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4412A - 플렉서블 적층체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적층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4412A
KR20220044412A KR1020210126135A KR20210126135A KR20220044412A KR 20220044412 A KR20220044412 A KR 20220044412A KR 1020210126135 A KR1020210126135 A KR 1020210126135A KR 20210126135 A KR20210126135 A KR 20210126135A KR 20220044412 A KR20220044412 A KR 202200444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ilm
haze value
retardation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6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동휘 김
유연 정
Original Assignee
수미토모 케미칼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수미토모 케미칼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수미토모 케미칼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44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44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H01L27/3232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50OLEDs integrated with light modulating elements, e.g. with electrochromic elements, photochromic elements or liquid crystal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편광자층과, 상기 편광자층의 전면에 접하여 마련된 전면 적층체와, 상기 편광자층의 전면과는 반대측에 마련된 위상차체를 가지고, 상기 전면 적층체의 전체 헤이즈치는 5.0% 이상인, 플렉서블 적층체.

Description

플렉서블 적층체{FLEXIBLE LAMINATE}
본 발명은, 플렉서블 적층체에 관한 것이며, 더욱이는 그것을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공개공보 2018-028573호에는, 점착제층과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로서, 적층체를 접어 굽혔을 경우의 볼록측의 최외면의 점착제층의 25℃에서의 저장 탄성률 G'가, 다른 점착제층의 25℃에서의 저장 탄성률 G'와 대략 동일, 또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가 개시되어 있다.
전면판과, 편광자층과, 위상차체를 이 순으로 가지는 플렉서블 적층체에 있어서, 전면판측을 내측으로 하여 굴곡을 반복했을 경우에, 위상차체에 크랙이 생기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편광자층과, 편광자층의 전면에 접하여 마련된 전면 적층체와, 편광자층의 전면과는 반대측에 마련된 위상차체를 가지는 플렉서블 적층체로서, 위상차체에 크랙이 생겼을 경우에도, 크랙이 시인되기 어려운 플렉서블 적층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의 플렉서블 적층체 및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1] 편광자층과, 상기 편광자층의 전면에 접하여 마련된 전면 적층체와, 상기 편광자층의 전면과는 반대측에 마련된 위상차체를 가지고,
상기 전면 적층체의 전체 헤이즈치는 5.0% 이상인, 플렉서블 적층체.
[2] 상기 전면 적층체의 내부 헤이즈치는 5.0% 이상인, 청구항 1에 기재된 플렉서블 적층체.
[3] 상기 전면 적층체는, 상기 편광자층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보호층, 제1 점착제층, 전면판을 포함하는, [1] 또는 [2]에 기재된 플렉서블 적층체.
[4] 상기 위상차체는, λ/4층을 포함하는,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플렉서블 적층체.
[5] 상기 위상차체는, 포지티브 C층, 또는 λ/2층을 더 포함하는, [4]에 기재된 플렉서블 적층체.
[6] 상기 위상차체의 상기 편광자층측과는 반대측에, 터치 센서 패널을 더 가지는,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플렉서블 적층체.
[7]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플렉서블 적층체를 구비하는, 화상 표시 장치.
본 발명에 의하면, 편광자층과, 편광자층의 전면에 접하여 마련된 전면 적층체와, 편광자층의 전면과는 반대측에 마련된 위상차체를 가지는 플렉서블 적층체로서, 위상차체에 크랙이 생겼을 경우에도, 크랙이 시인되기 어려운 플렉서블 적층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플렉서블 적층체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플렉서블 적층체의 제조 방법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모든 도면에 있어서는, 각 구성 요소를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축척을 적절히 조정하여 나타내고 있으며, 도면에 나타나는 각 구성 요소의 축척과 실제의 구성 요소의 축척과는 반드시 일치하지 않는다.
<플렉서블 적층체>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적층체는, 편광자층과, 상기 편광자층의 전면에 접하여 마련된 전면 적층체와, 상기 편광자층의 전면과는 반대측에 마련된 위상차체를 가진다. 전면 적층체의 전체 헤이즈치는 5.0% 이상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적층체에 있어서는, 전면 적층체의 전체 헤이즈치가 5.0% 이상임으로써, 위상차체에 크랙이 생겼을 경우에도, 크랙이 시인되기 어렵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플렉서블 적층체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플렉서블 적층체(100)는, 전면판(110)과, 제1 점착제층(120)과, 직선 편광판(130)과, 제2 점착제층(160)과, 위상차체(140)를 이 순으로 가진다. 플렉서블 적층체(100)는, 전면판(110)과 직선 편광판(130) 사이에 이들을 첩합하기 위해 개재하는 제1 점착제층(120)을 가지고, 직선 편광판(130)과 위상차체(140) 사이에 이들을 첩합하기 위해 개재하는 제2 점착제층(160)을 가진다. 플렉서블 적층체(100)는, 위상차체(140)의 제2 점착제층(160)측과는 반대측에 터치 센서 패널을 더 가지고 있어도 되고, 이 경우, 위상차체(140)와 터치 센서 패널 사이에 이들을 첩합하기 위해 개재하는 제3 점착제층(150)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터치 센서 패널을 갖지 않는 구성이어도, 위상차체(140)와 다른 광학 부재 사이에 제3 점착제층을 개재시켜 이들을 첩합할 수 있다.
직선 편광판(130)은, 전면판(110)측으로부터 보호층(131)과 편광자층(132)을 이 순으로 포함한다. 위상차체(140)는, 전면판(110)측으로부터 제1 위상차층(141)과 제2 위상차층(142)을 이 순으로 포함한다. 제1 위상차층(141)과 제2 위상차층(142)은, 층간 첩합층(143)에 의해 첩합되어 있는 구성이어도 된다.
플렉서블 적층체에 있어서, 편광자층의 전면측에 위치하는 모든 층이 전면 적층체의 구성 요소가 된다. 도 1에 나타내는 플렉서블 적층체(100)에 있어서, 「보호층(131)/제1 점착제층(120)/전면판(110)」의 층 구성을 가지는 적층체가, 편광자층의 전면에 접하여 마련된 전면 적층체에 상당한다. 도 1에 나타내는 플렉서블 적층체(100)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적층체의 일 실시형태에 지나지 않는 것이며,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적층체는, 플렉서블 적층체(100)에 포함되는 모든 요소를 포함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또한 플렉서블 적층체(100)에 포함되지 않는 다른 요소를 포함하는 것이어도 된다.
플렉서블 적층체는, 전면 적층체측을 내측으로 하여 굴곡해서(이하, 인폴드라고도 함) 사용되는 것이어도 되고, 전면 적층체측을 외측으로 하여 굴곡해서(이하, 아웃폴드라고도 함) 사용되는 것이어도 된다. 플렉서블 적층체는, 적어도, 인폴드 또는 아웃폴드로 굴곡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굴곡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은, 굴곡 반경 3㎜의 조건으로, 10만회 굴곡을 반복했을 때에 위상차체에 크랙을 일으키지 않고 적층체를 굴곡시킬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굴곡에는, 굽힘 부분에 곡면이 형성되는 접어 굽힘의 형태가 포함된다. 접어 굽힘의 형태에 있어서, 접어 굽힌 내면의 굴곡 반경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굴곡에는, 내면의 굴절각이 0°보다 크고 180° 미만인 굴절의 형태, 및 내면의 굴곡 반경이 제로에 근사, 또는 내면의 굴절각이 0°인 폴딩의 형태가 포함된다. 플렉서블 적층체는, 굴곡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호적(好適)하다.
플렉서블 적층체여도, 굴곡이 반복되면, 또는 굴곡한 상태에서 장시간 유지되면, 위상차체의 굴곡부에 크랙이 생길 경우가 있다. 특히, 인폴드로의 굴곡이 반복되면, 또는 인폴드로 굴곡한 상태에서 장시간 유지되면, 위상차체의 굴곡부에 크랙이 생기기 쉽다.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적층체에 있어서는, 위상차체에 크랙이 생겼을 경우에도, 그 크랙이 시인되기 어렵다는 효과를 가진다.
플렉서블 적층체는, 평면에서 볼 때, 예를 들면 사각형 형상이어도 되고, 바람직하게는 장변과 단변을 가지는 사각형 형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장방형이다. 플렉서블 적층체를 구성하는 각 층은, 각부(角部)가 R 가공되거나, 단부(端部)가 노치 가공되거나, 펀칭 가공되어 있어도 된다.
플렉서블 적층체는, 예를 들면 화상 표시 장치 등에 이용할 수 있다. 화상 표시 장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유기 EL) 표시 장치, 무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무기 EL) 표시 장치, 액정 표시 장치, 전계 발광 표시 장치 등을 들 수 있다.
