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4098A - 직기 - Google Patents

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4098A
KR20220044098A KR1020210111525A KR20210111525A KR20220044098A KR 20220044098 A KR20220044098 A KR 20220044098A KR 1020210111525 A KR1020210111525 A KR 1020210111525A KR 20210111525 A KR20210111525 A KR 20210111525A KR 20220044098 A KR20220044098 A KR 202200440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loom
frame
shaft
sid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1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게이이치 묘기
다이고 야마기시
고이치 다무라
가즈야 야마
Original Assignee
츠다코마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츠다코마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츠다코마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44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40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 D03D49/02Construction of loom framework
    • D03D49/027Arrangements or means for noise reduction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9/00Healds; Heald frames
    • D03C9/06Heald frames
    • D03C9/0608Construction of frame part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 D03D49/02Construction of loom framework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9/00Healds; Heald frames
    • D03C9/02Heald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1/00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 D03J1/14Apparatus for threading warp stop-motion droppers, healds, or ree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 사이드 프레임이 진동하여 소음이나 제직(製織)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의 발생을 가급적 억제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직기 프레임 및 각 사이드 프레임에 장착되어 종광 프레임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종광 프레임 가이드를 구비하고, 양 사이드 프레임 사이에 가설(架設)되는 로킹 축, 주축(主軸), 복권(服卷) 롤이 지지축을 통하여 각 사이드 프레임에 지지되어 있는 직기로서, 지지축이 적어도 사이드 프레임의 내측벽에 설치된 지지부에 끼워져 장착된 베어링을 통하여 지지되는 직기에 있어서, 적어도 한쪽의 사이드 프레임의 내측벽은, 직기의 폭 방향에 관하여, 내측벽에서의 내측면 중 경사(warp threads) 방향에서의 종광 프레임 가이드를 지지하는 부분의 위치를 기준 위치로 한 후에, 적어도 1개의 지지부가 베어링의 지지 위치의 내측단(內側端)을 기준 위치보다 직기 프레임에서의 내측에 위치시킨 오프셋 지지부가 되도록 형성된다.

Description

직기{LOOM}
본 발명은,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직기(織機) 프레임 및 각 사이드 프레임에 장착되어 종광 프레임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종광 프레임 가이드를 구비하고, 양 사이드 프레임의 사이에 가설(架設)되는 로킹 축, 주축, 복권(服卷) 롤이 지지축을 통하여 각 사이드 프레임에 지지되어 있는 직기로서, 지지축이 적어도 사이드 프레임의 내측벽에 설치된 지지부에 끼워져 장착된 베어링을 통하여 지지되는 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직기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직기 프레임에서의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의 사이에 가설된 로킹 축(로킹 샤프트) 및 주축(主軸)(구동축)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그 로킹 축 및 주축은, 각 사이드 프레임에 있어서 그 사이드 프레임의 내측벽 및 외측벽의 각각에 대하여 베어링을 통하여 지지된 지지축에 연결됨으로써, 양 사이드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직기는, 제직(製織)된 직포를 직포 밀도에 따른 속도로 권취빔 측에 보내는 권취 기구(機構)를 구비하고 있고, 그 권취 기구는,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의 사이에 가설된 복권 롤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그 복권 롤도, 상기와 같은 형태로 각 사이드 프레임에 지지된 지지축에 연결됨으로써, 양 사이드 프레임 사이에 설치된 상태로 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나아가서는, 직기는, 개구 장치에서의 종광 프레임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한 쌍의 종광 프레임 가이드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그 종광 프레임 가이드는, 각 사이드 프레임에 지지되는 형태로 직기 상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직기는, 제직하는 직물의 짜는 폭(織幅)을 기준으로 하여 그 사양이 정해져 있다. 그리고, 직기에 탑재되는 종광 프레임은, 그 직기에 있어서 제직할 수 있는 최대의 짜는 폭에 따른 폭으로 되어 있다. 또한, 그 직기에 있어서는, 종광 프레임은, 전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종광 프레임 가이드에 의해 상하 이동을 안내하지만, 그 각 종광 프레임 가이드는, 대응하는 사이드 프레임에 장착된 브래킷(bracket) 등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이 때문에, 그 한 쌍의 종광 프레임 가이드의 간격은, 직기의 폭 방향에서의 양쪽 브래킷의 위치에 의해 획정(劃定)된다. 따라서, 그 브래킷이 장착되는 양 사이드 프레임의 간격은, 그 각 사이드 프레임에 대하여 브래킷를 통하여 지지되는 한 쌍의 종광 프레임 가이드가 종광 프레임을 전술한 바와 같이 안내할 수 있는 간격으로 배치된 상태가 되도록 설정된다. 즉, 직기 프레임에서의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의 간격은, 그 브래킷이 장착되는 위치(경사(warp threads) 방향에서의 종광 프레임 가이드를 지지하는 위치)의 간격이 상기와 같은 종광 프레임 가이드의 배치를 실현하도록 되어 있고, 종광 프레임의 폭을 고려한 그 브래킷이 장착되는 위치의 간격을 기준으로 하여 정해져 있다.
또한, 많은 직기에서는, 그 브래킷은, 사이드 프레임의 내측면에 대하여 장착되어 있다. 즉, 사이드 프레임에서의 브래킷이 장착되는 위치는, 그 내측면이 되어 있다. 또한, 그 내측면은, 약간의 요철은 있지만, 대략 평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일본공개특허 평9―228193호 공보
이러한 직기에 있어서는, 양 사이드 프레임의 사이에 가설되어 있는 장척(長尺)의 축 부재인 상기한 로킹 축, 주축 및 복권 롤이 제직에 따라 진동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바디(reed)를 지지하는 로킹 축은, 그 제직 중의 바디치기 동작에 따라, 바디가 직포의 직전(織前; 직기의 운전자 위치 부근)을 치는 바디치기의 충격을 받고, 이에 의해 진동한다. 또한, 그 로킹 축은, 링크 기구 등의 운동 변환 기구를 통하여 주축과 연결되어 있고, 주축이 회전 구동되는 것에 의해 요동(搖動) 구동되는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로킹 축이 바디치기 동작에 따라 진동함으로써, 그 로킹 축과 운동 변환 기구를 통하여 연결된 주축도 진동한다.
또한, 복권 롤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직된 직포를 권취빔 측에 보내기 위하여, 직포가 권취되어 걸린 형태로 설치되어 있는 것이며, 또한 그 직포는, 직전에 있어서 경사 빔으로부터 송출된 경사와 연속되어 있다. 그리고, 그 직포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바디가 직전을 치는 것에 의한 충격을 받고 또한, 제직에 따른 경사의 장력 변동에 의해 직전을 전후 방향으로 변위시키고자 하는 힘을 받는다. 이에 따라, 주기적인 힘이 직포를 통하여 복권 롤에 대하여 작용하므로, 이에 따라 복권 롤도 진동한다.
