기 모듈(114)의 내부로 오염된 실내 공기가 유입되도록 실내측 흡기구(미도시)가 마련되고, 환기 모듈(114)의 제2 측부(오른쪽 하측)에는 환기 모듈(114)의 내부로 실외 공기가 유입되도록 실외측 흡기구(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환기 모듈(114)의 제3 측부(왼쪽 상측)에는 실외측 흡기구를 통해 유입된 실외 공기와 실내측 흡기구를 통해 유입된 실내 공기가 열교환소자(115)에 의해 열 교환되고 열 교환된 깨끗한 공기가 실내로 공급되도록 실내측 공급부(미도시)가 마련되며, 환기 모듈(114)의 제4 측부(오른쪽 상측)에는 실외측 흡기구를 통해 유입된 실내 공기와 실내측 흡기구를 통해 유입된 실내 공기가 열교환소자(115)에 의해 열교환되고 열 교환된 오염된 실내 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도록 실외측 배기구(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즉, 환기 모듈(114)은 내부로 유입된 신선한 실외 공기와 오염된 실내 공기를 내부에 마련된 열교환소자(115)를 이용하여 열 교환시켜서, 오염된 실내 공기와 열 교환된 이후의 오염된 공기는 실외로 방출되도록 하고 깨끗한 공기는 실내로 유입되도록 하여, 실내의 공기를 환기 시킨다.
여기서,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형 환기장치(100)에서 환기 모듈(114)은 하우징(110)의 내부에 하나만 마련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하우징(110)의 내부에 환기 모듈(114)이 마련된 공간을 제외한 부분에는 적어도 하나의 충진재(116)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호형 환기장치(100-1)에서 환기 모듈(114)은 하우징(110)의 내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마련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하우징(110)의 내부에 복수 개의 환기 모듈(114)이 마련되어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여유 공간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에는 단 하나의 충진재(116)도 마련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형 환기장치(100)은 적어도 하나의 환기 모듈(114) 및 충진재(116)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시공 보조블록(120)이 마련될 수 있다.
시공 보조블록(120)은 창호형 환기장치(100)를 창호(10) 및 벽체(20)와 각각 결합되도록 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시공 보조블록(120)은 하우징(110)의 내부에 마련되어 적어도 2개의 결합수단(123,125)을 이용하여 창호형 환기장치(100)를 창호(10) 및 벽체(20)에 각각 고정되도록 보조한다.
이러한 시공 보조블록(120)은 하우징(110)의 폭 방향을 따라 마련되며,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복수 개가 마련된다.
이때, 하우징(110)의 내부에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시공 보조블록(120) 사이에는 하나의 환기 모듈(114)이 위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형 환기장치(100)은 시공 보조블록(120) 및 환기 모듈(114)은 하우징(110)의 내부에 모듈(module) 형태로 장착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시공 보조블록(120) 및 환기 모듈(114) 각각이 하우징(110)의 내부에 슬라이딩(sliding) 방식으로 장착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하우징(110)의 측부에는 내부가 중공인 프로파일(profile) 형태의 기둥재(110a)를 형성할 수도 있다.
참고로, 프로파일 형태의 하우징(110)의 기둥재(110a)는 창호형 환기장치(110)이 장착되는 창호(10)의 세로 길이에 맞춰 절단하여 사용하거나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에 맞춰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서, 하우징(110)의 내부에 형성된 기둥재(110a)가 레일(rail)과 같은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시공 보조블록(120)이 하우징(110)의 내부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참고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기둥재(110a)의 내부에는 보조재(미도시)가 삽입될 수 있다. 보조재는 기둥재(110a)의 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하우징(110)의 강성도 향상됨으로써 하우징(110)의 내부에 위치되는 시공 보조블록(120)을 더욱더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시공 보조블록(120)은 적어도 2개의 결합수단(123,125)에 의해 하우징(110)에 고정되도록 마련된다.