[전면 적층체의 헤이즈치]
플렉서블 적층체에 있어서, 전면 적층체의 전체 헤이즈치는 5.0% 이상이다. 전체 헤이즈치는, 내부 헤이즈치와 표면 헤이즈치와의 합계치이다. 전면 적층체의 전체 헤이즈치가 5.0% 이상임으로써, 플렉서블 적층체의 위상차체에 크랙이 생겼을 경우에도, 그 크랙이 시인되기 어렵다는 효과를 가진다. 편광자층보다 시인측의 전체 헤이즈치가 상기 범위에 있음으로써, 편광자층을 투과한 광이 산란하여, 이러한 효과가 얻어진다고 생각된다. 한편, 광이 편광자층과 위상차체 사이에서 산란해도, 산란한 광의 일부가 편광자층에 흡수되어 버린다. 그 때문에, 편광자층과 위상차체 사이에 있는 층의 내부 헤이즈치는, 이러한 효과에 기여하기 어렵다고 생각된다. 전면 적층체의 전체 헤이즈치는,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이상이며, 15.0% 이상이어도 된다. 전면 적층체의 전체 헤이즈치는, 바람직하게는 6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 이하이다.전면 적층체의 전체 헤이즈치가 60.0% 이하임으로써, 높은 선명도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플렉서블 적층체에 있어서, 전면 적층체의 내부 헤이즈치는 바람직하게는 5.0%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10.0% 이상이며, 15.0% 이상이어도 된다. 전면 적층체의 내부 헤이즈치는, 바람직하게는 60.0% 이하이다. 전면 적층체에 대해서, 내부 헤이즈치가 5.0% 이상임으로써, 표면 헤이즈치가 작은 값이어도, 전체 헤이즈치가 5.0% 이상인 구성을 실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전면 적층체에 있어서, 표면 헤이즈치는,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이하이다. 전면 적층체의 표면 헤이즈치가 1.0% 이하임으로써, 전면에 광택감이 있는 플렉서블 적층체를 구성할 수 있다.
전면 적층체의 전체 헤이즈치는, 전면 적층체를 구성하는 각 층의 내부 헤이즈치를 조정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플렉서블 적층체(100)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1 점착제층(120)의 내부 헤이즈치를 조정함으로써 전면 적층체의 전체 헤이즈치를 조정할 수 있다.
전면 적층체의 내부 헤이즈치의 측정 방법은, 전면 적층체 전체의 내부 헤이즈치를 측정하는 방법이어도, 후술하는 실시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면 적층체를 구성하는 각 층의 내부 헤이즈치를 측정하여 각 층의 내부 헤이즈치를 합계하는 방법에 따라 전면 적층체의 내부 헤이즈치를 산출하는 방법이어도 된다. 이러한 측정 방법에 있어서, 전면 적층체를 구성하는 각 층 중, 내부 헤이즈치가 분명한 층에 대해서는 재차 측정할 필요가 없는 경우가 있다. 전면 적층체의 표면 헤이즈치는, 전면 적층체의 최전면의 층의 전면측의 표면 헤이즈치와 일치한다. 전면 적층체의 내부 헤이즈치가 5.0% 이상인 경우에는, 전체 헤이즈치가 5.0% 이상이라는 특징을 충족시키게 된다. 전체 헤이즈치는, 내부 헤이즈치의 값보다 작은 값이 되지는 않기 때문이다.
[플렉서블 적층체의 전체 헤이즈치, 내부 헤이즈치, 및 투과 선명도]
플렉서블 적층체의 전체 헤이즈치는, 6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플렉서블 적층체의 내부 헤이즈치는, 6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플렉서블 적층체의 전체 헤이즈치 및 내부 헤이즈치가 60.0% 이하임으로써, 높은 선명도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플렉서블 적층체의 전체 헤이즈치는, 5.0% 이상일 수 있다. 플렉서블 적층체의 투과 선명도는,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측정 방법에 따라서 측정한 값이 3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3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플렉서블 적층체의 투과 선명도는 400% 이하이다.
[전면판]
전면판(110)은, 광을 투과 가능한 판상체이면, 재료 및 두께는 한정되지 않고, 또한 단층 구조여도 다층 구조여도 되고, 유리제의 판상체(예를 들면, 유리판, 유리 필름 등), 수지제의 판상체(예를 들면, 수지판, 수지 시트, 수지 필름 등), 유리제의 판상체와 수지제의 판상체와의 적층체가 예시된다. 전면판은, 화상 표시 장치의 시인측의 최표면을 구성하는 층일 수 있다.
유리판 또는 유리 필름으로서는, 디스플레이용 강화 유리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유리판 또는 유리 필름의 두께는, 예를 들면 10㎛ 이상 1000㎛ 이하이다. 유리판 또는 유리 필름을 이용함으로써, 우수한 기계적 강도 및 표면 경도를 가지는 광학 부재를 구성할 수 있다.
수지 필름으로서는, 광을 투과 가능한 수지 필름이면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아세틸셀룰로오스부틸레이트,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프로피오닐셀룰로오스, 부티릴셀룰로오스, 아세틸프로피오닐셀룰로오스, 폴리에스테르, 폴리스티렌, 폴리아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메타)아크릴,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설폰, 폴리설폰,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펜텐,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아세탈, 폴리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설폰,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미드이미드 등의 고분자로 형성된 필름을 들 수 있다. 이들 고분자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적층체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이용할 경우에는, 우수한 가요성을 가지고, 높은 강도 및 높은 투명성을 가지도록 구성 가능한,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등의 고분자로 형성된 수지 필름이 호적하게 이용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타)아크릴」이란, 아크릴 또는 메타크릴 중 어느 것이어도 되는 것을 의미한다.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타)」도 마찬가지의 의미이다.
전면판이 수지 필름인 경우, 수지 필름은, 기재 필름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하드 코팅층을 마련하여 경도를 보다 향상시킨 필름이어도 된다. 하드 코팅층은, 기재 필름의 일방의 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양방의 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후술하는 화상 표시 장치가 터치 패널 방식의 화상 표시 장치인 경우에는, 전면판의 표면이 터치면이 되기 때문에, 하드 코팅층을 가지는 수지 필름이 호적하게 이용된다. 하드 코팅층을 마련함으로써, 경도 및 내스크래치성을 향상시킨 수지 필름으로 할 수 있다. 하드 코팅층은, 예를 들면, 자외선 경화형 수지의 경화층이다. 자외선 경화형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아미드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하드 코팅층은, 경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첨가제는 한정되지 않고, 무기계 미립자, 유기계 미립자, 또는 이들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수지 필름의 두께는, 예를 들면 10㎛ 이상 100㎛ 이하이며, 20㎛ 이상 6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면판은, 화상 표시 장치의 전면을 보호하는 기능을 가질 뿐만 아니고, 터치 센서로서의 기능, 블루 라이트 컷 기능, 시야각 조정 기능 등을 가지는 것이어도 된다.
전면판의 내부 헤이즈치는, 0.00% 이상일 수 있고, 0.05% 이상이어도 되고, 60.0% 이하일 수 있고, 5.0% 이하여도 되고, 1.0% 이하여도 된다.
[제1 점착제층]
제1 점착제층(120)은, 전면판(110)과 직선 편광판(130) 사이에 개재하여 이들을 첩합하는 층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점착제」란, 경화 반응 후의 상태가 액상이며, 상온에서 단시간, 근소한 압력을 가하는 것만으로 접착할 수 있는 것, 예를 들면 감압식 접착제라고도 불리는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접착제」란, 점착제(감압식 접착제) 이외의 접착제를 말하며, 경화 반응 후의 상태가 고체상이며, 경화 후의 탄성률의 범위가 100㎫ 이상인 것을 말한다. 제1 점착제층(120)은, 1층이어도 되고, 또는 2층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1층이다.
제1 점착제층(120)의 내부 헤이즈치는, 바람직하게는 0.2%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상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5.0% 이상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이다. 제1 점착제층(120)의 내부 헤이즈치가 0.2% 이상임으로써, 전체 헤이즈치가 5.0% 이상인 전면 적층체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제1 점착제층(120)의 내부 헤이즈치는, 바람직하게는 6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 이하이다. 제1 점착제층(120)은, 내부 헤이즈치가 60.0% 이하임으로써, 우수한 점착성을 가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제1 점착제층(120)의 내부 헤이즈치는, 예를 들면 후술하는 점착제 조성물 내에 광확산성을 부여하기 위해 첨가되는 광확산제의 종류, 함유량 등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광확산제로서는, 투광성 미립자, 유리 섬유 등, 베이스 폴리머와 굴절률이 상이한 것을 이용한다. 투광성 미립자의 형상은, 예를 들면, 진구상(眞球狀), 편평상, 부정 형상일 수 있다. 투광성 미립자로서는, 무기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미립자나 유기 화합물(폴리머)로 이루어지는 미립자를 이용할 수 있다. 제1 점착제층(120)의 내부 헤이즈치는, 예를 들면, 광확산제로서 이용하는 투광성 미립자의 입자경, 제1 점착제층(120)의 두께와 투광성 미립자의 입자경과의 비, 베이스 폴리머와 투광성 미립자와의 굴절률차, 투광성 미립자의 배합량 등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투광성 미립자의 배합량이 많으면 내부 헤이즈치가 커지는 경향이 있고, 적으면 내부 헤이즈치는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 베이스 폴리머와 투광성 미립자와의 굴절률차가 크면 내부 헤이즈치는 커지는 경향이 있고, 작으면 내부 헤이즈치는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굴절률차는, 투광성 미립자의 재료의 선택에 의해 투광성 미립자의 굴절률을 조정함으로써, 또는 베이스 폴리머의 재료 및 결정화도에 의해 베이스 폴리머의 굴절률을 조정함으로써, 소기(所期)의 값으로 할 수 있다. 베이스 폴리머와 투광성 미립자와의 굴절률차는, 예를 들면 0.01 이상이며, 화상 표시 장치로 했을 경우의 밝기나 시인성을 고려하면 0.01 이상 0.5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 폴리머의 굴절률이 통상 1.4 전후이므로, 투광성 미립자로서 사용되는 무기 화합물 또는 유기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미립자로서 하기의 것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무기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투광성 미립자로서는, 예를 들면, 산화알루미늄(굴절률 1.76), 산화규소(굴절률 1.45)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투광성 미립자로서는, 예를 들면, 멜라민 비드(굴절률 1.57), 폴리메타크릴산메틸 비드(굴절률 1.49), 메타크릴산메틸/스티렌 공중합체 수지 비드(굴절률 1.50∼1.59), 폴리카보네이트 비드(굴절률 1.55), 폴리에틸렌 비드(굴절률 1.53), 폴리스티렌 비드(굴절률 1.6), 폴리염화비닐 비드(굴절률 1.46), 에폭시 수지 비드(굴절률 1.5∼1.6), 실리콘 수지 비드(굴절률 1.46)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폴리머로서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선택했을 때에는, 에폭시 수지 비드, 폴리메타크릴산메틸 비드, 실리콘 수지 비드가 아크릴계 공중합체에 대한 분산성이 우수하며, 균일하고 양호한 광확산성이 얻어지므로 광확산제인 투광성 미립자로서 호적하다. 또한, 광확산제로서는, 광확산이 균일한 구상이며 또한 단분산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투광성 미립자의 평균 입경은,0.1∼2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평균 입경이 0.1㎛ 미만이면 내부 헤이즈치를 향상시키기 위해 함유량을 높게 할 필요가 생길 경우가 있다. 한편, 평균 입경이 20㎛를 초과하면, 화상의 콘트라스트에 악영향을 주고, 또한, 디스플레이의 화상 피치보다 커질 경우에는 눈부심이 발생한다. 이상의 점에서, 투광성 미립자의 평균 입경은 0.5∼1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특히 1∼6㎛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투광성 미립자의 평균 입경은, 예를 들면, 초원심식 자동 입도 분포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값으로 한다.