그리고, 이들 축 부재는, 전술한 바와 같이 직기 프레임에서의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에 대하여 가설되는 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축 부재가 전술한 바와 같이 진동함으로써, 양 사이드 프레임, 나아가서는 직기 프레임 전체가, 진동하게 된다. 특히, 최근의 직기의 고속화에 따라, 그 진동은 보다 격렬해지고 있다. 그리고, 이렇게 직기 프레임이 격렬하게 진동함으로써, 소음의 문제나, 제직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상과 같은 종래의 직기를 감안하여,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양 사이드 프레임의 사이에 가설되는 로킹 축, 주축, 복권 롤이 지지축을 통하여 각 사이드 프레임에 지지되어 있는 직기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문제의 발생을 가급적 억제할 수 있는 직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직기 프레임 및 각 사이드 프레임에 장착되어 종광 프레임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종광 프레임 가이드를 구비하고, 양 사이드 프레임의 사이에 가설되는 로킹 축, 주축, 복권 롤이 지지축을 통하여 각 사이드 프레임에 지지되어 있는 직기이며, 지지축이 적어도 사이드 프레임의 내측벽에 설치된 지지부에 끼워져 장착된 베어링을 통하여 지지되는 직기를 전제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적어도 한쪽의 사이드 프레임의 내측벽은, 직기의 폭 방향에 관한 것이며, 내측벽에서의 내측면 중 경사 방향에서의 종광 프레임 가이드를 지지하는 부분의 위치를 기준 위치로 한 후에, 적어도 1개의 지지부가 베어링의 지지 위치의 내측단(內側端)을 기준 위치보다 직기 프레임에서의 내측에 위치시킨 오프셋 지지부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직기에 있어서, 오프셋 지지부는, 베어링의 지지 위치가 기준 위치보다 직기 프레임에서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것이라도 된다. 또한, 그 직기는, 로킹 축 및/또는 주축에 연결되는 지지축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오프셋 지지부가 되도록 구성된 것이라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와 같은 양 사이드 프레임의 사이에 가설되는 각각의 상기 축 부재가 지지축을 통하여 각 사이드 프레임의 내측벽에 설치된 지지부에 지지되는 직기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상기 지지부가, 그 상기 지지부에 끼워져 장착되는 베어링의 지지 위치의 내측단을 상기한 기준 위치보다 직기 프레임에서의 내측에 위치시킨 오프셋 지지부가 되도록 형성된 구성으로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구성된 직기에 의하면, 제직에 따라 발생하는 직기 프레임 전체의 진동이 보다 억제되게 되므로, 소음이나 제직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의 발생을 가급적 억제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직기에서의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의 간격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각 종광 프레임 가이드에 대응하는 브래킷이 장착되는 위치의 간격을 기준으로 하여 정해져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그렇게 간격이 정해지는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 중 적어도 한쪽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상기 지지부가 상기한 오프셋 지지부가 되도록 형성된다. 이로써, 그 상기 오프셋 지지부에서의 베어링의 지지 위치는,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내측단이 상기 기준 위치와 대략 동일한 위치의 종래의 직기(사이드 프레임)의 구성(종래 구성)과 비교하여,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로써, 그 오프셋 장착부에 있어서 지지되는 지지축의 상기 축 부재측의 단부(연결단)의 위치는, 상기 종래 구성과 비교하여, 보다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적어도 한쪽이 그와 같이 설치되는 한 쌍의 연결단의 간격은, 상기 종래 구성의 경우와 비교하여 작아지게 된다. 그 결과, 그와 같이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축 사이에 가설되는 상기 축 부재는, 그 길이 치수(축선 방향의 치수)가 상기 종래 구성의 경우보다 작아지게 된다. 그리고, 그렇게 길이 치수가 작아지게 됨으로써, 그 상기 축 부재는, 보다 휘기 어렵게 되어, 전술한 바와 같은 바디치기 운동에 따른 충격이나 경사의 장력 변동에 따른 힘을 받아도, 이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은, 상기 종래 구성과 비교하여 진폭이 작아지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가 상기 오프셋 지지부가 되도록 형성된 사이드 프레임은, 그 내측벽에서의 적어도 상기 오프셋 지지부가 되는 부분이 내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게 된다. 이로써, 그 사이드 프레임은, 내측벽이 대략 평면형으로 형성된 상기 종래 구성의 경우와 비교하여, 강성(剛性)이 증가하고, 내진성(耐震性)이 향상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이드 프레임의 진동의 기진원(起震源)이 되는 로킹 축, 주축 및 복권 롤과 같은 상기 축 부재 중 적어도 1개가, 상기 종래 구성과 비교하여, 제직 중의 진동이 진폭이 작아지도록 구성되어 있고, 또한 사이드 프레임 자체가, 전술한 바와 같이 내진성이 향상되도록 되어 있다. 이로써, 제직 중의 양 사이드 프레임의 진동이, 상기 종래 구성과 비교하여 억제되게 된다. 따라서, 직기 프레임 전체적으로 발생하는 진동이 보다 억제되게 되어, 소음이나 제직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의 발생이 가급적 억제된다.
또한, 본 발명의 직기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가 상기 오프셋 지지부로 되도록 형성된 사이드 프레임은, 상기 지지 위치가 상기 기준 위치보다 직기 프레임에서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오프셋 지지부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강성이 증가하고, 상기한 내진성의 향상울 보다 효과적으로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직기 프레임 전체적으로 발생하는 진동이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되고, 소음이나 제직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의 발생이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상세하게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이드 프레임을 상기 오프셋 지지부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그 사이드 프레임은, 강성이 증가하여 내진성이 향상되게 된다. 그리고, 그 돌출량이 보다 클수록, 사이드 프레임은, 그 내측벽에서의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벽 부분이 커지고, 강성이 보다 증가하여 내진성이 더욱 향상된다. 이에, 그 돌출량을 크게 하는, 특히, 사이드 프레임에서의 상기 오프셋 지지부를, 상기 지지 위치가 상기 기준 위치보다 상기 내측에 위치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상기 지지 위치의 내측단이 상기 기준 위치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경우라도 상기 지지 위치가 상기 기준 위치와 중복하는 경우(내측벽에서의 오프셋 지지부가 되는 부분과 상기 기준 위치를 포함하는 부분이 중복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그 사이드 프레임은, 보다 강성이 증가하게 되어 상기한 내진성의 향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도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그 결과, 직기 프레임 전체적으로 발생하는 진동이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되게 되어, 소음이나 제직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의 발생이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또한, 본 발명의 직기에 있어서, 상기 오프셋 지지부가, 각각의 상기 축 부재 중 로킹 축 및/또는 주축를 지지하는 지지축을 위한 상기 지지부가 되도록 함으로써, 제직에 따른 직기 프레임 전체의 진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전술한 바와 같이 양 사이드 프레임 사이에 가설된 각 축 부재는 제직 중에 진동하지만, 그 중에서도 로킹 축은, 바디치기 운동에 따른 충격을 받아 가장 심하게 진동한다. 이에, 로킹 축을 지지하는 지지축을 위한 상기 지지부, 및/또는 그 로킹 축에 대하여 운동 변환 기구에 의해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주축를 지지하는 지지축을 위한 상기 지지부를 상기 오프셋 지지부로 함으로써, 이와 같이 기계적으로 연결된 2개의 축 부재 중 적어도 한쪽의 제직 중에서의 진동이 전술한 바와 같이 보다 억제되게 되고, 양 사이드 프레임의 진동이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직기의 프레임의 상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직기의 프레임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직기의 프레임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직기의 프레임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도 5에 기초하여, 본 발명이 적용된 직기의 프레임의 일실시형태(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직기에 있어서, 프레임(1)은,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2, 2)을 주체로 하고, 그 양 사이드 프레임(2, 2)이 4개의 빔재(3a, 3b, 3c, 3d)로 연결된 구성이 되어 있다. 그리고, 각 사이드 프레임(2)은,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양 사이드 프레임(2, 2)은, 그 폭 방향(두께 방향=직기의 폭 방향)에 있어서 대향한 상태로, 빔재(3a, 3b, 3c, 3d)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직기에 있어서는, 그 전후 방향에서의 한쪽에 있어서, 양 사이드 프레임(2, 2)에 지지되는 형태로, 경사 T를 송출하기 위한 경사 빔(6)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그 직기의 상기 전후 방향에서의 다른 쪽에는, 제직된 직포를 권취하기 위한 권취빔(8)이, 양 사이드 프레임(2, 2)에 지지되는 형태로 구비되어 있다.