이때, 시공 보조블록(120)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수단(123)은 시공 보조블록(120)에 고정되고, 적어도 하나의 결합수단(125)은 시공 보조블록(125)을 관통하여 벽체(20)에 고정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공 보조블록(120)은 블록 몸체(121), 제1 결합부(122) 및 제2 결합부(124)를 포함한다.
우선, 블록 몸체(121)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마련되며, 제1 결합부(122) 및 제2 결합부(124)가 형성되는 부분이다.
이때, 블록 몸체(121)는 하우징(110)의 가로 방향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하우징(110)의 내부에 장착된다.
제1 결합부(122)는 창호(10)의 창틀(12)과 접촉되는 블록 몸체(121)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하우징(110)을 창호(10)에 결합시키기 위한 제1 결합수단(123)이 결합되는 부분이다.
참고로, 블록 몸체(121)의 일측면은 제1 결합부(122) 및 제2 결합부(124)가 모두 형성되는 부분을 의미하고, 블록 몸체(121)의 타측면은 제2 결합부(124) 만이 형성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또한, 제2 결합부(124)는 제1 결합부(122)와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되, 창호(10)의 창틀(12)과 접촉되는 블록 몸체(121)의 일측면 및 벽체(20)와 접촉되는 타측면에 걸쳐서 형성되며 하우징(110)을 벽체(20)에 결합시키기 위한 제2 결합수단(125)이 결합되는 부분이다.
제1 결합부(122)는 창호(10)의 창틀(12) 측으로만 개방되도록 블록 몸체(121)의 내부를 미관통하도록 마련되고, 제2 결합부(124)는 창호(10)의 창틀(12) 및 벽체(20) 측으로 모두 개방되도록 블록 몸체(121)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제1 결합수단(123)은 창호(10), 즉 창호(10)의 창틀(12) 쪽에서 창호(10)의 창틀(12), 하우징(110)을 차례로 관통하여 제1 결합부(122)에 결합됨으로써, 하우징(110)을 창호(10)와 결합되도록 한다.
반대로, 제2 결합수단(125)은 제2 결합부(124)를 통해 삽입되고, 그 일부는 제2 결합부(124)의 내부에 위치되고 다른 일부는 하우징(110)을 관통하여 벽체(20)에 결합됨으로써, 하우징(110)을 벽체(20)와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제2 결합부(124)는 블록 몸체(121)의 일측면에 형성된 입구측(124a)의 단면적과 블록 몸체(121)의 타측면에 형성된 출구측(124c)의 단면적기 상이하게 형성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결합부(124)의 블록 몸체(121)의 일측면에 형성된 입구측(124a)의 단면적이 블록 몸체(121)의 타측면에 형성된 출구측(124c)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된다.
여기서, 제2 결합부(124)에는 걸림부(124b)가 형성된다.
걸림부(124b)는 제2 결합부(124)의 내부에 형성된 부분을 의미하며, 다시 말해서 제2 결합부(124)의 단면적이 변경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블록 몸체(121)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2 결합부(124)의 입구측(124a)의 단면적은 블록 몸체(121)의 내부까지 이어지고, 블록 몸체(121)의 내부에서 입구측(124a)의 단면적의 크기보다 작게 변경되어 블록 몸체(121)의 출구측(124c) 까지 이어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2 결합부(124)의 입구측(124a)의 단면적은 제2 결합부(124)에 삽입되는 제2 결합수단(125)의 최대 단면적(또는 직경)과 동일하거나 더 크게 마련되고, 제2 결합부(124)의 출구측(124c)의 단면적은 제2 결합수단(125)의 최소 단면적(또는 직경)과 동일하거나 더 크게 마련된다.