투광성 미립자의 배합량은, 목표로 하는 내부 헤이즈치나, 그것이 적용되는 화상 표시 장치의 밝기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결정되지만, 점착제 조성물의 베이스 폴리머 100질량부에 대하여, 1∼40질량부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3∼30질량부의 범위가 더 바람직하다. 투광성 미립자의 함유량이 40질량부를 초과하면, 화상 표시 장치의 화면의 해상도가 저하하여, 흐릿함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제1 점착제층(120)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4㎛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이상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10㎛ 이상이다. 제1 점착제층(120)의 두께는, 굴곡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00㎛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이하이다. 제1 점착제층(120)의 두께는, 제1 점착제층(120)의 최대의 두께로 한다.
제1 점착제층(120)은, (메타)아크릴계, 고무계, 우레탄계, 에스테르계, 실리콘계, 폴리비닐에테르계 등의 수지를 베이스 폴리머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로 구성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투명성, 내후성, 내열성 등이 우수한 (메타)아크릴계 수지를 베이스 폴리머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이 호적하다. 점착제 조성물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열경화형이어도 된다.
점착제 조성물에 이용되는 (메타)아크릴계 수지(베이스 폴리머)로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부틸, (메타)아크릴산에틸, (메타)아크릴산이소옥틸, (메타)아크릴산2-에틸헥실과 같은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모노머로 하는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가 호적하게 이용된다. 베이스 폴리머에는, 극성 모노머를 공중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극성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 (메타)아크릴산2-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산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카르복시기, 수산기, 아미드기, 아미노기, 에폭시기 등을 가지는 모노머를 들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은, 베이스 폴리머와 함께 가교제를 함유시킬 수 있다. 가교제로서는, 2가 이상의 금속 이온으로서, 카르복시기와의 사이에서 카르복시산 금속염을 형성하는 것; 폴리아민 화합물로서, 카르복시기와의 사이에서 아미드 결합을 형성하는 것; 폴리에폭시 화합물이나 폴리올로서, 카르복시기와의 사이에서 에스테르 결합을 형성하는 것;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서, 카르복시기와의 사이에서 아미드 결합을 형성하는 것이 예시된다. 그 중에서도,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이란, 자외선이나 전자선과 같은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를 받아 경화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활성 에너지선 조사 전에 있어서도 점착성을 가져 필름 등의 피착체에 밀착시킬 수 있고,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경화하여 밀착력의 조정을 할 수 있는 성질을 가지는 점착제 조성물이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은, 자외선 경화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은, 베이스 폴리머, 가교제에 더하여, 활성 에너지선 중합성 화합물을 더 함유한다. 필요에 따라, 광중합개시제나 광증감제 등을 더 함유시키기도 한다.
점착제 조성물은, 광확산제, 베이스 폴리머 이외의 수지, 점착성 부여제, 충전제(금속분이나 그 외의 무기 분말 등),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염료, 안료, 착색제, 소포제, 부식 방지제, 광중합개시제 등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점착제층(120)은, 상기 점착제 조성물의 유기 용제 희석액을 기재 상에 도포하고, 건조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을 이용했을 경우에는, 형성된 제1 점착제층에,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함으로써 원하는 경화도를 가지는 경화물로 할 수 있다.
[직선 편광판]
직선 편광판(130)은 편광자층(132)의 편면에 보호층(131)을 적층한 것일 수 있다. 직선 편광판은 편광자층(132)의 타방의 면에, 또 다른 보호층을 적층한 것이어도 된다. 직선 편광판(130)은, 무편광의 광을 입사시켰을 때, 흡수축으로 직교하는 진동면을 가지는 직선 편광을 투과시키는 성질을 가진다. 직선 편광판(130)은, 편광자층(132)으로서 폴리비닐알코올(이하, 「PVA」라고 약칭하기도 함)계 수지 필름을 포함하는 것이어도 되고, 이색성 색소 및 중합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배향시키고,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중합시킨 경화막이어도 된다. 이색성 색소 및 중합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도포해 경화시켜 이루어지는 편광자층은, 연신 공정을 포함하는 PVA계 수지 필름의 편광자층에 비해, 굴곡 방향에 제한이 없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직선 편광판(130)은, 편광자층(132) 및 보호층(131)만을 포함하는 것이어도 되고, 편광자층(132) 및 보호층(131)에 더하여, 기재, 수지 필름 및 배향막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편광자층(132)의 보호층(131)과는 반대측의 면에 보호층을 더 포함하는 것이어도 된다. 직선 편광판(130)의 두께는, 예를 들면 2㎛ 이상 100㎛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5㎛ 이상 60㎛ 이하이다.
[편광자층]
PVA계 수지 필름을 요오드로 염색하고 일축 연신하여 얻어진 편광자층을 이용할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를 비누화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는, 아세트산비닐의 단독 중합체인 폴리아세트산비닐 외, 아세트산비닐과 아세트산비닐에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와의 공중합체일 수도 있다. 아세트산비닐에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불포화 카르복시산류, 올레핀류, 비닐에테르류, 불포화 설폰산류, 암모늄기를 가지는 아크릴아미드류 등을 들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비누화도는, 통상 85∼100몰% 정도이며, 바람직하게는 98몰% 이상이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변성되어 있어도 되고, 예를 들면, 알데히드류로 변성된 폴리비닐포르말이나 폴리비닐아세탈 등도 사용 가능하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평균 중합도는, 통상 1,000∼10,000 정도이며, 바람직하게는 1,500∼5,000 정도이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평균 중합도는, JIS K 6726(1994)에 준거하여 구할 수 있다. 평균 중합도가 1000 미만에서는 바람직한 편광 성능을 얻는 것이 곤란하며, 10000 초과에서는 필름 가공성이 떨어질 경우가 있다.
그 외의 PVA계 수지 필름을 포함하는 직선 편광판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우선 기재 필름을 준비하고, 기재 필름 상에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등의 수지의 용액을 도포하고, 용매를 제거하는 건조 등을 행하여 기재 필름 상에 수지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들 수 있다. 한편, 기재 필름의 수지층이 형성되는 면에는, 미리 프라이머층을 형성할 수 있다. 기재 필름으로서는, PET 등의 수지 필름이나, 후술하는 보호층에 이용할 수 있는 수지를 이용한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프라이머층의 재료로서는, 직선 편광판에 이용되는 친수성 수지를 가교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그 다음에, 필요에 따라 수지층의 수분 등의 용매량을 조정하고, 그 후, 기재 필름 및 수지층을 일축 연신하고, 계속해서, 수지층을 요오드 등의 이색성 색소로 염색하여 이색성 색소를 수지층에 흡착 배향시킨다. 계속해서, 필요에 따라 이색성 색소가 흡착 배향된 수지층을 붕산 수용액으로 처리하고, 붕산 수용액을 씻어내는 세정 공정을 행한다. 이에 따라, 이색성 색소가 흡착 배향된 수지층, 즉, 편광자층이 제조된다. 각 공정에는 공지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기재 필름 및 수지층의 일축 연신은, 염색 전에 행해도 되고, 염색 중에 행해도 되고, 염색 후의 붕산 처리 중에 행해도 되고, 이들 복수의 단계에 있어서 각각 일축 연신을 행해도 된다. 기재 필름 및 수지층은, MD 방향(필름 반송 방향)으로 일축 연신해도 되고, 이 경우, 주속(周速)이 상이한 롤간에서 일축으로 연신해도 되고, 열롤을 이용하여 일축으로 연신해도 된다. 또한, 기재 필름 및 수지층은, TD 방향(필름 반송 방향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일축 연신해도 되고, 이 경우, 소위 텐터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기재 필름 및 수지층의 연신은, 대기 중에서 연신을 행하는 건식 연신이어도 되고, 용제로 수지층을 팽윤시킨 상태에서 연신을 행하는 습식 연신이어도 된다. 편광자층의 성능을 발현하기 위해서는 연신 배율은 4배 이상이며, 5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5.5배 이상이 바람직하다. 연신 배율의 상한은 특별히 없지만, 파단 등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8배 이하가 바람직하다.
