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5671A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5671A
KR20100025671A KR1020080084315A KR20080084315A KR20100025671A KR 20100025671 A KR20100025671 A KR 20100025671A KR 1020080084315 A KR1020080084315 A KR 1020080084315A KR 20080084315 A KR20080084315 A KR 20080084315A KR 20100025671 A KR20100025671 A KR 201000256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front panel
outside air
main body
cold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4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3483B1 (ko
Inventor
한재오
유승훈
길성호
모진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4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3483B1/ko
Priority to CN2008101667568A priority patent/CN101660809B/zh
Publication of KR20100025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5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3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34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1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to avoid the formation of condensate, e.g. de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면패널의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냉기로 인하여 전면패널의 전면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본체와, 본체의 전방에 설치되는 전면패널과, 본체의 전방으로 냉기를 토출하는 토출구와, 전면패널 내부로 외기를 유입하여 토출하는 외기통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냉기로 인하여 전면패널의 전면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냉매의 증발, 응축과정에서 생기는 열의 이동을 이용하여 공기의 온도나 습도 등을 조절하는 유닛을 말한다.
일반적인 공기조화기의 전면을 구성하는 전면패널에는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가 하부에 마련되어 있고, 흡입된 공기를 본체의 내부에서 조화시켜 다시 실내공간으로 토출하는 토출구가 상부에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공기조화기 본체의 내부에는 흡입된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와,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구 쪽으로 강제 송풍시키는 송풍팬이 구비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의 공기조화기의 전면패널은 개방된 토출구로 토출되는 차가운 공기가 전면패널의 전면에 부딪힌 후,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어 전면패널의 전면에 이슬 맺힘 현상이 생길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냉기로 인하여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본체와, 본체의 전방에 설치되는 전면패널과, 본체의 전방으로 냉기를 토출하는 토출구와, 전면패널 내부로 외기를 유입하여 토출하는 외기통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외기통로부는 전면패널의 일측에 형성되는 외기유입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외기통로부는 토출구에 인접하도록 전면패널에 형성된 외기유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외기통로부는 냉기의 토출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전면패널의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토출구는 전면패널과 본체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면패널에는 외기유출구의 후방에서 돌출되어 토출되는 냉기가 외기유출구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돌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면패널은 본체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1패널과, 제1패널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2패널을 포함하며, 외기통로부는 제1패널과 제2패널의 사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패널과 제2패널 중 어느 하나는 제1패널과 제2패널을 이격시켜 외기통로부를 형성하는 이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패널의 전면 양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부가 형성되며, 제2패널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부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다른 측면에서 본다면 본체와, 본체의 전방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전면패널과, 전면패널과 본체 사이에서 정의되어 냉기를 토출하는 토출구를 포함하고, 전면패널은 전면패널로부터 돌출되어 냉기의 토출 방향을 변화시키는 돌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돌출부재는 토출구와 대응하도록 전면패널의 테두리를 따라 소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면패널은, 전면패널의 타측면에 형성된 외기유입구와 토출구와 연통되는 외기유출구를 가지는 외기통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또 다른 측면에서 본다면 본체와, 본체의 전방에 마련된 전면패널과, 전면패널의 전방으로 냉기를 토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를 포함하고, 전면패널은 냉기의 흐름에 따라 외기를 흡입하여 전면패널의 내부를 관통하는 외기통로부와, 외기통로부를 통과한 외기가 토출되는 외기유출구와, 외기유출구의 후방에서 돌출되어 냉기가 외기유출구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돌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토출구는 전면패널의 상면과 본체 사이에 형성되고, 돌출부재는 전면패널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외기통로부는 전면패널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외기통로부는 전면패널의 하단에 형성된 외기유입구와, 돌출부재에 인접하도록 형성된 외기유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또 다른 측면에서 본다면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와, 본체의 전방에 마련된 제1패널 및 2패널과, 제1패널과 제2패널의 상면을 따라서 열교환된 냉기를 토출하는 토출구와, 제1패널에서 돌출 형성되어 냉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돌출부재와, 제1패널과 제2패널 사이에 형성되어 외기를 흡입하는 외기통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돌출부재는 냉기의 토출 방향을 따라서 일정한 경사각도로 형성된 가이드 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외기통로부는 가이드판을 통과한 냉기가 제2패널과 충돌하지 않도록 전면패널의 하단에서 외기를 흡입하여 상단으로 유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내부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전면패널이 본체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전면이 개방된 본체(100)와, 본체의 전방에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면패널(200)과, 본체(100)와 전면패널(200)의 사이에 결합된 프레임부(150)를 구비한다.