참고로, 제1 결합부(122) 및 제2 결합부(124)에 각각 결합되는 제1 결합수단(123) 및 제2 결합수단(125)은 스크류(screw) 또는 앵커 볼트(anchor-bolt) 중 적어도 하나로 마련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제1 결합수단(123) 및 제2 결합수단(125)이 어떠한 형태로 마련되느냐에 따라, 제1 결합부(122)의 단면적 및 제2 결합부(124)의 입구측(124a) 및 출구측(124c)의 단면적이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 결합부(122)에 결합되는 제1 결합수단(123)은 앵커 볼트 또는 스크류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결합수단(123)은 스크류로 마련될 수 있다.
반대로, 제2 결합부(124)에 결합되는 제2 결합수단(125)은 앵커 볼트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앵커 볼트로 마련된 제2 결합수단(125)의 머리 부분 (상단부)이 걸림부(124b)에 걸리고, 앵커 볼트로 마련된 제2 결합수단(125)의 블록 몸체 부분(하단부)이 제2 결합부(124)의 출구측(124c)을 통해 빠져나와서 벽체(20)에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즉, 제1 결합수단(123)은 하우징(110)을 창호(10)와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므로 앵커 볼트로 마련되는 것 보다는 스크류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2 결합수단(125)은 하우징(110)을 벽체(20)와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므로 스크류로 마련되는 것 보다는 앵커 볼트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창호(10)의 내부에는 제1 보강재(126)가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창호(10)의 창틀(12)의 내부에 제1 결합수단(123)이 관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보강재(126)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보강재(126)는 시공 보조블록(120)을 이용하여 제1 결합수단(123)으로 창호(10)의 창틀(12)과 하우징(110)을 결합시킬 때, 창틀(12) 부분을 보강하여 창호(10)의 창틀(12)을 관통하는 제1 결합수단(123)을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하우징(110)과 창호(10)를 결합시키기 위한 제1 결합수단(123)은 창호(10)의 창틀(12), 창틀(12)의 내부에 마련된 제1 보강재(126) 및 하우징(110)을 차례로 관통하고 제1 결합부(122)에 결합되어, 하우징(110)이 창호(10)에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하우징(110)에는 제2 보강재(128)가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창호(10), 즉 창호(10)의 창틀(12)과 접촉하는 하우징(110)의 일단부 내부에는 제1 결합수단(123)이 관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보강재(128)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보강재(128)는 제1 보강재(126)와 마찬가지로, 시공 보조블록(120)을 이용하여 제1 결합수단(123)으로 창호(10)의 창틀(12)과 하우징(110)을 결합시킬 때, 창호(10)의 창틀(12)을 관통한 후에 하우징(110)을 관통하는 제1 결합수단(123)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제1 결합수단(123)이 관통되는 하우징(110)의 일면을 보강하기 위한 것이다.
즉, 하우징(110)과 창호(10)를 결합시키기 위한 제1 결합수단(123)은 창호(10)의 창틀(12), 창틀(12)의 내부에 마련된 제1 보강재(126), 하우징(110) 및 제2 보강재(128)를 차례로 관통하고 제1 결합부(122)에 결합되어, 하우징(110)이 창호(10)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10)에는 제3 보강재(129)가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벽체(20)와 접촉하는 하우징(110)의 타단부의 내부에는 제2 결합수단(125)이 관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보강재(129)가 마련될 수 있다.
제3 보강재(129)는 시공 보조블록(120)을 이용하여 제2 결합수단(125)으로 하우징(110)과 벽체(20)를 결합시킬 때, 하우징(110)을 관통하여 벽체(20)에 결합되는 제2 결합수단(125)이 하우징(1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제2 결합수단(125)이 관통되는 하우징(110)의 결합면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것이다.