나아가서는, 직기는, 개구 장치에서의 종광 프레임(11)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한 쌍의 종광 프레임 가이드(12, 12)를 구비하고 있다. 그 각 종광 프레임 가이드(12)는, 대응하는 사이드 프레임(2)에 장착된 브래킷(14)에 의해 지지되는 형태로 직기 상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그 브래킷(14)은, 대응하는 사이드 프레임(2)에 대하여, 그 사이드 프레임(2)의 내측벽(27)에 고정되는 형태로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각 브래킷(14)은, 프레임에 대하여 장착되는 판형의 지지판(14a)과, 지지판(14a)의 한쪽의 단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지지판(14a)에 장착된 지지 샤프트(14b)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각 브래킷(14)은, 지지 샤프트(14b)가 사이드 프레임(2)의 상면보다 위쪽에 위치하고 또한, 지지 샤프트(14b)가 직기의 내측(이하, 간단히 「내측」이라고 함)을 향하도록 한 형태로, 전술한 바와 같이 사이드 프레임(2)의 내측벽(27)에 고정되어 있다. 다만, 그 장착 위치는, 상기 전후 방향에 관해서는, 지지 샤프트(14b)가 사이드 프레임(2)의 대략 중앙이 되어 있다.
그리고, 각 종광 프레임 가이드(12)는, 그 브래킷(14)에서의 지지 샤프트(14b)의 선단부에 장착되는 형태로, 그 브래킷(14)을 통하여 대응하는 사이드 프레임(2)에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폭 방향에서의 사이드 프레임(2)과 종광 프레임 가이드(12)의 위치 관계는, 사이드 프레임(2)의 내측벽(27)에서의 내측면(9)으로부터 대략 브래킷(14)분만큼 종광 프레임 가이드(12)가 이격하도록 되어 있다.
그 종광 프레임 가이드(1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이드 프레임(2)에 지지된 상태에 있어서, 상하 방향(연직(沿直) 방향)으로 간극을 두고 설치된 상태가 되는 2개의 안내부(12b)를 가지고 있다. 또한, 그 각 안내부(12b)는, 그 직기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종광 프레임(11)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복수의 안내홈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그 직기에 있어서는, 각 종광 프레임(11)은, 그 양 측부가 한 쌍의 종광 프레임 가이드(12, 12)의 안내홈에 안내되어 설치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각 종광 프레임 가이드(12)에서의 안내홈의 위치가, 그 직기에서의 각 사이드 프레임(2) 측에 있어서, 종광 프레임(11)을 안내하는 위치가 된다. 그리고, 그 안내 위치는, 상기와 같은 사이드 프레임(2)과 종광 프레임 가이드(12)의 위치 관계로부터, 사이드 프레임(2)(내측면(9))의 위치에 의해 획정된다. 따라서, 그 사이드 프레임(2)의 내측면(9)에서의 브래킷(14)을 장착하는 부분(면)이, 그 안내 위치를 구획하는 기준면(10)이 되어 있고, 그 기준면(10)의 상기 폭 방향에서의 위치가 상기 안내 위치를 구획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위치(기준 위치)가 된다.
덧붙여서 말하면, 직기에 있어서는, 제직하는 직물(W)의 짜는 폭을 기준으로 하여 그 사양이 정해져 있다. 그리고, 그 직기에 탑재되는 종광 프레임(11)은, 그 직기의 사양(제직할 수 있는 최대의 짜는 폭)에 따른 폭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종광 프레임(11)을 안내하기 위해 설치된 한 쌍의 종광 프레임 가이드(12, 12)를 지지하는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2, 2)의 간격은, 그 종광 프레임(11)의 폭, 및 상기한 사이드 프레임(2)과 종광 프레임 가이드(12)의 위치 관계를 고려하여 설정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간격이 설정되는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2, 2)에 포함되는 한 쌍의 상기한 기준면(10, 10)의 간격도, 그 사이드 프레임(2, 2)의 간격에 따라 획정된다.
그리고, 그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2, 2)을 연결하는 상기 4개의 빔재에 대하여, 그 중 2개의 빔재(3a, 3b)가 상기 전후 방향에서의 권취빔 측(8)에 배치되는 권취 측의 빔재(권취 측 빔재(3a, 3b))로서 형성되어 있고, 나머지 2개의 빔재(3c, 3d)가 상기 전후 방향에서의 경사 빔(6) 측에 배치되는 송출 측의 빔재(송출 측 빔재(3c, 3d))로서 설치되어 있다. 권취 측 빔재(3a, 3b)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위치를 상이하게 하여 배치되어 있고, 상측의 빔재(3a)가 소위 프론트 톱 스테이이며, 하측의 빔재(3b)가 소위 프론트 바텀 스테이이다. 또한, 송출 측 빔재(3c, 3d)도, 상하 방향으로 서로 위치를 상이하게 하여 배치되어 있고, 상측의 빔재(3c)가 소위 리어 톱 스테이이며, 하측의 빔재(3d)가 소위 리어 바텀 스테이이다.
그리고,프론트 톱 스테이(3a) 및 리어 톱 스테이(3c)는, 그 양 단부에 형성된 플랜지를 가지고 있다. 또한, 그 플랜지에는, 고정을 위한 볼트가 삽통(揷通)되는 관통공이 복수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프론트 톱 스테이(3a) 및 리어 톱 스테이(3c)는, 각 플랜지의 관통공에 삽통된 고정용 볼트가 대응하는 사이드 프레임(2)의 내측면(9)에 개구되도록 형성된 관통공에 삽통되고, 그 고정용 볼트에 너트가 나사 결합됨으로써, 각 사이드 프레임(2)(내측면(9))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프론트 톱 스테이(3a) 및 리어 톱 스테이(3c)는, 각 사이드 프레임(2)의 내측면(9)에 고정됨으로써, 양 사이드 프레임(2, 2)을 연결하고 있다.