상기 PVA계 수지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자층의 두께는, 예를 들면 2㎛ 이상 40㎛ 이하이다. 편광자층의 두께는 5㎛ 이상이어도 되고, 20㎛ 이하, 15㎛ 이하, 더욱이는 10㎛ 이하여도 된다.
이색성 색소 및 중합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배향시키고,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중합시킨 경화막인 편광자층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편광자층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기재 필름 상에 배향막을 개재하여 중합성 액정 화합물 및 이색성 색소를 포함하는 편광자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여 편광자층을 형성하는 방법, 혹은, 보호층을 형성한 기재 필름 상 또는 보호층으로서 이용되는 기재 필름 상에, 배향막을 개재하여 중합성 액정 화합물 및 이색성 색소를 포함하는 편광자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고,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액정 상태를 유지한 채로 중합하여 경화시켜 편광자층을 형성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편광자층은, 보호층 상에 적층된 상태에 있어, 보호층 부착 편광자층으로서 이용해도 된다. 기재 필름으로서는, 수지 필름,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편광자층(132)의 표면에는, 오버 코팅층을 마련할 수 있다. 오버 코팅층은, 오버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오버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은, 광경화성 수지나 수용성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광경화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메타)아크릴우레탄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폴리머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메타)아크릴아미드계 폴리머; 폴리비닐알코올, 및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메타)아크릴산 또는 그 무수물-비닐알코올 공중합체 등의 비닐알코올계 폴리머; 카르복시비닐계 폴리머; 폴리비닐피롤리돈; 전분류; 알긴산나트륨; 폴리에틸렌옥사이드계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오버 코팅층의 두께는,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5㎛ 이하여도 되고, 또한, 0.05㎛ 이상이며, 0.5㎛ 이상이어도 된다.
이색성 색소로서는, 분자의 장축 방향에 있어서의 흡광도와 단축 방향에 있어서의 흡광도가 상이한 성질을 가지는 색소를 이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300∼700㎚의 범위에 흡수 극대 파장(λmax)을 가지는 색소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색성 색소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리딘 색소, 옥사진 색소, 시아닌 색소, 나프탈렌 색소, 아조 색소, 안트라퀴논 색소 등을 들 수 있지만, 그 중에서도 아조 색소가 바람직하다. 아조 색소로서는, 모노아조 색소, 비스아조 색소, 트리스아조 색소, 테트라키스아조 색소, 스틸벤아조 색소 등을 들 수 있고, 비스아조 색소, 트리스아조 색소가 보다 바람직하다.
편광자층 형성용 조성물은, 용제, 광중합개시제 등의 중합개시제, 광증감제, 중합 금지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편광층 형성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 이색성 색소, 용제, 중합개시제, 광증감제, 중합 금지제 등에 대해서는, 공지의 것을 이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공보 2017-102479호, 일본 특허공개공보 2017-83843호에 예시되어 있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중합성 액정 화합물은, 후술하는 위상차층으로서의 경화물층을 얻기 위해 이용한 중합성 액정 화합물로서 예시한 화합물을 이용해도 된다. 편광자층 형성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직선 편광판을 형성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상기 공보에 예시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이색성 색소 및 중합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도포해 경화시켜 이루어지는 편광자층의 두께는, 통상 10㎛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0.5㎛ 이상 8㎛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이상 5㎛ 이하이다.
상기 방법으로 제작한 편광자층은, 기재 필름을 박리하거나, 또는 기재 필름과 함께 직선 편광판으로서 이용해도 된다. 상기 방법에 의하면, 기재 필름을 박리할 수 있기 때문에, 직선 편광판의 가일층의 박막화가 가능해진다.
[보호층]
보호층(131)은, 편광자층(132)의 표면을 보호하는 기능을 가진다. 플렉서블 적층체에 있어서, 직선 편광판(130)은, 보호층(131)이 편광자층(132)보다 전면판(110)측이 되도록 배치된다.
보호층(131)은, 유기물층 또는 무기물층일 수 있다. 보호층(131)은, 편광자층(132)의 제조 과정에서 이용한 기재 필름이어도 된다. 유기물층은, 보호층 형성용 조성물,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계 수지 조성물, 에폭시계 수지 조성물, 폴리이미드계 수지 조성물 등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보호층 형성용 조성물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이어도 되고, 열경화형이어도 된다. 무기물층은, 예를 들면 실리콘 산화물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보호층(131)이 유기물층인 경우, 보호층은 하드 코팅층이라고 불리는 것이어도 된다.
보호층(131)이 유기물층인 경우, 예를 들면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의 보호층 형성용 조성물을 기재 필름 상에 도포하고, 활성 에너지를 조사하여 경화시킴으로써 보호층을 제작할 수 있다. 기재 필름은, 상술한 기재 필름의 설명이 적용된다. 기재 필름은 통상, 박리하여 제거된다. 보호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스핀 코팅법 등을 들 수 있다. 보호층(131)이 무기물층인 경우, 예를 들면 스퍼터링법, 증착법 등에 의해 보호층을 형성할 수 있다. 보호층(131)이 유기물층 또는 무기물층인 경우, 보호층(131)의 두께는, 예를 들면 0.1㎛ 이상 10㎛ 이하여도 되고, 바람직하게는 0.5㎛ 이상 5㎛ 이하이다.
보호층(131)으로서는, 예를 들면, 투명성, 기계적 강도, 열안정성, 수분 차단성, 등방성, 연신성 등이 우수한 수지 필름을 이용할 수도 있다. 수지 필름은 열가소성 수지 필름이어도 된다. 이러한 수지의 구체예로서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에테르설폰 수지; 폴리설폰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나일론이나 방향족 폴리아미드 등의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 시클로계 및 노르보르넨 구조를 가지는 환상 폴리올레핀 수지(노르보르넨계 수지라고도 함); (메타)아크릴 수지; 폴리아릴레이트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그리고 이들 혼합물을 들 수 있다. 편광자층의 양면에 보호층이 적층되어 있을 경우, 두 개의 보호층은 동종이어도 되고, 이종이어도 된다. 수지 필름의 두께는, 예를 들면 3㎛ 이상 50㎛ 이하여도 되고, 바람직하게는 5㎛ 이상 30㎛ 이하이다.
보호층의 내부 헤이즈치에 의해, 전면 적층체의 전체 헤이즈치를 조정해도 된다. 이 경우, 보호층의 내부 헤이즈치는, 바람직하게는 5.0%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10.0% 이상이다. 보호층의 내부 헤이즈치가 5.0% 이상임으로써, 전체 헤이즈치가 5.0% 이상인 전면 적층체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보호층의 내부 헤이즈치는, 바람직하게는 60.0% 이하이다.
[위상차체]
플렉서블 적층체(100)는, 직선 편광판(130)(이하, 직선 편광층이라고도 함)과 위상차체(140)를 구비함으로써 원편광판으로서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하, 직선 편광판(130)과 위상차체(140)를 구비하는 구성을 원편광판이라고 하기도 한다.
위상차체(140)는, 제1 위상차층(141)과 제2 위상차층(142)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위상차층(141) 및 제2 위상차층(142)은, 후술하는 층간 첩합층(143)에 의해 첩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위상차층(141) 및 제2 위상차층(142)은, 그 표면을 보호하는 오버 코팅층, 및 제1 위상차층(141) 및 제2 위상차층(142)을 지지하는 기재 필름 등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제1 위상차층(141) 및 제2 위상차층(142)으로서는, 예를 들면 λ/4의 위상차를 부여하는 위상차층(λ/4층), λ/2의 위상차를 부여하는 위상차층(λ/2층) 및 포지티브 C층 등을 들 수 있다.
위상차체(140)는, 바람직하게는 λ/4층을 포함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λ/4층과 λ/2층 또는 포지티브 C층의 적어도 어느 것을 포함한다.
위상차체(140)는, 편광자층(132)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제1 위상차층(141) 및 제2 위상차층(142)이 적층된다. 위상차체가 λ/2층을 포함할 경우, 제1 위상차층(141)이 λ/2층이며, 제2 위상차층(142)이 λ/4층이다. 위상차체(140)가 포지티브 C층을 포함할 경우, 제1 위상차층(141)이 포지티브 C층이며, 또한 제2 위상차층(142)이 λ/4층이거나, 또는 제1 위상차층(141)이 λ/4층이며, 또한 제2 위상차층(142)이 포지티브 C층이다. 위상차체(140)의 두께는, 예를 들면 0.1㎛ 이상 50㎛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0.5㎛ 이상 30㎛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이상 10㎛ 이하이다. 얇은 위상차체의 강도는 약하므로, 얇은 위상차체를 가지는 플렉서블 적층체는, 본 발명의 효과를 향수(享受)하기 쉽다.
제1 위상차층(141) 및 제2 위상차층(142)은, 상술한 수지 필름의 재료로서 예시한 수지 필름으로 형성해도 되고,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경화한 층으로 형성해도 된다. 제1 위상차층(141) 및 제2 위상차층(142)은, 배향막 및 기재 필름을 더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배향막을 가지는 제1 위상차층(141), 및 배향막을 가지는 제2 위상차층(142)은, 하나의 단위 부재로서 취급해도 된다.