참고로, 제3 보강재(129)는 하우징(110)의 일단부 내부에 마련된 제2 보강재(128)와 동일한 형태 및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하우징(110)과 벽체(20)를 결합시키기 위한 제2 결합수단(125)은 그 일부분이 제2 결합부(124) 내부에 형성된 걸림부(124b)에 걸린 상태에서 하우징(110) 및 하우징(110)의 내부에 마련된 제3 보강재(129)를 차례로 관통하고 제2 결합부(124) 및 벽체(20)에 걸쳐서 결합됨으로써 하우징(110)이 벽체(20)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결합부(122) 및 제2 결합부(125)는 블록 몸체(121)에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록 몸체(121)의 좌측에 하나의 제1 결합부(122)가 마련되고, 하나의 제1 결합부(122) 옆에 하나의 제2 결합부(124)가 마련되며, 하나의 제2 결합부(124)의 옆에 다른 하나의 제2 결합부(124)가 마련되고, 다른 하나의 제2 결합부(124) 옆에 다른 하나의 제1 결합부(122)가 마련된다.
이에 따라, 각각 2개의 제1 결합수단(123) 및 제2 결합수단(125)을 이용하여 창호형 환기장치(100)의 하우징(110)을 창호(10) 및 벽체(20) 각각의 결합을 더욱 안정적으로 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형 환기장치(100)은 충진재(116)를 더 포함한다.
충진재(116)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배치되며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을 충진하도록 마련된 부재이다.
또한, 충진재(116)는 하우징(110)의 단열도 수행하도록 폼(form)의 형태로 형성된다. 왜냐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형 환기장치(100)은 창호(10)와 벽체(20) 사이에 마련되어 오염된 실내 공기를 환기 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창호(10) 또는 벽체(20)와 같이 차음, 단열의 기능도 함께 수행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충진재(116)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시공 보조블록(12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복수 개의 환기 모듈(114)이 마련되는 경우, 충진재(116)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환기 모듈(11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110)의 내부에 하나의 환기 모듈(114) 만이 마련되는 경우, 충진재(116)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시공 보조블록(120) 사이에 마련되되 환기 모듈(114)이 위치되지 않은 부분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충진재(116)는 시공 보조블록(120) 및 환기 모듈(114)과 같이 하우징(110)의 내부에 모듈 형태로 마련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는 다르게, 충진재(116)도, 시공 보조블록(120) 및 환기 모듈(114)과 같이, 하우징(110)의 내부에 슬라이딩(sliding)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형 환기장치(100)은 가로 방향으로 긴 길이를 가지는 하나의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창호와 벽체 사이에 고정시키는 종래 창호형 환기장치와는 다르게, 적어도 2개의 결합수단(123,125)을 이용하여 창호형 환기장치(100)이 벽체(20) 및 창호(10)에 각각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창호의 형태나 크기에 관계없이 창호형 환기장치(100)를 다양한 창호에 적용할 수 있어서 창호형 환기장치의 시공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창호 12: 창틀
20: 벽체 100: 창호형 환기장치
110: 하우징 114: 환기 모듈
116: 충진재 120: 시공 보조블록
121: 블록 몸체 122: 제1 결합부
123: 제1 결합수단 124: 제2 결합부
125: 제2 결합수단 126: 제1 보강재
128: 제2 보강재 129: 제3 보강재

Claims (14)

  1. 창호와 벽체 사이에 설치되어 실내 공기를 환기 시키기 위한 환기장치에 있어서,
    창호와 벽체 사이에 위치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마련되며 실내 공기를 환기시키는 환기 모듈; 및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마련되며 적어도 2개의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환기장치를 창호 및 벽체에 각각 고정되도록 하는 시공 보조블록;
    을 포함하고,
    시공 보조블록은 적어도 2개의 결합수단이 고정되도록 마련되며,