본체(100)의 내측 하부에는 실내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송풍유닛(300)이 설치되고, 본체(100)의 내측 상부에는 송풍유닛(300)에 의해 순환되는 실내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할 수 있도록 열교환기(400)가 설치된다.
송풍유닛(300)은 송풍팬(310)과, 송풍팬(310)을 구동하는 팬모터(320)와, 송풍되는 공기를 열교환기(400) 쪽으로 안내하는 팬케이싱(330)을 구비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팬(310)은 그 전방과 후방으로부터 공기를 축방향으로 흡입하여 반경 방향으로 배출하는 양방향 흡입식 원심팬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체(100)의 하측 후면에는 실내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후면흡입구(110)가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0)의 하단부에는 후방으로 돌출되는 지지부(120)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지지부(120)는 본체(100)가 실내 바닥에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지지부(120)는 후면흡입구(110)가 형성된 본체(100)의 후면이 주위의 벽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여 후면흡입구(110)를 통해 실내 공기가 원활히 흡입될 수 있도록 한다.
프레임부(150)는 본체(100)의 개구된 전면 테두리에서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 다. 프레임부(150)는 본체(10)와 일체로 마련되거나 또는 별도의 부재로 마련되어 본체(10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전면패널(200)은 전후 방향으로 진퇴하며 본체(100)의 전면을 개폐한다. 공기조화기가 동작하지 않을 때, 전면패널(200)은 본체(100) 쪽으로 밀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공기조화기의 동작이 시작되면, 전면패널(200)은 구동유닛(600,700)에 의해 소정 거리 전진한다. 그러면 본체(100)의 테두리부와 전면패널(200)의 테두리부 사이의 공간이 개방되면서 측면흡입구(530), 상면토출구(510), 측면토출구(520)가 형성된다.
이처럼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에서는, 토출구(510,520)와 측면흡입구(530)가 공기조화기의 동작 중에만 외부로 노출된다. 또한 공기조화기가 동작할 때에도 토출구(510,520)와 측면흡입구(530)가 사용자의 눈에 잘 띄지 않는 기기의 테두리부에 형성되기 때문에 외관상 사용자에게 좋은 인상을 주게 된다.
또한, 전면패널(200) 배면의 양측 테두리에는 측면토출구(520)를 통해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를 가이드하는 측면토출가이드(200b)가 각각 형성되고, 상측 테두리에는 상면토출구(510)를 통해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를 가이드하는 상면토출가이드(200a)가 형성된다.
측면토출가이드(200b)의 하부에는 후방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커버패널(230)이 마련된다. 커버패널(230)에는 측면흡입구(530)를 통해 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패널흡입구(231)가 형성된다. 커버패널(230)은 전면패널(200)이 전진하여 측면흡입구(530)가 형성될 때 공기조화기의 내부가 필요 이상으로 많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외관을 개선한다.
또한, 측면토출가이드(200b)와 커버패널(230) 사이에는 전면패널(200)의 배면을 좌우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구획패널(240)이 배치된다. 구획패널(240)은 본체(100)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와 본체(100)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서로 섞이지 않도록 구획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패널(200)과 열교환기(400) 사이에는 열교환기(400)를 통과한 공기를 토출구(510,520)로 안내하는 가이드패널(130)이 설치되고, 본체(100)의 바닥에는 베이스부재(140)가 설치된다. 베이스부재(140)와 가이드패널(130)에는 전면패널(200)을 전후 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키기 위한 제1구동유닛(600)와 제2구동유닛(700)가 각각 설치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구동유닛(600) 및 제2구동유닛(700)은 각각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610,710)와, 구동모터(610,710)로부터 발생된 구동력에 의해 직선운동하는 동력전달부재(620,720)와, 동력전달부재(620,72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전면패널(200)을 진퇴시키는 캐리어(630.730)를 포함한다. 이때, 제1구동유닛(600)의 캐리어(630) 및 제2구동유닛(700)의 캐리어(730)는 각각 전면패널(200)의 상부 및 하부에 마련되는 걸림부재(250,260)와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전면패널이 분해된 상태를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면패널(200)은 본체(100)의 전면에 마련되는 제1패널(210)과, 제1패널(210)과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제2패널(220)과, 제1 및 제2패널(210,220) 사이에 형성되어 외기를 흡입하는 외기통로부(800)와, 제1 및 제2패널(210,220)을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체결유닛(9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패널(210)은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수지재 사출물로 형성되어 본체(100)의 개구된 전방 영역을 폐쇄한다.
제1패널(210)의 전면에 고정되는 제2패널(220)은 공기조화기 전면패널(200)의 외관을 미려하게 위하여 장착되는데, 제2패널(220)은 금속재질인 단일의 패널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패널(220)은 알루미늄 재질의 금속패널로 이루어진다.
