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4102A - 선박구조 - Google Patents

선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4102A
KR20220044102A KR1020210118157A KR20210118157A KR20220044102A KR 20220044102 A KR20220044102 A KR 20220044102A KR 1020210118157 A KR1020210118157 A KR 1020210118157A KR 20210118157 A KR20210118157 A KR 20210118157A KR 20220044102 A KR20220044102 A KR 202200441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dge portion
inspection
trans
window hole
web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8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히로 하라오카
마사히로 야마구치
타카유키 타나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나무라조센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나무라조센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나무라조센쇼
Publication of KR20220044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41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26Frames
    • B63B3/28Frames of transverse type; Stri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26Frames
    • B63B3/32Web frames; Web bea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과제) 점검 설비에 다액의 비용을 쓰지 않고, 빌지 호퍼 탱크 내의 크리티컬 포인트가 되는 용접 부분의 점검을 행할 수 있는 선박구조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트랜스 웹(29)에 있어서의 제 1 트랜스 웹부재(29A)의 제 1 연결 가장자리부(29Ac)와 제 2 트랜스 웹부재(29B)의 제 2 연결 가장자리부(29Ba)의 용접 부분을 따라 1개의 사이드 스트링거(31)를 설치한다. 사이드 스트링거(31)에는 점검 작업자(M)가 엎드려서 사이드 스트링거(31) 상에 누워 있는 자세로 내력점검의 크리티컬 포인트(CP)가 되는 경사 내측 가장자리부(29Ab)와 직선상 내측 가장자리부(29Bc)의 용접 부분을 점검하기 위한 점검용 창구멍(33)을 형성한다.

Description

선박구조{SHIP STRUCTURE}
본 발명은 빌지 호퍼 탱크 내의 크리티컬 포인트가 되는 용접 부분의 점검을 행할 수 있는 선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공개 평 5-278674호 공보(특허문헌 1)에는 해양 구조물의 밸러스트 탱크 내의 점검 작업 장치에 관한 종래의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 공보에는 종래의 탱크 내 점검 작업 장치로서는 보트 방식, 전면 발판 방식이 채용되어 있다고 기재되어 있다. 보트 방식은 탱크 내에 고무 보트를 반입하고, 밸러스트 펌프로 탱크의 액면을 상하로 조절해서 고무 보트를 상하 이동시키는 것이다. 또 전면 발판 방식은 공사 대상 장소에 탱크톱으로부터 순차 발판을 가설해 가는 방식이다. 그런데, 상기 종래의 보트 방식의 경우에는 배가 수상에 부상하고 있는 상태인 것, 밸러스트 변화에 추종할 수 있는 수심이 필요한 것 등으로부터 수리, 점검의 장소가 항상 한정되어 버린다고 하는 결점이 있음과 아울러, 탱크 내부에 있어서 보트로부터의 점검은 가능하지만, 불안정하여 공사 작업은 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더블 더블헐 탱커의 경우에는 사이드 밸러스트 탱크의 탱크 폭이 좁으므로, 보트를 넣어서 부상시키는 것이 곤란하다. 또 전면 발판 방식은 탱크 내에 발판을 가설해 가므로, 숙련의 발판공이 다수 필요하며, 또한 발판의 가설, 철거가 매우 위험을 수반한 작업이다라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점검 작업 기술에서는 수시 작업 점검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외각(外殼)판과 내각(內殼)판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각 트랜스의 상단부에 소요 크기의 개구부를 형성하고, 내외각판 사이에 배치한 수평 가더에 소요의 크기의 가터 개구부를 형성한다. 그리고 트랜스의 상단부에 형성한 개구부의 천장부에 주행용 레일을 설치하고, 상기 주행용 레일에 곤돌라를 매달은 호이스트를 주행 가능하게 지지시키고, 개구부(a) 내를 주행용 레일을 따라 곤돌라를 이동시키는 점검 구조가 제안되어 있다. 이 구조에서는 호이스트의 이동을 정지한 후에 호이스트로부터 곤돌라 매달기용 와이어를 조출하고, 가터 개구부를 통과시키면서 곤돌라를 하강시키고, 임의의 장소에서 곤돌라를 정지시켜서 필요한 점검, 보수 공사를 행하도록 하고 있다.