제1 위상차층(141) 및 제2 위상차층(142)을,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경화하여 이루어지는 층으로 형성할 경우,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기재 필름에 도포해 경화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기재 필름과 도포층 사이에 배향막을 형성해도 된다. 기재 필름의 재료 및 두께는, 상기 수지 필름의 재료 및 두께와 같아도 된다. 제1 위상차층(141) 및 제2 위상차층(142)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경화하여 이루어지는 층으로 형성할 경우, 배향막 및 기재 필름을 가지는 형태로 적층체에 편성되어도 된다.
편광자층(132)의 흡수축과 위상차체(140)의 지상축이 소정의 각도가 되도록, 편광자층(132)과 위상차체(140)가 배치된 편광판은, 반사 방지 기능을 가지는, 즉 원편광판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위상차체(140)가 λ/4층을 포함할 경우, 편광자층(132)의 흡수축과 λ/4층의 지상축과의 이루는 각도는, 45° ± 10°일 수 있다. 제1 위상차층(141) 및 제2 위상차층(142)은 정파장 분산성을 가지고 있어도 되고, 역파장 분산성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λ/4층은, 바람직하게는 역파장 분산성을 가진다. 편광자층(132)과 위상차체(140)는 접착제나 점착제에 의해 첩합되어 있어도 된다.
[층간 첩합층]
층간 첩합층(143)은, 제1 위상차층(141)과 제2 위상차층(142) 사이에 배치되고, 제1 위상차층(141)과 제2 위상차층(142)을 첩합하는 기능을 가진다. 층간 첩합층(143)은, 접착제 또는 점착제로 구성될 수 있다. 층간 첩합층(143)은, 바람직하게는 접착제층이다.
층간 첩합층(143)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층간 첩합층(143)으로서 점착제층을 사용할 경우, 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 이상이어도 되고, 통상 50㎛ 이하이며, 25㎛ 이하여도 된다. 층간 첩합층(143)으로서 접착제층을 사용할 경우, 층간 첩합층(143)의 두께는, 0.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5㎛ 이상이어도 되고,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 이하여도 된다.
점착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층간 첩합층(143)을 형성할 경우, 내부 헤이즈치, 및 내부 헤이즈치의 조정에 관한 사항 이외는, 제1 점착제층의 형성에 이용하는 점착제 조성물에 관한 상술한 설명을 적용할 수 있다. 층간 첩합층(143)의 내부 헤이즈치는, 3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층간 첩합층(143)의 내부 헤이즈치가 30%를 초과하면, 화상 표시 장치의 화면의 해상도가 저하하여, 흐릿함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접착제로서는, 예를 들면 수계 접착제,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등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수계 접착제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수용액, 수계 이액형 우레탄계 에멀젼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는, 자외선 등의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함으로써 경화하는 접착제이며, 예를 들면 중합성 화합물 및 광중합성 개시제를 포함하는 접착제, 광반응성 수지를 포함하는 접착제, 바인더 수지 및 광반응성 가교제를 포함하는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중합성 화합물로서는, 광경화성 에폭시계 모노머, 광경화성 아크릴계 모노머, 광경화성 우레탄계 모노머 등의 광중합성 모노머, 및 이들 모노머에 유래하는 올리고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광중합개시제로서는, 자외선 등의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중성 라디칼, 음이온 라디칼, 양이온 라디칼과 같은 활성종을 발생시키는 물질을 포함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터치 센서 패널]
터치 센서 패널로서는, 터치된 위치를 검출 가능한 센서이면, 검출 방식은 한정되지 않고, 저항막 방식, 정전 용량 결합 방식, 광센서 방식, 초음파 방식, 전자 유도 결합 방식, 표면 탄성파 방식 등의 터치 센서 패널이 예시된다. 저비용이므로, 저항막 방식, 정전 용량 결합 방식의 터치 센서 패널이 호적하게 이용된다. 터치 센서 패널은, 적층체의 시인측과는 반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저항막 방식의 터치 센서 패널의 일례는, 서로 대향 배치된 한쌍의 기판과, 그들 한쌍의 기판 사이에 협지된 절연성 스페이서와, 각 기판의 내측의 전면에 저항막으로서 마련된 투명 도전막과, 터치 위치 검지 회로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저항막 방식의 터치 센서 패널을 마련한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전면판의 표면이 터치되면, 대향하는 저항막이 단락(短絡)하여, 저항막에 전류가 흐른다. 터치 위치 검지 회로가, 이때의 전압의 변화를 검지해, 터치된 위치가 검출된다.
정전 용량 결합 방식의 터치 센서 패널의 일례는, 기판과, 기판의 전면에 마련된 위치 검출용 투명 전극과, 터치 위치 검지 회로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정전 용량 결합 방식의 터치 센서 패널을 마련한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전면판의 표면이 터치되면, 터치된 점에서 인체의 정전 용량을 통해 투명 전극이 접지된다. 터치 위치 검지 회로가, 투명 전극의 접지를 검지해, 터치된 위치가 검출된다.
[제2 점착제층 및 제3 점착제층]
제2 점착제층(160)은, 직선 편광판(130)과 위상차체(140) 사이에 개재하여 이들을 첩합하는 층이다. 제3 점착제층(150)은, 예를 들면, 위상차체(140)와 터치 센서 패널 사이에 개재하여 이들을 첩합하는 층이다. 제2 점착제층(160) 및 제3 점착제층(150)은, 내부 헤이즈치, 및 내부 헤이즈치의 조정에 관한 사항 이외는, 제1 점착제층의 형성에 이용하는 점착제 조성물에 관한 상술한 설명을 적용할 수 있다. 제2 점착제층(160) 및 제3 점착제층(150)의 내부 헤이즈치는, 각각 3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 헤이즈치가 30% 이하이면, 화상 표시 장치의 화면의 해상도가 저하하기 어려우므로, 흐릿함이 발생하는 것(즉, 불선명해지는 것)을 피하기 쉽다.
[첩합층]
플렉서블 적층체(100)는, 전면판(110), 직선 편광판(130) 또는 위상차체(140) 내에 있어서, 각 층을 첩합하기 위한 첩합층을 더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첩합층은 접착제 또는 점착제로 형성할 수 있다. 접착제 및 점착제는, 상술한 층간 첩합층에서 예시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화상 표시 소자]
화상 표시 소자는, 예를 들면 액정 셀,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유기 EL) 표시 소자, 무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무기 EL) 표시 소자, 플라스마 표시 소자, 전계 방사형 표시 소자 등을 들 수 있다.
[플렉서블 적층체의 제조 방법]
플렉서블 적층체의 제조 방법은, 예를 들면 이하의 (a)∼(g)의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적층체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도 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a) 기재 필름(109) 상에 보호층(131)을 형성하는 공정
(b) 보호층(131) 상에, 편광자층(132)을 형성하는 공정
(c) 편광자층(132) 상에 오버 코팅(133)층을 마련하는 공정
(d) 제1 위상차층(141)과 층간 첩합층(143)과 제2 위상차층(142)으로 이루어지는 위상차체(140), 및 기재 필름(151)을 가지는 터치 센서 패널(152)을 준비하는 공정
(e) 오버 코팅(133)층 상에, 제2 점착제층(160)을 개재하여, 위상차체(140)/제3 점착제층(170)/터치 센서 패널(152)/기재 필름(151)의 적층체를 위상차체(140)측을 첩합면으로 하여 첩합하는 공정
(f) 보호층(131) 상에 접해 있는 기재 필름(109)을 박리하는 공정
(g) 보호층(131) 상에 제1 점착제층(120)을 개재하여 전면판(111)을 첩합하고, 그 다음에 터치 센서 패널(152)에 접해 있는 기재 필름(151)을 박리하는 공정
플렉서블 적층체의 제조 방법은, 공정 (a)와 공정 (b) 사이에, 보호층(131) 상에 배향막을 형성하는 공정을 가질 수 있다. 첩합은, 공지의 라미네이터, 롤, 셀 접합기 등의 장치를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첩합면은 코로나 처리나 플라스마 처리 등의 표면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화상 표시 장치>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는, 상기 플렉서블 적층체를 포함한다. 화상 표시 장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유기 EL 표시 장치, 무기 EL 표시 장치, 액정 표시 장치, 전계 발광 표시 장치 등의 화상 표시 장치를 들 수 있다. 화상 표시 장치는 터치 패널 기능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플렉서블 적층체는, 굴곡 또는 접어 굽힘 등이 가능한 가요성을 가지는 화상 표시 장치에 호적하다.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플렉서블 적층체가 전면판을 가질 경우, 플렉서블 적층체는, 전면판을 외측(화상 표시 소자측과는 반대측, 즉 시인측)을 향하여, 화상 표시 장치의 시인측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는, 스마트폰, 태블릿 등의 모바일 기기, 텔레비전, 디지털 포토 프레임, 전자 간판, 측정기나 계기류, 사무용 기기, 의료 기기, 전산 기기 등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는, 굴곡에 의해 위상차체에 크랙이 생겨도, 그 크랙이 시인되기 어렵기 때문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등에 호적하다.
(실시예)
[측정 방법]
(층의 두께의 측정)
각 층의 두께는 접촉식 막두께 측정 장치(가부시키가이샤 니콘제 「MS-5C」)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단, 편광자층, 위상차층 및 배향막에 대해서는, 레이저 현미경(LEXT,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제)을 이용하여 측정했다.