또한, 프론트 바텀 스테이(3b) 및 리어 바텀 스테이(3d)는, 단면 형상이 대략 "コ"자형의 빔재이며, 그 양 단부에 단부를 막도록 형성된 단벽(端壁)을 가지고 있다. 또한, 그 단벽에는, 고정을 위한 볼트가 삽입되는 관통공이 복수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프론트 바텀 스테이(3b) 및 리어 바텀 스테이(3d)는, 각 단벽의 관통공에 삽통된 고정용 볼트가 대응하는 사이드 프레임(2)의 내측면(9)에 개구되도록 형성된 관통공에 삽통되고, 그 고정용 볼트에 너트가 나사 결합됨으로써, 각 사이드 프레임(2)(내측면(9))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프론트 바텀 스테이(3b) 및 리어 바텀 스테이(3d)는, 각 사이드 프레임(2)의 내측면(9)에 고정됨으로써, 양 사이드 프레임(2, 2)을 연결하고 있다.
직기에서의 주축(16)은, 프론트 톱 스테이(3a)와 평행한 방향, 즉 직기의 폭 방향(이하, 간단히 「폭 방향」이라고 함)과 평행을 이루는 방향으로, 양 사이드 프레임(2, 2) 사이에 가설되는 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그 주축(16)의 지지 위치는, 상기 전후 방향에 관해서는, 프론트 톱 스테이(3a)와 브래킷(14)(종광 프레임 가이드(12)) 사이의 위치로 되어 있고, 상하 방향에 관해서는, 그 상단(上端)(상부 에지)이 프론트 톱 스테이(3a)의 하면의 근방이 되는 위치로 되어 있다.
또한, 직기는, 바디(5)를 요동 구동하는 바디치기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그 바디치기 기구에 있어서는, 바디(5)는, 복수의 슬레이 소드 등을 통하여 로킹 축(4)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그 로킹 축(4)은, 상기 폭 방향과 평행을 이루는 방향으로, 양 사이드 프레임(2, 2) 사이에 가설되는 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그 로킹 축(4)의 지지 위치는, 상기 전후 방향에 관해서는, 전술한 주축(16)과 대략 동일한 위치로 되어 있고, 상하 방향에 관해서는, 주축(16)에 대한 상방으로서 프론트 톱 스테이(3a)와 중복되는 위치가 되어 있다.
나아가서는, 그 직기는, 제직된 직포(W)를 직포 밀도에 따른 속도로 권취 빔(8) 측에 보내는 권취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그 권취 기구는, 복권 롤(15), 및 압압(押壓) 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복권 롤(15)에 압압되도록 설치된 복수의 프레스 롤(35, 35)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그 복권 롤(15)은, 상기 폭 방향과 평행을 이루는 방향으로, 양 사이드 프레임(2, 2) 사이에 가설되는 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그 복권 롤(15)의 지지 위치는, 상기 전후 방향에 관해서는, 프론트 톱 스테이(3a)에 대하여 상기한 주축(16)과는 반대 측의 위치로 되어 있고, 상하 방향에 관해서는, 프론트 톱 스테이(3a)와 중복하는 위치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양 사이드 프레임의 사이에 가설되는 주축(16), 로킹 축(4) 및 복권 롤(15)의 각 축 부재는, 지지축(16a, 4a, 15a)을 통하여 각 사이드 프레임(2, 2)에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직기는, 각각의 상기 축 부재에 대응하는 지지축(16a, 4a, 15a)을 가지고 있고, 각각의 지지축(16a, 4a, 15a)은, 양 사이드 프레임(2, 2)의 각각에 있어서, 대응하는(지지하는) 축 부재가 전술한 바와 같은 배치로 되는 위치에 있어서, 각 사이드 프레임(2)에 지지되는 형태로 직기에 있어서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각 지지축(16a, 4a, 15a)에 대하여, 주축(16)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축(16a, 16a) 및 로킹 축(4)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축(4a, 4a)은, 축선 방향에서의 치수(길이 치수)가 사이드 프레임의 두께(폭 방향의 치수)보다 큰 축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지지축(16a, 4a)은, 상기 폭 방향과 평행을 이루는 방향으로, 사이드 프레임(2)의 내측벽(27) 및 외측벽(28)에 대하여 베어링(22a, 22b, 22d, 22e)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다만, 각 지지축(16a, 4a)은, 이와 같이 사이드 프레임(2)에 지지된 상태에 있어서, 그 일단 측의 단부를 내측벽(27)으로부터 상기 내측을 향하여 돌출시키는 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양 사이드 프레임(2, 2)의 각각에 설치된 한 쌍의 지지축(16a, 16a)의 상기 일단 측의 단부에 대하여 그 양 단부에 있어서 연결됨으로써, 주축(16)은, 양 사이드 프레임(2, 2) 사이에 가설된 형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각 지지축(16a)에서의 상기 일단 측의 단부가, 그 지지축(16a)에서의 주축(16)에 대한 연결단(16c)이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한 쌍의 지지축(4a, 4a)의 상기 일단 측의 단부(연결단(4c))에 대하여 그 양 단부에 있어서 연결됨으로써, 로킹 축(4)은, 양 사이드 프레임(2, 2) 사이에 가설된 형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직기에 있어서는, 로킹 축(4)은, 회전 구동되는 주축(16)(지지축(16a))에 의해 왕복 요동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지지축(16a)은, 사이드 프레임(2) 내에 있어서, 회전 운동을 요동 운동으로 변환하는 운동 변환 기구(도시 생략)을 통하여, 지지축(4a)에 대하여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즉, 로킹 축(4)을 지지하는 지지축(4a)과 주축(16)을 지지하는 지지축(16a)은, 운동 변환 기구에 의해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한편 그 운동 변환 기구는, 예를 들면, 크랭크 기구나 캠 기구이다.
또한, 복권 롤(15)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축(15a, 15a)은, 그 일단에 플랜지(15b)를 가지는 축 부재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각 지지축(15a)은, 상기 폭 방향과 평행을 이루는 방향으로서 플랜지(15b)가 설치되어 있는 상기 일단이 상기 내측으로 되는 방향으로, 사이드 프레임(2)의 내측벽(27)에 대하여 베어링(22c)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그 지지축(15a)에서의 플랜지(15b)에는, 복권 롤(15)을 연결하기 위한 고정용 볼트(15c)가 삽통되는 관통공이 복수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양 사이드 프레임(2, 2)의 각각에 설치된 한 쌍의 지지축(15a, 15a)에 대하여 그 양 단부에 있어서 연결됨으로써, 복권 롤(15)은, 양 사이드 프레임(2, 2) 사이에 가설된 형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지지축(15a, 15a)에 대한 복권 롤(15)의 연결은, 각 플랜지(15b)의 상기 관통공에 삽통된 고정용 볼트(15c)가 복권 롤(15)의 단면에 개구되도록 형성된 대응하는 암나사 구멍에 나사 장착됨으로써 행해지고 있다. 따라서, 플랜지(15b)는, 그 지지축(15a)에서의 복권 롤(15)에 대한 연결단이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직기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의 양쪽 또는 한쪽에서의 상기한 각 지지축(16a, 4a, 15a)의 지지 위치가 되는 내측벽(27)의 부분인 지지부 중 적어도 1개가, 그 지지부에 대응하는 지지축을 지지하기 위해 배치되는 베어링의 지지 위치의 내측단을 전술한 기준 위치보다 상기 내측에 위치시킨 오프셋 지지부가 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는, 양 사이드 프레임(2, 2)에서의 각 상기 지지부 전체를 오프셋 지지부(17)로 한 예이다. 이러한 본 실시예의 직기에 대하여, 상세하게는, 이하와 같다.