일본 특허공개 평 5-278674호 공보
종래의 기술에서는 작업자의 작업성이나, 누설되고 있는 탱크 내의 상황을 고려해서, 보트, 발판, 곤돌라 등의 특별기기나 설비를 사용함으로써 점검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러나 이 고려를 위해서 점검 설비에 다액의 비용과 시간을 쓰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점검 설비에 다액의 비용과 시간을 쓰지 않고, 빌지 호퍼 탱크 내의 크리티컬 포인트가 되는 용접 부분의 점검을 안전하고 또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선박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서, 도면에 기재된 부호를 부기한다. 본 발명이 대상으로 하는 선박구조는 외각(1A)과 내각(1B) 사이에 설치된 빌지 호퍼 탱크(1C)와, 빌지 호퍼 탱크(1C) 내에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의 트랜스 웹(29)과, 이웃하는 2개의 트랜스 웹(29) 사이에 배치되어서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의 사이드 스트링거(31)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트랜스 웹(31)이 선체의 외각(1A)의 측벽과 저벽에 걸쳐서 설치되고, 외각(1A)의 내면에 용접되는 제 1 외측 가장자리부(29Aa)와, 상기 제 1 외측 가장자리부(29Aa)와 대향하고 또한 선박의 중심을 향함에 따라 저벽과의 사이의 거리가 작아지도록 경사지는 경사 내측 가장자리부(29Ab)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서 제 1 외측 가장자리부(29Aa)와 경사 내측 가장자리부(29Ab)를 연결하는 제 1 연결 가장자리부(29Ac)를 갖는 제 1 트랜스 웹부재(29A)와, 제 1 트랜스 웹부재(29A)의 제 1 연결 가장자리부(29Ac)에 용접되는 제 2 연결 가장자리부(29Ba)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서 외각의 측벽에 용접되는 제 2 외측 가장자리부(29Bb)와, 제 2 외측 가장자리부(29Bb)와 대향해서 상하 방향으로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직선상 내측 가장자리부(29Bc)를 갖는 제 2 트랜스 웹부재(29B)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 1 연결 가장자리부(29Ac)와 제 2 연결 가장자리부(29Ba)의 용접 부분을 따라 1개의 사이드 스트링거(31)를 설치한다. 그리고 이 사이드 스트링거(31)에는 점검 작업자(M)가 엎드려서 사이드 스트링거(31) 상에 누워 있는 자세로 내력점검의 크리티컬 포인트(CP)가 되는 경사 내측 가장자리부(29Ab)와 직선상 내측 가장자리부(29Bc)의 용접 부분을 점검하기 위한 점검용 창구멍(33)을 형성한다. 점검 작업 이전에는 선급규칙에 따라 탱크 내의 청소를 행함으로써 점검용 창구멍(33)의 주위에 점검 작업자가 엎드려서 눕는 것은 가능하다. 그리고 점검용 창구멍(33)을 통해 사이드 스트링거(31) 상에 누운 점검 작업자가 점검 기기를 용접 부분에 가깝게 함으로써, 크리티컬 포인트(CP)가 되는 용접 부분의 점검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에 의하면, 점검 설비에 다액의 비용과 시간을 쓰지 않고, 빌지 호퍼 탱크 내의 크리티컬 포인트가 되는 용접 부분의 점검을 안전하고 또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점검용 창구멍(33)은 크리티컬 포인트(CP)가 되는 용접 부분의 내력에 영향을 주지 않고 또한 용접 부분의 점검이 가능한 위치에 제 2 트랜스 웹부재의 제 2 연결 부분을 따라 형성된 긴구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검용 창구멍(33)은 당연히 점검용 창구멍(33)을 통해서 점검 작업을 행할 수 있는 크기를 갖고 있다. 또 점검용 창구멍은 점검용 창부를 통해서 점검 작업자의 머리부를 사이드 스트링거(31)의 아래에 넣은 상태로 점검 작업을 행할 수 있는 크기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검 작업자의 머리부를 사이드 스트링거(31)의 아래에 넣은 상태로 점검 작업을 행하면, 육안에 의한 확인을 무리한 자세를 취하지 않고 행할 수 있다. 또 점검용 창구멍이 긴구멍이면, 점검 작업자(M)의 손이나 머리를 사이드 스트링거의 아래에 넣어서 점검 작업을 행할 때에, 점검 작업자의 손을 움직이는 범위를 확보하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헬멧, 방진 마스크 등의 탱크 내의 점검을 행할 때에 필요한 점검 장비를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 직선상 내측 가장자리부(29Bc)에 인접하고 또한 제 2 트랜스 웹부재(29B)를 관통하는 복수의 세로 프레임재 중 사이드 스트링거(31)에 가장 가까운 종통 프레임재에는 점검 작업자(M)가 장착한 안전벨트를 걸기 위한 후크바가 고정되어 있어, 안전벨트를 후크바에 거는 것에 의해, 점검 작업자(M)가 점검용 창구멍(33)으로부터 낙하하는 것을 막는 동시에, 사이드 스트링거(31) 위를 통행할 때에 잘못해서 점검용 창구멍(33) 내로 낙하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 1은 탱커의 선박구조의 일례를, 일부를 파단한 상태로 나타내는 개략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요부의 일부를 확대해서 투시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요부의 확대도이다.