다만, 제2패널(220)은 복수의 패널형태로 마련되어 제1패널(21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제2패널(220)은 제1패널(210)의 전방 양측에 고정되는 한 쌍의 금속패널(미도시)과, 금속패널(미도시)사이의 배치되는 강화유리패널(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2패널(220)이 단일의 패널로 이루어지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면패널의 하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면패널의 상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도 6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패널(200)의 제1패널(210)에는 상면토출가이드(200a)에 의해 안내된 냉기가 제2패널(220)의 전면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화시키는 돌출부재(211)가 구비된다.
돌출부재(211)는 제1패널(210)의 상부 일단에서 그 테두리를 따라 일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면토출구(510)를 통해 냉기가 배출될 때 제1패널(210)의 전면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냉기를 안내하며, 또한, 토출되는 냉기가 후술하는 외기유출구(820)를 통하여 외기통로부(800)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돌출부재(211)는 제1패널(210)의 상부 일단에서 냉기의 토출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부(211a)와, 냉기의 토출 방향을 변화시키도록 가이드부(211a)에서 상측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부(211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가이드부(211a)는 상면토출구(510)에서 토출되는 냉기의 흐름을 안내한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211a)에는 일정한 경사각도를 가지는 가이드 판(211c)이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 판(211c)은 가이드부(211a)에 의해 안내되어지는 냉기가 돌출부(211b)에 의해 차단되어 발생할 수 있는 와류를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냉기의 흐름을 해석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할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도 8에서는 가이드판(211c)이 별도의 부재로 도시되어 있으나, 가이드부(211a) 및 돌출부(211b)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돌출부(211b)는 가이드부(211a)의 상하방향에서 토출되는 냉기에 대응되도록 배치되어 냉기가 제1패널(210)의 전면과 직접적으로 충돌되지 않도록 한다. 바람직 하게는, 돌출부(211b)는 가이드부(211a)와 직교하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토출되는 냉기의 가변범위를 크게 한다. 그리고, 돌출부(211b)는 냉기의 토출 방향을 제1패널(210)의 전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형성하여 냉기가 후술하는 외기유출구를 통하여 외기통로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돌출부(211b) 양측의 모서리는 외관상 사용자에게 좋은 인상을 줄 수 있도록 제2패널(220)의 모서리의 형상과 유사하게 라운드진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돌출부(211b)가 형성되는 높이는 사람의 눈에 잘 뛰지 않도록 하여 미관을 미려하게 하도록 마련되도록 한다. 당업자라면 제1 및 제2패널(210, 220)이 형성되는 높이와 사람의 시야를 고려하여 돌출부의 높이를 일정범위에서 정할 수 있다는 것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돌출부재(211)는 제1패널(210)의 상단 테두리에를 따라 일정 높이를 갖는 돌출부만으로 형성되어, 상면토출구(510)에서 토출되는 냉기의 토출 방향이 제1패널(210)의 전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화시킬 수도 있다.
제1패널(210)의 전면 양측에는 제2패널(220)과의 결합을 위한 걸림부(212)가 형성된다. 걸림부(212)는 제1패널(210)의 측부 양측에서 돌출 형성되는데, 걸림부(212)의 사이에는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종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슬롯(213)이 형성된다. 걸림부(212) 및 슬롯(213)은 제1패널(210)의 전면 중앙을 중심으로 좌, 우 양측에 한 쌍으로 형성된다.
제2패널(220)에는 걸림부(212)에 대응하는 결합부(222)가 형성된다. 결합부(222)는 걸림부(212)를 수용할 수 있도록 후방으로 돌출된 후 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되어 라운드진 형태로 마련된다. 그리고, 제2패널(220)에는 패널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종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보강부재(223)가 마련된다. 보강부재(223)에는 제1패널(210)의 슬롯(213)에 대응하는 위치에 종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된 복수의 홀(224)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2패널(220)의 결합부(222)를 패널(210)의 걸림부(212)에 결합하여 일차 결합시킨다. 이 후 체결유닛(900)를 제1패널(210)의 슬롯(213)과 제2패널(220)의 홀()에 삽입시켜 제1패널(210)에 제2패널(220)을 견고하게 결속시킨다.
여기서, 제1패널(210)과 제2패널(220)의 사이에서 일정한 공간을 갖는 형태로 마련된 외기통로부(800)가 형성된다. 외기통로부(800)는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냉기의 흐름으로 인해 정압이 낮아지면 이때의 압력차를 이용하여 하부에 형성된 유입구를 통해 외부의 유체(이하, 외기라 한다)를 흡입하게 된다.