각 사이드 프레임(2)에 있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각 지지축(16a, 4a, 15a)이 상기 내측으로 돌출하는 형태로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각 사이드 프레임(2)의 내측벽(27)에는, 그 각 지지축(16a, 4a, 15a)의 돌출을 허용하는 관통공(23a, 23b, 23c)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각 사이드 프레임(2)에서의 내측벽(27)은, 상기 폭 방향으로 보았을 때의 그 관통공(23a, 23b, 23c)을 포함하는 범위가, 기준면(10)을 포함하는 내측벽(27)의 부분에 대하여,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사이드 프레임(2)은, 이와 같은 범위에 있어서 기준면(10)에 대하여 돌출하는 돌출부(17)를 가지고 있다. 한편, 내측벽(27)의 두께 치수(두께)는 대략 균일하게 되어 있고, 기준면(10)을 포함하는 부분의 두께 치수와 돌출부(17)에서의 관통공(23a, 23b, 23c)이 형성된 부분의 두께 치수는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주축(16), 로킹 축(4) 및 복권 롤(15)의 프론트 톱 스테이(3a)에 대한 지지 위치는, 전술한 바와 같은 위치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폭 방향으로 보았을 때의 지지축(16a, 4a, 15a)이 설치되는 위치(즉, 관통공(23a, 23b, 23c)이 형성되는 위치)를 포함하는 범위(돌출부(17)의 범위)는, 사이드 프레임(2)에 대한 프론트 톱 스테이(3a)가 장착되는 위치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그 돌출부(17)는, 그 기준면(10)(기준 위치)으로부터의 돌출량이 내측벽(27)의 두께 치수보다 큰 양이 되어 있다. 그리고, 돌출부(17)는, 상기 범위에서의 주위의 부분이 그 돌출량에 따른 크기이며 직기 프레임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벽부분(29)으로서 형성된 것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각 지지축(16a, 4a, 15a)을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22a, 22b, 22c)은, 베어링 홀더(19, 20, 21)를 통하여 각 사이드 프레임(2)에 대하여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그 각 베어링 홀더(19, 20, 21)에 대하여, 이들 구성은 모두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지지축(16a)을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 홀더(19)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베어링 홀더(19)는, 관통공(19c)을 가지는 원통 형상의 감삽부(嵌揷部)(19a)를 주체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그 베어링 홀더(19)는, 감삽부(19a)의 축선 방향에서의 일단 측에 형성된 플랜지부(19b)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베어링(22a)은, 그 감삽부(19a)에서의 관통공(19c) 내에 수용되는 형태로, 베어링 홀더(19) 내에 설치된다. 따라서, 그 감삽부(19a)에서의 관통공(19c)의 내경은, 베어링(22a)을 끼워서 장착한 상태로 수용할 수 있도록 한 크기로 되어 있다. 또한, 그 관통공(19c)의 상기 축선 방향에서의 치수는, 베어링(22a)의 폭 치수(두께 치수)보다 커지고 있다.
다만, 그 관통공(19c)은, 상기 일단 측의 단부에 있어서, 그 내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관통공(19c)은, 베어링(22a)을 수용하는 부분(수용 부분)과, 그 수용 부분에 대한 상기 일단 측의 소경(小徑)의 부분(소경 부분)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감삽부(19a)는, 그 일단 측의 단부에, 그 관통공(19c)에서의 상기 소경 부분이 형성된 단부벽(19e)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그 단부벽(19e)에 형성되는 관통공(19c)의 상기 소경 부분의 내경은, 지지축(16a)에서의 베어링(22a)에 지지되는 부분의 외경(外徑)과 대략 일치하는 크기로 되어 있다. 그리고, 관통공(19c)에서의 상기 수용 부분은, 그 상기 축선 방향에서의 길이 치수가 베어링(22a)의 두께 치수보다 크게 되어 있다. 그리고, 베어링(22a)은, 관통공(19c)에서의 상기 수용 부분에 감삽되고 또한, 그 한쪽의 단면을 단부벽(19e)과 맞닿게 한 상태로, 베어링 홀더(19) 내에 수용된다.
또한, 플랜지부(19b)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감삽부(19a)의 상기 일단 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한 감삽부(19a)에서의 단부벽(19e)의 두께 치수보다 큰 두께 치수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그 플랜지부(19b)의 두께 치수는, 베어링 홀더(19)(감삽부(19a))의 축선 방향의 치수와의 차가 내측벽(27)의 두께 치수와 대략 동일하게 되는 치수로 되어 있다. 그리고, 그 플랜지부(19b)에는, 베어링 홀더(19)를 사이드 프레임(2)(돌출부(17))에 고정하기 위한 볼트(25)가 삽통되는 관통공이 복수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베어링 홀더(19)는, 전술한 바와 같이 베어링(22a)을 수용한 상태로, 그 감삽부(19a)에 있어서 관통공(23a)에 감삽되는 형태로, 사이드 프레임(2)에 대하여 고정된다. 따라서, 관통공(23a)은, 그 내경이 감삽부(19a)의 외경에 따른 크기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그 사이드 프레임(2)에 대한 베어링 홀더(19)의 고정은, 플랜지부(19b)의 상기 관통공에 삽통된 고정용 볼트(25)가 대응하는 돌출부(17)의 내측면(9)에 개구하도록 형성된 암나사 구멍에 나사 장착됨으로써 행해지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직기에 있어서는, 주축(16)이 각 지지축(16a)을 통하여 각 사이드 프레임(2)에 지지되어 있고, 그 각 지지축(16a)은, 관통공(23a)에 끼워져 장착되는 형태로 사이드 프레임(2)에 고정된 베어링 홀더(19) 및 그 베어링 홀더(19)에 수용된 베어링(22a)을 통하여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그 직기에 있어서는, 그 관통공(23a)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이, 사이드 프레임(2)의 내측벽(27)에서의 주축(16)을 위한 지지축(16a)의 지지부가 되어 있다.
그리고, 내측벽(27)에 있어서는, 그 관통공(23a)이 돌출부(17)에 형성되어 있고,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베어링 홀더(19)에 있어서는, 수용되는 베어링(22a)의 내측단(베어링(22a)의 지지 위치의 내측단으로서 단부벽(19e)의 베어링(22a) 측의 단면)의 위치가, 돌출부(17)의 내측면(9)보다 상기 내측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베어링 홀더(19)를 통하여 지지축(16a)을 지지하는 부분인 내측벽(27)에서의 상기 지지부는, 본 발명에서 일컫는 오프셋 지지부에 상당한다.