(점착제층의 내부 헤이즈치의 측정)
측정 대상의 점착제층의 양면에 적층되어 있는 세퍼레이터의 일방을 박리하고, 점착제층을 무알칼리 유리에 첩합했다. 다른 일방의 세퍼레이터를 박리했다. 세퍼레이터의 박리에 의해 노출된 점착제층의 표면에, 투명 필름(제오노아, ZF14-013, 니혼제온 가부시키가이샤제)을 첩부하여 측정 대상의 샘플을 준비했다. 상기 제작한 샘플의 유리면에 광을 입사(入射)시키고, 적분구식 광선 투과율 측정 장치(가부시키가이샤 무라카미시키사이기주츠 겐큐쇼제, 헤이즈 미터 HM-150)를 이용해, JIS K7136에 준거하여, 확산 투과율 Td[%]와 전체 광선 투과율 Tt[%]를 측정했다. 그리고, 하기 식(1)에 의해 전체 헤이즈치를 산출했다. 한편, 상기와 같이 하여 준비한 샘플은, 점착제층의 광이 출사(出射)하는 표면에 투명 필름이 첩합되어 있기 때문에, 표면 헤이즈치가 제로라고 간주할 수 있다. 따라서, 내부 헤이즈치는, 식(1)에 의해 산출되는 전체 헤이즈치와 같은 값으로 간주할 수 있다.
전체 헤이즈치[%]=(Td/Tt)×100   식(1)
(필름의 내부 헤이즈치의 측정)
측정 대상의 필름을, 일방의 표면을 점착제를 이용하여 무알칼리 유리에 첩합하고, 타방의 표면에 점착제층과 투명 필름(제오노아, ZF14-013, 니혼제온 가부시키가이샤제)을 첩부하여 샘플을 준비했다. 상기 제작한 샘플의 유리면에 광을 입사하고, 적분구식 광선 투과율 측정 장치(가부시키가이샤 무라카미시키사이기주츠 겐큐쇼제, 헤이즈 미터 HM-150)를 이용해, JIS K7136에 준거하여, 확산 투과율 Td[%]와 전체 광선 투과율 Tt[%]를 측정하고, 상기 식(1)에 의해 샘플의 전체 헤이즈치를 산출했다. 측정 대상의 필름에 첩합한 투명 필름의 표면 헤이즈치 및 내부 헤이즈치는 제로라고 간주할 수 있으므로, 샘플의 전체 헤이즈치로부터, 이용한 점착제층의 내부 헤이즈치를 뺀 값을 측정 대상의 필름의 내부 헤이즈치로 한다. 한편, 이용한 점착제층의 내부 헤이즈치는 상기의 방법으로 측정했다.
(전면 적층체의 내부 헤이즈치의 산출)
실시예 1∼4, 비교예 1, 2에 있어서, 전면 적층체의 층 구성은 「전면판/제1 점착제층/보호층/배향막」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배향막의 내부 헤이즈치는 제로라고 간주할 수 있으므로, 전면 적층체의 내부 헤이즈치는, 전면판, 제1 점착제층, 및 보호층의 내부 헤이즈치의 합계치라고 간주할 수 있다. 또한, 전면판의 외부 헤이즈치는 제로라고 간주할 수 있으므로, 전면 적층체의 전체 헤이즈치는, 전면 적층체의 내부 헤이즈치와 일치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플렉서블 적층체의 내부 헤이즈치의 측정)
플렉서블 적층체의 일방의 표면을, 점착제층(이하, 「점착제층 A」라고 함)을 이용하여 무알칼리 유리에 첩합하고, 타방의 표면에 점착제층(이하, 「점착제층 B」라고 함)과 투명 필름(제오노아, ZF14-013, 니혼제온 가부시키가이샤제)을 첩부하여, 「무알칼리 유리/점착제층 A/플렉서블 적층체/점착제층 B/투명 필름」의 층 구성의 샘플을 준비했다. 상기 제작한 샘플의 유리면에 광을 입사하고, 적분구식 광선 투과율 측정 장치(가부시키가이샤 무라카미시키사이기주츠 겐큐쇼제, 헤이즈 미터 HM-150)를 이용해, JIS K7136에 준거하여, 확산 투과율 Td[%]와 전체 광선 투과율 Tt[%]를 측정하고, 상기 식(1)에 의해 샘플의 전체 헤이즈치를 산출했다. 측정 대상의 플렉서블 적층체에 첩합한 무알칼리 유리 및 투명 필름의 표면 헤이즈치 및 내부 헤이즈치는 제로라고 간주할 수 있으므로, 샘플의 전체 헤이즈치로부터, 이용한 점착제층 A 및 점착제층 B의 내부 헤이즈치를 뺀 값을 측정 대상의 플렉서블 적층체의 내부 헤이즈치로 했다. 한편, 이용한 점착제층 A 및 점착제층 B의 내부 헤이즈치는 상기의 「점착제층의 내부 헤이즈치의 측정」에 기재된 방법으로 측정했다.
(플렉서블 적층체의 투과 선명도의 측정)
측정 대상의 플렉서블 적층체의 전면판측으로부터 광을 입사시켜, 선명도 측정기(스가시켄키 가부시키가이샤제, ICM-1T)를 이용해, JIS K7105-1981에 준거하여 투과 선명도를 측정했다. 투과 선명도의 값은, 슬릿 간격 0.125㎜, 0.5㎜, 1.0㎜ 및 2.0㎜에서의 측정치의 합계로 했다. 투과 선명도의 값은, 높을수록 투과 선명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플렉서블 적층체의 제작]
<플렉서블 적층체의 층 구성>
실시예 1∼4, 비교예 1, 2로서, 「전면판/제1 점착제층/보호층/배향막/편광자층/오버 코팅층/제2 점착제층/수평 배향막/제1 위상차층(λ/4 위상차층)/접착제층/제2 위상차층(포지티브 C층)/수직 배향막」의 층 구성을 가지는 플렉서블 적층체를 제작했다.
<전면판 1의 제작>
(폴리아미드이미드 필름)
질소 가스 분위기 하, 교반 날개를 구비한 1L 세퍼러블 플라스크에, 2,2'-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벤지딘(TFMB) 14.67g(45.8mmol) 및 수분량을 200ppm으로 조제한 N,N-디메틸아세토아미드(DMAc) 233.3g을 더하고, 실온에서 교반하면서 TFMB를 DMAc에 용해시켰다. 다음으로, 플라스크에 4,4'-옥시디푸탈산이무수물(OPDA) 4.283g(13.8mmol)을 더하고, 실온에서 16.5시간 교반했다. 그 후, 4,4'-옥시비스(벤조일클로리드)(OBBC) 1.359g(4.61mmol) 및 테레프탈로일클로리드(TPC) 5.609g(27.6mmol)을 플라스크에 더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했다. 그 다음에, 플라스크에 무수 아세트산 4.937g(48.35mmol)과 4-피콜린 1.501g(16.12mmol)을 더하고, 실온에서 30분간 교반 후, 오일배스를 이용하여 70℃로 승온하고, 3시간 더 교반하여, 반응액을 얻었다.
얻어진 반응액을 실온까지 냉각한 후, 메탄올 360g 및 이온 교환수 170g을 더하여 폴리아미드이미드의 침전을 얻었다. 그것을 메탄올 중에 12시간 침지하고, 여과로 회수하여 메탄올로 세정했다. 다음으로, 100℃에서 침전물의 감압 건조를 행해, 폴리아미드이미드(PAI) 수지를 얻었다. 이 폴리아미드이미드 수지에 DMAc를 더하여 바니시를 조제했다. 바니시를 도공하고 건조시켜, 두께가 50㎛인 폴리아미드이미드 필름으로 성형했다.
(HC층 형성용 조성물 1)
하드 코팅층(HC층) 형성용 조성물 1은, 다관능 아크릴레이트(Miramer M340, Miwon Specialty Chemical제) 30질량부와, 나노실리카졸의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분산체(12㎚, 고형분 40%) 50질량부와, 에틸아세테이트 17질량부와, 광중합개시제(Irgacure-184, Ciba Corporation제) 2.7질량부와, 불소계 첨가제(KY1203, 신에츠가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0.3질량부를 포함한다.
(전면판 1)
상기 HC층 형성용 조성물 1을 폴리아미드이미드 필름의 일방의 면에 도공하고, 얻어진 도막을 온도 80℃에서 5분간 건조해, UV 조사 장치(SPOT CURE SP-7, 우시오덴키 가부시키가이샤제)를 이용하여, 노광량 500mJ/㎠(365㎚ 기준)의 UV광을 조사하여 HC층을 형성했다. 경화 후의 두께가 10.0㎛가 되도록 도공했다. 폴리이미드 필름의 타방의 면에도 마찬가지로 하여 경화 후의 두께가 10.0㎛인 HC층을 형성했다. 이상과 같이 하여, 「HC층(두께 10㎛)/폴리아미드이미드 필름(두께 50㎛)/HC층(두께 10㎛)」의 구성을 가지는 전면판 1을 얻었다.
<편광자층 형성용 조성물의 조제>
(중합성 액정 화합물)
중합성 액정 화합물은, 식(1-6)으로 표시되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하, 화합물(1-6)이라고도 함]과 식(1-7)으로 표시되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하, 화합물(1-7)이라고도 함]을 이용했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화합물(1-6) 및 화합물(1-7)은, Lub et al. Recl. Trav. Chim. Pays-Bas, 115, 321-328(1996)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합성했다.