외기통로부(800)는 제1패널(210)과 제2패널(220)의 하단 사이로 외기를 유입하도록 외기유입구(810)를 마련한다.
또한, 외기통로부(800)는 제1패널(210)과 제2패널(220)의 상단 사이로 외기를 유출하도록 외기유출구(820)를 마련한다. 외기유출구(820)는 상면토출구(510)를 통해 토출되는 냉기의 흐름을 따라서 외기를 유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면토출구(510)에 인접하게 설치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여기서, 외기유입구(810) 및 외기유출구(820)의 단면적은 외기통로부(800)의 단면적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제1패널(210)과 제2패널(220)의 상단 사이의 단 면적이 크게 되면 사용자에게 외관상 좋은 인상을 주지 못하기 때문이다. 또한, 외기통로부의 단면적이 작게 되면 하부의 외기가 흡입되는 과정에서 유동저항이 크게 되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효과를 달성하기 어렵게 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외기통로부(800)가 일정한 공간을 갖는 형태로 마련되고, 제1패널(210)이 외부의 가압에 의해 내측으로 밀리지 않도록 제1패널(210)과 제2패널(220) 중 사이에는 복수의 이격부재(221)가 삽입된다.
도면에서는 이격부재(221)가 제2패널(220)에서 종방향으로 균일하게 마련되는 구성을 도시하고 있으나, 제1패널(210)에 마련되어 제1패널(210)과 제2패널(220) 사이에서 일정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이격부재(221)는 제1패널(210) 또는 제2패널(220) 중 어느 하나에 일체로 형성되도록 마련되어 체결유닛(900)에 의해 조립됨으로써 제1패널(210)과 제2패널(220) 사이가 일정한 공간을 유지하면서 제1패널(210)과 제2패널(220)이 결속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9에서는 공기조화기의 상면토출구(510)에서 토출되는 냉기의 흐름을 도시하고 있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기가 상면토출구(510)에서 상면토출가이드(200a)를 따라서 A방향으로 토출되면, 제1패널(210)의 상단에 형성된 돌출부재(211)에 의해 냉기는 제2패널(220)의 전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하게 된다.
이때, 제1패널(210)과 제2패널(220)의 하단 사이에 형성된 외기통로부(800)를 통하여 외기가 B방향을 따라 전면패널(200)의 내부로 유입 및/또는 유출되면서 제1패널(210)의 전면 온도를 조절 및/또는 상승시킨다.
동시에, 하부에서 유입된 외기는 돌출부재(211)를 통과한 냉기의 토출 방향을 제1패널(210)의 전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경함으로써 제1패널(210)의 전면에서 이슬이 맺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열교환된 냉기의 토출구가 전면패널의 상면에 형성되어서 전면으로 토출되는 것을 일례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토출구의 위치가 상면 뿐만 아니라 측면에 형성되는 경우도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냉기의 흐름을 따라 전면패널의 내부(즉, 제1패널과 제2패널 사이)로 외기를 유입하여, 냉기의 토출 방향을 변경시키고 전면패널 내부의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전면패널의 전면에서 이슬 맺힘 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면패널이 본체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면패널이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면패널의 하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면패널의 상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일부를 변형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토출 냉기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본체 200...전면패널
200a...상면토출가이드 200b...측면토출가이드
210...제1패널 220...제2패널
300...송풍유닛 400...열교환기

Claims (19)

  1.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방에 설치되는 전면패널과,
    상기 본체의 전방으로 냉기를 토출하는 토출구와,
    상기 전면패널 내부로 외기를 유입하여 토출하는 외기통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통로부는 상기 전면패널의 일측에 형성되는 외기유입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통로부는 상기 토출구에 인접하도록 상기 전면패널에 형성된 외기유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통로부는 상기 냉기의 토출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전면패널의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는 상기 전면패널과 상기 본체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패널에는 상기 외기유출구의 후방에서 돌출되어 토출되는 냉기가 상기 외기유출구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돌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패널은 상기 본체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1패널과, 상기 제1패널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2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외기통로부는 상기 제1패널과 제2패널의 사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널과 제2패널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패널과 제2패널을 이격시켜 상기 외기통로부를 형성하는 이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널의 전면 양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패널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부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0.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방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전면패널과,
    상기 전면패널과 상기 본체 사이에서 정의되어 냉기를 토출하는 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패널은 상기 전면패널로부터 돌출되어 냉기의 토출 방향을 변화시키는 돌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재는 상기 토출구와 대응하도록 상기 전면패널의 테두리를 따라 소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패널은, 상기 전면패널의 타측면에 형성된 외기유입구와 상기 토출구와 연통되는 외기유출구를 가지는 외기통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3.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방에 마련된 전면패널과,