나아가서는, 본 실시예의 직기에 있어서는, 상기 기준 위치에 대한 돌출부(17)의 돌출량이 전술한 바와 같이 내측벽(27)의 두께 치수보다 큰 양이 되어 있다. 따라서, 돌출부(17)에서의 양 측면 중 사이드 프레임(2)의 내측면을 향하는 측면의 위치는, 상기 폭 방향에 관하여, 상기 기준 위치보다 상기 내측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그 돌출부(17)에 장착되는 베어링 홀더(19)는, 그 플랜지부(19b)의 두께 치수와 베어링 홀더(19)의 축선 방향의 치수와의 차가 내측벽(27)의 두께 치수와 대략 동알하게 되도록 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베어링 홀더(19)에서의 플랜지부(19b)를 제외한 부분의 축선 방향에서의 치수는, 내측벽(27)의 두께 치수와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이로써, 베어링 홀더(19)에서의 플랜지부(19b) 측과는 반대 측의 끝에지의 위치는, 상기 폭 방향에 관하여, 돌출부(17)에서의 상기한 내측을 향한 측면의 위치와 동일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베어링(22a)이 이와 같은 베어링 홀더(19)에 대하여 수용되는 형태로 지지되어 있으므로, 그 베어링(22a)의 지지 위치는, 그 전체가 상기 기준 위치보다 상기 내측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상에서는, 주축(16)을 위한 지지축(16a)의 지지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예의 직기에 있어서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킹 축(4)을 위한 각 지지축(4a) 및 복권 롤(15)을 위한 각 지지축(15a)도, 전술한 바와 같이 베어링 홀더(19)와 동일한 구성의 베어링 홀더(20, 21)를 통하여 각 사이드 프레임(2)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그 각 베어링 홀더(20)는, 사이드 프레임(2)의 내측벽(27)에 형성된 관통공(23b)에 감삽되는 형태로 사이드 프레임(2)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고, 각 베어링 홀더(21)는, 내측벽(27)에 형성된 관통공(23c)에 감삽되는 형태로 사이드 프레임(2)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그 내측벽(27)에서의 관통공(23b)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이 지지축(4a)을 위한 지지부로 되어 있고, 관통공(23c)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이 지지축(15a)을 위한 지지부로 되어 있다.
그리고, 그 관통공(23b) 및 관통공(23c)도, 관통공(23a)과 마찬가지로, 사이드 프레임(2)의 내측벽(27)에서의 돌출부(17)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내측벽(27)에서의 지지축(4a)을 위한 지지부 및 지지축(15a)을 위한 지지부도, 본 발명에서 일컫는 오프셋 지지부에 상당한다. 그리고, 지지축(4a)이 베어링 홀더(20)에 수용된 베어링(22b)에 지지되고, 지지축(15a)이 베어링 홀더(21)에 수용된 베어링(22c)에 지지되지만, 그 각 베어링(22b), 베어링(22c)의 지지 위치도, 전술한 베어링 홀더(19)에 수용되는 베어링(22a)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그 전체가 상기 기준 위치보다 상기 내측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직기에 있어서는, 주축(16)을 위한 지지축(16a) 및 로킹 축(4)을 위한 지지축(4a)은, 이상에서 설명한 형태로 사이드 프레임(2)의 내측벽(27)에 있어서 지지되어 있지만, 외측벽(28)에 있어서도 지지되어 있다. 이에, 각 사이드 프레임(2)에서의 외측벽(28)에는, 지지축(16a)을 지지하는 베어링(22d)을 배치하기 위한 관통공(23d) 및 지지축(4a)을 지지하는 베어링(22e)을 배치하기 위한 관통공(23e)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각각의 관통공(23d, 23e)에는, 그 베어링(22d, 22e)을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 홀더(30, 31)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그 각 베어링 홀더(30, 31)는, 전술한 베어링 홀더(19) 등과 동일한 구성의 것이며, 외측벽(28)(관통공(23d, 23e))에 대한 장착도, 베어링 홀더(19) 등과 동일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베어링(22d)은, 베어링 홀더(30)에 수용되는 형태로 각 사이드 프레임(2)의 관통공(23d)에 장착되어 있고, 또한, 베어링(22e)은, 베어링 홀더(31)에 수용되는 형태로 각 사이드 프레임(2)의 관통공(23e)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각 사이드 프레임(2)의 외측벽(28)에 있어서, 지지축(16a)이 베어링(22d)에 지지되어 있고, 지지축(4a)이 베어링(22e)에 지지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의 직기에 있어서는, 양 사이드 프레임(2, 2)에서의 내측벽에 설치되는 각각의 상기 지지부 전부가 상기와 같은 오프셋 지지부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상기 지지부에 배치되어 있는 베어링(22a, 22b, 22c)의 내측단의 위치가, 상기 기준 위치보다 상기 내측으로 되어 있다. 이로써, 각 지지축(16a, 4a, 15a)에서의 연결단(16c, 4c, 15b)의 위치는, 각각의 상기 지지부에서의 베어링의 내측단의 위치가 상기 기준 위치와 대략 동일한 위치인 종래의 직기의 구성(종래 구성)과 비교하여, 보다 상기 내측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각 한 쌍의 연결단(16c, 16c, 4c, 4c, 15b, 15b)의 간격은, 상기 종래 구성의 경우와 비교하여 작아져 있다. 그 결과, 대응하는 한 쌍의 지지축 사이에 가설되는 각각의 축 부재(16, 4, 15)는, 그 길이 치수가 상기 종래 구성의 경우보다 작게 되어 있고, 보다 휘기 어렵게 되어 있다. 따라서, 제직 중에 각각의 축 부재(16, 4, 15)에 발생하는 진동은, 상기 종래 구성의 경우와 비교하여 진폭이 작아지게 된다.
또한, 각 사이드 프레임(2)은, 그 내측벽(27)에서의 돌출부(17)가 되는 부분이 기준면(10)에 대하여 돌출하도록 형성되도록 되어 있고, 그 돌출부(17)에서의 주위의 부분이 상기 폭 방향의 벽부분(29)으로서 형성된 것이 되어 있다. 이로써, 각 사이드 프레임(2)은, 사이드 프레임의 내측벽이 대략 평면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상기 종래 구성의 경우와 비교하여, 사이드 프레임(2) 자체의 내진성이 향상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사이드 프레임(2)의 진동의 기진원이 되는 각각의 축 부재(16, 4, 15) 전체가, 상기 종래 구성의 경우와 비교하여, 제직 중의 진동이 보다 진폭이 작아지도록 구성되고 또한, 각 사이드 프레임(2) 자체가 전술한 바와 같이 내진성을 향상된 것이 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직기에 의하면, 상기 종래 구성의 경우와 비교하여, 제직 중의 직기 프레임 전체적으로 발생하는 진동이 보다 억제되게 되어 있고, 소음이나 제직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의 발생이 가급적 억제되어 있다.