도 4는 점검 작업자가 크리티컬 포인트를 점검할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점검용 창구멍의 상세를 설명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점검 작업자가 점검 장비를 장착한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선박구조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탱커의 선박구조의 일례를, 일부를 파단한 상태로 나타내는 개략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빌지 호퍼 탱크의 일부를 확대해서 투시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듯이, 본 실시형태의 선박구조(1)는 크게 보면 외각(1A)과 내각(1B) 사이에 빌지 호퍼 탱크(1C)를 구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보면, 선박구조(1)는 2중 선저(3)DHK, 2중 선측벽(5)을 구비한 더블헐 구조이며, 탱커의 진행 방향(D1)으로 복수의 탱크 유닛(7)이 나란히 배치된 구조를 갖고 있다. 1개의 탱크 유닛(7)의 진행 방향의 양단에는 도시하지 않은 횡격벽이 설치되어 있다. 도 1에는 1개의 탱크 유닛(7)을 나타내고 있다.
탱크 유닛(7)은 폭방향으로 2개의 윙 탱크(25a,25b)와 센터 탱크(23)로 이루어지는 빌지 호퍼 탱크(1C)를 갖고 있다. 각 탱크(23,25a,25b) 내에는 수송 대상의 중유 등의 유체가 충전된다. 도 1에 나타낸 제 1 방향(D1)이 탱커의 진행 방향이며, 진행 방향과 직교하는 제 2 방향(D2)이 폭방향이며, 제 1 방향(D1) 및 제 2 방향(D2)과 직교하는 제 3 방향(D3)이 상하 방향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탱크 유닛(7)의 길이 방향의 치수(L)(2개의 횡격벽간의 거리)는 약 50m, 폭방향의 치수(W)(선측 외각(13,13) 사이의 거리)는 약 60m, 높이 방향의 치수(H)(선저 외각(9)으로부터 데크(21)까지의 거리)는 약 29m이다.
2중 선저(3)는 선저 외각(9) 및 선저 내각(11)으로 이루어지고, 2중 선측벽(5)은 선측 외각(13) 및 선측 내각(15)으로 이루어진다. 또 선저 외각(9)과 선측 외각(13)에 의해 외각(1A)이 구성되고, 선저 내각(11)과 선측 내각(15)에 의해 내각(1B)이 구성되어 있다. 선저 내각(11)과 선측 내각(15) 사이에는 양자를 연결하는 중간 내벽(16)이 연장되어 있다. 또 도면상에는 작도상의 문제로부터 외각 및 내각의 두께를 나타내고 있지 않지만, 선각을 형성하는 강판의 판두께는 약 18.5mm이다. 2중 선저(3) 및 2중 선측벽(5)의 내부 스페이스는 밸러스트 수를 주입하는 밸러스트 탱크로서 기능한다. 1개의 탱크 유닛(7)은 선저 내각(11), 선측 내각(15), 진행 방향(제 1 방향)(D1)으로 연장되고 또한 폭방향(제 2 방향)(D2)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2개의 길이 격벽(17,17), 진행 방향(D1)과 직교하는 폭방향(D2)으로 연장되는 도시하지 않는 2개의 횡격벽 및 데크(21)에 의해 둘러싸이는 1개의 센터 탱크(23)와 2개의 윙 탱크(25a,25a)로 이루어진다. 도 1에서는 센터 탱크(23)와 2개의 윙 탱크(25a,25a)의 내부구조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센터 탱크(23) 내에는 2개의 길이 격벽(17,17)의 각각을 따라 길이 격벽(17)과 선저 내각(11)과 데크(21)에 결합된 복수의 수직 웹(27)이 진행 방향(D1)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탱크 유닛(7)의 2중 선저(3) 및 2중 선측벽(5) 내에는 선저 외각(9), 선저 내각(11), 선측 외각(13) 및 선측 내각(15)(본 실시형태에서는 또한 중간 내벽(16))에 결합된 복수의 트랜스 웹(29)이 1개의 윙 탱크(25a 또는 25b)에 대응해서 진행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또, 트랜스 웹(29)의 각각은 선측 외각(13), 선측 내각(15) 및 중간 내벽(16)에 결합되고, 중앙부분에 경량화를 위한 관통구멍을 갖는 제 1 트랜스 웹부재(29A)와, 선측 외각(13) 및 선측 내각(15)에 결합된 제 2 트랜스 웹부재(29B)와, 선저 외각(9) 및 선저 내각(11)에 결합된 윙 탱크측의 제 3 트랜스 웹부재(29C)와, 센터 탱크측의 제 4 트랜스 웹부재(29D)로 구성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이들 제 1 내지제 4 트랜스 웹부재(29A∼29D)를 합쳐서 1개의 트랜스 웹(29)이라고 표현하고 있다. 