    적어도 하나의 결합수단은 창호를 관통하여 시공 보조블록에 고정되고, 적어도 하나의 결합수단은 시공 보조블록을 관통하여 벽체에 고정되도록 마련된, 창호형 환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시공 보조블록은 하우징의 내부 공간의 폭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일정 간격을 가지고 마련되며,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시공 보조블록 사이에는 환기 모듈이 위치되는, 창호형 환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창호형 환기장치는,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충진하도록 마련된 충진재; 를 더 포함하고,
    충진재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시공 보조블록 사이에 마련되되 환기 모듈이 배치되지 않은 부분에 위치되도록 마련된, 창호형 환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시공 보조블록은,
    블록 몸체;
    창호와 접촉되는 블록 몸체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하우징을 창호에 결합시키기 위한 제1 결합수단이 결합되는 제1 결합부; 및
    제1 결합부와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되, 창호와 접촉되는 블록 몸체의 일측면 및 벽체와 접촉되는 블록 몸체의 타측면에 걸쳐서 형성되며 하우징을 벽체에 결합시키기 위한 제2 결합수단이 결합되는 제2 결합부;
    를 포함하는, 창호형 환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제1 결합부는 창호 측으로만 개방되도록 블록 몸체의 내부를 미관통하도록 마련되고,
    제2 결합부는 창호 및 벽체 측으로 각각 개방되도록 블록 몸체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마련된, 창호형 환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제1 결합수단은 창호 측에서 삽입되어 창호, 하우징을 차례로 관통하여 제1 결합부에 결합되고,
    제2 결합수단은 창호 측에서 삽입되어 일 부분이 제2 결합부의 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다른 부분이 하우징을 관통하여 벽체에 결합되는, 창호형 환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제2 결합부는,
    블록 몸체의 일측면에 형성된 입구측의 단면적과 블록 몸체의 타측면에 형성된 출구측 단면적이 상이하게 형성된, 창호형 환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제2 결합부의 입구측의 단면적은 출구측의 단면적보다 크게 마련된, 창호형 환기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제2 결합부에는 걸림부가 형성되며,
    제2 결합수단은 블록 몸체에 일측면에 형성된 입구측을 통해 제2 결합부의 내부로 삽입되고, 그 일부분이 걸림부에 걸린 상태에서 제2 결합부 및 벽체에 걸쳐서 결합되는, 창호형 환기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창호의 내부에는 제1 결합수단이 관통되는 하나 이상의 제1 보강재가 마련되고,
    제1 결합수단은 창호, 제1 보강재, 하우징을 차례로 관통하고 제1 결합부에 결합되는, 창호형 환기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창호의 내부에는 제1 결합수단이 관통되는 하나 이상의 제1 보강재가 마련되고,
    창호와 접촉되는 하우징의 내부에는 제1 결합수단이 관통되는 하나 이상의 제2 보강재가 마련되며,
    제1 결합수단은 창호, 제1 보강재, 하우징 및 제2 보강재를 차례로 관통하고 제1 결합부에 결합되는, 창호형 환기장치.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벽체와 접촉되는 하우징의 내부에는 제2 결합수단이 관통되는 하나 이상의 제3 보강재가 마련되고,
    제2 결합수단은 그 일부분이 제2 결합부의 걸림부에 걸린 상태에서 하우징 및 제3 보강재를 차례로 관통하고 제2 결합부 및 벽체에 걸쳐서 결합되는, 창호형 환기장치.
  13. 창호와 벽체 사이에 창호형 환기장치가 시공될 때 창호형 환기장치를 창호 및 벽체에 각각 고정되도록 보조하는 시공 보조블록에 있어서,
    창호와 벽체 사이에 마련되는 창호형 환기장치의 내부에 마련된 블록 몸체;
    창호와 접촉되는 블록 몸체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하우징을 창호에 결합시키기 위한 제1 결합수단이 결합되는 제1 결합부; 및
    제1 결합부와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되, 창호와 접촉되는 블록 몸체의 일측면 및 벽체와 접촉되는 블록 몸체의 타측면에 걸쳐서 형성되며 하우징을 벽체에 결합시키기 위한 제2 결합수단이 결합되는 제2 결합부;
    를 포함하고,
    제1 결합부는 창호 측으로만 개방되고,
    제2 결합부는 창호 및 벽체 측으로 각각 개방된, 시공 보조블록.
  14. 제13항에 있어서,
    제2 결합부는 창호 및 벽체 측으로 각각 개방된 단면적이 서로 상이하게 형성된, 시공 보조블록.