특히, 그 직기는, 제직 중에 있어서 바디치기 운동의 영향으로 격렬하게 진동하는 로킹 축(4), 및 그 로킹 축(4)에 대하여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주축(16)에 대하여, 그 로킹 축(4)을 위한 지지축(4a), 및 주축(16)을 위한 지지축(16a)의 각각의 지지부가 전술한 바와 같이 오프셋 지지부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직에 따른 직기 프레임 전체의 진동이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그 직기에 있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각 오프셋 지지부에서의 베어링(22a, 22b, 22c)의 지지 위치는, 그 전체가 상기 기준 위치보다 상기 내측으로 되어 있다. 이로써, 각 사이드 프레임(2)은, 상기한 벽부분(29)이 보다 큰 것으로 되어 있고, 보다 강성이 증가하여 상기한 내진성의 향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도모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직기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의한 직기는,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이하와 같은 변형된 예라도 실시가 가능하다.
(1) 오프셋 지지부에 대하여, 상기 실시예의 직기에서는, 오프셋 지지부가 되도록 형성된 각각의 상기 지지부에서의 베어링(22a, 22b, 22c)의 지지 위치는, 그 전체가 상기 기준 위치보다 상기 내측의 위치로 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직기에 있어서는, 그 오프셋 지지부는, 적어도 상기 지지 위치의 내측단을 상기 기준 위치보다 상기 내측에 위치시키도록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즉, 오프셋 지지부는, 그 베어링의 지지 위치가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 기준면(10)(상기 기준 위치)과 중복하도록 형성된 것이라도 된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와 같이 구성된 사이드 프레임에 있어서, 돌출부(17)를, 그 상기 기준 위치로부터의 돌출량이 내측벽(27)의 두께 치수보다 큰 양이 되도록 형성하는 대신, 상기 돌출량이 내측벽(27)의 두께 치수보다 작은 양이 되도록 형성하면 된다. 그 경우에, 각 베어링 홀더(19, 20, 21)가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의 것이면, 각 베어링(22a, 22b, 22c)의 지지 위치는,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 상기 기준 위치와 중복하는 위치가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3개의 상기 지지부 전체가 오프셋 지지부가 되도록 각 사이드 프레임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각각의 상기 지지부가 설치되는 돌출부(17)는, 그 내측면(9)이 평탄면이 되도록, 그 전체에 걸쳐 상기 돌출량이 동일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각각의 상기 지지부의 상기 폭 방향에서의 위치는, 모두 동일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그 결과, 각 지지부에 의한 각 베어링의 지지 위치도,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위치로 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직기에 있어서는, 복수의 상기 지지부가 오프셋 지지부가 되도록 설치되는 경우에, 그 일부의 상기 지지부(지지 위치)가 다른 상기 지지부(지지 위치)와 위치가 상이하도록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와 같이 3개의 상기 지지부 전체가 오프셋 지지부인 경우에 있어서, 로킹 축(4)(지지축(4a))을 위한 상기 지지부가 되는 관통공(23b)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을 포함하는 일부가 그 이외의 부분보다 상기 돌출량이 커지도록 돌출부가 형성된 것이라도 된다. 그 경우에, 각 베어링 홀더(19, 20, 21)가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의 것이면, 로킹 축(4)(지지축(4a))을 위한 상기 지지부에서의 베어링(22b)의 지지 위치는, 다른 축 부재(16, 15)(지지축(16a, 15a))를 위한 상기 지지부에서의 베어링의 지지 위치와는 상이한 위치(상기 내측의 위치)가 된다.
(2)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3개의 상기 지지부 전체가 오프셋 지지부가 되도록 각 사이드 프레임이 구성되어 있는 직기에 있어서, 각 사이드 프레임의 내측벽(27)에서의 돌출부(17)가 되는 부분이 각각의 상기 지지부가 되는 부분 전체를 포함하는 범위에 걸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실시예의 직기에서는, 단일 돌출부(17)에 오프셋 지지부가 되도록 설치된 각각의 상기 지지부 전체가 포함되도록 각 사이드 프레임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직기에 있어서는, 복수의 상기 지지부가 오프셋 지지부가 되도록 설치되는 경우에 있어서, 그 일부의 상기 지지부가 다른 상기 지지부가 설치되는 돌출부와는 별도로 형성된 돌출부에 설치되어 있어도 되고, 각각의 상기 지지부(오프셋 지지부)가 각각에 대응시켜 형성된 별개의 돌출부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와 같이 3개의 상기 지지부 전체가 오프셋 지지부인 경우에 있어서, 프론트 톱 스테이(3a)보다 종광 프레임(11) 측에 위치하는 주축(16)(지지축(16a)) 및 로킹 축(4)(지지축(4a))을 위한 각각의 상기 지지부가 형성되는 돌출부와, 프론트 톱 스테이(3a)에 대하여 권취 측에 위치하는 복권 롤(15)(지지축(15a))을 위한 상기 지지부가 형성되는 돌출부를, 연속하지 않는 별개의 돌출부로서 형성해도 된다.
(3) 상기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부가 오프셋 지지부로 되는 축 부재(이하, 「대상 축 부재」라고 함)에 대하여, 3개의 축 부재 전체가 그 상기 대상 축 부재로 되어 있다. 그리고, 각 사이드 프레임은, 3개의 상기 지지부 전체가 오프셋 지지부가 되도록 돌출부가 내측벽에 설치된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직기는, 3개의 축 부재 중 1개 또는 2개가 상기 대상 축 부재로 된 것이라도 되고, 그 경우에, 각 사이드 프레임은, 각각의 상기 대상 축 부재를 위한 상기 지지부가 오프셋 지지부로 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즉, 각 사이드 프레임은, 내측벽(27)에서의 3개의 상기 지지부가 되는 부분 중 상기 대상 축 부재를 위한 상기 지지부를 포함하는 범위의 부분이 돌출부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4) 상기 실시예에서는, 3개의 축 부재 각각을 위한 양쪽의 상기 지지부가 오프셋 지지부로 되도록, 양 사이드 프레임(2, 2)은, 그 내측벽(27)에서의 각각의 상기 지지부를 포함하는 범위가 돌출부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양 사이드 프레임(2, 2)은, 상기 대상 축 부재를 위한 양쪽의 상기 지지부가 오프셋 지지부로 되도록, 그 내측벽에 돌출부가 형성된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직기에 있어서는, 상기 대상 축 부재를 위한 양쪽의 상기 지지부 중 한쪽만이 오프셋 지지부라도 종래의 직기와 비교하여 진동 억제의 효과가 얻어지므로, 사이드 프레임은, 상기 대상 축 부재를 위한 한쪽의 상기 지지부만이 오프셋 지지부로 되도록 한 형태로, 그 내측벽에 돌출부가 형성된 것이라도 된다.