(이색성 색소)
이색성 색소에는, 하기 식 (2-1a), (2-1b), (2-3a)으로 나타나는 일본 특허공개공보 2013-101328호의 실시예에 기재된 아조 색소를 이용했다.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편광자층 형성용 조성물)
편광자층 형성용 조성물은, 화합물(1-6) 75질량부, 화합물(1-7) 25질량부, 이색성 염료로서의 상기 식 (2-1a), (2-1b), (2-3a)으로 나타나는 아조 색소 각 2.5질량부, 중합개시제로서의 2-디메틸아미노-2-벤질-1-(4-모르폴리노페닐)부탄-1-온(Irgacure369, BASF 쟈판사제) 6질량부, 및 레벨링제로서의 폴리아크릴레이트 화합물(BYK-361N, BYK-Chemie사제) 1.2 질량부를, 용제의 톨루엔 400질량부에 혼합하고, 얻어진 혼합물을 80℃에서 1시간 교반함으로써 조제했다.
<점착제층의 제작>
(점착제층 A, B)
아크릴산n-부틸 70질량부, 아크릴산메틸 20질량부, 아크릴산 1.0질량부를 공중합시켜, 아크릴계 폴리머를 조제했다. 이 아크릴계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 Mw는, 1,500,000이었다.
얻어진 아크릴 수지 100질량부에, 가교제(도소 가부시키가이샤 「콜로네이트 L」) 0.3부, 실란커플링제(신에츠가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X-12-981」) 0.5부를 혼합하고, 전체 고형분 농도가 10%가 되도록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점착제 조성물을 이형 처리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두께 38㎛)의 이형 처리면에, 어플리케이터를 이용하여 건조 후의 두께가 각각, 25㎛(점착제층 A), 5㎛(점착제층 B)가 되도록 도포했다. 도포층을 100℃에서 1분간 건조하여, 점착제층을 구비하는 필름을 얻었다. 그 후, 점착제층의 노출면 상에, 이형 처리된 다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두께 38㎛)을 첩합했다. 그 후, 온도 23℃, 상대습도 50%RH의 조건으로 7일간 양생시켜, 25㎛, 5㎛의 두께로 형성된 시트상의 점착제층 A, 점착제층 B를 얻었다. 점착제층 A, 점착제층 B의 내부 헤이즈치를 측정한 바 0.2%였다.
(점착제층 C, D, E, F)
아크릴산부틸과 아크릴산의 공중합체에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가 배합되고, 또한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가 첨가된 유기 용제 용액에 실리콘 수지 미립자(모멘티브·퍼포먼스·머터리얼즈사제, 상품명 「토스펄 130」, 평균 입경 3.0㎛, 굴절률 1.43)를 더하고, 충분히 교반하여 점착제층 형성용의 도공액을 조제했다. 실리콘 수지 미립자의 배합량을 적절히 조절하여, 얻어지는 점착제층의 내부 헤이즈치가 각각, 17.3%(점착제층 C), 30.8%(점착제층 D), 44.2%(점착제층 E), 44.8%(점착제층 F)가 되도록 했다. 이형 처리가 실시된 두께 38㎛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박리 필름)의 이형 처리면에 점착제층 형성용의 도공액을 도공하고, 건조하여, 25㎛의 두께로 형성된 시트상의 점착제층 C, D, E, F를 얻었다. 각 점착제층 C, D, E, F의 내부 헤이즈치를 측정한 바, 각각, 17.3%, 30.8%, 44.2%, 44.8%였다.
<보호층의 준비>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1(두께 25㎛, 내부 헤이즈치 0.5%, KC2UAW, 이하 「TAC1」이라고 함)을 준비하고, 또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2(두께 29㎛, 내부 헤이즈치 3.0%, 이하 「TAC2」라고 함), 및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3(두께 29.5㎛, 내부 헤이즈치 12.3%, 이하 「TAC3」이라고 함)을, 하기의 제조 방법에 따라서 제조했다.
한편, 본 실시예의 보호층은 모두, 내부 헤이즈치와 전체 헤이즈치가 거의 같았다.
(TAC2의 제조)
25질량부의 우레탄아크릴레이트(미원쇼우지사제, SC2153), 18.5질량부의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미원쇼우지사제, M340), 2질량부의 투광성 미립자(아크릴계 수지 입자, 평균 입경 3㎛), 50질량부의 메틸에틸케톤(오오이가킨사제), 4질량부의 광개시제(BASF사제, I-184), 0.5질량부의 레벨링제(BYK 케미사제, BYK378)를 배합하여, 고형분 전체의 굴절률이 1.49인 조성물을 제조했다. 이 조성물을 TAC1(두께 25㎛, 내부 헤이즈치 0.5%, KC2UAW)의 일방의 면에 도포하고, 가열 건조 후 광경화하여 두께가 4㎛가 되는 도포막을 가지는 TAC2를 제조했다.
(TAC3의 제조)
25질량부의 우레탄아크릴레이트(미원쇼우지사제, SC2153), 18.5질량부의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미원쇼우지사제, M340), 2질량부의 투광성 미립자(스티렌계 수지 입자, 평균 입경 4㎛), 50질량부의 메틸에틸케톤(오오이가킨사제), 4질량부의 광개시제(BASF사제, I-184), 0.5질량부의 레벨링제(BYK 케미사제, BYK378)를 배합하여, 굴절률 1.49의 조성물을 제조했다. 이 조성물을 TAC1(두께 25㎛, 내부 헤이즈치 0.5%, KC2UAW)의 일방의 면에 도포하고, 가열 건조 후 광경화하여 두께가 4.5㎛가 되는 도포막을 가지는 TAC3을 제조했다.
<λ/4층의 제작>
(수평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
하기 구조의 광배향성 재료 5부(중량 평균 분자량: 30,000)와 시클로펜탄온 95부를 혼합하고, 얻어진 혼합물을 80℃에서 1시간 교반함으로써, 수평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을 얻었다.
Figure pat00006
(위상차층 형성용 조성물 1)
이하에 나타내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 A, 및 중합성 액정 화합물 B를 90:10의 질량비로 혼합한 혼합물 100부에 대하여, 레벨링제(F-556; DIC 가부시키가이샤제)를 1.0부, 및 중합개시제인 2-디메틸아미노-2-벤질-1-(4-모르폴리노페닐)부탄-1-온(「이르가큐어 369(Irg369)」, BASF 쟈판 가부시키가이샤제)을 6부 첨가했다.
또한, 고형분 농도가 13%가 되도록 N-메틸-2-피롤리돈(NMP)을 첨가하고, 80℃에서 1시간 교반함으로써, 위상차층 형성용 조성물 1을 얻었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 A는, 일본 특허공개공보 2010-31223호에 기재된 방법으로 제조했다. 또한, 중합성 액정 화합물 B는, 일본 특허공개공보 2009-173893호에 기재된 방법에 준하여 제조했다. 이하에 각각의 분자 구조를 나타낸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 A)
Figure pat00007
(중합성 액정 화합물 B)
Figure pat00008
(λ/4 위상차층)
시클로올레핀폴리머(COP) 필름(니혼제온 가부시키가이샤제, ZF-14, 두께 23㎛)으로 이루어지는 기재 필름을, 코로나 처리 장치(AGF-B10, 카스가덴키 가부시키가이샤제)를 이용하여 출력 0.3kW, 처리 속도 3m/분의 조건으로 1회 코로나 처리했다. 코로나 처리를 실시한 기재의 표면에, 수평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을 바 코터에 의해 도포했다. 도포막을 80℃에서 1분간 건조하고, 편광 UV 조사 장치(SPOT CURE SP-7; 우시오덴키 가부시키가이샤제)를 이용하여, 100mJ/㎠의 적산 광량으로 편광 UV 노광을 실시했다. 얻어진 수평 배향막의 두께를 레이저 현미경(LEXT,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제)으로 측정한 바, 100㎚였다.
계속해서, 실온 25℃, 습도 30%RH 환경 하에서, 위상차층 형성용 조성물 1을 공경(孔徑) 0.2㎛의 PTFE제 멤브레인 필터(아드반텍도요(주)제, 품번; T300A025A)에 통과시켜, 25℃로 보온한 배향막 부착 기재 필름 상에 바 코터를 이용하여 도포했다. 도막을 120℃에서 1분간 건조한 후, 고압 수은 램프(유니큐어 VB-15201BY-A, 우시오덴키 가부시키가이샤제)를 이용하여, 자외선을 조사(질소 분위기하, 파장: 365㎚, 파장 365㎚에 있어서의 적산 광량: 1000mJ/㎠)함으로써 광학 필름을 작성했다. 얻어진 도막의 두께를 레이저 현미경(LEXT,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제)으로 측정한 바 2㎛였다.
이와 같이 하여,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경화한 층(λ/4층), 수평 배향막 및 기재 필름이 이 순으로 적층된 적층체(위상차판 1)를 얻었다. 위상차판 1은 역파장 분산성을 나타냈다.
<포지티브 C층의 제작>
(수직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
수직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로서, 2-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와,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아크릴레이트와, 디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와, 비스(2-비닐옥시에틸)에테르를 1:1:4:5의 비율로 혼합하고, 중합개시제로서 LUCIRIN TPO를 4%의 비율로 첨가한 혼합물을 이용했다.
(위상차층 형성용 조성물 2)
위상차층 형성용 조성물 2는, 광중합성 네마틱 액정 화합물(메르크사제, RMM28B)과 용매를, 고형분이 1∼1.5g이 되도록 조제하여 제작했다. 용매는, 메틸에틸케톤(MEK)과, 메틸이소부틸케톤(MIBK)과, 시클로헥산온(CHN)을, 질량비(MEK: MIBK:CHN)로 35:30:35의 비율로 혼합시킨 혼합 용매를 이용했다.