KR1020200128127A 2020-10-05 2020-10-05 시공 보조블록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형 환기장치 KR102623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8127A KR102623849B1 (ko) 2020-10-05 2020-10-05 시공 보조블록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형 환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8127A KR102623849B1 (ko) 2020-10-05 2020-10-05 시공 보조블록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형 환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5418A true KR20220045418A (ko) 2022-04-12
KR102623849B1 KR102623849B1 (ko) 2024-01-11

Family

ID=81187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8127A KR102623849B1 (ko) 2020-10-05 2020-10-05 시공 보조블록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형 환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384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5916A (ko) * 1999-09-01 2001-04-06 손재익 환기장치
KR20110118347A (ko) * 2010-04-23 2011-10-31 (주)엘지하우시스 창틀프레임의 레일 일체형 창호용 환기장치
KR101744310B1 (ko) * 2016-10-12 2017-06-07 대한플라테크 주식회사 폴리아미드 단열바가 구비되는 창호 프레임 및 제조 방법
KR20190006792A (ko) 2017-07-11 2019-01-21 (주)제이하우스 길이 조절형 환기 장치
KR20190012094A (ko) * 2017-07-26 2019-02-08 원승희 창문형 공기청정기
KR102094180B1 (ko) * 2019-05-16 2020-03-27 이승아 창문형 공기청정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5916A (ko) * 1999-09-01 2001-04-06 손재익 환기장치
KR20110118347A (ko) * 2010-04-23 2011-10-31 (주)엘지하우시스 창틀프레임의 레일 일체형 창호용 환기장치
KR101744310B1 (ko) * 2016-10-12 2017-06-07 대한플라테크 주식회사 폴리아미드 단열바가 구비되는 창호 프레임 및 제조 방법
KR20190006792A (ko) 2017-07-11 2019-01-21 (주)제이하우스 길이 조절형 환기 장치
KR20190012094A (ko) * 2017-07-26 2019-02-08 원승희 창문형 공기청정기
KR102094180B1 (ko) * 2019-05-16 2020-03-27 이승아 창문형 공기청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3849B1 (ko) 2024-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45151C2 (ru) Подвесной профиль, обеспечивающий прохождение воздуха, и узел потолка, содержащий такой профиль
JP3746216B2 (ja) 換気機構付きカーテンウォールユニットおよび建物の換気構造
CN110945204A (zh) 具有屋顶窗与通风组件间的改进的过渡装置的屋顶窗系统
KR20220045418A (ko) 시공 보조블록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형 환기장치
JP2017071933A (ja) 窓装置
KR20090006100U (ko) 환기장치용 통풍연결구조
JP2007139232A (ja) 換気構造
JP3440066B2 (ja) 室内簡易組立家屋
KR20100025671A (ko) 공기조화기
JPH10131391A (ja) 空気調和機付き建材及び建材への空気調和機取付構造
KR20230156640A (ko) 장착 가이드가 구비된 창호형 환기장치
JPH10140684A (ja) 空調用通路付き建材及びその接続用建材
KR102593018B1 (ko) 엔드캡을 구비하는 창호형 환기장치
JPH10140683A (ja) 空調用通路付き建材
JPH074434Y2 (ja) 空調機を内蔵した壁部空調装置
KR102485951B1 (ko) 창호용 환기 시스템
JP2002276992A (ja) 天井埋込形空気調和機
KR20220045430A (ko) 창호형 환기장치
JP3080479B2 (ja) 建物の換気装置
JPH0814652A (ja) 空気調和機の据付構造及びそれに用いる取付枠
KR200210559Y1 (ko) 에어콘의 흡배기 덕트 설치용 조립식 칸막이
JPH11107439A (ja) 通気ブロック
JPS6240062Y2 (ko)
CN115031400A (zh) 出风组件及空调器
JP2002022221A (ja) 換気ガラ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