또 1개의 수직 웹(27)과 1개의 트랜스 웹(29)은 폭방향으로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 이웃하는 2개의 트랜스 웹(29) 사이에는 이웃하는 2개의 트랜스 웹(29)에 용접되고 또한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사이드 스트링거(31)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트랜스 웹부재(29A)와 제 2 트랜스 웹부재(29B)에 대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제 1 트랜스 웹부재(29A)는 선저 외각(9)과 선측 외각(13)(외각(1A)의 저벽과 측벽)에 걸쳐져서 설치되고, 선저 외각(9)과 선측 외각(13)의 내면에 용접되는 제 1 외측 가장자리부(29Aa)와, 제 1 외측 가장자리부(29Aa)와 대향하고 또한 선박의 중심을 향함에 따라 선저 외각(9)(외각(1A)의 저벽)과의 사이의 거리가 작아지도록 경사져서 중간 내벽(16)에 용접되는 경사 내측 가장자리부(29Ab)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서 제 1 외측 가장자리부(29Aa)와 경사 내측 가장자리부(29Ab)를 연결하는 제 1 연결 가장자리부(29Ac)를 적어도 갖고 있다. 또 제 2 트랜스 웹부재(29B)는 제 1 트랜스 웹부재(29A)의 제 1 연결 가장자리부(29Ac)에 용접되는 제 2 연결 가장자리부(29Ba)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서 외각(1A)의 선측 외각(13)에 용접되는 제 2 외측 가장자리부(29Bb)와, 제 2 외측 가장자리부(29Bb)와 대향해서 상하 방향으로 직선상으로 연장되어서 선측 내각(15)에 용접되는 직선상 내측 가장자리부(29Bc)를 적어도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연결 가장자리부(29Ac)와 제 2 연결 가장자리부(29Ba)의 용접 부분을 따라서 1개의 사이드 스트링거(31)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사이드 스트링거(31)에는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내듯이, 점검 작업자(M)가 엎드려서 사이드 스트링거(31) 상에 누워 있는 자세로 내력점검의 크리티컬 포인트(CP)가 되는 경사 내측 가장자리부(29Ab)와 직선상 내측 가장자리부(29Bc)의 용접 부분을 점검하기 위한 점검용 창구멍(33)이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듯이, 점검용 창구멍(33)은 크리티컬 포인트(CP)가 되는 용접 부분의 내력에 영향을 주지 않고 또한 용접 부분의 점검이 가능한 위치에, 제 2 트랜스 웹부재(29B)의 제 2 연결 가장자리부(29Ba)를 따라 형성된 긴구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나타내듯이, 긴구멍의 형상은 예를 들면 장축의 길이가 450mm, 단축의 길이가 350mm 정도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크기이면, 점검 작업자가 점검용 창구멍(33)을 통해서 점검 작업을 행할 수 있고, 점검용 창부를 통해서 점검 작업자의 머리부를 사이드 스트링거(31)의 아래에 넣은 상태에서 점검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점검 작업자의 머리부를 사이드 스트링거(31)의 아래에 넣은 상태에서 점검 작업을 행하면, 육안에 의한 확인을 무리한 자세를 취하지 않고 행할 수 있다. 또 점검용 창구멍이 이러한 긴구멍이면, 점검 작업자(M)의 손이나 머리를 사이드 스트링거(31)의 아래에 넣어서 점검 작업을 행할 때에, 점검 작업자(M)의 손을 움직이는 범위를 확보하는 것이 용이하다.