    상기 전면패널의 전방으로 냉기를 토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패널은 상기 냉기의 흐름에 따라 외기를 흡입하여 상기 전면패널의 내부를 관통하는 외기통로부와, 상기 외기통로부를 통과한 상기 외기가 토출되는 외기유출구와, 상기 외기유출구의 후방에서 돌출되어 상기 냉기가 상기 외기유출구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돌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는 상기 전면패널의 상면과 상기 본체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재는 상기 전면패널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통로부는 상기 전면패널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통로부는 상기 전면패널의 하단에 형성된 외기유입구와, 상기 돌출 부재에 인접하도록 형성된 외기유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7.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방에 마련된 제1패널 및 2패널과,
    상기 제1패널과 제2패널의 상면을 따라서 열교환된 냉기를 토출하는 토출구와,
    상기 제1패널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냉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돌출부재와,
    상기 제1패널과 제2패널 사이에 형성되어 외기를 흡입하는 외기통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재는 상기 냉기의 토출 방향을 따라서 일정한 경사각도로 형성된가이드 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통로부는 상기 가이드판을 통과한 냉기가 상기 제2패널과 충돌하지 않도록 상기 전면패널의 하단에서 외기를 흡입하여 상단으로 유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1020080084315A 2008-08-28 2008-08-28 공기조화기 KR101563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4315A KR101563483B1 (ko) 2008-08-28 2008-08-28 공기조화기
CN2008101667568A CN101660809B (zh) 2008-08-28 2008-10-23 空调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4315A KR101563483B1 (ko) 2008-08-28 2008-08-28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5671A true KR20100025671A (ko) 2010-03-10
KR101563483B1 KR101563483B1 (ko) 2015-11-09

Family

ID=41788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4315A KR101563483B1 (ko) 2008-08-28 2008-08-28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63483B1 (ko)
CN (1) CN101660809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80723A1 (ko) * 2018-10-15 2020-04-2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200145024A (ko) * 2019-06-20 2020-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및 스마트 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4188A (ko) * 2020-11-11 2022-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96589B2 (ja) * 1998-10-26 2004-12-02 松下電工株式会社 給気ファン装置
JP3870706B2 (ja) * 2001-03-28 2007-01-24 株式会社大林組 空調吹出装置
JP3864951B2 (ja) * 2003-11-19 2007-01-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
CN100480081C (zh) * 2004-07-30 2009-04-22 株式会社杰克赛尔法雷奥空调 车辆用空调装置
CN2835860Y (zh) * 2005-10-17 2006-11-08 成都艾玛工业设计有限公司 多边形立式侧出风空调室内机
KR101234828B1 (ko) * 2007-02-16 2013-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80723A1 (ko) * 2018-10-15 2020-04-2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EP3851758A4 (en) * 2018-10-15 2021-11-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US11982462B2 (en) 2018-10-15 2024-05-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KR20200145024A (ko) * 2019-06-20 2020-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및 스마트 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60809A (zh) 2010-03-03
CN101660809B (zh) 2013-12-18
KR101563483B1 (ko) 2015-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3002B1 (ko) 공기조화기
EP1953461A1 (e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with moving front panels to suck air from a front and discharge air vertically
US7260953B2 (en) Air conditioner
KR20100025671A (ko) 공기조화기
WO2002103249A2 (en) Air conditioner
KR101405922B1 (ko) 공기조화기
WO2022089395A1 (zh) 导风部件和具有其的空调器
CN214791843U (zh) 导风部件和具有其的空调器
KR100517598B1 (ko) 액자형 공기조화기
KR100766197B1 (ko) 상치형 공기 조화기
KR100903140B1 (ko) 공기조화기
KR101396407B1 (ko) 공기조화기
CN214791844U (zh) 导风部件和具有其的空调器
KR20040068815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커텐조립체 장착구조
CN115183452A (zh) 导风部件和具有其的空调器
KR20060015674A (ko) 공기조화기
CN115183451A (zh) 导风部件和具有其的空调器
KR20020088972A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토출그릴 장착구조
KR100366510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실내열교환기 장착구조
KR100476452B1 (ko) 공기조화기 실내기용 데코프레임 장착구조
KR20200106003A (ko) 공기 조화기 실내기
KR100697198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220050212A (ko) 플로어 스탠딩 에어컨 실내기 및 에어컨
KR20030023065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실내측 공기유동장치
KR100393588B1 (ko) 공기조화기용 흡입그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