다만, 복수의 축 부재를 상기 대상 축 부재로 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모든 상기 대상 축 부재를 위한 상기 지지부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으로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2개의 축 부재를 상기 대상 축 부재로 하는 경우에 있어서, 한쪽의 상기 대상 축 부재에 대해서는, 이를 위한 상기 지지부가 양쪽 모두 오프셋 지지부이며, 다른 쪽의 상기 대상 축 부재에 대해서는, 이를 위한 상기 지지부의 한쪽만이 오프셋 지지부가 되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복수의 상기 대상 축 부재를 위한 상기 지지부가 한쪽만에 있어서 오프셋 지지부가 되도록 되는 경우에도, 그 오프셋 지지부가 되는 상기 지지부는, 전체가 동일한 사이드 프레임에서의 상기 지지부인 것으로는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한 어느 실시형태로도 한정되지 않으며,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에 있어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1: 프레임
2: 사이드 프레임
3a: 프론트 톱 스테이
3b: 프론트 바텀 스테이
3c: 리어 톱 스테이
3d: 리어 바텀 스테이
4: 로킹 축
4a: 지지축
4c: 연결단
5: 바디
6: 경사 빔
7: 빔 서포트
8: 권취 빔
9: 내측면
10: 기준면
11: 종광 프레임
12: 종광 프레임 가이드
12b: 안내부
14: 브래킷
15: 복권 롤
15a: 지지축
15b: 플랜지
15c: 고정용 볼트
16: 주축
16a: 지지축
16c: 연결단
17: 돌출부
19: 베어링 홀더
19a: 감삽부
19b: 플랜지부
19c: 관통공
19e: 단부벽
20: 베어링 홀더
20a: 감삽부
20b: 플랜지부
20c: 관통공
20e: 단부벽
21: 베어링 홀더
22a: 베어링
22b: 베어링
22c: 베어링
22d: 베어링
22e: 베어링
23a: 관통공
23b: 관통공
23c: 관통공
23d: 관통공
23e: 관통공
25: 볼트
27: 내측벽
28: 외측벽
29: 벽 부분
30: 베어링 홀더
31: 베어링 홀더
35: 프레스 롤
T: 경사
W: 직포
B: 짜는 폭 방향(폭 방향)
E: 경사 방향(전후 방향)
F: 송출 측
G: 권취 측

Claims (3)

  1.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직기 프레임 및 각각의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장착되어 종광 프레임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종광 프레임 가이드를 구비하고, 양쪽의 상기 사이드 프레임 사이에 가설(架設)되는 로킹 축, 주축(主軸), 복권(服卷) 롤이 지지축을 통하여 각각의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지지되어 있는 직기로서, 상기 지지축이 적어도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내측벽에 설치된 지지부에 끼워져 장착된 베어링을 통하여 지지되는 직기에 있어서,
    적어도 한쪽의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상기 내측벽은, 직기의 폭 방향에 관하여, 상기 내측벽에서의 내측면 중 경사(warp threads) 방향에서의 상기 종광 프레임 가이드를 지지하는 부분의 위치를 기준 위치로 한 후에, 적어도 1개의 상기 지지부가 상기 베어링의 지지 위치의 내측단(內側端)을 상기 기준 위치보다 상기 직기 프레임에서의 내측에 위치시킨 오프셋 지지부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위치는, 상기 기준 위치보다 상기 내측에 위치하는, 직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셋 지지부는, 상기 로킹 축 및/또는 상기 주축에 연결되는 상기 지지축을 지지하는 상기 지지부인, 직기.
KR1020210111525A 2020-09-30 2021-08-24 직기 KR2022004409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165233 2020-09-30
JP2020165233A JP7453115B2 (ja) 2020-09-30 2020-09-30 織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4098A true KR20220044098A (ko) 2022-04-06

Family

ID=77543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1525A KR20220044098A (ko) 2020-09-30 2021-08-24 직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649573B2 (ko)
EP (1) EP3978668B1 (ko)
JP (1) JP7453115B2 (ko)
KR (1) KR20220044098A (ko)
CN (2) CN114318634A (ko)
TW (1) TW20221492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77372B2 (ja) * 2020-06-04 2024-05-01 津田駒工業株式会社 織機
JP7401397B2 (ja) * 2020-06-04 2023-12-19 津田駒工業株式会社 織機
JP7384747B2 (ja) * 2020-06-04 2023-11-21 津田駒工業株式会社 織機
US11993872B2 (en) * 2021-05-06 2024-05-28 Tsudakoma Kogyo Kabushiki Kaisha Loom
JP2022173636A (ja) * 2021-05-10 2022-11-22 津田駒工業株式会社 織機の耳糸開口装置
JP2023057445A (ja) * 2021-10-11 2023-04-21 津田駒工業株式会社 織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8193A (ja) 1996-02-27 1997-09-02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ジェットルームにおける緯入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4322A (en) * 1897-06-22 1900-02-27 Philipp Goldschmidt Lease mechanism.
US669394A (en) * 1900-10-23 1901-03-05 Draper Co Drawing-in frame.
US1191112A (en) * 1908-03-09 1916-07-11 Barber Colman Co Warp-drawing machine.
US1342896A (en) * 1917-07-30 1920-06-08 Barber Colman Co Machine for operating upon warps
US2048974A (en) * 1933-04-05 1936-07-28 Julius W Smith Means for preparing thread lease
US2705022A (en) * 1951-09-27 1955-03-29 Picanol Jaime Weaving loom frames and reinforcing cross-members therefor
US2911012A (en) * 1954-12-17 1959-11-03 Rueti Ag Maschf Variable-depth loom
US2835276A (en) * 1955-03-31 1958-05-20 Yvonne B Hunt Loom frames
JPS62133150A (ja) 1985-12-03 1987-06-16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織機
BE1008415A6 (nl) * 1994-06-15 1996-05-07 Picanol Nv Weefmachine met kapsels.
JP3538137B2 (ja) * 2000-10-23 2004-06-14 津田駒工業株式会社 織機における開口装置
JP2004204418A (ja) 2002-10-30 2004-07-22 Tsudakoma Corp 織機のフレーム構造
CN100338282C (zh) 2002-10-30 2007-09-19 津田驹工业株式会社 织机的机架结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8193A (ja) 1996-02-27 1997-09-02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ジェットルームにおける緯入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214926A (zh) 2022-04-16
JP2022057132A (ja) 2022-04-11
CN114318634A (zh) 2022-04-12
EP3978668A1 (en) 2022-04-06
US20220098765A1 (en) 2022-03-31
US11649573B2 (en) 2023-05-16
EP3978668B1 (en) 2023-06-21
CN215481564U (zh) 2022-01-11
JP7453115B2 (ja) 2024-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44098A (ko) 직기
KR20220044097A (ko) 직기의 프레임
US20210332508A1 (en) Frame structure of loom
US11993872B2 (en) Loom
JP4840735B2 (ja) パイル織機におけるパイル経糸張力調整装置
CN215906334U (zh) 织机
US4076048A (en) Sley drive for a weaving machine
CN217173997U (zh) 织机
JP7491819B2 (ja) 織機のクランク式駆動装置
JP2023057445A (ja) 織機
JP5106957B2 (ja) 織機の綜絖枠の振動防止装置
JP7159770B2 (ja) 織機の余剰経糸整理バー支持装置
JP2018066096A (ja) 織機における経糸送出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