도 6에는 점검 작업자(M)의 장비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점검 작업자(M)는 허리에 안전벨트(SB)를 장착하고, 왼손에 조명이 부착된 확대경(HG)을 잡고, 오른손에 두께 측정기(TI)를 잡고, 헬멧에는 헤드 라이트(HL)를 장착하고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직선상 내측 가장자리부(29Bc)에 인접하고 또한 제 2 트랜스 웹부재(29B)를 관통하는 복수의 세로 프레임재 중 사이드 스트링거(31)에 가장 가까운 세로 프레임재(35)에 점검 작업자(M)가 장착한 안전벨트(SB)의 부착 금구를 걸기 위한 후크바(37)가 고정되어 있다. 이렇게 하면 세로 프레임재(35)를 이용해서 후크바(37)를 바람직한 위치에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점검 작업 이전에는 사이드 스트링거(31)는 젖은 상태에 있지만, 선급규칙에 따라 탱크 내의 청소를 행함으로써 점검용 창구멍(33)의 주위에 점검 작업자(M)가 엎드려서 눕는 것은 가능하다. 도 4에 나타내듯이, 점검 작업자(M)는 안전벨트(SB)의 금구를 후크바(37)에 건 후, 사이드 스트링거(31) 상에 엎드려서 점검용 창구멍(33)을 통해 점검 작업자(M)가 점검 기기(HG,TI)를 용접 부분에 가깝게 함으로써, 크리티컬 포인트(CP)가 되는 용접 부분의 점검을 용이하게 행한다. 이렇게 하면, 점검 설비에 다액의 비용과 시간을 쓰지 않고, 빌지 호퍼 탱크(1C) 내의 크리티컬 포인트(CP)가 되는 용접 부분의 점검을 행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는 더블헐 구조의 탱커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것이지만, 크리티컬 포인트를 갖는 트랜스 웹과 사이드 스트링거를 구비한 선박이면, 선박의 대소에 상관없이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점검 설비에 다액의 비용과 시간을 쓰지 않고, 안전하게 빌지 호퍼 탱크 내의 크리티컬 포인트가 되는 용접 부분의 점검을 행할 수 있다.
1: 선박구조
1A: 외각
1B: 내각
1C: 빌지 호퍼 탱크
3: 2중 선저
5: 2중 선측벽
7: 탱크 유닛
9: 선저 외각
11: 선저 내각
13: 선측 외각
15: 선측 내각
16: 중간 내벽
17: 길이 격벽
23: 센터 탱크
25a,25b: 윙 탱크
29: 트랜스 웹
29A: 제 1 트랜스 웹부재
29B: 제 2 트랜스 웹부재
31: 사이드 스트링거
33: 점검용 창구멍
35: 세로 프레임재
37: 후크바

Claims (5)

  1. 외각과 내각 사이에 설치된 빌지 호퍼 탱크와,
    상기 빌지 호퍼 탱크 내에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의 트랜스 웹과,
    이웃하는 2개의 상기 트랜스 웹 사이에 배치되어서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의 사이드 스트링거를 구비하고,
    상기 트랜스 웹이,
    선체의 외각의 측벽과 저벽에 걸쳐져서 설치되고, 상기 외각의 내면에 용접되는 제 1 외측 가장자리부와, 상기 제 1 외측 가장자리부와 대향하고 또한 상기 선체의 중심을 향함에 따라 상기 저벽과의 사이의 거리가 작아지도록 경사지는 경사 내측 가장자리부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서 상기 제 1 외측 가장자리부와 상기 경사 내측 가장자리부를 연결하는 제 1 연결 가장자리부를 적어도 갖는 제 1 트랜스 웹부재와,
    상기 제 1 트랜스 웹부재의 상기 제 1 연결 가장자리부에 용접되는 제 2 연결 가장자리부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서 상기 외각의 상기 측벽에 용접되는 제 2 외측 가장자리부와, 상기 제 2 외측 가장자리부와 대향해서 상하 방향으로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직선상 내측 가장자리부를 갖는 제 2 트랜스 웹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선박구조로서,
    상기 제 1 연결 가장자리부와 상기 제 2 연결 가장자리부의 용접 부분을 따라 1개의 상기 사이드 스트링거가 설치되고,