(포지티브 C층)
두께 38㎛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을 기재 필름으로서 준비했다. 기재 필름의 편면에 수직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을 막두께 3㎛가 되도록 도포하고, 200mJ/㎠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수직 배향막을 제작했다.
수직 배향층 상에, 위상차층 형성용 조성물 2를, 다이 코팅에 의해 도공했다. 도공량은 4∼5g(wet)이었다. 건조 온도를 75℃, 건조 시간을 120초간으로 하여, 도막을 건조시켰다. 그 후, 도막에 자외선(UV) 조사하여,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중합시켰다. 얻어진 도막의 두께를 레이저 현미경(LEXT,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제)으로 측정한 바 1㎛였다.
이와 같이 하여,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경화한 층(포지티브 C층), 수직 배향막, 및 기재 필름이 이 순으로 적층된 적층체(위상차판 2)를 얻었다. 위상차판 2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경화한 층과 배향막과의 합계의 두께는 4㎛였다.
<위상차체>
상술한 위상차판 1과 위상차판 2를, 기재 필름측의 표면과는 반대측의 표면이 첩합면이 되도록 접착제층을 개재하여 첩합하여, 「기재 필름/수평 배향막/제1 위상차층(λ/4층)/접착제층/제2 위상차층(포지티브 C층)/수직 배향막/기재 필름」의 층 구성을 가지는 위상차체를 얻었다. 이러한 위상차체에 있어서, 포지티브 C층측의 기재 필름측의 표면으로부터 포지티브 C층과 λ/4층을 관통하여 수평 배향막에 이르는 깊이까지 커터 나이프로 직선 상에 노치를 넣고, 굴곡했을 때에 생기는 크랙을 모방했다.
[실시예 1]
TAC3 상에,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을 바 코팅법에 의해 도포했다. 도막을 80℃에서 1분간 건조했다. 그 다음에 상기 UV 조사 장치 및 와이어 그리드를 이용하여, 도막에 편광 UV를 조사하고, 도막에 배향 성능을 부여했다. 노광량은 100mJ/㎠(365㎚ 기준)였다. 와이어 그리드는, UIS-27132##(우시오덴키 가부시키가이샤제)를 이용했다. 이와 같이 하여, 배향막을 형성했다. 배향막의 두께는 100㎚였다.
형성한 배향막 상에, 상기 편광자 형성용 조성물을 바 코팅법에 의해 도포했다. 도막을 100℃에서 2분간 가열 건조한 후, 실온까지 냉각했다. 상기 UV 조사 장치를 이용하여, 적산 광량 1200mJ/㎠(365㎚ 기준)로 자외선을, 도막에 조사함으로써, 편광자층을 형성했다. 얻어진 편광자층의 두께는 3㎛였다. 편광자층 상에, 폴리비닐알코올과 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건조 후의 두께가 0.5㎛가 되도록 도공하고, 온도 80℃에서 3분간 건조하여 오버 코팅층을 형성했다. 이와 같이 하여, 「기재 필름/배향막/편광자층/오버 코팅층」의 층 구성을 가지는 직선 편광판을 제작했다.
전면판 1의 일방의 면과, 점착제층 A를 구비하는 필름의 일방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박리하여 노출시킨 점착제층 A의 면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한 후, 양자를 첩합했다.
그 다음에 점착제층 A로부터 다른 일방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박리하여 노출시킨 점착제층 A의 면과, 직선 편광판의 기재 필름측의 면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한 후, 양자를 첩합했다. 그 후, 직선 편광판의 오버 코팅층측의 면과, 점착제층 B를 구비하는 필름의 일방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박리하여 노출시킨 점착제층 B의 면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한 후, 양자를 첩합했다. 다음으로 점착제층 B로부터 다른 일방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박리하여 점착제층 B를 노출시켰다. 이와 같이 하여, 「전면판 1/점착제층 A/기재 필름(보호층)/배향막/편광자층/오버 코팅층/점착제층 B」의 구성을 가지는 적층체를 얻었다.
상술한 위상차체로부터, 제1 위상차층(λ/4층)측의 기재 필름을 박리하여 수평 배향막을 노출시키고, 점착제층 B를 첩합했다. 편광자층의 흡수축과, λ/4층의 지상축과의 이루는 각도는 45°였다. 다음으로, 위상차체의 제2 위상차층(포지티브 C층)측의 기재 필름을 박리하여 수직 배향막을 노출시켰다. 이와 같이 하여, 「전면판(전면판 1)/제1 점착제층(점착제층 A)/보호층(기재 필름)/배향막/편광자층/오버 코팅층/제2 점착제층(점착제층 B)/수평 배향막/제1 위상차층(λ/4층)/접착제층/포지티브 C층/수직 배향막」의 층 구성을 가지는 실시예 1의 플렉서블 적층체를 얻었다.
[실시예 2∼4, 비교예 1, 2]
전면판, 제1 점착제층, 보호층, 제2 점착제층으로서 표 1에 나타내는 부재를 이용하고, 그 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인 부재를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인 방법에 의해 실시예 2∼4, 비교예 1, 2의 플렉서블 적층체를 제조했다.
[평가 방법]
플렉서블 적층체에 대해서, 수직 배향막측의 표면으로부터 수평 배향막에 이르는 깊이까지 직선상으로 들어가 있는 노치(크랙을 모방한 노치)에 대해서, 투과광 및 반사광에 의거하여, 하기와 같이 외관을 평가했다.
(크랙 시인성(반사광))
플렉서블 적층체를 암실 내에서 전면판측을 위로 하여 흑판 상에 두고, 형광등을 점등하여 플렉서블 적층체를 위에서 비춰, 그 반사광에 의한 노치의 외관을 하기의 기준에 따라서 평가했다. 표 1에 평가 결과를 나타낸다.
(크랙 시인성(투과광))
암실 내에서 플렉서블 적층체의 배면측(수직 배향막측)에서 형광등을 점등하고, 전면측에서 그 투과광에 의한 노치의 외관을 하기의 기준에 따라서 평가했다. 표 1에 평가 결과를 나타낸다.
(평가 기준)
A: 노치가 시인되지 않음,
B: 노치가 약간 시인됨,
C: 노치가 시인됨.
[표 1]
Figure pat00009
100: 플렉서블 적층체 109: 기재 필름
110, 111: 전면판 120: 제1 점착제층
130: 직선 편광판 131: 보호층
132: 편광자층 133: 오버 코팅층
140: 위상차체 141: 제1 위상차층
142: 제2 위상차층 143: 층간 첩합층
151: 기재 필름 152: 터치 센서 패널
160: 제2 점착제층

Claims (7)

  1. 편광자층과, 상기 편광자층의 전면에 접하여 마련된 전면 적층체와, 상기 편광자층의 전면과는 반대측에 마련된 위상차체를 가지고,
    상기 전면 적층체의 전체 헤이즈치는 5.0% 이상인, 플렉서블 적층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적층체의 내부 헤이즈치는 5.0% 이상인, 플렉서블 적층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적층체는, 상기 편광자층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보호층, 제1 점착제층, 전면판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적층체.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체는, λ/4층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적층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체는, 포지티브 C층, 또는 λ/2층을 더 포함하는, 플렉서블 적층체.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체의 상기 편광자층측과는 반대측에, 터치 센서 패널을 더 가지는, 플렉서블 적층체.
  7.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플렉서블 적층체를 구비하는, 화상 표시 장치.
KR1020210126135A 2020-10-01 2021-09-24 플렉서블 적층체 KR2022004441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166876A JP2022059255A (ja) 2020-10-01 2020-10-01 フレキシブル積層体
JPJP-P-2020-166876 2020-10-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4412A true KR20220044412A (ko) 2022-04-08

Family

ID=80824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6135A KR20220044412A (ko) 2020-10-01 2021-09-24 플렉서블 적층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22059255A (ko)
KR (1) KR20220044412A (ko)
CN (1) CN114265139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059255A (ja) 2022-04-13
CN114265139A (zh) 2022-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8372B1 (ko) 인셀 터치 패널 액정 소자의 전방면용 광학 적층체 및 이것을 사용한 인셀 터치 패널형 액정 표시 장치
WO2017138611A1 (ja) 光学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前面板、並びに画像表示装置
KR20200122251A (ko) 적층체, 및 화상표시장치
JP7194041B2 (ja) 積層体
TW202043817A (zh) 積層體以及顯示裝置
KR20210091136A (ko) 광학 적층체 및 이것을 구비한 화상 표시장치
CN114641814A (zh) 光学层叠体和显示装置
WO2021176853A1 (ja) 光学積層体、フレキシブル画像表示装置
WO2021176870A1 (ja) 光学積層体、フレキシブル画像表示装置
CN115524771A (zh) 光学层叠体和显示装置
KR20220044412A (ko) 플렉서블 적층체
KR20220157367A (ko) 적층체
KR20210128398A (ko) 적층체, 점착제층 및 점착 시트
WO2021200365A1 (ja) 積層体
WO2021149359A1 (ja) 光学積層体及び表示装置
CN113396345B (zh) 光学层叠体和显示装置
WO2021200364A1 (ja) 積層体
KR20210117941A (ko) 광학 적층체 및 표시장치
CN116913170A (zh) 柔性光学层叠体
JP2021162856A (ja) 積層体
TW202307486A (zh) 顯示裝置
WO2020100468A1 (ja) 光学積層体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表示装置
KR20220131157A (ko) 광학 적층체 및 표시 장치
JP2021162855A (ja) 積層体
CN117280255A (zh) 层叠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