    상기 사이드 스트링거에는 점검 작업자가 엎드려서 상기 사이드 스트링거 상에 누워 있는 자세로 내력점검의 크리티컬 포인트가 되는 상기 경사 내측 가장자리부와 상기 직선상 내측 가장자리부의 용접 부분을 점검하기 위한 점검용 창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용 창구멍은 상기 점검용 창구멍을 통해서 점검 작업을 행할 수 있는 크기를 갖고 있는 선박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용 창구멍은 상기 점검용 창구멍을 통해서 상기 점검 작업자의 머리부를 상기 사이드 스트링거의 아래에 넣은 상태에서 상기 점검 작업을 행할 수 있는 크기를 갖고 있는 선박구조.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용 창구멍은 상기 용접 부분의 내력에 영향을 주지 않고 또한 상기 용접 부분의 점검이 가능한 위치에 제 2 트랜스 웹부재의 상기 제 2 연결 부분을 따라 형성된 긴구멍으로 이루어지는 선박구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상 내측 가장자리부에 인접하고 또한 상기 제 2 트랜스 웹부재를 관통하는 복수의 세로 프레임재 중 상기 사이드 스트링거에 가장 가까운 상기 세로 프레임재에는 상기 점검 작업자가 장착한 안전벨트의 부착 금구를 걸기 위한 후크바가 고정되어 있는 선박구조.
KR1020210118157A 2020-09-30 2021-09-06 선박구조 KR2022004410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164909 2020-09-30
JP2020164909A JP2022056912A (ja) 2020-09-30 2020-09-30 船舶構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4102A true KR20220044102A (ko) 2022-04-06

Family

ID=81044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8157A KR20220044102A (ko) 2020-09-30 2021-09-06 선박구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22056912A (ko)
KR (1) KR20220044102A (ko)
CN (1) CN11431309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78674A (ja) 1992-04-01 1993-10-26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タンク内点検作業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78674A (ja) 1992-04-01 1993-10-26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タンク内点検作業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056912A (ja) 2022-04-11
CN114313096A (zh) 2022-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95750B1 (en) Method for inspecting an inside room of a ship and/or performing works therein
WO2010133163A1 (zh) 船用移动式作业平台装置
CN110937096B (zh) 一种船舶烟囱脱硫改装工艺
CN105383642B (zh) 一种垂直导轨安装焊接方法
CN110525578B (zh) 一种吊舱安装装置及安装方法
CN103057663B (zh) 一种万吨滚装船活动甲板水下安装工艺
JP5192129B2 (ja) 貨物船
US660954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fluid transfer between a marine platform and a service vessel
CN104254655A (zh) 用于与悬挂式脚手架一起使用的悬挂连接器系统以及相关的方法
EP0655387B1 (en) Working apparatus traveling through tank web frame of ship
CN110104121B (zh) 活动甲板的安装方法
KR20220044102A (ko) 선박구조
CN107499453A (zh) 一种海洋平台设备安装系统
US20190127188A1 (en) Deck hoist tractor, rescue chute and tote tank
KR101071339B1 (ko) 바지선를 이용한 수중 관로 케리어장치 및 관로 설치방법
CN212007731U (zh) 一种救生艇的检修水池试验装置
JPH05278674A (ja) タンク内点検作業装置
JP6873435B2 (ja) 吊り足場及びその架設方法
KR20150022543A (ko) 크레인의 수직 공차 조절장치 및 그 설치방법
US3884364A (en) Apparatus for connecting underwater installations
JPH0577781A (ja) タンカーの交通装置
JP2581008Y2 (ja) タンカー貨油槽内自走式自動検査装置の移動用案内装置
CN110194250A (zh) 浮船坞坞墙整体滑移方法
WO2018214334A1 (zh) 一种半潜船浮箱水上吊装定位方法
JP3395297B2 (ja) 船舶のタンク内壁移動作業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